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313B1 - 25g 프론트홀 망 구성용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 - Google Patents

25g 프론트홀 망 구성용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313B1
KR102598313B1 KR1020230054648A KR20230054648A KR102598313B1 KR 102598313 B1 KR102598313 B1 KR 102598313B1 KR 1020230054648 A KR1020230054648 A KR 1020230054648A KR 20230054648 A KR20230054648 A KR 20230054648A KR 102598313 B1 KR102598313 B1 KR 10259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uxponder
parallel
optical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운
최송선
최지수
Original Assignee
(주)썬웨이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웨이브텍 filed Critical (주)썬웨이브텍
Priority to KR102023005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0G 프론트홀 전달망 자원을 활용하여 25G 프론트홀 망을 구성할 수 있는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버스 먹스폰더는 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수신기; 광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복수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및 변환된 복수의 전기 신호를 각각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광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25G 프론트홀 망 구성용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Reverse muxponder and muxponder for 25G fronthaul network configuration}
25G 프론트홀 망 구성을 위한 기술로서 특히, 10G 프론트홀 전달망 자원을 활용하여 25G 프론트홀 망을 구성할 수 있는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은 세대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데이터를 지연없이 더 빠르게 전달하기 위하여 높은 주파수 대역 및 넓은 대역폭의 신호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에 따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 설치된 통신 장비를 모두 교체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새로운 통신망 구축을 위한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종래 통신 장치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 기존의 통신 장치의 일부 부품을 교체하여 새로운 통신 표준에 맞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5972호는 다중 제어가 가능한 분리 DSP 기반의 대용량 OTN 먹스폰더에 대한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10G 프론트홀 전달망 자원을 활용하여 25G 프론트홀 망을 구성할 수 있는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리버스 먹스폰더는 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수신기; 광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복수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및 변환된 복수의 전기 신호를 각각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광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기는 25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Small Form-factor Pluggable, SFP) 모듈이며, 광송신기는 10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조정 가능한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Tunable Small Form-factor Pluggable, T-SFP) 모듈일 수 있다.
신호 처리부는 광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 변환부; 병렬 변환부를 통해 출력된 병렬 신호를 복수의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디멀티플렉서부; 및 변환된 복수의 병렬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직렬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부는 입력 전송 속도와 출력 전송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부의 출력 전송 속도는 소정의 입력 전송 속도로 소정 입력 시간 동안 입력된 상기 병렬 변환부를 통해 출력된 병렬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가 소정의 입력 시간 동안 병렬로 모두 출력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광수신기는 집중국(Central Office Terminal, COT)의 상위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Digital Unit High, DU_H)로부터 25Gbps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원격지(Remote Node, M-RN)로 10Gbps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먹스폰더는 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수신기; 복수의 광수신기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전기 신호를 하나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및 변환된 하나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기는 10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조정 가능한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Tunable Small Form-factor Pluggable, T-SFP)모듈이며, 광송신기는 25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Small Form-factor Pluggable, SFP) 모듈일 수 있다.
신호 처리부는 복수의 광수신기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전기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병렬 변환부; 복수의 병렬 변환부를 통해 출력된 복수의 병렬 신호를 하나의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멀티플렉서부; 및 변환된 하나의 병렬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직렬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부는 입력 전송 속도와 출력 전송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부의 출력 전송 속도는 소정의 입력 전송 속도로 소정 입력 시간 동안 입력된 복수의 병렬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가 소정의 입력 시간 동안 모두 출력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광수신기는 원격지(Remote Node, M-RN)로부터 10Gbps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광송신기는 셀 사이트(cell site)에 포함된 하위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Digital Unit Low, DU_L)로 25Gbps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10G 프론트홀 전달망 자원을 활용하여 25G 프론트홀 망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 장비를 재활용하여 새로운 통신망을 구축함으로써 통신망 구축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버스 먹스폰더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버스 먹스폰더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먹스폰더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먹스폰더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리버스 먹스폰더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버스 먹스폰더의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버스 먹스폰더(100)는 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수신기(110), 광수신기(110)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복수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120) 및 변환된 복수의 전기 신호를 각각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광송신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수신기(110)는 25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Small Form-factor Pluggable, SFP)모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수신기(110)는 25G SFP일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 후 신호 처리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소정의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일 예로, 광수신기(110)는 집중국(Central Office Terminal, COT)의 상위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Digital Unit High, DU_H)로부터 25Gbps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수신기(110)는 집중국에 포함되어 있는 상위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위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도 광수신기(110)와 대응되는 광송신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광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송신기(130)는 10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조정 가능한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Tunable Small Form-factor Pluggable, T-SFP) 모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송신기(130)는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생성된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전환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원격지의 소정 노드일 수 있다.
일 예로, 광송신기(130)는 원격지(Remote Node, M-RN)로 10Gbps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송신기(130)는 원격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원격지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 MUX)를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20)는 하나의 입력 신호를 여러 개의 신호로 분할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DeMUX)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멀티플렉서부(123)는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를 분할하여 여러 개의 데이터를 생성 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부(120)의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직렬 데이터 또는 병렬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예로, 디멀티플렉서부(123)의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병렬 데이터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신호 처리부(120)는 직렬-병렬 데이터 변환 및 병렬-직렬 데이터 변환을 위한 변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20)는 광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 변환부(121), 병렬 변환부(121)를 통해 출력된 병렬 신호를 복수의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디멀티플렉서부(123) 및 변환된 복수의 병렬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직렬 변환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직렬 변환부(125)의 개수는 디멀티플렉서부(123)의 출력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멀티플렉서부(123)는 입력 전송 속도와 출력 전송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멀티플렉서부(123)는 하나의 입력 신호를 받아 복수 개로 분할하며, 모든 출력을 통해 분할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멀티플렉서부(123)의 출력 전송 속도는 소정의 입력 전송 속도로 소정 입력 시간 동안 입력된 상기 병렬 변환부(121)를 통해 출력된 병렬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가 소정의 입력 시간 동안 병렬로 모두 출력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25Gbps이며 디멀티플렉서부(123)에서 하나의 신호를 세 개로 분할하는 경우, 출력 전송 속도는 10Gbps일 수 있다. 이때, 디멀티플렉서부(123)는 하나의 신호를 세 개의 신호로 분할 시 분할된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와 출력되는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 양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먹스폰더의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먹스폰더(300)는 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수신기(310), 복수의 광수신기(310)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전기 신호를 하나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320) 및 변환된 하나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송신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수신기(310)는 10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조정 가능한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Tunable Small Form-factor Pluggable, T-SFP)모듈 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수신기(310)는 10G T-SFP일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 후 신호 처리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원격지의 소정 노드일 수 있다.
일 예로, 광수신기(310)는 원격지(Remote Node, M-RN)로부터 10Gbps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수신기(310)는 원격지 노드에 포함되어 있는 멀티플렉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수신기(310)는 원격지 노드로부터 10Gbps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송신기(330)는 25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Small Form-factor Pluggable, SFP) 모듈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송신기(330)는 신호 처리부(320)로부터 생성된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전환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셀 사이트(cell site)에 포함된 하위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Digital Unit Low, DU_L)일 수 있다.
일 예로, 광송신기(330)는 셀 사이트(cell site)에 포함된 하위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Digital Unit Low, DU_L)로 25Gbps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송신기(330)는 셀 사이트(cell site)에 포함된 하위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하위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도 광수신기(310)와 대응되는 광송신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광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320)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병합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 MUX)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멀티플렉서부(323)는 여러 개의 입력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를 병합하여 하나의 데이터를 생성 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부(320)의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직렬 데이터 또는 병렬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예로, 멀티플렉서부(323)의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병렬 데이터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신호 처리부(320)는 직렬-병렬 데이터 변환 및 병렬-직렬 데이터 변환을 위한 변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320)는 복수의 광수신기(310)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전기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병렬 변환부(321), 복수의 병렬 변환부(321)를 통해 출력된 복수의 병렬 신호를 하나의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멀티플렉서부(323) 및 변환된 하나의 병렬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직렬 변환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플렉서부(323)는 입력 전송 속도와 출력 전송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멀티플렉서부(323)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받아 하나로 병합하며, 하나의 출력 소스로 병합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플렉서부(323)의 출력 전송 속도는 소정의 입력 전송 속도로 소정 입력 시간 동안 입력된 복수의 병렬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가 소정의 입력 시간 동안 모두 출력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10Gbps이며 멀티플렉서부(323)에서 세 개의 신호를 하나로 병합하는 경우, 출력 전송 속도는 25Gbps일 수 있다. 이때, 멀티플렉서부(323)는 세 개의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병합 시 병합된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와 출력되는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 양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리버스 먹스폰더
110: 광수신부
120: 신호 처리부
130: 광송신부
300: 먹스폰더
310: 광수신부
320: 신호 처리부
330: 광송신부

Claims (12)

  1. 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수신기;
    상기 광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복수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변환된 복수의 전기 신호를 각각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광송신기를 포함하는, 리버스 먹스폰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기는 25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Small Form-factor Pluggable, SFP) 모듈이며,
    상기 광송신기는 10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조정 가능한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Tunable Small Form-factor Pluggable, T-SFP) 모듈인, 리버스 먹스폰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광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 변환부;
    상기 병렬 변환부를 통해 출력된 병렬 신호를 복수의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디멀티플렉서부; 및
    상기 변환된 복수의 병렬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직렬 변환부를 포함하는, 리버스 먹스폰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부는
    입력 전송 속도와 출력 전송 속도가 상이한, 리버스 먹스폰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부의 출력 전송 속도는
    소정의 입력 전송 속도로 소정 입력 시간 동안 입력된 상기 병렬 변환부를 통해 출력된 병렬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가 상기 소정의 입력 시간 동안 병렬로 모두 출력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리버스 먹스폰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기는 집중국(Central Office Terminal, COT)의 상위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Digital Unit High, DU_H)로부터 25Gbps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원격지(Remote Node, M-RN)로 10Gbps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리버스 먹스폰더.
  7. 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수신기;
    상기 복수의 광수신기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전기 신호를 하나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변환된 하나의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송신기를 포함하는, 먹스폰더.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기는 10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조정 가능한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Tunable Small Form-factor Pluggable, T-SFP)모듈이며,
    상기 광송신기는 25G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소형 폼 팩터 플러그형(Small Form-factor Pluggable, SFP) 모듈인, 먹스폰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광수신기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전기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병렬 변환부;
    상기 복수의 병렬 변환부를 통해 출력된 복수의 병렬 신호를 하나의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멀티플렉서부; 및
    상기 변환된 하나의 병렬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직렬 변환부를 포함하는, 먹스폰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부는
    입력 전송 속도와 출력 전송 속도가 상이한, 먹스폰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부의 출력 전송 속도는
    소정의 입력 전송 속도로 소정 입력 시간 동안 입력된 복수의 병렬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가 상기 소정의 입력 시간 동안 모두 출력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먹스폰더.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기는 원격지(Remote Node, M-RN)로부터 10Gbps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광송신기는 셀 사이트(cell site)에 포함된 하위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Digital Unit, DU)로 25Gbps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먹스폰더.
KR1020230054648A 2023-04-26 2023-04-26 25g 프론트홀 망 구성용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 KR10259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648A KR102598313B1 (ko) 2023-04-26 2023-04-26 25g 프론트홀 망 구성용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648A KR102598313B1 (ko) 2023-04-26 2023-04-26 25g 프론트홀 망 구성용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313B1 true KR102598313B1 (ko) 2023-11-03

Family

ID=8874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648A KR102598313B1 (ko) 2023-04-26 2023-04-26 25g 프론트홀 망 구성용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3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5314A (ko) * 2010-12-14 2013-08-27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수동 광 네트워크를 위한 멀티플렉스 변환
KR20180105972A (ko) * 2017-03-16 2018-10-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제어가 가능한 분리 dsp 기반의 대용량 otn 먹스폰더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200103077A (ko) * 2017-12-29 2020-09-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 방법, 통신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354267B1 (ko) * 2020-12-16 2022-01-24 (주)켐옵틱스 광 네트워크에서 파장을 튜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5314A (ko) * 2010-12-14 2013-08-27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수동 광 네트워크를 위한 멀티플렉스 변환
KR20180105972A (ko) * 2017-03-16 2018-10-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제어가 가능한 분리 dsp 기반의 대용량 otn 먹스폰더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200103077A (ko) * 2017-12-29 2020-09-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 방법, 통신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354267B1 (ko) * 2020-12-16 2022-01-24 (주)켐옵틱스 광 네트워크에서 파장을 튜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6922B2 (en) Flexible control and status architecture for optical modules
US99546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th protection for rate-adaptive optics
CA2839257C (en) Universal multiple-band digital transmitter module for catv upstream and downstream
WO2019188635A1 (ja) 光トランスポンダ
KR101477169B1 (ko)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를 위한 광 선로 공유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598313B1 (ko) 25g 프론트홀 망 구성용 리버스 먹스폰더 및 먹스폰더
KR102605840B1 (ko) 리버스 먹스폰더를 포함하는 통신망 시스템
JP2016522599A (ja) 可変グリッドラベルに基づくスペクトルリソース割当て方法及び装置
KR101077250B1 (ko) 광 입/출력 버스 시스템
US1052335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oherent optical extension
CN103997372A (zh) 一种光线路终端光模块的状态监控方法及装置
CN111615799B (zh) 用于分布式微波mimo通信的微波频率电信号的光分配的系统和方法
JP5399932B2 (ja) 光受信装置および光送受信装置
EP3726751A1 (en) Submarine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submarin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101626864B1 (ko) 멀티드롭채널을 갖는 분산안테나시스템
KR100687723B1 (ko) 광 트랜시버의 동작 테스트 장치
CN112152743A (zh) 一种超低时延数据广播系统及方法
JP7258223B2 (ja) 光通信装置
US1195609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4486695A (zh) 一种光波分复用机载全光交换网络结构
RU2481709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мультипротокольных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пото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WO2024027346A1 (zh) 一种放大信号的装置、接收光信号的装置和方法
US11671196B2 (en) Optical network management device, optical network system, optical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optical network management program
Aleksic Flexible dynamic and efficient optical transport networks in support of emerging services and applications
JP2001168829A (ja) 管理メッセージ通信方法および管理メッセージ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