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252B1 -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252B1
KR102598252B1 KR1020230133446A KR20230133446A KR102598252B1 KR 102598252 B1 KR102598252 B1 KR 102598252B1 KR 1020230133446 A KR1020230133446 A KR 1020230133446A KR 20230133446 A KR20230133446 A KR 20230133446A KR 102598252 B1 KR102598252 B1 KR 102598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transfer roller
chain
conveyor device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문현
이상채
류현
Original Assignee
원문현
이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문현, 이상채 filed Critical 원문현
Priority to KR1020230133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05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 carriers which are mov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를 개시하며, 양단에서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제품을 이송시키도록 다수개가 나란히 설치되는 이송롤러, 및 상기 각 이송롤러에 단위별로 나열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일부 제품을 일측으로 우회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테이블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Conveyor device equipped with a table whose position can be varied in the width direct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롤러 상에 단위별 테이블이 설치되어 일부 제품을 우회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분류, 검사, 포장 등 일련의 공정을 거치기 위해서 제품을 각각의 공정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이 제품을 이송시키는데 컨베이어가 사용되는데, 컨베이어 장치로 주로 체인 컨베이어장치가 많이 사용되며, 종래 체인 컨베이어장치는 양단에서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제품을 이송시키는 어테치(attach)로 이송롤러가 구비되어 있었다.
상기 체인 컨베이어장치가 가동되면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이 양단의 스프라켓을 회전시키게 되고 양단의 스프라켓에 끼워진 체인은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체인과 결합된 이송롤러가 제품을 이송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송롤러를 통해 제품이 이송되기에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을 함께 이송시킬 수 밖에 없었다.
일예로, 중량에 따라 그 품질 및 가격에 따라 선별기로 분류된 과일(또는 야채 등) 등을 종래의 컨베이어장치로는 분류하여 이송시키기에는 불가능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34879호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개선한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롤러 상에 단위별 테이블이 나열 설치되고, 상기 이송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위별 테이블의 좌, 우 이동이 가능하며, 위치 이동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일부 제품을 우회 이송시킬 수 있는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에서는, 양단에서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제품을 이송시키도록 다수개가 나란히 설치되는 이송롤러, 및 상기 각 이송롤러에 단위별로 나열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일부 제품을 일측으로 우회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테이블이송수단을 포함하며, 두 개의 상기 이송롤러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테이블이송수단은, 상기 각 이송롤러의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한 쌍의 반구형몸체와, 상기 반구형몸체의 상면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상판테이블과, 상기 상판테이블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이동핀과, 상기 체인이 설치되는 양측 프레임의 상부측과 하부측 각각에 마주하여 두 개씩 설치된 구동실린더로서, 상기 구동실린더는 상기 이동핀에 접촉되어 상기 상판테이블을 상기 이송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좌, 우 위치 이동시키는 푸시로드를 구비하고, 하부측의 상기 구동실린더는 순환된 상기 상판테이블을 원위치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구동실린더와, 상기 이동핀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기설정된 정격회전, 감속기 비율, 상기 이송롤러 직경 및 상기 상판테이블 마다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구동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구형몸체의 반구 내경으로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의 자전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에서는, 이송롤러 상에 단위별 테이블이 나열 설치되고, 나열 설치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하나의 컨베이어장치로 여러 제품을 분류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여러 제품을 분류하여 우회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 테이블이송수단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 테이블이송수단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에서 테이블이송수단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컨베이어장치(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서 회전하는 구동모터(110)와, 구동모터(11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스프라켓(120)(130)과, 스프라켓(120)(130)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140)과 상기 체인(140)에 결합되어 제품을 이송시키도록 다수개가 나란히 설치되는 이송롤러(150) 및 상기 각 이송롤러(150)에 단위별로 나열 설치되어 일부 제품을 일측으로 우회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테이블이송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컨베이어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명칭 등으로 대체하고 또 동일 기능에 대한 구성요소를 하나의 명칭으로 통일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2)의 길이 방향 한쪽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스프라켓(120)을 마주하여 한 쌍으로 설치하고, 각 구동스프라켓(120)으로부터 이어지는 구동축에 구동모터(110)가 설치되어 진다.
그리고 구동스프라켓(120)과 구동모터(110)가 설치되는 프레임(102)의 타방향측에는 연동스프라켓(130)이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동스프라켓(130)측으로 구동모터(110)가 설치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일직선상의 구동스프라켓(120)과 연동스프라켓(130)에는 체인(140)으로 연결하여, 체인(140)이 구동스프라켓(120)과 연동스프라켓(130)을 따라 순환될 수 있다.
그리고 체인(140)에는 이송롤러(150)가 설치되어 이송롤러(150)도 체인(140)과 함께 순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롤러(150)는 체인(140)을 따라 적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순환되는 이송롤러(150)에 미도시된 제품 등이 놓여져서 진행 방향을 따라 제품이 이송되어 진다.
이송롤러(150)는 환봉 형태이며, 체인(140)을 따라 설치되되, 체인(140)에 미도시된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될 수도 잇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150)는 체인(140)에 설치되되, 자전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각 이송롤러(150)에 단위별로 테이블이송수단(200)이 나열 설치되며, 테이블이송수단(200)은 이송롤러(150)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일부 제품을 일측으로 우회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테이블이송수단(200)은, 다시 크게 이송롤러(150)를 중심으로 설치되는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20) 그리고 상부몸체(220)에 설치되는 상판테이블(230)과 하부몸체(210)에 돌출 설치되는 이동핀(216) 및 이동핀(216)에 접촉되어 상판테이블(230)을 이송롤러(150)의 길이 방향으로 좌, 우 위치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2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이송수단(200)에서 하부몸체(210), 상부몸체(220), 상판테이블(230), 이동핀(216)은 각 이송롤러(150)에 설치되고, 구동실린더(240)는 프레임(102)에 설치된다.
보다 자세히, 하부몸체(21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반구형으로 이송롤러(150)의 중심 방향에서 하부측으로 설치되고, 내경은 이송롤러(150)의 외경보다는 다소 클 수 있고, 이송롤러(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도록 일정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하부몸체(210)의 반구 내경으로는 베어링(21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212)은 미끄럼 구름 베어링 종류이면 가능하다.
또한, 하부몸체(210)의 상면으로는 하부플랜지(2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몸체(220)의 상부플랜지(224)와 맞대어져서 볼트 등 체결수단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성기 하부몸체(210)의 하면 중심에서 하방을 향하는 이동핀(21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동핀(216)의 길이는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동실린더(240)로부터 힘을 받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면 충분하다.
상부몸체(220)는 이송롤러(150)를 중심으로 상부측에 설치되어 하부몸체(210)와 결합 설치된다.
상부몸체(220) 역시 반구형으로 하부몸체(210)와 동일 재질로 금형 제작되며, 이송롤러(150)의 외경보다는 다소 클 수 있고, 이송롤러(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몸체(210)와 같은 길이로 설치된다.
상부몸체(220)의 반구 내경으로도 베어링(22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222)은 미끄럼 구름 베어링 종류이면 가능하다.
따라서 상부몸체(220)와 하부몸체(210)에 설치되는 베어링(212)(222)에 의하여 이송롤러(150)는 자전 회전이 가능할 수 잇다.
그리고 상부몸체(220)에도 하부플랜지(214)와 같이 상부플랜지(224)가 형성되어, 하부플랜지(214)에 맞대어져서 볼트 등 체결수단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성기 상부몸체(220)의 상면으로 제품이 안착되는 상판테이블(23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판테이블(230)은 이송롤러(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이송롤러(150)의 길이 보다는 1/2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판테이블(230)의 폭은 도 1에서와 같이, 이송롤러(150)와 이송롤러(150)를 나란히 잇는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테이블(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220)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는 상부몸체돌출면(226)이 형성되고, 상부몸체돌출면(226)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226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26a)을 따라 삽입 설치되도록 상판테이블(230)의 하면으로는 가이드홈(226a)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돌기(23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6a)은 삼각형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러(150)에 상부몸체(220)와 하부몸체(210)의 설치 후, 상부몸체돌출면(226)상에 상판테이블(230)을 설치하게 되며, 이송롤러(150)의 길이 또는 이송롤러(150)간의 간격에 맞추어 적합한 길이 또는 폭을 가지는 상판테이블(230)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이송롤러(150)에 설치된 상부몸체(220)와 하부몸체(210) 및 상판테이블(230)을 이송롤러(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실린더(240)가 설치된다.
구동실린더(240)는 프레임(102)에 마주하여 두 개가 설치되며, 전, 후진되는 푸시로드(242)가 이동핀(216)에 접촉되어 상판테이블(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구동실린더(240)는 순환되는 하부측 체인(140)과 이송롤러(150)를 향하여 더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측 구동실린더(240)는 상부측 상판테이블(230)이 순환하여 하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이동핀(216)을 푸시하여 이송롤러(150)를 따라 이동되었던 상판테이블(230)을 원위치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레임(102)의 하부측으로 마주하여 한 쌍으로 구동실린더(24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실린더(240)는 프레임(102)의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되는 이송롤러(150)와 같이 이동핀(216)이 구동실린더(240)의 사이에 위치되면, 기설정된 값에 의하여 푸시하여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수단으로 구동실린더(240) 또는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서보모터의 경우 상판테이블(230)의 위치 이동 포인트를 기설정하여 작동될 수 있다.
기설정된 값에 의하여 푸시로드(242)의 작동 길이는 이송롤러(150)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마주하는 구동실린더(240)를 향하여 진입하는 이동핀(216)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미도시)와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구동실린더(24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광학 센서, 초음파 센서, 감압 센서, 영상 센서 또는 자기 센서 일 수 있지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센서는 프레임(102)에 위치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이동핀(216)이 구동실린더(240)의 사이로 진입한 것을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센서에 의해서 상기 이동핀(216)의 진입이 감지됨으로써, 제어부에서 구동실린더(240)의 푸시로드(242)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판테이블(230)이 진입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전에 기설정된 구동모터(110)의 정격회전, 감속기 비율, 이송롤러(150) 직경 및 상판테이블(230) 마다의 이동 거리가 설정되어 있으며,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판테이블(230)의 이동거리와 이동핀(216)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상판테이블(230)에는 진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홀(미도시)과 연결되는 흡입수단이 설치되어 상판테이블(230)을 따라 이송되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의 작용은 도 4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원 인가로 구동모터(110)가 작동되면, 구동스프라켓(120)이 회전하여 체인(140)이 연동스프라켓(130)으로 순환 회전하게 된다.
체인(140)에 브라켓 등으로 설치된 이송롤러(150)도 체인과 같이 순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각 이송롤러(150)에는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20)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하부플랜지(214)와 상부플랜지(224)에 체결수단으로 이송롤러(150)상에 설치하게 한다.
그리고 상부몸체돌출면(226)의 가이드홈(226a)을 따라 상판테이블(230)의 가이드돌기(232)를 삽입시켜서 상부몸체(220)상에 상판테이블(23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상판테이블(230)은 이송롤러(150)간의 간격이나 폭 등에 적합한 상판테이블(230)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상태에서 이송롤러(150)와 상판테이블(230)이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프레임(102)에 설치된 구동실린더(240)의 사이로 진입하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구동실린더(240)를 작동시켜서 상판테이블(230)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판테이블(230)의 이동은 하부몸체(210)로부터 이어지는 이동핀(216)에 마주하는 구동실린더(240) 중 어느 하나의 푸시로드(242)에 의하여 이동핀(216)에 접촉되어 상판테이블(230)이 이송롤러(150)의 중심에서부터 좌, 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다음 이송롤러(150)에 설치된 이동핀(216)이 진입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핀(216)을 이동시켜서 상판테이블(230)을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제어부에 의하여 앞서 통과한 상판테이블(230)보다는 일정 길이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판테이블(230)은 도 4에서와 같이 이송롤러(150)의 중심에서부터 사선으로 나란히 위치되며, 사선으로 나란히 위치되는 상판테이블(230)에 제품 사이즈 또는 특징에 따라 미리 센서를 통해 분류된 제품을 로딩시켜서 컨베이어장치(100)의 배출측에서 별도로 언로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체인(140)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150)와 상판테이블(230)이 하부측으로 순환되면, 프레임(102)의 하부측에 설치된 구동실린더(240)에 의하여 이송롤러(150)의 중심부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베이어장치에서 테이블이송수단의 다른 실시예로 도 5에서 테이블이송수단을 일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두 개의 이송롤러(150)의 사이에 테이블이송수단(200)이 설치된다.
상기 테이블이송수단(300)은 반구형몸체(310)와 반구형몸체(310)상에 설치되는 상판테이블(320)로 구성될 수 있다.
반구형몸체(31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이송롤러(150)의 중심 방향에서 상부측으로 설치되고, 내경은 이송롤러(150)의 외경보다는 다소 클 수 있고, 이송롤러(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도록 일정 길이를 가진다.
더욱이 반구형몸체(310)는 탄성을 가지며, 이송롤러(150)의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로 이송롤러(150)를 포함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반구형몸체(310)의 반구 내경으로는 베어링(31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312)은 미끄럼 구름 베어링 종류이면 가능하다.
*그리고 반구형몸체(310)의 상면으로 한 쌍의 반구형몸체(310)를 연결하도록 상판테이블(3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판테이블(320)은 이송롤러(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이송롤러(150)의 길이 보다는 1/2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테이블(320)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이어지도록 이동핀(322)이 돌출 형성된다.
즉, 이동핀(322)은 이송롤러(150)와 이송롤러(150)의 사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핀(322)에 접촉되어 반구형몸체(310)와 상판테이블(320)을 이송롤러(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실린더(240:도 2에 도시)가 설치된다.
구동실린더(240)는 프레임(102)에 마주하여 두 개가 설치되며, 전, 후진되는 푸시로드(242)가 이동핀(322)에 접촉되어 상판테이블(3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이송롤러 상에 단위별 상판테이블이 나열 설치되고, 나열 설치된 상판테이블을 이용하여 하나의 컨베이어장치로 여러 제품을 분류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제품을 분류하여 우회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컨베이어장치 102 : 프레임
110 : 구동모터 120 : 구동스프라켓
130 : 연동스프라켓 140 : 체인
150 : 이송롤러
200 : 테이블이송수단 210 : 하부몸체
212, 222 : 베어링 214 ; 하부플랜지
216 : 이동핀 220 : 상부몸체
224 : 상부플랜지 226 : 상부몸체돌출면
226a : 가이드홈 230 : 상판테이블
232 : 가이드돌기 240 : 구동실린더
242 : 푸시로드

Claims (1)

  1. 양단에서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제품을 이송시키도록 다수개가 나란히 설치되는 이송롤러, 및
    상기 각 이송롤러에 단위별로 나열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일부 제품을 일측으로 우회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테이블이송수단을 포함하며,
    두 개의 상기 이송롤러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테이블이송수단은,
    상기 각 이송롤러의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한 쌍의 반구형몸체와,
    상기 반구형몸체의 상면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상판테이블과,
    상기 상판테이블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이동핀과,
    상기 체인이 설치되는 양측 프레임의 상부측과 하부측 각각에 마주하여 두 개씩 설치된 구동실린더로서, 상기 구동실린더는 상기 이동핀에 접촉되어 상기 상판테이블을 상기 이송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좌, 우 위치 이동시키는 푸시로드를 구비하고, 하부측의 상기 구동실린더는 순환된 상기 상판테이블을 원위치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구동실린더와,
    상기 이동핀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기설정된 정격회전, 감속기 비율, 상기 이송롤러 직경 및 상기 상판테이블 마다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구동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구형몸체의 반구 내경으로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의 자전 회전이 가능한,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KR1020230133446A 2023-06-27 2023-10-06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KR102598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3446A KR102598252B1 (ko) 2023-06-27 2023-10-06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401A KR102588540B1 (ko) 2023-06-27 2023-06-27 제품 우회용 테이블이 설치되는 컨베이어장치
KR1020230133446A KR102598252B1 (ko) 2023-06-27 2023-10-06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401A Division KR102588540B1 (ko) 2023-06-27 2023-06-27 제품 우회용 테이블이 설치되는 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252B1 true KR102598252B1 (ko) 2023-11-03

Family

ID=882914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401A KR102588540B1 (ko) 2023-06-27 2023-06-27 제품 우회용 테이블이 설치되는 컨베이어장치
KR1020230133446A KR102598252B1 (ko) 2023-06-27 2023-10-06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401A KR102588540B1 (ko) 2023-06-27 2023-06-27 제품 우회용 테이블이 설치되는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885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1239A1 (en) * 1989-03-17 1990-10-04 W.H. Dunn & Son Limited Product control apparatus
EP0686583A2 (en) * 1994-06-08 1995-12-13 W.H. Dunn & Son Ltd. Product control apparatus
KR101834879B1 (ko) 2010-07-06 2018-03-08 말레 베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열교환기, 특히 자동차용 열교환기의 튜브 제조 방법
WO2019063165A1 (de) * 2017-09-26 2019-04-04 Krones Ag Linienverteiler mit linearmotor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1239A1 (en) * 1989-03-17 1990-10-04 W.H. Dunn & Son Limited Product control apparatus
EP0686583A2 (en) * 1994-06-08 1995-12-13 W.H. Dunn & Son Ltd. Product control apparatus
KR101834879B1 (ko) 2010-07-06 2018-03-08 말레 베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열교환기, 특히 자동차용 열교환기의 튜브 제조 방법
WO2019063165A1 (de) * 2017-09-26 2019-04-04 Krones Ag Linienverteiler mit linearmoto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540B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222B1 (ko)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KR20170036303A (ko) 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KR20180014679A (ko) 방향전환장치를 갖는 컨베이어
WO2019208001A1 (ja) 搬送仕分け装置
JP4828801B2 (ja) コンベヤにおける搬送物の方向転換方法
JP2007510607A (ja) 自動容器リサイクル装置
JP5024631B2 (ja) 仕分け設備
US11365056B2 (en) Conveying device
US5464088A (en) Conveyor diverter system
KR102598252B1 (ko) 폭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CN111112144A (zh) 自动分拣输送的控制方法
KR101968096B1 (ko)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
CN109051484A (zh) 一种物流分拣机
CN109956295B (zh) 一种物品传送分拣机以及传送分拣方法
KR102425946B1 (ko) 물품분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3949728U (zh) 一种静音模组带输送装置
JP4450274B2 (ja) 方向転換装置
KR102081533B1 (ko) 원핸드식 물품자동 분류장치 및 이를 갖는 물류시스템
JPS6144770B2 (ko)
CN111332733A (zh) 一种基于局部转动的直线分拣机及其分拣方法
JP4569202B2 (ja) 仕分け設備
JPH085143Y2 (ja) 高速仕分機
CN210816300U (zh) 一种基于质量传感器的分拣传送装置
KR980000630A (ko) 우편물 자동분류이송 장치
JP4655975B2 (ja) 仕分け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