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215B1 -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215B1
KR102598215B1 KR1020180078944A KR20180078944A KR102598215B1 KR 102598215 B1 KR102598215 B1 KR 102598215B1 KR 1020180078944 A KR1020180078944 A KR 1020180078944A KR 20180078944 A KR20180078944 A KR 20180078944A KR 102598215 B1 KR102598215 B1 KR 10259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bait
composition
fishing
weight
b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336A (ko
Inventor
임은지
안지수
이상엽
Original Assignee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8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2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97Lure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45Preparation of bait;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1.2 ~ 6.3중량%의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및 1.8 ~ 3.5중량%의 카라기난을 포함하고, 상기 HPMC와 카라기난의 합계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4.7 ~ 8.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끼에 요구되는 우수한 유연성 및 적정 범위의 경도(hardness)를 가지며 염수 조건하에서 적정 수준의 유지력을 나타내는 인조미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ARTIFICIAL BAIT COMPOSITION FOR FISHING OPERATION, ARTIFICIAL BAI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을 특정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인조미끼에 요구되는 우수한 유연성 및 적정 범위의 경도(hardness)를 가지며, 염수(바닷물) 조건하에서 적정 수준의 유지력을 나타내는 인조미끼를 제공할 수 있는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업용 미끼의 종류는 지렁이와 같은 환형동물, 조개 등의 연체동물, 새우 등의 갑각류, 절지동물, 어류 등의 생물형 미끼로부터 떡밥, 깻묵 등과 같은 곡물형 미끼에 이르기까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그러나, 상기 곡물형 미끼는 물속에서 쉽게 풀어져 흩어지는 성질이 있고, 물속에 흩어진 채로 잔존하는 미끼는 부패되면서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생물형 미끼는 장기간 보관시 선도저하로 조업효율이 떨어지고, 부패성이 강해 보관이 어려우며, 재사용할 수 없어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미끼가 낚시 바늘로부터 쉽게 이탈하여 여러 번 미끼를 달아야 하는 낭비와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어업어선에서 조업용 미끼로 주로 사용되는 꽁치 등은 전량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어 가격이 비싸고, 공급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용이 간편하고 미끼로서의 효용이 높은 인조미끼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인조미끼는 일회 사용으로 소모되는 천연미끼와는 달리 재사용 및 반복사용이 가능하며, 수질오염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조미끼는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값이 저렴하다.
이러한 인조미끼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54093호)은 황토분; 피시 후레바(fish flavour), 게 후레바(crab flavour), 오징어 후레바(cuttlefish flavour), 새우 후레바(shrimp flavour), 바다가재 후레바(lobster flavour), 멸치 후레바(anchovy flavour) 중 어느 하나 혹은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액상의 인공향료; 구아검,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난 및 정제구아검으로 이루어지는 믹스검(mix gum); 및 상기 황토분과 상기 인공향료 및 상기 믹스검을 결합시키는 밀가루풀로 구성되며, 함수율이 50~80%인 상태로 포장용기에 진공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 믹스검은 분산조절제로 사용되는 성분으로, 유인제(인공향료)를 함유하고 황토분으로 성형된 미끼가 수중에서 일정한 속도로 서서히 분산될 수 있도록 분산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검류를 분산조절제로 사용하는 특허문헌 1에 따른 인조미끼는 유연성이 떨어져서 물고기를 유인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미끼로서의 효용이 낮다. 그리고, 상기 인조미끼는 외부 충격이나 염수(바닷물) 조건하에서 장시간 침지시 쉽게 부서지는 단점이 있어 장시간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미국 등록특허공보 제04731247호)에는 상기 검류 대신에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인조미끼에 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경우, 경도(hardness)가 약해 부서지기 쉬워 취급이 어렵다. 그리고, 상기 인조미끼는 염수 조건하에서 장시간 침지시 유지력이 현저히 떨어지는데, 이와 같이 염수 중 유지력이 떨어지는 미끼는 조업과정에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어 미끼 용도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KR 100654093 B US 04731247 B
본 발명은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을 특정비율로 포함함으로써 미끼에 요구되는 우수한 유연성 및 적정범위의 경도(hardness)를 가지며, 염수 조건하에서 적정 수준의 유지력을 나타내는 인조미끼를 제공할 수 있는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1.2 ~ 6.3중량%의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및 1.8 ~ 3.5중량%의 카라기난을 포함하고, 상기 HPMC와 카라기난의 합계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4.7 ~ 8.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HPMC 함량에 대한 카라기난 함량의 비율은 0.3 ~ 2.9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미끼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 ~ 10.0중량%의 유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업용 인조미끼를 제공한다.
상기 인조미끼의 경도(hardness)는 200 ~ 1,5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인조미끼의 염수(NaCl 3%, 24시간) 침지 후 탄력성 변화율은 상기 침지 전 대비 -20% ~ +2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조미끼의 염수(NaCl 3%, 24시간) 침지 후 무게 변화율은 상기 침지 전 대비 -5% ~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조미끼 표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는 상기 콜라겐 외피가 부착되지 않은 인조미끼에 비하여 찢김강도가 1.3 ~ 3.0배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조업용 인조미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조방법은 (1) HPMC 및 카라기난을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 따라 얻어진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인조미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인조미끼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단계에 따라 얻어지는 인조미끼 조성물에서 상기 HPMC 및 상기 카라기난의 혼합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각각 1.2 ~ 6.3중량% 및 1.8 ~ 3.5중량%이고, 상기 HPMC와 카라기난의 합계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4.7 ~ 8.1중량%이다.
상기 (1)단계에서 유인제가 더 혼합될 수 있고, 상기 유인제의 혼합량은 상기 (2)단계에 따라 얻어지는 인조미끼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 ~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단계는 상기 인조미끼 조성물을 성형틀이나 케이싱에 붓고 굳히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싱 재료가 콜라겐일 수 있고, 상기 (3)단계는 (2)단계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 조성물을 콜라겐 케이싱에 붓고 굳히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조미끼 제조방법은 상기 (3)단계에 따라 얻어진 인조미끼 성형물 표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에 콜라겐 외피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정범위의 경도(200 ~ 1,500g)를 갖는 인조미끼를 제조할 수 있는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경도를 갖는 인조미끼는 쉽게 부서지지 않으며, 유연한 특성을 나타내어 미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미끼 조성물은 염수 조건하에서 적정 수준의 유지력을 갖는 인조미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인조미끼는 장시간 진행되는 조업과정 중에도 적정범위 내의 탄력성 및 무게 변화율을 나타낼 수 있고, 이로 인해 조업 중 인조미끼의 형태안정성이 확보되어 조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인조미끼는 몸체로 사용되는 조직이 질기고 치밀하여 낚시 바늘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으므로,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으며 장시간 조업에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의 경우에는 찢김강도가 더욱 향상되어 조업 중 미끼의 이탈율이 거의 제로에 가까워지므로, 기존의 천연미끼에서 야기되었던 미끼 이탈로 인한 잦은 미끼 교체의 번거로움 문제가 완전히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사진이다.
도 3은 인조미끼의 찢김강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및 카라기난을 포함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1.2 ~ 6.3중량%의 HPMC 및 1.8 ~ 3.5중량%의 카라기난을 포함하고, 상기 HPMC와 카라기난의 합계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4.7 ~ 8.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HPMC는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일종이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셀룰로오스의 히드록시기를 에테르화제를 사용하여 에테르화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종류는 치환기에 따라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에틸 메틸 셀룰로오스(HEMC), 메틸 셀룰로오스(MC),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 다양한데,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천연미끼와 유사한 질감을 갖는 인조미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여 가공적성이 우수하고 카라기난과의 상용성이 양호한 HPMC를 사용한다.
상기 HPMC의 함량은 상기 인조미끼 조성물 총 중량대비 1.2 ~ 6.3중량%이며, 상기 함량이 1.2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제조된 인조미끼의 경도가 약하고 쉽게 부서지는 문제가 있다. 반면, 상기 HPMC의 함량이 6.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인조미끼의 외관이 불투명하고, 표면이 울퉁불퉁하며, 내부에 기포가 많이 발생하여 질감이 떨어지는 등 관능평가 결과가 매우 떨어지거나, 제조된 인조미끼의 경도가 과도하게 커서 유연성이 떨어져 미끼 용도로 부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카라기난은 홍조류의 세포간 물질을 추출하여 얻은 점성 고분자 전해질인 다당류 혼합물이다. 상기 카라기난의 함량은 상기 인조미끼 조성물 총 중량대비 1.8 ~ 3.5중량%이며, 상기 함량이 1.8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인조미끼 조성물을 성형틀에 붓고 굳히는 과정에서 잘 굳지 않아 인조미끼 제조가 불가능하다. 반면, 상기 카라기난의 함량이 3.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에 용해되지 않아 제조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제조된 인조미끼의 외관이 불투명하고, 표면이 울퉁불퉁하며, 내부에 기포가 많이 발생하며, 질감이 떨어지는 등 관능성이 매우 떨어져 미끼 용도로 부적합하다.
또한, 상기 HPMC와 카라기난의 합계량은 상기 인조미끼 조성물 총 중량대비 4.7 ~ 8.1중량%이다. 상기 합계량이 4.7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성형틀에 붓고 굳히는 과정에서 잘 굳지 않아 제조가 불가하거나 성형되더라고 경도가 약하여 부서지기 쉽고, 유연성이 떨어지는 등 관능평가 기준치를 통과하지 못해 제품화가 어렵다. 반면, 상기 합계량이 8.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도가 지나치게 커 유연성이 떨어져 미끼로 사용이 부적합하거나, 상기 인조미끼 조성물이 물에 용해되지 않아 인조미끼 제조가 불가능하다.
상기 HPMC 함량에 대한 카라기난 함량의 비율은 0.3 ~ 2.9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미끼에 요구되는 적정 범위의 경도를 가지며 염수 침지시 적정 수준의 유지력을 나타내는 인조미끼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조미끼의 적정 경도 범위는 200 ~ 1,500g일 수 있다. 인조미끼의 경도가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유연하면서 쉽게 부서지지 않는 인조미끼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인조미끼는 조업과정 중 해류와의 충돌 등으로 인한 파손의 위험이 낮고 이송 및 보관 과정에서의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가능성 또한 낮아 장시간 조업 및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인조미끼의 유지력은 염수 침지 조건 하에서의 탄력성 변화율 및 무게 변화율로 판단되는데, 상기 탄력성 변화율의 적정 범위는 -20 ~ +20%일 수 있고, 상기 무게 변화율의 적정범위는 -5 ~ +5%일 수 있다. 상기 인조미끼의 탄력성 및 무게 변화율이 상기 범위에 포함될 경우, 조업 중 미끼의 형태안정성이 확보되어 조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은 유인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인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 ~ 10.0중량%일 수 있다. 여기서, 유인제는 대상어의 후각을 자극하여 생미끼와 같은 착각을 주기 위하여 인조미끼에 포함되는 성분으로, 인조미끼에 포함되어 있던 유인제가 수중으로 방출되면 냄새가 사방으로 퍼져 대상어를 유인하므로 대상어의 빠른 포획이 가능하며 조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유인제로는 대상어를 유인할 수 있는 냄새를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대하유, 간유, 청어유, 지렁이 엑기스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인제의 함량이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대상어에 대한 유인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반면 1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조미끼의 성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미끼가 제공된다.
상기 인조미끼의 경도(hardness)는 전술한 바와 같이 200 ~ 1,5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도가 200g 미만일 경우에는 인조미끼가 부서지기 쉬워 취급에 어려움이 따를 우려가 있고, 반면 1,500g을 초과할 경우에는 인조미끼의 유연성이 떨어져 미끼 용도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조미끼의 염수(NaCl 3%, 24시간) 침지 후 탄력성 변화율은 상기 침지 전 대비 -20% ~ +2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조업 중 미끼의 형태가 변형되어 염수 중에서 미끼 용도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조미끼의 염수(NaCl 3%, 24시간) 침지 후 무게 변화율은 상기 침지 전 대비 -5% ~ +5%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조업 중 형태가 변형되거나 경도 및 탄력성이 저하되어 염수 중에서 미끼 용도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미끼는 상기 인조미끼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조미끼 표면의 일부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인조미끼의 양면 또는 단면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콜라겐 외피는 조업과정에서 낚시바늘이 관통되어 들어가는 입구 및/또는 출구가 형성될 인조미끼의 표면을 피복하도록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인조미끼의 양면은 상기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될 두 개의 면을 나타내고, 상기 인조미끼의 단면은 상기 입구 또는 출구가 형성될 어느 하나의 면을 나타낸다. 상기 콜라겐은 동물의 뼈, 연골, 물고기 비늘 등에 포함되어 있는 섬유성 단백질의 일종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의 경우 찢김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는 상기 콜라겐 외피가 부착되지 않은 인조미끼에 비하여 찢김강도가 1.3 ~ 3.0배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조업용 인조미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1) HPMC 및 카라기난을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 따라 얻어진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인조미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인조미끼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2)단계에 따라 얻어지는 인조미끼 조성물에서 상기 HPMC 및 상기 카라기난의 혼합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각각 1.2 ~ 6.3중량% 및 1.8 ~ 3.5중량%이며, 상기 HPMC와 카라기난의 합계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4.7 ~ 8.1중량%이고, 각 성분들에 대한 함량기준, 즉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문제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1)단계에서 유인제가 더 혼합될 수 있고, 상기 유인제의 혼합량은 상기 (2)단계에 따라 얻어지는 인조미끼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 ~ 10.0중량%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인제의 함량기준 및 상기 유인제의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3)단계는 상기 인조미끼 조성물을 성형틀이나 케이싱에 붓고 굳히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대상어가 좋아하는 먹이의 구조와 형태를 갖춘 치어와 유사한 몸체성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용도에 따라 성형틀 및 유인제의 종류를 변경하여 맞춤형 인조미끼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조미끼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콜라겐 외피를 부착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콜라겐을 상기 케이싱 재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싱 재료가 콜라겐일 수 있고, 상기 (3)단계는 상기 (2) 단계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 조성물을 콜라겐 케이싱에 붓고 굳히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 외피를 부착하는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서, (2) 단계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 조성물을 성형틀에 붓고 굳히는 (3)단계의 과정을 거친 후, 상기 (3)단계에 따라 얻어진 인조미끼 성형물 표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에 콜라겐 외피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콜라겐 외피는 상기 인조미끼 표면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인조미끼의 양면 또는 단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단, 상기 콜라겐 외피는 조업과정에서 낚시바늘이 관통되어 들어가는 입구 및/또는 출구가 형성될 인조미끼의 표면을 피복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콜라겐은 생물학적 천연 고분자 물질로, 섬유상 구조를 갖는 단백질이며, 긴 사슬들이 서로 평행하게 구성되어 강인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콜라겐은 필름형태로 제조시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는 찢김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조업과정에서 상기 콜라겐 외피 부착 부분을 관통하여 인조미끼에 낚시바늘을 끼운 경우, 찢김강도가 우수한 콜라겐 외피에 의해 낚시바늘이 관통된 후에도 수중에서 장시간 미끼 손상 없이 조업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콜라겐 외피의 경우, 생물미끼와 유사한 질감을 가지므로 대상어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으면서 강도향상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콜라겐은 투과성이 높으므로, 인조미끼 성형물의 일부 또는 전체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되더라도 수중에서 인조미끼로부터 유인제가 잘 방출되어 대상어를 유인할 수 있다. 만약, 인조미끼 성형물의 전체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경우, 조업 중 인조미끼로부터 유인제가 방출되는 양이 부족하여 유인효과가 떨어진다고 판단될 시에는 콜라겐 외피 일부를 컷팅해 주어도 좋다.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 2910, AnyAddy®, 롯데정밀화학㈜) 1.2중량%, 카라기난(MSC사) 3.5중량% 및 청어유 5.0중량%를 혼합한 후, 열수 90.3중량%에 용해시켜 인조미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인조미끼 조성물을 성형틀에 붓고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굳혀 인조미끼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에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1
상기 HPMC, 카라기난, 청어유 및 열수의 함량을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미끼를 제조하였다.
< 평가방법 >
1.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1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외관, 표면, 내부 및 텍스쳐를 관능평가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표 1에서 ○ 및 ×의 기준은 하기와 같다.
① 외관 - 투명함 : ○, 불투명함 : ×
② 표면 - 매끈함 : ○, 울퉁불퉁함 : ×
③ 내부 - 기포없음 : ○, 기포많음 : ×
④ 텍스쳐 - 유연함 : ○, 부서지기 쉬움/지나치게 단단함 : ×
2. 경도(hardness, 단위:g)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1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경도는 Texture analyzer(TA.XT Plus, Stable Micro Syste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3. 유지력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1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염수(NaCl 3%) 조건 하에서의 유지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미끼를 상기 염수에 침지하고 24시간 경과한 후 이들의 탄력성 및 무게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탄력성 및 무게 변화율은 하기의 식 (1) 및 (2)에 따라 계산되었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탄력성 변화율(%) = {(E2 - E1) / E1} * 100 … (1)
무게 변화율(%) = {(W2 - W1) / W1} * 100 … (2)
상기 식 (1)에서 E1은 염수에 투입하기 전의 인조미끼의 탄력성(springiness)이고, E2는 염수 침지 24시간 경과 후의 인조미끼의 탄력성이다. 그리고, 상기 식(2)에서 W1은 염수에 투입하기 전의 인조미끼의 무게이고, W2는 염수 침지 24시간 경과 후의 인조미끼의 무게이다. 이때, 상기 탄력성은 Texture analyzer(TA.XT Plus, Stable Micro Systems)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HPMC
(A)
카라기난
(B)
청어유
(열수)
A+B
B/A
관능평가 경도
(g)
유지력
외관 표면 내부 텍스쳐 종합 탄력성
변화율
무게
변화율
실시예1 1.2 3.5 5.0 90.3 4.7 2.9 1,442 -13% 1%
실시예2 2.0 3.0 5.0 90.0 5.0 1.5 806 -16% -2%
실시예3 2.5 2.5 5.0 90.0 5.0 1.0 526 -15% 0%
실시에4 3.0 2.0 5.0 90.0 5.0 0.7 224 -18% 0%
실시예5 6.3 1.8 5.0 86.9 8.1 0.3 441 -9% 3%
비교예1 0.0 1.8 5.0 93.2 1.8 × × 127 -21% -14%
비교예2 0.0 2.5 5.0 92.5 2.5 × × 346 -23% -9%
비교예3 0.0 3.5 5.0 91.5 3.5 × × × × × 1,341 -20% -5%
비교예4 0.6 1.8 5.0 92.6 2.4 3.0 × × 127 -14% -8%
비교예5 1.0 1.0 5.0 93.0 2.0 1.0 × × 49 -9% -13%
비교예6 1.2 1.8 5.0 92.0 3.0 1.5 × × 127 -14% -8%
비교예7 1.4 0.0 5.0 93.6 1.4 0.0 제조불가
비교예8 2.5 1.5 5.0 91.0 4.0 0.6 × × 91 -12% -5%
비교예9 3.6 8.4 5.0 83.0 12.0 2.3 제조불가
비교예10 6.0 6.0 5.0 83.0 12.0 1.0 제조불가
비교예11 8.4 3.6 5.0 83.0 12.0 0.4 × × × × × 1,865 -6% 9%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11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에 비하여 관능평가 종합 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염수 침지 조건하에서의 무게 변화율이 낮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경우, 조업용 미끼에 요구되는 적정한 경도(200 ~ 1,500g) 및 탄력성 변화율(-20% ~ +20%) 조건을 만족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HPMC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는 유연성(텍스쳐)이 떨어져 관능평가 종합결과가 "×"로 평가되었고, 카라기난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7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 조성물은 성형과정에서 제대로 굳지 않고 부서져 인조미끼 제조가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HPMC와 카라기난의 합계량이 4.7중량% 미만인 비교예 1 내지 8에서는 인조미끼 조성물을 성형틀에 붓고 굳히는 과정에서 잘 굳지 않아 제조가 불가한 경우(비교예 7)가 발생하였고, 성형되더라도 경도가 약하여 취급이 어려운 경우(비교예 1, 비교예 4~6, 비교예 8) 또는 관능평가 종합결과가 "×"로 평가되어 인조미끼로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경우(비교예 1~6, 8)가 발생하였다. 한편, HPMC와 카라기난의 합계량이 8.1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9 내지 11에 따른 인조미끼에서는 제조된 인조미끼의 경도가 지나치게 커 유연성이 떨어지는 경우(비교예 11) 또는 인조미끼용 조성물이 물에 용해되지 않아 인조미끼 제조가 불가능한 경우(비교예 9~10)가 발생하였다.
이 밖에도,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경우에는 염수 침지 조건하에서의 탄력성 변화율이 과도하게 크게 나타났고, 비교예 1, 2, 4~6, 11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경우에는 염수 침지 조건하에서의 무게 변화율이 과도하게 크게 나타났는바, 조업용 미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 조성물을 콜라겐 케이싱(Nippi사)에 충전하고,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굳혀 양면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A)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양면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란, 하기의 찢김강도 측정시 클립이 관통하여 들어가는 관통구 입구가 포함된 면과 상기 바늘이 관통하여 나가는 출구가 포함된 면에 모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2에는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A)를 반으로 절단하여 단면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B)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단면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란, 하기의 찢김강도 측정시 클립이 관통하여 들어가는 입구가 포함된 하나의 면에만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를 나타낸다.
<평가방법>
찢김강도(g)
먼저, 상기 실시예 1, 6 및 7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찢김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인조미끼에 갈치낚시바늘(1.1mm) 모사와 동일 굵기의 클립을 끼웠다. 도 3에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에 상기 클립을 끼워 찢김강도를 측정하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 방식으로 실시예 6 및 7의 인조미끼에도 클립을 끼워 각각의 찢김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찢김강도 측정에는 Texture analyzer(TA.XT Plus, Stable Micro Systems)를 이용하였고, 인조미끼가 찢어지면서 상기 클립이 인조미끼로부터 이탈되는 강도를 측정하여 각 인조미끼의 찢김강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6 실시예 7
찢김강도(g) 150 300 250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실시예 6 및 7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의 경우, 콜라겐 외피가 부착되지 않은 실시예 1의 인조미끼에 비하여 찢김강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조성물 총 중량대비 1.2 ~ 6.3중량%의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및 1.8 ~ 3.5중량%의 카라기난을 포함하고,
    상기 HPMC와 카라기난의 합계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4.7 ~ 8.1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PMC 함량에 대한 카라기난 함량의 비율은 0.3 ~ 2.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 ~ 10.0중량%의 유인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미끼의 경도(hardness)는 200 ~ 1,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미끼의 3% NaCl의 염수에서 24시간 동안 침지 후 탄력성 변화율은 상기 침지 전 대비 -20%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미끼의 3% NaCl의 염수에서 24시간 동안 침지 후 무게 변화율은 상기 침지 전 대비 -5% ~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미끼 표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에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외피가 부착된 인조미끼는 상기 콜라겐 외피가 부착되지 않은 인조미끼에 비하여 찢김강도가 1.3 ~ 3.0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
  10. 제1항에 따른 조업용 인조미끼의 제조방법으로서,
    (1) HPMC 및 카라기난을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 따라 얻어진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인조미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인조미끼 조성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단계에 따라 얻어지는 인조미끼 조성물에서 상기 HPMC 및 상기 카라기난의 혼합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각각 1.2 ~ 6.3중량% 및 1.8 ~ 3.5중량%이고,
    상기 HPMC와 카라기난의 합계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대비 4.7 ~ 8.1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유인제가 더 혼합되고, 상기 유인제의 혼합량은 상기 (2)단계에 따라 얻어지는 인조미끼 조성물 총 중량대비 1.0 ~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인조미끼 조성물을 성형틀이나 케이싱에 붓고 굳히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재료가 콜라겐이고, 상기 (3)단계는 상기 (2)단계에 따라 제조된 인조미끼 조성물을 콜라겐 케이싱에 붓고 굳히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 따라 얻어진 인조미끼 성형물 표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에 콜라겐 외피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업용 인조미끼의 제조방법.
KR1020180078944A 2018-07-06 2018-07-06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KR102598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944A KR102598215B1 (ko) 2018-07-06 2018-07-06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944A KR102598215B1 (ko) 2018-07-06 2018-07-06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336A KR20200005336A (ko) 2020-01-15
KR102598215B1 true KR102598215B1 (ko) 2023-11-06

Family

ID=6915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944A KR102598215B1 (ko) 2018-07-06 2018-07-06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2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428A (ja) 2000-03-22 2001-09-25 Toki Igarashi 環境保全工作擬似餌
JP2004201626A (ja) 2002-12-26 2004-07-22 Sanyo Chem Ind Ltd 魚釣り用ゲル状疑似餌
JP2005143413A (ja) 2003-11-17 2005-06-09 Fuji Mold:Kk 生分解性樹脂を用いた疑似餌
US20060008445A1 (en) 2004-07-09 2006-01-12 Garralda Vicente E Universal fishing bait based on fibrous collagen and the procedure for its preparation
WO2015191136A1 (en) 2014-06-11 2015-12-17 CRUSHtacean, Inc. Synthetic bait for attracting marine organism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1247A (en) 1983-09-26 1988-03-15 The Dow Chemical Company Artificial fish baits with sustained release properties
JPH0440845A (ja) * 1990-06-07 1992-02-12 Kyoto Karitasu:Kk 魚釣り用の餌
KR100654093B1 (ko) 2005-12-27 2006-12-06 윤광열 인공미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428A (ja) 2000-03-22 2001-09-25 Toki Igarashi 環境保全工作擬似餌
JP2004201626A (ja) 2002-12-26 2004-07-22 Sanyo Chem Ind Ltd 魚釣り用ゲル状疑似餌
JP2005143413A (ja) 2003-11-17 2005-06-09 Fuji Mold:Kk 生分解性樹脂を用いた疑似餌
US20060008445A1 (en) 2004-07-09 2006-01-12 Garralda Vicente E Universal fishing bait based on fibrous collagen and the procedure for its preparation
WO2015191136A1 (en) 2014-06-11 2015-12-17 CRUSHtacean, Inc. Synthetic bait for attracting marine org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336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1247A (en) Artificial fish baits with sustained release properties
US5089277A (en) Fish bait and method of making same
CA1258225A (en) Artificial fish baits with sustained release properties
US4764383A (en) Soft homogenous fish bait
EP2114131B1 (en) Method of packaging artificial soft baits
KR102598215B1 (ko) 조업용 인조미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JP4436251B2 (ja) 飼料ブロック
JPS61260841A (ja) 養魚飼料の製造法
US20230087189A1 (en) An aquaculture feed with high water and oil content and a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aquaculture feed
JP2010035434A (ja) 平滑固形状魚餌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21963A (ja) 集魚用調合剤、集魚用仕掛け、集魚用仕掛けの製造方法
KR20110088314A (ko) 생분해성 인조미끼
JP4117024B2 (ja) 水棲動物用長期間飼料
JPH055456B2 (ko)
AU2010238570A8 (en) Fish Attractant
KR102575064B1 (ko) 바다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JP2005130757A (ja) 釣り餌の製造方法
CN212993904U (zh) 一种仿生型拟饵
JP2002330670A (ja) 漁業用人工餌
AU2008219708B9 (en) Packaged artificial soft baits
CN117717046A (zh) 一种具有缓释特性的人工鱼饵及其制备方法
US10136648B1 (en) Fish attraction composition
JPH06113700A (ja) こんにゃく製の擬似餌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1217208A1 (en) Marine fishery trap baits and deterrents
RO138007A2 (ro) Compoziţie pentru imprimarea 3d a momelilor artificiale biodegradabile destinate pescuitului sportiv şi procedeu de obţinere a acestei compoziţ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