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013B1 -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 - Google Patents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013B1
KR102592013B1 KR1020210001752A KR20210001752A KR102592013B1 KR 102592013 B1 KR102592013 B1 KR 102592013B1 KR 1020210001752 A KR1020210001752 A KR 1020210001752A KR 20210001752 A KR20210001752 A KR 20210001752A KR 102592013 B1 KR102592013 B1 KR 102592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door lock
related information
module
loc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629A (ko
Inventor
유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Priority to KR102021000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0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관제가 가능한 소규모 시설용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도어락 모듈은 외부로부터 택배함의 잠금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 고객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한 택배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되면, 저장된 고객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택배 관련 정보가 변경된 변경시각을 포함하는 시각정보를 택배서버로 전송하며, 택배서버로 전송한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이 택배서버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보다 이전 시각이라면 상기 택배서버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 및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을 포함하는 시각정보를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모듈;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와 택배 관련 정보가 변경된 변경시각을 포함한 시각정보를 상기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한 택배 관련 정보와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을 포함한 시각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 또는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택배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Unmanned transport system and the door lock module that supports it}
본 발명은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관제가 가능한 소규모 시설용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 서비스는 구매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물품을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지정된 장소까지 배송해 주는 운송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가족 규모가 소형화되고 1인 가구도 증가함에 따라 노약자, 여성 또는 아이와 같은 사회적인 약자가 혼자 택배를 수령하는 경우가 있고 택배를 가장한 범죄로 인하여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택배 서비스는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배달하는 것이 주목적이지만, 배달장소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택배물품의 배달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일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택배물품을 현관 앞에 두거나 경비실, 또는 관리실 등에 대리 보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택배물품을 옆집, 경비실 또는 관리실 등에 대리 보관할 경우 차후에 해당 장소를 방문하여 찾아와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구매 물품의 내용 공개 및 신상 기록이 노출되는 문제점 및 타인이 구매자임을 사칭하여 택배물품을 편취하여 도난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집합건물이나 일부 가정에 무인 택배함을 두고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무인 택배함은 배달된 택배물품을 보관하는 용도 이외에 발송하고자 하는 택배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로도 활용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55903호(발명의 명칭: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배송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1-0074259호(발명의 명칭: 온라인 배송 주문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택배서버에서 택배함을 제어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도어락 모듈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최소한 정보만을 저장하는 도어락 모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도어락 모듈의 비밀번호를 간편하게 변경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도어락 모듈은 외부로부터 택배함의 잠금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 고객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한 택배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되면, 저장된 고객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택배 관련 정보가 변경된 변경시각을 포함하는 시각정보를 택배서버로 전송하며, 택배서버로 전송한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이 택배서버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보다 이전 시각이라면 상기 택배서버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 및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을 포함하는 시각정보를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모듈;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와 택배 관련 정보가 변경된 변경시각을 포함한 시각정보를 상기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한 택배 관련 정보와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을 포함한 시각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 또는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택배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함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은 도어락 모듈이 항상 웨이크업 모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평상시에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도어락 모듈은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택배서버에 저장된 정보가 상대적으로 최신 정보인 경우에만 해당 정보를 수신 후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에 소요되는 시간 및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도어락 모듈은 택배서버와의 통신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는 도어락 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락 모듈의 잠금상태를 제어함으로써, 통신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도어락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인택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모듈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모듈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수령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모듈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택배서버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인택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인택배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무인택배 시스템은 택배서버, 게이트웨이, 도어락 모듈 및 고객 단말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인택배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도어락 모듈(120)은 택배함 등에 설치되며, 택배함의 잠금 여부를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공간에는 복수의 택배함이 설치되며, 각 택배함마다 도어락 모듈(120)이 설치된다. 도어락 모듈은 배터리로 구동되거나 상시전원으로 구동된다. 이를 위해 도어락 모듈은 스위치를 이용하여 배터리 구동방식과 상시전원 구동방식으로 서로 전환될 수 있다.
도어락 모듈이 배터리로 구동되는 경우,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어락 모듈은 평상시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도어락 모듈(120)은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30)와 통신을 수행한다. 도어락 모듈(120)은 게이트웨이(130)를 이용하여 택배서버(140)로부터 택배함 관련 이용정보를 수신한다. 택배함 관련 이용정보는 비밀번호, 카드정보, 고객 단말 정보, 사용기간 정보 등이 포함한다. 비밀번호, 카드정보, 고객 단말 정보는 도어락의 잠금 여부와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고객이 직접 도어락 모듈(120)에서 직접 비밀번호, 카드번호, 고객 단말 정보를 추가(변경)하는 것 이외에 택배서버(14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카드번호, 고객 단말 정보 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어락 모듈(120)은 택배서버(140)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외에도 관리자가 도어락 모듈에서 비밀번호, 카드번호 고객 단말 정보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락 모듈(120)은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택배서버(140)와 통신을 수행하며, 택배서버(140)에 저장된 최신정보의 변경시각과 이전에 정보를 제공받은 시각을 비교하여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한다. 즉, 마지막 다운로드 시각이 최신정보의 변경시각 이전이면, 도어락 모듈(120)은 택배서버(140)로부터 최신정보를 다운로드한다. 반면 마지막 다운로드 시각이 최신정보의 변경시각 이후이면, 도어락 모듈(120)은 택배서버(140)로부터 최신정보를 다운로드하지 않는다. 또한, 도어락 모듈(120)은 택배서버(140)와 특정 시간동안 통신이 되지 않으면,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도어락 모듈(120)은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슬립모드(sleep mode)를 유지하며, 필요한 경우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진입한다. 일 예로 카드가 도어락에 태그되거나, 도어락의 터치 등이 있는 경우에는 도어락 모듈(120)는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한다. 물론 고객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도어락 모듈의 잠금해제가 요청되면 도어락 모듈(120)는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또한, 택배서버(140)에서 도어락 모듈(120)의 잠금해제를 요청하면 슬립모드의 도어락 모듈(120)은 슬립모드를 유지한다. 즉, 고객이 도어락 모듈의 인근에 위치한 경우에 도어락 모듈은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한다. 고객이 도어락 모듈의 인근에 위치하는 경우는, 고객이 도어락 모듈을 터치하거나, 고객 단말이 도어락 모듈과 통신을 시도하는 경우 등이 해당하며, 택배서버가 도어락 모듈과 통신을 시도하는 경우는 고객이 도어락 모듈 인근에 위치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다.
게이트웨이(130)는 택배함(도어락 모듈) 인근에 설치되며, 도어락 모듈(120)과 택배서버(140)의 통신을 중계한다. 게이트웨이(130)는 택배함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게이트웨이는 256개의 도어락 모듈과 통신을 수행한다.
도어락 모듈은 지정된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며, 지정되지 않은 게이트웨이와는 통신을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 물론 도어락이 슬립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도 지정된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어락 모듈의 NFC값(도어락의 주소)을 읽고, 택배함 번호를 지정한다. 작업자 단말에서 지정한 택배함 번호 및 도어락 모듈의 NFC값은 택배서버로 송신된다.
소규모 주택단지의 각 거주자별로 택배함을 배정받거나, 하나의 택배함을 거주자가 서로 공유하며 사용할 수 있다.
택배서버(140)는 복수 개의 도어락 모듈(120)을 관리한다. 택배서버(140)는 도어락 모듈(120)이 설치된 택배함을 관리한다. 도어락 서버(140)는 각 도어락 모듈의 비밀번호, 카드번호 또는 고객 단말정보를 저장하며, 이외에도 과금정보 등을 저장한다. 택배서버(140)는 도어락 모듈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필요한 정보를 도어락 모듈(120)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택배서버(140)를 이용하여 도어락 모듈 관련 정보를 변경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고객 단말(110)은 도어락 모듈(12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락 모듈(120)의 비밀번호 등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고객은 도어락 모듈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도어락 모듈(120)은 별도의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단순히 입력모듈 및 잠금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어락 모듈(120)은 입력받은 비밀번호 등을 택배서버(140)로 전송하며, 택배서버(140)는 수신한 비밀번호와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도어락 모듈의 잠금해제 여부를 결정하며, 잠금해제를 결정한 경우에는 도어락 모듈(120)로 잠금해제를 요청한다. 물론 도어락 모듈이 저장된 비밀번호 또는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한 비밀번호와 도어락 모듈로 입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도어락 모듈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어락 모듈(120)과 택배서버(140)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어락 모듈(120)의 잠금/잠금해제 여부 판단은 택배서버(140)에서 진행하는 반면, 도어락 모듈과 도어락 서버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어락 모듈의 잠금/잠금해제 여부 판단은 도어락 모듈에서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락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최신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한다. 물론 도어락 모듈은 택배서버와 통신이 원활한 경우에도 저장된 정보 또는 택배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락 모듈의 잠금/잠금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락 모듈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어락 모듈은 복수의 숫자 및 기호가 표시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는 이전 입력기록을 삭제를 지시하는 버튼이며, ‘#’는 기능확인 버튼이다. 도어락 모듈은 고객을 위한 1개의 카드, 1개의 비밀번호 등록이 가능하다. 비밀번호 또는 카드는 택배서버 또는 도어락 모듈에서 등록 및 삭제가 가능하다.
1. 카드 등록: *1# 카드 #
2. 비밀번호 등록: *2# 카드 # 비밀번호 #
3. 카드 수정: *3# 비밀번호 # 변경카드 #
4. 비밀번호 수정: *4# 비밀번호 # 변경 비밀번호 #
5. 택배 배송: *5# 배달기사 단말번호 # 수령인 단말번호#
6. 카드 삭제: *0# 카드 #(도어락 모듈이 잠금해제 후 카드 정보 삭제)
7. 비밀번호 삭제: *0# 비밀번호 #(도어락 모듈이 잠금해제 후 비밀번호 삭제)
도어락 모듈은 카드 또는 비밀번호의 등록/수정된 경우 택배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최초 비밀번호 등록은 카드 등록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카드 등록이 선행된 이후 등록된 카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관리자에 의한 관리자 카드 또는 관리자 비밀번호의 등록/수정은 택배서버에서만 진행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락 모듈에 저장된 카드, 비밀번호 등의 정보는 택배서버에 저장된 카드, 비밀번호 등의 정보와 동기화한다. 이를 위해 도어락 모듈은 저장된 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를 택배서버로 전송하며,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하면 택배서버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도어락 모듈을 이용하여 택배 배송 및 택배 수령 절차를 진행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택배함은 필요한 경우 사물함으로 사용 가능하며, 택배함이 사물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택배함을 활용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택배함이 사물함으로 활용되는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모듈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모듈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절차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200단계에서 택배기사는 도어락 모듈을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되도록 요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이크업 모드는 도어락 모듈을 터치하는 동작에 의해 진입되며, 도어락 모듈은 배터리 절감을 위해 평상시에는 슬립 모드로 유지한다.
S202단계에서 택배기사는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하면, 표시수단에서 ‘배달하기’ 항목을 선택한다.
S204단계에서 택배기사는 택배기사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이후 고객단말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S206단계에서 택배기사는 ‘택배함 열기’ 항목을 선택한다. 물론 입력된 택배기사 단말의 전화번호가 기존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택배기사 단말에 대한 인증절차를 진행한다. 택배기사가 ‘택배함 열기’ 항목을 선택하면, 택배기사 단말에 인증번호가 발송되며, 수신된 인증번호를 도어락 모듈에 입력하면 인증 절차는 완료된다. 인증 절차는 특정 구역 단위로 진행하며, 기존 인증자는 서버에서 확인하여 추가 인증절차 없이 배달 과정을 진행한다.
S208단계에서 개방된 택배함 내부로 택배물품을 투입하고, 택배함을 닫는다.
S210단계에서 택배물품에 대한 투입절차가 완료되면, 도어락 모듈은 이에 대한 정보를 택배서버로 제공한다. 택배서버는 택배물품에 대한 투입절차가 완료되면 택배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택배서버로부터 정보가 입력되는 시점마다 택배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택배기사 단말의 전화번호 등록 여부, 인증번호 입력 종료 시점, 열린 택배함이 닫힌 시점 등 이벤트가 입력되는 시점마다 택배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필요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S212단계에서 택배서버는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비밀번호를 고객 단말로 전송한다. 물론 택배서버는 비밀번호 전송과 함께 택배함 번호도 함께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객이 택배물품을 수령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객이 택배물품을 수령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300단계에서 고객은 택배함 번호를 확인하며, 해당 택배함 번호를 갖는 도어락 모듈을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하도록 요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이크업 모드로의 진입은 고객이 도어락 모듈을 터치하는 절차를 통해 진행된다.
S302단계에서 도어락 모듈은 택배서버와 통신을 시도한다. 도어락 모듈은 저장모듈에 저장된 정보가 업데이트된 시각정보를 택배서버로 전송한다.
S304단계에서 택배서버는 도어락 모듈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에 포함된 시각과 해당 도어락 모듈과 관련된 택배함 정보가 변경된 시각을 비교한다.
S306단계에서 택배서버는 시각 비교를 통해 수신된 시각정보에 포함된 시각이 상대적으로 최근 시각이라면 도어락 모듈로 최근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통보한다. 이에 비해 택배서버는 저장된 정보에 포함된 시각이 상대적으로 최근 시각이라면, 도어락 모듈로 저장된 배송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배송 관련 정보는 비밀번호, 고객단말 전화번호, 택배기사 단말 전화번호, 택배함 번호 등이 포함된다.
S308단계에서 도어락 모듈은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한 배송 관련 정보를 저장하며, 고객이 ‘택배물품 찾기’를 선택하면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한다.
S310단계에서 도어락 모듈은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저장된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택배함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도어락 모듈은 필요한 경우에는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하여 도어락 모듈에 저장된 정보와 택배서버에 저장된 배송 관련 정보의 변경 시점을 비교하며, 택배서버에 저장된 배송 관련 정보가 상대적으로 최신 정보이면 택배서버로부터 배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도어락 모듈은 필요한 경우에만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시각을 비교하여 배송 관련 정보의 수신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즉, 도어락 모듈은 택배서버로 최소한의 정보인 시각정보만을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모듈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모듈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절차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특히, 도 4는 택배기사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S400단계에서 택배기사는 택배함으로 접근하며, 택배기사 단말은 게이트웨이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S402단계에서 비콘 신호를 수신한 택배기사 단말은 설치된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구동된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은 택배함의 사용 현황을 표시한다. 택배함의 사용 현황은 택배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택배기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택배기사 단말에 표시한다.
S404단계에서 택배기사 단말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택배물품을 배송할 빈 택배함을 택배기사로부터 선택받는다.
S406단계에서 택배기사 단말은 고객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택배기사 단말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송장을 촬영하며, 촬영된 송장으로부터 고객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S408단계에서 택배기사 단말은 ‘택배함 열기’ 및 ‘도어락 모듈 활성화’를 선택한다. ‘택배함 열기’ 또는 ‘도어락 모듈 활성화’는 순서에 상관없이 설정된 시간 내에 선택한다. 택배기사 단말에서 ‘택배함 열기’ 및 ‘도어락 모듈 활성화’를 선택하면, 택배기사 단말은 이를 택배서버로 제공한다. 택배서버는 택배기사 단말이 요청한 ‘택배함 열기’ 및 ‘도어락 모듈 활성화’를 실행하기 위해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도어락 모듈로 요청한다. 도어락 모듈은 택배서버가 요청한 ‘택배함 열기’ 및 ‘도어락 모듈 활성화’를 실행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도어락 모듈 활성화’는 택배기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택배기사가 해당 도어락 모듈을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도어락 모듈은 택배서버로부터 ‘택배함 열기’를 요청받을 수 있으며, 슬립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는 택배서버로부터 ‘택배함 열기’를 요청받을 수 없다. 따라서, 택배기사는 ‘택배함 열기’를 선택하며, 도어락 모듈을 터치하여 도어락 모듈의 모드를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시키는 동작도 병행하여 수행한다.
S410단계에서 택배함이 열리면 택배물품을 택배함에 투입하고, 택배함을 닫는다.
S412단계에서 택배함이 닫히면, 도어락 서버는 택배 서버로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도어락 모듈로부터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통보받은 택배서버는 택배기사 단말로 배송완료를 통보하며, 동시에 고객단말로 비밀번호 또는 인증용 QR코드를 전송한다. 즉, 택배서버는 고객단말로 비밀번호를 송신하거나, 고객단말에 설치된 고객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 푸쉬 알림한다.
고객단말은 설치된 고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수령한다. 고객단말은 전송받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택배물품을 수령한다. 고객단말은 게이트웨이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설치된 고객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서 ‘택배함 열기’를 선택하면, 고객 단말은 택배 서버로 ‘택배함 열기’를 요청한다. 택배 서버는 고객 단말이 요청한 택배함을 열기 위해 ‘택배함 열기’를 도어락 모듈로 요청한다. 물론 도어락 모듈은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택배 서버로부터 ‘택배함 열기’를 요청받을 수 있다. 따라서, 고객 단말은 해당 택배함의 번호를 표시하며, 고객이 해당 택배함의 도어락 모듈을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시키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도어락 모듈이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고객에게 택배함 번호를 고객 단말로 표시하며, 고객은 표시된 택배함의 도어락 모듈을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되도록 한다. 이후 도어락 모듈은 택배서버로부터 요청받은 ‘택배함 열기’를 수행한다.
택배함이 열리면 도어락 모듈은 이를 택배 서버로 제공하며, 택배서버는 택배 수령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배송 완료 처리하며, 고객 단말로도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이외에도 고객단말에 고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고객단말은 택배함에 부착된 QR코드를 읽고, URL에 접속하여 고객단말의 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택배물품을 수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모듈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도어락 모듈은 입력/표시모듈, 잠금모듈, 통신모듈, 저장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도어락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입력/표시모듈(120a)은 버튼,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되며, 도어락 모듈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버튼, 터치패널 등의 입력모듈 이외에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도어락 모듈은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고객 단말, 카드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표시모듈(120a)의 도어락 모듈의 현재 상태 또는 필요한 정보의 입력 요청을 표시한다.
잠금모듈(120b)은 도어락 모듈의 잠금/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잠금모듈(120b)은 제어모듈(120e)의 제어하에 잠금/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모듈(120c)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신모듈(120c)은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고객 단말, 택배기사 단말, 카드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모듈(120c)은 통신을 수행한 외부 장치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외에도 통신모듈은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며, 게이트웨이를 통해 택배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모듈(120d)은 도어락 모듈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모듈(120d)은 택배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최신정보를 저장한다. 이외에도 저장모듈(120d)은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를 위해 도어락 모듈은 웨이크업 모드에서 택배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정보 변경시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락 모듈에 저장된 정보가 최신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모듈(120e)은 도어락 모듈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모듈(120e)은 도어락 모듈이 평상시에는 슬립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도어락 터치 등이 요청되는 경우에는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한 도어락 모듈은 제어모듈의 제어하에 택배서버로부터 최신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한다. 제어모듈은 택배서버와 통신이 원활한 경우(설정된 시간 이내에 통신 가능한 경우)에는 택배서버에 저장된 배송정보가 상대적으로 최신 정보인 경우 택배서버로부터 배송정보를 수신하며, 택배서버와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저장된 최신정보를 이용하여 잠금/잠금해제 여부 등을 결정한다.
제어모듈(120e)은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택배서버로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모듈은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택배 관련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택배서버로 송신할 경우, 정보를 입력받은 시각을 함께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의 입력 시각, 정보의 저장 시각은 추후 최신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택배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택배서버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택배서버는 통신모듈, 저장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택배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모듈(140a)은 고객단말, 택배기사 단말 및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모듈(140a)은 고객 단말, 게이트웨이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며, 고객 단말 또는 게이트웨이로 필요한 정보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 단말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택배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모듈(140b)은 택배서버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며, 이외에도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모듈(140b)은 도어락 모듈을 포함하는 택배함 관련 다양한 배송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모듈(140b)은 택배기사 단말의 전화번호, 고객단말의 전화번호, 인증번호, 택배함 번호, 과금정보, 택배물품 배송일자, 송장 등을 저장한다. 저장모듈(140b)은 도어락 모듈과 관련하여 카드정보, 비밀번호, 고객 단말정보 등을 저장하며, 특히 해당 정보의 변경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 이력정보를 저장한다. 변경 이력정보는 변경 시각을 포함하며, 변경 시각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의 최종 변경시각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140b)은 택배함과 관련하여 배송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모듈(140b)은 택배기사 단말의 전화번호, 고객단말의 전화번호, 비밀번호, 택배함 번호, 과금정보, 택배물품 배송일자, 송장 등을 저장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변경시각을 저장한다.
제어모듈(140c)은 택배서버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모듈(140c)은 도어락 모듈이 요청한 최신정보를 정보의 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어모듈(140c)은 최신정보 변경시각과 도어락 모듈이 마지막으로 수신한 시각을 비교하여 최신정보의 송신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정보 변경시각을 비교하는 이유는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통신으로 인해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무인택배 시스템 110: 고객 단말
120: 도어락 모듈 130: 게이트웨이
140: 택배 서버 120a; 입력/표시모듈
120b: 잠금모듈 120c: 통신모듈
120d: 저장모듈 120e: 제어모듈
140a: 통신모듈 140b: 저장모듈
140c: 제어모듈

Claims (8)

  1. 삭제
  2. 외부로부터 택배함의 잠금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 고객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한 택배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모듈;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되면, 저장된 고객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택배 관련 정보가 변경된 변경시각을 포함하는 시각정보를 택배서버로 전송하며, 택배서버로 전송한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이 택배서버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보다 이전 시각이라면 상기 택배서버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 및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을 포함하는 시각정보를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모듈;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와 택배 관련 정보가 변경된 변경시각을 포함한 시각정보를 상기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한 택배 관련 정보와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을 포함한 시각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 또는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택배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지정된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택배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태그에 의해 도어락 모듈이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카드 등록이 선행된 이후 등록된 카드를 이용하여 최초 택배함의 비밀번호를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평상시에는 슬립모드를 유지하며,
    정보 입력을 위해 입력모듈을 터치하거나 카드에 의한 도어락 모듈 태그시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에 포함된 변경시각이 저장모듈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에 포함된 변경시각보다 상대적으로 최근 시각이면 택배 관련 정보를 전송하지 않으며,
    저장모듈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에 포함된 변경시각이 상기 택배서버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에 포함된 변경시각보다 상대적으로 최근 시각이면 저장된 상기 택배 관련 정보 및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을 포함하는 시각정보를 상기 택배 서버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듈.
  5. 태그에 의해 도어락 모듈이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카드 등록이 선행된 이후 등록된 카드를 이용하여 최초 택배함의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도어락 모듈이 포함된 택배함의 비밀번호, 고객단말 전화번호, 택배기사 단말 전화번호, 택배함 번호를 포함하는 택배 관련 정보 및 택배 관련 정보가 변경된 변경시각을 포함하는 시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도어락 모듈로부터 도어락 모듈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을 포함하는 시각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도어락 모듈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보다 상대적으로 최근 시각이면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 및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을 포함한 시각정보를 상기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지정된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락 모듈과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서버.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택배함으로 택배물품의 배송이 완료되었다고 택배기사 단말로부터 통보받으면, 택배함의 비밀번호를 생성한 후 택배기사 단말로부터 수신한 고객단말 전화번호, 택배기사 단말 전화번호, 택배함 번호와 함께 저장모듈에 저장하며,
    생성한 비밀번호를 고객단말로 송신하도록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서버.
  8.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어락 모듈;
    택배서버의 저장모듈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이 택배서버의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도어락 모듈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보다 상대적으로 최근 시각이면 상기 택배서버의 저장모듈에 저장된 택배 관련 정보 및 택배 관련 정보의 변경시각을 포함한 시각정보를 상기 도어락 모듈로 전송하는 택배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KR1020210001752A 2021-01-07 2021-01-07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 KR10259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752A KR102592013B1 (ko) 2021-01-07 2021-01-07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752A KR102592013B1 (ko) 2021-01-07 2021-01-07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629A KR20220099629A (ko) 2022-07-14
KR102592013B1 true KR102592013B1 (ko) 2023-10-20

Family

ID=8240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752A KR102592013B1 (ko) 2021-01-07 2021-01-07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0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197B1 (ko) * 2015-04-28 2016-02-12 (주)가드텍 자동 개폐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의 자동 개폐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679B1 (ko) 2001-05-03 2004-05-10 코리아 컨텐츠 뱅크(주) 온라인 배송 주문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 소스를기록한 기록매체
KR101549451B1 (ko) 2013-11-14 2015-09-03 주식회사 파슬미디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배송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KR101963437B1 (ko) * 2016-02-26 2019-03-28 블루테일 주식회사 도어락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197B1 (ko) * 2015-04-28 2016-02-12 (주)가드텍 자동 개폐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의 자동 개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629A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4350B2 (ja) セキュリティ保護された電子ロッカーシステム
US10643415B2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with accelerated delivery
US20190114585A1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with Accelerated Delivery
KR101710065B1 (ko)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0926A (ko)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6172622A (ja) 収納装置及び宅配システム
KR101496296B1 (ko) 무인 택배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배송 방법
KR20120039150A (ko) 무인택배 시스템
JP7194463B2 (ja) 収納装置
JP2003016519A (ja) 保管庫管理サーバー及び保管庫
JP4556545B2 (ja) 物流認証システム
KR20150123616A (ko)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102592013B1 (ko) 무인택배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
JP7434074B2 (ja) サーバ、システム、サーバ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66425A1 (ja) 宅配ボックス、宅配システム、携帯端末、通信方法、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076207B1 (ko) 무인차량키출납기를 포함한 차량관리시스템
CN113226960B (zh) 快递柜和信息处理方法
WO2001098989A1 (en) A method of securely delivering a package
JP2010168785A (ja) ロッカーの開錠・施錠制御方法
KR20190074520A (ko) 무인 택배보관함을 갖는 통합 택배정보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와 무인 택배보관함의 연계 등록 방법
JP2020189028A (ja) 物品収受システム
US20210312384A1 (en) Condition-Precedent Temporal-Based Actuator For Package Delivery System
KR100580569B1 (ko) 택배화물 중계 라커 및 택배화물 중계 시스템의 운영 방법
JP2018033851A (ja) ロッカー装置、ロッカー管理システム及びロッカー管理方法
JP7220543B2 (ja) 情報処理装置、ストッカ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