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184B1 -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184B1
KR102598184B1 KR1020230074564A KR20230074564A KR102598184B1 KR 102598184 B1 KR102598184 B1 KR 102598184B1 KR 1020230074564 A KR1020230074564 A KR 1020230074564A KR 20230074564 A KR20230074564 A KR 20230074564A KR 102598184 B1 KR102598184 B1 KR 102598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ousing
cooling
guid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아름
Original Assignee
금성열처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열처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성열처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4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905A/ko
Priority to KR1020230148118A priority patent/KR20230157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0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 C23C8/24Nitr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80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화 가스를 통해 금형의 표면을 처리하는 가스처리장치(1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에서 표면처리된 금형을 전달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처리장치(2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또는 냉각처리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팔레트(800)에 배치된 금형을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를 거쳐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를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이캐스트 금형의 사용빈도에 따라 제 1 질화가스처리 또는 제 2 질화가스처리를 실시하여 금형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Gas nitriding treatment apparstus and method for re-nitriding treatment}
본 발명은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간 금형강은 합금 원소로서 철 외에 탄소, 크롬, 규소, 니켈, 몰리브덴, 망간, 바나듐 및 코발트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합금 원소들을 포함함으로써 고온에서도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므로, 높은 가공 온도에서 특별한 기계적 강도 특성이 요구되는 압출 다이, 단조 금형 및 다이캐스팅 금형 제조에 사용된다.
열간 금형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강 대상물, 예를 들어, 다이캐스팅 다이와 같은 금형은 기술적 프로세스에 도입되었을 때, 성형품이 균일한 품질을 갖도록 금형의 전체 표면이 균일한 온도를 가져야 하고, 이후에는 발생된 열을 충분히 방출해야 하므로 높은 열전도율이 요구되며, 이에 더하여 높은 내열마모성 요구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금형의 경우, 다이캐스팅 횟수에 따라 표면에서 히트체크가 성장하고, 상기 히트체크가 크랙으로 성장하여 금형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175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575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727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18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재질화를 통해 금형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질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질화 가스를 통해 금형의 표면을 처리하는 가스처리장치(1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에서 표면처리된 금형을 전달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처리장치(2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또는 냉각처리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팔레트(800)에 배치된 금형을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를 거쳐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를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 1 테이블(110)과, 상기 제 1 테이블(110) 상측에 배치되는 가스챔버(120)와,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를 가열하는 히팅모듈(13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의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 1 배기모듈(14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질화가스공급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테이블(110)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제 1 로어프레임(111)과, 상기 제 1 로어프레임(111)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스챔버(120)를 지지하는 제 1 어퍼프레임(112)과, 상기 제 1 로어프레임(111) 및 제 1 어퍼프레임(112)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수직프레임(113)들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챔버(120)는, 길이방향 일측에 입구(12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측에 출구(122)가 형성되고,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는 처리공간(129)이 형성된 가스챔버하우징(125)과, 상기 가스챔버하우징(12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공간(129)과 연통되는 가스인릿(123)과, 상기 가스챔버하우징(12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공간(129)가 연통되는 가스아웃릿(124)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는, 상기 입구(121)를 개폐하는 입구도어(160)과, 상기 출구(122)를 개폐하는 출구도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화가스공급모듈(150)은, 질화를 위해 가스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가스탱크와, 복수개의 상기 가스탱크들과 연결되고, 상기 가스탱크들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혼합하는 가스제어패널(158)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가스인릿(123)을 연결하는 가습토출관(159)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탱크는 제 1 가스탱크(181), 제 2 가스탱크(182), 제 3 가스탱크(183), 제 4 가스탱크(184), 제 5 가스탱크(185), 제 6 가스탱크(186) 및 제 7 가스탱크(187)를 포함하며, 상기 질화가스공급모듈(150)은,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1 가스탱크(181)를 연결하는 제 1 가스공급관(151)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2 가스탱크(182)를 연결하는 제 2 가스공급관(152)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3 가스탱크(183)를 연결하는 제 3 가스공급관(153)과,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4 가스탱크(184)를 연결하는 제 4 가스공급관(154)과,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5 가스탱크(185)를 연결하는 제 5 가스공급관(155)과,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6 가스탱크(186)를 연결하는 제 6 가스공급관(156)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7 가스탱크(187)를 연결하는 제 7 가스공급관(1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는, 상기 입구(121)를 개폐하는 입구도어(160)과, 상기 출구(122)를 개폐하는 출구도어(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 2 테이블(210)과, 상기 제 2 테이블(210)에 지지되고, 상기 가스챔버(120)의 타측에 배치되는 냉각챔버(220)와,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의 냉각공간(229)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미도시)과,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의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 2 배기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테이블(210)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제 2 로어프레임과, 상기 제 2 로어프레임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냉각챔버(220)를 지지하는 제 2 어퍼프레임과, 상기 제 2 로어프레임 및 제 2 어퍼프레임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 2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 2 로어프레임, 제 2 어퍼프레임 및 제 2 수직프레임들을 감싸는 테이블하우징(215)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챔버(220)는, 길이방향 일측에 냉각입구(22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측에 냉각출구(222)가 형성되며, 내부에 냉각공간(229)이 형성된 냉각챔버하우징(225)과, 상기 냉각챔버하우징(22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공간(229)과 연통되는 냉각가스인릿(223)와, 상기 냉각가스인릿(223)에 가스를 공급하는 냉각가스공급모듈(250)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가스공급모듈(250)은, 냉각를 위해 기체가스 또는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냉각가스탱크와, 복수개의 상기 냉각가스탱크들과 연결되어 냉각가스의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하는 가스제어패널(258)과, 상기 가스제어패널(258) 및 냉각가스인릿(223)을 연결하는 냉각가스토출관(259)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는, 상기 냉각입구(221)를 개폐하는 냉각입구도어(260)과, 상기 냉각출구(222)를 개폐하는 냉각출구도어(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팔레트(800)는, 금형이 거치되는 팔레트바디(850)와, 상기 팔레트바디(85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브래킷(810)과, 상기 후크브래킷(81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후크(820)와, 상기 후크(820) 및 후크브래킷(81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후크축(815)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820)는 상기 후크축(815)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후크바디(822)와, 상기 후크바디(822)에서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후크부(824)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스처리가이드(400)와,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냉각처리가이드(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300)는, 상기 제 1 테이블(110) 또는 제 2 테이블(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로 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고, 상기 가스챔버(120) 및 냉각챔버(220)를 경유하여 순환되는 순환부재(320)와,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을 상기 순환부재(320)에 제공하는 동력전달어셈블리와, 상기 순환부재(320)가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하우징(36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처리가이드(400)는,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와,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및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가스처리롤러(450)들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와,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 및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가스처리롤러(460)들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처리가이드(500)는,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냉각처리갭가이드(530)와, 상기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 및 제 1 냉각처리갭가이드(5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냉각처리롤러(550)들과,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냉각처리가이드(5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냉각처리가이드(5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냉각처리가이드(5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냉각처리갭가이드(540)와, 상기 제 2 냉각처리가이드(520) 및 제 2 냉각처리갭가이드(5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냉각처리롤러(560)들을 포함한다.
상기 질화처리장치는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의 일측(입구 측)에 배치된 입구가이드장치(700)와, 상기 냉각처리장치(200)의 타측(출구 측)에 배치된 출구가이드장치(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출구가이드장치(600)는, 상기 이동하우징(360)을 지지하는 출구가이드바디와, 상기 출구가이드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출구가이드(6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출구가이드(6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출구가이드(6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출구갭가이드(630)와, 상기 제 1 출구가이드(610) 및 제 1 출구갭가이드(6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출구롤러(650)들과, 상기 출구가이드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출구가이드(6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출구가이드(6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출구가이드(6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출구갭가이드(640)와, 상기 제 2 출구가이드(620) 및 제 2 출구갭가이드(6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출구롤러(660)들을 포함한다.
상기 입구가이드장치(700)는, 상기 이동하우징(360)을 지지하는 입구가이드바디와, 상기 입구가이드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입구가이드(7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입구가이드(7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입구가이드(7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입구갭가이드(730)와, 상기 제 1 입구가이드(710) 및 제 1 입구갭가이드(7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입구롤러(750)들과, 상기 입구가이드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입구가이드(7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입구가이드(7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입구가이드(7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입구갭가이드(740)와, 상기 제 2 입구가이드(720) 및 제 2 입구갭가이드(7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입구롤러(760)들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하우징(360)은, 저면을 형성하는 로어하우징(361)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좌측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어퍼하우징(362)와,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우측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격슬롯(368)을 형성시키는 제 2 어퍼하우징(363)와,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의 좌측단 및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좌측단을 연결하는 레프트하우징(364)과,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의 우측단 및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우측단을 연결하는 라이트하우징(365)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 및 제 2 어퍼하우징(363)의 각 후단과 연결되는 리어하우징(366)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 및 제 2 어퍼하우징(363)의 각 전단과 연결되는 프론트하우징(367)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장치(300)의 동력전달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후단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과, 상기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리어축(345)과,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전단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과, 상기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프론트축(355)과,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중간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과, 상기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미들축(335)을 포함한다.
상기 순환부재(320)는, 상기 제 1 미들휠(331), 제 1 리어휠(341) 및 제 1 프론트휠(351)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미들휠(331), 제 1 리어휠(341) 및 제 1 프론트휠(351)을 따라 순환되는 제 1 순환부재(321)과, 상기 제 2 미들휠(332), 제 2 리어휠(342)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미들휠(332), 제 2 리어휠(342)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따라 순환되는 제 2 순환부재(3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순환부재(321) 및 제 2 순환부재(322)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순환부재(321) 및 제 2 순환부재(322)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은 질화 가스를 통해 금형의 표면을 처리하는 가스처리장치(1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에서 표면처리된 금형을 전달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처리장치(2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또는 냉각처리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팔레트(800)에 배치된 금형을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를 거쳐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 1 테이블(110)과, 상기 제 1 테이블(110) 상측에 배치되는 가스챔버(120)와,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를 가열하는 히팅모듈(13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의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 1 배기모듈(14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질화가스공급모듈(15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스처리가이드(4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처리가이드(400)는,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와,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및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가스처리롤러(450)들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와,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 및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가스처리롤러(460)들을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질화 가스를 통해 금형의 표면을 처리하는 가스처리장치(1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에서 표면처리된 금형을 전달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처리장치(2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또는 냉각처리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팔레트(800)에 배치된 금형을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를 거쳐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 1 테이블(110)과, 상기 제 1 테이블(110) 상측에 배치되는 가스챔버(120)와,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를 가열하는 히팅모듈(13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의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 1 배기모듈(14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질화가스공급모듈(15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스처리가이드(400)를 포함하고, 금형의 사용빈도가 제 1 사용빈도보다 크고 제 2 사용빈도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1)와, 상기 S1을 만족하는 경우, 금형의 표면을 황삭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을 담금질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을 템퍼링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을 정삭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의 치수를 확인하는 단계(S50)와,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술한 가스처리장치(100)를 통해 상기 금형을 제 1 질화가스처리 하는 단계(S60)와, 상기 S60 단계 이후에 상술한 냉각처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금형을 냉각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의 재질화방법을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다이캐스트 금형의 사용빈도에 따라 제 1 질화가스처리 또는 제 2 질화가스처리를 실시하여 금형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이동장치를 통해 복수개의 팔레트가 가스처리장치 및 냉각처리장치를 연속공정으로 통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팔레트의 후크가 이동장치의 순환부재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질화처리 도중에 의도치 않게 팔레트가 이동장치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팔레트의 후크가 이격슬롯을 통해 이동하우징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되고, 상기 후크가 제 1 슬롯확장부 및 제 2 슬롯확장부에서만 밖으로 인출가능하기 때문에, 질화처리 도중에 팔레트가 이동장치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각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질화처리장치의 출구 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질화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질화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질화처리장치를 이용한 재질화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각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질화처리장치의 출구 측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질화처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질화처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질화처리장치를 이용한 재질화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화처리장치는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것이다.
다이캐스팅(die casting)은 가열하여 액체화된 비철금속을 금형에 고압으로 강제 주입시켜 제품을 제조하는 주조기술 중에 하나이다.
사출성형과 비슷한 방식으로 2개의 경화된 금형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다이캐스팅은 비철금속, 특히 아연, 구리, 알루미늄, 마그네슘, 납, 퓨터, 주소기반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캐스팅되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열가압실식 또는 냉가압실형 다이캐스트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주조 제품에 비해 치수 정밀도가 높고, 금형을 이용하기 때문에 표면 가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금형을 사용하기 때문에 3차원 형상의 부품을 고정밀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
다이캐스팅은 복잡한 형상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대량 생산 시 생산비용이 낮으며, 치수 정밀도가 높고 표면 거칠기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반면에, 다이캐스팅은 기계적 강도가 낮고, 금형 비용이 높기 때문에 소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으며, 파이프나 중공 형상 등을 제작할 수 없다.
그래서 아연,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 비철금속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자동동차 관련 부품의 제작에 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다이캐스팅은 자동차의 엔진 헤드 커버, 실린더, 크랭크 케이스, 오일팬, 변속기 케이스, 밸브바디, 트랜스퍼 케이스 등의 제작에 주로 이용된다.
다이캐스팅 금형의 경우 제작 시 고비용이기 때문에, 히트체크 등에 의해 클랙이 발생되는 경우, 새로운 금형을 제작해야 하고, 이로 인한 제작비용이 상당하다.
또한, 열간 금형강의 히트체크 및 용손에 대한 저항성은 열간 금형의 수명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들을 극대화 하기 위해 질화를 포함한 표면처리가 수행된다.
질화를 통한 금형 표면의 질소 투입 깊이 및 질소화합물 형성층의 생성 정도는 금형을 구성하는 화학 조성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기 때문에, 질화에 의한 히트체크 및 용손 저항성 또한 화학 조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상술한 것 외의 중요한 열간 금형강의 특성으로는 경화능이 있는데, 경화능이 높을수록 동일한 열처리 조건에서 더 넓은 범위에 걸쳐 더 균질하고 강인한 조직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비교적 크기가 큰 금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열간 금형강이 높은 경화능을 가지는 경우 더 강인한 금형의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다양한 크기를 갖는 금형을 제조할 수 있다.
최근 자동차 산업의 친환경·고연비 추세로 인한 경량 비철 금속의 사용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성형하기 위한 다이캐스팅용 열간 금형강의 수요가 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화처리장치는 질화가스를 통해 사용중이던 다이캐스트 금형을 재처리하고, 이를 통해 다이캐스트 금형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화처리장치는, 가스를 통해 금형의 표면을 처리하는 가스처리장치(100)와,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에서 표면처리된 금형을 전달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처리장치(200)와,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또는 냉각처리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내부의 금형을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 1 테이블(110)과, 상기 제 1 테이블(110) 상측에 배치되는 가스챔버(120)와,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를 가열하는 히팅모듈(13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의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 1 배기모듈(14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질화가스공급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테이블(110)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제 1 로어프레임(111)과, 상기 제 1 로어프레임(111)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스챔버(120)를 지지하는 제 1 어퍼프레임(112)과, 상기 제 1 로어프레임(111) 및 제 1 어퍼프레임(112)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수직프레임(113)들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챔버(120)는, 길이방향 일측에 입구(12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측에 출구(122)가 형성되고,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는 처리공간(129)이 형성된 가스챔버하우징(125)과, 상기 가스챔버하우징(12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공간(129)과 연통되는 가스인릿(123)과, 상기 가스챔버하우징(12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공간(129)가 연통되는 가스아웃릿(124)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챔버하우징(125)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수평하게 누은 형태로 배치되낟.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는, 상기 입구(121)를 개폐하는 입구도어(160)과, 상기 출구(122)를 개폐하는 출구도어(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질화가스공급모듈(150)이 상기 가스인릿(123)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배기모듈(140)이 상기 가스아웃릿(124)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배기모듈(140)은 상기 처리공간(129)의 가스를 강제배기할 수 있도록 터보팬(145)을 포함하고, 상기 터보팬(145) 및 가스아웃릿(124)을 연결하는 배관(141)이 배치된다.
상기 질화가스공급모듈(150)은, 질화를 위해 가스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가스탱크와, 복수개의 상기 가스탱크들과 연결되고, 상기 가스탱크들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혼합하는 가스제어패널(158)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가스인릿(123)을 연결하는 가습토출관(159)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탱크는 7개가 배치되고, 이를 제 1 가스탱크(181), 제 2 가스탱크(182), 제 3 가스탱크(183), 제 4 가스탱크(184), 제 5 가스탱크(185), 제 6 가스탱크(186) 및 제 7 가스탱크(187)라 한다.
상기 질화가스공급모듈(150)은,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1 가스탱크(181)를 연결하는 제 1 가스공급관(151)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2 가스탱크(182)를 연결하는 제 2 가스공급관(152)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3 가스탱크(183)를 연결하는 제 3 가스공급관(153)과,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4 가스탱크(184)를 연결하는 제 4 가스공급관(154)과,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5 가스탱크(185)를 연결하는 제 5 가스공급관(155)과,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6 가스탱크(186)를 연결하는 제 6 가스공급관(156)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7 가스탱크(187)를 연결하는 제 7 가스공급관(15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스공급관(151), 제 2 가스공급관(152), 제 3 가스공급관(153), 제 4 가스공급관(154), 제 5 가스공급관(155), 제 6 가스공급관(156) 및 제 7 가스공급관(157)에 MFC(mass flow controller) 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어 각 가스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히팅모듈(130)은 상기 가스챔버하우징(125)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히팅모듈(130)을 상기 가스챔버하우징(125) 내부 온도가 400℃내지 800℃로 상승될 수 있다.
상기 가스챔버하우징(125) 내부로 금형이 진입되기 전에 담금질 및 템퍼링을 통해 금형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를 통해 질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스탱크(181), 제 2 가스탱크(182), 제 3 가스탱크(183), 제 4 가스탱크(184), 제 5 가스탱크(185), 제 6 가스탱크(186) 또는 제 7 가스탱크(187) 중 적어도 어느 2개는 질소 및 암모니아를 포함한다. 그래서 2개의 질소 가스탱크와 2개의 암모니아 가스탱크가 구비된다.
질화 처리 자체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지만, 가스의 혼합비, 온도 및 시간은 본 출원인의 영업비밀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 2 테이블(210)과, 상기 제 2 테이블(210)에 지지되고, 상기 가스챔버(120)의 타측에 배치되는 냉각챔버(220)와,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의 냉각공간(229)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230)과,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의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 2 배기모듈(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테이블(210)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제 2 로어프레임(미도시)과, 상기 제 2 로어프레임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냉각챔버(220)를 지지하는 제 2 어퍼프레임(미도시)과, 상기 제 2 로어프레임 및 제 2 어퍼프레임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 2 수직프레임(미도시)과, 상기 제 2 로어프레임, 제 2 어퍼프레임 및 제 2 수직프레임들을 감싸는 테이블하우징(215)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챔버(220)는, 길이방향 일측에 냉각입구(22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측에 냉각출구(222)가 형성되며, 내부에 냉각공간(229)이 형성된 냉각챔버하우징(225)과, 상기 냉각챔버하우징(22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공간(229)과 연통되는 냉각가스인릿(223)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모듈(230)은 상기 냉각가스인릿(223)에 가스를 공급하고, 이를 통해 질화된 금형의 온도를 하강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모듈(230)은 상기 냉각가스인릿(223)에 가스를 공급하는 냉각가스공급모듈(2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냉각가스공급모듈(250)은, 냉각를 위해 기체가스 또는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냉각가스탱크와, 복수개의 상기 냉각가스탱크들과 연결되어 냉각가스의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하는 가스제어패널(258)과, 상기 가스제어패널(258) 및 냉각가스인릿(223)을 연결하는 냉각가스토출관(259)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가스탱크는 3개가 배치되고, 이를 제 1 냉각가스탱크(254), 제 2 냉각가스탱크(255), 제 3 냉각가스탱크(256)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가스공급모듈(250)은, 상기 가스제어패널(258) 및 제 1 냉각가스탱크(254)를 연결하는 제 1 냉각가스공급관(251)과, 상기 가스제어패널(258) 및 제 2 냉각가스탱크(255)를 연결하는 제 2 냉각가스공급관(252)과, 상기 가스제어패널(258) 및 제 3 냉각가스탱크(256)를 연결하는 제 3 냉각가스공급관(253)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는, 상기 냉각입구(221)를 개폐하는 냉각입구도어(260)과, 상기 냉각출구(222)를 개폐하는 냉각출구도어(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장치(300)는 금형이 안착된 팔레트(800)를 이동시킨다.
상기 팔레트(800)는 제 1 팔레트(801) 및 제 2 팔레트(80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300)가 상기 제 1 팔레트(801) 및 제 2 팔레트(802)를 동시에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팔레트(801)가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팔레트(802)가 상기 냉각처리장치(200)에 배치된다. 상기 팔레트(800)는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에서 냉각처리장치(200)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질화처리장치는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의 일측(입구 측)에 배치된 입구가이드장치(700)와, 상기 냉각처리장치(200)의 타측(출구 측)에 배치된 출구가이드장치(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구가이드장치(700)가 상기 팔레트(800)를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의 처리공간(129)으로 안내하고, 상기 출구가이드장치(600)가 상기 냉각처리장치(200)의 냉각공간(229)에서 팔레트(800)를 인계받는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출구가이드장치(600)로 이동된 팔레트(800)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장치(700) 및 출구가이드장치(600)를 통해 상기 처리공간(129) 및 냉각공간(229)에 배치된 상기 제 1 팔레트(801) 및 제 2 팔레트(802)를 동시에 이동에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처리공간(129)의 개방시간을 최소화하여 소비전력을 감축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800)는, 금형이 거치되는 팔레트바디(850)와, 상기 팔레트바디(85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브래킷(810)과, 상기 후크브래킷(81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후크(820)와, 상기 후크(820) 및 후크브래킷(81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후크축(815)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브래킷(810)은 상기 팔레트바디(85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전면에 배치된다.
상기 후크브래킷(810)은 2개가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바디(85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후크축(815)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후크(820)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후크(820)는 상기 후크축(815)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후크바디(822)와, 상기 후크바디(822)에서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후크부(824)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824)가 후술하는 상기 이동장치(300)의 순환부재(32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순환부재(320)의 이동 시 상기 팔레트(800)를 상기 순환부재(32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크부(824)는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만곡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824)가 상기 순환부재(320)와 강제로 결속되기 때문에, 상기 팔레트(800)의 전후 이동 시, 상기 팔레트(800)가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82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해 상기 후크(820) 및 순환부재(320)가 분리되기 전까지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팔레트(801) 및 제 2 팔레트(802)의 각 구성을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팔레트(801)는, 금형이 거치되는 제 1 팔레트바디와, 상기 제 1 팔레트바디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후크브래킷과, 상기 제 1 후크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후크와, 상기 제 1 후크 및 제 1 후크브래킷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후크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후크는 상기 제 1 후크축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후크바디와, 상기 제 1 후크바디에서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제 1 후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팔레트(802)는, 금형이 거치되는 제 2 팔레트바디와, 상기 제 2 팔레트바디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 2 후크브래킷과, 상기 제 2 후크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후크와, 상기 제 2 후크 및 제 2 후크브래킷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후크축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제 2 후크축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후크바디와, 상기 제 2 후크바디에서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제 2 후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장치(300)는, 상기 제 1 테이블(110) 또는 제 2 테이블(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로 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고, 상기 가스챔버(120) 및 냉각챔버(220)를 경유하여 순환되는 순환부재(320)와,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을 상기 순환부재(320)에 제공하는 동력전달어셈블리와, 상기 순환부재(320)가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하우징(3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310)가 상기 제 1 테이블(11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터(310)가 상기 제 2 테이블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하우징(360)이 상기 입구가이드장치(700), 가스처리장치(100), 냉각처리장치(200) 및 출구가이드장치(600)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가 상기 입구가이드장치(700), 가스처리장치(100), 냉각처리장치(200) 및 출구가이드장치(600)를 순서대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하우징(360)은, 저면을 형성하는 로어하우징(361)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좌측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어퍼하우징(362)와,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우측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격슬롯(368)을 형성시키는 제 2 어퍼하우징(363)와,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의 좌측단 및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좌측단을 연결하는 레프트하우징(364)과,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의 우측단 및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우측단을 연결하는 라이트하우징(365)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 및 제 2 어퍼하우징(363)의 각 후단과 연결되는 리어하우징(366)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 및 제 2 어퍼하우징(363)의 각 전단과 연결되는 프론트하우징(367)을 포함한다.
상기 이격슬롯(368)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이격슬롯(368)이 상측으로 개구된다. 상기 이동하우징(360)에서 이격슬롯(368)만 개구되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폐쇄된다.
상기 이격슬롯(368)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제 1 슬롯확장부(368a)와, 상기 이격슬롯(368)의 전단에 배치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제 2 슬롯확장부(368b)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824)의 폭이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 및 제 2 슬롯확장부(368b)의 폭보다 좁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후크바디(822)의 폭이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후크부(824)가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를 통해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로 삽입되어 순환부재(32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824)의 폭으로 인해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 및 제 2 슬롯확장부(368b) 사이의 이격슬롯(368)에서는 상기 후크(820)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밖으로 분리될 수 없고, 상기 팔레트(800) 및 순환부재(320)가 강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이동 중 충격에 의해 상기 순환부재(320) 및 팔레트(8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의도치 않게 상기 팔레트(800)가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또는 냉각처리장치(200)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800)가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또는 냉각처리장치(200) 내부에 잔류하는 경우, 질화처리장치 전체를 오프시킨 후, 작업자가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처리공간(129)의 온도를 하강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수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
상기 팔레트(800)가 상기 출구가이드장치(600)로 이동된 경우, 상기 후크부(824)가 상기 순환부재(320)와 상호 걸림을 해제한 후에야, 상기 제 2 슬롯확장부(368b)를 통해 상기 이동하우징(36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이동장치(300)의 동력전달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후단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과, 상기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리어축(345)과,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전단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과, 상기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프론트축(355)과,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중간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과, 상기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미들축(335)을 포함한다.
상기 순환부재(320)는, 상기 제 1 미들휠(331), 제 1 리어휠(341) 및 제 1 프론트휠(351)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미들휠(331), 제 1 리어휠(341) 및 제 1 프론트휠(351)을 따라 순환되는 제 1 순환부재(321)과, 상기 제 2 미들휠(332), 제 2 리어휠(342)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미들휠(332), 제 2 리어휠(342)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따라 순환되는 제 2 순환부재(3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순환부재(321) 및 제 2 순환부재(322)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순환부재(321) 및 제 2 순환부재(322)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순환부재(321) 및 제 2 순환부재(322) 사이에 상기 이격슬롯(368)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순환부재(321) 및 제 2 순환부재(322)는 벨트 또는 체인이 사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부재(320)는 상기 제 1 순환부재(321) 및 제 2 순환부재(322)를 연결하는 순환바(3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순환바(325)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순환바(325)의 좌측단이 상기 제 1 순환부재(321)에 결합되고, 우측단이 상기 제 2 순환부재(322)에 결합된다.
복수개의 순환바(325)가 상기 제 1 순환부재(321) 및 제 2 순환부재(322)의 회전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측으로 회전된 상기 후크(820)가 상기 순환바(325)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후크(820) 및 순환바(325)의 상호 걸림을 통해 상기 팔레트(800)를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310)가 상기 리어축(345), 프론트축(355) 또는 미들축(335)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310)는 상기 미들축(335)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모터(310)가 상기 미들축(335)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상기 모터(310)의 모터축이 상기 미들축(335)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310)가 상기 미들축(335)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기어 및 타이밍벨트 등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출구가이드장치(600)는, 상기 이동하우징(360)을 지지하는 출구가이드바디와, 상기 출구가이드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출구가이드(6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출구가이드(6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출구가이드(6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출구갭가이드(630)와, 상기 제 1 출구가이드(610) 및 제 1 출구갭가이드(6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출구롤러(650)들과, 상기 출구가이드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출구가이드(6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출구가이드(6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출구가이드(6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출구갭가이드(640)와, 상기 제 2 출구가이드(620) 및 제 2 출구갭가이드(6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출구롤러(660)들을 포함한다.
상기 출구가이드장치(600)가 상기 냉각챔버(220)의 냉각출구(222)에 이송되는 상기 팔레트(800)를 인계받아 상기 냉각처리장치(200) 밖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 1 출구가이드(610)가 상기 레프트하우징(364)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출구가이드(620)가 상기 라이트하우징(365)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제 1 출구롤러(650) 및 제 2 출구롤러(660)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출구롤러(650) 및 제 2 출구롤러(660)의 회전축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출구롤러(650)가 상기 제 1 출구가이드(610) 및 제 1 출구갭가이드(63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 시 마찰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출구롤러(650)의 상측단이 상기 제 1 출구가이드(610) 및 제 1 출구갭가이드(630)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2 출구롤러(660)가 상기 제 2 출구가이드(620) 및 제 2 출구갭가이드(64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 시 마찰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출구롤러(660)의 상측단이 상기 제 2 출구가이드(620) 및 제 2 출구갭가이드(640)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1 출구롤러(650)가 상기 팔레트(800)의 좌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출구롤러(660)가 상기 팔레트(800)의 우측을 지지한다.
상기 후크(820)가 상기 이격슬롯(368)을 관통하여 상기 순환부재(32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팔레트(800)의 하측면이 상기 제 1 출구롤러(650) 및 제 2 출구롤러(66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장치(700)는, 상기 이동하우징(360)을 지지하는 입구가이드바디와, 상기 입구가이드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입구가이드(7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입구가이드(7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입구가이드(7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입구갭가이드(730)와, 상기 제 1 입구가이드(710) 및 제 1 입구갭가이드(7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입구롤러(750)들과, 상기 입구가이드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입구가이드(7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입구가이드(7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입구가이드(7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입구갭가이드(740)와, 상기 제 2 입구가이드(720) 및 제 2 입구갭가이드(7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입구롤러(760)들을 포함한다.
상기 입구가이드장치(700)가 팔레트(800)를 상기 가스챔버(120)의 입구(121)로 안내한다.
상기 제 1 입구가이드(710)가 상기 레프트하우징(364)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입구가이드(720)가 상기 라이트하우징(365)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제 1 입구롤러(750) 및 제 2 입구롤러(760)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입구롤러(750) 및 제 2 입구롤러(760)의 회전축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입구롤러(750)가 상기 제 1 입구가이드(710) 및 제 1 입구갭가이드(73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 시 마찰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입구롤러(750)의 상측단이 상기 제 1 입구가이드(710) 및 제 1 입구갭가이드(730)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2 입구롤러(760)가 상기 제 2 입구가이드(720) 및 제 2 입구갭가이드(74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 시 마찰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입구롤러(760)의 상측단이 상기 제 2 입구가이드(720) 및 제 2 입구갭가이드(740)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1 입구롤러(750)가 상기 팔레트(800)의 좌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입구롤러(760)가 상기 팔레트(800)의 우측을 지지한다.
상기 후크(820)가 상기 이격슬롯(368)을 관통하여 상기 순환부재(32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팔레트(800)의 하측면이 상기 제 1 입구롤러(750) 및 제 2 입구롤러(76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질화처리장치는,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스처리가이드(400) 및 냉각처리가이드(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스처리가이드(400)가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처리가이드(500)가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스처리가이드(400)는,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와,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및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가스처리롤러(450)들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와,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 및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가스처리롤러(46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가 상기 레프트하우징(364)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가 상기 라이트하우징(365)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제 1 가스처리롤러(450) 및 제 2 가스처리롤러(460)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가스처리롤러(450) 및 제 2 가스처리롤러(460)의 회전축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스처리롤러(450)가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및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 시 마찰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스처리롤러(450)의 상측단이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및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2 가스처리롤러(460)가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 및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 시 마찰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스처리롤러(460)의 상측단이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 및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1 가스처리롤러(450)가 상기 팔레트(800)의 좌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가스처리롤러(460)가 상기 팔레트(800)의 우측을 지지한다.
상기 후크(820)가 상기 이격슬롯(368)을 관통하여 상기 순환부재(32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팔레트(800)의 하측면이 상기 제 1 가스처리롤러(450) 및 제 2 가스처리롤러(46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처리가이드(500)는,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냉각처리갭가이드(530)와, 상기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 및 제 1 냉각처리갭가이드(5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냉각처리롤러(550)들과,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냉각처리가이드(5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냉각처리가이드(5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냉각처리가이드(5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냉각처리갭가이드(540)와, 상기 제 2 냉각처리가이드(520) 및 제 2 냉각처리갭가이드(5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냉각처리롤러(56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가 상기 레프트하우징(364)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냉각처리가이드(520)가 상기 라이트하우징(365)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제 1 냉각처리롤러(550) 및 제 2 냉각처리롤러(560)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냉각처리롤러(550) 및 제 2 냉각처리롤러(560)의 회전축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냉각처리롤러(550)가 상기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 및 제 1 냉각처리갭가이드(53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 시 마찰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각처리롤러(550)의 상측단이 상기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 및 제 1 냉각처리갭가이드(530)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2 냉각처리롤러(560)가 상기 제 2 냉각처리가이드(520) 및 제 2 냉각처리갭가이드(54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 시 마찰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각처리롤러(560)의 상측단이 상기 제 2 냉각처리가이드(520) 및 제 2 냉각처리갭가이드(540)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1 냉각처리롤러(550)가 상기 팔레트(800)의 좌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냉각처리롤러(560)가 상기 팔레트(800)의 우측을 지지한다.
상기 후크(820)가 상기 이격슬롯(368)을 관통하여 상기 순환부재(32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팔레트(800)의 하측면이 상기 제 1 냉각처리롤러(550) 및 제 2 냉각처리롤러(56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입구가이드(710),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 및 제 1 출구가이드(610)가 일렬로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 입구가이드(720),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 제 2 냉각처리가이드(520) 및 제 2 출구가이드(620)가 일렬로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입구갭가이드(730),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 제 1 냉각처리갭가이드(530) 및 제 1 출구갭가이드(630)가 일렬로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 입구갭가이드(740),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 제 2 냉각처리갭가이드(540) 및 제 2 출구갭가이드(640)가 일렬로 배치된다.
사이드뷰로 볼 때, 상기 제 1 입구가이드(710),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제 1 냉각처리가이드(510) 및 제 1 출구가이드(610)가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사이드뷰로 볼 때, 상기 제 2 입구가이드(720),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 제 2 냉각처리가이드(520) 및 제 2 출구가이드(620)가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사이드뷰로 볼 때, 상기 제 1 입구갭가이드(730),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 제 1 냉각처리갭가이드(530) 및 제 1 출구갭가이드(630)가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사이드뷰로 볼 때, 상기 제 2 입구갭가이드(740),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 제 2 냉각처리갭가이드(540) 및 제 2 출구갭가이드(640)가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사이드뷰로 볼 때, 상기 제 1 입구롤러(750), 제 1 가스처리롤러(450), 제 1 냉각처리롤러(550) 및 제 1 출구롤러(650)가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사이드뷰로 볼 때, 상기 제 2 입구롤러(760), 제 2 가스처리롤러(460), 제 2 냉각처리롤러(560) 및 제 2 출구롤러(660)가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에 따른 질화처리방법은 다이캐스트 금형의 사용빈도가 제 1 사용빈도보다 크고 제 2 사용빈도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1)와, 상기 S1을 만족하는 경우, 금형의 표면을 황삭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을 담금질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을 템퍼링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을 정삭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의 치수를 확인하는 단계(S50)와,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술한 가스처리장치(100)를 통해 상기 금형을 제 1 질화가스처리 하는 단계(S60)와, 상기 S60 단계 이후에 상술한 냉각처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금형을 냉각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에 따른 질화처리방법은 상기 S1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다이캐스트 금형의 사용빈도가 상기 제 2 사용빈도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를 더 포함하고, 상기 S2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금형을 수정 및 사상하는 단계(S11)와, 상기 S11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의 치수를 확인하는 단계(S51)와, 상기 S51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을 가열하여 상기 금형의 응력을 제거 또는 완화시키는 단계(S52)와, 상기 S52 단계 이후에, 상술한 가스처리장치(100)를 통해 상기 금형을 제 2 질화가스처리 하는 단계(S61)와, 상기 S61 단계 이후에 상술한 냉각처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금형을 냉각하는 단계(S71)를 포함한다.
상기 S2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빈도가 상기 제 1 사용빈도 보다 작기 때문에 질화처리가 불필요하다.
상기 사용빈도를 다이캐스트 금형을 통해 다이캐스팅 횟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사용빈도는 5000회 내지 10000회이고, 상기 제 2 사용빈도는 20000이다.
상기 제 1 질화가스처리 및 제 2 질화가스처리를 통해 다이캐스트 금형을 수명을 40% 내지 50%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S11 단계의 사상은 표면을 정밀 다듬질 하는 과정으로서 표면의 거칠기를 연삭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S52 단계는 상기 S30 단계의 템퍼링 로에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S51 단계는 상기 S50 단계와 동일하고, 상기 S71 단계는 S70 단계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가스처리장치 110 : 제 1 테이블
120 : 가스챔버 130 : 히팅모듈
140 : 제 1 배기모듈 150 : 질화가스공급모듈
200 : 냉각처리장치 210 : 제 2 테이블
220 : 냉각챔버 250 : 냉각가스공급모듈
300 : 이동장치 310 : 모터
320 : 순환부재

Claims (10)

  1.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에 있어서,
    질화 가스를 통해 금형의 표면을 처리하는 가스처리장치(1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에서 표면처리된 금형을 전달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처리장치(2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및 냉각처리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팔레트(800)에 배치된 금형을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를 거쳐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를 포함하고,
    상기 팔레트(800)는,
    금형이 거치되는 팔레트바디(850)와, 상기 팔레트바디(85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브래킷(810)과, 상기 후크브래킷(81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후크(820)와, 상기 후크(820) 및 후크브래킷(81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후크축(815)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820)는 상기 후크축(815)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후크바디(822)와, 상기 후크바디(822)에서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후크부(824)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300)는,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로 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및 냉각처리장치(200)를 경유하여 순환되는 순환부재(320)와,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을 상기 순환부재(320)에 제공하는 동력전달어셈블리와, 상기 순환부재(320)가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하우징(36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후단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과, 상기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리어축(345)과,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전단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과, 상기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프론트축(355)과,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중간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과, 상기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미들축(335)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재(320)는,
    상기 제 1 미들휠(331), 제 1 리어휠(341) 및 제 1 프론트휠(351)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미들휠(331), 제 1 리어휠(341) 및 제 1 프론트휠(351)을 따라 순환되는 제 1 순환부재(321);
    상기 제 2 미들휠(332), 제 2 리어휠(342)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미들휠(332), 제 2 리어휠(342)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따라 순환되는 제 2 순환부재(322);
    상기 제 1 순환부재(321) 및 제 2 순환부재(322)를 연결하는 순환바(325);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이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및 냉각처리장치(200)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은,
    저면을 형성하는 로어하우징(361)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좌측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어퍼하우징(362)와,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우측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격슬롯(368)을 형성시키는 제 2 어퍼하우징(363)와,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의 좌측단 및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좌측단을 연결하는 레프트하우징(364)과,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의 우측단 및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우측단을 연결하는 라이트하우징(365)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 및 제 2 어퍼하우징(363)의 각 후단과 연결되는 리어하우징(366)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 및 제 2 어퍼하우징(363)의 각 전단과 연결되는 프론트하우징(367)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슬롯(368)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이 상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이동하우징(360)에서 이격슬롯(368)만 개구되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폐쇄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제 1 슬롯확장부(368a)와, 상기 이격슬롯(368)의 전단에 배치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제 2 슬롯확장부(368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824)의 폭이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 및 제 2 슬롯확장부(368b)의 폭보다 좁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바디(822)의 폭이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800)가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후크(820)가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를 통해 상기 이동하우징(36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순환바(325)와 상호걸림을 형성하며,
    상기 후크부(824)의 폭으로 인해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 및 제 2 슬롯확장부(368b) 사이의 이격슬롯(368)에서는 상기 후크(820)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밖으로 분리될 수 없고, 상기 팔레트(800) 및 순환부재(320)가 강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질화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 1 테이블(110)과, 상기 제 1 테이블(110) 상측에 배치되는 가스챔버(120)와,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를 가열하는 히팅모듈(13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의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 1 배기모듈(14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질화가스공급모듈(150)을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챔버(120)는,
    길이방향 일측에 입구(12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측에 출구(122)가 형성되고,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는 처리공간(129)이 형성된 가스챔버하우징(125)과, 상기 가스챔버하우징(12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공간(129)과 연통되는 가스인릿(123)과, 상기 가스챔버하우징(12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공간(129)가 연통되는 가스아웃릿(124)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는, 상기 입구(121)를 개폐하는 입구도어(160)과, 상기 출구(122)를 개폐하는 출구도어(170)를 더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질화가스공급모듈(150)은, 질화를 위해 가스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가스탱크들과, 복수개의 상기 가스탱크들과 연결되고, 상기 가스탱크들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혼합하는 가스제어패널(158)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가스인릿(123)을 연결하는 가습토출관(159)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탱크는 제 1 가스탱크(181), 제 2 가스탱크(182), 제 3 가스탱크(183), 제 4 가스탱크(184), 제 5 가스탱크(185), 제 6 가스탱크(186) 및 제 7 가스탱크(187)를 포함하며,
    상기 질화가스공급모듈(150)은,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1 가스탱크(181)를 연결하는 제 1 가스공급관(151)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2 가스탱크(182)를 연결하는 제 2 가스공급관(152)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3 가스탱크(183)를 연결하는 제 3 가스공급관(153)과,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4 가스탱크(184)를 연결하는 제 4 가스공급관(154)과,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5 가스탱크(185)를 연결하는 제 5 가스공급관(155)과,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6 가스탱크(186)를 연결하는 제 6 가스공급관(156)과, 상기 가스제어패널(158) 및 제 7 가스탱크(187)를 연결하는 제 7 가스공급관(157)을 더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 2 테이블(210)과, 상기 제 2 테이블(210)에 지지되고, 상기 가스챔버(120)의 타측에 배치되는 냉각챔버(220)와,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의 냉각공간(229)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230)과,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의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 2 배기모듈(240)을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냉각챔버(220)는,
    길이방향 일측에 냉각입구(22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측에 냉각출구(222)가 형성되며, 내부에 냉각공간(229)이 형성된 냉각챔버하우징(225)과, 상기 냉각챔버하우징(225)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공간(229)과 연통되는 냉각가스인릿(223)와, 상기 냉각가스인릿(223)에 가스를 공급하는 냉각가스공급모듈(250)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가스공급모듈(250)은, 냉각를 위해 기체가스 또는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냉각가스탱크들과, 복수개의 상기 냉각가스탱크들과 연결되어 냉각가스의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하는 가스제어패널(258)과, 상기 가스제어패널(258) 및 냉각가스인릿(223)을 연결하는 냉각가스토출관(259)을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의 일측에 배치된 입구가이드장치(700);
    상기 냉각처리장치(200)의 타측에 배치된 출구가이드장치(600);를 더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스처리가이드(400)와, 상기 냉각챔버(2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냉각처리가이드(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처리가이드(400)는,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와,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및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가스처리롤러(450)들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와,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 및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가스처리롤러(460)들을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
  9.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에 있어서,
    질화 가스를 통해 금형의 표면을 처리하는 가스처리장치(1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에서 표면처리된 금형을 전달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처리장치(2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또는 냉각처리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팔레트(800)에 배치된 금형을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를 거쳐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 1 테이블(110)과, 상기 제 1 테이블(110) 상측에 배치되는 가스챔버(120)와,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를 가열하는 히팅모듈(13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의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 1 배기모듈(14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질화가스공급모듈(15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스처리가이드(40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300)는,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로 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및 냉각처리장치(200)를 경유하여 순환되는 순환부재(320)와,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을 상기 순환부재(320)에 제공하는 동력전달어셈블리와, 상기 순환부재(320)가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하우징(360)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처리가이드(400)는,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와,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및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가스처리롤러(450)들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와,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 및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가스처리롤러(460)들을 포함하고,
    상기 팔레트(800)는,
    금형이 거치되는 팔레트바디(850)와, 상기 팔레트바디(85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브래킷(810)과, 상기 후크브래킷(81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후크(820)와, 상기 후크(820) 및 후크브래킷(81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후크축(815)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820)는 상기 후크축(815)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후크바디(822)와, 상기 후크바디(822)에서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후크부(824)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후단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과, 상기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리어축(345)과,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전단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과, 상기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프론트축(355)과,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중간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과, 상기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미들축(335)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재(320)는,
    상기 제 1 미들휠(331), 제 1 리어휠(341) 및 제 1 프론트휠(351)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미들휠(331), 제 1 리어휠(341) 및 제 1 프론트휠(351)을 따라 순환되는 제 1 순환부재(321);
    상기 제 2 미들휠(332), 제 2 리어휠(342)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미들휠(332), 제 2 리어휠(342)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따라 순환되는 제 2 순환부재(322);
    상기 제 1 순환부재(321) 및 제 2 순환부재(322)를 연결하는 순환바(325);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은,
    저면을 형성하는 로어하우징(361)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좌측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어퍼하우징(362)와,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우측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격슬롯(368)을 형성시키는 제 2 어퍼하우징(363)와,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의 좌측단 및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좌측단을 연결하는 레프트하우징(364)과,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의 우측단 및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우측단을 연결하는 라이트하우징(365)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 및 제 2 어퍼하우징(363)의 각 후단과 연결되는 리어하우징(366)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 및 제 2 어퍼하우징(363)의 각 전단과 연결되는 프론트하우징(367)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슬롯(368)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이 상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이동하우징(360)에서 이격슬롯(368)만 개구되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폐쇄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제 1 슬롯확장부(368a)와, 상기 이격슬롯(368)의 전단에 배치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제 2 슬롯확장부(368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824)의 폭이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 및 제 2 슬롯확장부(368b)의 폭보다 좁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바디(822)의 폭이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800)가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후크(820)가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를 통해 상기 이동하우징(36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순환바(325)와 상호걸림을 형성하며,
    상기 후크부(824)의 폭으로 인해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 및 제 2 슬롯확장부(368b) 사이의 이격슬롯(368)에서는 상기 후크(820)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밖으로 분리될 수 없고, 상기 팔레트(800) 및 순환부재(320)가 강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질화처리장치.
  10. 질화 가스를 통해 금형의 표면을 처리하는 가스처리장치(1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에서 표면처리된 금형을 전달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처리장치(2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또는 냉각처리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팔레트(800)에 배치된 금형을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를 거쳐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0);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의 일측에 배치된 입구가이드장치(700); 및
    상기 냉각처리장치(200)의 타측에 배치된 출구가이드장치(6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제 1 테이블(110)과, 상기 제 1 테이블(110) 상측에 배치되는 가스챔버(120)와,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를 가열하는 히팅모듈(13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의 가스를 배기시키는 제 1 배기모듈(14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질화가스공급모듈(150)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스처리가이드(40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300)는, 상기 가스처리장치(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로 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고, 상기 가스처리장치(100) 및 냉각처리장치(200)를 경유하여 순환되는 순환부재(320)와,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을 상기 순환부재(320)에 제공하는 동력전달어셈블리와, 상기 순환부재(320)가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하우징(360)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처리가이드(400)는,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좌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와, 상기 제 1 가스처리가이드(410) 및 제 1 가스처리갭가이드(4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1 가스처리롤러(450)들과, 상기 가스챔버(12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및 제 2 가스처리가이드(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와, 상기 제 2 가스처리가이드(420) 및 제 2 가스처리갭가이드(4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8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 2 가스처리롤러(460)들을 포함하고,
    상기 팔레트(800)는,
    금형이 거치되는 팔레트바디(850)와, 상기 팔레트바디(85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브래킷(810)과, 상기 후크브래킷(81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후크(820)와, 상기 후크(820) 및 후크브래킷(81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후크축(815)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820)는 상기 후크축(815)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후크바디(822)와, 상기 후크바디(822)에서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후크부(824)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후단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과, 상기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리어휠(341) 및 제 2 리어휠(34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리어축(345)과,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전단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과, 상기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프론트휠(351) 및 제 2 프론트휠(35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프론트축(355)과,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내부 중간에 배치되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과, 상기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미들휠(331) 및 제 2 미들휠(33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미들축(335)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재(320)는,
    상기 제 1 미들휠(331), 제 1 리어휠(341) 및 제 1 프론트휠(351)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미들휠(331), 제 1 리어휠(341) 및 제 1 프론트휠(351)을 따라 순환되는 제 1 순환부재(321);
    상기 제 2 미들휠(332), 제 2 리어휠(342)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미들휠(332), 제 2 리어휠(342) 및 제 2 프론트휠(352)을 따라 순환되는 제 2 순환부재(322);
    상기 제 1 순환부재(321) 및 제 2 순환부재(322)를 연결하는 순환바(325);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은,
    저면을 형성하는 로어하우징(361)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좌측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어퍼하우징(362)와,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우측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격슬롯(368)을 형성시키는 제 2 어퍼하우징(363)와,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의 좌측단 및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좌측단을 연결하는 레프트하우징(364)과,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의 우측단 및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우측단을 연결하는 라이트하우징(365)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 및 제 2 어퍼하우징(363)의 각 후단과 연결되는 리어하우징(366)과,
    상기 로어하우징(361)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어퍼하우징(362) 및 제 2 어퍼하우징(363)의 각 전단과 연결되는 프론트하우징(367)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슬롯(368)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이 상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이동하우징(360)에서 이격슬롯(368)만 개구되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폐쇄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제 1 슬롯확장부(368a)와, 상기 이격슬롯(368)의 전단에 배치되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제 2 슬롯확장부(368b)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824)의 폭이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 및 제 2 슬롯확장부(368b)의 폭보다 좁고,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바디(822)의 폭이 상기 이격슬롯(368)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800)가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하우징(36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후크(820)가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를 통해 상기 이동하우징(36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순환바(325)와 상호걸림을 형성하며,
    상기 후크부(824)의 폭으로 인해 상기 제 1 슬롯확장부(368a) 및 제 2 슬롯확장부(368b) 사이의 이격슬롯(368)에서는 상기 후크(820)가 상기 이동하우징(360) 밖으로 분리될 수 없고, 상기 팔레트(800) 및 순환부재(320)가 강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금형의 사용빈도가 제 1 사용빈도보다 크고 제 2 사용빈도 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1)와, 상기 S1을 만족하는 경우, 금형의 표면을 황삭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을 담금질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을 템퍼링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을 정삭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의 치수를 확인하는 단계(S50)와,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기 가스처리장치(100)를 통해 상기 금형을 제 1 질화가스처리 하는 단계(S60)와, 상기 S60 단계 이후에 상기 냉각처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금형을 냉각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질화처리장치의 질화처리방법.
KR1020230074564A 2023-05-31 2023-06-12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KR102598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8117A KR20230157905A (ko) 2023-05-31 2023-10-31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KR1020230148118A KR20230157906A (ko) 2023-05-31 2023-10-31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757 2023-05-31
KR20230069757 2023-05-31
KR20230072168 2023-06-05
KR1020230072168 2023-06-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8118A Division KR20230157906A (ko) 2023-05-31 2023-10-31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KR1020230148117A Division KR20230157905A (ko) 2023-05-31 2023-10-31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184B1 true KR102598184B1 (ko) 2023-11-06

Family

ID=8874822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564A KR102598184B1 (ko) 2023-05-31 2023-06-12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KR1020230148117A KR20230157905A (ko) 2023-05-31 2023-10-31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KR1020230148118A KR20230157906A (ko) 2023-05-31 2023-10-31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8117A KR20230157905A (ko) 2023-05-31 2023-10-31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KR1020230148118A KR20230157906A (ko) 2023-05-31 2023-10-31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981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7971A (ja) * 2003-04-09 2004-11-04 Ykk Ap株式会社 窒化処理装置、窒化処理方法及び酸窒化制御装置
JP2008189955A (ja) * 2007-02-01 2008-08-21 Dowa Thermotech Kk プラズマ窒化処理システム
JP2009072798A (ja) 2007-09-19 2009-04-09 Rtm 株式会社 金型
KR101190193B1 (ko) * 2012-08-17 2012-10-15 주식회사 영풍열처리 개별 가열실과 냉각실이 구성된 열처리 시스템
KR101781816B1 (ko) 2017-01-12 2017-09-26 박명석 다이캐스팅 금형과 그 관련 부품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복합표면처리 방법
KR101957546B1 (ko) 2012-05-24 2019-03-12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쇼트 처리 방법
KR102017553B1 (ko) 2018-03-28 2019-09-0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경화능과 질화특성이 뛰어난 장수명 다이캐스팅용 열간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7971A (ja) * 2003-04-09 2004-11-04 Ykk Ap株式会社 窒化処理装置、窒化処理方法及び酸窒化制御装置
JP2008189955A (ja) * 2007-02-01 2008-08-21 Dowa Thermotech Kk プラズマ窒化処理システム
JP2009072798A (ja) 2007-09-19 2009-04-09 Rtm 株式会社 金型
KR101957546B1 (ko) 2012-05-24 2019-03-12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쇼트 처리 방법
KR101190193B1 (ko) * 2012-08-17 2012-10-15 주식회사 영풍열처리 개별 가열실과 냉각실이 구성된 열처리 시스템
KR101781816B1 (ko) 2017-01-12 2017-09-26 박명석 다이캐스팅 금형과 그 관련 부품의 수명 향상을 위한 복합표면처리 방법
KR102017553B1 (ko) 2018-03-28 2019-09-0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경화능과 질화특성이 뛰어난 장수명 다이캐스팅용 열간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906A (ko) 2023-11-17
KR20230157905A (ko) 202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9765B2 (en) Rotary forging and quenc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122957B1 (ko) 현가장치의 토션빔 제조공정 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션빔 성형 혼용 공법
KR100303166B1 (ko) 중공원통형 공작물의 열처리방법
JP4968208B2 (ja) 金属板の熱間プレス成形方法
CN102776337A (zh) 30MnCrNiMo装甲钢板零件的压力淬火及加工方法
KR102598184B1 (ko) 다이캐스트 금형을 위한 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질화방법
KR100684590B1 (ko) 롤러의 열처리 가공 장치 및 방법
JP4169635B2 (ja) 熱処理部材の部分熱処理方法
JP5638737B2 (ja) 鋼製部品用ガス焼入れセル
KR100977671B1 (ko) 자동차용 부품의 연속 열처리 장치
KR101539314B1 (ko) 내연기관용 캠샤프트의 제조 방법
JP2009155685A (ja) 焼入れ方法
KR100905307B1 (ko) 등온 제어냉각장치를 이용한 강종의 등온어널링 열처리방법
CN112779382B (zh) 一种热作模具钢热处理方法
KR20100107874A (ko) 금형의 표면처리방법
KR101613040B1 (ko) 밀폐형 무산화 등온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 공정
JP4392184B2 (ja) 窒化処理装置、窒化処理方法及び酸窒化制御装置
CN218561546U (zh) 一种曲轴热处理系统
Kobasko et al. Improved production of automotive parts by intensive quench processing
KR200242418Y1 (ko) 자동식 광휘열처리로
JP5119715B2 (ja) 熱間鍛造品の製造方法
CN220034585U (zh) 可变组合式真空热处理工装
KR102112796B1 (ko) 금형소재 표면의 열처리 산질화 방법
JP3963345B2 (ja) 熱処理方法及び熱処理装置ならびに熱処理に用いられるパレット
KR20090103620A (ko) 트랙 부시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