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159A -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159A
KR20170119159A KR1020160046980A KR20160046980A KR20170119159A KR 20170119159 A KR20170119159 A KR 20170119159A KR 1020160046980 A KR1020160046980 A KR 1020160046980A KR 20160046980 A KR20160046980 A KR 20160046980A KR 20170119159 A KR20170119159 A KR 20170119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door
information
electromagne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얍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04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9159A/ko
Publication of KR20170119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함체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각각의 함체 전면 개구부에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된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측에 내측면 일측부에 형성되어 결합홀이 구비된 고정형 락킹구와,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고정형 락킹구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 일측부에 형성되고, 전원의 공급에 따라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형 락킹구에 결합 또는 이탈되어 상기 도어를 락킹 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키는 이동형 락킹구를 포함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APPARATUS FOR DOORLOCK OF MANLESS LOCKER USING ELECTRONMAGNET}
본 발명은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욕탕, 헬스장, 수영장, 사우나, 골프 연습장 등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시설들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사물함(라커)이 운용되고 있다. 사물함들은 시설을 이용하는 다수의 불특정 사용자가 개인적인 물품을 보관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사물함들에는 물품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카운터에서 소정의 입실절차(사용료 지불)를 마치면 관리자가 이용자에게 키를 지급하고, 이용자는 지급받은 키로 배정받은 사물함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흔하게 사용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열쇠자물쇠 시스템이 진보하면서 사물함관리 또한 전자시스템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0883310호(2009.02.05. 등록.)
본 발명은 키 정보의 입력에 따라 내부 전자석의 극성을 제어하여 도어를 락킹(locking)하거나 락킹 해제할 수 있는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 정보를 기반으로 전원의 공급이 제어되는 전자석, 전원의 공급에 따른 형성되는 전자석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고정자성체를 포함한 이송체 및 전자석과 이송체 사이에 형성되어 이송체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이송체의 고정자성체를 끌어당기는 고정체를 이용하여 도어를 락킹시키거나 도어의 락킹을 해제시킬 수 있는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는 함체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각각의 함체 전면 개구부에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된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측에 내측면 일측부에 형성되어 결합홀이 구비된 고정형 락킹구와,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고정형 락킹구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 일측부에 형성되고, 전원의 공급에 따라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형 락킹구에 결합 또는 이탈되어 상기 도어를 락킹 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키는 이동형 락킹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석은 상기 전원의 공급에 따라 제 1 극성을 가지며, 상기 이동형 락킹구는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자석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전자석에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스위칭부와,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극성을 갖는 고정자성체를 구비하는 이송체와, 상기 이송체와 상기 전자석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체의 고정자성체를 끌어당겨 상기 도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고정체와, 입력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스위칭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락킹구는 상기 고정자성체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와 상기 이동형 랑킹구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체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의 전면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한 손잡이 및 상기 도어의 라킹과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정보 설정부를 구비한 전면 판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키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설정된 키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락킹 상태인지를 체크하며, 상기 도어가 락킹 해제 상태일 때 상기 정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키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도어가 락킹 상태일 때 상기 정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키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키 정보를 리셋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전자석의 극성을 제어하여 사물함의 도어를 락킹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킬 수 있는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무인 사물함 이용을 위해 별도의 키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인 사물함의 무단 점유 시 도어락 교체 없이 스위칭부의 조작을 통해 도어의 락킹을 해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적용된 사물함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도어를 락킹 및 락킹 해제시키는 이동형 락킹구 및 고정형 락킹구를 포함한 도어락 장치를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서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장치가 사물함의 도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적용된 사물함(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100)은 작은 함체(10)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각각의 함체(10) 전면 개구부에는 일측이 힌지(20)를 통해 축지된 여닫이식 도어(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의 전면 일측부에는 도어(30)를 열고 닫기 위한 손잡이(42) 및 도어(30)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설정할 수 있는 정보 설정부(44)를 구비한 전면 판넬(40)이 설치되며, 전면 판넬(40)과 대응하는 도어(30)의 내측면 일측부에는 전자석의 극성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형 락킹구(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형 락킹구(50)는 내부에 장착된 전자석의 극성 조절을 통해 도어(30)를 락킹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킬 수 있는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설정부(44)는 도어(30)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키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이동형 락킹구(50)와 연결되는 제어부(6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키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를 조합한 조합 키, 지문 정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100)은 작은 함체(10)의 내벽 일측부에 고정 결합되며, 도어(30)가 닫힐 때 이동형 락킹구(50)와 연결되는 고정형 락킹구(7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형 락킹구(50)는 도어(30)가 닫힐 때 고정형 락킹구(70)에 대응되도록 도어(30)의 내측면 일측부에 형성되고, 고정형 락킹구(70)는 도어(30)가 닫힐 때 이동형 락킹구(50)에 대응되도록 함체(10)의 내측벽 일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100)은 도어(30)의 외측면 일측부에 비콘 송신기(도 4의 110)로부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되거나 모바일 단말(도 4의 120)로부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도어가 락킹 해제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알림부(8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LED, LCD와 같은 표시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물함(100)의 도어(30)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하기 위한 이동형 락킹구(50)과 고정형 락킹구(70)의 세부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도어를 락킹 및 락킹 해제시키는 이동형 락킹구(50) 및 고정형 락킹구(70)를 포함한 도어락 장치를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락킹구(50)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제 1극성, 예컨대N극을 갖는 전자석(200), 전자석(200)과의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이송체(210) 및 전자석(200)과 이송체(210) 사이에 형성된 금속 재질의 고정체(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송체(210)는 제 1극성을 갖는 고정자성체(212) 및 고정자성체(212)의 바깥쪽면에 연결되어 고정형 락킹구(70)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214)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합부재(214)는 이동형 락킹구(50)에 형성된 가이드 홀(205)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214)는 고정형 락킹구(70)의 결합홀(260)에 대응하는 부분의 본체(250)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205)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자석(200)은 전원의 공급에 따라 제 1 극성을 띄며, 전원의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무극성을 띌 수 있다. 제 1 극성을 띄는 전자석(200)은 고정체(220)와 이격되어 형성된 고정자성체(212)와의 자기장에 의해 이송체(210)를 좌측 방향으로 밀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체(210)의 결합부재(214)는 고정형 락킹구(70)에 결합되어 도어(30)를 락킹시킬 수 있다.
전자석(200)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전자석(200)은 무극성을 띄게 되면, 이송체(210)의 고정자성체(212)는 금속 재질의 고정체(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송체(210)의 결합부재(214)는 고정형 락킹구(7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30)를 락킹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전자석(200)은 스위칭부(23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40), 예컨대 건전지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부(230)는 제어부(60)로부터 제공받은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전원 공급부(2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자석(200)에 인가하거나 전자석(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230)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전원 공급부(240)와 전자석(200)을 연결시키거나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락킹구(50)는 고정자성체(212)의 바깥면 일측부 및 타측부와 이동형 락킹구(50)의 본체(250) 내부면에 연결되어 형성된 탄성부재(216)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16)는 이송체(210)가 좌우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되어 고정체(220)에 충돌하거나 본체(250)의 내측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16)는 스프링을 예로 들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고정형 락킹구(70)는 이송체(210)의 결합부재(214)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26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홀(260)에는 전자석(200)의 극성에 따라 이동되는 결합부재(214)가 삽입 및 결합되어 도어(30)를 락킹시키고 결합부재(214)가 이탈되어 도어(30)를 락킹해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6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서 제어부(6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정보 설정부(44)로부터 제공받은 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00), 도어(30)가 락킹 해제된 상태에서 키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전자석(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도어(30)가 락킹된 상태에서 키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메모리(300)에 저장된 키 정보와 수신한 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전자석(20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모듈(31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310)은 제 1 및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스위칭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310)은 스위칭부(230)에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전원 공급부(240)와 전자석(200)을 연결시켜 전원 공급부(240)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전자석(200)에 인가하여 제 1 극성을 띄도록 하고,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스위칭부(230)를 오프시켜 전원 공급부(240)와 전자석(200)간의 연결을 끊어 전자석(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무극성을 띄도록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310)는 도어(30)가 락킹 해제된 상태에서 정보 설정부(44)로부터 키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키 정보를 메모리(300)에 저장시키고, 도어(30)가 락킹된 상태에서 락킹 해제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메모리(300)에 저장된 키 정보를 리셋, 즉 삭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은 블루투스 LE, RF 통신,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150)에 사물함(100)을 접속시키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이를 통해 외부의 기기, 예컨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120),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12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키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모듈(310)에 제공하거나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 예컨대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락킹용 비콘 신호와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는 사물함(100)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의 MAC 주소일 수 있다.
제어 모듈(3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통해 수신한 키 정보를 메모리(300)에 저장한 후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거나 키 정보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230)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10)은 락킹용 비콘 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부(230)에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전원 공급부(240)와 전자석(200)을 연결시켜 전원 공급부(240)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전자석(200)에 인가하여 제 1 극성을 띄도록 하고,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에 의거하여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스위칭부(230)를 오프시켜 전원 공급부(240)와 전자석(200)간의 연결을 끊어 전자석(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무극성을 띄도록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3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를 통해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된 후 도어(30)의 락킹이 해제되며, 알림부(80)의 제어를 통해 "도어의 락킹이 해제되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는 키 정보 분할 모듈(330),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 키 정보 생성 모듈(334) 및 분할 정보 제공 모듈(3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 정보 분할 모듈(330)은 정보 설정부(44)에 의해 설정된 키 정보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통해 수신한 락킹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를 N개(N은사물함의 개수보다 작은 수)로 분할하여 N개의 분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 정보 분할 모듈(330)을 키 정보를 사물함(100)의 개수보다 작은 수로 분할하여 키 정보에 해당하는 복수의 분할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복수의 분할 정보를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키 정보 분할 모듈(330)은 키 정보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생체 정보에 대한 이미지 또는 생체 패턴을 추출한 후 이미지를 N개로 분할하여 N개의 분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체 정보의 예로는 지문 정보, 특정 단어의 발성 시 얼굴의 움직임 정보, 뇌파 정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은 복수의 분할 정보 각각을 서로 다른 사물함(100)에 전송하여 분할 정보를 각각의 사물함(100) 내 메모리(300)에 저장하며, 각각의 분할 정보가 저장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각각을 메모리(30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은 복수의 분할 정보 각각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통해 송출하여 다른 사물함(1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은 유무선을 연결된 다른 사물함(100)으로부터 전송되는 분할 정보를 메모리(30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정보 저장 모듈(332)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통해 연결된 다른 사물함(100)으로부터 수신한 분할 정보를 메모리(300)에 저장할 수 있다.
키 정보 생성 모듈(334)은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되거나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가 수신되거나 사물함(100)의 도어가 락킹된 상태에서 정보 설정부(44)에서 키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동작하여 메모리(300)에 저장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각각의 사물함(100)으로부터 분할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분할 정보를 병합하여 키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제어 모듈(3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 정보 생성 모듈(334)은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물함(100)의 제어 모듈(31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통해 메모리(300)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각각의 사물함(100)에 접속하여 분할 정보를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분할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분할 정보를 병합하여 키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분할 정보 제공 모듈(336)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통해 사물함(100)의 분할 정보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메모리(300)에서 분할 정보를 추출하여 사물함(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기재된 사물함(100)이 적용된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복수의 사물함(100), 비콘 송신기(110), 모바일 단말(120) 및 사물함 관리 서버(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물함(100), 비콘 송신기(110) 및 모바일 단말(120)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150)을 통해 연결되며, 비콘 송신기(110), 모바일 단말(120) 및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유무선 통신망(160)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물함(100)은 각기 다른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유무선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사물함(100)은 비콘 송신기(110) 또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송출되는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락킹용 비콘 신호 및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에 의거하여 사물함(100)의 도어(30)를 락킹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함(100)의 제어부(6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20)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락킹용 비콘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락킹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 즉 락킹을 위해 모바일 단말(120) 상에서 설정된 키 정보를 메모리(도 4의 300)에 저장한 후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도3의 230)에 인가하며, 비콘 송신기(110) 또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230)에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사물함(100)은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되거나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도어가 락킹 해제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비콘 송신기(110)는 기 설정된 반경 내로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고 기 설정된 변동 패턴으로 고주파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며, 유무선 통신망(160)을 통해 연결된 사물함 관리 서버(140)의 요청에 따라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콘 송신기(110)는 사물함 관리 서버(140)로부터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키 정보를 포함한 정보 송출 요청에 따라 고유 아이디를 목적지 주소로 하며, 키 정보를 프레임 데이터로 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 예컨대 사운드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브로드캐스팅하여 고유 아이디가 설정된 사물함(10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사물함 관리를 위한 사물함 관리 장치(130)를 구비하며, 사물함 관리 장치(130)의 실행을 통해 특정 위치의 특정 사물함(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150)으로 연결되어 도어 락킹을 위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송신할 뿐만 아니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락킹한 사물함(100)에 대한 정보, 즉 고유 아이디 및 락킹을 위해 설정된 키 정보를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20)은 사물함 관리 장치(130)를 통해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사물함(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모바일 단말(120) 내 기록매체(미도시됨)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중앙 처리 유닛(CPU)에 의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락킹용 및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또는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단말(120)의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됨)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비콘 송신기(110)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 신호에 의해 실행되며,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비콘 송신기(110)가 설치된 위치에서의 사물함 이용 서비스에 필요한 콘텐츠, 즉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제공받아 모바일 단말(120) 상에 표시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실행되어 위치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 예컨대 사물함의 전체 구조, 빈 사물함 정보, 사용자가 락킹한 사물함 정보(사용자가 이용중인 사물함 정보) 등을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사물함(100)을 선택하면,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선택한 사물함(100)의 도어 락킹을 위한 키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한 키 정보를 포함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하여 사물함(100)에 전송함과 더불어 키 정보,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및 선택한 사물함(100)의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이 사용중인 사물함(100)을 선택하면,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선택한 사물함(100)의 도어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한 키 정보를 포함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사물함(100)에 전송하여 도어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100)의 선택에 따라 사물함(100)의 정보 및 고유 식별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사물함(100)의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사물함(100)의 정보에 설정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키 정보 등을 이용하여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비콘 송신기(110)에 전송하여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의 송출을 요청할 수 있다.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사물함(100)의 이용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사물함(100)의 이용에 따른 결제 수단을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된 결제 수단을 통해 사물함(100)의 이용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물함 관리 장치(13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장치(13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신호 송수신부(400), 정보 제공부(410), 도어 락킹부(420), 도어 락킹 해제부(430), 결제 처리부(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400)는 모바일 단말(120)에 구비된 무선 통신 장치(미도시됨)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160)에 접속하여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연결되어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400)는 모바일 단말(120)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미도시됨), 예컨대 블루투스 LE, 적외선 통신, RF 통신 장치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망(150)을 접속하여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물함(100)에 연결되어 락킹용 및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송수신부(400)는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비콘 신호를 정보 제공부(41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410)는 비콘 신호 내 고유 식별 정보와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신호 송수신부(400)를 통해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신호 송수신부(400)를 통해 위치에 해당하는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로부터 제공받은 후 이를 모바일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부(410)는 복수의 사물함(100) 이용 상태를 포함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제공받은 후 복수의 사물함(1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단말(120)의 표시 장치(미도시됨)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어 락킹부(420)는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사용중이 아닌 사물함(100)을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사물함(100)의 도어를 락킹하기 위한 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키 정보 및 선택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신호 송수신부(400)를 통해 사물함(100)에 전송하여 도어 락킹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락킹부(420)는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키 정보,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및 비콘 송신기(110)로부터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신호 송수신부(400)를 통해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사물함 사용에 대한 정보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도어 락킹 해제부(430)는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100)을 선택할 경우 사용중인 사물함(100)의 도어(30)의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키 정보와 점유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사물함(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락킹 해제부(430)는 정보 제공부(410)에 의해 제공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 중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가 사용중인 사물함(100)을 선택함에 따라 선택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및 고유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한 신호를 신호 송수신부(400)를 통해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도어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고유 식별 정보의 위치에 설치된 비콘 송신기(110)에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440)는 도어 락킹부(420)에 의해 도어(30)가 락킹된 후 사물함 이용에 따른 비용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 처리부(44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결제 수단, 예컨대 신용카드, 무통장 입금, 소액 결제 등에 의거하여 사물함 이용에 따른 비용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물함 관리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장치(130)가 사물함의 도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송신기(110)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한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S500),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한 후 이에 대응하는 응답으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20) 상에 표시해준다(S502).
그런 다음,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사물함(100)을 이용하기 위해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 상에서 어느 하나의 사물함(100)을 선택하면(S504),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도어 락킹부(420)를 통해 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506).
이후,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키 정보 및 선택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기반으로 사물함(100)의 도어(30)를 락킹하기 위한 락킹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사물함(100)에 전송한다(S508). 이에 따라, 사물함(100)의 제어부(60)는 락킹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를 메모리(300)에 저장함과 더불어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전자석(200)과 전원 공급부(240)을 서로 연결시켜 전자석(20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도어(30)를 락킹시킨다.
한편,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키 정보, 고유 식별 정보 및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를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여 사물함 이용에 대한 정보 등록을 요청한다(S510).
한편, 사용자가 자신이 점유한 사물함(100)의 도어(30)를 락킹 해제하기 위해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 상에서 어느 하나의 사물함을 선택하면(S512),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도어 락킹 해제부(430)를 통해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514).
그런 다음, 사물함 관리 장치(13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키 정보 및 선택한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사물함(100)에 전송하여 락킹 해제를 요청한다(S516). 이에 따라, 사물함(100)의 제어부(60)는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 내 키 정보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230)에 인가하여 전자석(200)과 전원 공급부(240)의 연결을 차단시켜 전자석(20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지시킴으로서, 도어(30)의 락킹을 해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물함 관리 장치(130)가 직접 도어(30)의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물함 관리 장치(130)가 사물함 관리 서버(140)에 도어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비콘 송신기(110)에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키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콘 송신기(110)는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키 정보를 포함한 사운드 신호, 즉 락킹 해제용 비콘 신호를 송신하여 사물함(100)의 도어(30)를 락킹 해제시킬 수 있다.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복수의 비콘 송신기(110)에 설정된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제 1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 및 관리하며,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사물함(100)에 대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 제 2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사물함(100)을 이용한 사용자, 즉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키 정보, 사용 가능한 사물함 정보, 사물함 구조 정보, 사용중인 사물함 정보 등을 포함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 제 2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물함 관리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와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고유 식별 정보에 매핑된 사물함 관리 내역 정보를 모바일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 및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된 사물함(100)이 존재할 경우 사물함(100)의 고유 아이디 및 사물함(100)의 락킹에 이용된 키 정보 등을 비콘 송신기(110)에 전송하여 사물함(100)의 도어 락킹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물함 관리 장치(130) 및 이를 이용한 사물함의 도어를 제어하는 과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함체
20 : 힌지
30 : 도어
40 : 전면 판넬부
50 : 이동형 락킹구
60 : 제어부
70 : 고정형 락킹구
80 : 알림부
100 : 사물함
110 : 비콘 송신기
120 : 모바일 단말
130 : 사물함 관리 장치
140 : 사물함 관리 서버
150 : 근거리 무선 통신망
160 : 유무선 통신망
200 : 전자석
210 : 이송체
220 : 고정체

Claims (6)

  1. 함체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각각의 함체 전면 개구부에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된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측에 내측면 일측부에 형성되어 결합홀이 구비된 고정형 락킹구와,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고정형 락킹구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 일측부에 형성되고, 전원의 공급에 따라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형 락킹구에 결합 또는 이탈되어 상기 도어를 락킹 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키는 이동형 락킹구를 포함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전원의 공급에 따라 제 1 극성을 가지며,
    상기 이동형 락킹구는,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자석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전자석에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스위칭부와,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극성을 갖는 고정자성체를 구비하는 이송체와,
    상기 이송체와 상기 전자석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체의 고정자성체를 끌어당겨 상기 도어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고정체와,
    입력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스위칭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락킹구는,
    상기 고정자성체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와 상기 이동형 랑킹구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체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의 전면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한 손잡이 및 상기 도어의 라킹과 락킹 해제를 위한 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정보 설정부를 구비한 전면 판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키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설정된 키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락킹 상태인지를 체크하며, 상기 도어가 락킹 해제 상태일 때 상기 정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키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도어가 락킹 상태일 때 상기 정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키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키 정보를 리셋시키는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KR1020160046980A 2016-04-18 2016-04-18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KR20170119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80A KR20170119159A (ko) 2016-04-18 2016-04-18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80A KR20170119159A (ko) 2016-04-18 2016-04-18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59A true KR20170119159A (ko) 2017-10-26

Family

ID=6030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980A KR20170119159A (ko) 2016-04-18 2016-04-18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915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7433A (zh) * 2018-12-12 2019-04-05 北京戴纳实验科技有限公司 智能货柜
KR102025674B1 (ko) * 2018-12-31 2019-09-26 장준옥 노상 전기시설물 활용 시스템
KR102025673B1 (ko) * 2018-12-31 2019-11-04 장준옥 노상 전기시설물 제어장치
KR102509970B1 (ko) * 2023-01-19 2023-03-14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의 옥상 정비용 전두부 양문형 자동 회전식 안전펜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7433A (zh) * 2018-12-12 2019-04-05 北京戴纳实验科技有限公司 智能货柜
CN109567433B (zh) * 2018-12-12 2024-01-23 北京戴纳实验科技有限公司 智能货柜
KR102025674B1 (ko) * 2018-12-31 2019-09-26 장준옥 노상 전기시설물 활용 시스템
KR102025673B1 (ko) * 2018-12-31 2019-11-04 장준옥 노상 전기시설물 제어장치
KR102509970B1 (ko) * 2023-01-19 2023-03-14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의 옥상 정비용 전두부 양문형 자동 회전식 안전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03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secured space
KR101868930B1 (ko)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9159A (ko)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CN110088416A (zh) 包括能量储存的锁定机构
CN101868810A (zh) 用于普遍配置智能锁管理的系统
US11462095B2 (en) Facility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CN112735000B (zh) 认证信息控制系统、认证信息控制方法及非临时性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2007034941A (ja) 携帯情報端末管理システム
US112420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recording medium, and vehicle interior sharing system for delivering an object stored in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JP6935965B1 (ja) 鍵システム
US11252468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behavioral control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101963437B1 (ko) 도어락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1597A (ko) 스마트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숙박업소 객실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68932B1 (ko) 무인 사물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14430846A (zh) 移动数字锁定技术
US20200169981A1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KR101912373B1 (ko)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84314B1 (ko)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3734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locking a digital lock
US202003804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servation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JP7352669B2 (ja) オートロック解錠システムと携帯端末と携帯端末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213308B1 (ko) 스마트 잠금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20200143119A1 (en) Wireless charging of user access reader device and methods
JP2004324100A (ja) 非接触タグを利用した鍵システム
EP1937918A1 (en) Loc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