KR102599604B1 - 커피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604B1
KR102599604B1 KR1020210154998A KR20210154998A KR102599604B1 KR 102599604 B1 KR102599604 B1 KR 102599604B1 KR 1020210154998 A KR1020210154998 A KR 1020210154998A KR 20210154998 A KR20210154998 A KR 20210154998A KR 102599604 B1 KR102599604 B1 KR 10259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chamber portion
boil
fluid
receiv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8825A (ko
Inventor
정상준
Original Assignee
정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준 filed Critical 정상준
Priority to KR102021015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604B1/ko
Priority to PCT/KR2022/014141 priority patent/WO2023085590A1/ko
Publication of KR2023006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6Inverting 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water is boiled in the lower part and the apparatus is subsequently inverted to pass the water through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6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a sealed water boiling vessel in which the steam pressure urges the hot water through a rising 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이 개구되는 보일챔버부와, 보일챔버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보일챔버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바텀플레이트부와, 바텀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1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챔버부와, 수용챔버부와 연통되며 수용챔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원두 가루를 수용가능한 바스켓부 및 보일챔버부와 연결가능하고 수용챔버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유체가 바스켓부를 통과하며 생성되는 내용물을 공급받는 컨테이너부를 포함하고, 보일챔버부의 내주면과 수용챔버부의 외주면 사이에 제2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피 추출 장치{Coffee extraction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커피 나무에서 수확한 열매의 생두를 가공하여 볶은 원두로부터 물을 이용하여 그 성분을 추출하여 음용하는 기호 음료이다. 이러한 커피의 추출 방식으로는 터키식 침출법에 의한 터키식 커피(turkish coffee), 뜨거운 물을 부어 천천히 추출하는 필터식 추출 방식의 핸드드립(hand drip), 전자식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뜨거운 물을 고르게 부어 커피를 뽑는 기계드립(automatic drip), 증기의 압력, 물의 삼투압 현상을 이용해 추출하는 진공식 추출 방식의 버큠포트(vacuum pot), 수증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모카포트(mocha pot) 등 개별적인 추출 기구들이 개발되었고, 근자에 들어서는 현대식 에스프레소 머신(espresso machine) 또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전자동 커피 머신으로 편리성을 겸비하고 있다.
이 중 모카포트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곱게 갈은 원두 가루에 뜨거운 물을 고압으로 통과시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하단부부터 열원의 열에 의해 가열되는 물을 수용하는 보일러, 원두 가루를 수용하는 깔대기 모양의 필터 바스켓, 그리고 추출된 에스프레소를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손잡이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에스프레소는 9기압의 압력, 90℃에서 95℃ 내외의 온도의 물로 20초에서 30초 내외로 추출되는 것이 맛과 향 측면에서 좋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 모카포트는 내부 압력이 1기압 내외이고, 물의 끓는 온도도 주어진 기압에 따라 상승되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며, 추출 시간이 길어 추출된 에스프레소의 품질이 최적의 조건을 맞추어서 추출하는 상업용 에스프레소 기계와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9946호(2021.02.23. 공개, 발명의 명칭: 에스프레소 추출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을 중탕 가열하여 적합한 온도로 커피를 추출함으로 인하여 커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이 개구되는 보일챔버부;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챔버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바텀플레이트부; 상기 바텀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1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챔버부; 상기 수용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용챔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원두 가루를 수용가능한 바스켓부; 및 상기 보일챔버부와 연결가능하고, 상기 수용챔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유체가 상기 바스켓부를 통과하며 생성되는 내용물을 공급받는 컨테이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주면과 상기 수용챔버부의 외주면 사이에 제2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텀플레이트부에는 상기 보일챔버부와 상기 수용챔버부를 연통시키며 미리 설정되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기체공급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부와 상기 컨테이너부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부를 커버하는 컨테이너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부는, 상기 보일챔버부와 연결가능한 컨테이너본체; 상기 컨테이너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챔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내용물을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추출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이 개구되는 보일챔버부;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챔버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바텀플레이트부; 상기 바텀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1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챔버부; 상기 수용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용챔버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의 외부로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보일챔버부를 커버하며 연결가능하고, 상기 유로부로부터 제1유체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연결가능하며 원두 가루를 수용가능하고, 상기 커버부로부터 제1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원두 가루를 통과시키는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주면과 상기 수용챔버부의 외주면 사이에 제2유체가 수용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보일챔버부와 연결가능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챔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유체를 유동시켜 상기 추출부로 공급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열원으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는 제2유체가 보일챔버부와 이격 배치되며 내측에 배치되는 수용챔버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를 중탕 가열함으로써 제1유체의 온도가 10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커피 추출에 적합한 온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텀플레이트부가 보일챔버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보일챔버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함으로 인하여 수용챔버부의 외주면과 보일챔버부의 내주면 사이에 제2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수용챔버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가 중탕 가열되며 커피 추출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텀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기체공급관부로 인하여 열원으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제2유체의 증기 압력을 수용챔버부의 내부에 공급할 수 있고, 커피 추출에 최적의 압력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Ⅰ-Ⅰ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Ⅰ-Ⅰ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는 보일챔버부(110), 바텀플레이트부(120), 수용챔버부(130), 바스켓부(150), 필터부(160), 컨테이너부(170), 패킹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챔버부(110)는 내부가 중공인 것으로, 일측(도 2a 기준 상측)이 개구될 수 있다. 보일챔버부(110)는 열을 제공하는 전열 장치 등 열원(H)과 접촉가능한 것으로, 열원(H)으로부터 전달받은 열로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F1, F2)가 직간접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챔버부(110)는 뒤에 설명할 바텀플레이트부(120), 컨테이너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보일챔버부(110)는 바텀플레이트부(120), 컨테이너부(170)와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텀플레이트부(120)는 보일챔버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보일챔버부(110)의 내주면과 접촉되며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부(170)는 보일챔버부(11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보일챔버부(110)의 일측(도 3 기준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챔버부(110)는 바텀플레이트부(120) 및 컨테이너부(17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바텀플레이트부(120) 및 컨테이너부(170)와 마주보는 보일챔버부(110)의 각 면에는 나사홈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나사홈부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바텀플레이트부(120) 및 컨테이너부(170)의 각 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일챔버부(110)가 바텀플레이트부(120) 및 컨테이너부(17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보일챔버부(110)와 바텀플레이트부(120), 보일챔버부(110)와 컨테이너부(170)가 체결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챔버부(130)의 외주면과 컨테이너부(170)의 내주면이 체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용챔버부(130)의 외주면과 컨테이너부(170)의 내주면은 나사 체결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챔버부(110)는 열원(H)으로부터 공급받은 열을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 구체적으로 제2유체(F2)로 전달하기 위하여 열 전달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챔버부(110)의 내부에는 제2유체(F2)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유체(F2)는 물(water)일 수 있고, 열원(H)에 의해 가열되어 뒤에 설명할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F1)를 중탕 가열(double boiling)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챔버부(110)의 내부 공간은 바텀플레이트부(120)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텀플레이트부(120)를 기준으로 상, 하측에 각각 제2유체(F2)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도 4를 참조하면, 바텀플레이트부(120)의 상측(도 4 기준)에서 보일챔버부(110)의 내주면과 바텀플레이트부(120)에 결합되는 수용챔버부(130)의 외주면 사이에 제2유체(F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DB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용 공간(DBA)'은 제2유체(F2)가 수용되는 영역으로 열원(H)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뒤에 설명할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F1)를 중탕 가열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용 공간(DBA)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유체(F2)가 외부에 위치하는 열원(H)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F1)를 중탕 가열함으로써 수용챔버부(130)의 제1유체(F1)는 100℃를 초과하지 않고 90℃ 내지 95℃의 온도로 뒤에 설명할 바스켓부(150)에 수용되는 원두 가루(CB)를 통과하여 커피(CE), 구체적으로 에스프레소로 추출될 수 있어 커피(CE)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도 4를 참조하면, 보일챔버부(110)의 내부 영역 중에서 바텀플레이트부(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열원(H)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제2유체(F2)를 가열하고, 상기 영역에서 발생하는 증기, 기체(G)는 뒤에 설명할 바텀플레이트부(120)에 형성되는 기체공급관부(121)를 통해 수용챔버부(130)의 내부로 유입되며 수용챔버부(130)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용챔버부(130)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면서 수용챔버부(130)에 수용되는 제1유체(F1)가 바스켓부(150)로 유동되며, 제1유체(F1)가 바스켓부(150)에 수용되는 원두 가루(CB)를 통과하여 내용물인 커피(CE)를 생성하고 컨테이너부(170)의 내부로 추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플레이트부(120)는 보일챔버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보일챔버부(110)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바텀플레이트부(120)는 보일챔버부(11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텀플레이트부(120)의 외주면과 보일챔버부(110)의 내주면이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바텀플레이트부(120)가 보일챔버부(110)의 내부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보일챔버부(110)에 연결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체결 방식으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바텀플레이트부(120)는 뒤에 설명할 수용챔버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플레이트부(120)와 수용챔버부(130)는 길이 방향(도 2a 기준 상하 방향) 중심축을 공유하며 체결될 수 있다.
바텀플레이트부(120)에 수용챔버부(130)가 결합됨으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F1)가 열원(H)으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는 것이 아니라, 수용 공간(DBA)에서 열원(H)으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제2유체(F2)에 의해 중탕 가열됨으로 인하여 제1유체(F1)가 100℃ 미만의 온도, 구체적으로 90℃ 내지 95℃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바텀플레이트부(120)의 중심 영역에는 수용챔버부(130)의 일단부(도 2a 기준 하단부)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를 가지며 체결홈부(도면부호 미설정)이 형성될 수 있다. 바텀플레이트부(120)에는 길이 방향(도 2a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기체공급관부(121)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기체공급관부(121)는 바텀플레이트부(120)의 상하 영역이 연통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부(도 2a 기준 상단부)가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체결홈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기체공급관부(121)를 통해 보일챔버부(110)의 내부 영역 중 바텀플레이트부(120)의 하측에 해당하는 영역에 수용되는 제2유체(F2)가 열원(H)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면서 생성되는 증기인 기체(G)가 수용챔버부(130)의 내부로 유입되며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고, 수용챔버부(130)의 수용되는 제1유체(F1)를 바스켓부(150)로 유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공급관부(121)의 일단부, 구체적으로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단부(도 2a 기준)에는 제1밸브부(14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밸브부(141)로 인하여 기체공급관부(121)로부터 수용챔버부(130)로 유입되는 제2유체(F2)의 증기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기체공급관부(121)의 상단부(도 2a 기준)에 제1밸브부(141) 대신 지글러(gigleur)가 설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챔버부(130)는 바텀플레이트부(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개구부(도면부호 미설정)가 형성되며 제1유체(F1)를 수용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수용챔버부(130)의 일단부(도 2a 기준 하단부)는 바텀플레이트부(120)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바텀플레이트부(120), 구체적으로 기체공급관부(1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일단부에 개구부(도면부호 미설정)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은 상기 바텀플레이트부(120)의 내주면과 체결가능하고, 본 발명에서는 수용챔버부(130)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이와 마주보는 바텀플레이트부(120)의 일면이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바텀플레이트부(120)가 수용챔버부(130)와 체결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챔버부(130)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용챔버부(130)의 일측(도 2a 기준 하측)에 대향되는 타측(도 2a 기준 상측)도 개구되며, 바스켓부(15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F1)는 열원(H)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직접 가열되는 제1유체(F1)로부터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받아 중탕 가열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F1)가 100℃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고, 100℃ 미만, 예를 들어 90℃ 내지 95℃의 온도로 중탕 가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챔버부(130)의 상단부(도 2a 기준)는 컨테이너부(170), 구체적으로 컨테이너본체(171)의 내주면과 마주보며 배치되고, 컨테이너본체(171)의 내주면과 수용챔버부(130)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180)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내부 영역이 밀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챔버부(130)에는 제2밸브부(145)가 설치될 수 있다. 제2밸브부(145)가 수용챔버부(130)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내부 압력이 미리 설정되는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제2밸브부(145)가 개방됨으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제2밸브부(145)가 수용챔버부(130)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과도한 내부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부(150)는 수용챔버부(130)와 연통가능한 것으로,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부(150)에는 원두 가루(CB)가 수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부(150)는 바스켓본체(151), 바스켓유로부(153), 바스켓플레이트(1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본체(151)는 내부가 중공인 것으로, 바스켓본체(151)의 내부에는 원두 가루(CB)가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본체(151)는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측(도 2a 기준)은 바스켓유로부(153)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a,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본체(151)는 바스켓유로부(153)로부터 제1유체(F1)를 공급받을 수 있고, 바스켓유로부(153)로부터 유입된 제1유체(F1)가 바스켓본체(151)의 내부에 수용되는 원두 가루(CB)를 통과하면서 커피(CE)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커피(CE)는 뒤에 설명할 필터부(160)를 통과하여 컨테이너부(170)로 유동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본체(151)의 외주면은 수용챔버부(130)의 내주면과 밀착 접촉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본체(151)의 내부에는 바스켓플레이트(155)가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플레이트(155)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F1)가 바스켓유로부(153)를 통해 하측에서 상측 방향(도 4 기준)으로 유동되고, 바스켓플레이트(155)에 형성되는 홀을 통과하고, 원두 가루(CB)를 통과하면서 커피(CE)가 생성될 수 있다.
도 2a,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플레이트(155)로 인하여 바스켓본체(151)의 내부에 수용되는 원두 가루(CB)를 지지할 수 있고 원두 가루(CB)가 바스켓유로부(153) 및 수용챔버부(130)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본체(151)의 상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52)는 수용챔버부(130)의 상단부에 걸쳐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돌출부(152)의 하면과 수용챔버부(130)의 상면이 접촉되면서 바스켓부(150), 구체적으로 바스켓본체(151)가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서 미리 설정되는 위치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돌출부(152)가 형성되는 바스켓본체(151)가 수용챔버부(130)와 접촉됨으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내부 영역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유로부(153)는 바스켓본체(151)와 연결되는 것으로, 바스켓본체(151)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바스켓유로부(153)는 바스켓본체(151)의 하면(도 2a 기준)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본체(151)는 길이 방향(도 2a 기준 상하 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바텀플레이트부(120)와 마주보는 바스켓본체(151)의 일측(도 2a 기준 하측)은 바스켓유로부(153)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유로부(153)는 바스켓본체(151)와 연통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도 2a 기준 상하 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유로부(153)는 일측(도 2a 기준 상측)은 바스켓본체(151)와 연통되고, 이에 대향되는 타측(도 2a 기준 하측)은 개방된 상태로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에 수용되는 제1유체(F1)가 기체공급관부(121)을 통해 배출되는 제2유체(F2) 증기의 압력으로 인하여 바스켓유로부(153)로 유입되고, 하측에서 상측(도 4 기준) 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플레이트(155)는 바스켓본체(15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외주면이 바스켓본체(151)의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바스켓플레이트(155)와 바스켓본체(15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플레이트(15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을 통해 제1유체(F1)가 바스켓플레이트(155)를 통과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플레이트(155)의 일면 상에는 원두 가루(CB)가 배치될 수 있고, 바스켓플레이트(155)로 인하여 원두 가루(CB)가 바텀플레이트부(120)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원두 가루(CB)를 일측(도 4 기준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60)는 바스켓부(150)를 커버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60)에 홀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1유체(F1)가 원두 가루(CB)를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커피(CE)가 필터부(160)를 통과할 수 있고, 원두 가루(CB)는 바스켓본체(151)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a,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60)의 외경은 바스켓부(150), 구체적으로 바스켓본체(151)의 내경, 수용챔버부(13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필터부(160)가 바스켓본체(151) 또는 수용챔버부(130)의 상단부에 걸쳐지며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부(170)는 보일챔버부(110)와 연결가능한 것으로, 수용챔버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제1유체(F1)가 바스켓부(150) 및 필터부(160)를 통과하며 생성되는 내용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부(170)는 컨테이너본체(171), 추출관부(173), 압력측정부(175), 개폐밸브(17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본체(171)는 보일챔버부(110)와 연결가능한 것으로, 보일챔버부(110)의 일측(도 2a 기준 상측)을 커버하며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테이너본체(171)는 보일챔버부(11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보일챔버부(110)의 일측을 커버하며 연결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선택적 실시예로서, 보일챔버부(110)와 컨테이너본체(171)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이 아닌 삽입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컨테이너본체(171)의 하단부와 보일챔버부(110)의 상단부 사이에 패킹부재(PM)이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패킹부재(PM)가 컨테이너본체(171)의 하단부와 보일챔버부(110)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보일챔버부(110)와 컨테이너본체(171)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아도, 컨테이너본체(171)와 보일챔버부(110)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일챔버부(110)와 컨테이너본체(171) 사이에 패킹부재(PM)가 배치되는 것은 뒤에 설명할,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2)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컨테이너본체(271)의 하단부와 보일챔버부(210)의 상단부가 삽입 방식으로 연결되며, 컨테이너본체(271)의 하단부와 보일챔버부(210)의 상단부 사이에 패킹부재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뒤에 설명할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3)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커버본체(371)의 하단부와 보일챔버부(310)의 상단부가 삽입 방식으로 연결되며, 커버본체(371)의 하단부와 보일챔버부(210)의 상단부 사이에 패킹부재(도면 미도시)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본체(171)의 외주면에는 배출홀부(17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보일챔버부(110)와 컨테이너본체(171)로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DBA)에 수용되는 제2유체(F2)가 열원(H)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내부 압력이 증가될 때 기체(G)가 배출홀부(17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내부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관부(173)는 컨테이너본체(171)와 연결되는 것으로, 수용챔버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내용물을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추출관부(173)는 컨테이너본체(171)의 내측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고, 추출관부(173)의 하측에서 제1유체(F1)가 원두 가루(CB)를 통과하며 생성되는 내용물인 커피(CE)가 유동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할 수 있고, 추출관부(173)를 통해 추출되는 내용물은 추출관부(173)의 상측에 형성되는 컨테이너본체(171)의 내측 공간인 저장 공간(SA)에 수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본체(171)의 상단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도면부호 미설정)가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커피 추출 장치(1)를 파지하고 기울여줌으로써 가이드부를 따라 컨테이너본체(171)에 형성되는 저장 공간(SA)에 수용되는 내용물인 커피(CE)가 컵 등 용기에 따를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부(175)는 추출관부(173)에 설치될 수 있고, 추출관부(173)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177)는 추출관부(173)에 설치되는 것으로, 추출관부(173)를 개폐하여 내용물인 커피(CE)의 외부, 구체적으로 컨테이너본체(171)의 내측 공간으로의 추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압력측정부(175)를 통해 추출관부(173)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커피(CE)를 추출하기에 최적의 압력, 예를 들어 4 내지 9기압까지 도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에 도달하면 개폐밸브(177)를 조작하여 추출관부(173)를 개방시킬 수 있고, 내용물인 커피(CE)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압력측정부(175)와 개폐밸브(177)는 전자동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제어부(도면 미도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되는 압력에서 개폐밸브(177)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는 컨테이너본체(171)의 상측(도 1 기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컨테이너커버(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커버로 인하여 외부로의 이물질이 컨테이너본체(171)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내용물인 커피(CE)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컨테이너부(170)는 컨테이너본체(17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컨테이너본체(171)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열이 전달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컨테이너본체(171)가 내부에 수용되는 커피(CE)로 인해 온도가 상승한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커피를 컵 등, 외부 용기에 따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180)는 바스켓부(150)와 필터부(16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바스켓부(150)와 필터부(160)에 각각 접촉가능하다. 패킹부(180)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킹부(180)는 바스켓부(150)의 상측에 배치되고, 보일챔버부(110)와 연결되는 컨테이너부(170), 구체적으로 컨테이너본체(17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180)가 바스켓부(150)와 필터부(160)에 각각 접촉됨으로 인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용챔버부(130)의 내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180)는 바스켓부(150)와 필터부(160)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 접촉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금속, 비금속, 고무 재질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는 보일챔버부(110), 바텀플레이트부(120), 수용챔버부(130), 제1밸브부(141), 제2밸브부(145), 바스켓부(150), 필터부(160), 컨테이너부(170), 패킹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보일챔버부(110)의 내부에 제2유체(F2)를 채워 넣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유체(F2)는 물이고, 열원(H)으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아 보일챔버부(110)의 내부에서 가열될 수 있다.
보일챔버부(110)에 제2유체(F2)가 채워지고, 바텀플레이트부(120)가 보일챔버부(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텀플레이트부(120)는 보일챔버부(110)와 체결될 수 있고, 바텀플레이트부(120)가 보일챔버부(110)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보일챔버부(110)의 내부 공간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바텀플레이트부(120)에는 수용챔버부(130)가 결합될 수 있고, 수용챔버부(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바텀플레이트부(120)가 보일챔버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바텀플레이트부(120)가 보일챔버부(110)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바텀플레이트부(120)를 기준으로 하측(도 4 기준)에 채워진 제2유체(F2)는 바텀플레이트부(120)의 상측(도 4 기준)에 해당하는 보일챔버부(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플레이트부(120)가 보일챔버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결합되고, 바텀플레이트부(120)의 상면(도 4 기준)과 바텀플레이트부(120)에 결합되는 수용챔버부(130)의 외주면, 보일챔버부(110)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제2유체(F2)를 수용가능한 수용 공간(DBA)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DBA)은 열원(H)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것으로, 수용 공간(DBA)에 채워지는 제2유체(F2)가 열원(H)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가열됨으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F1)가 중탕 가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유체(F1)는 물일 수 있다.
제1유체(F1)가 중탕 가열됨으로 인하여 제1유체(F1)의 온도는 100℃를 초과하지 않고, 커피(CE)를 추출하기에 최적의 온도인 90℃ 내지 95℃로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용챔버부(13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도 4 기준 하측)은 바텀플레이트부(120)에 결합되고, 이에 대향되는 타측(도 4 기준 상측)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타측을 통해 바스켓부(150)가 수용챔버부(1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바스켓부(150)는 바스켓본체(151), 바스켓유로부(153), 바스켓플레이트(155)를 포함하는 것으로 바스켓본체(151)의 내부에는 원두 가루(CB)가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두 가루(CB)는 바스켓본체(15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스켓플레이트(155)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바스켓부(150)는 바스켓본체(151)에 연결되며 수용챔버부(130)로부터 제1유체(F1)를 공급받을 수 있고, 제1유체(F1)의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바스켓부(150)의 상측에 패킹부(180), 필터부(16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패킹부(180), 필터부(160)가 배치된 상태에서 컨테이너부(170)로 보일챔버부(110) 및 보일챔버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텀플레이트부(120), 바스켓부(150), 수용챔버부(130), 패킹부(180), 필터부(160)를 커버하며 보일챔버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일챔버부(110)가 열원(H)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됨에 따라 보일챔버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유체(F2)가 직접 가열된다.
바텀플레이트부(120)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보일챔버부(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제2유체(F2)는 열원(H)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압력이 증가되고, 바텀플레이트부(120)에 형성되는 기체공급관부(121)를 통해 기체(G)가 유동되며, 수용챔버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
기체공급관부(121)의 일단부(도 4 기준 상단부)에는 제1밸브부(141)가 설치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되는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유로를 폐쇄하고, 미리 설정하는 압력에 도달하면 유로를 개방시켜 수용챔버부(130)의 내부로 기체(G) 상태의 제2유체(F2)를 공급하여 내부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바텀플레이트부(120)를 기준으로 상측(도 4 기준)에 위치하는 보일챔버부(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제2유체(F2)가 가열되며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F1)에 열을 전달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중탕 가열함으로써 제1유체(F1)가 10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컨테이너본체(171)에는 배출홀부(17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내부에서 생성되는 기체(G)를 외부로 배출해줌으로써 바텀플레이트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보일챔버부(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제2유체(F2)가 가열되며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용챔버부(130)에는 제2밸브부(145)가 설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기체공급관부(121)로부터 공급되는 기체(G)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원(H)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제2유체(F2)가 가열되고, 수용 공간(DBA)에 수용되는 제2유체(F2)가 수용챔버부(130)에 수용되는 제1유체(F1)를 중탕 가열되며, 보일챔버부(110)의 내부에서 가열되는 제2유체(F2)의 증기압으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제1유체(F1)가 바스켓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유체(F1)는 바스켓유로부(153)의 내부를 유동하며 바스켓플레이트(155)에 형성되는 홀 및 바스켓플레이트(155) 상에 위치하는 원두 가루(CB)를 통과하며 커피(CE)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커피(CE)는 필터부(160)에 형성되는 홀을 통과하여 컨테이너부(170), 구체적으로 추출관부(173)의 내부에서 유동되며 하측에서 상측(도 4 기준)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추출관부(173)에는 압력측정부(175), 개폐밸브(177)가 설치될 수 있고, 추출관부(173)의 내부를 유동하는 커피(CE)의 추출 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출관부(173)의 외부로 추출되는 커피(CE)는 컨테이너본체(171)의 내부 영역인 저장 공간(SA)에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피(CE)를 컵, 텀블러 등 별도의 용기에 따라 마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는 열원(H)으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는 제2유체(F2)가 보일챔버부(110)와 이격 배치되며 내측에 배치되는 수용챔버부(130)에 수용되는 제1유체(F1)를 중탕 가열함으로써 제1유체(F1)의 온도가 100℃를 초과하지 않고 90℃내지 95℃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텀플레이트부(120)가 보일챔버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보일챔버부(110)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함으로 인하여 수용챔버부(130)의 외주면과 보일챔버부(110)의 내주면 사이에 제2유체(F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DBA)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챔버부(130)에 수용되는 제1유체(F1)가 중탕 가열되며 커피 추출에 최적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텀플레이트부(120)에 형성되는 기체공급관부(121)로 인하여 열원(H)으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제2유체(F2)의 증기 압력을 수용챔버부(130)의 내부에 공급할 수 있고, 커피 추출에 최적의 압력으로 커피(CE)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2)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2)는 보일챔버부(210), 바텀플레이트부(220), 수용챔버부(230), 제1밸브부(241), 제2밸브부(245), 바스켓부(250), 필터부(260), 컨테이너부(270), 패킹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와 보일챔버부(210), 바텀플레이트부(220), 수용챔버부(230), 바스켓부(250), 제1밸브부(241), 제2밸브부(245), 필터부(260), 패킹부(280)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컨테이너부(270)의 구성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챔버부(210)의 외주면에는 손잡이(도면 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는 열이 전달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외부의 열원(H)에 의해 가열되며 보일챔버부(210)의 온도가 상승한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커피 추출 장치(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부(270)는 보일챔버부(210)와 연결가능한 것으로, 수용챔버부(230)로부터 공급되는 제1유체(F1)가 바스켓부(250) 및 필터부(260)를 통과하며 생성되는 내용물 즉, 커피(CE)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부(270)는 컨테이너본체(271), 추출관부(273), 압력측정부(275), 개폐밸브(27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본체(271)는 보일챔버부(210)와 연결가능한 것으로, 보일챔버부(210)의 일측(도 6 기준 상측)을 커버하며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테이너본체(271)는 보일챔버부(21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보일챔버부(210)의 일측을 커버하며 연결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본체(271)의 외주면에는 배출홀부(27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보일챔버부(210)와 컨테이너본체(271)로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DBA)에 수용되는 제2유체(F2)가 열원(H)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내부 압력이 증가될 때 기체(G)가 배출홀부(27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내부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관부(273)는 컨테이너본체(271)와 연결되는 것으로, 수용챔버부(230)로부터 공급되는 내용물인 커피(CE)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추출관부(273)는 컨테이너본체(271)의 외주면에 연결될 수 있고, 컨테이너본체(271)의 내부에서 외부로 커피(CE)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추출관부(273)는 적어도 1회 이상 굴곡될 수 있고, 보일챔버부(210) 및 컨테이너본체(27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컵 등 별도의 용기로 커피(CE)를 추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압력측정부(275)는 추출관부(273)에 설치될 수 있고, 추출관부(273)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개폐밸브(277)는 추출관부(273)에 설치되는 것으로, 추출관부(273)를 개폐하여 내용물인 커피(CE)의 외부, 구체적으로 컨테이너본체(271)의 내측 공간으로의 추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압력측정부(275)를 통해 추출관부(273)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커피(CE)를 추출하기에 최적의 압력, 예를 들어 4 내지 9기압까지 도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에 도달하면 개폐밸브(277)를 조작하여 추출관부(273)를 개방시킬 수 있고, 내용물인 커피(CE)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압력측정부(275)와 개폐밸브(277)는 전자동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제어부(도면 미도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되는 압력에서 개폐밸브(277)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2)는 추출관부(273)가 컨테이너본체(271)와 연결되며 컨테이너본체(271)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커피(CE)를 바로 외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용기로 바로 추출할 수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보일챔버부(210), 바텀플레이트부(220), 수용챔버부(230), 제1밸브부(241), 제2밸브부(245), 바스켓부(250), 패킹부(28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의 보일챔버부(110), 바텀플레이트부(120), 수용챔버부(130), 제1밸브부(141), 제2밸브부(145), 바스켓부(150), 패킹부(180)와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3)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3)는 보일챔버부(310), 바텀플레이트부(320), 수용챔버부(330), 제1밸브부(341), 제2밸브부(345), 바스켓부(383), 유로부(350), 커버부(370), 추출부(380), 패킹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와 비교하여 유로부(350), 커버부(370), 추출부(38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보일챔버부(310), 바텀플레이트부(320), 수용챔버부(330), 제1밸브부(341), 제2밸브부(345), 패킹부(390)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유로부(350), 커버부(370), 추출부(380)의 구성을 중심으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챔버부(310)의 외주면에는 뒤에 설명할 핸들부(385)와 같은 손잡이(도면 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는 열이 전달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외부의 열원(H)에 의해 가열되며 보일챔버부(310)의 온도가 상승한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커피 추출 장치(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유로부(350)는 수용챔버부(330)와 연통되는 것으로, 수용챔버부(330)에 수용되는 제1유체(F1)의 외부로의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유로부(350)는 유로본체(351), 지지플레이트(3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로본체(351)는 일측(도 10 기준 상측)은 지지플레이트(353)와 연결되고, 타측(도 10 기준 하측)은 개구되며 수용챔버부(330)로부터 제1유체(F1)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로본체(351)는 길이 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커버부(370), 구체적으로 공급유로부(373)로 제1유체(F1)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플레이트(353)는 수용챔버부(330)를 커버하는 것으로 수용챔버부(33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지플레이트(35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용챔버부(33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0,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본체(371)의 내주면과 지지플레이트(353) 사이에는 패킹부(390)가 배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지지플레이트(353)가 수용챔버부(330)에 밀착될 수 있고, 수용챔버부(33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부(370)는 보일챔버부(310)를 커버하며 연결가능한 것으로, 유로부(350)로부터 제1유체(F1)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부(350)는 길이 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커버부(370), 구체적으로 공급유로부(37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유로부(350)와 공급유로부(37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수용챔버부(330)의 내부에서 중탕 가열되는 제1유체(F1)가 유로부(350)의 내부를 통과하여 유로부(350)와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되는 공급유로(373)로 유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부(370)는 커버본체(371), 공급유로부(373), 압력측정부(375), 개폐밸브(377), 연결부(379)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본체(371)는 보일챔버부(310)와 연결가능한 것으로, 보일챔버부(310)의 일측(도 10 기준 상측)을 커버하며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커버본체(371)는 보일챔버부(31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보일챔버부(310)의 일측을 커버하며 연결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커버본체(371)의 외주면에는 배출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보일챔버부(310)와 커버본체(371)로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DBA)에 수용되는 제2유체(F2)가 열원(H)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내부 압력이 증가될 때 기체(G)가 배출홀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내부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공급유로부(373)는 커버본체(371)와 연결되는 것으로, 수용챔버부(330)에서 유로부(350)를 통해 공급되는 제1유체(F1)를 추출부(380)로 전달할 수 있다. 공급유로부(373)를 통해 유동되는 제1유체(F1)는 커피(CE)의 추출에 최적의 온도와 압력을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일챔버부(310)의 내주면과 수용챔버부(33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DBA)에 수용되는 제2유체(F2)가 열원(H)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수용챔버부(330)에 수용되는 제1유체(F1)를 중탕 가열함으로써 100℃ 미만의 온도, 구체적으로 90℃ 내지 95℃의 온도로 추출부(38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텀플레이트부(320)와 보일챔버부(31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제2유체(F2)가 열원(H)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가열되고, 기체공급관부(321)를 통해 수용챔버부(330)로 전달되며 수용챔버부(330)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제1유체(F1)를 유로부(350)로 유동시킬 수 있는데 이때 커피(CE)의 추출에 적합한 압력, 예를 들어 4 내지 9기압의 압력으로 추출부(38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압력측정부(375)는 공급유로부(373)에 설치될 수 있고, 공급유로부(373)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개폐밸브(377)는 공급유로부(373)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급유로부(373)를 개폐하여 제1유체(F1)의 추출부(380)로의 추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압력측정부(375)를 통해 공급유로부(373)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커피(CE)를 추출하기에 최적인 제1유체(F1)의 압력, 예를 들어 4 내지 9기압까지 도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에 도달하면 개폐밸브(377)를 조작하여 공급유로부(373)를 개방시킬 수 있고, 내용물인 커피(CE)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압력측정부(375)와 개폐밸브(377)는 전자동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제어부(도면 미도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되는 압력에서 개폐밸브(377)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연결부(379)는 공급유로부(373)와 연결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추출부(38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79)는 추출부(380)와 체결되며 추출부(38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부(379)와 추출부(380)는 중심을 공유할 수 있고, 연결부(379)와 추출부(380) 간의 상대 회전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추출부(380)가 연결부(379)에 체결됨으로 인하여 공급유로부(373)를 통해 유동되는 제1유체(F1)가 추출부(380)로 진입할 수 있고, 추출부(380)에 수용되는 원두 가루(CB)를 통과하여 커피(CE)를 생성 및 추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추출부(380)는 필터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커버부(370), 구체적으로 연결부(379)에 연결가능하다. 추출부(380)는 추출하우징(381), 바스켓부(383), 핸들부(38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추출하우징(381)은 바스켓부(383)가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핸들부(385)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부(385)를 파지하고 추출하우징(381)을 커버부(370), 구체적으로 연결부(379)에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0, 도 12를 참조하면, 추출하우징(381)은 길이 방향(도 10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상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측에서는 공급유로부(373)로부터 제1유체(F1)를 전달받고, 하측에서는 제1유체(F1)가 바스켓부(383)에 수용되는 원두 가루(CB)를 통과하여 생성되는 커피(CE)가 통과하여 외부에 위치하는 컵 등의 용기로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바스켓부(383)는 추출하우징(381)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원두 가루(CB)가 수용될 수 있다. 추출하우징(381)의 하면(도 10 기준)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제1유체(F1)가 원두 가루(CB)를 통과하며 생성되는 커피(CE)가 상기 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터부는 바스켓부(383)와, 바스켓부(383)를 커버하는 커버부(370), 구체적으로 연결부(379)의 하면(도 10 기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3)는 커피(CE)의 추출에 적합한 온도와 압력을 가진 제1유체(F1)가 공급유로부(373)를 통해 커버부(370)에 연결되는 추출부(380)로 전달되고, 추출부(380)에 수용되는 원두 가루(CB)를 통과하며 생성되는 커피(CE)가 추출부(380)의 외부로 추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보일챔버부(310), 바텀플레이트부(320), 수용챔버부(330), 제1밸브부(341), 제2밸브부(345), 바스켓부(350), 패킹부(39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1)의 보일챔버부(110), 바텀플레이트부(120), 수용챔버부(130), 제1밸브부(141), 제2밸브부(145), 바스켓부(150), 패킹부(180)와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2, 3: 커피 추출 장치
CB: 원두 가루 CE: 커피
DBA: 수용 공간 F1: 제1유체
F2: 제2유체 G: 기체
H: 열원 SA: 저장 공간
110, 210, 310: 보일챔버부 120, 220, 320: 바텀플레이트부
121, 221, 321: 기체공급관부 130, 230, 330: 수용챔버부
141, 241, 341: 제1밸브부
145, 245, 345: 제2밸브부 150, 250: 바스켓부
151, 251: 바스켓본체 152, 252: 돌출부
153, 253: 바스켓유로부 155, 255: 바스켓플레이트
160, 260: 필터부 170, 270: 컨테이너부
171, 271: 컨테이너본체 172, 272: 배출홀부
173, 273: 추출관부 175, 275: 압력측정부
177, 277: 개폐밸브 180, 280, 390: 패킹부
350: 유로부 351: 유로본체
353: 지지플레이트 370: 커버부
371: 커버본체 373: 공급유로부
375: 압력측정부 377: 개폐밸브
379: 연결부 380: 추출부
381: 추출하우징 383: 바스켓부
385: 핸들부

Claims (7)

  1.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이 개구되는 보일챔버부;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챔버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바텀플레이트부;
    상기 바텀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1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챔버부;
    상기 수용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용챔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원두 가루를 수용가능한 바스켓부; 및
    상기 보일챔버부와 연결가능하고, 상기 수용챔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유체가 상기 바스켓부를 통과하며 생성되는 내용물을 공급받는 컨테이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주면과 상기 수용챔버부의 외주면 사이에 제2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텀플레이트부에는 상기 보일챔버부와 상기 수용챔버부를 연통시키며 미리 설정되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기체공급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2. 삭제
  3.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이 개구되는 보일챔버부;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챔버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바텀플레이트부;
    상기 바텀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1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챔버부;
    상기 수용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용챔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원두 가루를 수용가능한 바스켓부; 및
    상기 보일챔버부와 연결가능하고, 상기 수용챔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유체가 상기 바스켓부를 통과하며 생성되는 내용물을 공급받는 컨테이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주면과 상기 수용챔버부의 외주면 사이에 제2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부와 상기 컨테이너부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4.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이 개구되는 보일챔버부;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챔버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바텀플레이트부;
    상기 바텀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1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챔버부;
    상기 수용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용챔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원두 가루를 수용가능한 바스켓부; 및
    상기 보일챔버부와 연결가능하고, 상기 수용챔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유체가 상기 바스켓부를 통과하며 생성되는 내용물을 공급받는 컨테이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주면과 상기 수용챔버부의 외주면 사이에 제2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부를 커버하는 컨테이너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5.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이 개구되는 보일챔버부;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챔버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바텀플레이트부;
    상기 바텀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1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챔버부;
    상기 수용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용챔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원두 가루를 수용가능한 바스켓부; 및
    상기 보일챔버부와 연결가능하고, 상기 수용챔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유체가 상기 바스켓부를 통과하며 생성되는 내용물을 공급받는 컨테이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주면과 상기 수용챔버부의 외주면 사이에 제2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부는,
    상기 보일챔버부와 연결가능한 컨테이너본체;
    상기 컨테이너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챔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내용물을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추출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6.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이 개구되는 보일챔버부;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챔버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바텀플레이트부;
    상기 바텀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제1유체를 수용가능한 수용챔버부;
    상기 수용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용챔버부에 수용되는 제1유체의 외부로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
    상기 보일챔버부를 커버하며 연결가능하고, 상기 유로부로부터 제1유체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연결가능하며 원두 가루를 수용가능하고, 상기 커버부로부터 제1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원두 가루를 통과시키는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챔버부의 내주면과 상기 수용챔버부의 외주면 사이에 제2유체가 수용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보일챔버부와 연결가능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챔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유체를 유동시켜 상기 추출부로 공급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KR1020210154998A 2021-11-11 2021-11-11 커피 추출 장치 KR10259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98A KR102599604B1 (ko) 2021-11-11 2021-11-11 커피 추출 장치
PCT/KR2022/014141 WO2023085590A1 (ko) 2021-11-11 2022-09-22 커피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98A KR102599604B1 (ko) 2021-11-11 2021-11-11 커피 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825A KR20230068825A (ko) 2023-05-18
KR102599604B1 true KR102599604B1 (ko) 2023-11-07

Family

ID=8633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998A KR102599604B1 (ko) 2021-11-11 2021-11-11 커피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9604B1 (ko)
WO (1) WO202308559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9847A (ja) * 2008-03-17 2009-10-01 Masashi Otake 上昇管を有するコーヒーメ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29648A1 (de) * 1975-07-03 1977-01-20 Bayer Ag Carbamidsaeureester der gallussaeu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fungizide
JPH05207936A (ja) * 1991-02-27 1993-08-20 Sharp Corp コーヒー抽出装置
KR200141033Y1 (ko) * 1996-10-23 1999-03-20 윤광렬 사이펀식 차추출기
ITFI20040121A1 (it) * 2004-05-28 2004-08-28 Bialetti Ind Spa Caffetteria elettrica per la produzione di caffe' espresso
ITMO20040202A1 (it) * 2004-07-30 2004-10-30 Illycaffe Spa Metodi ed apparati per ottenere bevande.
KR102393821B1 (ko) 2019-08-13 2022-05-04 이건호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9847A (ja) * 2008-03-17 2009-10-01 Masashi Otake 上昇管を有するコーヒーメ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590A1 (ko) 2023-05-19
KR20230068825A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5121A (en) Apparatus for use in preparing infusions
US91797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and the like
US4775048A (en) Dispensing unit for manually-operated hot drink dispensing machine with pre-manufactured throwaway capsules of two sizes
US6405637B1 (en) Fluid delivery system for generating pressure pulses to make beverages
US5267506A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ffee brewing
US20050268790A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espresso coffee and the like
US5281785A (en)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in a microwave oven
EP2109386B1 (en) Coffee-maker structure for preparation of hot beverages
KR102599604B1 (ko) 커피 추출 장치
KR101643327B1 (ko) 일체 결합형 더치 커피 드립퍼
US3527153A (en) Coffee maker
KR101689482B1 (ko) 커피 드립장치
WO2020105594A1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102446616B1 (ko) 커피 브루어
US2345146A (en) Device for extracting coffee and/or tea
US5715742A (en) Single chamber dynamic flow brewing device
US5219394A (en) Appliance for brewing beverages
KR20180005015A (ko) 더치 커피 제조장치
KR102594064B1 (ko) 설정온도에서의 구동되는 비전기식 커피 추출기구
US964029A (en) Coffee and water urn.
US2796018A (en) Heated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with selectively adjustable modes of operation
US1934070A (en) Coffee maker
JP6616799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102402420B1 (ko) 기능성 콜드브루 메이커
KR101297554B1 (ko) 커피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