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860B1 -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 - Google Patents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860B1
KR102592860B1 KR1020210080631A KR20210080631A KR102592860B1 KR 102592860 B1 KR102592860 B1 KR 102592860B1 KR 1020210080631 A KR1020210080631 A KR 1020210080631A KR 20210080631 A KR20210080631 A KR 20210080631A KR 102592860 B1 KR102592860 B1 KR 102592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area
pedestrian
detection
camera
lo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70066A (ko
Inventor
김연중
김세훈
Original Assignee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온피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온피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860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53Intensity control of illuminating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을 개시한다. 보행자 검지 장치는, 횡단보도를 횡단하려는 보행자의 감지를 위해, 제 1 검지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검지 영역 내에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빔 송출부; 장치 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 1 검지 영역 내에 보행자가 검출되면, 보행 신호를 생성하여 보행 신호등으로 보행 신호를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Pedestria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일정한 물리적 검지 영역에 위치한 보행자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보행자에게 보행 신호를 제공하되, 상기 제공된 물리적 검지 영역이 파손되거나 야간 등과 같은 경우에도 보행자가 검지 영역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산업의 발달에 의해 차량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도로 교통이 고속화되었고, 이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량 또한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횡단보도상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교통사고는 운전자의 부주의에도 원인이 있으나, 보행자의 부주의에 기인한 것도 많다.
이처럼, 횡단보도 상에서의 교통사고 발생량이 증가함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을 감소시키고, 보행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각종 안전장치들이 설치된 신호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횡단보도에서 보행 신호등과 관련된 많은 장치 및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50064호(2019.11.28 공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횡단보도를 횡단하려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기존의 검지 영역(물리적 검지 영역)이 파손되더라도, 빔로고를 통한 별도의 검지 영역을 보행자에게 제공하여 보행자가 올바른 검지 영역에 위치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보행자에게 올바른 보행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자 검지 장치는, 횡단보도를 횡단하려는 보행자의 감지를 위해, 제 1 검지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검지 영역 내에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빔 송출부; 장치 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 1 검지 영역 내에 보행자가 검출되면, 보행 신호를 생성하여 보행 신호등으로 보행 신호를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자 검지 장치에서의 보행자 검지 방법은, 카메라가 횡단보도를 횡단하려는 보행자의 감지를 위해, 제 1 검지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검지 영역 내에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검지 영역 내에 보행자가 검출되면, 보행 신호를 생성하여 보행 신호등으로 보행 신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매체는, 보행자 검지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보행자 검지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보행자 검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검지 영역(물리적 검지 영역)이 훼손되어 식별이 어렵더라도, 빔로고에 의해 가상의 검지 영역이 형성됨에 따라 보행자가 보행자를 위한 검지 영역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상의 검지 영역이 빔로고에 의해 형성됨으로, 야간 시, 보행자뿐만 아니라 차량의 운전자가 보행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태양광을 수집하는 보조 전원부가 빔 송출부의 전력량을 보조하여 상시 전원부의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내용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를 포함하는 보행자 자동인식 신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에 의해 빔로고가 방사되어 형성된 검지 영역의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방법의 일 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방법에서의, 제어부가 제 1 검지 영역과 제 2 검지 영역의 밝기(조도) 차이 발생에 따른 결과에 기초해 빔 송출부를 제어하여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를 포함하는 보행자 자동인식 신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100)는 보행자 신호등(20)의 일 측에 설치되어 보도(30) 위의 일 측에 설치된 미리 설정된 검지 영역(이하, 제 1 검지 영역)(A)을 주기적으로 촬영하고, 해당 검지 영역의 보행자(P)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한편, 보행자 검지 장치(100)는 보행자 신호등(20)의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제 1 검지 영역(A)을 촬영하고, 해당 검지 영역의 보행자(P)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보행자 신호등(20)과 분리되어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어도 관계없다. 이때, 보행자 검지 장치(100)는 상술한 제 1 검지 영역(A)에 보행자(P)가 존재하는 경우, 보행자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보행자 신호를 보행자 신호등(20) 및 차량 신호등(미도시)으로 전송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10)를 건널 수 있도록 각각의 신호등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검지 영역(A)은 보도블록의 파손, 공사 등으로 오염되어 검지 영역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 보행자(P)는 해당 영역에 제대로 위치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검지 영역(A)이 오염된 경우의 일 예로는, 야간 등과 같이 환경의 어두움으로 인해 검지 영역의 식별이 어렵거나, 눈 또는 낙엽이 바닥에 쌓임으로 인해 검지 영역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가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P)가 검지 영역을 인식하지 못하여 검지영역 밖에서 대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100)는 빔(레이저)을 방사하는 별도의 장치(도 3의 320)를 구비하여 가상의 검지 영역(이하, 제 2 검지 영역)(B)을 보도(30) 위에 생성하므로, 보행자(P)가 검지 영역에 대한 식별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빔(레이저)을 방사하는 장치(도 3의 320)는 보행자 검지 장치(100)에 포함되는 카메라(도 3의 310)와 동축으로 밀결합되어 동일 뷰포인트를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빔(레이저)을 방사하는 장치(도 3의 320)와 카메라(도 3의 310)는 동축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별도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되, 동일 뷰포인트를 확보할 수 있으면 관계없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검지 영역(B)은 제 1 검지 영역(A)과 동일하거나 제 1 검지영역(A)의 내측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에 의해 빔로고가 방사되어 형성된 검지 영역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는 카메라(310), 빔 송출부(320), 입출력부(330), 통신부(340), 저장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카메라(310)는 횡단보도를 횡단하려는 보행자의 감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검지 영역인 제 1 검지 영역을 주기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제 1 검지 영역 및/또는 후술하는 제 1 검지 영역 내의 제 2 검지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구성으로, 촬영된 영상은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부(35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310)는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310), CC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310)는, PTZ(Pan, Tilt, Zoom)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원격지의 원격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원격에서 상술한 기능이 제어될 수도 있다.
카메라(310)는 횡단보도를 횡단하려는 보행자의 감지를 위해 제 1 검지 영역을 주기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타 장치로 송신하거나, 보행자의 감지를 위한 콘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카메라(310)는 제 1 검지 영역을 주기적으로 촬영하고, 해당 검지 영역의 훼손 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310)는,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하여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감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지 영역의 훼손 여부는 인공신경망이 적용된 카메라(3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후술되는 제어부(310)가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된 제 1 검지 영역의 영상(이미지)을 기초로 판단하여 해당 검지 영역의 오염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310)는 보행자의 신체가 전부 촬영되되, 신체 중 일부가 가려진 경우에는 카메라(310)의 렌즈에 오염물이 뭍은 것으로 판단하여, 카메라(310)에 설치된 와이퍼(미도시)를 작동시켜, 오염물을 제거할 수도 있다.
빔 송출부(320)는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되는 제 1 검지 영역(도 5의 A, 이하 A) 내에 빔로고를 방사하여 가상의 검지 영역인 제 2 검지 영역(도 5의 B, 이하 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빔로고는 레이저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빔 송출부(320)는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되는 제 1 검지 영역(A)이 오염된 경우에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검지 영역이 오염된 경우는, 보도블록의 파손, 공사 등으로 검지 영역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 또는 야간 등과 같이 환경의 어두움으로 인해 검지 영역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제 2 검지 영역(B)은 제 1 검지 영역(A)에 오염 및/또는 훼손이 발생하여 보행자가 제 1 검지 영역(A)을 인식하지 못함에 따라, 검지 영역 내에 위치하지 못하는 경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빔 송출부(320)는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되는 제 1 검지 영역(A)이 오염된 경우에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빔 송출부(320)는 별도의 물리적인 검지 영역(예컨대, 페인팅 등으로 형성된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빔로고를 방사하여 가상의 검지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물리적인 검지 영역인 제 1 검지 영역(A)이 형성된 상태에서 보행자에게 보다 높은 식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시적으로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B)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빔 송출부(320)는 카메라(310)와 동축으로 밀결합되어 동일 뷰포인트를 확보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때, 빔 송출부(320)는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B)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검지 영역(B)은 영역 전체가 밝은 빛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검지 영역(B)에 해당하는 테두리부만 밝은 빛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내측에 검지 영역임을 알리는 다양한 문구가 삽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빔 송출부(320)는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B)을 형성하되, 형성되는 제 2 검지 영역(B)은 제 1 검지 영역(A)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보행자가 제 2 검지 영역(B)을 확실하게 인지한 상태라 하더라도, 어떠한 동작에 의해 상술한 제 2 검지 영역(B)을 약간은 벗어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검지 영역(B)이 제 1 검지 영역(A) 내에 포함되게 되면, 카메라(310)는 제 1 검지 영역(A) 및 제 2 검지 영역(B) 모두를 촬영하고 있으므로, 보행자의 촬영 및 검출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검지 영역(B)은 빔로고 등과 같이 빛에 의해 형성되는 바, 야간에는 식별이 용이하나, 주간 특히, 맑은 날에는 햇빛에 의해 빔로고가 확실하게 인식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높여 해당 영역의 시인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높이는 것은 제어부(360)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이와 관련한 것은 후술하는 제어부(360)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빔 송출부(320)는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B)을 형성하되, 빔로고의 투광시, 투광되는 글자의 색과 제 2 검지 영역의 배경색이 서로 대비되도록하여 빔로고를 방사할 수 있다. 예컨대, 빔로고를 방사하고자 하는 영역에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빔로고의 색이 상술한 낙엽의 색과 동일하게 되면, 해당 검지 영역의 식별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빔 송출부(320)는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B)을 형성하되, 투광되는 빔로고의 색을 제 2 검지 영역의 배경색과 서로 상반되는 색으로 방사하여 해당 검지 영역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해당 검지 영역에 대한 배경색을 판단하고, 해당 검지 영역의 배경색과 대응되도록 빔로고를 투광하는 빔 송출부(320)를 제어하는 것은 후술하는 제어부(3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입출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및 보행자 감지 장치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입출력부(330)는 카메라(3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보행자가 감지되면 생성되는 결과(예컨대, 보행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3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40)는 다른 디바이스(장치) 및/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34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4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UWB(Ultra Wide 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LTE, LTE-Advanced 등의 무선 이동통신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34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저장부(350)는 파일,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설치 및 저장할 수 있으며, RAM, HDD 및 SSD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부(3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350)에는 상술한 카메라(310)가 촬영한 검지 영역의 이미지(영상)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360)는 CPU, 아두이노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보행자 검지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저장부(35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또는 새로운 파일을 저장부(3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 1 검지 영역(A) 및/또는 제 2 검지 영역(B)을 촬영한 이미지(영상)에서 보행자를 검출하고, 검지 영역 내에 보행자가 검출되는 경우, 보행 신호를 생성하여 보행 신호등 및/또는 차량 신호등으로 신호를 요청해 보행 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촬영된 제 1 검지 영역(A)이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면, 빔 송출부(320)를 제어하여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에 미리 저장된 정상적인 상태의 제 1 검지 영역의 영상(이미지)을 촬영된 제 1 검지 영역의 영상(이미지)와 비교하여 오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60)는 촬영된 제 1 검지 영역(A)이 훼손된 것으로 판단되면, 빔 송출부(320)를 제어하여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B)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제 1 검지 영역(A)의 훼손 여부와 관계없이 제 2 검지 영역(B)이 항상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 차이를 비교하고, 비교된 밝기(조도) 차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 후, 그 결과에 따라 빔 송출부(320)를 제어하여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주간 특히, 맑은 날의 경우(햇빛이 강한 날)에 빔로고 등과 같이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검지 영역(B)은 식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 차이를 비교하고, 비교된 차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비교된 차이에 따라 빔 송출부(320)를 통해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60)는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 차이를 비교하여, 비교된 차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 후, 비교된 차이(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를 비교한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경우, 빔 송출부(320)에서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행하는 이유는,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 차이가 크지 않음(두 영역이 똑같이 어둡거나, 똑같이 밝은 경우)에 따라 두 영역의 식별이 어렵기 때문인데, 이러한 경우 빔 송출부(320)를 제어하여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높여, 제 2 검지 영역(B)을 보다 밝게 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는 제 2 검지 영역(B)을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별도의 조도계 없이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장치(보행자 검지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어부(360)는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된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 내 이미지(영상)는 RGB의 색공간을 갖게 되는 바, 저장된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 내 이미지(영상)를 YCbCr 색공간으로 변환하고, 성분을 분해하여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 간 밝기(조도) 차이를 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60)는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된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 내 이미지(영상)의 색깔을 휘도(Y) 성분과, 색차(Cb, Cr) 성분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휘도(Y) 성분과 색차(Cb, Cr) 성분을 분해하여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를 구해 그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영역 간의 밝기(조도) 차이를 구할 수 있다. 이때, RGB의 색공간을 YCbCr 색공간으로 변환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제 1 검지 영역(A) 내에 보행자가 검지되면, 보행자가 해당 검지 영역 내에 머무르는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을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보행자 신호의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제 1 검지 영역(A) 내에 보행자를 검지하여 보행자 신호를 생성하되, 보행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해당 검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보행자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가 보도 위를 걷다가 전화통화 등과 같은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 우연치 않게 제 1 검지 영역(A) 내에 머무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이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건너려는 목적을 가진 사람이 아니므로, 제 1 검지 영역(A) 내에 보행자가 검출된다고 해서 무조건 보행자 신호를 생성한다면, 차량의 교통 흐름을 방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360)는 제 1 검지 영역(A) 내에 보행자가 검지된다고 하더라도, 제 1 검지 영역(A) 내에 보행자가 머무르는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측정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엔 보행자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는, 상술한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70)를 포함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전원부(370)는 보행자 검지 장치에 상시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상시 전원부(371) 및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3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시 전원부(371)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장치 내의 구성들에 상시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조 전원부(373)는 상시 전원부(371)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원부(373)는 태양광 집열판을 별도로 구비(도 3의 (b) 참조)하고, 태양으로부터 전력을 수집하고 생산하여, 생산된 전력을 보조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전원부(373)는 상술한 상시 전원부(371)와 직렬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시 전원부(371)에 전력을 추가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원부(373)는 수집되는 태양광의 발전량이 많을 경우, 수집된 태양광을 빔 송출부(320)로 송출하여 빔로고를 방사하는 빔 송출부(320)의 전력량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수집되는 태양광의 발전량이 많다는 것을 밝다는 것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밝게 되면,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조도 차이가 크지 않음에 따라 빔 송출부(320)는 투광 강도를 높이게 되는데, 이에 따른 전력 소모가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60)가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 차이를 비교하고, 비교된 차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 후, 비교된 차이(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를 비교한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경우, 빔 송출부(320)에서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높이는 경우, 보조 전원부(373)는 빔 송출부(320)에서 소모되는 전력 사용량을 보조하고자, 생산된 보조 전원을 빔 송출부(3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시 전원부(371)의 전력 사용량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보조 전원부(373)는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생산된 전력의 양을 차등적으로 빔 송출부(320)로 공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방법의 일 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방법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보행자 검지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보행자 검지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방법은, 제 1 검지 영역(A)을 촬영하는 단계(S610),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B)을 형성하는 단계(S620) 및 제 1 검지 영역(A) 및/또는 제 2 검지 영역(B) 내의 보행자를 검출하는 단계(S630)를 포함한다.
S610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미리 설정된 검지 영역인 제 1 검지 영역(A)을 주기적으로 촬영하여,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이때, 제 1 검지 영역(A)은 횡단보도와 인접한 보도 위에 물리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오염 및/또는 훼손이 발생하는 경우 보행자는 해당 검지 영역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야간 등과 같이 어두운 환경이 조성될 경우에도 해당 검지 영역을 보행자가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자가 검지 영역을 보다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빛을 방사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 가상의 검지 영역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빔 송출부(320)를 제어하여, 빔 송출부(320)가 빔로고를 방사하여 가상의 검지 영역인 제 2 검지 영역(B)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60)는 촬영된 제 1 검지 영역(A)이 훼손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빔 송출부(320)가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B)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2 검지 영역(B)은 상술한 제 1 검지 영역(A)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2 검지 영역(B)을 제 1 검지 영역(A) 내에 포함되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보행자가 제 2 검지 영역(B)을 확실하게 인지하더라도, 어떠한 동작에 의해 해당 영역을 벗어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제 2 검지 영역(B)이 제 1 검지 영역(A) 내에 포함되는 경우, 보행자가 제 2 검지 영역(B)을 약간 벗어나더라도, 제 2 검지 영역(B)의 밖은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이 가능한 제 1 검지 영역(A)이기 때문에, 보행자의 촬영 및 검출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빔 송출부(320)는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되는 제 1 검지 영역(A)이 오염된 경우에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빔 송출부(320)는 별도의 물리적인 검지 영역(예컨대, 페인팅 등으로 형성된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빔로고를 방사하여 가상의 검지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물리적인 검지 영역인 제 1 검지 영역(A)이 형성된 상태에서 보행자에게 보다 높은 식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시적으로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B)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 2 검지 영역(B)은 영역 전체가 밝은 빛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검지 영역(B)에 해당하는 테두리부만 밝은 빛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내측에 검지 영역임을 알리는 다양한 문구가 삽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검지 영역임을 알리는 문구는 예를 들어, “보행자 안심 Zo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으며,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보행자 검지를 위한 위치임을 나타내는 문구이면 관계없다. 또한, 상술한 문구 이외에 광고를 위한 문구가 더 삽입될 수도 있다.
S630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제 1 검지 영역(A) 및/또는 제 2 검지 영역(B) 내의 보행자를 검출하고 보행자가 검출되는 경우, 보행 신호를 생성하고 송출할 수 있다. 이때, 보행자의 검출은 저장부(350)에 미리 저장된 보행자 검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방법에서의, 제어부가 제 1 검지 영역과 제 2 검지 영역의 밝기(조도) 차이 발생에 따른 결과에 기초해 빔 송출부를 제어하여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단계는 도 6의 S620 단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S710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된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 내 이미지(영상)는 RGB의 색공간을 가지므로,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 내 이미지(영상)를 YCbCr 색공간으로 변환하고, 성분을 분해하여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 간 밝기(조도) 차이를 구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제어부(360)는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된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 내 이미지(영상)의 색깔을 휘도(Y) 성분과, 색차(Cb, Cr) 성분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휘도(Y) 성분과 색차(Cb, Cr) 성분을 분해하여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를 구해 그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영역 간의 밝기(조도) 차이를 구할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상술한 S710 단계에서 비교된 밝기(조도) 차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검지 영역(A)의 밝기(조도)가 5룩스(Lx)이고,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가 4룩스(Lx)인 경우, 상술한 두 검지 영역의 차이는 1룩스(Lx)가 될 수 있다. 이때, 임계값은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으로, 사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임계값은 3룩스(Lx)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S730 및 S740 단계에서 제어부(360)는, 상술한 S720 단계에서 비교된 결과에 따라, 빔 송출부(320)를 제어하여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 차이를 비교하여, 비교된 차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 후, 비교된 차이(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를 비교한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경우, 빔 송출부(320)에서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이때, 임계값의 크기를 크게 설정할수록, 빔로고의 투광 강도는 높아져,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는 더욱 밝게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투광 강도를 조절하는 이유는, 주간 특히, 맑은 날의 경우(햇빛이 강한 날)에 빔로고 등과 같이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검지 영역(B)은 식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제 1 검지 영역(A)과 제 2 검지 영역(B)의 밝기(조도) 차이가 크지 않음(두 영역이 똑같이 어둡거나, 똑같이 밝은 경우)에 따라 두 영역의 식별이 어려울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어부(360)는 상술한 바에 따라 빔 송출부(320)를 제어하여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높여, 제 2 검지 영역(B)을 보다 밝게 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는 제 2 검지 영역(B)을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된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된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된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검지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마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보행자 검지 장치
310 : 카메라
320 : 빔 송출부
330 : 입출력부
340 : 통신부
350 : 저장부
360 : 제어부
370 : 전원부
371 : 상시 전원부
373 : 보조 전원부
A : 제 1 검지 영역
B : 제 2 검지 영역

Claims (12)

  1. 횡단보도를 횡단하려는 보행자의 감지를 위해, 제 1 검지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검지 영역 내에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빔 송출부;
    장치 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 1 검지 영역 내에 보행자가 검출되면, 보행 신호를 생성하여 보행 신호등으로 보행 신호를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검지 영역 내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보행자의 신체 전신 중 일부가 가려진 경우 또는 상기 제 1 검지 영역이 훼손된 경우, 카메라에 오염물이 뭍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에 설치된 와이퍼를 작동시켜 오염물을 제거하고,
    상기 와이퍼의 동작에도 상기 제 1 검지 영역이 훼손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빔 송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검지 영역과 상기 제 2 검지 영역의 밝기 차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된 밝기 차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빔 송출부에서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검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검지 영역과 제 2 검지 영역 내 이미지의 색깔을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을 분해하여 상기 제 1 검지 영역과 상기 제 2 검지 영역의 밝기를 구해 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검지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된 밝기 차이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의 비교 결과,
    상기 비교된 밝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빔 송출부에서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검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장치 내에 상시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상시 전원부; 및
    상기 상시 전원부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원부는,
    태양광을 수집하여 수집된 에너지를 보조 전원으로 상기 상시 전원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검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빔 송출부를 제어하여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높이는 경우,
    상기 보조 전원부는,
    수집된 태양광을 상기 빔 송출부로 송출하여 빔로고를 방사하는 상기 빔 송출부의 전력량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검지 장치.
  7. 보행자 검지 장치에서의 보행자 검지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가 횡단보도를 횡단하려는 보행자의 감지를 위해, 제 1 검지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검지 영역 내에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검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보행자가 검출되면, 보행 신호를 생성하여 보행 신호등으로 보행 신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검지 영역 내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보행자의 신체 전신 중 일부가 가려진 경우 또는 제 1 검지 영역이 훼손된 경우, 카메라에 오염물이 뭍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에 설치된 와이퍼를 작동시켜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와이퍼의 동작에도 상기 제 1 검지 영역이 훼손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빔 송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검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검지 영역 내에 빔로고를 방사하여 제 2 검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검지 영역과 상기 제 2 검지 영역의 밝기 차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된 밝기 차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빔 송출부에서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검지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송출부에서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검지 영역과 제 2 검지 영역 내 이미지의 색깔을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을 분해하여 상기 제 1 검지 영역과 상기 제 2 검지 영역의 밝기를 구해 그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검지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송출부에서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된 밝기 차이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의 비교 결과,
    상기 비교된 밝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빔 송출부에서 방사되는 빔로고의 투광 강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검지 방법.
  11. 제 7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보행자 검지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7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80631A 2021-06-22 2021-06-22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 KR102592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31A KR102592860B1 (ko) 2021-06-22 2021-06-22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31A KR102592860B1 (ko) 2021-06-22 2021-06-22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066A KR20220170066A (ko) 2022-12-29
KR102592860B1 true KR102592860B1 (ko) 2023-10-23

Family

ID=8453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631A KR102592860B1 (ko) 2021-06-22 2021-06-22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8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9846A (ja) 2006-08-30 2008-03-13 Toshiba Corp 照明装置、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KR101283079B1 (ko) * 2011-08-17 2013-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적외선 엘이디 조명을 갖는 네트워크 카메라
KR101388872B1 (ko) 2014-03-17 2014-04-23 안병준 횡단보도 교통 안전 시스템
KR101800007B1 (ko) * 2017-08-31 2017-11-21 주식회사 케이피엔 횡단보도 보행자를 위한 안전지킴 cctv 시스템
KR102089461B1 (ko) * 2019-08-22 2020-03-1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태양광 기반 다기능 가로등 장치
KR102184728B1 (ko) 2020-03-27 2020-11-30 염상훈 영상 감지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보행 신호 안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064B1 (ko) 2019-01-11 2019-11-28 디노플러스 (주) 횡단 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9846A (ja) 2006-08-30 2008-03-13 Toshiba Corp 照明装置、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KR101283079B1 (ko) * 2011-08-17 2013-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적외선 엘이디 조명을 갖는 네트워크 카메라
KR101388872B1 (ko) 2014-03-17 2014-04-23 안병준 횡단보도 교통 안전 시스템
KR101800007B1 (ko) * 2017-08-31 2017-11-21 주식회사 케이피엔 횡단보도 보행자를 위한 안전지킴 cctv 시스템
KR102089461B1 (ko) * 2019-08-22 2020-03-1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태양광 기반 다기능 가로등 장치
KR102184728B1 (ko) 2020-03-27 2020-11-30 염상훈 영상 감지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보행 신호 안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066A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445B1 (ko) 가시광 및 적외선 융합 영상 기반 객체 검출 방법 및 장치
JP3201518U (ja) イメージセンサ視野内の障害物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9639764B2 (en) Image recognition system for vehicle for traffic sign board recognition
JP6416085B2 (ja) 適用可能な被写界深度を使用するゲーテッド撮像
KR101688695B1 (ko) 차량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70032199A1 (en) Video data analyz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arking lot monitoring system
US20070221822A1 (en) Headlight, Taillight And Streetlight Detection
JP2019506781A (ja) 自律走行車用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レンズマスキングシステム
KR101558419B1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CN101142814A (zh) 图像处理装置及方法、程序、以及记录介质
JP5996970B2 (ja) 車載撮像装置
CN105519103A (zh) 车载监控方法及装置
KR102155050B1 (ko) 영상 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 제어 시스템 및 신호 제어 방법
KR20150066739A (ko)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571999A (zh) 红外拍摄装置和交通信息系统
Janveja et al. Insight: monitoring the state of the driver in low-light using smartphones
KR20200102907A (ko) 가시광 및 적외선 융합 영상 기반 객체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2155052B1 (ko) 영상 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 제어 시스템 및 신호 제어 방법
JP7241772B2 (ja) 画像処理装置
US20170353642A1 (en) Driver state monitoring system
US20220108474A1 (en) Dynamic image-based parking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KR102592860B1 (ko)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
KR102180916B1 (ko) 인공지능 영상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73167A1 (en) Spotlight detection for improved image quality
US201900395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against vehicular collisions when dr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