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602B1 -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 - Google Patents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602B1
KR102592602B1 KR1020220066406A KR20220066406A KR102592602B1 KR 102592602 B1 KR102592602 B1 KR 102592602B1 KR 1020220066406 A KR1020220066406 A KR 1020220066406A KR 20220066406 A KR20220066406 A KR 20220066406A KR 102592602 B1 KR102592602 B1 KR 10259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paint
gear
stirring ro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2958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06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602B1/ko
Publication of KR2023012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페인트 통에 채워진 페인트(P)의 온도를 낮추어 경화를 지연시키고 가사시간(pot life)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에 관한 것으로, 수용부(11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수용부(110)에 설치되며 페인트(P)가 채워지는 내부 용기(300); 상기 수용부(110)를 설정된 온도로 보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외측부(120)와 상기 내측부(130) 사이에 설치된 냉각기(250); 상기 수용부(110)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부(120)와 상기 내측부(130) 사이에 설치된 온도센서(410); 및 상기 수용부(110)의 온도를 제어하고 온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어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Portable Paint Bucket with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등의 도장 작업 시 휴대용 페인트 통에 채워진 페인트를 저온 상태로 유지시켜 가사시간(pot life)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갑판, 엔진 룸, 카고 탱크, 밸러스트 탱크 및 해수와 접촉하는 선체 등과 같이 다양한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에는 그 기능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방식(防蝕) 페인트 또는 방오(防汚) 페인트 등을 사용하여 도장을 하고 있다.
대형 선박은 선체를 이루는 블록(block)을 각각 제조하면서 도장 작업은 블록별로 행해지기도 하고 이 때 도장 자동화 로봇 등을 이용한 도장 작업의 자동화를 점차 확대해 가고 있다.
하지만, 복잡한 구조를 갖는 완성된 선박에서 도장의 수정을 위한 터치업(touch up) 도장 작업이나, 마무리칠 작업 등을 비롯하여 아직까지 사람이 직접 도장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도장 작업이 많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람이 직접 휴대용 페인트 통을 들고 붓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페인트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페인트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페인트 통의 한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998357호에 페인트 통 탈착형 페인트 작업 용기(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가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 가능한 페인트 작업 용기는 필요한 양만큼 페인트를 채워서 도장을 할 수 있어 편리하고 작업을 할 수 있고 페인트의 낭비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페인트 칠 작업은 휴대용 페인트 통에 페인트를 채운 후 이를 다 사용할 때까지 계속 페인트 칠 작업만 하는 것이 아니고, 이동하거나 페인트 칠 준비 작업 또는 휴식 등과 같은 시간이 있어, 페인트 칠 중간 중간에 비는 시간이 실제 많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휴대용 페인트 통의 페인트를 다 사용하기 전에 페인트가 경화되어 페인트를 낭비할 뿐 아니라 작업 시간도 현저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환경오염 방지 및 화재 위험 저감을 위하여 도장 작업에 무용제 페인트를 비롯한 특수 용도의 페인트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페인트는 가사시간(pot life)이 짧아 경화가 빨리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여름철에는 높은 온도의 영향으로 가사시간이 더 짧아지며, 경화 반응이 발생하면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경화 반응 속도가 더 빨라져서 가사시간이 더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페인트는 주위의 온도가 높아지면 경화가 빨리 발생하고 가사시간이 짧아지게 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98357호(2019. 07. 0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휴대용 페인트 통에 채워진 페인트의 온도를 낮추어 페인트의 경화를 지연시키고 가사시간(pot life)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은,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를 이루는 내측부(130)와 상기 내측부(130)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된 단열부재(140) 및 상기 단열부재(14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측부(120)를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수용부(110)에 설치되며 페인트(P)가 채워지는 내부 용기(300); 상기 수용부(110)를 설정된 온도로 보냉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부(120)와 상기 내측부(130) 사이에 설치된 냉각기(250, 250a); 및 상기 수용부(110)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어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구리판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내부 용기(300)에 채워진 상기 페인트(P)를 교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반봉(60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일단에 교반부 몸체(170)가 결합된 교반부 지지대(160) 및 상기 교반부 지지대(160) 상에 결합되는 교반 모터(50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교반 모터(500)와 상기 교반부 몸체(170)는 모터 회전축(510)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되, 상기 모터 회전축(510)의 단부에는 제1 기어(53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 몸체(170)에는 적어도 하나의 교반봉 지지구(18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봉(600)은 축부(610)와 교반 날개(620) 및 상기 축부(610)에 결합된 제2 기어(63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봉(600)은 상기 제1, 2 기어(530, 630)가 기어 결합되도록 상기 교반봉 지지구(18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봉 지지구(180)는 내부에 형성된 교반봉 안착부(182) 및 상기 교반봉 안착부(182)와 연결된 슬릿(181)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봉(600)의 축부(610)는 상기 슬릿(181)을 통과하여 상기 교반봉 안착부(182)에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기(250)는 압축기(200)와 응축기(240)와 연결되어 냉각 사이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기(250a)는 열전소자(250a)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은 내부 용기(300)에 채워진 페인트(P)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어, 페인트의 가사시간(pot life)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은 교반봉(600)으로 내부 용기(300)에 채워진 페인트(P)를 교반시켜 페인트(P)의 온도가 균일하게 만들어 경화 반응을 지연시키고 가사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은 상기 교반봉(160)이 내부 용기(3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교반봉(600)을 상기 교반부 몸체(170)의 측면에서 밀거나 당겨서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내부 용기(30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쉽게 교반봉(600)을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도장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나타난 페인트 작업 용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의 분해도.
도 4는 제2 냉각부가 구비된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의 단면도.
도 5는 제2 교반부가 구비된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의 교반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의 작동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의 분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1)은 본체(100); 내부 용기(300); 교반봉(600) 및 제어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110); 상기 수용부(110)를 이루는 내측부(130); 상기 내측부(130)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된 단열부재(140); 상기 단열부재(14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측부(120); 교반부 지지대(160); 및 교반부 몸체(170)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110)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110)가 용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0)에는 상기 내부 용기(30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용부(110)를 이루는 내측부(130)와 외측에 형성된 외측부(12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측부(120)와 내측부(130) 사이에 단열부재(1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내측부(130)는 수용부(110)를 이루는 측면과 바닥면을 함께 지칭하고 있고, 상부로 갈수록 외측부(1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내부 용기(300)의 결합 및 분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보냉 효과를 높이고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 용기(300)의 형상도 상기 내측부(1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외측부(120)와 상기 내측부(130) 사이에는 냉각기(2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기(250)는 단열부재(140)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수용부(110)와 내부 용기(300)에 채워지는 페인트(P)를 설정된 온도로 보냉할 수 있도록 내측부(130)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냉각기(250)와 내측부(130) 사이에는 단열부재(140)가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거나 단열부재(14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냉각기(250)의 냉기를 내측부(130), 즉 수용부(110)로 쉽게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냉각기(250)와 외측부(120) 사이는 단열부재(140)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외측부(120)를 통하여 냉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부(130)를 통하여 상기 수용부(110)에 설치되는 페인트(P)로 보다 더 효과적으로 냉기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부(130)를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인 구리판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외측부(120)의 높이는 상기 내측부(1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부재(140)의 상부면이 경사부(150)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내부 용기(300)에 채워진 페인트(P)의 보냉 유지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페인트(P) 작업 중 페인트가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기(250)는 상기 내측부(130)의 측면과 함께 바닥면에도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각기(250)와 내측부(130)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재(14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수용부(110)의 냉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필요한 경우, 냉각통로(25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체(100)에는 상기 냉각기(25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구동시스템(20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기 냉각기(250)는 냉매가 흐르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압축기(220) 및 응축기(240)와 연결되어 통상적인 냉동 사이클을 통한 냉각이며, 상기 냉각기(250)는 공지된 냉동 사이클에서 증발기에 해당한다.
이처럼 상기 냉각기(250)가 통상적인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냉각구동시스템(200)은 압축기(220)와 응축기(240)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응축기(24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응축 팬(26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압축기와 응축 팬(260)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24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압축기(220), 응축기(240), 배터리(230) 및 응축 팬(260)은 파손 방지를 위하여 케이스(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 때,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방열 등을 위하여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흡입구(211)와 배출구(2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2와 도 3에서는 상기 케이스(210)가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내장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와 무게 등에 따라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 2와 도 3에는 냉매가 흐르는 배관으로 형성된 냉각기(25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수용부(110)의 보냉을 위하여 냉각을 할 수 있는 다른 구조의 냉각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250a)를 이용한 전자 냉각도 가능할 것이다.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기는 별도의 냉매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도 2와 도 3에 나타난 냉각구동시스템(200)과 달리 압축기(220)와 응축기(240)가 없는 냉각구동시스템(200)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열전소자(250a)를 이용하여 냉각을 시킬 때에는 열전소자(250a)의 배면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방열 통로(25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통로(25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활한 방열을 위하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기 팬(261)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방열하는 흡기 팬(262)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열전소자(250a)의 보다 더 원활한 방열을 위하여 상기 열전소자(250a)의 배면에 공지된 다른 냉각 시스템(미도시)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250a) 이외의 히트파이프 등과 같은 또다른 구조를 갖는 냉각기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본체(100)에는 교반부 지지대(160)의 일단에 결합된 교반부 몸체(17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교반부 지지대(16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직 지지대(160a) 및 이와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수용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 지지대(160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교반부 몸체(170)는 대략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교반봉(600)을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인데, 상기 수평 지지대(160b)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교반부 몸체(170)는 상기 내부 용기(300)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교반부 몸체(170)에 결합되는 교반봉(600)의 하부는 상기 내부 용기(300)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수평 지지대(160b)와 교반부 몸체(170)가 수용부(11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내부 용기(300)를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설치하거나 분리해 낼 때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수직 지지대(160a)의 높이와 내부 용기(300)의 높이 및 넓이를 고려하여 해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지지대(160b)와 수직 지지대 사이에 회전부(161)를 추가로 형성하여 수평 지지대(160b)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5에서는 회전부(161)가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 지지대(160b)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회전부가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수평 지지대(160b)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교반부 몸체(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1개 이상의 교반봉 지지구(180)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몸체 개구부(17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교반봉 지지구(180)는 교반봉(6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이고, 몸체 개구부(170)는 상기 교반부 몸체(170) 또는 교반봉 지지구(180)의 측면에서 교반봉(600)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교반봉 지지구(180)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교반봉 안착부(182) 및 상기 교반봉 안착부(182)와 연결된 슬릿(18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슬릿(181)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교반봉 지지구(180)의 외부까지 형성되어 있어, 교반봉(600)을 측면에서 밀어서 상기 교반봉 안착부(182)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릿(181)에는 상기 교반봉 안착부(182)에 결합된 교반봉(600)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83)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걸림턱(183)은 탄성체(184)로 지지되도록 외력이 가해질 경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교반부 몸체(170)의 내부에는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모터(500)의 모터 회전축(510) 단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모터 회전축(510)의 단부에는 제1 기어(530)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는 상기 모터 회전축(510)을 구동시키는 교반 모터(500)가 수평 지지대(160a)의 끝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교반 모터(500)의 무게가 무거울 때에도 가능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모터 회전축(510)의 단부에 연결된 제1 기어(530)가 상기 교반부 몸체(170)의 내측에서 구동되는 조건이 충족되는 다른 위치에 교반 모터(50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교반봉(600)은 축부(610)와 그 하부에 형성된 교반 날개(620) 및 상기 제1 기어(530)와 기어결합되는 제2 기어(6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기어(630)는 상기 교반봉 지지구(180)에 상기 교반봉(600)을 측면에서 밀어서 결합시키면 상기 교반봉(600)의 축부(610)는 상기 교반봉 안착부(181)에 안착되고 이 때 상기 제2 기어(630)는 상기 제1 기어(530)에 기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교반봉 지지구(180) 중의 하나가 상기 제2 기어(630)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제1 기어(5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기어(630)가 회전하면서 상기 교반봉(6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1, 2 기어(530, 630)는 베벨기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제1 기어(530)를 회전시켜 제2 기어(6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기어 결합도 가능할 것이다.
내부 용기(300)는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페인트(P)를 채우는 저장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용기(300)는 상기 수용부(110)에서 설치하고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용기 손잡이(32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냉각구동시스템(200)을 구동시켜 설정된 온도로 냉각기(25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설정 온도는 상기 제어 디스플레이부(400)에 사용자가 입력을 하여 설정할 수 있고, 이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설치된 온도 센서(41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통하여 온도제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냉각구동시스템(200)의 각 구성 및 상기 교반 모터(5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1)을 결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용기(300)에 페인트(P)를 채우고 냉각기(250) 및 교반봉(600)을 구동시키며 페인트(P)의 가사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1)을 조립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상기 내부 용기(300)를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내부 용기(300)가 상기 교반부 몸체(170)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내부 용기(300)를 기울여서 상기 수용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지지부(160b)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평 지지부(160b)를 회전시킨 후 상기 내부 용기(300)를 상기 수용부(110)에 결합시킨 다음 수평 지지부(160b)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부 용기(300)의 결합을 완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교반부 몸체(170)에 상기 교반봉(600)을 측면에서 밀어서 결합시킨다.
상기 내부 용기(300)의 내부에서 상기 교반봉(600)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교반봉(600)의 축부(610)를 상기 교반부 지지구(180)에 형성된 슬릿(181)에 위치시킨 후 상기 축부(610)가 상기 교반부 지지구(180)의 교반봉 안착부(182)에 안착될 때까지 밀어서 교반봉(600)을 상기 교반부 몸체(170)에 결합시킨다.
상기 교반봉의 축부(610)가 상기 교반봉 안착부(182)에 안착되면 상기 모터 회전축(510)의 단부에 결합된 제1 기어(530)와 상기 교반봉의 축부(610)에 형성된 제2 기어(630)가 기어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5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교반봉(6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상기 내부 용기(300)에 페인트(P)를 채운다.
그 다음로, 페인트(P)의 보냉 온도를 설정하여 입력하고, 냉각기(25)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 때, 교반 모터(500)를 함께 구동하여 교반봉(600) 회전에 따른 페인트(P)교반을 통하여 페인트(P)가 보다 균일한 온도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사시간이 연장된 페인트(P)를 이용하여 도장 작업을 수행한다.
도장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먼저 상기 교반봉(600)을 측면으로 밀어서 상기 교반봉 몸체(170)에서 분리시킨 후 제거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용기(300)를 상기 본체의 수용부(110)에서 분리해 낸다.
다음 작업은 상기 내부 용기(300)를 새로 교체하여 위의 단계를 차례로 수행하여 도장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1)은 냉각기(250)를 이용하여 내부 용기(300)에 채워진 페인트(P)를 냉각시키고, 교반봉(600)을 이용하여 상기 페인트(P)를 교반하여 페인트(P)의 온도가 최대한 균일하게 되도록 하여 페인트(P)의 경화를 지연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페인트(P)의 가사시간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봉(160)이 내부 용기(3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교반봉(600)을 상기 교반부 몸체(170)에 결합 및 분리할 때 측면으로 밀어서 설치하고 측면으로 당겨서 분리할 수 있어, 내부 용기(300)에 방해를 받지 않고 교반봉(600)을 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어 도장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1)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손잡이(19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냉각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페인트 통
100: 본체 110: 수용부 120: 외측부
130: 내측부 140: 단열부재 150: 경사부
160: 교반부 지지대 160a: 수직 지지대
160b: 수평 지지대 161: 회전부
170: 교반부 몸체 170a: 몸체 개구부
180: 교반봉 지지구 180a: 슬릿
182: 교반봉 안착부 183: 걸림턱
184: 탄성체 190: 손잡이 200: 냉각구동시스템
210: 케이스 211: 흡입구 212: 배출구
220: 압축기 230: 배터리 240: 응축기
250: 냉각기 250a: 열전소자 251: 방열통로
252: 냉각통로 260: 응축 팬 261: 배기 팬
262: 흡기 팬 300: 내부 용기 310: 저장부
320: 용기 손잡이 400: 제어 디스플레이부
410: 온도 센서 500: 교반 모터 510: 모터 연결축
530: 제1 기어 600: 교반봉 610: 축부
620: 교반 날개 630: 제2 기어 P: 페인트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를 이루는 내측부(130), 상기 내측부(130)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된 단열부재(140) 및 상기 단열부재(14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측부(120)를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수용부(110)에 설치되며 페인트(P)가 채워지는 내부 용기(300);
    상기 수용부(110)를 설정된 온도로 보냉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부(120)와 상기 내측부(130) 사이에 설치된 냉각기(250, 250a);
    상기 수용부(110)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어 디스플레이부(4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직 지지대(160a)와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수평 지지대(160b)를 포함하는 교반부 지지대(160);
    상기 수평 지지대(160b)의 단부에 결합되며 측면에 몸체 개구부(170a)가 형성된 교반부 몸체(170);
    상기 수평 지지대(160b)에 결합되는 교반 모터(500); 및
    상기 내부 용기(3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교반부 몸체(170)에 결합되며, 상기 교반 모터(5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 교반봉(600);을 포함하되,
    상기 교반부 몸체(170)의 내측에 베벨기어로 형성된 제1 기어(53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기어(530)는 상기 교반 모터(500)의 모터 회전축(510) 단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봉(600)은,
    하부에 교반 날개(620)가 형성된 축부(610); 및 상기 축부(610)에 베벨기어로 형성된 제2 기어(630);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제1 기어(530)와 제2 기어(630)는 기어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봉(600)은 상기 몸체 개구부(170a)를 통하여 상기 교반부 몸체(17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
  2. 삭제
KR1020220066406A 2022-02-15 2022-05-30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 KR102592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406A KR102592602B1 (ko) 2022-02-15 2022-05-30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333 2022-02-15
KR1020220066406A KR102592602B1 (ko) 2022-02-15 2022-05-30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333 Division 2022-02-15 2022-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958A KR20230122958A (ko) 2023-08-22
KR102592602B1 true KR102592602B1 (ko) 2023-10-23

Family

ID=842353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406A KR102592602B1 (ko) 2022-02-15 2022-05-30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
KR1020220070878A KR102471974B1 (ko) 2022-02-15 2022-06-10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포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878A KR102471974B1 (ko) 2022-02-15 2022-06-10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26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3345A (ja) 2000-08-04 2002-04-16 Toshiyuki Yamauchi 撹拌方法並びに撹拌装置
JP2004105837A (ja) * 2002-09-17 2004-04-08 Dyflex Holdings:Kk 液状材料用撹拌装置
KR101895052B1 (ko) * 2016-12-09 2018-09-04 (주) 케이에스에스 열전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2198431B1 (ko) 2020-08-19 2021-01-05 김영재 포터블 믹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327B1 (ko) * 1998-09-01 2000-10-16 추호석 유성치차를 이용한 페인트 믹싱용 자동 교반기
KR101023357B1 (ko) * 2008-08-07 2011-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러시 제조 용기, 슬러시 제조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냉각 장치
KR20150000313U (ko) * 2013-07-12 2015-0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페인트 교반장치
KR101624987B1 (ko) * 2015-03-30 2016-06-07 하노스 주식회사 소형 복합 교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 복합 교반 시스템
KR101998357B1 (ko) 2018-06-19 2019-07-09 최영근 페인트통 탈착형 페인트 작업 용기
KR102640265B1 (ko) * 2019-09-25 2024-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료용 보냉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3345A (ja) 2000-08-04 2002-04-16 Toshiyuki Yamauchi 撹拌方法並びに撹拌装置
JP2004105837A (ja) * 2002-09-17 2004-04-08 Dyflex Holdings:Kk 液状材料用撹拌装置
KR101895052B1 (ko) * 2016-12-09 2018-09-04 (주) 케이에스에스 열전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2198431B1 (ko) 2020-08-19 2021-01-05 김영재 포터블 믹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974B1 (ko) 2022-11-29
KR20230122958A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2602B1 (ko)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
CN110733119A (zh) 一种可搅拌混凝土的料斗用密封装置
CN106438000A (zh) 机舱发电机组冷却装置及冷却方法
CN108972884B (zh) 立式混凝土搅拌机及混凝土生产线
CN216302148U (zh) 一种保温性好的聚羧酸减水剂母液用的塑料储存罐
CN208536482U (zh) 一种压缩空气冷却装置
CN2740622Y (zh) 石油钻杆接头淬火冷却装置
CN210964011U (zh) 一种化学溶液迅速冷却结晶装置
CN211199124U (zh) 一种改性沥青降温装置
CN111632538A (zh) 一种搅拌效果好的液体搅拌机
CN215196792U (zh) 一种乳化液用冷却塔
JP2011012931A (ja) 液体冷却装置
JPH06210542A (ja) 液温調整装置
CN212585293U (zh) 一种环保冶金专用设备降温装置
CN218232568U (zh) 一种提升散热效果的化学气相沉积炉
CN214020528U (zh) 单组份水性聚氨酯防水涂料生产系统
CN213725980U (zh) 一种多功能涂料机
CN208057522U (zh) 一种化工设备冷却装置
CN211915878U (zh) 一种汽车门板加工装置
CN205485804U (zh) 一种能快速冷却的移动式计算机机柜
CN206935339U (zh) 一种加快散热速度的反应釜
CN211310138U (zh) 一种降温冷却效果好的气力输送糠粕输送装置
CN218269426U (zh) 一种野营房用通风散热装置
CN220472014U (zh) 一种液体快速制冷设备
CN220959083U (zh) 一种新型铝合金冷却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