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240B1 -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240B1
KR101699240B1 KR1020150074002A KR20150074002A KR101699240B1 KR 101699240 B1 KR101699240 B1 KR 101699240B1 KR 1020150074002 A KR1020150074002 A KR 1020150074002A KR 20150074002 A KR20150074002 A KR 20150074002A KR 101699240 B1 KR101699240 B1 KR 10169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eodorization
deodorizing
fluid
pur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349A (ko
Inventor
정귀영
김환영
어해우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에스오탱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에스오탱크 filed Critical (주)아이에스오탱크
Priority to KR102015007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24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2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단계별로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탱크컨테이너 전용 악취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컨테이너의 밸브와 연결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악취를 중화시키는 탈취유닛; 및, 상기 탈취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탈취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는 상기 탈취유닛과 연결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의 타측에는 상기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탱크컨테이너의 일측에는, 상기 송기구와 연결되는 송기호스 및, 상기 송기호스 상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송기호스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제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기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탈취유닛은, 제1 탈취탱크, 제2 탈취탱크 및 제3 탈취탱크, 일측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 탈취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제1 탈취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이송관로, 상기 제1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탈취탱크 내부로 제1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1 분사관로, 일측이 상기 제1 탈취탱크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 탈취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탈취탱크 내부의 유체를 제2 탈취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제1 연결관로, 상기 제2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탈취탱크 내부로 제2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2 분사관로, 일측이 상기 제2 탈취탱크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3 탈취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탈취탱크 내부의 유체를 제3 탈취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제2 연결관로 및, 상기 제3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 탈취탱크 내부로 제3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3 분사관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화유닛은, 정화탱크, 일측이 상기 제3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정화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 탈취탱크 내부의 유체를 정화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제3 연결관로, 상기 정화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화탱크 내부로 제4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4 분사관로 및, 상기 정화탱크와 정화탱크의 외부를 연통시켜 정화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관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제2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 및 제2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제3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 및 제3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제4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탈취제는 수용성 아민(amine), 수용성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탈취제는 수용성 구연산 또는 수용성 가성소다(caustic soda)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탈취제는 수용성 파인솔(pine-so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 {System for removing a odor in the tank container}
본 발명은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켜 악취를 정화할 수 있는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탱크컨테이너(tank container)는 유체상태의 화학제품이나 식품 등의 화물이 저장되어 컨테이너 선박에 선적 및 하역이 용이하도록 제작된 용기이다.
이러한 탱크컨테이너는 내부를 세척하기 전에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배출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악취는 환경파괴의 요인이 되며 인체에 매우 유해하여 배출이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탱크컨테이너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탱크컨테이너 전용 시스템이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탱크컨테이너의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7814호 "가스여과장치 및 가스여과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7970호 "악취 가스로부터 악취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단계별로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탱크컨테이너 전용 악취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탱크컨테이너 전용 악취 제거 시스템은,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컨테이너의 밸브와 연결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악취를 중화시키는 탈취유닛; 및, 상기 탈취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탈취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는 상기 탈취유닛과 연결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의 타측에는 상기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탱크컨테이너의 일측에는, 상기 송기구와 연결되는 송기호스 및, 상기 송기호스 상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송기호스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제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기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탈취유닛은, 제1 탈취탱크, 제2 탈취탱크 및 제3 탈취탱크, 일측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 탈취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제1 탈취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이송관로, 상기 제1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탈취탱크 내부로 제1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1 분사관로, 일측이 상기 제1 탈취탱크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 탈취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탈취탱크 내부의 유체를 제2 탈취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제1 연결관로, 상기 제2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탈취탱크 내부로 제2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2 분사관로, 일측이 상기 제2 탈취탱크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3 탈취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탈취탱크 내부의 유체를 제3 탈취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제2 연결관로 및, 상기 제3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 탈취탱크 내부로 제3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3 분사관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화유닛은, 정화탱크, 일측이 상기 제3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정화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 탈취탱크 내부의 유체를 정화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제3 연결관로, 상기 정화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화탱크 내부로 제4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4 분사관로 및, 상기 정화탱크와 정화탱크의 외부를 연통시켜 정화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관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제2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 및 제2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제3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 및 제3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제4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탈취제는 수용성 아민(amine), 수용성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탈취제는 수용성 구연산 또는 수용성 가성소다(caustic soda)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탈취제는 수용성 파인솔(pine-so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단계별로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탱크컨테이너 전용 악취 제거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게 되어 악취 제거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탱크컨테이너를 세척하는 작업장 환경 보존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 중에는 첨부된 도면들 상에는 도시하지 않거나 도면부호를 도시하지 않은 구성요소들이 있음을 주지하여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탱크컨테이너(tank container) 내부의 가스 및 액체 등의 유체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시적으로 커넥터(100), 탈취유닛(200) 및 정화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100)는 탱크컨테이너에 구비되어 내부의 유체를 배출시키게 되는 밸브와 연결되어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커넥터(100)는 기본적으로 상기 밸브와 체결되어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0)의 일측에는 탈취유닛(200)과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해 에어가 공급되는 송기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컨테이너의 일측에는 송기관로가 구비된다. 상기 송기관로는 송기호스와 에어제공수단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송기호스는 송기구와 연결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에어제공수단은 송기호스 상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에어펌프 또는 콤프레셔 등의 고압의 에어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탈취유닛(200)은 커넥터(100)와 연결되어 커넥터(10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악취를 중화시키게 되며, 상기 정화유닛(300)은 탈취유닛(200)과 연결되어 탈취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최종적으로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자세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취유닛(200)과 정화유닛(300)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탈취유닛(200)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3개소의 탈취탱크에서 악취의 중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제1 탈취탱크(210), 이송관로(200A), 제1 분사관로(220), 제1 연결관로(230), 제2 탈취탱크(240), 제2 분사관로(250), 제2 연결관로(260), 제3 탈취탱크(270), 제3 분사관로(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 탈취탱크(210)는 커넥터(100)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유체에 포함된 악취를 1차 중화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 탈취탱크(240)는 2차 중화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3 탈취탱크(270)는 3차 중화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로(200A)는 일측이 상기 커넥터(100)의 배출구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 탈취탱크(210)의 하부와 연결되어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제1 탈취탱크(210)로 공급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분사관로(220)는 제1 탈취탱크(2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탈취탱크(210) 내부로 제1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여 악취를 1차로 중화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분사관로(220)는 제1 악취정화물질이 제조된 저장소와 연결되어 제1 악취정화물질을 공급받는 구조를 따른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 연결관로(230)는 일측이 상기 제1 탈취탱크(21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 탈취탱크(240)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탈취탱크(210) 내부의 유체를 제2 탈취탱크(240) 내부로 공급 가능케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분사관로(250)는 제2 탈취탱크(240)의 상부와 연결되어 제2 탈취탱크(240)의 내부로 제2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여 악취를 2차로 중화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분사관로(250)는 제2 악취정화물질이 제조된 저장소와 연결되어 제2 악취정화물질을 공급받는 구조를 따른다.
이와 함께 상기 제2 연결관로(260)는 일측이 상기 제2 탈취탱크(240)의 상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3 탈취탱크(270)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탈취탱크(240) 내부의 유체를 제3 탈취탱크(270)로 공급 가능케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3 분사관로(280)는 제3 탈취탱크(270)의 상부와 연결되어 제3 탈취탱크(270)의 내부로 제3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여 악취를 3차로 중화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3 분사관로(280)는 제3 악취정화물질이 제조된 저장소와 연결되어 제3 악취정화물질을 공급받는 구조를 따른다.
다음으로 상기 정화유닛(300)은 탈취유닛(200)으로부터 탈취된 유체를 최종적으로 정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정화탱크(310), 제3 연결관로(300A), 제4 분사관로(320) 및 배출관로(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화탱크(310)는 제3 탈취탱크(27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최종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연결관로(300A)는 일측이 상기 제3 탈취탱크(270)의 상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정화탱크(310)의 하부와 연결되어 제3 탈취탱크(270) 내부의 유체를 정화탱크(310)로 공급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4 분사관로(320)는 정화탱크(3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정화탱크(310) 내부로 제4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여 탈취된 유체를 최종적으로 정화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4 분사관로(320)는 제4 악취정화물질의 저장소와 연결되어 제4 악취정화물질을 공급받는 구조를 따른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배출관로(330)는 정화탱크(310)와 정화탱크(310)의 외부를 연통시켜 악취가 완전히 정화된 유체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한 제1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제2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 및 제2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제3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 및 제3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제4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로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들어 암모니아 계열의 악취일 경우 상기 제1 탈취제는 수용성의 아민(amin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탈취제는 수용성의 구연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탈취제는 수용성의 파인솔(pine-sol)과 같은 방향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황화합물 계열의 악취일 경우 상기 제1 탈취제는 수용성의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탈취제는 수용성의 가성소다(caustic sod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탈취제는 수용성의 파인솔(pine-sol)과 같은 방향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취유닛(200)과 정화유닛(300)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탈취유닛(200)은 단일 탱크에서 탈취를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탈취탱크(210), 이송관로(200A) 및 제1 분사관로(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탈취탱크(210)는 커넥터(100)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유체에 포함된 악취를 1차 중화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로(200A)는 일측이 커넥터(100)의 배출구와 연결되며 타측이 탈취탱크(210)의 하부와 연결되어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탈취탱크(210)로 공급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분사관로(220)는 탈취탱크(210)의 상부와 연결되어 탈취탱크(210) 내부로 일정량의 청수와 탈취제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여 악취를 중화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악취정화물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자에 의해 청수와 탈취제들을 이용하여 혼합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정화유닛(300)은 탈취탱크(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정화탱크(310), 연결관로(300A), 제2 분사관로(320) 및 배출관로(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화탱크(310)는 탈취탱크(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최종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관로(300A)는 일측이 탈취탱크(270)의 상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정화탱크(310)의 하부와 연결되어 탈취탱크(270) 내부의 유체를 정화탱크(310)로 공급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제2 분사관로(320)는 정화탱크(3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정화탱크(310) 내부로 일정량의 청수로 이루어진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여 탈취된 유체를 최종적으로 정화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배출관로(330)는 정화탱크(310)와 정화탱크(310)의 외부를 연통시켜 악취가 완전히 정화된 유체를 배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탈취유닛(200)과 정화유닛(300)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탈취유닛(200)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탱크에서 단계별로 탈취를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탈취탱크(210), 이송관로(200A), 다수개의 제1 분사관로(220) 및 다수개의 제1 연결관로(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수개의 탈취탱크(210)는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단계별로 탈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탈취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관로(200A)는 일측이 커넥터(100)와 연결되며 타측이 첫번째 탈취탱크(210)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첫번째 탈취탱크(210)의 하부로 이송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제1 연결관로(230)는 첫번째 탈취탱크(210) 상부와 두번째 탈취탱크(210) 하부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첫번째 탈취탱크(210)에서 마지막 탈취탱크(210)까지 각각의 탈취탱크(21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내부의 유체를 이동 가능케 한다. 이와 더불어 제1 분사관로(220)는 탈취탱크(210)의 각각의 상부와 연결되어 탈취탱크(210) 내부로 일정량의 청수와 탈취제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한다. 상기 악취정화물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자에 의해 청수와 탈취제들을 이용하여 혼합 제조될 수 있다.
정화유닛(300)은 마지막 탈취탱크(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정화탱크(310), 제2 연결관로(300A), 제2 분사관로(320) 및 배출관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화탱크(310)는 마지막 탈취탱크(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정화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2 연결관로(300A)는 일측이 마지막 탈취탱크(210)의 상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정화탱크(310)의 하부와 연결되어 마지막 탈취탱크(210) 내부의 유체를 정화탱크(310)로 공급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제2 분사관로(320)는 정화탱크(3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정화탱크(310) 내부로 일정량의 청수로 이루어진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여 탈취된 유체를 최종적으로 정화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배출관로(330)는 정화탱크(310)와 정화탱크(310)의 외부를 연통시켜 악취가 완전히 정화된 유체를 배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취유닛(200)과 정화유닛(300)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탈취유닛(200)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탱크에서 단계별로 탈취를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탈취탱크(210), 이송관로(200A), 다수개의 제1 분사관로(220) 및 다수개의 제1 연결관로(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수개의 탈취탱크(210)는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단계별로 탈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탈취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관로(200A)는 일측이 커넥터(100)와 연결되며 타측이 첫번째 탈취탱크(210)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첫번째 탈취탱크(210)의 하부로 이송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제1 연결관로(230)는 첫번째 탈취탱크(210) 상부와 두번째 탈취탱크(210) 하부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첫번째 탈취탱크(210)에서 마지막 탈취탱크(210)까지 각각의 탈취탱크(21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내부의 유체를 이동 가능케 한다. 이와 더불어 제1 분사관로(220)는 탈취탱크(210)의 각각의 상부 및 하부와 연결되어 탈취탱크(210) 내부로 일정량의 청수와 탈취제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한다. 상기 제1 분사관로(220)는 각각의 탈취탱크(210)에 할당된 악취정화물질이 저장된 저장소와 연결되어 악취정화물질을 공급받는 구조를 따른다. 상기 악취정화물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자에 의해 단계별로 청수와 탈취제들을 이용하여 혼합 제조될 수 있다.
정화유닛(300)은 마지막 탈취탱크(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정화탱크(310), 제2 연결관로(300A), 제2 분사관로(320) 및 배출관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화탱크(310)는 마지막 탈취탱크(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정화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2 연결관로(300A)는 일측이 마지막 탈취탱크(210)의 상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정화탱크(310)의 하부와 연결되어 마지막 탈취탱크(210) 내부의 유체를 정화탱크(310)로 공급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제2 분사관로(320)는 정화탱크(3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정화탱크(310) 내부로 일정량의 청수로 이루어진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여 탈취된 유체를 최종적으로 정화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배출관로(330)는 정화탱크(310)와 정화탱크(310)의 외부를 연통시켜 악취가 완전히 정화된 유체를 배출하게 된다.
한편 탈취유닛(200)과 정화유닛(300)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탈취유닛(200)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탱크에서 단계별로 탈취를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탈취탱크(210), 이송관로(200A), 다수개의 제1 공급관로(도면부호 미도시), 다수개의 제1 분사관로(220) 및 다수개의 제1 연결관로(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수개의 탈취탱크(210)는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단계별로 탈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탈취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관로(200A)는 일측이 커넥터(100)와 연결되며 타측이 첫번째 탈취탱크(210)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첫번째 탈취탱크(210)의 하부로 이송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제1 연결관로(230)는 첫번째 탈취탱크(210) 상부와 두번째 탈취탱크(210) 하부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첫번째 탈취탱크(210)에서 마지막 탈취탱크(210)까지 각각의 탈취탱크(210)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내부의 유체를 이동 가능케 한다. 이와 더불어 제1 공급관로는 탈취탱크(210) 각각의 일측과 상기 탈취탱크(210) 각각에 할당된 악취정화물질이 저장된 저장소(도면부호 미도시)를 연결시켜 탈취탱크 내부로 일정량의 악취정화물질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악취정화물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자에 의해 단계별로 청수와 탈취제들을 이용하여 혼합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사관로(220)는 탈취탱크(210) 각각의 상부 및 하부와 연결되어 제1 공급관로에 의해 공급되어 저장되는 탈취탱크 내부의 악취정화물질을 순환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분사관로(220)는 탈취탱크(210) 내측 상부에서 순환되는 악취정화물질을 분사시키는 구조를 따르게 된다.
정화유닛(300)은 마지막 탈취탱크(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정화탱크(310), 제2 연결관로(300A), 제2 공급관로(도면부호 미도시), 제2 분사관로(320) 및 배출관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화탱크(310)는 마지막 탈취탱크(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정화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2 연결관로(300A)는 일측이 마지막 탈취탱크(210)의 상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정화탱크(310)의 하부와 연결되어 마지막 탈취탱크(210) 내부의 유체를 정화탱크(310)로 공급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제2 공급관로는 정화탱크(310)의 일측과 상기 정화탱크(310)에 할당된 악취정화물질이 저장된 저장소(도면부호 미도시)를 연결시켜 탈취탱크 내부로 청수로 이루어진 일정량의 악취정화물질을 공급하게 된다.
제2 분사관로는 정화탱크(310)의 상부 및 하부와 연결되어 제2 공급관로에 의해 공급되어 저장되는 탈취탱크 내부의 악취정화물질을 순환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 분사관로(320)는 정화탱크(310) 내측 상부에서 순환되는 악취정화물질을 분사시키는 구조를 따르게 되어 탈취된 유체를 최종적으로 정화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배출관로(330)는 정화탱크(310)와 정화탱크(310)의 외부를 연통시켜 악취가 완전히 정화된 유체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탈취유닛과 정화유닛의 탈취탱크, 연결관로, 분사관로 각각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각각의 탈취탱크에는 내부의 유체들을 비상 시에 배출시키기 위한 비상배출구 및 연결관로들의 일측과 타측과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탈취탱크 각각의 내부에는 악취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악취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이와 함께 각각의 연결관로 상에는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 유체의 유동 점검을 위한 유량게이지 및 유체의 유동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밸브가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분사관로 상에는 악취정화물질을 압축시키기 위한 콤프레셔, 압축된 악취정화물질을 분사시키기 위한 공급펌프, 악취정화물질의 유동 점검을 위한 유량게이지, 악취정화물질의 유동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밸브, 악취정화물질의 혼합을 위한 저장소 및 악취정화물질을 이루는 물질들의 정량공급을 위한 정량공급펌프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한 구성들은 제어판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합적으로 제어하여 탈취작업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단계별로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탱크컨테이너 전용 악취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넥터
200: 탈취유닛
200A: 이송관로
210: 제1 탈취탱크
220: 제1 분사관로
230: 제1 연결관로
240: 제2 탈취탱크
250: 제2 분사관로
260: 제2 연결관로
270: 제3 탈취탱크
280: 제3 분사관로
300: 정화유닛
300A: 제3 연결관로
310: 정화탱크
320: 제4 분사관로
330: 배출관로

Claims (13)

  1.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컨테이너의 밸브와 연결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악취를 중화시키는 탈취유닛; 및,
    상기 탈취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탈취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는 상기 탈취유닛과 연결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의 타측에는 상기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탱크컨테이너의 일측에는,
    상기 송기구와 연결되는 송기호스 및,
    상기 송기호스 상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송기호스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제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기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탈취유닛은,
    제1 탈취탱크, 제2 탈취탱크 및 제3 탈취탱크,
    일측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 탈취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탱크컨테이너 내부의 유체를 제1 탈취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이송관로,
    상기 제1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탈취탱크 내부로 제1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1 분사관로,
    일측이 상기 제1 탈취탱크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 탈취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탈취탱크 내부의 유체를 제2 탈취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제1 연결관로,
    상기 제2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탈취탱크 내부로 제2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2 분사관로,
    일측이 상기 제2 탈취탱크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3 탈취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탈취탱크 내부의 유체를 제3 탈취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제2 연결관로 및,
    상기 제3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 탈취탱크 내부로 제3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3 분사관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화유닛은,
    정화탱크,
    일측이 상기 제3 탈취탱크의 상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정화탱크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 탈취탱크 내부의 유체를 정화탱크로 공급 가능케 하는 제3 연결관로,
    상기 정화탱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화탱크 내부로 제4 악취정화물질을 분사 가능케 하는 제4 분사관로 및,
    상기 정화탱크와 정화탱크의 외부를 연통시켜 정화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관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제2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 및 제2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제3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와 제1 탈취제 및 제3 탈취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제4 악취정화물질은 일정량의 청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탈취제는 수용성 아민(amine), 수용성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탈취제는 수용성 구연산 또는 수용성 가성소다(caustic soda)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탈취제는 수용성 파인솔(pine-so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74002A 2015-05-27 2015-05-27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 KR101699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002A KR101699240B1 (ko) 2015-05-27 2015-05-27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002A KR101699240B1 (ko) 2015-05-27 2015-05-27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349A KR20160139349A (ko) 2016-12-07
KR101699240B1 true KR101699240B1 (ko) 2017-01-24

Family

ID=5757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002A KR101699240B1 (ko) 2015-05-27 2015-05-27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350A (ko) * 2019-12-03 2021-06-11 인성에이앤티 주식회사 악취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394B1 (ko) * 2017-03-08 2019-04-11 조정복 포인트 주입 및 상향 분사식 스크러버
KR102593553B1 (ko) * 2021-05-07 2023-10-23 김중곤 정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4547A (ja) 2007-04-19 2008-11-27 Imex Co Ltd 脱臭装置
JP2009154151A (ja) 2007-12-04 2009-07-16 Nakajima Jidosha Denso:Kk 脱臭装置及び脱臭方法
KR100936440B1 (ko) 2009-04-23 2010-01-12 대명엔텍(주)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탈취방법 및 그 탈취기
JP2011092820A (ja) 2009-10-27 2011-05-12 Nrs Corp 臭気性ガスが残存しているタンク内部の脱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970B1 (ko) 1999-08-11 2002-08-07 대경기계기술주식회사 악취 가스로부터 악취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US8652243B1 (en) 2013-08-14 2014-02-18 Sam Yung Kwack Gas filt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4547A (ja) 2007-04-19 2008-11-27 Imex Co Ltd 脱臭装置
JP2009154151A (ja) 2007-12-04 2009-07-16 Nakajima Jidosha Denso:Kk 脱臭装置及び脱臭方法
KR100936440B1 (ko) 2009-04-23 2010-01-12 대명엔텍(주)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탈취방법 및 그 탈취기
JP2011092820A (ja) 2009-10-27 2011-05-12 Nrs Corp 臭気性ガスが残存しているタンク内部の脱臭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350A (ko) * 2019-12-03 2021-06-11 인성에이앤티 주식회사 악취제거 장치
KR102346135B1 (ko) * 2019-12-03 2022-01-03 인성에이앤티 주식회사 악취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349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682B1 (ko)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KR101699240B1 (ko)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시스템
KR101653368B1 (ko)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0809022B1 (ko) 축사용 공기정화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오존발생기의암모니움 염 제거장치
KR20140114119A (ko) 실험실 장비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US10822257B2 (en) HVAC fluid conditioning system
KR101738349B1 (ko) 악취 제거장치
KR101948600B1 (ko) 탱크컨테이너의 효율적 악취제거 시스템
KR101695946B1 (ko) 공기 살균 소독 및 탈취를 위한 이산화염소 가스의 순환 장치
KR101757684B1 (ko)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 방법
KR200471542Y1 (ko) 오존수를 이용한 배관 청소장치
KR102016278B1 (ko) 축사 악취저감시스템.
KR20170049270A (ko) 터널식 오존 세정 악취 제거 장치
KR20190060365A (ko) 악취처리장치
KR102344433B1 (ko) 축산시설 공기정화 시스템
KR102086738B1 (ko) 오존과 광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악취저감장치
KR101960898B1 (ko) 오염가스 처리시스템
KR101532269B1 (ko) 자연 기화식 탈취장치
KR200487390Y1 (ko) 덕트형 공기 접촉식 약액 탈취장치
KR101636421B1 (ko) 순환형 대기처리장치
US20200340707A1 (en) Chemical rod for hvac fluid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60121145A1 (en) Connection module, maintenance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losed-circuit breathing apparatus
KR101610855B1 (ko)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용 커넥터
KR101976418B1 (ko) 트레일러 장착용 모듈식 스케일 및 유해화학물질 제거 장치
KR20190120666A (ko)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