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329B1 -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 - Google Patents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329B1
KR102590329B1 KR1020220156543A KR20220156543A KR102590329B1 KR 102590329 B1 KR102590329 B1 KR 102590329B1 KR 1020220156543 A KR1020220156543 A KR 1020220156543A KR 20220156543 A KR20220156543 A KR 20220156543A KR 102590329 B1 KR102590329 B1 KR 102590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ox
cavity
pneumatic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철
최한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Priority to KR102022015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01R31/013Testing passive components
    • G01R31/016Testing of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1000)는 원주를 둘러서 엠엘시시가 안착되는 공간인 안착부(104)가 복수개 형성된 것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져 그 회전축(8)이 수평으로 제공되는 휠(100)과; 상기 휠(100)의 뒤쪽에 위치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8)이 관통하는 박스(400)와; 상기 박스(400)의 전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휠(100)과 이격된 플레이트(200)를 가진다. 상기 박스(400)의 뒤쪽에는 내부가 공동부(540)를 형성하며 상기 공동부(540)가 진공펌프와 연결된 공동박스(50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MLCC Handler for sorting good and defective products}
본 발명은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handl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생산된 엠엘시시를 조사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하는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엠엘시시(MLCC)는 적층세라믹콘덴서로 번역되는 것으로서,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의 약자이다.
이러한 엠엘시시는 메모리 반도체 호황과 함께 각광 받고 있는 핵심 소재인데, 소형이고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에 취급이 어렵고 제조 공정상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전자부품으로서 전수검사 후 정상제품만 포장되어야 한다.
최근 전자제품의 소형화에 따라 엠엘시시(MLCC)의 크기도 소형화되어 초소형 엠엘시시(MLCC)의 수요가 매우 높게 되었고, 초소형 엠엘시시(MLCC)를 핸들링 할 수 있는 새로운 핸들링 장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엠엘시시(MLCC)검사를 위한 핸들링 장비는 초소형의 엠엘시시(MLCC)에 최적화 되지 않고, 핸들링 중 엠엘시시(MLCC)에 파손이 많이 발생하며 핸들링 속도가 느리다는 한계가 있다.
초소형의 엠엘시시시(MLCC)의 핸들링 장비는 엠엘시시(MLCC)를 휠(wheel)에 탑재하여 검사를 진행하고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하게 되는데, 휠에 탑재될 때 정확히 안착을 시켜야 하고, 안착 후 그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야 하며, 이후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하여 효과적으로 탈거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더욱 어렵게 하는 것은 휠이 회전할 때 빠른 회전속도로 인하여 원심력이 작용한다는 것이다.
원심력으로 인하여 엠엘시시(MLCC)의 휠에의 안착과 검사진행 중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또한 선별된 양품과 불량품을 효과적으로 탈거하기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handler)와 관련되어, 휠(wheel)의 빠른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의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엠엘시시(MLCC)를 휠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고 검사진행 중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며 또한 선별된 양품과 불량품을 효과적으로 탈거하도록 하는 것이 요청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04929호의 '엠엘시시 반도체부품 검사장비 검사 알고리즘 및 시스템 발명'이 발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휠(wheel)의 빠른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의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엠엘시시(MLCC)를 휠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고 검사진행 중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며 또한 선별된 양품과 불량품을 효과적으로 탈거하도록 하는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 원주를 둘러서 엠엘시시가 안착되는 공간인 안착부가 복수개 형성된 휠(wheel)과; 여기서, 상기 휠은 수직으로 세워져 그 수평방향으로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휠의 복수개의 안착부들은 그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휠에 형성된 홈과 연통하고 있으며,
(b) 상기 휠의 뒤쪽에 위치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박스와;
(c) 상기 박스의 전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휠과 이격된 플레이트와;
(d) 상기 박스의 뒤쪽에 설치된 것으로서 내부가 공동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동부가 진공펌프와 연결된 공동박스와;
(e) 상기 휠에서 그 중심을 가로지르는 수평선의 양 끝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안착부의 위치인 제1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된 자석과; 여기서, 상기 휠에서 그 중심을 가로지르는 수평선의 양 끝단 중 상기 제1위치의 반대쪽의 안착부의 위치는 제2위치가 되며,
(f) 상기 제1위치의 안착부로 상기 엠엘시시를 낱개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피더와;
(g) 상기 박스를 지나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출구는 상기 휠의 홈과 대응되어 상기 공동박스의 공동부와 상기 휠의 홈을 연통시키는 음압유로와;
(h) 상기 휠의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상부를 따른 원주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엠엘시시의 검사장비와;
(i) 상기 박스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휠의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안착부에 대응하여 그 출구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압축기와 연결된 제1공압배출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공동박스의 공동부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a) 상기 박스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휠의 제1위치로부터 270°되는 곳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위치인 제3위치에 대응하여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제2공압배출유로와;
(b) 상기 박스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휠의 제3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안착부의 위치인 제4위치에 대응하여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제3공압배출유로를 더욱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공압배출유로는 상기 박스의 측면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박스의 측면에 상기 제1공압배출유로와 연통하는 제1공압관이 설치되어, 상기 제1공압관과 상기 압축기가 연결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박스에는 상기 제2공압배출유로와 상기 제3공압배출유로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제2공압관 및 제3공압관이 설치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는 휠의 빠른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의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엠엘시시를 휠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고 검사진행 중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며 또한 선별된 양품과 불량품을 효과적으로 탈거시킨다.
도 1에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엠엘시시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피더에 의하여 낱개로 제공되는 엠엘시시가 휠의 제1위치에 도착한 안착부로 자석의 자력으로 강제로 안착되는 것을 보이는 도면;
도 7에서 도 10은 음압유로들과 공압배출유로들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11과 도 12는 휠의 구조와 위치관계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1000)가 보인다.
볼 피더(bowl feeder)(10)로 다수개의 엠엘시시가 공급되며, 볼 피더(10)로부터 엠엘시가 진동피더(90)로 공급되어진다.
진동피더(90)로부터 낱개의 엠엘시시를 연속적으로 공급받는 휠(100)이 제공되고, 그 뒤에 박스(400)가 제공되고, 상기 박스(400)의 뒤에 내부에 공동부(540)가 형성되는 공동박스(500)가 제공된다.
상기 휠(100)은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상기 박스(400)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회전축(8)이 설치된다.
상기 공동박스(500)의 측면에는 관(530)이 설치되고 이를 통하여 진공펌프(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공동박스(500)의 내부의 공동부(540)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서보모터(20)가 제공되어 상기 휠(100)을 회전시키며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휠(100)의 회전속도의 조절 등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패널(30)이 설치되고 있으며, 볼 피더(10)의 회전수와 진동피더(20)의 주파수 등을 조정하는 제어패널(21)과 볼 피더(10)의 공압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1)이 설치된다.
도 1에서 도 5 및 도 11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수직으로 세워져 그 회전축(8)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휠(100)이 제공되는데, 상기 휠(100)은 원주를 둘러서 엠엘시시가 안착되는 공간인 안착부(104)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휠(100)의 복수개의 안착부(104)들은 그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휠에 형성된 홈(108)과 연통하고 있다. (도 11 참조)
상기 휠의 뒤쪽에는 박스(400)가 설치되고 이를 관통하여 상기 휠(100)의 회전축(8)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있다.
상기 휠(100)은 서버모터(20)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받아 고속회전을 이루는데, 상기 휠(100)의 안착부(104)로 진동피더(90)가 낱개의 엠엘시시(4)를 연속하여 공급하게 된다.
상기 박스(400)의 전면에는 플레이트(200)가 부착되는데 이것은 상기 휠과 이격된 것이다.
상기 박스(400)의 뒤쪽에는 내부가 공동부(540)를 형성하고 관(530)을 통하여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된 공동박스(50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공동박스(500)의 내부의 공동부(540)는 음압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공동박스(500)의 공동부(54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도 12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휠(100)에서 그 중심(c)을 가로지르는 수평선(h)의 양 끝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되는 안착부(104)의 위치를 제1위치(110)로 정의하고, 상기 수평선(h)의 양 끝단 중 상기 제1위치(110)의 반대쪽의 에 위치하는 안착부(104)의 위치는 제2위치(120)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휠(100)의 제1위치(110)로부터 270°되는 곳에 위치하는 안착부(104)의 위치를 제3위치(130)로, 그리고, 상기 휠(100)의 제3위치(130)로부터 상기 제1위치(11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안착부(104)의 위치를 제4위치(140)로 정의한다.
도면들 전반에 걸쳐서 보이고 있으며, 특별히, 도 3에서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휠(100)의 제1위치(110)에 대응하여 상기 플레이트(200)에는 자석(300)이 설치된다.
박스(400)에 무두볼트(350)를 관통하여 상기 휠(100)의 제1위치(110)에 대응한 상기 플레이트(200)의 위치에 자석(30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피더(90)가 엠엘시시(4)를 하나씩 공급할 때 자석(300)의 자력으로 상기 엠엘시시(4)는 상기 휠(100)에서 제1위치(110)에 이른 안착부(104)로 정확하게 안착이 될 수 있게 된다. (도 6 참조)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박스(400)를 지나 상기 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출구는 상기 휠(100)의 홈(108)과 대응되는 음압유로(580a)(580b)(580c)(580d)(580e)가 제공된다.
이들 음압유로(580a)(580b)(580c)(580d)(580e)는 상기 공동박스(500)의 공동부(540)와 상기 휠(100)의 홈(108)을 연통시키게 된다.
도 3에서 도 5에 걸쳐서 음압유로(580a)가 단면을 따라 보이고 있으며, 도 9는 음압유로(580a)의 출구가 상기 휠(100)의 홈(108)에 대응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도 8은 복수개의 음압유로(580a)(580b)(580c)(580d)(580e)가 상기 박스(400)를 지나 상기 플레이트(200)를 관통하고 각각의 출구가 상기 휠(100)의 홈(108)과 대응되어, 복수개의 음압유로(580a)(580b)(580c)(580d)(580e)가 상기 공동박스(500)의 공동부(540)와 상기 휠(100)의 홈(108)을 연통시키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관(530)을 통하여 공동박스(500)의 공동부(540)에 음압이 걸리면 그 음압이 상기 휠(100)의 홈(108)에 작용하여 흡압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104)에 안착된 엠엘시시(104)들이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휠(100)의 제1위치(110)와 제2위치(120)의 상부를 따른 원주에 대응하여 엠엘시시의 검사장비(미도시)가 설치되어진다.
이에 따라서 피더(90)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지는 낱개의 엠엘시시(4)가 상기 휠(100)의 제1위치(110)에 연속적으로 이르는 개개의 안착부(104)에 상기 자석(300)의 자력으로 안착되어지고, 이후 이들 안착된 엠엘시시(4)들은 휠(100)의 회전을 따라 상기 제2위치(120)로 이르게 되는데, 그 동안 엠엘시시의 검사장비(미도시)가 엠엘시시(4)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박스(400)로부터 상기 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공압배출유로(483)가 제공된다.
상기 제1공압배출유로(483)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박스(400)의 측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박스(400)를 관통하고 이후 상기 플레이트(200)를 관통하고 있으며 그 출구는 상기 휠(100)의 제2위치(120)에 위치하게 되는 안착부(104)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공압배출유로(483)는 압축기(미도시)와 연결이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박스(400)의 측면에 제1공압관(483)이 설치되어 이것이 제1공압배출유로(483)와 연결되고, 상기 공압관(483)이 압축기와 연결된다.
상기 제1공압배출유로(483)는 상기 제2위치(120)에 이른 안착부(104)에 안착된 엠엘시시(4)를 탈거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휠(100)의 제1위치(110)의 안착부(104)에 탑재된 엠엘시시(4)는 제2위치(120)에 이르는 동안 엠엘시시 검사장비에 의하여 불량여부를 판단을 받는데, 양품으로 판정을 받은 엠엘시시(4)가 제2위치(120)에 이르면, 압축기의 압축공기를 제1공압배출유로(483)를 통하여 분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2위치(120)의 안착부(104)의 양품인 엠엘시시(4)는 분출된 공압을 받고 탈거 된다.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휠(100)의 제2위치(120)에 대응하여 진동피더가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탈거되는 양품인 엠엘시시들은 각각 이 진동피더를 타고 배출된다.
도 10은 제1공압관(433)을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휠(100)의 제2위치(120)의 안착부(104)를 향하여 공압이 분출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이고 있으며, 상기 제1공압관(433)은 제1공압배출유로(483)에 대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엠엘시시의 검사장비의 검사결과 불량품으로 판정된 엠엘시시(4)가 제2위치에 이르렀을 경우, 제1공압배출유로(483)를 통하여 공압이 분출되지 않으며, 이 불량인 엠엘시시(4)는 제2위치(120)를 통과하고, 이로부터 90°를 더 회전하여 제1위치로부터 270° 회전되는 위치인 제3위치(130)에 이르게 된다.
제3위치(130)는 휠(100)의 중심(c)의 수직하방의 위치로서, 이 위치(130)의 안착부(104)의 엠엘시시(4)는 중력에 의하여 자유낙하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양품인 엠엘시시(4)는 제2위치(120)에서 공압으로 강제탈거되고, 불량품은 제3위치(130)에서 중력으로 자유낙하되어 탈거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휠(100)의 제3위치(130)에 이르는 안착부(104)에 대하여도 공압을 분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자유낙하를 통하여 탈거되지 못하는 불량품인 엠엘시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인데, 본 발명은 휠(100)의 제3위치(130)에 대응하여 출구가 형성되고 박스(400)로부터 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유로가 형성되는 제2공압배출유로(482)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제2공압배출유로(482)에 대하여 제2공압관(432)이 박스(400)에 설치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휠(100)의 제3위치(130)와 제1위치(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4위치(140)에 대응하여 출구가 형성되고 박스(400)로부터 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유로가 형성되는 제3공압배출유로(481)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제3공압배출유로(481)는 박스(400)에 설치되는 제3공압관(431)과 연결되고 있다.
이 제3공압배출유로(481)는 휠(100)의 제3위치(130)를 지났음에도 아직 탈거되지 못한 엠엘시시(4)가 있을 것을 염려하여 이들을 탈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0은 제2 및 제3 공압배출유로(482)(481)와 연결되는 제2 및 제3 공압관(432)(431)을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휠(100)의 제3위치(130)와 제4위치(140)의 안착부(104)를 향하여 공압이 분출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볼 피더(10)로부터 진동피더(90)를 거쳐 연속적으로 낱개가 공급되는 엠엘시시(4)는 휠(100)의 제1위치(110)에 도착하게 되는 안착부(104)에 자석(300)의 자력으로 강제로 안착을 이루게 된다.
상기 휠(100)의 회전으로 제2위치(120)에 이르는 동안 음압유로(580a)(580b)(580c)(580d)(580e)의 음압으로 상기 안착부(104)이 엠엘시시(4)는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동안에 엠엘시시 검사장비를 통하여 불량여부를 판단 받는다.
엠엘시시(4)가 제1위치(110)로부터 제2위치(120)로 이르는 동안 중력은 하방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휠(100)의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은 그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고속으로 회전하는 휠(100)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의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엠엘시시(4)가 휠(100)의 제2위치(120)에 도착하면 제1공압배출유로(483)를 통하여 공압이 분출되어 양품인 엠엘시시(4)를 탈거시킨다.
불량품인 엠엘시시(4)는 이후 제3위치(130)에 이르러 자유낙하로 탈거하게 되며, 보조적으로 제2공압배출유로(482)를 통하여 분출되는 공압으로 탈거될 수 있다.
제3위치(130)를 넘어서 아직 탈거되지 않은 엠엘시시(4)는 제3공압배출유로(481)를 통하여 분출되는 공압으로 탈거가 되게 된다.
100: 휠
104: 안착부
108: 홈
c: 중심
h: 수평선
v: 수직선
110: 제1위치
120: 제2위치
130: 제3위치
140: 제4위치
200: 플레이트
400: 박스
500: 공동박스
530: 관
540: 공동부
580a, 580b, 580c, 580d, 580e: 음압유로
483: 제1공압배출유로
482: 제2공압배출유로
481: 제3공압배출유로
431, 432, 433: 공압관

Claims (5)

  1. (a) 원주를 둘러서 엠엘시시가 안착되는 공간인 안착부가 복수개 형성된 휠(wheel)과; 여기서, 상기 휠은 수직으로 세워져 그 수평방향으로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휠의 복수개의 안착부들은 그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휠에 형성된 홈과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휠의 복수개의 안착부들은 그 반경방향을 따른 바깥쪽은 개방되고,
    (b) 상기 휠의 뒤쪽에 위치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박스와;
    (c) 상기 박스의 전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휠과 이격된 플레이트와;
    (d) 상기 박스의 뒤쪽에 설치된 것으로서 내부가 공동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동부가 진공펌프와 연결된 공동박스와;
    (e) 상기 휠에서 그 중심을 가로지르는 수평선의 양 끝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안착부의 위치인 제1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된 자석과; 여기서, 상기 휠에서 그 중심을 가로지르는 수평선의 양 끝단 중 상기 제1위치의 반대쪽의 안착부의 위치는 제2위치가 되며,
    (f) 상기 제1위치의 안착부로 상기 엠엘시시를 낱개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피더와;
    (g) 상기 박스를 지나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출구는 상기 휠의 홈과 대응되어 상기 공동박스의 공동부와 상기 휠의 홈을 연통시키는 음압유로와;
    (h) 상기 휠의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상부를 따른 원주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엠엘시시의 검사장비와;
    (i) 상기 박스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휠의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안착부에 대응하여 그 출구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압축기와 연결된 제1공압배출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j) 상기 공동박스의 공동부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박스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휠의 제1위치로부터 270°되는 곳에 위치하는 안착부의 위치인 제3위치에 대응하여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제2공압배출유로와;
    (b) 상기 박스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휠의 제3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안착부의 위치인 제4위치에 대응하여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제3공압배출유로를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압배출유로는 상기 박스의 측면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박스의 측면에 상기 제1공압배출유로와 연통하는 제1공압관이 설치되어, 상기 제1공압관과 상기 압축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에는 상기 제2공압배출유로와 상기 제3공압배출유로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제2공압관 및 제3공압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
KR1020220156543A 2022-11-21 2022-11-21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 KR10259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543A KR102590329B1 (ko) 2022-11-21 2022-11-21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543A KR102590329B1 (ko) 2022-11-21 2022-11-21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329B1 true KR102590329B1 (ko) 2023-10-17

Family

ID=8855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543A KR102590329B1 (ko) 2022-11-21 2022-11-21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3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211B1 (ko) * 2005-02-28 2005-11-08 윈텍 주식회사 전자부품 검사 시스템
KR20090081674A (ko) * 2008-01-24 2009-07-29 윈텍 주식회사 전자부품의 양면 검사장치
KR20110066575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부품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211B1 (ko) * 2005-02-28 2005-11-08 윈텍 주식회사 전자부품 검사 시스템
KR20090081674A (ko) * 2008-01-24 2009-07-29 윈텍 주식회사 전자부품의 양면 검사장치
KR20110066575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부품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2347B2 (ja) 電子部品ハンドラー
KR100283277B1 (ko) 전자 구성 요소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244934B1 (en) Method for blasting an inside surface of a cylinder
TWI430357B (zh) 電漿蝕刻室
JP4944260B1 (ja) ワーク供給装置
KR100979721B1 (ko) 반도체 다이의 검사 및 분류 일체화장치
CN1531030A (zh) 配备有旋转刀具的加工设备
KR102590329B1 (ko) 엠엘시시(mlcc)의 양품과 불량품 선별용 핸들러
TW201443457A (zh) 用於處置電組件之系統及方法
CN108896553A (zh) 一种大批量零部件全方位检测装置
JP2006245214A (ja) ガス供給部材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CN106513400A (zh) 缸体清洗机及其清洗方法
US6684523B2 (en) Particle removal apparatus
US7390158B2 (en) Handling device for electronic chip components and handling method for electronic chip components
MXPA02008160A (es) Alimentador para la inspeccion de poliedros y aparato para la inspeccion de poliedros.
US7735177B1 (en) Brush core assembly
TW200404988A (en) Exterior inspection apparatus for workpieces and exterior inspection method
KR102394453B1 (ko) 비젼 자동 검사기
US6224298B1 (en) Object transport apparatus having a floating conveying means
CN111715562A (zh) 一种晶粒分拣装置以及分拣方法
KR20070087392A (ko) 미세한 전자부품의 외관 검사장치
JP3230566B2 (ja) ウエハの分離搬送装置
JPH11274797A (ja) チップ状電子部品供給装置
US6729834B1 (en) Wafer manipulating and centering apparatus
KR100452538B1 (ko) 반도체 소자의 외관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