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665B1 -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665B1
KR102597665B1 KR1020220025217A KR20220025217A KR102597665B1 KR 102597665 B1 KR102597665 B1 KR 102597665B1 KR 1020220025217 A KR1020220025217 A KR 1020220025217A KR 20220025217 A KR20220025217 A KR 20220025217A KR 102597665 B1 KR102597665 B1 KR 102597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alignment
force
longitudinal direct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7662A (ko
Inventor
강경원
Original Assignee
강경원
에스디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원, 에스디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경원
Priority to KR102022002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65B1/ko
Publication of KR20230127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공압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제1 실린더 및 공압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는 제2 실린더를 각각 구비한 제1 공압 실린더부 및 제2 공압 실린더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높이 방향 상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카메라 모듈을 안착 시키기 위한 안착 영역을 갖는 플로팅 부재;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으로 상기 플로팅 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정렬 부재 및 제2 정렬 부재; 및 상기 제1 공압 실린더부의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2 공압 실린더부의 제2 실린더 각각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상기 상하 방향의 힘을 각각 제공하는 제1 컨택 부재 및 제2 컨택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APPARATUS OF INSPECTING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 시료인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한 후 카메라 모듈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강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소형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동영상 및 이미지를 촬영 및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형 카메라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에 CMOS 나 CCD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고 렌즈와 하우징에 조립된 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시켜 제작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의 비교적 좁은 제한된 공간 내부에 장착되는 관계로 렌즈 및 PCB의 크기가 극히 작게 형성되며, 상기 PCB에 인쇄되는 전기 접점 역시 비교적 세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검사 공정에서 생산된 카메라 모듈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을 정확하게 정렬하고 카메라 모듈의 전기 접점과 테스트를 위한 장비의 전기 접점 간 강건한 접촉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1002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20856호
이에, 본 발명은 검사 시료인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한 후 카메라 모듈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강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공압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제1 실린더 및 공압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는 제2 실린더를 각각 구비한 제1 공압 실린더부 및 제2 공압 실린더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높이 방향 상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카메라 모듈을 안착 시키기 위한 안착 영역을 갖는 플로팅 부재;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으로 상기 플로팅 부재의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정렬 부재 및 제2 정렬 부재; 및
상기 제1 공압 실린더부의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2 공압 실린더부의 제2 실린더 각각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상기 상하 방향의 힘을 각각 제공하는 제1 컨택 부재 및 제2 컨택 부재;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상기 제1 공압 실린더부의 제1 실린더의 단부에 연결된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컨택 부재의 상기 폭 방향 양측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홈부를 각각 갖는 제2 연결 부재 및 제3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3 연결 부재에 각각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정렬 부재에 상기 폭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제1 힘 전달 부재 및 제2 힘 전달 부재를 갖는 제1 가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공압 실린더부의 제1 실린더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제4 연결 부재와, 상기 제4 연결부재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컨택 부재의 상기 폭 방향 양측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홈부를 각각 갖는 제5 연결 부재 및 제6 연결 부재와, 상기 제5 연결 부재 및 상기 제6 연결 부재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정렬 부재에 상기 폭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제3 힘 전달 부재 및 제4 힘 전달 부재를 갖는 제2 가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힘 전달 부재 및 상기 제2 힘 전달 부재 각각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힘을 제공 받아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정렬 부재로 각각 전달하는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힘 전달 부재 및 상기 제4 힘 전달 부재 각각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힘을 제공 받아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정렬 부재로 각각 전달하는 제3 링크 부재 및 제4 링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정렬 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링크 부재 내지 상기 제4 링크 부재에 구비된 돌기부가 이동하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링크 부재 내지 상기 제4 링크 부재에 의해 미는 힘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재2 정렬 부재가 상기 안착 영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힘 전달 부재 내지 상기 제2 힘 전달 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링크 부재 내지 상기 제4 링크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된 푸시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상기 제2 정렬 부재의 상기 안착 영역 방향으로 상기 제2 정렬 부재의 일면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폭 방향 일면은 상기 제1 정렬 부재의 일면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폭 방향 타면은 상기 탄성 블록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상기 안착 영역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배치되면, 상기 제1 공압 실린더부의 제1 실린더 및 제2 공압 실린더부의 제1 실린더가 가동되어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제2 정렬 부재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폭 방향 측면으로 힘을 제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정렬하고, 그 후 상기 제1 공압 실린더부의 제2 실린더 및 제2 공압 실린더부의 제2 실린더가 가동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길이 방향 양측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컨택 부재 및 제2 컨택 부재가 상기 카메라 모듈에 하부로 힘을 제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 하부의 전기 접점과 상기 플로팅 부재 상부의 전기 접점간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정렬 부재의 가동을 통해 검사 시료인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의 정렬이 완료된 이후 컨택 부재를 통해 정렬된 카메라 모듈에 하부로 힘을 제공함으로써 카메라 모듈 후면의 카메라 모듈 접점과 검사 장치의 접점 간 전기적 접촉을 강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소형 부품인 카메라 모듈의 검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작동 상태 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가동 어셈블리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가동 어셈블리를 작동 상태 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에서 정렬 부재에 의해 카메라 모듈이 정렬된 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작동 상태 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가동 어셈블리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가동 어셈블리를 작동 상태 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에서 정렬 부재에 의해 카메라 모듈이 정렬된 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베이스 부재(10)와, 베이스 부재(10)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공압 실린더부(21) 및 제2 공압 실린더부(22)와, 베이스 부재(10)의 높이 방향 상면에 배치되어 검사 시료인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S)을 갖는 플로팅 부재(30)와, 플로팅 부재(30)의 높이 방향 상면에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며, 제1 및 제2 공압 실린더(21, 22)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실린더의 이동에 의해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정렬 부재(41) 및 제2 정렬 부재(42)와, 제1 및 제2 공압 실린더(21, 22)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실린더의 이동에 의해 안착 영역(S)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100)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카메라 모듈(100)에 상하 방향의 힘을 각각 제공하는 제1 컨택 부재(51) 및 제2 컨택 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는 대략 사각 형상의 평면을 갖는 평판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구성하는 타 구성 요소들이 결합되거나 안착되는 기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 부재(10)에는 카메라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데 요구되는 전기 부품이나 회로가 설치되거나 전기 부품이나 회로와의 연결을 형성하는 도선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공압 실린더부(21) 및 제2 공압 실린더부(22)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제1 실린더(211, 221) 및 제2 실린더(212, 22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린더(211, 221)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실린더이고, 제2 실린더(212, 222)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실린더일 수 있다. 제1 공압 실린더부(21)와 제2 공압 실린더부(2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장치이며, 다만 각각에 구비된 제1 실린더가 작동 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플로팅 부재(30)는 베이스 부재(10)의 높이 방향 상부에 배치되며 높이 방향의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힘이 작용되는 경우 베이스 부재(10)와 접촉하도록 플로팅 상태를 유지하는 부재이다. 플로팅 부재(30)의 상면은 검사 시료인 카메라 모듈(100)을 안착 시키기 위한 안착 영역(S)이 구비될 수 있다. 안착 영역(S)의 상부에는 카메라 모듈(100)의 후면에 존재하는 전기 접점과 접촉할 수 있는 전기 접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컨택 부재(51)와 제2 컨택 부재(52)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서 하부로 힘이 인가되기 이전에는 카메라 모듈(100)의 전기 접점과 플로팅 부재(30)의 전기 접점 간 접촉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플로팅 부재(30) 상부의 안착 영역(S)을 사이에 두고 폭 방향 양측에는 제1 정렬 부재(41)와 제2 정렬 부재(4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정렬 부재(41)와 제2 정렬 부재(42)는 제1 공압 실린더부(21)와 제2 공압 실린더부(22) 각각의 제1 실린더(211), 즉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실린더에 의해 제공되는 힘을 제공 받아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공압 실린더부(21)와 제2 공압 실린더부(22) 각각의 제1 실린더(211)가 안착 영역(S)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정렬 부재(41)와 제2 정렬 부재(4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즉 안착 영역(S)을 향해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공압 실린더부(21)와 제2 공압 실린더부(22) 각각의 제1 실린더(211)가 안착 영역(S)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정렬 부재(41)와 제2 정렬 부재(4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 즉 안착 영역(S)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 방향 이동할 수 있다.
제1 컨택 부재(51) 및 제2 컨택 부재(52)는 제1 공압 실린더부(21)와 제2 공압 실린더부(22)의 각각의 제2 실린더(212, 222)와 연결되어 제2 실린더(212, 222)가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안착 영역(S)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100)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부로 이동하고, 제2 실린더(212, 222)가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안착 영역(S)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100)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카메라 모듈(100)에 하부로 누르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컨택 부재(51)와 제2 컨택 부재(52)가 하부로 누르는 힘을 카메라 모듈(100)에 제공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100)의 전기 접점과 플로팅 부재(30)의 전기 접점 간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제1 공압 실린더부(21)와 제2 공압 실린더부(22)의 실린더들(211, 212, 221, 222)에 의해 제공되는 힘을 정렬 부재(41, 42) 및 컨택 부재(51, 52)에 전달하기 위한 제1 가동 어셈블리(61) 및 제2 가동 어셈블리(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동 어셈블리(61)는 제1 공압 실린더부(21)와 연결이 이루어진 제1 가동 어셈블리(61)를 도시한 것이다. 제2 공압 실린더부(22)와 연결을 형성하는 제2 가동 어셈블리(62)는 실질적으로 제1 가동 어셈블리(61)와 대칭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제1 가동 어셈블리(61)에 대한 설명을 통해 당 기술 분야의 기술자는 제2 가동 어셈블리(62)의 구성 및 작용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2 가동 어셈블리(6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가동 어셈블리(61)는 제1 공압 실린더부(21)의 제1 실린더(211)의 단부에 연결된 제1 연결 부재(611)와, 제1 연결부재(61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부재(612) 및 제3 연결 부재(613)와, 제2 연결 부재(612) 및 제3 연결 부재(613)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며 제1 정렬 부재(41) 및 제2 정렬 부재(42)에 힘을 제공하는 제1 힘 전달 부재(614) 및 제2 힘 전달 부재(6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611)은 그 중심부가 제1 공압 실린더부(21)의 제1 실린더(2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폭방향으로 긴 변을 갖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611)의 폭 방향 양단에는 제2 연결 부재(612)와 제3 연결 부재(613)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612)와 제3 연결 부재(613)는, 그 일단이 제1 연결 부재(611)의 폭 방향 양단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중심부, 즉 카메라 모듈(100)이 안착되는 플로팅 부재(30)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평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연결 부재(612)와 제3 연결 부재(613)는, 제1 컨택 부재(51)의 폭 방향 양측단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홈부(H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택 부재(51)는 제1 공압 실린더부(21)의 제2 실린더(212)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컨택 부재(51)의 양단이 제2 연결 부재(612)와 제3 연결 부재(613)의 홈부(H1)에 힌지 결합되되 그 힌지 축이 홈부(H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경우, 제2 실린더(212)가 상승하면 제1 컨택 부재(51)의 카메라 모듈(100)에 가까운 단부가 힌지에 의해 그 반대측 단부 보다 더 높이 상승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100)이 플로팅 부재(41)의 안착 영역(S)에 정렬되기 이전에 제2 실린더(212)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힌지 결합 구조에 의해 제1 컨택 부재(51)의 카메라 모듈(100) 측 단부가 상승한 상태가 되므로 카메라 모듈(100)이 상부에서 안착 영역(S)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이 안착 영역(S)에 정렬된 이후에는 제2 실린더(212)가 하강하면서 제1 컨택 부재(51)의 카메라 모듈(100) 측 단부가 힌지 결합 구조에 의해 카메라 모듈(100)의 상부를 누를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1 힘 전달 부재(614) 및 제2 힘 전달 부재(615)는 각각 제2 연결 부재(612)와 제3 연결 부재(613)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정렬 부재(41, 4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힘 전달 부재(614) 및 제2 힘 전달 부재(615)는 정렬 부재(41, 42) 방향 단부에 힘 전달이 이루어지는 타 요소들간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도록 설치된 푸시 베어링(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제1 힘 전달 부재(614) 및 제2 힘 전달 부재(615)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제1 정렬 부재(41) 및 제2 정렬 부재(42)에 각각 링크시켜 제1 정렬 부재(41)와 제2 정렬 부재(42)가 폭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링크 부재(71) 및 제2 링크 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부재(71) 및 제2 링크 부재(72)는 베이스 부재(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힘 전달 부재(614) 및 제2 힘 전달 부재(615) 각각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힘을 제공 받아 제1 정렬 부재(41) 및 제2 정렬 부재(42)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링크 부재(71) 및 제2 링크 부재(72)에 의해 전달되는 길이 방향 힘은 제1 정렬 부재(41) 및 제2 정렬 부재(42)의 상면에 형성된 홈부(H2)를 통해 폭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1 정렬 부재(41) 및 제2 정렬 부재(42)는 플로팅 부재(30) 상면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된 레일 구조(R)에 의해 그 이동 방향이 폭방향으로만 구속될 수 있으며, 제1 정렬 부재(41) 및 제2 정렬 부재(42) 각각의 상면 양측에는 길이 방향 단부에서 폭 방향 외측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홈부(H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 부재(71) 및 제2 링크 부재(72)는 홈부(H2) 내에 위치하여 길이 방향 힘이 인가되는 경우 홈부(H2)를 따라 이동하는 돌기부(7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제1 링크 부재(71) 및 제2 링크 부재(72)에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중심부로 길이 방향의 힘이 인가되는 경우 돌기부가 홈부(H2)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 정렬 부재(41) 및 제2 정렬 부재(42)가 안착 영역(S) 방향으로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1 링크 부재(71) 및 제2 링크 부재(72)에 그 반대 방향의 힘이 인가되는 경우 제1 정렬 부재(41) 및 제2 정렬 부재(42)가 안착 영역(S)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가동 어셈블리(62)의 제4 연결 부재(621), 제5 연결 부재(622) 및 제6 연결 부재(623)는 제1 가동 어셈블리(61)의 제1 연결 부재(611), 제2 연결부재(612) 및 제3 연결 부재(613)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동 어셈블리(61)와 제1 공압 실린더부(21) 사이의 작용이 동일하게 제2 가동 어셈블리(62)와 제2 공압 실린더부(22)에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제2 가동 어셈블리(62)의 제3 힘 전달 부재(624) 및 제4 힘 전달 부재(625)는 제1 힘 전달 부재(614) 및 제2 힘 전달 부재(615)에 각각 대응되며, 제3 힘 전달 부재(624) 및 제4 힘 전달 부재(625)로부터 힘을 전달 받는 제3 링크 부재(73) 및 제4 링크 부재(74)는 제1 링크 부재(71) 및 제2 링크 부재(72)에 각각 대응된다. 제2 가동 어셈블리(62) 및 그 구성요소와 제2 가동 어셈블리(62)와 관련된 제1 링크 부재(71) 및 제2 링크 부재(72)는 위와 같은 대응 관계를 갖는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 특징 및 작동을 수행하므로, 전술한 것과 같이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제2 정렬 부재(42)의 안착 영역(S) 방향으로 제2 정렬 부재(42)의 일면에 탄성 부재(44)를 매개하여 탄성 결합되는 탄성 블록(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사를 위해 안착 영역(S)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100)의 폭 방향 일면이 카메라 모듈의 기준면인 경우 제1 정렬 부재(41)의 일면은 이 카메라 모듈(100)의 기준면과 직접 접촉하여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준면의 형상이나 구조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의 기준면에 대향하는 폭 방향 타면은 제2 정렬 부재(42)와 탄성 결합된 탄성 블록(43)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 탄성 블록(43)은 검사 시료인 카메라 모듈(100)과 제2 정렬 부재(42) 간 거리에 일정 수준의 설계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다양한 폭을 갖는 카메라 모듈(100)에 적용되는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 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동작에 따른 형태는 도 2 내지 도 4에 순서대로 도시되며, 도 6 내지 도 8에도 순서대로 도시된다.
검사 시료인 카메라 모듈(100)이 안착 영역(S)에 배치되기 이전에는 제1 공압 실린더부(21) 및 제2 공압 실린더부(22)의 제1 실린더(211, 221)가 길이 방향으로 안착 영역(S)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정렬 부재(41, 42)는 안착 영역(S)에서 폭방향으로 멀리 이동된 상태가 되며, 제1 컨택 부재(51) 및 제2 컨택 부재(52)는 그 일단이 상부로 향해 안착 영역(S)이 상부에서 볼 때 개방되게 할 수 있다(도 2, 도 6).
이어, 안착 영역(S)에 카메라 모듈(100)이 배치되면, 제1 공압 실린더부(21) 및 제2 공압 실린더부(22)의 제1 실린더(211, 221)가 가동되어 길이 방향으로 안착 영역(S)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제1 정렬 부재(41) 및 제2 정렬 부재(42)가 안착 영역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100)의 폭 방향 측면으로 힘을 제공하여 카메라 모듈(100)을 정렬시킬 수 있다(도 3, 도 7).
이어, , 제1 공압 실린더부(21) 및 제2 공압 실린더부(22)의 제2 실린더(212, 222)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가동되어 제1 컨택 부재(51) 및 제2 컨택 부재(52)가 하부가 이동함과 동시에 힌지 구조에 의해 카메라 모듈(100)의 길이 방향 양측 상부에 위치한 제1 컨택 부재(51) 및 제2 컨택 부재(52) 각각의 단부가 카메라 모듈(100)을 양측에서 하부로 누르게 됨으로써, 카메라 모듈(100)의 전기 접점과 플로팅 부재(30) 상부의 전기 접점간 전기적 접촉이 형성되고 그 이후 전기적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검사가 종료되면, 전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제1 공압 실린더부(21) 및 제2 공압 실린더부(22)가 가동됨으로써 검사가 종료된 카메라 모듈을 검사 장치로부터 이탈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공압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제1 실린더 및 공압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는 제2 실린더를 각각 구비한 제1 공압 실린더부 및 제2 공압 실린더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높이 방향 상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카메라 모듈을 안착 시키기 위한 안착 영역을 갖는 플로팅 부재;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으로 상기 플로팅 부재의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정렬 부재 및 제2 정렬 부재; 및
    상기 제1 공압 실린더부의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2 공압 실린더부의 제2 실린더 각각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상기 상하 방향의 힘을 각각 제공하는 제1 컨택 부재 및 제2 컨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영역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배치되면, 상기 제1 공압 실린더부의 제1 실린더 및 제2 공압 실린더부의 제1 실린더가 가동되어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제2 정렬 부재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폭 방향 측면으로 힘을 제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정렬하고, 그 후 상기 제1 공압 실린더부의 제2 실린더 및 제2 공압 실린더부의 제2 실린더가 가동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길이 방향 양측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컨택 부재 및 제2 컨택 부재가 상기 카메라 모듈에 하부로 힘을 제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 하부의 전기 접점과 상기 플로팅 부재 상부의 전기 접점간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압 실린더부의 제1 실린더의 단부에 연결된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컨택 부재의 상기 폭 방향 양측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홈부를 각각 갖는 제2 연결 부재 및 제3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3 연결 부재에 각각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정렬 부재에 상기 폭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제1 힘 전달 부재 및 제2 힘 전달 부재를 갖는 제1 가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공압 실린더부의 제1 실린더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제4 연결 부재와, 상기 제4 연결부재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컨택 부재의 상기 폭 방향 양측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홈부를 각각 갖는 제5 연결 부재 및 제6 연결 부재와, 상기 제5 연결 부재 및 상기 제6 연결 부재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정렬 부재에 상기 폭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제3 힘 전달 부재 및 제4 힘 전달 부재를 갖는 제2 가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힘 전달 부재 및 상기 제2 힘 전달 부재 각각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힘을 제공 받아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정렬 부재로 각각 전달하는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힘 전달 부재 및 상기 제4 힘 전달 부재 각각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의 힘을 제공 받아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정렬 부재로 각각 전달하는 제3 링크 부재 및 제4 링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제2 정렬 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링크 부재 내지 상기 제4 링크 부재에 구비된 돌기부가 이동하는 각각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링크 부재 내지 상기 제4 링크 부재에 의해 미는 힘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1 정렬 부재 및 상기 재2 정렬 부재가 상기 안착 영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힘 전달 부재 내지 상기 제2 힘 전달 부재 각각은 상기 제1 링크 부재 내지 상기 제4 링크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된 푸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렬 부재의 상기 안착 영역 방향으로 상기 제2 정렬 부재의 일면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폭 방향 일면은 상기 제1 정렬 부재의 일면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폭 방향 타면은 상기 탄성 블록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7. 삭제
KR1020220025217A 2022-02-25 2022-02-25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2597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217A KR102597665B1 (ko) 2022-02-25 2022-02-25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217A KR102597665B1 (ko) 2022-02-25 2022-02-25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662A KR20230127662A (ko) 2023-09-01
KR102597665B1 true KR102597665B1 (ko) 2023-11-02

Family

ID=8797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217A KR102597665B1 (ko) 2022-02-25 2022-02-25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6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856B1 (ko) 2016-08-17 2018-11-21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2142267B1 (ko) * 2018-11-21 2020-08-10 정성욱 카메라 모듈의 솔더링 검사 시스템
KR102167024B1 (ko) 2019-03-15 2020-10-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662A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035B1 (ko)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US10359447B2 (en) Probes with spring mechanisms for impeding unwanted movement in guide holes
CN107770515B (zh) 用于检验照相机模块的装置
KR101448961B1 (ko) Ⅴcm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316793B1 (ko) 이중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내구성과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킨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471575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
CN101752711B (zh) 电连接构件
US10598694B2 (en) Inspection jig
KR101855249B1 (ko) 수평방향 사이드 컨택 기능을 갖는 전자부품용 테스트 소켓
CN108604056B (zh) 相机模块检验设备
KR101620541B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KR101776797B1 (ko) 정밀한 측면 컨택기능을 갖는 전자부품테스트용 소켓
KR101504961B1 (ko) Ⅴcm 모듈 검사용 소켓
JP2018163152A (ja) スライド垂直型テストソケット
JP2008300163A (ja) 両面接続型コネクタ
KR101911626B1 (ko) 카메라모듈 테스트용 자동 소켓
KR102151695B1 (ko) 테스트용 접촉식 단자접속구
KR102597665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710601B1 (ko) 노이즈를 저감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비자성 소켓
US20080032547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992803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KR101920855B1 (ko) 검사용 소켓
KR10216702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19698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장치
KR10175884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