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878A -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6878A KR20200006878A KR1020180080784A KR20180080784A KR20200006878A KR 20200006878 A KR20200006878 A KR 20200006878A KR 1020180080784 A KR1020180080784 A KR 1020180080784A KR 20180080784 A KR20180080784 A KR 20180080784A KR 20200006878 A KR20200006878 A KR 202000068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 storage box
- key
- information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일반인들이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관함 이용요금의 결제를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암호화폐의 결제에 따른 보관함 키의 공유 여부를 선택하고, 키 공유 선택 시 보관함 키를 공유하여 보관함을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일반인들이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관함 이용요금의 결제를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암호화폐의 결제에 따른 보관함 키의 공유 여부를 선택하고, 키 공유 선택 시 보관함 키를 공유하여 보관함을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우나, 수영장, 지하철역, 학교, 기숙사, 도서관, 운동장 등과 같은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공공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장비, 옷, 책, 먹을거리 등과 같은 짐들 때문에 시설을 이용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공공시설 이용자의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해 공공시설에 안전하게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물품보관함이 설치되고 있다.
물품보관함의 이용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물품보관함 시장규모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물품보관함을 보다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최근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서 주목받고 있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보관함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실제로 지하철역 등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지하철 무인 보관함 시스템은 보관함을 선택한 후,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개인 휴대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휴대전화번호로 임시 비밀번호를 발급하는 방식이다.
지하철 무인 보관함 서비스 방식을 기반으로 보관함 서비스를 응용한 무인 택배 보관함과 같은 시스템들도 상용화되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무인 보관함 및 무인 택배 보관함을 사용하기 위해 입력한 개인 휴대전화번호가 유출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발급받은 임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보관함을 열었을 때 보관함에 있는 물품을 모두 수령하기 전에 보관함이 닫혀버리면 이용요금을 다시 지불하여야 하거나 고객센터에 문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관함 이용요금의 결제를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암호화폐의 결제에 따른 보관함 키의 공유 여부를 선택하고, 키 공유 선택 시 보관함 키를 공유하여 보관함을 보관함 사용 조건 내에서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은: 보관함의 열림 및 잠금을 제어하고,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의 수신 시 전자지갑 주소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를 생성 및 등록한 후, 송신하고,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한 후,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보관함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보관함 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보관함 관리부; 및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보관함 관리부에 접속한 후 사용할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보관함 관리부의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암호화폐 결제 요청 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 상기 보관함 사용에 대응하는 암호화폐 금액의 암호화폐를 송금한 후,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보관함의 사용 요청 시 상기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전송하거나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보관함 사용 기간 및 보관함 사용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보관함 관리부는, 상기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이용금액을 결정하여 암호화폐 결제를 요청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보관함 키에 의한 보관함 열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보관함 관리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단말 디스플레이부; 보관함 키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 및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보관함 관리부에 접속한 후, 사용할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보관함 관리부의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암호화폐 결제 요청 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 상기 보관함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송금한 후,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보관함의 사용 요청 시 상기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보관함 관리부에 접속한 후, 사용할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제공하는 사용 설정부; 상기 보관함 관리부의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암호화폐 결제 요청 시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를 통해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 상기 보관함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송금하는 암호화폐 결제 처리부;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부터 수신받아 암호화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관함 키 획득부; 및 상기 보관함의 사용 요청 시 상기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보관함 사용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보관함 메인 관리모드에서 상기 보관함 키의 저장 후 단말 통신부를 통해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포함된 보관함 공유 수 이내의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관함 키를 상기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보관함 키를 공유하고, 보관함 공유 사용 모드에서 상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를 보관함 메인 관리모드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보관함 키를 수신받아 저장하여 공유하는 키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는 보관함에 바코드 및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화각에 들어오는 화상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제어부의 사용 설정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바코드 및 QR 코드 중 어느 하나의 화상으로부터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함 관리부는, 제어를 받아 잠금 및 열림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관함; 상기 보관함의 열림 및 잠금을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의 수신 시 전자지갑 주소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를 생성 및 등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한 후,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보관함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보관함 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보관함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함 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보관함 통신부; 상기 보관함들과 연결되어 도어 열림 및 잠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보관함 인터페이스부;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식별정보 및 보관함 식별정보 별로 사용 여부 정보, 사용 중인 보관함 식별정보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 및 보관함 키를 저장하는 보관함 키 저장부를 포함하는 보관함 저장부; 및 상기 보관함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에 저장된 보관함 식별정보별 사용 여부 정보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보관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의 수신 시 전자지갑 주소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를 생성 및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에 저장하여 등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한 후,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보관함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보관함 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보관함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함 제어부는, 상기 보관함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에 저장된 보관함 식별정보별 사용 여부 정보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보관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의 수신받아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의 보관함 식별정보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상기 보관함 사용 설정부; 사용자의 보관함 사용 설정 후, 전자지갑 주소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수신되는 결제를 완료하는 보관함 결제 처리부; 상기 결제 처리부의 결제 완료 시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를 생성 및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에 저장하여 등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보관함 키 생성부; 및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보관함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보관함 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보관함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함 사용 설정부는, 사용 설정 시 보관함 사용 시간 및 보관함 사용 횟수를 포함하는 보관함 사용 조건을 입력받아 상기 보관함 사용 시간 정보 및 보관함 사용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보관함 개폐 제어부는, 상기 사용 설정 정보 수신 시마다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의 조건을 만족하는 검사하여 조건을 만족하고, 보관함 키가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기가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물품 보관함접속 정보에 의해 보관함 관리부에 접속하여 제공되는 사용 가능한 보관함 정보에 의해 사용한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를 보관함 관리부로 전송하여 보관함 사용 설정을 요청하는 보관함 사용 설정 요청 과정; 상기 보관함 관리부가 상기 사용 설정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보관함의 보관함 식별정보에 맵핑하여 상기 사용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 설정 과정; 보관함 관리부가 사용 설정 정보의 수신 시 전자지갑 주소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의 제공에 의한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송금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암호화폐를 수신하여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암호화폐 결제 과정; 상기 보관함 관리부가 상기 암호화폐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를 생성하여 상기 보관함의 보관함 식별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맵핑하여 보관함 키를 저장하여 등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보관함 키 할당 과정; 및 상기 보관함 관리부가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상기 보관함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보관함 키와 상기 획득된 보관함 키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해당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보관함 사용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 설정 요청 과정은, 모바일 단말기가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물품 보관함접속 정보에 의해 보관함 관리부에 접속하는 보관함 관리부 접속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사용 가능한 보관함 정보에 의해 사용 가능한 보관함 중 하나를 선택하는 보관함 선택 단계; 상기 선택된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사용 조건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사용 조건 선택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 가능한 보관함 및 상기 보관함 사용 조건에 대한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설정 정보를 보관함 관리부로 전송하는 보관함 사용 설정 요청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관함 사용 과정은, 상기 보관함 관리부가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상기 보관함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사용 설정 정보의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조건 만족 검사 단계; 및 상기 보관함 관리부가 상기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의 조건을 만족하면 보관함 키와 상기 획득된 보관함 키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해당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는 보관함 사용 기간, 보관함 사용 횟수 및 보관함 키 공유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보관함 키 공유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보관함 키 공유 수 내에서 서로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보관함 키를 전송하여 공유하는 보관함 키 공유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P2P(Pear to Pear)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거래를 진행하기 위하여 암호화 기술인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므로 거래자의 개인정보 및 결제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거래자 간의 거래의 투명성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보관함 키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함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함을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번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측면에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보관함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보관함 사용 설정 후 암호화폐 결제의 수행에 따른 보관함 키 할당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모바일 단말기의 키 관리 및 키 공유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보관함 관리부의 보관함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보관함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보관함 사용 설정 후 암호화폐 결제의 수행에 따른 보관함 키 할당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모바일 단말기의 키 관리 및 키 공유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보관함 관리부의 보관함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100) 및 보관함 관리부(200)를 포함하고, 암호화폐 결제를 위한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포함한다.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에 따라 동작하므로 각 구성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모바일 단말기(100), 보관함 관리부(200),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형성하는 기기들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은 와이파이망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및 와이브로망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통신망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 보관함 관리부(200)의 관리자 등을 포함하는 회원에 대한 전자지갑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전자지갑을 통해 원화 및 암호화폐를 관리하고, 송금 요청 시 원화를 계좌 이체하거나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자의 전자지갑주소로 송금한다.
송금자가 이용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와 수신자가 이용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는 서로 다른 서버일 수도 있을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라 최초 보관함의 사용 설정을 수행하고 보관함 키를 할당받는 보관함 메인 관리 모드 및 상기 보관함 메인 관리 모드로 동작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보관함 키를 제공받아 저장하여 상기 보관함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함 공유 사용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한다.
이하 보관함 메인 관리 모드로 동작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100-1의 부호를 사용하고, 보관함 공유 사용 모드로 동작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100-2의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기(100-1)는 자신의 물건을 보관할 물품 보관함(30)의 보관함 관리부(200)에 접속할 수 있는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제어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미리 등록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인접한 물품 보관함(30)으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경우, 물품 보관함(30)의 보관함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해당하는 물품 보관함(30)의 보관함 관리부(200)에 접속할 수 있는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 물품 보관함(30)의 표면에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QR코드, RFID 태그, NFC 태그를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고, 모바일 단말기(100-1)가 바코드 및 QR 코드를 촬영하여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거나, RFID 태그 및 NFC 태그로부터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100-1)는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가 획득되면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에 의해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을 통해 보관함 관리부(200)에 접속한다.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단말기(100-1)와 보관함 관리부(200)는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다이렉트(Direct)로 접속될 수도 있을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100-1)는 보관함 관리부(200)에 접속되면 보관함(31)의 선택 후 선택한 보관함(31)에 대한 보관함 사용 설정, 보관함 사용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를 수행한 후 보관함 키를 할당받아 저장하며, 상기 보관함 키를 사용하여 선택한 보관함(31)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모바일 단말기(100-1)는 보관함 키 할당 시 다수의 다른 모바일 단말기(100-2)로부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보관함 사용 설정 시 설정된 공유 수에 대응하는 다른 모바일 단말기(100-2)로 보관함 키를 제공하여 보관함의 사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물품 보관함(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관함(31)을 포함하고, 보관함 관리부(200)가 중앙 또는 일측부에 구성된다.
보관함 관리부(200)는 물품 보관함(30)의 보관함(31)들의 잠금 및 열림을 제어하고, 사용 중인 보관함(31) 및 사용 가능한 보관함(31)을 분류하여 관리하며,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100-1)로 보관함 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사용 설정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사용 설정 정보의 보관함(31)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을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하고,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후 상기 보관함(31)에 대한 고유한 보관함 키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1)로 제공한다. 상기 보관함 키는 상기 사용 설정 정보의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의 조건 내에서만 유효하며, 조건을 초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100-2)는 모바일 단말기(100-1)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1)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1)로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보관함 키를 수신받아 저장하며, 상기 보관함 키를 이용하여 상기 보관함(31)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단말 저장부(110), 단말 디스플레이부(120), 단말 입력부(130), 단말 통신부(140) 및 단말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저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시스템 및 제어프로그램(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보관함 관리부(200)로부터 수신한 보관함 식별정보 및 상기 보관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를 저장하는 보관함 키 저장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111)는 사용 설정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으며, 보관함의 공유를 허용하여 보관함 키를 제공한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2)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더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말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EL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단말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아이콘,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으로 표시한다.
단말 입력부(130)는 전원버튼, 볼륨버튼, 홈버튼 등과 같은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장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입력장치,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과 일체로 구성되어 화면상에서 터치되는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입력받아 단말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단말 통신부(140)는 원거리 무선통신부(141)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제1근거리 무선통신부(142) 및 제2근거리 무선통신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141)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접속해 있는 보관함 관리부(200),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1근거리 무선통신부(142)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광대역무선통신(Ultra Wide Band: UWB)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이 적용되어 근거리의 기기와 1:1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1근거리 무선통신부(142)는 보관함 관리부(200)가 제1근거리 무선통신부(142)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경우 보관함 관리부(200)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20)을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2근거리 무선통신부(143)는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프로토콜이 적용된 무선통신장치로 근거리의 NFC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다른 기기와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부(143)는 물품 보관함(30)에 부착된 NFC 태그로부터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여 단말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부(160)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카메라 화각에 들어오는 화상을 촬영하여 단말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부(160)는 본 발명에 따라 물품 보관함(30)에 인쇄거나 부착된 바코드 및 QR코드를 촬영하여 바코드 이미지 및 QR 코드 이미지를 단말 제어부(150)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제어부(150)는 사용 설정부(152), 암호화폐 결제 처리부(153), 보관함 키 획득부(154) 및 보관함 사용 처리부(155)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부(151) 및 키 공유부(156)를 더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인증부(151)는 사전에 사용자가 설정하는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단말 저장부(110)에 저장하고, 보관함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상기 비밀번호는 보관함별로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 설정부(152)는 단말 입력부(130), 단말 통신부(140)의 제2근거리 무선통신부(142) 및 카메라부(16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사용 설정부(152)는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단말 통신부(140)의 원거리 무선통신부(141) 및 제1근거리 무선통신부(14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획득된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보관함 관리부(200)에 접속한다.
보관함 관리부(200)에 접속한 사용 설정부(152)는 사용할 보관함(31)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단말 통신부(140)의 원거리 무선통신부(141) 및 제1근거리 무선통신부(14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보관함 관리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 설정부는 사용할 보관함(31)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 설정 인터페이스 수단을 단말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사용 설정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사용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 설정 인터페이스 수단은 사용할 수 있는 보관함(31)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 가능한 보관함(3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선택된 보관함(31)에 대한 보관함 사용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보관함 사용 조건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보관함 사용 조건 항목은 보관함(31) 사용 기간, 보관함 사용 횟수, 보관함 공유 수 등을 설정할 수 있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 설정 정보는 선택된 보관함(31)에 대한 보관함 식별정보(번호),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암호화폐 결제 처리부(153)는 상기 사용 설정 정보의 전송 후 보관함 관리부(200)로부터 보관함(31)의 사용에 따른 보관함 이용금액 및 전자지갑주소를 제공받고,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를 통해 상기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상기 전자지갑주소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로 송금한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로 송금된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기기들과 거래를 통한 해쉬 체인을 형성하면 전자지갑주소로 전송될 것이다.
보관함 키 획득부(154)는 상기 암호화폐의 송금 후 보관함 관리부(200)로부터 보관함 키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보관함 키가 수신되면 단말 저장부(110)의 보관함 키 저장부(111)에 저장한다.
보관함 사용 처리부(155)는 보관함 사용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보관함 사용 이벤트가 발생하면 보관함 키 저장부(111)로부터 보관함 키를 로드하여 단말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거나, 원거리 무선통신부(141) 및 제1근거리 무선통신부(14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보관함 관리부(200)로 전송한다.
키 공유부(156)는 원거리 무선통신부(141) 및 제1근거리 무선통신부(14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다른 모바일 단말기(100-2)로부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보관함 키 저장부(111)에 저장된 사용 설정 정보의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의 보관함 공유 수 이내에서 보관함 키를 다른 모바일 단말기(100-2)로 제공하여 보관함(31)을 상기 보관함 공유 수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보관함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 관리부(200)는 보관함(31) 수에 대응하는 보관함 잠금 제어부(400) 및 보관함 제어모듈(300)을 포함한다.
보관함 잠금 제어부(400)는 각 보관함(31)에 구성되고 보관함 제어모듈(300)의 제어를 받아 해당 보관함(31)의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한다.
보관함 제어모듈(300)은 보관함 저장부(310), 보관함 통신부(340), 보관함 인터페이스부(350) 및 보관함 제어부(36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보관함 디스플레이부(320) 및 보관함 입력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보관함 저장부(310)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 관리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보관함 키 저장부(311)가 구성되며,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311)는 보관함(식별정보)별 사용여부 정보, 사용 중인 보관함에 대해 할당된 보관함 키 및 사용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311)는 공유 설정된 보관함에 맵핑하여 해당 보관함(31)을 공유하는 공유 모바일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더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보관함 디스플레이부(320)는 보관함(31)들의 사용 여부 정보를 텍스트 및 아이콘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제어하려고 하는 보관함(31)에 대한 진행 정보 등을 표시한다.
보관함 입력부(330)는 다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장치 및 상기 보관함 디스플레이부(320)의 화면과 일체로 구성되어 화면상에서 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실시예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보관함(31)의 보관함 식별정보, 보관함 키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보관함 제어부(36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보관함 디스플레이부(320)는 입력되는 보관함 식별정보를 표시하고, 보관함 키는 전체를 암호화하여 표시하거나 일부를 암호화하여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보관함 통신부(34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접속한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부(341) 및 근거리에 있는 기기와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1:1 또는 1:다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342)를 포함한다.
상기 원거리 통신부(341)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부(1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기기 및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 모바일 단말기(10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통신부(342)는 블루투스, 지그비, 광대역무선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보관함 관리부(200)와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보관함 인터페이스부(350)는 보관함 잠금 제어부(400)들과 연결되어 보관함 제어부(360)로부터 제어신호 및 제어신호를 보낼 보관함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보관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 잠금 제어부(4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보관함 잠금 제어부(400)는 근거리 무선통신부(342)에 대응하는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보관함 제어모듈(3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근거리영역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보관함 인터페이스부(35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함 통신부(340)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보관함 제어부(360)는 보관함 사용 설정부(361), 보관함 결제 처리부(362), 보관함 키 생성부(363), 보관함 개폐 제어부(364)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보관함 사용자 인증부(365)를 더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 관리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관함 사용 설정부(361)는 모바일 단말기(100-1)의 접속 시 사용 가능한 보관함(3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설정 인터페이스 수단을 모바일 단말기(100-1)로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100-1)가 선택한 보관함(31)에 대한 보관함 식별정보 및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설정 정보를 수신받아 보관함 키 저장부(311)에 저장한다.
보관함 결제 처리부(362)는 상기 보관함(31)에 대한 사용 설정이 완료되면 보관함(31)의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이용요금 및 암호화폐를 송금할 전자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결제 요청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1)로 전송한다.
보관함 결제 처리부(362)는 자신이 전자지갑을 관리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를 통해 상기 암호화폐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후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기기들을 검사하여 자신의 전자지갑으로 암호화폐가 송금되었는지를 검사하고, 일반적인 컨펌(Confirm) 횟수에 따른 암호화폐 수신 간주 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처리한다.
보관함 키 생성부(363)는 상기 이용요금에 대한 암호화폐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고유하고 사용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 키를 생성한 후 보관함 키 저장부(311)의 해당 보관함(31)의 보관함 식별정보에 맵핑하여 저장하고, 보관함 통신부(34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1)로 송신한다.
보관함 개폐 제어부(364)는 상기 보관함 키 생성부(363)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1)로 보관함 키가 할당되면 해당 보관함(31)에 대응하는 보관함 잠금 제어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보관함(31)의 문의 잠금을 해제한다.
또한, 보관함 개폐 제어부(364)는 상기 보관함 키의 제공 후, 보관함 사용 이벤트가 발생되면 보관함 통신부(34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또는 보관함 입력부(330)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 사용자로부터 보관함 식별정보 및 보관함 키를 입력받고 보관함 키 저장부(311)에 저장된 상기 보관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 키를 로드하여 입력된 보관함 키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 성공 시 해당 보관함의 보관함 잠금 제어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보관함(31) 문의 잠금을 해제한다. 상기 보관함 사용 이벤트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발생될 수도 있고, 보관함 관리부(200)의 보관함 입력부(330)로부터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보관함 개폐 제어부(364)는 보관함 키 검증을 수행하기 전에 보관함 공유 사용자들의 보관함(31) 사용에 따른 사용 상태 정보와 사용 설정 정보의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보관함 키 검증 여부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 상태 정보는 공유 사용자들이 보관함을 사용한 횟수, 사용한 기간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관함 개폐 제어부(365)는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의 조건을 초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의 접속 시 모바일 단말기(100)의 단말 저장부(110)의 보관함 키 저장부(111)에서 보관함 키를 삭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관함 사용자 인증부(365)는 사용 설정 시 보관함 키의 사용을 요청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1) 및 보관함(31)을 공유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2)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보관함 사용 이벤트의 발생 시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단말 식별번호와 등록된 단말 식별번호를 비교하여 공유자인지를 검증한다.
공유자인 경우에 한해 보관함 개폐 제어부(364)는 보관함(31)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보관함 키를 공유하는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0-1)를 통해 보관함 관리부(200)에 접속하여 사용할 보관함(31)을 선택하고, 선택한 보관함(31)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를 보관함 관리부(200)에 저장하는 보관함 사용 설정을 수행한다(S111).
보관함 사용 설정이 완료되면 보관함 관리부(200)는 상기 보관함(31)의 사용 및 상기 보관함(31)에 대한 사용 설정에 따른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모바일 단말기(100-1)로 계산된 이용요금에 대한 암호화폐 결제를 요청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1)의 사용자로부터 암호화폐를 송금받는 암호화폐 결제를 수행한다(S113).
암호화폐로 보관함(31) 사용에 대한 이용요금이 결제되면 보관함 관리부(200)는 보관함 키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1)로 전송한다(S115).
보관함 키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100-1)는 상기 사용 설정에서 설정한 공유 수에 대응하는 수의 다른 모바일 단말기(100-2)로부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를 수신받고,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를 송신한 모바일 단말기(100-2) 중 모바일 단말기(100-1)의 사용자가 수락한 모바일 단말기(100-2)로 보관함 키를 송신하여 보관함 키를 공유한다(S117).
보관함 키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100-1) 및 모바일 단말기(100-2)는 가지고 있는 보관함 키를 사용하여 해당 보관함(31)을 공유하여 사용한다(S119).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보관함 사용 설정 후 암호화폐 결제의 수행에 따른 보관함 키 할당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가 획득되는지를 검사한다(S210).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가 획득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획득된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에 의해 보관함 관리부(200)에 접속하고, 보관함 정보 요청 정보를 보관함 관리부(200)로 전송한다(S211).
보관함 관리부(200)는 보관함 정보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보관함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설정 인터페이스 수단을 모바일 단말기(100-1)로 제공한다(S213).
모바일 단말기(100-1)는 사용 설정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사용할 보관함(31)을 선택하고, 사용 설정을 수행한다(S215).
모바일 단말기(100-1)는 사용 설정이 완료되면 선택된 보관함(31)에 대한 보관함 식별정보 및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설정 정보를 보관함 관리부(200)로 전송한다(S217).
사용 설정 정보를 수신한 보관함 관리부(200)는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보관함(31)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계산된 이용요금 및 이용요금에 대한 암호화폐를 송금할 전자지갑주소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결제 요청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1)로 전송한다(S219).
암호화폐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100-1)는 전자지갑을 활성화한다(S221). 상기 전자지갑 활성화는 상기 암호화폐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자동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활성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지갑이 활성화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에 접속하고(S223), 보관함 이용금액에 대한 암호화폐 금액 및 송금할 전자지갑 주소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송금 요청 정보를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로 전송한다(S225).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500)는 암호화폐 송금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보관함 이용 금액에 대응하고 암호화폐 송금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전자지갑 주소를 목적지로 하는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로 송금한다(S227).
보관함 관리부(200)는 상기 암호화폐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통해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 송금된 암호화폐가 있는지를 확인하고(S229), 암호화폐의 송금이 확인되면(S231), 보관함 키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S233) 모바일 단말기(100-1)로 전송한다(S235).
상기 보관함 키를 전송한 후 보관함 관리부(200)는 해당 보관함(31) 문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한다(S237).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모바일 단말기의 키 관리 및 키 공유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관함 메인 관리모드로 동작하는지 보관함 공유 사용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한다(S311, S313). 상기 모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관함 메인 관리모드는 모바일 단말기(100-1)에서 수행되고, 상기 보관함 공유 사용 모드는 모바일 단말기(100-2)에서 수행될 것이다.
보관함 메인 관리 모드로 동작하면 단말 제어부(150)는 보관함 키가 보관함 관리부(200)로부터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S315), 보관함 키가 수신되면 단말 저장부(110)의 보관함 키 저장부(111)에 보관함 식별정보, 보관함 사용 조건정보와 함께 저장한다(S317).
보관함 키가 저장되면 단말 제어부(150)는 다른 모바일 단말기(100-2)로부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319). 상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는 원거리 무선통신부(141)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고, 제1근거리 무선통신부(142)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 제어부(150)는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를 단말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공유 수락 여부를 묻는 공유 수락 여부 문의 메시지를 표시한다(S321).
상기 공유 수락 여부 문의 메시지의 표시 후 단말 제어부(150)는 공유가 수락되는지를 검사하고(S323), 공유가 수락되면 공유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한다(S325). 상기 공유 조건은 공유를 허락한 수가 보관함 사용 조건의 공유 수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의미한다.
공유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 제어부(150)는 보관함 키를 포함하는 보관함 공유 수락 통지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2)로 송신한다(S327).
반면, 보관함 공유 사용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한 보관함 공유 요청이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S331).
보관함 공유 요청이 발생되면 단말 제어부(150)는 보관함 공유를 요청할 모바일 단말기(100-1)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 단말기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의 모바일 단말기(100-1)로 송신한다(S333).
상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의 송신 후 단말 제어부(150)는 보관함 공유 수락 통지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S335), 보관함 공유 수락 통지 정보가 수신되면 보관함 키를 검출하여 보관함 키 저장부(111)에 저장한다(S337). 상기 보관함 공유 수락 통지 정보에도 사용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보관함 관리부의 보관함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관함 제어부(360)는 보관함 사용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411).
보관함 사용 이벤트가 발생되면 보관함 제어부(360)는 보관함 식별정보(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S413), 이에 대한 보관함 식별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415).
보관함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보관함 제어부(360)는 사용 상태 정보가 보관함 사용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한다(S417).
사용 상태 정보가 보관함 사용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보관함 제어부(360)는 과정을 종료하고, 만족하면 보관함 키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S419).
상기 보관함 키의 입력 요청 후 보관함 제어부(360)는 보관함 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421).
상기 보관함 식별정보 및 보관함 키 입력 요청은 모바일 단말기(10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관함 식별정보 및 보관함 키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보관함 식별정보 및 보관함 키 입력 요청은 보관함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보관함 식별정보 및 보관함 키는 보관함 입력부(330)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관함 키가 입력되면 보관함 제어부(360)는 보관함 키 저장부(311)에 저장된 보관함 키와 입력된 보관함 키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고(S423), 일치하면 해당 보관함(31)의 보관함 잠금 제어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보관함(31) 문의 잠금을 해제한다(S425).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유무선 데이터통신망
20: 블록체인 네트워크
30: 물품 보관함 31: 보관함
100: 모바일 단말기 110: 단말 저장부
111: 보관함 키 저장부 120: 단말 디스플레이부
130: 단말 입력부 140: 단말 통신부
141: 원거리 무선통신부 142: 제1근거리 무선통신부
143: 제2근거리 무선통신부 150: 단말 제어부
151: 사용자 인증부 152: 사용 설정부
153: 암호화폐 결제 처리부 154: 보관함 키 획득부
155: 보관함 사용 처리부 156: 키 공유부
160: 카메라부 200: 보관함 관리부
300: 보관함 제어모듈 310: 보관함 저장부
311: 보관함 키 저장부 320: 보관함 디스플레이부
330: 보관함 입력부 340: 보관함 통신부
350: 보관함 인터페이스부 360: 보관함 제어부
361: 보관함 사용 설정부 362: 보관함 결제 처리부
363: 보관함 키 생성부 364: 보관함 개폐 제어부
365: 보관함 사용자 인증부 400: 보관함 잠금제어부
30: 물품 보관함 31: 보관함
100: 모바일 단말기 110: 단말 저장부
111: 보관함 키 저장부 120: 단말 디스플레이부
130: 단말 입력부 140: 단말 통신부
141: 원거리 무선통신부 142: 제1근거리 무선통신부
143: 제2근거리 무선통신부 150: 단말 제어부
151: 사용자 인증부 152: 사용 설정부
153: 암호화폐 결제 처리부 154: 보관함 키 획득부
155: 보관함 사용 처리부 156: 키 공유부
160: 카메라부 200: 보관함 관리부
300: 보관함 제어모듈 310: 보관함 저장부
311: 보관함 키 저장부 320: 보관함 디스플레이부
330: 보관함 입력부 340: 보관함 통신부
350: 보관함 인터페이스부 360: 보관함 제어부
361: 보관함 사용 설정부 362: 보관함 결제 처리부
363: 보관함 키 생성부 364: 보관함 개폐 제어부
365: 보관함 사용자 인증부 400: 보관함 잠금제어부
Claims (14)
- 보관함의 열림 및 잠금을 제어하고,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의 수신 시 전자지갑 주소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를 생성 및 등록한 후, 송신하고,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한 후,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보관함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보관함 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보관함 관리부; 및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보관함 관리부에 접속한 후 사용할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보관함 관리부의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암호화폐 결제 요청 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 상기 보관함 사용에 대응하는 암호화폐 금액의 암호화폐를 송금한 후,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보관함의 사용 요청 시 상기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전송하거나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보관함 사용 기간 및 보관함 사용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보관함 관리부는,
상기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이용금액을 결정하여 암호화폐 결제를 요청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보관함 키에 의한 보관함 열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보관함 관리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단말 디스플레이부;
보관함 키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 및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보관함 관리부에 접속한 후, 사용할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보관함 관리부의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암호화폐 결제 요청 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 상기 보관함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송금한 후,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보관함의 사용 요청 시 상기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보관함 관리부에 접속한 후, 사용할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제공하는 사용 설정부;
상기 보관함 관리부의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암호화폐 결제 요청 시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를 통해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 상기 보관함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송금하는 암호화폐 결제 처리부;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부터 수신받아 암호화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관함 키 획득부; 및
상기 보관함의 사용 요청 시 상기 보관함 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보관함 사용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보관함 메인 관리모드에서 상기 보관함 키의 저장 후 단말 통신부를 통해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포함된 보관함 공유 수 이내의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관함 키를 상기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보관함 키를 공유하고,
보관함 공유 사용 모드에서 상기 보관함 공유 요청 정보를 보관함 메인 관리모드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보관함 키를 수신받아 저장하여 공유하는 키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는 보관함에 바코드 및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화각에 들어오는 화상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제어부의 사용 설정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바코드 및 QR 코드 중 어느 하나의 화상으로부터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관리부는,
제어를 받아 잠금 및 열림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관함;
상기 보관함의 열림 및 잠금을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의 수신 시 전자지갑 주소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를 생성 및 등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한 후,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보관함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보관함 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보관함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보관함 통신부;
상기 보관함들과 연결되어 도어 열림 및 잠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보관함 인터페이스부;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식별정보 및 보관함 식별정보 별로 사용 여부 정보, 사용 중인 보관함 식별정보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 및 보관함 키를 저장하는 보관함 키 저장부를 포함하는 보관함 저장부; 및
상기 보관함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에 저장된 보관함 식별정보별 사용 여부 정보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보관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의 수신 시 전자지갑 주소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를 생성 및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에 저장하여 등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한 후,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보관함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보관함 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보관함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제어부는,
상기 보관함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에 저장된 보관함 식별정보별 사용 여부 정보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보관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의 수신받아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의 보관함 식별정보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상기 보관함 사용 설정부;
사용자의 보관함 사용 설정 후, 전자지갑 주소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수신되는 결제를 완료하는 보관함 결제 처리부;
상기 결제 처리부의 결제 완료 시 상기 사용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를 생성 및 상기 보관함 키 저장부에 저장하여 등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보관함 키 생성부; 및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보관함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보관함 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보관함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사용 설정부는,
사용 설정 시 보관함 사용 시간 및 보관함 사용 횟수를 포함하는 보관함 사용 조건을 입력받아 상기 보관함 사용 시간 정보 및 보관함 사용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보관함 개폐 제어부는,
상기 사용 설정 정보 수신 시마다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의 조건을 만족하는 검사하여 조건을 만족하고, 보관함 키가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 모바일 단말기가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물품 보관함접속 정보에 의해 보관함 관리부에 접속하여 제공되는 사용 가능한 보관함 정보에 의해 사용한 보관함에 대한 사용 설정 정보를 보관함 관리부로 전송하여 보관함 사용 설정을 요청하는 보관함 사용 설정 요청 과정;
상기 보관함 관리부가 상기 사용 설정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보관함의 보관함 식별정보에 맵핑하여 상기 사용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 설정 과정;
보관함 관리부가 사용 설정 정보의 수신 시 전자지갑 주소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따른 이용요금의 제공에 의한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전자지갑 주소로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이용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송금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암호화폐를 수신하여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암호화폐 결제 과정;
상기 보관함 관리부가 상기 암호화폐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를 생성하여 상기 보관함의 보관함 식별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에 맵핑하여 보관함 키를 저장하여 등록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보관함 키 할당 과정; 및
상기 보관함 관리부가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상기 보관함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보관함 키와 상기 획득된 보관함 키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해당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보관함 사용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설정 요청 과정은,
모바일 단말기가 물품 보관함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물품 보관함접속 정보에 의해 보관함 관리부에 접속하는 보관함 관리부 접속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보관함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사용 가능한 보관함 정보에 의해 사용 가능한 보관함 중 하나를 선택하는 보관함 선택 단계;
상기 선택된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사용 조건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사용 조건 선택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 가능한 보관함 및 상기 보관함 사용 조건에 대한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설정 정보를 보관함 관리부로 전송하는 보관함 사용 설정 요청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관함 사용 과정은,
상기 보관함 관리부가 임의의 보관함에 대한 보관함 키의 획득 시 상기 보관함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사용 설정 정보의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조건 만족 검사 단계; 및
상기 보관함 관리부가 상기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의 조건을 만족하면 보관함 키와 상기 획득된 보관함 키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해당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사용 조건 정보는 보관함 사용 기간, 보관함 사용 횟수 및 보관함 키 공유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보관함 키 공유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보관함 키 공유 수 내에서 서로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보관함 키를 전송하여 공유하는 보관함 키 공유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0784A KR102084314B1 (ko) | 2018-07-11 | 2018-07-11 |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0784A KR102084314B1 (ko) | 2018-07-11 | 2018-07-11 |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6878A true KR20200006878A (ko) | 2020-01-21 |
KR102084314B1 KR102084314B1 (ko) | 2020-03-03 |
Family
ID=6936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0784A KR102084314B1 (ko) | 2018-07-11 | 2018-07-11 |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431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6259B1 (ko) | 2020-10-27 | 2021-05-27 | 주식회사 브랜드쉐어 |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
KR20210101674A (ko) * | 2020-02-10 | 2021-08-19 |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 개인물품 소지 제한을 갖는 사용자의 서비스 지원 플랫폼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8932B1 (ko) | 2010-11-02 | 2013-06-13 | 주식회사 케이티 |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020301A (ko) * | 2014-08-13 | 2016-02-23 | 주식회사 에스티씨 |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함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사물함 정보 관리 방법 |
KR20170019919A (ko) * | 2015-08-13 | 2017-02-22 | 주식회사 새누 |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
KR101716745B1 (ko) * | 2016-07-19 | 2017-03-15 | (주)이어텍 | 전자 사물함 관리 시스템 |
KR101842476B1 (ko) * | 2017-07-19 | 2018-03-27 | 이영호 | 전자화폐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방법 |
-
2018
- 2018-07-11 KR KR1020180080784A patent/KR1020843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8932B1 (ko) | 2010-11-02 | 2013-06-13 | 주식회사 케이티 |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020301A (ko) * | 2014-08-13 | 2016-02-23 | 주식회사 에스티씨 |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함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사물함 정보 관리 방법 |
KR20170019919A (ko) * | 2015-08-13 | 2017-02-22 | 주식회사 새누 |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
KR101716745B1 (ko) * | 2016-07-19 | 2017-03-15 | (주)이어텍 | 전자 사물함 관리 시스템 |
KR101842476B1 (ko) * | 2017-07-19 | 2018-03-27 | 이영호 | 전자화폐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1674A (ko) * | 2020-02-10 | 2021-08-19 |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 개인물품 소지 제한을 갖는 사용자의 서비스 지원 플랫폼 시스템 |
KR102256259B1 (ko) | 2020-10-27 | 2021-05-27 | 주식회사 브랜드쉐어 |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4314B1 (ko) | 2020-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2316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transactions | |
CN105308607B (zh) | 受信任的装置 | |
AU2011265760B2 (en) | Vehicle rental system and method | |
US2015017011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currency platforms comprising means for exchanging and interconverting tangible and virtual currencies in various transactions, banking operations, and wealth management scenarios | |
JP2003343133A (ja) | デジタル鍵システムと装置 | |
JP6879626B2 (ja) | ホテルキーシステム | |
CN106462877A (zh) | 实现无线数字钱包的方法和系统 | |
US11842586B1 (en) | Secure container mutual authentication | |
US9626673B2 (en) | Financial transaction based o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 |
JP6757482B1 (ja) | 認証システム、認証端末、ユーザ端末、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722900B1 (ko) | 임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10033154A (ko) | 실시간 숙박시설 관리 시스템 | |
KR102084314B1 (ko) |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US11492839B1 (en) | Portable locker and docking station system | |
KR101520582B1 (ko) | 물품 보관 장치, 서비스 서버 및 그를 이용한 물품 보관 방법 | |
JP2020065731A (ja) | 物品収納決済システム | |
JP2005011364A (ja) | 商取引システム | |
JP7124595B2 (ja) | 電気機器の電子錠ユニット解錠システム | |
KR102380398B1 (ko) |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문차량 관리방법 | |
KR20180095404A (ko) | 무인 숙박시설 시스템 제어 방법 | |
JP7294884B2 (ja) | 物品受け渡しシステムおよび物品受け渡し方法 | |
JP6763681B2 (ja) | 鍵データ配信システム | |
WO2022080127A1 (ja) | 収納システム | |
JP7375352B2 (ja) | 鍵管理システム | |
JP6298190B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