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332B1 -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 Google Patents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332B1
KR102594332B1 KR1020210082685A KR20210082685A KR102594332B1 KR 102594332 B1 KR102594332 B1 KR 102594332B1 KR 1020210082685 A KR1020210082685 A KR 1020210082685A KR 20210082685 A KR20210082685 A KR 20210082685A KR 102594332 B1 KR102594332 B1 KR 102594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olf ball
light
actual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533A (ko
Inventor
박용길
Original Assignee
(주)디엠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비에이치 filed Critical (주)디엠비에이치
Priority to KR102021008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332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에 있어서, 그린의 지형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실제 골프공(1)의 출발각도와 출발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와, 퍼터로 실제골프공(1)을 타격하면 상기 실제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는 지면을 제공하는 퍼팅매트(20)와, 상기 센서장치로부터 타격된 실제골프공(1)의 측정값을 그린의 지형을 반영하여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41)와 이동궤적(40)을 산출하는 연산부(610)와, 상기 연산부(610)에서 산출된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와 공의 궤적을 상기 그린의 지형에 나타내는 제어부(6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장치는 퍼팅매트(20)에 부착되고, 상기 퍼팅연습기는 가상골프공(30)의 가상출발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입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Putting practice with green simulation}
본 발명은 퍼팅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팅 시 타격된 실제골프공의 속도 및 방향 등을 측정한 측정값을 통해 시뮬레이션 상태의 그린 지형에서 가상골프공의 최종 도달위치와 이동궤적을 산출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여러 가지 형태의 홀을 돌면서 드라이브 샷, 아이언 샷, 벙커 샷 및 퍼팅 등을 병행하여 퍼팅그린의 홀컵으로 골프공을 골인시키는 스포츠 경기로서, 최저타수로 홀컵에 골프공을 넣는 선수가 이기는 경기이다.
이 중에서도 상기 퍼팅은 골프 경기의 최종 마무리 단계로서, 주로 홀컵과 근접된 거리에서 골프공을 홀컵에 넣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그린 상에서 그린의 상태 및 형상에 따른 방향설정 및 골프공의 속도를 나타내는 타격 세기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홀컵에 골프공을 퍼팅하는 골프의 마무리에 해당한다.
골프 실력 향상을 위해서는 정확한 퍼팅 기술의 습득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초심자는 물론 숙달자라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올바른 자세의 퍼팅을 익히기는 용이하지 않으며, 실제 퍼팅 시에는 심리적 부담까지 가중되어 불안정한 스윙동작에 의해 흔들림이 많이 발생하고, 타구 방향이 뒤틀리는 등 실수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원하는 거리만큼 보내도록 적당한 힘으로 타격해야 하는데 이를 연습하고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7067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314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942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5730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격된 실제골프공의 속도와 방향 등을 측정한 측정값을 통해 시뮬레이션 상태의 그린 지형에서 가상골프공의 최종 도달위치와 이동궤적을 산출한 시뮬레이션 영상을 컴퓨터나 휴대폰 등에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상에서 경사진 기울기의 그린 등 여러 상황에 대응하여 시뮬레이션 상에서 가상골프공의 가상출발각도에 대한 조정이 필요할 때, 퍼팅연습기 상에서 퍼터로 방향 조절이 가능한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에 있어서, 그린의 지형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10)와, 실제 골프공(1)의 출발각도와 출발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와, 퍼터로 실제골프공(1)을 타격하면 상기 실제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는 지면을 제공하는 퍼팅매트(20)와, 상기 센서장치로부터 타격된 실제골프공(1)의 측정값을 그린의 지형을 반영하여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41)와 이동궤적(40)을 산출하는 연산부(610)와, 상기 연산부(610)에서 산출된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와 공의 궤적을 상기 그린의 지형에 나타내는 제어부(6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장치는 퍼팅매트(20)에 부착되고, 상기 퍼팅연습기는 가상골프공(30)의 가상출발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입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나타나는 그린의 지형은 상기 제어부(600)에서 랜덤(random)하게 설정하는 굴곡과 높이를 갖는 지형으로, 상기 굴곡과 높이를 표시하기 위해 지형의 이미지에 바둑판 형상의 줄무늬를 오버랩(overlap) 시켜 함께 표시하되, 상기 줄무늬는 지형의 높이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지형의 굴곡에 따라 줄무늬를 자유곡선으로 표시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그린지형에는 가상골프공(30)과 가상홀컵(31)이 함께 표시되고, 상기 줄무늬에서 하나의 선은 상기 가상골프공(30)과 가상홀컵(31)을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변경입력부에 의해 가상골프공(30)의 가상출발각도가 입력되면 그린지형에 표시된 상기 가상골프공(30)에는 상기 입력된 가상출발각도에 맞추어 출발각도마크(33)가 도시되고, 상기 출발각도마크(33)는 화살표 또는 다수의 호들을 연결하여 가상출발각도의 방향을 도시된다.
또한,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퍼팅패드(20)에서 상기 실제골프공(1)이 진행하는 방향과 평행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1센서설치부(100)와 제2센서설치부(20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센서설치부(100)에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100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센서설치부(200)에는 수광부(2000)가 구비되어, 상기 조사부(1000)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2000)에서 수광하여 실제골프공(1)을 퍼팅하였을 때, 상기 실제골프공(1)이 지나가는 순간을 확인함으로써 실제골프공(1)의 속도와 실제출발각도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와, 상기 실제골프공(1)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610)는 상기 위치측정부에서 측정된 실제골프공(1)의 최초위치값과 상기 상태검출부를 통해 실제골프공(1)의 출발속도, 실제출발각도, 이동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실제골프공의 출발속도, 실제출발각도, 이동거리를 저장하는 저장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사부(1000)는, 실제골프공(1)의 최초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1조사부(110)와, 상기 실제골프공(1)의 출발속도와 실제출발각도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2조사부(121, 122, 123. 124)와, 상기 실제골프공(1)을 타격하기 위해 실제골프공(1)의 뒤쪽에서 움직이는 퍼터(2)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3조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광부(2000)는, 상기 제1조사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1조사부(11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1수광부(210)와, 상기 제2조사부(121, 122, 123, 124)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2조사부(121, 122, 123, 124)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수광부(221, 222, 223, 224)와, 상기 제3조사부(13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3조사부(13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3수광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조사부의 제21조사부(121)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1수광부(221)에서 수광하고, 제2조사부의 제22조사부(122)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2수광부(222)에서 수광하며, 상기 제2조사부의 제23조사부(123)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4수광부(224)에서 수광하고, 제2조사부의 제24조사부(124)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3수광부(223)에서 수광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산부(610)는 상기 제21수광부(221)와 상기 제22수광부(222)에서 수광한 시간차를 이용하여 실제골프공(1)의 출발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3수광부(223)와 상기 제24수광부(224)에서 수광한 시간차를 이용하여 실제골프공(1)의 실제출발각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변경입력부는 비접촉식으로 수행하는 광을 이용하거나 접촉식으로 수행하는 버튼 식으로 형성되되, 입력수단은 퍼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퍼팅연습 중에 이동을 하지 않고도 퍼터로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센서설치부(100)와 제2센서설치부(200)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비접촉식으로 수행하는 광을 이용하기 위해 수광부와 조사부를 구비하되, 가상골프공(30)의 가상출발각도를 '+' 각도로 입력시키기 위해 상기 제1센서설치부(100)의 뒤쪽에 제4조사부(510)와 제4수광부(511)를 구비하고, 가상출발각도를 '-' 각도로 입력시키기 위해 상기 제2센서설치부(200)의 뒤쪽에 제5조사부(520)와 제5수광부(521)를 구비하여, 가상골프공(30)의 가상출발각도를 '+' 각도로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제4조사부(510)와 제4수광부(511)가 반응하도록 퍼터를 위아래로 혹은 좌우로 이동시키고, 가상출발각도를 '-' 각도로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제5조사부(520)와 제5수광부(521)가 반응하도록 퍼터를 위아래로 혹은 좌우로 이동시키되, 가상출발각도의 크기는 반응횟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가 제공된다. 또는 퍼터를 멈춘 상태에서 일정시간을 카운트하여 '+'방향 또는 '-'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610)는 실제골프공(1)의 출발속도와 실제출발각도와 입력된 가상출발각도와 그린지형을 고려하여 가상골프공의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41)와 이동궤적(40)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연산부(610)에서 산출된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41)와 이동궤적(40)을 상기 그린지형에 오버랩(overlap)되도록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산부(610)는 가상골프공의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41)와 이동궤적(40)을 산출하기 위해 계산출발각도를 적용하되, 상기 계산출발각도 = (가상출발각도) - (실제출발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뮬레이션 영상을 통해 사용자는 실제와 유사한 퍼팅 연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상에서 가상골프공의 가상출발각도에 대한 조정이 필요할 때, 퍼팅연습기 상에서 퍼터로 방향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가상 골프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센서장치와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매트부와 센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그린 시뮬레이션이 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타격된 골프공이 그린 시뮬레이션에 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센서장치와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팅연습기의 매트부와 센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그린 시뮬레이션이 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타격된 골프공이 그린 시뮬레이션에 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된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에 있어서, 그린의 지형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10)와, 실제 골프공(1)의 출발각도와 출발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와, 퍼터로 실제골프공(1)을 타격하면 상기 실제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는 지면을 제공하는 퍼팅매트(20)와, 상기 센서장치로부터 타격된 실제골프공(1)의 측정값을 그린의 지형을 반영하여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41)와 이동궤적(40)을 산출하는 연산부(610)와, 상기 연산부(610)에서 산출된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와 공의 궤적을 상기 그린의 지형에 나타내는 제어부(6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센서장치는 퍼팅매트(20)에 부착되고, 상기 퍼팅연습기는 가상골프공(30)의 가상출발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입력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나타나는 그린의 지형은 상기 제어부(600)에서 랜덤(random)하게 설정하는 굴곡과 높이를 갖는 지형으로, 상기 굴곡과 높이를 표시하기 위해 지형의 이미지에 바둑판 형상의 줄무늬를 오버랩(overlap) 시켜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줄무늬는 지형의 높이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지형의 굴곡에 따라 줄무늬를 자유곡선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그린지형에는 가상골프공(30)과 가상홀컵(31)이 함께 표시되고, 상기 줄무늬에서 하나의 선은 상기 가상골프공(30)과 가상홀컵(31)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변경입력부에 의해 가상골프공(30)의 가상출발각도가 입력되면 그린지형에 표시된 상기 가상골프공(30)에는 상기 입력된 가상출발각도에 맞추어 출발각도마크(33)가 도시된다.
또한, 상기 출발각도마크(33)는 화살표 또는 다수의 호들을 연결하여 가상출발각도의 방향을 도시한다.
한편,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퍼팅매트(20)에서 상기 실제골프공(1)이 진행하는 방향과 평행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1센서설치부(100)와 제2센서설치부(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설치부(100)에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100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센서설치부(200)에는 수광부(2000)가 구비되어, 상기 조사부(1000)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2000)에서 수광하여 실제골프공(1)을 퍼팅하였을 때, 상기 실제골프공(1)이 지나가는 순간을 확인함으로써 실제골프공(1)의 속도와 실제출발각도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와, 상기 실제골프공(1)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610)는 상기 위치측정부에서 측정된 실제골프공(1)의 최초위치값과 상기 상태검출부를 통해 실제골프공(1)의 출발속도, 실제출발각도, 이동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실제골프공의 출발속도, 실제출발각도, 이동거리를 저장하는 저장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사부(1000)는, 실제골프공(1)의 최초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1조사부(110)와, 상기 실제골프공(1)의 출발속도와 실제출발각도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2조사부(121, 122, 123. 124)와, 상기 실제골프공(1)을 타격하기 위해 실제골프공(1)의 뒤쪽에서 움직이는 퍼터(2)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3조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광부(2000)는, 상기 제1조사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1조사부(11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1수광부(210)와, 상기 제2조사부(121, 122, 123, 124)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2조사부(22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수광부(221, 222, 223, 224)와, 상기 제3조사부(13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3조사부(13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3수광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조사부의 제21조사부(121)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1수광부(221)에서 수광하고, 제2조사부의 제22조사부(122)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2수광부(222)에서 수광한다.
그리고 상기 제2조사부의 제23조사부(123)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4수광부(224)에서 수광하고, 제2조사부의 제24조사부(124)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3수광부(223)에서 수광한다.
한편, 상기 제3조사부(130)는 상기 제1조사부(110)와 근접하게 설치된 제31조사부(131)와, 상기 제31조사부(131)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제32조사부(13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수광부(230)는, 상기 제31조사부(131)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제31수광부(231)와, 상기 제32조사부(132)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제32수광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산부(610)는 상기 제21수광부(221)와 상기 제22수광부(222)에서 수광한 시간차를 이용하여 실제골프공(1)의 출발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23수광부(223)와 상기 제24수광부(224)에서 수광한 시간차를 이용하여 실제골프공(1)의 실제출발각도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제2조사부의 제21조사부(121)에서 조사한 광과 제2조사부의 제22조사부(122)에서 조사한 광은 서로 겹치지 않은 상태로 제2수광부의 제21수광부(221)와 제2수광부의 제22수광부(222)에서 수광하게 되므로 제21조사부(121)와 제2조사부의 제22조사부(122)의 설치거리와 제21수광부(221)와 제2수광부의 제22수광부(222)에서 수광한 시간차를 알면, 골프공(1)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사부의 제23조사부(123)에서 조사한 광과 제2조사부의 제24조사부(124)에서 조사한광은 서로 겹치게 조사되어, 제2조사부의 제23조사부(123)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4수광부(224)에서 수광하고, 제2조사부의 제24조사부(124)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3수광부(223)에서 수광하게 됨에 따라,
도 3 에서 위쪽을 우측 아래쪽을 좌측이라 할 때 사용자가 퍼팅을 우측으로 하게 되면 실제출발각도는 '+'각도(우측각도)가 되며 이로 인하여 제24수광부(224)가 먼저 수광을 하고 상기 제23수광부(223)가 나중에 수광을 하게 된다(도 3의 C1 참조).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퍼팅을 좌측으로 하게 되면 실제출발각도는 '-'각도(좌측각도)가 되며 이로 인하여 제23수광부(223)가 먼저 수광을 하고 상기 제24수광부(224)가 나중에 수광을 하게 된다(도 3의 B1 참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3수광부(223)와 제24수광부(224)에서 어느 수광부가 먼저 수광되느냐를 통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의 퍼팅방향을 알 수 있으며, 제23수광부(223)와 제24수광부(224)의 수광시간의 차이를 통해 실제출발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실제출발각도가 '0'도 일 경우 상기 제24수광부(224)와 상기 제23수광부(223)의 수강시간이 동일하게 된다(도 3의 A1 참조).
위의 설명내용에서 실제출발각도의 계산은 본 발명의 설명을 활용하여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안출할 수 있는 수준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변경입력부는 비접촉식으로 수행하는 광을 이용하거나 접촉식으로 수행하는 버튼 식으로 형성되며, 입력수단은 퍼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퍼팅연습 중에 이동을 하지 않고도 퍼터로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센서설치부(100)와 제2센서설치부(200)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접촉식으로 수행하는 광을 이용하기 위해 수광부와 조사부를 구비하되, 가상골프공(30)의 가상출발각도를 '+' 각도로 입력시키기 위해 상기 제1센서설치부(100)의 뒤쪽에 제4조사부(510)와 제4수광부(511)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상출발각도를 '-' 각도로 입력시키기 위해 상기 제2센서설치부(200)의 뒤쪽에 제5조사부(520)와 제5수광부(521)를 구비하여, 가상골프공(30)의 가상출발각도를 '+' 각도로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제4조사부(510)와 제4수광부(511)가 반응하도록 퍼터를 위아래로 혹은 좌우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상출발각도를 '-' 각도로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제5조사부(520)와 제5수광부(521)가 반응하도록 퍼터를 위아래로 혹은 좌우로 이동시키되, 가상출발각도의 크기는 반응횟수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출발각도 변경입력부가 상기 제1센서설치부(100)와 제2센서설치부(200)의 근방에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퍼팅을 위해 자세를 잡은 상태에서 별도의 이동 없이 퍼터의 조작만으로 퍼팅출발각도를 '+' 또는 '-'로 변경시킬 수 있어 편리하게 출발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상골프공(30)의 출발각도가 변경되면 디스플레이부에서 그린의 지형을 보여줄 때, 가상골프공(30)에 출발각도마크(33)가 도시되어 사용자는 그린의 지형에 따라 가상골프공이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각도의 크기로 퍼팅될 지를 확인할 수 있어 감각적으로 퍼팅을 연습할 수 있다.
여기서 출발각도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은 제4조사부(510)와 제4수광부(511) 또는 제5조사부(520)와 제5수광부(521)의 반응횟수로 결정되는데 만약 반응횟수가 1회라면 1도, 반응횟수가 3회라면 3도로 변경가능하며 이는 프로그램 입력 시에 조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가상골프공(30)의 출발각도가 다르게 입력된다고 해도 사용자는 실제 골프공(1)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타격하는 것이 아니라 '0'로 타격하게 되며 만약 실제 타격한 출발각도가 0도가 아니라면 이를 감안하여 가상골프공(30)의 도달위치와 공의 궤적이 도시된다.
한편, 상기 연산부(610)는 실제골프공(1)의 출발속도와 실제출발각도와 입력된 가상출발각도와 그린지형을 고려하여 가상골프공의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41)와 이동궤적(40)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연산부(610)에서 산출된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41)와 이동궤적(40)을 상기 그린지형에 오버랩(overlap)되도록 도시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610)는 가상골프공의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41)와 이동궤적(40)을 산출하기 위해 계산출발각도를 적용하되, 상기 계산출발각도 = (가상출발각도)- (실제출발각도) 인 수학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가상출발각도가 +3˚(도)(우측으로 3˚ 방향)로 세팅되고 실제출발각도가 +1˚(우측으로 1˚ 방향으로 퍼팅됨) 라면 계산출발각도는 +4˚가 된다.
또한, 가상출발각도가 +3˚(우측으로 3˚ 방향)로 세팅되고 실제출발각도가 -1˚(좌측으로 1˚ 방향으로 퍼팅됨) 라면 계산출발각도는 +2˚가 된다.
마찬가지로 가상출발각도가 -3˚(좌측으로 3˚ 방향)로 세팅되고 실제출발각도가 -1˚(좌측으로 1˚ 방향으로 퍼팅됨) 라면 계산출발각도는 -4˚가 된다.
또한 가상출발각도가 -3˚(좌측으로 3˚ 방향)로 세팅되고 실제출발각도가 +1˚(우측으로 1˚ 방향으로 퍼팅됨) 라면 계산출발각도는 -2˚가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실제 골프공 2 : 퍼터
10 : 디스플레이부 20 : 퍼팅매트
30 : 가상 골프공 31 : 가상홀컵
33 : 출발각도마크 40 : 이동궤적
41 : 도달위치 100 : 제1센서설치부
1000 : 조사부 110 : 제1조사부
121 : 제21조사부 122 : 제22조사부
123 : 제23조사부 124 : 제24조사부
130 : 제3조사부 200 : 제2센서설치부
2000 : 수광부 210 : 제1수광부
221 : 제21수광부 222 : 제22수광부
223 : 제23수광부 224 : 제24수광부
230 : 제3수광부 510 : 제4조사부
511 : 제4수광부 520 : 제5조사부
521 : 제5수광부 600 : 제어부
610 : 연산부 620 : 저장부

Claims (8)

  1.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에 있어서,
    그린의 지형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10)와,
    실제 골프공(1)의 출발각도와 출발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와,
    퍼터로 실제골프공(1)을 타격하면 상기 실제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는 지면을 제공하는 퍼팅매트(20)와,
    상기 센서장치로부터 타격된 실제골프공(1)의 측정값을 그린의 지형을 반영하여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41)와 이동궤적(40)을 산출하는 연산부(610)와,
    상기 연산부(610)에서 산출된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와 공의 궤적을 상기 그린의 지형에 나타내는 제어부(6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장치는 퍼팅매트(20)에 부착되고, 상기 퍼팅연습기는 가상골프공(30)의 가상출발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그린지형은 상기 제어부(600)에서 랜덤(random)하게 설정하는 굴곡과 높이를 갖는 지형으로, 상기 굴곡과 높이를 표시하기 위해 지형의 이미지에 바둑판 형상의 줄무늬를 오버랩(overlap) 시켜 함께 표시하되,
    상기 줄무늬는 지형의 높이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지형의 굴곡에 따라 줄무늬를 자유곡선으로 표시하고
    상기 그린지형에는 가상골프공(30)과 가상홀컵(31)이 함께 표시되고, 상기 줄무늬에서 하나의 선은 상기 가상골프공(30)과 가상홀컵(31)을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변경입력부에 의해 가상골프공(30)의 가상출발각도가 입력되면 상기 그린지형에 표시된 상기 가상골프공(30)에는 상기 입력된 가상출발각도에 맞추어 출발각도마크(33)가 도시되며,
    이때 상기 출발각도마크(33)는 화살표 또는 다수의 호들을 연결하여 가상출발각도의 방향을 도시하고,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퍼팅매트(20)에서 상기 실제골프공(1)이 진행하는 방향과 평행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1센서설치부(100)와 제2센서설치부(20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센서설치부(100)에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100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센서설치부(200)에는 수광부(2000)가 구비되어,
    상기 조사부(1000)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2000)에서 수광하여 실제골프공(1)을 퍼팅하였을 때,
    상기 실제골프공(1)이 지나가는 순간을 확인함으로써 실제골프공(1)의 속도와 실제출발각도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와, 상기 실제골프공(1)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부(610)는 상기 위치측정부에서 측정된 실제골프공(1)의 최초위치값과 상기 상태검출부를 통해 실제골프공(1)의 출발속도, 실제출발각도, 이동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실제골프공의 출발속도, 실제출발각도, 이동거리를 저장하는 저장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입력부는 비접촉식으로 수행하는 광을 이용하거나 접촉식으로 수행하는 버튼 식으로 형성되되,
    입력수단은 퍼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퍼팅연습 중에 이동을 하지 않고도 퍼터로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센서설치부(100)와 제2센서설치부(200)의 근방에 설치하며,
    상기 연산부(610)는 가상골프공의 가상골프공(30) 최종 도달위치(41)와 이동궤적(40)을 산출하기 위해 계산출발각도를 적용하되, 상기 계산출발각도 = '가상출발각도' - '실제출발각도' 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1000)는,
    실제골프공(1)의 최초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1조사부(110)와,
    상기 실제골프공(1)의 출발속도와 실제출발각도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2조사부(121, 122, 123. 124)와,
    상기 실제골프공(1)을 타격하기 위해 실제골프공(1)의 뒤쪽에서 움직이는 퍼터(2)의 타격속도와 템포를 검출하기 위해 광을 조사하는 제3조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광부(2000)는,
    상기 제1조사부(1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1조사부(11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1수광부(210)와,
    상기 제2조사부(121, 122, 123, 124)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2조사부(121, 122, 123, 124)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수광부(221, 222, 223, 224)와,
    상기 제3조사부(13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해 상기 제3조사부(13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3수광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조사부의 제21조사부(121)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1수광부(221)에서 수광하고, 제2조사부의 제22조사부(122)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2수광부(222)에서 수광하며,
    상기 제2조사부의 제23조사부(123)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4수광부(224)에서 수광하고, 제2조사부의 제24조사부(124)에서 조사한 광은 제2수광부의 제23수광부(223)에서 수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610)는 상기 제21수광부(221)와 상기 제22수광부(222)에서 수광한 시간차를 이용하여 실제골프공(1)의 출발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3수광부(223)와 상기 제24수광부(224)에서 수광한 시간차를 이용하여 실제골프공(1)의 실제출발각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8. 삭제
KR1020210082685A 2021-06-24 2021-06-24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KR102594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685A KR102594332B1 (ko) 2021-06-24 2021-06-24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685A KR102594332B1 (ko) 2021-06-24 2021-06-24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33A KR20230000533A (ko) 2023-01-03
KR102594332B1 true KR102594332B1 (ko) 2023-10-27

Family

ID=8492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685A KR102594332B1 (ko) 2021-06-24 2021-06-24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3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52B1 (ko) * 2009-08-07 2009-10-27 (주) 골프존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19862B1 (ko) * 2010-06-30 2011-03-04 (주)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77B1 (ko) 2009-12-31 2010-07-15 (주) 골프존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031475B1 (ko) 2010-12-31 2011-04-26 (주) 골프존 퍼팅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433031B1 (ko) 2011-11-23 2014-08-25 (주) 알디텍 퍼팅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및 방법
KR101525414B1 (ko) * 2013-08-09 2015-06-09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그린의 지형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KR101994225B1 (ko) 2018-04-02 2019-07-01 주식회사 골프존 퍼팅 가이드 장치,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52B1 (ko) * 2009-08-07 2009-10-27 (주) 골프존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19862B1 (ko) * 2010-06-30 2011-03-04 (주)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33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1082A (en) Enhanced golf simulation system
US20080242437A1 (en) Golf Training Device
US9604117B2 (en) Golf stroke training device
CN101890218B (zh) 虚拟高尔夫模拟器、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器的传感方法
US20100130299A1 (en) Visual Aid
JP7282290B2 (ja) ビリヤードボールの駆動状態情報入力制御装置
US20060040761A1 (en) Scale mark mat for putting practice
KR101415149B1 (ko)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을 위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0489418B1 (ko) 퍼팅교정 및 연습장치
KR20190086336A (ko) 골프공 마커 및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594332B1 (ko) 그린 시뮬레이션을 갖춘 퍼팅연습기
KR100949846B1 (ko) 골프 시뮬레이터를 위한 미러형 에이밍 재현장치 및 재현방법
JP2016514573A (ja) パッテング練習具
US6981921B2 (en) Training device
KR200369782Y1 (ko) 퍼팅 연습용 눈금 매트
KR20120005907U (ko) 골프용 퍼팅 연습 장치
KR101282048B1 (ko)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617672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ricket training
KR20100022415A (ko) 골프퍼팅시뮬레이션연습장치
GB2425263A (en) Modified measuring and/or training apparatus
KR102661107B1 (ko) 발의 정위치를 판단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430587B1 (ko)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US20210387069A1 (en) Apparatus for improving golf putting acuracy
KR200478267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20100026389A (ko) 골프 숏게임 연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