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486B1 -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486B1
KR102598486B1 KR1020180128610A KR20180128610A KR102598486B1 KR 102598486 B1 KR102598486 B1 KR 102598486B1 KR 1020180128610 A KR1020180128610 A KR 1020180128610A KR 20180128610 A KR20180128610 A KR 20180128610A KR 102598486 B1 KR102598486 B1 KR 10259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aper
cosmetic composition
polyol
impregnated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862A (ko
Inventor
박승한
채병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2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폴리올 을 함침시킨 후 수성용매에 용해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보습지속력 및 담지력을 유지하면서, 피부에 도포하는 손놀림에 의해 상기 라이퍼 페이퍼 분쇄물의 구조가 붕괴되어, 발림성과 화장료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라이스 페이퍼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일반인들의 건강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일반인들의 건강에 관한 관심은 타인들과 서로 만나고 대화하고 협상하는 등의 일상생활에서 좀 더 아름다운 느낌과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하여, 자신의 피부를 가꾸고 건강하게 유지하는 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인간의 피부는 건강과 생명유지에 필수적으로서 땀과 피지, 노폐물을 분비하여 체온을 조절하고, 외부의 균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피부 표면의 산도를 유지함으로써 방수 기능과, 수분의 조절, 호흡기능, 비타민 D 합성기능, 영양소 저장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부는 식생활의 변화 또는 주변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피부질환을 일으키기도 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노화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피부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 미용팩용 조성물, 피부노화 예방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최근에는 천연 원료를 이용하여 화장품 분야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식품의 원료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라이스 페이퍼는 쌀가루와 물을 주원료로 하고 있어, 화장품 원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127551호는 쌀을 포함하는 곡물 분말을 이용한 마스크팩 시트용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팩 시트에 관한 것이고, 한국등록특허 제1701803호는 쌀가루를 포함하는 수분 공급 마스크 시트에 관한 것이며, 한국등록특허 제1421669호는 쌀 분말을 포함하는 라이스 페이퍼를 지지체로 하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라이스 페이퍼를 화장품 분야에 적용한 기술이 이미 개발되어 있으나, 상기 라이스 페이퍼? 형태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상기 라이스 페이퍼는 피부에 펴바르더라도 피부에 흡수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 주로 마스크팩의 지지체로서 적용되고 있는 바, 보다 다양한 형태로 화장품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127551호 한국등록특허 제1701803호 한국등록특허 제1421669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라이스 페이퍼를 미세하게 분쇄한 후 화장료의 유효성분과 폴리올을 상기 라이스 페이퍼에 함침시킨 후 물에 분산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라이스 페이퍼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잘 흡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스 페이퍼를 이용한 리브온(leave on)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폴리올이 함침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1g당 상기 폴리올 2g 내지 20g이 함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크기는 10 내지 15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 glycol), 폴리글리세린(Poly glycerin), 솔비톨(Sorbitol)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유효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유효성분은 보습제, 천연추출물, 활성성분, 부형제, 충전제,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가교제, 중합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S1) 라이스 페이퍼를 분쇄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얻은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폴리올을 함침시키는 단계; (S3) 상기 폴리올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및 (S4) 상기 폴리올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S3) 단계에서 안정화는 40 내지 70 ℃에서 10 내지 15 시간 동안 보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완충용액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성 용매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폴리올이 함침되어 있어, 상기 폴리올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향상될 수 있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발림성과 흡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은 팽윤된 상태로서,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를 가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손놀림 만으로도 쉽게 깨져 내부에 함침된 화장료 유효성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에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라이스 페이퍼가 대부분 마스크팩의 지지체로서 사용되었던 한계를 벗어나,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형태의 제품을 제조하여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자체가 깨져서 피부에 흡수될 수 있는 리브온(leave on) 타입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3-1 및 비교 실험예 3-1에서 각각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라이스 페이퍼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리브온(leave on)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및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상기 폴리올이 함침된 형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은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를 가질수 있도록, 라이스 페이퍼를 분쇄한 것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는 폴리올과 용매가 함침되어 팽윤된 상태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팽윤된 상태의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크기는 1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 ㎛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팽윤된 상태의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크기는 상기 분쇄물의 최장축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팽윤이 일어나지 않을 상태로서 폴리올과 용매의 함침량이 적고, 팽윤이 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이물감과 피부에 흡수되지 않고 잔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범위 초과이면 피부에 도포되어 깨어지는 입자들이 동일 면적에 화장료 조성물 대비하여 많게 되어 끈적임을 유발하여 사용감 불만족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은 화장료 유효성분을 담지하는 담지체 역할을 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은 그 자체의 구조가 붕괴되어 피부에 보습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라이스 페이퍼는 라이스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당업계 또는 식품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이스 페이퍼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사용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발림성에 대한 기호도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이 물에 잘 분산되어 용해되도록 하여,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에 이물감이 없이 완전히 펴발리고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40 내지 70℃에서 45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이 물에 잘 용해될 수 없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에 이물감이 생길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이면 물에 대한 용해도과 과도하게 커서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내에 함침되는 폴리올의 함량이 감소되어 팽윤이 잘 되지 않으므로 역시 이물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 glycol), 폴리글리세린(Poly glycerin), 솔비톨(Sorbitol)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1 g 당 2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g,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2g, 또는 8 내지 9g이 함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이 물에 잘 용해될 수 없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에 이물감이 생길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이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함침되는 화장료 유효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유효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유효성분은 수성 또는 유성의 화장료 유효성분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과 함께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함침되어 있을 경우, 서로 섞이지 않고 함침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유효성분은 보습제 및 천연추출물과 필요한 기능성 및 기계적 특성에 따라 젤라틴, 콜라겐, 크탄산검, 구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활성성분, 부형제, 충전제,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가교제, 중합제 또는 pH 조정제를 각각 소정량 첨가하고 교반하여 조제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특정 유효성분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트레할로즈, 세린, 우레아, 미네랄오일(Mineral Oil),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디메치콘(Dimethicone) 및 페트롤라툼(Petrolatu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름개선, 노화방지, 미백, 영양 공급, 자외선 차단, 중금속 제거 등에 유용한 천연추출물로서, 홍삼추출물, 오디추출물, 연꽃 또는 연잎 추출물, 천년초추출물, 녹차잎추출물, 뽕잎추출물, 무창포꽃추출물, 칡꽃추출물, 칡추출물, 홍화꽃추출물, 치자꽃추출물, 아카시아꽃추출물, 감자추출물, 미나리꽃추출물, 오미자추출물, 감추출물, 블루베리추출물, 율피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오이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수세미추출물, 양상추추출물, 검은콩추출물, 페퍼민트추출물, 레몬추출물, 포도씨추출물, 해바리기씨추출물, 겨우살이추출물, 호두나무 및 열매추출물, 로즈마리추출물, 장미추출물 또는 난초추출물과 같은 천연곡물, 과일, 식물의 꽃과 잎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아데노신,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상피세포성장인자, 섬유아세포성장인자, 올레아놀릭산, 유비퀴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레조르시놀, 루틴, 에피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에틸아스코빌에테르,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나이아신아마이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및 아스코빌테르라이소팔미테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미용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젤라틴(gelatin), 콜라겐(collagen), 크탄산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 m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유효성분은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1 g 당 0.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g 만큼 함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내의 폴리올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저하되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의한 이물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흡수율이 우수하며, 상기 흡수율은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이 폴리올을 함침하고 있어 팽윤된 상태이므로, 피부에 롤링하는 것만으로도 그 구조가 붕괴되어 피부에 잘 흡수되는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또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S1) 라이스 페이퍼를 분쇄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얻은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폴리올 및 화장료 유효성분을 함침시키는 단계; (S3) 상기 폴리올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및 (S4) 상기 폴리올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사용된, 라이스 페이퍼, 폴리올 및 화장료 유효성분의 종류, 기능 및 형태적인 특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S1) 단계
(S1) 단계에서는 라이스 페이퍼를 분쇄하여,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스 페이퍼를 분쇄하는 방법 또는 장치는 당업계에서 분쇄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또는 장치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크기는 1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 ㎛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크기는 상기 분쇄물의 최장축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유효성분의 함침량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에 도포하는 손놀림에 의해서도 그 구조가 붕괴되지 않아 피부에 도포하기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함침된 화장료 유효성분이 피부에 흡수되기가 어려울 수 있다.
(S2) 단계
(S2) 단계에서는 상기 (S1) 단계에서 얻은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폴리올 함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S2) 단계에서 폴리올과 함께 화장료 유효성분을 함침시킬 수도 있고, 상기 화장료 유효성분 중에서도 수성의 화장료 유효성분을 함께 함침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상기 폴리올에 침지시켜 상기 폴리올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얻은 다음, 상기 화장료 유효성분에 침지시켜, 상기 폴리올과 화장료 유효성분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1g당 적정량의 폴리올과 화장료 유효성분이 함침될 수 있도록 사용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S3) 단계
(S3) 단계에서는 상기 폴리올 및 화장료 유효성분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안정화란 것은 상기 폴리올 및 화장료 유효성분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구조가 붕괴되어 이물감 없이 피부에 잘 도포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상기 안정화 시의 적정 온도 범위는 4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구조가 잘 되어 이물감 없이 피부에 도포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함침된 폴리올 및 화장료 유효성분이 외부로 누출되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 이물감이 느껴지고 또한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안정화 시의 적정 시간 범위는 5 내지 15시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시간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구조가 잘 되어 이물감 없이 피부에 도포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이 함침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고 풀어지거나, 변성에 의한 변취가 발생하여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이 불가하게 될 수 있다.
(S4) 단계
(S4) 단계에서는 상기 폴리올 및 화장료 유효성분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용매에 용해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4) 단계에서는 유성의 화장료 유효성분을 함께 용해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은 상기 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만큼 용해시킬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 이물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완충용액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성용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물은 탈이온수(D.I Water), 상기 완충용액은 시트레이트 완충용액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라이스 페이퍼(Sapoco foodstuff joint stock company)를 분쇄하여 크기가 (5)㎛인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얻었다.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폴리올 및 화장료 유효성분에 침지시킨 후, 45℃의 항온 챔버에서 12시간 동안 보관하여 안정화시켰다. 이때, 실시예 1,2,3에서는 폴리올로서 각각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및 부틸렌 글리콜을 사용하였다.
상기 안정화된 혼합물을 용매인 물에 용해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폴리올을 사용하지 않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단위: 중량%)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5 5 5 5
폴리올 글리세린 - 10 - -
프로판디올(Fermandiol®) - - 10 -
부틸렌 글리콜 - 10
용매 100 90 90 90
화장료 유효성분 보습제 트레할로즈 2 2 2 2
실험예 1
20대 성인여성 50명에 대해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그 흡수도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흡수도의 정도는 아래 평가기준에 따라 온도별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흡수도 평가기준>
○: 매우 좋음
△: 좋음
X: 나쁨
온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25℃ X X X X
45℃ X
60℃ X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폴리올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온도에 상관 없이 흡수도가 좋지 않으며, 폴리올 중에서도 글리세린을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흡수도가 가장 높은 것을 나타났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과 용매가 함침되어 팽윤된 상태의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크기를 현미경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이때, 상기 크기는 팽윤된 상태의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최장축의 길이를 의미한다.
온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25℃ 10 ~ 20 ㎛ 30 ~ 50 ㎛ 30 ~ 50 ㎛ 30 ~ 50 ㎛
45℃ 10 ~ 20 ㎛ 50 ~ 100 ㎛ 50 ~ 100 ㎛ 50 ~ 100 ㎛
60℃ 10 ~ 40 ㎛ 70 ~ 100 ㎛ 50 ~ 100 ㎛ 50 ~ 100 ㎛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폴리올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온도가 증가하더라도 경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팽윤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험예 1의 결과에서 비교예 1의 흡수도가 좋지 않은 것도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팽윤이 일어나지 않아 발림성이 좋지 않고 이에 따라 흡수도가 낮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폴리올 중에서도 글리세린을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60℃에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팽윤이 잘 일어나 크기가 가장 크며, 이에 따라 실험예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흡수도가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유무 및 상기 폴리올의 종류에 따라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함침되는 폴리올과 용매의 양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화장료 유효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조성물을 체(체눈 크기: 710 ㎛, 선의 굵기: 450 ㎛, 선의 재질: S/Steel, 청계산 공사)에 걸러, 수상파트와 스웰링된 파우더 파트로 분리하였다. 이때, 상기 수상파트는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함침되지 않은 용매와 폴리올을 의미하며, 상기 스웰링된 파우더 파트는 용매 또는 용매와 폴리올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의미한다. 이들 각각을 실험예 3-1 내지 3-3 및 비교 실험예 3-1이라고 한다.
하기 표 2는 상기 실험에 의해 측정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함침된 폴리올과 용매의 함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비교 실험예 3-1 실험예 3-1 실험예 3-2 실험예 3-3
수상파트 D.I Water (100ml) D.I Water(90ml) + Glycerine(10ml) D.I Water(90ml) + Fermandiol®(10ml) D.I Water(90ml) + Butylene glycol(10ml)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5g 5g 5g 5g
여과된 수상파트 69.8g 55.06g 58.74g 57.57g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함침된 수상파트 30.2g 44.94g 41.26g 42.43g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폴리올에 침지시킨 후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함침되는 폴리올과 용매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상기 실험예 3-1 및 비교 실험예 3-1에서 각각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특성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슬라이드 글라스에 상기 실험예 3-1 및 비교 실험예 3-1에서 각각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0.5g을 놓고, 슬라이드 글라스를 위에 다시 덮은 후 45℃에서 10회 회전을 하고 난 이후 광학 현미경(Nikkon 80i uplight Microscope, Nikkon 社)을 이용하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관찰하였다.
도 1은 실험예 3-1 및 비교 실험예 3-1에서 각각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 실험예 3-1의 경우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입자들이 뭉게지면서 응집이 발생하여 뭉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험예 1-1의 경우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입자들이 잘게 부셔져 작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상기 폴리올이 함침된 것이고,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1g당 상기 폴리올 2g 내지 20g이 함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의 크기는 10 내지 150 ㎛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 glycol), 폴리글리세린(Poly glycerin), 솔비톨(Sorbitol) 및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유효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유효성분은 보습제, 천연추출물, 활성성분, 부형제, 충전제,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가교제, 중합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8. (S1) 라이스 페이퍼를 분쇄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얻은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에 폴리올을 함침시키는 단계;
    (S3) 상기 폴리올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및
    (S4) 상기 폴리올이 함침된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을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라이스 페이퍼 분쇄물 1g당 상기 폴리올 2g 내지 20g을 함침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안정화는 40 내지 70 ℃에서 10 내지 15 시간 동안 보관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완충용액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성 용매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28610A 2018-10-26 2018-10-26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10A KR102598486B1 (ko) 2018-10-26 2018-10-26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10A KR102598486B1 (ko) 2018-10-26 2018-10-26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862A KR20200046862A (ko) 2020-05-07
KR102598486B1 true KR102598486B1 (ko) 2023-11-06

Family

ID=7073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610A KR102598486B1 (ko) 2018-10-26 2018-10-26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4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140B1 (ko) * 2009-11-10 2012-11-12 (주)아모레퍼시픽 곡물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421669B1 (ko) 2012-07-10 2014-07-22 (주)엔코스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KR20140114240A (ko) * 2013-03-18 2014-09-26 주식회사 에이치티티엔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20160127551A (ko)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코스온 마스크팩 시트용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KR101701803B1 (ko) 2016-02-25 2017-02-02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수분을 함유하는 식물성 전분 페이퍼 마스크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862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3985B2 (en) Stable ascorbic acid preparation for topical use
KR101768710B1 (ko) 주름개선 기능성을 갖는 속눈썹 연장시술용 패치 제조방법
KR101821207B1 (ko) 올레아놀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4541B1 (ko) 상변화형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557369B1 (ko)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616174B (zh) 一种包裹有美白活性成分的微球及其制法和一种美白护肤品
KR20190001136A (ko) 올리고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리프팅 팩 조성물
KR102227916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598486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5227B1 (ko) 폴리페놀계 유효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KR102080034B1 (ko)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1474A (ko) 식물 입자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 입자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90034753A (ko) 다공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200059007A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에멀젼 비드의 제조방법
KR102212528B1 (ko) 화산송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1116B1 (ko) 보습영양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2985B1 (ko) 아스타잔틴-포함 액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101490710B1 (ko) 당나귀 우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24712B1 (ko) 겔화된 천연 하이드로겔-무농약 인삼농축액 혼합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5141B1 (ko) 피부 개선용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0822B1 (ko) 표면 개질된 천연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7634A (ko) Egcg의 안정화 방법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099258A (ko) 수용성 타라검을 포함하는 미스트 분사형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KR102241402B1 (ko) 젤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KR101956767B1 (ko) 유효 성분이 담지된 캡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