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095B1 - 회전 휠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휠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095B1
KR102590095B1 KR1020210051395A KR20210051395A KR102590095B1 KR 102590095 B1 KR102590095 B1 KR 102590095B1 KR 1020210051395 A KR1020210051395 A KR 1020210051395A KR 20210051395 A KR20210051395 A KR 20210051395A KR 102590095 B1 KR102590095 B1 KR 10259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fixing device
wheel fixing
rotating wheel
press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721A (ko
Inventor
한경우
Original Assignee
한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우 filed Critical 한경우
Priority to KR102021005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0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igidly on cycle frame or fork, e.g. adjusta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2Hubs adapted to be rotatably arranged on axle
    • B60B27/023Hubs adapted to be rotatably arranged on axle specially adapted for bicycles
    • B60B27/026Hubs adapted to be rotatably arranged on axle specially adapted for bicycles comprising quick releas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igidly on cycle frame or fork, e.g. adjustably
    • B62K2025/025Hinged axl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6/00Quick release mechanisms adapted for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체와 휠(wheel)이 상호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압 레버, 상기 대상체에 결합되는 고정장치 본체, 상기 고정장치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 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 유닛 및 상기 구속 유닛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휠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 휠 고정장치{LOCKING DEVICE FOR A ROTATING WHEEL}
본 발명은 체결 안전성이 우수한 회전 휠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휠 고정용 레버는 자전거에 휠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러한 회전 휠을 스핀들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 휠의 고정와셔를 압지 하는 구조로 회전 휠에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스핀들에 나선 결합하는 것으로 회전 휠의 장착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휠의 견고한 고정 결합을 위하여 고정볼트를 스핀들에 조임 시키거나 또는 분리를 위하여 조임 해제 시 고정볼트에 맞는 전용 공구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회전 휠을 결합 또는 분리 시, 회전 휠을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고정볼트에 대한 별도의 전용 공구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우선 고정볼트의 나선 타입의 체결에 따른 번거로움과 더불어 항상 전용 공구를 휴대하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 생산되는 자전거는 포크(fork)로부터 휠을 간단하게 분리하고 결합하기 위하여 릴리즈 레버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릴리즈 레버는 별도의 공구 사용 없이 용이하게 볼트 조임과 풀림이 가능한 점에 편리성위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 자전거의 이상동작 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릴리즈 레버가 쉽게 풀리거나 밀리면서 휠이 이탈되는 등의 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6-0073091호, (2016.06.24. 공개일)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릴리즈 레버의 구조를 회전압력에 의한 고정 방식에서 나아가 물리적인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한 특정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레버가 풀리는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회전 휠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는,
대상체와 휠(wheel)이 상호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압 레버;
상기 대상체에 결합되는 고정장치 본체;
상기 고정장치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 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 유닛; 및
상기 구속 유닛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레버에는, 상기 구속 유닛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삽입홀; 및
상기 걸림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 삽입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레버의 제2 삽입홀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클립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레버의 제2 삽입홀 타측 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텐션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텐션부재는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소정의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귀가 가능한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재의 일측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텐션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 유닛은, 고정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구속 유닛 본체; 및
상기 구속 유닛 본체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1 삽입홀에 삽입되는 돌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 유닛의 돌출 삽입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단차지도록 언더컷(undercut)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구속 유닛의 돌출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1 가이드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돌출 삽입부의 언더컷 부위가 삽입되어 구속되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적어도 일부가 일방향으로 직경이 감소 후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 유닛의 돌출 삽입부는 상기 걸림부재에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휠 고정장치는,
대상체와 휠(wheel)이 상호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압 레버;
상기 대상체에 결합되는 고정장치 본체;
상기 가압 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상기 고정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구속 유닛 본체와 상기 구속 유닛 본체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돌출 삽입부를 포함하는 구속 유닛; 및
상기 가압 레버에 형성되되, 상기 구속 유닛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구속 유닛의 돌출 삽입부에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 및 이탈되면서 상기 구속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고정 연장바가 형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연장바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연장바는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홈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고정 연장바가 일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편심되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휠 고정장치는,
대상체와 휠(wheel)이 상호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압 레버;
상기 대상체에 결합되는 고정장치 본체;
상기 가압 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상기 고정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구속 유닛 본체와 상기 구속 유닛 본체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돌출 삽입부를 포함하는 구속 유닛;
상기 구속 유닛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 유닛 또는 걸림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 또는 구속 유닛에는 상기 제1 돌기가 삽입 또는 이탈 가능 하도록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고정홀에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돌기와 고정홀은 회전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레버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커버는 상기 가압 레버에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일측 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고정 커버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부재의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레버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을 유도하는 스위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가압 레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 또는 가압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연장 파지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 구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스위치부를 관통하여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연장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재 또는 회전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 또는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2 돌기가 삽입 또는 이탈 가능 하도록 회전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고정홀로부터 결합 또는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구속 유닛의 삽입 돌출부의 회전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stopper)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는 릴리즈 레버의 구조를 회전압력에 의한 고정 방식에서 나아가 물리적인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한 특정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레버가 풀리는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휠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단면도들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는 휠을 자전거 포크(fork)에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릴리즈 레버를 물리적으로 구속 및 해제가 용이한 특정 구조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릴리즈 레버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현상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100)는 자전거의 포크와 휠(wheel)이 상호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압 레버(110), 상기 자전거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고정장치 본체(10), 고정장치 본체(10)에 결합되고 가압 레버(11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 유닛(130) 및 구속 유닛(130)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압 레버(110)는 상기 자전거의 휠(wheel)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포크 중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압 레버(110)는 지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가압 되면서 상기 자전거의 포크와 휠을 단단하게 고정시켜 주며 반대로 회전한 상태에서 가압이 해제되면서 상기 휠이 자전거의 포크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압 레버(110)의 기본 동작은 공지된 내용으로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 레버(110)에는 구속 유닛(130)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삽입홀(111)이 형성될 수 있고, 걸림부재(120)의 일측 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제2 삽입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에는 고정클립(140)이 삽입된 상태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양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슬라이드홈(11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재(120)가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클립(140)이 슬라이드홈(112-1)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부재(120)의 이동을 제한 또는 해제할 수 있다.
고정장치 본체(10)는 가압 레버(110)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자전거의 휠이 개재된 한 쌍의 상기 자전거의 포크를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가압 레버(110)는 고정장치 본체(1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가압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장치 본체(10)와 가압 레버(110)의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속 유닛(130)이 개재될 수 있다.
구속 유닛(130)은 고정장치 본체(10)에 결합되는 구속 유닛 본체(131) 및 구속 유닛 본체(131)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1 삽입홀(111)에 삽입되는 돌출 삽입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속 유닛 본체(131)는 고정장치 본체(10)가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삽입부(132)는 고정장치 본체(10)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원통형 로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1)에는 상단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각도로 단차 지도록 언더컷(133, undercut)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언더컷(133)은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가 제2 가이드홀(122) 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지면을 기준으로 측면상 단차진 부위의 높이(h)가 일측 방향으로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제2 가이드홀(122)은, 지면을 기준으로 평면상 일측 방향으로 직경(w)이 감소된 후에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1)가 제1 가이드홀(121)에서 제2 가이드홀(122)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된 후에 제1 가이드홀(121) 방향으로 복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걸림부재(120)는 전체적으로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 가능한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재(120)에는 구속 유닛(120)의 돌출 삽입부(132) 상단 부위가 관통되어 상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중앙 부위에 제1 가이드홀(12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가이드홀(121)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돌출 삽입부(132)의 언더컷(133) 부위가 삽입되어 이동되면서 구속되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홀(122)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재(120)는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에 삽입될 수 있고, 걸림부재(120)의 제1 가이드홀(121)에는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재(120)가 삽입되는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 일측 단부에는 걸림부재(12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신장된 후에 복귀되는 텐션부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텐션부재(123)는 소정의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귀가 가능한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텐션부재(123)의 일측이 가압 레버(110)에 고정된 상태로 일측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이동 및 복귀될 수 있다.
걸림부재(120)의 일측 단부는, 하나의 예에서, 길이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텐션부재(123)는 걸림부재(120)의 단부, 즉 원뿔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소정의 각도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부재(120)의 단부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100)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의 포크에 휠을 장착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휠 고정장치(100)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휠 고정장치(100)의 고정장치 본체(10)를 상기 자전거의 포크 및 휠을 관통하여 결합시킨 후에 휠 고정장치(100)의 가압 레버(110)를 회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먼저 고정장치 본체(10)에 구속 유닛(130)의 구속 유닛 본체(131)의 중공 부위를 관통시켜 삽입 고정시키게 되면,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는 가압 레버(110)의 제1 삽입홀(1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에 걸림부재(120)를 삽입시키되, 가압 레버(110)의 돌출 삽입부(132)가 걸림부재(120)의 제1 가이드홀(121)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는 가압 레버(110)의 제1 삽입홀(111) 및 걸림부재(120)의 제1 가이드홀(121)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를 일측 방향, 즉 걸림부재(120)의 제2 가이드홀(121) 측으로 가압 이동시킨다. 여기서, 걸림부재(120)의 제1 가이드홀(121)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 가이드홀(122)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 삽입부(132)의 언더컷(133) 부위가 제2 가이드홀(121) 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환언하면,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의 상단부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함몰되어 단차진 언더컷(133)이 형성되고, 이러한 언더컷(133) 부위가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제2 가이드홀(122)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된다.
이 후 걸림부재(120)가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에 삽입되게 되면 가압 레버(110)의 슬라이드홈(112-1)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 클립(140)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걸림부재(120)를 고정시킬 있다. 이 때,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의 타단 부위에는 전술한 텐션부재(123)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걸림부재(120)가 가압 레버(1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텐션부재(123)는 걸림부재(120)가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의 일측 단부면을 지지하거나, 걸림부재(120)가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부재(120)의 측면 부위에 형성된 홀(hole)에 삽입되어 구속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가 걸림부재(120)의 제1 가이드홀(121) 또는 제2 가이드홀(122)에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압 레버(110)를 고정장치 본체(10)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압시켜 휠 고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자전거의 휠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휠 고정장치(100)를 해제시켜 상기 자전거의 휠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휠 고정장치(100)의 가압 레버(110)를 고정장치 본체(10)로부터 이격 되도록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압을 해제시킨다. 이후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를 걸림부재(120)의 제1 가이드홀(121)로 원위치 시킨 다음에 돌출 삽입부(132)를 걸림부재(120)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자전거의 휠을 탈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휠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100)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자전거와 휠의 분리 및 결합을 제어하는 가압 레버(110), 상기 자전거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고정장치 본체(10), 고정장치 본체(10)에 결합되고 가압 레버(11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 유닛(130) 및 구속 유닛(130)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부재(120)를 포함하되,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에는 복수의 걸림홈(135)이 형성되고, 걸림부재(120)에는 걸림홈(135)에 삽입 및 이탈되면서 구속 유닛(1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고정 연장바(125)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연장바(125)는, 하나의 예에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부재(120)의 고정 연장바(125)가 돌출 삽입부(132)의 걸림홈(135) 사이에 개재되는 형상으로 탄력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속 유닛(120)의 돌출 삽입부(132)에 형성된 걸림홈(135)은 기어 이빨(claw) 형상으로 일측 방향으로 편심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구속 유닛(120)은 이러한 경사지 부위를 따라서 상기 기어 이빨이 걸림홈(135) 부위에 삽입 및 이탈되면서 일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걸림부재(120)의 고정 연장바(125)가 돌출 삽입부(132)의 걸림홈(135)으로부 이탈시키려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2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고정 연장바(125)가 걸림홈(135)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단면도들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100)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자전거와 휠의 분리 및 결합을 제어하는 가압 레버(110), 상기 자전거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고정장치 본체(10), 고정장치 본체(10)에 결합되고 가압 레버(11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 유닛(130), 구속 유닛(130)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부재(120), 걸림부재(120)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재(117) 및 걸림부재(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 스프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117)는 전체적으로 중공의 원형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연장되는 형상의 연장 파지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부재(120)의 상부, 즉 회전부재(117)의 연장 파지부(118)가 돌출되는 스위치부(116)에는 연장 파지부(118)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회전 구속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구속부(115)는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회전 구속부(115)를 회동시켜 연장 파지부(118)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파지부(118)가 의도치 않은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언락킹(Unlocking) 되어 회전 휠 고정장치(100)가 풀리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100)는 걸림부재(120)와 구속 유닛(130)이 상호 연동하여 동작된다는 점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이들의 상호 결합 및 해제가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15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가압 레버(110)의 상측 부위에는 회전부재(117)의 연장 파지부(118)가 관통 가능하도록 스위치부(116)가 형성되고, 회전부재(117)의 연장 파지부(118)가 스위치부(116)를 통하여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17)의 연장 파지부(118)가 스위치부(116)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회전부재(117)의 연장 파지부(118)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회전부재(117)는 걸림부재(1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걸림부재(120)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부(116)에는 회전 구속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부재(117)를 구속할 있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도면에는 회전 구속부(115)가 스위치부(116)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 레버(110)의 상부, 회전부재(117)의 연장 파지부(118)의 인접 부위에 별도의 독립적인 부재로 제공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 일측 단부에는 고정 커버(160)가 스크류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에는 걸림부재(120)가 삽입되고, 걸림부재(120)의 단부와 고정 커버(160)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150)이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재(120)는, 탄성 스프링(150)에 의하여,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에서 탄성적으로 이동 또는 복귀될 수 있다.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에는 고정홀(137)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부재(120)에는 고정홀(137)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도록 제1 돌기(136)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재(120)와 고정 커버(160)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150)가 개재되어 있다. 걸림부재(120)는 가압 레버(110)의 제2 삽입홀(112)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117)의 상기 중공 부위로 관통되어 결합되어 있고, 회전부재(117)의 파지 연장부(118)가 스위치부(116)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걸림부재(12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부재(120)의 제1 돌기(136)의 인접 부위에는 스톱퍼(129)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에 형성된 고정홀(137)에 걸림부재(120)의 제1 돌기(136)가 삽입되는 경우에 스톱퍼(129)가 제1 돌기(136)의 측면 부위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구속 유닛(130)의 돌출 삽입부(132)가 회전력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은 이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걸림부재(120)의 외주에는 한 쌍의 제2 돌기(126)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117)의 상기 중공 부위의 내주 방향으로 회전 이동에 의하여 상기 요철이 구속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회전홀(1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위치부(116)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부재(117)를 회전하여 왕복시키는 동작으로 구속 유닛(130)의 돌기(136)가 걸림부재(120)의 돌출 삽입부(132)에 탄성적으로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 고정장치(1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 유닛(120)에는 걸림부재(120)에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탄성핀(1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핀(170)은 일측이 구속 유닛(120)에 결합된 상태로 타측은 걸림부재(120)를 경유하여 가압 레버(110)에 결합되어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걸림부재(120)에는 홈(미도시)가 형성되고, 탄성핀(170)에는 상기 홈에 안착되도록 돌기(미도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재(120)의 걸림홈(135)을 따라 탄성핀(170)이 연동되어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가압 레버(110)의 회전동작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휠 고정장치(100)에 의하여 상기 자전거 휠의 장착 및 탈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 고정장치 본체 100: 휠 고정장치
110: 가압 레버 111: 제1 삽입홀
112: 제2 삽입홀 115: 회전 구속부
116: 스위치부 117: 회전부재
118: 연장 파지부 119: 회전홀
120: 걸림부재 121: 제1 가이드홀
122: 제2 가이드홀 123: 텐션부재
125: 고정 연장바 126: 제2 돌기
129: 스톱퍼(stopper) 130: 구속 유닛
131: 구속 유닛 본체 132: 돌출 삽입부
135: 걸림홈 136: 제1 돌기
137: 고정홀 140: 고정 클립
150: 탄성 스프링 160: 고정 커버
170: 탄성핀

Claims (30)

  1. 대상체와 휠(wheel)이 상호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압 레버;
    상기 대상체에 결합되는 고정장치 본체;
    상기 고정장치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 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 유닛; 및
    상기 구속 유닛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레버에는,
    상기 구속 유닛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삽입홀; 및
    상기 걸림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레버의 제2 삽입홀 일측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클립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레버의 제2 삽입홀 타측 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텐션부재;가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는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소정의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귀가 가능한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일측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텐션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유닛은,
    고정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구속 유닛 본체; 및
    상기 구속 유닛 본체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1 삽입홀에 삽입되는 돌출 삽입부;를 포함하는 회전 휠 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유닛의 돌출 삽입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단차 지도록 언더컷(undercut)이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구속 유닛의 돌출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1 가이드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돌출 삽입부의 언더컷 부위가 삽입되어 구속되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적어도 일부가 일방향으로 직경이 감소 후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회전에 의하여 대상체와 휠(wheel)의 분리 및 결합을 제어하는 가압 레버;
    상기 대상체에 결합되는 고정장치 본체;
    상기 가압 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상기 고정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구속 유닛 본체와 상기 구속 유닛 본체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돌출 삽입부를 포함하는 구속 유닛;
    상기 구속 유닛과 연동하여 동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회전 휠 고정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유닛 또는 걸림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 또는 구속 유닛에는 상기 제1 돌기가 삽입 또는 이탈 가능 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고정홀로부터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삽입 및 이탈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고정홀은 회전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레버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 커버;가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커버는 상기 가압 레버에 스크류 체결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일측 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고정 커버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부재의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레버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을 유도하는 스위치부가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가압 레버에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스위치부를 관통하여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연장 파지부가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 또는 가압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연장 파지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 구속부가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 또는 회전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 또는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2 돌기가 삽입 또는 이탈 가능 하도록 회전홀;이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회전홀로부터 결합 또는 이탈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3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구속 유닛의 삽입 돌출부의 회전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stopper)가 형성되는 회전 휠 고정장치.
KR1020210051395A 2021-04-20 2021-04-20 회전 휠 고정장치 KR102590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95A KR102590095B1 (ko) 2021-04-20 2021-04-20 회전 휠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95A KR102590095B1 (ko) 2021-04-20 2021-04-20 회전 휠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721A KR20220144721A (ko) 2022-10-27
KR102590095B1 true KR102590095B1 (ko) 2023-10-18

Family

ID=8381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395A KR102590095B1 (ko) 2021-04-20 2021-04-20 회전 휠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0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4617U1 (ko) 1992-04-03 1992-06-11 Tsai, Shui Te, Chang-Hua City, Tw
CN101445020A (zh) 2007-11-29 2009-06-03 株式会社荣技研 车轴组件
US20100212380A1 (en) 2006-10-26 2010-08-26 Michel Tribout Antitheft-quick lock device for bicycle parts
CN204458672U (zh) * 2015-02-04 2015-07-08 唐仁 快装装置
DE202015106650U1 (de) 2015-12-07 2017-03-08 Ulrich Fahl Schnellspann-Steckachse für Zweiräder
CN109665015A (zh) * 2017-10-13 2019-04-23 赖尚桦 具有安全防松脱的快拆结构及其防松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091A (ko) 2014-12-16 2016-06-24 김준성 휠 도난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4617U1 (ko) 1992-04-03 1992-06-11 Tsai, Shui Te, Chang-Hua City, Tw
US20100212380A1 (en) 2006-10-26 2010-08-26 Michel Tribout Antitheft-quick lock device for bicycle parts
CN101445020A (zh) 2007-11-29 2009-06-03 株式会社荣技研 车轴组件
CN204458672U (zh) * 2015-02-04 2015-07-08 唐仁 快装装置
DE202015106650U1 (de) 2015-12-07 2017-03-08 Ulrich Fahl Schnellspann-Steckachse für Zweiräder
CN109665015A (zh) * 2017-10-13 2019-04-23 赖尚桦 具有安全防松脱的快拆结构及其防松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721A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4433C2 (ru) С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оворотным рычагом и оборудование,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7040849B2 (en) Securement mechanism including top loading tie down cleat assembly and locking member
US6557878B2 (en) Locking device for releasably locking a seat post relative to a seat tube of a bicycle frame
KR101880805B1 (ko) 릴 구조
CN1473232A (zh) 可调节的缆索锁
CA2493219C (en) Quick-connect chuck mechanism
US10281070B2 (en) Pipe coupler
US7322572B1 (en) Spring-biased mechanism for quickly fastening slide bar and fixed jaw carrier of vise
US20120288326A1 (en) Rotating type stick
JP4365928B2 (ja) 工具ホルダ
EA029028B1 (ru) Быстросменная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ая оснастка для вращающихся инструментов
CN105636861B (zh) 车把与握把装置和系统
CN105050778A (zh) 具有自锁旋钮组件的链锯
KR102590095B1 (ko) 회전 휠 고정장치
KR0156733B1 (ko) 굴절식 그립 스틱이 달린 암석 천공기
JP2011220373A (ja) パイプ構造における二重ロック装置
KR20030063081A (ko) 토크동력공구용의 조절가능한 반작용 암과 이를 구비한토크동력공구
DK2792440T3 (en) Arrangement for fast attachment and change, for use in a hollow saw
US20060032326A1 (en) Locking bicycle handlebar grip
JP6026788B2 (ja) チャック装置
KR101974554B1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춘 클램프 장치
KR102143012B1 (ko) 케이블 행거장치
WO2005054691A1 (ja) 簡易締結装置
US20230118707A1 (en) Handle device for a hand-held power tool
TWI750850B (zh) 快脫驅動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