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357B1 -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357B1
KR102590357B1 KR1020230043117A KR20230043117A KR102590357B1 KR 102590357 B1 KR102590357 B1 KR 102590357B1 KR 1020230043117 A KR1020230043117 A KR 1020230043117A KR 20230043117 A KR20230043117 A KR 20230043117A KR 102590357 B1 KR102590357 B1 KR 102590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ffic
traffic information
failur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원
서승규
이진경
Original Assignee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은,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로부터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고,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 간 장애 점검을 수행하며,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상황실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상황실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Failure of Traffic Control Room in Traffic Information Center}
본 발명은 교통 정보 센터 내 교통 상황실의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국가 교통 정보센터(National Traffic Information Center)는 국가 차원에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전국적인 교통체계의 안전성, 원활성,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전국 주요 도로에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을 구축함에 따라 국가 교통 정보센터의 역할은 더 중요해 지고 있다.
국가 교통 정보센터는 교통정보 연계, 통합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 특별교통수송대책 등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 및 지원을 위해 운영된다. 특히, 국가 교통 정보센터는 각 기관에서 수집되는 교통정보 및 센터설비를 활용하여 교통 상황관리 및 긴급사고처리, 소통정보 제공 등 교통 소통과 관련된 운영을 수행한다.
다만, 교통 상황실에서 교통 정보에 대한 출력을 수행하여 교통 상황 관제를 처리하나, 내부적인 통신 장애가 발생할 경우 이를 진단하기 어렵다. 이에, 장애에 대한 점검, 판단 및 복구 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 및 유관 기관으로부터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통합 처리한 통합 교통 정보를 상황실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황실 출력 모듈이 구비된 교통 상황실에 대한 장애 점검, 장애 판단 및 장애 복구를 수행하는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국가 교통 정보 센터에서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은,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로부터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고,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 간 장애 점검을 수행하며,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상황실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상황실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국가 교통 정보 센터에서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은,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로부터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정보 처리 단계; 및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고,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 간 장애 점검을 수행하며,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상황실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상황실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통 상황실에서 발생되는 장애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가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정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 처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실의 장애 처리를 위한 시스템 관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가 교통 정보 센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실의 장애 판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10)은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 유관 기관 단말(30), 국가 교통 정보센터(40) 및 정보 제공 서버(50)를 포함한다. 도 1의 지능형 교통 시스템(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지능형 교통 시스템(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10)은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를 운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10)은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에 대하여 전자, 제어 및 통신 등 첨단 교통 기술과 교통 정보를 개발 및 활용함으로써 교통체계의 운영 및 관리를 과학화 및 자동화하고, 교통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교통체계 시스템이다.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Local Traffic Information Center, 20)는 지역적인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지역 교통체계의 안전성, 원활성,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관으로서, 지방청에서 운영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의미한다.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는 지역 교통 정보 수집, 지역 교통사고 대응, 지역 교통정체 대응, 지역 교통정책 수립 등을 수행한다.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는 기 설정된 지역 내의 도로 센서 설비, CCTV 설비,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 설비, 대중 교통 설비 등을 관리한다.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는 국가 교통 정보센터(40)와 연동하며,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 및 국가 교통 정보센터(40)는 교통 정보 수집, 분석 등을 위해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는 기 설정된 지역 내에서 수집된 도로 교통 정보, CCTV 영상정보, 도로전광표지(VMS) 정보, 광역 대중교통정보 등에 대한 교통 관련 정보를 국가 교통 정보센터(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는 국가 교통 정보센터(40)로부터 수신된 지역 교통정책, 교통 대응 정보, 돌발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에 따라 구축된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는 제1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2), 제2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4), 제3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는 서울청 교통 정보 센터, 대전청 교통 정보 센터, 원주청 교통 정보 센터, 익산청 교통 정보 센터, 부산청 교통 정보 센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2, 24, 26) 각각은, 서로 다른 지역에 대한 교통 정보를 관리하며, 지역 각각에 대한 서로 다른 지역 각각의 도로 센서 설비, CCTV 설비,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 설비, 대중 교통 설비 등을 운용할 수 있다.
유관 기관 단말(30)은 국가 교통 정보센터(40)의 운용과 관계된 임무를 수행하는 기관 또는 기관에 구비된 단말을 의미한다.
유관 기관 단말(30)은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관 기관 단말(30)은 고속도로 관련 기관(예: 한국도로공사, 민자고속도로 등), 일반국도 관련 기관(예: 국토부 산하 지방청), 지방도 관련 기관, 시군도 관련 기관일 수 있으며, 경찰청, 기상청, 산림청, 민간 기업(예: 통신사, 차량 IT 기술 관련 기업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 및 유관 기관 단말(30)은 서로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 및 유관 기관 단말(30)의 전체 또는 일부 구성은 서로 통합되거나, 직접적으로 연결된 구성일 수 있다.
국가 교통 정보센터(National Traffic Information Center, 40)는 국가 차원에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전국적인 교통체계의 안전성, 원활성,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관으로서, 정부에서 운영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의미한다.
국가 교통 정보센터(40)는 교통정보 연계, 통합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 특별교통수송대책 등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 및 지원을 위해 운영된다. 여기서, 국가 교통 정보센터(40)의 운영은 각 기관에서 수집하는 교통정보 및 센터설비를 활용하여 교통 상황관리 및 긴급사고처리, 소통정보 제공 등 교통 소통과 관련된 일체의 행위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운영을 의미한다. 국가 교통 정보센터(40)의 센터설비는 신속하고, 정확한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설비로서, 각 기관의 교통정보를 연계, 대국민 서비스 등에 활용되는 설비를 의미한다.
국가 교통 정보센터(40)는 교통 안전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
국가 교통 정보센터(40)에서 제공하는 교통 서비스 정보에는 실시간 교통 정보, 경로 정보, 교통 혼잡 정보, 도로 교통 사고 정보, 고속도로 휴게소 및 톨게이트의 이용 상황, 돌발 이벤트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교통 정보센터(40)는 교통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들이 교통 혼잡 구간과 교통 사고가 발생한 지역 등을 미리 파악하여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국가 교통 정보센터(40)는 교통 서비스 정보를 유관 기관 또는 기 설정된 소정의 외부 장치로 제공하여 돌발 이벤트 대응, 임무 수행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국가 교통 정보센터(40)는 교통 서비스 정보를 교통 정책 수집기관, 연구기관 등에 제공하여, 교통 흐름 개선과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교통정책 수립,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국가 교통 정보센터(40) 내에 설치되어, 정보 수집, 정보 관리 처리, 정보 제공 처리, 정보 저장 등 국가 교통 정보센터(4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통합 처리하여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생성된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돌발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여 돌발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정보 제공 서버(50)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제공 서버(50)는 국가 교통 정보센터(40)의 교통 정보 시스템(42)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정보 제공 서버(50)는 국가 교통 정보센터(40)로부터 지역 교통정책, 교통 대응 정보, 돌발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 실시간 교통 정보, 교통 상황 통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 서버(50)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52), 유관 기관 서버(54), 연구 기관 서버(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제공 서버(52)는 대국민 도로 교통, 대중 교통, 환승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인터넷 서비스, 현장안내 시스템(예: KIOSK, PDP)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ARS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예: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 키오스크 단말 등)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유관 기관 서버(54)는 유관 기관의 교통, 환승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교통 정보, 소통정보, CCTV 영상 정보, 돌발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 예컨대, 청와대(국가위기상황센터), 국가정보원, 행정안전부, 소방방재청, 군 관련 기관 등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연구 기관 서버(56)는 교통 정책 기관의 통계 분석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교통 분석 정보, 교통 통계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 예컨대, 교통정책 수집 기관, 연구기관 등과 연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가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정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교통 정보 처리 장치(44) 및 상황실 처리 장치(46)을 포함한다. 교통 정보 처리 장치(44)은 정보 수집 모듈(210),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 정보 제공 처리 모듈(230) 및 정보 저장 모듈(240)을 포함한다. 또한, 상황실 처리 장치(46)는 시스템 관리 모듈(250) 및 상황실 출력 모듈(260)을 포함한다. 도 2의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교통 정보 시스템(42)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처리 장치(44)는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로부터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44)에 포함된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정보 수집 모듈(210)은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로부터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정보 수집 모듈(210)은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도로 교통 정보, CCTV 영상정보,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 정보 및 광역 대중교통정보 등을 포함하는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 모듈(210)은 유관 기관 단말(30)로부터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유관 기관 단말(30)은 고속도로 관련 기관(예: 한국도로공사, 민자고속도로 등), 일반국도 관련 기관(예: 국토부 산하 지방청), 지방도 관련 기관, 시군도 관련 기관일 수 있으며, 경찰청, 기상청, 산림청, 민간 기업(예: 통신사, 차량 IT 기술 관련 기업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 모듈(210)은 유관 기관 단말(30)로부터 전송된 사고 정보, 기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수집 모듈(210)은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 각각으로부터 교통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중계 센터(예: 국도 통합 센터), 중계 장치(중계 서버, 빅데이터 서버, 연계 서버 등) 등을 경유하여 교통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은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돌발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정보 제공 처리 모듈(230)은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정보 제공 처리 모듈(230)은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50)로 전달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정보 제공 처리 모듈(230)은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50)에 포함된 복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제공 처리 모듈(230)은 정보 제공 서버(50)으로부터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 유관 기관과 연동하는 유관 기관 서버(54)로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정보 제공 처리 모듈(230)은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의 돌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유관 기관을 선정하고, 선정된 유관 기관과 연동하는 유관 기관 서버(54)로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 처리 모듈(230)은 돌발 이벤트 종류 및 관련 기관에 대해 매칭된 테이블 또는 인공지능 기반의 추정 기법을 이용하여 유관 기관을 선정할 수 있다.
정보 저장 모듈(240)는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의 처리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정보 저장 모듈(240)는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로부터 교통 관련 정보, 통합 교통 정보,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한편, 정보 저장 모듈(240)는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의 요청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기 저장된 정보를 불러와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저장 모듈(240)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저장 모듈(예: 클라우드, 가상 메모리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황실 처리 장치(46)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44)와 연동하고, 교통 정보 처리 장치 간 장애 점검을 수행하며, 통합 교통 정보를 상황실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상황실 처리 장치(46)에 포함된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시스템 관리 모듈(250)은 통합 교통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상황실 출력 모듈로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통합 교통 정보의 정상적인 출력을 위해 교통 정보 처리 장치 간 장애 점검, 장애 판단 및 장애 복구를 수행한다.
시스템 관리 모듈(250) 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황실 출력 모듈(260)은 적어도 하나의 상황실 출력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황실 출력부 각각을 통해 통합 교통 정보를 출력한다.
적어도 하나의 상황실 출력부 각각은 모니터와 같이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발 이벤트 처리를 위한 정보 관리 처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은 교통 정보 통합 처리부(310), 실시간 교통 정보 처리부(320) 및 돌발 이벤트 처리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은 대중 교통 정보 처리부(3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은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돌발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에 포함된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교통 정보 통합 처리부(310)는 교통 관련 정보를 융합하고, 전국 및 광역 교통 정보를 전자 지도에 통합하여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교통 정보 통합 처리부(310)는 교통 관련 정보에 포함된 도로 교통 정보, CCTV 영상정보,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 정보 및 광역 대중교통정보를 동일 또는 유사 카테고리끼리 융합하고, 융합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들을 전자 지도에 통합한다. 여기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의 융합은 정보의 결합, 합산, 필터링, 삭제, 수정 등을 포함하는 처리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지도는 표준화된 전자 지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교통 정보 통합 처리부(310)는 정보 결합 시, 중복 또는 기 설정된 필터링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필터링을 통해 정보를 삭제 및 가공할 수 있다.
한편, 교통 정보 통합 처리부(310)는 경찰청의 사고 정보 또는 기상청의 기상 정보가 추가로 획득된 경우, 교통 관련 정보와 함께 사고 정보, 기상 정보 등을 융합하여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실시간 교통 정보 처리부(320)는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통합 교통 정보에 매칭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실시간 교통 정보 처리부(320)는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도로 상의 교통량, 혼잡 정도 등을 분석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통합 교통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실시간 교통 정보 처리부(320)는 전자 지도에 실시간 교통 정보를 추가 처리할 수 있으며, 숫자, 색상, 음영 등을 통해 도로 상의 교통량, 혼잡 정도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돌발 이벤트 처리부(330)는 전자 지도 상에서 돌발 이벤트가 감지되면, 돌발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돌발 이벤트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교통 정보를 추출하여 돌발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발 이벤트 처리부(330)는 이벤트 감지부, 이벤트 정보 획득부, 이벤트 판단부, 연관 교통 정보 추출부 및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돌발 이벤트 처리부(330)는 전자 지도 상에서 돌발 이벤트가 감지되면, 돌발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돌발 이벤트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교통 정보를 추출하여 돌발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돌발 이벤트 처리부(330)에 포함된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벤트 감지부는 돌발 이벤트를 감지한다.
이벤트 감지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거나,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돌발 이벤트를 감지한다.
이벤트 감지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돌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돌발 이벤트를 감지하거나 제보를 통해 돌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는 유관 기관의 단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찰청, 소방방재청 등과 연동하는 장치 또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감지부는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비정상적인 교통 정보(예: 급격한 교통 혼잡 변화, 기상정보 기반 교통 혼잡 등)를 기반으로 돌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 획득부는 돌발 이벤트가 감지되면, 돌발 이벤트에 대한 돌발 이벤트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이벤트 정보 획득부는 돌발 이벤트에 대한 종류 정보, 발생 위치 정보 및 상황 심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돌발 이벤트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돌발 이벤트 관련 정보에 포함된 종류 정보는 산불, 기상이변, 대형 교통사고 등 돌발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이고, 발생 위치 정보는 고속도로, 일반도로, 이면도로 등 돌발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예: 좌표, 영역 등)에 대한 정보이며, 상황 심각도 정보는 돌발 이벤트에 대한 발생 범위, 사고 차량 수, 확산 속도 등의 기 설정된 기준조건을 기반으로 산출된 레벨 또는 등급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벤트 정보 획득부는 돌발 이벤트의 감지 위치와 관련된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 유관 기관(경찰청, 소방방재청 등)으로부터 돌발 이벤트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벤트 판단부는 돌발 이벤트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돌발 이벤트를 분류하고, 분류 결과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돌발 이벤트 판단 정보를 산출한다.
이벤트 판단부는 돌발 이벤트 관련 정보에 포함된 종류 정보에 대한 제1 분류값, 발생 위치 정보에 대한 제2 분류값 및 상황 심각도 정보에 대한 제3 분류값을 도출한다. 이벤트 판단부는 돌발 이벤트 관련 정보에 대한 기 설정된 분류 테이블을 기반으로 제1 분류값, 제2 분류값 및 제3 분류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벤트 판단부는 제1 분류값, 제2 분류값 및 제3 분류값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돌발 이벤트 판단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가중치는 돌발 이벤트 관련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값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발 이벤트의 종류, 발생 위치, 상황 심각도 등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되는 값일 수도 있다.
연관 교통 정보 추출부는 돌발 이벤트와 연관된 이벤트 관련 교통정보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연관 교통 정보 추출부는 돌발 이벤트에 대응하기 위한 이벤트 대응 기관의 출발지 정보를 획득하고, 출발지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경로를 선정하고, 복수의 경로 각각에 대응하는 이벤트 관련 교통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이벤트 관련 교통정보는 돌발 이벤트와 관련된 경로에 대한 도로 정보, 교통량, 혼잡 정도, 돌발 이벤트 발생 위치까지의 거리, 돌발 이벤트 발생 위치 도착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대응 기관은 돌발 이벤트와 관련된 유관 기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관 교통 정보 추출부는 돌발 이벤트가 산불 관련 이벤트인 경우, 소방방재청으로부터 돌발 이벤트에 대응 또는 지원을 위한 소방차의 출발지 정보를 획득하고, 출발지 정보를 기반으로 소방차가 돌발 이벤트의 발생 위치까지 도착할 수 있는 복수의 경로를 선정하고, 선정된 복수의 경로 각각에 대응하는 이벤트 관련 교통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연관 교통 정보 추출부는 복수의 출발지 정보 각각과 돌발 이벤트의 발생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후보 경로를 추출하고, 복수의 후보 경로 중 전체 또는 일부를 복수의 경로로 선정하여 이벤트 관련 교통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연관 교통 정보 추출부는 경로 필터링 조건에 근거하여 복수의 후보 경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복수의 경로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 필터링 조건은 후보 경로 내에 기 설정된 기준 도로폭 이하의 도로의 존재하는 후보 경로 제거, 동일 출발지 기준 3 개 이상의 후보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 2 개의 후보 경로로 조정 등의 조건일 수 있다.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 생성부는 돌발 이벤트 판단 정보 및 이벤트 관련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돌발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를 생성한다.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 생성부는 돌발 이벤트 판단 정보에 근거하여 돌발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한 도착 시간 우선 조건, 최단 경로 우선 조건 및 최근접 도달 영역 우선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우선 조건에 해당하는 이벤트 관련 교통정보를 결정하여 돌발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를 생성한다.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 생성부는 돌발 이벤트 판단 정보를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우선 조건 중 하나의 우선 조건을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 생성부는 돌발 이벤트 판단 정보의 판단 결과값과 기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고, 판단 결과값과 임계치의 차이값이 포함된 범주에 대응하는 우선 조건을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우선 조건 각각은 기 정의된 서로 다른 범주(차이값에 대한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 생성부는 판단 결과값과 임계치의 차이값에 대응하는 범주가 설정된 “도착 시간 우선 조건”을 선정하고, “도착 시간 우선 조건”에 해당하는 이벤트 관련 교통정보를 결정하여 돌발 이벤트 대응 교통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은 대중 교통 정보 처리부(3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대중 교통 정보 처리부(340)는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대중 교통에 대한 노선 정보, 운행 정보, 환승 정보, 실시간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대중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대중 교통 정보 처리부(340)는 생성된 대중 교통 정보를 정보 제공 처리 모듈(230)을 통해 교통 정보 제공 서버(52)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대중 교통 정보 처리부(340)는 돌발 이벤트를 판단 결과 즉, 돌발 이벤트 판단 정보의 산출값에 따라 대중 교통 정보를 특정 대상 또는 특정 영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돌발 이벤트를 판단 결과 기반의 대중 교통 정보의 제공은 국민의 신속한 이동 및 대피 안내를 위한 정보 제공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중 교통 정보 처리부(340)는 돌발 이벤트 판단 정보의 산출값이 기 설정된 정보 제공 임계값 이상인 경우, 돌발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특정 영역(예: 반경 2 km 영역)에 대중 교통 정보를 브로트캐스팅(Broadcasting)하거나, 돌발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로 대중 교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은 통신사 또는 경찰청 관련 기관과 연계하여 확인된 단말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실의 장애 처리를 위한 시스템 관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관리 모듈(250)은 상황실 관리 처리부(410), 장애 점검 처리부(420), 장애 판단 처리부(430) 및 장애 복구 처리부(440)를 포함한다.
도 4의 시스템 관리 모듈(25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 관리 모듈(25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관리 모듈(250)은 통합 교통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상황실 출력 모듈로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통합 교통 정보의 정상적인 출력을 위해 교통 정보 처리 장치 간 장애 점검, 장애 판단 및 장애 복구를 수행한다.
상황실 관리 처리부(410)는 교통 상황 관제를 위한 상기 통합 교통 정보에 포함된 교통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황실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장애 점검 처리부(420)는 통합 교통 정보와 관련된 정보 수집, 정보 생성 및 정보 저장과 관련된 모듈 각각에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점검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점검 응답 신호를 획득하여 장애 점검을 수행한다.
장애 점검 처리부(420)는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모듈, 통합 교통 정보, 돌발 이벤트 정보, 대중 교통 정보 등을 생성하는 정보 관리 처리 모듈,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처리 모듈, 정보가 저장된 정보 저장 모듈 각각에 상기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점검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점검 응답 신호를 획득하여 장애 점검을 수행한다.
여기서, 점검 요청 신호는, 과거 공격 또는 고장으로 인해 장애가 발생했던 조건을 기록한 장애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장애 점검 처리부(420)는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모듈, 통합 교통 정보, 돌발 이벤트 정보, 대중 교통 정보 등을 생성하는 정보 관리 처리 모듈,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처리 모듈, 정보가 저장된 정보 저장 모듈 각각에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점검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점검 응답 신호를 획득한다.
여기서, 점검 요청 신호는 과거 공격 또는 고장으로 인해 장애가 발생했던 조건을 기록한 장애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점검 요청 신호는 특정 지역에 대한 교통 정보, 특정 상황(예: 명절, 휴일, 돌발 이벤트 등)의 교통 정보, 복수의 서로 다른 교통 정보(예: 상하행선 교통 정보, 교통 정보 및 대중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등을 요청하는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장애 점검 수행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자의 요청 또는 특정 상황(예: 돌발 이벤트 발생 상황, 명절 혼잡 예상 상황 등)에서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점검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점검 요청 신호에 포함된 조건 정보와 상기 점검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정보의 대응 여부에 따라 상기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장애가 발생한 비정상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즉,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조건 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수신 정보 또는 일부 정보가 누락된 수신 정보가 수신된 경우 장애가 발생한 비정상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다시 말해,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점검 요청 신호에 대한 점검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점검 요청 신호에 포함된 조건 정보와 점검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정보의 대응 여부에 따라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가 수신된 경우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즉, 조건 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수신 정보 또는 일부 정보가 누락된 수신 정보가 수신된 경우 장애가 발생한 비정상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장애 복구 처리부(440)는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소정의 모듈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모듈과 연결된 통신 경로를 우회시켜 장애 복구 처리를 수행한다.
장애 복구 처리부(440)는 정보 수집 모듈, 정보 관리 처리 모듈, 정보 제공 처리 모듈, 정보 저장 모듈 중 하나의 모듈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상기 모듈의 통신 경로를 우회 처리하여 상기 장애 복구 처리를 수행한다.
다시 말해, 장애 복구 처리부(440)는 정보 수집 모듈, 정보 관리 처리 모듈, 정보 제공 처리 모듈, 정보 저장 모듈 중 하나의 모듈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해당 모듈과 연결된 스위치, 라우터 등의 통신 경로를 주변 장비로 우회시켜 장애를 복구할 수 있다.
장애 복구 처리부(440)는 정보 수집 모듈, 상기 정보 관리 처리 모듈, 상기 정보 제공 처리 모듈, 상기 정보 저장 모듈 중 복수의 모듈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의 모듈 각각에 대한 상황실 연동 중요도를 산출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장애 복구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장애 복구 처리는 하나의 모듈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의 장애 복구 처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가 교통 정보 센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입력부(510), 출력부(520), 프로세서(530), 신경망(540), 메모리(550) 및 데이터베이스(560)를 포함한다. 도 3의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교통 정보 시스템(42)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한편,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교통 정보 시스템(42)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은 각각 별도의 소프트웨어 장치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510)는 교통 정보 관리 동작, 돌발 이벤트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획득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입력부(510)는 프로세서(530)와 연동하여 다양한 형태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직접 데이터를 획득하여 프로세서(5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부(510)는 정보 수집 모듈(210)의 전체 또는 일부 수행 동작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520)는 프로세서(530)와 연동하여 통합 교통 정보,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520)는 프로세서(530)에서 생성된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50)로 전달하여 외부 장치로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출력부(520)는 정보 제공 처리 모듈(230)의 전체 또는 일부 수행 동작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510) 및 출력부(5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는, 입력부(510)에서 획득된 정보를 프로세서(530)에 전달하거나, 또는 프로세서(53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실질적으로 입력부(510) 및 출력부(52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메모리(55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30)는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돌발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530)는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의 전체 또는 일부 수행 동작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신경망(540)과 연동하여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530) 및 신경망(540)는 서로 다른 모듈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모듈로 결합되어 각각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신경망(540)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를 기반으로 돌발 이벤트 판단, 분류값 산출, 가중치 부여 등과 관련된 신경망 처리를 수행한다.
신경망(540)은 입력 노드와, 중간 노드 및 출력 노드를 가지며, 각 노드를 연결하는 연결 가중치로서, 트레이닝 데이터를 통해 미리 학습이 완료된 결정 가중치에 의하여 특정된 구조를 갖는다. 신경망(540)의 출력값은, 확장 영역의 좌표값, 단위 블록 영역의 좌표값일 수 있으며, 확장 영역 또는 단위 블록 영역에 대한 특징값 행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50)는 프로세서(53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메모리(550)는 교통 정보 관리 동작, 돌발 이벤트 처리 동작 등을 위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50)는 신경망 학습 결과 및 신경망의 입력값 또는 출력값의 전처리를 위한 동작 등을 위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6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560)는 클라우드, 가상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560)는 교통 관련 정보, 통합 교통 정보, 이벤트 대응 교통 정보 등을 저장 및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60)는 교통 정보 시스템(42) 내에 구현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데이터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S610).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20)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도로 교통 정보, CCTV 영상정보,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 정보 및 광역 대중교통정보 등을 포함하는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유관 기관 단말(30)로부터 전송된 사고 정보, 기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 처리하여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S620).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교통 관련 정보를 융합하고, 전국 및 광역 교통 정보를 전자 지도에 통합하여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통합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를 매칭한다(S630).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도로 상의 교통량, 혼잡 정도 등을 분석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실시간 교통 정보를 통합 교통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통합 교통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상황실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한다(S640).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장애 점검을 수행한다(S650).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660).
단계 S660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장애 복구 처리를 수행한다.
도 6에서는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6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 또는 매체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교통 정보 시스템(42)에서, 정보 수집 모듈(210), 정보 관리 처리 모듈(220), 정보 제공 처리 모듈(230) 및 정보 저장 모듈(240) 각각에는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스위치는 L2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3 스위치, L4 스위치, 라우터 등일 수 있다.
교통 정보 시스템(42)은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 발생 모듈과 연결된 스위치, 라우터 등의 통신 경로를 주변 장비로 우회시켜 장애를 복구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상황실의 장애 판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장애 판단 구간(800)에서 복수의 장애 점검(810 내지 850)을 수행하며,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각각의 장애 점검에 대한 결과에 따라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의 (a)와 같이,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점검 요청 신호에 포함된 조건 정보와 점검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정보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신호가 연속되지 않고 한번만 발생한 경우 일시적인 오류로 판단하여 장애 발생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도 8의 (b) 및 (c)와 같이,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점검 요청 신호에 포함된 조건 정보와 점검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정보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신호가 연속되게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8의 (d)와 같이, 장애 판단 처리부(430)는 점검 요청 신호에 포함된 조건 정보와 점검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정보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신호가 연속되지 않고 두 번 이상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진 않고 모니터링이 필요한 주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람 처리를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능형 교통 시스템 20: 지방청 교통정보 센터
30: 유관 기관 단말 40: 국가 교통 정보 센터
42: 교통 정보 시스템 50: 정보 제공 서버
210: 정보 수집 모듈 220: 정보 관리 처리 모듈
230: 정보 제공 처리 모듈 240: 정보 저장 모듈
250: 시스템 관리 모듈 260: 상황실 출력 모듈

Claims (13)

  1. 국가 교통 정보 센터에서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로부터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고,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 간 장애 점검을 수행하며,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상황실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상황실 처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실 처리 장치는, 상기 통합 교통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상황실 출력 모듈로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통합 교통 정보의 정상적인 출력을 위해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 간 장애 점검, 장애 판단 및 장애 복구를 수행하는 시스템 관리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상황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황실 출력부 각각을 통해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출력하는 상황실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관리 모듈은, 교통 상황 관제를 위한 상기 통합 교통 정보에 포함된 교통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상황실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상황실 관리 처리부; 상기 통합 교통 정보와 관련된 정보 수집, 정보 생성 및 정보 저장과 관련된 모듈 각각에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점검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점검 응답 신호를 획득하여 장애 점검을 수행하는 장애 점검 처리부; 상기 점검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장애 판단 처리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소정의 모듈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모듈과 연결된 통신 경로를 우회시켜 장애 복구 처리를 수행하는 장애 복구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 판단 처리부는, 상기 점검 요청 신호에 포함된 조건 정보와 상기 점검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정보의 대응 여부에 따라 상기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장애 판단 처리부는, 소정의 장애 판단 구간에서 복수의 장애 점검을 수행하며, 복수의 장애 점검 중 상기 점검 요청 신호에 포함된 조건 정보와 상기 점검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정보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신호가 연속되게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발생하는 신호가 연속되지 않고 한번만 발생한 경우 일시적인 오류로 판단하여 장애 발생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소정의 장애 판단 구간 중 상기 차이가 발생하는 신호가 연속되지 않고 두 번 이상 발생한 경우, 모니터링이 필요한 주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로부터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모듈;
    상기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관리 처리 모듈; 및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상기 상황실 처리 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점검 처리부는,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모듈, 통합 교통 정보, 돌발 이벤트 정보 및 대중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관리 처리 모듈,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처리 모듈 및 정보가 저장된 정보 저장 모듈 각각에 상기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점검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점검 응답 신호를 획득하여 장애 점검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요청 신호는,
    과거 공격 또는 고장으로 인해 장애가 발생했던 조건을 기록한 장애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판단 처리부는,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장애가 발생한 비정상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조건 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수신 정보 또는 일부 정보가 누락된 수신 정보가 수신된 경우 장애가 발생한 비정상 동작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복구 처리부는,
    정보 수집 모듈, 정보 관리 처리 모듈, 정보 제공 처리 모듈, 정보 저장 모듈 중 하나의 모듈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상기 모듈의 통신 경로를 우회 처리하여 상기 장애 복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복구 처리부는,
    상기 정보 수집 모듈, 상기 정보 관리 처리 모듈, 상기 정보 제공 처리 모듈, 상기 정보 저장 모듈 중 복수의 모듈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의 모듈 각각에 대한 상황실 연동 중요도를 산출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장애 복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교통 정보 시스템.
  11. 국가 교통 정보 센터에서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로부터 수집된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교통 정보 처리 단계; 및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고,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 간 장애 점검을 수행하며,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상황실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상황실 처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실 처리 단계는, 상기 통합 교통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상황실 출력 모듈로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통합 교통 정보의 정상적인 출력을 위해 상기 교통 정보 처리 장치 간 장애 점검, 장애 판단 및 장애 복구를 수행하는 시스템 관리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상황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황실 출력부 각각을 통해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출력하는 상황실 출력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관리 단계는, 교통 상황 관제를 위한 상기 통합 교통 정보에 포함된 교통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상황실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상황실 관리 처리 단계; 상기 통합 교통 정보와 관련된 정보 수집, 정보 생성 및 정보 저장과 관련된 모듈 각각에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점검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점검 응답 신호를 획득하여 장애 점검을 수행하는 장애 점검 처리 단계; 상기 점검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장애 판단 처리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소정의 모듈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모듈과 연결된 통신 경로를 우회시켜 장애 복구 처리를 수행하는 장애 복구 처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 판단 처리 단계는, 상기 점검 요청 신호에 포함된 조건 정보와 상기 점검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정보의 대응 여부에 따라 상기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장애 판단 처리 단계는, 소정의 장애 판단 구간에서 복수의 장애 점검을 수행하며,
    상기 장애 판단 처리 단계는, 복수의 장애 점검 중 상기 점검 요청 신호에 포함된 조건 정보와 상기 점검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정보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신호가 연속되게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발생하는 신호가 연속되지 않고 한번만 발생한 경우 일시적인 오류로 판단하여 장애 발생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소정의 장애 판단 구간 중 상기 차이가 발생하는 신호가 연속되지 않고 두 번 이상 발생한 경우 장애 발생이 아니지만 모니터링이 필요한 주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처리 단계는,
    복수의 지방청 교통 정보 센터로부터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교통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교통 정보가 매칭된 통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관리 처리 단계; 및
    상기 통합 교통 정보를 상기 상황실 처리 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 처리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13. 삭제
KR1020230043117A 2023-03-31 2023-03-31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90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117A KR102590357B1 (ko) 2023-03-31 2023-03-31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117A KR102590357B1 (ko) 2023-03-31 2023-03-31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357B1 true KR102590357B1 (ko) 2023-10-17

Family

ID=8855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117A KR102590357B1 (ko) 2023-03-31 2023-03-31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3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089B1 (ko) * 1995-03-09 1998-12-01 이희종 교통 관제 시스템의 분산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1243587A (ja) * 2000-02-25 2001-09-07 Toshiba Corp 道路交通管理システム
KR20180006149A (ko) * 2016-07-08 2018-01-17 이에스이 주식회사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486A (ko) * 2018-07-19 2020-01-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업데이트된 모니터링 정보를 통한 긴급상황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089B1 (ko) * 1995-03-09 1998-12-01 이희종 교통 관제 시스템의 분산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1243587A (ja) * 2000-02-25 2001-09-07 Toshiba Corp 道路交通管理システム
KR20180006149A (ko) * 2016-07-08 2018-01-17 이에스이 주식회사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486A (ko) * 2018-07-19 2020-01-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업데이트된 모니터링 정보를 통한 긴급상황 처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ylor et al. Transport network vulnerability: a method for diagnosis of critical locations in transport infrastructure systems
Xie et al. Spatial analysis of highway incident durations in the context of Hurricane Sandy
CN104123815B (zh) 一种高速公路自启动应急救援快速处置系统
KR101678004B1 (ko) 노드-링크 기반 카메라 네트워크 통합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CN115273480B (zh)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交通预警系统及其方法
CN112883936A (zh) 一种对车辆违规行为的检测方法及其系统
CN111414558B (zh) 导航路线的发送方法、显示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CN211630273U (zh) 用于铁路环境的图像智能识别装置
CN114771548A (zh) 用于高级驾驶辅助系统测试和验证的数据记录
KR102590357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상황실 장애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Hamad et al. Geovisualization of archived ITS data-case studies
KR102590358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90356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돌발 이벤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73708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90355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영상 융합 장치 및 방법
KR102593846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정보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594585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네트워크 성능 저하 감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93845B1 (ko) 특정 상황에 대한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실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91591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보안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94586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l2 스위치 연결 구조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91593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출력 영역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641868B1 (ko) 실시간 지역안전 정보관리 시스템
KR102593847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교통 영상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7746630B (zh) 一种基于大数据的行业安全生产监督管理系统
KR102604783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l2 스위치 그룹 연결 링크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