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320B1 -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320B1
KR102591320B1 KR1020230095673A KR20230095673A KR102591320B1 KR 102591320 B1 KR102591320 B1 KR 102591320B1 KR 1020230095673 A KR1020230095673 A KR 1020230095673A KR 20230095673 A KR20230095673 A KR 20230095673A KR 102591320 B1 KR102591320 B1 KR 102591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article
wet
bent
impell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주)한솔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솔인텍 filed Critical (주)한솔인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comprising discs or disc-like element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irrer shaft axis
    • B01F27/115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comprising discs or disc-like element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irrer shaft axis with separate elements other than discs fixed on the discs, e.g. vanes fixed on the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comprising discs or disc-like element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irrer shaft axis
    • B01F27/115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comprising discs or disc-like element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irrer shaft axis the discs being made by deforming flat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4Measuring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3Heating or cooling systems arranged inside the recepta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 G01N27/8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by applying magnetic powder or magnetic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분을 포함한 자분액에서 자분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희석 및 교반할 수 있는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을 수용하며 유입구와 배출구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수직하게 삽입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을 교반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회전축에 수평하게 결합된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 절곡된 구조의 상부 날개부와, 하측으로 절곡된 구조의 하부 날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날개부와 하부 날개부는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Wet magnetic particle liquid agitator for magnetic particle inspection}
본 발명은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분을 포함한 자분액에서 자분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희석 및 교반할 수 있는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분탐상검사(MT)란 강자성체의 표면 또는 표면직하에 존재하는 불연속부를 검출하기 위해 시험체를 자화시키고, 그 표면 위에 자분을 적용하여 자속이 누설되는 곳을 검출하여 불연속부 여부 및 위치를 찾아내는 비파괴검사 방법이다.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자분액은 자분과 물 및 첨가물 등을 현탁시키고 교반하는데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고, 자분 분말 및 첨가액 희석하기 위한 교반통 등 자분 교반하기 위한 여러 기구가 많이 사용되고 작업자가 직접 교반하기 때문에 균일한 교반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자분액의 경우 자분이 서로 뭉쳐 덩어리 형태가 되는 특성과 물과의 비중 차이로 인해 침강하는 특성으로 인해 식품 분야 등 다른 분야의 임펠러를 사용하는 경우 자분의 균일한 교반 성능을 얻을 수 없어 새로운 구조를 가진 습식자분액 전용 교반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900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8774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18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3633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분을 포함한 자분액에서 자분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희석 및 교반할 수 있는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는 습식 자분 교반장치에 있어서,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을 수용하며 유입구와 배출구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수직하게 삽입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을 교반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회전축에 수평하게 결합된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 절곡된 구조의 상부 날개부와, 하측으로 절곡된 구조의 하부 날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날개부와 하부 날개부는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날개부 및 하부 날개부는, 상기 원판부와의 경계에 위치한 절곡부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전단부는 상기 원판부 테두리에서 이격되고, 후방에 위치한 후단부는 상기 원판부 테두리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단부가 벌어진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날개부는 상기 절곡부에서 상측으로 60° 내지 65°각도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 날개부는 상기 절곡부에서 하측으로 80° 내지 85°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임펠러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상부 날개부와 하부 날개부 사이가 'V' 형태로 벌어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에 있어서, 상부 날개부 및 하부 날개부는 서로 다른 각도로 절곡되는 본체 내에 설치되는 히터와,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에 의하면 자분을 포함한 자분액에서 자분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희석 및 교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 방식의 자분 시험액 교반 방법과 시험 기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를 투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임펠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의 구조 및 성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와 다른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임펠러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임펠러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시험예]
본 시험예에서는 도 1의 교반 기구를 이용하여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자분액에서 자분이 균일하게 교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시험예 1]
아래 표 1의 조성을 가진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검사액)을 제조하였다.
구 분 약 품 명 사 용 량 비 고
1 증류수 500g -
2 계면활성제(WA2B) 5g 백색분말
3 수용성방청제 30g 투명액체
4 습식 MT자분 30g 블랙
검 사 액 565g
- 시험예 1의 제조방법5,000ml 교반통에 교반 주걱대를 넣고, 증류수 500g과, 계면활성제 5g을 넣고 교반기로 5분간 교반한다. 이어서 수용성방청제 30g을 넣고, 20℃ 온도로 10분간 교반한다. 그리고 자분 분말 30g을 교반통에 넣고, 실온에서 20분간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시험예 1의 검사액 565g을 실온에 정치하고 상태를 확인한다. 제조된 검사액 원심분리관에 넣고 자분강도 농도를 측정한다. 이때 원심분리관을 30분간 조용한 곳에 두고 시간이 지난 후 자분 잔유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 시험결과
자분 잔유물 2.9㎖가 발생하였고, 자분 덩어리가 존재하였다.
[시험예 2]
아래 표 2의 조성을 가진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검사액)을 제조하였다.
구 분 약 품 명 사 용 량 비 고
1 수돗물 500g -
2 계면활성제(WA2B) 5g 백색분말
3 수용성방청제 30g 투명액체
4 습식 MT자분 30g 블랙
검 사 액 565g
- 시험예 2의 제조방법5,000ml 교반통에 교반 주걱대를 넣고, 수돗물 500g과, 계면활성제 5g을 넣고 교반기로 5분간 교반한다. 이어서 수용성방청제 30g을 넣고, 20℃ 온도로 10분간 교반한다. 그리고 자분 분말 30g을 교반통에 넣고, 실온에서 20분간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시험예 2의 검사액 565g을 실온에 정치하고 상태를 확인한다. 제조된 검사액 원심분리관에 넣고 자분강도 농도를 측정한다. 이때 원심분리관을 30분간 조용한 곳에 두고 시간이 지난 후 자분 잔유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 시험결과
자분 잔유물 2.8㎖가 발생하였고, 자분 덩어리가 존재하였다. 시험예 1의 증류수를 수돗물로 변경하였으나 현탁 희석 정도는 미미하였다.
[시험예 3]
아래 표 3의 조성을 가진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검사액)을 제조하였다.
구 분 약 품 명 사 용 량 비 고
1 물(수돗물) 1000g -
2 계면활성제(WA2B) 7g 백색분말
3 수용성방청제 30g 투명액체
4 습식 MT자분 30g 블랙
검 사 액 1067g
- 시험예 3의 제조방법
5,000ml 교반통에 교반 주걱대를 넣고, 수돗물 1,000g과, 계면활성제 7g을 넣고 교반기로 5분간 교반한다. 이어서 수용성방청제 30g을 넣고, 20℃ 온도로 10분간 교반한다. 그리고 자분 분말 30g을 교반통에 넣고, 실온에서 20분간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시험예 3의 검사액 1,067g을 실온에 정치하고 상태를 확인한다. 제조된 검사액 원심분리관에 넣고 자분강도 농도를 측정한다. 이때 원심분리관을 30분간 조용한 곳에 두고 시간이 지난 후 자분 잔유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 시험결과
자분 잔유물 2.6㎖가 발생하였고, 시험예 2에 비해서 적은 양의 자분 덩어리가 존재하였다.
[시험예 4]
아래 표 4의 조성을 가진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검사액)을 제조하였다.
구 분 약 품 명 사 용 량 비 고
1 물(수돗물) 3000g -
2 계면활성제(WA2B) 10g 백색분말
3 수용성방청제 50g 투명액체
4 습식 MT자분 30g 블랙
검 사 액 3090g
- 시험예 4의 제조방법
5,000ml 교반통에 교반 주걱대를 넣고, 수돗물 3,000g과, 계면활성제 10g을 넣고 교반기로 5분간 교반한다. 이어서 수용성방청제 50g을 넣고, 20℃ 온도로 10분간 교반한다. 그리고 자분 분말 30g을 교반통에 넣고, 실온에서 20분간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시험예 4의 검사액 3,090g을 실온에 정치하고 상태를 확인한다. 제조된 검사액 원심분리관에 넣고 자분강도 농도를 측정한다. 이때 원심분리관을 30분간 조용한 곳에 두고 시간이 지난 후 자분 잔유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 시험결과
자분 잔유물 2.5㎖가 발생하였고, 자분 덩어리는 없었다.
[시험예 5]
아래 표 4의 조성을 가진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검사액)을 제조하였다.
구 분 약 품 명 사 용 량 비 고
1 물(수돗물) 4000g -
2 계면활성제(WA2B) 20g 백색분말
3 수용성방청제 60g 투명액체
4 습식 MT자분 30g 블랙
검 사 액 4110g
- 시험예 5의 제조방법
5,000ml 교반통에 교반 주걱대를 넣고, 수돗물 4,000g과, 계면활성제 20g을 넣고 교반기로 5분간 교반한다. 이어서 수용성방청제 60g을 넣고, 20℃ 온도로 10분간 교반한다. 그리고 자분 분말 30g을 교반통에 넣고, 실온에서 20분간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시험예 5의 검사액 4,110g을 실온에 정치하고 상태를 확인한다. 제조된 검사액 원심분리관에 넣고 자분강도 농도를 측정한다. 이때 원심분리관을 30분간 조용한 곳에 두고 시간이 지난 후 자분 잔유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 시험결과
자분 잔유물 1.4㎖가 발생하였고, 자분 덩어리는 없었다.
이하에서는 자분을 포함한 자분액을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으며, 자분의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를 투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임펠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100)는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을 수용하며 유입구(111)와 배출구(113)가 설치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에 수직하게 삽입된 회전축(121)에 결합되어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을 교반하는 임펠러(130)와, 본체(110) 내에 설치되는 히터(143)와, 온도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펠러(130)는 상기 회전축에 수평하게 결합된 원판부(131)와, 상기 원판부(1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 절곡된 구조의 상부 날개부(133)와, 하측으로 절곡된 구조의 하부 날개부(13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날개부와 하부 날개부는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날개부(133) 및 하부 날개부(135)는 각각 상기 원판부(131)와의 경계에 위치한 절곡부(133c)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나선형 물결과 같은 회오리 내지 난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부 날개부 및 하부 날개부가 45° 내지 90°의 각도로 절곡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부 날개부 및 하부 날개부가 45°미만으로 절곡된 경우에는 수평 흐름이 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분이 상하로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하고, 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각 날개부가 원판부 내로 접힌 구조가 되어 교반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술한 각도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분의 입경 및 비중을 고려할 때 상하로 균질한 교반을 위해서는 60° 내지 85°각도로 절곡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를 제작하여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자분액에서 자분이 균일하게 교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체를 도 4a와 같이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하였고, 임펠러는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절곡부와 하부 절곡부가 각각 상하로 70~80°의 각도로 절곡된구조로 제작하였으며, 자분액의 희석, 뭉침 여부 및 자분탐상 성능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1의 임펠러 세부 규격은 다음와 같다.(도 9a 내지 도 9b 참조)
- 재질 : 3mm 두께의 스테인레스강
- 원판부 지름 : 150mm
- 상부 날개부 및 하부 날개부 각각의 좌우 폭 : 22mm
- 상부 날개부 및 하부 날개부 각각의 상하 폭 : 30mm
[시험예 6]
1. 자분탐상 성능 시험
- 검사장비 : Yoke 장비 AC(도 4c 참조)
- 자분탐상 성능 : 양호함(도 4d 참조)
2. 자분농도 측정
- Mixer 스위치 Off후 밸브를 열고 원심 분리
- 자분 농도 1.1㎖로 우수함
- 검사액 (현탁액) 육안 검사: 자분 덩어리가 전혀 없음, 우수
한편, 절곡부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전단부(133a)는 상기 원판부(131) 테두리에서 이격되고, 후방에 위치한 후단부(133b)는 상기 원판부(131) 테두리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단부(133a)가 벌어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절곡부가 원판부의 중심 쪽으로 절곡된 경우에는 임펠러 회전시 물살을 강하게 만들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난류를 형성하기 어렵다. 그에 반해,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날개부가 회전 방향에 대하여 전단부 쪽이 벌어진 구조의 경우에는 강한 물살을 상하로 만들기 때문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자분을 교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펠러를 측면에서 볼 때 상부 날개부와 하부 날개부 사이가 대략 'V'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그 경계에서도 강한 난류를 추가 형성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날개부 및 하부 날개부는 서로 다른 각도로 절곡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날개부는 60° 내지 65°각도로 절곡된 구조이고 하부 날개부는 80° 내지 85°각도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거나, 이와 반대의 각도를 가지는 것인데, 이러한 경우 상하로 가해지는 물살이 달라지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실시예 보다 효율적인 교반이 가능하게 된다.
[시험예 7]
본 시험예에서는 절곡부를 기준으로 상부 날개부가 절곡된 각도(상부 절곡부 각도)와, 하부 날개부가 절곡된 각도(하부 절곡부 각도)에 따라 자분 잔유물 발생양을 측정하고, 자분 덩어리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6에 기재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한 실시예 2 내지 7의 임펠러는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임펠러의 상부 절곡부 각도인 80° 및 하부 절곡부 각도 80°를 각각 아래 표 1과 같이 변형시켜 사용하였다.
상부 절곡부 각도(°) 하부 절곡부 각도(°) 자분 잔유물
발생양(㎖)
자분 덩어리 유무
실시예 2 60 80 0.7 없음
실시예 3 65 85 0.6 없음
실시예 4 55 80 1.2 없음
실시예 5 70 80 1.0 없음
실시예 6 60 75 1.0 없음
실시예 7 60 90 1.3 있음
위 표 6을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7 중에서 실시예 2, 3이 나머지 실시예에 비해 자분 잔유물 발생양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4의 경우, 하부 절곡부 각도는 실시예 2와 같이 80°이지만, 상부 절곡부 각도가 55°로 작아진 경우 자분 잔유물 발생양이 70% 증가하였다. 실시예 5의 경우, 하부 절곡부 각도는 실시예 2와 같이 80°이지만, 상부 절곡부 각도가 70°로 커진 경우 자분 잔유물 발생양이 40% 증가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6의 경우, 상부 절곡부 각도는 실시예 2와 같이 60°이지만, 하부 절곡부 각도가 75°로 작아진 경우 자분 잔유물 발생양이 40% 증가하였다. 실시예 7의 경우, 상부 절곡부 각도는 실시예 2와 같이 60°이지만, 하부 절곡부 각도가 90°로 커진 경우 자분 잔유물 발생양이 85% 증가하였다.
실시예 4, 5의 결과를 검토해 보면, 하부 절곡부 각도가 실시예 2와 동일하더라도 상부 절곡부 각도가 60°보다 작거나 65°보다 큰 경우에는 자분 잔유물 발생양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6, 7의 결과를 검토해 보면, 상부 절곡부 각도가 실시예 2와 동일하더라도 하부 절곡부 각도가 80°보다 작거나 85°보다 큰 경우에는 자분 잔유물 발생양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상부 날개부가 절곡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상부 절곡부 각도는 60° 내지 65°이고, 하부 날개부가 절곡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하부 절곡부 각도는 80° 내지 85°인 실시예 2, 3의 임펠러가 습식 자분액에 대한 교반 성능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 110 : 본체
111 : 유입구 113 : 배출구
120 : 모터 121 : 회전축
130 : 임펠러 131 : 원판부
133 : 상부 날개부 135 : 하부 날개부
141 : 온도센서 143 : 히터
150 : 컨트롤러

Claims (2)

  1. 습식 자분 교반장치에 있어서,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을 수용하며 유입구와 배출구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수직하게 삽입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을 교반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회전축에 수평하게 결합된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 절곡된 구조의 상부 날개부와, 하측으로 절곡된 구조의 하부 날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날개부와 하부 날개부는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날개부 및 하부 날개부는, 상기 원판부와의 경계에 위치한 절곡부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전단부는 상기 원판부 테두리에서 이격되고, 후방에 위치한 후단부는 상기 원판부 테두리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단부가 벌어진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날개부는 상기 절곡부에서 상측으로 60° 내지 65°각도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 날개부는 상기 절곡부에서 하측으로 80° 내지 85°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임펠러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상부 날개부와 하부 날개부 사이가 'V' 형태로 벌어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히터와,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
KR1020230095673A 2023-02-15 2023-07-22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 KR102591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861 2023-02-15
KR20230019861 2023-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320B1 true KR102591320B1 (ko) 2023-10-19

Family

ID=8850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5673A KR102591320B1 (ko) 2023-02-15 2023-07-22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3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745B1 (ko) 1995-01-27 2001-06-01 마츠가와 히데유키 습식자분 탐상시험용 수분산성 형광자분
JP2003290605A (ja) * 2002-03-29 2003-10-14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脱気装置
KR100903633B1 (ko) 2002-09-03 2009-06-18 주식회사 포스코 자분농도 유지장치
KR101053834B1 (ko) * 2011-04-26 2011-08-03 김국태 소여물 끓이는 장치
KR101241512B1 (ko) * 2011-11-22 2013-03-11 김경호 믹싱장치의 교반임펠러
KR20140141811A (ko) 2013-05-31 2014-12-11 주식회사 태평양기업 자분탐상기용 형광자분액의 공급장치
KR20180088949A (ko) * 2017-01-30 2018-08-08 (주)에이티엠코리아 전자소재 혼합용 교반 장치
KR102490065B1 (ko) 2022-10-23 2023-01-18 (주)한솔인텍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자분액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745B1 (ko) 1995-01-27 2001-06-01 마츠가와 히데유키 습식자분 탐상시험용 수분산성 형광자분
JP2003290605A (ja) * 2002-03-29 2003-10-14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脱気装置
KR100903633B1 (ko) 2002-09-03 2009-06-18 주식회사 포스코 자분농도 유지장치
KR101053834B1 (ko) * 2011-04-26 2011-08-03 김국태 소여물 끓이는 장치
KR101241512B1 (ko) * 2011-11-22 2013-03-11 김경호 믹싱장치의 교반임펠러
KR20140141811A (ko) 2013-05-31 2014-12-11 주식회사 태평양기업 자분탐상기용 형광자분액의 공급장치
KR20180088949A (ko) * 2017-01-30 2018-08-08 (주)에이티엠코리아 전자소재 혼합용 교반 장치
KR102490065B1 (ko) 2022-10-23 2023-01-18 (주)한솔인텍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자분액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8417C (en) Mixing apparatus
KR102591320B1 (ko) 자분탐상 검사용 습식 자분액 교반장치
CN107427159A (zh) 混合设备和方法
JP7061512B2 (ja) 攪拌装置
KR102267069B1 (ko) 균일교반수단을 갖는 양념재료용 교반장치
KR101030987B1 (ko) 교반밀
US8876369B1 (en) Apparatus for mixing liquids and/or solids with liquids
US2718385A (en) Stirring apparatus
Yenjaichon et al. In-line jet mixing of liquid–pulp–fibre suspensions: Effect of concentration and velocities
US93397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various flows into a process liquid flow
JP2524474B2 (ja) 分析ユニット内の反応混合液の非接触的自動混合方法
US20030058735A1 (en) Low speed precision stirring/mixing device
Mishra et al. Using tomography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poly-disperse solid particles in Newtonian and non-Newtonian fluids with the coaxial impellers
CN108970711A (zh) 一种用于生产碎米蛋白水的胶体磨
Mitchell et al. Tracking of powder lump formation and dispersion with the use of FBRM technology and video recordings
CN106093405A (zh) 一种测定癌胚抗原的试剂盒
Goerg et al. Malignant ascites: sonographic signs of peritoneal carcinomatosis
CN110479152A (zh) 一种适用于高粘流体混合的导流式搅拌装置
CN109821433A (zh) 一种分散系统及利用其进行混合均匀性在线监测的方法
US8556498B2 (en) Method for scaling mixing operations
JPH06510699A (ja) 液体を混合または固体を液体に混合する方法
CN209271276U (zh) 一种饮料生产搅拌器
US1253394A (en) Churn-dasher.
CN205914069U (zh) 一种茶油加工用搅拌器
CN109880673A (zh) 表征润滑脂磨损程度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