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605B1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605B1
KR102662605B1 KR1020190050450A KR20190050450A KR102662605B1 KR 102662605 B1 KR102662605 B1 KR 102662605B1 KR 1020190050450 A KR1020190050450 A KR 1020190050450A KR 20190050450 A KR20190050450 A KR 20190050450A KR 102662605 B1 KR102662605 B1 KR 10266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receptacle connector
mold structure
width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607A (ko
Inventor
이혜준
한민연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60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복수의 접속 단자, 복수의 접속 단자를 노출시키는 제1 평탄부와, 제1 평탄부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평탄부와, 제2 평탄부로부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 따라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및 몰드 구조체를 덮는 쉘을 포함하되, 쉘은, 제2 방향으로 제1 폭을 갖는 제1 본체와, 제2 방향으로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제1 본체와 제2 본체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토퍼(stoppe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쉘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자 장치의 인쇄회로기판(PCB) 등에 실장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접속 단자들과, 상기 복수 개의 접속 단자들을 지지하는 복수의 절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를 감싸는 쉘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 단자들은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의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들은 상기 커넥터부의 복수의 절연부에 의해 상호 절연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부를 감싸는 쉘에 의해 외부와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는 전자 장치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경박단소화된 커넥터는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의 몰드 구조체를 향해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면서 충돌하여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스토퍼(stopp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쉘을 통해,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면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몰드 구조체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몰드 구조체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쉘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복수의 접속 단자, 복수의 접속 단자를 노출시키는 제1 평탄부와, 제1 평탄부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평탄부와, 제2 평탄부로부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 따라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및 몰드 구조체를 덮는 쉘을 포함하되, 쉘은, 제2 방향으로 제1 폭을 갖는 제1 본체와, 제2 방향으로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제1 본체와 제2 본체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1 본체는 제1 좌측부 및 제1 우측부를 포함하고, 제2 본체는 제2 좌측부 및 제2 우측부를 포함하며, 제1 좌측부 및 제2 좌측부는 연속하고, 제1 우측부 및 제2 우측부는 연속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좌측부로부터 제2 좌측부까지의 제1 거리는, 제1 우측부로부터 제2 우측부까지의 거리와 같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본체는, 쉘을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으로 제조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더 포함하되, 몰드 구조체는, 지지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부 쉘, 지지 구조체, 및 하부 쉘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쉘 및 상부 쉘은 결합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방수 포팅부를 더 포함하되, 제1 돌출부, 방수 포팅부, 및 지지 구조체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쉘은 금속 물질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비스듬히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몰드 구조체와 충돌하지 않도록,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쉘을 통해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쉘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몰드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쉘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몰드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몰드 구조체(100), 접속 단자(110), 쉘(200), 상부 쉘(200), 하부 쉘(200), 지지 구조체(500), 결합 부재(600)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은 리셉터클 커넥터(1)가 배치되는 전자 장치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는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700)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커넥터(700)는 제1 방향(-X)을 따라 전진하여 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1)와 체결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복수의 접속 단자(11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몰드 구조체(100)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복수의 접속 단자(110)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몰드 구조체(100)는 복수의 접속 단자(110)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접속 단자(110)는 몰드 구조체(10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몰드 구조체(100)는 폴리머(polymer), 플라스틱 수지 등을 포함하는 절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 구조체(100)는 복수의 접속 단자(110)를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 구조체(100)는 LCP(liquid crystal polym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접속 단자(110)는 몰드 구조체(100)를 관통하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접속 단자(110)는 예를 들어, USB(Universial Serial Bus) 타입-C(type-C)의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몰드 구조체(100)에 배열될 수 있다. USB 타입-C의 핀 규격의 세부 정보는 IDF(Intel Developer Forum)에서 공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접속 단자(110)는 신호 단자(112), 전원 단자(114) 및 그라운드 단자(116)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단자(112)는 몰드 구조체(100)에 배열되어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신호 단자(112)의 일부는 몰드 구조체(10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700)와 체결될 때, 신호 단자(112)는 플러그 커넥터(700)의 신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단자(112)는 리셉터클 커넥터(1)가 배치되는 기판에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신호 단자(112)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신호 단자(112)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신호 단자(112)는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며,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본 명세서의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커넥터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신호 단자(112)의 개수는 본 명세서의 도면과 다르게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전원 단자(114)는 몰드 구조체(100)에 신호 단자(112)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전원 단자(114)의 일부는 몰드 구조체(10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700)와 체결될 때, 전원 단자(114)는 플러그 커넥터(700)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단자(114)는 리셉터클 커넥터(1)가 배치되는 기판에 파워(power)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전원 단자(114)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전원 단자(114)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전원 단자(114)는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며,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본 명세서의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커넥터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전원 단자(114)의 개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라운드 단자(116)는 몰드 구조체(100)에 신호 단자(112) 및 전원 단자(114)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고속 신호들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라운드 단자(116)의 일부는 몰드 구조체(10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700)와 체결될 때, 그라운드 단자(116)는 플러그 커넥터(700)의 그라운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 단자(116)는 접지되어, 고속 신호들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몰드 구조체(100)에는 도전성 플레이트(12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플레이트(120)는 접지되어 고속 신호들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 단자(110) 및 도전성 플레이트(120)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단자(110) 및 도전성 플레이트(120)는 구리 합금(copper alloy)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쉘(200)은 몰드 구조체(100)를 둘러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쉘(200)은 외부로부터 몰드 구조체(100)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쉘(200)은 제1 본체(210)와 제2 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본체(220)는 쉘(200)을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본체(210)와 제2 본체(220) 사이에는 이음매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딥 드로잉 공법을 통해 제1 본체(210)와 제2 본체(220)에 가해지는 가압의 정도를 달리하여, 제2 본체(220)의 폭이 제1 본체(210)의 폭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본체(210)와 동일한 폭을 갖는 쉘(200)의 형성 후에 펀치와 같은 공법으로 제1 본체(210)보다 더 좁은 폭은 갖는 제2 본체(2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본체(210)보다 좁은 폭을 갖으면서 이음매 없이 연속적으로 제2 본체(220)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본체(210)와 제2 본체(220)로 이루어진 쉘(2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한다.
그리고, 제1 본체(210) 및 제2 본체(220)는 각각 제1 좌측부(212), 제1 우측부(214) 및 제2 좌측부(222), 제2 우측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딥 드로잉 공법을 통해, 제1 좌측부(212) 및 제2 좌측부(222), 제1 우측부(214) 및 제2 우측부(224) 각각이 이음매 없이 연결되어, 서로 다른 제1 폭(W1) 및 제2 폭(W2)을 갖는 제1 본체(210) 및 제2 본체(220)가 형성될 수 있다. 딥 드로잉 공법은 쉘(20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수행될 수 있는데, 폭의 차이는 본 명세서에 따라, 좌우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부분에도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쉘(200)은 플러그 커넥터(7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700)는 몰드 구조체(100)와 쉘(200) 사이에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커넥터(700)는 쉘(200)의 제1 본체(210)를 통해 리셉터클 커넥터(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본체(210)는, 개방되어 플러그 커넥터(700)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일부일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700)는 제1 방향(-X)을 따라 전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이때, 리셉터클 커넥터(1)는 금속제를 포함하는 쉘(200) 감합구가 포함되어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700)가 제1 방향(-X) 혹은 제1 방향(-X)을 축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 금속제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700)의 쉘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쉘(200)의 금속제와 닿기 때문에, 몰드 구조체(100)의 수지제를 포함하는 절연부와 충돌하여, 몰드 구조체(100)가 금속제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70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1)의 쉘(200)이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700)에 의해 몰드 구조체(100)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커넥터는 전자 장치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경박단소화된 커넥터는 파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의 몰드 구조체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힘에 의해 파손되기 쉽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700)가 삽입되는 힘으로부터 몰드 구조체(100)를 보호하여, 강도가 보강된 리셉터클 커넥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스토퍼가 구비된 별도의 쉘(200)이 요구되지 않는다. 스토퍼가 구비된 쉘(200)은 일정 규모의 부피를 가지므로, 소형화된 전자 장치에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도 3의 P 부분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700)가 삽입될 때, 금속제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쉘(200)이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700)의 최전방부와 충돌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의 쉘(200)이 몰드 구조체(100)를 대신해, 자신을 희생하여, 플러그 커넥터(700)와 충돌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1)의 쉘(200)은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쉘(200)의 제1 본체(210)와 제2 본체(220)의 제2 방향의 제1 폭(W1) 및 제2 폭(W2)의 차이에 기인한다. 즉, 제2 폭(W2)보다 큰 제1 폭(W1)을 갖는 제1 본체(210)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700)가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후에 제2 폭(W2)을 갖는 제2 본체(220)에 플러그 커넥터(700)의 최전방부가 최초로 충돌하게 되어, 쉘(200) 자체가 스토퍼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210)의 제1 좌측부(212)로부터 제2 본체(220)의 제2 좌측부(222) 사이의 제1 거리(g1)는 제1 본체(210)의 제1 우측부(214)로부터 제2 본체(220)의 제2 우측부(224) 사이의 거리와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거리(g1)는 제1 본체(210)의 제1 우측부(214)로부터 제2 본체(220)의 제2 우측부(224)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쉘(200)은 쉘(200)의 상면에서 쉘(200)을 보호하기 위해 결합 부재(600)들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쉘(200)은 쉘(200)의 하면에서 쉘(20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 부재(600)들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쉘(200)의 상면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기판에 결합되는 면과 반대되는 일면을 의미할 수 있고, 쉘(200)의 하면은 제3 방향(-Z)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가 기판에 결합되는 타면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쉘(200) 및 하부 쉘(200)은 쉘(200)을 보호할 수 있고, 상부 쉘(200) 및 하부 쉘(200)의 결합을 통해 지지 구조체(500)를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쉘(200), 하부 쉘(200), 및 쉘(200)이 서로 분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 쉘(200), 하부 쉘(200), 및 쉘(20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쉘(200), 하부 쉘(200), 및 쉘(2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몰드 구조체(100) 및 지지 구조체(500)를 차폐하고,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몰드 구조체(100)는 제1 평탄부(102), 제2 평탄부(104), 제1 돌출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탄부(102)는 복수의 접속 단자(110)를 노출시키는 몰드 구조체(100)의 부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것처럼, 복수의 접속 단자(110)는 몰드 구조체(100)를 관통하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접속 단자(110)의 일부는 제1 평탄부(102) 상에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접속 단자(110)의 일부는 제1 평탄부(102)의 상면 및 하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700)의 접속 단자는 제1 평탄부(102) 상에서 노출된 복수의 접속 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2 평탄부(104)는 제1 평탄부(102)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몰드 구조체(100)의 부분이다. 이에 따라, 제2 평탄부(104)는 제1 방향(-X)을 따라 제1 평탄부(10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복수의 접속 단자(110)는 몰드 구조체(100)를 관통하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2 평탄부(104)는 각각의 접속 단자(110)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돌출부(106)는 제2 평탄부(104)의 일부로부터 돌출되는 몰드 구조체(100)의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106)는 제2 평탄부(104)의 외면의 일부로부터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출부(106)는 제2 평탄부(104)를 둘러쌀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포팅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포팅부(108)는 몰드 구조체(10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단은, 리셉터클 커넥터(1)의 전단에 대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부분이다. 예를 들어, 포팅부(108)는, 복수의 접속 단자(110)가 배치된 몰드 구조체(100)와 쉘(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몰드 구조체(100)의 후단에 포팅액을 채워 넣는 포팅(potting)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팅부(108)는 공극 없이 몰드 구조체(100) 및 쉘(200)의 후단을 메꿀 수 있다.
포팅부(108)는 방수 기능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 포팅부(108)는 러버(rubber) 또는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포팅부(108)는 본 실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보다 긴밀한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500)는 포팅부(108)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500)는, 포팅부(108)를 관통하는 복수의 접속 단자(1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500)는 접속 단자(110)를 둘러싸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지 구조체(500)는 기판에 복수의 접속 단자(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쉘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참고적으로, 도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쉘(200)은 제1 본체(210) 및 제2 본체(220)를 포함한다. 쉘(200)은 제1 본체(210)와 제2 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본체(220)는 쉘(200)을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본체(210)와 제2 본체(220) 사이에는 이음매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딥 드로잉 공법을 통해 제1 본체(210)와 제2 본체(220)에 가해지는 가압의 정도를 달리하여, 제2 본체(220)의 폭이 제1 본체(210)의 폭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본체(210)와 동일한 폭을 갖는 쉘(200)의 형성 후에 펀치와 같은 공법으로 제1 본체(210)보다 더 좁은 폭은 갖는 제2 본체(2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본체(210)보다 좁은 폭을 갖으면서 이음매 없이 연속적으로 제2 본체(220)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본체(210) 및 제2 본체(220)는 각각 제1 좌측부(212), 제1 우측부(214) 및 제2 좌측부(222), 제2 우측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딥 드로잉 공법을 통해, 제1 좌측부(212) 및 제2 좌측부(222), 제1 우측부(214) 및 제2 우측부(224) 각각이 이음매 없이 연결되어, 서로 다른 제1 폭(W1) 및 제2 폭(W2)을 갖는 제1 본체(210) 및 제2 본체(220)가 형성될 수 있다. 딥 드로잉 공법은 쉘(20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수행될 수 있는데, 폭의 차이는 본 명세서에 따라, 좌우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부분에도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쉘(200)의 제1 본체(210)와 제2 본체(220)의 제2 방향의 제1 폭(W1) 및 제2 폭(W2)의 차이로 인해, 쉘(200) 자체로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폭(W2)보다 큰 제1 폭(W1)을 갖는 제1 본체(210)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700)가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후에 제2 폭(W2)을 갖는 제2 본체(220)에 플러그 커넥터(700)의 최전방부가 최초로 충돌하게 되어, 쉘(200) 자체가 스토퍼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210)의 제1 좌측부(212)로부터 제2 본체(220)의 제2 좌측부(222) 사이의 제1 거리(g1)는 제1 본체(210)의 제1 우측부(214)로부터 제2 본체(220)의 제2 우측부(224) 사이의 거리와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거리(g1)는 제1 본체(210)의 제1 우측부(214)로부터 제2 본체(220)의 제2 우측부(224)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리셉터클 커넥터 100: 몰드 구조체
110: 접속 단자 102: 제1 평탄부
104: 제2 평탄부 106: 제1 돌출부
200: 쉘 210: 제1 본체 220: 제2 본체 300: 상부 쉘
400: 하부 쉘 500: 지지 구조체

Claims (8)

  1. 제1 방향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복수의 접속 단자;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를 노출시키는 제1 평탄부와, 상기 제1 평탄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평탄부와, 상기 제2 평탄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 따라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방수 포팅부; 및
    상기 몰드 구조체를 덮는 쉘을 포함하되,
    상기 쉘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제1 폭을 갖는 제1 본체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수 포팅부는 상기 제2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는 제1 좌측부 및 제1 우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는 제2 좌측부 및 제2 우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측부 및 상기 제2 좌측부는 연속하고,
    상기 제1 우측부 및 상기 제2 우측부는 연속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측부로부터 상기 제2 좌측부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제1 우측부로부터 상기 제2 우측부까지의 거리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쉘을 딥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으로 제조하여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몰드 구조체는,
    지지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쉘, 상기 지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쉘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리셉터클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쉘 및 상기 상부 쉘은 결합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방수 포팅부, 및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리셉터클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90050450A 2019-04-30 2019-04-30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6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50A KR102662605B1 (ko) 2019-04-30 2019-04-30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50A KR102662605B1 (ko) 2019-04-30 2019-04-30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607A KR20200126607A (ko) 2020-11-09
KR102662605B1 true KR102662605B1 (ko) 2024-05-02

Family

ID=7342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450A KR102662605B1 (ko) 2019-04-30 2019-04-30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6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9524A1 (en) * 2014-09-30 2016-04-07 Apple Inc. Connector receptale having good signal integrity
US20170133799A1 (en) * 2015-09-08 2017-05-11 Apple Inc. High-speed connector system
CN207052803U (zh) * 2017-08-02 2018-02-27 富创科技(江西)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19016505A (ja) * 2017-07-06 2019-01-3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複合型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021B1 (ko) * 2017-04-21 2021-10-29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9524A1 (en) * 2014-09-30 2016-04-07 Apple Inc. Connector receptale having good signal integrity
US20170133799A1 (en) * 2015-09-08 2017-05-11 Apple Inc. High-speed connector system
JP2019016505A (ja) * 2017-07-06 2019-01-3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複合型コネクタ
CN207052803U (zh) * 2017-08-02 2018-02-27 富创科技(江西)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607A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187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189090B2 (en) Coupler for flat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US713186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horizontal ground plane
KR20080034853A (ko) 전기 상호 연결 시스템
CN102280789A (zh) 具有触板重叠通孔的连接器系统
KR102047677B1 (ko) 플러그 커넥터
US11211728B2 (en) Midboard cable terminology assembly
CN113131289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TWI668924B (zh) 連接器
CN109904589B (zh) 无线通信模块
KR20160101520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317945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62605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31902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20090163049A1 (en) Electronic module
CN211556232U (zh) 插座连接器
KR20110082543A (ko) 기판 케이블 접속 구조체
KR10225550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90082533A1 (en) Electrical conductive module
KR10231794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734834B1 (ko) 장착이 용이한 usb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46435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383444B1 (ko) 이중 전기 커넥터
KR102316657B1 (ko)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