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048Y1 -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 - Google Patents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048Y1
KR200413048Y1 KR2020060001221U KR20060001221U KR200413048Y1 KR 200413048 Y1 KR200413048 Y1 KR 200413048Y1 KR 2020060001221 U KR2020060001221 U KR 2020060001221U KR 20060001221 U KR20060001221 U KR 20060001221U KR 200413048 Y1 KR200413048 Y1 KR 200413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or
filter bag
doo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동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01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0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9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withou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 elements, e.g. fixed nozzles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진공으로 집진하여 여과배출시키는 필터 백(Filter bag) 방식의 집진기에 사용되는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집진기(D)의 도어(10) 내측 상,하단에 중앙에 분리홈(22)(22')이 형성되고다수의 노즐공(21)(21')이 천공된 노즐 분사판(20)(20')을 도어(10)와 일체로 구성되고 도어(10)의 외측에는 압축공기 챔버(30)를 설치하되 챔버(30)의 상,하단에 펄스밸브와 일체로 구성된 에어탱크(A)에서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40)(40')와 연결시킨 단위 유니트화시킨 탈리장치(10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
집진기.필터 백,탈리장치,챔버,노즐 분사판.

Description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The dust removal apparatus of the filter bag for the dust collector}
도 1 은 본 고안이 장착된 상태의 집진기 도어의 외부구조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장착된 상태의 집진기 도어를 개방시킨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구조도
도 4 는 본 고안이 단층으로 설치된 구조의 집진기 개략도
도 5 는 본 고안이 다층으로 설치된 구조의 집진기 개략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20)(20') 분사 노즐판
(21)(21') 노즐공 (22)(22') 분리홈
(30) 압축공기 챔버 (40)(40')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
(100) 탈리장치 (A) 에어탱크
(B) 필터 백 (D) 집진기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진공으로 집진하여 여과배출시키는 필터 백(Filter bag) 방식의 집진기에 사용되는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기 내에 다층으로 설치되는 수평 장착구조의 필터 백에 대응하여 압축공기 분사 노즐판을 집진기의 도어 내측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다층의 다수의 노즐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효율적으로 탈리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먼지와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을 유입구를 통하여 흡입하여 집진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필터 백에서 여과시켜 분진이 제거된 청정 공기를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필터 백에 집진된 분진은 콤프레샤의 작동으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관으로 일정한 시간과 간격으로 필터 백에 역분사시켜 필터 백을 순간적으로 팽창 및 진동시켜 필터의 외부 표면에 집착된 분진을 탈리시켜 하부의 분진 배출기를 통하여 포집된 분진을 처리시키는 것이다.
종래 집진기의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탈리시키는 장치의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탈리시키며 첫 번째 방식은 에어탱크 헤더와 펄스밸브를 콘넥터와 연결시켜 집진기의 내부로 블로우 튜브를 설치하여 집진기 내에 장착된 각각의 필터 백 상단으로 블로우 튜브에 다수의 노즐을 대응시켜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필터 백에 부착 된 분진을 탈리시키는 방식을 사용 하였으며 두 번째 방식은 집진기 내에 장착된 다수의 필터 백에 대응되게 각각의 노즐을 펄스밸브와 에어탱크에 연결시켜 1:1 방식으로 대응시켜 필터 백에 장착된 분진을 탈리시켰다.
상기한 종래의 첫 번째 방식은 집진기 내에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 백 상단에 별도의 블로우 튜브를 설치하여 블로우 튜브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다수의 노즐을 대응시키므로 집진기 내부에 블로우 튜브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압축공기의 공급이 블로우 튜브로 공급하므로 노즐의 공기 압력이 블로우 튜브의 끝단으로 갈수록 저하되어 끝단에 대응되는 필터 백의 분진은 탈리되는 효율이 저하되어 오염된 공기의 정화 능력이 점증적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두 번째 방식은 필터 백과 노즐을 1:1로 대응시켜 압축공기를 분사하므로 분진을 탈리시키는 효율은 증대시킬 수 있으나 필터 백과 노즐을 1:1로 대응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노즐에 펄스밸브와 에어탱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집진기의 도어 내부에 다단의 분사 노즐판을 일체화시켜 장착하고 펄스밸브 일체형 에어헤더에서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로 도어 외측으로 연결시키는 1:8 방식의 분사방식을 적용하여 분사 노즐판의 다수의 노즐로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탈리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압축공기의 공급 압력을 균등하게 공급하여 분 진의 탈리효율을 증대시키고 도어 일체형으로 분사 노즐판을 장착시켜 집진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분진 탈리장치를 단위 유니트화 할 수 있어 오염공기의 정화량에 따라 다단으로 설치하여 오염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한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고안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은 본 고안이 장착된 상태의 집진기 도어의 내,외부구조 사시도로 집진기의 도어 내측에 다수의 노즐공이 천공된 노즐 분사판이 상,하단에 도어와 일체로 구성되고 도어의 외측에는 압축공기 챔버를 설치하여 펄스밸브와 일체로 구성된 에어탱크에서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와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구조도로 집진기 도어의 내,외측에 노즐 분사판과 에어챔버가 일체로 구성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도 4 는 본 고안이 단층으로 설치된 구조의 집진기 개략도로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탈리시키는 단일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도 5 는 본 고안이 다층으로 설치된 구조의 집진기 개략도로 분진 탈리장치를 다단으로 설치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집진기(D)의 필터 백(B)에 먼지 및 이물질 등의 부착된 분진을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분진을 탈리시킴에 있어서,
집진기(D)의 도어(10) 내측 상,하단에 중앙에 분리홈(22)(22')이 형성되고다수의 노즐공(21)(21')이 천공된 노즐 분사판(20)(20')을 도어(10)와 일체로 구성되고 도어(10)의 외측에는 압축공기 챔버(30)를 설치하되 챔버(30)의 상,하단에 펄스밸브와 일체로 구성된 에어탱크(A)에서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40)(40')와 연결시킨 단위 유니트화시킨 탈리장치(100)로 된 구조이다
상기의 단위 유니트화시킨 탈리장치(100)를 좌,우,상,하로 다단 설치하여 정화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50')는 필터 백의 벤츄리 프레임,(51)은 오염공기 흡입구,(52)는 정화공기 배출구,(53)은 분진 배출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집진기에 장착되어 분진을 흡입하여 필터 백(B)에서 먼지 및 이물질을 여과시켜 청정 공기를 배출시켜 현장의 공기를 정화시키며 상기 정화시키는 과정에서 필터 백(B)에 분진이 집착되면 분진이 여과되는 반대방향에서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필터 백(B)에 집착된 분진을 탈리시켜 분진 배출구를 통하여 분진을 배출시키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업현장의 오염된 공기를 계속하여 정화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D)의 도어(10) 외부에 압축공기 챔버(30)를 장착시키고 집진기(D)의 프레임 하단 일측에 장착된 펄스밸브와 일체로 구성된 에어탱크(A)에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 파이프(40)(40')를 상기 챔버 (30)의 상,하단에 연결시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하였다.
도 2 와 같이 집진기(D)의 도어(10) 내측에는 중앙에 분리홈(22)(22')을 형성되고 다수의 노즐공(21)(21')이 천공된 노즐 분사판(20)(20')을 상,하단에 도어(10)와 일체화시켜 설치한다.
상기 도어(10)의 상,하단에 설치되는 노즐 분사판(20)(20')은 그 중앙에 분리홈(22)(22')이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유입 시 상,하단으로 분리시켜 분사하므로 필터 백(B)의 벤츄리 프레임(50)(50')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동일하게 하여 분진의 탈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집진기(D)를 작동시켜 오염공기 흡입구(51)로 작업장 등의 실내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집진기(D) 내부에 장착된 필터 백(B)을 통과하면서 여과시켜 정화된 공기는 정화공기 배출구(52)로 배출시킨다.
상기한 작업공정에서 집진기 내부의 필터 백(B)에 여과된 분진이 집착되면 도 3 에서와 같이 펄스밸브와 일체로 구성된 에어탱크(A)에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는 공급 파이프(40)(40')를 통하여 집진기(D)의 도어(10) 외부에 설치된 압축공기 챔버(30)를 통하여 도어(10)의 내측 분사 노즐판(20)(20')으로 공급되고 이 압축공기는 노즐공(21)(21')을 통하여 분사되어 각각의 필터 백(B)의 벤츄리 프레임(50)(50')의 내부로 공급되어 필터를 팽창 및 진동시켜 필터의 외부에 집착된 분진을 탈리시켜 집진기(D)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분진 배출구(53)를 통하여 분리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도 4 와 같이 단위 유니트화시킨 탈리장치(100)는 작업장 등의 정화 용량에 따라 일단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정화용량을 확장시킬 경우에는 도 5 와 같이 좌,우 또는 상,하단으로 적층시켜 정화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종래 압축공기의 분사 시 부분적으로 압력이 저하되어 분진의 탈리효율이 저하되던 것을 압축공기의 분사방식을 1:8의 구조로 분사시켜 각각의 필터에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균일하게 하여 분진 탈리효율을 증대시키고 도어 일체형으로 분사 노즐판을 장착시켜 집진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며 정화용량의 증가 시 유니화된 탈리장치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용량을 용이하게 증대시킬 수 있게 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집진기(D)의 필터 백(B)에 먼지 및 이물질 등의 부착된 분진을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분진을 탈리시킴에 있어서,
    집진기(D)의 도어(10) 내측 상,하단에 중앙에 분리홈(22)(22')이 형성되고다수의 노즐공(21)(21')이 천공된 노즐 분사판(20)(20')을 도어(10)와 일체로 구성되고 도어(10)의 외측에는 압축공기 챔버(30)를 설치하되 챔버(30)의 상,하단에 펄스밸브와 일체로 구성된 에어탱크(A)에서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40)(40')와 연결시킨 단위 유니트화시킨 탈리장치(10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위 유니트화시킨 탈리장치(100)를 좌,우,상,하로 다단 설치하여 정화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
KR2020060001221U 2006-01-16 2006-01-16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 KR200413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221U KR200413048Y1 (ko) 2006-01-16 2006-01-16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221U KR200413048Y1 (ko) 2006-01-16 2006-01-16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048Y1 true KR200413048Y1 (ko) 2006-04-05

Family

ID=4176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221U KR200413048Y1 (ko) 2006-01-16 2006-01-16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0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51B1 (ko)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여과집진기
KR102183875B1 (ko) 2020-07-15 2020-11-27 파인오토시스템(주) 흡착된 분진의 탈리가 가능한 집진장치
KR102268329B1 (ko) * 2020-04-28 2021-06-24 주식회사 해밀 원격제어가 가능한 집진기용 필터의 분진 탈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51B1 (ko)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여과집진기
KR102268329B1 (ko) * 2020-04-28 2021-06-24 주식회사 해밀 원격제어가 가능한 집진기용 필터의 분진 탈리장치
KR102183875B1 (ko) 2020-07-15 2020-11-27 파인오토시스템(주) 흡착된 분진의 탈리가 가능한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708B1 (ko) 백필터용 인젝터
KR100855012B1 (ko) 여과 집진기용 탈리장치
JP2009233665A (ja) ブローパイプ付きドアを備える水平型集塵機
KR10162807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220434B1 (ko) 가이드 밴이 구비된 집진기
KR101450431B1 (ko) 집진장치
KR200413048Y1 (ko) 집진기용 필터 백의 분진 탈리장치
KR20140032245A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KR101044658B1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KR200400487Y1 (ko) 집진기
KR100559371B1 (ko) 집진기
KR101236503B1 (ko) 공기정화장치
KR200407411Y1 (ko) 흡착탑의 활성탄 회수장치
KR100845958B1 (ko) 집진기의 필터고정구조
KR20150133453A (ko) 이중 타공망체가 구비된 카트리지 필터
KR100645845B1 (ko) 서랍형 백 필터 집진장치
KR20190142098A (ko) 이중 트랙 진공 집진 시스템
KR100955252B1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KR200388724Y1 (ko) 공기정화기
KR100815456B1 (ko) 양방향에 탈진부가 구비된 집진장치
KR101282306B1 (ko) 집진기용 필터의 분진탈리장치
KR101673525B1 (ko) 백필터용 하이브리드 인젝터
CN210584261U (zh) 一种自动化除尘设备
KR20170022963A (ko) 분산 여과식 다중 필터 집진기
JP4657830B2 (ja) フィルタの自洗機能を備えた集塵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