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616A -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616A
KR20150123616A KR1020140050217A KR20140050217A KR20150123616A KR 20150123616 A KR20150123616 A KR 20150123616A KR 1020140050217 A KR1020140050217 A KR 1020140050217A KR 20140050217 A KR20140050217 A KR 20140050217A KR 20150123616 A KR20150123616 A KR 20150123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storage box
control message
article storage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891B1 (ko
Inventor
황선오
김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누
Priority to KR102014005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89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근거리 통신 모듈과, 잠금 동작 또는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잠금 모듈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잠금 모듈의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비밀번호를 통해 상기 잠금 모듈이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인 물품 보관함;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을 동작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배포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에 대한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상기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하는 원격지의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부터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부터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열림 제어 메시지를 해당 무인 물품 보관함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 송신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스마트 폰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UNMANNED SYSTEM OF STORING OBJECT USING USER INTERFACE AND COMMUNICATION MEANS OF SMART PHONE}
본 발명은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지하철 역사와 같은 공공 장소에 무인 물품 보관함을 구비하고 있다.
누구든지 여러 대의 무인 물품 보관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의 메뉴에 따라 원하는 무인 물품 보관함을 선택하여 결제하고 추후에 보관함 물품을 찾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동전 등을 넣고 열쇠를 이용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있고,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이를 입력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여러 대의 물품 보관함이 하나의 제어기와 터치스크린에 연동되어 자동으로 개폐가 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이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경우, 그 터치스크린 패널 1대에 수십대의 보관함들이 연동되어 동작하므로, 1 대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순서대로 이용해야 해서 병목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그 터치스크린 패널이나 그 결제 모듈 등의 설치로 인해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유지/보수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예를 들어 화폐 수거라든가 거스름돈 리필(refill) 등에도 상당한 노력과 비용을 요하게 된다.
한편, 좀 더 발전된 형태로서 등록특허공보 10-1317775와 등록특허공보 10-1083784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연동되어 동작 가능한 무인 물품 보관함을 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083784의 전자 사물함 시스템은 전자 사물함과 전자 사물함 서버가 구비되며, 이동 단말기는 전자사물함 무선식별코드와 이동단말기의 번호를 전자사물함 서버로 송신하여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전자사물함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사물함 시스템은 미리 등록된 회원들의 정보를 보유하는 전자 사물함 서버가 미리 할당된 회원들의 전자 사물함의 개폐를 원격 제어한다.
등록특허공보 10-1317775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물품 보관 시스템으로서, 이동단말기 상에서 물품 보관함의 개폐를 제어하는 특징이 있다. 위 물품 보관 시스템은 LBS 위치서버가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이동단말기가 물품 보관함의 주변에 있을 때 이동단말기가 3G/4G 이동통신망을 통해 물품 보관함의 개폐를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등록특허공보 10-1083784나 10-1317775는 전자 사물함이나 물품 보관함이 원격지의 서버와 직접 통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 수단이나 또는 3G/4G 이동 통신 수단과 같은 인터넷 통신 수단이 요구된다. 즉, 여러 곳곳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함마다 인터넷 통신 수단이 요구되기 때문에 설치/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등록특허공보 10-1317775는 LBS 서버까지 구비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므로 그 시스템 구축 비용이 매우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에, 보안성을 해하지 않고 물품 보관함의 설치 구축 비용은 물론 그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이고 간편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10-1317775 10-1083784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의 제1 실시예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잠금 동작 또는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잠금 모듈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잠금 모듈의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비밀번호를 통해 상기 잠금 모듈이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인 물품 보관함;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을 동작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배포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에 대한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상기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하는 원격지의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부터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부터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열림 제어 메시지를 해당 무인 물품 보관함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 송신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스마트 폰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은, 상기 복수의 무인 물품 보관함 중에서 소정의 무인 물품 보관함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에 등록하고, 상기 선택받은 무인 물품 보관함 및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는, 상기 등록된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로 구성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을 경유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parsing)하고, 파싱된 열림 제어 메시지의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에 의해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하고, 대비 결과 일치하면 상기 잠금 모듈을 제어하여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부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turn on)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은,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에 수신자 스마트 폰을 미리 등록하고, 등록된 수신자 스마트 폰의 폰 넘버를 포함하는 열림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는, 상기 열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파싱된 열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스마트 폰의 폰 넘버를 상기 미리 등록된 수신자 스마트 폰과 대비하고, 대비 결과 일치하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상기 등록된 수신자 스마트 폰을 경유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으로 송신하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은,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하여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은,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자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은,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으로부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turn on)시키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으로 송신하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은,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parsing)하고, 파싱된 열림 제어 메시지의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에 의해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하고, 대비 결과 일치하면 상기 잠금 모듈을 제어하여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방법의 제1 실시예는, 사용자 스마트 폰이 기 설치된 무인 물품 보관함을 동작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소정의 무인 물품 보관함을 선택받고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상기 선택된 무인 물품 보관함 및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상기 등록된 무인 물품 보관함에 대한 열림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가 상기 열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하는 단계; 상호 대비 결과 일치하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이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상기 선택된 무인 물품 보관함 및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에 등록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수신자 스마트 폰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에 추가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가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으로부터 열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시키는 단계;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하는 단계; 상호 대비 결과 일치하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이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무인 물품 보관함에 와이파이 다이렉트나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만을 구비하고 사용자 스마트 폰을 통해 원격지의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무인 물품 보관함에 별도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 수단을 구축할 필요가 없어 그 설치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무인 물품 보관함을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무인 물품 보관함에 별도의 터치스크린 제어 패널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그 설치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들고 사용자들의 병목 현상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사용자 스마트 폰은 물품 보관함과 물품 보관함 서버의 사이에서 통신 브릿지 역할만 하며 물품 보관함 서버의 제어에 따라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시키도록 구성되므로, 그 통신 브릿지 역할에 장애나 불편함없이 원활하게 통신이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사용자 스마트 폰에서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에 등록한 수신자 스마트 폰으로 열림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물건을 타인에게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이는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없이도 사용자 스마트 폰에서 직접 생성하여 수신자 스마트 폰으로 송신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무인 택배나 전달함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이하,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이라 함)(100)은 무인 물품 보관함(110),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 및 사용자 스마트 폰(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100)은 기존가 달리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 별도의 터치스크린 패널과 화폐 결제 모듈이나 거스름돈 반환 모듈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 스마트 폰(13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선택과 비밀번호 입력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이용하고 인터넷 결제 기능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기존에 터치스크린 패널과 각각 연결된 보관함 간의 병목 현상이 없어지고 터치스크린 패널의 설치 비용와 유지/보수 비용도 없어진다.
한편,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100)은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 별도의 유무선 인터넷 수단을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기존에는 유무선 인터넷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그 구축 비용은 물론 유지/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스마트 폰(130)의 이동통신 수단을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와의 브릿지로 이용하여 시스템을 간편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스마트 폰(130)은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대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무인 물품 보관함(110)으로 전달하여 열림 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사용자 스마트 폰(130)의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을 턴온시켜 그 브릿지 역할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스마트 폰(130)에서는 물건을 타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타인의 수신자 스마트 폰(131)을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에 등록함으로써, 타인의 수신자 스마트 폰(131)으로 직접 열림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여 열림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직접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자 스마트 폰(131)으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인 물품 보관함(110)은 한 장소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각 무인 물품 보관함(110)은 각각 근거리 통신 모듈(111), 잠금 모듈(112), 제어 모듈(1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듈, 지그비 모듈, RF 모듈 등이 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모듈은 유선 인터넷망과의 연결이 요구되므로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하지 않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한 장소에 설치된 각 무인 물품 보관함(110)들이라도 각각 다른 방식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나의 보안 수단으로 작용될 수 있다.
잠금 모듈(112)은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잠금 동작 또는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모듈(112)은 비밀번호 방식으로 잠금 또는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모듈(112)은 비밀번호 입력방식 외에도 사용자 스마트 폰(130)과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 각각 구비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메모리에 저장된 코드를 이용하여 잠금 동작 또는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 모듈(111)을 통하여 잠금 모듈(112)의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비밀번호를 통해 잠금 모듈(112)이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13)에 구비된 메모리에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비밀번호가 저장되고, 이의 일치 여부를 통해 열림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 모듈(113)의 메모리에는 각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고유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의 일치 여부를 통해서도 열림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는 무인 물품 보관함(110)을 동작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사용자 스마트 폰(130)으로 배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는 무인 물품 보관함(110)으로부터 원격지에 설치되어 여러 곳곳에 설치된 무인 물품 보관함(110)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 대한 열림 제어 메시지를 앞서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스마트 폰(13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림 제어 메시지는 무인 물품 보관함(110) 각각에 미리 지정된 고유번호와 사용자가 사용자 스마트 폰(130)상에서 기 입력하여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에 등록한 비밀번호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스마트 폰(130)은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로부터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상에서 복수의 무인 물품 보관함(110) 중에서 소정의 무인 물품 보관함(110)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고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스마트 폰(130)은 앞서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 등록하고, 앞서 선택받은 무인 물품 보관함(110) 및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에는 각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모듈(111)의 통신 방식이 등록되어 있으며, 사용자 스마트 폰(130)은 선택한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 비밀번호를 등록하기 위해 사용자 스마트 폰(130)의 해당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을 자동 선택하여 턴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는 앞서 등록된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로 구성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스마트 폰을 경유하여 무인 물품 보관함(11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스마트 폰(130)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여 열림 요청 메시지를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로 송신하면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가 비밀번호를 대비하여 확인 후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스마트 폰(130)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로부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스마트 폰(130)의 어플리케이션은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로부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을 자동으로 턴온(turn on)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는 해당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모듈(111)과 동일한 통신 방식의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이어야 한다. 해당 무인 물품 보관함(111)의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에 미리 등록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스마트 폰(130)이 어느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을 턴온시켜야 하는지는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로부터 통지받을 수 있다.
사용자 스마트 폰(130)은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1)로 송신하여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스마트 폰(130)의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1)과 동일한 통신 방식의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을 자동으로 턴온시켜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인 물품 보관함(110)은 사용자 스마트 폰(130)으로부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parsing)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인 물품 보관함(110)은 파싱된 열림 제어 메시지의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고유번호 및 사용자 스마트 폰(130)에 의해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하고, 대비 결과 일치하면 잠금 모듈(112)을 제어하여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30)의 비밀번호 대비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서도 비밀번호를 대비하므로 이중의 보안 프로세스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물품 보관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물품을 전달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그 첫번째 방식으로는 사용자 스마트 폰(130)이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에 수신자 스마트 폰(131)을 먼저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스마트 폰(130)은 등록된 수신자 스마트 폰(131)의 폰 넘버를 포함하는 열림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는 열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파싱된 열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스마트 폰(131)의 폰 넘버를 미리 등록된 수신자 스마트 폰(131)과 대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대비 결과 일치하는 경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앞서 등록된 수신자 스마트 폰(131)을 경유하여 무인 물품 보관함(11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신자 스마트 폰(131) 역시 해당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0)과 동일한 방식의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을 자동으로 턴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인 물품 보관함(110)은 수신자 스마트 폰(131)으로부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두번째 방식으로는, 사용자 스마트 폰(130)의 어플리케이션은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고유번호 및 앞서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직접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자 스마트 폰(131)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신자 스마트 폰(131)은 사용자 스마트 폰(130)으로부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을 자동으로 턴온(turn on)시키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열림 제어 메시지를 무인 물품 보관함(11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인 물품 보관함(110)은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parsing)하고, 파싱된 열림 제어 메시지의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고유번호 및 사용자 스마트 폰(131)에 의해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대비 결과 일치하면, 무인 물품 보관함(110)은 잠금 모듈(112)을 제어하여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스마트 폰이 기 설치된 무인 물품 보관함을 동작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소정의 무인 물품 보관함을 선택받고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S101).
다음으로, 사용자 스마트 폰(130)이 앞서 선택된 무인 물품 보관함(110) 및 앞서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에 등록하고, 앞서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 등록한다(S102).
다음으로, 사용자 스마트 폰(130)이 앞서 등록된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 대한 열림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로 송신한다(S103).
다음으로,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30)가 열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고유번호 및 앞서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스마트 폰(130)으로 송신한다(S104).
다음으로, 사용자 스마트 폰(130)이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스마트 폰(130)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을 턴온시킨다(S105).
다음으로, 사용자 스마트 폰(130)이 열림 제어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무인 물품 보관함(110)으로 송신한다(S106).
다음으로, 무인 물품 보관함(110)이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열림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고유번호 및 앞서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한다(S107).
이때, 상호 대비 결과 일치하면(S108), 무인 물품 보관함(110)이 열림 동작을 수행한다(S109).
한편, 사용자 스마트 폰(130)이 앞서 선택된 무인 물품 보관함(110) 및 앞서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에 등록하고, 앞서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무인 물품 보관함(110)에 등록하는 단계(S102)에서, 사용자 스마트 폰(130)이 수신자 스마트 폰(131)을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에 추가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등록된 경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120)가 수신자 스마트 폰(131)으로부터 열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고유번호 및 앞서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자 스마트 폰(131)으로 송신한다(S201).
다음으로, 수신자 스마트 폰(131)이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130)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을 턴온시킨다(S202).
다음으로, 수신자 스마트 폰(131)이 열림 제어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무인 물품 보관함(110)으로 송신한다(S203).
다음으로, 무인 물품 보관함(110)이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열림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무인 물품 보관함(110)의 고유번호 및 앞서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한다(S204).
이때, 상호 대비 결과 일치하면(S205), 무인 물품 보관함(110)이 열림 동작을 수행한다(S206).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무인 물품 보관함
111: 근거리 통신 모듈
120: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
130: 사용자 스마트 폰
131: 수신자 스마트 폰
200: 결제 서버

Claims (5)

  1. 근거리 통신 모듈과, 잠금 동작 또는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잠금 모듈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잠금 모듈의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비밀번호를 통해 상기 잠금 모듈이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인 물품 보관함;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을 동작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배포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에 대한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상기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하는 원격지의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부터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부터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열림 제어 메시지를 해당 무인 물품 보관함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 송신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열림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스마트 폰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은,
    상기 복수의 무인 물품 보관함 중에서 소정의 무인 물품 보관함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에 등록하고, 상기 선택받은 무인 물품 보관함 및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는,
    상기 등록된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로 구성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을 경유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으로 송신하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parsing)하고, 파싱된 열림 제어 메시지의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에 의해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하고, 대비 결과 일치하면 상기 잠금 모듈을 제어하여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부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turn on)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은,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에 수신자 스마트 폰을 미리 등록하고, 등록된 수신자 스마트 폰의 폰 넘버를 포함하는 열림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는,
    상기 열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파싱된 열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스마트 폰의 폰 넘버를 상기 미리 등록된 수신자 스마트 폰과 대비하고, 대비 결과 일치하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상기 등록된 수신자 스마트 폰을 경유하여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으로 송신하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은,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하여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은,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자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은,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으로부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turn on)시키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으로 송신하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은,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parsing)하고, 파싱된 열림 제어 메시지의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에 의해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하고, 대비 결과 일치하면 상기 잠금 모듈을 제어하여 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4. 사용자 스마트 폰이 기 설치된 무인 물품 보관함을 동작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소정의 무인 물품 보관함을 선택받고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상기 선택된 무인 물품 보관함 및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상기 등록된 무인 물품 보관함에 대한 열림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가 상기 열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하는 단계;
    상호 대비 결과 일치하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이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상기 선택된 무인 물품 보관함 및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에 등록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이 수신자 스마트 폰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에 추가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가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으로부터 열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등록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열림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스마트 폰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턴온시키는 단계;
    상기 수신자 스마트 폰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이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상기 열림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고유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고유번호 및 상기 등록된 비밀번호를 상호 대비하는 단계;
    상호 대비 결과 일치하면,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이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방법.
KR1020140050217A 2014-04-25 2014-04-25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10157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217A KR101574891B1 (ko) 2014-04-25 2014-04-25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217A KR101574891B1 (ko) 2014-04-25 2014-04-25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616A true KR20150123616A (ko) 2015-11-04
KR101574891B1 KR101574891B1 (ko) 2015-12-04

Family

ID=5460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217A KR101574891B1 (ko) 2014-04-25 2014-04-25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8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164A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얍컴퍼니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9165A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얍컴퍼니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11429B1 (ko) * 2019-11-21 2020-05-15 주식회사 포스버 물품보관함의 터치없이 모바일장치와 물품보관함 간의 안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890B1 (ko) 2017-11-24 2019-10-01 주식회사 새누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78031B1 (ko) 2019-02-08 2020-11-12 황선오 사용자 위치기반의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227B1 (ko) 2003-05-30 2006-03-03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보관함을 이용한 물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083784B1 (ko) 2005-03-10 2011-11-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9561B1 (ko) 2007-02-13 2013-09-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127900B1 (ko) 2010-09-30 2012-03-22 (주) 해송드림텍 무인 물품 보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164A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얍컴퍼니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9165A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얍컴퍼니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868932B1 (ko) * 2016-04-18 2018-07-20 주식회사 얍컴퍼니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11429B1 (ko) * 2019-11-21 2020-05-15 주식회사 포스버 물품보관함의 터치없이 모바일장치와 물품보관함 간의 안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891B1 (ko)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065B1 (ko)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US10762732B2 (en) Cryptographic key management via a computer server
KR101574891B1 (ko)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US102624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access rights and verification
CN107077763B (zh) 首次进入通知
US9531694B2 (en) Intelligent delivery system
EP3306577A1 (en) Secured electronic locker system
US20130257589A1 (en) Access control using an electronic lock employ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mobile device
US20150120601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parcel delivery system
KR20150020926A (ko)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29018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CN102831721A (zh) 智能保管箱系统及控制方法
US992247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automated authentication
CN104050510A (zh) 基于移动终端的智能客房预订系统
CN103093531B (zh) 利用互联网控制的锁系统
WO20130743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ultiplicity of credentials
CN103404121A (zh) 使用远程认证的电子物理访问控制
CN104735168A (zh) 基于网络产生密码和解密的开锁方法
CN104484917A (zh) 一种保险箱出租系统
US11671650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behavioral control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101722900B1 (ko) 임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8031B1 (ko) 사용자 위치기반의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Patil et al.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pin on android phone
WO2020263297A1 (en) Configurable access controller, and rel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KR101733454B1 (ko) 등록된 스마트폰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