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553B1 - 정화기 - Google Patents

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553B1
KR102593553B1 KR1020210059303A KR20210059303A KR102593553B1 KR 102593553 B1 KR102593553 B1 KR 102593553B1 KR 1020210059303 A KR1020210059303 A KR 1020210059303A KR 20210059303 A KR20210059303 A KR 20210059303A KR 102593553 B1 KR102593553 B1 KR 102593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cation
air
cas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1951A (ko
Inventor
김중곤
Original Assignee
김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곤 filed Critical 김중곤
Priority to KR102021005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55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for coaxially plac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72Special valve constructions adapted to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는, 상기 에어컴프레서를 작동시켜 에어컴프레서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상기 이송관(2)을 통해 공급되도록 하면, 공기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정화유닛(10,20,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필터부재(41)를 3번 통과하여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된다.
따라서, 이송관(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과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화기{cleaner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컴프레서는 이송관을 통해 에어실린더나 에어스프레이를 포함한 다양한 장비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의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장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는 다량의 수분과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이송관의 중간부에는 정화기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관을 통과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정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이송관(2)이 연결되는 급기구(3a)와 배기구(3b)가 형성된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4)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3)는 상호 기밀하게 결합되는 상하부케이스(3d,3e)로 구성되고, 상기 급기구(3a)와 배기구(3b)는 상기 상부케이스(3d)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급기구(3a)는 상기 상부케이스(3d)의 하측면 중앙부로 개방되고, 상기 배기구(3b)는 상기 상부케이스(3d)의 하측면 둘레부로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의 하측면에는 내부에 저장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3c)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재(4)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단 둘레부가 상기 급기구(3a)의 내측단을 덮도록 상기 상부케이스(3d)의 하측면에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관(2)과 급기구(3a)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4)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과 오염물질이 필터링되고, 수분과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만이 상기 이송관(2)을 통해 각종 장비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러한 정화기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4)를 한번만 통과하여 정하됨으로, 공기속에 포함된 수분이나 기타 오염물질을 충분히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정화기를 사용할 경우, 오염물질이 상기 필터부재(4)에 부착되어 필터부재(4)의 성능이 저하됨으로, 필터부재(4)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폐수정화기에도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09-010094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정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나 폐수를 이송하는 이송관(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이송관(2)을 통해 공급되는 폐수를 정화하는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2)은 상기 정화기에 공기나 폐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부(2a)와, 상기 정화기를 통과한 공기나 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관부(2b)로 구성되고, 상기 정화기는 상기 공급관부(2a)에 연결되는 제1 정화유닛(10)과, 상기 제1 정화유닛(10)에 연결된 제2 정화유닛(20)과, 상기 제2 정화유닛(20)에 연결되는 제3 정화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화유닛(10)은 제1 정화케이스(1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단부는 상기 공급관부(2a)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1 정화케이스(11)의 상측 둘레부를 관통하여 제1 정화케이스(11)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공급관(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화유닛(20)은 제2 정화케이스(21)와, 전단부는 상기 제1 정화케이스(11)의 상측 둘레부에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상측 둘레부를 관통하여 제2 정화케이스(21)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된 제2 공급관(22)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정화유닛(30)은 제3 정화케이스(31)와, 전단부는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상측 둘레부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3 정화케이스(31)의 상측 둘레부를 관통하여 제3 정화케이스(31)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3 공급관(32)과, 상기 제3 정화케이스(31)의 상측 둘레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배출관부(2b)가 연결하는 배출관(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정화케이스(11,21,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 내지 제3 정화케이스(11,21,31)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공급부(11a,21a,31a)와 하측의 배출부(11b,21b,31b)로 구획하는 필터부재(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정화케이스(11,21,31)는 내부에 상기 필터부재(41)가 구비되는 상부케이스(11c,21c,31c)와, 상기 상부케이스(11c,21c,31c)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1d,21d,31d)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급관(12,22,32)은 상기 필터부재(41)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케이스(11d,21d,31d)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1d,21d,31d)의 하단에는 제1 내지 제3 개폐밸브(42,43,44)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11e,21e,31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공급관(12)과 제2 공급관(22)의 중간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1,52)와, 상기 제1 정화케이스의 상부케이스(11c)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11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53)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1,52)와 급기수단(5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4)과, 상기 제어수단(54)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55)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기수단(53)은 상기 배출관(33)에서 분기된 분기관(53a)과, 상기 분기관(53a)에 연결된 고압탱크(53b)와, 상기 분기관(53a)에 구비되어 배출관(33)을 통해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고압탱크(53b)에 저장하는 압축펌프(53c)와, 상기 고압탱크(53b)와 상기 상부케이스(11c)의 공급부(11a)를 연결하는 고압급기관(53d)과, 상기 고압급기관(53d)에 구비된 제3 솔레노이드밸브(53e)를 포함하고,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55)을 조작하여 세척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54)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1,52)를 밀폐하고 상기 제1 개폐밸브(42)를 개방한 후, 상기 급기수단(53)을 제어하여 상기 공급부(11a)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공급부(11a)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필터부재(41)와 배출구(11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41)의 하측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배출부(21b)의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56a)와 상기 증발기(56a)에 연결된 압축기(56b) 및 응축기(56c)를 포함하는 냉각수단(56)과, 상기 증발기(56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출부(21b)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대(57)와, 상기 지지대(57)에 상기 증발기(56a)의 상면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58)과, 상기 고압탱크(53b)에서 연장되며 상기 분사노즐(58)에 연결되어 고압탱크(53b)에 저장된 공기가 분사노즐(58)로 공급되도록 하는 보조급기관(59)과, 상기 보조급기관(59)의 중간부에 구비된 압력조절기(61)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를 통과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증발기(56a)를 통과하면서 응축되어 제거되며, 상기 증발기(56a)에 응축된 수분은 상기 분사노즐(58)에서 하측으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탈락되어 제2 정화케이스(21)의 내부 하측에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어컴프레서를 작동시켜 에어컴프레서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상기 이송관(2)을 통해 공급되도록 하면, 공기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정화유닛(10,20,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필터부재(41)를 3번 통과하여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된다.
따라서, 이송관(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과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화기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를 도시한 정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의 제2 실시예의 제2 정화유닛을 확대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에어컴프레서에 연결된 이송관(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이송관(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관(2)은 상기 정화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부(2a)와, 상기 정화기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부(2b)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는 상기 공급관부(2a)에 연결되는 제1 정화유닛(10)과, 상기 제1 정화유닛(10)에 연결된 제2 정화유닛(20)과, 상기 제2 정화유닛(20)에 연결되는 제3 정화유닛(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정화유닛(10)은 제1 정화케이스(1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단부는 상기 공급관부(2a)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1 정화케이스(11)의 상측 둘레부를 관통하여 제1 정화케이스(11)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공급관(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정화유닛(20)은 제2 정화케이스(21)와, 전단부는 상기 제1 정화케이스(11)의 상측 둘레부에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상측 둘레부를 관통하여 제2 정화케이스(21)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된 제2 공급관(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정화유닛(30)은 제3 정화케이스(31)와, 전단부는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상측 둘레부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3 정화케이스(31)의 상측 둘레부를 관통하여 제3 정화케이스(31)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3 공급관(32)과, 상기 제3 정화케이스(31)의 상측 둘레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배출관부(2b)가 연결하는 배출관(3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정화케이스(11,21,31)의 내부에는, 제1 내지 제3 정화케이스(11,21,31)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공급부(11a,21a,31a)와 하측의 배출부(11b,21b,31b)로 구획하는 필터부재(41)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부재(41)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과 습기를 포집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정화케이스(11,21,31)는 내부에 상기 필터부재(41)가 구비되는 상부케이스(11c,21c,31c)와, 상기 상부케이스(11c,21c,31c)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1d,21d,31d)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1d,21d,31d)를 상부케이스(11c,21c,31c)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필터부재(41)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급관(12,22,32)은 상기 필터부재(41)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부(11b,21b,31b)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1d,21d,31d)의 하단에는 제1 내지 제3 개폐밸브(42,43,44)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11e,21e,31e)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개폐밸브(42,43,44)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수동밸브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화기는, 상기 에어컴프레서를 작동시켜 에어컴프레서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상기 이송관(2)을 통해 공급되도록 하면, 공기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정화유닛(10,20,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필터부재(41)를 3번 통과하여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된다.
따라서, 이송관(2)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과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컴프레서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는 폐수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유체를 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필터부재(41)는 폐수나 기타 유체를 정화할 때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이용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개폐밸브(42)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배출구(11e)를 개폐하는 전자제어밸브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급관(12)과 제2 공급관(22)의 중간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1,52)와, 상기 제1 정화케이스의 상부케이스(11c)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11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53)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1,52)와 급기수단(5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4)과, 상기 제어수단(54)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55)이 더 구비된다.
상기 급기수단(53)은 상기 배출관(33)에서 분기된 분기관(53a)과, 상기 분기관(53a)에 연결된 고압탱크(53b)와, 상기 분기관(53a)에 구비되어 배출관(33)을 통해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고압탱크(53b)에 저장하는 압축펌프(53c)와, 상기 고압탱크(53b)와 상기 상부케이스(11c)의 공급부(11a)를 연결하는 고압급기관(53d)과, 상기 고압급기관(53d)에 구비된 제3 솔레노이드밸브(53e)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정화유닛(10,20,30)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고압펌프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고압탱크(53b)에 저장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55)을 조작하여 세척명령을 입력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54)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1,52)를 밀폐하고 상기 제1 개폐밸브(42)를 개방한 후, 상기 급기수단(53)의 제3 솔레노이드밸브(53e)를 개방하여, 상기 고압급기관(53d)을 통해 상기 제1 정화케이스(11)의 공급부(11a)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급부(11a)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면, 공급부(11a)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필터부재(41)를 통과하여 하측의 배출부(11b)로 이동한 후, 상기 배출구(11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필터부재(41)에 부착된 오염물질과 수분을 하측으로 밀어내어 필터부재(41)를 청소하게 된다.
이때, 공기에 의해 하측으로 밀려난 오염물질과 수분은 상기 배출구(11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배출부(21b)의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56a)와 상기 증발기(56a)에 연결된 압축기(56b) 및 응축기(56c)를 포함하는 냉각수단(56)과, 상기 증발기(56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출부(21b)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대(57)와, 상기 지지대(57)에 상기 증발기(56a)의 상면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58)과, 상기 고압탱크(53b)에서 연장되며 상기 분사노즐(58)에 연결되어 고압탱크(53b)에 저장된 공기가 분사노즐(58)로 공급되도록 하는 보조급기관(59)과, 상기 보조급기관(59)의 중간부에 구비된 압력조절기(61)가 더 구비된다.
상기 냉각수단(56)의 압축기(56b)와 응축기(56c)는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외부에 구비되어, 냉매관을 통해 상기 증발기(56a)와 연결되는 것으로, 증발기(56a)가 차갑게 냉각되어, 상기 제2 공급관(22)을 통해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승되면서 상기 증발기(56a)를 통과할 때,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증발기(56a)에 부착됨으로써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노즐(58)은 여러개가 상기 지지대(57)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도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급기관(59)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56a)를 향해 분사함으로써, 증발기(56a)에 부착된 수분이 증발기(56a)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내부 하측에 수집되도록 한다.
상기 압력조절기(61)는 일반적인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보조급기관(59)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낮게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증발기(56a)에 응축되어 제거되면,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제3 공급관(32)을 통해 제3 정화케이스(31)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58)에 의해 증발기(56a)로 분사된 공기에 의해 증발기(56a)에 응축된 수분이 하측으로 낙하되어 제2 정화케이스(21)의 내부 하측에 수집되며, 분사된 공기는 상측으로 상승되어, 상기 제3 정화유닛(3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내부에 수집된 물의 수위가 적절히 상승되면, 상기 제2 개폐밸브(43)를 개방하여, 제2 정화케이스(21)의 내부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화기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1,52)를 밀폐하고 상기 제1 개폐밸브(42)를 개방한 후, 상기 급기수단(53)을 제어하여 상기 공급부(11a)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필터부재(41)를 세척함으로, 필터부재(41)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단(56)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를 통과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고, 냉각수단(56)의 증발기(56a)에 응축된 수분에 고압의 공기를 불어내어 강제로 제거함으로써,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제1 정화유닛 20. 제2 정화유닛
30. 제3 정화유닛 41. 필터부재

Claims (4)

  1. 공기나 폐수를 이송하는 이송관(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이송관(2)을 통해 공급되는 폐수를 정화하는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2)은 상기 정화기에 공기나 폐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부(2a)와, 상기 정화기를 통과한 공기나 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관부(2b)로 구성되고,
    상기 정화기는
    상기 공급관부(2a)에 연결되는 제1 정화유닛(10)과,
    상기 제1 정화유닛(10)에 연결된 제2 정화유닛(20)과,
    상기 제2 정화유닛(20)에 연결되는 제3 정화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화유닛(10)은
    제1 정화케이스(1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단부는 상기 공급관부(2a)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1 정화케이스(11)의 상측 둘레부를 관통하여 제1 정화케이스(11)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공급관(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화유닛(20)은
    제2 정화케이스(21)와,
    전단부는 상기 제1 정화케이스(11)의 상측 둘레부에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상측 둘레부를 관통하여 제2 정화케이스(21)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된 제2 공급관(22)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정화유닛(30)은
    제3 정화케이스(31)와,
    전단부는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상측 둘레부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3 정화케이스(31)의 상측 둘레부를 관통하여 제3 정화케이스(31)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3 공급관(32)과,
    상기 제3 정화케이스(31)의 상측 둘레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배출관부(2b)가 연결하는 배출관(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정화케이스(11,21,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 내지 제3 정화케이스(11,21,31)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공급부(11a,21a,31a)와 하측의 배출부(11b,21b,31b)로 구획하는 필터부재(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정화케이스(11,21,31)는
    내부에 상기 필터부재(41)가 구비되는 상부케이스(11c,21c,31c)와,
    상기 상부케이스(11c,21c,31c)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1d,21d,31d)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급관(12,22,32)은 상기 필터부재(41)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케이스(11d,21d,31d)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1d,21d,31d)의 하단에는 제1 내지 제3 개폐밸브(42,43,44)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11e,21e,31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관(12)과 제2 공급관(22)의 중간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1,52)와,
    상기 제1 정화케이스(11)의 상부케이스(11c)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11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53)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1,52)와 급기수단(5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4)과,
    상기 제어수단(54)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55)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기수단(53)은
    상기 배출관(33)에서 분기된 분기관(53a)과,
    상기 분기관(53a)에 연결된 고압탱크(53b)와,
    상기 분기관(53a)에 구비되어 배출관(33)을 통해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고압탱크(53b)에 저장하는 압축펌프(53c)와,
    상기 고압탱크(53b)와 상기 상부케이스(11c)의 공급부(11a)를 연결하는 고압급기관(53d)과,
    상기 고압급기관(53d)에 구비된 제3 솔레노이드밸브(53e)를 포함하고,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55)을 조작하여 세척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54)은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51,52)를 밀폐하고 상기 제1 개폐밸브(42)를 개방한 후, 상기 급기수단(53)을 제어하여 상기 공급부(11a)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공급부(11a)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필터부재(41)와 배출구(11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41)의 하측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의 배출부(21b)의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56a)와 상기 증발기(56a)에 연결된 압축기(56b) 및 응축기(56c)를 포함하는 냉각수단(56)과,
    상기 증발기(56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출부(21b)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대(57)와,
    상기 지지대(57)에 상기 증발기(56a)의 상면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58)과,
    상기 고압탱크(53b)에서 연장되며 상기 분사노즐(58)에 연결되어 고압탱크(53b)에 저장된 공기가 분사노즐(58)로 공급되도록 하는 보조급기관(59)과,
    상기 보조급기관(59)의 중간부에 구비된 압력조절기(61)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정화케이스(21)를 통과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증발기(56a)를 통과하면서 응축되어 제거되며, 상기 증발기(56a)에 응축된 수분은 상기 분사노즐(58)에서 하측으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탈락되어 제2 정화케이스(21)의 내부 하측에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기.
KR1020210059303A 2021-05-07 2021-05-07 정화기 KR102593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303A KR102593553B1 (ko) 2021-05-07 2021-05-07 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303A KR102593553B1 (ko) 2021-05-07 2021-05-07 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951A KR20220151951A (ko) 2022-11-15
KR102593553B1 true KR102593553B1 (ko) 2023-10-23

Family

ID=8404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303A KR102593553B1 (ko) 2021-05-07 2021-05-07 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5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940A (ko) 2008-03-21 2009-09-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에어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부품 실장 장치
KR101699240B1 (ko) * 2015-05-27 2017-01-24 (주)아이에스오탱크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951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62999A (ja) オイル供給装置
CN115554797A (zh) 一种多尺度喷雾除霾设备
KR20140032245A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KR101044658B1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KR102593553B1 (ko) 정화기
KR101091172B1 (ko) 필터 자동 세척장치
KR100620071B1 (ko) 집진기
KR100885552B1 (ko) 상수 가압용 펌프유닛
US11684876B2 (en) Self cleaning filter system and method
JP2009274060A (ja) 油水分離システムおよび圧縮空気除湿システム
KR101106073B1 (ko) 고압 집진장치의 필터 역세정장치
JP2011125865A (ja) 沈砂池設備
CN104711060B (zh) 一种多级过滤型天然气压缩机
CN1144610C (zh) 灰尘过滤器
KR200413048Y1 (ko)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
CN210528476U (zh) 一种变压吸附制氮装置
KR101997503B1 (ko) 미세 분진과 유해 가스 동시 제거 필터시스템
KR101081507B1 (ko) 수영장 청소 시스템
JP4657830B2 (ja) フィルタの自洗機能を備えた集塵機
KR100201892B1 (ko) 브레이크의 오일 세퍼레이트 탱크
JP3426964B2 (ja) 浄水機のフィルタ洗浄方法
CN208451180U (zh) 一种用于电器辅件制造的自动除尘式数控机床
JP3819320B2 (ja) 浄水器
KR102239101B1 (ko) 집진용 필터의 청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시스템
JP3534724B2 (ja) フィルタ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