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512B1 -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 Google Patents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512B1
KR102593512B1 KR1020210133829A KR20210133829A KR102593512B1 KR 102593512 B1 KR102593512 B1 KR 102593512B1 KR 1020210133829 A KR1020210133829 A KR 1020210133829A KR 20210133829 A KR20210133829 A KR 20210133829A KR 102593512 B1 KR102593512 B1 KR 102593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uty
company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0687A (ko
Inventor
윤재한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운드파인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운드파인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운드파인트리
Priority to KR1020210133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5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는, 뷰티 업체에서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고객과 관련한 부작용 정보 및 뷰티업체의 업체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저장부, 및 업체 정보를 근거로 고객의 단말장치로부터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업체가 선택되면, 선택한 뷰티 업체로 (기)저장한 부작용 정보 및 부작용 정보를 근거로 선정되는 뷰티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Apparatus for Beauty Personalized Beauty Service}
본 발명은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사용자의 과거 경험 등을 통해 얻은 제품 사용이나 시술 등의 부작용 등의 정보를 근거로 예약되는 뷰티 업체에 방문할 고객의 사전 정보를 확인하여 개인에 맞춤화된 뷰티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뷰티 산업이 발달하면서 피부마사지, 헤어, 네일 등과 같은 다양한 뷰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의 특성상 각 개인별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므로 서비스 이후 각종 부작용(예: 알레르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뷰티 산업이 의료와 무관한 산업이기는 하지만 신체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화장품, 비누, 미용기기 사용 등으로 각종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통상 고객 방문시 간단한 질문을 통해 주의를 환기하는 정도로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개선 효과는 크지 않다.
또한, 개인의 경우 기존에 마사지 등의 시술 또는 개인 경험으로 체득한 자기에게 부작용이 있는 제품이나 기기 등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 그래서 통상적으로 뷰티 케어를 방문시에는 문제가 있던 제품 또는 기기 등을 이야기하지만, 뷰티업체에서는 개인별로 맞는 제품을 모두 갖추고 있지 않거나 개인 요구하는 제품과 자신의 샵에 가지고 있는 제품이 동일한 제품인지 모르는 경우도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0604호(2021.02.2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7331호(2021.05.2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2373호(2019.09.0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73687호(2020.01.3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83567호(2021.07.23)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사용자의 과거 경험 등을 통해 얻은 제품 사용이나 시술 등의 부작용 등의 정보를 근거로 예약되는 뷰티 업체에 방문할 고객의 사전 정보를 확인하여 개인에 맞춤화된 뷰티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는, 뷰티 업체에서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고객과 관련한 부작용 정보 및 뷰티업체의 업체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업체 정보를 근거로 고객의 단말장치로부터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업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한 뷰티 업체로 상기 저장한 부작용 정보 및 상기 부작용 정보를 근거로 선정되는 뷰티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요구 사항이 있는 경우 상기 요구 사항을 상기 뷰티 업체로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뷰티 제품의 정보를 제공할 때 플라즈마나 레이저를 이용한 뷰티 서비스 방식의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뷰티 제품들의 제품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더 저장하며, 상기 저장한 제품 정보 및 상기 부작용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단말장치로 뷰티 업체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한 뷰티 업체에 대한 예약이 완료되면 상기 부작용 정보 및 상기 뷰티 제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가, 뷰티 업체에서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고객과 관련한 부작용 정보 및 뷰티업체의 업체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업체 정보를 근거로 고객의 단말장치로부터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업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한 뷰티 업체로 상기 저장한 부작용 정보 및 상기 부작용 정보를 근거로 선정되는 뷰티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이 뷰티업체를 방문할 때 제품 선택이나 부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작용을 고려한 제품 선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인공지능을 이용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근거로 뷰티업체의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개인 맞춤형 뷰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4는 도 1의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 시스템(90)은 뷰티업체 단말장치(100), 고객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는 피부마사지, 헤어, 네일 등과 같은 다양한 뷰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POS(Point of Sales) 단말기, 스마트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국내S사의 갤**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스마트TV와 같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는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한 후, 또는 제휴를 체결한 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서비스를 제공받는다는 것은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를 통해 고객을 유치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는 가령 온라인상으로 가입시 가령 피부마시지의 경우에는 어떠한 방식의 서비스가 가능한지, 또 헤어의 경우에는 어떠한 스타일이 가능한지 등의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는 회원 가입시 어떠한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객의 예약을 진행하는 경우 제품 정보를 제공받아 구매를 통해 고객의 뷰티 업무를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위의 등록 정보는 회원 가입시에 등록하지 않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에서 고객 단말장치(110)는 특정 뷰티업체를 추천받고 고객이 예약을 진행한 경우라면 예약 정보를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승인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티업체 단말장치(100)에서 불승인 처리하면 다시 새로운 업체를 선택하여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를 통해 뷰티업체는 고객이 예약을 진행하면 고객의 부작용 정보를 수신하고, 또 해당 부작용 정보를 근거로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에서 추천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나 시술의 경우에는 시술 방식 등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고객이 뷰티업체에 방문하여 부작용 가령 알레르기 등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지 않아도 업체에서 해당 정보를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받아 인지하고 있으므로 단순히 확인하는 정도로 피부마사지나 헤어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는 예약을 진행하면서 자신이 향후 방문할 뷰티 업체에 요구사항도 전달할 수 있으므로, 특정 뷰티업체를 방문해서 뷰티 서비스를 받는 것이 매우 수월해진다.
고객 단말장치(110)는 뷰티업체 단말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웨어러블장치 등 다양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한다. 고객 단말장치(110)는 이러한 장치를 통해 도 1의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개인에게 맞춤화된 뷰티 서비스를 이용한다. 뷰티 서비스는 피부마사지나 헤어, 네일 등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고객 단말장치(110)는 서비스를 통해 개인별 피부톤, 민감도, 피부 또는 두피 유분도, 기존 경험을 통해 얻은 부작용 등의 정보, 그리고 자신이 향후 방문할 뷰티 업체에 요구하는 사항이 있는 경우 관련 내용을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에 제공 및 제공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며,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가령 인공지능 서버로서 해당 제품과 성분 또는 방식(예: 플라즈마, 레이저 등) 등에 유사한 제품을 고객 단말장치(110)로 알려줄 뿐 아니라, 뷰티 제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으며, 고객 단말장치(110)는 추천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뷰티 업체를 추천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고객 단말장치(110)는 추천한 업체 예약을 진행하는 경우 방문 고객의 개인적인 피부 민감도, 피부톤, 유분도, 부작용 제품 및 요구사항을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로 전달하도록 하여 방문할 고객의 정보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통해 인공지능 서버로부터 추천받은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고객 단말장치(110)의 고객들은 뷰티업체의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뷰티업체의 평가를 진행하는 경우, 해당 평가의 기록은 업체의 서비스 유형이나 세부 서비스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어,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로 구체적인 정보를 요청하지 않는다 해도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sive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뷰티업체 단말장치(100), 고객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 포인트는 뷰티업체 단말장치(100), 고객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피부마사지 등에서 부작용이 우려되는 고객들에 대하여 개인 맞춤형 뷰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관련 개인 신체 정보, 개인 부작용 제품 정보, 개인 부작용 시술 정보, 뷰티업체 정보(예: 보유제품, 보유기기 등) 등을 DB(130a)에 저장한 후 이를 인공지능(AI) 딥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데이터 분석 및 학습을 통해 고객에게 맞춤화된 뷰티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학습 동작을 수행하므로 그만큼 오류를 수정하여 정확도를 높이를 수 있다.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개인별 피부톤, 민감도, 피부 또는 두피 유분도 및 기존의 경험을 통해 얻은 부작용 등에 대해 정보, 그리고 고객이 향후 방문할 뷰티 업체에 요구하는 사항이 있는 경우 관련 내용을 DB(130a)에 저장 및 업데이트하고, 해당 제품과 성분 또는 방식 등에 유사한 제품을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나 고객 단말장치(110)로 알려줄 뿐만 아니라 뷰티 제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한다. 물론 이는 고객 단말장치(110)와의 동작에 해당한다. 또한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추천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뷰티 업체를 고객 단말장치(110)로 추천한다.
나아가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추천한 업체 예약을 고객 단말장치(110)에서 진행하는 경우 방문 고객의 개인적인 피부민감도, 피부톤, 유분도, 부작용 제품 및 요구 사항을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로 전달하여 방문할 고객의 사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를 통해 가령 인공지능 서버인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로부터 추천받은 제품 및 서비스를 뷰티업체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정리하면,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개인 신체 정보, 부작용, 제품 또는 시술, 요구사항, 제품 및 기기 DB 검색(혹은 학습), 개인별 사용금지 제품, 기기, 서비스 및 사용할 수 있는 제품, 기기, 서비스 추천, 개인별 서비스 검색, 업체별 보유 기기 및 DB 검색, 개인별 추천 뷰티 업체 노출, 예약 화면 활성화, 해당 업체 예약 요청시 개인 정보 제공, 해당 업체는 개인 정보 제공 후 자신의 뷰티 업체에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지 확인, 예약 완료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약이 수행되면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에서 뷰티 업체로 제공가능한 서비스인지 승인처리를 요청하지만, 뷰티 업체로부터 서비스가능한 구체적인 정보를 받거나, 고객들이 올린 수기나 평가에서 구체적인 정보를 이미 확인한 경우에는 이러한 승인 절차를 생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승인 여부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챗봇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헤어샵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인공지능 기반의 챗봇 서비스를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나 고객 단말장치(110)로 제공하며 이의 과정에서 고객이 요청하는 헤어작업과 관련한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헤어샵마다 메타버스 서비스 화면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타버스 서비스 화면 내에 챗봇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은 실제 오프라인상의 헤어샵의 내부 공간과 동일한 모습을 가상의 공간에 옮겨 놓은 것이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헤어샵 서비스에 실감을 줄 수 있다. 해당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에는 디자이너들의 수, 또 유휴 디자이너 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헤어디자이너별로 헤어작업의 스케줄을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고객 단말장치(110)에서 제공하는 검색어 기반으로 헤어샵을 추천하고, 추천한 헤어샵 중에서 선택되는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을 수신하여 이를 통해 챗봇 서비스에 의한 헤어작업의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픈 사이트 등에서 헤어디자인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남녀 등의 구분을 통해 사진을 1차적으로 분류하고, 또 분류한 사진을 세부 키워드별로 재분류하여 매칭 및 저장한다. 또한,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제휴 또는 서비스에 가입된 헤어샵에서 실제 헤어디자이너들에 의해 이루어진 헤어작업의 사진을 제공받아 이를 저장한다. 그리고, 위의 2차 분류한 헤어디자인 이미지와 헤어샵의 사진에 대한 유사도를 비교하여 서로 매칭시켜 도 1의 DB(13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구축 동작에 따라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고객 단말장치(110)의 사용자가 제공하는 검색어를 근거로 헤어디자인 이미지를 추천한다.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추천한 헤어디자인 이미지를 근거로 고객 단말장치(110)로 해당 헤어디자인 이미지와 관련한 헤어작업이 가능한 헤어샵들의 아이콘을 지도상에 표시해준다. 이에 근거해 보면,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헤어디자인 이미지에 따라 지도상에 노출시키는 헤어샵의 유형이 상이하며, 단적으로 노출되는 헤어샵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화면상에 노출되는 헤어샵은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와 관련한 헤어작업이 가능한 헤어샵이다. 또한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지도상에 헤어샵을 노출시킬 때 고객 단말장치(110)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아이콘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는 현재 위치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지역 검색어를 제공하는 경우 이를 근거로 지도상에 헤어샵을 노출시킬 수 있다.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헤어샵에 입장하여 챗봇을 통해 견적 및 예약이 가능하도록 챗봇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공지능 챗봇의 경우 디자이너가 제공하는 헤어 스타일링의 체크 항목을 근거로 예상 비용을 산출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견적 및 예약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고객 단말장치(110)에서의 상황을 인식하며 인식 결과를 근거로 순차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장치(110)에서 앱을 실행한 후 챗봇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검색을 통해 취득한 헤어디자인 이미지를 첨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미지가 첨부되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 첨부되면 이를 근거로 고객의 견적 요청을 진행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촬영 사진의 얼굴은 워터마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고객 단말장치(110)로부터 견적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로 전송하여 스타일링 절차, 작업시간, 세부 진행 순서 등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이의 과정에서 챗봇은 체크목록에서 특정 항목을 체크하도록 요청한다. 요청에 따라 항목의 체크가 완료되면 이를 근거로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작업시간이나 진행순서에 따른 예상 비용을 산출하며, 이는 기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견적이 완료되면 해당 견적을 고객 단말장치(110)로 전송한다.
이외에도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고객 단말장치(110)로 전송한 견적에서 고객이 특정 항목의 삭제를 요청하거나 작업을 취소하는 경우 이의 사실을 챗봇 서비스를 통해 해당 디자이너의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로 통지할 수 있으며, 이후 헤어디자이너와 작업 가능 시간을 조율할 수 있고, 이의 과정을 통해 예약 동작을 마무리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작업 가능 시간은 디자이너의 스케줄을 메타버스 화면에서 확인한 후에 견적이나 예약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위의 조율 과정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서드파티장치(140)는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의 서비스를 운영하는 관리자장치, 또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개발업자의 개발자 장치, 나아가 뷰티와 관련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포털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드파티장치(140)는 포털 서버로서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로 미용마사지나 헤어, 나아가 제품 등과 관련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의 딥러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고객 단말장치(110)로 좀더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
인공지능의 딥러닝 프로그램을 이용한다는 것은 데이터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나아가 기존의 룰(rule) 기반의 서비스 정책과 비교하여 어떠한 상황에서 항시 결과를 고객 단말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룰 기반의 서비스 정책은 일치하는 답이 없으면 고객 단말장치(110)로 일치하는 결과가 없음을 통지한다. 그러나, 인공지능을 적용하는 경우 어떠한 경우에도 없음을 통지하는 일이 없다. 이러한 점이 가장 큰 차이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근거로 뷰티업체를 추천하지만, 기존의 룰 기반 서비스는 뷰티업체를 추천하지 못할 수 있지만, 인공지능을 통해서는 예측이 가능하므로, 뷰티업체를 추천하지 못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3은 도 1의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뷰티업체 단말장치(100), 고객 단말장치(110) 및 서드파티장치(140)와 각각 통신한다.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로부터 회원 가입 등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업체 정보를 제공받아 DB(130a)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저장한 정보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고객의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뷰티업체의 예약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310)의 제어하여 예약 정보를 해당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뷰티업체 단말장치(100)는 예약 정보를 확인하여 승인처리할 수 있다. 물론 승인 처리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고객 단말장치(110)와의 통신에 의해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고, 부작용 등의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근거로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적합한 뷰티업체를 추천한다. 추천한 뷰티업체의 예약이 이루어지는 경우 예약 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예약이 진행될 때 뷰티업체에 요구하는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요구사항을 기록하여 전달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 변환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해상도 변환은 7인치나 10인치의 스마트폰의 경우 인치에 맞게 화소 데이터를 재정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310)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제어부(310)는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와 연계하여 데이터 구축 동작을 수행하며, 구축된 데이터를 근거로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구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310)는 뷰티 제품과 관련한 정보, 뷰티업체의 정보, 개인 부작용 제품정보, 개인 부작용 시술 정보 등을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물론 이러한 구체적인 동작은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에서 이루어진다. 제어부(310)는 이러한 동작에 관여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결과는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도 1의 DB(130a)로 제공되어 체계적으로 분류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
제어부(310)는 고객 단말장치(110)의 서비스 요청시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를 제어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화면을 통해 가령 개인별 피부톤, 민감도, 피부나 두피 유분도, 기존 경험에서의 부작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어부(310)는 해당 정보를 근거로 적합한 제품과 서비스 방식(예: 마사지 방식이나 제품 사용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뷰티업체를 추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뷰티업체와의 예약을 진행시킨다.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는 고객들에게 자신의 피부 상태나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해당 제품을 사용해 서비스가 가능한 뷰티업체를 추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는 인공지능의 딥러닝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고객들의 다양한 체형이나 체질 등을 고려해 부작용 없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예약이 이루어진 뷰티업체에 방문한 경우에도 재차 똑같은 내용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인다. 다시 말해,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는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시 부작용 정보 등을 제공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제품이나 뷰티업체를 추천하고, 고객이 이를 근거로 예약을 진행하므로, 예약이 최종 완료되면 뷰티업체로 고객이 최초 입력한 부작용 등의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를 통해 뷰티업체에서 고객이 방문했을 때 해당 정보를 고려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는 고객으로부터 예약을 진행하므로 실제 방문때까지는 공백 기간이 있다고 판단하여 푸시(push) 메시지의 형태로 예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되거나 SMS 문자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뷰티업체에서는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품 정보를 근거로 제품을 확보한 후 고객에서 뷰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시술의 경우에는 서비스가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뷰티업체로부터 승인을 받기 위한 절차가 진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전에 뷰티업체로부터 구체적인 시술 가능여부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므로 전자의 경우가 바람직하다. 다만, 제품의 경우에는 다양한 제품이 존재하므로,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예약과 동시에 제품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업체와 연계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판매 업체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즉시 제품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판매 업체는 도 1에서 서드파티장치(14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는 예약을 진행하기 위한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예약 이후에 별도의 문의가 있는 경우에는 챗봇 서비스를 통해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한 후 출력한다. 제어부(310)는 뷰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뷰티제품, 뷰티업체 등의 데이터를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분석을 위해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 및 저장부(3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 및 저장부(3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3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의 동작 초기에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뷰티 업체에서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고객과 관련한 부작용 정보 및 뷰티업체의 업체 정보를 각각 저장한다(S400).
그리고,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저장한 업체 정보를 근거로 고객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뷰티업체가 선택되면 선택한 뷰티업체로 (기)저장한 부작용 정보 및 부작용 정보를 근거로 선정되는 뷰티 제품의 정보를 제공한다(S410).
고객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됨으로써 뷰티 제품이나 시술방식, 또 뷰티업체를 추천받을 때 부작용 등의 정보를 이미 제공한 상태에서 제품과 뷰티업체를 추천받게 됨으로써 이를 통해 예약을 진행하는 경우 업체를 방문하여 동일한 내용을 반복 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서비스가 수월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뷰티업체로 예약을 진행할 때 뷰티업체에서 제품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 해도 사전 예약이므로, 고객의 방문전에 제품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업체에 예약 정보를 제공할 때 제품 판매가 가능한 업체 정보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빠른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서비스의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뷰티업체 단말장치 110: 고객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140: 서드파티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부
330: 저장부

Claims (6)

  1. 뷰티 업체에서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고객과 관련한 부작용 정보 및 뷰티업체의 업체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업체 정보를 근거로 고객의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업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한 뷰티 업체로 상기 저장한 부작용 정보 및 상기 부작용 정보를 근거로 선정되는 뷰티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뷰티 업체의 뷰티업체 단말장치가 온라인상으로 상기 개인 맞춤 서비스에 가입시 피부마사지의 경우 어떠한 방식의 서비스가 가능한지와 헤어의 경우에는 어떠한 스타일이 가능한지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부에 뷰티 업체의 업체 정보로서 저장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의 부작용 정보를 근거로 뷰티 제품이나 뷰티 업체를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뷰티 제품이나 뷰티 업체를 근거로 예약이 완료되면 상기 예약이 완료되는 뷰티 업체로 상기 부작용 정보 및 상기 뷰티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뷰티 업체의 뷰티업체 단말장치로 상기 고객 단말장치에서의 예약에 따른 예약 정보를 전송하여 불승인 처리하면 새로운 업체를 선택하여 예약을 진행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 뷰티 업체의 평가를 진행하는 경우 평가 기록을 뷰티 업체의 서비스 유형이나 세부 서비스를 확인하는 데 이용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가 기록에서 상기 업체의 서비스 유형이나 세부 서비스와 관련한 정보를 이미 확인한 경우에는 상기 뷰티업체 단말장치의 승인 절차를 생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뷰티 업체로서 헤어샵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헤어샵마다 메타버스 서비스 화면을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헤어샵의 메타버스 화면에는 디자이너들의 수, 유휴 디자이너 수 및 헤어디자이너별 헤어작업의 스케줄을 확인하도록 표시하는,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부터 요구 사항이 있는 경우 상기 요구 사항을 상기 뷰티 업체로 더 제공하는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뷰티 제품의 정보를 제공할 때 플라즈마나 레이저를 이용한 뷰티 서비스 방식의 정보를 더 제공하는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뷰티 제품들의 제품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더 저장하며, 상기 저장한 제품 정보 및 상기 부작용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고객 단말장치로 뷰티 업체를 추천하는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10133829A 2021-10-08 2021-10-08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KR102593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829A KR102593512B1 (ko) 2021-10-08 2021-10-08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829A KR102593512B1 (ko) 2021-10-08 2021-10-08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687A KR20230050687A (ko) 2023-04-17
KR102593512B1 true KR102593512B1 (ko) 2023-10-23

Family

ID=8612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829A KR102593512B1 (ko) 2021-10-08 2021-10-08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5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5636A1 (en) 2001-10-01 2003-04-03 L'oreal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roviding beauty advice
JP2006516338A (ja) * 2002-10-31 2006-06-29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コンシューマー・カンパニ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小売店の顧客に個別プログラムを提供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618B1 (ko) * 2009-11-24 2010-06-04 길재영 뷰티체험실을 이용한 화장품 판매 관리시스템
KR20190102373A (ko) 2018-02-26 2019-09-04 주식회사 유어핏 맞춤형 뷰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73687B1 (ko) 2018-07-25 2020-02-05 주식회사 제오시스 빅데이터와 개인의 피부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화장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0604A (ko)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뷰티풀마인드 이미지 분석과 머신 러닝 기술 기반의 개인 맞춤형 뷰티 큐레이션 시스템
KR102316735B1 (ko) 2019-11-12 2021-10-25 박소현 빅데이터 기반의 개인별 맞춤 뷰티 클래스 제공 시스템
KR102283567B1 (ko) 2020-12-30 2021-07-29 주식회사 어리드 인공지능 기반 뷰티샵 큐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5636A1 (en) 2001-10-01 2003-04-03 L'oreal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roviding beauty advice
JP2006516338A (ja) * 2002-10-31 2006-06-29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コンシューマー・カンパニ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小売店の顧客に個別プログラムを提供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687A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nkatesh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uto-ID enabled shopping assistance artifacts in customers’ mobile phones
Gao et al. Online and offline information for omnichannel retailing
US10430859B2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recommendation of a product or service based on inferring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a customer
JP5908978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使用して店内ショッピングサービスを強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Fu et al.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adoption of cloud consu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the machinery industry in Taiwan
Fu et al. Understanding social media discontinuance from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Evidence from Facebook users
Wang et al. Combining conjoint analysis with Kano model to optimize product varieties of smart phones: A VIKOR perspective
KR20170140789A (ko) 온라인 상품 개별 판매 url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2132714B1 (ko)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204479A (ja) 知人の商品購買履歴、関心商品及び利用後記を活用した商品販売システム
JP2022503687A (ja) 施術サービスマッチング方法
KR20200025985A (ko) 분양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Solis-Quispe et al. Chatbot to simplify customer interaction in e-commerce channels of retail companies
JP2020191016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90103649A (ko)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93512B1 (ko) 뷰티 개인 맞춤 서비스장치
JP7180146B2 (ja) サービス提供者選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提供者選定システム
Rogers et al. CABS: a conceptual model for context-aware B2B sales applications
KR102289759B1 (ko) 뷰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1521B1 (ko) 뷰티정보 포털사이트 운영방법
KR102593505B1 (ko) 챗봇을 이용한 헤어샵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badarneh et al. Personalization in mobile commerce
KR102621333B1 (ko) 지역별 뷰티 트랜드 맵 활성화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93500B1 (ko) 메타버스를 이용한 헤어샵 운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48257B1 (ko) 딥러닝 방식을 이용한 헤어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