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932B1 -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932B1
KR101868932B1 KR1020160046990A KR20160046990A KR101868932B1 KR 101868932 B1 KR101868932 B1 KR 101868932B1 KR 1020160046990 A KR1020160046990 A KR 1020160046990A KR 20160046990 A KR20160046990 A KR 20160046990A KR 101868932 B1 KR101868932 B1 KR 10186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information
unique
beacon signal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165A (ko
Inventor
윤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얍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04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9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무인 사물함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은 각기 다른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전자석에 의해 락킹 및 락킹 해제되는 복수의 사물함과 인접한 비콘 송신기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콘 수신기, 터치 감응 표면 및 표시부를 갖는 디바이스에서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 식별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 사용 가능 사물함의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에 매칭된 복수의 객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됨에 따라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객체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 락킹을 위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의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ANLESS LOCKER}
본 발명은 비콘 기반으로 무인 사물함을 제어할 수 있는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 백화점, 마트 등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시설들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사물함이 설치되고 있다. 사물함은 시설을 이용하는 다수의 불특정 사용자가 개인적인 물품을 보관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사물함들에는 물품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설치된다.
무료로 사용하는 사물함은 동전 등을 투입한 다음 물건을 맡기고 물건을 되찾을 때 동전 등을 되돌려 받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유료로 사용하는 사물함은 소정의 사용료를 지불한 후에 열쇠 또는 비밀 번호 등을 받아 물건을 맡기고 사용 후에 되찾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물함의 관리 방식은 사용자가 사물함에 물건을 맡긴 후에 찾아가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할 수 없어 물건 처리에 어려움이 있고, 열쇠 분실 시 물건을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열쇠를 기반으로 도어를 락킹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키는 도어락 장치를 교체하기 때문에 관리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4-0155908호(2014.10.01.)
본 발명은 복수의 사물함이 설치된 위치의 비콘 송신기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 신호에 기반으로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 내 복수의 사물함 각각에 대한 고유 아이디가 매칭된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 후 객체의 터치를 통해 사물함의 도어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물함 중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이 존재할 경우 사용중인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를 다른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와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는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물함 중 사용 가능한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를 다른 사물함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는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물함 내역 정보를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 가능한 객체가 터치될 때 사물함의 도어 락킹을 위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초하여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물함 관리 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중인 객체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를 락킹해제시킬 수 있는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은 각기 다른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전자석에 의해 락킹 및 락킹 해제되는 복수의 사물함과 인접한 비콘 송신기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콘 수신기, 터치 감응 표면 및 표시부를 갖는 디바이스에서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 식별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 사용 가능 사물함의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에 매칭된 복수의 객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됨에 따라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객체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 락킹을 위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의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이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가 다른 객체와 구별되도록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에서 사용 가능 사물함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 가능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가 다른 객체와 구별되도록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된 객체가 사용 가능 사물함인 경우 상기 도어의 락킹을 위한 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의 다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키 정보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키 정보가 포함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은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키 정보,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 및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사물함 이용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정보, 매칭된 고유 아이디 및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는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가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락킹 해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갖는 사물함의 도어는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키 정보 및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비콘 송신기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에 의거하여 락킹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은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사물함의 이용에 따른 비용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 상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 수단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비용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기 다른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전자석에 의해 락킹 및 락킹 해제되는 복수의 사물함과 인접한 비콘 송신기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콘 수신기, 터치 감응 표면 및 표시부를 갖는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무인 사물함 제어 장치로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사물함 제어 장치는 상기 비콘 송신기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한 후 이에 대응하는 응답으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 사용 가능 사물함의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의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며, 외부로 락킹용 비콘 신호 및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에 매칭된 복수의 객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제공부와,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됨에 따라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객체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 락킹을 위한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도어 락킹부와,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의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도어 락킹 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이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가 다른 객체와 구별되도록 하거나 상기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에서 사용 가능 사물함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 가능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가 다른 객체와 구별되도록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락킹부는 상기 터치된 객체가 사용 가능 사물함인 경우 상기 도어의 락킹을 위한 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키 정보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키 정보가 포함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락킹부는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키 정보,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 및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사물함 이용 등록을 요청하여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인 사물함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가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락킹 해제를 요청하며,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갖는 사물함의 도어는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키 정보 및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비콘 송신기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에 의거하여 락킹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인 사물함 제어 장치는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사물함의 이용에 따른 비용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 수단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비용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사물함이 설치된 위치의 비콘 송신기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 신호에 기반으로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 내 복수의 사물함 각각에 대한 고유 아이디가 매칭된 복수의 객체를 디스플레이한 후 객체의 터치를 통해 사물함의 도어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무인 사물함 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락킹 비콘 신호를 기반을 도어를 락킹한 후 도어가 락킹된 사물함의 고유 아이디, 모바일 단말의 고유 정보 등을 사물함 관리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무인 사물함의 무단 점유 시 사물함 내에 보관 물건의 주인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적용된 사물함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도어를 락킹 및 락킹 해제시키는 이동형 락킹구 및 고정형 락킹구를 포함한 도어락 장치를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서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제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제어 장치가 사물함의 도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이 사물함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복수의 사물함(100), 비콘 송신기(110), 모바일 단말(120) 및 사물함 관리 서버(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물함(100), 비콘 송신기(110) 및 모바일 단말(120)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150)을 통해 연결되며, 비콘 송신기(110), 모바일 단말(120) 및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유무선 통신망(160)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물함(100)은 각기 다른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유무선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사물함(100)은 비콘 송신기(110) 또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송출되는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락킹용 비콘 신호 및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에 의거하여 사물함(100)의 도어(30)를 락킹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함(100)의 제어부(6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락킹용 비콘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락킹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 즉 락킹을 위해 모바일 단말(120) 상에서 설정된 키 정보를 메모리(도 4의 300)에 저장한 후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도3의 230)에 인가하며, 비콘 송신기(110) 또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230)에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사물함(100)은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되거나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도어가 락킹 해제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하, 사물함(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도어락 장치가 적용된 사물함(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100)은 작은 함체(10)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각각의 함체(10) 전면 개구부에는 일측이 힌지(20)를 통해 축지된 여닫이식 도어(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의 전면 일측부에는 도어(30)를 열고 닫기 위한 손잡이(42) 및 도어(30)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설정할 수 있는 정보 설정부(44)를 구비한 전면 판넬(40)이 설치되며, 전면 판넬(40)과 대응하는 도어(30)의 내측면 일측부에는 전자석의 극성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형 락킹구(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형 락킹구(50)는 내부에 장착된 전자석의 극성 조절을 통해 도어(30)를 락킹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킬 수 있는 제어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설정부(44)는 도어(30)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키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이동형 락킹구(50)와 연결되는 제어부(6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키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를 조합한 조합 키, 지문 정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100)에는 도어(30)가 닫힐 때 이동형 락킹구(50)와 대응되는 작은 함체(10)의 내벽 일측부에 고정형 락킹구(7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형 락킹구(50)는 도어(30)가 닫힐 때 고정형 락킹구(70)에 대응되도록 도어(30)의 내측면 일측부에 형성되고, 고정형 락킹구(70)는 도어(30)가 닫힐 때 이동형 락킹구(50)에 대응되도록 함체(10)의 내측벽 일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100)은 도어(30)의 외측면 일측부에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되거나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도어가 락킹 해제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알림부(8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LED, LCD와 같은 표시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물함(100)의 도어(30)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하기 위한 이동형 락킹구(50)과 고정형 락킹구(70)의 세부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도어를 락킹 및 락킹 해제시키는 이동형 락킹구(50) 및 고정형 락킹구(70)를 포함한 도어락 장치를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락킹구(50)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제 1극성, 예컨대N극을 갖는 전자석(200), 전자석(200)과의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이송체(210) 및 전자석(200)과 이송체(210) 사이에 형성된 금속 재질의 고정체(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송체(210)는 제 1극성을 갖는 고정자성체(212) 및 고정자성체(212)의 바깥쪽면에 연결되어 고정형 락킹구(70)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214)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석(200)은 전원의 공급에 따라 제 1 극성을 띄며, 전원의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무극성을 띌 수 있다. 제 1 극성을 띄는 전자석(200)은 고정체(220)와 이격되어 형성된 고정자성체(212)와의 자기장에 의해 이송체(210)를 좌측 방향으로 밀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체(210)의 결합부재(214)는 고정형 락킹구(70)에 결합되어 도어(30)를 락킹시킬 수 있다.
전자석(200)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전자석(200)은 무극성을 띄게 되면, 이송체(210)의 고정자성체(212)는 금속 재질의 고정체(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송체(210)의 결합부재(214)는 고정형 락킹구(7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30)를 락킹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전자석(200)은 스위칭부(23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40), 예컨대 건전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합부재(214)는 이동형 락킹구(50)에 형성된 가이드 홀(205)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214)는 고정형 락킹구(70)의 결함홀(260)에 대응하는 부분의 본체(250)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205)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위칭부(230)는 제어부(60)로부터 제공받은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전원 공급부(2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자석(200)에 인가하거나 전자석(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230)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전원 공급부(240)와 전자석(200)을 연결시키거나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락킹구(50)는 고정자성체(212)의 바깥면 일측부 및 타측부와 이동형 락킹구(50)의 본체(250) 내부면에 연결되어 형성된 탄성부재(216)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16)는 이송체(210)가 좌우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되어 고정체(220)에 충돌하거나 본체(250)의 내측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16)는 스프링을 예로 들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고정형 락킹구(70)는 이송체(210)의 결합부재(214)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함홀(26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함홀(260)에는 전자석(200)의 극성에 따라 이동되는 결합부재(214)가 삽입 및 결합되어 도어(30)를 락킹시키고 결합부재(214)가 이탈되어 도어(30)를 락킹해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6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서 제어부(6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정보 설정부(44)로부터 제공받은 키 정보 또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수신되는 락킹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00), 도어(30)가 락킹 해제된 상태에서 키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전자석(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도어(30)가 락킹된 상태에서 키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메모리(300)에 저장된 키 정보와 수신한 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전자석(20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모듈(31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310)은 제 1 및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전자석(200)과 전원 공급부(240)간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310)은 스위칭부(230)에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전원 공급부(240)와 전자석(200)을 연결시켜 전원 공급부(240)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전자석(200)에 인가하여 제 1 극성을 띄도록 하고,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스위칭부(230)를 오프시켜 전원 공급부(240)와 전자석(200)간의 연결을 끊어 전자석(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무극성을 띄도록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310)는 도어(30)가 락킹 해제된 상태에서 정보 설정부(44)로부터 키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키 정보를 메모리(300)에 저장시키고, 도어(30)가 락킹된 상태에서 락킹 해제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메모리(300)에 저장된 키 정보를 리셋, 즉 삭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은 블루투스 LE, RF 통신,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150)에 사물함(100)을 접속시키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이를 통해 외부의 기기, 예컨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120),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키 정보를 포함한 락킹용 비콘 신호와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모듈(310)에 제공하거나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는 사물함(100)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의 MAC 주소일 수 있다.
제어 모듈(3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통해 수신한 키 정보를 메모리(300)에 저장한 후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거나 키 정보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230)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10)은 락킹용 비콘 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부(230)에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전원 공급부(240)와 전자석(200)을 연결시켜 전원 공급부(240)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전자석(200)에 인가하여 제 1 극성을 띄도록 하고,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에 의거하여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스위칭부(230)를 오프시켜 전원 공급부(240)와 전자석(200)간의 연결을 끊어 전자석(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무극성을 띄도록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3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를 통해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도어(30)의 락킹을 해제시킨 후 알림부(80)를 통해 "도어의 락킹이 해제되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는 키 정보 분할 모듈(330),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 키 정보 생성 모듈(334) 및 분할 정보 제공 모듈(3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 정보 분할 모듈(330)은 정보 설정부(44)에 의해 설정된 키 정보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통해 수신한 락킹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를 N개(N은사물함의 개수보다 작은 수)로 분할하여 N개의 분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 정보 분할 모듈(330)을 키 정보를 사물함(100)의 개수보다 작은 수로 분할하여 키 정보에 해당하는 복수의 분할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복수의 분할 정보를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키 정보 분할 모듈(330)은 키 정보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생체 정보에 대한 이미지 또는 생체 패턴을 추출한 후 이미지를 N개로 분할하여 N개의 분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체 정보의 예로는 지문 정보, 특정 단어의 발성 시 얼굴의 움직임 정보, 뇌파 정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은 복수의 분할 정보 각각을 서로 다른 사물함(100)에 전송하여 각각의 사물함(100) 내 메모리(300)에 저장하며, 각각의 분할 정보가 저장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각각을 메모리(30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은 복수의 분할 정보 각각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통해 송출하여 다른 사물함(100)에 저장시킨 후 분할 정보가 저장된 다른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메모리(30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사물함(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분할 정보를 메모리(30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통해 연결된 다른 사물함(100)으로부터 수신한 분할 정보를 메모리(300)에 저장할 수 있다.
키 정보 생성 모듈(334)은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되거나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가 수신되거나 사물함(100)의 도어가 락킹된 상태에서 정보 설정부(44)에서 키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동작하여 메모리(300)에 저장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각각의 사물함(100)으로부터 분할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분할 정보를 병합하여 키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제어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 정보 생성 모듈(334)은 제어 모듈(31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300)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각각의 사물함(100)에 접속하여 분할 정보를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분할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분할 정보를 병합하여 키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분할 정보 제공 모듈(336)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통해 사물함(100)의 분할 정보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메모리(300)에서 분할 정보를 추출하여 사물함(100)에 전송할 수 있다.
비콘 송신기(110)는 기 설정된 반경 내로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고 기 설정된 변동 패턴으로 고주파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며, 유무선 통신망(160)을 통해 연결된 사물함 관리 서버(140)의 요청에 따라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콘 송신기(110)는 사물함 관리 서버(140)로부터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키 정보를 포함한 정보 송출 요청에 따라 고유 아이디를 목적지 주소로 하며, 키 정보를 프레임 데이터로 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 예컨대 사운드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브로드캐스팅하여 고유 아이디가 설정된 사물함(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송신기(110)는 사물함 관리 서버(140)로부터 특정 사물함(100)의 도어(30)에 대한 강제 락킹 해제 요청에 의거하여 소정의 변동 패턴을 갖는 고주파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임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송신기(110)는 사물함 관리 서버(140)와의 연동을 통해 비콘 신호, 즉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 및 임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사물함 관리를 위한 사물함 제어 장치(130)를 구비하며, 사물함 제어 장치(130)의 실행을 통해 특정 위치의 특정 사물함(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150)으로 연결되어 도어 락킹을 위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할 뿐만 아니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락킹한 사물함(100)에 대한 정보, 즉 고유 아이디 및 락킹을 위해 설정된 키 정보를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20)은 사물함 제어 장치(130)를 통해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사물함(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비콘 송신기(110)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 신호에 의해 실행되며,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비콘 송신기(110)가 설치된 위치에서의 사물함 이용 서비스에 필요한 콘텐츠, 즉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제공받아 모바일 단말(120) 상에 표시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실행되어 위치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 예컨대 사물함의 전체 구조, 이용 가능한 사물함 정보,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 정보, 사물함의 고유 아이디 등을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수신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초하여 복수의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가 매칭된 복수의 객체를 생성하며, 생성한 객체를 터치 감응 표면을 갖는 표시부(미도시됨)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수신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 중 자신이 사용중인 사물함(100)이 존재할 경우 사용중인 사물함(100)에 대응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별되도록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이용 가능한 사물함(100)에 대응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별되도록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객체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면,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선택한 사물함(100)의 도어 락킹을 위한 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설정한 키 정보를 포함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하여 사물함(100)에 전송함과 더불어 키 정보,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및 선택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이 사용중인 사물함(100)에 대응하는 객체를 선택하면,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선택한 사물함(100)의 도어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설정한 키 정보를 포함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사물함(100)에 전송하여 도어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100)에 대응하는 객체를 선택함에 따라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고유 식별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사물함(100)의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에 설정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키 정보 등을 이용하여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비콘 송신기(110)에 전송하여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의 송출을 요청할 수 있다.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사물함(100)의 이용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사물함(100)의 이용에 따른 결제 수단을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된 결제 수단을 통해 사물함(100)의 이용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모바일 단말(120) 내 기록매체(미도시됨)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중앙 처리 유닛(CPU)에 의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락킹용 및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또는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단말(120)의 표시부(미도시됨)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사물함 제어 장치(13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은 각기 다른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전자석에 의해 락킹 및 락킹 해제되는 복수의 사물함과 인접한 비콘 송신기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콘 수신기, 터치 감응 표면 및 표시부를 갖는 디바이스, 즉 모바일 단말(120)의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중앙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되며, 이를 위하여 비콘 송신기(110)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는 전송 명령어, 고유 식별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사물함 관리 서버(140)로부터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 사용 가능 사물함의 정보 및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처리 명령어, 수신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초하여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가 매칭된 객체를 생성한 후 이를 표시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처리 명령어 및 복수의 객체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됨에 따라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기초하여 매칭된 고유 아이디에 해당하는 사물함의 도어 락킹을 위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거나 매칭된 고유 아이디에 해당하는 사물함의 도어의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도어 제어 및 신호 송신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물함 제어 장치(13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제어 장치(13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신호 송수신부(400), 정보 제공부(410), 도어 락킹부(420), 도어 락킹 해제부(430), 결제 처리부(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400)는 모바일 단말(120)에 구비된 무선 통신 장치(미도시됨)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160)에 접속하여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연결되어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400)는 모바일 단말(120)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미도시됨), 예컨대 블루투스 LE, 적외선 통신, RF 통신 장치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망(150)을 접속하여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물함(100)에 연결되어 락킹용 및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수신부(400)는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비콘 신호를 정보 제공부(4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400)는 사물함 관리 서버(140)로부터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 제공부(41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410)는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와 고유 식별 정보를 신호 송수신부(400)를 통해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물함 관리 서버(140)로부터 위치에 해당하는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제공받은 후 이를 모바일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부(410)는 복수의 사물함(100) 이용 상태 및 각각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제공받은 후 복수의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각각에 대응되며, 고유 아이디가 매칭되어 있는 복수의 객체를 생성하여 표시부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제공부(410)는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 또는 사용 가능한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의 경우 하이라이트 처리하거나 소정의 색상을 부여하거나 소정의 애니메이션이 부가시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부(410)는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 또는 사용 가능한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별되도록 생성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410)는 신호 송수신부(400)를 통해 제공받은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100)에 대한 정보, 예컨대 사물함 사용 기간이 만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어 락킹부(420)는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이용 가능한 사물함(100)에 대응하는 객체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객체에 대응하는 사물함(100)의 도어를 락킹하기 위한 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키 정보 및 선택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신호 송수신부(400)를 통해 사물함(100)에 전송하여 도어 락킹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락킹부(420)는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키 정보,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및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신호 송수신부(400)를 통해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사물함 사용에 대한 정보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도어 락킹 해제부(430)는 복수의 객체들 중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100)에 대응하는 객체를 선택할 경우 사용중인 사물함(100)의 도어(30)의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키 정보와 선택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사물함(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락킹 해제부(430)는 정보 제공부(410)에 의해 제공된 복수의 객체 중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100)에 대응하는 객체를 선택(터치)함에 따라 선택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및 고유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한 신호를 신호 송수신부(400)를 통해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도어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고유 식별 정보의 위치에 설치된 비콘 송신기(110)에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440)는 도어 락킹부(420)에 의해 도어(30)가 락킹된 후 사물함 이용에 따른 비용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 처리부(44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결제 수단, 예컨대 신용카드, 무통장 입금, 소액 결제 등에 의거하여 사물함 이용에 따른 비용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물함 제어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제어 장치(130)가 사물함의 도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송신기(110)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한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S500),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한 후 이에 대응하는 응답으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한다(S502).
그런 다음,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 내 복수의 사물함(100)에 대한 고유 아이디 개수에 대응하는 객체를 생성하며, 생성한 객체에 고유아이디를 매칭시킨 후 다수의 객체를 모바일 단말(120)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504).
사용자가 사물함(100)을 이용하기 위해 복수의 객체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면(S506),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도어 락킹부(420)를 통해 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508).
이후,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키 정보 및 선택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기반으로 사물함(100)의 도어(30)를 락킹하기 위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사물함(100)에 전송한다(S510). 이에 따라, 사물함(100)의 제어부(60)는 락킹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를 메모리(300)에 저장함과 더불어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전자석(200)과 전원 공급부(240)을 서로 연결시켜 전자석(20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도어(30)를 락킹시킨다.
한편,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키 정보, 고유 식별 정보 및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및 선택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사물함 이용에 대한 정보 등록을 요청한다(S512).
한편, 복수의 객체 중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중인 사물함(100)에 대응하는 객체를 선택하면(S514),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도어 락킹 해제부(430)를 통해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516).
그런 다음,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키 정보 및 선택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사물함(100)에 전송하여 락킹 해제를 요청한다(S518). 이에 따라, 사물함(100)의 제어부(60)는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전자석(200)과 전원 공급부(240)의 연결을 차단시켜 전자석(20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지시킴으로서, 도어(30)의 락킹을 해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물함 제어 장치(130)가 직접 도어(30)의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물함 제어 장치(130)가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도어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비콘 송신기(110)에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키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 송신기(110)는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키 정보를 포함한 사운드 신호, 즉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여 사물함(100)의 도어(30)를 락킹 해제시킬 수 있다.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복수의 비콘 송신기(110)에 설정된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제 1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 및 관리하며,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사물함(100)에 대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 제 2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사물함(100)을 이용한 사용자, 즉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키 정보, 사용 가능한 사물함 정보, 사물함 구조 정보, 사용중인 사물함 정보, 사물함의 고유 아이디 등을 포함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 제 2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고유 식별 정보에 매핑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모바일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및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된 사물함(100)이 존재할 경우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사물함(100)의 락킹에 이용된 키 정보 등을 비콘 송신기(110)에 전송하여 사물함(100)의 도어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20)의 등록 요청 시 수신한 정보, 즉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모바일 단말(120)이 수신한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 도어(30)를 락킹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락킹 시 이용된 키 정보 등을 매칭시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6)에 저장하며, 사용중인로 사물함(100)의 점유 시간을 체크한 후 점유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사물함(100)의 도어(30)를 강제로 락킹 해제하기 위해 해당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기 설정된 키 정보를 비콘 송신기(110)에 전송하여 임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의 송출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 송신기(110)은 기 설정된 패턴을 갖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임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해당 사물함(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임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수신한 해당 사물함(100)은 전자석(200)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도어(30)의 락킹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사용중인 사물함(100)의 점유 시간을 체크한 후 점유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사물함(100)에 대한 점유 시간이 초과되었음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120)은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를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물함 관리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이 사물함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120)은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 및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한다(S600).
이에 따라,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6)의 검색을 통해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에 매칭된 사물함의 고유 아이디가 존재하는지를 판단, 즉 비콘 송신기(110)가 설치된 위치에 복수의 사물함(100) 중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100)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602).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100)이 존재할 경우,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메시지(사물함 이용중 메시지)를 전송함과 더불어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모바일 단말(120)에 전송한다(S604).
이후,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가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 중 사용중인 사물함(100)을 선택하면(S606), 모바일 단말(120)의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키 정보와 선택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사물함(100)에 전송한다(S608).
이에 따라, 사물함(100)의 제어부(60)는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일치할 경우 전자석(200)과 전원 공급부(240)간의 연결을 끊기 위한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전자석(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서, 사물함(100)의 도어(30)의 락킹을 해제시킨다(S612).
한편, 사용자가 사물함(100)을 이용하기 위해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S610), 모바일 단말(120)의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락킹을 위한 키 정보를 입력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키 정보와 해당 사물함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빈 사물함(100)에 전송한다(S614).
이에 따라, 사물함(100)의 제어부(60)는 락킹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를 저장함과 더불어 전자석(200)과 전원 공급부(240)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전자석(20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사물함(100)의 도어(30)를 락킹시킨다 (S616).
이후, 모바일 단말(120)의 사물함 제어 장치(130)는 키 정보, 빈 사물함의 고유 아이디,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 및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사물함 사용 등록을 요청한다(S618).
이에 따라,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키 정보, 사물함의 고유 아이디,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 및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6)에 저장한다(S620). 아울러,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된 사물함 내역 정보의 사용중인 사물함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S602의 판단 결과, 사용중인 사물함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물함 관리 서버(130)는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모바일 단말(120)에 제공한다(S62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모바일 단말(120)의 사물함 제어 장치(130)에서 생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선택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를 전송하여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또는 선택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6)에서 키 정보를 검색한 후 키 정보와 선택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비콘 송신기(110)에 전송하여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 송신기(110)는 키 정보를 포함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선택한 사물함(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6)에 저장된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에 매칭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각각에 대한 점유 시간을 체크하며, 체크 결과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의 점유 시간을 갖는 사물함(100)이 존재할 경우 비콘 송신기(110)에 임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의 송출을 요청하거나 모바일 단말(120)에 점유 시간이 초과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의 동작하는 과정에서 각 단계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물함
110 : 비콘 송신기
120 : 모바일 단말
130 : 사물함 제어 장치
140 : 사물함 관리 서버
142 : 제1 데이터베이스
144 : 제2 데이터베이스
146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150 : 근거리 무선 통신망
160 : 유무선 통신망
300 : 메모리
310 : 제어 모듈
320 :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330 : 키 정보 분할 모듈
332 : 분할 정보 저장 모듈
334 : 키 정보 생성 모듈
336 : 분할 정보 제공 모듈

Claims (13)

  1. 각기 다른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외부의 비콘 신호에 따라 전자석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도어를 락킹 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키기 위한 제어부, 메모리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복수의 사물함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각기 다른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전자석에 의해 락킹 및 락킹 해제되는 복수의 사물함과 인접한 비콘 송신기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콘 수신기, 터치 감응 표면 및 표시부를 갖는 디바이스에서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 식별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 사용 가능 사물함의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에 매칭된 복수의 객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됨에 따라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객체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 락킹을 위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의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물함의 제어부에서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를 N(N은 사물함의 개수보다 작은 수)개로 분할하여 N개의 분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N개의 분할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각각의 서로 다른 사물함에 전송하여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사물함 내 메모리에 저장함과 더불어 각각의 서로 다른 사물함의 고유 아이디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메모리 내 저장된 고유 아이디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사물함과 접속하여 N개의 분할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이용하여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키 정보와 상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사물함의 도어를 락킹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어느 하나의 사물함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에서 어느 하나의 객체가 터치됨에 따라 선택된 객체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를 락킹하기 위한 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키 정보 및 상기 선택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하는 사물함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은,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키 정보,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 및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사물함 이용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정보, 매칭된 고유 아이디 및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는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가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락킹 해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갖는 사물함의 도어는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키 정보 및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비콘 송신기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에 의거하여 락킹 해제되는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은,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사물함의 이용에 따른 비용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 상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 수단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비용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8. 각기 다른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외부의 비콘 신호에 따라 전자석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도어를 락킹 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키기 위한 제어부, 메모리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복수의 사물함과, 인접한 비콘 송신기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콘 수신기, 터치 감응 표면 및 표시부를 갖는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 무인 사물함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비콘 송신기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한 후 이에 대응하는 응답으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여기에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 사용 가능 사물함의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의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며, 외부로 락킹용 비콘 신호 및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함 각각의 고유 아이디에 매칭된 복수의 객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제공부와,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됨에 따라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객체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 락킹을 위한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도어 락킹부와,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물함의 도어의 락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도어 락킹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락킹부는,
    상기 터치된 객체가 사용 가능 사물함인 경우 상기 도어의 락킹을 위한 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키 정보가 설정됨에 따라 상기 키 정보가 포함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물함의 제어부는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를 N(N은 사물함의 개수보다 작은 수)개로 분할하여 N개의 분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N개의 분할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각각의 서로 다른 사물함에 전송하여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사물함 내 메모리에 저장함과 더불어 각각의 서로 다른 사물함의 고유 아이디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물함의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내 저장된 고유 아이디로 상기 각각의 서로 다른 사물함과 접속하여 N개의 분할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이용하여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키 정보와 상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사물함의 도어를 락킹 해제시키는 무인 사물함 제어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락킹부는,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키 정보,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 및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사물함 이용 등록을 요청하여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무인 사물함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에 대응하는 객체가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락킹 해제를 요청하며,
    상기 터치된 객체에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갖는 사물함의 도어는 상기 사물함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키 정보 및 상기 매칭된 고유 아이디를 전송받은 비콘 송신기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에 의거하여 락킹 해제되는 무인 사물함 제어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사물함의 이용에 따른 비용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 수단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비용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무인 사물함 제어 시스템.
KR1020160046990A 2016-04-18 2016-04-18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86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90A KR101868932B1 (ko) 2016-04-18 2016-04-18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90A KR101868932B1 (ko) 2016-04-18 2016-04-18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65A KR20170119165A (ko) 2017-10-26
KR101868932B1 true KR101868932B1 (ko) 2018-07-20

Family

ID=6030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990A KR101868932B1 (ko) 2016-04-18 2016-04-18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570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의식주컴퍼니 비대면 세탁 서비스를 위한 세탁물 가방
WO2020222448A1 (ko) * 2019-04-29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결제 기반 장치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
CN111080862B (zh) * 2020-01-14 2021-03-12 诸暨向博智能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语音识别的门禁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909A (ko) * 2013-03-21 2014-10-01 나예룡 무인 택배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1885A (ko) * 2015-06-30 2015-10-06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비컨이나 lbs를 이용한 전자사물함, 전자사서함 및 무인택배함 이용 방법
KR20150123616A (ko) * 2014-04-25 2015-11-04 주식회사 새누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908B1 (ko) 1995-10-26 1998-12-15 김광호 적외선 물체검출의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909A (ko) * 2013-03-21 2014-10-01 나예룡 무인 택배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3616A (ko) * 2014-04-25 2015-11-04 주식회사 새누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1885A (ko) * 2015-06-30 2015-10-06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비컨이나 lbs를 이용한 전자사물함, 전자사서함 및 무인택배함 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65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930B1 (ko)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158148B2 (en) Deliver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CN112735000B (zh) 认证信息控制系统、认证信息控制方法及非临时性计算机可读记录介质
CA3037898A1 (en) Systems and methods to distribute and authenticate product delivery lockers
US11462095B2 (en) Facility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11270535B2 (en) Trunk-shar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trunk-shar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trunk-sharing,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CN101855861A (zh) 认证方法、认证系统、车载装置以及认证装置
KR101868932B1 (ko)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2201189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recording medium, and vehicle interior sharing system for delivering an object stored in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CN104050510A (zh) 基于移动终端的智能客房预订系统
CN102779323A (zh) 网络远程控制门锁集成系统
US11252468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behavioral control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20150131597A (ko) 스마트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숙박업소 객실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19919A (ko)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9159A (ko)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US20210352485A1 (en) Reader device with sensor streaming data and methods
JP7081133B2 (ja) 認証情報提供サーバ及び施解錠方法
KR101574891B1 (ko)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CN103262518A (zh) 集合住宅系统
KR101912373B1 (ko)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15187B1 (ko) 인증키를 이용한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84314B1 (ko)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529208B2 (en) Device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KR20160118544A (ko)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005870A (ja) 利用制御システム、利用許可証発行装置、利用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