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881B1 - 안경닦이 - Google Patents

안경닦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881B1
KR102596881B1 KR1020220136285A KR20220136285A KR102596881B1 KR 102596881 B1 KR102596881 B1 KR 102596881B1 KR 1020220136285 A KR1020220136285 A KR 1020220136285A KR 20220136285 A KR20220136285 A KR 20220136285A KR 102596881 B1 KR102596881 B1 KR 102596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
tongs
glasses
bas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주)우성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씨텍 filed Critical (주)우성씨텍
Priority to KR1020220136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spectacles frame 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8Anti-misting means, e.g. ventilating, heating; Wi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닦이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일단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일체연결부(21)와 상기 일체연결부와 각각의 타단부가 소정각도 벌어져서 연장되어 연장단부를 갖는 한 쌍의 제1, 2집게편(12,13)이 마련된 집게본체(10); 및 각각의 제1, 2집게편의 소정각도 벌어진 연장단부 내측면에 연결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닦개(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집게편은 대상 안경렌즈(5)의 내, 외측면을 상기 한 쌍의 닦개가 감싼 상태로 하여 상기 안경렌즈에 대한 크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집게 타입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안경렌즈를 닦을 수 있게 되면서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손이 젖어 있는 상태에서도 크리닝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젖은 손을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삭제되면서 이에 따른 제품 신뢰성 및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닦이{GLASSES CLEANER}
본 발명은 안경닦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닦개가 안경렌즈의 내,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집게본체를 잡고 안경렌즈를 닦을 수 있도록 하는 안경닦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렌즈와 안경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여기서 렌즈는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만들어지며, 안경테는 렌즈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코에 걸리는 코받침과, 다리부 및 귀에 걸리는 귀걸이부로 이루어진다.
최근에 이러한 안경은 시력을 보호하는 목적 이외에 강한 자외선, 전자파, 열선, 이물질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거나 개개인의 개성을 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안경은 렌즈 표면에 먼지나 오염물질이 묻는 경우 시야 확보에 장애를 줄 수 있으며, 이러한 먼지나 오염물질을 수시로 닦아주지 않는 경우에는 렌즈에 상처가 나 손상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통 안경과 함께 안경닦이를 휴대하면서 렌즈 표면에 먼지나 오염물질이 묻는 경우 안경닦이로 닦아주게 된다.
통상적으로 안경닦이는 매우 부드럽고 표면이 매끄러운 직물지로 제작된다.
이러한 직물지로 된 안경닦이를 사용하여 렌즈를 닦고자 하는 경우, 안경닦이를 안경렌즈 표면과 이면에 접하게 놓은 다음 손가락으로 앞뒷면을 닦는다.
그러나, 기존의 안경닦이의 경우 사각판지 모양으로 휴대하기 불편하고 접어서 휴대하는 과정에서 구겨지거나 쉽게 더러워지는 불편함이 있고, 안경을 닦을 때 실질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재료의 낭비가 있으며, 미적 효과를 줄 수 있는 디자인을 표현할 부분이 없어 소지하고자 하는 욕구를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휴대가 간편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안경닦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종래 기술의 일례로 손가락의 압력을 집중해서 잘 닦이고,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추가가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한 안경닦이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안경닦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엄지의 손바닥 쪽에 대응되는 천과 엄지의 손등 쪽에 대응되는 천을 봉합하여 형성되는 엄지 덮개부와 엄지 삽입부를 포함하는 엄지부와, 검지의 손바닥 쪽에 대응되는 천과 검지의 손등 쪽에 대응되는 천을 봉합하여 형성되는 검지 덮개부와 검지 삽입부를 포함하는 검지부 및 상기 엄지부와 검지부를 연결하는 끈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안경닦이는 안경을 닦기 위해서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에 엄지부와 검지부를 각각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손가락이 젖어 있거나 땀이 난 경우에는 천 재질의 엄지부와 검지부가 젖게 되면서 안경닦이로써의 기능이 구현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2860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한 쌍의 제1, 2집게편이 마련된 집게본체 및 각각의 제1, 2집게편의 소정각도 벌어진 연장단부 내측면에 연결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닦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집게편은 대상 안경렌즈의 내, 외측면을 상기 한 쌍의 닦개가 감싼 상태로 하여 상기 안경렌즈에 대한 크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닦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는, 각각의 일단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일체연결부와 상기 일체연결부와 각각의 타단부가 소정각도 벌어져서 연장되어 연장단부를 갖는 한 쌍의 제1, 2집게편이 마련된 집게본체; 및 각각의 제1, 2집게편의 소정각도 벌어진 연장단부 내측면에 연결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닦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집게편은 대상 안경렌즈의 내, 외측면을 상기 한 쌍의 닦개가 감싼 상태로 하여 상기 안경렌즈에 대한 크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닦개는, 상기 제1, 2집게편의 연장단부 내측면에 연결되는 닦개베이스; 및 상기 닦개베이스의 대상 안경렌즈로 향하는 면을 감싼 상태로 대상 안경렌즈의 표면을 닦아내는 닦개지;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본체는 각각의 상기 닦개베이스와 상기 제1, 2집게편의 연장단부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닦개베이스와 상기 제1, 2집게편의 연장단부 내측면을 연결하는 연결조인트가 더 마련되되, 상기 연결조인트는 판재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닦개베이스는 상기 연결조인트를 향하는 일측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부가 마련되어, 상기 연결조인트가 상기 연장단부 내측면에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가 상기 연결조인트의 외측부를 감싸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닦개지는, 상기 닦개베이스의 외측부를 감싸는 닦개지본체; 및 상기 닦개지본체의 단부 테두리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부 테두리를 따라 주름진 구조로 되어 상기 닦개지본체가 상기 닦개베이스의 외측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로 투입되고 상기 오목부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서로 간에 겹겹이 쌓이면서 상기 연결조인트와의 사이에서 완충기능을 부여하도록 하는 닦개지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닦개지완충부는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 내측면과 상기 연결조인트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을 채워 넣어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 내측면과 상기 연결조인트의 외측면이 서로 억지 끼움식으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와 연장단부의 연결구조는, 상기 연장단부의 내측면에 소정높이 상향 연장된 한 쌍의 걸림후크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판재 구조를 갖는 상기 연결조인트의 중앙부 양측에 걸림턱을 갖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판재 구조인 상기 연결조인트의 테두리가 상기 연장단부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연결조인트가 상기 연장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로 투입되어 서로 간에 겹겹이 쌓여있는 상기 닦개지의 닦개지완충부를 상기 연결조인트가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 방향으로 가압 고정시키도록 한 후,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 인접 걸림턱에 걸리도록 된 것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에 있어서, 상기 닦개베이스와 상기 닦개지 사이에 쿠션판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각각의 제1, 2집게편이 서로 탄력있게 오무라들고 벌어지도록 하는 탄성부여수단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수단은, 상기 집게본체의 일체연결부의 일측이 상기 제1, 2집게편의 길이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폭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박판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에 있어서, 상기 박판 구조는 상기 일체연결부의 내주면에서 원호 방향 전체에 걸쳐 얇게 형성된 원호박판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상기 일체연결부의 일측에 외부의 안경과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안경닦이는, 한 쌍의 제1, 2집게편이 마련된 집게본체; 및 각각의 제1, 2집게편의 소정각도 벌어진 연장단부 내측면에 연결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닦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집게편은 대상 안경렌즈의 내, 외측면을 상기 한 쌍의 닦개가 감싼 상태로 하여 상기 안경렌즈에 대한 크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집게 타입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안경렌즈를 닦을 수 있게 되면서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손이 젖어 있는 상태에서도 크리닝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젖은 손을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삭제되면서 이에 따른 제품 신뢰성 및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는, 한 쌍의 제1, 2집게편(12,13)이 마련된 집게본체(10) 및 한 쌍의 닦개(20)를 포함한다.
상기 집게본체(10)는 각각의 일단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일체연결부(11)와 상기 일체연결부(11)와 각각의 타단부가 소정각도 벌어져서 연장되어 연장단부를 갖는 한 쌍의 제1, 2집게편(12,13)이 마련된 집게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닦개(20)는 각각의 제1, 2집게편(12,13)의 소정각도 벌어진 연장단부(12a,13a) 내측면에 연결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원판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닦개(20)는, 상기 제1, 2집게편(12,13)의 연장단부(12a,13a) 내측면에 연결되는 닦개베이스(21) 및 상기 닦개베이스(21)의 대상 안경렌즈(5)로 향하는 면을 감싼 상태로 대상 안경렌즈(5)의 표면을 닦아내는 닦개지(22)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게본체(10)는 각각의 상기 닦개베이스(21)와 상기 제1, 2집게편(12,13)의 연장단부(12a,13a)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닦개베이스(21)와 상기 제1, 2집게편(12,13)의 연장단부(12a,13a) 내측면을 연결하는 연결조인트(2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조인트(23)는 원판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닦개베이스(21)는 상기 연결조인트(23)를 향하는 일측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부(21a)가 마련되어, 상기 연결조인트(23)가 상기 연장단부(12a,13a) 내측면에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닦개베이스(21)의 오목부(21a)가 상기 연결조인트(23)의 외측부를 감싸 맞물려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조인트(23)와 연장단부(12a,13a)의 연결구조는, 상기 연장단부(12a,13a)의 내측면에 걸림후크(12b,13b)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조인트(23)의 일측에 걸림턱(23a)을 갖는 관통공(23b)이 마련되어, 상기 걸림후크(12b,13b)가 상기 관통공(23b)을 관통한 후 상기 관통공(23b) 인접 걸림턱(23a)에 걸리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닦개베이스(21)와 상기 닦개지(22) 사이에는 일측면이 볼록하고 타측면이 오목한 돔형 구조인 쿠션판(2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닦개지(22)는, 상기 닦개베이스(21)의 외측부를 감싸는 닦개지본체(22a) 및 상기 닦개지본체(22a)의 단부 테두리에서 길이(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부 테두리를 따라 주름진 구조로 되어 상기 닦개지본체(22a)가 상기 닦개베이스(21)의 외측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닦개베이스(21)의 오목부(21a)로 투입되어 서로 간에 겹겹이 쌓이면서 상기 연결조인트(23)와의 사이에서 완충기능을 부여하도록 하는 닦개지완충부(22b)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닦개지완충부(22b)는 닦개베이스(21)의 오목부(21a) 내측면과 연결조인트(23)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을 채워 넣어 상기 닦개베이스(21)의 오목부(21a) 내측면과 연결조인트(23)의 외측면이 서로 억지 끼움식으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도 갖는다.
여기서, 닦개지(22)는 직물이나 종이 등 다양한 재질을 선택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극세사 천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게본체(10)는 각각의 제1, 2집게편(12,13)이 서로 탄력있게 오무라들고 벌어지도록 하는 탄성부여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여수단은, 상기 집게본체(10)의 일체연결부(11)의 일측이 상기 제1, 2집게편(12,13)의 길이방향에 대한 상하방향의 폭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박판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박판 구조는 상기 일체연결부(11)의 내주면에서 원호 방향 전체에 걸쳐 얇게 형성된 원호박판면(11a)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게본체(10)는 상기 일체연결부(11)의 일측에 외부의 안경(7) 등과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집게본체(10)의 제1, 2집게편(12,13)의 연장단부(12a,13a)의 걸림후크(12b,13b)에 연결조인트(23)를 연결한다.
그리고, 닦개베이스(21)의 상면에 쿠션판(24)을 올려놓은 후 닦개지본체(22a)로 감싼 다음 닦개지완충부(22b)를 닦개베이스(21)의 오목부(21a)로 채워 넣어 주름진 상태로 서로 겹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오목부(21a)가 상기 연결조인트(23)를 향하도록 하여 닦개베이스(21)를 연결조인트(23) 외부로 덮어씌워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안경닦이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완성된 안경닦이로 안경을 닦고자 할 경우에 상기 집게본체(10)의 제1, 2집게편(12,13)의 연장단부(12a,13a)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닦개(20)가 대상 안경(7)의 안경렌즈(5)의 전, 후면을 감싸도록 한 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제1, 2집게편(12,13)을 집어 가압하여서 상기 한 쌍의 닦개(20)가 대상 안경(7)의 안경렌즈(5)의 전, 후면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손으로 집게본체(10)를 잡고 안경렌즈(5)의 전, 후 표면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안경렌즈(5)에 대한 크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 후 닦개(20)가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이 닦개(20)를 연장단부(12a,13a)로부터 잡아 당겨 분리시킨 후 닦개베이스(21)의 오목부(21a) 내에 채워져 있는 닦개지(22)를 풀어 헤쳐서 세탁 등을 수행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고리부(14)를 통해 집게본체(10)를 크리닝 대상인 안경(7)이나 또는 기타 악세사리 등과도 별도의 연결끈 등으로 연결하여 그 사용 및 보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닦이는, 한 쌍의 제1, 2집게편이 마련된 집게본체; 및 각각의 제1, 2집게편의 소정각도 벌어진 연장단부 내측면에 연결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닦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집게편은 대상 안경렌즈의 내, 외측면을 상기 한 쌍의 닦개가 감싼 상태로 하여 상기 안경렌즈에 대한 크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집게 타입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안경렌즈를 닦을 수 있게 되면서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손이 젖어 있는 상태에서도 크리닝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젖은 손을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삭제되면서 이에 따른 제품 신뢰성 및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5 : 안경렌즈 7 : 안경
10 : 집게본체 11 : 일체연결부
12 : 제1집게편 12a : 연장단부
12b : 걸림후크 13 : 제2집게편
13a : 연장단부 13b : 걸림후크
14 : 연결고리부 20 : 닦개
21 : 닦개베이스 21a : 오목부
22 : 닦개지 22a : 닦개지본체
22b : 닦개지완충부 23 : 연결조인트
23a : 걸림턱 23b : 관통공
24 : 쿠션판

Claims (7)

  1. 각각의 일단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일체연결부와 상기 일체연결부와 각각의 타단부가 소정각도 벌어져서 연장되어 연장단부를 갖는 한 쌍의 제1, 2집게편이 마련된 집게본체; 및
    각각의 제1, 2집게편의 소정각도 벌어진 연장단부 내측면에 연결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닦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집게편은 대상 안경렌즈의 내, 외측면을 상기 한 쌍의 닦개가 감싼 상태로 하여 상기 안경렌즈에 대한 크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닦개는,
    상기 제1, 2집게편의 연장단부 내측면에 연결되는 닦개베이스; 및
    상기 닦개베이스의 대상 안경렌즈로 향하는 면을 감싼 상태로 대상 안경렌즈의 표면을 닦아내는 닦개지;
    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본체는 각각의 상기 닦개베이스와 상기 제1, 2집게편의 연장단부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닦개베이스와 상기 제1, 2집게편의 연장단부 내측면을 연결하는 연결조인트가 더 마련되되,
    상기 연결조인트는 판재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닦개베이스는 상기 연결조인트를 향하는 일측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부가 마련되어,
    상기 연결조인트가 상기 연장단부 내측면에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가 상기 연결조인트의 외측부를 감싸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닦개지는,
    상기 닦개베이스의 외측부를 감싸는 닦개지본체; 및
    상기 닦개지본체의 단부 테두리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부 테두리를 따라 주름진 구조로 되어 상기 닦개지본체가 상기 닦개베이스의 외측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로 투입되고 상기 오목부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서로 간에 겹겹이 쌓이면서 상기 연결조인트와의 사이에서 완충기능을 부여하도록 하는 닦개지완충부;
    를 포함하되,
    상기 닦개지완충부는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 내측면과 상기 연결조인트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을 채워 넣어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 내측면과 상기 연결조인트의 외측면이 서로 억지 끼움식으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닦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와 연장단부의 연결구조는,
    상기 연장단부의 내측면에 소정높이 상향 연장된 한 쌍의 걸림후크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판재 구조를 갖는 상기 연결조인트의 중앙부 양측에 걸림턱을 갖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판재 구조인 상기 연결조인트의 테두리가 상기 연장단부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연결조인트가 상기 연장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로 투입되어 서로 간에 겹겹이 쌓여있는 상기 닦개지의 닦개지완충부를 상기 연결조인트가 상기 닦개베이스의 오목부 방향으로 가압 고정시키도록 한 후,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 인접 걸림턱에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닦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닦개베이스와 상기 닦개지 사이에 쿠션판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닦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상기 일체연결부의 일측에 외부의 안경과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닦이.
KR1020220136285A 2022-10-21 2022-10-21 안경닦이 KR102596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85A KR102596881B1 (ko) 2022-10-21 2022-10-21 안경닦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85A KR102596881B1 (ko) 2022-10-21 2022-10-21 안경닦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881B1 true KR102596881B1 (ko) 2023-11-01

Family

ID=8874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285A KR102596881B1 (ko) 2022-10-21 2022-10-21 안경닦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8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7842A (en) * 1994-09-13 1995-10-17 Chang; Kun S. Portable eyeglasses wiper
KR20110002860U (ko) 2009-09-15 2011-03-23 김아현 안경닦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7842A (en) * 1994-09-13 1995-10-17 Chang; Kun S. Portable eyeglasses wiper
KR20110002860U (ko) 2009-09-15 2011-03-23 김아현 안경닦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868B1 (ko) 렌즈 보호용 박형의 안경렌즈 케이스
EP0702258A1 (en) A portable eyeglasses wiper
US20140159397A1 (en) Contact-lens putting support tool
KR102596881B1 (ko) 안경닦이
JP6045641B1 (ja) 化粧容器
KR200482886Y1 (ko)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KR200474663Y1 (ko) 다기능 안경케이스
KR101373555B1 (ko) 장갑형 손걸레
CN207613350U (zh) 一种多功能眼镜盒
KR200301219Y1 (ko) 닦개
KR101487601B1 (ko) 안경용 클리너
KR20230070377A (ko) 접이식 안경닦이
ES1065511U (es) Dispositivo para la limpieza de lentes y similares.
KR100683905B1 (ko) 접이식 일회용 돋보기
KR20120003949U (ko) 안경닦는 천
KR20200001170U (ko) 안경닦이가 구비된 손거울
KR200388895Y1 (ko) 접이식 일회용 돋보기
JP2012070804A (ja) 拭き布
KR200367739Y1 (ko) 안경닦이천 및 명함꽂이가 구비된 안경집
CN202472171U (zh) 眼镜布
KR102535282B1 (ko) 휴대용 안경닦이
KR20170090744A (ko) 안경닦이 일체형 안경케이스
JP2020144348A (ja) メガネのレンズ拭き棒
KR20210037826A (ko) 안경닦이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케이스
JP3093693U (ja) 眼鏡洗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