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632B1 -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 - Google Patents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632B1
KR102597632B1 KR1020220161083A KR20220161083A KR102597632B1 KR 102597632 B1 KR102597632 B1 KR 102597632B1 KR 1020220161083 A KR1020220161083 A KR 1020220161083A KR 20220161083 A KR20220161083 A KR 20220161083A KR 102597632 B1 KR102597632 B1 KR 102597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il
fatty acid
asphalt
recyc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주
이강훈
박해원
권홍준
이지익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성에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성에이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61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7Recycled materials, i.e. waste materials re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am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2Alcohols; Phenols;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04B24/121Amines, 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끓는점이 375 ~ 525℃인 중질감압 가스오일(Heavy Vacuum Gas Oil) 10 ~ 59 중량%;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 및 윤활기유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비중이 0.8 ~ 1.02이고, 끓는점이 380 ~ 600℃이고, 포화탄화수소 함량이 1 ~ 30 중량%인 파라핀(Paraffine)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Naphthene)계 프로세스 오일, 아로마틱(Aromatic)계 프로세스 오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프로세스 오일 30 ~ 60 중량%; 리놀레산(Linoleic Acid), 다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모노불포화지방산(Monounsatureated Fatty Acid),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을 포함하고, 상기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함량이 10 중량% 이상이고, 상기 다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및 모노불포화지방산(Monounsatureated Fatty Acid)의 함량의 합이 상기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의 함량의 3 ~ 10배인 지방산 식물성 오일 1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첨가제를 제시함으로써, 노화된 아스팔트와의 높은 친화력으로 아스팔트의 침입도 및 점탄성 복원성능이 우수하고, 발암물질인 다환방향족(PCA) 성분 함량을 현격히 줄이며, 아스팔트 혼합물의 수분저항성, 작업성, 혼합성, 다짐성, 균열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REGENERATING ADDITIVE AND WARM-MIX RECYCLED FOAMED ASPHALT MIX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재료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석유계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오랜 기간 사용하여 수명이 다하거나, 자연재해 등으로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걷어내서 폐아스콘으로 회수한 후 분쇄하고 크기 별로 분류하여 순환아스콘으로 재사용하고 있다.
순환아스콘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순환아스콘 내에 포함된 노화된 아스팔트의 물성을 회복 시켜주는 재생첨가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국토교통부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지침'은 이러한 재생 첨가제의 등급 기준을 규정하고 있는데, 실제에 있어서 위 지침에 규정된 재료들은 노화된 아스팔트의 물성 회복성능과 크게 연관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재생첨가제의 경우, 석유계 아스팔트와의 흡수력 및 친화력이 떨어짐에 따라, 아스콘 플랜트 내에서 20 ~ 40초 정도의 짧은 교반시간 동안에 순환아스콘 내의 노화된 아스팔트 물성을 제대로 회복시키지 못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1990-02091303호 일본공개특허 제2018-30053116호 일본공개특허 제2020-320295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노화된 아스팔트와의 높은 친화력으로 아스팔트의 침입도 및 점탄성 복원성능이 우수하고, 발암물질인 다환방향족(PCA) 성분 함량을 현격히 줄이며, 아스팔트 혼합물의 수분저항성, 작업성, 혼합성, 다짐성, 균열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끓는점이 375 ~ 525℃인 중질감압 가스오일(Heavy Vacuum Gas Oil) 10 ~ 59 중량%;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 및 윤활기유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비중이 0.8 ~ 1.02이고, 끓는점이 380 ~ 600℃이고, 포화탄화수소 함량이 1 ~ 30 중량%인 파라핀(Paraffine)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Naphthene)계 프로세스 오일, 아로마틱(Aromatic)계 프로세스 오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프로세스 오일 30 ~ 60 중량%; 리놀레산(Linoleic Acid), 다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모노불포화지방산(Monounsatureated Fatty Acid),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을 포함하고, 상기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함량이 10 중량% 이상이고, 상기 다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및 모노불포화지방산(Monounsatureated Fatty Acid)의 함량의 합이 상기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의 함량의 3 ~ 10배인 지방산 식물성 오일 1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첨가제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끓는점이 375 ~ 525℃인 중질감압 가스오일(Heavy Vacuum Gas Oil) 10 ~ 59 중량%;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 및 윤활기유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비중이 0.8 ~ 1.02이고, 끓는점이 380 ~ 600℃이고, 포화탄화수소 함량이 1 ~ 30 중량%인 파라핀(Paraffine)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Naphthene)계 프로세스 오일, 아로마틱(Aromatic)계 프로세스 오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프로세스 오일 30 ~ 60 중량%; 산가(Acid Value)가 125 ~165인 펄프 제조 폐액에서 채취한 수지산 또는 지방산 오일 10~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첨가제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끓는점이 375 ~ 525℃인 중질감압 가스오일(Heavy Vacuum Gas Oil) 5 ~ 59 중량%;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 및 윤활기유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비중이 0.8 ~ 1.02이고, 끓는점이 380 ~ 600℃이고, 포화탄화수소 함량이 1 ~ 30 중량%인 파라핀(Paraffine)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Naphthene)계 프로세스 오일, 아로마틱(Aromatic)계 프로세스 오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프로세스 오일 24 ~ 60 중량%; 60℃ 절대점도가 400 ~ 1,000 Poise이고, ASTM D 4552-10 시험법에 따른 세츄레이트(Saturates) 함량이 1 ~ 10 중량%이고, KS M2201 침입도 등급기준에 따른 25℃ 침입도가 120 ~ 150인 역청 10 ~ 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첨가제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재생첨가제 0.5 ~ 6 중량%; 순환골재 94 ~ 9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재활용 순환골재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중온 재활용 순환골재 20 ~ 60 중량%; 신규골재 30 ~ 70 중량%;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3.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제시한다.
상기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는, 기포 재활용 아스팔트 수용액 1 ~ 3 중량%; 아스팔트 97 ~ 99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포 재활용 아스팔트 수용액은, 계면활성제, 가용성규산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첨가제 수용액 5 ~ 30 중량%; 물 70 ~ 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프로판디암모늄 50 ~ 55 중량%; 프로판올 35 ~ 40 중량%; 물 5 ~ 1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아민계 탈오일 30 ~ 40 중량%; 물 60 ~ 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용성규산염은, 규산고형분 35 ~ 45 중량%; 물 35 ~ 6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노화된 아스팔트와의 높은 친화력으로 아스팔트의 침입도 및 점탄성 복원성능이 우수하고, 발암물질인 다환방향족(PCA) 성분 함량을 현격히 줄이며, 아스팔트 혼합물의 수분저항성, 작업성, 혼합성, 다짐성, 균열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첨가제는 기본적으로, 중질감압 가스오일(Heavy Vacuum Gas Oil), 프로세스 오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지방산 식물성 오일, 수지산 또는 지방산 오일, 역청이 선택적으로 혼입된다.
중질감압 가스오일(Heavy Vacuum Gas Oil)은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끓는점이 375 ~ 525℃이다.
프로세스 오일은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 및 윤활기유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비중이 0.8 ~ 1.02이고, 끓는점이 380 ~ 600℃이고, 포화탄화수소 함량이 1 ~ 30 중량%인 파라핀(Paraffine)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Naphthene)계 프로세스 오일, 아로마틱(Aromatic)계 프로세스 오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다.
지방산 식물성 오일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다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모노불포화지방산(Monounsatureated Fatty Acid),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을 포함하고,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함량이 10 중량% 이상이고, 다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및 모노불포화지방산(Monounsatureated Fatty Acid)의 함량의 합이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의 함량의 3 ~ 10배로 구성된다.
지방산 식물성 오일이 혼입된 재생첨가제의 경우, 중질감압 가스오일 10 ~ 59 중량%, 프로세스 오일 30 ~ 60 중량%, 지방산 식물성 오일 10 ~ 50 중량%로 구성된다.
수지산 또는 지방산 오일은 산가(Acid Value)가 125 ~165인 펄프 제조 폐액에서 채취한다.
수지산 또는 지방산 오일이 혼입된 재생첨가제의 경우, 중질감압 가스오일 10 ~ 59 중량%, 프로세스 오일 30 ~ 60 중량%, 수지산 또는 지방산 오일 10~30 중량%로 구성된다.
역청은 60℃ 절대점도가 400 ~ 1,000 Poise이고, ASTM D 4552-10 시험법에 따른 세츄레이트(Saturates) 함량이 1 ~ 10 중량%이고, KS M2201 침입도 등급기준에 따른 25℃ 침입도가 120 ~ 150이다.
역청이 혼입된 재생첨가제의 경우, 중질감압 가스오일 5 ~ 59 중량%, 프로세스 오일 24 ~ 60 중량%, 역청 10 ~ 70 중량%로 구성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석유계 아스팔트와 흡수력, 친화력, 혼합력이 우수한 재료들의 혼합에 의해 구성되므로, 노화된 아스팔트의 물성을 신속하고 완전하게 회복시킨다.
둘째, 발암물질인 다환방향족(PCA) 성분 함량을 현격히 감소한 친환경 재료이고, 감온성능이 우수하다.
셋째,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 시, 순환골재와 재생첨가제가 혼합 후 운반되는 과정에서, 노화된 아스팔트 코팅 시간이 늘어나므로 아스팔트 회복에 효과적이다.
넷째, 기포 아스팔트에 혼입되는 경우, 다짐온도가 일반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약 30℃ 감소하므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중온 재활용 순환골재는 위 재생첨가제 0.5 ~ 6 중량%, 순환골재 94 ~ 99.5 중량%의 혼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순환골재와 재생첨가제를 혼합하는 방식에는, 순환골재, 신규골재, 신규아스팔트를 혼합하는 믹서에 직접 재생첨가제를 투입하는 방식, 순환골재와 재생첨가제를 먼저 혼합한 후, 이를 신규골재, 신규아스팔트와 혼합하는 믹서에 투입하는 방식이 있다.
후자의 경우 순환골재에 포함된 폐아스팔트를 재생첨가제가 집중적으로 재생할 수 있으므로, 전자의 경우에 비해 우수한 재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은 위 중온 재활용 순환골재 20 ~ 60 중량%, 신규골재 30 ~ 70 중량%,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3.5 ~ 10 중량%의 혼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는, 기포 재활용 아스팔트 수용액 1 ~ 3 중량%, 아스팔트 97 ~ 99 중량%의 혼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포 재활용 아스팔트 수용액은, 계면활성제, 가용성규산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첨가제 수용액 5 ~ 30 중량%, 물 70 ~ 95 중량%의 혼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계면활성제는, 프로판디암모늄 50 ~ 55 중량%, 프로판올 35 ~ 40 중량%, 물 5 ~ 14 중량%의 혼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아민계 탈오일 30 ~ 40 중량%, 물 60 ~ 70 중량%의 혼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용성규산염은, 규산고형분 35 ~ 45 중량%, 물 35 ~ 65 중량%의 혼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기포 재활용 아스팔트 수용액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는 재생첨가제와 결합하여 아스팔트 노화 복원을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 표면 장력을 낮춰 다짐력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계면활성제의 친유성 꼬리를 중심으로 활성제가 마이셀(micelle)을 형성하여 물끼리의 결합을 방해하고 물의 표면장력이 줄어들면서 교반 및 혼합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물성을 입증하기 위한 시험내용 및 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재생첨가제의 절대점도 평가
실시예 1-1 내지 1-3은 본 발명에 의한 재생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실시예 1-1은 중질감압 가스오일 30 중량%, 파라핀(Paraffine)계 프로세스 오일 50 중량%, 지방산 식물성 오일 20 중량%의 혼합물이고, 실시예 1-2는 중질감압 가스오일 30 중량%, 파라핀(Paraffine)계 프로세스 오일 50 중량%, 수지산 20 중량%의 혼합물이고, 실시예 1-3은 중질감압 가스오일 30 중량%, 파라핀(Paraffine)계 프로세스 오일 50 중량%, 역청 20 중량%의 혼합물이고, 비교예 1-1, 1-2는 타 업체의 재생첨가제이다.
Figure 112022126856567-pat00001
표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생첨가제의 실시예 1-1 내지 1-3 및 비교예 1-1, 1-2를 각각 순환골재 추출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절대점도를 시험한 결과이다.
국토교통부는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 기준으로서, 절대점도가 5,000 poise 이하일 것을 규정하고 있다.
비교예 1-1의 경우 재생첨가제의 혼입량이 6 중량% 이상, 비교예 1-2의 경우 재생첨가제의 혼입량이 4 중량% 이상이어야 위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1 내지 1-3의 경우, 재생첨가제의 혼입량이 2 중량% 이상이면 모두 위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에 비해 적은 양의 혼입으로 국토교통부의 기준을 만족하였고, 동일한 사용량 대비 점도 감소 효과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신제 아스팔트인 AP-5의 점도는 약 2,000 poise인데, 본 발명에 의한 재생첨가제 6 중량%의 혼입 시 거의 신규 아스팔트와 동일한 점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생첨가제의 혼합 방식
순환골재(재생첨가제 포함), 신규골재, 신규 아스팔트의 혼합에 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절대점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내지 2-3은 위 실시예 1-1 내지 1-3(본 발명에 의한 재생첨가제 6 중량%가 혼입된 경우)의 순환골재(중온 재활용 순환골재) 40 중량%, 신규골재 55 중량%, 신규 아스팔트(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5 중량%의 혼합에 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위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는, 기포 재활용 아스팔트 수용액 2 중량%, 아스팔트(AP-5) 98 중량%를 혼합한 것이다.
위 기포 재활용 아스팔트 수용액은 프로판디암모늄 52 중량%, 프로판올 37 중량%, 물 11 중량%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계면활성제 20 중량%와 물 80 중량%를 혼합한 것이다.
비교예 2-1, 2-2는 위 비교예 1-1, 1-2(재생첨가제 6 중량%가 혼입된 경우)의 순환골재 40 중량%, 신규골재 55 중량%, 신규 아스팔트(AP-5) 5 중량%의 혼합에 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22126856567-pat00002
a 방식은 순환골재, 신규골재, 신규아스팔트를 혼합하는 믹서에 직접 재생첨가제를 투입하는 방식을 의미하고, b 방식은 순환골재와 재생첨가제를 먼저 혼합한 후, 이를 신규골재, 신규아스팔트와 혼합하는 믹서에 투입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비교예 2-1, 2-2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 2-1 내지 2-3은 절대점도가 약 2,000 poise 이상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 방식에 비해 b 방식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 어느 경우나 점도가 약 100 ~ 300 poise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다짐도 평가
순환골재(재생첨가제 포함), 신규골재, 신규 아스팔트의 혼합에 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다짐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2-1 내지 2-3, 비교예 2-1, 2-2를 대상으로 하였다.
Figure 112022126856567-pat00003
본 시험은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다짐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트롤 시료(145℃) 보다 30℃ 이상 낮은 115℃ 이하의 온도에서 다짐을 실시한 시험체를 대상으로 하며, 컨트롤 공극률보다 낮은 값을 기준으로 평가한다.(다짐도 기준 1 이하)
시험결과, 비교예 2-1, 2-2는 모두 위 다짐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 2-1 내지 2-3의 경우, 표층 WC-3 혼합물 및 기층 BB-2 혼합물이 모두 다짐도 1 이하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국토교통부 기준 합부 평가(WC-3 혼합물 기준)
순환골재(재생첨가제 포함), 신규골재, 신규 아스팔트의 혼합에 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각종 물성이 국토교통부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3-1 내지 3-3은 상술한 실시예 2-1 내지 2-3을 낮은 혼합온도(130℃) 및 다짐온도(115℃)에서 제조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비교예 3은 상술한 비교예 2-1을 높은 혼합온도(160℃) 및 다짐온도(145℃)에서 제조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22126856567-pat00004
시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2-1 내지 2-3에 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모든 물성이 국토교통부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3은 높은 혼합온도(160℃) 및 다짐온도(145℃)에서 제조되는 가열 재활용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므로, 당연히 모든 물성이 국토교통부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온(낮은 혼합온도(130℃) 및 다짐온도(115℃))에서 제조되었음에 불구하고, 비교예 3(가열 재활용 아스팔트 콘크리트)과 거의 유사한 수준의 물성 및 강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은 중온에서 제조(타설 및 양생)됨에 불구하고, 종래의 가열 재활용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비해 동등 이상의 물성이 충분히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끓는점이 375 ~ 525℃인 중질감압 가스오일(Heavy Vacuum Gas Oil) 10 ~ 59 중량%;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 및 윤활기유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비중이 0.8 ~ 1.02이고, 끓는점이 380 ~ 600℃이고, 포화탄화수소 함량이 1 ~ 30 중량%인 파라핀(Paraffine)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Naphthene)계 프로세스 오일, 아로마틱(Aromatic)계 프로세스 오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프로세스 오일 30 ~ 60 중량%;
    리놀레산(Linoleic Acid), 다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모노불포화지방산(Monounsatureated Fatty Acid),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을 포함하고, 상기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함량이 10 중량% 이상이고, 상기 다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및 모노불포화지방산(Monounsatureated Fatty Acid)의 함량의 합이 상기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의 함량의 3 ~ 10배인 지방산 식물성 오일 1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첨가제.
  2.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끓는점이 375 ~ 525℃인 중질감압 가스오일(Heavy Vacuum Gas Oil) 10 ~ 59 중량%;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 및 윤활기유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비중이 0.8 ~ 1.02이고, 끓는점이 380 ~ 600℃이고, 포화탄화수소 함량이 1 ~ 30 중량%인 파라핀(Paraffine)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Naphthene)계 프로세스 오일, 아로마틱(Aromatic)계 프로세스 오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프로세스 오일 30 ~ 60 중량%;
    산가(Acid Value)가 125 ~165인 펄프 제조 폐액에서 채취한 수지산 또는 지방산 오일 10~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첨가제.
  3.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끓는점이 375 ~ 525℃인 중질감압 가스오일(Heavy Vacuum Gas Oil) 5 ~ 59 중량%;
    API 비중이 15 ~ 35도인 원유의 상압증류공정, 감압 증류공정 및 윤활기유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비중이 0.8 ~ 1.02이고, 끓는점이 380 ~ 600℃이고, 포화탄화수소 함량이 1 ~ 30 중량%인 파라핀(Paraffine)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Naphthene)계 프로세스 오일, 아로마틱(Aromatic)계 프로세스 오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프로세스 오일 24 ~ 60 중량%;
    60℃ 절대점도가 400 ~ 1,000 Poise이고, ASTM D 4552-10 시험법에 따른 세츄레이트(Saturates) 함량이 1 ~ 10 중량%이고, KS M2201 침입도 등급기준에 따른 25℃ 침입도가 120 ~ 150인 역청 10 ~ 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첨가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재생첨가제 0.5 ~ 6 중량%;
    순환골재 94 ~ 9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재활용 순환골재.
  5. 제4항의 중온 재활용 순환골재 20 ~ 60 중량%;
    신규골재 30 ~ 70 중량%;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3.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콘크리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는,
    기포 재활용 아스팔트 수용액 1 ~ 3 중량%;
    아스팔트 97 ~ 99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콘크리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재활용 아스팔트 수용액은,
    계면활성제, 가용성규산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첨가제 수용액 5 ~ 30 중량%;
    물 70 ~ 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콘크리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프로판디암모늄 50 ~ 55 중량%;
    프로판올 35 ~ 40 중량%;
    물 5 ~ 1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콘크리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아민계 탈오일 30 ~ 40 중량%;
    물 60 ~ 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콘크리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규산염은,
    규산고형분 35 ~ 45 중량%;
    물 35 ~ 6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콘크리트.
KR1020220161083A 2022-11-28 2022-11-28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 KR102597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083A KR102597632B1 (ko) 2022-11-28 2022-11-28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083A KR102597632B1 (ko) 2022-11-28 2022-11-28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632B1 true KR102597632B1 (ko) 2023-11-02

Family

ID=8874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083A KR102597632B1 (ko) 2022-11-28 2022-11-28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6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1303A (ja) 1988-09-28 1990-03-30 Idemitsu Kosan Co Ltd アスファルト舗装廃材再生用添加剤
KR101470418B1 (ko) * 2014-05-28 2014-12-12 금강환경산업(주) 수분 기화식 유화아스팔트를 바인더로 사용한 재활용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과 이를 사용한 시공 방법
JP2016204549A (ja) * 2015-04-24 2016-12-08 株式会社共創 アスファルト再生添加剤組成物
KR101995899B1 (ko) * 2018-02-27 2019-07-04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박리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재생 아스콘
KR102395274B1 (ko) * 2021-02-04 2022-05-09 주식회사 오일스톤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및 이산화탄소의 배출저감용 중온 순환아스콘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1303A (ja) 1988-09-28 1990-03-30 Idemitsu Kosan Co Ltd アスファルト舗装廃材再生用添加剤
KR101470418B1 (ko) * 2014-05-28 2014-12-12 금강환경산업(주) 수분 기화식 유화아스팔트를 바인더로 사용한 재활용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과 이를 사용한 시공 방법
JP2016204549A (ja) * 2015-04-24 2016-12-08 株式会社共創 アスファルト再生添加剤組成物
KR101995899B1 (ko) * 2018-02-27 2019-07-04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박리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재생 아스콘
KR102395274B1 (ko) * 2021-02-04 2022-05-09 주식회사 오일스톤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및 이산화탄소의 배출저감용 중온 순환아스콘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5347A (en) Chemically stabilized organic emulsions
JP5899322B2 (ja) 瀝青質製品廃材を含有するアスファルト合材用添加剤
CN107915878B (zh) 一种适用于改性硬质沥青的沥青复合改性剂及其制备方法
US20100331459A1 (en) Asphalt enhancing additive
JP7041149B2 (ja) 再生アスファルト評価用サンプルの評価方法、及び再生アスファルト合材の製造方法
CA2890430A1 (en) Asphalt binder blend and method of rejuvenating and softening asphalt cement with brown grease
CN107418230B (zh) 一种浸润型改性沥青及其制作方法
KR20110124749A (ko) 역청 함유 조성물을 복원시키는 방법
WO2008146979A1 (en) Composition for solidifying soil and industrial waste
KR102597632B1 (ko)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재활용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
RU2194729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сфальтовой композиции и асфальт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JP6545059B2 (ja) ポリマー改質アスファルト組成物
Islam Effect of sodium chloride on properties of bitumen
KR101995899B1 (ko) 박리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재생 아스콘
KR20110119887A (ko)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US11702801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sphalt rejuvenation
CN104804443A (zh) 一种乳化沥青、其制备方法和应用
RU2730857C1 (ru) Низкотемпературны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й резиновой крошки
SA519401410B1 (ar) تركيبة بيتومين معدلة ببوليمر
KR102156260B1 (ko) 매크로 및 마이크로 기포를 활용한 기포 아스팔트용 분사 용액, 이를 이용한 기포 아스팔트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Jain et al. Use of edible oil as rejuvenator in reclaimed asphalt pavement
KR100640029B1 (ko) 도로 포장용 고품질 가열포설 재활용 아스팔트 조성물
RU2789291C1 (ru) Структурирующая добавка для асфальтобетонных смесей
KR102655196B1 (ko) 베이스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조성물
Du et al. Study on Preparation Experimental about High-permeability layer-penetration 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