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555B1 - 장갑형 손걸레 - Google Patents

장갑형 손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555B1
KR101373555B1 KR1020120105081A KR20120105081A KR101373555B1 KR 101373555 B1 KR101373555 B1 KR 101373555B1 KR 1020120105081 A KR1020120105081 A KR 1020120105081A KR 20120105081 A KR20120105081 A KR 20120105081A KR 101373555 B1 KR101373555 B1 KR 101373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opening
extension
hand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삼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렘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렘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렘본
Priority to KR1020120105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47L13/18Gloves; Glove-like cloth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터네츠 형태로 대향하게 배치 연결된 제1포켓과 제2포켓에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을 넣고 닦을 수 있는 장갑형 손걸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갑형 손걸레{Glove type duster}
본 발명은 캐스터네츠 형태로 대향하게 배치 연결된 제1포켓과 제2포켓에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을 넣고 닦을 수 있는 장갑형 손걸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갑형 손걸레로서, 예컨대 특허문헌에 개시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장갑형 손걸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과 손의 몸체가 삽입되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옆에 부착되어, 엄지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엄지부(110)와; 몸체부(100) 및 엄지부(110)에 손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20); 를 포함한다.
몸체부(100) 및 엄지부(110)는 초극세사 재질로 양면(앞뒷면)의 사용이 가능하며, 안쪽면의 양면(앞뒷면) 또한 뒤집어서 사용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의 벙어리 장갑 타입의 손걸레는 엄지부(110)와 몸체부(100)가 손가락과 마찬가지로 옆으로 같은 평면상에 있다.
따라서, 바닥을 닦을 때는 엄지부(110)와 몸체부(100)를 통상의 걸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평면으로 펼쳐서 하면 되지만, 탁자나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과 상하면을 동시에 닦을 때에는 엄지부(110)를 아래쪽으로 내려야 잡고 닦아야 한다.
이러한 형태로 닦는 것은 상하 양면을 동일한 면적으로 닦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모서리 부분도 엄지부(110)와 몸체부(100)의 접히는 부분만 닿아 닦아지기 때문에 청소효율이 나쁘다.
또한, 엄지부(110)와 몸체부(100)가 구별되어 있어, 제자리에 해당하는 손가락을 넣어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엄지부(110)와 몸체부(100)가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 손가락을 넣을 때 네 손가락 중 어느 하나가 엄지부(110)로 삽입되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34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가락의 삽입 위치가 정확 신속하면서 상하면(전후면 또는 좌우면)뿐만 아니라 그 연결면도 동시에 일정한 비율로 넓게 함께 닦을 수 있을 수 있는 장갑형 손걸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장갑형 손걸레는,
제1개구를 갖는 제1포켓; 제2개구를 갖는 제2포켓; 상기 제1개구의 일측과 상기 제2개구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포켓의 제1청소면과 상기 제2포켓의 제2청소면이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면이 서로 대향되게 제1포켓과 제2포켓을 연결함으로써, 손가락의 삽입이 용이하고, 청소면이 일정하고 넓게 상하에 분포되고, 에지 부분을 청소할 때에는 연결부가 청소면을 형성하여 상하 및 에지를 동시에 일정하고 넓게 청소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장갑형 손걸레는,
상기 제1개구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2개구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연장부의 좌우측과 제2연장부의 좌우측에 탄성밴드가 더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가 손등과 손바닥을 거의 완전히 덮게 되어, 탄성밴드가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를 서로 당겨 손등과 손바닥에 어느 정도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여 원치않게 손에서 빠지는 최대한 억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소면이 서로 대향되게 제1포켓과 제2포켓을 연결함으로써, 손가락의 삽입이 용이하고, 청소면이 일정하고 넓게 상하에 분포되고, 에지 부분을 청소할 때에는 연결부가 청소면을 형성하여 상하 및 에지를 동시에 일정하고 넓게 청소 가능하다.
또한,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쪽으로 향하게 굽히면 제1포켓과 제2포켓의 배치 구조가 같아 삽입이 신속 정확하다.
또한,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가 손등과 손바닥을 거의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 탄성밴드가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를 서로 당겨주는 효과로 인해 손등과 손바닥에 어느 정도 밀착되어 사용중 원치않게 손에서 빠지는 최대한 억제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갑형 손걸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3은 장갑형 손걸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장갑형 손걸레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엄지는 네 손가락(검지 중지 약지 소지) 아래의 손등과 손바닥의 중간 지점에 있기 때문에, 네 손가락(검지 중지 약지 소지)이라고 할 때는 손등과 손바닥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갑형 손걸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장갑형 손걸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장갑형 손걸레는 제1개구(11)를 갖는 제1포켓(10)과, 제2개구(21)를 갖는 제2포켓(20)과, 제1개구(11)의 일측과 제2개구(21)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30)로 구성하되, 제1포켓(10)의 제1청소면(10a)과 제2포켓(20)의 제2청소면(20a)이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1포켓(10)과 제2포켓(20)는 서로 같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포켓(10)의 제1개구(11)에 엄지 손가락과 네 손가락 중 어느 것이 들어가면, 제2포켓(20)에는 나머지 것이 들어가면 된다.
즉, 제1포켓(10)과 제2포켓(20)은 삽입될 손가락이 정해져 있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포켓(10)과 제2포켓(20)는 대향되게 배치되어 마치 캐스터네츠(짝짜기)와 같은 악기와 유사하다.
따라서,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쪽으로 향하게 굽히면 제1포켓(10)의 제1개구(11)와 제2포켓(20)의 제2개구(21)에 정조준 되어 삽입이 신속 정확하다.
연결부(30)는 엄지와 검지 사이의 골에 끼워지는 부분이지만 네 손가락의 폭이 들어갈 정도의 폭과 같은 정도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지 등을 닦을 때 연결부(30)의 폭 길이만큼 넓게 닿아 청소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한편, 제1개구(11)의 타측에는 제1연장부(13)가 연장되고, 제2개구(21)의 타측에는 제2연장부(23)가 연장되어 있다.
제1연장부(13)는 손등을 대부분을 덮으며, 제2연장부(23)는 손바닥을 대부분을 덮게 된다.
또한, 제1연장부(13)의 좌우측과 제2연장부(23)의 좌우측에는 탄성밴드(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포켓(10)과 제2포켓(20)를 서로 접근시키면, 네 손가락과 손 등 사이의 경계를 이루게 하는 손목뼈가 튀어 올라와 산형을 만든다(도 2의 점선 표시 참조).
이러한 손목뼈의 변형은 제1연장부(13)가 제2연장부(23)에 대해 멀어지게 밀어내려고 하는데, 이 밀어내려는 힘을 탄성밴드(40)가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고 잡아주기 때문에 제1연장부(13)도 산형으로 구부러져 제2연장부(23)와 함께 손등과 손바닥에 걸리거나 밀착시키는 효과가 생긴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닦을 때 손에서 손걸레가 잘 빠지지 않게 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장갑용 손걸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청소면(10a), 제2청소면(20a) 및 연결부(30)가 형성되게 일체로 제1원단(A)과, 제1청소면(10a)과 연결부(30)의 위를 커버하는 제2원단(B)과, 제2청소면(20a)과 연결부(30)의 위를 커버하는 제3원단(C)을 준비한다.
제2원단(B)은 제1청소면(10a)을 커버하는 제1커버부(10b)와 제1연장부(13)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제3원단(C)은 제2청소면(20a)을 커버하는 제2커버부(20b)와 제2연장부(23)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제2원단(B)의 길이와 제3원단(C)의 길이는 같게 하는 것이 좋다.
제1원단(A)의 길이는 제2원단(B)과 제3원단(C) 각각의 길이보다 더 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원단(B)과 제3원단(C)을 합친 길이는 제1원단(A)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현되어, 손등과 손바닥 전체를 잘 덮게 한다.
제1청소면(10a)와 제1커버부(10b)의 가장자리를 소잉하여 제1개구(11)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청소면(20a)와 제2커버부(20b)의 가장자리를 소잉하여 제2개구(21)를 형성한다.
물론, 개구를 형성하기 전에 좌우의 탄성밴드(40)의 양단을 제1연장부(13)와 제2연장부(23)의 가장자리에 소잉하여 미리 연결하여도 좋고, 나중에 연결하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제1포켓 10a : 제1청소면
10b : 제1커버부 11 : 제1개구
13 : 제1연장부 20 : 제2포켓
20a : 제2청소면 20b : 제2커버부
21 : 제2개구 23 : 제2연장부
30 : 연결부 40 : 탄성밴드
A : 제1원단 B : 제2원단
C : 제3원단

Claims (2)

  1. 제1개구를 갖는 제1포켓;
    제2개구를 갖는 제2포켓;
    상기 제1개구의 일측과 상기 제2개구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포켓의 제1청소면과 상기 제2포켓의 제2청소면이 대향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포켓과 상기 제2포켓은 서로 같은 형상인 장갑형 손걸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2개구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연장부의 좌우측과 제2연장부의 좌우측에 탄성밴드가 더 설치되는 장갑형 손걸레.
KR1020120105081A 2012-09-21 2012-09-21 장갑형 손걸레 KR101373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081A KR101373555B1 (ko) 2012-09-21 2012-09-21 장갑형 손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081A KR101373555B1 (ko) 2012-09-21 2012-09-21 장갑형 손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555B1 true KR101373555B1 (ko) 2014-03-12

Family

ID=5064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081A KR101373555B1 (ko) 2012-09-21 2012-09-21 장갑형 손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5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486A (ko) * 2019-10-04 2021-04-14 소재은 토사물 청소장치
FR3118863A1 (fr) * 2021-01-20 2022-07-22 S.A. Gerlon Equipement de nettoyage, notamment pour vitr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347Y1 (ko) * 2004-06-17 2004-09-08 이정민 장갑형 손걸레
KR20100005686U (ko) * 2008-11-26 2010-06-04 대부인더스(주) 장갑형 수세미
KR20110000556U (ko) * 2009-07-10 2011-01-18 유수현 수세미가 부착된 고무장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347Y1 (ko) * 2004-06-17 2004-09-08 이정민 장갑형 손걸레
KR20100005686U (ko) * 2008-11-26 2010-06-04 대부인더스(주) 장갑형 수세미
KR20110000556U (ko) * 2009-07-10 2011-01-18 유수현 수세미가 부착된 고무장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486A (ko) * 2019-10-04 2021-04-14 소재은 토사물 청소장치
KR102253749B1 (ko) * 2019-10-04 2021-05-20 소재은 토사물 청소장치
FR3118863A1 (fr) * 2021-01-20 2022-07-22 S.A. Gerlon Equipement de nettoyage, notamment pour vit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378B1 (en) Hand worn scrubber
USD533968S1 (en) Hockey glove
JP2010168699A5 (ko)
KR101373555B1 (ko) 장갑형 손걸레
US10028640B2 (en) Cleaning glove device
USD713122S1 (en) Glove with elastic portal
KR200486074Y1 (ko) 수세미 고무장갑
CN101574175A (zh) 一种清洁手套
KR20120017110A (ko) 손가락 집게
JP3246088U (ja) 指サック型掃除用クロス
JP3220951U (ja) 食器洗
KR200361347Y1 (ko) 장갑형 손걸레
JP3171120U (ja) 手袋型ワックス掛け用具
JP2020186500A (ja) 指カバー具
KR200471997Y1 (ko) 다용도 걸레
KR200462382Y1 (ko) 장갑
US11910978B2 (en) Gloved wash mitt apparatus
JP5883086B2 (ja) 手袋型ワックス掛け用具
KR200419533Y1 (ko) 바람 드는 고무장갑
KR200453978Y1 (ko) 분실 방지 수단이 구비된 수저 셋트
KR101354556B1 (ko) 청소용 장갑걸레
JP5624204B1 (ja) 内部に細長い突起を設けたゴム手袋
JP6146215B2 (ja) 清拭用手袋
KR100770044B1 (ko) 식기 세척용 수세미가 부착된 벙어리 고무장갑
JP3176390U (ja) 洗剤含浸部付き炊事用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