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446B1 -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446B1
KR102589446B1 KR1020220061758A KR20220061758A KR102589446B1 KR 102589446 B1 KR102589446 B1 KR 102589446B1 KR 1020220061758 A KR1020220061758 A KR 1020220061758A KR 20220061758 A KR20220061758 A KR 20220061758A KR 102589446 B1 KR102589446 B1 KR 102589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ing
moving
hanger
disposed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영
Original Assignee
(주)제이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와이 filed Critical (주)제이와이
Priority to KR102022006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64Overhead conveying means, i.e. the object or other work being suspended from the conveying means; Details thereof, e.g. hanging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objects or work being present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65G17/42Attaching load carriers to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 대상물을 거치한 상태로 이송하되, 이송 경로 중 곡선부를 통과하는 동안에 거치된 도장 대상물이 상호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거치된 도장 대상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장 대상물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행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양측에 상기 행거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한 쌍이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봉; 상기 한 쌍의 행거에 각각 배치되어 도장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모듈; 상기 거치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도장 대상물의 도장을 위해 분사된 가 상기 거치모듈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Coating object transfer device of coating system capable of moving the location of the coating object}
본 발명은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 대상물을 거치한 상태로 이송하되, 이송 경로 중 곡선부를 통과하는 동안에 거치된 도장 대상물이 상호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거치된 도장 대상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성된 제품 또는 부품에 도장을 진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장 대상물을 이송 처리하면서 전처리공정, 제1도장공정, 제2도장공정, 제3도장공정, 건조공정 등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며, 이를 위해 레일 구조의 컨베이어가 작업공간 상의 일정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컨베이어 상에 도장 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행거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도장 대상물을 거치한 상태에서 일정한 속도로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술한 공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컨베이어는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져 일정한 속도로 도장 대상물을 이동시키는데,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장 대상물이 상호간의 간섭이나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장 대상물의 부피 또는 길이에 따라 거치되는 위치를 조절해야 했다.
따라서 도장 대상물의 부피 또는 길이가 긴 경우에는 동일한 컨베이어에서는 도장 대상물간의 간섭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도장 공정을 진행할 수 없거나 도장 대상물간의 배치 간격을 넓게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도장 대상물만 거치하게 되어 도장 공정작업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장 공정을 구성하는 다수의 공정으로 도장 대상물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공정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의 배치 형태가 직선 이외에도 곡선을 이루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가 곡선으로 배치된 영역을 도장 대상물이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도장 대상물의 간섭이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선으로 배치된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가지도록 컨베이어가 설치되어야 한다.
특히 컨베이어의 곡선이 연속하여 배치되는 경우 도장 대상물이 곡선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한 쌍의 곡선 사이의 거리에 비해 도장 대상물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 한 쌍의 곡선부에 하나의 도장 대상물만이 간섭 없이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컨베이어는 상기 곡선 영역을 고려하여 도장 대상물을 거치하고, 이로 인해 거치할 수 있는 도장 대상물의 개수가 작기 때문에 도장 공정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6778호(2019.04.0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0094호(2019.10.01.,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컨베이어의 곡선 영역에서 거치된 도장 대상물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거치된 도장 대상물간의 간섭이나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최소한의 간격만으로 도장 대상물을 배치할 수 있어 도장 공정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의 지지봉에 한 쌍의 행거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의 행거에 도장 대상물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행거 사이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힘으로써 도장 대상물이 간섭 또는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도장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장 대상물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행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거가 배치되는 지지봉;
상기 행거에 각각 배치되어 도장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모듈;
상기 거치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도장 대상물의 도장을 위해 분사된 도료가 상기 거치모듈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행거는, 상기 지지봉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각각 지지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행거와, 상기 지지봉의 길이 방향 중앙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행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행거와 상기 고정행거에는 상기 거치모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동행거는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 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행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이동관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일단은 상기 이동관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브릿지봉과, 상기 한 쌍의 브릿지봉의 길이 방향 타단이 결합되는 브릿지판과, 상기 컨베이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브릿지판과 상기 이동판을 연결하는 결합핀과, 상기 이동관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이동관에 상기 거치모듈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용 플랜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행거는, 상기 지지봉에 결합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과 상기 거치모듈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용 플랜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모듈은, 일단이 상기 행거에 결합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결합되며 도장 대상물 또는 도장 대상물이 거치된 거치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치봉과,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배치되되 길이 방향 선단부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에 노출되며 적어도 한 쌍이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걸림편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장 대상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컨베이어가 연속적인 곡선으로 배치되어도 도장 대상물의 이동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전체 도장 공정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장 대상물이 거치된 행거의 위치를 조절함에 있어 무동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를 일부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동행거를 도시한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행거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봉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거치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가 컨베이어의 곡선부에서 동작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종래 도장 시스템에서 컨베이어의 곡선부에서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1)는, 도장 대상물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는 컨베이어(10)와, 상기 컨베이어(1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행거(20)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거(20)가 배치되는 지지봉(30)과, 상기 행거(20)에 각각 배치되어 도장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모듈(40) 및 상기 거치모듈(40)에 배치되어 상기 도장 대상물의 도장을 위해 분사된 가 상기 거치모듈(40)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50)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10)는 도장 공정을 따라 도장 대상물이 이동하도록 도장 공정 경로에 배치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 공정의 경로 상방에 설치되며 이때 도장 공정의 경로에 따라 직선부(11)와 곡선부(12)가 혼합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의 컨베이어(10)는 후술하는 이동행거(2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컨베이어(10)에 구동수단(도면 중 미도시됨)을 통해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이동수단(도면 중 미도시됨)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이동수단은 체인, 벨트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행거(20)는 상기 컨베이어(1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행거(21)와, 후술하는 지지봉(30)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행거(22)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이동행거(21)는 지지봉(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이동행거(21)는 컨베이어(10)의 배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후술하는 지지봉(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것으로, 컨베이어(10)의 배치 경로를 따라 도장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행거(2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봉(30)이 삽입되는 이동관(211)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일단은 상기 이동관(211)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브릿지봉(212)과, 상기 한 쌍의 브릿지봉(212)의 길이 방향 타단이 결합되는 브릿지판(213)과, 상기 컨베이어(1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판(214)과, 상기 브릿지판(213)과 상기 이동판(214)을 연결하는 결합핀(215)과, 상기 이동관(211)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이동관(211)에 상기 거치모듈(4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용 플랜지(216)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관(21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이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지지봉(30)의 길이 방향 양단부측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봉(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봉(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관(211)의 형태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삼각, 사각 또는 육각 등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브릿지봉(21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이동관(211)의 외주면에 고정되되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브릿지봉(212)은 상기 이동관(211)과 후술하는 브릿지판(213)을 연결함과 동시에 하방에 배치되는 거치모듈(40) 및 상기 거치모듈(40)에 거치되는 도장 대상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지지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판(213)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관(211)의 상방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브릿지봉(212)의 길이 방향 타단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브릿지판(213)의 형태 및 두께는 도장 대상물의 하중에 대응하여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형태 및 두께 비율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동판(214)은 상기 컨베이어(1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컨베이어(10)의 구조 및 형태에 대응하여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구조 및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결합핀(215)은 상기 브릿지판(213)과 상기 이동판(214)을 연결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일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 과정에서 컨베이어(10)와의 마찰이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결합핀(215)의 형태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한정된 높이에서 최대의 하중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물론 상기 결합핀(215)을 곡선과 직선이 혼합된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브릿지판(213)과 상기 이동판(214)에 길이 방향 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결합핀(215)의 형태는 지지해야 하는 하중과 도장 대상물의 배치 위치를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플랜지(216)는 상기 이동관(21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거치모듈(40)이 결합하는 것으로,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용 플랜지(216)에는 거치모듈(4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볼트가 결합되는 결합공(261)이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이동행거(21)는 상기 컨베이어(10)의 배치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10)의 곡선부(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후술하는 지지봉(30)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고정행거(22)는 상기 한 쌍의 이동행거(21)사이에 배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후술하는 지지봉(30)의 길이 방향 중앙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거치모듈(40)이 결합되어 도장 대상물이 거치된다.
이러한 고정행거(2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30)에 결합되는 고정관(221)과, 상기 거치모듈(40)과 결합하기 위한 고정용 플랜지(22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고정행거(22)는 상기 한 쌍의 이동행거(21)가 컨베이어(10)와 결합되어 컨베이어의 배치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고정행거(22)는 컨베이어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한 쌍의 이동행거(21)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도 7에서는 상기 고정행거(22)에 거치모듈(40)이 결합되고, 해당 거치모듈(40)에 도장 대상물이 배치된 상태이다.
이때 지지봉(30)의 길이 방향 중앙에 배치된 고정행거(22)에 거치되는 도장 대상물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것으로, 상기 이동행거(21)에 거치하는 경우 인접하게 배치된 타 도장 대상물과 상호 간섭이 발생할 염려가 있는 도장 대상물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도장 대상물을 이동시켜 도장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이동 중 인접한 위치에서 이동하는 타 도장 대상물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고정행거(22)는 컨베이어가 배치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이동행거(21)가 지지봉(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이동행거(21) 사이에 배치된 고정행거(22)는 컨베이어의 곡선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한 쌍의 이동행거(21)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인접한 위치에서 이동 중인 타 도장 대상물과의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8은 종래 도장 공정에서 도장 대상물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컨베이어가 배치된 경로를 따라서 도장 대상물이 이동하기 때문에 인접한 위치에서 이동하는 도장 대상물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봉(3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양측에 상기 이동행거(21)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봉(3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거치모듈(40)과 이에 거치된 도장 대상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행거(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한 쌍의 이동제한부(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제한부(32)는 상기 지지부(31)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걸림구(321)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행거(21)가 한 쌍의 걸림구(321)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걸림구(3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봉(30)에 상술한 이동행거(21)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되는데, 상기 이동행거(21)가 상기 컨베이어(10)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10)를 따라 이동한다.
즉, 종래에는 도장 대상물이 거치된 행거가 독립적으로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게 배치되는데, 이때 이동하는 도장 대상물의 이동 경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의 곡선부에서 가장 외측점에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의 배치 구조가 곡선부가 다수 회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곡선부의 가장 외측점에서 이동하는 도장 대상물은 각각의 길이가 인접한 한 쌍의 곡선부의 거리에 비해 긴 경우 상호 간섭 및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하나의 도장 대상물이 컨베이어의 곡선부를 완전히 통과한 이후에만 다른 도장 대상물이 곡선부에 진입하도록 도장 대상물의 간격을 조절해야 했다.
즉, 컨베이어의 곡선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곡선부의 가장 외측점에서 상기 도장 대상물은 직선의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인접한 타 곡선부에 다른 도장 대상물이 진입할 수 없었다.
물론 컨베이어의 곡선부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이러한 컨베이어의 배치 위치의 변경은 전체 도장 공정의 설계가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추가적인 비용 지출 및 공정의 중단으로 인한 손실 발생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봉(30)에서 각각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이동행거(21)를 배치하고 지지봉(30)의 길이 방향 중앙에 고정행거(22)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행거(22)에 도장 대상물이 거치된 상태에서 컨베이어(1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컨베이어의 곡선부(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부(12)의 가장 외측점을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고정행거(22)가 이동하면서 도장 대상물을 이송한다.
상기 거치모듈(40)은 상기 행거(20)에 각각 배치되며 도장 대상물이 거치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행거(20)에 결합되는 포스트(41)와, 상기 포스트(41)의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42)와, 상기 회전플레이트(42)에 결합되며 도장 대상물 또는 도장 대상물이 거치된 거치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치봉(43)과, 상기 회전플레이트(42)에 배치되되 길이 방향 선단부가 상기 회전플레이트(42)의 외주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에 노출되며 적어도 한 쌍이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걸림편(44)을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4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직하게 배치되어 길이 방향 일단은 상기 행거(20)를 구성하는 결합용 플랜지(216)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41)의 길이 방향 타단 즉, 하단은 후술하는 회전플레이트(42)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41)는 상기 결합용 플랜지(216)에 결합볼트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장 대상물의 하중이나 크기에 따라 거치모듈(40)을 교체가 필요하거나 사용 중 거치모듈(40)이 파손되는 경우 거치모듈(40)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2)는 상기 포스트(4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41)의 하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포스트(41)는 상기 구멍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결합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42)가 상기 포스트(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2)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은, 후술하는 거치봉(43)에 거치된 도장 대상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봉(43)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도장 대상물이 거치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회전플레이트(4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거치봉(43)은 상기 커버(50)에 관통 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42)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거치봉(43) 및 커버(50)도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 걸림편(44)은 상기 회전플레이트(42)에 배치되어 컨베이어(10) 또는 이동 경로상에 배치된 돌출바(도면 중 미도시됨) 또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42)의 방향을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도장 대상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걸림편(4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되 선단부가 상기 회전플레이트(42)의 외주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에 노출되고, 적어도 한 쌍이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걸림편(44)은 상기 행거(20)가 컨베이어(1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10) 또는 이동 경로상에 배치된 돌출바에 맞닿으면서 회전되면서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도장 대상물의 방향을 전환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으로 걸림편(44)을 가압하여 도장 대상물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도장 대상물을 직접 파지하거나 가압하지 않아도 도장 대상물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도장 대상물의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편(44)이 한 쌍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장 대상물을 180°의 각도로 방향 전환하는 것은 용이하나 180°보다 작은 각도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의 걸림편(44)을 배치해야 한다. 그러나 걸림편(44)은 상기 회전플레이트(42)와는 별도로 성형된 뒤 결합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서 일체로 고정되는 것으로, 다수 개를 배치하는 경우 제조하는 비용 및 회전플레이트와 일체화하는 과정 및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플레이트(42)에 상기 걸림편(4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확장편(45)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 및 거치된 도장 대상물을 90°의 각도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5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플레이트(42)의 하방에 배치되어 거치된 도장 대상물을 도장하는 과정에서 분사된 도료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의 구성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장 과정에서 분사된 도료가 상기 행거, 지지봉, 거치모듈 등으로 전달되어 각 구성의 표면에 장시간 흡착되는 경우 해당 구성의 내구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도장 과정 또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성의 표면에 흡착되었던 도료가 도장 대상물로 낙하하여 도장 대상물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커버(5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장 대상물과 상기 회전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되며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를 이루되,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가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방에서 낙하한 도료나 분진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컨베이어(10)의 곡선부(12)를 도장 대상물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장 대상물이 거치된 행거의 위치가 곡선부(12)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지봉(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동시에 지지봉(30)의 위치도 이동시킨다.
이를 통해 도장 대상물이 컨베이어(10)의 곡선부(12)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곡선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접한 위치에서 이동하는 다른 도장 대상물과의 간섭이나 충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 동일한 컨베이어 곡선부를 통과하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도장 대상물의 거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거치 간격으로 도장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어 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10 : 컨베이어
11 : 직선부 12 : 곡선부
20 : 행거
21 : 이동관 22 : 브릿지봉
23 : 브릿지판 24 : 이동판
25 : 결합핀 26 : 결합용 플랜지
30 : 지지봉
31 : 지지부 32 : 이동제한부
321 : 걸림구
40 : 거치모듈
41 : 포스트 42 : 회전플레이트
43 : 거치봉 44 : 걸림편
45 : 확장편
50 : 커버

Claims (5)

  1. 도장 대상물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는 컨베이어(10);
    상기 컨베이어(1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행거(2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거(20)가 배치되는 지지봉(30);
    상기 행거(20)에 각각 배치되어 도장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모듈(40);
    상기 거치모듈(40)에 배치되어 상기 도장 대상물의 도장을 위해 분사된 도료가 상기 거치모듈(40)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50)를 포함하되,
    상기 행거(20)는,
    상기 지지봉(30)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각각 지지봉(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행거(21)와,
    상기 지지봉(30)의 길이 방향 중앙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행거(2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행거(21)와 상기 고정행거(22)에는 상기 거치모듈(4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동행거(21)는 상기 컨베이어(10)를 따라 이동 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행거(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봉(30)이 삽입되는 이동관(211)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일단은 상기 이동관(211)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브릿지봉(212)과,
    상기 한 쌍의 브릿지봉(212)의 길이 방향 타단이 결합되는 브릿지판(213)과,
    상기 컨베이어(1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판(214)과,
    상기 브릿지판(213)과 상기 이동판(214)을 연결하는 결합핀(215)과,
    상기 이동관(211)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이동관(211)에 상기 거치모듈(4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용 플랜지(21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행거(22)는,
    상기 지지봉(30)에 결합하는 고정관(221)과,
    상기 고정관(221)과 상기 거치모듈(40)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용 플랜지(22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모듈(40)은,
    일단이 상기 행거(20)에 결합되는 포스트(41)와,
    상기 포스트(41)의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42)와,
    상기 회전플레이트(42)에 결합되며 도장 대상물 또는 도장 대상물이 거치된 거치관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치봉(43)과,
    상기 회전플레이트(42)에 배치되되 길이 방향 선단부가 상기 회전플레이트(42)의 외주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에 노출되며 적어도 한 쌍이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걸림편(4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KR1020220061758A 2022-05-20 2022-05-20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KR102589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58A KR102589446B1 (ko) 2022-05-20 2022-05-20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58A KR102589446B1 (ko) 2022-05-20 2022-05-20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446B1 true KR102589446B1 (ko) 2023-10-17

Family

ID=8855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758A KR102589446B1 (ko) 2022-05-20 2022-05-20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44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4533A (ja) * 1984-08-06 1986-03-04 Inst Tech Precision Eng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方法
JP2004182384A (ja) * 2002-12-03 2004-07-02 Kanto Auto Works Ltd 吊り下げ搬送設備
JP2008049281A (ja) * 2006-08-25 2008-03-06 Toshiba Elevator Co Ltd 粉体塗料塗着システムおよび粉体塗料塗着方法
KR20120133184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화신 전착도장 장치
JP2013095575A (ja) * 2011-11-04 2013-05-20 Izutekku Kk 環状搬送装置
CN106423690A (zh) * 2016-10-18 2017-02-22 浙江大学台州研究院 全自动喷涂设备
KR101966778B1 (ko) 2018-12-31 2019-04-09 조규서 분체도장용 행거 및 이를 이용한 금속제품의 분체도장방법
KR102030094B1 (ko) 2019-07-17 2019-10-08 나한범 분체도장 시스템용 컨베이어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4533A (ja) * 1984-08-06 1986-03-04 Inst Tech Precision Eng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方法
JP2004182384A (ja) * 2002-12-03 2004-07-02 Kanto Auto Works Ltd 吊り下げ搬送設備
JP2008049281A (ja) * 2006-08-25 2008-03-06 Toshiba Elevator Co Ltd 粉体塗料塗着システムおよび粉体塗料塗着方法
KR20120133184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화신 전착도장 장치
JP2013095575A (ja) * 2011-11-04 2013-05-20 Izutekku Kk 環状搬送装置
CN106423690A (zh) * 2016-10-18 2017-02-22 浙江大学台州研究院 全自动喷涂设备
KR101966778B1 (ko) 2018-12-31 2019-04-09 조규서 분체도장용 행거 및 이를 이용한 금속제품의 분체도장방법
KR102030094B1 (ko) 2019-07-17 2019-10-08 나한범 분체도장 시스템용 컨베이어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2081B1 (en) Conveyor
KR101730060B1 (ko) 파이프의 바니쉬 코팅장치
JPH04354706A (ja) 管状搬送ベルト装置
US4029199A (en) Overhead conveyor and guide loop
KR102589446B1 (ko) 도장 대상물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도장 시스템의 도장 대상물 이송장치
US5143198A (en) Turnable cylinder for a conveyor system
US5000309A (en) Conveyor
US5226525A (en) Conveyor rack system
KR20120032085A (ko) 정렬부재를 구비한 자재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재 이송 방법
PL227075B1 (pl) Urzadzenie dociecia laserowego isposób ciecia laserowego blach rozwijanych zkregu
US6632067B1 (en) Pallet dispenser with quick pallet size change over
US11400492B2 (en) Sorting device
CN113186682A (zh) 一种筒子纱自动装卸装置
CN219400695U (zh) 一种多工位喷涂系统
CN207596001U (zh) 一种覆铜板用转运架
CN219525259U (zh) 多功能工装板及流水线装置
US3332530A (en) Mechanical combining apparatus
CN219884876U (zh) 自动找正的悬挂线吊具
CN210732470U (zh) 轨道组件宽度调节机构和具有其的在线式智能作业机器人
KR20230163179A (ko) 제품 포장용 내권부 보호판 삽입 장치
KR102624597B1 (ko) 충돌을 방지하는 도장 이송장치
US2856063A (en) Conveyor system
CN216072148U (zh) 一种用于汽车消音片的自动收料工装
US6682781B2 (en) Device and method for wetting flexible mat-shaped carrier materials
CN215947624U (zh) 一种筒子纱自动装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