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737B1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737B1
KR102594737B1 KR1020190015949A KR20190015949A KR102594737B1 KR 102594737 B1 KR102594737 B1 KR 102594737B1 KR 1020190015949 A KR1020190015949 A KR 1020190015949A KR 20190015949 A KR20190015949 A KR 20190015949A KR 102594737 B1 KR102594737 B1 KR 10259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opening
flat portion
receptacle connector
conduc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167A (ko
Inventor
김형준
카즈노리 이치가와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5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737B1/ko
Priority to CN202020158355.4U priority patent/CN211556232U/zh
Publication of KR2020009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강도가 보강되며 성능이 향상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평탄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로, 제1 평탄부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제1 평탄부의 제1 부분 상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평탄부의 측벽과 인접하는 제1 접속 단자, 제1 평탄부의 제1 부분 상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을 따라 제1 접속 단자와 인접하게 배열되는 제2 접속 단자, 제1 평탄부의 제2 부분 상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접속 단자, 및 제1 접속 단자와 제3 접속 단자 사이의 제1 평탄부 내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탄부와, 제2 평탄부의 전단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도전성 플레이트는, 제2 평탄부 내에, 로킹부와 인접하며, 제3 방향에서 제1 접속 단자의 전단과 중첩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제1 평탄부는 제1 개구를 채운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USB용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자 장치의 인쇄회로기판(PCB) 등에 실장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접속 단자들과, 상기 복수 개의 접속 단자들을 지지하는 몰드 구조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 단자들은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의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들은 상기 몰드 구조체에 의해 상호 절연되면서 보유된다.
한편, 상기 접속 단자들 간의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몰드 구조체 내에 도전성 플레이트가 추가적으로 보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도가 보강되며 성능이 향상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평탄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로, 제1 평탄부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제1 평탄부의 제1 부분 상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평탄부의 측벽과 인접하는 제1 접속 단자, 제1 평탄부의 제1 부분 상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을 따라 제1 접속 단자와 인접하게 배열되는 제2 접속 단자, 제1 평탄부의 제2 부분 상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접속 단자, 및 제1 접속 단자와 제3 접속 단자 사이의 제1 평탄부 내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탄부와, 제2 평탄부의 전단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도전성 플레이트는, 제2 평탄부 내에, 로킹부와 인접하며, 제3 방향에서 제1 접속 단자의 전단과 중첩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제1 평탄부는 제1 개구를 채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개구는, 제3 방향에서 제1 접속 단자의 전단과 중첩되는 제1 서브 개구와, 제3 방향에서 제2 접속 단자의 전단과 중첩되는 제2 서브 개구를 포함하고, 제1 서브 개구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제2 서브 개구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속 단자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제2 접속 단자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평탄부의 제1 부분 상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평탄부의 측벽으로부터 제2 접속 단자보다 이격되는 제4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고, 도전성 플레이트는, 제2 평탄부 내에, 로킹부로부터 제1 개구보다 이격되며, 제3 방향에서 제4 접속 단자의 전단과 중첩되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제1 개구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제2 개구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속 단자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고, 제2 접속 단자 및 제4 접속 단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성 플레이트는, 제2 평탄부 내에, 제1 개구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3 개구와, 제2 평탄부 내에, 제2 개구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4 개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개구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제4 개구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몰드 구조체는 도전성 플레이트 내의 개구를 관통하며 접속 단자들 및 도전성 플레이트를 지지하므로 강도가 보강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도전성 플레이트는 로킹부에 인접하는 개구를 포함하므로 고속 신호들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하며 강도가 보강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속 단자들 및 도전성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접속 단자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접속 단자 및 도전성 플레이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몰드 구조체(100), 접속 단자들(110, 120) 및 도전성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기판(예를 들어, 인쇄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등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방향(X)을 따라 전진하여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단과 체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단이란, 플러그 커넥터를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부분을 의미한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후단이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단과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부분을 의미한다.
몰드 구조체(100)는 접속 단자들(110, 120) 및 도전성 플레이트(130)를 지지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는 제1 평탄부(102), 둘레부(104) 및 후단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의 제1 평탄부(102)는 판(plat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평탄부(102)는 제1 방향(X) 및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평탄부(102)는 상부 접속 단자(110)의 일부 및 하부 접속 단자(120)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될 때, 접속 단자들(110, 120)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의 둘레부(104)는 제1 평탄부(102)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부(104)는 제1 평탄부(102)의 전단을 노출시키며 제1 평탄부(102)의 후단을 덮을 수 있다. 또한, 둘레부(104)는 상부 접속 단자(110)의 일부 및 하부 접속 단자(12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의 후단부(106)는 제1 평탄부(102)의 후단 및 둘레부(104)의 후단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의 후단부(106)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는 예를 들어, 폴리머(polymer), 플라스틱 수지 등을 포함하는 절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 구조체(100)는 복수의 상부 접속 단자(110) 및 복수의 하부 접속 단자(120)를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 구조체(100)는 LCP(liquid crystal polym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 단자들(110, 120)은 몰드 구조체(100)를 관통하여 몰드 구조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 단자들(110, 120)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 단자들(110, 120)의 일부는 몰드 구조체(10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단자들(110, 120)은 몰드 구조체(100)의 상부 상에 배치되는 상부 접속 단자(110) 및 몰드 구조체(100)의 하부 상에 배치되는 하부 접속 단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접속 단자(110)의 전단은 제1 평탄부(102)의 제1 부분(102a)에 의해 노출될 수 있고, 하부 접속 단자(120)의 전단은 제1 평탄부(102)의 제2 부분(102b)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접속 단자들(110, 120)은 소정의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단자들(110, 120)은 USB(Universial Serial Bus) 타입-C(type-C)의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USB 타입-C의 핀 규격의 세부 정보는 IDF(Intel Developer Forum)에서 공개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접속 단자(110)는 몰드 구조체(100)의 측벽으로부터 제2 방향(Y)을 따라 차례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4 접속 단자(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접속 단자(120)는 몰드 구조체(100)의 측벽으로부터 제2 방향(Y)을 따라 차례로 배열되는 제5 내지 제8 접속 단자(120a, 120b, 120c, 12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110a) 및 제5 접속 단자(120a)는 몰드 구조체(100)의 측벽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 구조체(100)의 측벽과 제1 접속 단자(110a) 사이 및 몰드 구조체(100)의 측벽과 제5 접속 단자(120a) 사이에 다른 접속 단자가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속 단자(110a) 및 제5 접속 단자(120a)는 몰드 구조체(100) 상에 배열되어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될 때, 제1 접속 단자(110a) 및 제5 접속 단자(120a)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속 단자(110a) 및 제5 접속 단자(120a)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파워(power)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110a) 및 제5 접속 단자(120a)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110a) 및 복수 개의 제5 접속 단자(120a)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 구조체(100)의 제1 부분(102a) 상에 2개의 제1 접속 단자(110a) 및 몰드 구조체(100)의 제2 부분(102b) 상에 2개의 제5 접속 단자(120a)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총 4개의 제1 접속 단자(110a) 및 제5 접속 단자(120a)가 몰드 구조체(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커넥터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제1 접속 단자(110a) 및 제5 접속 단자(120a)의 개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110b)는 제2 방향(Y)을 따라 제1 접속 단자(110a)와 인접하며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6 접속 단자(120b)는 제2 방향(Y)을 따라 제5 접속 단자(120a)와 인접하며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접속 단자(110b) 및 제6 접속 단자(120b)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될 때, 제2 접속 단자(110b) 및 제6 접속 단자(120b)는 플러그 커넥터의 신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속 단자(110b) 및 제6 접속 단자(120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110b) 및 제6 접속 단자(120b)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110b) 및 복수 개의 제6 접속 단자(120b)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 구조체(100)의 제1 부분(102a) 상에 4개의 제2 접속 단자(110b) 및 몰드 구조체(100)의 제2 부분(102b) 상에 4개의 제6 접속 단자(120b)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총 8개의 제2 접속 단자(110b) 및 제6 접속 단자(120b)가 몰드 구조체(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커넥터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제2 접속 단자(110b) 및 제5 접속 단자(120b)의 개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3 접속 단자(110c)는 제2 방향(Y)을 따라 제1 및 제2 접속 단자(110a, 110b) 및 제2 접속 단자(110b)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고, 제7 접속 단자(120c)는 제2 방향(Y)을 따라 제5 및 제6 접속 단자(120a, 120b)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될 때, 제3 접속 단자(110c) 및 제7 접속 단자(120c)는 플러그 커넥터의 그라운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접속 단자(110c) 및 제7 접속 단자(120c)는 고속 신호들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접속 단자(110c)와 제1 접속 단자(110a) 사이에 2개의 제2 접속 단자(110b)가 개재될 수 있고, 제4 접속 단자(110d)와 제6 접속 단자(120b) 사이에 2개의 제5 접속 단자(120a)가 개재될 수 있다.
제4 접속 단자(110d)는 제2 방향(Y)을 따라 제1 내지 제3 접속 단자(110a, 110b, 110c)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고, 제8 접속 단자(120d)는 제2 방향(Y)을 따라 제5 내지 제7 접속 단자(120a, 120b, 120c)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 접속 단자(110d) 및 제8 접속 단자(120d)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될 때, 제4 접속 단자(110d) 및 제8 접속 단자(120d)는 플러그 커넥터의 신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접속 단자(110d) 및 제8 접속 단자(120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제4 접속 단자(110d) 및 제8 접속 단자(120d)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4 접속 단자(110d) 및 복수 개의 제8 접속 단자(120d)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 구조체(100)의 제1 부분(102a) 상에 4개의 제4 접속 단자(110d) 및 몰드 구조체(100)의 제2 부분(102b) 상에 4개의 제8 접속 단자(120d)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총 8개의 제4 접속 단자(110d) 및 제8 접속 단자(120d)가 몰드 구조체(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커넥터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제4 접속 단자(110d) 및 제8 접속 단자(120d)의 개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접속 단자(110b)는 제4 접속 단자(110d)보다 고속으로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고, 제5 접속 단자(120a)는 제8 접속 단자(120d)보다 고속으로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속 단자(110b) 및 제5 접속 단자(120a)는 데이터 버스용 접속 단자(예를 들어, 타입-C의 핀 규격의 TX, RX)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접속 단자(110d) 및 제8 접속 단자(120d)는 사이드밴드(sideband)용 접속 단자(예를 들어, 타입-C의 핀 규격의 SBU), 구성 채널(configuration channel)을 위한 접속 단자(예를 들어, 타입-C의 핀 규격의 CC), 또는 차동 데이터 신호를 위한 접속 단자(예를 들어, 타입-C의 핀 규격의 D)일 수 있다.
접속 단자들(110, 12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단자들(110, 120)은 구리 합금(copper alloy)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몰드 구조체(1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상부 접속 단자(110)와 하부 접속 단자(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접지되어 고속 신호들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상부 접속 단자(110)와 하부 접속 단자(120) 사이의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제2 평탄부(131), 로킹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평탄부(131)는 몰드 구조체(100) 내에서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킹부(134)는 제2 평탄부(131)의 전단으로부터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그 내부에 복수의 개구(예를 들어, 도 2의 130O1, 130O2, 130O3, 130O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플레이트(130)의 형상에 관하여는, 도 4 내지 도 7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몰드 구조체(100)의 일부는 도전성 플레이트(130) 내의 개구(예를 들어, 도 2의 130O1, 130O2, 130O3, 130O4)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몰드 구조체(100)는 도전성 플레이트(130)의 제1 개구(130O1)를 관통하는 기둥부(102c)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그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고정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플레이트(130)의 제1 고정부(132)는 예를 들어, 몰드 구조체(100)를 관통하여 몰드 구조체(100)의 후단부(106)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132)는 도전성 플레이트(130)의 후단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연장되어 후단부(106)의 바닥면을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도전성 덮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덮개(140)는 몰드 구조체(100)의 둘레부(10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성 덮개(140)는 상부 접속 단자(110)의 일부 및 하부 접속 단자(12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성 덮개(140)는 그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고정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덮개(140)의 제2 고정부(142)는 예를 들어, 몰드 구조체(100)를 관통하여 몰드 구조체(100)의 후단부(106)의 측벽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부(142)는 도전성 덮개(140)의 후단으로부터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후단부(106)의 측벽을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성 덮개(140)는 그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덮개(140)의 연결부(144)는 예를 들어, 몰드 구조체(100)의 둘레부(104)를 관통하여 도전성 플레이트(130)와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44)는 도전성 덮개(140)의 측벽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연장되어 도전성 플레이트(130)의 측벽과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성 덮개(140)는 도전성 플레이트(1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성 덮개(140)는 둘레부(104)의 상면을 덮는 상부 덮개(140a)와, 둘레부(104)의 바닥면을 덮는 하부 덮개(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부 덮개(140a)는 상부 접속 단자(110)의 일부를 덮을 수 있고, 하부 덮개(140b)는 하부 접속 단자(12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덮개(140a) 및 하부 덮개(140b)는 도전성 플레이트(130)를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들(110, 120) 및 도전성 플레이트(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접속 단자들 및 도전성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부 접속 단자(110)는 제1 상부 연장부(112), 제2 상부 연장부(116) 및 제1 실장부(118)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접속 단자(120)는 제1 하부 연장부(122), 제2 하부 연장부(126) 및 제2 실장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접속 단자들(110, 120)의 예시로서 제2 접속 단자(110b) 및 제6 접속 단자(120b)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단자(110a), 제3 접속 단자(110c), 제4 접속 단자(110d), 제5 접속 단자(120a), 제7 접속 단자(120c) 및 제8 접속 단자(120d) 또한 제2 접속 단자(110b) 및 제6 접속 단자(120b)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접속 단자(110)의 제1 상부 연장부(112)는 제1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될 때, 제1 상부 연장부(112)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단자와 직접(directly) 접속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 연장부(112)는 제1 평탄부(102)의 제1 부분(102a)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상부 접속 단자(110)의 제2 상부 연장부(116)는 제1 상부 연장부(112)의 후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상부 연장부(116)는 제1 상부 연장부(112)의 후단으로부터 제3 방향(Z)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단부(106)의 바닥면을 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상부 연장부(116)는 후단부(10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접속 단자(110)의 제1 실장부(118)는 제2 상부 연장부(116)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장부(118)는 후단부(106)의 바닥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장부(118)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상부 접속 단자(110)를 실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장부(118)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기판 등에 상부 접속 단자(110)를 실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부 접속 단자(110)는 제1 돌출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접속 단자(110)의 제1 돌출부(114)는 제1 상부 연장부(112)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돌출부(114)는 제1 평탄부(102)의 제1 부분(102a)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하부 접속 단자(120)의 제1 하부 연장부(122)는 제1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될 때, 제1 하부 연장부(122)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단자와 직접(directly) 접속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부 연장부(122)는 제1 평탄부(102)의 제2 부분(102b)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부 연장부(112)와 제1 하부 연장부(122)는 중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제1 상부 연장부(112)와 제1 하부 연장부(122)는 제3 방향(Z)에서 중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하부 접속 단자(120)의 제2 하부 연장부(126)는 제1 하부 연장부(122)의 후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부 연장부(126)는 제2 하부 연장부(125)의 후단으로부터 제3 방향(Z)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단부(106)의 바닥면을 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하부 연장부(126)는 후단부(10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접속 단자(120)의 제2 실장부(128)는 제2 하부 연장부(126)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장부(128)는 후단부(106)의 바닥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장부(128)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하부 접속 단자(120)를 실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장부(128)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기판 등에 하부 접속 단자(120)를 실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하부 접속 단자(120)는 제2 돌출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접속 단자(120)의 제2 돌출부(124)는 제1 하부 연장부(122)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돌출부(124)는 제1 평탄부(102)의 제2 부분(102b)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상부 접속 단자(110)와 하부 접속 단자(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도전성 플레이트(130)의 제2 평탄부(131)는 상부 접속 단자(110)의 제1 상부 연장부(112)와 하부 접속 단자(120)의 제1 하부 연장부(12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상부 접속 단자(110)와 하부 접속 단자(120) 사이의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성 플레이트(130)의 제1 고정부(132)는 상부 접속 단자(110)의 제2 상부 연장부(116)와 하부 접속 단자(120)의 제2 하부 연장부(126)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접속 단자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접속 단자 및 도전성 플레이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5 및 도 7에서, 접속 단자들(110, 120)의 예시로서 하부 접속 단자(120)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다. 예를 들어, 상부 접속 단자(110) 또한 하부 접속 단자(120)와 유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제5 접속 단자(120a)의 길이와 제6 접속 단자(120b)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접속 단자(120a)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11)는 제6 접속 단자(120b)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12)보다 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7 접속 단자(120c)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13)는 제6 접속 단자(120b)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12)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접속 단자(120c)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13)는 제5 접속 단자(120a)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11)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이란, 완전히 동일한 것뿐만 아니라 공정 상의 마진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차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8 접속 단자(120d)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14)는 제5 접속 단자(120a)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11)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르를 들어, 제8 접속 단자(120d)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14)는 제6 접속 단자(120b)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12)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제2 평탄부(131) 내의 제1 개구(130O1) 및 제2 개구(130O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130O1)는 제2 평탄부(131)의 전단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130O1)는 로킹부(134)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부(134)와 제1 개구(130O1) 사이에 다른 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개구(130O1)는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되는 제1 서브 개구(130O1a) 및 제2 서브 개구(130O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개구(130O1a)는 제2 서브 개구(130O1b)보다 로킹부(134)에 인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서브 개구(130O1a)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21)는 제2 서브 개구(130O1b)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22)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서브 개구(130O1a)의 전단은 제2 서브 개구(130O1b)의 전단보다 돌출될 수 있다.
제2 개구(130O2)는 제2 평탄부(131)의 전단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130O2)는 제1 개구(130O1)와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개구(130O2)는 제1 개구(130O1)보다 로킹부(13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130O1)는 로킹부(134)와 제2 개구(130O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개구(130O2)는 제1 개구(130O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130O2)는 제1 개구(130O1)의 제2 서브 개구(130O1b)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개구(130O1)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21 또는 L22)는 제2 개구(130O2)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23)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2 개구(130O2)의 후단은 제1 개구(130O1)의 후단보다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제2 평탄부(131) 내의 제3 개구(130O3) 및 제4 개구(130O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구(130O3)는 제2 평탄부(131)의 후단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개구(130O3)는 제1 개구(130O1)와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3 개구(130O3)는 제1 개구(130O1)보다 로킹부(13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개구(130O3)는 제1 개구(130O1)와 이격될 수 있다.
제4 개구(130O4)는 제2 평탄부(131)의 후단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개구(130O4)는 제2 개구(130O2)와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4 개구(130O4)는 제3 개구(130O3)와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ㅖ에서, 제4 개구(130O4)는 제2 개구(130O2) 및 제3 개구(130O3)와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개구(130O3)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24)는 제4 개구(130O4)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길이(L25)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4 개구(130O4)의 후단은 제3 개구(130O3)의 후단보다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제2 평탄부(131) 내의 인입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136)는 제2 평탄부(131)의 후단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몰드 구조체(100)의 일부는 인입부(136)를 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 구조체(100)는 보다 견고하게 도전성 플레이트(130)를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제1 방향(X) 및 제3 방향(Z)으로 연장되며 도전성 플레이트(130)의 중심을 지나는 기준 평면(PL)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제1 내지 제4 개구(130O1, 130O2, 130O3, 130O4)는 기준 평면(PL)의 양 측에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제5 접속 단자(120a)의 전단 및 제6 접속 단자(120b)의 전단은 제3 방향(Z)에서 제1 개구(130O1)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접속 단자(120a)의 전단은 제3 방향(Z)에서 제1 서브 개구(130O1a)와 중첩될 수 있고, 제6 접속 단자(120b)의 전단은 제3 방향(Z)에서 제2 서브 개구(130O1b)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접속 단자(120a)의 전단 및 제6 접속 단자(120b)의 전단은 제3 방향(Z)에서 제1 개구(130O1)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5 접속 단자(120a)의 최전단 및 제6 접속 단자(120b)의 최전단은 제3 방향(Z)에서 제1 개구(130O1)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서브 개구(130O1a)와 중첩되는 제5 접속 단자(120a)의 전단의 길이(L31)는, 제2 서브 개구(130O1b)와 중첩되는 제6 접속 단자(120b)의 전단의 길이(L32)보다 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제7 접속 단자(120c)의 전단 및 제8 접속 단자(120d)의 전단은 제3 방향(Z)에서 제2 개구(130O2)와 중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7 접속 단자(120c)의 최전단 및 제8 접속 단자(120d)의 최전단은 제3 방향(Z)에서 제2 개구(130O2)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개구(130O2)와 중첩되는 제7 접속 단자(120c)의 전단의 길이(L33)는, 제2 개구(130O2)와 중첩되는 제8 접속 단자(120d)의 전단의 길이(L34)보다 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제5 접속 단자(120a)의 일부는 제3 방향(Z)에서 제3 개구(130O3)와 중첩될 수 있고, 제7 접속 단자(120c)의 일부 및 제8 접속 단자(120d)의 일부는 제3 방향(Z)에서 제4 개구(130O4)와 중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개구(130O3)와 중첩되는 제5 접속 단자(120a)의 길이(L35)는, 제4 개구(130O4)와 중첩되는 제7 접속 단자(120c)의 길이(L36) 및 제4 개구(130O4)와 중첩되는 제8 접속 단자(120d)의 길이(L37)보다 짧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 개구(130O4)와 중첩되는 제7 접속 단자(120c)의 길이(L36)는, 제4 개구(130O4)와 중첩되는 제8 접속 단자(120d)의 길이(L37)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에서, 제6 접속 단자(120b)의 일부는 제3 개구(130O3)와 중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 단자들 간의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몰드 구조체 내에 도전성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몰드 구조체 내에 배치된 도전성 플레이트는 몰드 구조체(100)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가 반복됨에 따라, 도전성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는 몰드 구조체(100)가 벗겨지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몰드 구조체(100)는 도전성 플레이트(130)의 개구(예를 들어, 도 2의 130O1, 130O2, 130O3, 130O4)를 관통하므로, 강도가 보강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로킹부(134)에 인접하는 개구(예를 들어, 도 2의 130O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 구조체(100)는 보다 넓은 영역에서 도전성 플레이트(130)를 관통하므로, 강도가 더욱 보강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상대적으로 고속 신호를 전송하는 접속 단자들은 상대적으로 도전성 플레이트(130)와 넓게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130O1) 또는 제1 및 제3 개구(130O1, 130O3)에 의해 노출되는 제6 접속 단자(120b)의 길이(L31 또는 L31+L35)는, 제2 개구(130O2) 및 제4 개구(130O4)에 의해 노출되는 제8 접속 단자(120d)의 길이(L34+L37)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성 플레이트(130)는 고속 신호를 전송하는 접속 단자들에 의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므로, 성능이 향상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몰드 구조체 102: 제1 평탄부
104: 둘레부 106: 후단부
110, 120: 접속 단자들 130: 도전성 플레이트
130O1, 130O2, 130O3, 130O4: 개구
131: 제2 평탄부 134: 로킹부

Claims (7)

  1. 제1 방향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평탄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로, 상기 제1 평탄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상기 제1 평탄부의 상기 제1 부분 상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평탄부의 측벽과 인접하는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1 평탄부의 상기 제1 부분 상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인접하게 배열되는 제2 접속 단자;
    상기 제1 평탄부의 상기 제2 부분 상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접속 단자;
    상기 제1 평탄부의 상기 제1 부분 상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평탄부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2 접속 단자보다 이격되는 제4 접속 단자; 및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제3 접속 단자 사이의 상기 제1 평탄부 내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탄부와, 상기 제2 평탄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평탄부 내에, 상기 로킹부와 인접하며,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전단과 중첩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평탄부 내에, 상기 로킹부로부터 상기 제1 개구보다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개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제4 접속 단자의 전단과 중첩되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평탄부는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채우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전단과 중첩되는 제1 서브 개구와,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제2 접속 단자의 전단과 중첩되는 제2 서브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개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2 서브 개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긴 리셉터클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2 접속 단자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긴 리셉터클 커넥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 및 상기 제4 접속 단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평탄부 내에,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3 개구와,
    상기 제2 평탄부 내에,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4 개구를 더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4 개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은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90015949A 2019-02-12 2019-02-12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9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949A KR102594737B1 (ko) 2019-02-12 2019-02-12 리셉터클 커넥터
CN202020158355.4U CN211556232U (zh) 2019-02-12 2020-02-10 插座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949A KR102594737B1 (ko) 2019-02-12 2019-02-12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167A KR20200098167A (ko) 2020-08-20
KR102594737B1 true KR102594737B1 (ko) 2023-10-25

Family

ID=7224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949A KR102594737B1 (ko) 2019-02-12 2019-02-12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4737B1 (ko)
CN (1) CN211556232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61412U (zh) * 2014-05-06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CN106025638A (zh) * 2016-07-25 2016-10-12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大电流USB Type C型插座及其制造方法
CN207368320U (zh) 2017-09-22 2018-05-15 实盈电子(东莞)有限公司 USB Type-C连接器
CN207542469U (zh) 2017-11-06 2018-06-26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61412U (zh) * 2014-05-06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CN106025638A (zh) * 2016-07-25 2016-10-12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大电流USB Type C型插座及其制造方法
CN207368320U (zh) 2017-09-22 2018-05-15 实盈电子(东莞)有限公司 USB Type-C连接器
CN207542469U (zh) 2017-11-06 2018-06-26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167A (ko) 2020-08-20
CN211556232U (zh)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4011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3185369B1 (en) High speed socket connector
US6913487B2 (en) Plug-in connector module
KR0118212Y1 (ko) 접지식 전기 커넥터
US6790089B2 (en) Cable assembly
US20110237122A1 (en) Multiple coaxial connector
US9627818B1 (en) Electrical connector fixed to circuit board
US8579661B2 (en) High speed modular jack
TW201401669A (zh) 具有分流覆蓋區之電氣連接器
US11641081B2 (en)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effect
EP2197073B1 (en) High frequency circuit module
US6623301B2 (en) Plug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KR20170134150A (ko) 커넥터
US20160308314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594737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210004774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31902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20090163049A1 (en) Electronic module
KR102662605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6515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6435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20010054940A1 (en) Microwave module for separating high frequency transmisson signals and high frequency reception signals on the basis of their frequencies
CN211743470U (zh) 插座连接器
KR20200098165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39752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