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644B1 - 도마 거치대 - Google Patents

도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644B1
KR102591644B1 KR1020210170460A KR20210170460A KR102591644B1 KR 102591644 B1 KR102591644 B1 KR 102591644B1 KR 1020210170460 A KR1020210170460 A KR 1020210170460A KR 20210170460 A KR20210170460 A KR 20210170460A KR 102591644 B1 KR102591644 B1 KR 10259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oard
support
cutting
hoo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2498A (ko
Inventor
문기원
Original Assignee
(주)씨엔티코리아
문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티코리아, 문기원 filed Critical (주)씨엔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7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6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8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마 거치대가 간단하면서도 보강된 구조를 가지고 도마를 세워서 보관할 때 도마와 도마 사이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효율적인 통풍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좌,우 양측의 벽체 사이에 이격된 내공간을 갖는 거치대본체가 구비되고, 거치대본체의 좌,우 양측의 벽체를 현수 연결한 상태로 도마를 세운 상태로 거치하는 거치요소가 장착되어 여러 개의 도마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게 되는 도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요소는 도마의 걸고리를 걸기 위하여 내공간의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에 도마가 걸린 상태에서 도마의 하단을 지지하여 유동되지 않게 하는 내공간의 하측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받침부는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로 이루어져 도마가 걸이부에 걸어 고정된 상태에서 도마의 하단이 제1,2받침부에 고정되어 3점 고정방식으로 거치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걸이부에는 도마를 거치한 상태에서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거치홈을 형성하되,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받침부에도 상기 거치홈과 대응되게 도마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도마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홈을 구비하여 여러 개의 도마를 거치하더라도 인접한 도마들끼리 서로 겹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걸이부와 받침부에 형성된 거치홈과 받침홈을 계단식 홈 구조로 형성하여 다양한 두께의 도마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제1,2받침부 간에 높낮이 편차를 갖도록 형성하여 도마를 거치할 때 일정한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하여 물빠짐과 건조가 빠른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마 거치대{chopping board stand}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도마를 세워서 보관하는 도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마 거치대가 간단하면서도 보강된 구조를 가지고 도마를 세워서 보관할 때 도마와 도마 사이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효율적인 통풍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마는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워낙 다양한 음식물이 직접 닿기 때문에 제대로 관리하지 않을 경우에 세균이 여러 음식물로 번지면서 교차오염을 일크키기 쉽다.
따라서 사용한 도마를 세척한 후 건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개의 도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최근에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어 육류, 생선, 김치 등 여러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도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에 한 개의 도마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마를 식기건조기에 단순히 세워서 보관하였으나, 위와 같이 여러 개의 도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마를 세워서 보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여러 개의 도마를 세워서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 제10-1487027호(2015.01.21.)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30210호(2018.12.07.) 등에서는 도마를 보관할 수 있는 거치대를 마련하고 자외선 램프와 송풍팬들을 구비함으로써 도마의 건조 및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 방안들이 제안되었으나, 전기장치를 이용한 건조방식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매우 비쌀 뿐 아니라, 장치의 작동을 위해서는 전원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의 제약이 매우 크고, 특히 물기가 많은 주방에서 사용하기가 꺼려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여러 개의 도마를 수직으로 세워 보관하거나 매달아 보관하는 방식의 도마 거치대가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마를 세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거치대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도마를 수직으로 세워서 보관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마에 걸고리를 만들어 걸어서 보관하는 도마 거치대가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세워서 보관하는 방식은 원목 도마인 경우 자체 직립이 가능하지만 실리콘 도마와 같이 두께가 매우 얇은 도마를 사용할 경우 도마가 기울어지면서 인접한 다른 도마와 맞닿아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고, 걸어서 보관하는 경우에도 도마가 수직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롤링이 이루어지면서 인접한 도마와 맞닿아 통기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도마의 표면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렇게 도마가 서로 맞닿아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 도마 간의 세균이 서로 오염되고, 이 과정에서 세균증식의 우려가 있으며, 위생적이고 청결한 사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개의 도마를 거치할 수 있는 도마 거치대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보강된 구조를 갖도록 함은 물론, 여러 개의 도마를 거치할 때 도마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좌,우로 전혀 유동되지 않고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물빠짐과 건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도마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좌,우 양측의 벽체 사이에 이격된 내공간을 갖는 거치대본체가 구비되고, 거치대본체의 좌,우 양측의 벽체를 현수 연결한 상태로 도마를 세운 상태로 거치하는 거치요소가 장착되어 여러 개의 도마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게 되는 도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요소는 도마의 걸고리를 걸기 위하여 내공간의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에 도마가 걸린 상태에서 도마의 하단을 지지하여 유동되지 않게 하는 내공간의 하측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받침부는 걸이부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되게 하여 다점 고정방식으로 거치할 수 있게 하되, 상기 걸이부와 받침부에는 도마를 거치한 상태에서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거치홈과 받침홈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도마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면서 여러 개의 도마를 거치하더라도 인접한 도마들끼리 서로 겹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부와 받침부에 형성된 거치홈과 받침홈을 계단식 홈 구조로 형성하여 다양한 두께의 도마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받침부가 도마를 경사지게 지지하게 하여 2점 고정방식으로 지지되게 하거나, 또는 받침부를 제1,2받침부로 구분하되 제1,2받침부 간에 높낮이 편차를 갖도록 형성하여 3점 고정방식으로 지지되게 함으로써 도마를 거치할 때 일정한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하여 물빠짐과 건조가 빠른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마 거치대에 의하면, 여러 개의 도마를 거치, 건조할 수 있는 구조임에도 그 조립구조를 간소화하고, 사출성형으로 간단하게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 피스나 접착제 등의 조립부속이 없이도 매우 간단하게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도마를 보관할 때 도마가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마가 서로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마가 여러 개 거치된 상태에서도 다점 고정방식으로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공기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통기성을 확보하고 도마가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어 물빠짐 및 건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도 1,2는 종래의 도마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마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마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마 거치 구조를 나타낸 거치요소의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거치요소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도마 거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마 거치대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걸이부 상세 조립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도마 거치대의 다른 실시 예
도 11은 도 10의 도마 거치 구조를 나타낸 거치요소의 단면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마 거치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벽체(120) 사이에 이격된 내공간(140)을 갖는 거치대본체(100)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본체(100)의 좌,우 양측의 벽체(120)를 현수 연결한 상태로 도마를 세운 상태로 거치하는 거치요소(200)가 장착되어 여러 개의 도마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거치요소(200)는 거치대본체(100)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220)와, 거치대본체(100) 하측에 구비되는 받침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이부(220)는 거치대본체(100)의 내공간(140) 상측에 걸고리가 형성된 도마를 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받침부(240)는 내공간(140) 하측에 형성되어 걸이부(220)에 걸린 상태의 도마 하단을 받쳐서 도마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부(240)는 도마가 걸이부(220)에 걸어 고정된 상태에서 도마의 하단이 받침부(240)에 지지되어 2점 고정방식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요소(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마가 거치된 상태에서 기울기에 의하여 배수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걸이부(220)가 도마의 무게중심이 편심될 수 있도록 위치되되, 도마를 걸이부(220)에 걸어 고정한 상태에서 도마 하단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기울어져서 고정되도록 받침부(240)가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이부(220)와 받침부(240)에는 여러 개의 도마가 병렬로 배열되어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효율적인 건조를 위해서는 여러 개의 도마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물빠짐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도마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이부(220)에는 도마를 거치한 상태에서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거치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240)에도 도마를 거치한 상태에서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홈(242)은 거치홈(222)과 대응되게 도마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도마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여러 개의 도마를 병렬로 거치하더라도 인접한 도마들끼리 서로 겹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부(220)의 거치홈(222)과 받침부(240)의 받침홈(242)은 도마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 도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광하협의 형태로 상단보다 하부가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마는 TPU도마와 STS도마 등 소재에 따라서 또는 디자인에 따라서 다양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거치요소(200)는 두께가 다른 도마를 거치할 때 유동을 방지하고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걸이부(220)의 거치홈(222)과 받침부(240)의 받침홈(242)을 계단식 홈 구조로 형성하면 도마가 수납되는 홈이 이중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두께에 관계없이 도마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거치대본체(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220)는 도마 거치대의 전방 또는 후방에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면 도마의 걸고리가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에서 걸고리를 걸이부(220)에 걸면 도마의 자체 무게중심에 의하여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도마의 하부면이 받침부(240)에 밀착되게 지지되면서 도마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도마가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거치되기 때문에 도마 거치대에 삽입, 인출이 용이하고 물흐름을 유도하여 빠른 시간에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마가 거치되는 최적의 기울기는 5~12°이며, 기울기가 5°미만인 경우 물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도마 표면의 물기를 빠르게 제거하기가 어렵고, 기울기가 1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마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고 도마를 넣거나 빼는 과정에서 또는 보관하는 과정에서 하부가 미끄러지거나 도마가 임의로 인출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받침부(24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받침부(240a)와 제2받침부(240b)로 이루어져 도마가 걸이부(220)에 걸어 고정된 상태에서 도마의 하단이 제1,2받침부(240a,240b)에 고정되어 3점 고정방식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하면 여러 개의 도마를 병렬로 거치한 상태에서 도마의 유동을 더욱 방지하고 이격된 간격을 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받침부(240)를 제1,2받침부로 구성하는 경우에 받침홈(242)은 제1받침부(240a)와 제2받침부(240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받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홈(222)과 대응되게 도마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도마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여러 개의 도마를 병렬로 거치하더라도 인접한 도마들끼리 서로 겹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3점 고정방식으로 거치되면서 기울기에 의하여 배수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치대본체(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받침부(240)가 제1받침부(240a)와 제2받침부(240b)가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2받침부(240a,240b) 간에 높낮이 편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이부(220)는 상기 제1,2받침부(240a,240b)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는 받침부와 가깝게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면 도마의 걸고리가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에서 걸고리를 걸이부(220)에 걸면 도마의 자체 무게중심에 의하여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높낮이가 다르게 배치된 제1,2받침부(240a,240b)에 도마의 하부면이 밀착되게 지지되면서 도마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도마가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거치되기 때문에 도마 거치대에 삽입, 인출이 용이하고 물흐름을 유도하여 빠른 시간에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본체(100)는 내공간(140)의 하부측에 받침부(14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받침부(142)는 상기 도마가 거치되는 기울기와 같이 경사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배수를 유도하거나 또는 집수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본체(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조립체(100a)와 우측 조립체(100b)가 양분되게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좌,우측 조립체(100a,100b) 간에는 서로 대응하게 끼움부(102)를 형성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클립 결합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본체(100)의 내공간(140)에는 도마를 걸어서 거치하기 위한 거치요소(200)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로써, 좌,우측 조립체(100a,100b)의 벽체(120) 내면에 거치요소(200)의 걸이부(220)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체결부(122)와 받침부(240)를 장착하기 위한 하부 체결부(124)를 형성하여 걸이부(220)와 받침부(240)를 조립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대본체(100)의 벽체(120)에 형성된 상부 체결부(122)에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걸이부(220)의 양측 단부(223)가 맞물려 조립될 수 있도록 끼움홈(123)이 형성되어 거치대본체(100)의 좌,우측 조립체(100a,100b)를 상호 조립할 때 그 사이에 걸이부(220)가 위치된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단부(223)와 끼움홈(123)에는 서로 대응하게 정위치 체결을 위한 단턱(123a,223a)과 후크체결부(123b,223b)를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면 단부(223)와 끼움홈(123)이 맞물려 조립되는 위치가 특정되고, 그 상태에서 걸이부(220)가 봉 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임의로 회동되지 않으며, 도마를 걸어 보관할 때 걸이부(220)가 임의로 회동되지 않고 거치홈(222)이 상향된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마의 걸고리를 걸이부(220)에 쉽게 걸수 있음은 물론, 걸고리가 걸이부(220)에 걸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본체(100)의 벽체(120)에 형성된 하부 체결부(124)에는 받침부(240)의 양측 단부(243)가 맞물려 조립될 수 있도록 끼움홈(125)이 형성되는 것으로, 받침부(240) 중 제1,2받침부(240a,240b)를 모두 단부(243)를 끼움홈(125)에 끼워 조립하는 조립식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그 중 하나만을 조립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받침부(240)의 제1받침부(240a)를 바 형상의 단일 부속으로 형성한 후, 그 제1받침부(240a)의 단부(243)와 거치대본체(100)의 벽체(120)에 형성된 끼움홈(125)에는 서로 대응하게 정위치 체결을 위한 편심부(125a,243a)를 형성함으로써 도마를 걸어 보관할 때 걸이부(220)가 임의로 회동되지 않고 받침홈(242)이 상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마의 걸고리를 걸이부(220)에 건 상태에서 도마의 하부면이 제1,2받침부(240a,240b)에 의하여 두 지점에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지지되는데, 이때 도마의 하부가 받침홈(242)에 걸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본체(100)는 서로 마주보게 조립이 이루어지는 좌,우측 조립체(100a,100b)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질 때 후면에 개구부(160)가 형성되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여러 개의 도마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그 사이로 공기흐름이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60)의 상단에는 양측의 벽체(120)를 현수 연결하도록 고리(18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고리(180)를 활용하여 도마 거치대를 운반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로 사용하고, 도마 거치대를 주방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행주 등을 걸어서 사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걸이구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본체(100)는 바닥면이 넓게 뚫려 있어서 물빠짐이 용이하고 물때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의 패드를 장착하여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거치대본체 100a: 좌측 조립체 100b: 우측 조립체
102: 끼움부
120: 벽체 122: 상부 체결부 123: 끼움홈
123a: 단턱 123b: 후크체결부
124: 하부 체결부 125: 끼움홈 125a: 편심부
140: 내공간
160: 개구부
180: 고리
200: 거치요소
220: 걸이부 222: 거치홈 223: 단부
223a: 단턱 223b: 후크체결부
240: 받침부 240a: 제1받침부 240b: 제2받침부
242: 받침홈 243: 단부 243a: 편심부

Claims (8)

  1. 좌,우 양측의 벽체(120) 사이에 이격된 내공간(140)을 갖는 거치대본체(100)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본체(100)의 좌,우 양측의 벽체(120)가 현수 연결된 상태에서 도마를 세운 상태로 거치하기 위한 거치요소(200)가 장착되어 여러 개의 도마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는 도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요소(200)는 도마의 걸고리를 걸기 위하여 내공간(140)의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220)와, 상기 걸이부(220)에 도마가 걸린 상태에서 도마의 하단을 지지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공간(140)의 하측에 구비되는 받침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240)는 상기 걸이부(220)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되게 하여 다점 고정방식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되되, 상기 걸이부(220)와 상기 받침부(240)에는 도마를 거치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치홈(222)과 받침홈(242)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도마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면서 여러 개의 도마를 거치하더라도 인접한 도마들끼리 서로 겹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상기 거치요소(200)는 두께가 다른 도마를 거치할 때 유동을 방지하고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걸이부(220)의 거치홈(222)과 상기 받침부(240)의 받침홈(242)이 계단식 홈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마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요소(200)는 기울기에 의하여 배수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걸이부(220)가 도마의 무게중심이 편심될 수 있도록 위치되되, 도마가 상기 걸이부(220)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에서 도마의 하단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기울어져서 고정되도록 받침부(240)가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마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40)는 제1받침부(240a)와 제2받침부(240b)로 이루어져 도마가 걸이부(220)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에서 도마의 하단이 상기 제1,2받침부(240a,240b)에 고정되어 3점 고정방식으로 거치될 수 있고,
    상기 걸이부(220)에는 도마가 거치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치홈(222)이 형성되되, 상기 제1받침부(240a)와 제2받침부(240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받침부에도 상기 거치홈(222)과 대응되게 도마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도마가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홈(242)이 구비되며, 3점 고정방식으로 거치된 상태에서 기울기에 의하여 배수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240)는 제1받침부(240a)와 제2받침부(240b)가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2받침부(240a,240b) 간에 높낮이 편차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마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220)는 상기 제1,2받침부(240a,240b)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는 받침부와 가깝게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도마가 걸이부(200)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에서 도마의 자체 무게중심에 의하여 기울어지면서 제1,2받침부(240a,240b)에 밀착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마 거치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100)는 좌측 조립체(100a)와 우측 조립체(100b)가 양분되게 분리 구성된 상태에서 좌,우측 조립체(100a,100b) 간에는 서로 대응하게 체결부가 형성되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클립 결합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마 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100)는 좌,우측 조립체(100a,100b)의 벽체(120) 내면에 거치요소(200)의 걸이부(220)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체결부(122)와 받침부(240)를 장착하기 위한 하부 체결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마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100)의 벽체(120)에 형성된 상부 체결부(122)에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걸이부(220)의 양측 단부(223)가 맞물려 조립될 수 있도록 끼움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223)와 끼움홈(123)에는 서로 대응하게 정위치 체결을 위한 단턱(123a,223a)과 후크체결부(123b,223b)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도마를 걸어서 보관할 때 걸이부(220)가 임의로 회동되지 않고 거치홈(222)이 상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마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100)의 벽체(120)에 형성된 하부 체결부(124)에는 받침부(240)의 양측 단부(243)가 맞물려 조립될 수 있도록 끼움홈(125)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243)와 상기 끼움홈(125)에는 서로 대응하게 정위치 체결을 위한 편심부(125a,243a)가 형성되어 도마를 걸어서 보관할 때 걸이부(220)가 임의로 회동되지 않고 받침홈(242)이 상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마 거치대.
KR1020210170460A 2021-12-01 2021-12-01 도마 거치대 KR10259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460A KR102591644B1 (ko) 2021-12-01 2021-12-01 도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460A KR102591644B1 (ko) 2021-12-01 2021-12-01 도마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498A KR20230082498A (ko) 2023-06-08
KR102591644B1 true KR102591644B1 (ko) 2023-10-20

Family

ID=8676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460A KR102591644B1 (ko) 2021-12-01 2021-12-01 도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6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918U (ko) * 2010-11-26 2012-06-05 권경민 도마용 수납세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log.naver.com/unmix/2218088765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498A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0392T3 (es) Batea de rejilla para lavadoras
US11064863B2 (en) Hanging bottle drying rack
US5711436A (en) Combination drinking glass and wine glass rack
US20160367026A1 (en) Rotatable Storage Device
KR101023619B1 (ko) 식기 건조대
US1394947A (en) Pan-rack
KR102591644B1 (ko) 도마 거치대
US9254050B1 (en) Detachable hanging assembly for cookware and utensils
KR200447821Y1 (ko) 칼도마 소독기
KR102003127B1 (ko) 주방용 선반
CN108144089A (zh) 消毒柜拉篮和消毒柜
KR20220061653A (ko) 식기건조대
KR100734574B1 (ko) 북걸이대를 구비하는 선반
CN105147158A (zh) 一种多功能厨房储物装置
KR200210952Y1 (ko) 다용도 욕실화 건조대
KR102626434B1 (ko) 높이 및 간격조절이 용이한 주방용품 걸이장치
KR200341870Y1 (ko) 현가식 식기건조대
JPH1132849A (ja) 台所用品整理装置
KR20200069456A (ko) 주방용 복합 자외선 소독기
CN112584733B (zh) 玻璃杯保持附件
CN213821132U (zh) 一种插放式碗架
CN218684299U (zh) 餐具晾干架的壳体装配结构
CN217610097U (zh) 一种可拆卸的碗碟架结构
CN211797861U (zh) 一种碗架及消毒柜
CN209846798U (zh) 一种筷子搁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