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489B1 -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 Google Patents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489B1
KR102599489B1 KR1020220030820A KR20220030820A KR102599489B1 KR 102599489 B1 KR102599489 B1 KR 102599489B1 KR 1020220030820 A KR1020220030820 A KR 1020220030820A KR 20220030820 A KR20220030820 A KR 20220030820A KR 102599489 B1 KR102599489 B1 KR 10259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trap
hardness
fasten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3617A (ko
Inventor
이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블루
Priority to KR102022003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489B1/ko
Priority to PCT/KR2022/014949 priority patent/WO2023171867A1/ko
Publication of KR2023013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617A/ko
Priority to KR1020230149830A priority patent/KR20230155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53Pillow s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베개는 베개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베개 프레임은 하부에 스트랩을 체결할 수 있는 복수의 홈을 구성하고, 상기 스트랩이 홈에 체결되는 유형에 따라 상기 베개 프레임이 사용자의 머리 무게를 받쳐주는 경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PILLOW WITH ADJUSTABLE HARDNESS}
본 발명은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경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 프레임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방식에 따라서 경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실내에서의 활동이 많아지고 있으며, 컴퓨터 앞에서 업무를 보는 많은 사용자들이 목이나 허리와 같은 신체 부분에 많은 통증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신체의 피로를 풀 수 있는 많은 아이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안마의자, 안마매트 등 다양한 치료, 신체 회복 목적의 기기들이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수면 시에 사용되는 베개만큼 중요한 침구는 없으며, 베개의 편리함에 대해서는 인류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많은 사용자들이 편리한 베개를 찾기 위하여, 유명한 브랜드의 베개를 외국에서 수입하거나, 라텍스 등의 고급 소재로 제작하더라도, 개개인에 맞는 베개를 찾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며 민감한 부분이기 때문에,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베개를 제작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다.
특히, 베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의 양으로 베개의 경도(hardness)를 조절하거나, 스프링을 이용하거나, 신체를 기억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개개인에 맞는 방식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그 제작 비용이 대량 판매용에 적합하지 않고 조절 방법 또한 쉽지 않다 보니, 대중화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에 맞게 편리하게 경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에 대하여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스트랩의 체결 유형을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베개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측면으로 누워 자는 경우에도, 베개와 어깨가 부딪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베개는 베개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베개 프레임은 하부에 스트랩을 체결할 수 있는 복수의 홈을 구성하고, 상기 스트랩이 홈에 체결되는 유형에 따라 상기 베개 프레임이 사용자의 머리 무게를 받쳐주는 경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베개 프레임의 양 종단에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개 프레임이 사용자의 양 어깨와 근접한 부분에 홀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개 프레임은 복수의 긴 타원형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긴 타원형 홈은 스트랩이 체결되는 홈에 가까워질수록 홈의 너비가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양 종단에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2이상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개 프레임은, 사용자의 머리와 접하는 중앙부 및 양 측면부 간에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스트랩의 체결 유형을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베개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측면으로 누워 자는 경우에도, 베개와 어깨가 부딪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스트랩 체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베개 프레임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베개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스트랩 체결을 하지 않은 경우의 베개의 경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베개 중앙부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의 베개의 경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베개 양 종단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의 베개의 경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베개 홈 전부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의 베개의 경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스트랩을 연결하는 유형에 따른 베개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자”는 베개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말하며, 사용자마다 체형 등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 개개인의 체형에 맞는 맞춤형 베개를 개시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베개(pillow)”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침구로서의 일반적인 의미이며, 베개는 베개 프레임 및 스트랩으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베개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가 존재할 수 있으며, 커버는 내피 및 외피로 구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스트랩(strap)”은 베개의 홈에 체결할 수 있는 줄을 말한다. 줄은 탄성 또는 비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100)는 베개 프레임(200) 및 스트랩(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베개 프레임(200)은 바닥면이 부재한 구조를 가지며,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머리를 베개에 기대는 경우, 하중이 실리면서 베개 프레임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베개 프레임 자체의 내구성에 따라 머리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스트랩(300)은 베개 프레임(200)에 존재하는 복수의 홈에 체결할 수 있으며, 베개 프레임(200)의 홈에 체결되면서 베개 프레임의 높이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며, 베개가 사용자의 머리 무게를 지지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스트랩 체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 프레임의 하부에는 복수의 홈(211 내지 218)들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베개 프레임의 전면(211, 212, 213 및 214 측)에 위치한 홈의 개수 및 후면(215, 216, 217 및 218 측)에 위치한 홈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스트랩은 각각의 홈에 체결될 수 있으며, 베개 프레임의 종단에 위치한 홈(211) 및 홈(215)에 스트랩(301)이 체결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베개의 중앙부에 위치한 홈(302) 및 (212) 및 홈(216)에 스트랩(302)이 체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베개 프레임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301)의 양 종단은 원형의 체결부(3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부(311)가 베개 프레임의 홈에 체결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양 종단의 체결부(31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원형의 체결부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베개 프레임은 복수 개의 긴 타원형 홈을 포함하며, 베개 프레임 하부의 홈(215)을 통과하여 긴 타원형 홈과 같은 방향으로 체결부(311)를 타원형 홈에 삽입함으로써, 스트랩(301)을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를 때, 긴 타원형 홈은 스트랩이 체결되는 홈에 가까워질수록 홈의 너비가 좁아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되는 홈과 먼 쪽의 너비(222)가 체결되는 홈과 가까운 쪽의 너비(221)보다 넓을 수 있다.
즉, 원형의 체결부(311)의 두께는 먼 쪽의 너비(222) 및 가까운 쪽의 너비(221)의 중간 두께를 가짐으로써, 스트랩(301)이 체결되었을 때에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스트랩(301)의 장력에 의해서, 원형의 체결부(311)는 점점 홈과 가까운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을 가하여 홈에서 먼 쪽(222)으로 원형의 체결부(311)를 이동시켜야만 스트랩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스트랩(301)이 바닥면을 지나는 홈(215)의 경우에 스트랩(301)의 직경보다 큰 사이즈의 홈으로 구성하게 되며, 스트랩(301)을 체결하더라도 베개 프레임의 바닥면에 요철이 생기지 않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베개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베개에 기대었을 때, 머리가 닿는 중앙부와 양 측면부로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측면으로 베개에 기댈 경우에는 양 측면부 또는 중앙부에 기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는 베개 프레임은 베개 프레임의 중앙부 높이가 양 측면부 높이보다 낮게 구성됨에 따라서, 베개 프레임 중앙부로 사용자의 머리의 위치를 유도할 수 있다.
대한민국 평균 사용자의 머리 무게는 평균 4.5 내지 5kg이며, 머리 너비는 17.2 내지 18.1cm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의 베개 프레임의 중앙부의 너비는 15 내지 20c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개 프레임은 사용자의 양 어깨와 근접한 양 측면부에 홀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가 측면으로 누웠을 경우에, 사용자의 어깨가 베개와 겹치는 형태를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베개 프레임 바닥면에 위치한 다수의 홈들은 베개의 양 종단 및 중앙부의 바닥면에 위치한 홈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베개 프레임의 각 홈에 스트랩을 체결하지 않은 경우와 체결한 경우에 경도의 차이를 실험한 값을 통해 경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스트랩 체결을 하지 않은 경우의 베개의 경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 프레임에 스트랩을 체결하지 않은 경우, 중앙부(정면 취침부) 및 측면부는 서로 다른 하중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중앙부는 하중이 가해졌을 때, 11.80kgf의 값을 가지며, 좌측면은 7.95kgf의 값, 우측면은 7.45kgf의 값을 가진다. 이론적으로는 좌우측면이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서로 동일한 하중 값을 가지나, 실험의 값이기 때문에 일정 오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본 하중 실험에서, 중앙부의 하중 값이 양 측면부보다 높게 나온 이유는 베개 프레임이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중앙부의 높이(4.5cm)가 양 측면부의 높이(7.0cm)보다 낮기 때문이다.
베개 프레임에 하중을 가하는 조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측정 디스크의 너비를 사람의 머리 너비와 유사한 20cm로 하여, 초기 측면부 높이값(7.0cm) 대비 3.5cm를 내려오는 상태에서의 구간별 하중을 측정하였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베개 중앙부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의 베개의 경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 프레임의 중앙부에 2개의 스트랩을 체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의 하중 실험을 진행하였을 때, 도 7과 같은 실험값을 가진다. 중앙부의 압축하중은 14.45kgf를 가지며, 좌측면은 10.65kgf의 값, 우측면은 11.55kgf의 값을 가진다.
베개 프레임 중앙부에 스트랩을 체결하였을 때의 중앙부 하중(14.45kgf)이 스트랩을 체결하지 않은 상태의 중앙부 하중(11.80kgf)에 비해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은, 베개 프레임의 경도가 더 높아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스트랩의 길이 또는 스트랩의 소재에 따라서, 베개 프레임의 경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베개 양 종단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의 베개의 경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도 6 내지 도 7의 중앙부와는 다르게, 베개 프레임의 양 종단에 스트랩 2개를 체결함으로써, 또 다른 하중 값을 가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중앙부의 압축하중은 11.88kgf를 가지며, 좌측면은 11.38kgf의 값, 우측면은 12.10kgf의 값을 가진다.
베개의 양 종단에 스트랩을 체결한 경우에는 중앙부 및 양 측면부 간의 경도의 차이가 가장 적은 경우에 해당되며,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중앙부의 경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베개 홈 전부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의 베개의 경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베개 프레임의 양 종단 및 중앙부의 홈에 스트랩 4개를 체결함으로써, 또 다른 하중 값을 가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중앙부의 하중은 15.40kgf를 가지며, 좌측면은 12.35kgf의 값, 우측면은 12.90kgf의 값을 가진다.
베개 프레임의 복수의 홈에 스트랩을 체결할수록 베개의 경도가 높아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를 때, 베개 프레임의 하부에 홈 또는 스트랩이 체결되는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베개의 경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일정 수 이하의 홈 또는 스트랩의 수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스트랩을 연결하는 유형에 따른 베개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가 더 경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체결되는 스트랩의 수가 동일하더라도 베개 프레임의 어느 부분에 체결되는지에 따라서 경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베개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는 첫번째 요인은 스트랩의 체결 유무/체결수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푹신한 경도의 베개를 선호하는 사용자는 스트랩 자체를 생략하는 형태이거나 적은 수의 스트랩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베개의 경도를 낮출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딱딱한 경도의 베개를 선호하는 사용자는 많은 수의 스트랩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베개의 경도를 높일 수 있다.
베개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는 두번째 요인은, 스트랩의 체결 위치이다. 베개의 중앙부 또는 측면부에 스트랩을 체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호하는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트랩의 종류(실리콘 shore 70A)를 하나로 하여 실험하였으나, 체결되는 스트랩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베개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스트랩의 소재를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스트랩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스트랩의 장력에 따라 베개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장력이 높은 스트랩을 사용할 경우, 베개의 경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장력이 낮은 스트랩을 사용할 경우, 베개의 경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스트랩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베개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동일 소재 전제하에 스트랩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베개의 경도가 낮아지며, 스트랩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베개의 경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홈에 하나의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베개 프레임의 하나의 홈에 2 이상의 스트랩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동일 홈에 체결되는 스트랩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베개의 경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베개 프레임의 하부에 서로 동일 위치의 홈끼리 스트랩을 일자로 연결하는 것을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베개의 홈 간에 서로 크로스(X자) 형태로 체결되거나, 일자 및 크로스의 조합으로 스트랩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앞선 설명에서는 하부에 각 4개의 홈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부에 홈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스트랩을 체결하는 형태에 대한 경우의 수가 많아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트랩의 종류와 조합하여 상당히 많은 경도 값을 만들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스트랩의 체결을 통하여 베개의 경도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스트랩의 체결을 통하여 베개의 경도와 함께 베개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의 베개들의 경우, 복원성이 낮아 베개를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할 경우, 베개의 높이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많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를 때에는 베개의 높이 또한 스트랩의 체결로서 조절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실험을 통해 측정하였을 때, 베개 프레임에 스트랩을 체결하지 않는 경우(중앙부 15cm, 측면부 16.5cm)에 비하여, 스트랩을 체결한 경우(중앙부 17cm, 측면부 18.5cm)의 베개의 높이가 더 높아지며, 스트랩이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서도 베개의 높이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호하는 베개의 높이 및 경도를 스트랩의 체결을 통해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베개의 커버를 씌우지 않은 형태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실제로 베개를 사용하는 때에는 접촉면의 감각을 위하여 베개 커버를 씌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때, 베개 커버의 사이즈에 따라서 베개의 경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개 커버가 베개 프레임의 사이즈와 큰 차이가 없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을 수 있다.
또는 베개 커버의 소재가 탄성이 클수록 베개의 경도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베개 커버를 선택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베개의 경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베개 커버는 내피 및 외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경도뿐만 아니라 얼굴에 닿는 촉감 또한 중요하게 여기며 오염에 대해서도 쉽게 세탁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기 위하여 내피 및 외피로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외피만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개 프레임에 스트랩을 체결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실제 사용할 때에는 베개 커버를 씌우는 경우가 있으므로, 경도 조절을 위하여 매번 베개 커버를 탈부착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때, 베개 프레임의 홈에 대응되는 베개 커버의 위치가 뚫려 있음으로써, 베개 커버를 씌운 상태에서도 스트랩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개 프레임에는 다양한 아이템들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되는 아이템으로는 방향 기능을 수행하는 향낭이 베개 프레임에 고정 또는 메달리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향낭이 베개 프레임에 결착되는 방식과 스트랩에 체결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방향 기능 이외에도 온도 조절 기능으로서, 온열 또는 쿨링 모듈이 베개 프레임 또는 스트랩에 체결될 수 있다. 온열 모듈의 경우,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서 또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발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쿨링 모듈의 경우에도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서 또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쿨링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온열 모듈 또는 쿨링 모듈은 저소음, 저전력, 저진동 팬(fan)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개 프레임 내부 공간에 체결하는 형태로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베개
200: 베개 프레임
300: 스트랩

Claims (8)

  1. 베개에 있어서,
    베개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베개 프레임은 하부에 스트랩을 체결할 수 있는 복수의 홈을 구성하고, 상기 스트랩이 홈에 체결되는 유형에 따라 상기 베개 프레임이 사용자의 머리 무게를 지지하는 경도를 조절하고,
    상기 베개 프레임은 복수의 긴 타원형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긴 타원형 홈은 스트랩이 체결되는 홈에 가까워질수록 홈의 너비가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베개 프레임의 양 종단에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프레임이 사용자의 양 어깨와 근접한 부분에 홀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양 종단에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2이상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인, 베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프레임은,
    사용자의 머리와 접하는 중앙부 및 양 측면부 간에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1020220030820A 2022-03-11 2022-03-11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2599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20A KR102599489B1 (ko) 2022-03-11 2022-03-11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PCT/KR2022/014949 WO2023171867A1 (ko) 2022-03-11 2022-10-05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20230149830A KR20230155409A (ko) 2022-03-11 2023-11-02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20A KR102599489B1 (ko) 2022-03-11 2022-03-11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830A Division KR20230155409A (ko) 2022-03-11 2023-11-02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617A KR20230133617A (ko) 2023-09-19
KR102599489B1 true KR102599489B1 (ko) 2023-11-07

Family

ID=879355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820A KR102599489B1 (ko) 2022-03-11 2022-03-11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20230149830A KR20230155409A (ko) 2022-03-11 2023-11-02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830A KR20230155409A (ko) 2022-03-11 2023-11-02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99489B1 (ko)
WO (1) WO202317186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589B2 (ja) * 1994-03-29 2001-10-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屋根瓦
KR200370094Y1 (ko) * 2004-09-02 2004-12-23 (주)트윈 세이버 경도 조절형 베개
KR200418722Y1 (ko) * 2006-03-28 2006-06-14 최윤상 휴대용 아치 목침
JP2008264010A (ja) * 2007-04-16 2008-11-06 Teruo Harad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432A (ja) * 2000-08-28 2002-03-05 Imamura:Kk
JP3116515U (ja) * 2005-09-08 2005-12-08 清 今井 頸椎当接箇所の形状が可変な枕
JP3219589U (ja) * 2018-10-23 2019-01-10 和光技研工業株式会社 形状・高さ調節可能安眠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589B2 (ja) * 1994-03-29 2001-10-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屋根瓦
KR200370094Y1 (ko) * 2004-09-02 2004-12-23 (주)트윈 세이버 경도 조절형 베개
KR200418722Y1 (ko) * 2006-03-28 2006-06-14 최윤상 휴대용 아치 목침
JP2008264010A (ja) * 2007-04-16 2008-11-06 Teruo Harad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409A (ko) 2023-11-10
KR20230133617A (ko) 2023-09-19
WO2023171867A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2239B1 (en) Multi-zone support
US20090307846A1 (en) Contour shaped support pillow
US10080450B2 (en) Functional pillow
US2700779A (en) Therapeutic pillow
JP7290888B2 (ja) 高低調節まくら
KR200489782Y1 (ko) 3중 구조 베개
JP2006305349A (ja)
US20120186022A1 (en) Pillow
CA2879211A1 (en) Pillow and mattress pad system with variable zones of elasticity
US20060118679A1 (en) Wrist supports
KR100978285B1 (ko) 숙면용 베개
US20100242179A1 (en) Arm-positioning cushion and pillow
KR102599489B1 (ko) 경도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1520403B1 (ko) 경추교정 및 코골이 개선에 효과적인 자가 높이 조절식 기능성 숙면 베개
JP3640210B2 (ja)
US20230292942A1 (en) Stabilization Pillows
KR200404139Y1 (ko) 기능성 베개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TWM569200U (zh) 健康枕
CN220308771U (zh) 一种可改善用户睡眠质量的床垫
JP2005319059A (ja) 三層構造マットレス
TWM577697U (zh) Pillow structure improvement
CN215959133U (zh) 减压弹簧护腰床垫
TWI840261B (zh) 可穩定支撐頸椎及幫助睡眠之功能性凝膠枕
KR102611491B1 (ko) 기능성 방음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