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273B1 -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 Google Patents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273B1
KR102586273B1 KR1020210144709A KR20210144709A KR102586273B1 KR 102586273 B1 KR102586273 B1 KR 102586273B1 KR 1020210144709 A KR1020210144709 A KR 1020210144709A KR 20210144709 A KR20210144709 A KR 20210144709A KR 102586273 B1 KR102586273 B1 KR 102586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eadlining
horizontal
vertical memb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224A (ko
Inventor
조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2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종별로 규격이 상이한 여러 차종의 헤드라이닝에 대한 ES(ENGINEERING STANDARD) 스펙시험을 실시함에 있어, 단일의 마운팅 설비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차종의 헤드라이닝에 대한 스펙시험을 위한 지그의 범용적 활용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를 개시한다.
전술한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는 제1가로부재와 제1세로부재를 각각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배치한 다음, 각 부재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는 사각 프레임, 및 사각 프레임을 상하방향의 위치에서 층상으로 이격되게 배치한 다음, 각 모서리부위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제1가로부재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세로부재, 및 제2세로부재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가로부재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제1세로부재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부재, 및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에 대해 각각 설치되어 헤드라이닝을 장착하는 마운팅 블록을 포함하고, 수직부재는 제1세로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가로부재는 제2세로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JIG FOR TESTING HEADLINING}
본 발명은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종별로 규격이 상이한 여러 차종의 헤드라이닝에 대한 ES(ENGINEERING STANDARD) 스펙시험을 단일의 장비로서 범용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하는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 중 루프패널의 차실내측에 위치한 천장부위에는 내장재의 일종인 헤드라이닝이 설치된다.
이러한 헤드라이닝은 차체측 A, B, C 필러부위와의 정확한 매칭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립핸들과 룸램프 및 선바이저 등의 각종 내장 부품들과의 정확한 장착좌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제작후 특정 지그 상에서 헤드라이닝의 모든 매칭 및 마운팅 부위를 실제 차량의 조건과 동일한 조립한 다음, 헤드라이닝에 대한 ES(ENGINEERING STANDARD) 스펙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개발 차종의 헤드라이닝 사이즈에 알맞은 특정 형태의 지그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다음, 해당 지그 상에서 헤드라이닝에 대한 모든 매칭 및 마운팅 부위가 실차 조건에 부합하는 지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헤드라이닝에 대한 품질 평가시험은 해당 차종별로 규격이 상이한 여러 차종의 헤드라이닝에 대한 시험용 지그를 개별적으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차종에 따라 상이한 규격의 다른 종류의 시험용 지그를 제작할 경우에는 시험의 종료후 지그를 보관하기 위해 많은 점유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 현장에서 공간의 활용성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등록특허 제10-219619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종별로 규격이 상이한 여러 차종의 헤드라이닝에 대한 ES(ENGINEERING STANDARD) 스펙시험을 실시함에 있어, 단일의 마운팅 설비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차종의 헤드라이닝에 대한 스펙시험을 위한 지그의 범용적 활용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로부재와 제1세로부재를 각각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배치한 다음, 각 부재의 양단부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는 사각 프레임, 및 상기 사각 프레임을 상하방향의 위치에서 층상으로 이격되게 배치한 다음, 각 모서리부위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호 대향된 제1가로부재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세로부재, 및 상기 제2세로부재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가로부재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세로부재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에 대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헤드라이닝을 장착하는 마운팅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제1세로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가로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제2세로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1세로부재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제1안내부를 매개로 상기 제1세로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2세로부재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제2가로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가로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제2안내부를 매개로 상기 제2세로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2세로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제1가로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가로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2세로부재 사이의 횡방향 이격거리에 따라 부재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신장 가능하게 변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마운팅 블록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연결부재와 수직부재에 대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A, B, C 필러 지지용 블록, 상기 서브 프레임의 제2세로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핸들 지지용 블록,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제2가로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룸램프 지지용 블록과 선바이저 지지용 블록 및 헤드라이닝 지지용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헤드라이닝 지지용 블록은 헤드라이닝의 전방과 후방 및 좌우 양단부를 포함하는 전 영역에 걸쳐 각각 고르게 분포하여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가로부재와 제1세로부재의 상부에서 헤드라이닝과의 조립을 위해 설치되는 훼스너 장착용 안착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는 단일의 마운팅 설비를 이용하여 차종별로 규격이 다른 여러 차종의 헤드라이닝에 대한 ES(ENGINEERING STANDARD) 스펙시험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지그의 범용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관련 시험용 지그의 제작하고 생산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시험을 완료한 다음 지그를 보관하는 데 필요한 공간을 크게 점유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생산 현장에서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는 단일의 시험용 지그 설비에 대해 여러 차종의 헤드라이닝을 장착하고 관련 시험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정확한 마운팅 지점의 설정을 기반으로 테스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를 이용하여 헤드라이닝을 안착시켜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는 차종별로 규격이 상이한 여러 차종의 헤드라이닝을 단일의 시험용 지그에 대한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은 단일의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1)에 대해 차종별로 규격이 각각 상이한 여러 차종의 헤드라이닝(3)을 공용적으로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험용 지그의 범용적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1)는 도 2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과 서브 프레임(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구성되는 개구형 다면체 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형성하는 사각 프레임은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로부재(12a)와 제1세로부재(12b)를 각각 상호 대향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부재에 대한 양단부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한 쌍의 제1가로부재(12a)와 제1세로부재(12b)에 대한 각 모서리부위를 복수의 연결부재(14)를 이용하여 상하방향에서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한 쌍의 제1가로부재(12a)와 제1세로부재(12b)의 양단부를 수평한 위치에서 결합하는 사각 프레임을 상하방향의 위치에서 층상으로 이격되게 배치한 다음, 상기 연결부재(14)를 이용하여 각 모서리부위를 상하방향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에는 한 쌍의 상기 제1세로부재(12b)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부재(16)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직부재(16)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제1세로부재(12b)에 대해 양단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제1세로부재(12b)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수직부재(16)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16)의 양단부는 상기 제1안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안내부는 상기 제1세로부재(12b)에 있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수직부재(16)의 상하방향 양단부는 각각 홈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제1안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그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1안내부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변형 실시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세로부재(12b)에 대한 상기 수직부재(16)의 양단부는 나사 결합 등의 고정방식을 이용하여 그 위치가 규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 프레임(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있어, 상호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로부재(12a)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세로부재(22b), 및 상기 제2세로부재(22b)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가로부재(2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세로부재(22b)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제1가로부재(12a)에 대해 횡방향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2세로부재(22b)는 상기 제1가로부재(12a)에 대해 고정되는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고, 고정되는 방식은 나사 결합 등의 다양한 체결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가로부재(22a)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제2세로부재(22b)에 대해 양단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제2세로부재(22b)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제2가로부재(22a)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2안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가로부재(22a)의 양단부는 상기 제2안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안내부는 상기 제2세로부재(22b)에 있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가로부재(22a)의 상하방향 양단부는 각각 홈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제2안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그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2안내부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변형 실시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세로부재(22b)에 대한 상기 제2가로부재(22a)의 양단부는 나사 결합 등의 고정방식을 이용하여 그 위치가 규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가로부재(22a)는 상기 한 쌍의 제2세로부재(22b)에 대해 이들 사이의 횡방향 이격거리에 따라 부재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신장 가능하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2가로부재(22a)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지는 각형의 파이프 또는 원형의 파이프를 상호 끼움 조립한 상태에서 삽입되는 거리의 조정을 통해 부재에 대한 전체적인 길이를 상기 한 쌍의 제2가로부재(22a) 사이의 횡방향 이격거리에 맞춰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각각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1)는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서브 프레임(20)에 대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헤드라이닝이 주요 구성부위를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장착용 마운팅 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마운팅 블록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연결부재(14)와 수직부재(16)에 대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A, B, C 필러 지지용 블록(31)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러 지지용 블록(31)은 차체의 A, B, C 필러를 각각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블록은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제2세로부재(22b)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핸들 지지용 블록(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립핸들 지지용 블록(32)은 차실내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좌우측 양단부에 위치하는 그립핸들을 각각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블록은 상기 서브 프레임(20)의 제2가로부재(22a)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룸램프 지지용 블록(33)과 선바이저 지지용 블록(34) 및 헤드라이닝 지지용 블록(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룸램프 지지용 블록(33)과 상기 선바이저 지지용 블록(34)은 각각 차실내에 위치하는 룸램프와 선바이저를 각각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라이닝 지지용 블록(35)은 상기 헤드라이닝(3)의 전방과 후방 및 좌우 양단부를 포함하는 전 영역에 걸쳐 각각 고르게 분포하여 지지하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헤드라이닝 지지용 블록(35)은 상기 헤드라이닝(3)의 전 부위 중에서 상기 시험용 지그(1)의 서브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제2가로부재(22a)와 제2세로부재(22b)에 대해 지지가 필요한 다양한 여러 위치에 걸쳐 복수의 수량으로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1)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제1가로부재(12a)와 제1세로부재(12b)의 상부에서 상기 헤드라이닝(3)과의 조립을 위해 설치되는 훼스너 장착용 안착플레이트(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훼스너 장착용 안착플레이트(40)는 상기 헤드라이닝(3)의 전 부위 중에서 훼스너가 설치될 수 있는 부위를 상기 시험용 지그(1)에 대해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훼스너 장착용 안착플레이트(4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제1가로부재(12a)와 제1세로부재(12b)의 상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는 메인 프레임(10)과 서브 프레임(20), 그리고 메인 프레임(10)의 제1세로부재(12b) 사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부재(16), 및 서브 프레임(20)의 제2세로부재(22b) 사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가로부재(22a)를 갖춘 구조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마운팅 설비를 이용하여 차종별로 규격이 다른 여러 차종의 헤드라이닝에 대한 ES(ENGINEERING STANDARD) 스펙시험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지그의 범용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관련 시험용 지그의 제작하고 생산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시험을 완료한 다음 지그를 보관하는 데 필요한 공간을 크게 점유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생산 현장에서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는 단일의 시험용 지그 설비에 대해 여러 차종의 헤드라이닝을 장착하고 관련 시험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정확한 마운팅 지점의 설정을 기반으로 테스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메인 프레임
12a-제1가로부재 12b-제1세로부재
14-연결부재 16-수직부재
20-서브 프레임
22a-제2가로부재 22b-제2세로부재
31-필러 지지용 블록 32-그립핸들 지지용 블록
33-룸램프 지지용 블록 34-선바이저 지지용 블록
35-헤드라이닝 지지용 블록
40-훼스너 장착용 안착플레이트

Claims (7)

  1.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로부재와 제1세로부재를 각각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배치한 다음, 각 부재의 양단부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는 사각 프레임, 및 상기 사각 프레임을 상하방향의 위치에서 층상으로 이격되게 배치한 다음, 각 모서리부위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호 대향된 제1가로부재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세로부재, 및 상기 제2세로부재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가로부재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세로부재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에 대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헤드라이닝을 장착하는 마운팅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제1세로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가로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제2세로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세로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제1가로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가로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2세로부재 사이의 횡방향 이격거리에 따라 부재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신장 가능하게 변형시키도록 구성되는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세로부재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제1안내부를 매개로 상기 제1세로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세로부재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제2가로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가로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제2안내부를 매개로 상기 제2세로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블록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연결부재와 수직부재에 대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A, B, C 필러 지지용 블록, 상기 서브 프레임의 제2세로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핸들 지지용 블록,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제2가로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룸램프 지지용 블록과 선바이저 지지용 블록 및 헤드라이닝 지지용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헤드라이닝 지지용 블록은 헤드라이닝의 전방과 후방 및 좌우 양단부를 포함하는 전 영역에 걸쳐 각각 고르게 분포하여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가로부재와 제1세로부재의 상부에서 헤드라이닝과의 조립을 위해 설치되는 훼스너 장착용 안착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KR1020210144709A 2021-10-27 2021-10-27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KR102586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709A KR102586273B1 (ko) 2021-10-27 2021-10-27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709A KR102586273B1 (ko) 2021-10-27 2021-10-27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224A KR20230060224A (ko) 2023-05-04
KR102586273B1 true KR102586273B1 (ko) 2023-10-11

Family

ID=8637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709A KR102586273B1 (ko) 2021-10-27 2021-10-27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2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2198A (zh) * 2012-05-26 2012-09-26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顶衬类检具周边检测块挖空结构
CN104308526A (zh) * 2014-08-22 2015-01-28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汽车顶蓬翻转组立治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196B1 (ko) 2018-12-06 2020-12-3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헤드라이닝 안착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2198A (zh) * 2012-05-26 2012-09-26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顶衬类检具周边检测块挖空结构
CN104308526A (zh) * 2014-08-22 2015-01-28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汽车顶蓬翻转组立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224A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21288B (zh) 铁道车辆的内部设备安装结构
CN105564535B (zh) 用于将天窗组件联接到车辆的结构框架的方法
CN106043439B (zh) 用于车辆试验的车架结构
US3694990A (en) Welded box-type structural member
CN103313908A (zh) 车身组装装置
CN216781624U (zh) 一种飞机后机身后上部壁板装配夹具
CN105004609A (zh) 一种复合材料车身预埋件强度试验夹具
KR20130039957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KR102586273B1 (ko) 헤드라이닝 시험용 지그
CN105416314B (zh) 一种有轨电车驾驶室
KR101253595B1 (ko) 판넬 표준 시험용 지그 구조
CN108145630B (zh) 汽车座椅工装
CN108909882B (zh) 一种用于汽车前盖闭合装配的主体框架
CN104588948B (zh) 一种电动轮自卸车前车架组装工装及组装方法
CN202894649U (zh) 汽车车身的焊接夹具
CN107414711B (zh) 一种新型后机身胶接装配夹具
CN105290784B (zh) 模块化的轨道车辆模型车预装工装
JP2000142511A (ja) 自動車内・外装材の検査用治具
US7028379B2 (en) Hood latch assembling device of front end module for vehicle
CN208374585U (zh) 汽车车身侧围夹具
CN208171599U (zh) 碰撞用夹具
CN220363221U (zh) 一种车辆的副仪表骨架及车辆
CN212180268U (zh) 一种后副车架模块试验平台装置
CN211278208U (zh) 一种电动车减震器组装工装
KR101546057B1 (ko) 검사품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