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515B1 -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3515B1 KR102443515B1 KR1020200109163A KR20200109163A KR102443515B1 KR 102443515 B1 KR102443515 B1 KR 102443515B1 KR 1020200109163 A KR1020200109163 A KR 1020200109163A KR 20200109163 A KR20200109163 A KR 20200109163A KR 102443515 B1 KR102443515 B1 KR 1024435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space
- link information
- users
- user terminal
- termina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7 qual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 G06Q50/3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는, 제1 사용자들의 각종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AR)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임의 지역에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증강 현실 기반으로 광고 등의 링크 정보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가상공간(cyberspace)의 방문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인이나 기업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가상현실기술은 가상환경에 사용자를 몰입하게 하여 실제환경을 볼 수 없다. 하지만 실제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증강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실제환경을 볼 수 있게 하여 보다 나은 현실감과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인근에 있는 상점의 위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체영상으로
표기된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비대면 서비스가 각광을 받으면서 이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 지역에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증강 현실 기반으로 광고 등의 링크 정보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가상공간의 방문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인이나 기업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는,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AR)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의 제작을 위한 콘텐츠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 지역의 지역 특성에 따라 일반존과 프라임존을 구분하며, 상기 프라임존에 설정 가능한 상기 링크 정보의 수량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사용자간 양도 및 양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가상공간의 거래를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 반경(R) 내에 있을 때와 상기 지정 반경을 벗어날 때 서로 다른 그래픽 화면으로 가상공간의 접속 중 상태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진입한 가상공간을 안내하는 인공지능(AI)의 캐릭터 도우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공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임의 지역의 링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간 메신저 대화 채널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로서 상기 임의 지역을 벗어난 곳에 주소지를 갖는 상기 가상공간의 광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가,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의 제작을 위한 콘텐츠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 지역의 지역 특성에 따라 일반존과 프라임존을 구분하며, 상기 프라임존에 설정 가능한 상기 링크 정보의 수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사용자간 양도 및 양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가상공간의 거래를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 반경(R) 내에 있을 때와 상기 지정 반경을 벗어날 때 서로 다른 그래픽 화면으로 가상공간의 접속 중 상태를 표시해 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진입한 가상공간을 안내하는 인공지능(AI)의 캐릭터 도우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공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임의 지역의 링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간 메신저 대화 채널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정보로서 상기 임의 지역을 벗어난 곳에 주소지를 갖는 상기 가상공간의 광고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들은 특정 지역이나 장소에 링크되어 있는 링크 정보, 가령 AR 광고 정보 등을 통해 비대면으로 다양한 컨텐츠 경험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를 운용하는 운용사의 입장에서는 비대면 상황에서도 수익을 용이하게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셜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공간을 소유의 개념으로 사용하고 이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시스템의 다양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도 7의 콘텐츠 엔진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11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시스템의 다양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도 7의 콘텐츠 엔진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11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시스템의 다양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및 혼합현실(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가 다이렉트(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한 후 카메라를 주변 지역에 비추어 증강현실 형태로 해당 지역에 자신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링크 정보, 가령 광고 정보 등을 표시하고, 물론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는 카메라를 비추는 지역과 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 또는 링크 정보를 선택할 때, 해당 광고 정보나 링크 정보에 링크되어 있는 가상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형태가 아니라 하더라도, 스마트폰이나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검색 키워드를 검색창에 입력하는 경우에도 위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업체 정보나 광고 정보가 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예: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치하는 곳에서 반경 200m 이내)에 포함되는 업체의 광고와 해당 반경(R)을 벗어나는 지역의 업체 정보나 광고 정보를 분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특정 지역, 가령 중심되는 상업존, 또는 역세권에 자신의 가상공간을 AR 또는 키워드 기반으로 광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와 이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서비스를 설정하는 콘텐츠 생산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는 다른 측면에서 서비스를 소비하는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장치가 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물론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콘텐츠의 생산자와 소비자를 별도로 구분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특별히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생산자(혹은 판매자) 사용자 단말장치(이하, 제1 사용자 단말장치)나 소비자(혹은 구매자) 사용자 단말장치(이하, 제2 사용자 단말장치)와 같이 용어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장치는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템플릿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템플릿은 개인이나 기업의 홈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이 대표적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작품 전시회 등의 갤러리를 생성 및 편집하기 위한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장치는 자신이 템플릿을 사용하여, 물론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가상공간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서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추가정보를 더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가상공간은 지방에 있지만 서울의 강남역을 선택하여 AR 기반으로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할 때, 강남역을 선택하여 자신의 가상공간을 등록하게 된다. 또한, 무료의 일반존과 유료의 프라임존으로 구분하여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장치는 자신의 가상공간에 대한 홍보가 강남역과 같이 지정된 곳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핀셋(pincette) 홍보방식과 특정 지역이나 장소에 고정되지 않는 플로팅(floating) 홍보방식의 설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사용자 단말장치는 자신이 제작한 가상공간, 또는 자신이 할당받은 프라임존이나 그의 일부의 경우에는 양도가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장치는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에서 자신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할당받은 특정 지역의 프라임존에 대한 양도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거래정보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하였을 때 메인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공간을 거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콘텐츠 소비자의 제2 사용자 단말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형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을 실행하여 도 1의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자신의 반경지역을 표시해 준다. 반경은 서비스 관리자나 프로그램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00m가 기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들이 즉 제2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앱을 실행하여 방문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예: Arena)을 보여준다. 서비스 화면의 제일 상측에는 별표(300)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별표(300)는 선호하는 아레나(Arena)인지를 보여준다. 또한, 그 하단에는 특정 지역에 설정되어 있는 링크 정보(310), 가령 광고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좌우측 화살표의 스와이핑 버튼(330)를 선택하는 경우 스와이핑(swiping)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도 4에서와 같이 특정 지역에서 앱을 실행한 후 주변 지역을 카메라로 비춘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200m 반경 내에 있는 제1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정보 등의 홍보 정보가 화면상에 증강현실로 표시된다. 통상의 증강현실은 이 단계에서 해당 지역에 관계되는 맛집 정보 등을 화면상에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대면 방식으로 가상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광고 정보 등의 홍보 정보, 또는 링크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된다.
도 4의 (a) 및 (b)에서는 제2 사용자 단말장치상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방식의 홍보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때 200m 이내의 가상공간에 진입할 때와 200m를 벗어나는 지역의 가상공간으로 진입할 때 서로 다른 형태의 그래픽을 화면에 표시해 주는 것을 보여준다. 물론 여기서의 가상공간의 주소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주소를 의미할 수 있지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나 업체의 회사 주소가 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a) 및 (b)의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가령,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홍보 정보에서 갤러리를 방문하기 위한 아이콘을 선택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리고, 해당 갤러리를 운영하는 운영사가 지정 반경을 벗어나지 않을 때와 지정 반경을 벗어날 경우를 가정해 보자. 지정 반경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가상공간의 메인화면으로 바로 안내하게 되며, 메인화면에 접속한 경우 인공지능(AI)이 탑재된 캐릭터 도우미(예: Toka)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갤러리에 입장하기 위하여 '입장(Entrance)'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갤러리에 구축되어 있는 콘텐츠의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가상공간의 방문은 리얼맵이든 공간이동(예: 점프방식)이든 사용자가 가상공간으로 직접 진입하는 형식으로 구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b)에서와 같이, 갤러리를 제공하는 업체나 서비스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정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홍보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하였을 때, 마치 점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그래픽과 함께 다양한 알림(혹은 팝업) 화면이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정 이후에 갤러리의 메인화면이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점프는 공간이동을 의미하는 것이며, 원거리에 위치해 있는 가상공간으로 순간이동을 하는 것으로 거리에 상관없이 온라인 공간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후의 과정은 도 5의 (a)에서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콘텐츠를 비대면 방식으로 소비하는 소비자의 소유 단말, 즉 제2 사용자 단말장치는 증강현실 기반으로 전국, 또는 전 세계의 가상공간에 접속하기 위한 홍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가상공간에 시공을 초월하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이는 해당 가상공간을 운영하는 생산자의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특정 지역을 홍보 존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국의 업체들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통해 강남역을 지정하여 홍보함으로써 수익창출이 가능할 수 있고, 또한 한국 업체들의 경우에도 미국의 뉴욕, 그 중에서도 맨해튼을 지정하여 자신들의 가상공간을 가상현실 기반으로 홍보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을 초월하여 업체의 홍보 등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시공을 초월하여 가상공간을 방문하는 경우에는 해당 국가의 언어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속 위치를 기준으로 서비스 언어나 가상공간의 콘텐츠를 번역하여 제공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된 언어를 기준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갤러리를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애드키트 아이콘이나 광고를 노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애드키트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광고를 노출하고, 광고의 시청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현금포인트를 적립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들은 증강현실 기반으로 다양한 업체에서 생성한 가상공간을 방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의 각종 콘텐츠를 혼합현실 기술로 다른 사용자에게 가령 앱을 통해 공유하는 소셜 플랫폼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제1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콘텐츠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 편집하여 혼합현실 기술 기반으로 가상공간 어디든지 원하는 수만큼 배포하고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다른 사용자들은 근거리의 경우 리얼맵을 통하여 탭핑(tapping)만으로 바로 방문할 수 있도록 하고, 원거리의 경우에는 거리에 상관없이 공간이동 즉 점프로 방문하여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상공간을 소유하는 개인이나 기업은 온라인상에서 특정 지역에, 또는 그 지역의 특정 존(zone)에 자신이 구축한 가상공간을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가령 무료의 일반존과 유료의 프라임존을 구분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상업지역의 경우에는 프라임존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해당 상업지역에 자신의 가상공간을 AR 기반으로 홍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비용을 부가할 수 있다. 물론, 일반존뿐 아니라 프라임존은 설정가능한 가상공간의 수량을 제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화면을 어떠한 형태로 구성하느냐에 따라 그 제한되는 수량은 달라질 수 있지만, 화면상에 증강현실 기반으로 표시되는 홍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량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서비스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기종(예: 7인치 화면의 단말과 10인 화면의 단말 등)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수량을 변경할 수도 있다. 가령, 스마트폰에서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해상도 변환이 이루어지지만, 수량을 줄이는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위치에서 태블릿PC 등을 통해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기종을 근거로 더 많은 수의 홍보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AR 기반으로 화면상에 표시되는 홍보 정보에 관계되는 사용자, 즉 가상공간을 홍보하는 개인이나 업체들과 대화채널 즉 메신저를 통해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콘텐츠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 편집하는 데 있어서 원하는 가상공간에 대한 지역을 설정하여 해당 지역 내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과 자동으로 생성되는 메신저 생성 기능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콘텐츠 공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기존 메신저들은 다른 사용자들과 연결을 하기 위해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여 연결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공간 내에 있다는 것 자체로 사용가 다른 사용자에게 온라인 접근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목적한 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특정 지역의 존, 가령 프라임존에 핀셋 방식으로 홍보 정보가 노출되도록 한 경우, 해당 가상공간의 운영자는 해당 위치에 대하여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공간을 거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프라임존의 수량을 판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해당 존을 분양받는 방식으로 하여 가상공간을 노출한 경우에는 해당 존에 대한 양도, 양수가 이루어지도록 허용하여 가령 해당 존에 핀셋 방식으로 가상공간과 관련한 홍보 정보를 노출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해당 존의 양도를 요청하는 경우,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다. 즉, 해당 존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시킬 수 있고, 소유권이 이전되는 경우, DB(120a)의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도, 양수의 거래는 가상공간, 가상공간의 홍보가 이루어지는 존, 그리고 프라임존의 일부 등이 거래대상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특정 지역의 프라임존에 대하여 유료로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되는 회원수 즉 친구를 많이 만든 사용자들에게 해당 프라임존에 자신의 가상공간의 홍보 문구를 노출시킬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으로 할당받은 프라임존을 양도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 100명을 서비스에 가입시키는 경우, 특정 프라임존에 홍보할 수 있는 하나의 수량을 할당받는 것이다. 다양한 형태로 할당받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가령 콘텐츠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 편집하는 데 있어서 즉석에서 콘텐츠 생산, 편집을 할 수 있음은 물론 가상의 세계에 즉각적으로 실행하여 노출할 수 있는 초단기 실행 플랫폼으로서의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통한 마케팅, 홍보, 광고 등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 기존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 매체들과도 매체 집행 방법에 있어서, 매우 우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가령 콘텐츠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 편집하는 데 있어서 콘텐츠 제작을 위한 디자인, 기능옵션, 링크, 공유 등의 기본 기능들은 물론 마케팅, 홍보, 광고 등을 전개할 수 있는 다양한 제작 툴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도 7의 콘텐츠 엔진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콘텐츠 엔진(700) 및 그래픽처리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텐츠 엔진(700)은 도 1의 DB(120a)와 같은 백엔드를 담당한다면, 그래픽처리부(710)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같은 프론트엔드를 담당할 수 있다.
콘텐츠 엔진(700)은 CPU, MPU, GPU와 같은 제어부에 포함되거나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콘텐츠 엔진(700)은 도 8에서 볼 때, 사용자들의 가상공간에 대한 AR 기반의 홍보를 위한 복수의 존(800)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여 도 1의 DB(12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물론 여기서, 각각의 존(800)에 대한 반경은 200m로 기설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8은 뉴욕에 설정 가능한 12개의 존을 보여주고 있다. 12개의 존 중에는 뉴욕의 중심 상업 지역인 맨해튼이 포함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대로, 가령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방문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기반으로 홍보 정보를 요청한 경우, 지정된 반경을 벗어나는 홍보 정보를 선택한 경우에는 가령 점프 동작을 통해 공간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뉴욕 맨해튼에서 복수의 상업지역을 지정하고, 해당 상업지역에서 설정되어 있는 홍보 정보의 아이콘(900)들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콘텐츠 엔진(700)은 이러한 홍보 정보를 상업지역의 위치에 매칭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가 서비스 요청시 해당 프라임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반경 200m 이내를 홍보 정보를 화면상에 AR 기반으로 표시해 주게 된다.
도 7의 그래픽처리부(7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상에 AR 형태로 홍보 정보(혹은 링크 정보)를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하나의 홍보 정보가 선택될 때 선택된 홍보 정보에 링크되어 있는 가상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화면을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각 가상공간의 화면에는 가상공간의 콘텐츠로 입장하기 위한 입장버튼(713), 현재 또는 전체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메뉴버튼(711), 가상공간의 안내를 담당하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캐릭터 도우미(예: 토카)(712), 스와이핑 동작을 수행하는 스와이핑 버튼(714), 사용자가 가격을 보거나 코인을 사용해 티켓을 살 수 있는 티켓 박스(715) 등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 제어부(1010),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 및 저장부(10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10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가 구성되거나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10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는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해상도 변환 등의 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는 콘텐츠 생산자의 제1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증강현실 기반으로 자신의 가상공간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010)의 제어하에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을 제공하고, 또 생성된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는 콘텐츠 소비자의 제2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기구축된 AR 기반의 홍보 정보를 서비스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제공한 서비스 화면상에서 홍보 정보가 선택될 때, 해당 홍보 정보에 링크되어 있는 가상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해당 가상공간과 관련한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가상공간의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도 10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000),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 저장부(10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010)는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와 연계하여 특정 지역이나 장소에 존을 설정하고, 해당 존에 설정된 홍보 정보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AR 기반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하고, 특정 홍보 정보가 선택될 때 홍보 정보에 링크되어 있는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제어부(1010)는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와 연계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근거리의 경우 리얼맵을 통하여 탭핑만으로 가상공간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고, 원거리의 경우에는 거리에 상관없이 공간이동으로 가상공간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며, 설정가능한 존은 일반존과 프라임존으로 구분하여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가상공간이나 존의 경우에는 양도양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를 통해 계속해서 살펴본다.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의 제반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온라인상에서 전국 혹은 전세계의 특정 지역에 대하여 홍보 가능한 존(zone)을 설정하고, 여기서 존은 영역이나 구역이 될 수 있으며, 지역이나 장소보다 작은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뉴욕에는 총 12개의 설정가능한 존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설정가능한 존에 대하여만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설정가능한 존을 추가로 생성하거나, 기존의 존을 삭제하거나, 신규 존을 생성하는 등 관리자의 제어하에 다양한 추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총 12개의 특정 존을 일반존과 프라임존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존의 경우에는 무료로 제공하거나 할 수 있다. 반면, 주요 상업지역인 프라임존의 경우에는 유료로 제공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에 친구를 많이 가입시킨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유료나 친구수를 조합하여 서비스할 수도 있다. 따라서,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해당 프라임존에 자신의 가상공간을 홍보하기 위한 권한, 즉 자격을 부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권한은 마치 오프라인상에서 분양권을 부여받는 것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매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매매와 관련해서는 1년동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경우, 허용 기간의 범위에서 매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공간을 홍보할 수 있는 프라임존에 대하여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공간을 거래하도록 서비스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위에서와 같이 존에 대하여도 거래가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동일 존에서 홍보 가능한 가상공간의 수량을 제한한다. 사용자의 가시화를 고려해서다. 예를 들어, 작은 화면을 갖는 스마트폰에서 AR 기반으로 특정 존에 설정되어 있는 다수의 홍보 정보를 보는 것은 피로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시각화를 고려하여 적정 수준의 홍보 정보만이 표시되도록 수량을 제한하는 것이다. 가령 홍보 정보에 등급이 설정된 경우라면 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기종에 따라 얼마든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면을 어떠한 형태로 설계하느냐에 따라 그 제한되는 수량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외에도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반경 200m 이내의 근거리에 해당하는 홍보 정보가 선택되느냐, 원거리의 홍보 정보가 선택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서비스 화면에 제공되도록 하며, 원거리의 경우에는 순간이동이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각 가상공간을 방문할 때 토카라는 캐릭터 도우미를 통해 가상공간의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해당 캐릭터 도우미는 인공지능이 탑재된다. 여기서, 인공지능을 탑재한다는 것은 캐릭터 도우미가 룰(rule) 기반으로 설정된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을 통해 가령 딥러닝 기반으로 가상공간을 안내하므로, 학습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행동 등을 예측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가상공간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가상공간을 방문하게 되는 경우, 언어를 선택하도록 하고, 해당 언어로 번역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서비스에 접속된 위치의 국가를 기준으로 자동 번역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에만 번역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번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더 나아가,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는 원하는 가상공간에 대한 지역을 설정하여 해당 지역 내에 있는 사용자들과 자동으로 생성되는 메신저 즉 대화채널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공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설정 지역을 기반으로 메신저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저장부(1030)는 제어부(10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정보나 데이터를 임시 지정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나 데이터는 실무적으로 혼용되므로 그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영상처리의 경우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화소데이터와 코딩시 이용하기 위한 코딩정보는 부가정보로서 구분될 수 있지만, 그러한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1030)는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에서 생성하는 지정 포맷의 데이터를 제어부(1010)의 제어하에 저장한 후, 도 1의 DB(120a)로 제공하여 데이터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0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도 10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MR기반 콘텐츠처리부(10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1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그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현실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한다(S1100). 본 S1100 단계는 데이터 구축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공간을 특정 지역에 홍보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업체는 서비스에 접속하여 홍보를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가령 이의 과정에서 일반존과 프라임존을 구분하여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타 사용자들에게 가령 해당 지역을 방문한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형태의 앱의 실행을 통해 가상공간의 홍보 정보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상에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증강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그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가상공간으로 안내한다(S1110).
상기한 내용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700: 콘텐츠 엔진(부)
710: 그래픽처리부 1000: 통신 인터페이스부
1010: 제어부 1020: MR기반 콘텐츠처리부
1030: 저장부
120: MR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700: 콘텐츠 엔진(부)
710: 그래픽처리부 1000: 통신 인터페이스부
1010: 제어부 1020: MR기반 콘텐츠처리부
1030: 저장부
Claims (17)
-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AR)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 지역의 지역 특성에 따라 일반존과 프라임존으로 구분하고, 상기 프라임존에 설정 가능한 상기 링크 정보의 수량을 제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라임존의 경우 유료로 제공하거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에 가입시키는 회원수를 근거로 상기 링크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사용자간 양도 및 양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가상공간의 거래를 허용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진입한 가상공간을 안내하는 인공지능(AI)의 캐릭터 도우미를 제공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의 제작을 위한 콘텐츠 템플릿을 제공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 반경(R) 내에 있을 때와 상기 지정 반경을 벗어날 때 서로 다른 그래픽 화면으로 가상공간의 접속 중 상태를 표시해 주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공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임의 지역의 링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간 메신저 대화 채널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로서 상기 임의 지역을 벗어난 곳에 주소지를 갖는 상기 가상공간의 광고 정보를 설정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 저장부가,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 지역의 지역 특성에 따라 일반존과 프라임존을 구분하고, 상기 프라임존에 설정 가능한 상기 링크 정보의 수량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프라임존의 경우 유료로 제공하거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에 가입시키는 회원수를 근거로 상기 링크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진입한 가상공간을 안내하는 인공지능(AI)의 캐릭터 도우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사용자간 양도 및 양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가상공간의 거래를 허용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의 제작을 위한 콘텐츠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 삭제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 반경(R) 내에 있을 때와 상기 지정 반경을 벗어날 때 서로 다른 그래픽 화면으로 가상공간의 접속 중 상태를 표시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공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임의 지역의 링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간 메신저 대화 채널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정보로서 상기 임의 지역을 벗어난 곳에 주소지를 갖는 상기 가상공간의 광고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제1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콘텐츠를 가상공간에 방문하여 관람하기 위한 주소 정보와, 상기 주소 정보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들이 임의 지역에 증강 현실 기반으로 설정한 링크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임의 지역이 감지될 때, 상기 임의 지역에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며, 상기 증강 현실로 표시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한 링크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가상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실행하되,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 지역의 지역 특성에 따라 일반존과 프라임존을 구분하고, 상기 프라임존에 설정 가능한 상기 링크 정보의 수량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프라임존의 경우 유료로 제공하거나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에 가입시키는 회원수를 근거로 상기 링크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가상공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진입한 가상공간을 안내하는 인공지능(AI)의 캐릭터 도우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며,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사용자간 양도 및 양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가상공간의 거래를 허용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9163A KR102443515B1 (ko) | 2020-08-28 | 2020-08-28 |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PCT/KR2021/011528 WO2022045832A1 (ko) | 2020-08-28 | 2021-08-27 |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9163A KR102443515B1 (ko) | 2020-08-28 | 2020-08-28 |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8322A KR20220028322A (ko) | 2022-03-08 |
KR102443515B1 true KR102443515B1 (ko) | 2022-09-15 |
Family
ID=8035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9163A KR102443515B1 (ko) | 2020-08-28 | 2020-08-28 |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3515B1 (ko) |
WO (1) | WO202204583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6995A1 (ko) * | 2022-11-17 | 2024-05-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가상 현실 공간 상에 가상 객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KR102678394B1 (ko) * | 2022-11-22 | 2024-06-28 | (주)이엘온소프트 | 위치기반 증강현실 메모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광고 서비스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0316B1 (ko) * | 2017-12-27 | 2019-03-11 | 주식회사 에이치오아이씨티 |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을 이용한 광고이벤트 및 회사홍보 시스템 및 방법 |
KR101985703B1 (ko) * | 2018-08-24 | 2019-06-04 | 주식회사 버넥트 | 증강현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의 증강현실운영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3048B1 (ko) * | 2005-04-28 | 2007-05-30 | 유선기 | 가상현실 여행 방법 |
KR101282292B1 (ko) | 2011-01-24 | 2013-07-10 | 주식회사 코세이프 | 증강현실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30137968A (ko) * | 2012-06-08 | 2013-12-18 | 김용천 | 사용자 단말에서 증강 현실을 통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US20170140552A1 (en) * | 2014-06-25 | 2017-05-18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hand position utilizing head mounted color depth camera, and bare hand interaction system using same |
KR20170066287A (ko) * | 2017-05-29 | 2017-06-14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KR102166540B1 (ko) | 2018-09-19 | 2020-11-04 | (주)애크론 | Mr 그래픽지원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KR20200076446A (ko) | 2018-12-19 | 2020-06-29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증강 현실을 통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2322004B1 (ko) * | 2018-12-27 | 2021-11-04 |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 지오펜싱 기반 관광 플랫폼 |
-
2020
- 2020-08-28 KR KR1020200109163A patent/KR10244351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8-27 WO PCT/KR2021/011528 patent/WO202204583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0316B1 (ko) * | 2017-12-27 | 2019-03-11 | 주식회사 에이치오아이씨티 |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을 이용한 광고이벤트 및 회사홍보 시스템 및 방법 |
KR101985703B1 (ko) * | 2018-08-24 | 2019-06-04 | 주식회사 버넥트 | 증강현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의 증강현실운영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8322A (ko) | 2022-03-08 |
WO2022045832A1 (ko) | 2022-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88442B1 (ko) |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
TWI718348B (zh) | 基於擴增實境的線下互動方法及裝置 | |
Dadwal et al. | The augmented reality marketing: A merger of marketing and technology in tourism | |
US20190187949A1 (en) |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with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 |
Schöbel et al. | Metaverse platform ecosystems | |
US2015022727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site on a user terminal | |
KR102443515B1 (ko) | 혼합현실 기반 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CN107066426A (zh) | 在将数据变换成可消费内容时创建变型 | |
KR20140122310A (ko)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2343169B1 (ko) | 창작물 거래 시스템 | |
Garcia-Lopez et al. | An experiment to discover usability guidelines for designing mobile tourist apps | |
JP7402558B2 (ja) | 広告の出稿を支援する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AU2010292908B2 (en) | Monetization of interactive networked-based information objects | |
US1179827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rowdsourcing geofencing-based content | |
KR102581301B1 (ko) | 욕구/원인 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키워드리스트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 표출 구매 원인 및 욕구 통찰 방식의 소비 플랫폼 제공방법 | |
Uğurlu | Technology in tourism marketing | |
KR20150095160A (ko) | 다양한 형태의 카드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제작을 지원하는 사이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
CN110333927B (zh) | 界面跳转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 |
KR20230029161A (ko) | 프로모션 배너 출력 시스템 | |
KR20230029156A (ko) | 제품 상세 이미지 자동 생성 장치 | |
Sigala | Technology and tourism: Themes, concepts and issues | |
Buhalis et al. | 13 eTourism: Critic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ourism Destinations | |
US20150332322A1 (en) | Entity sponsorship within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 |
Agit et al. |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echnology and economic through tourism sectors | |
KR102536567B1 (ko) | 그리드 규칙이 적용된 블록단위의 컨텐츠를 조립하여 적응형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웹페이지 제작 지원 방법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