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602B1 -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602B1
KR102587602B1 KR1020220188400A KR20220188400A KR102587602B1 KR 102587602 B1 KR102587602 B1 KR 102587602B1 KR 1020220188400 A KR1020220188400 A KR 1020220188400A KR 20220188400 A KR20220188400 A KR 20220188400A KR 102587602 B1 KR102587602 B1 KR 10258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ture
hours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만기
Original Assignee
황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만기 filed Critical 황만기
Priority to KR102022018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602B1/ko
Priority to KR1020230131785A priority patent/KR102598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8Commiphora, e.g. mecca myrrh or balm of Gil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4Codono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혼합물을 훈연하는 단계, 혼합물을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SITION PROMOTING RECOVERY OF BONE FRACTURE}
본 개시는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해서 골절 회복을 촉진하고, 단맛을 강화해 다양한 연령대에서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절이란 신체의 일부 중 뼈가 파괴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골절은 물리학적 및 생물학적인 여러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아 골절 주위에 새로운 조직이 생성되어 분리된 두개의 뼈가 결합되면 치유될 수 있다.
골절의 치유를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고, 정맥의 흐름을 더디게 하는 방법, 교감신경을 절단하는 방법, 전기자극을 주는 방법, 호르몬을 투여하는 방법, 또는 특정 화합물들, 예를 들어 비타민 D, 비타민 D 유도체, 칼시토닌, BMP 등을 부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만족스러운 골절 치유방법이나 골절 치료제의 개발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외력에 의하여 골절된 뼈의 치료방법은 외과적인 수술을 한 후 부목이나 석고붕대 등으로 고정하여 자연치료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치료방법의 경우에는 골절 회복 기간이 길고, 뼈 내부 상태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7596호 (2004.01.2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골절 회복 기간을 줄이고, 조골 세포 증식을 활성화하고, 골 재생을 유도하면서 풍미가 향상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혼합물을 훈연하는 단계, 혼합물을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당귀 10-15 중량부, 천궁 10-15 중량부, 속단 5-7 중량부, 황기 10-15 중량부, 사인 5-10 중량부, 진피 5-10 중량부, 골쇄보 5-10 중량부, 당삼 1-5 중량부, 유향 1-5 중량부 및 몰약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는 혼합물에 쌀뜨물 5-10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물을 훈연하는 단계는 혼합물을 벚나무 5-10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분말에 에탄올 5-10 중량부를 용매로 첨가하고, 20~30 KHz 초음파를 가하여 6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총 6회 반복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뼈 손상을 회복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뼈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다양한 연령대에서 섭취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약재, 요리, 영양제 등의 분야에 주재료로 이용되거나, 부재료로 첨가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허용오차가 존재할 때 허용오차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들)"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혼합물을 훈연하는 단계, 혼합물을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당귀 10-15 중량부, 천궁 10-15 중량부, 속단 5-7 중량부, 황기 10-15 중량부, 사인 5-10 중량부, 진피 5-10 중량부, 골쇄보 5-10 중량부, 당삼 1-5 중량부, 유향 1-5 중량부 및 몰약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당귀 1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당귀는 산형과에 속하는 참당귀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으로, 데커신, 데쿠르트시놀, 노다케네린, 움벨리프레닌, 노다케닌, 크산도톡신, 이소핌피넬린, 오스톨 등 다양한 형태의 쿠마린(Coumarin) 성분을 다량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 혈액순환 개선, 진통효과, 보혈작용, 항염증 등의 작용을 함에 따라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당귀의 뼈세포 증식 능력은 이미 보고된 바 있다(생약학회지 40(3): 190-195 (2009),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당귀는 직접적으로 뼈세포증식(proliferation), 염기성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 단백질 분비(protein secretion)를 자극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당귀는 잎, 어린싹 또는 뿌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천궁 1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천궁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알킬로이드(Tetramethylpyrazine, Perolyrine), 페놀성 성분(Chrysophanoll, Sedanonic acid), 락톤류, 비타민E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 진통효과, 강장효과, 항균작용, 항염증, 면역 강화 등의 작용으로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된다.
천궁은 골절에 직접적인 효과를 발휘하지는 않으나 염증에 작용하는 효과를 발현하여 골절 회복을 더 촉진한다.
본 개시에 따른 천궁은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속단 5-7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속단은 산토끼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산토끼꽃의 뿌리를 일컫는 것으로서, 성장호르몬 분비와 성장촉진에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현재 알려진 속단의 약리 작용으로는 항당뇨 효과, 근육관절동통 완화 작용, 항보체 효과, 체력저하로 인한 해수천식과 설사 치료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근골을 튼튼히 하고 혈맥을 소통시키며 간과 신장 기능을 도와 관절염, 조루, 빈혈 등에 사용한다.
본 개시에 따른 속단은 어린 잎과 뿌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황기 1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황기는 주요 성분으로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 아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s),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s) 등이 있고, 아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s) 성분은 포름오노네틴(formononetin)과 칼리코신(calycosin)이 대표적이고, 아이소플라보노이드 성분은 식물성유사호르몬(phytoestrogen)으로서 여성호르몬의 천연 대체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황기는 잎, 어린싹 또는 뿌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기는 땀의 양을 조절하며, 이뇨작용을 하여 당뇨병의 치료제로 쓰이는 등 비만인 사람에게 좋은 약재다. 황기는 땀을 안 나게 하고 피부를 튼튼히 하며 농을 배출하고 붓기를 가라앉히며 새살이 돋게 하는 효과가 좋다. 또한, 만성피로를 풀어주며 불면증, 허약 체질의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황기는 피부 혈관을 확장에 주기 때문에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의 저항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골절 부위 주변의 혈액 순환을 도와 회복에 있어서 인체가 골절을 회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사인 5-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사인은 일반적으로 생강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양춘사의 과실을 의미하고, 유효 약효성분은 방향성 정유성분이 1.7∼3%가량 함유되어 있고, 주성분은 디캄폴(d-camphor), 디보네올(d-boneol), 보닐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리나롤(Linalol), 네롤달(Neroldal) 등이 함유하고 있으며, 위장운동촉진, 위궤양, 평활근이완, 진통, 구토, 설사, 이질, 임신구토, 식욕부진, 소화불량, 기체, 식체 등에 효과가 좋다.
본 개시에 따른 사인은 여러해살이 초본식물 양춘사 또는 그 동속식물의 과실 또는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 부터 유래된 재료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진피 5-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진피는 귤 껍질을 1년 내지 3년동안 묵힌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정유, 구연산, 비타민 A, 비타민 B1, D-칼락토사민, 비타민 C, 헤스페리딘, 베타크립토잔틴, 살페스테롤, 테레빈유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간 기능 개선, 만성피로 개선, 체력증진, 기력회복, 항암, 노화방지, 항염작용, 소염작용, 기관지 질환 개선, 심혈관 질환 예방, 면역력 증대, 피부미용 등에 효과가 있다. 특히, 진피의 베타크립토잔틴은 뼈를 튼튼하게 해줘서 골절에 도움을 준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골쇄보 5-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골쇄보는 넉줄고사리의 땅속줄기를 말하며, 주요성분으로 알칼리 포토피아제, 프롤리 하이드록실라제라 등의 효소 성분을 포함하고, 이 성분은 뼈나 피부의 두께를 증가시키며 허리나 무릎 등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골다골증, 골대사질환, 골절유합, 성장촉진 등의 뼈 관련 질환에 도움을 준다. 또한, 골쇄보는 헤스페리딘 성분을 포함하고, 이는 항산화 효과를 가져 유해활성산소를 배출하고 모세혈관을 보호하며 고혈압과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의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당삼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당삼은 도라지과에 속하는 식물인 만삼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사포닌, 미량의 알칼로이드, 서당, 포도당, 이눌린, 전분, 점액, 수지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뿌리에는 정유, 스쿠테라레인 글루코사이드, 알칼로이드, 다당류, 이누린,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고, 식욕부진, 구갈, 탈홍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유향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유향은 올리브과의 유향나무의 수액을 건조시켜서 만든 향이 나는 약재를 말하며, 유향에 들어 있는 보스웰릭산이라는 물질이 연골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연골 보호효과가 뛰어나 염증을 억제하고, 혈액순환을 도와 관절 통증개선에 도움을 준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몰약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몰약은 감람과에 속하는 몰약나무의 껍질에 상처를 내어 흐르는 유액을 건조시켜 만든 약재로, 약효성분은 수지가 25~35%, 휘발성 정유 2.5~9%, 수교가 57~65%이고, 소염·진통효과가 현저하며, 피부진균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고, 결핵균의 발육을 억제시킨다. 또한,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면서 통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우수하여, 관절의 부종과 타박상으로 인한 울혈, 동통에 많이 활용된다.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성분으로 예를 들면, 백출, 산사, 맥아, 백작약, 두충, 현호색, 우슬, 오가피, 모과, 구기자, 감초, 산약, 산수유, 건지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고,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는 혼합물에 쌀뜨물 5-10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혼합물에 쌀뜨물 5-10 중량부를 넣고 숙성하는 단계는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독성, 자극성 및 부작용을 없애거나 감소시키고, 약효를 강화하고 추후 분말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혼합물에 쌀뜨물 5-10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면 혼합물이 함유한 유효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고, 혼합물의 쓴맛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혼합물을 훈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물을 훈연하는 단계는 혼합물을 벚나무 5-10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혼합물을 벚나무 5-10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서 훈연하는 단계는 혼합물에 벚나무 연기의 단맛을 입혀서 혼합물을 식재료 또는 약재로 이용하는 데 쓴맛을 감소시키고, 풍미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혼합물을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혼합물은 90℃ 온도에서 건조하고, 0.1-0.5㎝의 입경 크기로 분말로 분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을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분말에 에탄올 5-10 중량부를 용매로 첨가하고, 20~30 KHz 초음파를 가하여 6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6회 반복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추출은 초음파 진동에 의한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해 매우 큰 에너지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혼합 및 추출 효과를 높여준다(Chung et al., 2000).
초음파 추출공정을 이용하면 추출 시간 단축, 추출 수율 향상 및 유용성분의 안전 용출이 가능한다.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는 공동 현상으로 인한 높은 압력에 의해 세포조직이 파괴됨으로써 지방질의 이동거리가 짧아질 뿐만 아니라 공동의 생성 및 소멸로 인한 교반 효과에 의해 확산이 용이하게 일어나 기존의 추출방법에 비해 빠른 시간에 높은 추출량을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은 초음파균질기(KUS-650, KBT, Seongnam, Korea)를 이용하여 분말에 에탄올 5-10 중량부를 용매로 첨가하고, 20~30 KHz 초음파를 발생시켜 60℃ 온도에서, 총 2시간 동안 10분 추출 및 10분 휴지 과정을 반복해서 총 6회 반복으로 추출한다.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추출은 인체 안정성과 선택적 추출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고유 성분들은 영양학적으로 안정하여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개시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당귀 12 중량부, 천궁 12 중량부, 속단 6 중량부, 황기 12 중량부, 사인 7 중량부, 진피 7 중량부, 골쇄보 7 중량부, 당삼 3 중량부, 유향 3 중량부 및 몰약 3 중량부를 혼합시키고,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키고, 훈연이 완료된 혼합물을 90℃ 온도에서 건조한 다음, 0.3㎝의 입경 크기의 분말로 분쇄한다.
분말에 에탄올 7중량부를 용매로 첨가하고, 초음파균질기(KUS-650, KBT, Seongnam, Korea)를 이용하여 25 KHz 초음파를 발생시켜 6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10분 추출 및 10분 휴지 과정을 총 6회 반복으로 추출시켜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을 완성하여 제품화하였다.
비교예 1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약재를 이용한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영양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하는 대신,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지 않고, 혼합물을 바로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해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분말로 제조하는 대신,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바로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해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하는 대신, 혼합물에 쌀뜨물 1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하는 대신, 혼합물에 쌀뜨물 30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하는 대신,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1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하는 대신,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30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조골세포 증식 검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 대해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에 대한 조골세포의 분화 활성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 대해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에 대한 뼈 회복을 확인하기 위해 조골세포(MC3T3-E1)를 5x103 cells/100ul로 96 well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 대해 48시간 CO2 배양기에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EZ-cytox, Daillab) 용액을 처리하고 2시간 동안 CO2 배양 후 450㎚ 파장에서 microplate reader(Epoch, Biotek)로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조골세포 증식 측정 결과
세포 증식(%)
실시예 1 144
비교예 1 100
비교예 2 121
비교예 3 120
비교예 4 126
비교예 5 128
비교예 6 132
비교예 7 131
상기 [표 1]의 결과로 보아, 실시예 1의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의 제품보다 높은 뼈 회복 증가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경우,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함으로써 비교예 1 및 비교예 7보다 뼈 회복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숙성시키고,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에 훈연시켜 제조하였을 때, 조성물에 포함된 유성성분이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때문에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골 재생 유도 검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 대해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에 대한 골 재생 유도를 두개골이 결손된 생쥐에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골 형성 정도를 마이크로 CT(μCT)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골 재생 유도 측정 결과
골 형성 정도
실시예 1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상기 [표 2]의 결과로 보아, 실시예 1의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의 제품보다 높은 골 재생 유도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경우,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함으로써 비교예 1 및 비교예 7보다 골 재생 유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혼합물을 숙성시키고, 훈연시켜서 제조하였을 때, 조성물의 유효성분 추출 수율이 증가하고, 불순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골 재생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관능 검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 대해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에 대한 맛,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관능검사 경험을 지닌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관능검사 요원으로 하여금 9점 척도법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관능 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8.8 8.5 8.4
비교예 1 5.0 5.0 5.0
비교예 2 6.4 6.5 6.7
비교예 3 6.6 6.4 6.8
비교예 4 7.5 7.2 7.4
비교예 5 7.8 7.4 7.3
비교예 6 7.6 7.8 7.6
비교예 7 7.7 7.7 7.5
상기 [표 3]의 결과로 보아, 실시예 1의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의 제품보다 관능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경우,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켜서 제조함으로써 비교예 1 및 비교예 7보다 높은 맛과 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숙성시키고,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에 훈연시켜 제조하였을 때, 쓴맛이 감소하고 단맛을 높여주기 때문에 조성물의 활용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은 종래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과 비교할 때 골절 회복을 효과적으로 촉진하면서, 쓴맛을 줄이고 단맛을 높이고, 주요 성분의 흡수를 향상시키는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앞선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개시를 행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예들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 설명된 예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가 부여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Claims (5)

  1.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당귀, 천궁, 속단, 황기, 사인, 진피, 골쇄보, 당삼, 유향 및 몰약을 혼합해서 혼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쌀뜨물에 넣고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벚나무를 태운 연기를 이용하여 훈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건조해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고 초음파를 가하며 반복 추출 및 휴지과정을 수행하여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을 쌀뜨물에 넣고 숙성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쌀뜨물 5-10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을 벚나무를 태운 연기를 이용하여 훈연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벚나무 5-10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고 초음파를 가하며 반복 추출 및 휴지과정을 수행하여 액상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말에 에탄올 5-10 중량부를 용매로 첨가하고, 20~30 KHz 초음파를 가하여 6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총 6회 반복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귀 10-15 중량부, 천궁 10-15 중량부, 속단 5-7 중량부, 황기 10-15 중량부, 사인 5-10 중량부, 진피 5-10 중량부, 골쇄보 5-10 중량부, 당삼 1-5 중량부, 유향 1-5 중량부 및 몰약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쌀뜨물에 넣고 숙성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쌀뜨물 7 중량부를 넣고 40℃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훈연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벚나무 7 중량부를 태운 연기를 이용해 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훈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5. 삭제
KR1020220188400A 2022-12-29 2022-12-29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8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400A KR102587602B1 (ko) 2022-12-29 2022-12-29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30131785A KR102598936B1 (ko) 2022-12-29 2023-10-04 관능 효과가 개선된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400A KR102587602B1 (ko) 2022-12-29 2022-12-29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785A Division KR102598936B1 (ko) 2022-12-29 2023-10-04 관능 효과가 개선된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602B1 true KR102587602B1 (ko) 2023-10-13

Family

ID=882896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400A KR102587602B1 (ko) 2022-12-29 2022-12-29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30131785A KR102598936B1 (ko) 2022-12-29 2023-10-04 관능 효과가 개선된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785A KR102598936B1 (ko) 2022-12-29 2023-10-04 관능 효과가 개선된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876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596A (ko) 2001-05-23 2004-01-24 다나베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골절 치료 촉진용 조성물
KR102355277B1 (ko) * 2021-07-22 2022-01-24 최영진 골절 회복 및 뼈 재생 속도 향상용 산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제 또는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생약제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596A (ko) 2001-05-23 2004-01-24 다나베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골절 치료 촉진용 조성물
KR102355277B1 (ko) * 2021-07-22 2022-01-24 최영진 골절 회복 및 뼈 재생 속도 향상용 산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제 또는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생약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936B1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Phytochemistry, traditional uses and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Amla (Phyllanthus emblica): The Sustainer
Samy et al. A compil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Ayurveda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KR102355277B1 (ko) 골절 회복 및 뼈 재생 속도 향상용 산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제 또는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생약제제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1281059B1 (ko) 삼푸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76436A (ja) Scf発現阻害剤
KR100688252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KR102587602B1 (ko)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0652552A (zh)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CN105194264A (zh) 一种治疗便秘的中药冲剂及其制备方法
KR101920877B1 (ko)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73327B1 (ko) 커피 크리머 대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커피 크리머 대체용 효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효소 커피믹스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2592954B1 (ko) 골밀도 증진을 촉진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CN104983886A (zh) 治疗便秘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CN110538308A (zh) 一种生发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289017A (zh) 用于清理血管和血液的组合物及制备方法
CN108567831A (zh) 一种中药贴剂、制备方法及其用途
KR20130060950A (ko) 한방 발효차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06808A (ko) 발모 촉진용 외용제
CN108042686A (zh) 一种复方跌打扭伤膏药及其制备方法
CN103948813A (zh) 一种用于治疗猫胃肠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