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057B1 -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057B1
KR102593057B1 KR1020210137245A KR20210137245A KR102593057B1 KR 102593057 B1 KR102593057 B1 KR 102593057B1 KR 1020210137245 A KR1020210137245 A KR 1020210137245A KR 20210137245 A KR20210137245 A KR 20210137245A KR 102593057 B1 KR102593057 B1 KR 10259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lectronic device
vehicle
device holder
coup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903A (ko
Inventor
박종훈
Original Assignee
박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훈 filed Critical 박종훈
Priority to KR102021013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6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는, 전자기기를 거치하도록 차량 내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에 대해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브래킷; 및 상기 복수의 브래킷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로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브래킷의 사이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브래킷과의 결합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뒷좌석 착석자도 편하게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to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뒷자석에 앉은 사용자가 편하게 디스플레이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품을 그 상부에 안착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를 차량에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차량용 거치대의 경우 운전자나 조수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이용하도록 구조나 설치 형태가 적용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운전석, 조수석의 헤드 레스트에 뒷자석에 착석한 사용자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경우가 있지만, 이는 헤드 레스트에 매립 고정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바일 전자기기를 자유롭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협소한 차량 뒷자리 공간에 모바일 전자기기를 자유롭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뒷좌석 착석자가 영상, 이미지를 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를 제안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384호 (2009. 06. 02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다양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뒷좌석 착석자가 편하게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 테이블 상에 다양한 물품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모델에 따라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형상 및 구조 변경시에도 동일한 부품으로 적용 가능하여 부품 공용화에 따른 제조효율 및 부품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를 거치하도록 차량 내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대해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브래킷; 및 상기 복수의 브래킷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로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브래킷의 사이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브래킷과의 결합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브래킷은 각각,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대 결합유닛; 및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테이블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테이블과의 결합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테이블 결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의 일측변 근방에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장공이 마련되며,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은,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테이블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장공 내측으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제1 테이블 결합부; 및 상기 테이블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테이블의 하측에서 상기 장공 내측으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제1 테이블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테이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이블 결합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한 제1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장공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제1 삽입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이블 결합부는, 상기 테이블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한 제2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장공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제1 삽입블록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삽입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삽입블록의 폭은 상기 장공의 폭과 동일하거나 일정이상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테이블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의 단부에 절곡되게 마련되어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장공 근방의 상기 테이블의 일측면을 접촉 지지 가능한 지지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는 차량 실내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은, 상기 연장부를 둘레방향으로 감싸면서 서로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면과 대응하는 결합홈이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의 결합홈 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때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밀착되어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부는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과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대한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배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함과 더불어 조절된 배치각도를 유지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유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에는 제1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 가능하도록 제2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각도 조절유지부는, 상기 제1 관통홀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치형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1 치형부; 상기 제2 관통홀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치형부를 마주보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치형부의 치형과 맞물림 가능하도록 복수의 치형을 갖는 링 형상의 제2 치형부;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에 관통 삽입가능하며, 상기 제1 관통홀 또는 제2 관통홀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 결합 가능한 회전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유지부는,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과 상기 회전노브 사이, 또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과 상기 회전노브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노브의 나사 결합시 상기 제1 치형부와 제2 치형부 간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스프링 와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및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설치되어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에 상기 차량 시트레일과 함께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과,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이상 연장되며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장부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거치부를 갖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뒷좌석 착석자도 편하게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마운팅 프레임의 차량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에 중첩되게 고정됨으로써, 플로어 패널에 별도의 스크루 홀 가공을 할 필요가 없고 차량 훼손없이 마운팅 프레임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 훼손에 대한 반감을 갖는 사용자에게 반감을 해소하고 설치에 대한 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확장 플레이트 구조를 통해 플로어 패널에 대해 마운팅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주행 진동에 의해 마운팅 프레임 고정부의 체결력이 약화되어 전체적인 설치 내구성이 하락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모델에 따라 후술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의 형상 및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를 공통 부품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단일화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 및 부품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이블이 거치대 결합유닛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테이블 상에 거치된 물품에 대해 한층 편한 자세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유지부를 통해, 테이블 상에 거치된 물품의 무게에 의해 테이블이 의도치 않게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의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브래킷과 테이블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의 브래킷과 테이블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테이블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브래킷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8의 브래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는 디스플레이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현재 사용중인 차량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즉 차량의 플로어 패널 등과 같은 기본 차량 프레임에 별도의 스크루 홀 가공을 하지 않은 상태로 설치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차량 훼손에 대한 반감을 갖고 있는 사용자에게 반감을 해소하고 설치에 대한 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모델에 따라 후술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의 형상 및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를 공통 부품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단일화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 및 부품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1000, 이하 '거치대')는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10) 후방에 설치되어 모바일 단말,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다양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전자기기(11)를 거치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와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먼저,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는 마운팅 프레임(110), 연장부(120) 및 거치부(130)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운팅 프레임(110)은 차량 시트레일(12)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13)에 차량 시트레일(12)과 함께 고정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마운팅 프레임(110)은 차량 시트레일(12)을 플로어 패널(17)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13)에 중첩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중첩 설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마운팅 프레임(1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시트레일(12)은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 하부에 시트 위치를 조절하도록 마련되고, 시트레일 고정부(13)는 시트레일(12)을 플로어 패널(17)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시트레일과 연결된 별도 브래킷(미도시), 상기 브래킷을 플로워 패널에 고정하는 스크루(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플로어 패널에는 상기 스크루(14)가 브래킷 등을 통해 체결되도록 스크루가 관통되는 시트레일고정 스크루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트레일 고정부(13)는 통상적인 구조로 적용 가능하며 관련 도면에는 통상적인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이외 다양한 구조로 적용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운팅 프레임(110)은 베이스부(111), 한 쌍의 고정 플랜지(114), 확장 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부(111)는 센터콘솔(10)의 후방 하부가 내측 영역에 배치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덧붙이자면, 베이스부(111)는 센터콘솔(10)의 후방 형상과 일정 이상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질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 내 협소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관련 도면에서 베이스부(111)의 하부에는 절개구(112)가 마련되고, 절개구(112)는 센터콘솔(10) 후방의 플로어 패널이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바 플로어 패널의 돌출된 부분에 간섭되지 않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플랜지(114)는 베이스부(111)의 양단에 절곡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며,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5)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6)에 각각 중첩되게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운전석 시트레일과 한 쌍의 조수석 시트레일 중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운전석 시트레일과 조수석 시트레일을 고정하는 시트레일 고정부에 중첩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5)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6)는 운전석 시트레일과 조수석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17)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미도시), 스크루(14)를 포함하는데, 상기 '중첩 고정'이라 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 플랜지(114)를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5)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6) 내측으로 삽입한 후 동일한 스크루(14) 체결을 통해 고정 플랜지를 고정함을 의미한다.
부연하자면, 현재 체결되어 있는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5)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6)의 스크루(14)를 분리한 후, 시트레일 고정부의 브래킷(미도시) 등에 고정 플랜지(114)를 중첩되게 삽입(배치)한 후 분리된 스크루(14)를 다시 체결함으로써, 플로어 패널(17)에 대한 운전석(조수석) 시트레일과 고정 플랜지(114)의 고정 결합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마운팅 프레임(110)의 고정 플랜지(114)가 시트레일 고정부(13)에 중첩되게 고정됨으로써, 고정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해 플로어 패널에 별도의 스크루 홀 가공을 할 필요가 없고 차량 훼손없이 마운팅 프레임(110)을 플로어 패널(17)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도면번호 21은 스크루(14)가 관통되는 스크루 체결홀이고, 도면번호 22는 시트고정핀(미도시)이 관통되는 시트고정핀 관통홀이다. 여기서, 시트고정핀(미도시)은 후술하는 플로어 시트(18)를 플로어 패널상에 흔들림없이 고정하기 위한 핀이다.
다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플레이트(116)는 베이스부(111)의 측방으로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연장되며, 저면이 플로어 패널(17) 또는 플로어 시트(18)와 접촉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관련 도면에서는 플로어 패널(17) 상부에 플로어 시트(18)가 덮혀 있으므로 확장 플레이트(116)는 플로어 시트(18)와 접촉되고, 이하에서는 플로어 패널 상부에 플로어 시트가 마련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확장 플레이트(116)는 전체적으로 마운팅 프레임(110)과 플로어 시트(18) 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고정 플랜지(114)의 중첩 결합 부분 결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확장 플레이트(116)가 없는 마운팅 프레임(110)은 한 쌍의 고정 플랜지(114)가 일측으로 치우처셔 플로어 패널에 고정된 일종의 캔틸레버(cantilever)와 같으며, 이 경우 차량 주행진동에 의해 고정 플랜지(114)의 중첩결합 부분의 결합력이 현격히 저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플랜지(114)는 시트레일 고정부에 중첩되게 고정됨에 따라, 이러한 결합력 저하는 심하게는 운전석(조수석) 시트레일의 고정 결합력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확장 플레이트(116)가 베이스부(111)의 측방으로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플로어 시트(18)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주행시 마운팅 프레임(1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분산시킬 수 있고 고정 플랜지(114)의 중첩결합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한층 감소시켜 전체적인 설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 연장부(120)는 후술하는 거치부(130)를 마운팅 프레임(110)에 대해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상단부가 센터콘솔(10) 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오도록 마운팅 프레임(110)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이상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운팅 프레임(110)과 연장부(1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연장부(120)의 하단 영역을 마운팅 프레임(110)에 용접하여 일차 결합하고 이러한 결합 강도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118)를 마운팅 프레임(110)과 연장부(120)에 각각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운팅 프레임(110)에 대해 연장부(120)를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연장부(120)는 적어도 일부분이 센터콘솔(10)의 후방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차량 주행진동에 의해 센터콘솔과 미세하게나마 반복 접촉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대적으로 표면 경도가 큰 연장부(금속 재질)와 상대적으로 표면 경도가 작은 센터콘솔 표면(가죽, 천 등)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센터콘솔에 스크래치, 찢겨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콘솔(10)과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도록 연장부(120)에 완충부재(122)가 마련된다. 이러한 완충부재(122)는 외력에 의해 쉽게 탄성 압축, 팽창 가능한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거치부(130)는 디스플레이 전자기기(11)를 거치 가능하도록 연장부(120)의 상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거치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별도의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클램프의 다른 부분을 다시 거치부(130)에 클램핑하여 전자기기를 거치부(130) 상부에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관련 도면에서, 거치부(130)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클램프(미도시)를 클램핑할 수 있고 전자기기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를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는 거치부(130) 외에 추가적으로 노트북, 핸드폰, 음료수병 등 다양한 물품을 그 상부에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의 연장부(12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는 복수의 브래킷(210)과 하나의 테이블(300)을 포함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210)은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에 대해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구체적으로 한 쌍의 연장부(12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 쌍의 브래킷(210)은 각각,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대 결합유닛(211)과,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테이블(3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테이블 결합유닛(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대 결합유닛(211)은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와 슬립방지부(217)를 포함한다.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는 연장부(120)를 둘레방향으로 감싸면서 서로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연장부(120)의 외면과 대응하는 결합홈(215)이 각각 마련된다.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는 서로간에 스크루 등을 통해 결합 가능하다. 결합홈(215)은 연장부(12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연장부(120)의 단면 형상 변경시 대응하여 변경 가능하다.
슬립방지부(217)는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의 결합홈(215) 내에 각각 마련되어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때, 연장부(120)의 외면에 밀착되어 거치대 결합부(213)가 연장부(120)를 따라 하방으로 슬립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립방지부(217)는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슬립방지부(217)는 각각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의 결합홈(21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거치대 결합부(213)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슬립방지부(217)는 접착제 등을 통해 거치대 결합부(213)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결합유닛(220)은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테이블(3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거치대 결합유닛(211)과 테이블(300) 사이를 연결한다.
특히, 테이블 결합유닛(220)은 테이블(300)과의 결합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 쌍의 테이블 결합유닛(2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테이블 결합유닛(220)에 대한 테이블(300)의 결합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테이블(300)은 그 상부에 다양한 물품을 거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목재,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300)의 일측변 근방에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장공(310)이 마련된다. 장공(310)의 개수는 거치대 결합유닛(211)과 테이블 결합유닛(220)의 개수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테이블(300)은 한 쌍의 브래킷(21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로 결합되되, 한 쌍의 브래킷(210)의 사이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브래킷(210)과의 결합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 위치 조절을 위해 상기 장공(310)이 마련되며, 관련하여 부연 설명은 후술한다.
테이블 결합유닛(22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결합유닛(220)은 제1 테이블 결합부(221)와 제2 테이블 결합부(227)를 포함하며,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스크루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테이블 결합부(221)와 제2 테이블 결합부(227)도 상호간에 스크루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테이블 결합부(221)는 테이블(300)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테이블(300)의 상측으로부터 장공(310) 내측으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 결합플레이트(223)와 제1 삽입블록(225)을 포함한다.
제1 결합플레이트(223)는 테이블(300)과의 결합시 테이블(300)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삽입블록(225)은 제1 결합플레이트(223)의 일면(저면)에 돌출되고 장공(3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테이블 결합부(227)는 테이블(300)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테이블(300)의 하측에서 장공(310) 내측으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2 결합플레이트(229)와 제2 삽입블록(231)을 포함한다.
제2 결합플레이트(229)는 테이블(300)과의 결합시 테이블(300)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삽입블록(231)은 제2 결합플레이트(229)의 일면(상면)에 돌출되고 장공(3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테이블 결합부(221)와 제2 테이블 결합부(227)는 제1 삽입블록(225)과 제2 삽입블록(231) 간의 스크루 결합을 통해 서로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삽입블록(225,231)의 폭(W)은 장공(310)의 폭과 동일하거나 일정이상 작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브래킷(210)과 테이블(300)을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테이블(300)이 전후 방향(장공의 폭 방향)으로 미동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테이블 결합부(227)는 제2 결합플레이트(229)의 단부에 절곡되게 마련되어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스크루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장공(310) 근방의 테이블(300)의 일측면을 접촉 지지 가능한 지지연결플레이트(233)를 더 포함한다. 지지연결플레이트(233)는 거치대 결합부(213)에 스크루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300)의 장공(3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는 서로 결합된 제1 삽입블록(225)과 제2 삽입블록(231)의 측면이 각각 접촉하는 상태이고, 장공(310) 근방의 테이블의 일측면에는 지지연결플레이트(233)가 접촉하는 상태이고, 테이블(30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제1 결합플레이트(223)와 제2 결합플레이트(229)가 접촉하는 상태를 갖는다. 이러한 접촉 지지구조를 통해, 테이블(300)이 브래킷(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테이블(300)은 전후방향의 흔들림 발생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배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운전석 시트레일과 조수석 시트레일 간의 사이 간격과 콘솔박스의 크기(좌우 폭 등)는 차량 제조사와 모델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즉, 차량 모델별로 콘솔박스의 좌우 폭 사이즈가 변하는 경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의 한 쌍의 연장부(120) 간의 사이간격 또한 대응하여 변경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에서, 브래킷(210)에 대한 테이블(300)의 결합 위치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없다면 결국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를 차량 모델에 따라 다수로 준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300)에 한 쌍의 장공(310)을 마련하고, 테이블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공(310) 내측의 제1 삽입블록(225)과 제2 삽입블록(231)의 배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결국 차량 모델 변경에 상관없이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를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커다란 이점이 있다. 덧붙여, 부품의 공용화(단일화)를 구현하여 전체 제품의 제조단가 및 부품관리에 있어 확실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 결합유닛(211)과 테이블 결합유닛(220)의 연결 부위에는,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대한 테이블 결합유닛(220)의 배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함과 더불어 조절된 배치각도를 유지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유지부(240)가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 예로 테이블(300) 상에 책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하여 좀 더 편한 자세로 독서하거나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핑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유지부(240)는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대한 테이블 결합유닛(220), 즉 테이블(300)의 배치 자세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즉 각도 변경 후 변경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필요시 다시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 치형부(241), 제2 치형부(242), 회전노브(243) 및 탄성부재(251)를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결합유닛(220)에는 제1 관통홀(253)이 마련되고, 거치대 결합유닛(211)에는 제1 관통홀(253)과 연통 가능하도록 제2 관통홀(255)이 마련된다. 덧붙이자면, 전술한 지지연결플레이트(233)에는 제1 관통홀(253)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제1 구조체가 연장되며 이러한 제1 구조체와 지지연결플레이트(233)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연결플레이트(233)와 상기 제1 구조체의 일체화된 결합체를 지지연결플레이트라 하기로 한다. 또한,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 중 하나에는 상기 제1 구조체와 결합되도록 별도의 제2 구조체가 연장되며 이러한 제2 구조체와 거치대 결합부(213)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거치대 결합부(213)와 상기 제2 구조체의 일체화된 결합체를 거치대 결합부라 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연결플레이트(233)에 제1 관통홀(253)이 형성되고, 거치대 결합부(213)에 제2 관통홀(255)이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치형부(241)는 제1 관통홀(253)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도록, 부연하자면 제1 관통홀(253)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테이블 결합유닛(220)의 지지연결플레이트(233)와 연결되는 상기 제1 구조체의 일측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치형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형은 서로 간에 90도 이상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치형면(257,258)과 제1 치형면과 제2 치형면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 형태의 제3 치형면(259)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치형부(241)는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린 상태의 치형부 간의 사이간극을 증가시켜 테이블(300)을 회전시킴으로써 테이블(300)의 배치 자세 및 배치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 테이블을 한층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치형부(242)는 제2 관통홀(255)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도록, 부연하자면 제2 관통홀(255)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거치대 결합유닛(211)의 거치대 결합부(213)와 연결되는 상기 제2 구조체의 일측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치형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치형부(242)는 제1 치형부(241)의 치형과 맞물림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치형부(241)는 지지연결플레이트(233)와 연결되는 상기 제1 구조체의 일측면 상에 일정이상의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마련되고, 제2 치형부(242)는 거치대 결합부(213)와 연결되는 상기 제2 구조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상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치형부(241)와 제2 치형부(242) 간에 안정적인 치형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구조체와 제2 구조체는 상호 간에 간극 발생이 없이 측방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밀착 결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300)을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회전노브(243)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손으로 잡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1 치형부(241)와 제2 치형부(242) 간의 맞물림 정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노브(243)는 회전노브 본체(245)와 나사부(246)를 포함한다. 회전노브(243)는 제1 관통홀(253)과 제2 관통홀(255)에 관통 삽입가능하며, 제1 관통홀(253) 또는 제2 관통홀(255)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 결합된다. 관련 도면에는 제1 관통홀(253) 내면에 나사산이 결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회전노브(24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관통홀(253)의 나사산에 대한 나사부(246)의 체결 깊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제1 치형부(241)와 제2 치형부(242) 간의 맞물림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테이블 결합유닛(220)은 전술한 치형부 간의 견고한 맞물림을 통해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대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대해 회전 불가한 상태를 갖는다.
반대로, 사용자는 회전노브(24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관통홀(253)의 나사산에 대한 나사부(246)의 체결 깊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제1 치형부(241)와 제2 치형부(242) 간의 맞물림 정도를 일정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치형부 간의 결합력이 일정이상 감소함에 따라 거치대 결합부(213)에 연결되는 제2 구조체에 대해 지지연결플레이트(233)에 연결되는 제1구조체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테이블(300)의 각도가 조절 가능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테이블을 원하는 각도롤 회전시킨 후, 필요시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노브(24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치형부와 제2 치형부 간의 결합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제2 구조체에 대한 제1 구조체의 회전 가능상태를 구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다양한 치형부들은 그 치형부들이 연결되는 대상체가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치형부들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뿐 아니라 치형부들과 상기 대상체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다음,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유지부(240)는 테이블 결합유닛(220)과 회전노브(243) 사이, 또는 거치대 결합유닛(211)과 회전노브(243)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노브(243)의 나사 결합시 제1 치형부(241)와 제2 치형부(242) 간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25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노브(243)의 정방향 회전을 통해 거치대 결합부(213)에 연결되는 제2 구조체에 대한 지지연결플레이트(233)에 연결되는 제1 구조체의 회전 제한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탄성부재(251)는 서로 대응하여 맞물림 결합되는 복수의 치형부에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방향으로 추가적인 가압력을 제공하여 치형 간의 결합력을 한층 증가시킴으로써, 테이블(300)에 일정 무게 이상의 물품이 안착된 상태에서 테이블 결합유닛(220)이 그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고 회전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51)는 서로 대응 결합하는 치형부 간에 서로 접근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고, 구체적으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스프링 와셔로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센터콘솔 12: 차량 시트레일
13: 시트레일 고정부 15: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
16: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 17: 플로어 패널
18: 플로어 시트 1000: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100: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 110: 마운팅 프레임
111: 베이스부 114: 고정 플랜지
116: 확장 플레이트 118: 보강 플레이트
120: 연장부 122: 완충부재
200: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210: 브래킷 211: 거치대 결합유닛
213: 거치대 결합부 217: 슬립방지부
220: 테이블 결합유닛 221: 제1 테이블 결합부
223: 제1 결합플레이트 225: 제1 삽입블록
227: 제2 테이블 결합부 229: 제2 결합플레이트
231: 제2 삽입블록 233: 지지연결플레이트
240: 각도 조절유지부 241: 제1 치형부
242: 제2 치형부 243: 회전노브
245: 회전노브 본체 246: 나사부
251: 탄성부재 253: 제1 관통홀
255: 제2 관통홀 257: 제1 치형면
258: 제2 치형면 259: 제3 치형면
300: 테이블 310: 장공

Claims (11)

  1. 전자기기를 거치하도록 차량 내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에 대해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브래킷; 및
    상기 복수의 브래킷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로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브래킷의 사이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브래킷과의 결합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의 일측변 근방에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장공이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브래킷은 각각,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대 결합유닛과,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테이블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테이블과의 결합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테이블 결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은,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한 제1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장공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제1 삽입블록을 포함하는 제1 테이블 결합부; 및
    상기 테이블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한 제2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장공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제1 삽입블록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삽입블록을 포함하는 제2 테이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삽입블록의 폭은 상기 장공의 폭과 동일하거나 일정이상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블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의 단부에 절곡되게 마련되어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장공 근방의 상기 테이블의 일측면을 접촉 지지 가능한 지지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는 차량 실내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은,
    상기 연장부를 둘레방향으로 감싸면서 서로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면과 대응하는 결합홈이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의 결합홈 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때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밀착되어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는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과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대한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배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함과 더불어 조절된 배치각도를 유지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유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에는 제1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 가능하도록 제2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각도 조절유지부는,
    상기 제1 관통홀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치형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1 치형부;
    상기 제2 관통홀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치형부를 마주보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치형부의 치형과 맞물림 가능하도록 복수의 치형을 갖는 링 형상의 제2 치형부;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에 관통 삽입가능하며, 상기 제1 관통홀 또는 제2 관통홀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 결합 가능한 회전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유지부는,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과 상기 회전노브 사이, 또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과 상기 회전노브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노브의 나사 결합시 상기 제1 치형부와 제2 치형부 간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스프링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11. 제1항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및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설치되어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에 상기 차량 시트레일과 함께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과,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이상 연장되며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장부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거치부를 갖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20210137245A 2021-10-15 2021-10-15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2593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245A KR102593057B1 (ko) 2021-10-15 2021-10-15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245A KR102593057B1 (ko) 2021-10-15 2021-10-15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903A KR20230053903A (ko) 2023-04-24
KR102593057B1 true KR102593057B1 (ko) 2023-10-23

Family

ID=8614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245A KR102593057B1 (ko) 2021-10-15 2021-10-15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0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19Y1 (ko) 2006-10-23 2007-12-03 임범석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US20090084291A1 (en) * 2007-10-01 2009-04-02 Long Ronald W Steering wheel tab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908Y1 (ko) * 1993-12-31 1998-04-11 전성원 차량용 포터블 컴퓨터 테이블
TW447407U (en) * 1999-05-28 2001-07-21 Li Ming Chi Multi-functional object placing plate for automobile
KR100900384B1 (ko) 2008-05-15 2009-06-02 박옥련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19Y1 (ko) 2006-10-23 2007-12-03 임범석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US20090084291A1 (en) * 2007-10-01 2009-04-02 Long Ronald W Steering wheel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903A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4491B1 (en) Support device of an adjustable vehicular display integrated in the dashboard of a vehicle, in particular an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
US6938862B2 (en) Portable elbow support
KR101656614B1 (ko) 모니터 거치장치
JP2008254620A (ja) 車載用モニタの取付装置
KR102593057B1 (ko)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US20080185886A1 (en) Displayer mounting device for vehicle
US9452718B1 (en) Headrest electronic device holder
JP5211595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
KR20070031490A (ko) 헤드레스트
EP1712421A1 (en) Device for suspending a portable computer from a vehicle seat, and use of such a device to realize a minicinema in a vehicle.
JP2018199381A (ja)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装置
JP6380118B2 (ja) ヘッドレスト
KR102378328B1 (ko)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1699156B1 (ko) 모니터 거치장치
KR200366679Y1 (ko) 차량용 노트북 고정장치
JP4486868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US20220402409A1 (en) Vehicle backrest structure
JP7509075B2 (ja) シート装置
JP6962120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8195273A (ja) 車載用台
KR100964412B1 (ko) 노트북 고정장치
US20240166110A1 (en) Leg 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JP2023165338A (ja) 車両の車室内構造
JPH11252232A (ja) 電話機ホルダー
KR101411916B1 (ko) 차량용 착탈식 모니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