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391B1 -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391B1
KR102590391B1 KR1020220181250A KR20220181250A KR102590391B1 KR 102590391 B1 KR102590391 B1 KR 102590391B1 KR 1020220181250 A KR1020220181250 A KR 1020220181250A KR 20220181250 A KR20220181250 A KR 20220181250A KR 102590391 B1 KR102590391 B1 KR 102590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sticking
water tank
fl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0178A (ko
Inventor
이명성
김주한
박세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8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3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88Test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05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 내부에 고착 유무를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소방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히, 본 발명은 내부에 펌프 부품의 부식을 감지할 수 있는 고착 감지부를 포함하는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고착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부식 및 고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자동으로 펌프 내부의 부식 및 고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펌프 내부의 부식 및 고착이 발생하였을 시, 순환관을 개방하여 펌프 내부에 물이 낭비 없이 순환 유동하도록 하되, 중간에 수조를 거침으로써 유속을 감소시킨 이후 펌프에 재투입 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여러 번 순환 유동하더라도 펌프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Fixation sensing functional pump, fixation sensing system for pump and high safety fire pump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를 포함한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상기 고착 감시 시스템을 포함한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 내부에 고착 유무를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소방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구비된 화재 진압용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오래된 건물의 경우, 스프링클러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방펌프의 관리 미비로 인해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지 않아 참사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소방펌프 고장의 주요한 이유는 소방펌프의 핵심 부품인 임펠러가 값이 싼 주철으로 구성되어 부식될 가능성이 높다는 데에 있었는데, 소방펌프는 화재상황에서만 가동되고, 소방펌프 및 그 배관의 내부에는 상시 작동 가능하도록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장기간 방치될 경우, 주철과 같은 재료는 부식이 필연적이었다. 펌프 내부에 부식 및 고착이 발생하는 경우, 임펠러가 제대로 회전하지 못하고, 펌프의 기능 자체가 떨어지게 되어 스프링클러로의 물 공급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서는 임펠러를 포함한 소방펌프 부품에 부식되는 재질을 쓰지 못하도록 규정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며, 내식성 스테인리스 재질의 부품을 권장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는 소방펌프의 모든 부품이 아닌 펌프구동용 전동기의 축에 연결되어 펌프 내에서 회전하는 임펠러와 축 만을 한정한 것으로, 그 외의 펌프 케이싱과 같은 부품은 생산 비용 절감을 이유로 여전히 주철로 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내부의 임펠러 및 펌프 축이 내식성 재질로 제작된다 하더라도, 그 외의 펌프 케이싱과 같은 부품이 부식성 재질로 제작된다면 여전히 부식 및 고착 가능성이 있으므로, 여전히 문제는 해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한국 등록특허 10-0955704호 " 축전식 소방펌프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정기적으로 펌프의 자동 시험 운전을 수행하여 소방펌프 임펠러의 고착 문제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종래기술은 소방펌프의 자동 운전시 토출되는 유량을 분기된 배출관을 통해 배수구로 물을 버리는 방식으로서, 임펠러 고착 방지를 위해 충분히 자주 소방펌프를 구동해야 하는데, 소방펌프가 구동될 때 마다 상당한 양의 물이 버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토출수의 양을 줄이기 위해 펌프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인버터를 적용할 수 있지만, 대용량 펌프용 전동기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는 상대적으로 고가이므로 소방펌프 전체 가격을 증가시켜서 실제 현장에서는 소방펌프에 인버터가 적용되는 곳이 거의 없고 정속구동 방식인 유도전동기를 사용하므로, 종래기술은 실제로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한국 등록특허 10-0955704 " 축전식 소방펌프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펌프 부품의 부식을 감지할 수 있는 고착 감지부를 포함하는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고착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부식 및 고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자동으로 펌프 내부의 부식 및 고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펌프 내부의 부식 및 고착이 발생하였을 시, 순환관을 개방하여 펌프 내부에 물이 낭비 없이 순환 유동하도록 하되, 중간에 수조를 거침으로써 유속을 감소시킨 이후 펌프에 재투입 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여러 번 순환 유동하더라도 펌프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고착 감지부로부터 유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펌프 케이싱의 내부의 부식 또는 고착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과, 유체가 보관되는 수조,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로부터 유체를 수신하여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연결하여 상기 수조 내부의 유체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지속적으로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관과,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분사부를 연결하는 분사관을 포함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관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에서 상기 수조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배관과, 상기 수조에서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배관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수조 및 상기 고착 감지 펌프 간에 유체가 재활용되어 순환되도록 하며, 상기 수조는, 내부에 여과장치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내부에 부식 또는 고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여 상기 순환관을 개방하고, 상기 분사관을 폐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내부에 부식 및 고착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관을 개방하고, 상기 순환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착 감지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 내부의 유체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전기저항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착 감지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 내부의 유체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탁도 측정수단은, 상기 상기 펌프 케이싱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일정한 조도로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펌프 케이싱의 내부면에 부착되되, 상기 발광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발광부의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특징을 갖는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및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상기 고착 감지부로부터 유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펌프 케이싱의 내부의 부식 또는 고착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착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유체의 탁도가 소정 기준치보다 큰 상태가 소정 시간 지속되거나, 또는 상기 고착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유체의 전기저항이 소정 기준치보다 작은 상태가 소정 시간 지속되면 상기 펌프 케이싱의 내부에 부식 또는 고착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착 감지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상기 펌프 케이싱 내부의 부식 또는 고착 유무 판단 정보 및 상기 판단 정보의 참 거짓 유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펌프 케이싱 내부의 부식 또는 고착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5항의 특징을 갖는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유체가 보관되는 수조,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로부터 유체를 수신하여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연결하여 유체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관과,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분사부를 연결하는 분사관을 포함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관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에서 상기 수조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배관과, 상기 수조에서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배관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수조 및 상기 고착 감지 펌프 간에 유체가 재활용되어 순환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내부에 부식 또는 고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여 상기 순환관을 개방하고, 상기 분사관을 폐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내부에 부식 및 고착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관을 개방하고, 상기 순환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관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관 내부의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계, 상기 순환관에 결합되어 상기 순환관 내부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펌프 케이싱의 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토출구의 유속을 측정하는 속도계, 및 상기 수조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계의 유량 값과, 미리 결정된 목표 순환 유량 값을 비교하여, 상기 유량계의 유량 값이 상기 목표 순환 유량 값에 수렴하도록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압력계의 유압 값과, 미리 결정된 목표 분사 유압 값을 비교하여, 상기 유압계의 유압 값이 상기 목표 분사 유압 값에 수렴하도록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를 제어하며, 상기 속도계의 속도 값과, 상기 제어부의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제어 값을 비교하여, 상기 속도계의 속도 값이 상기 제어부의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제어 값에 수렴하지 않은 경우,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하며, 상기 수위 센서의 수위 값과, 미리 결정된 상기 수조의 최대 수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수위 센서의 수위 값이 상기 수조의 최대 수위 값과 일치했을 시,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여 상기 수조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과, 유체가 보관되는 수조,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로부터 유체를 수신하여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연결하여 유체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관과,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분사부를 연결하는 분사관을 포함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고착 감지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펌프 케이싱 내부의 부식 또는 고착 유무를 판별하는 분석 및 판별 단계,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의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모드를 기반으로 상기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을 제어하는 수행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 설정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및 판별 단계에서 부식 또는 고착이 발생했음이 판별된 경우, 상기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의 모드를 유체가 상기 순환관을 따라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왕복하는 순환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분석 및 판별 단계에서 부식 또는 고착이 발생했음이 판별되지 않은 경우, 상기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의 모드를 유체가 분사관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행단계는,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가 순환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사관을 폐쇄하여 유체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분사관 폐쇄단계와, 상기 순환관을 개방하여 유체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관 개방단계와, 상기 순환관에 연결된 유량계의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순환모드 시의 유량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를 제어하여 순환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 유량 조정단계와, 상기 수조 내부의 수위 센서로부터 수조 내부의 수위 정보를 수신하는 수조 수위 감지 단계 및 상기 수조 수위 감지 단계에서 상기 수조의 수위가 소정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수조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흡입구를 연결한 상기 순환관을 개방하는 수조 개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행단계는,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가 분사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순환관을 폐쇄하여 유체가 순환되는 것을 막는 순환관 폐쇄단계와, 상기 분사관을 개방하여 유체가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분사관 개방단계 및 상기 분사관에 연결된 유압계의 정보 및 미리 결정된 분사모드 시의 유압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사관 내부의 유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유압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은 내부에 펌프 부품의 부식을 감지할 수 있는 고착 감지부를 포함하는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고착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부식 및 고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자동으로 펌프 내부의 부식 및 고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은 펌프 내부의 부식 및 고착이 발생하였을 시, 순환관을 개방하여 펌프 내부에 물이 낭비 없이 순환 유동하도록 하되, 중간에 수조를 거침으로써 유속을 감소시킨 이후 펌프에 재투입 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여러 번 순환 유동하더라도 펌프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내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 운용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정보 수신 단계의 세부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순환모드에서의 수행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분사모드에서의 수행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구성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는 자체적으로 내부의 부식 및 고착을 감지할 수 있는 펌프로써, 흡입구와 토출구를 포함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임펠러 또는 유체에 힘을 가하는 구조가 내장되는 펌프 케이싱(11)과, 펌프 케이싱(11)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고착 감지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착 감지부(12)는 펌프 케이싱(11) 내부의 유체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고착 감지부(12)는 펌프 케이싱(11) 내부면에 접촉하는 센서일 수 있다. 고착 감지부(12)는 전기저항 측정수단(12a)과 탁도 측정수단(12b)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 케이싱(11)의 내부에서 부식이 발생한 경우, 부식되는 철 입자가 유체에 섞여 부유하게 되고, 유체의 전기 저항 값이 감소할 수 있다. 즉, 전기저항 측정수단(12a)에서 측정되는 전기 저항 값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 펌프 케이싱(11) 내부에서 부식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전기저항 측정수단(12a)은 전기저항 측정기일 수 있다.
또한, 전기저항 측정수단(12a)은 펌프 케이싱(11)의 내부 면에 부착될 수 있고, 또는 펌프 케이싱(11)의 외부에 위치하며, 펌프 케이싱(11) 내부의 유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전기저항을 감지할 수 있다.
펌프 케이싱(11)의 내부에서 부식이 발생한 경우, 부식되는 철 입자가 유체에 섞여 부유하게 되고, 유체의 탁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탁도 측정수단(12b)에서 측정한 탁도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펌프 케이싱(11) 내부에서 부식이 발생하였음이 판단될 수 있다. 탁도 측정수단(12b)은 펌프 케이싱(11)의 내부 면에 부착되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발광부가 일정한 조도로 발광하고, 수광부가 발광부의 빛을 수신하여 감지하는 상태에서, 펌프 케이싱(11) 내부의 부식이 발생하여 유체의 탁도가 높아지면, 수광부가 수신하는 빛이 일정량 차단되게 되고 탁도가 감지될 수 있다.
이 때, 측정의 정확성을 위하여, 발광부와 수광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발광부와 수광부는 그 사이에 임펠러와 같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구조물의 간섭이 없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식 검출에 유리한 전기저항에 기초하여 부식 가능성을 산출하고, 고착 검출에 유리한 탁도 측정을 통해 고착 가능성을 각각 산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관리자가 보다 정밀하게 펌프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식 가능성과 상기 고착 가능성을 기초로 펌프 이상 경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이상 경고 정보는 상기 부식 가능성과 상기 고착 가능성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고착 가능성에 부여하는 가중치가 상기 부식 가능성에 부여하는 가중치에 비해서 높을 수 있다. 실시예로서, 펌프 이상 경고 정보는 부식 가능성에 k1 가중치를 곱하고, 고착 가능성에 k2 가중치를 곱해서 더하되, k2>k1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부식 가능성이 낮고 고착 가능성이 높은 경우의 펌프 이상 경고 레벨을, 부식 가능성이 높고 고착 가능성이 낮은 경우의 펌프 이상 경고 레벨에 비해서 높게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관리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펌프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고착 가능성과 부식 가능성을 기초로 탁도 측정과 전기저항 측정에 오류가 발생한 것을 추정할 수 있다.
펌프의 고착에 비해서 부식이 먼저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탁도가 매우 높음에도 전기저항이 매우 높게 나오는 경우, 전기저항 측정에 오류가 있거나, 탁도 측정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는 탁도 측정 결과와 전기저항 측정 결과를 비교하고, 측정 결과 및/또는 상대적인 비교치 등을 저장하며, 저장된 측정 이력 및/또는 비교치와 현재 측정된 탁도 및 전기저항에 기초하여, 측정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 오류 및/또는 펌프 이상 경고 정보는 복수의 단계로 구분되어 사용자에게 펌프 및 센서부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펌프 상태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측정 오류 등에 의한 불필요한 관리 업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100)의 구성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100)은 상술한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100)은 고착 감지부(12)로부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내부 유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펌프 케이싱(11)의 내부의 부식 또는 고착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문단에서는 제어부(20)가 고착 감지부(1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종합하여 최종적인 판단을 내리는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20)는 고착 감지부(12)로부터 유체의 탁도 및 전기저항 값을 수신할 수 있는데, 유체의 탁도가 일정 기준 이상이거나, 전기 저항 값이 일정 기준 이하인 상태를 수신하여도, 오 감지된 경우를 배제하기 위하여 상술한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었을 시에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였음을 최종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펌프 케이싱(11) 내부의 부식 및 고착 유무를 판단한 자료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는 고착 감지부(12)로부터 수신한 정보 현황 및 그에 따른 고착 유무 판단 현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20)의 판단의 참 거짓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상술한 정보들을 바탕으로(고착 감지부(12)로부터 수신한 정보, 펌프 케이싱(11) 내부의 부식 또는 고착 유무 판단 및 상기 판단 정보의 참 거짓 유무) 딥러닝을 수행하여, 오류 케이스를 학습하고 실제 부식 및 고착이 감지될 때의 탁도 현황 및 전기 저항 현황을 학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고착 감지부(12)의 기기 고장으로 인해 탁도 값 및 전기 저항 값이 비정상적으로 측정되는 경우도 분별하여 고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상술한 딥러닝을 수행하여 펌프 케이싱(11) 내부의 부식 또는 고착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치를 조정할 수 있다. 계절에 따라 또는 펌프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도 내부 유체의 탁도 또는 전기저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100)은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수신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기준치를 조정하여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1000)은 상술한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를 포함한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100)을 포함하고, 유체가 보관되는 수조(200) 및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로부터 유체를 수신하여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는 배관부(400) 및 배관부(400)에 결합되어 배관부(400)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부(400)는 순환관(410)과 분사관(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환관(410)은 개방되었을 시,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와 수조(200)를 연결하여 유체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와 수조(200)를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순환관(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에서 수조(200)로 이동하는 배관과 수조(200)에서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로 이동하는 배관을 포함하여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유체가 양방 이동이 가능한 배관이 1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분사관(420)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와 분사부(300)를 연결하여,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0)가 펌프 케이싱(11) 내부의 부식 및 고착을 판단하지 않은 상태, 즉 평상시에, 제어부(20)는 밸브부(500)를 제어하여 분사관(420)은 개방되고 순환관(410)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 상황과 같이 교의 외부로 유체가 분사 및 전달되어야 할 시에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내부 유체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준비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20)가 펌프 케이싱(11) 내부의 부식 및 고착을 판단한 경우에, 제어부(20)는 밸브부(500)를 제어하여 분사관(420)은 폐쇄되고 순환관(410)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내부에 유체가 순환 통행하면서 부식으로 인해 발생한 이물질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내부의 임펠러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순환되는 유체는 재활용되므로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추가 가동으로 인한 유체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 때,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에서 토출된 유체는 수조(200)를 거쳐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는 소방용으로 사용될 경우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토출 유속이 매우 크고, 이 토출 유속이 감속되지 않고 흡입구로 흡입될 경우, 흡입구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므로 펌프 케이싱(11)의 수명이 짧아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유체가 수조(200)를 거쳐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흡입구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보다 더 오래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조(200)의 내부에 여과장치를 포함하여, 부식으로 인해 유체 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고, 유체의 교체 없이 보다 더 오래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1000)은 제어부(20)에 정보를 송신하는 압력계(600)와, 유량계(700), 속도계(800) 및 수위 센서(90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계(600)는 분사관(420)에 결합되어 분사관(420) 내부의 유압을 측정하고, 유량계(700)는 순환관(410)에 결합되어 순환관(410) 내부의 유량을 측정하며, 속도계(800)는 펌프 케이싱(11)의 출구에 결합되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토출구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900)는 수조(200) 내부에 부착되어 수조(2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압력계(600)와 유량계(700)는 제어부(20)에 정보를 송신하여 분사관(420) 및 순환관(410)의 개방 여부를 피드백 할 수 있고, 분사되는 유체의 유압 및 순환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부(20)가 효과적으로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속도계(800)는 제어부(20)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정상작동 유무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900)는 실시간으로 수조(200) 내부의 유체 량을 제어부(20)에 전달함으로써 유체가 수조(200) 내부에 일정 높이 이상 주입되어 수조(200)가 넘치는 상황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가 수조(200)에 일정 높이로 주입되었을 때 제어부(20)가 수조(20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체가 별도의 펌프 없이 수조(200)에서 일정한 유속으로 토출되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밸브부(500)는 순환관(410)과 분사관(42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밸브부(500)는 순환관(410) 또는 분사관(42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420)에만 밸브가 배치되는 경우, 분사관(420)의 밸브가 개방되면 분사관(420)이 개방되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유체가 분사관(420)으로 유동하며, 자연히 순환관(410)으로는 유체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분사관(420)의 밸브가 폐쇄되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유체가 순환관(410)으로 흐르므로 순환관(410)이 개방될 수 있다.
이 외에, 밸브부(500)의 밸브는 분사관(420) 및 순환관(41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밸브 중 어느 하나의 밸브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하여 유체가 분사관(420) 및 순환관(410)으로 모두 유동하거나, 분사관(420) 및 순환관(410)에 모두 유동하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부(500)의 밸브는 수조(2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유체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고착을 방지하기 위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와 수조(200)를 순환운동할 시에, 유체가 수조(200)에 일정 높이로 주입되면 제어부(20)가 수조(20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체가 별도의 펌프 없이 수조(200)에서 일정한 유속으로 토출되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로 ,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뱝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1000)을 이용하는 뱝은 정보 수신 단계와, 분석 및 판별 단계, 모드 설정 단계 및 수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단계는 제어부(20)가 고착 감지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정보 수신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가 전기저항 측정장치로부터 유체의 전기저항 값을 수신하는 전기 저항 수신 단계와, 제어부(20)가 탁도 측정장치로부터 유체의 탁도 값을 수신하는 탁도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저항 수신 단계와 탁도 수신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시 수행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1000)에 적용된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내부에 전기저항 측정수단(12a)과 탁도 측정수단(12b) 중 어느 하나만 부착된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도록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분석 및 판별 단계는 제어부(20)가 고착 감지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펌프 케이싱(11) 내부의 부식 또는 고착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0)는 고착 감지부(12)로부터 수신한 유체의 탁도 및 전기저항 값을 기반으로, 유체의 탁도가 일정 기준 이상이거나, 전기 저항 값이 일정 기준 이하인 상태를 수신하여도, 오 감지된 경우를 배제하기 위하여 상술한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었을 시에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였음을 최종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한 딥러닝을 통해 조정한 기준치 및 유체의 탁도 및 전기저항 변화 현황을 기반으로 펌프 케이싱(11) 내부의 부식 및 고착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고착 감지부(12)의 기기 고장으로 인해 탁도 값 및 전기 저항 값이 비정상적으로 측정되는 경우도 분별하여 고착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계절에 따라 또는 펌프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부식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 유체의 탁도 또는 전기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수신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기준치를 조정하여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모드 설정 단계는 제어부(20)가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1000)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모드 설정단계에서 제어부(20)는 분석 및 판별 단계에서 부식 또는 고착이 발생했음이 판별된 경우,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1000)의 모드를 유체가 순환관(410)을 따라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수조(200)를 왕복하는 순환모드로 설정하고, 분석 및 판별 단계에서 부식 또는 고착이 발생했음이 판별되지 않은 경우,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1000)의 모드를 유체가 분사관(420)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행단계는 제어부(20)가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를 기반으로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을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가 순환모드인 경우, 수행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420) 폐쇄단계와 순환관(410) 개방단계, 순환 유량 조정 단계, 수조(200) 수위 감지 단계, 및 수조(200) 개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관(420) 폐쇄단계에서 제어부(20)는 밸브부(500)를 제어하여 분사관(420)을 폐쇄함으로써 유체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순환관(410) 개방 단계에서 제어부(20)는 밸브부(500)를 제어하여 순환관(410)을 개방함으로써 유체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와 수조(200)를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분사관(420) 폐쇄단계와 순환관(410) 개방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부(500)의 밸브는 순환관(410) 또는 분사관(42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있다. 예를 들어 분사관(420)에만 밸브가 배치되는 경우, 분사관(420)의 밸브가 개방되면 분사관(420)이 개방되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유체가 분사관(420)으로 유동하며, 자연히 순환관(410)으로는 유체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분사관(420)의 밸브가 폐쇄되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유체가 순환관(410)으로 흐르므로 순환관(410)이 개방될 수 있다.
이 외에, 밸브부(500)의 밸브는 분사관(420) 및 순환관(41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분사관(420) 폐쇄단계가 순환관(410) 개방단계보다 우선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가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10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두 밸브 중 어느 하나의 밸브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하여 유체가 분사관(420) 및 순환관(410)으로 모두 유동하거나, 분사관(420) 및 순환관(410)에 모두 유동하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순환 유량 조정단계에서 제어부(20)는 순환관(410)에 연결된 유량계(700)의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순환모드 시의 유량 정보를 비교하여, 유량계(700)로부터 수신한 유량 정보가 미리 결정된 순환모드 시의 유량정보에 비해 크거나 작은 경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를 제어하여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수위 감지 단계 및 수조(200) 수위 감지 단계에서 제어부(20)는 수조(200) 내부의 수위 센서(900)로부터 수조(200) 내부의 수위 정보를 수신하고, 수조(200)의 수위가 소정 수치 이상인 경우, 수조(200)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흡입구를 연결한 순환관(410)을 개방할 수 있다. 이는 유체가 수조(200)에 일정 높이로 주입되면 제어부(20)가 수조(20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유체가 별도의 펌프 없이 수조(200)에서 일정한 유속으로 토출되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가 분사모드인 경우의 수행단계는 순환관(410) 폐쇄단계와, 분사관(420) 개방 단계 및 유압 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관(420) 개방단계에서 제어부(20)는 밸브부(500)를 제어하여 분사관(420)을 개방함으로써 유체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순환관(410) 폐쇄 단계에서 제어부(20)는 밸브부(500)를 제어하여 순환관(410)을 폐쇄함으로써 유체가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와 수조(200)를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분사관(420) 개방단계와 순환관(410) 폐쇄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부(500)의 밸브는 순환관(410) 또는 분사관(42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있다. 예를 들어 분사관(420)에만 밸브가 배치되는 경우, 분사관(420)의 밸브가 개방되면 분사관(420)이 개방되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유체가 분사관(420)으로 유동하며, 자연히 순환관(410)으로는 유체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분사관(420)의 밸브가 폐쇄되면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의 유체가 순환관(410)으로 흐르므로 순환관(410)이 개방될 수 있다.
이 외에, 밸브부(500)의 밸브는 분사관(420) 및 순환관(41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순환관(410) 폐쇄단계가 분사관(420) 개방단계보다 우선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되어야 할 유체가 수조(200)의 내부로 유출되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두 밸브 중 어느 하나의 밸브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하여 유체가 분사관(420) 및 순환관(410)으로 모두 유동하거나, 분사관(420) 및 순환관(410)에 모두 유동하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유압 조정 단계에서 제어부(20)는 분사관(420)에 연결된 유압계의 정보 및 미리 결정된 분사모드 시의 유압 정보를 비교하여 분사관(420) 내부의 유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10) 및 밸브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한 유압으로 유체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배관 내부에 가해지는 유압 정도를 조정하여 배관에 가해지는 부하를 축소할 수 있다.
1000 :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
100 : 펌프 고착감지 시스템
10 :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11 : 펌프 케이싱
12 : 고착 감지부
12a : 전기저항 측정수단 12b : 탁도 측정수단
20 : 제어부
200 : 수조
300 : 분사부
400 : 배관부
410 : 순환관 420 : 분사관
500 : 밸브부
600 : 압력계
700 : 유량계
800 : 속도계
900 : 수위 센서

Claims (7)

  1.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고착 감지부로부터 유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펌프 케이싱의 내부의 부식 또는 고착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유체가 보관되는 수조;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로부터 유체를 수신하여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연결하여 상기 수조 내부의 유체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지속적으로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관과,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분사부를 연결하는 분사관을 포함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관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에서 상기 수조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배관과, 상기 수조에서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배관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수조 및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간에 유체가 재활용되어 순환되도록 하며,
    상기 수조는,
    내부에 여과장치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내부에 부식 또는 고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여 상기 순환관을 개방하고, 상기 분사관을 폐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내부에 부식 및 고착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관을 개방하고, 상기 순환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관의 내부의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계;
    상기 순환관에 결합되어 상기 순환관의 내부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상기 펌프 케이싱의 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토출구의 유속을 측정하는 속도계; 및
    상기 수조의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수조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계의 유량 값과, 미리 결정된 목표 순환 유량 값을 비교하여, 상기 유량계의 유량 값이 상기 목표 순환 유량 값에 수렴하도록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압력계의 유압 값과, 미리 결정된 목표 분사 유압 값을 비교하여, 상기 압력계의 유압 값이 상기 목표 분사 유압 값에 수렴하도록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를 제어하며,
    상기 속도계의 속도 값과, 상기 제어부의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제어 값을 비교하여, 상기 속도계의 속도 값이 상기 제어부의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제어 값에 수렴하지 않은 경우,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하며,
    상기 수위 센서의 수위 값과, 미리 결정된 상기 수조의 최대 수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수위 센서의 수위 값이 상기 수조의 최대 수위 값과 일치했을 시,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여 상기 수조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
  4.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과,
    유체가 보관되는 수조,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로부터 유체를 수신하여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연결하여 유체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관과,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분사부를 연결하는 분사관을 포함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고착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펌프 케이싱의 내부의 부식 또는 고착 유무를 판별하는 분석 및 판별 단계;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의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모드를 기반으로 상기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을 제어하는 수행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 운용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및 판별 단계에서 부식 또는 고착이 발생했음이 판별된 경우,
    상기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의 모드를 유체가 상기 순환관을 따라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왕복하는 순환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분석 및 판별 단계에서 부식 또는 고착이 발생했음이 판별되지 않은 경우,
    상기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의 모드를 유체가 분사관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 운용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단계는,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가 순환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사관을 폐쇄하여 유체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분사관 폐쇄단계와,
    상기 순환관을 개방하여 유체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와 상기 수조를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관 개방단계와,
    상기 순환관에 연결된 유량계의 정보 및 미리 결정된 순환모드 시의 유량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를 제어하여 순환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 유량 조정단계와,
    상기 수조의 내부의 수위 센서로부터 수조 내부의 수위 정보를 수신하는 수조 수위 감지 단계 및
    상기 수조 수위 감지 단계에서 상기 수조의 수위가 소정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수조와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의 흡입구를 연결한 상기 순환관을 개방하는 수조 개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 운용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단계는,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가 분사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순환관을 폐쇄하여 유체가 순환되는 것을 막는 순환관 폐쇄단계와,
    상기 분사관을 개방하여 유체가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분사관 개방단계 및
    상기 분사관에 연결된 유압계의 정보 및 미리 결정된 분사모드 시의 유압 정보를 토대로 상기 분사관의 내부의 유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유압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 운용 방법.
KR1020220181250A 2020-12-28 2022-12-22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KR102590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250A KR102590391B1 (ko) 2020-12-28 2022-12-22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90A KR102517157B1 (ko) 2020-12-28 2020-12-28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KR1020220181250A KR102590391B1 (ko) 2020-12-28 2022-12-22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490A Division KR102517157B1 (ko) 2020-12-28 2020-12-28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178A KR20230010178A (ko) 2023-01-18
KR102590391B1 true KR102590391B1 (ko) 2023-10-19

Family

ID=821361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490A KR102517157B1 (ko) 2020-12-28 2020-12-28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KR1020220181250A KR102590391B1 (ko) 2020-12-28 2022-12-22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490A KR102517157B1 (ko) 2020-12-28 2020-12-28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17157B1 (ko)
CN (1) CN11468804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7840A (ja) * 2004-07-26 2014-02-27 Ebara Corp 消火ポンプ装置
JP2018107970A (ja) * 2016-12-27 2018-07-05 川本電産株式会社 消火ポンプユニット及び消火ポンプユニットの制御方法
KR102132995B1 (ko) * 2019-10-11 2020-07-13 동원펌프주식회사 자동 시운전 및 고착방지 시운전이 가능한 소방펌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131B1 (ko) * 2006-08-25 2006-11-15 주식회사 엔티시스템 펌프 고착방지와 자동배수 및 작동상태 알림 시스템
KR100955704B1 (ko) 2009-08-06 2010-05-03 화랑시스템(주) 축전식 소방펌프 시스템
KR101278973B1 (ko) * 2012-11-14 2013-07-02 (유)한성산기 지능형 양,배수장 관리시스템
CN207575626U (zh) * 2017-12-06 2018-07-06 徐州徐开电气有限公司 一种防止消防泵锈死的电气巡检执行器
KR101997683B1 (ko) * 2019-03-14 2019-07-08 (주)그린텍 영상 기반의 펌프의 이물질 감지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7840A (ja) * 2004-07-26 2014-02-27 Ebara Corp 消火ポンプ装置
JP2018107970A (ja) * 2016-12-27 2018-07-05 川本電産株式会社 消火ポンプユニット及び消火ポンプユニットの制御方法
KR102132995B1 (ko) * 2019-10-11 2020-07-13 동원펌프주식회사 자동 시운전 및 고착방지 시운전이 가능한 소방펌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88042A (zh) 2022-07-01
KR102517157B1 (ko) 2023-04-04
KR20230010178A (ko) 2023-01-18
KR20220093608A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1530B2 (en) Automatic pool and spa water leveler on a non-static line
US7114516B2 (en) Leak-detecting check valve, and leak-detection alarm system that uses said check valve
US11691042B2 (en) Water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ump test run in a water extinguishing system
US20080295895A1 (en) Water leakage and fault sensing system
PT1731684E (pt) Processo de operação para uma estação elevatória de águas residuais e estação operada por este processo
KR101467038B1 (ko) 누수감지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 제어 방법
KR102590391B1 (ko) 고착 감지 기능성 펌프, 펌프 고착 감지 시스템, 및 고안전성 소방 펌프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US20200116167A1 (en) System condition detection using inlet pressure
JP2018188961A (ja) 軸封装置、軸封装置組合体、軸封システム及び異常検知方法
RU2676779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инжекции раствора ингибитора коррозии для скважин
KR101810232B1 (ko) 작동 이상을 실시간 감지 가능한 부스터 펌프용 유량 센서 및 부스터 펌프 시스템
JP6637265B2 (ja) 給水装置
JP5377391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2018135761A (ja) 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排水機場
KR101580123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급수 방법
JP6731767B2 (ja) 真空式汚水収集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流れ検知装置、真空式汚水収集システム、真空弁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CN205369365U (zh) 一种地面淹水防护系统
JP2015079303A (ja) 水位制御装置
KR101569196B1 (ko) 온도센서가 구비된 부스터 펌프
JP4355224B2 (ja) ガス検知システム
JP7077434B2 (ja) 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排水機場
EP1788253A2 (en) Pump control device
KR20220068505A (ko) 급수 구역 내 오염물 유입 차단을 위한 스마트 수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19733Y1 (ko) 검출회로부를 구비한 수충격 방지장치
CN115450286A (zh) 一种具备流量监测功能的防洪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