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476B1 -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 Google Patents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476B1
KR102595476B1 KR1020220001281A KR20220001281A KR102595476B1 KR 102595476 B1 KR102595476 B1 KR 102595476B1 KR 1020220001281 A KR1020220001281 A KR 1020220001281A KR 20220001281 A KR20220001281 A KR 20220001281A KR 102595476 B1 KR102595476 B1 KR 10259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akeup
guar gum
presen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5810A (ko
Inventor
강대영
Original Assignee
강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영 filed Critical 강대영
Priority to KR102022000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476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810A/ko
Priority to KR1020230142594A priority patent/KR20230168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05Drying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장용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형분이 다소 낮으며, 수성인 아크릴 에멀젼과 LINCED OI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구아검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피부자극을 최소화한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린스드 오일(LINCED OIL), 구아검, 아크릴 에멀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분장용 접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제용 계면활성제에 구아검(Guar Gum)을 투입하여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형성하여 준비하는 과정(1과정),
물을 교반장치에 투입후 상온에서 교반시키는 과정(2과정),
상기한 2과정을 진행하면서 아크릴 에멀션을 투입하여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과정(3과정),
상기한 3과정의 분산된 아크릴 에멀션에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과정(4과정),
상기한 4과정의 반응 과정 후에 상기의 1과정에서 준비한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반응시켜 접착 혼합체를 형성하는 과정(5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5과정 후에 형성된 접착 혼합체를 완전 밀봉하여 숙성시키는 과정(6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a Method for manufacturing adhesive for makeup and the adhesive for makeup}
본 발명은 분장용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형분이 다소 낮으며, 수성인 아크릴 에멀젼과 LINCED OI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구아검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피부자극을 최소화한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에 관한 발명이다.
접착제란 ‘물체와 물체의 표면을 부착시키는데 사용하는 물질’로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에서는 ‘접착(adhesion)은 두면이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힘, 또는 그 양자에 의해서 일체화되는 상태이고, 접착제(Adhesive)는 접착에 의해 2개 이상의 물체를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다(오진경 등, 2008)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불연성, 무독성의 장점을 지니는 천연 접착제의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으며, 일반적인 천연 접착제는 합성수지 접착제에 비해 저렴하고, 재생 가능한 물질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합성수지 접착제와 혼합하여 의학용 접착제 등 여러 응용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특성이 있으며(오진경 등, 2008), 천연 접착제는 화학 접착제와 달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방산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재료로(박수진, 2013) 포름알데히드나 벤젠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성분이 포함되지 않아 인체에 안전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분장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접착제는 스프리트 검(spirit gum)과 라텍스(latex)류의 듀오 접착제(duo adhesive), 의학용 실리콘 접착제인 프로스에이드(Pros-Aid)가 많이 사용된다. 라텍스(latex)류는 천연 고무를 용해시킨 것으로 듀오 접착제는 속눈썹과 마스크를 붙이거나 눈가의 주름을 만들 때 사용된다. 라텍스를 정제하여 자극적인 냄새와 독성을 없앤 제품(박은영, 2006)으로 비교적 알레르기 반응이나 트러블 요인이 적게 나타난다.
프로스에이드(Pros-Aid)의 경우 현재, 수염 분장용 접착제로서 가장많이 쓰이고 있으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가격이 매우 비싸다.
반면 스프리트 검은 송진을 메틸알코올로 용해한 재료이며 로진의 독성이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스프리트 검은 용도가 광범위하여 특수 분장용으로 자주 이용되며 수염, 가발, 상처조각, 대머리, 각종 마스크 등을 접착할 때 사용되는 분장용 접착제의 일종이다. 성분은 알코올(alcohol), 코팔(copal), 송진(rosin), 실리카(silica)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송진은 소나무에 함유된 수지에서 생산되며 모든 종류의 니스 물감, 코팅, 차 유리 접합제, 나무봉입체, 왁스, 광택제, 접착테이프, 마스카라, 아이섀도, 립스틱 등에 함유되어 있어 피부반응을 일으킨다(여혜연, 2010)
관련된 기술로 등록특허 10-2176891호(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하 선행기술)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및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 hexyl acrylate)로 이루어진 모노머;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바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m은 23의 정수이고; n은 10의 정수이고; l은 1의 정수이다)
상기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기술 중 분장용 접착제는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가 있으며, 특히 대부분이 외국에서 수입한 제품으로서 외국산제품의 경우 톨루엔, 벤젠 등의 유해성분과 피부에 자극을 주는 알코올 성분이 주로 되어 있어서 분장 시, 배우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매우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는바,
본 발명은 고형분이 다소 낮으며, 수성인 아크릴 에멀젼과 LINCED OI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구아검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최소화 하여 분장, 피부 사용시 피부 독성 및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 하고 피부자극을 최소화한 분장용 접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업용 증점제를 적용하지 않고 식품용 구아검을 활용하여 피부자극 또는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하는 분장용 접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접착제를 이루는 솔벤트(용제)로 알코올, 고분자 물질 등과 같은 피부 자극이 높고 환경에 유해한 물질을 사용하고 있는바,
본 발명은 접착제를 이루는 솔벤트(용제)로 물(H2O)를 사용하고 일반 알코올류는 일체 사용하지 않아도 접착효과가 매우 높으며 피부자극 또는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분장용 접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린스드 오일(LINCED OIL), 구아검, 아크릴 에멀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분장용 접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제용 계면활성제에 구아검(Guar Gum)을 투입하여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형성하여 준비하는 과정(1과정),
물을 교반장치에 투입후 상온에서 교반시키는 과정(2과정),
상기한 2과정을 진행하면서 아크릴 에멀션을 투입하여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과정(3과정),
상기한 3과정의 분산된 아크릴 에멀션에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과정(4과정),
상기한 4과정의 반응 과정 후에 상기의 1과정에서 준비한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반응시켜 접착 혼합체를 형성하는 과정(5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5과정 후에 형성된 접착 혼합체를 완전 밀봉하여 숙성시키는 과정(6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의 분장용 접착제는 톨루엔, 벤젠 등의 유해성분과 피부에 자극을 주는 알코올 성분이 주로 되어 있어서 분장 시, 배우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매우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는 고형분이 다소 낮으며, 수성인 아크릴 에멀젼과 LINCED OI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구아검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최소화 하여 분장, 피부 사용시 피부 독성 및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 하며 특히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는 공업용 증점제를 적용하지 않고 식품용 구아검을 활용하여 피부자극 또는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접착제를 이루는 솔벤트(용제)로 알코올, 고분자 물질 등과 같은 피부 자극이 높고 환경에 유해한 물질을 사용하고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는 솔벤트(용제)로 물(H2O)를 사용하고 일반 알코올류는 일체 사용하지 않아도 접착효과가 매우 높으며 피부자극 또는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린스드 오일(LINCED OIL), 구아검, 아크릴 에멀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는 분장용 접착제를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린스드 오일(LINCED OIL), 구아검, 아크릴 에멀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분장용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린스드 오일(LINCED OIL) 100중량부에 구아검 7~20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500~8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0~50중량부, 물 200~500중량부를 포함하는 분장용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리모넨 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분장용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분산제용 계면활성제에 구아검(Guar Gum)을 투입하여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형성하여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과정)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종래의 구아검을 증점제로 사용하는 경우 급격하게 점도가 상승하여 사용이 어려운 점이 있으나 분산제용 계면활성제인 린스드 오일(Linced Oil)에 분산시켜 사용할 경우 서서히 증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점으로 하여 분장용 접착제로 사용하게 된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분산제용 계면활성제 100중량부에 구아검 7~20중량부를 혼합하여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분산제용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린스드 오일(LINCED OIL)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린스드 오일은 아미인유로서 아마의 성숙한 종자 아마인(함유분 35~40%)에서 채유되는 대표적인 건성유를 의미한다.
씨앗의 함유량(含油量)은 28~44%이다. 생아마인유는 비중 0.932~0.936, 굴절률 1.480~1.483, 응고점 -18~-27℃로, 리놀레산과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不飽和酸)를 다량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불포화성이 풍부하며(요오드값 175~195), 도료용의 건성유(乾性油)로서 매우 중요하다. 구성비는 포화산 8~9%, 올레산 10 ~15%, 리놀레산 25~35%, 리놀렌산 35~45%, 산소산 6.5%, 비(非)비누화물 0.5~1.5%, 글리세롤기(基) 4.5% 등이다. 공기 중에 두면 산소를 흡수해서 축중합(縮重合)하여 탄력성 있는 내수성(耐水性) 반투명의 고분자 물질인 리녹신을 발생한다. 산소 흡수에 의한 중량 증가는 1주일 동안에 약 20%이다. 아마인유 피막(皮膜)의 건조 일수는 여름철에 6~7일, 겨울철에는 8~10일이다. 주산지는 러시아,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이고, 주성분은 리놀렌산, 리놀산이다. 도료, 바니시, 인쇄 잉크, 리노륨 등 공업용에 널리 이용된다.
상기한 구아검은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첨가물이다. 식품에서 안정제, 보형제, 유화제, 증점제 등으로 사용된다.
백-황색의 분말로서 거의 냄새가 없다. 구아검은 콩과 구아(Cyamopsis tetragonolobus) 종자의 배유를 분쇄하여 얻어지거나 또는 이를 온수나 열수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갈락토만난으로 구성된 다당류이다. 냉수나 온수에 쉽게 분산되어 점조한 용액을 형성하며, 1% 수용액의 경우 점도는 3,000 cps이다. pH 6-10에서 점도가 최고로 증가되며, pH 10 이상 또는 pH 3.5 이하에서 점도가 저하된다. 로커스트콩 검의 경우 점도를 높이기 위해 온도를 올려서 볶아야 하지만 구아검은 냉수에서도 수화된다.
본 발명은 린스드 오일 100중량부에 구아검 7~20중량부를 투입하고 온도 60~70℃ 정도로 가열하면서 교반장치로 교반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과정에서 교반시 RPM 50~60 정도로 유지하면서 최대한 서서히 분산되도록 2~3시간 교반해 주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물을 교반장치에 투입후 상온에서 교반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2과정)
상기한 물은 정제수 또는 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의 량은 상기한 분산제용 계면활성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0~500중량부를 교반장치에 투입하여 RPM 1000~1200으로 상온에서 교반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2과정을 진행하면서 아크릴 에멀션을 투입하여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
상기한 아크릴 에멀션은 수성이고 고형분 45~50%, 바람직하게는 48% 정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시간은 30~40분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아크릴 에멀션은 분산제용 계면활성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0~800중량부를 투입하여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3과정의 분산된 아크릴 에멀션에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4과정)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은 OH기가 15 ~20, 분자량 3000 ~ 35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분산된 아크릴 에멀션에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과정은 상세하게는 교반장치는 RPM 1000~1200 정도로 유지하면서 프로필렌 글리콜은 분산제용 계면활성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50중량부를 소량씩 dropping하면서 혼합하여 반응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4과정의 반응 과정 후에 상기의 1과정에서 준비한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반응시켜 접착 혼합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5과정)
즉, 본 발명은 상기한 4과정의 반응 과정 후에 상기의 1과정에서 준비한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분산제용 계면활성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80~1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켜 접착 혼합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4과정의 분산된 아크릴 에멀션에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과정 후에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과정은 교반장치를 RPM 1000~1200로 교반하면서 20~30분간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소량씩 DROPING 하면서 서서히 떨어 뜨려가며 투입하여 반응시킨다.
본 발명은 5과정에서 방향성 물질을 더 포함하여 분장용 접착제의 사용시의 거부감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방향성 물질은 분산제용 계면활성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방향성 물질은 통상의 천연 또는 유기의 물질을 사영할 수 있으며, 테르펜류(類)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사용시의 거부감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테르펜류는 식물 정유에 들어 있는 유기 화합물 가운데 탄소 수가 5의 배수로서, 아이소프렌이 연결되어 생긴 구조의 탄화수소. 또는 그 유도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장뇌ㆍ박하뇌ㆍ비타민 에이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테르펜류 중 리모넨을 사용하는 것이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의 반응성을 높이고 추후 생성되는 분장용 접착제의 접착 효율을 높이면서 분장용 접착제 사용시의 거부감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리모넨은 테르펜류(類)에 속하는 탄화수소의 한 종류이며 D-형 및 L-형의 광학이성질체가 존재한다. 오렌지와 비슷한 향기가 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방향성 물질에 천연 첨가물을 포함하여 고분자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환경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피부의 항산화 및 항균성의 효과를 나타내어 접착시의 피부 부작용을 해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천연 첨가물은 방향성 물질 100중량부에 1~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천연 첨가물은 위령선 80~120 중량부에 패란 80~120 중량부, 곽향 10~30중량부, 절국대 10~30중량부, 선퇴 80~120 중량부, 속단 50~8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5과정에서 접착 강화 첨가물을 더 포함하여 분장용 접착제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면서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접착 강화 첨가물은 분산제용 계면활성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0.1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접착 강화 첨가물은 우슬 100중량부에 산약 80~120 중량부, 여정실 80~120중량부, 백창포 80~120 중량부, 마치현 80~120중량부, 백선피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접착 강화 첨가물은 천연의 성분으로서 피부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와 분산제용 계면활성제의 혼합력을 원활하게 진행시켜 그에 따라 반응성을 높이게 되어 추후 형성된 분장용 접착제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천연 첨가물 또는 접착 강화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5~85%[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출물은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분말 형태로 5~25중량부 정도 추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5과정 후에 형성된 접착 혼합체를 완전 밀봉하여 숙성시키는 과정으로 분장용 접착제를 완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6과정)
본 발명은 상기의 5과정 후에 형성된 혼합체를 완전 밀봉하여 온도 35~40℃ 습도 30%이하의 저장고에서 22~26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숙성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 분장용 접착제를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실시예로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을 시행하여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형성하여 준비하는 과정
점도조정을 위한 증점제로서 식품용 구아검, 분산제 및 계면 활성제로서 Linced Oil을 준비 한다.
-> Linced Oil(중량비) 90g에 구아검 10g을 투입하고 온도 60~70℃ 정도로 가열하면서 교반장치로 교반한다. 교반시 RPM 50~60 정도로 유지하면 서 최대한 서서히 분산되도록 2~3시간 교반해준다.
-> 이와 같이 준비된 Linced Oil,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준비해 둔다.
(2) 물 30g을 투입 후, 교반장치(반드시 디스퍼션 형태의 교반장치)로 RPM 1000~1200 정도 상온에서 교반시킨다.
(3) (2)의 과정을 진행하면서 아크릴에멀션(수성, 고형분 48%) 60g을 투입하고 30~40분간 교반하여 분산시킨다.
(4) (3)의 과정이 끝나면 교반장치 RPM 1000~1200 정도로 유지하면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OH 15 ~20, 분자량 3000 ~ 3500) 2g을 소량씩 DROPING 하면서 서서히 떨어뜨려가며 분산시킨다.
(5) (4)의 과정이 완료되면, 20~30분간 RPM 1000~1200 로 교반하면서 상기의 (1)의 과정으로 제조된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9g을 소량씩 DROPING 하면서 서서히 떨어뜨려가며 투입하고 20~30분간 교반후 종료한다.
(6) 교반 종료후, 완성된 혼합체를 완전 밀봉한 후, 온도 35~40℃ 습도 30%이하의 저장고에서 24시간 숙성시켜서 분장용 접착제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분장용 접착제는 공업용 증점제를 적용하지 않고 식품용 구아검을 활용하여 피부자극 또는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분장용 접착제는 접착제를 이루는 솔벤트(용제)로 물(H2O)를 사용하고 일반 알코올류는 일체 사용하지 않아도 접착효과가 매우 높으며 피부자극 또는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용용 접착제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미용용 접착제 중 분장용 접착제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삭제
  2. 분산제용 계면활성제에 구아검(Guar Gum)을 투입하여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형성하여 준비하는 과정(1과정),
    물을 교반장치에 투입후 상온에서 교반시키는 과정(2과정),
    상기한 2과정을 진행하면서 아크릴 에멀션을 투입하여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과정(3과정),
    상기한 3과정의 분산된 아크릴 에멀션에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과정(4과정),
    상기한 4과정의 반응 과정 후에 상기의 1과정에서 준비한 린스드 오일 구아검 믹스 혼합체를 반응시켜 접착 혼합체를 형성하는 과정(5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5과정 후에 형성된 접착 혼합체를 완전 밀봉하여 숙성시키는 과정(6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KR1020220001281A 2022-01-05 2022-01-05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KR10259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81A KR102595476B1 (ko) 2022-01-05 2022-01-05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KR1020230142594A KR20230168989A (ko) 2022-01-05 2023-10-24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81A KR102595476B1 (ko) 2022-01-05 2022-01-05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2594A Division KR20230168989A (ko) 2022-01-05 2023-10-24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810A KR20230105810A (ko) 2023-07-12
KR102595476B1 true KR102595476B1 (ko) 2023-10-27

Family

ID=871635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281A KR102595476B1 (ko) 2022-01-05 2022-01-05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KR1020230142594A KR20230168989A (ko) 2022-01-05 2023-10-24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2594A KR20230168989A (ko) 2022-01-05 2023-10-24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54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7907A (en) 1997-03-12 1999-12-07 Rhodia Inc. Enhancement of guar solution stability
JP2007534774A (ja) 2004-04-30 2007-11-2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長期装着化粧料組成物
KR101566010B1 (ko) 2015-05-21 2015-11-04 한일시멘트 (주) 증점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증점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WO2020223025A1 (en) 2019-04-30 2020-11-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 oil blen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2476A (en) * 1988-04-04 1991-02-12 Warner-Lambert Company Skin cleansing and moistu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and preparing same
DE4242015A1 (de) * 1992-04-02 1993-10-07 Sebapharma Gmbh & Co Wundverband, Wundauflage oder Trägermatrix
KR100548212B1 (ko) * 1997-08-08 2006-04-06 빅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아크릴계점착제조성물,점착테이프및점착제층의형성방법
TWI412570B (zh) * 2004-04-27 2013-10-21 Showa Denko Kk Adhesive for patc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17998B1 (ko) * 2013-03-08 2015-05-06 수산고분자 주식회사 천연 오일을 포함하는 증점제 조성물
KR101792744B1 (ko) * 2016-01-14 2017-11-0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성분을 포함하는 미용용 접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7907A (en) 1997-03-12 1999-12-07 Rhodia Inc. Enhancement of guar solution stability
JP2007534774A (ja) 2004-04-30 2007-11-2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長期装着化粧料組成物
KR101566010B1 (ko) 2015-05-21 2015-11-04 한일시멘트 (주) 증점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증점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WO2020223025A1 (en) 2019-04-30 2020-11-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 oil ble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989A (ko) 2023-12-15
KR20230105810A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15798T2 (de) Erweichende zusammensetzung basierend auf jojoba ester
KR101934526B1 (ko) 초기 착색력이 우수하고 점도 조절이 용이한 필오프 타입 눈썹 문신용 화장료 조성물
EP1874262A1 (fr) Composition aqueuse pour vernis a ongles
KR101525962B1 (ko) 수성 에나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05267B1 (ko) 폴리우루시올 나노 수성액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폴리우루시올 분말 및 그의 용도
KR102595476B1 (ko) 분장용 접착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분장용 접착제
KR20140059449A (ko)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06727066A (zh) 丝滑补水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286913B1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CN110305369A (zh) 一种缓释型天然植物香氛功能涂料
CN111035575A (zh) 一种uv固化改性硫醇树脂指甲油及其制备方法
JPS6124512A (ja) 口紅オ−バ−コ−ト
KR20100067604A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1제형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CN108210415A (zh) 一种辣椒红色素丝滑口红的加工方法
JPS6366107A (ja) 乳化型化粧料
KR101434299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E19831000C1 (de) Mischung aus Kolophonium-Harz und Wachs
KR20130044667A (ko) 파우더 화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374907A (zh) 一种护肤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742821A (zh) 一种幼变焕肤面膜及其制备方法
DE2405216A1 (de) Kosmetische produkte, diese enthaltende schweisshemmende mitt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N111971019A (zh) 稳定吸附在二氧化硅表面的栀子红色素以及含有其的化妆料组合物
KR101700114B1 (ko) 립 코팅과 롱 래스팅 효과를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943218A (zh) 一种耐污防菌的环保型水性木器漆
KR20150108193A (ko) 겔 타입의 아이라이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