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799B1 -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 Google Patents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799B1
KR102594799B1 KR1020210054032A KR20210054032A KR102594799B1 KR 102594799 B1 KR102594799 B1 KR 102594799B1 KR 1020210054032 A KR1020210054032 A KR 1020210054032A KR 20210054032 A KR20210054032 A KR 20210054032A KR 102594799 B1 KR102594799 B1 KR 102594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coupling
protrusion
water
low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208A (ko
Inventor
김희태
윤석진
김범재
Original Assignee
글로벌인프라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인프라텍(주) filed Critical 글로벌인프라텍(주)
Priority to KR102021005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7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81Apparatus supplied with low pressure gas, e.g. "hvlp"-guns; air supplied by a fan
    • B05B7/0087Atmospheric air being sucked by a gas stream, generally flowing through a venturi, at a location upstream or inside the spra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및 물 중 어느 하나가 공급되는 제1 결합 부재; 공기 및 물 중 다른 하나가 공급되고, 제1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 및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3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제3 결합 부재는, 둘레면이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결합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고,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물이 공급되는 방향 및 공기가 공급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부를 포함하는,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ODOR REMOVAL VENTURY NOZZLE APPARATUS USING LOW PRESSURE}
본 발명은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버블은 입자 직경이 통상의 버블이 갖는 입자 직경보다 매우 작은 마이크로 사이즈의 버블을 의미한다. 이러한 마이크로 버블은 물과 기체가 함께 수압에 의해 섞였을 때 생성된다. 이때, 마이크로 버블은 통상의 버블이 가지고 있지 않은 성질을 지니게 된다. 예를 들어, 밀리미터 사이즈 이상의 버블은 빠른 속도로 부상하여 수면에 이르면 사라져버리는 반면, 마이크로 버블은 통상의 버블에 비해 부력이 작아 천천히 부상한다. 이러한 현상은 버블이 갖는 입자 직경이 작으면 작을수록 부력에 대한 저항 효과가 커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마이크로 버블이 천천히 떠오른다는 것은 마이크로 버블이 그만큼 오래 물속에 머물러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마이크로 버블이 물속에 머물러 있는 동안 마이크로 버블 속의 기체는 주위의 물에 점점 녹아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버블의 입자 직경이 작을수록 버블 속 공기의 부피에 대한 표면적의 비율이 커진다. 이로부터 볼 때, 같은 양의 기체를 물에 녹이려면 버블 하나 하나의 부피가 작고, 표면적의 합계가 큰 마이크로 버블의 효율이 좋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버블은 입자 직경이 50μm 이하의 매우 미세한 버블이기 때문에, 마이크로 버블이 물속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최종적으로는 마이크로 버블이 가지고 있는 음이온의 흡착 능력이 최대한 늘어남에 따라, 유체가 흐르는 관 및 유체 속의 스테인, 슬러지 등이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처럼 마이크로 버블에는 대전 작용이나 자기 가압 효과 등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수처리 분야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버블은 종래의 벤츄리 노즐 장치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종래의 벤츄리 노즐 장치는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벤츄리 노즐 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 및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구비되고 유입부 및 배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벤츄리 노즐 장치에서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하는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유입부로 유입된 물은 목부를 통과하고, 목부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목부를 통과하는 물에 용해됨에 따라,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버블이 함유된 물은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벤츄리 노즐 장치는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에 의해 수두 손실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넓은 설치 면적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벤츄리 노즐 장치의 수두 손실은 벤츄리 노즐 장치를 통과하는 유량 감소를 야기하므로,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벤츄리 노즐 장치는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부압 장치 및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기 위한 공기 공급 라인이 별도로 요구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설치 면적이 감소되고,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벤츄리 노즐 장치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있는 설치 면적이 감소되고,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 및 물 중 어느 하나가 공급되는 제1 결합 부재; 공기 및 물 중 다른 하나가 공급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3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 부재는, 둘레면이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고,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물이 공급되는 방향 및 공기가 공급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부를 포함하는,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부는, 상기 돌출부의 일 단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타 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일 단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타 단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유로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이 구비되고, 상기 요홈은, 상기 결합부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과 상기 결합부의 둘레면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과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 사이의 거리는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1 결합 수단이 구비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둘레면에 연결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 결합 부재의 후방에 위치하는 공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부분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결합 수단이 구비되는 제2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분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2 결합 수단과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3 결합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 결합 수단과 상기 제3 결합 수단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상기 제1 연결 부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단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1 결합 수단과 결합되는 제4 결합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는 설치 면적이 감소되고,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의 제3 결합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의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측, 타 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물에 용해시켜서 마이크로 버블이 함유된 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은 냄새 분자, 오염 물질, 요석 등과 흡착되어 냄새 분자, 오염 물질, 요석 등을 제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1)는 제1 결합 부재(10), 제2 결합 부재(20) 및 제3 결합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10)는 공기 및 물 중 어느 하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결합 부재(10)는 내부에 공기, 물 및 마이크로 버블이 함유된 물 중 적어도 하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 부재(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1), 제1 연장부(11)의 둘레면에 연결되는 제2 연장부(12) 및 제2 연장부(12)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공기 공급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장부(11), 제2 연장부(12) 및 공기 공급부(13)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제작된 다음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연장부(11)의 내측면에는 제1 결합 수단(1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 수단(111)은 후술할 제3 결합 부재(30)의 결합부(31)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제4 결합 수단(312)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 수단(111) 및 제4 결합 수단(312)이 각각 나사산으로 구비되어 제1 연장부(11)와 결합부(31)가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수단(111)은 끼움 돌기 및 끼움홈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제4 결합 수단(312)이 끼움 돌기 및 끼움홈 중 다른 하나로 구비되어 제1 연장부(11)가 결합부(31)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연장부(11)는 일 예로 양 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의 일 단부에는 제2 연장부(1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연장부(11)의 타 단부는 마이크로 버블이 함유된 물이 배출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2)는 제1 연장부(11)의 둘레면으로부터 제1 연장부(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121) 및 제1 연결 부분(121)의 둘레면으로부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결합 수단(1221)이 구비되는 제2 연결 부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장부(12)의 반경방향 외측은 제2 연장부(12)의 둘레면에서 제2 연장부(12)의 중심부와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연결 부분(121)은 제2 결합 수단(1221)과 후술할 제2 결합 부재(20)의 제3 결합 수단(21)의 이격 공간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제3 결합 부재(3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연결 부분(121)의 내측면(1211) 중 적어도 일부는 일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 부분(121)의 내측면(1211)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결합 부재(20)의 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제2 결합 수단(1221)과 후술할 제2 결합 부재(20)의 제3 결합 수단(21)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3 결합 부재(3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분(122)은 후술할 제2 결합 부재(20)의 제3 결합 수단(21)과 결합되기 위해 제공되는 부분으로, 제2 연결 부분(122)의 제2 결합 수단(1221)이 후술할 제2 결합 부재(20)의 제3 결합 수단(21)과 결합되면, 제2 연결 부분(122)의 단부는 제2 결합 부재(20)의 외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공기 공급부(13)는 일 방향을 기준으로 제3 결합 부재(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공기 공급부(13)의 길이방향 일 단부는 제2 연결 부분(122)와 연통될 수 있으며, 제2 결합 부재(2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공급부(13)의 길이방향은 도 4의 z축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공기 공급부(13)의 길이방향 일 단부가 제2 결합 부재(2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더라도, 제2 연결 부분(122)의 단부가 제2 결합 부재(20)의 외측면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공기 공급부(13)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제2 연장부(12)의 제2 연결 부분(122)의 제2 결합 수단(1221)과 후술할 제2 결합 부재(20)의 제3 결합 수단(21) 사이의 이격 공간을 유동할 수 있다. 이때, 공기의 유동 방향은 타 방향일 수 있다. 제2 연장부(12)의 제2 연결 부분(122)의 제2 결합 수단(1221)과 후술할 제2 결합 부재(20)의 제3 결합 수단(21) 사이의 이격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는 제2 연장부(12)의 제1 연결 부분(121)의 내측면과 제2 결합 부재(20)의 단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유동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20)는 제1 결합 부재(10)와 결합되어 공기 및 물 중 다른 하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결합 부재(20)는 내부에 공기, 물 및 마이크로 버블이 함유된 물 중 적어도 하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 부재(20)는 일 예로 양 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20)의 일 단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제2 결합 부재(20)의 타 단부는 제1 결합 부재(10)의 제2 연장부(1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결합 부재(20)의 타 단부의 외측면에는 제2 연장부(12)의 제2 연결 부분(122)의 제2 결합 수단(1221)과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3 결합 수단(2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결합 수단(1221) 및 제3 결합 수단(21)이 각각 나사산으로 구비되어 제2 연장부(12)와 제2 결합 부재(20)가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수단(1221)은 끼움 돌기 및 끼움홈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제3 결합 수단(21)이 끼움 돌기 및 끼움홈 중 다른 하나로 구비되어 제2 연장부(12)가 제2 결합 부재(20)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제3 결합 부재(30)는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증대시켜서 물에 대한 공기의 용해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 부재(30)는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공기 공급부(13)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물 및 마이크로 버블이 함유된 물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 방향을 규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결합 부재(30)는 제1 결합 부재(10) 및 제2 결합 부재(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결합 부재(30)가 제1 결합 부재(10) 및 제2 결합 부재(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3 결합 부재(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결합 부재(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3 결합 부재(30)의 나머지는 제2 결합 부재(2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결합 부재(30)는 둘레면이 제1 결합 부재(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31), 결합부(31)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돌출부(32) 및 돌출부(32)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유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는 일 예로 둘레면을 따라 제4 결합 수단(312)이 구비되는 원 형상의 판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31)의 둘레면에는 요홈(3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요홈(311)는 유로부(33)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요홈(311)는 결합부(31)의 둘레면으로부터 결합부(3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31)의 반경방향 내측은 결합부(31)의 둘레면에서 결합부(31)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홈(311)에 의해 제1 결합 부재(10)의 내측면 및 제2 결합 부재(20)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와 결합부(31)의 둘레면 사이가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요홈(31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요홈(311)는 결합부(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31)의 원주방향은 결합부(31)의 둘레면에 따라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결합부(31)의 원주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결합부(31)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돌출부(32)는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증대시켜서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공급 압력을 강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1 결합 부재(10)의 공기 공급부(13)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효과적으로 용해되어 마이크로 버블이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32)는 결합부(31)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결합부(31)의 일면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32)의 형상에 의해 제1 결합 부재(10)의 내측면 및 제2 결합 부재의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돌출부(32)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유로부(33)는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공기 공급부(13)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물 및 마이크로 버블이 함유된 물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 방향을 규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로부(33)는 돌출부(32)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물이 공급되는 방향 및 공기가 공급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부(33)가 돌출부(32)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므로, 제1 결합 부재(10) 및 제2 결합 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과 유로부(33) 사이의 거리 역시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감소에 의해, 유로부(33)를 지나는 물의 압력이 감소되는 벤츄리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
이때, 유로부(33)는 돌출부(32)의 일 단부에서 돌출부(32)의 타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유로부(33)는 돌출부(32)의 일 단부에서 돌출부(32)의 타 단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유로부(33)의 폭은 제2 결합 부재(2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비되므로, 제2 결합 부재(20)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보다 유로부(33)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또한, 유로부(33)의 경사 구조에 의해 유로부(33)를 통과하는 물에 대한 공기의 용해도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유로부(33)는 돌출부(32)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부(32)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부(33)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유로부(33)는 돌출부(32)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32)의 반경방향 내측은 돌출부(32)의 둘레면에서 돌출부(32)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돌출부(32)의 원주방향은 돌출부(32)의 둘레면에 따라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돌출부(32)의 원주방향은 돌출부(32)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도 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상기 방향들은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 모두를 포괄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물 공급 장치(미도시)의 물이 제2 결합 부재(20)로 공급되고, 공기 공급 장치(미도시)의 공기가 공기 공급부(13)로 공급된다. 여기서,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제2 결합 부재(2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유동하다가 제3 결합 부재(30)의 돌출부(32)에 도달한다. 또한, 공기 공급부(13)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제1 결합 부재(10)의 제2 연장부(12)와 제2 결합 부재(20) 사이, 즉, 제2 연장부(12)의 제2 결합 수단(1221) 및 제2 결합 부재(20)의 제3 결합 수단(21)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유동한다. 다시 말해, 제2 연장부(12)의 제2 결합 수단(1221) 및 제2 결합 부재(20)의 제3 결합 수단(21) 사이의 이격 공간이 종래의 벤츄리 노즐 장치에 공급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되는 공기 공급 라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공기 공급 라인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설치 면적이 감소되고,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돌출부(32)에 도달한 물은 돌출부(32)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유로부(33)를 따라 유동한다. 여기서, 돌출부(32)의 형상이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 결합 부재(10) 및 제2 결합 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과 돌출부(32)의 둘레면 사이의 거리가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결합 부재(10) 및 제2 결합 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과 유로부(33)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 역시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감소에 의해, 유로부(33)를 지나는 물의 압력이 감소되는 벤츄리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
한편, 유로부(33)를 따라 유동하는 물은 제2 연장부(12)의 제2 결합 수단(1221) 및 제2 결합 부재(20)의 제3 결합 수단(21)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만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용해되어 마이크로버블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부(33)의 폭이 제2 결합 부재(2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비되므로, 유로부(33)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은 제2 결합 부재(20)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보다 빠를 수 있다. 또한, 유로부(33)는 돌출부(32)의 일 단부에서 돌출부(32)의 타 단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경사지게 구비되어 유로부(33)를 빠르게 통과하는 물과 공기의 접촉 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유로부(33)를 통과하는 물에 대한 공기의 용해도가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벤츄리 노즐 장치처럼 별도로 부압 장치가 요구되지 않고, 종래의 부압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부압보다 작은 압력으로도 마이크로 버블이 효율적으로 생성됨에 따라, 설치 면적이 감소되고,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10: 제1 결합 부재
11: 제1 연장부 12: 제2 연장부
13: 공기 공급부 20: 제2 결합 부재
21: 제3 결합 수단 30: 제3 결합 부재
31: 결합부 32: 돌출부
33: 유로부 111: 제1 결합 수단
121: 제1 연결 부분 122: 제2 연결 부분
311: 요홈 312: 제4 결합 수단
1211: 제1 연결 부분의 내측면 1221: 제2 결합 수단

Claims (9)

  1. 공기 및 물 중 어느 하나가 공급되는 제1 결합 부재;
    공기 및 물 중 다른 하나가 공급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3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 부재는,
    둘레면이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고,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물이 공급되는 방향 및 공기가 공급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돌출부의 일 단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타 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일 단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타 단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유로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이 구비되고,
    상기 요홈은,
    상기 결합부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과 상기 결합부의 둘레면 사이를 이격시키는,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과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 사이의 거리는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1 결합 수단이 구비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둘레면에 연결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 결합 부재의 후방에 위치하는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부분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결합 수단이 구비되는 제2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분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단부와 이격되는,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2 결합 수단과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3 결합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 결합 수단과 상기 제3 결합 수단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상기 제1 연결 부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단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유동하는,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1 결합 수단과 결합되는 제4 결합 수단이 구비되는,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KR1020210054032A 2021-04-27 2021-04-27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KR10259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32A KR102594799B1 (ko) 2021-04-27 2021-04-27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32A KR102594799B1 (ko) 2021-04-27 2021-04-27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08A KR20220147208A (ko) 2022-11-03
KR102594799B1 true KR102594799B1 (ko) 2023-10-27

Family

ID=8404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032A KR102594799B1 (ko) 2021-04-27 2021-04-27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7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99B1 (ko) * 2009-08-14 2010-01-27 오엑스엔지니어링(주) 마이크로버블 노즐
KR100938895B1 (ko) * 2009-08-14 2010-01-27 오엑스엔지니어링(주) 고밀도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JP2019042700A (ja) * 2017-09-05 2019-03-22 株式会社富士計器 微細気泡液生成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927B1 (ko) * 2019-02-21 2021-02-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99B1 (ko) * 2009-08-14 2010-01-27 오엑스엔지니어링(주) 마이크로버블 노즐
KR100938895B1 (ko) * 2009-08-14 2010-01-27 오엑스엔지니어링(주) 고밀도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JP2019042700A (ja) * 2017-09-05 2019-03-22 株式会社富士計器 微細気泡液生成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08A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324B2 (en) Fluid supply pipe
JP4636420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US11000865B2 (en) Fluid supply apparatus
JP2009008087A (ja) 噴霧孔の形状
CN111093817A (zh) 微细气泡液生成器
KR102220927B1 (ko)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JP2019063986A (ja) 内部構造体
JP2005138830A (ja) 車両用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リザーバタンク
KR102594799B1 (ko) 냄새 제거 저압 벤츄리 노즐 장치
JP6580048B2 (ja) 海水淡水化システムおよびエネルギー回収装置
JPH05329311A (ja) 鉄粉吸着フィルタ
JP6075674B1 (ja) 流体混合装置
CN111804164A (zh) 一种多级气液混合装置
KR101524403B1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KR20170093299A (ko) 다공성 멤브레인을 이용한 미세버블 생성장치
CN111306959B (zh) 一种蒸汽喷射加热器
KR100827430B1 (ko) 차량용 연료절감기
KR20100050651A (ko) 차량용 연료절감기
JP2015196154A (ja) 二流体ノズルユニット
KR20170093304A (ko) 입자를 이용한 미세버블 생성장치
KR101809816B1 (ko) 와이어를 이용한 미세버블 생성장치
JPH10103620A (ja) 燃焼室を作動するためのバーナ
KR20210096489A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JP7112197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および洗濯機
RU2588903C1 (ru) Реверсивная рабочая камера эжектора "ворон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