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952B1 -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952B1
KR102587952B1 KR1020220114212A KR20220114212A KR102587952B1 KR 102587952 B1 KR102587952 B1 KR 102587952B1 KR 1020220114212 A KR1020220114212 A KR 1020220114212A KR 20220114212 A KR20220114212 A KR 20220114212A KR 102587952 B1 KR102587952 B1 KR 102587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rts
battery
packaging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랜드노믹
이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랜드노믹, 이호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랜드노믹
Priority to KR1020220114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65B5/045Packaging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 B65B2220/18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the primary packaging being bags the subsequent secondary packaging being rigid containers, e.g. cardboard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부품을 일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부품을 이송받아 저장하며, 저장되는 복수의 부품을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로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부에 연결 구성된 버퍼부; 상기 버퍼부에 저장되는 부품을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정보로부터 부품에 관한 고유번호 또는 고유바코드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부품의 검수를 수행하도록 상기 버퍼부에 연결 구성된 검수부; 상기 버퍼부로부터 부품을 이송받도록 연결 설치되고, 이송받은 부품을 기저장된 봉투형태의 포장재를 이용해 포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포장유닛과, 상기 포장유닛으로부터 포장되는 부품에 대응하는 부품에 관한 고유정보가 표현되도록 라벨시트을 인쇄하고, 인쇄된 상기 라벨시트를 상기 포장재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라벨인쇄유닛을 포함하는 포장부;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장부로부터 포장된 부품을 이송받아 일측에 기배치된 박스부재로 이송하며 상기 포장된 부품을 적재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재부; 및 상기 이송부, 버퍼부, 검수부, 포장부, 적재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검수부로부터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부품의 검수를 위해 부품의 이미지 및 고유번호에 관하여 기저장된 제1 부품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검수모듈과,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로부터 업데이트되는 부품의 이미지 및 고유번호에 관하여 기저장된 제2 부품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검수모듈과, 상기 제1 검수모듈 및 제2 검수모듈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라벨시트 인쇄를 위한 부품 고유정보를 상기 포장부로 전송하도록 하는 검수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PARTS PAKAGING DEVICE FOR AUTO SORTING}
본 발명은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다양한 부품을 인식하여 분류 및 포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장치는 미리 수납되어 있는 봉투형태의 포장제 내부에 포장물을 삽입시키고 포장제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한 후 포장제의 개구부를 열봉합하여, 포장물이 습기 발생으로 인한 고장이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포장물을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포장 장치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2080824호에서는 한 쌍의 선두지주, 중간지주 및 말단지주와 상기 지주들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상하부 연결보 및 선두지주, 중간지주 및 말단지주의 상부를 연결하는 선두 가로바, 중간 가로바, 후미 가로바 및 지주들이 하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하부 가로바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과, 상기 선두 가로바와 중간 가로바를 세로로 연결하는 한 쌍의 비닐인출 세로바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굴대 지지바와 상기 굴대 지지바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된 굴대와 상기 굴대에 결합된 비닐 롤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비닐인출수단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비닐반전수단과, 상기 비닐반전수단의 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비닐하부 지지프레임과 비닐견인롤러를 포함한 비닐견인수단과, 상기 양측 말단지주에 결합되어 가전제품을 감싼 비닐의 후면을 융착하고 절단하는 비닐 융착절단기와, 상기 메인프레임 하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가전제품을 릴레이 방식으로 운반하는 제1, 제2,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1, 제2, 제3 컨베이어의 지지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위치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의 신호를 받고 비닐인출롤러, 비닐견인롤러, 비닐 융착절단기, 제1, 제2, 제3 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대형 가전제품 비닐 자동포장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포장 장치는 단지, 대형 가전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기술이고 다양한 유형의 부품들을 자동으로 검수하며 분류하고 포장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분류 및 포장을 위한 인력의 낭비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인건비 등의 비용 지출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0824호 (2020.02.18.)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다양한 부품을 인식하여 분류 및 포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포장 장치는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부품을 일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부품을 이송받아 저장하며, 저장되는 복수의 부품을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로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부에 연결 구성된 버퍼부; 상기 버퍼부에 저장되는 부품을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정보로부터 부품에 관한 고유번호 또는 고유바코드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부품의 검수를 수행하도록 상기 버퍼부에 연결 구성된 검수부; 상기 버퍼부로부터 부품을 이송받도록 연결 설치되고, 이송받은 부품을 기저장된 봉투형태의 포장재를 이용해 포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포장유닛과, 상기 포장유닛으로부터 포장되는 부품에 대응하는 부품에 관한 고유정보가 표현되도록 라벨시트을 인쇄하고, 인쇄된 상기 라벨시트를 상기 포장재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라벨인쇄유닛을 포함하는 포장부;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장부로부터 포장된 부품을 이송받아 일측에 기배치된 박스부재로 이송하며 상기 포장된 부품을 적재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재부; 및 상기 이송부, 버퍼부, 검수부, 포장부, 적재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검수부로부터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부품의 검수를 위해 부품의 이미지 및 고유번호에 관하여 기저장된 제1 부품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검수모듈과,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로부터 업데이트되는 부품의 이미지 및 고유번호에 관하여 기저장된 제2 부품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검수모듈과, 상기 제1 검수모듈 및 제2 검수모듈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라벨시트 인쇄를 위한 부품 고유정보를 상기 포장부로 전송하도록 하는 검수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상기 포장된 부품을 이송받아 동일한 고유정보를 가지는 라벨시트를 감지하고, 감지에 따라 동일한 부품을 선별하여 선별에 따른 부품을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박스부재로 안내시키도록 구성된 선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축적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해 빅데이터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축적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제3 검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으로 다양한 부품을 인식하여 분류 및 포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력 낭비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부품의 분류 및 포장에 따른 비용을 절감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중, 포장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중, 적재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중,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중, 비상전원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중, 포장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중, 적재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중,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중, 비상전원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자동으로 다양한 부품을 인식하여 분류 및 포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력 낭비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부품의 분류 및 포장에 따른 비용을 절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송부(10), 버퍼부(2), 검수부(30), 포장부(40), 적재부(50), 제어부(60) 및 비상전원공급부(7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는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부품을 일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이송부(10)와, 상기 이송부(10)로부터 부품을 이송받아 저장하며, 저장되는 복수의 부품을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로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부(10)에 연결 구성된 버퍼부(20)와, 상기 버퍼부(20)에 저장되는 부품을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정보로부터 부품에 관한 고유번호 또는 고유바코드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부품의 검수를 수행하도록 상기 버퍼부(20)에 연결 구성된 검수부(30)와, 상기 버퍼부(20)로부터 부품을 이송받도록 연결 설치되고, 이송받은 부품을 기저장된 봉투형태의 포장재를 이용해 포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포장유닛(41)과, 상기 포장유닛(41)으로부터 포장되는 부품에 대응하는 부품에 관한 고유정보가 표현되도록 라벨시트(label sheet)을 인쇄하고, 인쇄된 상기 라벨시트를 상기 포장재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라벨인쇄유닛(42)을 포함하는 포장부(40)와,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장부(40)로부터 포장된 부품을 이송받아 일측에 기배치된 박스부재(52)로 이송하며 상기 포장된 부품을 적재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재부(50) 및 상기 이송부(10), 버퍼부(20), 검수부(30), 포장부(40), 적재부(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검수부(30)로부터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부품의 검수를 위해 부품의 이미지 및 고유번호에 관하여 기저장된 제1 부품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검수모듈(61)과,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로부터 업데이트되는 부품의 이미지 및 고유번호에 관하여 기저장된 제2 부품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검수모듈(62)과, 상기 제1 검수모듈(61) 및 제2 검수모듈(62)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라벨시트 인쇄를 위한 부품 고유정보를 상기 포장부(40)로 전송하도록 하는 검수처리모듈(64)을 포함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품은 각 부품들을 구분하기 위해 부품 제작처에서 바코드 및 고유번호가 부여되고, 그 정보들이 태깅되어 제작된 차량 부품 또는 차량 ECU(Electronic Control Unit) 부품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코드 및 고유정보가 태깅된 다양한 부품이나 제품일 수도 있다.
상기 이송부(10)는 통상 컨베이어(Conveyor device)장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복수로 이송되는 각각의 부품들이 시간차를 가지고 순차로 이송될 수 있도록 제어부(6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차에 대한 값일 수 있다.
상기 버퍼부(20)는 상기 이송부(10)로부터 이송받은 부품을 다단하게 구비된 선반에 여러개 안착시켜서 임시로 저장했다가 순차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공지의 버퍼수단으로(Buffer)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버퍼부(20)는 여러 단층으로 부품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선반을 가지는 버퍼(Buffer)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부품을 이송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수단과 그리퍼(Gripper) 및 이를 구비한 이재기(Transf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수부(30)는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고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이미지센서가 구비된 공지의 비전검사수단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상기 포장부(40)의 포장유닛(41)은 상기 버퍼부(20)로부터 이송받은 부품을 포장하기 위해 봉투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포장재가 저장되는 저장수단과, 저장된 포장재를 공급하고, 공급한 포장재의 개구부를 진공흡착방식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포장재 내부에 부품을 삽입시키도록 하는 그리퍼수단과, 상기 개구부를 열압착에 의해 밀봉하기 위한 압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들 각각 수단들은 각각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전력에 의해 물리적인 작동 가능한 공지의 엑추에이터(actuator) 및 그리퍼를 구비한 이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압착수단은 예컨데, 일정 온도의 열에 의해 포장재의 개구부를 녹이면서 압착시킬 수 있도록 히팅이 가능한 압착수단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재는 봉투형태로 이루어지고, 비닐 또는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의 대상물의 성질에 따라 수지재 또는 나노 금속재로 등 다양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라벨인쇄유닛(42)은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부품의 고유정보가 표현된 라벨시트를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공지의 인쇄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50)는 상기 포장부(40)로부터 이송받은 상기 포장된 부품을 저장하며 외부의 운송수단으로 적재가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적재부(50)는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장부(40)로부터 부품을 이송받도록 연결 설치되고, 이송받은 포장된 부품을 일측에 미리 배치된 박스부재(52)로 이송시켜 상기 포장된 부품을 상기 박스부재(52)에 적재하여 수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스부재(52)는 합성수지재 또는 플라스틱, 금속재질의 박스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수의 선반을 구비하고 이 선반에 적재수단이 올려져 복수로 저장 및 제공이 가능하도록 선반 및 엘리베이터 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50)는 상기 상기 포장된 부품을 이송받아 동일한 고유정보를 가지는 라벨시트를 감지하고, 감지에 따라 동일한 부품을 선별하여 선별에 따른 부품을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박스부재(52)로 안내시키도록 구성된 선별유닛(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별유닛(51)은 상기 고유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비전검사수단과 컨베이어 및 그리퍼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네트워크를 이용해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통신수단, 액정디스플레이, 유저인터페이스를 구비한 PLC 형태로 공지의 제어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는 그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가능한 통신모듈을 탑재하여 퍼스널 컴퓨터 및 서버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축적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해 빅데이터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축적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제3 검수모듈(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검수모듈(64)에 의해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의 대응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부품의 고유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여 분류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어부(60)는 외부전원공급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충/방전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충전모듈(73)과, 상기 충전모듈(73)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충전 및 저장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배터리(71)와, 상기 제1 배터리(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배터리(72)와, 상기 이송부(10), 상기 제1 배터리(71) 및 제2 배터리(72)에 저장되는 전력을 이용해 상기 버퍼부(20), 검수부(30), 포장부(40), 적재부(50) 및 제어부(60) 작동을 위한 구동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모듈(74)을 포함하는 비상전원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전원공급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모듈(83)과, 상기 충전모듈(83)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충전 및 저장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송부(10), 상기 버퍼부(20), 상기 검수부(30), 상기 포장부(40), 상기 적재부(50), 상기 제어부(60)에 구동전력을 공급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배터리(71)와, 이 제1 배터리(71)와 연결되는 제2 배터리(72)와, 상기 제1 배터리(71) 및 제2 배터리(72)의 전력 충전상태 및 충전량을 측정하고, 측정에 따라 상기 제1 배터리(71) 및 제2 배터리(72)의 충전/방전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배터리(71) 및 제2 배터리(72)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해 상기 구동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모듈(74)을 포함하는 비상전원공급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모듈(74)은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제1 배터리(71)의 충전량이 제1 배터리(71)의 최대 저장량을 통해 설정된 제1 설정값 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배터리(71)의 충전량이 상기 제1 설정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배터리(71)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해 상기 구동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충전모듈(7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2 배터리(72)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배터리(71)의 충전량이 상기 제1 설정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배터리(71)의 충전량이 상기 제1 배터리(71)의 비상용 저장량을 통해 설정된 제2 설정값 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배터리(71)의 충전량이 상기 제2 설정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배터리(71)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해 상기 구동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구동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배터리(71)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배터리(71)의 충전량이 상기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배터리(71)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구동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터리(71)와 제2 배터리(72)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전등에 비상 상황시에도 임시로 구동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안정적인 운용 및 갑작스러운 장치의 정지에 따른 고장이나 사고위험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설정값은 최대로 저장이 가능한 제1 배터리(71)의 최대 저장량을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배터리(71)의 최대 저장량의 크기와 비례하여 제1 배터리(71)의 최대 저장량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의 최대 저장량이 10KWh인 경우, 제1 설정값은 9KWh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설정값은 비상 시 사용되기 위해 최소 저장되어야만 하는 제1 배터리(71)의 비상용 저장량을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배터리(71)의 비상용 저장량의 크기와 비례하여 제1 배터리(71)의 비상용 저장량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배터리(71)의 비상용 저장량이 10Wh인 경우, 제2 설정값은 20Wh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에 따른 비상 상황시 외부 전력 공급이 중단돼도 비상 전원으로서 구동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안정적인 포장이 가능하고 고장 또는 고장에 따른 불량품 발생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의 작동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는 이송부(10)에 의해 부품들이 순차로 상기 버퍼부(20)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버퍼부(20)는 그리퍼수단에 의해 상기 부품을 정렬시키며 임시로 저장하도록 작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검수부(30)는 상기 버퍼부(20)에 정렬된 부품의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에 따른 이미지정보와, 상기 이미지정보로부터 상기 부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또는 고유번호와 같은 부품의 고유정보를 감지하고 감지에 따른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60)로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60)의 제1 검수모듈(61), 제2 검수모듈(62), 제3 검수모듈(63)은 제1 검수모듈(61), 제2 검수모듈(62), 제3 검수모듈(63)에 저장 및 업데이트되는 부품에 관한 고유정보와, 그 고유정보들로 축적된 부품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 간의 비교를 수행하고, 비교에 따라 상기 감지정보 및 이미지정보와 상기 제1 내지 제3 검수모듈(61,62,63)에 축적된 부품의 고유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에 따라 대응되는 부품의 고유정보를 상기 포장부(40)의 라벨인쇄유닛(42)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벨인쇄유닛(42)은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상기 포장부(40)에 의해 포장되는 부품에 관한 고유정보와 대응하는 고유정보가 표현된 라벨시트의 인쇄를 수행하고, 인쇄된 라벨시트를 상기 포장된 부품에 부착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라벨인쇄유닛(42)에 의해 상기 라벨시트의 부착이 이루어진 부품은 상기 적재부(50)에 이송된다.
상기 적재부(50)의 선별유닛(51)에 의해 상기 라벨시트의 감지 및 스캔에 의해 선별이 수행되고 선별에 따라 동일한 부품군에 해당하는 고유정보를 가지는 부품은 통상 복수로 구비되는 컨베이어수단 또는 그리퍼 및 이재기에 의해 분류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박스부재(52)에 이송되어 적재 및 수납이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적재부(50)의 선별유닛(51)은 상기 제어부(60)와 네트워크를 이용해 연동하며 상기 제어부(60)에 상기 감지 및 스캔에 따른 정보들을 전송하고, 제어부(60)에 저장되는 정보들과의 비교를 통해 부품의 선별이 결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박스부재(52)에 부품들이 일정량 적재가 이루어지면 그리퍼(미도시)에 의해 별도의 운송수단(화물차, 화물수송수단)으로 적재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다양한 부품을 인식하여 선별 분류 및 포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력 낭비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부품의 분류 및 포장에 따른 비용을 절감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비상시 임시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포장 안정성을 높이고 갑작스러운 정지에 따른 작업자의 사고위험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제어부(60)에 의해 여러 기저장된 부품의 고유정보, 사용자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고유정보,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빅데이터검색을 통해 축적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여러 단계로 부품의 검수를 수행함에 따라, 정밀한 부품의 검수를 수행하여 불량이나 오류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신속한 분류와 동시에 포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이송부 20. 버퍼부
30. 검수부 40. 포장부
41. 포장유닛 42. 라벨인쇄유닛
50. 적재부 51. 선별유닛
52. 박스부재 60. 제어부
61. 제1 검수모듈 62. 제2 검수모듈
63. 제3 검수모듈 64. 검수처리모듈
70. 비상전원부 71. 제1 배터리
72. 제2 배터리 73. 충전모듈
74. 전원제어모듈

Claims (3)

  1.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부품을 일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부품을 이송받아 저장하며, 저장되는 복수의 부품을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로 공급하도록 상기 이송부에 연결 구성된 버퍼부;
    상기 버퍼부에 저장되는 부품을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정보로부터 부품에 관한 고유번호 또는 고유바코드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부품의 검수를 수행하도록 상기 버퍼부에 연결 구성된 검수부;
    상기 버퍼부로부터 부품을 이송받도록 연결 설치되고, 이송받은 부품을 기저장된 봉투형태의 포장재를 이용해 포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포장유닛과, 상기 포장유닛으로부터 포장되는 부품에 대응하는 부품에 관한 고유정보가 표현되도록 라벨시트을 인쇄하고, 인쇄된 상기 라벨시트를 상기 포장재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라벨인쇄유닛을 포함하는 포장부;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장부로부터 포장된 부품을 이송받아 일측에 기배치된 박스부재로 이송하며 상기 포장된 부품을 적재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재부; 및
    상기 이송부, 버퍼부, 검수부, 포장부, 적재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검수부로부터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부품의 검수를 위해 부품의 이미지 및 고유번호에 관하여 기저장된 제1 부품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검수모듈과,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로부터 업데이트되는 부품의 이미지 및 고유번호에 관하여 기저장된 제2 부품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검수모듈과, 상기 제1 검수모듈 및 제2 검수모듈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라벨시트 인쇄를 위한 부품 고유정보를 상기 포장부로 전송하도록 하는 검수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전원공급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충/방전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충전모듈과,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충전 및 저장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배터리와 상기 제1 배터리와 연결되는 제2 배터리와, 상기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에 저장되는 전력을 이용해 상기 이송부, 버퍼부, 검수부, 포장부, 적재부의 작동을 위한 구동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충전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비상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제어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제1 배터리의 충전량이 제1 배터리의 최대 저장량을 통해 설정된 제1 설정값 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배터리의 충전량이 상기 제1 설정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해 구동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2 배터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배터리의 충전량이 상기 제1 설정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배터리의 충전량이 상기 제1 배터리의 비상용 저장량을 통해 설정된 제2 설정값 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배터리의 충전량이 상기 제2 설정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해 구동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구동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배터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배터리의 충전량이 상기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배터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면서 구동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상기 포장된 부품을 이송받아 동일한 고유정보를 가지는 라벨시트를 감지하고, 감지에 따라 동일한 부품을 선별하여 선별에 따른 부품을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박스부재로 안내시키도록 구성된 선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정보 및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축적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해 빅데이터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축적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제3 검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KR1020220114212A 2022-09-08 2022-09-08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KR102587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212A KR102587952B1 (ko) 2022-09-08 2022-09-08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212A KR102587952B1 (ko) 2022-09-08 2022-09-08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952B1 true KR102587952B1 (ko) 2023-10-11

Family

ID=8829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212A KR102587952B1 (ko) 2022-09-08 2022-09-08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9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459A (ko) * 2007-10-31 2009-05-07 소프트메카(주) 단위제품 포장장치
KR20170011225A (ko) * 2015-07-22 2017-02-02 (주)코로넷 상품 검수 분류 시스템 및 상품 출하 방법
KR101835541B1 (ko) * 2017-04-20 2018-04-19 주식회사 엘제이텍 관리자 단말을 이용한 제품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0824B1 (ko) 2018-10-10 2020-04-23 주식회사 신라에프에이 대형 가전제품 비닐 자동포장장치
KR20220037073A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니즈 상품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459A (ko) * 2007-10-31 2009-05-07 소프트메카(주) 단위제품 포장장치
KR20170011225A (ko) * 2015-07-22 2017-02-02 (주)코로넷 상품 검수 분류 시스템 및 상품 출하 방법
KR101835541B1 (ko) * 2017-04-20 2018-04-19 주식회사 엘제이텍 관리자 단말을 이용한 제품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0824B1 (ko) 2018-10-10 2020-04-23 주식회사 신라에프에이 대형 가전제품 비닐 자동포장장치
KR20220037073A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니즈 상품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161A (ko) 하차 컨베이어 벨트의 물품 자동 분류 장치 및 시스템
CN105800007A (zh) 产品装箱系统及其装箱方法
CN109649910A (zh) 电商物流分配方法
CN107790393B (zh) 一种货物自动分拣系统
CN107340491A (zh) 一种四线一库系统及自动化检定方法
KR20140141461A (ko) 물품 반송 대차
CN114787054A (zh) 仓储和拣选系统以及预测和/或避免未来故障的方法
CN111099233A (zh) 一种用于固体废弃物的仓储管理系统
KR102587952B1 (ko) 부품 자동 분류 포장 장치
CN113318989A (zh) 一种仓内物流分拣方法及系统
ITMI20130862A1 (it) Dispositivo per l'introduzione di valori cartacei in contenitori chiudibili, con controllo e memorizzazione dei valori in ingresso nel contenitore
CN110216072A (zh) 一种物流货物自动分拣系统及其装置
CN116452089A (zh) 货物管理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JP2001357428A (ja) 紙葉類処理装置
CN109606801B (zh) 自动打包装置
JP2016094286A (ja) 仕分設備および仕分方法
CN112340159A (zh) 一种自动包装流水线系统
JP6459295B2 (ja) 搬送システム
CN209367035U (zh) 具有分拣功能的自动存取系统
CN210028100U (zh) 自动打包装置
CN112488601A (zh) 物流系统、物料输送方法、及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217125339U (zh) 一种自动装配生产线
JP2008169019A (ja) コラムの段積み順検出装置
CN217533507U (zh) 自动包装线
KR102656633B1 (ko) Pcb 양산용 다열식 핸들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