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693B1 -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693B1
KR102586693B1 KR1020200135503A KR20200135503A KR102586693B1 KR 102586693 B1 KR102586693 B1 KR 102586693B1 KR 1020200135503 A KR1020200135503 A KR 1020200135503A KR 20200135503 A KR20200135503 A KR 20200135503A KR 102586693 B1 KR102586693 B1 KR 10258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ever shaft
side plate
emergency stop
brak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739A (ko
Inventor
이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Priority to KR1020200135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6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4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against dro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는 승강식 개폐문의 하부 양측 끝부분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몸체부와 상기 고장몸체부의 전방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몸체부로 구분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고정몸체부는, 베이스프레임과 이 베이스프레임의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부 사이드판, 상기 내부 사이드판에 결합하는 브레이크슈 가동구와 제2 레버축 및 가이드롤러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롤러축에 설치되되 스프링헤드가 저지편에 지지되고 스프링꼬리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슈 가동구의 제1 레버축에는 레버의 한쪽이 고정 결합하고, 상기 제2레버축에는 상기 레버의 다른 쪽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Emergency Stop Equipment For Elevating Door}
본 발명은 승강식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고장으로 추락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저지하는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하는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승강식 개폐문은 차고나 창고 등의 출입구에 많이 설치되며, 출입구를 열 때 도어가 출입구 상부로 수납되므로 출입구 부근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승강식 개폐문의 종류로는 '오버헤드 도어', '셔터', '스피드 도어', '스태킹 도어' 등이 있다.
승강식 개폐문의 일반적인 도어 승강 방식은, 도어의 양측 하단부에 승강가이드를 설치하고 이 승강가이드에 와이어나 체인 등을 연결하여, 도어를 상승시킬 때에는 이 와이어나 체인을 모터로 감아올리고, 하강시킬 때에는 반대로 모터를 돌려 풀어 내리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승강식 개폐문에서 권상 와이어나 체인 절단 같은 고장이 발생하면, 도어가 급격히 추락하여 불측의 인명피해 또는 출입차량 파손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식 개폐문에는 도어가 급격히 추락할 때 비상정지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식 개폐문의 일례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승강식 개폐문은 한국 등록특허 제10-0695956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오버헤드 도어' 형식이다.
이 종래기술에서는 와이어로 도어 패널을 승강시키고, 비상정지용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한 승강 가이드를 사용하여 도어 추락을 방지한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승강 가이드(1)가 하단 쪽 도어 패널(3)의 양쪽에 장착된다. 장착된 승강 가이드(1)의 와이어 연결구(7)에 와이어(2)의 하단 끝부분이 연결된다.
따라서 와이어(2)가 정상적으로 드럼(미도시)에 권취되어 있다면, 와이어(2)는 도어 패널(3)들의 무게 때문에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며, 회전브래킷(8)의 후방에 설치된 와이어 연결구(7)에는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와이어 연결구(7)에 결합된 회전 브래킷(8)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고,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이 회전 브래킷(8)에 결합된 브레이크프레임(9)의 지지부재(9')에 장착된 브레이크슈(5)는 가이드레일(4)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유지된다(보다 상세한 기술 내용은 한국 등록특허 제10-0695956호의 명세서를 참조한다).
이 상태에서 모터(미도시)를 작동시켜 와이어(2)를 감아올리거나 풀어 내리면, 승강 가이드(1)가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승강하면서 도어 패널(3) 전체를 승강시키게 된다. 이때 승강 가이드(1)에 장착된 가이드롤러(6)는 가이드 레일(4)에 삽입된 채 회전하면서 승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승강작동 중에 와이어(2)가 절단되는 사고가 일러나면, 도 9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2')가 늘어지게 되고, 와이어 연결구(7')도 인장력이 해소되고 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 연결구(7')에 결합된 회전 브래킷(8)과 브레이크슈(5)는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결국 브레이크슈(5)는 가이드 레일(4)의 외면에 접촉하면서 마찰을 일으킨다. 이 마찰력 때문에 도어 패널(3)은 급락을 멈추게 된다.
상기 회전 브래킷(8)과 브레이크슈(5)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도 10에서 볼 때 롤러축(6‘)에 감긴 비틀림스프링(S)의 스프링헤드(S’) 탄성으로 지지부재(9')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으로 발생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 추락방지 장치는 도어 패널(3)의 추락 하중이 큰 경우에는 도어패널과 함께 추락방지 장치가 하방으로 미끌어지면서 브레이크슈(5)가 오른쪽(시계방향으로) 밀려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 레일(4)의 외면과 브레이크슈(5) 사이에 마찰력은 사라지고 도어 패널(3)의 추락을 막을 수 없다. 근래에 이러한 문제 때문에 인명사고까지 발생한 바 있다,
한편, 통상의 추락방지장치는, 와이어나 체인을 연결하는 연결구 부분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이 돌출부분은 추락방지장치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승하여 가이드레일 상부 쪽 곡선부분에 도달하면 가이드레일과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주행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695956호(2007.03.09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여 가이드 레일의 외면과 브레이크슈사이에 접촉이 일어나면, 도어 패널의 추락 하중이 매우 크더라도 가이드 레일의 외면과 브레이크슈 사이에 미끄러짐 없이 강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정지장치가 가이드레일의 상부 쪽 곡선부분에 도달하더라도 부드럽게 주행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는 승강식 개폐문의 하부 양측 끝부분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몸체부와 상기 고장몸체부의 전방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몸체부로 구분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고정몸체부는, 승강식 개폐문에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부 사이드판, 상기 내부 사이드판에 결합하는 브레이크슈 가동구와 제2 레버축 및 가이드롤러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롤러축에 설치되되 스프링헤드가 저지편에 지지되고 스프링꼬리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몸체부는, 상기 고정몸체부의 전방을 감싸며 결합하되, 양측면에 상기 내부 사이드판에 겹쳐져 결합하는 외부 사이드판을 구비하는 가동브래킷과 상기 가동브래킷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슈 가동구의 제1 레버축에는 레버의 한쪽이 고정 결합하고, 상기 제2레버축에는 상기 레버의 다른 쪽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레버축은 상기 외부 사이드판의 제2 레버축구멍과 상기 내부 사이드판의 제2 장공 및 레버의 제1 장홈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슈 가동구는, 상기 제1 레버축의 한 쪽 끝부분에 브레이크슈가 결합된다.
상기 가동브래킷의 어느 한쪽 외부 사이드판에는 소정 각도로 아래를 향하도록 꺾어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방연장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는, 장치가 일단 작동하면 도어패널의 추락하중이 대단히 크더라도 가이드 레일의 외면과 브레이크슈사이에 접촉이 풀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추락하중이 클수록 더욱 강하게 브레이크슈가 가이드 레일의 외면을 찍어서 마찰저항을 크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는, 장치가 가이드레일의 상부 쪽 곡선부분에 도달하더라도, 후방연장부가 외부 사이드판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아래를 향하도록 꺾이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곡선부분에서 부드럽게 주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의 고정몸체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를 상부에서 본 설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를 하부에서 본 설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가 작동 전인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요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요부도이다.
도 8은 종래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된 오버헤드 도어의 예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종래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관계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실질적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 '하', '앞', '뒤', '전', '후', '좌, '우', '선단',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례의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10)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승강 가이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10)는 승강식 개폐문의 하부 양측 끝부분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몸체부(100)와 상기 고장몸체부의 전방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몸체부(200)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몸체부(100)는 베이스프레임(111), 내부 사이드판(113), 브레이크슈 가동구(150), 제2 레버축(140), 가이드롤러부(130), 레버(160) 및 탄성체(17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은 승강식 개폐문의 하부 양측 끝부분에 결합(도 8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프레임(111)에는 고정 피스나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다수의 체결 구멍(112)을 형성한다.
내부 사이드판(113)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양 측면에서 전방을 향하여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내부 사이드판(113)에는, 베이스프레임(111)에서 전방을 향하는 쪽으로 각각 롤러축구멍(115), 제2 장공(114), 제1 레버구멍(116)이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구멍들에는 후술하는 롤러축(132), 제2레버축(140), 제1 레버축(153)이 각각 관통 설치된다.
브레이크슈 가동구(150)는 봉상의 제1 레버축(153)과 이 제1 레버축(153)의 한쪽 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결합하는 브레이크슈 장착편(152)와 상기 브레이크슈 장착편에 결합하는 칼날형상의 브레이크슈(151)를 포함한다.
제1 레버축(153)은 내부 사이드판(113)의 제1 레버구멍(116)에 끼워 결합하되, 제1 레버구멍(116)에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결합해야 한다.
제2 레버축(140)은 단순한 기다란 환봉으로서, 제2 장공(114)에 끼워 결합된다. 이때 제2 장공(114)은 원호상을 이루는 구멍으로 형성하여 제2 레버축(140)이 원호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롤러부(130)는 봉상의 롤러축(132)와 상기 롤러축의 한쪽 단부에 결합하는 가이드롤러(131)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축(132)은 내부 사이드판(113)의 롤러축구멍(115)에 끼워 결합하는데, 상기 롤러축구멍(115)에 부싱(미도시)을 끼우고 이 부싱을 통해 롤러축(132)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131)의 내주면에 베어링(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의 내륜이 상기 롤러축(132)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롤러(131)가 롤러축(132)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가이드롤러(131)는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도 3에 도시된 레버(160)는 장방형이나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갖는 금속편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레버(16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레버축(153)을 끼울 수 있는 제1 레버축구멍(162)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제2 레버축(140)을 삽입할 수 있도록 기다랗게 홈을 파서 제1 장홈(163)을 형성한다.
레버(160)에 제1 레버축(153)을 결합한 후에는 제1 레버축 고정나사(161)를 체결하여 레버(160)와 제1 레버축(153)을 완전히 고정한다.
도면에는 제1 장홈(163)이 한쪽이 열려있는 홈 형태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를 닫혀있는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형상은 레버(160)가 작동할 때 제1 장홈(163)의 길이방향으로 제2레버축(14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탄성체(170)는 코일 스프링몸통(172)에서 각각 연장되어 나온 스프링헤드(171)와 스프링꼬리(173)를 갖는 비틀림스프링을 사용한다. 물론 이와 유사한 형상과 기능을 갖는 판스프링이나 기타의 탄성체로 대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몸통(172)은 상기 롤러축(132)을 감싸도록(부싱이 있는 경우에는 이 부싱을 감싸도록) 설치하며, 뻗어나온 스프링헤드(171)는 후술하는 저지편(231) 하부에 닿아 지지되고, 스프링꼬리(173)는 베이스프레임(111)에 닿아 지지되도록 설치한다(도 4 내지 도 7 참조).
상기 가동몸체부(200)는 가동브래킷(210)과 저지브래킷(23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브래킷(210)은 양측면에 상기 내부 사이드판(113)에 겹쳐져 결합하도록 외부 사이드판(211)이 형성된다. 이 외부 사이드판(211)에는, 상기 내부 사이드판(113)에 형성된 롤러축구멍(115)와 제2 장공(114)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롤러축구멍(215)와 제2 레버축구멍(214)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사이드판(113)을 바깥으로 감싸도록 외부 사이드판(211)을 겹친 후, 상기 외부 사이드판(211)의 제2 레버축구멍(214)과 상기 내부 사이드판(113)의 제2 장공(114) 및 레버(160)의 제1 장홈(163)을 관통하도록 제2 레버축(140)을 끼우고, 상기 외부 사이드판(211)의 롤러축구멍(215)과 상기 내부 사이드판(113)의 롤러축구멍(115) 및 스프린몸통(172)을 관통하도록 롤러축(132)을 끼우면 가동몸체부(200)는 고정몸체부(100)에 결합한다.
이때 제2 레버축구멍(214)은 장공 형상이 아니라 제2 레버축(14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 레버축(140)을 끼웠을 때 요동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체인이나 와이어가 연결되는 쪽 외부 사이드판(211)에는, 소정 각도로 아래를 향하도록 꺾어 후방으로 연장한 후방연장부(212)를 형성하고, 이 후방 연장부(212)의 끝부분에는 체인이나 와이어를 연결는 연결핀(240)이 삽입되는 연결핀 결합구멍(216)을 형성한다. 그리고 후방연장부(212) 형성을 위해 외부 사이드판(211)이 아래로 꺾이기 시작하는 부분은 롤러축구멍(215)의 하부이다.
위에서 후방연장부(212)를 외부 사이드판(211)에서 소정 각도로 아래를 향하도록 꺾어 형성하는 이유는 롤러축이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상승하여 가이드레일 상부 쪽 곡선부분에 도달할 때, 후방연장부(212)가 이 곡선부분에서 걸려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외부 사이드판(211)이 아래로 꺾이기 시작하는 부분을 롤러축구멍(215)의 아래로 하면, 가이드레일(400)의 상부의 곡선부분에 가이드롤러가 도달할 때 외부 사이드판(211)에서 후방연장부(212)로 이어지는 형상이 가이드레일(400)의 상부 곡선 형상과 유사해지므로 걸림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동브래킷(210)의 전방 면에는 좌우로 기다란 슬릿 형상의 삽입구멍(213)이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213) 하부에는 볼트구멍(234)이 형성된다.
저지브래킷(230)은 판상의 부재를 ‘ㄱ’자로 구부려 형성한다. ‘ㄱ’자로 구부러진 한 쪽은 상기 삽입구멍(213)에 삽입 결합하여 저지편(231)이 되는데, 이 저지편(231)의 밑면에는 스프링헤드(171)가 닿아 지지되므로 탄성력을 받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ㄱ’자로 구부러진 다른 한 쪽은 가동브래킷(210)의 전방 면에 형성된 볼트구멍(234)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구멍(233)을 설치한다. 따라서 저지브래킷(230)을 저지편(231)을 가동브래킷(210) 삽입구멍(213)에 삽입한 후, 볼트구멍(233, 234)에 볼트(235)와 너트(236)를 체결하면 저지브래킷(230)과 가동브래킷(210)이 일체로 결합된다.
도 5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후방연장부(212)는 체인(400)에 걸리는 장력을 상기 비상정지장치(10)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한다.
후방연장부(212)에 관통 설치된 연결핀(240)은 핀구멍(2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구멍(241)에는 아이볼트(402)를 끼운 후 너트(401)을 체결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아이볼트(402)는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머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체인(400)의 하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체인(400)의 장력을 가동브래킷(2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의 작용을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도 6과 도 7의 단면도에서 점선 표시는 반드시 투시 상태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다. 이 점선은 다른 구성요소의 실선들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한 것임을 미리 밝힌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가 작동 전인 상태일 때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 요부도이다.
아이볼트(402)에는 체인(400)의 하단부가 연결되는데, 정상 운전 상태일 때는 모터 구동력 때문에 상기 체인(400)에 장력이 발생하므로 아이볼트(402)는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겨진다. 이에 따라 가동브래킷(200)에는 롤러축(13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탄성체(170)의 스프링헤드(171)은 저지편(231)의 밑면에 눌려 지지되고, 스프링꼬리(173)은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에 눌려 지지된다. 따라서 탄성체(170)는 압축된 상태로 탄성 반발력이 내재된 상태가 되는데, 이 반발력이 체인(400)의 장력보다 크지 않으면 압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레버축(140)은 가동브래킷(210)의 제2 레버축구멍(214)에 끼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레버축(140)은 가동브래킷(210)과 연동되므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장공(114)의 하단으로 눌리게 된다.
그런데 이 제2 레버축(140)은 레버(160)의 제1 장홈(163)에도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제1 장홈(163) 부분을 아래로 밀어 내리게 되며, 레버(160)에는 제1 레버축(15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한다.
그리고 레버(160)과 제1 레버축(153)은 서로 완전히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 레버축(153)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레버축(153)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브레이크슈 장착편(152)과 브레이크슈(15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며, 브레이크슈(151)는 가이드레일(300)의 표면에서 떨어져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된 상태일 때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 요부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작동상태가 되는 경우는, 체인(400)의 절단 같은 사고가 일어나 아이볼트(402)를 통해 가동브래킷(200)으로 전달되는 체인(400)의 장력이 사라질 때이다.
체인의 장력(400)이 사라지면, 압축된 스프링헤드(171)의 탄성력이 저지편(231)을 들어 올리므로, 가동 브래킷(200)은 롤러축(13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가동브래킷(210)의 제2 레버축구멍(214)에 끼워있는 제2 레버축(140)도 제2 장공(114)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 제2 레버축(140)은 레버(160)의 제1 장홈(163)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제1 장홈(163)이 있는 부분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되며, 레버(160)와 제1 레버축(153)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레버축(153)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브레이크슈 장착편(152)와 브레이크슈(15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하는 브레이크슈(151)는 가이드레일(300)의 표면을 찍으며 접촉하므로 강한 마찰력으로 승강식 개폐문의 도어패널(500)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비상정지장치는 도어 패널(500)의 추락 하중이 매우 커서 도어 패널(500)과 이에 부착된 비상정지장치에 하방으로 밀리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더라도 브레이크슈(151)가 벌어지지 않는다.
즉, 도 7의 도시를 보면, 도어 패널(500)에 부착된 비상정지장치가 추락할 때, 가이드레일(300) 표면과의 마찰 때문에 브레이크슈(151)의 날 끝부분이 위로 밀려올라가야(즉, 제1 레버축(15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해야) 하는데, 제1 레버축(153)에서 가이드레일(300) 표면까지의 길이보다 제1 레버축(153)에서 브레이크슈(151)의 날 끝부분까지의 길이가 더 길므로, 결국 브레이크슈(15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크게 작용할수록 날 끝부분이 더욱 깊이 가이드레일(300) 표면을 파고들게 되고, 브레이크슈(151)가 벌어지는 현상을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이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상기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쉬운 것이라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비상정지장치
100: 고정몸체부
110: 고정브래킷 111: 베이스프레임
112: 체결구멍 113: 내부 사이드판
114: 제2 장공 115: 롤러축 구멍
116: 제1 레버축 구멍
130: 가이드롤러부 131: 가이드롤러
132: 롤러축
140: 제2 레버축
150: 브레이크슈 가동구 151: 브레이크슈
152: 브레이크슈 장착편 153: 제1 레버축
160: 레버 161: 제1 레버축 고정나사
162: 제1 레버축구멍 163: 제1 장홈
170: 탄성체 171: 스프링헤드
172: 스프링몸통 173: 스프링꼬리
200: 가동몸체부
210: 가동브래킷 211: 외부 사이드판
212: 후방연장부 213: 저지브래킷 삽입구멍
214: 제2 레버축구멍 215: 롤러축구멍
216: 연결핀 결합구멍
230: 저지브래킷 231: 저지편
232: 결합편 233, 234: 볼트구멍
236: 너트
240: 연결핀 241: 핀구멍
300: 가이드 레일 400: 체인
401: 너트 402: 아이볼트
500: 도어 패널

Claims (4)

  1. 승강식 개폐문의 하부 양측 끝부분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몸체부(100);와
    상기 고정몸체부의 전방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몸체부(200)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몸체부(100)는,
    상기 승강식 개폐문에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111);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부 사이드판(113);
    상기 내부 사이드판(113)에 결합하는 브레이크슈 가동구(150)와 제2 레버축(140) 및 가이드롤러부(130);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부(130)의 롤러축(132)에 설치되되, 스프링헤드(171)가 저지편(231)에 지지되고, 스프링꼬리(173)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체(170);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몸체부(200)는,
    상기 고정몸체부(100)의 전방을 감싸며 결합하되, 양측면에 상기 내부 사이드판(113)에 겹쳐져 결합하는 외부 사이드판(211)을 구비하는 가동브래킷(210);과
    상기 가동브래킷(21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저지편(231);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슈 가동구(150)의 제1 레버축(153)에는 레버(160)의 한쪽이 고정 결합하고, 상기 제2 레버축(140)에는 상기 레버(160)의 다른 쪽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축(140)은 상기 외부 사이드판(211)의 제2 레버축구멍(214)과 상기 내부 사이드판(113)의 제2 장공(114) 및 레버(160)의 제1 장홈(163)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슈 가동구(150)는,
    상기 제1 레버축(153)의 한 쪽 끝부분에 브레이크슈(15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브래킷(210)의 어느 한쪽 외부 사이드판(211)은 소정 각도로 아래를 향하도록 꺾어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방연장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KR1020200135503A 2020-10-19 2020-10-19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KR102586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503A KR102586693B1 (ko) 2020-10-19 2020-10-19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503A KR102586693B1 (ko) 2020-10-19 2020-10-19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739A KR20220051739A (ko) 2022-04-26
KR102586693B1 true KR102586693B1 (ko) 2023-10-10

Family

ID=8139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503A KR102586693B1 (ko) 2020-10-19 2020-10-19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6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070Y1 (ko) 2003-07-16 2003-10-04 주식회사 예건 도어스 시스템 전동식 셔터의 낙하 안전장치
KR100695956B1 (ko) 2006-03-22 2007-03-16 주식회사 스페샬화인 브레이크 기능을 겸비한 오버헤드 도어용 상승 가이드
KR102049324B1 (ko) 2018-12-28 2019-11-27 (주)하온아텍 수동 조작 기능을 갖는 공연 무대용 방화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856A (ja) * 1996-03-27 1997-10-14 Sanwa Shutter Corp オーバーヘッドドアの落下制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070Y1 (ko) 2003-07-16 2003-10-04 주식회사 예건 도어스 시스템 전동식 셔터의 낙하 안전장치
KR100695956B1 (ko) 2006-03-22 2007-03-16 주식회사 스페샬화인 브레이크 기능을 겸비한 오버헤드 도어용 상승 가이드
KR102049324B1 (ko) 2018-12-28 2019-11-27 (주)하온아텍 수동 조작 기능을 갖는 공연 무대용 방화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739A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321B2 (en) Base slat retention and motor triggering for rolling protective shutters
US6712116B2 (en) Drive mechanism for use with an overhead shaft of a sectional door
US7533926B2 (en) Roller arm unit for vehicle sliding door
JP6009602B2 (ja) 管理及び防災併用開閉装置
WO1998039542A1 (en) Drop-catch mechanism for vertically movable doors
JPWO2013062060A1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20090314869A1 (en) Drum for counterbalancing system of a cable-operated door
KR102586693B1 (ko)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US6173532B1 (en) Automatic garage door opener
KR102300889B1 (ko)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KR102265278B1 (ko) 승강식 개폐문의 가속 시 비상정지장치
US20040182007A1 (en) Cable failure device for garage doors and the like and door including the same
US20100223850A1 (en) Safety device for entry/exit gates
US20070181270A1 (en) Door System
JP2005232693A (ja) 電動式シャッタの落下防止装置
JP5466090B2 (ja) スライドドア
JP5246837B2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
CA2458157A1 (en) Cable failure device for garage doors and the like, and door including the same
JP5827041B2 (ja) 開閉装置の開閉体停止装置
CZ288881B6 (cs) Pojistka proti pádu zvedacích vrat
JP3584815B2 (ja) 電動昇降装置
EP1892360A1 (en) Spring fracture safety device
CN217681234U (zh) 一种钢丝绳防松机构及采用该防松机构的滑升门
JP5829068B2 (ja) 開閉装置の開閉体停止装置
JP5478402B2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の急降下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