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593B1 -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593B1
KR102591593B1 KR1020230060552A KR20230060552A KR102591593B1 KR 102591593 B1 KR102591593 B1 KR 102591593B1 KR 1020230060552 A KR1020230060552 A KR 1020230060552A KR 20230060552 A KR20230060552 A KR 20230060552A KR 102591593 B1 KR102591593 B1 KR 102591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output
traffic information
sub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휘
오재곤
곽정희
조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29Traffic data processing for creating historical data or processing based on historical data
    • G06Q50/3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처리 장치는,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 및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대상 데이터를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인 영역의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서브 영역의 출력을 제어하는 상황판 출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Areas of Traffic Condition Board in Traffic Information Center}
본 발명은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실에 구비된 상황판의 출력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국가 교통 정보 센터(National Traffic Information Center)는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 분석, 관리 및 제공하는 중앙화된 기관 또는 시스템을 말한다.
국가 교통 정보 센터는 교통 관련 기관, 공공기관, 연구기관, 민간기업 등으로부터 다양한 교통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 가공 및 통합하여 교통 정책의 기반을 마련하고 교통 운영, 관리, 안전,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통 정책 결정, 교통 관련 서비스 지원을 제공한다.
국가 교통 정보 센터는 다양한 기술과 시스템을 활용하여 교통 데이터를 수집, 처리 및 관리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교통 관련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가 교통 정보 센터에서는 교통 상황 및 상황 대응을 위해 상황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국가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실에서는 교통 상황을 통제 또는 관제를 위해 상황판에 출력되는 정보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운영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 효율적으로 상황판의 출력 영역을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정보 수집 그룹으로부터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출력 대상 데이터가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하는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여기서, 교통 정보 센터는 교통정보 연계, 통합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 특별교통수송대책 등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 및 지원을 위해 운영될 수 있다. 교통 정보 센터의 운영은 각 기관에서 수집하는 교통정보 및 센터설비를 활용하여 교통 상황관리 및 긴급사고처리, 소통정보 제공 등 교통 소통과 관련된 일체의 행위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운영을 의미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센터의 센터설비는 신속하고, 정확한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설비로서, 각 기관의 교통정보를 연계, 대국민 서비스 등에 활용되는 설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교통 정보 처리 장치는,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 및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대상 데이터를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인 영역의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서브 영역의 출력을 제어하는 상황판 출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통 정보 처리 장치에서,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은,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통합 교통 정보 처리 단계; 및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대상 데이터를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인 영역의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서브 영역의 출력을 제어하는 상황판 출력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황실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상황실의 상황판을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황실에서 조작을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데이터를 상황판에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처리 장치에 포함된 상황판 출력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시스템(10)은 정보 수집 그룹(20), 교통 정보 센터(30) 및 정보 제공 그룹(40)을 포함한다. 도 1의 교통 시스템(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교통 시스템(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교통 시스템(10)은 전국의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통합 및 가공 처리하여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교통 시스템(10)은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를 기반으로 운용될 수 있다.
교통 시스템(10)은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에 대하여 전자, 제어 및 통신 등 첨단 교통 기술과 교통 정보를 개발 및 활용함으로써 교통체계의 운영 및 관리를 과학화 및 자동화하고, 교통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교통체계 시스템이다.
정보 수집 그룹(20)은 교통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교통 관련 정보를 교통 정보 센터(30)로 제공하는 그룹을 말한다. 여기서, 정보 수집 그룹(20)은 복수의 센터, 장치, 기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 그룹(20)은 지방청 교통 센터(22), 고속도로 정보 제공 센터(24), 기상청(26), 경찰청(2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 그룹(20)은 교통 정보 센터(30)의 운용과 관계된 임무를 수행하는 기관 또는 기관에 구비된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 그룹(20)은 고속도로 관련 기관(예: 한국도로공사, 민자고속도로 등, 24), 일반국도 관련 기관(예: 국토부 산하 지방청, 22), 지방도 관련 기관, 시군도 관련 기관일 수 있으며, 경찰청(28), 기상청(26), 산림청, 민간 기업(예: 통신사, 차량 IT 기술 관련 기업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방청 교통 센터(22)는 지역적인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지역 교통체계의 안전성, 원활성,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관으로서, 지방청에서 운영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의미한다.
지방청 교통 센터(22)는 지역 교통 정보 수집, 지역 교통사고 대응, 지역 교통정체 대응, 지역 교통정책 수립 등을 수행한다.
지방청 교통 센터(22)는 기 설정된 지역 내의 도로 센서 설비, CCTV 설비,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 설비, 대중 교통 설비 등을 관리한다.
지방청 교통 센터(22)는 교통 정보 센터(30)와 연동하며, 지방청 교통 센터(22) 및 교통 정보 센터(30)는 교통 정보 수집, 분석 등을 위해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지방청 교통 센터(22)는 기 설정된 지역 내에서 수집된 도로 교통 정보, CCTV 영상정보, 도로전광표지(VMS) 정보, 광역 대중교통정보 등에 대한 교통 관련 정보를 교통 정보 센터(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지방청 교통 센터(22)는 교통 정보 센터(30)로부터 수신된 지역 교통정책, 교통 대응 정보, 특정 상황에 대한 교통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에 따라 구축된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방청 교통 센터(22)는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방청 교통 센터(22)는 서울청 교통 정보 센터, 대전청 교통 정보 센터, 원주청 교통 정보 센터, 익산청 교통 정보 센터, 부산청 교통 정보 센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 각각은, 서로 다른 지역에 대한 교통 정보를 관리하며, 지역 각각에 대한 서로 다른 지역 각각의 도로 센서 설비, CCTV 설비,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 설비, 대중 교통 설비 등을 운용할 수 있다.
고속도로 정보 제공 센터(24)는 고속도로에 대한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고속도로 정보 제공 센터(24)는 수집된 고속도로에 대한 교통 관련 정보를 교통 정보 센터(30)로 전송한다.
고속도로 정보 제공 센터(24)는 복수의 고속도로 관련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 정보 제공 센터(24)는 한국도로공사, 민자고속도로 사업기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상청(26)은 기상 정보를 교통 정보 센터(30)로 전송한다.
기상청(26)은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상청(26)은 기상 특보와 같은 기상 특이 사항이 발생한 경우에 기상 정보를 교통 정보 센터(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경찰청(28)은 교통과 관련된 사고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고 정보를 교통 정보 센터(30)로 전송한다. 경찰청(28)은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 그룹(20)은 정보 제공 그룹(40)과 별도의 상이한 그룹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보 수집 그룹(20) 및 정보 제공 그룹(4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센터, 장치, 기관 등은 서로 중복되거나 서로 연동될 수 있다.
교통 정보 센터(30)는 국가 차원에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전국적인 교통체계의 안전성, 원활성,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관으로서, 정부에서 운영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센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교통 정보 센터(30)는 국가 교통 정보 센터(National Traffic Information Center)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교통 정보 센터(30)는 교통정보 연계, 통합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 특별교통수송대책 등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 및 지원을 위해 운영된다. 여기서, 교통 정보 센터(30)의 운영은 각 기관에서 수집하는 교통정보 및 센터설비를 활용하여 교통 상황관리 및 긴급사고처리, 소통정보 제공 등 교통 소통과 관련된 일체의 행위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운영을 의미한다. 교통 정보 센터(30)의 센터설비는 신속하고, 정확한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설비로서, 각 기관의 교통정보를 연계, 대국민 서비스 등에 활용되는 설비를 의미한다.
교통 정보 센터(30)는 교통 안전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
교통 정보 센터(30)에서 제공하는 교통 서비스 정보에는 실시간 교통 정보, 경로 정보, 교통 혼잡 정보, 도로 교통 사고 정보, 고속도로 휴게소 및 톨게이트의 이용 상황, 특정 상황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센터(30)는 교통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들이 교통 혼잡 구간과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역 등을 미리 파악하여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통 정보 센터(30)는 교통 서비스 정보를 유관 기관 또는 기 설정된 소정의 외부 장치로 제공하여 특정 상황 대응, 임무 수행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교통 정보 센터(30)는 교통 서비스 정보를 교통 정책 수집기관, 연구기관 등에 제공하여, 교통 흐름 개선과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교통정책 수립,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센터(30)는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은 교통 정보 센터(30) 내에 설치되어, 정보 수집, 교통 정보 처리, 보안 관리, 정보 제공, 정보 저장, 상황실 제어 등 교통 정보 센터(3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는 교통 정보 센터(30) 내에 구비된 센터 설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은 정보 수집 그룹(20)으로부터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출력 대상 데이터가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상황실의 상황판 출력 영역을 제어한다.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에 기재하도록 한다.
정보 제공 그룹(40)는 교통 정보 센터(30)의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그룹을 의미한다. 여기서, 정보 제공 그룹(40)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42), 유관 기관 서버(44), 연구 기관 서버(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그룹(40)는 교통 정보 센터(30)로부터 지역 교통정책, 교통 대응 정보, 특정 상황 대응 교통정보, 실시간 교통 정보, 교통 상황 통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제공 서버(42)는 대국민 도로 교통, 대중 교통, 환승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인터넷 서비스, 현장안내 시스템(예: KIOSK, PDP)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ARS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예: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 키오스크 단말 등)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유관 기관 서버(44)는 유관 기관의 교통, 환승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교통 정보, 소통정보, CCTV 영상 정보, 특정 상황 대응 교통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 예컨대, 청와대(국가위기상황센터), 국가정보원, 행정안전부, 소방방재청, 군 관련 기관 등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연구 기관 서버(46)는 교통 정책 기관의 통계 분석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교통 분석 정보, 교통 통계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 예컨대, 교통정책 수집 기관, 연구기관 등과 연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는 정보 수집 장치(210),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 저장 장치(230) 및 제공 장치(240) 및 센터 설비(250)를 포함한다.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는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통합 처리하여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통합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 정보, 특정 상황 교통 정보, 대중 교통 정보 등에 대한 교통 정보를 가공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는 교통 정보 센터(30)에 대한 보안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는 상황실의 상황판 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교통 정보 시스템(32)에 포함된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정보 수집 장치(210)은 정보 수집 그룹(20)으로부터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정보 수집 장치(210)은 정보 수집 그룹(20)에 포함된 지방청 교통 센터(22)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도로 교통 정보, CCTV 영상정보,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 정보 및 광역 대중교통정보 등을 포함하는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 장치(210)은 정보 수집 그룹(20)에 포함된 유관 기관(24, 26, 28)로부터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유관 기관(24, 26, 28)은 고속도로 관련 기관(예: 한국도로공사, 민자고속도로 등), 일반국도 관련 기관(예: 국토부 산하 지방청), 지방도 관련 기관, 시군도 관련 기관일 수 있으며, 경찰청, 기상청, 산림청, 민간 기업(예: 통신사, 차량 IT 기술 관련 기업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210)은 유관 기관(24, 26, 28)로부터 전송된 사고 정보, 기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수집 장치(210)은 지방청 교통 센터(22)에 포함된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 각각으로부터 교통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중계 센터(예: 국도 통합 센터), 중계 장치(중계 서버, 빅데이터 서버, 연계 서버 등) 등을 경유하여 교통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 특정 상황 교통 정보, 대중 교통 정보 등에 대한 교통 정보를 가공 및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222) 및 상황판 출력 제어부(224)를 포함한다.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222)는 교통 관련 정보를 융합하고, 전국 및 광역 교통 정보를 전자 지도에 통합하여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222)는 교통 관련 정보에 포함된 도로 교통 정보, CCTV 영상정보,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 정보 및 광역 대중교통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 카테고리끼리 융합하고, 융합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들을 전자 지도에 통합한다. 여기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의 융합은 정보의 결합, 합산, 필터링, 삭제, 수정 등을 포함하는 처리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지도는 표준화된 전자 지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222)는 정보 결합 시, 중복 또는 기 설정된 필터링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필터링을 통해 정보를 삭제 및 가공할 수 있다.
한편,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222)는 경찰청의 사고 정보 또는 기상청의 기상 정보가 추가로 획득된 경우, 교통 관련 정보와 함께 사고 정보, 기상 정보 등을 융합하여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222)는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통합 교통 정보에 매칭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222)는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도로 상의 교통량, 혼잡 정도 등을 분석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통합 교통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222)는 전자 지도에 표시되는 형태로 실시간 교통 정보를 통합 교통 정보에 추가 처리할 수 있으며, 숫자, 색상, 음영 등을 통해 도로 상의 교통량, 혼잡 정도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상황판 출력 제어부(224)는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대상 데이터를 상황판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황판 출력 제어부(224)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황판 출력 제어부(224)는 운영 단말(252)로부터 메인 영역 내의 제어 영역에 대한 조작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상황판의 출력 영역을 제어한다.
상황판 출력 제어부(22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 장치(230)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의 처리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저장 장치(230)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로부터 교통 관련 정보, 통합 교통 정보, 실시간 교통 정보, 특정 상황 교통 정보, 대중 교통 정보, 보안 관리 정보, 상황실 제어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한편, 저장 장치(230)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의 요청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기 저장된 정보를 불러와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230)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저장 모듈(예: 클라우드, 가상 메모리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제공 장치(240)은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에서 가공된 교통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교통 정보는 교통 관련 정보, 통합 교통 정보, 실시간 교통 정보, 특정 상황 교통 정보, 대중 교통 정보, 보안 관리 정보, 상황실 제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공 장치(240)은 교통 정보를 정보 제공 그룹(40)로 전달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제공 장치(240)은 교통 정보를 정보 제공 그룹(4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42, 44, 46)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공 장치(240)은 정보 제공 그룹(40)으로부터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 유관 기관과 연동하는 유관 기관 서버(44)로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공 장치(240)는 교통 정보의 특정 상황의 종류에 따라 유관 기관을 선정하고, 선정된 유관 기관과 연동하는 유관 기관 서버(44)로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공 장치(240)는 특정 상황의 종류 및 관련 기관에 대해 매칭된 테이블 또는 인공지능 기반의 추정 기법을 이용하여 유관 기관을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제공 장치(240)는 복수의 서버(42, 44, 46)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서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교통 정보에서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필터링을 통해 삭제하고, 요청 정보만을 포함하는 교통 응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공 장치(240)는 정보 요청 신호에 필수 포함 정보인 특정 상황 교통 정보 및 보안 관리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 해당 서버에 재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제공 장치(240)는 재확인 응답 신호에 근거하여 필수 포함 정보인 특정 상황 교통 정보 및 보안 관리 정보를 추가하거나 제외한 교통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공 장치(240)는 재확인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재확인 응답 신호에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서버의 정상적인 연결 확인을 위한 서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재확인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현재 상태 정보를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로 피드백한다.
제공 장치(240)는 추가 재확인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추가 재확인 응답 신호에 근거하여 필수 포함 정보인 특정 상황 교통 정보 및 보안 관리 정보를 추가하거나 제외한 교통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제공 장치(240)는 추가 재확인 응답 신호에서도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서버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해당 서버와 거리적으로 인접한 서버 또는 해당 서버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와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센터 설비(250)는 교통 정보 센터(30)의 운용을 위하여 설치된 복수의 설비를 말한다.
센터 설비(250)는 운영 단말(252), 상황실 장비(254), 네트워크 장비(2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설비(250)는 교통정보 연계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대국민서비스 시스템, 보안 시스템, 네트워크 시스템, 상황실 시스템, CCTV뷰어 시스템 등과 관련된 설비일 수 있다.
센터 설비(250)는 도로 이용자에게 폭 넓은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외부기관의 정보를 수집, 공유하는 교통정보 연계 시스템 일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계 통신 서버, 영상 관리 서버 등과 관련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설비(250)는 동시에 복수의 적용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이용자 요구에 호응해서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저장,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한 구조에 따라 편성된 데이터의 집합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일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B서버, 스토리지 등과 관련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설비(250)는 대국민 서비스하고 있는 교통정보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교통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방안을 제시, 홈페이지, 모바일 앱 등 대외 교통정보 서비스 운영, 도로관련 긴급상황 전파하는 대국민서비스 시스템 일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홈페이지, 지도서버 등과 관련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설비(250)는 온라인 침해 예방 및 바이러스 감염 예방 조치, 교통정보센터 방화벽, DDOS, 침입 방지 시스템(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등 보안 관리에 대한 보안 시스템 일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화벽 시스템, 침입 방지 시스템(IPS), DDOS 차단 시스템 등과 관련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설비(250)는 통신분야에서는 단말기 등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기, 선로 및 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전송매체의 네트워크 시스템 일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2, L3, L4 스위치, 라우터 등과 관련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설비(250)는 행정상 또는 작전상의 계획, 통계, 상황판을 갖추어 전반적 교통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든 상황실 시스템 일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황판, IP Wall Controller 등과 관련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설비(250)는 도로 교통 관리용 CCTV 영상을 공공기관 대상으로 영상정보 제공하고, CCTV 및 소통정보 및 수집하고, CCTV 영상 제공 시스템의 운영 및 모니터링하는 CCTV 뷰어 시스템 일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CTV 운영, CCTV 출력, CCTV 모니터링 등과 관련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처리 장치에 포함된 상황판 출력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판 출력 제어부(224)는 출력 대상 제어부(310), 출력 영역 제어부(320) 및 상황판 출력부(330)를 포함한다. 도 3의 상황판 출력 제어부(2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상황판 출력 제어부(224)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상황판 출력 제어부(224)는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대상 데이터를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메인 영역의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서브 영역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황판 출력 제어부(224)에 포함된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출력 대상 제어부(310)는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출력 대상 제어부(310)는 출력 대상 후보 데이터를 선정하고, 출력 대상 후보 데이터 중 전체 또는 일부를 출력 데이터로 결정한다.
출력 대상 제어부(310)는 통합 교통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교통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고, 복수의 교통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후보 데이터를 선정한다. 출력 대상 제어부(310)는 복수의 교통 관련 데이터의 전체 또는 일부를 출력 대상 후보 데이터를 선정할 수 있다.
출력 대상 제어부(310)는 도로 교통 상황, 대중교통 상황, 도로 CCTV, 현장 CCTV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출력 대상 후보 데이터를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출력 대상 제어부(310)는 복수의 출력 대상 후보 데이터 중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한다.
출력 대상 제어부(310)는 출력 대상 후보 데이터의 데이터의 종류별 기 설정된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필터링된 일부 출력 대상 후보 데이터를 출력 대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을 구분하고, 메인 영역 내에 제어 영역을 설정하며, 제어 영역에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영역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을 구분한다.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상황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출력 장치를 그룹화하여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을 구분한다. 예를 들어, 상황판이 6(가로) * 2(세로) 형태로 배열된 12 개의 출력 장치로 구성된 경우, 중앙의 4 개의 출력 장치를 메인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나머지 8 개의 출력 장치를 서브 영역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메인 영역을 기준으로 좌측의 서브 영역을 제1 서브 영역으로 설정하고, 우측의 서브 영역을 제2 서브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메인 영역에 대한 제어 영역을 설정한다. 제어 영역은 지방청 교통 센터의 관리 지역, 메인 영역의 출력장치, 운영 단말의 선택 영역 등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운영 단말(252)로부터 제어 영역에 대한 조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신호는 소정의 제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마우스 커서 이동, 마우스 클릭 입력, 키보드 입력 등일 수 있다.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제어 영역에 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복수의 제어 영역 간의 틈새 영역에 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조작 신호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하나의 제어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 추출한다.
한편,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틈새 영역의 특정 상황 발생 여부에 따라 출력 대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복수의 제어 영역 간의 틈새 영역에 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틈새 영역에 특정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조작 신호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하나의 제어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 추출한다.
한편,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복수의 제어 영역 간의 틈새 영역에 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틈새 영역에 특정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상황이 발생한 경우, 틈새 영역에 해당하는 특정 지역에 대한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 추출한다.
여기서,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통합 교통 정보 및 특정 상황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상황 관련 정보는 특정 상황에 대해 기 설정된 정보를 의미하며, 기 설정된 교통 혼잡 예상 날짜, 기간, 지역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통합 교통 정보 및 특정 상황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비상 상황, 정기 특별 교통 대책 상황, 임시 특별 교통 대책 상황 등 중 하나의 특정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 상황은 대형 사고, 산불, 자연재해(폭우, 폭설 등) 등의 상황일 수 있고, 정기 특별 교통 대책 상황은 설, 추석, 하계휴가 등의 상황일 수 있다. 또한, 임시 특별 교통 대책 상황은 사건 사고, 파업, 수동 지정 등이 상황일 수 있다.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추출된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영역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영역 제어 신호를 상황판 출력부(330)으로 전송하여 상황판 출력이 변경되도록 한다.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조작 신호가 입력된 제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선정하고, 선정된 서브 영역 내에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영역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조작 신호가 입력된 제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서브 영역 각각에 출력되고 있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의 출력 시작 시간을 확인하고, 출력 시작 시간이 가장 빠른 즉,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가장 오랫동안 출력된 서브 영역을 선정한다.
한편,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조작 신호가 입력된 제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서브 영역 각각에 출력되고 있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에 따른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서브 영역을 선정할 수 있다.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조작 신호가 입력된 제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의 출력 시작 시간 및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 우선순위 중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서브 영역을 선정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출력 영역 제어부(320)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의 출력 시작 시간 방식 및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 우선순위 방식을 순차적으로 적용하거나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의 출력 시작 시간 방식 및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 우선순위 방식을 동시에 수행하여 출력 시작 시간이 가장 빠르고,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조건에 매칭되는 서브 영역을 선정할 수도 있다.
상황판 출력부(330)는 영역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황실에 구비된 상황판의 출력을 제어한다.
상황판 출력부(330)는 영역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황판에 구비된 복수의 출력장치와 연동을 통해 출력을 제어한다.
상황판 출력부(330)는 영역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 대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상황판 출력부(330)는 신규로 영역 제어 신호가 획득되면, 신규 영역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되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변경한다.
상황판 출력부(330)는 영역 제어 신호에 포함된 영역 식별 정보에 따라 상황판에 구비된 복수의 출력장치를 매칭시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황판 출력부(330)는 상황실의 운영자의 조작 또는 입력으로 생성된 출력 대상 데이터 및 복수의 출력장치 간 매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를 매칭된 복수의 출력장치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기기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처리 시스템의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국가 교통 정보 센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은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톱(Laptop)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검색, 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저장형태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 RDBMS),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객체 지향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bject 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OODBMS) 분산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등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다.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서 교통정보 연계를 위한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연계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은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은 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든 형태의 컴퓨팅 기기일 수 있다.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모듈(43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모듈(460) 및 통신 버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모듈(430)는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으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싱 모듈(43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모듈(46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싱 모듈(43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으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430)는 신경망 모듈(440)과 연동하여 교통 정보 관리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싱 모듈(430) 및 신경망 모듈(440)는 서로 다른 모듈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모듈로 결합되어 각각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신경망 모듈(440)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를 기반으로 교통 정보 관리와 관련된 신경망 처리를 수행한다. 신경망 모듈(440)은 입력 노드와, 중간 노드 및 출력 노드를 가지며, 각 노드를 연결하는 연결 가중치로서, 트레이닝 데이터를 통해 미리 학습이 완료된 결정 가중치에 의하여 특정된 구조를 갖는다. 신경망 모듈(440)의 출력값은, 확장 영역의 좌표값, 단위 블록 영역의 좌표값일 수 있으며, 확장 영역 또는 단위 블록 영역에 대한 특징값 행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모듈(460)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모듈(4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프로세싱 모듈(43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한 가능 저장 모듈(460)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기기들, 광학 디스크 저장 기기들, 플래시 메모리 기기들, 그 밖에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는 프로세싱 모듈(43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20)를 포함하여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은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미도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모듈(410) 및 출력 모듈(420)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410) 및 출력 모듈(420) 및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 버스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미도시)는 입력 모듈(410) 및 출력 모듈(420)를 통해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미도시)는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을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32)과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기기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S510).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한다(S520).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을 구분하고, 메인 영역 내에 제어 영역을 설정하며, 제어 영역에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메인 영역 제어를 수행한다(S530).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영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서브 영역 제어를 수행한다(S540).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영역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대한 출력 제어를 수행한다(S550).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추가 영역 제어를 위한 제어 영역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단계 S530의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추가 영역 제어를 위한 제어 영역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현재 상황판의 출력을 유지한다(S570).
도 5에서는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5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은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 또는 매체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상황실의 상황판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상황판은 6(가로) * 2(세로) 형태로 배열된 12 개의 출력 장치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을 참고하면,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중앙의 4 개의 출력 장치(612, 614, 616, 618)를 메인 영역(610)으로 그룹화하고, 나머지 8 개의 출력 장치를 서브 영역(620, 630)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메인 영역(610)을 기준으로 좌측의 서브 영역을 제1 서브 영역(620)으로 설정하고, 우측의 서브 영역을 제2 서브 영역(6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620)는 4 개의 출력 장치(622, 624, 626, 628)로 구성되고, 제2 서브 영역(630)는 4 개의 출력 장치(632, 634, 636, 638)로 구성된다.
도 7은 메인 영역의 제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의 (a)는 지방청 교통 센터(22)의 관리 지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제어 영역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어 영역은 서울청 교통 정보 센터 기반 제어 영역(710), 원주청 교통 정보 센터 기반 제어 영역(712), 대전청 교통 정보 센터 기반 제어 영역(715), 익산청 교통 정보 센터 기반 제어 영역(716) 및 부산청 교통 정보 센터 기반 제어 영역(71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에서, 제어 영역 간에 위치하는 영역은 틈새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의 (b)는 메인 영역의 출력 장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제어 영역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어 영역은 제1 출력 장치(612)에 대응하는 제어 영역(720), 제2 출력 장치(614)에 대응하는 제어 영역(722), 제3 출력 장치(616)에 대응하는 제어 영역(724) 및 제4 출력 장치(618)에 대응하는 제어 영역(7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b)에서, 제어 영역 간에 위치하는 영역은 틈새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의 (c)는 운영 단말의 선택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제어 영역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어 영역은 운영 단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설정된 제어 영역(730)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제어 영역은 원형 형태로 설정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도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제어 영역의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서브 영역에 출력된 상황판을 나타낸다.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조작 신호가 입력된 제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선정하고, 선정된 서브 영역 내에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서울청 교통 정보 센터 기반 제어 영역(710)에 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조작 신호가 입력된 제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인 4 개의 출력 장치(622, 624, 626, 628)로 구성된 제1 서브 영역(620)에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부산청 교통 정보 센터 기반 제어 영역(718)에 대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교통 정보 처리 장치(220)는 조작 신호가 입력된 제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인 4 개의 출력 장치(632, 634, 636, 638)로 구성된 제2 서브 영역(630)에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교통 시스템
20: 정보 수집 그룹
30: 교통 정보 센터
32: 교통 정보 관리 시스템
40: 정보 제공 그룹
210: 정보 수집 장치
220: 교통 정보 처리 장치
230: 저장 장치
240: 제공 장치
250: 센터 설비

Claims (12)

  1.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대상 데이터를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인 영역의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서브 영역의 출력을 제어하는 상황판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판 출력 제어부는,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하는 출력 대상 제어부;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메인 영역 내에 제어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제어 영역에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상기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영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영역 제어부; 및 상기 출력 대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황판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영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상기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상황판 출력을 제어하는 상황판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 제어부는,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된 제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서브 영역 내에 상기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영역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영역 각각에 출력되고 있는 출력 대상 데이터의 출력 시작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출력 시작 시간이 가장 빠른 하나의 서브 영역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는,
    상기 교통 관련 정보를 융합하고, 전국 및 광역 교통 정보를 전자 지도에 통합하고, 상기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추가로 매칭시켜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교통 정보 처리부는,
    경찰청의 사고 정보 또는 기상청의 기상 정보를 상기 교통 관련 정보와 함께 융합하여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대상 제어부는,
    상기 통합 교통 정보에서 추출된 복수의 교통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출력 대상 후보 데이터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복수의 출력 대상 후보 데이터 중 상기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제어부는,
    상기 상황판을 구성하는 복수의 출력 장치를 그룹화하여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을 구분하며,
    상기 영역 제어부는, 상기 상황판의 중앙에 위치한 출력 장치를 메인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나머지 출력 장치를 서브 영역으로 그룹화하되, 상기 메인 영역을 기준으로 좌측의 서브 영역을 제1 서브 영역으로 설정하고, 우측의 서브 영역을 제2 서브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제어부는,
    지방청 교통 센터의 관리 지역, 메인 영역의 출력장치 및 운영 단말의 선택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제어부는,
    상기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영역 각각에 출력되고 있는 출력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에 따른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상기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하나의 서브 영역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
  11. 교통 정보 처리 장치에서,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통합 교통 정보 처리 단계; 및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대상 데이터를 상황판의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인 영역의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서브 영역의 출력을 제어하는 상황판 출력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판 출력 제어 단계는,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하는 출력 대상 제어 단계;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메인 영역 내에 제어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제어 영역에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상기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영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영역 제어 단계; 및 상기 출력 대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황판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영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상기 서브 영역에 출력되도록 상황판 출력을 제어하는 상황판 출력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 제어 단계는,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된 제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서브 영역 내에 상기 영역 출력 대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영역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가장 가까운 서브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영역 각각에 출력되고 있는 출력 대상 데이터의 출력 시작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출력 시작 시간이 가장 빠른 하나의 서브 영역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12. 삭제
KR1020230060552A 2023-05-10 2023-05-10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91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552A KR102591593B1 (ko) 2023-05-10 2023-05-10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552A KR102591593B1 (ko) 2023-05-10 2023-05-10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593B1 true KR102591593B1 (ko) 2023-10-19

Family

ID=8850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552A KR102591593B1 (ko) 2023-05-10 2023-05-10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5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153A (ko) * 2004-12-17 2006-06-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 정보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954375B1 (ko) * 2008-05-06 2010-04-26 (주) 티앤엑스시스템즈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KR20120105205A (ko) * 2011-03-15 2012-09-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83753B1 (ko) * 2016-04-28 2016-12-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터널 설비들 및 도로 설비들을 관리하는 도로 통합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터널 운영 시스템, 중앙 취합 서버
KR20170022694A (ko) * 2015-08-21 2017-03-02 주식회사 제이비티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101719799B1 (ko) * 2015-12-04 2017-03-27 한국도로공사 교통정보 감응형 cctv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153A (ko) * 2004-12-17 2006-06-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 정보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954375B1 (ko) * 2008-05-06 2010-04-26 (주) 티앤엑스시스템즈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KR20120105205A (ko) * 2011-03-15 2012-09-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2694A (ko) * 2015-08-21 2017-03-02 주식회사 제이비티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101719799B1 (ko) * 2015-12-04 2017-03-27 한국도로공사 교통정보 감응형 cctv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83753B1 (ko) * 2016-04-28 2016-12-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터널 설비들 및 도로 설비들을 관리하는 도로 통합관리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터널 운영 시스템, 중앙 취합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skin et al. A hierarchical objective set covering model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vehicle deployment
Larson Approximating the performance of urban emergency service systems
Hogan et al.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backup coverage
KR102024695B1 (ko) 감시카메라 배치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CN111092938A (zh) 一种基于云平台的智慧城市管理系统
CN105427221A (zh) 一种基于云平台的警务管理方法
CN105407159A (zh) 物流运输位置服务系统
KR102377637B1 (ko) 하이브리드 교통신호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Galderisi et al.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isk mitigation: the case of Vulcano Island, Italy
CN115752490A (zh) 基于大数据和定位技术的安全出行路径优化方法及系统
CN115017244A (zh) 一种地理信息大数据与人口数据融合服务社区治理的方法
KR102591593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l-Majhad et al. A traffic congestion framework for smart riyadh city based on IoT services
KR102593845B1 (ko) 특정 상황에 대한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실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93847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영상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93846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정보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591591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보안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604783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l2 스위치 그룹 연결 링크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91592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화상 회의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73708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90358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13592317A (zh) 一种基于nlp的智能指挥预案方法
KR102590356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돌발 이벤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Zhang et al. An open urban emergency decision support system
KR102590357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