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265B1 - 도료용 보냉용기 - Google Patents

도료용 보냉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265B1
KR102640265B1 KR1020190118047A KR20190118047A KR102640265B1 KR 102640265 B1 KR102640265 B1 KR 102640265B1 KR 1020190118047 A KR1020190118047 A KR 1020190118047A KR 20190118047 A KR20190118047 A KR 20190118047A KR 102640265 B1 KR102640265 B1 KR 102640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container
container body
temperature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073A (ko
Inventor
공의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2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65D23/16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of therm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통체 형태로, 도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중공된 벽체 내부에 냉매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냉매공간에 채워지는 냉매부재, 용기본체에 구비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도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및 용기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온도센서와 연동하여 도료의 온도와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도료용 보냉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료용 보냉용기{A COOLING CONTAINER FOR PAINT}
본 발명은 도료용 보냉용기로서, 구체적으로는 무용제도료를 보냉하여 가사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도료용 보냉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의 수정을 위하여 하는 작업인 터치업(touch up) 도장 작업을 할 경우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도료를 제작하게 된다.
최근에는 도장 작업에 무용제도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무용제도료는 비싼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낭비가 없고 화재 위험이 적으며, 대기오염이나 수질오염 등의 환경문제가 없을뿐더러 도장 공정이 간단하여 선호되고 있다.
그런데, 무용제도료를 이용하여 터치업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도료 용기 내에 무용제도료를 수용하고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통상 가사시간까지 1시간 내지 2시간 정도 사용할 수 있으나, 온도가 높은 하절기의 경우 높은 온도의 영향으로 가사시간이 짧아져 도장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즉, 무용제도료는 용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30℃ 이상의 하절기 등의 고온조건에서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 도장 작업에 사용 가능한 가사시간이 대략 40분 미만으로 짧아, 장시간 소요되는 도장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무용제도료는 온도가 높을수록 도료에 혼합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반응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가사시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가사시간이 지나게 되면 점도가 높아져 도장 작업에 사용하기 어렵게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굳어져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료용 보냉용기, 구체적으로는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고, 해당 무용제도료의 온도, 제품명 및 가사시간 등을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터치업(touch up) 등의 도장 작업 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도료용 보냉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중공된 벽체 내부에 냉매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냉매공간에 채워지는 냉매부재, 용기본체에 구비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도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및 용기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온도센서와 연동하여 도료의 온도와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도료용 보냉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용기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제외한 외측면을 감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료용 보냉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도료가 채워지는 일회용 백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료용 보냉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품별 도료의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도료가 수용공간 내 수용되면, 메모리부로부터 대응되는 도료의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도료의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 데이터와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도료의 온도를 기반으로 도료의 가사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도료용 보냉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는 도료가 포함된 제품용기가 수용되고, 용기본체의 수용공간 내측에 구비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품용기 외면에 표기된 제품의 코드를 인식하여 도료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도료용 보냉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무용제도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 내 수용공간을 냉매부재 및 단열부재를 통해 보냉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된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 외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수용공간에 수용된 무용제도료의 온도, 제품명 및 가사시간 등을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을 확인하며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터치업(touch up) 등의 도장 작업 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의 내부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의 용기본체에 일회용 백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별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을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에 개폐부재가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의 내부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는 용제를 사용하는 도료에 비해 가사시간이 짧은 무용제도료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무용제도료를 용기 내 냉매부재(120)를 통해 보냉하여 수용하도록 하여,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어, 터치업(touch up) 등의 도장 작업 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용제도료는 비싼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낭비가 없고 화재 위험이 적으며, 대기오염이나 수질오염 등의 환경문제가 없을 뿐더러 도장 공정이 간단하여 최근에는 이러한 무용제도료가 선호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는, 용기본체(110), 냉매부재(120), 온도센서(130) 및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10)는 상부가 개구된 통체 형태로서, 개구된 상부와 연통하여 내측에 도장에 사용되는 무용제도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10)는 측면부와 바닥부를 형성하는 벽체 부분이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벽체 내측에 냉매부재(120)가 채워지는 냉매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본체(110)의 벽체는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벽과 외벽 사이에 냉매부재(120)가 채워지는 냉매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10)는 열교환 효율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외에도 열교환 효율이 높은 종류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매부재(120)는 용기본체(110)의 냉매공간(112)에 채워질 수 있다.
이때, 냉매공간(112)에 채워지는 냉매부재(120)는 상부의 개구부를 제외하고 수용공간(111)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냉매부재(120)로는 다양한 종류의 냉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물과 에틸렌글리콜이 혼합된 냉매부재(12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냉매부재(120)는 수용공간(111)에 수용되는 무용제도료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무용제도료의 온도를 낮추어 가사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무용제도료의 경우 용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하절기 등의 고온조건에서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 도장 작업에 사용 가능한 가사시간이 대략 40분 미만으로 짧아, 장시간 소요되는 도장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여기서, 가사시간이 지나게 되면 무용제도료는 점도가 높아져 도장 작업에 사용하기 어렵게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굳어져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온도가 높을수록 무용제도료에 혼합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반응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가사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본체(110)에서 수용공간(111)을 감싸는 벽체 내에 냉매부재(120)를 구비하는 도료용 보냉용기(100)를 구성하여, 수용공간(111)에 수용되는 무용제도료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는 용기본체(110)의 개구부를 제외한 외측면을 감싸는 단열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10)를 감싸는 단열부재(150)는 외부 열을 차단하여, 용기본체(110)의 벽체에 구비되는 냉매부재(120)가 외부 열에 의해 쉽게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매부재(120)의 사용 지속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때, 단열부재(150)는 단열 성능이 좋은 발포 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우레탄폼이나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온도센서(130)는 용기본체(110)에 구비되어 수용공간(111)에 수용되는 무용제도료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130)는 수용공간(111) 내측의 벽면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수용공간(111)에 수용되는 무용제도료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111)에 무용제도료를 수용하는 과정에서는 온도센서(130)나 용기본체(110) 내부에 도료가 묻지 않도록 상부가 개방된 일회용 백(160)을 수용공간(111)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일회용 백(160)은 수용공간(111)에서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111)에 무용제도료의 제품용기(도료 캔)를 통째로 수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의 용기본체(110)에 일회용 백(160)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상부가 개구된 별도의 일회용 백(160)을 설치하고, 일회용 백(160)에 무용제도료를 주입하여 수용함으로써, 온도센서(130)나 용기본체(110) 내부에 도료가 묻지 않도록 하고, 도장 작업 후 용기본체(110)에서 일회용 백(160)을 꺼내어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10)의 외측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40)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온도센서(130)와 연동하여,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무용제도료의 온도를 표시하고,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1)와, 제품별 무용제도료의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되는 메모리부(미도시), 온도센서(130)로부터 전달되는 무용제도료의 온도와 메모리부(미도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가사시간을 산출하고, 무용제도료의 온도 및 가사시간을 표시부(141)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41)에 표시되는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은 시간에 지남에 따라 남은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1)는 터치 동작을 통해 메뉴 선택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형성거나, 또는 표시부(141) 일측에 별도의 입력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부를 통해 사용되는 도료 제품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41)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무용제도료는 제품별로 가사시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부(미도시)에는 제품별로 무용제도료의 온도 및 그에 따른 가사시간이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별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을 예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데이터가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무용제도료를 용기본체(110)에 수용하고, 표시부(141)에서 해당 무용제도료 제품을 선택한 후 시작을 입력하면,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해당 무용제도료의 데이터와 온도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해당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이 산출될 수 있으며, 표시부(141)에 해당 무용제도료의 제품명과 함께 온도와 가사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더불어, 표시부(141)에 표시되는 가사시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은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는 수용공간(111) 내측 벽면에 코드 인식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코드 인식부(170)는 용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1) 내측 벽면에서 무용제도료의 제품용기에 표기된 제품의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의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도료 캔 등의 제품용기가 수용되면, 코드 인식부(170)는 제품용기에 표기된 코드를 인식하여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용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일회용 백(160) 대신에 도료 캔 등의 제품용기가 수용되는 경우 자동으로 코드 인식부(170)를 통해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40)의 제어부(미도시)는 코드 인식부(170)에 의해 인식된 제품 정보를 통해 메모리부(미도시)에서 대응하는 제품의 무용제도료 데이터(해당 무용제도료의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를 추출할 수 있고, 이러한 무용제도료의 데이터와 온도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해당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이 산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표시부(141)에 해당 무용제도료의 제품명과 함께 온도와 가사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는 용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일회용 백(160)을 설치하고 무용제도료를 주입하여 사용하거나, 용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무용제도료의 제품용기를 통째로 넣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10)의 냉매부재(120)와 용기본체(110)를 감싸는 단열부재(150)를 통해 내측에 수용된 무용제도료를 보냉하여,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더불어 용기본체(110) 외측의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해당 무용제도료의 온도, 제품명 및 가사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어, 사용자는 가사시간을 확인하며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는 용기본체(110) 상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에 개폐부재(180)가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개폐부재(180)는 뚜껑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10)의 상부 일측 또는 단열부재(150)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힌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용기본체(110)의 개구부를 덮어 폐쇄하거나 또는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용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일회용 팩을 설치하고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무용제도료를 일회용 팩에 주입함으로써, 용기본체(110)에 무용제도료를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용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무용제도료의 제품용기를 통째로 넣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무용제도료의 제품용기를 통째로 넣어 사용하는 경우, 사전에 제품용기의 뚜껑을 개방하고 무용제도료에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110) 내측에 무용제도료가 수용되면, 용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1)을 감싸는 냉매부재(120)와 단열부재(150)를 통해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무용제도료를 보냉하여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써, 용기본체(110) 외측의 디스플레이 모듈(140)에서 해당 무용제도료 제품을 선택한 후 시작을 입력하면,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해당 무용제도료의 데이터와 온도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해당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이 산출될 수 있으며, 표시부(141)에 해당 무용제도료의 제품명과 함께 온도와 가사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용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도료 캔 등의 제품용기를 통째로 수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본체(110) 내측에 구비된 코드 인식부(170)가 제품용기에 표기된 코드를 인식하여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40)에서 시작을 입력하면, 코드 인식부(170)에 의해 인식된 제품 정보를 통해 메모리부(미도시)에서 대응하는 제품의 무용제도료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무용제도료의 데이터와 온도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해당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이 산출될 수 있으며, 표시부(141)에 해당 무용제도료의 제품명, 온도 및 가사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용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모듈(140)에서 남아 있는 가사시간을 확인하며 터치업 등의 도장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용 보냉용기(100)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무용제도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10) 내 수용공간(111)을 냉매부재(120) 및 단열부재(150)를 통해 보냉하여,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10) 외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무용제도료의 온도, 제품명 및 가사시간 등을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무용제도료의 가사시간을 확인하며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터치업(touch up) 등의 도장 작업 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도료용 보냉용기 110 : 용기본체
120 : 냉매부재 130 : 온도센서
140 : 디스플레이 모듈 150 : 단열부재
160 : 일회용 백 170 : 코드 인식부
180 : 개폐부재

Claims (5)

  1. 도료 또는 상기 도료가 포함된 제품용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중공된 벽체 내부에 냉매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냉매공간에 채워지는 냉매부재;
    상기 용기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도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료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용기본체의 수용공간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제품용기 외면에 표기된 제품의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도료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품별 도료의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제품용기가 수용되어, 상기 코드 인식부에 의해 상기 제품용기 내 도료의 제품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획득된 제품 정보와 대응되는 도료의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도료의 온도에 따른 가사시간 데이터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도료의 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도료의 가사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도료용 보냉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제외한 외측면을 감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료용 보냉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상기 도료가 채워지는 일회용 백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료용 보냉용기.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8047A 2019-09-25 2019-09-25 도료용 보냉용기 KR102640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047A KR102640265B1 (ko) 2019-09-25 2019-09-25 도료용 보냉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047A KR102640265B1 (ko) 2019-09-25 2019-09-25 도료용 보냉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73A KR20210036073A (ko) 2021-04-02
KR102640265B1 true KR102640265B1 (ko) 2024-02-22

Family

ID=7546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047A KR102640265B1 (ko) 2019-09-25 2019-09-25 도료용 보냉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602B1 (ko) * 2022-02-15 2023-10-23 주식회사 두원이엔씨 보냉 기능을 갖는 휴대용 페인트 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373A (ja) * 1999-04-27 2000-11-07 Nippon Paint Co Ltd 塗料用ドラム缶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料の供給方法
KR100753163B1 (ko) * 2006-04-10 2007-08-30 와이앤케이텍 주식회사 온도센서를 이용한 약액 제조방법 및 교반 시스템
JP2013103747A (ja) * 2011-11-15 2013-05-30 Nippon Ekitan Corp 保冷容器
KR101776664B1 (ko) * 2015-12-18 2017-09-08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류관리용 보관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373A (ja) * 1999-04-27 2000-11-07 Nippon Paint Co Ltd 塗料用ドラム缶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料の供給方法
KR100753163B1 (ko) * 2006-04-10 2007-08-30 와이앤케이텍 주식회사 온도센서를 이용한 약액 제조방법 및 교반 시스템
JP2013103747A (ja) * 2011-11-15 2013-05-30 Nippon Ekitan Corp 保冷容器
KR101776664B1 (ko) * 2015-12-18 2017-09-08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류관리용 보관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73A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265B1 (ko) 도료용 보냉용기
DK1216389T3 (da) Kölelagerindretning
EP1744970A2 (en) Combined packaging and storage apparatus having added functionality
CN102673894A (zh) 一种可制冷便携式样品箱
US20170050794A1 (en) Storage Case for Electronic Equipment
CN101784459A (zh) 顶盖
CN205150677U (zh) 一种冷藏运输箱
RU201913908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внутреннего контейнера
CN215795792U (zh) 保温容器
KR20060126002A (ko) 실링누름판이 구비된 김치용기
CN206342062U (zh) 一种拉杆箱及移动执法设备
CN209441944U (zh) 一种安全防护箱
KR100769303B1 (ko) 휴대용 곡물 포장 박스
CN209353974U (zh) 一种窗户锁扣装置
CN207772749U (zh) 一种美术工具箱
CN206390599U (zh) 一种电子商务资料归纳装置
KR101062379B1 (ko) 질소 가스가 충전된 상자
CN103148666A (zh) 冰箱
CN109809050A (zh) 一种用于存储古生物化石标本的箱体结构
CN211354768U (zh) 一种艺术品安全保存装置
CN214408326U (zh) 一种全自动细胞标记染色仪样本储存装置
CN203216211U (zh) 冰箱
CN205725966U (zh) 一种手机保护套翻盖连杆支撑结构
CN203616230U (zh) 熔融指数测试装置
CN212023270U (zh) 一种用于高活性聚醚多元醇的存储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