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026B1 -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 Google Patents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026B1
KR102588026B1 KR1020210085184A KR20210085184A KR102588026B1 KR 102588026 B1 KR102588026 B1 KR 102588026B1 KR 1020210085184 A KR1020210085184 A KR 1020210085184A KR 20210085184 A KR20210085184 A KR 20210085184A KR 102588026 B1 KR102588026 B1 KR 102588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support
foundation
sides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995A (ko
Inventor
민기욱
Original Assignee
(주)정우기초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우기초산업 filed Critical (주)정우기초산업
Priority to KR102021008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026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부재의 각 측면에 기초부재의 상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기초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초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재를 구현하여 기초부재와 지지부재가 결합된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지반에 매립 시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FOR STREET LIGHT}
본 발명은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기초부재의 각 측면에 기초부재의 상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기초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초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재를 구현하여 기초부재와 지지부재가 결합된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지반에 매립 시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가로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해 가로를 따라 설치한 조명시설을 말한다. 현재 국내에서 가로등이라 함은 노폭 12m 이상의 공공도로에 시설하는 도로조명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일반도로의 가로등, 교량등, 터널 등, 보행등이 포함되며 좁은 의미로는 순수한 일반도로의 가로등만을 뜻한다. 이러한 가로등은 지반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상에 가로등 등주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전에 제작된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기초 구조물이 지반에 매립되고, 기초 구조물 상측으로 앵커볼트 등을 통해 가로등 등주가 결합됨으로써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가로등용 기초 구조물은 콘크리트 블록 형태의 기초부재가 단순히 지반 속에 뭍혀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의 외력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반 내부의 지층이 약해질 경우 기초 구조물이 최초 설치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설치 위치에서 미세한 이동 및 자세 변형이 생기게 되어 결국 가로등이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8170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기초부재의 각 측면에 기초부재의 상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기초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초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재를 구현하여 기초부재와 지지부재가 결합된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지반에 매립 시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가로등주를 설치하기 위해 지반 내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블록 형태의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사각형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가로등 설치를 위한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전선관이 매립되며, 상측 외부로 가로등주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가 노출된 콘크리트로 제작된 기초부재와, 상기 기초부재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기초부재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지면 내에 상기 기초부재와 함께 매립되어 지면 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기초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기초부재의 외주면 테두리에 결합되는 제1 테두리부; 및 상기 제1 테두리부의 4면 중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고, 단부는 상측을 향해 절곡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 부재는, 상기 육면체상 각 측면의 중앙에 각 측면의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제1 길이만큼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테두리부는, 상기 4면의 각 내주면에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기초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상기 기초부재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기초부재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지면 내에 상기 기초부재와 함께 매립되어 지면 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기초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기초부재의 외주면 테두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의 제1 둘레길이보다 작은 제2 둘레길이로 형성되는 제2 테두리부; 및 상기 제2 테두리부의 4면 중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고, 단부는 상측을 향해 절곡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테두리부의 4면 중 상기 제1 지지부의 설치 방향과 90도 방향에 위치한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기초부재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십자 모양 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하측에 비해 상측이 더 깊게 형성되어 상기 기초부재의 측면의 경사도보다 더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부 바닥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은 하측에 비해 상측이 더 돌출되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육면체상 상기 결합홈의 측면과 접촉하는 양측면에 내측 방향을 향해 곡면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결합홈의 양측면을 기설정된 탄성력을 가지고 가압하면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부재의 각 측면에 기초부재의 상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기초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초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재를 구현하여 기초부재와 지지부재가 결합된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지반에 매립 시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설치 시, 최초 지반 내에 기초부재를 매립 시 기초부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지지부재는 지반 내에 흙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커져 저항력을 가질 수 있어 기초부재가 지반 내에 매립된 이후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지지부재와 기초부재가 결합된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테두리부의 결합돌기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기의 양측면에 판스프링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테두리부의 요부 평면도와 결합돌기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이 형성된 기초부재의 내부 구조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최초 지반에 매립 시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지지부재와 기초부재가 결합된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테두리부의 결합돌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기의 양측면에 판스프링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테두리부의 요부 평면도와 결합돌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이 형성된 기초부재의 내부 구조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의 각 구성요소와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10, 이하 '기초 구조물'이라 함)은 크게 기초부재(100) 및 지지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기초부재(100)는 통상적으로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굳혀 만든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외형은 육면체, 원통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질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시 내부에는 가로등 설치를 위한 전선(4)이 통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전선관(110)이 매립되며, 상측 외부로 가로등주(1)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120)가 노출된 콘크리트로 제작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기초부재(100)와 가로등주(1)가 결합되는 구조를 보면, 상기 기초부재(100)가 지면 내부에 매설된 상태에서 가로등주(1)의 플랜지(2)에 형성된 볼트홀(3)이 기초부재(100)의 앵커볼트에 삽입되어 볼팅결합됨으로써 상호간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초부재(100)는 육면체상 각 측면의 중앙에 각 측면의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제1 길이(L1)만큼 형성되는 결합홈(135)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 지지부재(200)는 상기 기초부재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기초부재(100)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지면 내에 상기 기초부재(100)와 함께 매립되어 지면 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기초부재(1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제1 지지부재(200)는 상기 기초부재(100)에 설치되어 지면 내부의 흙 속에 뭍히게 되면서 흙의 무게에 의해 상기 기초부재(100)가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외력 및 지반이 약해짐에 따른 기초부재(100)가 흔들려서 자세가 변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 지지부재(200)는 크게 제1 테두리부(210) 및 제1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부(210)는 상기 기초부재(100)의 외주면 테두리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기초부재(100)와 상기 제1 지지부재(20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접촉되는 부분이다.
또한, 제1 테두리부(210)는 상기 기초부재(100)의 외주면 테두리를 감싸듯 끼움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기초부재(100)가 사각의 측면으로 형성된다고 했을 때 상기 제1 테두리부(210)는 기초부재(10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제1 테두리부(210)는 제1 테두리부(210)를 이루는 4면의 각 내주면에 상기 기초부재(100)의 결합홈(13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75)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기초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이러한 결합돌기(275)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결합홈의 내부 바닥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은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측에 비해 상측이 더 돌출되어 제1 경사도(θ1)를 가지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275)가 일정 제2 경사도(θ2)를 가지도록 형성된 결합홈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도와 제2 경사도는 같은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위와 같은 결합홈은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측에 비해 상측이 더 깊게 형성되도록 구현되어 결합홈의 제2 경사도(θ2)가 상기 기초부재의 측면의 제3 경사도(θ3)보다 더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테두리부(210)가 결합홈(135)을 통해 삽입될 때 더 많은 유격을 가지게 되어 제1 지지부재(200)와 기초부재(100)간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돌기(275)에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육면체상 상기 결합홈의 측면과 접촉하는 양측면에 내측 방향을 향해 곡면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스프링(295)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295)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결합홈(135)의 양측면을 기설정된 탄성력을 가지고 가압하면서 지지하게 되며, 이러한 판스프링의 가압 지지를 통해 제1 테두리부(210)가 기초부재(100)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부(220)는 지면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때 지면 내부에서 흙속에 매립되어 흙과 접촉됨에 따라 기초부재(100)의 저항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제1 테두리부(210)의 4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고, 단부는 상측을 향해 절곡된다.
상기 제1 테두리부(210)는 상기 기초부재(100) 외주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은 하측에 비해 상측이 더 돌출되어 경사지도록 경사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부(220)는 상기 제1 테두리부(210)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장되고, 수평배치되는 수평부(222) 및 상기 수평부(223) 단부에 형성되고 상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23)를 포함하는 연장부(221), 상기 연장부(221)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리브(222) 및 상기 연장부(221)의 단부에 형성되고, 지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크게 하기 위해 면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21)는 상기 수평부(222) 및 절곡부(223)과 보강리브(222)가 상기 테두리부(210)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 기초부재(100)와 함께 지면 내부에 매립되어 기초부재(1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고, 상기 절곡부(223)가 상측 방향으로 절곡됨에 따라 지면의 하중에 의해 기초부재(100)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초부재(10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225)는 지면 내부의 흙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것으로, 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기초부재(100)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저항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기초부재(100)의 상단에 제1 지지부재(200)와 함께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제2 지지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부재(400)는 제2 지지부(420)의 방향이 제1 지지부(220)의 방향과 90도가 되도록 설치됨으로써 기초부재가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즉, 제2 지지부재(400)는 상기 기초부재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기초부재(100)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지면 내에 상기 기초부재(100)와 함께 매립되어 지면 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기초부재(1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2 지지부재는 제1 지지부재와 마찬가지로 크게 제2 테두리부(410) 및 제2 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테두리부(410)는 상기 기초부재(100)의 외주면 테두리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기초부재(100)와 상기 제2 지지부재(40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접촉되는 부분이다.
또한, 제2 테두리부(410)는 상기 기초부재(100)의 외주면 테두리를 감싸듯 끼움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기초부재(100)가 사각의 측면으로 형성된다고 했을 때 상기 제2 테두리부(410)는 기초부재(10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제2 테두리부(410)는 제1 테두리부(210)와 마찬가지로 제2 테두리부(410)를 이루는 4면의 각 내주면에 상기 기초부재(100)의 결합홈(13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75)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400)가 상기 기초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2 테두리부(410)는 기초부재의 외주면 테두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테두리부(210)의 제1 둘레길이보다 작은 제2 둘레길이로 형성되어, 기초부재와 결합시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400)가 기초부재상 서로 다른 높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지지부(420)는 제1 지지부(220)와 마찬가지로 지면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때 지면 내부에서 흙속에 매립되어 흙과 접촉됨에 따라 기초부재(100)의 저항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제2 테두리부(410)의 4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고, 단부는 상측을 향해 절곡된다.
이러한 제2 지지부(420)는 제2 테두리부(410)의 4면 중 상기 제1 지지부의 설치 방향과 90도 방향에 위치한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200)와 상기 제2 지지부재(400)가 상기 기초부재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220)와 상기 제2 지지부(420)가 십자 모양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가 기초부재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결합되는 경우 기초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요소인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십자 모양 형태를 이루게 되어 하나의 지지부재를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기초부재가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지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부재의 각 측면에 기초부재의 상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는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기초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초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재를 구현하여 기초부재와 지지부재가 결합된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지반에 매립 시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가로등주 2: 플랜지
3: 볼트홀 4: 전선
10: 기초 구조물 100: 기초부재
110: 전선관 120: 앵커볼트
210 : 제1 테두리부 220: 제1 지지부
410 : 제2 테두리부 420: 제2 지지부
135 : 결합홈 275: 결합돌기
295: 판스프링

Claims (5)

  1. 가로등의 가로등주를 설치하기 위해 지반 내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블록 형태의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사각형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가로등 설치를 위한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전선관이 매립되며, 상측 외부로 가로등주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가 노출된 콘크리트로 제작된 기초부재와,
    상기 기초부재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기초부재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지면 내에 상기 기초부재와 함께 매립되어 지면 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기초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기초부재의 외주면 테두리에 결합되는 제1 테두리부; 및
    상기 제1 테두리부의 4면 중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고, 단부는 상측을 향해 절곡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 부재는,
    상기 육면체상 각 측면의 중앙에 각 측면의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제1 길이만큼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테두리부는,
    상기 4면의 각 내주면에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기초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상기 기초부재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기초부재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지면 내에 상기 기초부재와 함께 매립되어 지면 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기초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기초부재의 외주면 테두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테두리부의 제1 둘레길이보다 작은 제2 둘레길이로 형성되는 제2 테두리부; 및
    상기 제2 테두리부의 4면 중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고, 단부는 상측을 향해 절곡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테두리부의 4면 중 상기 제1 지지부의 설치 방향과 90도 방향에 위치한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기초부재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십자 모양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하측에 비해 상측이 더 깊게 형성되어 상기 기초부재의 측면의 경사도보다 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부 바닥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은 하측에 비해 상측이 더 돌출되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육면체상 상기 결합홈의 측면과 접촉하는 양측면에 내측 방향을 향해 곡면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판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결합홈의 양측면을 기설정된 탄성력을 가지고 가압하면서 지지하는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KR1020210085184A 2021-06-29 2021-06-29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KR102588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84A KR102588026B1 (ko) 2021-06-29 2021-06-29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84A KR102588026B1 (ko) 2021-06-29 2021-06-29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95A KR20230001995A (ko) 2023-01-05
KR102588026B1 true KR102588026B1 (ko) 2023-10-12

Family

ID=8492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184A KR102588026B1 (ko) 2021-06-29 2021-06-29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0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74B1 (ko) 2012-12-18 2013-11-07 김재준 지주용 기초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70B1 (ko) 2009-10-01 2010-05-14 조동호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주의 기초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74B1 (ko) 2012-12-18 2013-11-07 김재준 지주용 기초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95A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5898B1 (en) Device for equipping an expansion joint between concrete slabs
US20090035061A1 (en) Removable Bollard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CN102628275A (zh) 易于调节高度及倾斜度的支柱及手孔覆盖装置
KR100947852B1 (ko)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KR102588026B1 (ko)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JP3814682B2 (ja) 基礎構築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081380B1 (ko) 가로등 기초 구조물
KR102482864B1 (ko) 신축이음 구조물
KR102568355B1 (ko) 가로등용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KR20100120727A (ko) 보강 지주조립체
KR102236839B1 (ko) 휀스
JP6360463B2 (ja) 縁石体付き溝蓋
JP3857124B2 (ja) 路面覆工施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覆工板
KR101128345B1 (ko) 가로등 등주의 지중 매입 커버
KR101861570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KR200197317Y1 (ko) 낙석방지용 그물망 고정부재
KR101141150B1 (ko) 무앵커 가로등 기초
KR200438779Y1 (ko) 경계 블록 높이조절 설치구
KR101441117B1 (ko) 가로등 등의 지주 매설용 시멘트 블록
KR200463274Y1 (ko) 작업성을 증진시킨 지주용 하부커버
KR200340953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939968B1 (ko) 표지판 및 가로시설물의 매립식지주 덮개
KR960003875Y1 (ko) 조립식 제수용 맨홀
KR100997855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