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410B1 - 음료, 특히 우유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특히 우유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410B1
KR102591410B1 KR1020187018178A KR20187018178A KR102591410B1 KR 102591410 B1 KR102591410 B1 KR 102591410B1 KR 1020187018178 A KR1020187018178 A KR 1020187018178A KR 20187018178 A KR20187018178 A KR 20187018178A KR 102591410 B1 KR102591410 B1 KR 10259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frother
container
milk frother
machin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548A (ko
Inventor
마우리치오 디아만티
발레리 차닌
Original Assignee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95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9Steam nozzles, e.g. for introducing into a milk container to heat and foam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특히 우유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로서, 기계 본체, 우유 용기(2), 우유 거품(frothed milk)을 얻기 위해 우유와 공기를 섞고 가열하도록 설계된 우유 거품기(frothing device)(3)를 포함하고, 기계 본체는 스팀(steam) 생성을 위한 보일러를 감싸고(housing), 기계 본체의 외벽(11)은 우유 거품기(3)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seat)(10)를 구비하며, 우유 거품기(3)는 상기 시트(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 상태의 거품기(3)는 스팀을 받기 위해 보일러와 연결되고, 우유 용기(2)는 우유 거품기(3)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결합된 상태의 우유 거품기(3)는 우유를 받기 위해 우유 용기(2)와 연결되며, 장치(1)는 장착 상태의 우유 거품기(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5)를 포함하고, 고정 부재(5)는, 작동 상태에서 우유 거품기(3)를 기계 본체에 구속시키고 시트(10)에서 우유 거품기(3)의 이탈을 방지하되, 비작동 상태에서 우유 거품기(3)가 시트(1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우유 거품기(3)를 해제하고, 우유 용기(2)는 우유 용기(2)가 장착 상태의 우유 거품기(3)에 결합한 때 고정 부재(5)가 작동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고정 부재(5)와 연동되며, 우유 용기(2)는 우유 용기(2)가 우유 거품기(3)로부터 분리 된 때 고정 부재(5)가 비활성 상태를 취하는(adopt) 방식으로 연동됨으로써, 우유 거품기(3)와 장착 상태의 우유 용기(2)는 기계 본체로부터 동시에 분리될 수 없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특히 우유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음료 제조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우유, 예를 들어 우유 거품 또는 카푸치노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유, 스팀, 및 공기를 혼합하여 우유 거품을 얻기 위해 고안된 우유 거품기를 갖춘 선행기술 장치가 있다.
일부 종래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1725151호에 개시된 장치에는, 우유 거품기가 위치하는 커버가 구비된 우유 용기가 있다. 우유 용기는 장치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착된 상태에서, 우유 거품기의 매니폴드 몸체는 장치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팀 분배기와 체결된다. 그러므로, 우유 거품기는 장치의 보일러로부터 스팀을 받고, 용기 아래의 우유를 흡입할 수 있다. 후자에 포함된 우유 거품기가 있는 용기 및 그 커버는 마치 단일체인 것처럼 장치에 동시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선행 기술 장치의 하나의 단점은, 우유 용기를 분리하는 동안, 커버가 씌어지지 않고 용기가 분리되면 사용자를 향하게 되는 스팀 분배기로부터 분출되는 스팀이 사용자에게 돌발적으로 부딪힐 위험과 연계된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하는 기술적 목적은, 상기 단점에 연계된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종래 기술 장치에 대한 대안적 해결 방안을 제공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특히 우유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명시된 기술적 목적 및 목표는 제1 항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은 대응하는 종속항들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해결 방안의 일 양태(aspect)에 따르면, 장치는 장치의 기계 본체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우유 용기, 및 우유 거품 장치를 포함한다. 장착된 상태에서, 우유 용기는 우유 거품기와 별도로 분리 가능하며, 장치는 우유 거품기와 우유 용기가 동시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유 용기의 존재에 의해 작동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우유 용기는 우유 거품기가 시트에 남게되는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우유 거품기는 우유 용기를 분리되는 경우에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 예에 따르는 이하의 설명에서 더 명백해진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절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에서의 도 1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일부가 분리된 도 4의 단면도의 상세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절단면(VI-VI)에 따른 단면에서의 도 1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절단면(VII-VII)에 따른 단면에서의 도1 장치의 부분 상세 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절단면(VIII-VIII)에 따른 단면에서의 도1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절단면(IX-IX)에 따른 단면에서의 도 1 장치의 부분 상세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절단면(X-X)에 따른 단면에서의 도 1 장치의 부분 상세 확대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1 장치의 일부인 우유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 우유 용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우유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우유 용기가 분리된 도 1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절단면(XVI-XVI)에 따른 단면에서의 도 14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일부가 분리된 도 16의 상세 단면도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절단면(XVIII-XVIII)에 따른 단면에서의 도 14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절단면(XIX-XIX)에 따른 부분에서의 도 14 장치의 상세 부분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2의 절단면(VIII-VIII)에 따른 단면 평면에 따른 단면에서의 도 14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3의 절단면(IX-IX)에 따른 단면에서의 도 14의 장치 부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참조 번호 1로 표시되며, 우유, 예를 들어 우유 거품 또는 카푸치노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체 장치(1)는 도시되지 않는다. 대신에, 이 설명과 목적과 관련된 일부 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장치(1)는 도면에 외벽(11)의 일부분 만이 도시된 기계 본체를 포함한다. 기계 본체는 스팀, 특히 고압(pressurised)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보일러를 감싸(house)거나 포함할 수 있다.
우우 거품기(3)는 우유 거품, 거품(bubble)을 포함하는 거품 우유(foamy milk)를 얻기 위해 우유를 공기와 스팀과 혼합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혼합 시스템 자체는, 기술 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실시 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유 거품기(3)는 우유 거품 챔버(40)를 포함하는 상자형 몸체(31)를 포함한다. 거품 챔버(40)는 공기 공급관(48), 우유 공급관(45), 및 스팀 공급관(35)을 포함한다. 사용 시, 스팀 공급관(35)은 장치(1)의 보일러와 연결되고 우유 공급관(45)은 우유 용기(2)와 연결된다.
특히, 스팀용 노즐(42)은 스팀 공급관(35)과 챔버(40) 사이에 개재된다. 노즐(42)은, 스팀의 흐름을 받을 때 국부적인 압력 강하를 생성함으로써, 우유를 용기(2)로 부터 우유 공급관(45)을 통해 흡입하고 공기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공기 공급관(48)을 통해 흡입하는, 수렴부(converging section)를 갖는다. 챔버(40)에서 우유, 공기 및 스팀이 혼합됨으로써, 우유 거품을 생성한다.
우유 거품기(3)는 또한 별도의 관(respective duct)(43)에 의해 챔버(40)에 연결됨에 따라서 챔버(40)에서 생성된 우유를 분배하도록 설계된 분배 꼭지(33)를 포함한다. 분배 꼭지(33)는 특히 사용 중에, 우유 거품을 아래의 컵에 직접 분배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우유 거품기(3)는 또한 제어 선택기 또는 레버(38)를 포함한다. 레버(38)는 관(48)을 통한 공기의 흐름의 공급을 형성하기 위한 중공체(hollow body)(385)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세하게, 레버(38)는 챔버(40) 및 분배 꼭지(33)를 세척하기 위해 물 및/또는 스팀을 사용하는 세척 사이클의 작동에 상응하는 세정 위치, 및 우유의 흡입 및 거품내기에 적합한 공기 흐름에 상응하는 정상 작동 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shiftable) 가능하다. 필요하다면, 세척 사이클 동안 우유를 흡입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우유 용기(2)와 우유 거품기(3)가 연결되지 않을 때, 세척 사이클이 수행될 수 있다. 레버(38)는 상자형 몸체(31)와 분리 가능한(disengageable) 위치로 위치변경 할 수 있으며 우유 거품기(3)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사용 중에, 우유 용기(2) 및 우유 거품기(3)는 기계 본체의 외부, 특히 장치 (1)의 정상적인 사용 중에 사용자를 향하는 외벽(11) 상에 위치된다. 외벽(11)은 우유 용기(2) 뿐만 아니라 우유 거품기(3)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10)를 구비한다. 우유 거품기(3)는 시트 (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시트(10)는 특히 외벽(11)에 부분적으로 움푹 패인 중공 또는 하우징이다.
대안적으로, 시트(10)는 파내어지지 않은 외벽(11)의 영역 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트(10)는 우유 거품기(3)가 사용을 위해 장착 될 수 있는 위치를 정의하는 장치(1)의 영역이다.
이미 상술 한 바와 같이, 기계 본체는 우유 거품기(3)의 작동에 필요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보일러를 포함한다. 실제적으로 스팀발생기 인 보일러는 스팀 분배기(15)에 연결되고, 외벽(11)에 고정되되 외벽(11)을 통과하여 시트(10) 내로 돌출한다.
우유 거품기(3)가 시트(10)에 장착된 상태일 때, 우유 거품기(3)는 보일러와 연결됨에 따라, 보일러로부터 스팀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장착 상태의 스팀 공급관(35)은 스팀 분배기(15) 상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스팀 분배기(15)와 스팀 공급관(35)은 실질적인 수평 연장선을 갖는다. 그러므로, 우유 거품기(3)는 또한 실질적인 수평 연장선을 따르는 상대적 이동과 함께 기계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유 거품기(3)는 관(35)과 증기 분배기(15) 사이의 기계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시트(10)내의 위치에서 지지된다.
우유 용기 (2)는 거품이 된 우유가 담겨질 내부 공간 (20)을 포함하는 상자 형 몸체(21)를 포함한다. 커버(23)는 우유 용기(2)의 내부 공간 (20)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해 본체 (21) 상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픽업 파이프(28)는 내부 공간 (20)에서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몸체 (21)의 바닥까지 도달한다. 픽업 파이프(28)의 반대쪽 단부에는 커버 (23)로부터 돌출하는 관형 커넥터(25)가 구비된다 상세하게, 관형 커넥터(25)는 만곡 또는 L 자형이며, 일정 길이를 가지고 커버 (23)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단부(26)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픽업 파이프 (28) 및 관형 커넥터 (25)는 커버(23)에 고정되고, 따라서, 함께 분리가 가능하다.
우유 용기(2)는 특히 우유 용기(2)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우유 거품기 (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할 수 있다. 결합된 상태에서, 우유 거품기(3)는 우유 용기(2)와 연결되어 있으며, 우유 용기로부터 거품이 될 우유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장착 상태에서 우유 거품기(3)의 우유 공급관(45)은 우유 용기 (2)의 픽업 파이프(28)의 단부(26)에 체결된다.
특히, 우유 거품기(3)가 시트(10)에 장착 될 때, 우유 공급관(45)은 실질적으로 수평 연장 선을 갖는다. 사용 조건에서, 단부(26)는 또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므로, 우유 용기(2)는 실질적인 수평선을 따르는 병진 이동인 상대적인 이동으로 우유 거품기(3)에 결합하거나 비결합된다. 도시 된 실시 예에서, 결합 상태의 우유 거품기(3)는 우유 용기(2)의 상부에 위치된다. 특히, 우유 거품기(3)는 커버(23) 상에 위치하고, 우유 거품기(3)의 박스형 몸체(31)는 우유 용기(2)의 몸체(21)와 연속되는 형체를 형성한다. (달리 말하면, 또한 연속성은 미적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우유 거품기(3)의 박스형 몸체(31)의 바닥은 우유 공급관(45)이 위치하는 단부에서 오목한 트랙(sunken track) 또는 홈(groove)(37)을 포함한다. 홈(37)은 실질적인 수평선을 따라 연장되고, 우유 용기(2)의 커버(23)로 부터 돌출된 관형 커넥터(25)를 수용한다. 상대적인 결합(연결) 또는 비결합(분리) 동작 동안, 관형 커넥터(25)의 단부(26)는 홈(37)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커버 (23)는 결합 상태에서 홈 (37)의 입구를 닫는 돌출 이(27)를 포함한다.
기계 본체의 외벽(11) 내의 시트(10)는 우유 거품기(3)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및 우유 용기(2)를 수용하기 위한 하부를 포함한다. 시트(10)의 바닥은 사용 중에 우유 용기 (2)의 바닥을 지지하는 저부(base)(12)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는 시트(10)에 장착 된 상태로 우유 거품기(3)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부재(5)를 포함한다. 잠금 부재(5)는, 잠금 부재(5)가 시트(10)로부터 우유 거품기(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유 거품기(3)를 기계 본체에 구속하는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 활성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잠금 부재(5)는, 잠금 부재(5)가 시트(10)로부터 우유 거품기(3)가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고 우유 거품기(3)를 기계 본체로부터 해제하는 (예를 들어,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 비활성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기초로 하는 양태에 따르면, 잠금 부재 (5)의 상태는 잠금 부재 (5)와 상호 작용하는 우유 용기(2)에 의해 결정되어, 우유 용기(2)의 우유 거품기(3) 및/또는 시트(10)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그 상태가 결정된다.
특히, 우유 용기(2)가 우유 거품기(3)에 결합되고, 우유 거품기(3)가 시트(10)에 장착된 상태(실질적으로 장치(1)가 우유 거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상태)에 있을 때, 잠금 부재(5)는 작동 상태로 유지되므로, 우유 거품기(3)는 시트(10)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우유 용기(2)가 우유 거품기(3)로부터 분리 될 때(그러므로 장치(1)가 우유 거품을 제조하기 위한 상태가 아닐 때), 잠금 부재(5)는 비활성 상태를 취하고, 그러므로 우유 거품기(3) 또한 시트(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1)에서 우유 거품기(3)와 결합 상태의 우유 용기(2)는 기계 본체로부터 동시에 분리될 수 없는 대신에, 하나씩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은, 우유 용기(2)를 분리하는 동안(예를 들어, 우유 용기(2)에 우유를 채우기 위하여),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우유 거품기(3)를 분리하고 사용자가 스팀 분배기(15)로부터 직분출되는 스팀에 돌발적으로 노출되는 위험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분리 후에, 우유 거품기(3)가 시트(10)에 장착 상태에 있는 동안, 우유 용기(2)는 우유 거품기(3)에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우유 용기 (2)는 우유 거품기(3)가 시트(10)로부터 분리 된 때 우유 거품기(3)에 결합 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유 용기(2) 및 우유 거품기(3)의 조립체는 단일체로서 취급 될 수 있다 . 그러나, 이미 상술 한 바와 같이, 이들이 시트(10)로부터 분리될 때에는 차례로만 가능하다
우유 용기(2)가 우유 거품기(3)로부터 분리되거나 분리 될 때, 잠금 부재(5)를 비활성 상태로 자동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리턴 시스템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유 용기(2)의 분리 후에, 우유 거품기(3)는 또한 분리 될 준비가 된다. 대안으로, 그 리턴 시스템의 부재에 따라서, 잠금 부재(5)는 우유 용기(2)의 분리 후에 사용자에 의한 동작에 의해 비활성 상태로 복귀 될 수 있다. 이 대안에서, 사용자가 적절한 수단은 우유 용기(2)가 우유 거품기(3)에 연결될 때 잠금 부재(5)가 비작동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면에 도시 된 실시 예로 돌아가서, 잠금 부재 (5)는 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비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한 이동 부재이다. 특히,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잠금 부재 (5)의 이동은 병진 이동(translation) 또는 각도 이동(angular shifting) 일 수 있다.
도시 된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 (5)는 우유 거품기(3) 상에 장착되고, 예를 들어 후크 형인 이(51)를 포함한다. 이(51)는 기계 본체 상에 존재하는 접촉 요소(13)에 걸리기 위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그 접촉 요소는 시트(10)의 영역에서 외벽(11)에 형성된 슬릿 또는 슬롯(14)의 엣지이거나 또는 그 엣지를 포함한다. 이(51)는 우유 거품기(3)가 시트(10)에 장착 상태일 때 슬릿 또는 슬롯(14)에 삽입될 수 있다.
잠금 부재(5)의 제1 위치는 이(51)가 접촉 요소(13)를 걸리는(hooking) 상태에 대응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이(51)가 슬롯(14)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시트(10) 내의 우유 거품기(3)를 고정한다.(도 9 참조). 잠금 부재(5)의 제2 위치는 이(51)가 접촉 요소(13)로부터 분리되고(unhooked), 따라서 우유 거품기(3) 의 분리를 방해하지 않는 상태(도 21 참조)에 대응한다.
상세하게는, 우유 용기(2)는, 우유 용기(2)가 결합 방향으로 우유 거품기(3)에 대해 슬라이딩 동작하는 동안, 잠금 부재(5)를 제 1 위치를 향해 강제하도록 설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연장에 따라, 우유 용기 (2)는 잠금 부재(5) 상에(직접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작용하여 그것을 제1 위치를 향해 이동시킨다.
도시 된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5)는 우유 거품기(3)의 몸체(31)에 고정 된 가이드(36)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 (36)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특히 수직 이동 라인을 따라) 병진 이동으로 잠금 부재 (5)를 구속하고 그 역도 성립시킨다 예를 들어, 가이드 (36)는 원통형 또는 설(tongue)형이고 잠금 부재(5)의 가늘고 긴(elongated) 중공 대응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된다.
리턴 시스템, 특히 스프링(365)은 제2 위치를 향해(즉, 비작동 상태를 향하여) 잠금 부재(5)를 가압하도록 설계된다. 스프링(365)은 잠금 부재(5)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로딩(loaded)된다.
잠금 부재(5)는 또한 병진 운동 선에 대해 기울여지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 중에 우유 용기(2)에 의해 차단되는 면(52)을 갖는 부분을 포함한다. 도 15, 도 17,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작동 상태에서, 잠금 부재(5)의 경사면(52)을 갖는 부분은 우유 거품기(3)의 박스형 몸체(31)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후자가 우유 거품기(3)에 결합할 때, 우유 용기(2)의 커버(23)가 점유하는 구역 내에 위치한다.
실제적으로 우유 용기(2)가 우유 거품기(3)에 결합 될 때, 경사면(52)과 우유 용기(2)의 커버(23) 사이의 상호 작용은 잠금 부재(5)를 제1 위치를 향하여 민다. 기본적으로 경사면(52)을 갖는 부분은 잠금 부재(5)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요소이다.
우유 용기(2) 및 우유 거품기(3)가 기계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상황에서부터, 사용자는 특히 스팀 분배기(15)가 스팀 공급관(35)에 삽입되도록 우유 거품기(3)를 수평 이동을 수반한 삽입을 통해 시트(10)에 장착한다. 이(51)는 슬릿(14)으로 들어가지만, 스프링(365)에 의해 비작동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사용자는 우유 용기(2)를 시트(10)에 완전히 삽입 될 때까지 수평 이동으로 슬라이드하여 장착한다. 이러한 동작 중에, 픽업 파이프(28)의 단부 (26)는 우유 공급관(45) 안에 삽입되고, 잠금 부재(5)는 제1 위치로 밀려서 우유 거품기(3)를 잠그고 우유 거품기(3)가 시트 (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완전히 조립 된 상태에서, 장치(1)는 우유 거품을 분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우유 거품기(3)가 잠금 부재(5)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에, 사용자는 전술 한 바와 반대되는 움직임으로 우유 용기(2)를 분리 할 수 있다.
특히, 부품들은, 상기 역방향 동작 중에, 픽업 파이프(28)의 단부(26)가 우유 공급관(45)으로부터 완전히 나온 후에만 잠금 부재(5)가 자유롭게 제 2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설계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유 거품기(3)는 우유 용기(2)가 우유 거품기(3)로부터 분리 된 때에만 해제된다.
필요하다면, 사용자는 또한 우유 거품기(3)를 분리하거나, 우유 용기(2)를 다시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남겨 질 수 있다. 분리 된 우유 용기(2)는 사용되지 않을 때 들어있는 우유를 보존하기 위해 냉장고에 보관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분리된 우유 거품기(3) 또한 냉장고에 위치 될 수 있다. 우유와 접촉하게 되는 우유 거품기(3) 및/또는 우유 용기(2)의 구성 요소는 완전히 분해되어 쉽게 세척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장치(1)는 또한 제2 음료, 특히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챔버(infusion chamber)(미도시) 및 제2 음료의 분배를 위한 별도의 분배 꼭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2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 챔버 및 다른 부품들(예를 들어 펌프 및 온수기)은 기계 본체에 포함된다(housed). 본 발명은 특히, 우유 거품을 제조하기 위한 양태에 관한 것이며, 주입에 의한 음료의 제조에 관한 양태(aspect)는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보다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장치(1)의 실시 예에서, 우유 거품기(3)와 주입 챔버의 결합된 사용은 예를 들어 카푸치노(즉, 커피 및 우유 거품을 포함하는 음료)가 제조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 경우, 스프링(365) 대신에 비작동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리턴 시스템은 잠금 부재(5)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5)는 잠금 부재(5)와 별도의 부품은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메카니즘의 일부이다. 제어 요소는 우유 용기(2)와 연동되며, 우유 용기(2)가 우유 거품기(3)와 결합한 때 잠금 부재(5)가 작동 상태로 되게 하기 위하여 잠금 부재(5)와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5)는 시트(10)의 영역, 특히 잠금 부재(5)의 이(51)가 우유 거품기(3) 상에 존재하는 접촉 요소에 걸리도록 기계 본체 상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이 경우에, 잠금 부재(5)는 제어 요소 또한 시트(10)의 영역에 또한 위치됨으로써 작동 상태로 이동 되며, 우유 거품기(3)가 시트(10) 내에 있을 때, 우유 용기(2)와 연동된다.
다른 대안적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는 다르게 제조될 수 있고 전술한 것과 다른 물리적 원리에 기초하여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는 우유 용기(2)의 위치에 기초하여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되는 전자석 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몇몇 방식으로 수정되고 적용될 수 있다. 모든 세부 사항은 다른 기술적으로 동등한 요소로 대체 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재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성 요소의 모양 및 치수는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Claims (20)

  1.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로서, 장치(1)는, 기계 본체, 우유 용기(2), 우유 거품(frothed milk)을 얻기 위해 우유와 공기를 섞고 가열하도록 설계된 우유 거품기(frothing device)(3)를 포함하고,
    기계 본체는 스팀(steam) 생성을 위한 보일러를 감싸고(housing), 기계 본체의 외벽(11)은 우유 거품기(3)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seat)(10)를 구비하며,
    우유 거품기(3)는 상기 시트(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 상태의 거품기(3)는 스팀을 받기 위해 보일러와 연결되고,
    우유 용기(2)는 우유 거품기(3)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결합된 상태의 우유 거품기(3)는 우유를 받기 위해 우유 용기(2)와 연결되며,
    장치(1)는 장착 상태의 우유 거품기(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5)를 포함하고, 고정 부재(5)는, 작동 상태에서 우유 거품기(3)를 기계 본체에 구속시키고 시트(10)에서 우유 거품기(3)의 이탈을 방지하되, 비작동 상태에서 우유 거품기(3)가 시트(1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우유 거품기(3)를 해제하고,
    우유 용기(2)는 우유 용기(2)가 장착 상태의 우유 거품기(3)에 결합한 때 고정 부재(5)가 작동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고정 부재(5)와 연동되며, 우유 용기(2)는 우유 용기(2)가 우유 거품기(3)로부터 분리된 때 고정 부재(5)가 비활성 상태를 취하는(adopt) 방식으로 연동됨으로써, 우유 거품기(3)와 장착 상태의 우유 용기(2)는 기계 본체로부터 동시에 분리될 수 없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우유 용기(2)가 우유 거품기(3)로부터 분리된 때, 잠금 부재(5)를 비작동 상태로 자동적으로 되돌리도록 설계된 리턴 시스템(365)을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5)는 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비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5)는 기계 본체 또는 우유 거품기(3)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기계 본체 또는 우유 거품기(3)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접촉 요소(13)에 걸리기 위한 이(51)를 포함하고, 제1 위치는 이(51)와 접촉 요소(13) 사이의 걸림(hooking)에 대응하며, 제2 위치는 이(51)와 접촉 요소(13) 사이의 분리(unhooking)에 대응하는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13)는, 우유 거품기(3)가 장착된 상태일 때 이(51)가 삽입되는 슬릿 또는 슬롯(14)의 엣지를 포함하는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5)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위치변경은 각도 이동(angular shifting) 또는 병진 이동(translation)인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우유 용기(2) 및 우유 거품기(3)는 상호 슬라이드 이동(sliding movement)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우유 용기(2)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연장(stretch)에 따라 제1 위치를 향해 잠금 부재(5)를 가압하도록 설계되는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결합된 상태에서, 우유 거품기(3)는 우유 용기(2)의 상부에 있으며 우유 용기(2)의 커버(23) 상에 위치하는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우유 거품기(3)가 기계 본체 상에 장착될 때, 우유 용기(2)는 수평 병진 이동으로 우유 거품기(3)로부터 결합되거나 비결합되는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우유 거품기(3)는 공기 공급관(48), 우유 공급관(45), 및 스팀을 위한 노즐(42)에 연결된 거품 챔버(40)를 갖는 매니폴드(41)를 포함하며,
    장착 및 결합 상태에서, 우유 공급관(45)은 우유 용기(2)와 연동되고, 노즐(42)은 보일러와 연동됨으로써, 우유를 공기 및 스팀와 섞기 위하여, 노즐(42) 안의 스팀의 유동이 거품 챔버(40)안의 우유 및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 강하를 생성하는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우유 거품기(3)는 우유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꼭지(dispensing spout)(33)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기계 본체는, 제2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공급(infusion) 챔버를 감싸고(house),
    장치는 상기 제2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별도의 분배 꼭지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2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5)는 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비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5)는 기계 본체 또는 우유 거품기(3)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기계 본체 또는 우유 거품기(3)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접촉 요소(13)에 걸리기 위한 이(51)를 포함하고, 제1 위치는 이(51)와 접촉 요소(13) 사이의 걸림(hooking)에 대응하며, 제2 위치는 이(51)와 접촉 요소(13) 사이의 분리(unhooking)에 대응하는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우유 용기(2) 및 우유 거품기(3)는 상호 슬라이드 이동(sliding movement)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우유 용기(2)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연장(stretch)에 따라 제1 위치를 향해 잠금 부재(5)를 가압하도록 설계되는 장치.
  16. 제3 항에 있어서,
    결합된 상태에서, 우유 거품기(3)는 우유 용기(2)의 상부에 있으며 우유 용기(2)의 커버(23) 상에 위치하는 장치.
  17. 제2 항에 있어서,
    우유 거품기(3)가 기계 본체 상에 장착될 때, 우유 용기(2)는 수평 병진 이동으로 우유 거품기(3)로부터 결합되거나 비결합되는 장치.
  18. 제2 항에 있어서,
    우유 거품기(3)는 공기 공급관(48), 우유 공급관(45), 및 스팀을 위한 노즐(42)에 연결된 거품 챔버(40)를 갖는 매니폴드(41)를 포함하며,
    장착 및 결합 상태에서, 우유 공급관(45)은 우유 용기(2)와 연동되고, 노즐(42)은 보일러와 연동됨으로써, 우유를 공기 및 스팀와 섞기 위하여, 노즐(42) 안의 스팀의 유동이 거품 챔버(40)안의 우유 및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 강하를 생성하는 장치.
  19. 제3 항에 있어서,
    우유 거품기(3)가 기계 본체 상에 장착될 때, 우유 용기(2)는 수평 병진 이동으로 우유 거품기(3)로부터 결합되거나 비결합되는 장치.
  20. 제3 항에 있어서,
    우유 거품기(3)는 공기 공급관(48), 우유 공급관(45), 및 스팀을 위한 노즐(42)에 연결된 거품 챔버(40)를 갖는 매니폴드(41)를 포함하며,
    장착 및 결합 상태에서, 우유 공급관(45)은 우유 용기(2)와 연동되고, 노즐(42)은 보일러와 연동됨으로써, 우유를 공기 및 스팀와 섞기 위하여, 노즐(42) 안의 스팀의 유동이 거품 챔버(40) 안의 우유 및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 강하를 생성하는 장치.

KR1020187018178A 2015-12-17 2016-11-23 음료, 특히 우유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2591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5A009657A ITUB20159657A1 (it) 2015-12-17 2015-12-17 Apparecchiatura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in particolare per una bevanda contenente latte
IT102015000084746 2015-12-17
PCT/IB2016/057055 WO2017103709A1 (en) 2015-12-17 2016-11-23 Apparatus for making a beverage, in particular for a beverage containing mil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548A KR20180095548A (ko) 2018-08-27
KR102591410B1 true KR102591410B1 (ko) 2023-10-18

Family

ID=5569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178A KR102591410B1 (ko) 2015-12-17 2016-11-23 음료, 특히 우유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0772459B2 (ko)
EP (1) EP3367855B1 (ko)
JP (1) JP6722762B2 (ko)
KR (1) KR102591410B1 (ko)
CN (1) CN108366691B (ko)
AU (1) AU2016372691B2 (ko)
BR (1) BR112018010572B1 (ko)
CA (1) CA3008207C (ko)
CO (1) CO2018006365A2 (ko)
ES (1) ES2778437T3 (ko)
IT (1) ITUB20159657A1 (ko)
MX (1) MX2018007430A (ko)
PL (1) PL3367855T3 (ko)
PT (1) PT3367855T (ko)
RU (1) RU2700828C1 (ko)
WO (1) WO2017103709A1 (ko)
ZA (1) ZA2018032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5022A1 (en) * 2017-12-28 2019-07-03 Koninklijke Philips N.V. A mixing apparatus having a seal
EP3505023A1 (en) * 2017-12-28 2019-07-03 Koninklijke Philips N.V. A mixing apparatus having a seal
EP3505024A1 (en) * 2017-12-29 2019-07-03 Koninklijke Philips N.V. A drinks machine with hot water and steam delivery and a method of use
LT6744B (lt) * 2018-09-10 2020-07-10 Uab "Aparata" Automatinis kavos ir arbatos virimo aparatas
EP3735874A1 (en) * 2019-05-06 2020-11-11 Koninklijke Philips N.V. A mixing apparatus for creating frothed milk
IT201900016031A1 (it) * 2019-09-10 2021-03-10 De Longhi Appliances Srl Macchina da caffè munita di caraffa latt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9208A (en) 1957-02-12 1963-02-26 Compton Charles Edward Cooking apparatus
US3856190A (en) * 1973-12-26 1974-12-24 C Mole Telescoping coat hanger
IT1142687B (it) 1981-07-08 1986-10-15 Teodoro Arrigo Dispositivo di cottura a grill verticale
FR2842717B1 (fr) * 2002-07-24 2005-02-11 Seb Sa Dispositif amovible de prehension sans changement de prise de main
WO2004112556A1 (en) * 2003-06-25 2004-12-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everage maker with adjustable brew chamber
ITMI20040777A1 (it) * 2004-04-21 2004-07-21 De Longhi Spa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a base di latte
EP1688074B1 (de) * 2005-02-08 2008-03-19 Saeco IPR Limited Anordnung zur Erzeugung von Milchschaum und zum Erhitzen von Milch
FR2906990B3 (fr) 2006-10-13 2008-09-05 Inoksan Mutfak San Ve Tic A S GRIL A GAZ POUR VIANDES EN PARTICULIERåPOUR VIANDES A DONER KEBAB, COMPORTANT UN PANNEAU DE PROTECTION EN VERRE
EP2220972A1 (de) * 2009-02-24 2010-08-25 Jura Elektroapparate AG Abgabevorrichtung für Milch und/oder Milchschaum und eine Kaffee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Abgabevorrichtung
FR2960403B1 (fr) * 2010-05-25 2013-01-18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Ensemble pour machine de production de boissons par infusion
CN202168756U (zh) * 2011-07-25 2012-03-21 宁波凯波集团有限公司 烤盘拆卸结构
JP5944609B1 (ja) 2013-04-02 2016-07-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水差し及び該水差しを有する飲料製造機
RU2667706C1 (ru) 2013-11-28 2018-09-24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пенивания напитков и емкость, содержащая указ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5960183A (zh) * 2014-01-22 2016-09-21 伊莱克斯公司 承滴盘组件以及包括承滴盘组件的饮料分配器
FR3021200B1 (fr) * 2014-05-23 2016-12-09 Seb Sa Dispositif de production de boissons a base de lait muni d’un systeme d’accouplement et machine a caf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EP3160308A1 (en) * 2014-06-27 2017-05-03 Illycaffe' S.p.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with frothed milk, in particular cappuccino or latte macchiato
EP3166454B1 (en) * 2014-07-07 2018-03-07 De'Longhi Appliances S.r.l. Milk container that can be associated with a coffee machine and coffee machine having such a milk container
US20160287009A1 (en) * 2015-03-31 2016-10-06 Tsann Kuen (Zhangzhou) Enterprise Co., Ltd. Coffee machine
ITMI20150641A1 (it) * 2015-05-06 2016-11-06 De Longhi Appliances Srl Dispositivo di emulsione per latte e macchina da caffè che comprende detto dispositivo di emulsione per la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7234A (ja) 2018-12-20
MX2018007430A (es) 2018-08-15
KR20180095548A (ko) 2018-08-27
RU2700828C1 (ru) 2019-09-23
JP6722762B2 (ja) 2020-07-15
ITUB20159657A1 (it) 2017-06-17
BR112018010572A2 (pt) 2018-11-21
BR112018010572B1 (pt) 2022-04-05
PL3367855T3 (pl) 2020-07-27
EP3367855A1 (en) 2018-09-05
AU2016372691A1 (en) 2018-05-31
US20180353000A1 (en) 2018-12-13
US10772459B2 (en) 2020-09-15
CN108366691A (zh) 2018-08-03
ES2778437T3 (es) 2020-08-10
CA3008207A1 (en) 2017-06-22
EP3367855B1 (en) 2020-01-29
WO2017103709A1 (en) 2017-06-22
CN108366691B (zh) 2020-06-30
CA3008207C (en) 2023-12-05
PT3367855T (pt) 2020-04-08
ZA201803215B (en) 2019-07-31
CO2018006365A2 (es) 2018-07-10
AU2016372691B2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410B1 (ko) 음료, 특히 우유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US9060647B2 (en) Frothing device for an espresso machine
US8578840B2 (en) Dispensing device for the dispensing of coffee and/or milk and/or milk foam, drink preparation machine with a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assembly of a dispensing device
JP5969038B2 (ja) ミルク泡立て装置およびこの種のミルク泡立て装置を有するコーヒーまたはエスプレッソマシンおよび自動飲料販売機
JP4634463B2 (ja) ミルクベースの混合物を製造するための自浄式ミキシングヘッドおよびそのようなミキシングヘッドを備える飲料製造機
US9038529B2 (en) Coffee machine comprising a frothing device and means for cleaning the frothing device and a milk suction line and process for rinsing the milk suction line
JP4777904B2 (ja) 飲料用システムにおいて使用される液体カートリッジ
US20110023723A1 (en) Drink preparing machine including a steam nozzle cleaning system
US8474367B2 (en) Drink preparing machine including a built-in container for cleaning using steam nozzle
KR20130099262A (ko) 음료 기기의 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1908A (ko) 안전 세척 장치를 갖는 음료 분배기
KR20170027793A (ko) 거품 우유를 포함한 음료, 특히 카푸치노 또는 라테 마키아토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US20100107891A1 (en) Domestic appliance
RU2443383C1 (ru)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для розлива напитка, состоящего из кофе и/или молока, и/или молочной пены
US11903515B2 (en) Drinks machine with hot water and steam delivery and a method of use
JP2011161125A (ja) ミルクの泡立て加熱装置
CN117064219A (zh) 混合设备及咖啡机
RU2021111008A (ru) Адаптивный обслуживаемый блок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