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505B1 -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505B1
KR102593505B1 KR1020210109311A KR20210109311A KR102593505B1 KR 102593505 B1 KR102593505 B1 KR 102593505B1 KR 1020210109311 A KR1020210109311 A KR 1020210109311A KR 20210109311 A KR20210109311 A KR 20210109311A KR 102593505 B1 KR102593505 B1 KR 10259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terminal device
service
chatbot
sh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7478A (ko
Inventor
윤재한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운드파인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운드파인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운드파인트리
Priority to KR102021010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50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는 헤어샵의 메타버스(metaverse)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인공지능(AI) 챗봇을 통해 헤어 작업과 관련한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Hair Shop Service by Using Chat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인공지능(AI) 챗봇을 이용하여 헤어샵의 견적이나 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역별로 수많은 헤어샵이 위치하고 있는데 헤어샵만으로서는 경쟁시대에 헤어디자이너의 관리 및 마케팅에 어려운 측면이 있다. 샵의 입장에서는 복수의 헤어디자이너를 고용하는 경우 헤어디자이너들의 업무 분배가 매우 중요한데 고객이 각 헤어샵에 디자이너수가 몇 명인지 그리고 현재 유휴 디자이너가 몇 명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헤어샵의 입장에서도 전혀 외부에 알릴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또한, 헤어샵의 마케팅은 주로 지역권 내의 팜플렛 또는 온라인을 통한 홍보를 위주로 진행되게 되고, 실제 파워 블로거를 이용한 유료 광고를 통해 홍보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실제 불필요한 마케팅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97951호(2014.05.1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71798호(2021.06.25)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공지능(AI) 챗봇을 이용하여 헤어샵의 견적이나 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는 헤어샵의 메타버스(metaverse)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인공지능(AI) 챗봇을 통해 헤어 작업과 관련한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견적 및 예약을 수행하기에 앞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하는 검색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디자인 사진을 선택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챗봇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디자인 사진과 상기 사용자의 얼굴 사진이 제공될 때 상기 헤어디자인 사진의 헤어 작업이 가능한 헤어디자이너의 디자이너 단말장치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자이너 단말장치로부터 스타일링 절차, 작업 시간 및 세부 진행 순서에 대한 응답이 있을 때 상기 챗봇 서비스를 통해 응답 내용 및 기저장된 비용 데이터를 근거로 견적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챗봇 서비스를 통해 상기 견적과 관련한 체크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삭제한 항목을 상기 디자이너 단말장치로 통지한 후 예약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헤어샵의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인공지능(AI) 챗봇을 통해 헤어 작업과 관련한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헤어디자이너들의 출퇴근 기록 시간과 연동하여 헤어샵 내에 헤어디자이너들의 숫자를 파악하고, 헤어디자이너가 고객 스타일링 중인 해당 작업시간과 작업 종료 시간을 기록할 수 있어 각 디자이너별 작업 일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세부 작업 사항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여(예: 컷트, 펌, 염색, 모발영양, 샴프 횟수 등) 방문시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여 고객들의 예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헤어샵 입장에서는 디자이너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고, 디자이너 입장에서는 자신이 근무한 헤어샵에서의 포트폴리오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직을 위한 자료에 사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딥러닝 학습을 통해 남/여에 대한 머리 스타일을 학습하고, 그 학습에 따른 키워드 중심으로 재분류하도록 하여 고객이 키워드 중심으로 검색하더라고 다양한 형태의 헤어디자인과 관련된 사진이 검색되도록 하며, 또한 헤어샵 또는 헤어디자이너가 사진을 올리는 경우 해당 사진만을 학습하여 고객이 검색한 키워드에 따른 헤어디자인 사진과 매칭하여 유사한 사진(예: SNS 등)을 올린 헤어샵 또는 헤어디자이너가 올린 사진을 연관하여 표시하도록 하여 고객이 원하는 헤어 디자인의 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샵 또는 헤어디자이너 추천이 가능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공지능의 챗봇을 통해 간단하게 특정 헤어샵이나 디자이너와 예약을 진행할 수 있고, 견적을 알아보는 경우에도 단순히 챗봇을 이용함으로써 견적 및 예약 서비스를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샵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헤어샵 서비스 장치의 핵심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헤어샵 서비스 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4는 도 1의 헤어샵 서비스 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샵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헤어샵 서비스 장치의 주요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샵 서비스 시스템(90)은 가령 인공지능(AI)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장치(100), 헤어샵 단말장치(110), 디자이너 단말장치(120), 통신망(130) 및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디자이너 단말장치(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헤어샵 서비스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3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웹 기반이나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웹 기반의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앱 기반의 태블릿PC, 스마트폰, 손목 등에 착용하는 국내 S사의 갤럭시*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나아가 스마트TV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온라인상의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샵 서비스를 이용한다. 여기서, 헤어샵 서비스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헤어샵들을 메타버스로 구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인공지능(AI) 챗봇을 구현하여 그 챗봇에 의한 특정 헤어샵에서의 헤어 작업에 대한 견적 요청이나 예약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에 접속하여 이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간단한 질의 등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의 챗봇은 특정 지역의 헤어샵 홈페이지나 메타버스 화면에 접속하여 제공하는 챗봇이라 볼 수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에 접속하여 검색어 기반으로 자신이 하고자 하는 헤어디자인의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통상의 포털 사이트에서는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파워 블로거 등의 헤어샵이 소개되거나 하는 문제로 인해 정확한 검색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웹상에서 헤어디자인 등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딥러닝을 통해 남녀, 헤어, 색상, 길이, 파마 등의 사진으로 1차적으로 분류하고, 분류한 사진마다 연예인, 짧은 생머리, 염색, S컬, C컬 등의 세부 키워드를 근거로 재분류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검색어에 따른 정확도가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후에 더 설명하겠지만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이와 같이 검색어를 통해 선택하는 헤어디자인 사진을 통해 어떠한 헤어샵에서 해당 헤어디자인 사진과 동일한 헤어작업을 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헤어샵마다 헤어작업이 완료된 후 헤어작업 사진을 제공받아 이를 DB(140)에 저장한 후 헤어샵이나 헤어 디자이너를 추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전에 매칭 작업이 완료된 경우라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에 접속하여 검색어를 입력할 때 이에 대한 헤어디자인 이미지들이 추천되며, 또는 지도상에 해당 헤어디자인 이미지와 같은 헤어작업이 가능한 헤어샵 아이콘이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어를 통해 헤어디자인 이미지를 선택하였을 때 그 선택한 헤어디자인 이미지를 통해 실제 동일 또는 유사한 헤어작업이 가능한 헤어샵을 화면상에 노출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디자인 이미지와 헤어샵에서 등록한 헤어작업 사진의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2개의 이미지의 비교는 키워드 기반으로 유사도를 판단하거나, 이미지상의 화소 분석 등을 통해 유사도를 판단하여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가령, 화소 분석은 헤어 스타일에서 특징점을 지정하고 해당 특징점을 통해 유사도를 판단하는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화소분석시 얼굴 부위를 추출하고, 추출한 얼굴 이미지에서 안면과 헤어 부분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반의 객체 검출기나 템플릿 기반의 검출기를 통해 구분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의 전제하에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검색어를 통해 특정 헤어디자인 사진을 선택하고, 이를 근거로 지도상에 헤어샵 항목이 노출될 때 특정 헤어샵을 선택하여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으로 입장한다. 그리고 화면상에서 챗봇 버튼이나 서비스를 요청하여 이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헤어디자인 사진을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가령 앱을 실행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챗봇 서비스를 요청할 때 자신의 얼굴 부위를 촬영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 이는 헤어샵이나 헤어샵의 디자이너가 헤어 작업을 위한 견적을 낼 때 자세한 견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00)의 사용자는 자신의 촬영 사진과 자신이 검색어를 통해 선택한 헤어디자인 이미지를 챗봇을 통해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로 전송한다. 물론 여기서, 검색어를 통해 헤어디자인 사진을 선택하는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무엇보다 사용자가 자신이 헤어작업을 희망하는 기준이 되는 이미지와 자신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챗봇을 통해 전송한다.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챗봇을 통해 자신이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로 전송한, 다시 말해 사진이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견적을 요청한 것에 대하여 챗봇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 인공지능 챗봇은 내부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예상 비용을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앞서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제공한 데이터 즉 기준이 되는 헤어디자인 사진과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헤어샵 단말장치(110)나 디자이너 단말장치(120)로 제공하며, 헤어디자이너나 헤어샵의 관리자 등은 해당 스타일링에 따른 절차, 작업시간, 세부진행순서 등의 체크 혹은 체크목록을 챗봇으로 전송하게 되며, 챗봇은 이를 근거로 내부 데이터를 검색하여 비용을 산정한다. 그리고, 예상 견적을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견적을 확인하여 목록의 체크 항목 중 불필요한 부분은 취소 혹은 삭제하여 다시 챗봇을 통해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 즉 챗봇은 디자이너 단말장치(120) 등을 통해 디자이너에게 고객의 전달사항이 통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헤어작업의 예약이 최종적으로 완료된다.
헤어샵 단말장치(110)는 헤어샵마다 구비되는 관리자 컴퓨터, 가령 POS(Point of Sale)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상에서 미리 선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오프라인상에서 결제를 수행하려는 경우에는 POS 단말기를 통해 결제를 진행한다. 물론 별도의 카드 결제단말기를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헤어샵 단말장치(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에서 헤어샵마다 메타버스 화면을 제공하고, 제공한 메타버스 화면상에 헤어디자이너들의 출퇴근 상황이나 헤어샵별 디자이너 수를 표시해주거나, 유휴 디자이너 수를 표시하거나, 또는 헤어디자이너마다 헤어 작업 스케줄을 화면에 표시해 주기 위해서는 출퇴근과 관련한 정보를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에 제공하기 위한 역할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헤어샵 단말장치(110)는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헤어샵에 구비되는 출퇴근 장치(예: 지문인식기 등)를 통해 제공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출퇴근 상황은 디자이너들이 구비하는 개인 스마트폰이나, 작업 공간에 구비되는 태블릿 PC 등을 통해 자신의 출퇴근 상황을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에 통지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헤어샵 단말장치(110)는 디자이너 단말장치(120)가 시스템 구성상 생략되는 경우에도 고객들의 견적 요청이나 예약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앞서 언급한 대로 고객이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자신이 하고 싶은 헤어스타일의 헤어디자인 이미지와, 자신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챗봇을 통해 제공할 때, 이에 대한 데이터를 헤어샵 단말장치(110)에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해당 스타일링에 따른 절차, 작업시간, 세부진행순서를 체크하여 챗봇을 통해 답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시스템 설계시 어떠한 형태로 동작하도록 설계하는지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챗봇으로 고객의 문의가 있을 때 헤어샵 단말장치(110)에서만 수신하는 경우, 또는 각 디자이너의 디자이너 단말장치(120)에서만 수신하는 경우, 물론 여기서의 디자이너 단말장치(120)는 해당 헤어디자인 이미지의 헤어작업을 실제로 수행한 디자이너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헤어샵 단말장치(110)와 디자이너 단말장치(120)에서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이다. 이의 경우에는 어느 한쪽에서의 응답에 따라 챗봇이 고객의 질의에 응답할 수 있다.
디자이너 단말장치(120)는 위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와 같이,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상에 디자이너의 출퇴근 상황을 표시하기 위해 출퇴근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을 실행한 후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에 접속하여 출퇴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 단말장치(120)는 자신이 수행한 헤어작업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견적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답변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객의 견적 요청은 자신이 이전에 헤어작업을 수행한 후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에 제공한 헤어작업 사진 즉 사진 데이터를 근거로 작업 요청이 있는 것이므로, 견적과 관련하여 해당 스타일링에 따른 절차, 작업 시간, 세부 진행순서에 대한 정보를 챗봇을 통해 답변한다. 물론, 챗봇 서비스에는 단순히 채팅 기능 이외에도 위의 데이터를 불러내어 쉽게 선택한 후 전송하도록 하여 채팅의 동작을 간편하게 단순화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는 이러한 동작에 관여할 수 있다.
물론 디자이너 단말장치(120)의 디자이너는 자신이 제공한 체크 목록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고객이 최종 결정을 통지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불필요한 사항을 삭제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챗봇 서비스를 통해 통지받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통지 후에 예약이 확정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견적이나 예약을 요청할 때, 헤어 디자이너 등의 헤어작업 스케줄을 확인한 후 견적이나 예약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디자이너의 체크 목록에 대하여 고객으로부터 예약 요청이 있는 경우, 헤어디자이너는 다시 챗봇을 통해 작업 가능 시간을 통지해 줄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고객과 작업 가능 시간을 조율하는 형태로 예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챗봇의 기능을 고려하면 후자의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통신망(13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3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3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3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3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sive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3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헤어샵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헤어샵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지능 기반의 챗봇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장치(100), 헤어샵 단말장치(110) 및 디자이너 단말장치(120)로 제공하며 이의 과정에서 고객이 요청하는 헤어작업과 관련한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헤어샵마다 메타버스 서비스 화면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타버스 서비스 화면 내에 챗봇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은 실제 오프라인상의 헤어샵의 내부 공간과 동일한 모습을 가상의 공간에 옮겨 놓은 것이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헤어샵 서비스에 실감을 줄 수 있다. 해당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에는 디자이너들의 수, 또 유휴 디자이너 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헤어디자이너별로 헤어작업의 스케줄을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검색어 기반으로 헤어샵을 추천하고, 추천한 헤어샵 중에서 선택되는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을 수신하여 이를 통해 챗봇 서비스에 의한 헤어작업의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픈 사이트 등에서 헤어디자인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남녀 등의 구분을 통해 사진을 1차적으로 분류하고, 또 분류한 사진을 세부 키워드별로 재분류하여 매칭 및 저장한다. 또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제휴 또는 서비스에 가입된 헤어샵에서 실제 헤어디자이너들에 의해 이루어진 헤어작업의 사진을 제공받아 이를 저장한다. 그리고, 위의 2차 분류한 헤어디자인 이미지와 헤어샵의 사진에 대한 유사도를 비교하여 서로 매칭시켜 도 1의 DB(14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구축 동작에 따라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제공하는 검색어를 근거로 헤어디자인 이미지를 추천한다.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추천한 헤어디자인 이미지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해당 헤어디자인 이미지와 관련한 헤어작업이 가능한 헤어샵들의 아이콘을 지도상에 표시해준다. 이에 근거해 보면,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헤어디자인 이미지에 따라 지도상에 노출시키는 헤어샵의 유형이 상이하며, 단적으로 노출되는 헤어샵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화면상에 노출되는 헤어샵은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와 관련한 헤어작업이 가능한 헤어샵이다. 또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지도상에 헤어샵을 노출시킬 때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아이콘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는 현재 위치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지역 검색어를 제공하는 경우 이를 근거로 지도상에 헤어샵을 노출시킬 수 있다.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헤어샵에 입장하여 챗봇을 통해 견적 및 예약이 가능하도록 챗봇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공지능 챗봇의 경우 디자이너가 제공하는 헤어 스타일링의 체크 항목을 근거로 예상 비용을 산출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의 상황을 인식하며 인식 결과를 근거로 순차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앱을 실행한 후 챗봇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검색을 통해 취득한 헤어디자인 이미지를 첨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미지가 첨부되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 첨부되면 이를 근거로 고객의 견적 요청을 진행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촬영 사진의 얼굴은 워터마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견적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디자이너 단말장치(110)로 전송하여 스타일링 절차, 작업시간, 세부 진행 순서 등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이의 과정에서 챗봇은 체크목록에서 특정 항목을 체크하도록 요청한다. 요청에 따라 항목의 체크가 완료되면 이를 근거로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작업시간이나 진행순서에 따른 예상 비용을 산출하며, 이는 기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견적이 완료되면 해당 견적을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외에도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한 견적에서 고객이 특정 항목의 삭제를 요청하거나 작업을 취소하는 경우 이의 사실을 챗봇 서비스를 통해 해당 디자이너의 디자이너 단말장치(110)로 통지할 수 있으며, 이후 헤어디자이너와 작업 가능 시간을 조율할 수 있고, 이의 과정을 통해 예약 동작을 마무리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작업 가능 시간은 디자이너의 스케줄을 메타버스 화면에서 확인한 후에 견적이나 예약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위의 조율 과정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헤어샵 서비스 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헤어샵 서비스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가 구성되거나, 헤어샵 서비스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통신망(13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 헤어샵 단말장치(110) 및 디자이너 단말장치(120)와 각각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및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헤어디자인 이미지와 관련하여 헤어작업이 가능한 헤어샵의 메타버스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가령 헤어샵의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챗봇을 통해 헤어작업과 관련한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제어부(310)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헤어샵 서비스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헤어샵과 관련한 메타버스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헤어샵 서비스부(320)를 제어하여 내부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은 헤어샵 서비스부(320)에서 사전에 기생성한 메타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지만, 헤어샵마다 운영하는 서드파티장치로서의 서버에 각각 링크(link)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서드파티장치는 도 1의 통신망(130)을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가 각 서버를 링크하기보다는 통합 플랫폼의 형태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310)는 헤어샵 서비스부(320)와 연계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챗봇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의 헤어디자인 사진을 첨부 또는 송부하도록 하고, 또한 자신의 현재 모습, 더 정확하게는 헤어 모습을 촬영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물론 고객이 원하는 헤어스타일의 헤어디자인 사진은 앞서 언급한 대로 오픈 사이트에서 수집되는 사진을 의미하지만, 헤어샵에서 실제 헤어작업이 이루어진 사진과의 유사도에 따른 매칭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특정 헤어샵이나 헤어디자이너의 단말장치로 해당 데이터 즉 2장의 사진을 전송한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챗봇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헤어샵이나 디자이너의 단말장치로부터 절차, 작업시간 및 세부진행순서 등의 체크 목록이 제공되면 이를 근거로 기저장된 데이터를 참고하여 예상 비용을 산출해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외에도 제어부(310)는 헤어샵 서비스부(320)와 연계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헤어샵 서비스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하며,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이를 실행시킨다. 헤어샵 서비스부(320)는 대표적으로 헤어샵별로 오프라인 공간상의 모습과 동일하게 가상공간을 구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헤어샵 서비스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검색어를 제공할 때 해당 검색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디자인 사진을 선택하도록 동작한다. 물론 제공하는 헤어디자인의 사진은 오픈 사이트에서 수집한 사이트이고, 해당 사진들을 딥러닝을 통해 분류하여 헤어샵에서 제공하는 헤어작업 사진들과 매칭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헤어샵 서비스부(320)는 특정 헤어디자인 이미지와 그 이미지상의 헤어스타일 작업이 가능한 헤어샵의 헤어작업 사진과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 총 20개의 헤어샵이 있다면 이의 헤어샵에 대한 아이콘을 지도상에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거리나 지역 기반으로 필터링하여 일부의 헤어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물론 헤어샵 서비스부(320)는 데이터 구축을 위해 사전에 오픈 사이트에서 헤어디자인 사진들을 수집하여 이를 딥러닝을 통해 분류하고, 또 키워드를 근거로 재분류한 후 헤어샵에서 제공하는 사진들과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매칭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 이외에도 헤어샵 서비스부(320)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헤어샵에서 제공하는 헤어작업 사진들만을 딥러닝 등의 분석을 통해 예시(혹은 기준) 디자인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근거로 헤어샵이나 헤어디자이너가 추천되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위의 과정을 통해 헤어샵 서비스부(320)는 검색어나 예시 사진 기반으로 특정 헤어샵이 선택되면, 다시 말해 맵상에서 해당 검색어나 예시 사진을 근거로 헤어샵들이 추천되었다면 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의 헤어샵에 대한 메타버스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해당 메타버스 화면 내의 챗봇 서비스를 통해 위에서 열거한 것과 같은 형태의 견적이나 예약 동작을 수행한다. 견적이나 예약 등과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헤어샵 서비스부(320)는 사용자의 실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 제공되는 경우 얼굴 부위에는 워터마크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일종의 모자이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선택적으로, 다시 말해 사용자가 요청할 때만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 저장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310)는 챗봇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사진과 관련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부(330)에 저장한 후 헤어샵 서비스부(320)의 요청이 있을 때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헤어샵 단말장치(110)나 디자이너 단말장치(120)로 전송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헤어샵 서비스부(320) 및 저장부(3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헤어샵 서비스부(320) 및 저장부(3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3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의 동작 초기에 헤어샵 서비스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헤어샵 서비스 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헤어샵의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S400).
또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헤어샵의 메타버스 서비스 내 인공지능(AI) 챗봇을 통해 헤어 작업과 관련한 견적 및 예약을 수행한다(S410).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챗봇 서비스가 요청될 때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디자인 사진과 자신의 모습을 촬영한 촬영 사진을 제공하도록 하며, 촬영 사진 등이 수신되면 헤어디자인 사진의 헤어작업이 가능한 또는 그를 통해 선택된 헤어샵이나 디자이너의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견적을 위한 체크 항목을 생성하도록 요청한다. 목록상의 체크 항목을 통해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기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자동으로 비용을 산정하게 되며, 이를(예: 견적)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조정이 있는 경우에 조정된 상태로 예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헤어샵 서비스 장치(14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헤어샵 단말장치
120: 디자이너 단말장치 130: 통신망
140: 헤어샵 서비스 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헤어샵 서비스부
330: 저장부

Claims (6)

  1. 헤어샵의 메타버스(metaverse)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인공지능(AI) 챗봇을 통해 헤어 작업과 관련한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견적 및 예약을 수행하기에 앞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하는 검색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디자인 사진을 선택하도록 서비스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검색어를 기반으로 선택한 헤어디자인 사진을 근거로 지도상에 헤어샵 항목을 노출시켜 상기 노출에 따른 헤어샵 항목에서 선택하는 지정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으로 입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장한 메타버스 화면상에서 챗봇 버튼이나 서비스를 요청해 전송되는 상기 선택한 헤어디자인 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챗봇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디자인 사진과 상기 사용자의 얼굴 사진이 제공될 때 상기 헤어디자인 사진의 헤어 작업이 가능한 헤어디자이너의 디자이너 단말장치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오픈 사이트에서 수집되는 헤어디자인 사진과 헤어샵에서 실제 헤어작업이 이루어진 사진과의 유사도에 따른 매칭을 근거로 상기 헤어디자인 사진의 헤어 작업이 가능한 헤어디자이너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한 헤어디자이너의 디자이너 단말장치로 상기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자이너 단말장치로부터 스타일링 절차, 작업 시간 및 세부 진행 순서에 대한 응답이 있을 때 상기 챗봇 서비스를 통해 응답 내용 및 기저장된 비용 데이터를 근거로 견적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챗봇 서비스를 통해 상기 견적과 관련한 체크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삭제한 항목을 상기 디자이너 단말장치로 통지한 후 예약 동작을 처리하는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6.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헤어샵의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내의 인공지능(AI) 챗봇을 통해 헤어 작업과 관련한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견적 및 예약을 수행하기에 앞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하는 검색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디자인 사진을 선택하도록 서비스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검색어를 기반으로 선택한 헤어디자인 사진을 근거로 지도상에 헤어샵 항목을 노출시켜 상기 노출에 따른 헤어샵 항목에서 선택하는 지정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으로 입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장한 메타버스 화면상에서 챗봇 버튼이나 서비스를 요청해 전송되는 상기 선택한 헤어디자인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챗봇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디자인 사진과 상기 사용자의 얼굴 사진이 제공될 때 상기 헤어디자인 사진의 헤어 작업이 가능한 헤어디자이너의 디자이너 단말장치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오픈 사이트에서 수집되는 헤어디자인 사진과 헤어샵에서 실제 헤어작업이 이루어진 사진과의 유사도에 따른 매칭을 근거로 상기 헤어디자인 사진의 헤어 작업이 가능한 헤어디자이너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한 헤어디자이너의 디자이너 단말장치로 상기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자이너 단말장치로부터 스타일링 절차, 작업 시간 및 세부 진행 순서에 대한 응답이 있을 때 상기 챗봇 서비스를 통해 응답 내용 및 기저장된 비용 데이터를 근거로 견적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10109311A 2021-08-19 2021-08-19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9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11A KR102593505B1 (ko) 2021-08-19 2021-08-19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11A KR102593505B1 (ko) 2021-08-19 2021-08-19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478A KR20230027478A (ko) 2023-02-28
KR102593505B1 true KR102593505B1 (ko) 2023-10-23

Family

ID=8532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311A KR102593505B1 (ko) 2021-08-19 2021-08-19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5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51B1 (ko) 2012-06-13 2014-05-30 이병환 미니 홈피 형식의 미용 정보 포털 사이트 운영 시스템
KR101923723B1 (ko) * 2012-09-17 2018-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메타버스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메타버스 클라이언트 단말 및 방법
KR20160110801A (ko) * 2015-03-12 2016-09-22 주식회사 세현씨앤티 뷰티 견적 및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71798B1 (ko) 2019-11-11 2021-07-01 김윤희 미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478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71610B (zh) 页面生成方法、页面生成设备、存储介质及装置
KR102016656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뷰티샵 중개 시스템
KR102132714B1 (ko)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99250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服务器
WO2022072539A1 (en) Analy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item usage data
KR20190097879A (k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 광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8128955A (ja) スクリーンショット画像解析装置、スクリーンショット画像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97951B1 (ko) 미니 홈피 형식의 미용 정보 포털 사이트 운영 시스템
KR20230175156A (ko) 광고 매칭 관리 서버의 광고 매칭 방법
KR102593505B1 (ko)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48257B1 (ko) 딥러닝 방식을 이용한 헤어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TWI795019B (zh) 向用戶提供物品資訊之方法及其設備
KR102621333B1 (ko) 지역별 뷰티 트랜드 맵 활성화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93500B1 (ko) 메타버스를 이용한 헤어샵 운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97411B1 (ko) 네일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네일아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3515B1 (ko)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89759B1 (ko) 뷰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93512B1 (ko)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KR102594840B1 (ko) 미용실 내 업무량을 통한 유휴좌석 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59324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84816B1 (ko) 인공지능과 디지털 휴먼을 적용한 무인 카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640326B1 (ko) 어플리케이션 gui 레퍼런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190141848A (ko) 사용자화장품을 이용한 메이크업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52178A (ko)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40049232A (ko)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