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118B1 - 5층 구조 시트 - Google Patents

5층 구조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118B1
KR102595118B1 KR1020210054914A KR20210054914A KR102595118B1 KR 102595118 B1 KR102595118 B1 KR 102595118B1 KR 1020210054914 A KR1020210054914 A KR 1020210054914A KR 20210054914 A KR20210054914 A KR 20210054914A KR 102595118 B1 KR102595118 B1 KR 102595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sin
hips
layer
she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359A (ko
Inventor
송승혁
Original Assignee
(주)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라 filed Critical (주)바라
Priority to KR102021005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1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2/00Resin or rubber layer comprising scrap, waste or recycl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시트층의 버진수지와 재생수지의 비율과 외측시트의 층수를 변경하여, 재생수지의 함량은 높이면서도, 인장강도와 신율이 개선되고, 재생수지에 의한 휘발성 물질의 용출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 5층 구조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5층 구조 시트{5-layer structure sheet}
본 발명은 재생수지를 사용하는 5층 구조 시트에 관한 것으로, 혼합시트층의 버진수지와 재생수지의 비율과 외측시트의 층수를 변경하여, 재생수지의 함량은 높이면서도, 인장강도와 신율이 개선되고, 재생수지에 의한 휘발성 물질의 용출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 5층 구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마시는 음료는 합성수지재의 용기에 담겨 보관된다. 합성수지재의 용기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취급이 편리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합성수지재 용기의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용기를 들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종류는 다층 시트의 형태를 변형하여 용기의 형상을 갖춘 것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용기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용기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다층시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장의 버진시트(SV)를 이용하게 되는데, 버진시트의 일부를 오려내어 가공부위(S1)로 사용하고, 이를 가공하여 합성수지재 용기를 제조하게된다.
이때, 버진시트의 일부를 오려내어 가공부위(S1)로 사용하고 나면, 잔여부위(S2)가 남게 되는데, 상기 잔여부위(S2)는 자원 낭비 방지 및 환경 보전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잔여부위(S2) 회수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Flake로 가공하고, 세척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Pellet으로 재가공하여 이용하며, 이를 재생수지(Post consumer resin)라 부른다. 한편, 상기 재생수지는 용기를 재활용하기 위해 분리배출한 것을 수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재생수지(Post consumer resin)는 재가공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나 기타화합물의 잔재가 남게 되므로, 재생수지(Post consumer resin)가 음식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서는 안된다는 식품공전의 명시가 있다. 또한, 상기 재생수지(Post consumer resin)는 휘발성물질이 방출될 수 있는바, 재생수지(Post consumer resin)가 음식물에 닿지 않도록, 버진수지(virgin resin)를 이용하여 외측을 덮어주어여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합성수지재 시트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HIPS 버진수지 50중량%와 HIPS 재생수지 50중량%를 혼합하여 중간시트층을 구성하고, 중간시트층의 양 외측면을 버진수지인 HIPS 100중량%인 외측시트층으로 덮어서 재생수지(Post consumer resin)가 음식물에 닿지 않도록 제조하곤 하였다. 이때, 중간시트층은 합성수지재 시트의 총 두께 대비 80%가 되도록 구성하고, 중간시트층의 양 외측면을 덮는 외측시트층은 합성수지재 시트의 총 두께 대비 각각 10% 씩 되도록하여 제조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합성수지재 시트는 인장강도와 신율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재생수지에 의한 휘발성 물질의 용출이 완벽히 방어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인장강도와 신율이 개선되고, 재생수지에 의한 휘발성 물질의 용출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신규한 구조의 시트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4584호(2014.03.17.공고), "포장 용기용 플라스틱 시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혼합시트층의 버진수지와 재생수지의 비율과 외부시트의 층수를 변경하여, 재생수지의 함량은 높이면서도, 인장강도와 신율이 개선되고, 재생수지에 의한 휘발성 물질의 용출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 5층 구조 시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HIPS버진수지와 HIPS재생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시트층과, 상기 혼합시트층의 양면에 접합되는 제1, 2내측시트층; 및, 상기 제1, 2내측시트층의 외측에 접합되는 제1, 2외측시트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층 구조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시트층은 HIPS버진수지 33중량%와 HIPS재생수지 67중량%가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시트층은 시트 총 두께 대비 6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내측시트층은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이루어지며, 시트 총 두께 대비 각각 15%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외측시트층은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이루어지며, 시트 총 두께 대비 각각 5%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층 구조 시트는 혼합시트층의 버진수지와 재생수지의 비율과 외부시트의 층수를 변경하여, 재생수지의 함량은 높이면서도, 인장강도와 신율이 개선되고, 재생수지에 의한 휘발성 물질의 용출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최적의 수지 구성비 및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5층 구조 시트를 적용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시트를 이용하여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 중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HIPS재생수지의 플레이크 및 펠렛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5은 종래의 시트 레이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층 구조 시트의 단면도.
도 7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인장강도 확인 실험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신율 확인 실험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5층 구조 시트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5층 구조 시트를 적용한 용기의 사시도고, 도 2는 시트를 이용하여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 중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HIPS재생수지의 플레이크 및 펠렛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종래의 시트 레이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층 구조 시트의 단면도다.
본 발명은 5층 구조 시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IPS버진수지와 HIPS재생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시트층(11), 상기 혼합시트층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제1시트층(12a)과 2내측시트층(12b) 및, 상기 제1시트층(12a)과 2내측시트층(12b)의 외측에 각각 접합되는 제1외측시트층(13a)과 2외측시트층(13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시트층(11)은 HIPS버진수지와 HIPS재생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혼합시트층(11)은 시트 총 두께 대비 6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HIPS버진수지란, 본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이며, 재가공을 하지 않은 순수한 상태의 HIPS수지를 칭한다. 상기 HIPS수지는 High Impact Polystyrene의 약자로써, 폴리스티렌과 폴리부타디엔을 섞어 만드는 물질이다. 상기 HIPS 수지는 원색(Natural)을 띠고 있으며, 순수 폴리스티렌의 단점인 충격흡수를 보강한 것이다. 상기 HIPS수지는 순수 폴리스티렌에 비해 충격과 마모에 상대적으로 강한 특징을 갖는다.
한편, HIPS재생수지는, 본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이며, 재가공에 의해 물성이 변형된 HIPS수지를 칭한다. 일반적으로 음료 등의 보관에 이용되는 용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HIPS버진수지로 형성되는 HIPS시트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면적을(예컨데 도 2의 가공부위(S1)) 잘라내어 사용하고, 남는 잔여부위(예컨데 도 2의 잔여부위(S2))는 재가공을 하여 이용하게 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레이크 형태,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펠렛 형태를 거쳐 HIPS재생수지로 이용된다. HIPS재생수지는 HIPS수지를 재가공하는 과정에서 분자사슬이 변형되고, 색깔도 옐로우리쉬(yellowlish)해지며 전반적인 물성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HIPS재생수지는 HIPS버진수지와 동일한 물질로 볼 수 없다.
다만, 상기 HIPS재생수지는 자원 낭비 방지 및 환경 보전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사용되게 되는데, 재가공한 수지인 바, 휘발성물질이 방출될 수 있으며, 인장강도, 신율 등 전반적인 물성이 HIPS버진수지에 비해서 약 15 ~ 20%가량 떨어지는 바, HIPS재생수지와 HIPS버진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시트층(11)은 HIPS버진수지 33중량%와 HIPS재생수지 67중량%가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시트는 중간층에 HIPS버진수지 50중량%와 HIPS재생수지 50중량%를 혼합하여 구성하였는데, 이 중간층의 두께는 시트 전체 두께 대비 80%의 두께를 가지고 있는 바, 종래의 시트에 포함되는 총 HIPS재생수지의 비율은 시트 전체 중량 대비 40.0중량%를 차지한다.
그런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시트의 혼합시트층(11)은 HIPS버진수지 33중량%와 HIPS재생수지 67중량%를 혼합하여 구성하며, 이 혼합시트층(11)의 두께는 시트 전체 두께 대비 60%의 두께를 가지고 있는 바, 본 발명의 5층 구조 시트에 포함되는 HIPS재생수지의 비율은 시트 전체 중량 대비 40.2중량%를 차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5층 구조 시트는 혼합시트층(11)에 HIPS재생수지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으면서, 시트에 포함되는 총 HIPS재생수지의 비율은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HIPS재생수지를 0.2중량%만큼 더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혼합시트층(11)에 포함되는 총 HIPS재생수지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 및 신율이 떨어지고, HIPS재생수지에 의해 휘발성물질이 방출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5층 구조 시트는 혼합시트층(11)을 덮는 제1, 2내측시트층(12a, 12b) 및 제1, 2외측시트층(13a, 13b)을 형성하여 이를 방지함은 물론, 인장강도 및 신율을 오히려 향상시키고, 휘발성물질의 방출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시트층(12a)과 제2내측시트층(12b)은 상기 혼합시트층(11)의 양면에 접합된다.
이때, 상기 제1내측시트층(12a)은 시트 총 두께 대비 15%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내측시트층(12b)은 시트 총 두께 대비 15%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다.
상기 제1내측시트층(12a)과 제2내측시트층(12b)은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제1내측시트층(12a)과 제2내측시트층(12b)의 외측에는 제1외측시트층(13a)과 제2외측시트층(13b)이 접합된다.
이때, 상기 제1외측시트층(13a)은 시트 총 두께 대비 5%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외측시트층(13a)은 제1내측시트층(12a)의 외측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외측시트층(13b)은 시트 총 두께 대비 5%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외측시트층(13b)은 제2내측시트층(12b)의 외측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외측시트층(13a)과 제2외측시트층(13b)은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된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5층 구조 시트는, HIPS버진수지 33중량%와 HIPS재생수지 67중량%가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수지로 구성되는 혼합시트층(11)이 시트 총 두께 대비 60%의 두께로 중앙에 위치하고,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되는 제1내측시트층(12a)과 제2내측시트층(12b)이 시트 총 두께 대비 각각 15%의 두께를 갖도록 혼합시트층(11)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며,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되는 제1외측시트층(13a)이 시트 총 두께 대비 5%의 두께를 갖도록 제1내측시트층(12a)의 외측에 접합되고,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되는 제2외측시트층(13b)이 시트 총 두께 대비 5%의 두께를 갖도록 제2내측시트층(12b)의 외측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5층 구조 시트의 효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3. 본 발명에 따른 5층 구조 시트의 제조
하기의 기재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의 5층 구조 시트를 제조하였다.
HIPS버진수지 33중량%와 HIPS재생수지 67중량%가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수지로 구성되는 혼합시트층(11)이 시트 총 두께 대비 60%의 두께로 중앙에 위치하고,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되는 제1내측시트층(12a)과 제2내측시트층(12b)이 시트 총 두께 대비 각각 15%의 두께를 갖도록 혼합시트층(11)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며,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되는 제1외측시트층(13a)이 시트 총 두께 대비 5%의 두께를 갖도록 제1내측시트층(12a)의 외측에 접합되고,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되는 제2외측시트층(13b)이 시트 총 두께 대비 5%의 두께를 갖도록 제2내측시트층(12b)의 외측에 접합되도록 5층구조 시트를 제조하였다.
다수의 실험을 통한 평균값을 확인하기 위하여, 총 3회에 걸쳐 제조하였으며, 이들을 각각 제조한 순서에 따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으로 칭하였다.
비교예 1. 종래의 3층 구조 시트 제조
하기의 기재에 따라, 비교예1의 3층 구조 시트를 제조하였다.
HIPS버진수지 50중량%와 HIPS재생수지 50중량%가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수지로 구성되는 중간층이 시트 총 두께 대비 80%의 두께로 중앙에 위치하고,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되는 제1외측층과 제2외측층이 시트 총 두께 대비 각각 10%의 두께를 갖도록 중간층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도록 3층구조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인장강도 확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시트에 대하여 인장강도 확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시트에 대해 인장강도 확인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ASTM D638(50mm/min)을 수행하였다. ASTM D638은 각각의 시트에 인장력을 가하고, 응력하에서 시트의 특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분당 50mm의 속도로 인장력을 가해 시트가 항복하거나 파단하기까지 가할 수 있는 힘의 양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kg/cm2)
비교예1 198.0
실시예1 208.5
실시예2 211.0
실시예3 210.0
실시예 평균 209.8
그 결과 기존 3층으로 구성되는 비교예 1의 시트에 비하여, 본 발명의 5층으로 구성된 시트의 인장강도가 공히 상승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결과를 그래프로 도 7에 나타내었는데, 도 7에서 '기존'은 비교예 1을 의미하며, 신규_1은 실시예 1을 의미하고, 신규_2는 실시예 2를 의미하며, 신규_3은 실시예 3을 의미하고, 신규평균은 실시예 1 내지 3의 평균을 의미한다.
실험예 2. 신율 확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시트에 대하여 신율 확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시트에 대해 신율 확인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ASTM D638(50mm/min)을 수행하였다. ASTM D638은 각각의 시트에 인장력을 가하고, 응력하에서 시트의 특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분당 50mm의 속도로 인장력을 사해 시트의 파단 후의 표점거리 증가량을 원래의 표점거리로 나누었다. 신율이 클수록 연성이 높다.
신율(%)
비교예1 99.2
실시예1 102.0
실시예2 103.0
실시예3 102.5
실시예 평균 102.5
그 결과 기존 3층으로 구성되는 비교예 1의 시트에 비하여, 본 발명의 5층으로 구성된 시트의 신율이 공히 상승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결과를 그래프로 도 8에 나타내었는데, 도 8에서 '기존'은 비교예 1을 의미하며, 신규_1은 실시예 1을 의미하고, 신규_2는 실시예 2를 의미하며, 신규_3은 실시예 3을 의미하고, 신규평균은 실시예 1 내지 3의 평균을 의미한다.
실험예 3. 광택도, 고무함량 및 유리전이온도 분석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시트에 대하여 광택도, 고무함량 및 유리전이온도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무함량은 적외선 분광법(FT-IR)을 이용하였으며,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 열량분석(DSC)을 이용하였고, 광택도는 광택기기(광원입사각 6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고무함량
(%)
유리전이온도
(℃)
광택도_앞면
(GU)
광택도_뒷면
(Gu)
비교예1 7.94 91.53 20.9 20.9
실시예1내지3 평균 8.07 90.82 24.0 24.1
비교예-실시예 차이 0.13 0.71 3.1 3.2
그 결과, 기존 3층으로 구성되는 비교예1의 시트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시트 간 고무함량 및 유리전이온도는 동등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존 3층으로 구성되는 비교예1의 시트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시트 간 열성형을 진행할 때 가공온도와 내충격성의 기계적 물성치는 변동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광택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시트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신규 시트에 대한 용출 시험
실시예 1의 시트에 대하여 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기준은 각각 납(mg/L), 과망간산칼륨소비량(mg/L), 총용출량(mg/L), 휘발성물질(mg/kg), 납, 카드뮴, 수은 및 6가크롬(mg/kg), 톨루엔(mg/m2)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시험 검사 기준을 초과하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시험·검사 기준 실시예 1의 시험결과 판정
납(mg/L) 1이하 불검출 적합
과망간산칼륨소비량(mg/L) 10이하 3 적합
총용출량(mg/L) 30이하(다만, 침출용액이 n-헵탄인 경우 240 이하) 물:2
4%초산:10
n-헵탄:2
적합
휘발성물질(mg/kg) 5000이하 590 적합
납, 카드뮴, 수은 및 6가크롬(mg/kg) 100이하 0 적합
톨루엔(mg/m2) 2이하 0 적합
그 결과 실시예 1의 시트는 모든 기준에 대하여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실험예 5. 종래 시트에 대한 용출 시험
비교예 1의 시트에 대한 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기준은 각각 납(mg/L), 과망간산칼륨소비량(mg/L), 총용출량(mg/L), 휘발성물질(mg/kg), 납, 카드뮴, 수은 및 6가크롬(mg/kg), 톨루엔(mg/m2)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시험 검사 기준을 초과하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시험·검사 기준 비교예 1의 시험결과 판정
납(mg/L) 1이하 불검출 적합
과망간산칼륨소비량(mg/L) 10이하 3 적합
총용출량(mg/L) 30이하(다만, 침출용액이 n-헵탄인 경우 240 이하) 물:2
4%초산:10
n-헵탄:2
적합
휘발성물질(mg/kg) 5000이하 1020 적합
납, 카드뮴, 수은 및 6가크롬(mg/kg) 100이하 0 적합
톨루엔(mg/m2) 2이하 0 적합
그 결과 비교예 1의 시트역시 모든 기준에 대하여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그러나, 휘발성물질의 경우, 적합한 판정은 받았으나, 비교예 1의 시험결과가 실시예 1보다 높게 나타나 비교예 1의 종래의 시트가 휘발성 물질을 더 많이 방출하며, 실시예 1의 시트가 휘발성물질의 방출을 더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용기
10: 5층 구조 시트
11: 혼합시트층
12a: 제1내측시트층
12b: 제2내측시트층
13a: 제1외측시트층
13b: 제2외측시트층

Claims (5)

  1. 시트 총 두께 대비 60%의 두께로 중앙에 위치하며, 재가공을 하지 않은 순수한 상태의 HIPS(High Impact Polystyrene)버진수지 33중량%와 재가공에 의해 물성이 변형된 HIPS재생수지 67중량%를 혼합하여 형성한 혼합수지로 구성된 혼합시트층;
    시트 총 두께 대비 각각 15%의 두께를 갖도록 혼합시트층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며,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되는 제1내측시트층과 제2내측시트층;
    시트 총 두께 대비 5%의 두께를 갖도록 제1내측시트층의 외측에 접합되며,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되는 제1외측시트층; 및,
    시트 총 두께 대비 5%의 두께를 갖도록 제2내측시트층의 외측에 접합되며, HIPS버진수지 100중량%로 구성되는 제2외측시트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층 구조 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54914A 2021-04-28 2021-04-28 5층 구조 시트 KR102595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914A KR102595118B1 (ko) 2021-04-28 2021-04-28 5층 구조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914A KR102595118B1 (ko) 2021-04-28 2021-04-28 5층 구조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359A KR20220148359A (ko) 2022-11-07
KR102595118B1 true KR102595118B1 (ko) 2023-10-30

Family

ID=8404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914A KR102595118B1 (ko) 2021-04-28 2021-04-28 5층 구조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1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7186A (ja) * 2001-03-22 2002-12-04 Sanyo Electric Co Ltd 多層成形品およびその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7904A (ja) * 1997-09-17 1999-03-23 Takeuchi Sangyo Kk 多層樹脂シートおよび多層樹脂成形体
US9056711B2 (en) 2007-05-11 2015-06-16 J-Chemical Corporation Plastic sheet for packag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7186A (ja) * 2001-03-22 2002-12-04 Sanyo Electric Co Ltd 多層成形品およびそ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359A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5857B2 (en) Fluoropolymer composition
CA1163875A (en) Manufacture of draw-redraw cans using steel sheet material film laminated or extrusion coated with a high density polyethylene graft copolymer
AU2006304765B2 (en) Mixed ion ionomeric sheets and high strength laminates produced therefrom
US9511568B2 (en) Non-polyvinylchloride (PVC) tile
KR101946987B1 (ko) 친환경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AU2009260627A1 (en) Innerliner with nylon skin layer
WO2003039867A1 (en) Protective film for glass
WO2012037931A1 (de) Klare transparente antifog-mehrschicht-folie
JPH01269528A (ja) 積層物
KR102595118B1 (ko) 5층 구조 시트
JP7386311B2 (ja) 化粧シート
JPH04316839A (ja) 可撓包装材料及びその用法
US6299968B1 (en) General purpose multilayer film products
EP1138479B1 (de) Transparente, tiefziehfähige und frühsiegelnde Folie mit UV-Sperreigenschaften sowie deren Verwendung als Verpackungsmaterial für Lebensmittel
WO2017216827A1 (ja) 不純微粒子溶出量の少ない耐薬品性吹込み成形積層容器
EP0613774B1 (de) Mehrschichtige, leicht tiefziehfähige, Polyamid enthaltende Folie mit verbesserter Durchstichfestigkeit
CA2122283A1 (en) Deep-drawable, sealable recycled film in at least three layers, based on polyamide and polyolefins and with a high content of recycled material
US20070092674A1 (en) Multi-layered container for hazardous substanc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20170341353A1 (en) Shrink film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KR20160123308A (ko) 플라스틱 시트,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 방법,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3681553B2 (ja) オレフィ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
CN111152532B (zh) Pe收缩膜
DE19856445A1 (de) Verfahren zur Erhöhung der Brandfestigkeit von Polyethylen enthaltenden Hohlkörpern
WO2021131814A1 (ja) 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積層体
JP6518839B2 (ja) 透明性に優れ不純微粒子溶出量の少ない耐薬品性吹込み成形積層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