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159B1 -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 - Google Patents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159B1
KR102586159B1 KR1020227024479A KR20227024479A KR102586159B1 KR 102586159 B1 KR102586159 B1 KR 102586159B1 KR 1020227024479 A KR1020227024479 A KR 1020227024479A KR 20227024479 A KR20227024479 A KR 20227024479A KR 102586159 B1 KR102586159 B1 KR 10258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user
app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5806A (ko
Inventor
정재락
이재규
심영택
Original Assignee
정재락
이재규
심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락, 이재규, 심영택 filed Critical 정재락
Publication of KR20220115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4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operating in dual or compartmented mode, i.e. at least one secure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3Multi-level security, e.g. mandatory access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3Clearing memory, e.g. to prevent the data from being stol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은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다양한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잠금 시스템과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는 주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접근 권한이 적은 잠금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넓은 해제 모드로 이동할 경우,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전 상기 결과물을 침투하였을 수 있는 악성 컴퓨터 코드를 삭제함에 따라, 상기 터미널은 보안, 완전성 등을 강화하는 동시에 터미널에 저장된 귀중한 데이터의 분실 또는 공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DATA PROCESSING TERMINALS AND RELATED METHODS IN LOCK, INTERMEDIATE, AND UNLOCK MODES}
본 명세서는 다수의 작업 모드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계층에서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상기 터미널은 상이한 작업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이 적정한 사용자 입력(또는 세부입력)을 수신하면, 터미널은 사용자를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의 “현재 모드”로는 “정전 상태(powered-off state)”(일예로 터미널은 통신이 불가능하며 영상 유닛도 꺼진 상태), “오프 상태(off-state)”(일예로 터미널은 통신이 가능한 “시동 상태(powered-on state)”이나, 영상 유닛은 꺼진 상태), 특정 계층에 의하여 정의된 다수의 모드 중 한 모드(일예로 “시동 상태”이며, 영상 유닛이 켜진 “온 상태(on-state)”인 모드) 등이 있다.
상기 “신규 모드”의 예는 정전 상태, 오프 상태, 온 상태 및 상기 계층이 정의한 다수의 모드 중 하나의 모드 등이다. 또 본 명세서는 상기 터미널의 다양한 유닛,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양한 유닛과 요소는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도록 허락 또는 거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모드 이동을 구현하고 실시하는 상기 유닛, 상기 하드웨어 요소 및 상기 소프트웨어 요소 등의 다양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양한 (작업)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 다양한 모드에서 상기 터미널을 구동하는 다양한 방법,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다양한 방법, 사용자에게 다양한 접근 권한 중 하나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특정 모드에서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상이한 작업 모드를 정의하는 다양한 계층을 구축하는 방법, 특정 계층에 상기 모드들을 배열하는 방법 및 각 모드에 동일한, 유사한, 상이한 또는 비교할 만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다양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특정 모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락(또는 거부)하는 다양한 방법, 사용자가 특정 계층의 하나의 모드로부터 동일한 계층의 다른 모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락(또는 거부)하는 다양한 방법,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하거나 구동할 수 있도록 허락(또는 거부)하는 다양한 방법 및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는 다양한 계층을 구축하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이에 근거하여 본 명세서는 하나 이상의 “주(main) 시스템”은 물론 하나 이상의 “잠금(lock) 시스템” 또는 “중급(intermediate)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아진 보안, 향상된 완전성(integrity), 강화된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해제(unlock) 모드에서 다양한 해제 작업(operation)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는 반면,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주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잠금(lock)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여 얻은 결과물이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격리에 따라, 터미널은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보안, 완전성, 개인 정보 보호에 끼칠 수 있는 악영향에 대한 걱정 없이,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는 상기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주 시스템 및 잠금 시스템의 다양한 유닛,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 등의 다양한 구성, 상기 잠금 또는 중급(또는 주) 시스템을 주(또는 잠금, 중급)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시키는 다양한 방법 및 상기 잠금 또는 중급(또는 주) 시스템을 주(또는 잠금, 중급) 시스템으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시키는 다양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주 시스템과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 사이의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격리를 보장하는 방법 및 사용자가 잠금(또는 중급)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전, 이동 중 또는 이동한 후, 상기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에 잔류하는 잠재적으로 위험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물을 “삭제(erasure)” 또는 “부분삭제(semi-erasure)”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한다.
하술에서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대한 예시적 측면, 실시예와 상세예는 물론 이와 관련된 다양한 방법을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PDA, 웹패드 등의 기존 데이터 처리 기기에 예전보다 훨씬 더 강력한 최상급 프로세서는 물론 대용량 메모리가 장착됨에 따라, 사용자는 이에 더욱 의존하며 중독되고 있다. 또한 기존 데이터 처리 기기는 통화 기능을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기존 전화기는 물론 데스크톱 컴퓨터, 랩탑 컴퓨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 기기로 대체하고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처리 기기가 제공하는 각종 편리함을 누리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기기에 자신의 소중한, 개인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상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무선 통화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해커들이 겉보기에 안전해 보이는 웹 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약칭하여 “앱”)이나 컨텐츠에 악성 바이러스를 심고, 악성 바이러스가 부주의한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 기기의 주 시스템을 침투하기를 바란다. 악성 바이러스가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 기기에 침투하면, 해커는 사용자의 기기로부터 귀중한 개인 데이터 또는 금융 데이터를 도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험을 인지하지 못한 채 사용자가 악성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자신의 데이터 처리 기기에 다운로드할 때마다, 사용자는 상기 기기의 주 시스템에 저장한 자신의 귀중한 금융 데이터를 타인에게 노출하거나 상실할 수 있고, 개인적 데이터나 공개를 원하지 않는 데이터도 실수로 노출할 수 있으며, 상기 기기 역시 오작동하게 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이러한 피해는 악성 바이러스가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 기기의 주 시스템에 침입하는 경우 발생한다. 심지어 어떤 해커는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 기기에 랜섬웨어(ransomware)를 심고 사용자가 해커에게 보상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자신의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해할 수도 있다.
보수적 또는 조심성 많은 데이터 처리 기기 사용자도 이러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낯선 웹사이트에 접속해야 하거나 상기 웹사이트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다운로드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상기 웹사이트를 접속하지 않거나, 상기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지 않는 방법이다. 하지만 다른 방법이 없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급한 상황에 처한 경우, 사용자는 낯선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보안 상의 문제로 인하여 보수적 또는 조심성 많은 사용자는 데이터 처리 기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없게 된다. 일예로 사용자가 새로운 웹사이트에서 매력적인 컨텐츠를 발견하더라도, 사용자는 해커가 자신의 기기에 저장된 귀중한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다는 위협 때문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지 않게 된다.
데이터 처리 기기의 사용자는 자신의 기기의 주 시스템을 보호해야 할 다른 이유들이 있다. 우선 상기 주 시스템(일예로 주 메모리 유닛)은 사용자가 타인에게 공개하기 싫거나 타인과 공유하기 싫은 최상급 개인적 데이터를 저장한다. 물론 사용자는 기존의 인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신의 개인적 데이터의 공개를 막을 수도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자신이 주 시스템의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해 놓은 정보가 노출되는 위험이 있더라도 공개된 환경에서 자신의 데이터 처리 기기를 사용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기존의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에 악성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악성 바이러스는 기존 백신 프로그램을 피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설령 사용자가 자신이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에 악성 바이러스가 포함되었음을 확인해도, 이의 대응책을 실행하기에는 늦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왜냐하면 이때는 악성 바이러스가 이미 사용자 데이터 처리 기기의 주 시스템에 성공적으로 침투한 후이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데이터 처리 기기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어떤 고도의 보안 방법이 개발되고 상기 기기에 장착되더라도, 해커 역시 이를 효과적으로 무력화할 수 있는 새로운 기구나 고도의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마련이다. 사실 데이터 처리 기기가 디지털 영역에서 작동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해커 역시 시간만 충분히 주어진다면 어떤 보안 방법이라도 따라잡을 수 있음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 처리 기기에 저장한 데이터를 보호하는 최선 또는 최적의 방법으로는 의심스러운 웹사이트에 접속하지 않거나, 어떤 악성 어플리케이션, 컨텐츠도 다운로드하지 않는 방법 등이다. 물론 이러한 방법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바, 어떤 웹사이트가 악성인지, 어떤 컨텐츠가 악성 바이러스를 포함하고 있는 지 미리 알 수 있는 확실한 프로토콜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과 같이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높아진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강화된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단 높아진 보안, 향상된 완전성, 강화된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편리함을 희생해도 안 된다. 특히 사용자가 많은 시간을 소모할 필요 없이,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많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필요 없이 높아진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강화된 개인 정보 보호가 보장되면서도 이음새 없이 다양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을 경우, 사용자는 편리하다고 느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높아진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강화된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음새 없는” 작업의 편리성을 유지 또는 향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터미널은 최소 “네 가지 특성”을 이용하여 “이음새 없는 특성”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킨다. 상기 네 가지 특성은 서로 독립적이거나 서로 의존할 수도 있으며, 상기 네 가지 특성은 [1] 터미널의 구성 상의 특징,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징에 근거하거나, 또는 [2]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의 특징에 근거할 수 있다.
상기 네 가지 특성의 “첫 번째 특성”은 사용자의 작업 실행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모드”를 정의한다는 점이며, 사용자는 각각의 모드에서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처리할 경우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지만, 의심스러운 데이터를 처리할 경우 이와는 다른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네 가지 특성 중 “두 번째 특성”은 주(또는 잠금) 시스템을 잠금(또는 주)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시킨다는 점이다.
상기 네 가지 특성 중 “세 번째 특성”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으로서,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여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이 상기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영향을 주기 전, 상기 결과물의 전체(또는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하술의 다양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네 가지 특성 중 마지막 “네 번째 특성”은 터미널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이며, 이에 따라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하려는 사용자는 기존의 방법대로 터미널의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하술에서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다양한 목적, 이점, 혜택 및 상기 터미널을 제작,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하술에서는 우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문구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은, 잠금 모드에서 구동되며 앱이 장착되어 있는 잠금 시스템, 해제 모드에서 구동되는 주 시스템 및 오프 상태에서는 꺼지고 온 상태에서는 켜지는 영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 모드에서는 사용자에게 제1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해제 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권한보다는 넓은 제2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온 상태 및 상기 오프 상태에서 상기 앱은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앱 유지 단계; 상기 터미널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앱 구동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오프 상태에서 제공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온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잠금 화면에 상기 앱을 표시하는 앱 표시 단계;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앱을 이용하여 외부 소스에 접근하는 접근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단계; 상기 접근 작업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부 소스와 관련된 결과물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결과물이 상기 주 시스템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상기 잠금 시스템을 상기 주 시스템으로부터 격리하는 격리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제공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는 이동 단계; 및 상기 모드 이동 작업 실행 이전의 시점, 상기 모드 이동 작업과 동시의 시점 및 상기 모드 이동 작업 이후의 시점 중 하나인 삭제 시점에 상기 터미널이 상기 결과물의 제1 부분을 삭제하는 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삭제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중 하나에서 상기 잠금 시스템에 상기 앱을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중 하나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앱을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하도록 하는 단계; 중 하나를 다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앱 유지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의 전원이 꺼진 정전 상태에서도 상기 앱이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유지 단계에서, 상기 잠금 시스템의 최소 일부분이 악성 프로그램, 악성 코드 및 악성 바이러스 중 하나에 의하여 오염된 경우, 상기 터미널 및 상기 사용자 중 하나는 상기 잠금 앱을 상기 잠금 시스템으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잠금 시스템에 상기 잠금 앱을 다시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앱 표시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영상 유닛에 상기 앱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 단계에서, 상기 외부 소스는 탈착 기기, 휴대용 기기, 타터미널, 웹사이트 및 클라우드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결과물은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파일, 폴더, 앱 및 인터넷 주소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결과물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에서 방문한 웹사이트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처리한 데이터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다운로드한 데이터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선택한 웹사이트 주소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실행한 작업 리스트, 및 상기 잠금 모드에서 저장한 데이터 리스트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접근 작업은, 상기 앱이 파일 뷰어 앱, 이미지 뷰어 앱, 통신망 앱, 사물 인터넷 망 앱, 웹 브라우저 앱, 광고 뷰어 앱, 메신저 앱 및 이메일 앱 중 하나이고, 상기 앱이 접근한 데이터, 파일 및 컨텐츠 중 하나를 열기 및 다운로드 하기 중 하나의 작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리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주 시스템을 상기 결과물로부터 물리적 격리 및 작업 실행 상의 격리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격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 단계에서, 상기 인증 작업은 지문 인증 작업, 안면 인증 작업, 손 인증 작업, 손바닥 인증 작업, 홍채 인증 작업, 망막 인증 작업, 음성 인증 작업, 및 혈관 패턴 인증 작업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모드에 머무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시스템, 상기 주 시스템 및 상기 잠금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앱 중 하나가 상기 삭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 중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삭제 시점은 상기 인증 작업 실행과 동시의 시점, 상기 인증 작업 실행 이후의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켜는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미널의 전원을 끄는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미널의 전원을 끈 후 다시 켜는 시점 증 하나의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제2 부분을 데이터 버퍼, 캐쉬, 클립보드 및 리사이클 빈 중 하나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제2 부분을 상기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은, 영상 유닛, 잠금 시스템 및 주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 유닛은 오프 상태에서는 꺼지고 온 상태에서는 켜지고,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구동되고, 상기 잠금 시스템에는 잠금 앱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잠금 시스템은 상기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잠금 화면에는 상기 잠금 앱이 표시되고, 상기 주 시스템은 해제 모드에서 구동되고, 상기 주 시스템에는 주 앱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주 시스템은 상기 영상 유닛에 홈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홈 화면에는 상기 주 엡이 표시되고, 상기 잠금 모드에서는 사용자에게 제1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해제 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권한보다는 넓은 제2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터미널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모드에서는 상기 잠금 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해제 모드에서는 상기 해제 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 부여 단계; 상기 터미널이 상기 영상 유닛에 상기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잠금 화면 표시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오프 상태에서 제공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영상 유닛에 상기 잠금 화면 및 상기 홈 화면을 함께 표시하는 다수 화면 표시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사용자가 상기 잠금 앱을 이용하여 상기 잠금 모드에서 외부 소스에 접근하는 접근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앱 구동 단계; 상기 접근 작업의 실행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부 소스와 관련된 결과물을 생성하는 결과물 생성 단계;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결과물이 상기 주 시스템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상기 잠금 시스템을 상기 주 시스템으로부터 격리하는 격리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해제 모드로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해제 모드에서 상기 주 엡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이동 단계; 및 상기 모드 이동 단계 이전의 시점, 상기 모드 이동 단계와 동시의 시점 및 상기 모드 이동 단계 이후의 시점 중 하나인 삭제 시점에 상기 터미널이 상기 결과물의 제1 부분을 삭제하는 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삭제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중 하나에서 상기 잠금 시스템에 상기 잠금 앱을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중 하나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앱을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하도록 하는 단계; 중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 상태 및 상기 오프 상태에서도 상기 잠금 앱이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의 전원이 꺼진 정전 상태에서도 상기 잠금 앱이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시스템의 최소 일부분이 악성 프로그램, 악성 코드 및 악성 바이러스 중 하나에 의하여 오염된 경우, 상기 터미널 및 상기 사용자 중 하나는 상기 잠금 앱을 상기 잠금 시스템으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잠금 시스템에 상기 잠금 앱을 다시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화면에 상기 잠금 앱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홈 화면에 상기 주 앱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앱 구동 단계에서, 상기 외부 소스는 탈착 기기, 휴대용 기기, 타터미널, 웹사이트 및 클라우드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과물 생성 단계에서, 상기 결과물은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파일, 폴더, 앱 및 인터넷 주소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물 생성 단계에서, 상기 결과물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에서 방문한 웹사이트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처리한 데이터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다운로드한 데이터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선택한 웹사이트 주소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실행한 작업 리스트, 및 상기 잠금 모드에서 저장한 데이터 리스트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과물 생성 단계에서, 상기 외부 소스 접근 작업은, 상기 앱이 파일 뷰어 앱, 이미지 뷰어 앱, 통신망 앱, 사물 인터넷 망 앱, 웹 브라우저 앱, 광고 뷰어 앱, 메신저 앱 및 이메일 앱 중 하나이고, 상기 결과물은 상기 앱이 접근한 데이터, 파일 및 컨텐츠 중 하나를 열기 및 다운로드 하기 중 하나의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단계에서, 상기 인증 작업은 지문 인증 작업, 안면 인증 작업, 손 인증 작업, 손바닥 인증 작업, 홍채 인증 작업, 망막 인증 작업, 음성 인증 작업, 및 혈관 패턴 인증 작업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영상 유닛에 상기 홈 화면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시스템, 상기 주 시스템 및 상기 잠금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앱 중 하나가 상기 삭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 중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삭제 시점은 상기 인증 작업 실행과 동시의 시점, 상기 인증 작업 실행 이후의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켜는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미널의 전원을 끄는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미널의 전원을 끈 후 다시 켜는 시점 증 하나의 시점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제2 부분을 데이터 버퍼, 캐쉬, 클립보드 및 리사이클 빈 중 하나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제2 부분을 상기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은, 잠금 모드에서 구동되며 앱이 장착되어 있는 잠금 시스템, 해제 모드에서 구동되는 주 시스템 및 오프 상태에서는 꺼지고 온 상태에서는 켜지는 영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 모드에서는 사용자에게 제1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해제 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권한보다는 넓은 제2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온 상태 및 상기 오프 상태에서 상기 앱은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앱 유지 단계; 상기 터미널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앱 구동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오프 상태에서 제공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온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잠금 화면에 상기 앱을 표시하는 앱 표시 단계;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앱을 이용하여 외부 소스에 접근하는 접근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단계; 상기 접근 작업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부 소스와 관련된 결과물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결과물이 상기 주 시스템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상기 잠금 시스템을 상기 주 시스템으로부터 격리하는 격리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온 상태에서 제공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는 이동 단계; 및 상기 모드 이동 작업 실행 이전의 시점, 상기 모드 이동 작업과 동시의 시점 및 상기 모드 이동 작업 이후의 시점 중 하나인 삭제 시점에 상기 터미널이 상기 결과물의 제1 부분을 삭제하는 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삭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높아진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강화된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음새 없는” 작업의 편리성을 유지 또는 향상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터미널은 최소 “네 가지 특성”을 이용하여 “이음새 없는 특성”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다양한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잠금 시스템과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는 주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접근 권한이 적은 잠금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넓은 해제 모드로 이동할 경우,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이 같이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전 상기 결과물에 침투하였을 수 있는 악성 컴퓨터 코드를 삭제함에 따라, 상기 터미널은 보안, 완전성 등을 강화하는 동시에 터미널에 저장된 귀중한 데이터의 분실 또는 공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은 잠금(lock)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여 얻은 결과물이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격리에 따라, 터미널은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보안, 완전성, 개인 정보 보호에 끼칠 수 있는 악영향에 대한 걱정 없이,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1a는 다양한 계층에서 정의된 작업 모드를 접근 권한 직선을 이용하여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1b의 패널(A) 내지 패널(D)는 다양한 계층이 정의하는 작업 모드들을 다양한 원으로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1c의 패널(A) 내지 패널(D)는 중첩 접근 권한, 일부 중첩 접근 권한 및 비중첩 접근 권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1d의 패널(A) 내지 패널(D)는 중첩 접근 권한, 일부 중첩 접근 권한 및 비중첩 접근 권한에 대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2의 패널(A) 및 패널(B)는 다양한 계층이 접근 권한 직선 상에 정의하는 모드에 대한 블록선도이다.
도2의 패널(C) 및 패널(D)는 다양한 계층이 접근 권한 직선 상에 정의하는 모드에 대한 다른 블록선도이다.
도2의 패널(E) 및 패널(F)는 다양한 계층이 접근 권한 직선 상에 정의하는 모드에 대한 또 다른 블록선도이다.
도2의 패널(G) 및 패널(H)는 다양한 계층이 접근 권한 직선 상에 정의하는 모드에 대한 또 다른 블록선도이다.
도3은 동시에 실행되는 작업이나 스텝을 터미널의 프로세서의 클럭 주기를 따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4는 동시에 실행되는 작업이나 스텝을 사용자 입력의 특성을 감안하여 터미널의 프로세서의 클럭 주기에 따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5a는 잠금 뷰어를 포함하는 제1 구성에 따르는 예시적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블록선도이다.
도5b는 도5a에 예시한 주 시스템에 대한 간략화된 블록선도이다.
도5c는 도5a와 도5b에서 예시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예시적 잠금 시스템에 대한 블록선도이다.
도6a 및 도6b는 예시적 경로 특정 계층의 도식적 도표이다.
도7a 내지 도7d는 하드 버튼 또는 하드웨어 요소 형태로 제작되어 터미널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된 예시적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7e 및 도7f는 소프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로 제작되어 터미널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된 예시적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8a 내지 도8e는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로서 터미널의 다양한 부분에 장착된 예시적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9a 내지 도9d는 통지 신호를 생성하는 다양한 통지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10a 및 도10b는 본 명세서의 제2 구성에 따르는 예시적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블록선도이다.
도11은 내장형 구성을 가진 본 명세서의 제3 예시적 측면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블록선도이다.
도12는 본 명세서의 제4 구성인 혼합적 구성의 예시적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블록선도이다.
도13의 패널 (A) 내지 도13의 패널 (D)는 이음새 없는 작업 실행 순서에 따라 구동하는 예시적 터미널의 상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작업 모드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계층에서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상기 터미널은 상이한 작업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이 적정한 사용자 입력(또는 세부입력)을 수신하면, 터미널은 사용자를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의 “현재 모드”로는 “정전 상태(powered-off state)”(즉 터미널은 통신이 불가능하며 영상 유닛도 꺼진 상태), “오프 상태(off-state)”(일예로 터미널은 통신이 가능한 “시동 상태(powered-on state)”이나, 영상 유닛은 꺼진 상태), 특정 계층에 의하여 정의된 다수의 모드 중 한 모드(일예로 “시동 상태”이며, 영상 유닛이 켜진 “온 상태(on-state)”인 모드) 등이 있다.
상기 “신규 모드”의 예는 정전 상태, 오프 상태, 온 상태 및 상기 계층이 정의한 다수의 모드 중 하나의 모드 등이다. 또 본 명세서는 상기 터미널의 다양한 유닛,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양한 유닛과 요소는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도록 허락 또는 거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모드 이동을 구현하고 실시하는 상기 유닛, 상기 하드웨어 요소 및 상기 소프트웨어 요소 등의 다양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양한 (작업)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 다양한 모드에서 상기 터미널을 구동하는 다양한 방법,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다양한 방법, 사용자에게 다양한 접근 권한 중 하나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특정 모드에서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상이한 작업 모드를 정의하는 다양한 계층을 구축하는 방법, 특정 계층에 상기 모드들을 배열하는 방법 및 각 모드에 동일한, 유사한, 상이한 또는 비교할 만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다양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특정 모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락(또는 거부)하는 다양한 방법, 사용자가 특정 계층의 하나의 모드로부터 동일한 계층의 다른 모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락(또는 거부)하는 다양한 방법,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하거나 구동할 수 있도록 허락(또는 거부)하는 다양한 방법 및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는 다양한 계층을 구축하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하술에서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다양한 목적, 이점, 혜택 및 상기 터미널을 제작,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하술에서는 우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문구를 정의한다.
본 명세서는 하나 이상의 “주(main) 시스템”은 물론 하나 이상의 “잠금(lock) 시스템” 또는 “중급(intermediate)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아진 보안, 향상된 완전성(integrity), 강화된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해제(unlock) 모드에서 다양한 해제 작업(operation)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는 반면,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주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잠금(lock)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여 얻은 결과물이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격리에 따라, 터미널은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보안, 완전성, 개인 정보 보호에 끼칠 수 있는 악영향에 대한 걱정 없이,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는 상기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주 시스템 및 잠금 시스템의 다양한 유닛,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 등의 다양한 구성, 상기 잠금 또는 중급(또는 주) 시스템을 주(또는 잠금, 중급)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시키는 다양한 방법 및 상기 잠금 또는 중급(또는 주) 시스템을 주(또는 잠금, 중급) 시스템으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시키는 다양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주 시스템과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 사이의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격리를 보장하는 방법 및 사용자가 잠금(또는 중급)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전, 이동 중 또는 이동한 후, 상기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에 잔류하는 잠재적으로 위험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물을 “삭제(erasure)” 또는 “부분삭제(semi-erasure)”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한다.
하술에서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대한 예시적 측면, 실시예와 상세예는 물론 이와 관련된 다양한 방법을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1. 정의
상술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수의 상이한, 유사한 또는 동일한 작업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고, 터미널은 상기 모드 각각에 상이한, 유사한 또는 동일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강화된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강화된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하며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 및 “]” 사이에 숫자들이 표기되면, 즉 [1] 또는 [2]는, 이들이 서로의 대안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기의 예는 [1] 접시, [2] 컵 등이다”는 표현은 상기 기기는 접시이거나, 컵이거나 또는 이들의 균등물임을 의미한다.
1-1.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와 다수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한다. 터미널이 작업 실행 상 또는 보안 상의 이유로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사용자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구동하지 못하거나 또는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요소를 “접근 불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접근 불가능 요소의 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무선 송신기, 무선 수신기, 펌웨어(firmware), 커넬(kernel) 등이다. 또한 사용자 접근이 가능한 사용자 공간(user space)에 저장되는 대신 터미널의 보호 구역인 커넬 공간(kernel space)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요소도 접근 불가능 소프트웨어 요소에 속한다.
하지만 터미널 제조사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여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직접 구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를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라고 지칭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입력 유닛, 메모리 유닛,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이후 “앱”으로 지칭), 운영체계(O/S) 등과 같이 사용자가 구동하여 다양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요소가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접근 가능 소프트웨어 요소의 예이다.
또한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텍스트 기반(text-based) 인터페이스 또는 기타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조작함으로써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도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접근 가능 소프트웨어 요소의 예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 처리 터미널이 특정 작업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특정 접근 권한을 부여할 경우, 사용자는 [1]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와 소프트웨어 요소에 접근할 수 있거나, 또는 [2]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모두가 아닌 일부에만 접근할 수 있다. 앞의 [1] 또는 [2]의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3] 특정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전체 부위”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4] 특정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제한된 부위”만 구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앞의 [4]의 경우, 사용자는 특정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제한된 정도”로만 구동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요소의 전체가 아닌 제한된 부위만 구동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요소를 모든 사용 가능한 옵션이 아니라 제한된 옵션만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적정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그 후 터미널이 신규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부여한 접근 권한에 근거하여, 터미널은 사용자가 [1] 하나 이상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접근하도록 허락하거나, [2] 상기 요소를 구동하도록 허락하거나, [3] 상기 요소를 구동함으로써 특정 작업을 실행하도록 허락하거나, 또는 [4] 상기 요소를 구동함으로써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허락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5] 터미널이 사용자 입력을 인증하지 않을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5-1] 사용자는 현재 모드에 머물거나, [5-2] 터미널은 오프 상태 또는 정전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앞의 [5-1]의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구동 가능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는 계속 구동하도록 하지만, 신규 상태에서만 구동 가능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는 여전히 구동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
터미널이 특정 모드에서 특정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 또는 “구동”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상기 모드에서 접근 불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는 접근, 구동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터미널 또는 사용자가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하거나 구동할 수 있다고 표현할 경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는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접근 가능 소프트웨어 요소인 것으로 한다.
또한 특정 “요소를 구동하다”라는 문구는 “하나 이상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다”라는 문구와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특정 “요소를 구동하다”라는 문구는 “하나 이상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를 구동하다” 또는 “하나 이상의 접근 가능 소프트웨어 요소를 실행하다”를 통칭하는 것으로 한다.
1-2. 주 시스템 및 잠금 시스템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과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중급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구동하는 사용자에게 최대(또는 최다) 접근 권한을 부여하지만,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는 사용자에게는 최소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중급 모드에서 중급 시스템을 구동하는 사용자에게 중급 접근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중급 접근 권한은 주 시스템에 부여된 접근 권한보다는 적지만 잠금 시스템에 부여된 접근 권한보다는 넓다.
본 명세서에서 “주 시스템”이란 터미널이 구축한 계층이 실제로 정의한 해제 (작업) 모드에서 사용자가 터미널을 사용하기 위하여 구동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주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사용자가 하술의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주 시스템은 특정 계층에서 가장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시스템이다. 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하나 이상의 접근 가능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한다.
터미널은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구동할 때 가장 넓은(또는 최대) 접근 권한을 부여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 시스템의 가장 많은 (또는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거나, 주 시스템의 가장 많은 (또는 모든) 접근 가능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명세서에서는 “주 시스템”을 “해제 시스템”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주 시스템 또는 해제 시스템은 터미널이 구축한 특정 계층이 정의한, 그리고 터미널이 동일한 계층에서 최대 접근 권한을 부여한 해제 모드에서 작동한다.
반면 “잠금 시스템”이란 계층이 실제로 정의한 잠금 (작업) 모드에서 사용자가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사용하기 위하여 구동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잠금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터미널을 하술의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에 해당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잠금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잠금 모드가 정의되어 있는 계층이 가장 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시스템이다.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어떤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도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에게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도 또는 부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잠금 시스템은 다양한 보안, 완전성, 개인 정보 보호 등의 이유로 주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물리적 격리”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격리”를 통칭하여 “격리”로 약칭할 수 있다.
따라서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사용하면, 터미널은 상기 격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주 시스템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주 시스템의 어떤 접근 가능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도 접근, 구동할 수 없게 된다.
잠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어떤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도 구동할 수 없으므로,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접근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의 상기 요소를 접근 또는 구동하며,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해서는 가장 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다.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는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주 시스템에 대한 최소한의 접근 권한만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는 동안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중 최소 요소만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터미널이 잠금 모드에서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사용(일예로 접근, 구동 등)할 수 있도록 허락하더라도, 터미널은 [1] 사용자가 어떤 결과도 주 시스템에 저장하지 못하게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금지하거나, 또는 [2] 상기 격리를 통하여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어떤 요소도 변경하지 못하도록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금지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주 시스템이 잠금 시스템에 의하여 악영향을 받거나 기능이 저하되자 않도록 방지(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중 최소한의 요소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잠금 시스템은 [1]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2] 어떤 접근 가능 요소도 포함하지 않은 채, 주 시스템이 잠금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일부(전부는 아닌) 접근 권한만 가진다고 간주할 수 있다.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주 시스템에 대한 모든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 시스템의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1] 사용자 또는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에 어떤 결과도 저장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2] 상기 격리를 통하여 사용자나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의 요소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주 시스템을 저하시키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며 주 시스템의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으므로, 잠금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어떤 요소도 포함하지 않은 채 주 시스템이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기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과 유사하거나 (상당히)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1-3. 접근 권한
본 명세서에서 “접근 권한”이란 특정 모드에서 특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에게 터미널이 부여하는 권한을 의미한다. 특히 “접근 권한”이란 터미널이 사용자에게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중 특정 수효의 요소만 접근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권한을 의미한다. 일예로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모든(또는 일부) 접근 가능 요소를 접근할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거나, 또는 어떤 권한도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터미널이 사용자에게 주 시스템의 특정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접근할 권리를 부여하면, 사용자는 [1] 상기 요소를 “구동”할 수 있거나, [2] 상기 요소를 구동하여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3] 상기 작업을 실행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접근 권한의 성격에 근거하여, 사용자는 [1]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구동하여 주 시스템의 특정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보유하거나, 또는 [2]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구동하여 주 시스템의 특정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보유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잠금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접근 권한은 [1]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구동하여 잠금 시스템의 상기 요소를 접근할 수 있는 권한, 또는 [2]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구동하여 잠금 시스템의 상기 요소를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지칭한다.
따라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이상, 본 명세서의 “접근 권한”이란 [1]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의 구동 중 또는 사용자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의 구동 중,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할 수 있거나, [2] 상기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의 구동 중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거나, [3) 상기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을 구동 중 상기 요소를 구동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4] 상기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여 상기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잠금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언급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접근 권한은 [1] 사용자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구동하는 중 또는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구동하는 중, 잠금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접근 가능 잠금 요소를 접근할 수 있거나, [2] 상기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는 중 상기 요소를 구동할 수 있거나, [3] 상기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을 구동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4] 상기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는 중 상기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의미한다.
1-4. (작업) 모드 및 접근 권한
본 명세서에서 “(작업) 모드” 또는 간단히 “모드”란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작업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모드에서 사용자는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 중 특정 수효의 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가 입력 유닛에 제공한 적정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1] 정전 상태(즉 파워가 꺼진 상태로서 통신이 불가능하며, 영상 유닛도 꺼져 있는 상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거나, [2] 오프 상태(파워가 켜진 상태로 통신이 가능하지만, 영상 유닛은 꺼진 상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거나, [3] 온 상태(파워가 켜진 상태로 통신이 가능하며, 영상 유닛도 켜져 있는 상태)인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거나, [4] 온 상태인 현재 모드로부터 오프 상태로 이동하거나, 또는 [5] 온 상태인 현재 모드로부터 정전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 상 “(작업) 모드 스위치”나 “모드 스위칭”은 앞의 [1]~[5] 중 하나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터미널은 잠금 모드나 하술의 최고 제한적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어떤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도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해제 모드나 하술의 최고 비제한적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프 상태”는 “비활동 상태”라고 지칭하는 반면, “온 상태”는 “활동 상태”라고 지칭한다. 특히 상기 비활동 상태나 활동 상태는 모두 터미널의 파워가 완전히 꺼져 있지 않으며,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의 파워가 꺼져 있고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상기 상태는 “정전 상태”라 지칭한다. 물론 상기 정전 상태에서는 터미널의 영상 유닛은 꺼져 있다.
사용자가 터미널의 특정 접근 가능한 하드웨어 요소를 구동할 경우, 사용자는 [1] 상기 요소의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또는 자성적 “부위”를 구동할 수 있거나, 또는 [2] 상기 요소의 모는 “부위”가 아닌 특정 수효의 “부위”만 구동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미널의 특정 접근 가능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경우, 사용자는 [1] 상기 요소의 모든 “옵션들”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2] 상기 요소의 모든 “옵션”이 아닌 특정 수효의 “옵션”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한적 (작업) 모드” 또는 간략히 “제한적 모드”란 터미널이 주 시스템에 포함된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들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모두 구동하지는 못하도록 하는 작업 모드를 통칭한다. 따라서 상기 “제한적 모드”는 주 시스템의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와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보다는 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다양한 작업 모드를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더 제한적 (작업) 모드” 또는 간략히 “더 제한적 모드”란 사용자가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모두는 구동할 수 없는 작업 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상술의 “제한적 모드”보다 더 적은 수효의 요소만을 구동할 수 있는 모드를 지칭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제한적 모드”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더 제한적 모드”는 “덜 비제한적 모드”라고 불릴 수도 있다. 또 “비제한적 모드”와 비교하였을 경우, “더 제한적 모드”는 다양한 “제한적 모드”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최고 제한적 (작업) 모드” 또는 간략히 “최고 제한적 모드”란 계층이 정의한 다양한 제한적 모드에 비해 사용자가 더 적은 수효(또는 “0”)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작업 모드를 지칭한다. 따라서 “제한적 모드”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최고 제한적 모드”는 “최하 비제한적 모드”로 불릴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최고 제한적 모드의 경우, 사용자는 접근 가능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중 어떤 요소도 구동하지 못할 수 있다. 또 “비제한적 작업 모드”와 비교하였을 경우, “최고 제한적 모드”도 다양한 “제한적 모드”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제한적 (작업) 모드” 또는 간략히 “비제한적 모드”란 사용자가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지 못하는 다른 작업 모드이나, 제한적 모드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사용자는 더 많은 수효의 접근 가능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는 모드를 지칭한다. 즉 “비제한적 모드”란 주 시스템의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보다는 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다양한 모드이지만, 어느 제한적 모드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를 지칭한다.
또한 “더 비제한적 (작업) 모드” 또는 간략히 “더 비제한적 모드”란 시용자가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지는 못하지만, 상기 제한적 모드는 물론 상기 비제한적 모드에 비하여 더 많은 수효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모드를 지칭한다. 따라서 “더 비제한적 모드”는 상기 제한적 모드 또는 비제한적 모드와 비교하였을 때 “덜 제한적 (작업) 모드”라 불릴 수도 있다. 상기 “더 비제한적 모드”도 다양한 비제한적 모드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최고 비제한적 (작업) 모드” 또는 간략히 “최고 비제한적 모드”란 상술의 기준 모드 및 기타 다른 모드와 비교하였을 때, 사용자가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 중 가장 많은 수효의(또는 모든)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작업 모드를 지칭한다. 따라서 “최고 비제한적 모드”는 특정 계층의 기준 모드 또는 기타 모드와 비교하였을 때 “최하 제한적 모드”라 불릴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상기 모드에서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최고 비제한적 모드” 역시 다양한 비제한적 모드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최고 제한적 모드, 더 제한적 모드, 제한적 모드, 비제한적 모드, 더 비제한적 모드, 또는 최고 비제한적 모드는 모두 상대적 관점에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드들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근 권한이 증가하도록 정의한 “접근 권한 직선(line of access authority)”에 표시할 경우, 최고 제한적 모드는 상기 직선의 좌측단에 위치하고, 최고 비제한적 모드는 상기 직선의 우측단에 위치하며, 더 제한적 모드 내지 더 비제한적 모드는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좌측단 및 우측단 사이에 위치한다.
[도1a]는 다양한 계층이 정의하는 작업 모드의 예시도이다. 특히 [도1a]에서는 상술의 다양한 제한적 모드 및 비제한적 모드를 접근 권한 직선 상에 예시하였으며,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의 범위 또는 폭은 접근 권한 직선에서의 상기 모드의 위치로 예시하였다. [도1a]의 패널 (A)~(D)에서 예시한 각 계층에서, 터미널은 제1 모드(MD₁) 및 제2 모드(MD₂)를 정의하고, 또한 MD₁ 또는 MD₂에서 구동된다. 터미널은 접근 권한 직선 좌측에 위치한 MD₂의 사용자보다 접근 권한 직선 우측에 위치한 MD₁의 사용자에게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도1a]에서와 같이, 터미널은 접근 권한 직선 상에 무한히 많은 수효의 상이한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은 MD₁ 및 MD₂, 단 두 개의 모드만을 “실제로” 정의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가 [1] 오프 상태에서 MD₁이나 MD₂로 이동하거나, 또는 [2] MD₁와 MD₂ 중 한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터미널은 접근 권한 직선 상에 수백 개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모드를 정의할 수 있지만, “실제로” 두 개의 모드만 정의한 경우이다.
[도1a]의 패널 (A)의 터미널은 MD₁ 및 MD₂에서 작동하며, 적정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두 모드 중 한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 패널 (A)의 터미널은 상기 접근 권한 직선(터미널이 실제로 작동하는 “계층”에 해당)의 우측단에 MD₁을 “실제로” 정의한다. 따라서 MD₁은 상기 계층의 최고 비제한적 (또는 최하 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터미널은 접근 권한 직선(또는 계층)의 좌측단에 MD₂를 “실제로” 정의하며, 따라서 MD₂는 상기 계층의 최고 제한적 모드(또는 최하 비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터미널이 MD₂보다 MD₁에서 사용자에게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므로, 사용자는 MD₂보다 MD₁에서 더 많은 수효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도1a]의 패널 (B)의 터미널은 MD₁과 MD₂를 정의하며, 패널 (A)와 마찬가지로 MD₂를 접근 권한 직선의 좌측단에 정의한다. 따라서 MD₂는 계층의 최고 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비록 터미널이 MD₁을 동일한 접근 권한 직선에서 MD₂의 우측에 정의하지만, MD₁은 상기 직선의 우측단에 위치하는 대신 그 좌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MD₁을 상기 계층의 최고 비제한적 모드로 정의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최고 비제한적 모드와 비교하면, MD₁의 사용자는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없다. 대신 터미널은 MD₁의 사용자에게 MD₂에 부여한 접근 권한보다는 많은 권한을, 하지만 최고 비제한적 모드에 부여한 접근 권한보다는 적은 접근 권한만을 부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MD₁은 최고 비제한적 모드가 아니라 더 비제한적 모드로 간주할 수 있다.
[도1a]의 패널 (C)의 터미널은 MD₁과 MD₂를 정의하되, 패널 (A)와 마찬가지로 MD₁을 접근 권한 직선의 우측단에 정의한다. 따라서 MD₁은 상기 계층의 최고 비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비록 터미널이 MD₂를 동일한 접근 권한 직선에서 MD₁의 좌측에 정의하지만, MD₂는 상기 접근 권한 직선 좌측단에 위치하는 대신 그 우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MD₂를 상기 계층의 최고 제한적 모드로 정의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MD₂의 사용자는 터미널이 최고 제한적 모드에 부여하는 접근 권한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으로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MD₂는 최고 제한적 모드가 아니라 더 제한적 모드로 간주할 수 있다.
[도1a]의 패널 (D)의 터미널은 MD₁과 MD₂를 정의하되, 패널 (B)와 마찬가지로 MD₁을 접근 권한 직선의 우측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정의하며, 또한 패널 (C)와 마찬가지로 MD₂를 동일한 직선의 좌측단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정의한다. 따라서 MD₁은 최고 비제한적 모드가 아닌 더 비제한적 모드로 간주할 수 있고, MD₂는 최고 제한적 모드가 아닌 더 제한적 모드로 간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은 이론적으로 상기 접근 권한 직선 상에 수많은 작업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최소의 접근 권한을 가진 모드(즉 최고 제한적 모드)부터 시작하여 최고의 접근 권한을 가진 모드(즉 최고 비제한적 모드)는 물론 그 사이에 무한히 많은 수효의 중간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보안, 완전성, 개인 정보 보호 관련 이유로 터미널, 제조사 또는 사용자는 특정 계층에 최고 비제한적 모드나 최고 제한적 모드를 정의하지 않을 수 있다. [도1a]의 패널 (B), (D)가 이러한 계층의 예로서, 터미널은 접근 권한 직선의 우측단에 최고 비제한적 모드를 정의하지 않는다. 또한 패널 (C) 및 (D)의 터미널은 상기 직선의 좌측단에 최고 제한적 모드를 정의하지 않는다.
이 경우 각 계층은 접근 권한 직선의 범위 전체를 커버하지는 못하며, 따라서 상기 직선의 좌측단부터 우측단까지의 전체 길이를 포괄하지 못한다. 그 대신 각 계층은 접근 권한 직선의 일부만을 포괄하게 되고, 최고 비제한적 모드 또는 최고 제한적 모드를 포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본 명세서의 해제 모드와 잠금 모드는 각각 상술의 최고 비제한적 모드나 최고 제한적 모드에 해당하거나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해당 여부는 터미널이 접근 권한 직선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상기 모드를 “실제로” 정의하는 지에 따라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잠금 (작업) 모드” 또는 간략히 “잠금 모드”란 접근 권한 직선의 가장 좌측에 터미널이 “실제로” 정의하는 작업 모드를 지칭한다. 따라서 [도1a]의 패널 (A), (B)와 같이 터미널이 접근 권한 직선 좌측단에 잠금 모드를 “실제로” 정의하면, 상기 잠금 모드는 계층의 최고 제한적 모드와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패널 (A)와 (B)의 계층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이 사용자에게 “실제로” 제공하는 모드 중 가장 접근 권한이 적은 모드는 상기 계층의 최고 제한적 모드와 일치하는 잠금 모드이다.
반면 터미널은 [도1a]의 패널 (C), (D)와 같이 잠금 모드를 접근 권한 직선 좌측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어 정의할 수도 있으며, 이 때 잠금 모드는 최고 제한적 모드가 아니라 더 제한적 모드 또는 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패널 (C)와 (D)의 계층으로 구동하는 터미널이 사용자에게 실제로 제공하는 모드 중 가장 접근 권한이 적은 모드는 상기 계층의 최고 제한 모드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잠금 모드이다. 그 결과 패널 (C) 및 (D)의 계층이 “실제로” 정의한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작동하는 사용자는 패널 (A)와 (B)의 계층이 “실제로” 정의한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작동하는 사용자에 비하여 더 많은 수효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의 “해제 (작업) 모드” 또는 간략히 “해제 모드”는 터미널이 접근 권한 직선의 가장 우측에 “실제로” 정의한 작업 모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패널 (A) 및 (C)에서와 같이 터미널이 접근 권한 직선의 우측단에 해제 모드를 정의할 경우, 상기 해제 모드는 계층의 최고 비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패널 (A)와 (C)의 계층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이 가장 넓은 접근 범위를 부여한 모드인 상기 해제 모드는 동일한 계층의 최고 비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반면 [도1a]의 패널 (B), (D)와 같이 터미널이 해제 모드를 접근 권한 직선의 우측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어 정의할 경우, 상기 해제 모드는 최고 비제한적 모드가 아니라 계층의 더 비제한적 모드 또는 비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즉 패널 (B)와 (D)의 계층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이 가장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모드는 또 다른 해제 모드로서, 상술의 최고 비제한적 모드에 부여한 접근 권한보다 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해제 모드이다. 그 결과 패널 (B)나 (D)의 계층의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동일한 계층의 패널 (A)나 (C)의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에 비하여 더 적은 수효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만을 구동할 수 있다.
[도1a]에서 예시한 다양한 모드에는 서로 중첩될 수 있는 상이한 접근 권한이 부여되며, 각 모드의 접근 권한의 상이한 범위는 접근 권한 직선 상에서 각 모드의 위치로 특정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모드의 중첩되는 범위는 이와는 상이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1b]의 패널(A) 내지 패널(D)는 다양한 계층이 정의하는 작업 모드의 예시도로서, 각 모드는 원으로 표시되는 한편 각 모드의 접근 권한의 범위나 폭은 상기 원의 반경, 직경, 면적 등으로 표시된다. [도1b]의 패널 (A) 내지 (D)에서 가장 외부의 원(이후 “최외부원”으로 약칭)은 터미널이 정의할 수 있는 “최고 비제한적 모드”를 나타내는 반면, 가장 내부의 원(이후 “최내부원”으로 약칭)은 터미널이 정의할 수 있는 “최고 제한적 모드”를 나타낸다. 또 실선으로 표시한 원은 터미널이 특정 계층에서 “실제로” 정의한 모드로서, 사용자는 상기 모드에서 터미널을 “실제로” 구동할 수 있다. 반면 점선으로 표시한 원은 터미널이 정의할 수는 있지만, 다양한 보안, 완전성, 개인 정보 보호 등을 고려하여 터미널이 상기 계층에서 “실제로” 정의하지는 않은 모드를 나타낸다.
일예로 [도1b]의 패널(A)의 터미널은 예시적 계층에 해제 모드인 MD₁와 잠금 모드인 MD₄, 두 모드를 정의한다. 또 터미널은 MD₁을 최외부원으로 정의하므로, 해제 모드 MD₁은 “최고 비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MD₁에 가장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그 결과 MD₁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에게는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 중 가장 많은 수효의 요소를 구동하도록 한다.
또한 [도1b]의 패널(A)의 터미널은 잠금 모드인 MD₄를 최내부원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1b]의 패널(A)의 계층의 잠금 모드는 “최고 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MD₄에 최소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MD₄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 역시 가장 적은 수효(“0” 포함)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만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도1b]의 패널(A)의 계층은 [도1a]의 패널 (A)의 계층과 동일하다. 또 [도1b]의 패널(A)의 MD₁은 MD₄를 그 내부에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자면, MD₁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MD₄에서 구동할 수 있는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MD₁에서도 구동할 수 있다.
[도1b]의 패널(B)의 경우, 터미널은 MD₂ 및 MD₄의 두 모드를 정의한다. 단 MD₄는 [도1b]의 패널(A)의 MD₄와 동일하므로, MD₄는 상기 계층의 “최고 제한적 모드”에 해당하는 잠금 모드이다. 반면 상기 터미널은 MD₁을 실제로 정의하는 대신 (따라서 점선으로 표시), MD₂를 상기 계층의 가장 큰 실선의 원으로 “실제로” 정의한다. 따라서 MD₂는 “최고 비제한적 모드”가 아닌, “더 비제한적 모드” 또는 “비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MD₁에서 구동할 수 있었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중 (전부가 아닌) 일부만을 MD₂에서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도1b]의 패널(B)의 계층은 [도1a]의 패널 (B)의 계층과 동일하다. 또한 [도1b]의 패널(B)에서 MD₂는 MD₄를 그 내부에 포함한다. 즉 MD₂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MD₄에서 동일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도1b]의 패널(C)의 경우, 터미널은 MD₁과 MD₃의 두 모드를 정의하며, MD₁은 [도1b]의 패널(A)의 MD₁과 동일하다. 따라서 MD₁은 계층의 “최고 비제한적 모드”에 해당하는 해제 모드이다. 반면 터미널은 MD₄를 실제로 정의하지 않고, 그 대신 실선으로 MD₃를 계층의 가장 작은 원으로 정의한다. 즉 MD₃는 “최고 제한적 모드”에 해당하는 대신 “더 제한적 모드” 또는 “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MD₁에서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중 (전부가 아닌) 일부 요소만 MD₃에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MD₄에서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가능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전부를 MD₃에서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도1b]의 패널(C)의 계층은 [도1a]의 패널 (C)의 계층과 동일하다. 또한 [도1b]의 패널(C)의 MD₁은 MD₃를 포함한다.
[도1b]의 패널(D)의 터미널은 잠금 모드(MD₃)와 해제 모드(MD₂)를 정의하며, MD₃는 [도1b]의 패널(C)의 MD₃와 동일한 반면, MD₂는 [도1b]의 패널(B)의 MD₂와 동일하다. 즉 해제 모드 MD₂는 “최고 비제한적 모드”가 아니라 “더 비제한적 모드”나 “제한적 모드”에 해당하며, 잠금 모드 MD₃는 “최고 제한적 모드”가 아니라 “더 제한적 모드” 또는 “제한적 모드”에 해당한다. 즉 터미널은 MD₂에서 사용자에게 MD₁보다 더 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지만 MD₃보다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터미널은 MD₃에서 MD₄보다는 넓지만 MD₂보다는 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도1b]의 패널(D)에서 알 수 있듯이, MD₂는 MD₃를 그 내부에 포함하며, 따라서 MD₂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MD₃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도1a] 내지 [도1b]의 예시적 터미널은 상이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두 개의 모드만 정의하지만, 터미널은 특정 계층에 더 많은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세 개의 모드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 때 세 번째 모드(MD₃)는 터미널이 실제로 정의한 잠금 모드로서, 상기 계층에서 터미널이 가장 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모드일 수 있고, MD₁은 상기 계층에서 터미널이 실제로 정의한 해제 모드로서 터미널이 가장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모드인 반면, MD₂는 터미널이 실제로 정의한 중급 모드로서 MD₁보다는 적지만 MD₃보다는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진 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중급 (작업) 모드” 또는 간략히 “중급 모드”란 터미널이 특정 계층의 접근 권한 직선 상에서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사이에서 “실제로” 정의한 모드에 해당한다. 터미널은 중급 모드에 (1) 동일한 계층의 해제 모드에 실제로 부여하는 접근 권한보다 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또한 (2) 동일한 계층의 잠금 모드에 실제로 부여하는 접근 권한보다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터미널은 접근 권한 직선에 단일의 중급 모드 또는 임의의 수효의 중급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이 다수의 중급 모드들을 정의할 경우, 중급 모드들은 “반 해제 모드,” “덜 해제 모드,” “반 잠금 모드,” “덜 잠금 모드”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상기 “반 해제 모드” 또는 “덜 해제 모드”는 터미널이 해제 모드보다는 좁은 접근 범위를 부여한 모드인 반면, 상기 “반 잠금 모드” 또는 “덜 잠금 모드”는 터미널이 잠금 모드보다는 넓은 접근 범위를 부여한 모드일 수 있다.
다양한 중급 모드들은 상대적 관점에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더 해제 모드”나 “더 잠금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중급 모드는 “반 해제 모드”(또는 “덜 해제 모드”) 및 “반 잠금 모드(또는 “덜 잠금 모드”)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이 때 “반 잠금 모드(또는 덜 잠금 모드)”는 “반 해제 모드(또는 덜 해제 모드)”보다 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것으로 간주한다.
상술과 같이, [도1a]~[도1b]의 다양한 모드는 서로 중첩되는 접근 권한, 즉 “중첩 접근 권한”을 가진다는 특성이 있다. 즉 터미널은 해제 모드와 잠금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1) 특정 계층의 해제 모드의 사용자는 상기 계층의 잠금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음은 물론 (2) 잠금 모드에서는 접근 권한 부족으로 구동할 수 없는 최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도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미널이 서로 중첩되는 접근 권한을 가진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는 경우, 상기 모드들을 “중첩 모드”라 지칭한다.
터미널은 특정 계층을 구축하며 (1) 상기 계층의 잠금 모드에 부여한 접근 권한의 일부가 동일 계층의 해제 모드에 부여한 접근 권한에 속하지만, (2) 상기 잠금 모드에 부여한 접근 권한의 다른 부분은 동일 계층의 해제 모드에 부여한 접근 권한에 속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계층의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동일한 계층의 잠금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의 (전부는 아닌) 하나 이상을 구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모드들을 “일부 중첩 모드”라 지칭하는 한편 상기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을 “일부 중첩 접근 권한”이라 지칭한다.
반면 터미널은 다수의 모드에 상이한 접근 권한들을 부여하되, 상기 접근 권한들이 서로 전혀 중첩되지 않도록 계층을 구축할 수 있다. 즉 상기 계층의 해제 모드의 사용자는 동일한 계층의 잠금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어떤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도 구동할 수 없다. 본 명세서는 상기 모드들을 “비중첩 모드”라 지칭하고, 상기 모드들에 부여된 접근 권한을 “비중첩 접근 권한”이라 지칭한다. 단 이러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해제 모드의 사용자는 동일한 계층의 잠금 모드에 비하여 더 많은 수효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터미널(또는 사용자)은 다양한 이유로 특정 계층을 중첩 모드, 일부 중첩 모드 또는 비중첩 모드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다수의 중첩 모드를 정의한 후 각 모드에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면, 사용자는 터미널을 잠금 모드에서 구동할 때에는 적은 수효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만을 구동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해제 모드(필요할 경우 추가의 패스워드나 인증용 세부 입력을 제공함으로써)에서 더 많은 수효의 상기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중첩 모드의 예로는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는 개인적 용도로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구동하는 한편 잠금 모드에서는 상기 요소들 중 일부만 구동하도록 제한함으로써 터미널의 주 시스템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타인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보안, 완전성, 개인 정보 보호 등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다수의 사용자들이 단일의 터미널을 공유할 경우, 사용자들은 특정 계층을 구축하되, 각 사용자는 타사용자가 정의한 모드와 중첩되지 않는, 자신의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사용자가 정의한 모드에서는 터미널을 구동할 수 없지만, 타사용자 역시 사용자가 정의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는 독립적으로 자신만의 모드에서 자신만의 접근 가능한 요소들을 구동하는 반면, 동시에 사용자가 구동하는 요소를 타사용자가 구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술의 중첩 모드, 일부 중첩 모드 또는 비중첩 모드의 변형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1c]의 패널(A) 내지 패널(D)는 상기 중첩 접근 권한, 일부 중첩 접근 권한 및 비중첩 접근 권한에 대한 예시도로서, 터미널이 “실제로” 해제 모드 MD₁과 잠금 모드 MD₂만 정의하고, MD₁와 MD₁에서만 구동하는 경우이다. 또한 MD₁과 MD₂의 중첩 특성은 접근 권한 직선 상에서의 상기 모드의 수평 위치로 표시한다. 일예로 모드들이 상기 직선의 중앙 또는 중앙 부근에 위치할수록 상기 모드들의 접근 권한은 더 많이 중첩되는 반면, 상기 모드들이 상기 직선의 중앙에서 반대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모드들의 접근 권한의 중첩 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한다. 또 터미널이 각 모드에 부여한 접근 권한의 범위는 각 모드를 나타내는 사각형의 높이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1c]의 패널(A)의 경우, 터미널은 “실제로” MD₁과 MD₂를 정의하며, 각 모드를 나타내는 사각형들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터미널은 MD₁과 MD₂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도의 접근 권한을 부여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사용자는 MD₁에서건 MD₂에서건 동일한 또는 유사한 수효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MD₁과 MD₂는 대략 접근 권한 직선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모드들은 서로 중첩되며, 따라서 상기 모드들은 중첩 모드이다.
[도1c]의 패널(B)의 경우, 터미널은 [도1c]의 패널(A)와 유사한 사각형들로 표시되는 MD₁과 MD₂를 “실제로” 정의하므로, 상기 터미널은 MD₁과 MD₂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도의 접근 권한을 부여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MD₁ 및 MD₂는 접근 권한 직선의 중앙에 위치하는 대신 중앙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으므로, MD₁과 MD₂는 터미널이 일부 중첩되는 접근 권한을 부여한 일부 중첩 모드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MD₁, MD₂, 어떤 모드에서도 최소한 하나의 중첩되는 접근 가능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하지만 일예로 터미널은 사용자가 MD₁에서는 카메라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지만 MD₂에서는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MD₂에서는 일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지만, MD₁에서는 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1c]의 패널(C)의 터미널은 “실제로” MD₁ 및 MD₂를 정의하되, MD₁을 나타내는 사각형의 높이는 MD₂를 나타내는 사각형의 높이보다 크다. 따라서 터미널은 MD₂보다 MD₁에서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MD₁과 MD₂는 접근 권한 직선의 중앙이 아니라 이로부터 반대편으로 약간 떨어져 위치한다. 따라서 MD₁과 MD₂는 일부 중첩 모드이다.
[도1c]의 패널(D)의 경우, 터미널은 “실제로” MD₁과 MD₂를 정의하되, 각 모드의 접근 권한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MD₁(또는 MD₂)에서 어떤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건, 사용자는 MD₂(또는 MD₁)에서 상기 요소를 구동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모드들은 비중첩 모드이다.
[도1d]의 패널(A) 내지 패널(D)는 중첩, 일부 중첩, 비중첩 접근 권한에 대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1d]의 패널(A) 내지 패널(D)의 예시적 원들은 특정 계층이 정의할 수 있는 모드를 나타내며, 각 원의 반경, 직경 또는 면적은 터미널이 상기 모드에 부여한 접근 권한의 범위를 표시한다.
[도1b]의 패널(A) 내지 패널(D)와 같이, (1)[도1d]의 패널(A) 내지 패널(D)의 최외부원은 터미널이 정의할 수 있는 “최고 비제한적 모드”인 반면, (2)[도1d]의 패널(A) 내지 패널(D)의 최내부원은 터미널이 정의할 수 있는 “최고 제한적 모드”이다. 또한 (3) [도1d]의 패널(A) 내지 패널(D)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원은 터미널이 특정 계층에서 “실제로” 정의한 모드에 해당하는 반면, (4) 점선으로 표시한 원은 터미널이 정의할 수는 있지만, 보안, 완전성, 개인 정보 보호 등의 이유로 상기 계층에 “실제로” 정의하지 않은 모드를 나타낸다. 따라서 실선으로 표시한 최외부원(또는 최대 면적을 가진 원)은 특정 계층의 해제 모드인 반면, 실선으로 표시한 최내부원(또는 최소 면적을 가진 원)은 동일한 계층의 잠금 모드를 나타낸다. 또 [도1d]의 패널(A) 내지 패널(D)에서 각 원의 위치는 상기 원이 나타내는 모드에서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나타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도1d]의 패널(A)의 터미널은 두 모드(MD5 및 MD6)를 정의하되, 상기 모드들은 한 모드가 다른 모드와 중첩되거나 서로 상당히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드들의 접근 권한도 상당히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첩 모드인 MD5와 MD6는 [도1c]의 패널(A)의 MD₁ 및 MD₂에 해당하며, 또 [1] MD5와 MD6는 각각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또는 반대)에 해당하거나, 또는 [2] MD5와 MD6는 모두 잠금(또는 해제) 모드일 수 있다. 또 터미널은 MD5와 MD6 각각에 “최고 비제한적 모드(즉 점선으로 표시한 최외부원)에 부여할 수 있는 접근 권한보다 적은 접근 권한만 부여할 수 있다.
[도1d]의 패널(B)의 터미널도 두 모드(MD5 및 MD6)를 정의하지만, 상기 모드들은 부분적으로만 중첩된다. 따라서 상기 모드들은 공통되는 “공통 부분”은 물론 한 쪽 모드에는 포함되지만 다른 모드에는 포함되지 않는 “비공통 부분”도 포함한다. 따라서 MD5와 MD6는 일부 중첩 모드에 해당하며, [도1c]의 패널(B)의 MD₁ 및 MD₂에 해당한다. [도1d]의 패널(A)와 마찬가지로 MD5 및 MD6는 [1] 각각 해제 모드와 잠금 모드(또는 반대) 이거나, 또는 [2] MD5, MD6 모두 해제(또는 잠금)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 MD5이건 MD6이건,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최고 비제한적 모드(즉 점선의 최외부원)”에 부여하는 접근 권한보다는 적은 권한만 부여할 수 있다.
[도1d]의 패널(C)의 터미널도 [도1d]의 패널(B)처럼 두 모드(MD5 및 MD6)를 정의하지만, 터미널은 상기 모드에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따라서 MD5와 MD6는 [도1c]의 패널(C)의 MD₁ 및 MD₂와 같이 일부 중첩 모드에 해당한다. 또한 MD5를 나타내는 원이 MD6를 나타내는 원보다 크므로, MD5는 해제 모드인 반면 MD6는 잠금 모드로 간주할 수 있다.
[도1d]의 패널(D)의 터미널도 MD5와 MD6를 정의하지만, 상기 모드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모드들 사이에는 공통된 접근 권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MD5 및 MD6는 비중첩 모드에 해당하며, [도1c]의 패널(D)의 MD₁와 MD₂에 해당한다. 또 MD5와 MD6는 상당히 동일한 직경이나 동일한 면적을 가지므로, 사용자는 각 모드에서 상당히 동일한 수효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단 사용자가 MD5에서 구동할 수 있는 상기 요소는 MD6에서 구동할 수 있는 요소와는 상이하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실제로” 두 개의 모드가 정의된 계층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이 때 더 많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는 해제 모드, 더 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는 잠금 모드에 해당한다. 또 [도1d]의 패널(A), 패널(B) 및 [도1d]의 패널(D)와 같이, 터미널이 두 개의 모드에 상당히 동일한 정도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였거나 또는 상기 모드들을 비중첩 모드로 정의하였을 경우, 상기 모드 중 하나는 잠금 모드로, 나머지는 해제 모드로 간주할 수 있다.
터미널은 특정 계층에 “실제로” 세 개 이상의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이 가장 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모드는 “잠금 모드,” 가장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모드는 “해제 모드,” 그 중간의 접근 권한을 부여한 모드는 “중급 모드”라 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잠금 모드는 [1] “최고 제한적 모드”이거나, [2] (터미널이 상기 계층에 “최고 제한적 모드”를 “실제로” 정의하였다면) 상기 “최고 제한적 모드”보다는 더 넓은 권한이 부여된 “더 제한적 모드”이거나 “제한적 모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해제 모드는 [1] “최고 비제한적 모드”이거나, [2] (터미널이 상기 계층에 “최고 비제한적 모드”를 “실제로” 정의하였다면) 상기 “최고 비제한적 모드”보다는 더 좁은 권한이 부여된 “더 비제한적 모드”이거나 “비제한적 모드”일 수 있다.
터미널은 [1] 다수의 해제 모드, 단일의 잠금 모드 및 옵션으로 중급 모드를 정의하거나, [2] 다수의 잠금 모드, 단일의 해제 모드 및 옵션으로 중급 모드를 정의하거나, [3] 중급 모드 없이 다수의 잠금 모드와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를 정의하거나, [4] 중급 모드 없이 다수의 해제 모드와 하나 이상의 잠금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하술에서는 “계층” 및 이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한다.
1-5. 계층 및 종류
상술에서와 같이 “(작업) 모드” 또는 간략히 “모드”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작업 실행 상태를 나타내며, 사용자는 특정 모드에서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작동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중 특정 수효의 요소를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작업) 계층”은 또는 간략히 “계층”이란 터미널이 작업 실행 직선 상에 (또는 접근 권한 도메인에) “실제로” 정의한 두 개 이상의 모드를 포함하는 세트를 의미하며, 이 때 터미널은 각 모드에 주 시스템의 다양한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할 수 있는 미리 정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또는 사용자)는 [1] 제1 계층에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 하나 이상의 잠금 모드를, [2] 제2 계층에 잠금 모드 없이 두 개 이상의 해제 모드를, [3] 제3 계층에 해제 모드 없이 두 개 이상의 잠금 모드를, 또는 [4] 제4 계층에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 하나 이상의 중급 모드 및 하나 이상의 잠금 모드 등을 정의할 수 있다. 터미널은 두 개 이상의 해제 모드에 동일하거나 상당히 유사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해제 모드들 및 이들의 접근 권한들도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또는 두 개 이상의 해제 모드는 일부 중첩 또는 비중첩 접근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터미널이 두 개 이상의 잠금 모드 또는 두 개 이상의 중급 모드를 정의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단 터미널이나 사용자가 특정 계층을 구축하고 상기 계층에 특정 모드를 정의하면, 터미널은 [1] 정전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부터 상기 계층이 정의한 특정 모드로 이동하거나, [2] 상기 계층이 정의한 현재 모드로부터 상기 계층이 정의한 신규 모드로 이동하거나, 또는 [3] 상기 계층이 정의한 현재 모드로부터 정전 상태나 오프 상태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이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수의 계층을 구축할 수 있고, 상기 계층 각각에 다양한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하술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계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순차적 계층”이란 (1) 다수의 작업 모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2) 터미널이 사용자가 제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특정 모드로부터 이웃 모드로 이동할 수 있는 계층을 지칭한다. 아래 도면들은 터미널이 두 개 이상의 모드를 정의하는 순차적 계층의 예시로서, 터미널은 상기 계층의 좌측(즉 “후방 방향” 또는 “하류”)에 위치한 모드보다 상기 계층의 우측(즉 “전방 방향” 또는 “상류”)에 위치한 모드에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도2]의 패널(A) 내지 패널(H)는 접근 권한 직선(도시하지 않음) 상에 다양한 모드들 정의하고, 후방 방향의 모드보다 전방 방향의 모드에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다양한 계층의 예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방 방향” 또는 “상류”는 도면의 우측 방향을 지칭하는 반면, “후방 방향” 또는 “하류”는 도면의 좌측 방향을 지칭한다.
[도2]의 패널(A)의 경우, 터미널은 세 개의 모드(MDLK, MDIN, MDUL)를 정의하는 계층을 구축하며, 상기 모드는 각각 잠금 모드, 중급 모드, 해제 모드에 해당한다. [도2]의 패널(A)의 터미널은 상기 모드를 순차적으로 배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프 상태의 터미널에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오프 상태로부터 MDLK로 이동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사용자가 MDLK로부터 (그림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화살표 방향인 전방 방향에 위치한) MDIN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제3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사용자가 MDIN으로부터 (그림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화살표 방향인 전방 방향의) MDUL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 후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해도, 터미널은 MDUL에 머무른다. 왜냐하면 터미널이 구축한 상기 계층은 사용자가 MDUL로부터 다른 모드로 이동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터미널의 영상 유닛을 끄면, 터미널은 오프 상태로 이동한다. 그 후 사용자가 터미널에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위 문단의 과정을 반복하며 사용자가 특정 모드로 이동하도록 하며, 그 후 사용자가 제공한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도2]의 패널(B)의 경우, 터미널은 MDLK, MDIN1, MDIN2, MDIN3, MDUL의 다섯 개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을 구축하며, 터미널은 이 순서대로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이 때 MDIN1, MDIN2, MDIN3는 중급 모드이며, 각 중급 모드는 MDLK의 권한보다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지지만, MDUL의 권한보다 좁은 접근 권한을 가진다. 상기 다섯 개 모드는 순차적으로 배열되므로, [도2]의 패널(B)의 계층에서 작동하는 터미널은 [도2]의 패널(A)의 터미널과 유사한 순서로 각종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도2]의 패널(A) 및 패널(B)의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방법으로 모드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터미널은 현재 모드로부터 계층의 전방 방향에 위치한 이웃 모드, 즉 이웃 모드들을 연결하는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MDLK로부터 MDIN1으로, 그 후 MDIN1으로부터 MDIN2로, 그 후 MDIN2로부터 MDIN3로, 그 후에는 MDIN3로부터 MDUL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모드 이동 방식을 “순차적 스위칭”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하되, 신규 모드는 반드시 현재 모드에 이웃하는 모드가 아닐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향후 이와 같은 모드 이동 방식을 “선택적 스위칭”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또 터미널이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건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건, 터미널은 계층이 정의하는 선 및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서 모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도2]의 패널(A) 및 패널(B)의 경우, 상기 계층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정의된 모드는 이와 이웃하는 단일의 모드와 연결되는 반면, 상기 계층의 각 반대편(즉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중간 모드는 좌우 방향으로 한 쌍의 이웃 모드와 연결된다. 따라서 순차적 계층에서는 어떤 모드도 세 개 이상의 이웃 모드들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순차적 계층에서는 어떤 단일 모드도 다수의 모드들로 “분기(bifurcate)”될 수 없으며, 어떤 모드들도 단일의 모드로 “병합(merge)”될 수 없다.
상술의 순차적 계층의 반대로서, 본 명세서에서 “병렬적 계층”이란 (1) 다수의 작업 모드가 병렬적으로 배열되며 (즉 하나 이상의 모드가 다수의 모드로 분기되거나, 두 개 이상의 모드가 하나로 병합되거나), 또 (2) 터미널이 적합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특정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는 계층을 지칭한다. 아래 도면들은 병렬적 계층의 예시로서, 터미널은 상기 계층의 후방 방향에 위치한 모드보다 전방 방향에 위치한 모드에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고 간주한다.
[도2]의 패널(C)의 경우, 터미널은 두 개의 해제 모드(MDUL1 및 MDUL2)와 단일의 중급 모드(MDIN), 단일의 잠금 모드(MDLK) 등 총 네 개의 모드를 정의하고, MDLK에서 단일의 “분기점(bifurcation)”을 포함하는 계층을 구축한다. [도2]의 패널(A) 및 패널(B)와 마찬가지로, 터미널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오프 상태로부터 MDLK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상기 병렬적 계층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은 MDLK로부터 MDUL1, MDIN, MDUL2의 세 개의 모드 중 하나의 신규 모드로 이동하되, 신규 모드는 제2 사용자 입력, 특히 제2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UISWI)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제3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더라도,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이유는 MDUL1, MDIN, 및 MDUL2은 모두 전방 방향이건 후방 방향이건 어떤 모드와도 화살표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2]의 패널(D)의 경우, 터미널은 단일의 잠금 모드(MDLK), 세 개의 중급 모드(MDIN1, MDIN2 및 MDIN3), 두 개의 해제 모드(MDUL1 및 MDUL2) 등 여섯 개의 모드를 정의하고, 두 개의 분기점(MDLK와 MDIN2)을 포함하는 계층을 구축한다. 터미널은 각각의 분기점에서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UISWI에 근거하여 신규 모드를 결정하고 이동할 수 있다. [도2]의 패널(D)의 터미널의 기타 작업은 [도2]의 패널(C)의 터미널의 기타 작업과 유사하다.
[도2]의 패널(A) 내지 패널(H)에서 순차적 계층의 각 모드는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모드와 화살표로 연결되지만, 이웃하지 않는 모드와는 화살표로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합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현재 모드로부터 이에 이웃한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 순차적 계층은 단일 모드를 두 개 이상의 이웃 모드와 전방 방향이나 후방 방향으로 병렬로 연결하는 분기점을 포함하지 않으며, 두 개 이상의 모드를 이웃하는 단일의 모드로 병합시키는 “병합점(merger)”도 포함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병렬적 계층의 분기점은 단일의 모드를 다수의 모드로 분기시킨다. 따라서 병렬적 계층이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모드는 전방 또는 후방 방향의 화살표로 다수의 이웃 모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병렬적 계층의 두 개 이상의 모드는 전방 또는 후방 방향의 화살표로 단일의 이웃 모드로 병합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모드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 방향의 다수의 병렬 경로를 정의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일 모드로부터 다수의 이웃 모드 중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병렬적 계층은 [1] 단일의 시작 모드와 다수의 종착 모드를 포함하거나, [2] 다수의 시작 모드와 단일의 종착 모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3] 다수의 시작 모드와 다수의 종착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작 모드와 종착 모드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2]의 패널(A) 내지 패널(D)에서 예시한 다양한 계층들은 접근 권한이 적은 모드로부터 넓은 모드로 이동한다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2]의 패널(A) 내지 패널(D)의 해제 모드에 도달하거나 또는 [도2]의 패널(C) 및 패널(D)의 중급 모드에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는 더 이상 전방 방향의 모드로 이동할 수 없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영상 유닛을 끄고, 터미널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일예로 “휴면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오프 상태의 터미널에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일예로 터미널을 “깨우는” 작업), 터미널은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본 명세서의 “비순환 계층”은 (1) 터미널이 항상 전방 방향(즉 접근 권한이 적은 모드에서 접근 권한이 넓은 모드 쪽)으로의 모드 이동은 허락하지만, (2) 이의 반대인 후방 방향(즉 접근 권한이 넓은 모드에서 접근 권한이 좁은 모드 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락하지 않는 계층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 상기 비순환 계층은 순차적 비순환 계층 또는 병렬적 비순환 계층일 수 있다.
상술의 다양한 예시적 계층은 사용자가 접근 권한이 적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기 시작하여 접근 권한이 넓은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를 원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하지만 다른 사용자는 접근 권한이 넓은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기 시작하여 접근 권한이 적은 잠금(또는 중급) 모드로 이동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본 명세서의 “비순환 계층”이란 순차적 계층이건 병렬적 계층이건 터미널이 (1) 사용자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락하지만, (2) 반대인 전방 방향으로의 이동은 허락하지 않는 계층일 수 있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시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사용자는 터미널을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기 시작하여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를 원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잠금 모드에서 중급 모드로 이동한 후 다시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비순환 계층과는 달리, 본 명세서의 “순환 계층”은 상기 계층이 순차적 계층이건 병렬적 계층이건, 터미널이 사용자가 전방 방향(즉 접근 권한이 적은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더 넓은 모드 쪽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락함은 물론 사용자가 후방 방향(즉 접근 권한이 넓은 모드에서 접근 권한이 적은 모드 쪽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락할 수 있는 계층을 지칭한다. 또 후방 방향으로 모드 이동이 가능한 경로의 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순환 계층은 “완전 순환 계층” 및 “일부 순환 계층”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술의 도면들은 순환 계층의 다양한 예시이며, 하술의 도면에서도 전방 방향에 위치한 모드는 후방 방향에 위치한 모드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진 것으로 간주한다.
[도2]의 패널(E)의 터미널은 단일의 잠금 모드(MDLK), 중급 모드(MDIN) 및 해제 모드(MDUL)를 정의하는 계층을 구축한다. 상기 터미널은 전방 방향으로 모드를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2]의 패널(E)의 계층은 패널(A)의 계층과 유사하다. 하지만 [도2]의 패널(A)와 달리, 패널(E)의 터미널은 적절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경우, 일예로 MDUL로부터 MDIN으로, 또 MDIN로부터 MDLK로, 후방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2]의 패널(E)의 계층을 “완전 순환 계층”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2]의 패널(F)의 터미널 역시 단일의 MDLK, MDIN 및 MDUL을 정의하는 계층을 구축하며, 전방 방향으로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적정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미널은 MDIN을 거칠 필요 없이, MDUL로부터 직접 MDIN으로, 즉 후방 방향으로 직접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도2]의 패널(F)의 계층을 “일부 순환 계층”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상술의 순차적 계층이나 병렬적 계층과 달리, 어떤 계층은 상기 순차적 계층과 병렬적 계층의 혼합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혼합적 계층”이란 다수의 모드를 혼합한 배열로서 (1) 두 개 이상의 모드는 순차적 계층의 형태로 연결되고, 또한 (2) 병렬적 계층의 하나 이상의 분기점이나 병합점을 포함하는 계층을 지칭한다. 하술의 도면들은 혼합적 계층의 예시이며, 하술의 도면에서도 전방 방향에 위치한 모드는 후방 방향에 위치한 모드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진 것으로 간주한다.
[도2]의 패널(G)의 경우, 터미널은 MDLK, MDIN1, MDIN2, MDUL 등 모두 네 개의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을 구축한다. 상기 계층에서 사용자는 MDLK로부터 MDIN1(또는 MDIN2)로 이동한 후 MDUL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계층은 순차적 계층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계층의 MDLK는 MDIN1 및 MDIN2로 분기되는 반면, MDIN1과 MDIN2는 MDUL로 병합된다. 즉 상기 계층은 사용자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비순환 혼합적 계층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2]의 패널(H)의 터미널은 패널(G)와 동일한 네 개의 모드를 정의하며, 패널(G)와 서로 동일하게 연결되는 계층을 구축한다. 하지만 [도2]의 패널(H)의 계층은 터미널이 MDIN2로부터 MDLK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도 포함하는 혼합적 계층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 상기 계층은 터미널이 MDIN2로부터 MDLK로 이동할 수 있는 등, 터미널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일부 순환 계층에 해당한다.
이 외에도 터미널은 상술의 예시보다 더 복잡한 순차적 계층, 병렬적 계층 또는 혼합적 계층도 구축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상기 계층들을 순환 계층이나 비순환 계층의 형태로 구축할 수도 있으며, 하술의 도면에서는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의 자세한 구성과 함께 상기 계층들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다양한 계층을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예로 단일의 사용자가 계층을 구축한 후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되, 상기 모드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며 주 시스템의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할 수 있는 단일의 해제 모드(MDUL), [2] 잠금 뷰어를 포함하며 옵션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이나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 잠금 시스템을 사용자가 구동하는 단일의 잠금 모드(MDLK), 또는 [3] 사용자가 중급 시스템을 구동하며 주 시스템 또는 잠금 시스템의 전부는 아닌 일부 요소만 구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중급 모드(MDIN) 등이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특정 계층에 [1] 어떤 MDIN도 정의하지 않거나, [2]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다수의 MDUL을 정의하거나, 또는 [3]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다수의 MDLK를 정의할 수 있다.
또 상술의 다양한 모드를 정의하는 외에도,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다양한 유닛을 잠금 시스템으로부터 [1]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하거나, 또는 [2]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다양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에 대응하여 [1] 주 시스템의 보안을 제고하거나, [2] 주 시스템의 완전성을 향상하거나, 또는 [3] 주 시스템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단일의 사용자는 계층이 정의한 다양한 작업 모드를 상이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각 모드에서 터미널을 상이한 목적으로 구동할 수도 있으며, 상기 목적의 예로는 [1] 사용자가 개인적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의 주 시스템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주 시스템의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거나, [2] 사용자가 업무 수행을 위하여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의 주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의 최소 분량에만 접근하거나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 중 최소의 요소만을 구동하거나, 또는 [3] 반은 개인적, 반은 업무적인 중급 사안을 위하여 사용자가 중급 모드에서 주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부에 접근하거나 주 시스템의 상기 요소 중 일부 요소만을 구동할 수 있다.
단일의 사용자는 계층이 정의한 다양한 작업 모드를 상이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자신의 터미널을 다른 전기기기에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결합하고, 상기 기기를 자신의 터미널로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타인과 상기 기기를 공유할 경우, 상기 기기를 침투한 악성 바이러스가 사용자의 터미널을 침투함으로써, 터미널의 보안이나 완전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터미널의 주 시스템에 보관한 개인 데이터, 금융 데이터 등을 타인이 탈취할 위험이 상존한다.
터미널이 상기 기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미널을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며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경우, 사용자는 자기 터미널에 성공적으로 침투한 악성 바이러스가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침투하기 전, 이를 삭제할 수 있다. 하술의 내용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터미널을 구동하는 다양한 예시이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활용하는 상황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기 터미널을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차량에 결합하고, 터미널을 통하여 차량을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하는 등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차량을 조작하기 위하여 터미널의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이용하거나, 또는 터미널의 데이터를 차량의 컴퓨터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예로는 다양한 모양 및 크기의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비행기, 헬리콥터, 드론, 보트, 선박 등이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에서, 사용자가 터미널의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다양한 요소를 구동하거나 또는 주(또는 잠금)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차량을 조작할 경우, 사용자는 터미널을 해제 모드에서 구동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어지간히 부주의하지 않는 이상, 사용자 자신의 차량의 컴퓨터에 악성 바이러스가 내재할 위험은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터미널의 주 시스템을 차량의 컴퓨터 시스템과 부분적 또는 완전히 격리하는 한,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차량에 연결하고 구동하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가 차량을 자기 가족이나 직장 동료들과 공유할 경우, 조심성 없는 자녀나 동료가 신뢰성이 낮은 웹사이트로부터 수상한 파일을 다운로드함에 따라, 악성 바이러스가 차량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하고, 상기 차량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터미널 역시 악성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는 위험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과 안면이 있지만 완전히 신뢰할 수 없는 타인과 차량을 공유할 경우, 사용자는 중급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며 [1] 터미널의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전부가 아닌) 일부 요소만 구동하고, 터미널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부가 아닌) 일부만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조작하거나, [2] 중급 시스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여 상기 차량을 조작할 수 있다.
이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가 자신이 모르는 타인과 공유하는 차량을 자신의 터미널로 조작하려 할 경우, 차량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침투한 악성 바이러스가 자신의 터미널에 침투할 위험은 더욱 높아진다. 특히 상기 차량이 렌터카, 공유 차량, 공공이 사용하는 차량일 경우, 상술의 위험은 매우 절박해진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잠금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거나 또는 잠금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만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며 차량을 조작할 수 있다. 동시에 터미널은 주 시스템을 차량의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격리시킴으로써, 컴퓨터에 침입한 악성 바이러스가 터미널의 주 시스템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활용하는 상황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터미널을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컴퓨터와 결합하고, 자신의 터미널로 컴퓨터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터미널의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거나 또는 터미널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제공함으로써,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의 예로는 공용 PC 스테이션, 술집, 학교의 PC 랩 등과 같은 장소에 위치하여 타인과 함께 사용하는 컴퓨터 등이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의 첫 번째 실시예의 다양한 구성 및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를 조작하기 위하여 해제 모드에서 자신의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다양한 요소를 구동하거나 또는 터미널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컴퓨터에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특별히 부주의하지 않은 한, 사용자 컴퓨터에 바이러스가 존재할 위험은 높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미널의 주 시스템을 컴퓨터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하며, 자신의 터미널을 자기 컴퓨터에 결합한 후 해제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상세예는 사용자가 가족, 직장 동료들과 컴퓨터를 공유하는 경우로서, 상술의 위험은 위 문단의 경우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미널을 중급 모드에서만 구동하며,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사용자는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전부가 아닌 일부 요소만 구동하며 상기 시스템에 저장된 전부가 아닌 일부 데이터만 접근하거나, 또는 중급 모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이의 세 번째 상세예는 사용자가 자신이 모르는 타인과 공유하는 컴퓨터를 자신의 터미널로 제어하려는 경우이며, 이 경우 상기 컴퓨터가 악성 바이러스에 의하여 이미 감염되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따라서 사용자는 잠금 시스템의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거나, 또는 잠금 시스템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만 이용하면서, 터미널을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며 상기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주 시스템을 상기 컴퓨터로부터 격리시킴으로써, 상기 컴퓨터에 침입한 악성 바이러스가 사용자 터미널의 주 시스템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의 두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성은 상이한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자기 터미널을 공용 비디오 게임 센터나 공용 스포츠 퍼브의 제어 콘솔 등에 연결할 경우, 사용자는 터미널을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만 구동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터미널을 상기 제어 콘솔에 연결하고 비디오 게임, 가상 스포츠 등을 할 경우, 사용자는 제어 콘솔에 의하여 입을 수 있는 잠재적 위험에 따라 터미널을 잠금, 중급 또는 해제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 전기기기 또는 외부 네트워크에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을 위하여 자기 터미널을 결합할 때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기기나 네트워크의 보안에 대하여 100% 신뢰하지 못할 때마다, 사용자는 잠금 모드나 기타 제한적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으며, 그 후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전 사용자는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계층은 사용자 편의나 터미널 보안 등 사용자에게 상이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편의와 이음새 없는 작업 특성과 같은 장점은 터미널의 보안 또는 완전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다. 일예로 순환 계층은 일부 사용자들에게는 혜택을 줄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터미널을 해제 모드에서 구동할 때, 사용자는 악성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익숙하지 않은 웹사이트로부터의 파일 다운로드를 주저할 수 있다. 하지만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의 주 시스템은 잠금 시스템으로부터 격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방 방향으로, 즉 해제 모드로부터 중급 모드로 이동하고, 다시 중급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이동한 후, 다운로드할 파일이나 컨텐츠의 잠재적 악영향에 대한 걱정 없이, 잠금 모드에서 낯선 웹사이트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위 문단들에서 설명하였듯이, 순환 계층은 사용자가 영상 유닛을 끄고(즉 오프 상태로 이동) 다시 영상 유닛을 켤(즉 온 상태의 기본 설정 모드인 잠금 모드로 이동) 필요 없이,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가 이보다 적은 접근 권한이 주어진 모드로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같이 순환 계층에 따라 작동하는 터미널은 모드 이동에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비순환 계층이 사용자에게 어떤 혜택도 제공하지 않는다는 말은 아니다. 오히려 비순환 계층은 본질적으로 사용자가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또는 중급) 모드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함으로써 터미널에 부가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비순환 계층의 부가적 안정성은 후방 방향으로의 모드 이동에 수반되는 불편함에 의하여 반감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보안과 완전성을 최적화하고 주 시스템에 저장된 개인 데이터를 보호하며 사용자가 터미널을 편안하게 작동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를 정의하는 다양한 계층을 구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모드를 정의하는 다양한 계층의 구축은 관련 분야의 당업자의 선택과 관련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1-6. 제거 vs. 삭제
터미널(보다 자세하게는 터미널의 CPU 또는 운영체계)이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면, 터미널은 다양한 데이터, 파일, 폴더 등의 흔적을 남긴다. 본 명세서의 “결과물”이란 터미널의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이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구동하며 또는 구동한 후 남기는 데이터, 파일 또는 폴더 등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거(delete)”란 (사용자가 제거하기를 원하는) “결과물”이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데이터 섹터에 대한 디렉트 포인터(direct pointer)를 제거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하지만 “결과물”은 “제거” 후에도 데이터 잔류현상(data remanence)에 따라 잔류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심지어 상기 “결과물”은 간단한 제거 후에도 복구가 가능할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터미널이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잠금 작업을 실행하면, 일부 “결과물”은 잠금 시스템에 잔류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결과물”을 잠금 시스템에서 “제거”하고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한 후에, 일부 “결과물”은 여전히 터미널에 잔류할 수 있다. 잔류 “결과물”에 악성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으면, 바이러스는 사용자가 터미널을 해제 모드에서 사용할 때 주 시스템에 침입할 수 있고, 주 시스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제거”하더라도 일부는 잠금 시스템에 잔류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간단한 “제거”만으로는 잔류 “결과물”이 터미널의 주 시스템 또는 주 시스템의 다양한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상기 “제거”에 반하여 본 명세서에서 “삭제(erase)”란 메모리 유닛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을 삭제하는 작업을 지칭한다. 즉 “삭제”는 상술의 디렉트 포인터는 물론 메모리 유닛 또는 메모리 섹터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도 삭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삭제된 “결과물”은 타인에 의하여 복원될 수 없다. 설령 숙련된 기술자가 삭제된 “결과물”을 복원할 수 있더라도 그 과정은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삭제 작업”은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다양한 목적 중 하나인 보안 향상을 위하여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일예로 텍스트, 이미지, 파일 등)”의 전부나 일부를 사용자가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은 상기 “결과물”을 임시로 또는 영구히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잠금 메모리 유닛은 [1] 잠금 시스템의 일부인 메모리 유닛 또는 메모리 섹터이거나 또는 [2] 주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지만 해제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유닛 또는 메모리 섹터일 수도 있다.
상기 “삭제”에 비해, 본 명세서에서 “부분삭제(semi-erase)”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하여 얻었고,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할 수 있는 “결과물”의 전부가 아닌 일부만을 삭제하는 작업을 지칭한다. “부분삭제”는 “결과물”의 일부만 삭제하므로, 상기 “결과물”의 잔여 부분은 잠금 메모리 유닛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잠금 메모리 유닛 또는 잠금 메모리 섹터에 저장될 수 있다. 즉 “부분삭제”는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으로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잔류 부분 포함)”의 일부만을 삭제하고, 나머지 부분은 능동적 저장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실행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메모리 유닛에 그대로 남겨둔다.
터미널(일예로 주 시스템, 중급 시스템, 또는 잠금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하여 상기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주 메모리 유닛, 중급 시스템의 중급 메모리 유닛, 잠금 시스템의 잠금 메모리 유닛에 대한 “삭제 작업 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주, 중급 또는 잠금 시스템의 임시 메모리 섹터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으며, 임시 메모리 섹터의 예로는 주 시스템, 중급 시스템 또는 잠금 시스템의 [1] 데이터 버퍼(data buffer), [2] 캐시(cache), [3] 클립 보드(clip board), 또는 [4] 리사이클 빈(recycle bin)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삭제된 결과물”이란 터미널이 [1] 잠금 모드(또는 잠금 모드와는 다른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의 이동 또는 [2]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의 이동을 사용자에게 허락하였을 경우, 터미널이 “삭제”하는 “결과물”을 지칭한다. “삭제된 결과물”은 삭제된 텍스트, 삭제된 이미지, 삭제된 파일, 삭제된 폴더, 삭제된 앱, 또는 기타 삭제된 결과들을 지칭하되, “삭제된 결과물”은 [1]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이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하여 얻었던 결과나, [2]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에 잔류하였던 결과 등을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삭제된 결과물로부터 주 시스템을 보호한다”는 문구를 사용할 경우, 이는 터미널이 상기 결과물을 삭제한 후 상기 결과물로부터 주 시스템을 보호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상기 문구는, 만일 터미널이 “삭제된 결과물”을 삭제하지 않았다면, 주 시스템을 “삭제된 결과물”로부터 보호할 수는 없었지만, 터미널이 상기 “삭제된 결과물”을 삭제함으로써 주 시스템을 이로부터 보호한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삭제 예정 결과물”이란 현재 “저장 예정 결과물”과 섞여 있지만 추후 삭제될 결과물을 지칭하며, 이 점을 제외한다면 상술의 “삭제된 결과물”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저장된 결과물”이란 터미널이 삭제하지 않은 채 잠금 시스템 또는 주 시스템에 저장한 “결과물”을 지칭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저장된 결과물”이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모든 “결과물”에서 “삭제된 결과물”을 제외한 결과물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저장 예정 결과물”이란 현재 “삭제 예정 결과물”과 섞여 있지만 추후 저장될 결과물을 지칭하며, 이 점만 제외한다면 상술의 “저장된 결과물”과 동일할 수 있다.
상술의 “삭제”나 “부분삭제” 대신, 터미널은 특정 하드웨어 요소를 “서식 설정(formatting)”하거나, 재서식 설정하거나, “초기화(initializing)”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특정 상황에서 상기 서식 설정 작업이나 초기화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상황의 예로는 [1] 마지막 서식 설정이나 초기화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난 경우, [2] 터미널이 메모리 유닛, 임시 메모리 섹터 등에서 악성 바이러스를 포함할 수도 있는 수상한 데이터, 코드, 파일 등을 발견하였을 경우, 또는 [3] 터미널이 오작동하는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발견하였을 경우 등이 있다.
상기 서식 설정이나 초기화는 상술의 삭제나 부분삭제의 특별한 경우이므로, 터미널은 서식 설정 작업 또는 초기화 작업을 다양한 “삭제 시점”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삭제나 부분삭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터미널은 특정 하드웨어 요소를 완전히 서식 설정 또는 초기화하거나, 또는 일부분만 서식 설정 또는 초기화할 수 있다.
터미널이 특정 하드웨어 요소를 서식 설정 또는 초기화할 경우, 상기 요소에 장착된 모든 소프트웨어 요소 역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시스템을 서식 설정하거나 초기화할 경우, 터미널은 상기 잠금 시스템의 다양한 데이터 또는 컴퓨터 코드 중 어떤 데이터나 코드를 제거할지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부분 서식 설정 또는 부분 초기화를 통하여 잠금 메모리 유닛이나 임시 잠금 메모리 섹터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데이터만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잠금 운영체계 또는 잠금 (소프트웨어) 앱을 상기 부분 서식 설정 및 부분 초기화로부터 제외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1] 잠금 운영체계나 잠금 앱 등을 잠금 BIOS(즉 basic input output system), 기타 저장 장소 등과 같이 상기 부분 서식 설정이나 부분 초기화로부터 안전한 장소에 저장하거나, 또는 [2] 부분 서식 설정이나 부분 초기화를 실행할 메모리 섹터를 명시적으로 지정하는 한편 그 이외의 부분을 부분 서식 설정 또는 부분 초기화로부터 제외할 수 있다. 단 상기 잠금 시스템은 실행 가능한 잠금 운영체계나 잠금 앱을 포함하므로, 터미널은 부분 서식 설정 또는 부분 초기화 이후 즉시 잠금 모드에서 구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에 저장되었거나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 또는 컴퓨터 코드를 (완전) 서식 설정 또는 (완전) 초기화를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운영체계, 잠금 앱은 물론 잠금 뷰어도 모두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삭제가 완료된 잠금 시스템은 실행 가능한 잠금 운영체계나 잠금 앱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터미널은 서식 설정이나 초기화 직후 잠금 모드에서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운영체계나 잠금 앱 등을 잠금 시스템에 다시 장착해야 한다.
다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이 잠금 앱은 포함하지만 잠금 운영체계는 포함하지 않는 경우, 잠금 시스템은 상기 앱을 자체적으로 구동할 수 없다. 따라서 잠금 시스템 대신 주 운영체계 또는 주 CPU 유닛이 상기 앱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잠금 시스템에 대한 부분 서식 설정 작업이나 부분 초기화 작업을 실행한 후에도 잠금 시스템에 상기 앱이 남아있으면, 주 시스템은 주 CPU 유닛 또는 주 운영체계를 이용하여 상기 서식 설정이나 초기화 작업 직후 상기 앱을 구동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이 잠금 시스템을 완전 서식 설정하거나 완전 초기화하는 경우, 주 시스템은 상기 앱을 잠금 시스템에 다시 장착한 후, 잠금 시스템이 잠금 작업을 실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이 잠금 앱과 상기 앱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경우는 잠금 시스템이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와 유사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7. 영상 유닛 및 영상 화면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영상 화면을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주) 영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의 예로는 사진과 같은 정적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동적 이미지 등이 있으며, 이미지는 흑백, 컬러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유닛은 [1] 문자, 단어, 텍스트, 그림, 사진, 기타 사물이나 인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정적 이미지를 영상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2] 비디오 게임, 동영상, (문자, 단어, 텍스트, 그림, 만화, 기타 사물이나 인간에 대한) 동적 이미지를 영상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1] 다양한 정적 이미지 또는 동적 이미지를 저장하며 이를 하나씩 표시하거나, 또는 [2] 탈착 기기, 휴대용 기기, 타터미널, 웹사이트 등의 외부 소스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한 후,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앞의 [2]의 경우, 터미널은 상기 이미지를 취득한 후 또는 상기 이미지의 취득과 동시에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화면은 주로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 중 하나인 영상 유닛의 일부를 의미한다. 특히 사용자가 특정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를 표시하려면 영상 유닛을 구동해야 하므로, 영상 유닛은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단일의 영상 화면은 단일의 세그먼트(segment)를 정의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영상 화면은 세그먼트와 동일해진다. 하지만 영상 화면이 다수의 세그먼트를 정의하면, 영상 유닛은 상이한 세그먼트에 동일한 또는 상이한 이미지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터미널은 다수의 영상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각 영상 유닛은 동일한 모양이나 크기 등을 가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영상 유닛들은 상이한 모양, 상이한 크기를 가지거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터미널의 상이한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한 영상 유닛은 주 영상 유닛의 기능을 담당하지만, 다른 영상 유닛은 부(또는 보조) 영상 유닛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상 유닛은 영상 화면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 화면의 모양, 크기 역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본 명세서의 다양한 “통지 유닛”도 상기 다수의 영상 유닛들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이 다수의 통지 유닛을 포함할 경우, 각 통지 유닛은 정적 이미지나 동적 이미지를 특정 해상도와 특정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통지 유닛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통지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상기 통지 유닛은 영상 유닛보다 작거나, 영상 유닛에 비하여 간단한 정적, 동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단일의 영상 유닛은 영상 화면의 일부를 통지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터미널이 다수의 영상 유닛을 포함할 때, 상기 터미널은 각 영상 유닛을 동시에 구동하거나, 순차적으로 구동하거나, 또는 시간적 측면에서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제2 영상 유닛이 켜질 때마다 제1 영상 유닛도 켜거나, [2] 제2 영상 유닛이 켜질 때마다 제1 영상 유닛을 끄거나, [3] 두 개 이상의 영상 유닛을 특정 순서에 따라 켜거나 (또는 끄거나), 또는 [4] 각각의 영상 유닛을 독립적으로 켜거나 끌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터미널은 영상 유닛이 시간, 날짜 등의 일상적 데이터를 계속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동일한 소프트웨어 요소로 다수의 영상 유닛을 구동하거나, 또는 상이한 소프트웨어 요소로 각각의 영상 유닛을 구동할 수 있다.
터미널이 하나 이상의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상술의 예시와는 달리,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과는 별개의 기기인 외부 영상 기기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터미널은 더욱 작은 모양과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터미널도 외부 영상 기기와 결합함으로써, 주 시스템의 영상 유닛을 보조할 수 있다.
1-8. 화면
본 명세서에서 “화면”이란 터미널이 영상 유닛의 영상 화면에 표시한 이미지를 지칭한다. 상기 화면은 [1] 흑백 방식 또는 컬러 방식이거나, [2] 2차원(2-D) 방식 또는 3차원(3-D) 방식이거나, [3] 2-D 이미지, 3-D 이미지, 또는 홀로그램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화면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정적 화면이거나,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동적 화면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화면은 단일 또는 다수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사용자는 각 윈도우에서 주 시스템의 다양한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도 있다.
영상 유닛이 켜지면 (즉 터미널의 온 상태), 영상 유닛의 영상 화면에 화면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상기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영상 화면에 표시된 어떤 이미지이건 화면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상기 화면의 예로는 [1] 하나 이상의 캐릭터, 단어, 텍스트, 그림, 사진, 물체나 사람 등에 대한 정적 이미지, [2] 비디오 게임 등의 동적 이미지, 또는 [3] 동영상 또는 물체나 사람 등에 대한 동적 이미지 등이 있다. 또한 내용 상의 관점에서 보면, 상기 화면은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경고,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화면은 해제 모드에서 표시되는 “해제 화면(또는 홈 화면),” 잠금 모드에서 표시되는 “잠금 화면” 및 중급 모드에서 표시되는 “중급 화면”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상적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만 표시하는 영상 유닛은 “꺼져” 있는 것으로 간주하며, 따라서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터미널이 주 영상 유닛과 부 영상 유닛을 포함할 때 주 영상 유닛은 꺼져 있는 반면 부 영상 유닛은 일상적 데이터만 표시할 경우, 상기 영상 유닛들은 “꺼져” 있고,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터미널이 주 세그먼트와 부 세그먼트를 가진 단일의 영상 유닛만 포함하는 반면 주 세그먼트는 꺼져 있고 부 세그먼트는 일상적 데이터만 표시할 경우, 상기 영상 유닛 역시 꺼져 있다고 간주한다.
일반적으로 일상적 데이터는 터미널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작업을 실행하지 않고도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지칭한다.
“일상적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시간 또는 날짜, 시계나 스톱워치, 배터리 잔여량, 온도, 날씨, 무선통신 연결 상태, 경보(alarm), 신규 이메일, 신규 메시지, 수신 통화, 일정 통보에 대한 정보 등과 관련된다. 또한 터미널이 상기 일상적 데이터 또는 기타 정보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지만, 상기 영상 유닛의 대략 80% 이상의 픽셀이 꺼져 있으면, 본 명세서에서 상기 영상 유닛은 “꺼져” 있는 것으로 간주하며, 상기 터미널 역시 “오프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1-9. 동시 또는 순차적
본 명세서에서 “동시”란 다수의 작업 또는 다수의 스텝이 같은 시간에 발생하거나 존재함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같은 시간에 단일 또는 다수의 입력 유닛에 제공하면, 상기 사용자는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제공하였다고 정의한다. 특히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동시에 제공”하였을 때, 상기 터미널의 프로세서의 클럭 주기 중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 공통 클럭 주기가 하나 이상 존재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제공하였다고 간주한다. 즉 이는 다수의 사용자 입력이 시간적 공백에 의하여 서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채, 상기 공통 클럭 주기에서 서로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터미널이 다수의 작업(또는 스텝)을 같은 시간에 실행하는 경우, 상기 터미널은 다수의 작업(또는 스텝)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터미널이 다수의 작업이나 스텝을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 터미널은 프로세서의 하나 이상의 공통 클럭 주기에서 다수의 작업, 스텝을 실행한다고 간주한다. 이는 다수의 작업 또는 스텝이 시간적 공백에 의하여 서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채, 상기 공통 클럭 주기에서 서로 중첩되는 경우이다.
[도3]은 동시에 실행되는 작업이나 스텝을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프로세서의 클럭 주기를 따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3]의 패널 (A)의 경우, 터미널의 프로세서(이후 “터미널”로 약칭)는 작업(또는 스텝) A1 클럭 주기 003부터 010까지(총 8 클럭 주기) 실행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A2를 클럭 주기 009부터 019까지(총 11 클럭 주기) 실행한다. 상기 작업(또는 스텝) A1과 A2는 클럭 주기 009 및 010에서 서로 중첩되며, 따라서 상술의 정의에 따라 상기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A1과 A2를 “동시에” 수행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3]의 패널 (B)의 경우,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B1을 클럭 주기 003부터 020까지(총 18 클럭 주기) 실행하지만, 작업(또는 스텝) B2를 클럭 주기 020부터 030까지(총 11 클럭 주기) 실행한다. 상기 작업(또는 스텝) B1과 B2는 단일의 클럭 주기 020에서 서로 중첩되며, 따라서 상술의 정의에 따라 상기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B1과 B2를 “동시에” 수행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3]의 패널 (C)의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C1을 단일의 클럭 주기 023에(총 1 클럭 주기) 실행하며, 작업(또는 스텝) C2을 클럭 주기 003부터 090까지(총 88 클럭 주기) 실행한다. 이 때 비록 작업(또는 스텝) C1은 작업(또는 스텝) C2의 수십 분의 1만큼 지속되지만, 상기 작업(또는 스텝)들은 단일의 공통 클럭 주기 23에서 서로 중첩된다. 따라서 상술의 정의에 따라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C1과 C2를 “동시에” 수행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3]의 패널 (D)의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D1을 클럭 주기 005부터 014까지(총 10 클럭 주기) 실행하고, 작업(또는 스텝) D2를 클럭 주기 012부터 022까지(총 11 클럭 주기) 실행하며, 또 작업(또는 스텝) D3를 클럭 주기 016부터 1,015까지(총 1,000 클럭 주기) 실행한다. 작업(또는 스텝) D1과 D2는 클럭 주기 012부터 014까지 서로 중첩되며,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D1과 D2를 “동시에” 실행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작업(또는 스텝) D2와 D3는 클럭 주기 016부터 022까지 중첩되므로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D2와 D3를 “동시에” 실행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작업(또는 스텝) D1과 D3는 어떤 클럭 주기에서도 중첩되지 않으므로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D1과 D3를 동시에 실행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오히려 작업(또는 스텝) D1과 D3는 클럭 주기 15라는 시간적 공백에 의하여 분리된다.
본 명세서에서 세 개 이상의 작업이나 스텝들의 실행의 동시성은, 가장 먼저 실행이 시작되는 작업(또는 스텝)의 시작 클럭 주기부터 가장 나중에 종료되는 작업(또는 스텝)의 종료 클럭 주기 사이에 시간적 공백이 존재하지 않는 한, 터미널은 세 개 이상의 작업이나 스텝을 “동시에” 실행한다고 정의한다. 상기 정의에 의하면, [도3]의 패널 (D)의 터미널은 작업이나 스텝 D1, D2와 D3를 “동시에” 실행한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터미널은 상술의 세 개의 작업(또는 스텝)을 D1에서 시작하여 D3에서 종료하는 바, 그 사이 터미널이 D1, D2 및 D3 중 어느 한 작업(또는 스텝)도 실행하지 않는 클럭 주기는 없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순서”란 터미널이 다수의 작업(또는 스텝)을 한 번에 하나씩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특정 배열을 의미한다. 또한 “순차적”은 터미널이 다수의 작업(또는 스텝)을 특정 배열에 따라 시간적 공백을 두며 한 번에 하나씩 실행함을 의미한다. 또한 “순차적”은 “한 번에 하나씩”과 동일한 의미이다. 따라서 [도3]의 패널 (D)의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D1과 D3를 실행할 때 그 사이에 시간적 공백을 두며 순차적으로 실행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1-10. 사용자 입력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입력”이란 사용자가 터미널의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입력 유닛에 제공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비사용자) 물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가 터미널의 하나 이상의 입력 유닛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다”는 문구는 [1] 사용자가 자신의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거나, [2] 터미널의 입력 유닛이 인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물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거나, [3] 터미널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거나, 또는 [4] 터미널이 사용자와 관련된 전자기파 또는 음파를 취득하는 것을 통칭한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터미널의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직접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자기 신체 부위 또는 물체를 이용하여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이동 가능한 부위를 움직임으로써 또는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능 부위를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부위를 특정 기간 동안 움직이거나 또는 자신이 선택한 기간 동안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부위를 접촉하는 경우, 사용자는 [1] 자기 신체 부위나 물체와 입력 유닛의 상기 부위와의 접촉을 일정 기간 유지하거나, 또는 [2] 상기 접촉을 유지하면서 자기 신체 부위나 물체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접촉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터미널의 입력 유닛의 상기 부위를 직접 조작하지 않은 채, 입력 유닛에 각종 파동을 제공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는 입력 유닛을 향하여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 전자기파나 음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파가 제공하는 정보는 사용자 이미지 또는 파동의 특성(일예로 진폭, 주파수, 위상각, 위상 지연 등) 등이며, 상기 음파가 제공하는 정보는 사용자 음성,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만드는 소리 등이 있다. 따라서 입력 유닛이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의 얼굴, 홍채, 망막 등과 같은 사용자 이미지를 취득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는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입력 유닛이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 음성을 취득할 경우, 상기 음성 역시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입력 유닛에 제공하면, 상기 입력 유닛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 유닛에 장착된 센서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한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이 단일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할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세부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 입력이 다수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하면, (단일 또는 다수의) 입력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단일이나 다수의) 입력 유닛의 (단일이나 다수의) 센서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사용자 입력” 및 “(사용자) 세부입력”을 통칭하여 “사용자 입력”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또 “(사용자) 세부입력”은 “세부입력”으로 약칭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유닛의 구조적 또는 작업 실행 상 특성에 근거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중 몇 개는 입력 유닛을 직접 조작하여 제공하는 한편 나머지 사용자 입력은 입력 유닛을 직접 조작하는 대신 간접적으로 입력 유닛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입력을 종류 및 성질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유형 사용자 입력”이란 사용자가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직접 조작하여 제공하는 “기계적 사용자 입력”이다. 제1 유형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1]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의 “움직임”(일예로 누르기, 밀기, 당기기, 옆으로 밀기, 돌리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하기 또는 기타 방법 등에 의한 움직임), [2] 상기 부위와의 “접촉(또는 만지기)” 또는 [3] 상기 움직임과 접촉의 혼합 등이 있다.
제1 유형 사용자 입력의 다른 예는 사용자의 “기계적 생체 정보”이며, 이러한 제1 유형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서 측정한 혈압이나 심장 박동수, 특정 위치에서 측정한 혈류(blood flow rate), 기타 심장순환기 정보, 휴식 또는 운동 시의 호흡 횟수, 호흡 유량, 기타 호흡기 정보, 근육 또는 골격 관련 생체 정보 등이 있다. 상술과 같이 상기 기계적 사용자 입력에는 기계적 (사용자) 세부입력이 포함된다.
제1 유형 사용자 입력은 기계적 사용자 입력의 정적 특성이나 동적 특성과도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형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1] 입력 유닛의 상기 부위의 움직임이나 상기 부위와의 접촉과 관련된 (스칼라 또는 벡터) 힘, [2] 상기 움직임의 (스칼라 또는 벡터) 속도, [3] 상기 움직임의 (스칼라 또는 벡터) 가속도, [4] 상기 움직임에 의한 (스칼라 또는 벡터) 변위, [5] 상기 힘, 속도 가속도 또는 움직임의 방향, [6] 상기 접촉의 방향, [7] 앞의 [1]~[6]의 기간, [8] 앞의 [1]~[6]의 횟수, [9] 앞의 [1]~[6] 사이의 시간적 중첩, 또는 [10] 앞의 [1]~[6] 사이의 시간적 공백 등이 있다. 제1 유형 사용자 입력은 상기 입력 유닛의 상기 부위에 상기 입력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나 물체의 “기계적 특징”도 포함하며, 이러한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탄성, 거칠기(roughness), 다양한 모듈러스(modulus) 등이 있다. 또한 입력 유닛의 센서에 가해진 힘의 크기나 주파수도 이러한 입력의 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2 유형 사용자 입력”은 “전기적 사용자 입력”으로서, 제2 유형 사용자 입력은 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전기적 (사용자) 세부입력도 취득할 수 있는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해당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특정 펜이나 웨어러블 기기, 기타 이동식 기기 등을 이용하여 직류 또는 교류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 유닛에 제공하거나, 타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신체 부위의 전기적 생체 정보를 제2 유형 사용자 입력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생체 정보의 예로는 심전도(ECG), 근전도(EMG), 뇌전도(EEG), 신체의 특정 부위에서 측정한 기타 전기적 신호 등이 있다.
제2 유형 사용자 입력은 전기적 사용자 입력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과도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형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전류, 전압, 이의 크기(또는 진폭), 위상각, 위상 지연, 주파수, 파장, (스칼라 또는 벡터) 유동(flux) 등이 있다. 제2 유형 사용자 입력은 입력 유닛의 적합한 부위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신체 부위 또는 물체의 “전기적 특징”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상기 부위나 물체의 전기 저항, 전기 전도도, 정전 용량, 유전율(permittivity), 열전기(thermoelectricity) 및 유전 특성(dielectric property) 등이며, 상기 전기적 특성은 정적(또는 동적) 전기장이나 자기장에서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정전 용량형 입력 유닛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사용자 지문 역시 제2 유형 사용자 입력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3 유형 사용자 입력”은 “자기적 사용자 입력”으로서, 제3 유형 사용자 입력은 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자기적 (사용자) 세부입력도 취득할 수 있는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제공되는 자기적 신호에 해당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특정 펜, 웨어러블 기기 또는 기타 이동식 기기를 이용하여 직류 또는 교류의 자기적 신호를 입력 유닛에 제공하거나, 다른 터미널을 이용하여 자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신체 부위의 자기적 생체 정보를 제3 유형 사용자 입력으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상기 생체 정보의 예는 자기 심전도(MCG, 즉 magnetocardiogram), 자기 근전도(MMG, 즉 magnetomyogram), 자기적 뇌전도(MEG, 즉 magnetoencephalogram), 신체 특정 부위에서 측정한 기타 자기적 신호 등이다.
제3 유형 사용자 입력은 자기적 사용자 입력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과도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유형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B-자기장 또는 H-자기장의 크기 또는 방향, 자극(magnetic pole)의 수효, 위상각, 위상 지연, 주파수, 파장, (스칼라 또는 벡터) 유동 등이다. 제3 유형 사용자 입력은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상기 입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자가 이용하는 신체 부위나 물체의 “자기적 특성”도 포함하며, 이러한 자기적 특성의 예로는 상기 부위나 물체의 자기 극성, 자기 투과성(permeability), 자기 민감도(susceptibility) 등이 있고, 상기 특성은 정적(또는 동적) 자기장(또는 전기장)에서 측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4 유형 사용자 입력”은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으로서, 제4 유형 사용자 입력은 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입력으로부터 전자기적 (사용자) 세부입력도 취득 가능한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제공되는 전자기적 파동에 해당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특정 펜, 웨어러블 기기(즉 시계, 반지, 목걸이, 팔찌, 렌즈, 안경 등), 기타 이동식 기기를 이용하여 전자기파를 입력 유닛에 제공하거나, 다른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적 파동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사용자는 가시광선 영역, UV, IR 또는 기타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얼굴, 홍채, 망막이나 기타 신체 부위 등 “신체 부위의 이미지” 또는 “비사용자 물체”의 이미지를 입력 유닛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는 정적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의 조합 등일 수 있다. 제4 유형 사용자 입력을 가시광선 대역의 전자기파로 제공할 경우, 상기 입력은 “광학적 사용자 입력”에 해당할 수도 있다.
제4 유형 사용자 입력은 전자기적 사용자 입력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과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유형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전자기파의 진폭, 위상각, 위상 지연, 파장, 주파수, (스칼라 또는 벡터) 유동 등이 있다. 제4 유형 사용자 입력이 상기 이미지이면, 이러한 제4 유형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이미지의 컬러(일예로 색조(hue), 색값(color value), 강도(intensity) 등), 크기, 색상 대비,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내용, 상기 이미지의 배열이나 지향(orientation) 등이다. 상술과 같이 전자기적 제4 유형 사용자 입력은 하나 이상의 전자기적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5 유형 사용자 입력”은 “음향적 사용자 입력”으로서, 제5 유형 사용자 입력은 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음향적 (사용자) 세부입력도 취득할 수 있는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제공되는 음파(acoustic wave)에 해당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특정 펜, 웨어러블 기기(즉 시계, 밴드, 반지, 목걸이, 팔찌, 귀걸이, 렌즈, 인조 손톱, 장갑, 헬멧, 모자, 혁대, 고글, 안경, 신발 등), 기타 착용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음파를 입력 유닛에 제공하거나, 다른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음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이나 자신의 신체 부위로 생성한 소리(일예로 박수, 손가락 스냅 등)를 입력 유닛에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와 관계없는 소리를 입력 유닛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소리는 가청 주파수 이내의 음파, 초음파 또는 기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파일 수 있다.
제5 유형 사용자 입력은 음향적 사용자 입력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과도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5 유형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음파의 진폭, 위상각, 위상 지연, 파장, 주파수, 유동 등이 있다. 제5 유형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의 음성이나 신체 부위에 의한 소리일 경우, 제5 유형 사용자 입력은 음성이나 소리의 길이(duration), 음(tone), 엔빌로프(envelope), 상기 음성이나 소리의 소스의 위치 등일 수 있다. 또한 제5 유형 사용자 입력은 하나 이상의 음향적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상술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의 시간에 따른 변화일 수 있으며, 일예로 시간에 따른 상기 움직임의 변화, 시간에 따른 입력 유닛에 제공하는 힘의 크기의 변화 등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예이다. 사용자 입력은 상술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의 공간적 변화일 수 있으며, 일예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입력 유닛을 접촉하는 위치의 변화, 사용자가 입력 유닛의 특정 부위에 제공하는 힘의 분포의 변화 등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예이다.
1-11. 단일의 사용자 입력
섹션 1-9에서 정의한 “동시”와 마찬가지로, “단일의 동시의 노력(또는 행동)”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단일의 노력(또는 행동)” 또는 “단일의 노력” 등으로 약칭하며, 이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실행한 단일의 노력(또는 행동) 또는 [2] 사용자가 동시에 실행한 동일 또는 상이한 다수의 노력(또는 행동)을 지칭한다. 따라서 다수의 “노력 또는 행동”(이후 “노력”으로 약칭)이 동시에 일어나려면, 터미널의 프로세서의 클럭 주기 상 사용자가 다수의 노력들을 동시에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공통 클럭 주기가 존재해야 한다. 즉 다수의 노력들은 하나 이상의 공통 클럭 주기에서 서로 중첩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세 개 이상의 노력(또는 행동)들을 실행할 경우, 상기 노력(또는 행동)의 “동시” 여부는 섹션 1-9 및 [도3]에서 설명한 “동시”의 정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이상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입력”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 또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으로서, 섹션 1-10의 설명과 같이 직접적 조작, 간접적 조작 또는 기타 조작을 통하여 상기 제1 유형 사용자 입력 내지 제5 유형 사용자 입력 중 하나 이상을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입력 유닛에 제공하는 입력을 지칭한다. 즉 사용자가 단일의 노력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입력들을 동시에 제공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들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다수의 노력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입력들을 동시가 아닌, 순차적으로 제공할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들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이 아니라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제1 유형 사용자 입력 또는 단일의 제3 유형 사용자 입력은 각각 사용자의 (단일의) 동시의 노력을 통하여 입력 유닛에 제공된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두 개의 제1 유형 사용자 입력들을 (단일의) 동시의 노력을 통하여 입력 유닛에 제공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들 역시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세 개의 제5 유형 사용자 입력들을 (단일의) 동시의 노력을 통하여 입력 유닛에 제공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들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일의 제1 유형 사용자 입력과 세 개의 제4 유형 사용자 입력들을 (단일의) 동시의 노력으로 입력 유닛에 제공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 입력들도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제1 입력 유닛을 손가락으로 누르며 제1 입력 유닛 위로 상기 손가락을 이동시킬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손가락으로 제1 입력 유닛을 계속 누른 채 (즉 제1 입력 유닛으로부터 상기 손가락을 떼지 않은 채)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상기 누름과 상기 이동은 사용자의 단일의 동시의 노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왜냐하면 터미널의 프로세서의 클럭 주기 관점에서 보았을 때, 사용자는 상기 누름과 이동을 하나 이상의 공통 클럭 주기에 실행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용자가 제1 입력 유닛을 누르던 손가락을 상기 유닛으로부터 떼고, 손가락을 이동한 후 다시 제1 입력 유닛을 누르면, 상기 누름과 이동 사이에는 시간적 공백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과 상기 이동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동시의)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지 않는다. 단 하술의 섹션 1-12에서와 같이, 상기 시간적 공백이 일예로 1.5초, 1.0초, 0.5초 또는 0.3초 보다 짧을 경우, 상기 누름과 상기 이동은 단일의 (동시)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제2 입력 유닛을 접촉하며 카메라를 응시하는 등으로 제3 입력 유닛에 자신의 얼굴 이미지를 제공한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접촉 도중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는 경우, 프로세서 클럭 주기에서 사용자가 상기 접촉과 이미지 제공을 동시에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공통 클럭 주기가 존재하는 이상, 상기 접촉 및 이미지 제공은 단일의 (동시의) 노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 및 이미지 제공 사이에 어떤 시간적 공백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단일의 (동시의) 노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제1 입력 유닛을 제1 손가락으로 누르는 반면 제4 입력 유닛을 제2 손가락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프로세서 클럭 주기 상 사용자가 상기 누름과 접촉을 동시에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공통 클럭 주기가 존재하는 한, 또는 상기 누름과 접촉 사이에 시간적 공백이 없는 이상, 상기 누름과 접촉은 단일의 (동시) 노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거주하는 세계는 초, 시간, 날, 주, 달, 년 등으로 정의되는 반면, 터미널의 프로세서가 활동하는 세계는 나노 초나 피코 초 단위로 정의된다. 따라서 터미널의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작업(또는 스텝)과 관련된 “동시의” 또는 “순차적”에 대한 상기 정의는 상기 작업(또는 스텝)에 사용자 입력은 물론 한 번 실행하는 데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 사용자의 노력의 특성을 감안하여 수정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순간적으로(일예로 단일의 클럭 주기 또는 5~6개의 클럭 주기 동안)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없으며, 기껏해야 프로세서의 수백만 클럭 주기에 해당할 수 있는 0.1초나 1초 등과 같은 일정 시간에 걸쳐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 세부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설명하는 [도4]는 동시에 실행되는 작업(또는 스텝)들을 사용자 입력을 감안하여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프로세서의 클럭 주기에 따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4]의 패널 (A)의 경우, 터미널 또는 프로세서(이후 “터미널”로 약칭)는 클럭 주기 004~013에서 작업(또는 스텝) A1을 실행하며, 클럭 주기 009~019에서 작업(또는 스텝) A2를 실행한다. 상기 정의에 의하면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A1과 A2를 동시에 실행한다. 왜냐하면 상기 A1 및 A2가 5개의 클럭 주기 009~013에서 중첩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는 클럭 주기 003~1,000,003에서 사용자 입력(UI1)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UI1 제공 기간은 A1 및 A2를 실행하는 클럭 주기를 포함하며,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 UI1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상기 작업(또는 스텝) A1 및 A2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4]의 패널 (B)의 경우, 터미널은 단일 클럭 주기 023에 작업(또는 스텝) B1을 실행하고, 클럭 주기 014~029에 작업(또는 스텝) B2를 실행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B1 및 B2를 동시에 수행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클럭 주기 003~1,000,003에 사용자 입력(UI2)를 제공할 경우, UI2의 클럭 주기는 B1 및 B2를 실행하는 클럭 주기를 포함하므로,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 UI2를 고려하였을 때 B1 및 B2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4]의 패널 (C)의 경우, 터미널은 클럭 주기 006~014에 작업(또는 스텝) C1을 실행하고, 클럭 주기 014~022에 작업(또는 스텝) C2를 실행하며, 클럭 주기 020~032에 다른 작업(또는 스텝) C3를 실행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C1과 C2를 동시에 수행하고, 또한 작업(또는 스텝) C2와 C3도 동시에 실행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작업(또는 스텝) C1과 C3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바, 그 이유는 C1과 C3는 어떤 클럭 주기에서도 서로 중첩되지 않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클럭 주기 003~1,000,003에 사용자 입력(UI3)을 제공할 경우, UI3 의 클럭 주기는 작업(또는 스텝) C1, C2 및 C3를 실행하는 클럭 주기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UI3)를 고려할 경우, 작업(또는 스텝) C1 및 C2를 동시에, 작업(또는 스텝) C2 및 C3를 동시에, 작업(또는 스텝) C3 및 C1을 동시에, 또한 작업(또는 스텝) C1, C2 및 C3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단일의 노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입력 유닛에 제공할 때 능동적 또는 자발적 행동을 수행함으로써 “단일의 능동적 노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단일의 능동적 노력의 예로는 [1] 사용자가 능동적 행동으로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조작하는 노력, 또는 [2] 사용자가 능동적 행동(일예로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카메라를 응시하거나 마이크에 말을 하는 등)으로 특정 이미지 또는 음성을 입력 유닛에 제공하는 노력 등이 있다.
이에 대한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수동적으로 또는 비자발적으로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입력 유닛에 제공하는 단일의 수동적 노력, 또는 단일의 비활동 노력”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능동적 또는 자발적 행동을 수행하지 않아도, 터미널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이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자발적으로 카메라를 응시하지 않는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취득한 후 상기 이미지를 사용자 입력으로 처리한 경우, 사용자는 터미널에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단일의 수동적 노력을 수행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이 타인에게 말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취득하고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음성을 사용자 입력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사용자도 단일의 비활동 노력을 수행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 사용자에게 주위 환경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리를 녹음하도록 요구하지 않지만 터미널이 상기 소리를 취득하고 이를 사용자 입력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역시 단일의 수동적 노력을 수행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단일의 노력”은 “단일의 능동적 노력”은 물론 “단일의 수동적 노력”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1-12. 다수의 반복 노력
섹션 1-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또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단일의 노력”을 수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입력 유닛에 제공한 입력을 의미한다. 하지만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일한 노력을 여러 번 빨리 반복(즉 “반복 노력”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복 노력의 예로는 빠른 더블 클릭, 빠른 더블 탭, 세 번의 빠른 클릭이나 탭 등이 있다. 다수의 클릭(또는 탭)의 각각의 클릭(또는 탭)은 다른 클릭(또는 탭)과 시간적 공백에 의하여 분리되며, 따라서 상기 반복 노력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이 아니라고 간주될 수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용자는 다수의 빠른 클릭(또는 탭)을 수행하여 터미널에 단일의 특정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며, 터미널 역시 상기 빠른 반복 노력을 단일의 특정 사용자 입력으로 인지하기도 한다. 일예로 터미널은 단일의 탭 수신에 대응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으로 간주하고 제1 작업을 실행하는 반면, 더블 탭의 수신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으로 간주하고 제2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1.5초, 1.0초, 0.5초 또는 0.3초 이내에 다수의 노력을 빨리 수행하는 “반복 노력”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한다. 또 터미널은 제어 세팅에 따라 사용자가 1.7초, 2.0초 또는 3.0초 이내에 수행하는 반복 노력도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반복 노력도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동일한 노력을 반복하는 다수의 빠른 클릭, 탭 등과는 달리, “반복 노력”은 사용자가 실행하는 상이한 노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사용자는 상이한 신체 부위나 상이한 물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거나, 상이한 입력 유닛에 상이한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에서, 사용자는 제1 입력 유닛의 일부분(일예로 버튼)을 1회 조작(또는 접촉)하며, 동시에 제2 입력 유닛(일예로 마이크)에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촉과 발성이 하나 이상의 클럭 주기에서 중첩될 경우, 이들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심지어 사용자가 제1 입력 유닛의 상기 부분을 접촉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제2 입력 유닛에 음성을 제공하더라도, 상기 시간적 공백이 1.5, 1.0, 0.5, 또는 0.3초 보다 짧으면, 상기 접촉과 발성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가 제3 입력 유닛(일예로 터치 스크린)의 일부분을 포인터나 스타일러스로 1회 누르며 이와 동시에 제4 입력 유닛(일예로 카메라)를 응시할 경우, 상기 누름과 상기 응시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설령 사용자가 제3 입력 유닛의 일부를 누르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즉 시간적 공백 존재) 제4 입력 유닛을 응시하더라도, 상기 누름과 응시 사이의 시간적 공백이 1.5, 1.0, 0.5 또는 0.3초 보다 짧을 경우, 상기 누름과 응시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는 동일한 노력을 반복하며 “반복 노력”을 하되, 상기 노력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을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특성의 예로는 상기 노력의 기간, 강도나 정도, 방향, 두 노력 사이의 시간적 공백, 두 노력 사이의 시간적 중첩, 상기 노력의 횟수, 상기 노력의 순서 등이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입력 유닛의 일부분을 누르는 중, 상기 부분을 더 세게 누르거나, 상기 부분을 누르는 방향을 바꾸거나, 상기 부분에서 손을 떼지 않은 채 상기 부분을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터미널이 상이한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상이한 “반복 노력”을 실행할 수 있다.
1-13. (사용자) 세부입력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세부입력” 또는 간략히 “세부입력”은 입력 유닛이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의 요소이다. 따라서 “(사용자) 세부입력” 또는 “세부입력”은 사용자 입력의 기본 요소이다. 상기 “세부입력”을 취득하기 위하여, 입력 유닛은 하나 이상의 센서 요소(또는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의 구조적 특징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징은 상기 센서가 취득해야 할 “세부입력”의 특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입력 유닛이 기계적, 제1 유형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입력 유닛은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기계적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는 기계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입력 유닛이 음향적, 제5 유형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2 입력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음향적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는 음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사용자 입력은 다수의 (사용자) 세부입력들 중 하나 이상의 세부입력을 포함하며, 이러한 세부입력의 예로는 [1]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 (UISWI), [2] 활성화용 (사용자) 세부입력 (UIACT), [3] 인증용 (사용자) 세부입력 (UITHEN), 또는 [4] 보조 (사용자) 세부입력 (UIAUX) 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입력 유닛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입력 유닛의 적정한 센서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하였다고 간주한다.
특히 오프 상태로부터 다른 모드로 또는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은 UISWI를 포함하며, 옵션으로 UIACT, UITHEN 또는 UIAUX 등의 기타 세부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고,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한다. 이 때 터미널은 특정 계층에 속하는 동시에 터미널이 “실제로” 정의한 다수의 모드의 세트로부터 상기 신규 모드를 선택한다. 하술에서 설명하겠지만, 인증 작업 또는 활성화 작업 등 상이한 작업의 실행 결과를 조건으로 하여 모드 이동 작업(즉 모드 스위칭)을 실행할 경우, 터미널은 UISWI를 포함하지 않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에도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에 특정 수효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또는 (사용자) 세부입력의 취득에 대응하여 다양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수효의 (사용자) 세부입력이 포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제2 수효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수효는 상기 제2 수효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UISWI를 취득함에 따라(즉 상기 취득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인증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터미널이 UISWI의 취득에 대응하여(즉 상기 취득에 따라) 영상 유닛을 켤 경우, 사용자 입력은 UITHEN이나 UIACT를 포함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제1 수효는 제2 수효보다 적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 수효가 제2 수효보다 클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미널은 이로부터 UIACT, UITHEN 및 UISWI를 취득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 작업에 성공한 경우에만 영상 유닛을 켜고 신규 모드로 이동한다. 만일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어떤 작업도 실행하지 않은 채 오프 상태 또는 현재 모드에 머문다. 이 경우, 세 개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한 터미널은 실제로 1개의 작업만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수효는 제2 수효보다 클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수효는 제2 수효보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고, 제1 수효와 제2 수효는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수효와 제2 수효가 동일하더라도, 터미널이 실제로 실행하는 작업은 단일 또는 다수의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세부입력에 상응하지 않을 수도 있다.
1-13-1. 활성화용 (사용자) 세부입력 (UI ACT )
본 명세서의 다양한 (사용자) 세부입력 중 첫 번째는 “활성화용 (사용자) 세부입력,” “활성화용 세부입력” 또는 간략히 UIACT이다. 터미널은 UIACT를 포함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또는 UIACT의 취득에 대응하여 활성화 작업을 실행하고, 영상 유닛을 켠다. 즉 UIACT는 터미널을 활성화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활성화용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하는 입력 유닛을 활성화용 입력 유닛이라 하며, 활성화용 입력 유닛의 센서는 활성화용 센서라 지칭한다.
터미널이 다수의 영상 유닛들을 포함하면, UIACT는 터미널로 하여금 하나 이상 또는 모든 영상 유닛을 켜도록 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UIACT의 취득에 대응하여 영상 유닛을 켜는 작업의 미실행 또는 잔여 스텝들 중 하나 이상의 스텝을 실행(또는 실행하기 시작)하므로, UIACT가 없으면 터미널(즉 CPU 유닛, 운영체계 또는 소프트웨어 앱)은 활성화 작업의 실행 또는 영상 유닛을 켜는 작업 등을 실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활성화용 입력 유닛은 터미널이 UIACT라고 인지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로 인하여 터미널로 하여금 활성화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는 기존의 활성화용 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활성화용 입력 유닛은 UIACT에 대응하여 기계적,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적으로 구동하며, 상기 활성화용 센서를 이용하여 기계적,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적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단 활성화 작업 실행이 다른 작업의 실행 결과를 조건으로 할 경우, 터미널은 활성화 작업을 실행하거나 영상 유닛을 켜기 위하여 UIACT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UIACT의 수신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할 때마다 영상 유닛을 켤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시점들에 UIACT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시점의 예로는 [1] UISWI, UITHEN 및 UIAUX 중 하나의 세부입력을 제공함과 동시, [2] 단일의 입력 유닛을 조작하거나 다수의 입력 유닛들을 동시에 조작하면서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과 동시, 또는 [3] 단일의 입력 유닛의 상이한 부위들을 순차적으로 조작하거나 다수의 입력 유닛들을 순차적으로 조작하면서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시점 등이 있다. 사용자는 단일의 입력 유닛, 다수의 입력 유닛 또는 단일의 입력 유닛의 두 개 이상의 부위를 동시에 조작하며 UISWI, UIACT 또는 UIACT 중 하나 이상과 함께 UIACT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1-13-2. 인증용 (사용자) 세부입력 (UI THEN )
본 명세서의 다양한 (사용자) 세부입력 중 두 번째는 “인증용 (사용자) 세부입력,” “인증용 세부입력” 또는 간략히 UITHEN이다. 터미널은 UITHEN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또는 UITHEN의 취득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인증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증한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증용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하는 입력 유닛을 인증용 입력 유닛이라 지칭하며, 인증용 입력 유닛의 센서는 인증용 센서라 지칭한다.
터미널이 사용자 인증에 특화된 다수의 입력 유닛을 포함할 경우, UITHEN은 터미널로 하여금 하나 이상 또는 모든 입력 유닛들을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이 UITHEN을 수신하면, 터미널은 인증 작업의 미실행(또는 잔여) 스텝들의 하나 이상의 스텝을 실행(또는 실행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UITHEN이 없으면, 터미널(즉 CPU 유닛, 운영체계 또는 소프트웨어 앱)은 어떤 인증 작업도 실행하지 못한다.
인증용 입력 유닛은 터미널이 UITHEN이라고 인지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또한 터미널이 하나 이상의 인증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는 기존의 인증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용 입력 유닛은 기계적, 전기적, 광학적 또는 자기적으로 구동하며, 인증용 센서는 UITHEN에 대응하여 각각 기계적, 전기적, 광학적 또는 자기적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하지만 인증 작업 실행이 다른 작업의 실행 결과를 조건으로 할 경우, 터미널은 인증 작업 실행을 위해 항상 UITHEN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UITHEN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경우의 예는 [1] 터미널이 UISWI의 취득에 대응하여 모드를 이동할 때마다 인증 작업을 실행하거나, [2] 사용자가 현재 모드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신규 모드로 이동할 때마다 인증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3] 터미널이 운영체계나 소프트웨어 앱의 특정 실행 순서를 따를 때마다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 등이다.
터미널은 사용자와 관련된 또는 사용자와는 무관한 다양한 정보를 UITHEN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UITHEN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이거나, 생체 정보에 해당하거나,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의 예로는 지문, 손, 손바닥, 손목, 눈, 홍채, 망막, 귀, 코, 얼굴, 기타 신체 부위, 혈관, 혈관 분포 패턴, 혈유량(blood flow rate), 혈류 패턴 등과 같은 신체 부위나 상기 부위의 이미지, [2] 사용자의 상기 생체 정보를 나타내거나 이와 관련된 저항, 전도도 또는 정전 용량 관련 신호 등의 전기적 신호, [3] 사용자의 상기 생체 정보를 나타내거나 이와 관련된 광학적 또는 자기적 신호, [4] 음성, 손가락 스냅, 박수 등의 사용자 관련 소리 또는 상기 생체 정보와 관련된 소리, 또는 [5] 체온, 혈압, 심전도(ECG), 심장 박동수, 기타 심장순환계 특성, 호흡 횟수나 소리, 기타 호흡계 특성, 위장이나 장 운동과 관련된 기타 소화계 특성, EMG, EEG, 기타 근육 및 골격 특성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학적 특성이 있다.
또한 UITHEN은 동적 생체 정보이거나, 동적 생체 정보에 해당하거나, 또는 동적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적 생체 정보의 예로는 신체 부위의 움직임 또는 변위, 상기 움직임 또는 변위의 속도나 가속도, 상기 부위의 (2-D 또는 3-D) 위치, 상기 부위에 의한 제스처 등이 있다.
사용자는 비생체 정보를 UITHEN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UITHEN은 비생체 정보에 해당하거나, 비생체 정보이거나, 비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생체 정보의 예로는 암호나 패스코드, 사용자와 관련되지 않은(즉 비사용자) 이미지, 비사용자 소리, 비사용자 빛 또는 비사용자 음파 또는 비사용자 전자기파 등이 있다.
터미널은 자체의 정적 특성이나 동적 특성을 UITHEN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자신의 특정 부위의 움직임, 상기 움직임의 속도나 가속도, 상기 움직임에 의한 변위나 위치, 상기 움직임의 횟수나 순서, 상기 움직임의 기간 또는 지향(orientation, 일예로 위쪽, 아래쪽, 특정 각도로 기울어짐 등), 또는 이와 관련된 기타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UITHEN으로 사용하며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미널과 사용자 사이의 합의가 존재하는 한, 터미널은 어떤 종류의 정보도 UITHEN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조작을 통하여 터미널에 상술의 UITHEN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조작의 예로는 [1] 단일의 인증용 입력 유닛의 단일의 부위의 조작, [2] 단일의 인증용 입력 유닛의 다수의 부위의 조작, 또는 [3] 두 개 이상의 인증용 입력 유닛의 두 개 이상의 부위의 조작 등이 있으며, 특히 사용자는 앞의 [2]나 [3]의 조작을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이의 혼합으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시점에 터미널에 UITHEN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점의 예로는 [1] UISWI 또는 UIACT 중 하나를 제공함과 동시, [2] UISWI 및 UIACT를 모두 제공함과 동시, 또는 [3] UISWI, UIACT 및 UIAUX를 모두 제공함과 동시 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1] 단일의 사용자 입력에 상기 세부입력들을 모두 포함시키고 이를 단일의 입력 유닛에 제공하거나, [2] 다수의 세부입력들을 다수의 사용자 입력에 포함시키고 이를 단일의 입력 유닛에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3] 다수의 세부입력들을 다수의 사용자 입력에 포함시킨 후, 이를 다수의 입력 유닛에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유닛에 UITHEN을 제공하기 위한 자발적 액션을 실행하는 “단일의 능동적 노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자발적 액션의 예로는 [1] 지문 관련 UITHEN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증용 입력 유닛 위로 손가락을 접촉하는 액션, [2] 지문 관련 UITHEN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증용 입력 유닛을 누르는 액션, [3] 얼굴, 홍채, 망막 등의 이미지에 대한 UITHEN을 제공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응시하는 액션, 또는 [4] 자기 음성에 대한 UITHEN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이크에 말을 하는 액션 등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UITHEN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자발적 액션을 실행하는 “자발적 반복 노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자발적 액션을 실행하도록 요구하지 않은 채, 하나 이상의 UITHEN을 주도적으로 취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1]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카메라를 응시하지 않더라도, 또는 [2] 사용자가 타인에게 말하며 마이크를 향하여 자발적으로 말하지는 않더라도, 터미널은 사용자의 눈의 이미지, 사용자의 음성, 또는 주위 환경의 소리 등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THEN을 취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경우 사용자는 입력 유닛에 UITHEN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자발적 액션을 실행하는 “단일의 수동적 노력”을 수행하였다고 간주한다.
일단 터미널의 입력 유닛이 사용자로부터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입력 유닛의 센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THEN을 취득한다. 상기 UITHEN의 취득에 대응하여, 터미널(즉 소프트웨어 앱, 프로세서, 또는 운영체계)은 인증 작업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기 시작하고, 현재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는 지 결정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터미널은 (1) UITHEN을 터미널이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하는 (상기 인증 작업의) “비교단계들”을 실행하고, 또한 (2) 현재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증 작업을 성공 또는 실패하는 지를 결정하는 (상기 인증 작업의) “결정단계들”을 실행한다.
1-13-3.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 (UISWI)
본 명세서의 사용자 세부입력의 세 번째는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 또는 “모드 이동 세부입력,” 이를 간략히 표시하면 UISWI이다. 터미널은 [1]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또는 [2] UITHEN의 취득에 대응하여,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며, 이에 따라 터미널을 [1] 정전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한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이동하도록 하거나, [2]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도록 한다. 터미널은 모드 이동을 하술의 “모드 이동 시점”에 실행할 수 있다. 단 터미널(즉 소프트웨어 앱, 프로세서 또는 운영체계)은 UISWI의 취득에 대응하여 모드 이동 작업의 하나 이상의 미실행(또는 잔여) 스텝을 실행(또는 실행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UISWI가 없으면 터미널은 어떤 모드 이동 작업도 실행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UISWI를 수신하는 입력 유닛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이라 지칭하며, 상기 입력 유닛은 “모드 이동용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섹션 1-4의 정의와 같이 본 명세서의 “모드 스위칭” 또는 “모드 이동”은 [1] 정전 상태로부터 특정 모드로의 이동, [2] 오프 상태로부터 특정 모드로의 이동, [3] 온 상태(즉 전원이 완전히 꺼져 있지 않고, 터미널은 통신이 가능하며, 영상 유닛이 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의 이동, [4] 온 상태의 특정 모드로부터 오프 상태로의 이동, 또는 [5] 온 상태의 특정 모드로부터 정전 상태로의 이동 등을 통칭한다.
모드 이동 시 터미널은 “매칭 리스트”를 참고하고 UISWI에 근거하여 신규 모드를 선택하되, 상기 “매칭 리스트”는 특정 계층에 터미널이나 사용자가 정의한 다수의 (작업) 모드들 각각을 다수의 UISWI 각각과 매칭(또는 상응)하는 리스트를 지칭한다. 단 다수의 UISWI들과 다수의 (작업) 모드들은 매칭 리스트에 이미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UISWI로부터 신규 모드를 선택하는 스텝은 단순히 매칭 리스트에서 특정 엔트리(사용자가 제공한 UISWI)에 상응하는 다른 엔트리(미리 정의된 다수의 모드들 중 터미널이 취득한 UISWI에 상응하는 모드)를 정확히 찾아내는 스텝에 불과하다. 따라서 매칭 리스트에서 정확한 엔트리를 선택하는 스텝은 UITHEN을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는 인증 작업의 “결정단계들”과는 다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제공한 UITHEN은 부정확할 수 있거나 옳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터미널이 미리 저장한 인증 정보에 상응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다양한 UISWI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1] 사용자가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움직이는 부위를 조작하는 제1 움직임을 통하여, [2]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와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접촉시킨 후, 상기 접촉을 유지한 채 상기 신체 부위를 상기 입력 유닛 위에서 이동시키는 제2 움직임을 통하여, [3] 비사용자 물체와 상기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접촉시킨 후, 상기 접촉을 유지한 채 상기 물체를 상기 입력 유닛 위에서 이동시키는 제3 움직임을 통하여, 또는 [4] 하나 이상의 사용자 부위(또는 비사용자 물체)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상기 부위나 물체를 상기 입력 유닛의 상기 부위에 대하여 움직이는 제4 움직임을 통하여, UISWI를 터미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1] 위 문단의 제1 내지 제4 움직임의 종류, 성질 또는 패턴이 변함에 따라, [2] 상기 제1 내지 제4 움직임의 정도, 크기 또는 진폭이 변함에 따라, [3] 상기 제1 내지 제4 움직임의 방향이 변함에 따라, [4] 상기 제1 내지 제4 움직임 중 최소 2개 이상의 움직임의 순서가 변함에 따라(단 상기 2개 이상의 움직임은 동일한 움직임의 반복이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음), 또는 [5] 상기 제1 내지 제4 움직임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이 변함에 따라, 상이한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에 제공함으로써 UISW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사용자 입력은 다른 세부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단일 또는 다수의 부위에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UISW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입력은 UISWI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다수의 입력 유닛에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UISW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다수의 입력 유닛 중 하나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기능을 담당하며, 다수의 사용자 입력 중 하나가 UISWI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제공하면, 어떤 사용자 입력에 UISWI를 포함시키는지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터미널은 UISWI는 물론 다른 세부입력들도 동시에 취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경우, 특히 사용자가 영상 유닛을 켜거나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면서 이음새 없이 모드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UISWI를 제1 사용자 입력에 포함시킬 수 있다.
터미널이 UISWI를 취득함과 동시에 또는 그 후, 입력 유닛의 모드 이동용 센서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터미널의 다른 유닛에 전달한다. 터미널은 상기 매칭 리스트 관련 선택 스텝의 미실행(또는 잔여) 스텝을 실행할 수 있고, “모드 이동 작업”의 잔여 스텝들을 실행(또는 실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사용자는 단일의 신체 부위(또는 단일의 비사용자 물체)를 조작함으로써 UISWI를 사용자 입력에 포함시켜 터미널에 제공한다.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방법으로 UISWI를 취득한다.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의 신체 부위(또는 비사용자 물체)를 조작하여 단일의 사용자 입력에 UISWI를 포함시킬 경우에도,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방법으로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단일의 사용자 입력의 수신(일예로 사용자가 단일의 노력을 수행하였을 때)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다수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이 다수의 동시(일예로 사용자가 다수의 반복 노력들을 동시에 수행하였을 경우)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입력들에 포함된 다수의 세부입력들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수의 순차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였을 경우, 터미널은 다수의 사용자 입력들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사용자) 세부입력들을 동시에 취득할 수도 있다. 하술은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다.
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1]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움직이는 부위를 누르거나, 밀거나, 돌리거나, 회전시키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상기 부위를 조작하거나, 또는 [2] 사용자의 신체 부위나 비사용자 물체로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움직이는 부위 또는 고정된 부위를 만지거나 접촉할 수 있다. 입력 유닛은 이에 대응하여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과 본 섹션의 하술의 다양한 방법은 본 명세서의 다른 세부입력에도 적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단일의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가 단일 또는 다수의 액션을 실행해야 하는 단일의 노력에 의한 결과로서, 이의 예는 [1]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다른 신체 부위를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센서에 가까이 위치시킬 때, [2] 사용자가 지문, 홍채 또는 기타 생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인증용 입력 유닛의 인증용 센서를 활성화시킬 때, [3] 사용자가 입력 유닛의 움직이는(또는 고정된) 부위를 접촉하거나 또는 누를 때, 또는 [4] 사용자가 터미널을 깨우기(즉 영상 유닛을 켜기) 위하여 입력 유닛의 촉각 센서 또는 기타 활성화용 센서를 활성화시킬 때 등이다. 즉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다수의 액션을 실행하더라도, 미세한 시간 단위로 보면 상기 다수의 액션들은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입력 유닛의 제1 부위를 눌러서 UISWI를 제공하고 동시에 상이한 입력 유닛의 제2 부위를 접촉하여 UITHEN을 제공한 후, 사용자는 제2 부위로부터 손가락을 뗀 후 [1] 동일한 입력 유닛의 동일한 제2 부위나 상이한 제3 부위를 다시 접촉(즉 두 번째 접촉)하여 UIAUX를 제공하거나, 또는 [2] 상이한 입력 유닛의 특정 부위를 다시 접촉(즉 두 번째 접촉)하여 UIAUX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1]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며 두 번째 접촉을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가 상기 누름을 계속 유지하는 경우, 또는 [2] 상기 누름과 두 번째 접촉 사이에 시간적 중첩이 있는 경우, 상기 다수의 노력과 다수의 사용자 입력은 여전히 “단일의 사용자 입력”에 해당한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 터미널은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순차적으로 또한 시간적 중첩 없이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은 다수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일예로 [1]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조작 중 사용자가 모든 신체 부위 또는 모든 비사용자 물체를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로부터 분리시키거나(또는 떼거나), 또는 [2] 상기 조작을 완료하기 전 사용자가 모든 신체 부위 또는 모든 비사용자 물체를 입력 유닛의 상기 부위로부터 분리시키면, 터미널은 다수의 순차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게 된다. 터미널이 이와 같이 순차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1] 터미널이 모든 순차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다수의 세부입력들을 취득하기 시작하거나, 또는 [2] 터미널이 특정 (사용자) 세부입력의 수신을 조건으로 다른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하는 경우, 터미널은 상기 다수의 세부입력들을 동시에 취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UISWI를 특정 사용자 입력에 포함시킨 채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하나 이상의 입력 유닛에 동시에 제공하면,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방법에 따라 UISWI를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제1 입력 유닛을 조작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동일한 또는 상이한 입력 유닛을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는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사용자가 모든 사용자 입력의 제공을 완료할 때까지 세부입력 취득을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이 상기 세부입력들을 취득하기 시작할 경우, 상기 터미널은 다수의 세부입력들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 유닛의 제1 부위를 접촉하고, 자기 신체 부위를 상기 제1 부위에서 떼며(일예로 UITHEN의 제공), 그 후 동일한 또는 상이한 입력 유닛의 제2 부위를 누르면(일예로 UIACT의 제공), 사용자는 이러한 다수의 노력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입력 유닛으로부터 신체 부위를 떼기 전 제1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 유닛을 누른 후 제2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다. 단 [1] 사용자가 1.5초, 1.0초 또는 0.5초 이내에 입력 유닛의 제2 부위를 누를 경우, 또는 [2] 상기 세부입력들의 취득 시점이 터미널의 클럭 주기 상 하나 이상의 클럭 주기에서 겹칠 경우, 터미널은 상기 세부입력들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용자 입력의 동시 제공 또는 다수의 (사용자) 세부입력의 동시 취득은 중요할 수 있으며, 왜냐하면 터미널로 다수의 작업을 이음새 없이 실행하는 데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 입력의 동시 수신 또는 다수의 세부입력의 동시 취득이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의 반대도 성립할 수 있는 바, 터미널이 다수의 (사용자) 세부입력들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경우에도 터미널은 세부입력들을 순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사용자) 세부입력에 근거한 제2 작업의 실행이 제1 (사용자) 세부입력에 근거한 제1 작업의 실행 결과를 조건으로 할 경우, 제1 세부입력 및 제2 세부입력의 동시 취득 여부는 터미널의 이음새 없는 특성의 유지에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터미널은 이음새 없는 특성을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세부입력과 제2 세부입력을 순차적으로 취득할 수도 있다.
1-14. 입력 유닛
본 명세서에서 “입력 유닛”은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로서, 상술의 제1 내지 제5 유형 사용자 입력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기존의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또는 광학적 기기가 [1] 다양한 사용자 입력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2]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존의 센서를 포함하는 한, 터미널은 상기 기존 기기를 입력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입력 유닛이 UIACT를 수신하도록 지정되면, 상기 입력 유닛을 “활성화용 입력 유닛”이라 하며, 상기 입력 유닛은 하나 이상의 활성화용 센서를 포함한다. 특정 입력 유닛이 UITHEN을 수신하도록 지정되면, 상기 입력 유닛을 “인증용 입력 유닛”이라 하며, 상기 입력 유닛은 하나 이상의 인증용 센서를 포함한다. 또 특정 입력 유닛이 UISWI를 수신하도록 지정된 경우, 상기 입력 유닛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이라 하며, 상기 입력 유닛은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용 센서를 포함한다. 터미널은 상술의 활성화 작업, 인증 작업 또는 모드 이동 작업 이외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추가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입력 유닛을 “보조 입력 유닛”으로 지칭하고, 상기 보조 입력 유닛은 보조 (사용자) 세부입력(UIAUX)을 취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조 센서를 포함한다.
입력 유닛은 사용자 입력을 직접 수신하거나, 세부입력을 직접 취득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이로부터 하나 이상의 세부입력을 추출함으로써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도 있다. 즉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 수신 시점과 세부입력 취득 시점 사이의 시간적 공백 유무에 따라 [1] 사용자 입력 수신과 동시에 세부입력을 취득하거나,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순차적으로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다. 또는 제1 입력 유닛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2 입력 유닛이 상기 입력으로부터 세부입력을 추출함으로써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다.
입력 유닛의 센서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하며, 이에 따라 입력 유닛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세부입력의 수효와 동일한 수효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입력 유닛은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세부입력의 수효보다 적은 수효의 센서만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의 예로는 [1] 터미널이 단일의 세부입력 취득에 대응하여 다수의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 또는 [2] 터미널이 제1 작업의 실행 결과를 조건으로 하여 제2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 등이다.
터미널이 다수의 입력 유닛을 이용하여 다수의 세부입력을 취득할 경우, 각각의 입력 유닛은 단일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1개의 입력 유닛으로 1개의 세부입력을 취득하거나(즉 1대1), 1개의 입력 유닛으로 n개의 세부입력을 취득하거나(즉 1대n), m개의 입력 유닛으로 1개의 세부입력을 취득하거나(즉 m대1), 또는 m개의 입력 유닛으로 n개의 세부입력을 취득할(즉 m대n) 수 있으며, 이 때 m은 n은 자연수로서, m은 n 보다 크거나, 작거나, 또는 같을 수 있다.
입력 유닛의 유형과 속성에 따라 또는 터미널이 작업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입력의 수효에 따라, 입력 유닛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조작할 때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단일의 입력 유닛을 포함하며, [1] 동일한 또는 유사한 유형의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2] 상이한 유형의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3] 앞의 [1] 및 [2]의 조합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다수의 상이한 또는 동일한 종류의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이한 유형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이한 입력 유닛들을 이용하여 상이한 유형의 세부입력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중 상술의 제1 내지 제5 유형 사용자 입력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는 어떤 요소도 입력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하드웨어 요소도 입력 유닛으로 간주한다. 즉 터미널이 터치 스크린, 자이로스코프, 힘 변환기 등의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경우, 상기 요소를 별도의 입력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1] 터미널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UITHEN을 취득하거나, [2]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 움직임, 제스처 등을 감지하고 이로부터 UISWI를 취득하거나, [3] 힘 변환기를 이용하여 입력 유닛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측정한 후 이로부터 UIACT를 취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는 상술과 상이한 방법으로 세부입력을 취득하거나, 상기 위치, 움직임 또는 힘의 측정값으로부터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기존 입력 유닛을 활용할 수 있고, 상기 기존 입력 유닛은 AT&T 소유 미국 등록특허 제5,463,388호, 애플 소유 미국 등록특허 제7,479,949호, 제8,392,340호 및 제8,542,206호, 삼성전자 소유 미국 등록특허 제8,279,182호, 엘지전자 소유 미국 등록특허 제8,554,275호 등이다. 이 외의 다른 기존 입력 유닛도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에 장착할 수 있다.
1-15.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
본 명세서에서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요소”란 주 운영체계, 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칭한다. “소프트웨어 요소”는 “접근 가능 소프트웨어 요소”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특히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세트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간략히 “앱”은 터미널의 소프트웨어 요소 중 하나이며, 특정 작업을 실행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컴퓨터 명령체계(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세트를 의미한다. (소프트웨어) 앱은 CPU 유닛, 운영체계 또는 다른 앱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소프트웨어) 앱을 구동함으로써 특정 작업이 실행되거나 특정 기능이 수행된다. 또 (소프트웨어)앱을 구동하면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가 구동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에는 운영체계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하며, 따라서 상기 앱은 운영체계와 상이한 것으로 정의한다. 터미널의 제조사 또는 배급사는 터미널 판매 전 하나 이상의 앱을 상기 터미널에 장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터미널을 구입한 후 하나 이상의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 운영체계 또는 터미널에 이미 장착된 앱 역시 외부 메모리 기기 또는 웹사이트 등으로부터 신규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앱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이한 작업을 실행하거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이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사용자에게 특정 앱을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부여할 때, 터미널은 사용자가 현재 터미널을 구동하는 모드(즉 현재 모드) 또는 상기 모드에 부여한 접근 권한에 근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모든 옵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거나, 제한된 옵션만 사용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1-16. 작업 실행
본 명세서에서 (1) 주 시스템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는 주체는 터미널이고, 또한 (2) 주(또는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는 주체도 터미널이다. 특히 터미널의 운영체계, 하나 이상의 앱, CPU 유닛 등을 구동하면 터미널은 다양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터미널”이란 자신의 운영체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CPU를 통칭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CPU, 운영체계나 앱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구동하여 작업을 실행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작업을 실행하다”라는 문구는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다” 또는 “하나 이상의 소정의 작업을 실행하다”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상술의 “작업 실행”에는 다수의 스텝 중 하나 이상의 스텝이 포함되며, 상기 스텝의 예로는 [1] 터미널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회수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2] 작업 실행과 관련된 시스템 세팅, 사용자 세팅 또는 사용자 선호도 등을 회수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3]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에 대한 삭제 작업, 잠금 작업들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최소 일부분에 대한 삭제 작업, [4] 전력 공급 장치 가동 등과 같이 특정 작업의 실행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를 준비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5] 하드웨어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6]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요소 조작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컴퓨터 명령어의 실행 등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7] 상기 요소를 구동하여 얻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또는 [8] 상기 구동에 의하여 얻은 결과물을 저장하거나, 활용하거나 삭제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등이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다양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고, 일예로 터미널은 [1]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특정 데이터(또는 “결과물”)를 회수하거나, [2]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기 전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메모리 유닛을 지우거나, [3]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요소가 작업 실행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거나, [4] 컴퓨터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거나, 또는 [5] 컴퓨터 명령어를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눈 후 상기 부분들을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이의 혼합으로 실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터미널이 작업 실행을 위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 앱의 미실행(또는 잔여) 스텝들을 실행하지 않는 한, 상기 작업은 “중지”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터미널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또는 구동하기 시작)하고,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또는 실행하기 시작)한다. 또는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제1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고, 제2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또는 주도적으로) 제2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제1 요소를 구동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하였을 때 특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 한하여, 제2 요소를 구동하여 제2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구성을 지칭하여 "제1 요소를 구동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함을 조건으로 하여” 제2 요소를 구동하여 제2 작업을 실행한다고 표현한다.
본 명세서에서, 터미널은 [1]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에(즉 상기 수신에 대응하여) 또는 [2] 하나 이상의 세부입력 취득에 대응하여(즉 상기 취득과 동시에),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UIACT에 대응하여 활성화 작업을 실행하거나, [2] UITHEN에 대응하여 인증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3] UISWI에 대응하여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사용자 입력이 다수의 세부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터미널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다수의 요소를 구동하거나 또는 다수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다수의 요소들 또는 작업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1-17. 단일 화면과 모드 이동 작업
본 명세서에서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다” 또는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다”는 간략히 “모드 이동” 또는 “모드 스위칭” 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 이동이란 계층이 실제로 정의한 현재 모드에서 동일한 계층이 실제로 정의한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상기 현재 또는 신규 모드에는 동일한 계층이 실제로 정의한 모든 모드는 물론 오프 상태, 정전 상태도 포함된다. 상기 현재 모드나 신규 모드에는 온 상태도 내재적으로 포함되는 바, 그 이유는 잠금 모드, 중급 모드 및 해제 모드는 모두 온 상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모드 또는 신규 모드는 시동 상태도 포함하는 바, 그 이유는 잠금 모드, 중급 모드 및 해제 모드는 모두 시동 상태이기 때문이다.
“모드 이동” 또는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다”에는 다양한 스텝들이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텝들의 예로는 [1] 모드 이동 작업을 시작하는 스텝, [2] 특정 계층에 정의되어 있는 다수의 모드들을 포함하는 매칭 리스트로부터 UISWI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규 모드를 선택하는 스텝, [3] UISWI가 매칭 리스트의 다수의 모드들 중 어떤 모드에도 상응하지 않을 경우 특정 액션을 실행하는 스텝, [4]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또는 [5] 모드 이동 작업 실행을 완료하는 스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다양한 모드 이동 작업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모드 이동 작업은 아래의 요인들을 고려하여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요인들의 예로는 [1] 모드 이동 전 터미널이 정전 상태(powered-off state)에, 아니면 시동 상태(powered-on state)에 있는 지, [2] 모드 이동 전 터미널의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지(즉 오프 상태) 아니면 켜져 있는지(즉 온 상태), 또는 [3] 터미널이 모드 이동과 연동하여 (즉 모드 이동 전, 모드 이동 후 또는 모드 이동과 동시에)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지 여부 등이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오프 상태의 터미널이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UISWI에 근거하여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매칭 리스트는 터미널이 정의하는 모든 UISWI들 각각을 특정 계층에서 정의하는 모든 모드들 각각과 상응되도록 하며, 상기 신규 모드는 상기 매칭 리스트에서 UISWI에 상응하는 모드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모드 이동을 “제1 유형 모드 이동”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하지만 터미널이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면, 터미널은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이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해제 모드로 이동하고 영상 유닛에 해제(또는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1] 잠금 모드 또는 이와는 상이한 기본 설정 모드로 이동하여 잠금(또는 기본 설정)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2] 영상 유닛에 어떤 화면도 표시하지 않은 채 오프 상태에 머무를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THEN을 우선 취득하고, 그 후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에 한하여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의 인증 성공 여부와 무관하게 터미널은 UITHEN 및 UISWI를 동시에 취득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이 온 상태에서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상기 매칭 리스트에서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를 선택한 후,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모드 이동을 “제2 유형 모드 이동”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터미널이 사용자 인증을 도입할 경우, 터미널은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다양한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해제 모드로 이동하고 영상 유닛에 해제화면 또는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1] 잠금 모드 또는 이와는 상이한 기본 설정 모드로 이동하며 잠금 화면이나 이와는 상이한 기본 설정 화면을 표시하거나, [2] 현재 모드가 잠금 모드일 경우 잠금 화면을 표시하며 계속 잠금 모드에 머물거나, 또는 [3] 영상 유닛을 끄며 오프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THEN을 우선 취득하고,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에 한하여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사용자의 인증 성공 여부와 무관하게 UITHEN 및 UISWI를 동시에 취득할 수도 있다.
1-18. 다수 화면과 모드 이동 작업
섹션 1-17의 다양한 모드 이동 작업들은 주로 터미널이 단일의 영상 유닛을 구동하며 단일의 화면 또는 단일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특정 계층이 정의한 모드의 수효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한 번에 한 모드씩 머무르며 다양한 작업들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할 때마다, 사용자는 현재 모드에서만 실행 가능한 작업은 신규 모드에서는 더 이상 실행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터미널이 단일 또는 다수의 영상 유닛들에 다수의 화면이나 윈도우를 표시하는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섹션 1-17과는 상이한 방법으로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화면을 제공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화면에서는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작업을 실행하고, 제2 화면에서는 해제 모드에서 동일 또는 상이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터미널은 상술 및 하술의 다양한 모드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에 UISWI를 제공함으로써, 제1 모드에서 구동하는 제1 화면으로부터 제2 모드에서 구동하는 제2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기존의 터치 스크린 형태의 영상 유닛 위에서 신체 부위를 움직이거나 또는 터치 형태가 아닌 영상 유닛의 경우 커서를 조작함으로써 신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컴퓨터 구동 시 마우스를 조작함으로써 한 윈도우에서 다른 윈도우로 이동하며 작업하듯, 터미널의 한 화면으로부터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며 다양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주 시스템으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시킴으로써,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보안을 제고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이 주 시스템을 오염시키거나,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도 불구하고 주 시스템에 저장된 개인적 데이터를 보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며, 그 이유는 비인증 사용자가 잠금(또는 제한적) 모드에 침입한 후 동일한 다른 화면에 표시된, 즉 해제(또는 비제한적) 모드에서 구동되는 특정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다양한 시점에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사용자가 (제1 모드에서 구동하며 제1 접근 권한이 부여된) 제1 화면으로부터 (제2 모드에서 구동하며 제1 접근 권한보다 더 넓은 제2 접근 권한이 부여된) 제2 화면으로 이동할 때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반면, 제2 화면에서 상기 제1 화면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모드를 이동할 때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구동하다가 화면을 닫거나 또는 윈도우를 종료할 때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 실행 전 이의 실행을 확인하도록 요구하거나,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기 삭제(또는 부문삭제) 작업과 다른 작업의 실행을 동기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터미널이 상기 동기화를 구현하기 용이하거나, 사용자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경우 등이다.
다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터미널은 사용자가 화면을 이동할 경우,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잠금(또는 중급)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보유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영상 유닛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화면이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구동되는 화면인 경우, 또는 상기 화면이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하려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일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상기 화면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를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할 때 다양한 이유로 다수의 화면 중 하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잠금(또는 중급) 모드의 화면을 최소화하지만 추후 상기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작업을 다시 실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 삭제) 작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최대화할 경우, 터미널은 추가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특정 결과물을 다음 작업이나 다음 스텝에서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터미널은 화면을 최소화하기 전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저장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과 화면 이동 작업에 대한 상술의 동기화는 해제 화면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가 이미 인증된 사용자라 하더라도, 상기 화면 이동과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의 동기화는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보안을 더욱 강화하며 완전성도 향상시킴은 물론 주 시스템에 저장된 개인 정보 보호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1-19. 인증 작업
본 명세서에서 “하나 이상의 인증 작업을 실행하다” 또는 “인증 작업을 실행하다”라는 문구는 “사용자 인증(을 하다)” 또는 “인증(하다)”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인증 작업”은 터미널이 [1] (현재)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2] (현재) 사용자가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접근 권한이 있는지, [3] (현재)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지, 또는 [4] (현재) 사용자가 특정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며 특정 옵션을 사용할 수 있는 지, 등을 결정하는 작업을 지칭한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현재) 사용자로부터 취득한 UITHEN을 터미널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일예로 이미 저장되어 있는 UITHEN)와 비교할 수 있다.
인증 작업은 하술의 다수의 스텝들 중 하나 이상의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스텝들의 예로는 [1] 인증용 입력 유닛과 인증용 센서의 구동을 준비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2] 인증용 입력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3] 인증용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THEN을 취득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4] 취득한 UITHEN을 터미널에 미리 저장된 UITHEN 또는 다른 인증 정보와 비교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5]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는지(즉 패스) 또는 실패하는지(즉 실패)를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또는 [6] 인증 작업을 종료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작업은 위 문단의 [1]~[6]과 관련된 “저장 예정 결과물”을 사용 가능한 메모리 유닛(또는 섹터)에 임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취득한 UITHEN, [2] 취득한 UITHEN과 미리 저장된 UITHEN과의 차이, 또는 [3] 성공 또는 실패 등의 인증 작업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앞의 [1] 내지 [3]은 텍스트, 파일, 폴더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앞의 [1] 내지 [3]을 통칭하여 “결과물”이라 지칭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단일의 인증 작업만 실행하거나, 다수의 인증 작업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지문 인증 작업, 안면 인증 작업, 손(또는 손바닥) 인증 작업, 홍채(또는 망막) 인증 작업, 음성 인증 작업, 혈관 패턴 인증 작업 또는 기타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작업 등을 실행하기 위하여 다수의 인증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은 인증 작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술과는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켜며(또는 켜기 시작하며) 하나 이상의 인증용 센서의 구동을 준비하거나, 또는 터미널은 영상 유닛이 계속 꺼져 있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인증용 센서의 구동을 준비할 수 있다. 터미널은 UITHEN 또는 다른 세부입력의 취득과 동시에(즉 상기 취득에 대응하여) 인증용 센서의 구동을 준비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UITHEN을 취득한 이후 인증용 센서의 구동을 준비할 수도 있다. 그 후 터미널은 UITHEN을 이용하거나,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다른 인증용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상의 차이와는 관계없이, [1] 터미널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2] 터미널이 UITHEN을 취득할 때까지, [3] 터미널이 기타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때까지, 또는 [4]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한, 본 명세서에서는 “인증 작업”은 중지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바꾸어 말하면 [1] 터미널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UITHEN을 취득할 때까지, 또는 [2]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한, 인증 작업의 하나 이상의 미실행(또는 잔여) 스텝은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터미널이 UITHEN(또는 다른 세부입력)을 수신하기 전 또는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한, 인증 작업은 중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일단 UITHEN을 취득한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인증 작업의 하나 이상의 상기 미실행(또는 잔여) 스텝을 실행(하기 시작)하고, 터미널은 중지되어 있던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실행 또는 잔여 스텝을 실행함에 따라, 터미널은 인증 작업에 할당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생체정보 또는 비생체 정보를 UITHEN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생체 정보의 예로는 카메라나 스캐너 등 터미널의 이미지 확보 유닛을 이용하여 확보할 수 있는 사용자 신체 부위(일예로 지문, 손, 손바닥, 손목, 홍채, 망막, 눈, 귀, 코, 얼굴, 기타 부위, 혈관, 혈관 분포 패턴 등) 또는 상기 부위의 이미지 등이 있다. 상기 생체 정보의 추가 예로는 사용자 신체 부위의 전기적 또는 자기적 특성으로서 상기 부위의 전기 전도도 등이 그 예이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술과 같다.
생체 정보의 또 다른 예로는 사용자(또는 타인)의 음성이나 사용자(또는 타인의) 생리학적 특징 등이 있으며, 후자의 예로는 [1] 심장순환기의 특성(일예로 평균 혈압, 특정 부위의 혈압, 심장 박동수 등), [2] 호흡기의 특성(일예로 호흡 횟수, 호흡 소리 등), [3] 소화기의 특성(일예로 위장이나 내장의 움직임), 또는 [4] 기타 생리학적 특징, 상태 등이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상기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기존의 압력 센서, 유량 센서, 온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의 또 다른 예로는 사용자 신체 부위의 움직임 또는 변위, 상기 움직임의 속도나 가속도, 2-D 또는 3-D 공간에서의 위치, 제스처 등과 같은 사용자의 동적 생체 정보가 있다. 이와 다른 기존의 비생체 정보도 사용자 인증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생체 정보의 예로는 패스워드, 패스코드, 패스 제스처, 움직임의 패턴 등이 있다.
1-20. 활성화 작업
본 명세서에서 “활성화 작업”이란 터미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이동(하기 시작하는)하는 작업을 지칭하며, 상기 오프 상태는 터미널이 시동 상태에 있으며 통신이 가능하지만,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상태를, 상기 온 상태는 터미널이 시동 상태에 있으며, 통신도 가능하며, 영상 유닛도 켜져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활성화 작업은 영상 유닛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작업으로서 [1]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상태로부터 영상 유닛을 켜는 작업, 또는 [2] 영상 유닛을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이동하는 작업과 동일하다.
따라서 “활성화 작업을 실행하다”는 “영상 유닛이 꺼진 상태에서 영상 유닛을 켜는 작업을 실행하다”와 동일하다. 즉 “활성화 작업을 실행하다”는 “영상유닛을 켜다”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활성화 작업” 또는 “영상 유닛을 켜는 작업”은 아래의 다수의 스텝들 중 하나 이상의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스텝의 예로는 [1] 활성화용 (사용자) 세부입력(UIACT) 또는 상이한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하는 하나 이상의 스텝, [2] 영상 유닛의 전기 스위치를 닫는 스텝 또는 영상 유닛을 켜기 위하여 대기시키는 스텝, [3] 영상 유닛에 전류를 공급하는 스텝, [4] 영상 유닛이 오프 상태로부터 켜지게 되면 상기 유닛에 표시할 기본 설정 화면을 선정하는 스텝, 또는 [5] 터미널이 모드를 이동하면 현재 화면에 신규 화면을 덮어 씌우거나 현재 화면을 신규 화면으로 대체하는 스텝 등이 있다.
터미널은 다른 구성으로 영상 유닛을 켤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영상 유닛이 꺼진 상태에서 영상 유닛이 켜지면 영상 화면에 표시할 화면을 미리 준비함으로써 영상 유닛이 켜지는 동시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2] UIACT를 취득한 후 (이에 따라) 영상 유닛에 표시할 화면을 선택하거나, [3] 웹사이트나 클라우드 등의 외부 소스나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유닛에 표시할 화면을 수신하거나, 또는 [4] 미리 선정한 화면을 무작위로 또는 특정 순서로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자세한 구성 상의 차이와 관계없이, 본 명세서에서는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한, “활성화 작업”은 중지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즉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한, 활성화 작업의 하나 이상의 미실행(또는 잔여) 스텝들은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한, 활성화 작업 또는 영상 유닛을 켜는 작업은 중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켜는 시점과 다른 작업 실행과 관련된 시점을 동기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활성화 시점”이란 영상 유닛을 켜는 시점을 의미하며,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켜는 활성화 작업을 [1] UIACT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에 실행하거나, [2] UIACT를 포함하지 않는 상이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에 실행하거나, [3] 앞의 [1]이나 [2]의 사용자 입력의 수신 직후 실행하거나, [4] 앞의 [1]이나 [2]의 사용자 입력 수신 후, 하지만 사용자가 다음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전 실행하거나, [5] 사용자 인증 작업의 실행과 동시에 실행하거나 (일예로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였는지 결정함에 대응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6] 인증 작업의 실행이 완료된 직후 실행할 수 있다.
1-21. 모드 이동(스위칭) 종류
터미널은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현재 모드(또는 오프 상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사용자가 계층이 정의한 다양한 모드들을 계층이 정의한 순서대로 한 번에 한 모드씩 이동하도록 하거나, 이와는 달리 UISWI에 따라 상기 계층이 정의한 모드 중 어떤 모드로도 중간 모드를 뛰어 넘으며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순차적 스위칭”이란 터미널이 현재 모드로부터 계층이 정의한 다수의 모드들 중 이웃 모드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즉 상기 순차적 모드에서는 터미널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또는 터미널이 UISWI를 취득할 때마다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순차적 스위칭에 따르는 계층의 예가 [도2]의 패널(B)의 계층으로서, 사용자가 다수의 UISWI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터미널은 MDLK로부터 MDIN1로,그 다음에는 MDIN2로, 그 다음에는 MDIN3로, 그 다음에는 MDUL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2]의 패널(B)의 계층은 비순환 계층이므로, 터미널이 일단 MDUL로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더라도 터미널은 MDUL에 머무른다.
[도2]의 패널(F)의 계층도 순차적 스위칭에 따르는 계층의 예로서, 사용자가 다수의 UISWI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제공함에 따라, 터미널은 MDLK로부터 MDIN로, 그 후 MDUL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2]의 패널(F)의 계층은 순환 계층이므로, MDUL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에 사용자가 UISWI를 더 제공하면, 터미널은 다시 MDLK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순차적 모드 이동에 관한 한 사용자가 해야 하는 일은, 다수의 UISWI를 한 번에 하나씩 제공하는 것이다.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전방 방향으로 한 번에 한 모드씩 이동하며, 상기 계층이 순환 계층인 경우, 터미널은 후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계층을 따라 전방 방향으로 세 칸(또는 세 모드)만큼 이동하려면, 사용자는 한 번에 하나씩, 총 3개의 UISWI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가 모드를 이동하려면, 자신이 원하는 이동 방향이 전방 방향인지 아니면 후방 방향인지를 파악하고, 또 몇 개의 UISWI를 제공하면 되는 지를 파악하면 된다.
이와 같이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작동하는 터미널은 항상 이웃 모드로 이동하기 때문에 신규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매칭 리스트를 참고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작동하는 터미널은 사용자가 어떤 종류의 UISWI를 제공하더라도 상기 계층에서 항상 이웃하는 모드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모드 이동을 위하여 다수의 동일한 UISWI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비순환 계층의 모드를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이동하는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전방 방향으로만 모드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해제 모드에 도달한 사용자는 더 이상 모드 이동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 경우 해제 모드로부터 다시 잠금 모드로 (즉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려면, 사용자는 영상 유닛을 꺼서 오프 상태로 이동한 후, 다시 영상 유닛을 켬으로써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순환 계층의 모드를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이동하는 터미널은 사용자가 계층이 정의하는 방향을 따라 잠금 모드로 다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가 전방 방향으로만, 후방 방향으로만, 또는 두 방향으로 모두 모드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차적 스위칭”과는 달리, 본 명세서의 “선택적 스위칭”이란 터미널이 구동하는 계층에서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반드시 이웃하지 않은 전방 방향이나 후방 방향의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즉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터미널은 UISWI의 취득은 물론 취득한 UISWI의 종류에 근거하여 모드 이동을 할 수 있다. 일예로 [도2]의 패널(B)의 터미널은 계층이 정의한 여섯 개의 모드를 여섯 개의 UISWI와 각각 매칭하며(즉 상응시키며), 상기 매칭이나 상응 관계를 매칭 리스트에 저장한다. 그 후 사용자가 여섯 개의 UISWI 중 하나(일예로 UISWI-3)를 제공하면, 터미널은 매칭 리스트를 참고하여 이에 상응하는 모드(일예로 MDIN2)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가 현재 모드로부터 얼마나 많은 칸(또는 모드)만큼 떨어져 있건 상기 MDIN2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순환 계층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은 [1] 상기 계층에서 신규 모드가 현재 모드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건 또는 [2] 신규 모드가 현재 모드의 상류에 위치하건 하류에 위치하건 관계없이, (거의) 모든 현재 모드로부터 (거의) 모든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적 스위칭의 경우, 사용자가 할 일은 자신이 이동하고 싶은 신규 모드에 해당하는 단일의 UISWI를 매칭 리스트에서 확인한 후, 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응적 스위칭”이란 터미널이 미리 선정된 기준에 따라 적응적으로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상기 기준의 예는 현재(또는 이전) 모드에서 사용자가 실행하는(또는 실행한) 작업, 상기 작업의 실행 결과, 현재 모드에서 발생한 특정 사건, 터미널을 사용한 사용자에 대한 통계, 또는 잠금(또는 중급) 모드나 해제 모드에서의 사용자에 대한 통계 등이다.
적응적 스위칭을 위하여 터미널은 소정의 기준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기준의 예로는 [1]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구동한(또는 구동하고 있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2]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접속한 외부 웹사이트나 외부 링크, [3]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상기 웹사이트나 링크로부터 다운로드한 데이터, [4]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처리한 데이터의 종류, [5] 상기 데이터에 포함되었거나 링크된 컨텐츠, [6]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머무른 기간, 또는 [7] 현재 모드에서 특정 작업을 실행해야 하는 일정의 유무 등이 있다. 상기 기준에 근거하여, 터미널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해야 하는지, 어떤 신규 모드로 이동해야 하는 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존의 각종 알고리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사용자의 현재 활동 대신 과거 활동, 또는 사용자의 현재 통계보다 과거 통계와 관련된 기준에 근거하는 적응적 스위칭을 실행할 수 있다. 과거와 관련된 상기 기준으로는 [1] 현재 모드가 아닌 이전의 모드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이 또는 가장 적게) 구동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2] 이전의 모드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이 또는 가장 적게) 방문한 웹사이트 또는 외부 링크, [3] 이전의 모드에서 사용자가 가장 오랜 시간을 소비한 외부 웹사이트나 외부 링크, [4] 사용자가 지난 세션, 지난 주 또는 지난 달 다운로드한 데이터 및 그 종류, [5] 이전의 모드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이 또는 가장 적게) 얻은 데이터, 또는 [6]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 및 그 종류 등이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빅데이터 또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존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적응적 스위칭은 계층이 순환적인지 비순환적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바꾸어 말하면 비순환 계층인 경우, 터미널이 일단 해제 모드로 이동하면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어떤 신규 모드를 제안하더라도 다른 모드로 이동할 수 없다. 이와는 달리 순환 계층이면, 터미널은 해제 모드로부터 계층에 정의된 어떤 모드로도 이동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이 상이한 기준들을 감지하면,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상이한 기준의 예로는 [1] 특정 사건의 발생 또는 종료, [2] 특정 작업의 실행이나 종료(또는 상기 작업의 실행의 시작이나 종료의 시작), [3] 특정 (소프트웨어) 앱의 실행이나 종료(또는 상기 앱의 실행의 시작이나 종료의 시작), 또는 [4] 상기 작업, 앱으로부터 얻은 “결과물”의 취득 등이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이나 UISWI의 취득을 기다릴 필요 없이 상기 기준에 근거하여 모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기준은 터미널 제조사, 터미널, 사용자 등이 미리 선정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활성화 시점, 삭제 시점, 착수 시점 또는 저장 시점 등과 관련된 사건에 대응하여 다양한 “모드 이동 시점”에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모드 이동 시점은 모드 이동과 터미널이 실행하는 다른 작업들 사이의 다양한 시점을 지칭하며, 모드 이동 시점의 예로는 [1]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 [2] UISWI를 포함하지 않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 [3] 앞의 [1]이나 [2]의 사용자 입력의 수신 직후, [4] 앞의 [1]이나 [2]의 수신 후, 하지만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전, [5] 인증 작업의 실행의 완료와 동시, [6] 인증 작업 실행 직후, [7]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의 실행과 동시, [8] 삭제나 부분삭제 작업의 실행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또는 직후), [9] 영상 유닛을 켜기 직전, 동시 또는 직후, [10] 터미널의 파워를 끄기(또는 켜기) 직전, 동시 또는 직후, [11] 주 시스템, 중급 시스템 또는 잠금 시스템의 착수 직전, 동시 또는 직후, [12]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저장과 동시, 또는 [13] 상기 저장 직후 등이 있다.
2. 목적
하술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들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들이다. 단 하술의 목적들은 예시일 뿐이며 따라서 상기 터미널의 범위나 적용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하술의 2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터미널의 유닛, 하드웨어 요소, 소프트웨어 요소 등의 다양한 특성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여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로부터 터미널의 주 시스템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두지만, 상기 터미널은 중급(또는 잠금) 모드에서 중급(또는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며 중급(또는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로부터 터미널의 주(또는 중급) 시스템을 보호할 수도 있다.
2-1.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잠금 작업 실행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방법에 대한 첫 번째 예시적 측면이자 첫 번째 목적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할 경우에는,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모든 또는 일부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1]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없거나, 또는 [2] 상기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하여 구동할 때 모든 옵션을 이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부위는 터미널의 잠금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모든 (또는 일부)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격리에 따라,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은 동일한 터미널의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없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다”는 “하나 이상의 잠금 작업을 실행하다,” “잠금 작업을 실행하다” 또는 “잠금 작업들을 실행하다”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중급 모드에서) 중급 시스템으로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다”는 “하나 이상의 중급 작업을 실행하다,” “중급 작업을 실행하다” 또는 “중급 작업들을 실행하다”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1] UISWI에 직접 근거하거나, [2] UITHEN을 사용하는 인증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에 근거하는 등과 같이 사용자 입력에 간접적으로 근거하거나, 또는 [3] 사용자나 터미널이 선택한 터미널 세팅에 근거하여,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모두 (또는 일부) 구동하지 않은 채,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작업을 실행(즉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1]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는 동안, [2]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동안, 또는 [3] 터미널이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전, 터미널은 인증되지 않았거나 또는 신뢰성 없는 “결과물”을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지 못하도록 금지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잠금 시스템은 터미널의 주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된다. 이에 따라 [1]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잠금 작업을 실행하는 동안 주 시스템에 대한 인증되지 않은 변형의 금지, 또는 [2]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터미널이 해제 모드로 이동한 후에도 앞의 [1]의 변형의 금지, 또는 [3] 주 시스템에 대한 해킹의 금지 등에 의하여,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지 않는 한, 터미널은 [1] 사용자가 잠금 작업을 실행하는 도중 또는 이의 실행 후 주 시스템을 변형 또는 수정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2] 터미널이 해제 모드로 이동한 후에도 상기 변형이나 수정을 금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1] 잠금 모드에서 주 시스템의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개인 정보에 대한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접근을 방지함으로써, 또는 [2]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중 또는 상기 구동 후, 사용자가 주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증 없이 회수하지 못하도록 방지함으로써, 터미널은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이 잠금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구동하거나 변형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1] 주 시스템의 보안 또는 완전성에 악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는 걱정 없이 또는 [2] 주 시스템의 오염에 대한 걱정 없이, 사용자는 어떤 잠금 작업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접속한 웹사이트에 대한 지식이나 신뢰성과 관계없이, 이로부터 어떤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건,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을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잠금 시스템의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이 다수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면, 터미널은 두 개 이상의 잠금 시스템들에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또는 모든) 잠금 시스템들은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부위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될 수 있다. 따라서 [1]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없거나, 또는 [2]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이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주 시스템의 보안, 완전성 또는 개인 정보 보안에 악영향이 미치지 않는 한, 터미널은 사용자가 주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허락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요소 또는 유닛을 수정하거나, 바꾸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변형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단일의 터미널을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일예로 다수의 사용자는 상기 터미널을 공용 잠금 모드, 공용 중급 모드, 또는 공용 해제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만의 잠금 시스템, 중급 시스템, 또는 주 시스템을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1] 각 사용자가 타사용자의 시스템을 구동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2] 각 사용자가 타사용자의 모드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3] 특정 사용자가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이 타사용자의 잠금, 중급 또는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각 사용자의 주 시스템 또는 다수의 사용자의 공용 주 시스템의 보안이나 완전성 또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유지할 수 있다.
2-2.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 실행을 통하여 얻은 “결과물”의 삭제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방법에 대한 두 번째 예시적 측면이자 두 번째 목적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여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하는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전부가 아닌 특정 부분만 삭제하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삭제 작업 또는 부분삭제 작업은 섹션 1-6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특히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할 때 또는 이동 후) 상술의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다양한 시점과 동기화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접근 권한이 더 적은(또는 넓은)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더 넓은(또는 적은) 모드로 이동할 때 상술의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모드를 이동할 때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이동할 때 (또는 반대의 경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제1 모드에서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이 제2 모드로 자동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결과물”이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 시점을 터미널이 실행하는 다른 작업의 시점과 동기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삭제 시점”이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 실행과 모드 이동 작업의 실행과 관련된 시점을 지칭하며, 상기 시점의 예로는 [1] 모드 이동 작업의 실행과 동시(즉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의 하나 이상의 스텝과 모드 이동 작업의 하나 이상의 스텝이 하나 이상의 공통 클럭 주기에서 중첩되는 경우), [2] 모드 이동 작업 실행 직후, 또는 [3] 모드 이동 작업 실행 이후이지만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전 등이 있다.
상기 “삭제 시점”은 터미널의 주(또는 잠금) 시스템이 실행하는 다양한 작업들과 관련된 상이한 시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이한 시점의 예로는 [1] 인증 작업의 실행과 동시(일예로 사용자의 인증 성공 또는 실패의 확인), [2] 인증 작업 실행 직후, [3] 영상 유닛을 켜기 직전, 동시, 또는 직후, [4] 터미널의 전원을 끄기(또는 켜기) 직전, 동시, 또는 직후, 또는 [5]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 또는 직후 등이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이음새 없는 특성 및 이로 인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잠금 메모리 유닛 또는 잠금 메모리 섹터 등의 잠금 시스템에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이 주 시스템의 어떤 유닛이나 요소에도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실행한 작업에 대한 기록을 용이하게 삭제할 수 있다.
클럭 주기 관점에서 보았을 때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우선 터미널은 실시간으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이 때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작업을 하나씩 실행할 때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데이터, 파일, 또는 폴더가 생성될 때마다 이를 하나씩 삭제(또는 부분삭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추후 “실시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또는 터미널은 “잠정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때 터미널은 [1] 특정 (시간) 간격마다, [2] 사용자가 설정한 간격마다, 또는 [3]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크기가 특정 크기를 초과할 때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반면 터미널은 “사후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이 때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의 실행을 완료한 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한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의 세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다양한 모드에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하기 위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의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기 시작하며,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은 터미널이 (중급 또는 해제 모드 등의)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전 또는 상기 이동 후, 그 실행이 완료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중급 시스템은 중급 모드에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중급 시스템은 중급 모드에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시작하며, 터미널은 해제 모드 등의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전 또는 상기 모드 이동 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주 시스템은 해제 모드에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의 실행할 수 있고, 터미널은 중급 모드 또는 잠금 모드와 같은 신규 모드로 이동한 후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위의 문단들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접근 권한이 적은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넓은 모드로 이동할 때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보안 및 완전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주 시스템에 저장된 개인 정보 보호도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상기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접근 권한이 넓은 현재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적은 모드로 이동하면서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터미널은 상기 작업을 실행하지 않더라도 안전한 편이며, 그 이유는 이러한 경우 해제 모드에서 구동된 주 시스템이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협은 낮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세 번째 상세예의 모드 이동에서도, 사용자는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자신이 해제 모드에서 다양한 해제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삭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1] 자신이 실행한 해제 작업이나, [2] 자신이 접근한 웹사이트, [3] 자신이 외부 소스로부터 다운로드한 컨텐츠나, 또는 [4] 자신의 교신 내용 등을 추후 제3자가 추적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잠금 시스템이건 주 시스템이건 여기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걱정이 되면, 터미널은 모드를 이동할 때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2-3.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 실행을 통하여 얻은 “결과물”의 저장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방법에 대한 세 번째 예시적 측면이자 세 번째 목적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며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전부가 아닌 일부를 저장하되, 저장된 “결과물”이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또는 저장된 “결과물”이 주 시스템이 해제 모드에서 해제 작업을 실행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세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은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며, 따라서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며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최소한 일부를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잠금 메모리 유닛은 주 시스템의 주 메모리(또는 다른) 유닛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될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결과물”에 의한 오염이나 방해로부터 주 시스템의 주 메모리(또는 기타) 유닛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잠금 메모리 유닛을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주 시스템으로부터 격리함에 따라,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에 의한 주 시스템의 오염이나 파괴를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잠금 시스템 및 주 시스템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잠금 시스템은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지 않지만,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이 (1) 주 시스템의 주 메모리 유닛의 최소 일부를 호출하며, 또한 (2)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며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최소 일부를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이 호출(또는 구동)하는 주 메모리 유닛의 상기 일부를 주 메모리 유닛의 나머지 부분들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함으로써, 주 메모리 유닛의 상기 일부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데이터가 상기 유닛의 나머지 부분을 오염시키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잠금 시스템이 구동하는 주 메모리 유닛의 상기 일부는 주 시스템의 유닛이 아니라 잠금 시스템의 유닛이라고 간주할 수도 있다.
본 섹션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이 구동하는 주 메모리 유닛의 상기 일부에 대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다양한 삭제 시점에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주 메모리 유닛의 상기 일부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의 모두 또는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에 포함된 바이러스나 악성 프로그램을 궁극적으로 삭제함으로써 주 시스템을 오염시키지 못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의 최소한 일부를 사용자가 저장한 후, 추후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으로 작업을 실행할 때 저장된 “결과물”에 접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결과물”이 주 시스템의 유닛을 변조하거나, 주 시스템에 저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주 메모리 유닛의 상기 일부에 저장된 “결과물”을 추후 회수하고 이를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되는 결과물이 악성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지 확인할 필요도 있다.
2-4. 잠금 시스템 및 주 시스템의 장착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방법에 대한 네 번째 예시적 측면이자 네 번째 목적은 터미널이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가지며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과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되, 후자는 전자의 최소 일부분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이 하나 이상의 중급 시스템을 포함하면, 잠금 시스템은 중급(또는 주) 시스템의 최소 일부분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 단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하술의 다양한 실시예의 잠금 시스템의 특성은 중급 모드에서 구동하는 중급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네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한다. 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1) 주 CPU 유닛, (2) 주 메모리 유닛, (3) 주 입력 유닛, (4) 주 출력 유닛 등을 포함하며, 옵션으로 다른 기존의 데이터 처리 기기들이 흔히 포함하는 다른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잠금 (애플리케이션) 뷰어(일예로 기존의 파일 뷰어 등)를 포함하며,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잠금 하드웨어 요소(일예로 잠금 메모리 유닛, 잠금 CPU 유닛, 잠금 영상 유닛 등)와 하나 이상의 잠금 소프트웨어 요소(일예로 잠금 소프트웨어 앱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의 잠금 시스템의 각 요소는 주 시스템의 각 요소와 작업 실행 상 격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의 어떤 요소도 구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잠금 시스템의 각 요소는 주 시스템의 모든 요소와 물리적으로 격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의 각 요소를 주 시스템의 요소들과 물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다양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과 완전히 독립적으로 장착(추후 “완전 격리”라고 지칭)될 수 있고, 따라서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의 모든 유닛 또는 요소와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될 수 있다. 그 결과 잠금 시스템이 잠금 하드웨어 요소나 잠금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할 경우, 상기 잠금 요소는 주 시스템의 모든 유닛 또는 요소와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완전히 격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1] 잠금 시스템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어떤 “결과물”도 주 시스템의 어떤 유닛이나 요소에 악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완전히 방지하거나, 또는 [2] 어떤 잠금 유닛, 잠금 요소도 주 시스템의 어떤 주 유닛 또는 주 요소에 악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의 모든 유닛이나 요소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부분적으로 격리(추후 “부분 격리”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잠금 시스템이 잠금 하드웨어 요소 또는 잠금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할 경우, [1] 상기 잠금 요소는 주 시스템의 모든 유닛, 요소는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유닛, 요소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되거나, 또는 [2] 상기 잠금 요소는 주 시스템의 모든 유닛이나 요소로부터 격리되지는 않지만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유닛이나 요소로부터 부분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의 격리된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이 주 시스템의 어떤 유닛에도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네 번째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상기 네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금 시스템의 잠금 요소들은 주 시스템의 모든 요소와 물리적으로 격리(즉 상이한 장소에 장착)되지만, 상기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과 작업 실행 상 완전히 격리되지는 않는다. 즉 터미널은 [1] 상기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구동하도록, 또는 [2] 잠금 시스템이 잠금 모드에서 주 시스템의 최소 하나 이상의, 하지만 전부는 아닌 요소를 호출(즉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하지만 전부는 아닌) 요소와 “작업 실행 상 부분적으로 소통”한다고 지칭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잠금 시스템이 잠금 모드에서 주 시스템의 모든 요소와 접근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작업 실행 상 완전히 소통”한다고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과 물리적으로 격리되며, 이에 따라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의 모든 요소에 가깝지 않은 장소에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은 주 메모리 유닛의 (전부는 아닌) 최소 일부를 구동할 수 있으며,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 메모리 유닛의 상기 일부에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그 후 잠금 시스템은 주 메모리 유닛의 상기 일부로부터 저장된 “결과물”을 회수할 수도 있다. 다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은 주 CPU 유닛의 (전부는 아닌) 최소 일부를 구동함으로써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은 주 영상 유닛의 (전부는 아닌) 최소 일부를 구동하며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다양한 “결과물”을 주 영상 유닛의 상기 일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의 일부 요소를 구동하는 경우에도, 터미널은 [1] 잠금 시스템이 주 메모리 유닛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제거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거나, 또는 [2] 주 시스템의 유닛의 구성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보안을 향상시키고, 완전성을 제고하며, 개인 정보의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상기 네 번째 목적의 세 번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상기 네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을 포함한다. 하지만 잠금 시스템의 각 유닛 또는 요소는 주 시스템의 각 유닛 또는 요소와 “작업 실행 상 완전히 격리”될(즉 소통하지 않는)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한, 상기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의 어떤 요소도 구동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잠금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요소는 [1]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요소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가깝도록 장착되거나, 또는 [2]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요소와 단일의 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과 작업 실행 상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되더라도, 상술의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의 (전부는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요소와 “물리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잠금 시스템은 작업 실행 상 주 시스템과 격리되며, 따라서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의 어떤 요소도 구동(즉 호출)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이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의 잠금 메모리 유닛은 주 시스템의 주 메모리 유닛 근처에 장착되거나, 또는 잠금 메모리 유닛과 주 메모리 유닛은 단일의 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잠금 시스템은 주 메모리 유닛의 어떤 부분도 구동하지 못하며, 주 시스템 역시 잠금 메모리 유닛의 어떤 부분도 구동하지 못할 수 있다. 또 다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의 잠금 CPU 유닛은 주 시스템의 주 CPU 유닛 근처에 장착되거나, 잠금 CPU 유닛과 주 CPU 유닛은 단일의 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잠금 시스템은 주CPU 유닛의 어떤 부분도 구동할 수 없으며, 주 시스템 역시 잠금 CPU 유닛의 어떤 부분도 구동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네 번째 목적의 네 번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상기 네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을 포함한다. 단 상기 주 시스템은 잠금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요소와 “작업 실행 상 소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한, 주 시스템은 잠금 시스템 중 주 시스템과 소통하는 부분을 구동할 수 있되, 이는 [1]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요소와 “작업 실행 상 소통”할 수 있는 지와 관계없으며, 따라서 잠금 시스템이 잠금 모드에서 주 시스템의 상기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지와 관계없거나, 또는 [2]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의 모든 요소와 “작업 실행 상 격리”되어 있는 지와 관계없으며, 따라서 잠금 시스템이 잠금 모드에서 주 시스템의 상기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지와는 관계없다. 이 경우 상기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과 물리적으로 격리되거나,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요소와 물리적으로 소통할 수도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에서 각각 잠금 시스템과 주 시스템에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네 번째 목적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의 어떤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도 구동하지 못하도록 완전히 제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이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주 시스템의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 사이의 물리적 격리나 작업 실행 상의 격리의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는 [1] 잠금 시스템을 잠금 모드에서만 구동하거나, [2] 잠금 시스템을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거나, 또는 [3] 앞의 [1]이나 [2]와 함께 주 시스템을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잠금 작업들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주는 사고를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이 각각 잠금(또는 주) 모드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중 혼동이 발생하여 잠금(또는 주)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작업을 실행하여 얻게 된 “결과물”이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보안, 완전성, 또는 개인 정보 보호를 저하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추가 잠금 하드웨어 요소 또는 잠금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터미널 내부에 상기 추가 요소를 장착할 추가 공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음새 없는 작업을 제공할 수 있는 융통성, 향상된 보안 및 완전성,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해킹 위험의 최소화, 터미널에 저장된 개인 정보에 대한 강화된 보호 등은 상기 추가 요소나 추가 공간과 관련된 비용이나 노력을 능가하는 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을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하며 주 CPU 유닛이나 주 운영체계를 잠금 시스템 또는 주 시스템으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추가 요소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은 채 본 문단의 상술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2-5. 잠금 및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는 단일의 시스템 장착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방법에 대한 다섯 번째 예시적 측면이자 다섯 번째 목적은 주 시스템 및 잠금 시스템으로 구동할 수 있는 단일의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해제 모드와 잠금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터미널에 대한 것이다. 즉 이러한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는 주 시스템으로, 잠금 모드에서는 잠금 시스템으로 구동할 수 있는 단일의 시스템만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1] 해제 모드에서는 주 시스템으로 구동하는 단일의 시스템이나 잠금 모드에서는 잠금 시스템으로 구동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또는 [2] 잠금 모드에서는 잠금 시스템으로 구동하는 단일의 시스템이지만 해제 모드에서는 주 시스템으로 구동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술의 설명은 앞의 [1] 에 해당한다. 단 본 섹션의 다양한 실시예는 앞의 [2]의 경우에도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본 다섯 번째 목적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술의 제3 구성의 터미널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다섯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단일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을 잠금 시스템으로 구동하며, 상기 잠금 시스템은 터미널의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지만, [1] 터미널의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없거나, [2] 다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변경할 수 없거나, [3] 상기 요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없거나, [4] 상기 요소의 구조 또는 작업 실행 순서 등을 변경할 수 없거나, [5]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상기 요소에 저장할 수 없거나, [6] 상기 요소를 업데이트하거나 재배열할 수 없거나, 또는 [7] 상기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잠금 시스템의 다른 요소, 타터미널이나 제3자에게 전송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을 주 시스템으로 구동하며 다른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단일의 시스템은 다수의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에서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이 잠금 모드로부터 다른 잠금 모드나 해제 모드(또는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로 이동하거나 또는 터미널이 특정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시스템은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풀(pool)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 때 터미널은 특정 요소들은 잠금 시스템에 할당하는 반면 나머지 요소들은 주 시스템에 할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 보안 강화, 완전성의 향상 및 개인 정보의 보호를 위하여,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시스템이 구동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해제 모드에서 시스템이 구동하는 나머지 요소로부터 물리적이나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요소를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는 요소로부터 부분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
상기 다섯 번째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도 단일의 시스템만 포함한다.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을 잠금 시스템으로 구동하며, 상기 잠금 시스템은 터미널의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지만, 터미널의 다른 요소를 구동할 수 없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다섯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1] 내지 [7]의 작업을 실행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을 주 시스템으로 구동하며 다양한 작업을 실행한다. 따라서 상술의 첫 번째 실시예와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의 차이점은, 후자의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요소가 잠금 시스템 및 주 시스템에 의하여 모두 구동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풀(pool)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 때 터미널은 [1] 제1 그룹의 요소들은 잠금 시스템에 할당하고, [2] 제2 그룹의 요소들은 주 시스템에 할당하며, [3] 제3 그룹의 요소들은 잠금 시스템 및 주 시스템 모두에 할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강화된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개인 정보의 높은 보호를 위하여, 제1 그룹의 요소들은 제2 그룹의 요소들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완전히 격리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터미널은 제3 그룹의 요소들이 [1]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 모두에서 동일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2] 잠금 모드보다 해제 모드에서 더 많은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3]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4] 잠금 모드보다 해제 모드에서 더 많은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주 시스템 및 잠금 시스템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미널의 제작 역시 일반적으로 용이하다. 일예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과 주 시스템에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잠금 화면과 해제 화면에 상이한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시스템이나 주 시스템이 동일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과 주 시스템에 동일한 유닛들을 포함할 필요가 없으며, 그 결과 이와 같은 터미널은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시스템을 주 시스템으로부터 격리하기 때문에, 터미널은 보안을 강화하고, 해킹을 방지하며, 완전성을 향상시키고, 개인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단일의 시스템만을 사용하면서도 상이한 모드에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등 작업 실행 상의 융통성도 부여할 수 있다.
2-6. 다수의 모드 및 접근 권한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방법에 대한 여섯 번째 예시적 측면이자 여섯 번째 목적은 상이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하나 이상의 잠금 모드와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 및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중급 모드(일예로 반 잠금 모드, 덜 잠금 모드, 반 해제 모드, 덜 해제 모드 등) 등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과 같이 “접근 권한”은 [1]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이라는 언급이 없는 한,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중 특정 수효(‘0’ 포함)의 상기 요소를 접근할 수 있는 권한, [2] 상기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권한, [3] 상기 요소를 구동함으로써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 또는 [4] 상기 요소를 구동함으로써 또는 상기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지칭한다. 단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본 섹션의 하술의 잠금 시스템과 관련된 특성은 중급 모드에서 구동하는 중급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1] 해제 모드에 가장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2] 잠금 모드에 가장 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또는 [3] 중급 모드(일예로 반 잠금 모드, 반 해제 모드 등)에 잠금 모드에 부여한 권한보다는 넓지만 해제 모드에 부여한 권한보다는 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계층이 접근 권한이 중첩되는 다수의 해제 모드를 정의할 경우, 터미널은 [1] 각각의 해제 모드에 동일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2] 한 해제 모드에 다른 해제 모드보다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또는 [3] 한 해제 모드에 다른 해제 모드보다 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접근 권한이 중첩되지 않는 다수의 비중첩 해제 모드를 계층이 정의할 경우, 터미널은 각 해제 모드에 중첩되지 않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접근 권한이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어떤 해제 모드가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보유하였는지를 판단하기는 일반적으로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정량적 관점에서는, 한 해제 모드가 다른 해제 모드에 비하여 [1] 더 많은 수효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거나, 또는 [2] 더 많은 수효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고 표현할 수는 있다. 다수의 해제 모드와 관련된 특성에 대한 상술 및 하술의 설명은 다수의 잠금(또는 중급)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특정 계층에 다수의 완전 비중첩 모드들을 정의하되, (1) 각 모드는 서로 완전히 중첩되지 않으며, 또한 (2)터미널은 각 모드에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일예로 [도1c]의 패널(D) 및 [도1d]의 패널(D)에서와 같이, 비중첩 모드에서 구동하는 상이한 시스템들은 서로 더욱 용이하게 격리될 수 있다.
이러한 비중첩 특성은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주 시스템은 해제 모드에서 주 메모리 유닛을 구동할 수 있는 반면,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주 메모리 유닛을 구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비중첩 특성은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의 다수의 부위에 대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과 주 시스템이 모두 주 메모리 유닛을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이 (1)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후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였던 잠금 데이터는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더라도, (2) 해제 모드에서 해제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해제 데이터를 잠금 시스템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주 시스템이 (1)모든 해제 데이터는 접근할 수 있지만, (2) 상기 잠금 데이터는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의 비중첩 특성은 주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요소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주 시스템은 물론 잠금 시스템이 금융 거래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앱을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터미널은 (1) 잠금 시스템이 제3자에게 제한된 정보를 발신하는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지만, (2) 직접 금융 거래를 수행하지는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터미널은 주 시스템이 (1) 금융 거래 또는 개인 정보 회수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지만, (2) 제3자에게 데이터를 발신하거나 제3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의 세 번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특정 계층에 다수의 일부 중첩 모드를 정의함으로써 (1) 각 모드의 접근 권한이 다른 모드의 접근 권한과 (전부는 아닌) 일부만 중첩되며, 따라서 (2) 두 개 이상의 모드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공통 접근 권한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모드에서 구동하는 제1 시스템은 제1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또는 이의 일부 부위나 옵션) 중 하나 이상의 요소를 구동하는 반면, 제2 모드에서 구동하는 제2 시스템은 상기 요소들(또는 이의 일부 부위나 옵션) 중 하나 이상의 요소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2 시스템은 상기 제1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 모두를 구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의 네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특정 하드 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각각에 할당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상기 요소에 대한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요인의 예로는 [1] 사용자가 현재 터미널을 구동하고 있는 모드, [2] 현재 사용자에게 부여된 접근 권한, 또는 [3] 사용자 인증 작업의 성공 여부 등이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상기 인터페이스들을 조작함으로써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네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에서, 터미널은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할당된 ”DUI”(즉 직접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direct manipulation user interface)를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잠금 모드에서 DUI의 정상 기능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한하거나 또는 [2] 해제 모드에서는 DUI의 정상 기능을 허락하지만 잠금 모드에서는 DUI의 기능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등, DUI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는 특정 DUI를 조작할 수 없으며, 따라서 상기 DUI에 의하여 표시되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도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네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에서, 터미널은 특정 모드에서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할당된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직접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터미널을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면, 터미널은 오브젝트 지향 GUI, 어플리케이션 지향 GUI 등을 영상 유닛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GUI에 할당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단 터미널이 해제 모드로 이동하면, 터미널은 상기 GUI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GUI에 할당된 요소를 접근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터미널은 다양한 GUI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GUI의 예로는 [1]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상응하는 GUI, [2] 특정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의 특정 부위에 상응하는 GUI, 또는 [3] 특정 접근 권한을 나타내는 GUI 등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표시된 GUI를 보기만 해도 자신이 상기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터미널은 상기 모드에 부여하는 접근 권한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네 번째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모드나 해제 모드에서 잠금 화면에 상기 GUI를 표시할 수 있지만, 특정 모드에서는 일부 GUI의 기능을 제한(즉 제한된 GUI)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일예로 잠금) 화면에서 제한된 GUI를 볼 수는 있으나, 상기 사용자가 특정(일예로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한, 상기 제한된 GUI에 상응하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에서 주 메모리 유닛에 대한 제한된 GUI를 표시하고, 해제 모드에서는 제한된 GUI를 상대적으로 진한 색(즉 비제한 GUI)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GUI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상기 GUI에 상응하는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는 상기 GUI를 상대적으로 연한 색(즉 제한된 GUI)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GUI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GUI에 상응하는 요소를 구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표시된 GUI의 색만 확인하더라도, 자신이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이한 모드에서 동일한 GUI를 상이한 색이나 상이한 모양으로 표시하거나, 화면의 상이한 위치에 표시하거나, 상이한 지향으로 표시하거나, 희미하게 처리(blurring)하거나 상기 처리 없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떤 GUI를 조작할 수 있는지, 특정 모드에서 어떤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조작할 수 있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한, 터미널은 상기 GUI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네 번째 실시예의 네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TUI”(즉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수 있으며, TUI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영상 유닛에 표시되는 GUI의 특별한 형태이다. 따라서 터미널은 접근이 제한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상응하는 TUI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제한된 요소에 상응하는 TUI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되, 사용자가 상기 요소를 선택 또는 구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제한된 요소의 TUI를 [1] 비제한 요소의 TUI와 다른 모양, 크기 또는 색으로 표시하거나, [2] 비제한 요소의 TUI와 상이한 위치에 표시하거나, 또는 [3] 흐릿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TUI에 대한 상술의 내용은 오브젝트 지향 GUI 또는 어플리케이션 지향 GUI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본 섹션에서 설명한 기존 사용자 인터페이스 외의 상이한 기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즉 UI)를 본 섹션의 설명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상이한 기존 인터페이스의 예로는 웹 기반(web-based) UI, 커맨드 라인(command line) UI, 하드웨어(또는 펌웨어) UI, 어텐티브(attentive) UI, 뱃치(batch) UI, 대화형(conversational) UI, 교환 기반 (crossing-based) UI, 제스처 UI, 홀로그램 UI, 행동 추적(motion-tracking) UI, 다중화면(multi-screen) UI, 반사형(reflective) UI 등이 있다. 또 본 섹션의 다양한 실시예는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는 물론, 잠금 모드보다는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지만 모든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는 없는 중급 모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의 여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운영체계 또는 앱은 터미널이 구동하는 모드에 따라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거나 부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현재 구동 중인 현재 모드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특정 모드에서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참고한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터미널은 사용자가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이 있는 지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보유한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요소를 구동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권한이 없는 경우, 터미널은 아무 액션도 취하지 않거나, 사용자에게 상기 요소를 구동할 수 없음을 알릴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현재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참고하여 상기 모드에서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리스트를 확인한다. 그 후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또는 시각적으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현재 모드의 종류나 사용자가 이동하려는 신규 모드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기존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기존 기술의 다양한 예는 하술의 섹션 4-11-6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의 일곱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특정 계층에 정의된 다양한 모드 각각에 특정 접근 권한을 부여하며, 그 후 상기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통지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되, 다양한 통지 유닛, 주 영상 유닛 또는 주 스피커 등이 상기 통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지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는 [1] 현재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부여된 접근 권한의 종류, [2] 터미널이 신규 모드로 이동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접근 권한의 종류, [3] 현재 모드 또는 신규 모드에서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4] 신규 모드로 이동한 후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5] 신규 모드로 이동한 후 사용자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각 모드에 상이한 시각적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상이한 모드에서 상이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각 모드에 독특한 색, 모양, 이미지, 크기, 지향, 패턴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시각적 특성만으로 자신이 터미널을 구동하는 모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의 터미널은 상술의 시각적 특성을 통지 유닛에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한 설명한다.
이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두 개 이상의 모드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배경 화면을 표시할 수 있지만 상기 화면에 상이한 GUI 세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한된(따라서 상기 모드에서는 구동할 수 없는) 요소에 대한 GUI를 흐리게 표시하거나 아예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의 네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각 모드에서 동일한 GUI를 표시하지만, 특정 모드에서 제한된 GUI는 상이한 모양, 크기, 지향, 위치, 색이나 패턴 등으로 영상 유닛 또는 통지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이 구동 중인 특정 모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시각적 방법은 물론 소리나 비프(beep) 등의 청각적 방법, 진동을 이용한 촉각적 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미널이 현재 구동되고 있는 모드, 향후 이동하게 될 신규 모드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잘못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 중임을 확인한 경우, 사용자는 정확한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제공하는 등의 시정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이의 다섯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특정 계층에서 정의된 각각의 모드에서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접근 가능 소프트웨어 요소에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상세예에 대한 기타 구성 또는 작업 실행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상세예들의 상응하는 설명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2-7. 상이한 모드 및 상태 사이의 용이한 이동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방법에 대한 일곱 번째 예시적 측면이자 일곱 번째 목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모드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모드 이동의 예로는 [1] 정전 상태로부터 계층이 정의한 신규 모드로의 이동, [2] 시동 상태인 오프 상태로부터 특정 모드로의 이동, [3]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의 이동, [4] 특정 모드로부터 오프 상태로의 이동, 또는 [5] 현재 모드로부터 정전 상태로의 이동 등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하여 영상 유닛을 껐다가 다시 켜는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인증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상기 일곱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UISWI)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고안된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입력 유닛은 [1] 영상 유닛에 표시되는 GUI 등의 “소프트 버튼”이나, 또는 [2] 터미널의 적절한 부위에 장착된 “하드 버튼”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기존의 입력 유닛들을 상술의 하드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에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UISWI를 제공할 때마다, 제1 접근 권한이 부여된 제1 모드로부터 (제1 권한보다 넓거나 또는 적은) 제2 접근 권한이 부여된 제2 모드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인증 작업을 요청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UISWI 및 UITHEN을 제공할 때마다 사용자가 모드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어떤 구성에 따라 구동하건, 사용자는 영상 유닛을 일단 끈 다음 다시 켤 필요 없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에 UISWI만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사용자가 접근 권한이 적은 제1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더 넓은 제2 모드로 이동할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UITHEN을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인증은 사용자가 제1 모드에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로부터 터미널의 주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사용자가 접근 권한이 넓은 제2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적은 제1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UITHEN을 요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미 인증 작업에 성공하여 특정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고 있을 때, 상기 터미널은 더 이상의 인증 작업 없이 사용자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오프 상태의 터미널을 온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터미널에 제1 UITHEN을 이미 제공하였을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제1 UITHEN과는 상이한 제2 UITHEN을 터미널에 제공해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곱 번째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수의 모드를 정의한 특정 계층을 구축하고, 상기 입력 유닛이 적합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1] 계층에 정의된 다수의 모드의 순서에 따라 (일예로 순차적 스위칭의 경우), 또는 [2] 상이한 모드들 사이의 “모드 이동 경로”(일예로 UISWI에 따라 한 모드로부터 인접하지 않은 다른 모드로도 이동할 수 있는 선택적 스위칭의 경우)에 따라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상술의 병렬적 계층, 순차적 계층 또는 혼합적 계층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사용자가 UISWI를 제공할 때마다 계층을 따라 현재 모드로부터 다음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은 순환 계층이 정의한 순서를 따라 연속적으로 한 모드씩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비순환 계층의 경우, 사용자가 계층의 좌측단이나 우측단의 모드에 도달하면 각각 더 이상 하류 방향이나 상류 방향으로 모드를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일곱 번째 목적의 세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할당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영상(또는 통지) 유닛에 계층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의 예로는 계층의 구성이나 배치, 선택적 스위칭을 사용하는 계층이 정의하는 모드 이동 경로 등이 있다. 터미널은 이름, 아이콘, 심볼 또는 텍스트 등을 이용하여 [1] 사용자가 터미널을 현재 구동 중인 현재 모드, [2] 터미널이 이동하려는 신규 모드, [3] 현재(또는 신규)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4] 사용자가 현재(또는 신규) 모드에서 실행할 수 있는 작업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드 이동을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이 잘못된 UISWI를 제공하였을 때 이에 대한 시정 액션을 취할 수 있다.
터미널은 각 모드와 관련된 상기 상세 정보를 영상 유닛에 또는 상기 유닛의 특정 부위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영상 유닛과는 별개의 유닛인 통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통지 유닛은 상기 상세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모드 또는 신규 모드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보조할 수도 있다. 상술과 같이 통지 유닛은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통지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지 유닛은 터미널의 다양한 부분에 장착된다. 일예로 터미널은 통지 유닛을 주 입력 유닛 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주위 또는 가까운 부위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현재 모드 또는 이동하고자 하는 신규 모드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상세예의 경우, 통지 유닛은 주 입력 유닛 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과 떨어져 있지만 사용자가 통지 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통지 유닛이 청각적 또는 촉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신호를 용이하게 듣거나 느낄 수 있는 경우, 통지 유닛의 정확한 위치는 그리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일곱 번째 목적의 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일단 특정 모드에서 구동하기 시작한 후에야 사용자가 모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터미널을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면, 계층이 정의하는 모드의 종류 및 상기 모드들의 배열에 따라, 사용자는 상이한 잠금 모드, 중급 모드 또는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미널을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면, [1] 사용자는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상이한 해제 모드로 이동하거나, [2] 터미널이 순환 계층에서 구동할 경우 중급 모드 또는 잠금 모드로 이동하거나, 또는 [3] 터미널이 비순환 계층에서 구동할 경우 더 이상의 모드 이동을 하지 않을 수 있다.
2-8. 다양한 적용 사례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예시적 측면이자 여덟 번째 목적은 다양한 모드 이동과 관련된 특성을 가짐은 물론 다양한 작업 실행 순서 또는 배열에 따라 구동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기존의 스마트폰, 핸드폰, 태블릿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한다.
상기 여덟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예의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양한 측면, 실시예, 상세예 등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여덟 번째 목적의 두 번째 예의 경우, 기존의 데이터 처리 기기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다양한 측면, 실시예, 상세예 등에 근거하여 변형함으로써, 상기 기존 기기를 본 명세서의 터미널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다양한 기존의 데이터 처리 기기나 데이터 관리 기기를 변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기존 기기의 예로는 [1] 기존의 데스크 탑 데이터 프로세서, [2] 앞의 [1]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존 기기, [3] 기존의 휴대용 데이터 프로세서, [4] 앞의 [3]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존 기기, [5] 데이터 저장 작업, 데이터 편집이나 재배열 작업, 데이터 저장 작업 또는 데이터 삭제나 정화 작업 등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기존 기기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본 문단의 다양한 기존 기기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1] 모양, [2] 크기 또는 [3] 디자인 등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여덟 번째 목적의 세 번째 예의 경우, 모드 이동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특성은 [1] 데스크탑 컴퓨터, [2] 랩탑 컴퓨터, [3] 모바일 패드, 또는 [4] 자동차나 로봇 등의 다른 전기 기기에 장착되었으며 위 문단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작업들을 실행할 수 있는 기존 컴퓨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상기 기존 컴퓨터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모양, 크기 또는 디자인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여덟 번째 목적의 네 번째 예의 경우, 모드 이동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특성은 다양한 기존의 무선 통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기존의 [1] 스마트폰, [2] 모바일폰, [3] 모바일 패드, [4]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5] 웹패드, [6] 기타 무선 통신 기기, 또는 [7] 기타 데이터 처리 기기 등의 기존 무선 통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기존의 무선 통신 기기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모양, 크기 또는 디자인 등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여덟 번째 목적의 다섯 번째 예의 경우,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또는 인공지능 등과 관련된 다양한 기존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사물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또는 상기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기존의 전기 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사물인터넷의 작동을 조작하거나 상기 전기 기기의 작동을 조작할 수도 있다. 또는 터미널은 사물인터넷에 속하는 전기 기기와 연결한 후,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며 상기 전기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사물인터넷에 속하는 전기 기기는 터미널과 연결하고 [1] 상기 전기 기기가 특정 작업을 시작하거나 종료할 때 또는 [2] 상기 전기 기기가 특정 사건(일예로 화재, 비상 상황, 다른 사건 등) 등을 감지함에 따라, 터미널을 신규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기존의 사물인터넷에 현재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적용 사례와 관련된 사물인터넷의 특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빅데이터 보관소와 연결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여 상기 보관소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보관소로부터 데이터를 회수할 수도 있다. 또는 터미널은 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기존의 알고리즘이나 기존 컴퓨터 코드를 포함함으로써 빅데이터를 터미널의 다양한 작업과 연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빅데이터 분석에 의한 특정 결과를 조건으로 하여 모드를 이동하거나, 또는 터미널은 상기 모드 이동에 근거하여 빅데이터 보관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기존의 인공지능 등의 다양한 기존의 지능형 에이전트를 장착하거나 상기 지능형 에이전트와 협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터미널의 사용 용도, 터미널의 사용 방법,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 습성 또는 상기 에이전트의 환경 등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사용자나 터미널을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능형 에이전트는 기존의 인공지능이 수행하는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에 추리력, 지식, 계획성 또는 자연어 처리 능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기존의 지능형 에이전트를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목적의 예로는 [1] 터미널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제어, [2] 주 시스템이나 잠금 시스템의 자가 진단, [3] 상기 시스템의 결점 발견 시 이의 보수, 또는 [4] 잠금 시스템과 주 시스템 사이의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격리에 대한 진단 등이 있다. 또한 터미널은 기존의 지능형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보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실행하는 다양한 작업의 기록 및 분석, [2] 사용자가 수행한 다양한 기능의 기록 및 분석, 또는 [3] 사용자가 터미널을 구동하였던 다양한 모드의 순서의 기록 및 분석 등이 있다. 이에 근거하여 기존의 지능형 에이전트는 사용자에게 어떤 작업을 실행할지, 어떤 기능을 수행할지,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 머물러야 할지, 또는 어떤 신규 모드로 이동해야 할지에 대하여 제안할 수 있다.
터미널은 지능형 에이전트의 지도에 따라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지능형 에이전트는 사용자 액션에 근거하여 터미널을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또는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액션의 근거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해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에 의하면 모드 이동이 유리할 경우, [2] 사용자 통계에 의하면 사용자가 특정 시점이나 특정 상황에서 모드 이동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 또는 [3] 사용자 선호 사항에 따르면 모드 이동을 해야 하는 경우 등이다.
다른 예의 경우, 지능형 에이전트는 외부 환경이나 외부 사건에 근거하여 터미널을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또는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환경이나 사건의 예로는 [1] 비상 상황 또는 특정 사건이 발생했을 경우, [2] 비상 상황이나 특정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특정 한계점을 능가한 경우, [3] 특정 약속 시점이 다가오는 경우, 또는 [4] 특정 전화,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수신하였을 때 등이다. 터미널은 기존의 지능형 에이전트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적용 사례와 관련된 지능형 에이전트의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여덟 번째 목적의 여섯 번째 예의 경우, 사용자는 상술 및 하술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터미널의 다양한 특성을 휴대용으로 제작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비휴대용으로 제작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또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일예로 기존의 데스크톱 컴퓨터나 기타 기존의 데이터 처리 기기와 유사한 비휴대용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상술 및 하술의 다양한 특성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비휴대용 터미널의 보안, 완전성 및 상기 터미널에 저장된 개인 정보의 보호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상세예의 경우,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대한 상술 및 하술의 특성을 다양한 운송 차량이나 드론 등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운송 차량의 예로는 자동차, 기차, 오토바이, 자전거, 비행기, 헬리콥터 등이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상기 차량이나 드론의 다양한 작업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상기 차량이나 드론을 바람직하지 않은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2-9. 다양한 사용자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방법에 대한 아홉 번째 예시적 측면이자 아홉 번째 목적은 특정 계층에 다수의 모드를 정의한 후 각 모드에 특정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계층 및 모드를 터미널에 적용하며, 단일의 또는 다수의 사용자가 단일의 터미널을 다수의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상기 계층이 정의하는 각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다수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단일 또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두 개 이상의 상이한 모드에서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홉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다수의 인증된 사용자들이 단일의 터미널을 사용하며,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다수의 사용자가 단일의 또는 다수의 계층에 따라 터미널을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모든 사용자에게 [1] 동일한 단일 또는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거나, [2] 상이한 사용자에게 상이한 모드를 정의하거나, 또는 [3] 앞의 [1]과 [2]의 혼합으로 다수의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각 사용자에게 동일 또는 상이한 수효의 잠금(또는 해제)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각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각 사용자에게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단일의 잠금 모드(MDLK) 및 세 개의 해제 모드(MDUL1, MDUL2 및 MDUL3)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구동하되, 제1 사용자는 단일의 잠금 모드(MDLK)와 단일의 해제 모드(MDUL1)에서 터미널을 구동하지만, 제2 사용자는 동일한 잠금 모드(MDLK)와 두 개의 상이한 해제 모드(MDUL2 및 MDUL3)에서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과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을 포함하고, 각 사용자는 각 해제(또는 잠금) 모드에서 동일한 주(또는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거나 상이한 주(또는 잠금)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다수의 인증된 사용자 각각에게 다양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며, 이에 따라 터미널은 제1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지 않은 채 다른 모드로 이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반면, 제103 사용자는 자신에게만 부여된 제1 모드 및 제2 모드만 접근할 수 있되 이외의 (다른 사용자들의) 모드는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는 상이한 접근 권한으로 단일의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으며, 그 결과 [1] 각 사용자는 계층이 정의한 동일한 모드에 상이한 모드 이동 권한으로 접근하거나, 또는 [2] 각 사용자는 상이한 계층이 정의한 모드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는 제1 계층이 정의하는 어떤 모드로도 이동할 수 있지만 제2 사용자를 위한 제2 계층의 어떠한 모드로도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는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즉 각 사용자는 [1] 단일 또는 다수의 잠금 모드에서 동일 또는 상이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거나, [2] 단일 또는 다수의 해제 모드에서 동일 또는 상이한 주 시스템을 구동하거나, 또는 [3] 하나 이상의 모드에서 동일한 또는 상이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계층에 정의된 모드의 수효가 동일한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는 인증된 사용자의 수효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기 아홉 번째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단일의 사용자만이 구동하며, 사용자는 단일의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는 물론 필요할 경우 임의의 수효의 중급 모드에서 상기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다. 일예로 계층이 단일의 잠금 모드(MDLK)와 세 개의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해제 모드(MDUL1, MDUL2 및 MDUL3)를 정의하면, 사용자는 MDUL1을 일반적 용도로, MDUL2는 가족 관계 용도로, MDUL3는 개인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정 계층이 다수의 잠금(또는 해제) 모드를 정의하는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의 요구 또는 외부 상황에 따라 각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상황의 예로는 [1] 제1 모드에서는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구동을 제한하지만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요소의 구동을 허락한 상황, [2] 제1 모드에서는 특정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일부분 또는 특정 옵션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지만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을 허락한 상황, 또는 [3] 제1 모드에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지만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접근을 허락한 상황 등이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MDUL1 및 MDUL2보다 MDUL3에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편파적으로 MDUL1을 사업 용도로 사용하는 반면 MDUL3에서는 최소한의 기능(즉 워드 프로세서, 포토샵 또는 갤러리)만을 필요로 할 경우, 터미널은 MDUL3보다 MDUL1에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과 주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잠금 모드에서는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는 한편 해제 모드에서는 주 시스템을 구동한다. 또는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는 잠금 시스템으로서 구동하나 해제 모드에서는 주 시스템으로서 구동하는 단일의 시스템만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다수의 시스템을 포함하되, 사용자는 [1] 잠금 모드에서는 잠금 시스템을, 해제 모드에서는 주 시스템을 구동하거나, 또는 [2] MDLK1에서는 제1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고, MDLK2에서는 제2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며, MDUL1 및 MDUL2에서는 주 시스템을 구동할 수도 있다. 즉 특정 계층이 정의하는 모드의 정확한 수효는 터미널이 포함하는 시스템(즉 잠금 시스템, 주 시스템 등)의 전체 수효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두 개 이상의 모드에서 동일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지만 각각의 모드에서 특정 제한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한의 예로는 [1] 제2 모드에서는 메모리 유닛의 특정 데이터 섹터를 접근하도록 허락하지만 제1 모드에서는 이를 금지하는 제한 또는 [2] 제2 모드에서는 소프트웨어 요소 구동 시 특정 옵션을 사용하도록 허락하지만 제1 모드에서는 이를 금지하는 제한 등이 있다.
터미널은 단일의 잠금 시스템과 단일의 주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수의 잠금 시스템들과 다수의 주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사용자는 상이한 해제(또는 잠금) 모드에서 상이한 주(또는 잠금)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는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고,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에서는 주 시스템을 구동하는 등 다수의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각 모드에서 사용자가 상이한 접근 권한으로 [1] 특정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거나, [2] 상기 요소의 특정 부위를 구동하거나, 또는 [3] 상기 요소와 관련된 특정 옵션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홉 번째 목적의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구동 중에는 기존 기기와 작업 실행 상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동 후 상기 기기로부터 작업 실행 상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자신의 터미널을 상기 기기에 결합한 후 터미널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기존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1] 자신의 터미널을 상기 기기에 물리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터미널을 일종의 휴대용 제어 콘솔(console)로 이용하며 기존 기기의 다양한 작업을 조작하거나, 또는 [2] 터미널과 기존 기기를 물리적으로 결합하지 않더라도 상기 터미널을 기존 기기의 다양한 작업을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원격 조절기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기존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교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에서,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다양한 특성은 기존의 [1] 휴대용 또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기기, [2] 비휴대용 데이터 처리 기기 또는 [3] 비이동식 데이터 처리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의 기존 데이터 처리 기기는 기존의 차량(일예로 자동차, 기차, 오토바이, 자전거, 기차, 비행기, 헬리콥터 등)에 포함된 기기, 기존의 드론 등일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상기 차량이나 드론을 구동할 때 보안을 강화할 수 있고, 동시에 인증 받지 않은 사용자가 상기 차량, 드론 등을 바람직하지 않은 목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2-10. 사용자 편의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방법에 대한 열 번째 예시적 측면이자 열 번째 목적은 사용자에게 강화된 보안, 향상된 완전성, 강화된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하는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열 번째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는 다양한 계층을 제공하며, 각 모드에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터미널은 모드 이동에 대응하여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또는 해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상기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로부터 더 넓은 (유사한, 또는 중첩되지 않는)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로 이동할 때,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 모드가 신규 모드에 비하여 적은(또는 넓은) 접근 권한만 부여되었는 지와 관계없이, 신규 모드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은 이전 모드에서 얻은 “결과물”에 다운로드 되거나 침투한 악성 프로그램의 잠재적 위협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각 모드를 계층의 나머지 모드와 전적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함으로써, 악성 프로그램에 의한 잠재적 오염이나 손상에 대한 염려 없이, 상기 계층이 정의하는 각 모드에서 용이하게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높은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강화된 개인 정보와 같은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열 번째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잠금(또는 중급) 모드는 물론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을 용이하게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의 모드에 특정 접근 권한을 부여하며, 이를 통하여 어떤 사용자에게는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중 전부가 아닌 일부만 구동하도록 하는 한편, 다른 사용자에게는 주 시스템의 (거의) 모든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은 [1] 단일의 터미널을 공유하거나, 또는 [2] 단일의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환경을 가지도록 연결된 다수의 터미널을 공유하며 네트워크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모드에 저장된 자신의 활동 내용이 실수로 다른 사용자에게 노출될 걱정 없이, 또한 자신만의 모드에서 수행한 활동으로 인하여 네트워크가 오염되거나 파괴될 걱정 없이, 상기 터미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 번째 목적의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며 사용자가 특정 계층이 정의한 다수의 모드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허용하거나, 한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나 터미널은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을 구축할 때, 특정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기 시작하는 사용자 또는 특정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이동하려는 사용자는 [1] 상기 계층의 해제 모드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계층을 구축하거나 또는 [2] 주 시스템의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계층을 구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하술의 [도 6]의 패널(C) 및 패널(D)에서 예시한 “트랩 모드”를 포함하는 “경로 특정 계층”을 구축할 수 있다.
터미널은 소중한 주 시스템이 침입자에 의하여 오염되거나, 손상되거나, 망가지지 않게 방지할 수 있는 추가 안전 보장 장치로서 상기 구성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터미널은 소정의 모드에서 구동을 시작하지 않은 사용자(즉 침입자)는 주 시스템의 특정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없도록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과 같이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사용자 또는 비인증 사용자가 잠금 작업을 실행하는 동안 터미널에 침투한 후 사용자가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할 때 주 시스템에 침입할 수도 있는 악성 바이러스에 의한 주 시스템의 오염, 손상 또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잠금 모드로부터 이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해제(또는 다른) 모드로 이동하기 전,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에 대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안전 보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실수로 접근한 수상한 웹사이트 또는 조심성 없이 다운로드한 오염된 파일 등에 의한 해킹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잠금 모드, 중급 모드 또는 해제 모드에서 사용자가 활동한 내역을 효율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계층을 주의 깊게 구축함으로써, 터미널은 비인증 사용자가 주 메모리 유닛의 데이터를 회수하거나 또는 주 메모리 유닛에 오염된 데이터를 기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의 사용자는 잠금 또는 중급 모드와 같이 덜 보호되는 모드에서 사용자가 수행한 활동에 대한 내역을 비인증 사용자가 확보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
상기 열 번째 목적의 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강화된 보안, 향상된 완전성과 높아진 개인 정보 보호의 환경에서 다양한 차량이나 드론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공유 차량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터미널을 차량의 포트에 삽입하거나 또는 무선으로 자신의 터미널을 차량과 동기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차량에 연결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차량을 구동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다른 사용자로 인하여 상기 차량에 이미 침투한 악성 바이러스나 코드로부터 주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여 타인이 사용자의 운전 기록이나 사용자의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이점은 작업 실행 상 사용자가 유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공유 전기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이점은 사용자가 자신의 터미널을 타인과 공유하는 환경에서 작업 실행 상 유무선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환경의 예로는 공유 인터넷망이나 제3자의 인터넷망 등이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터미널을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구동하고, 자신의 터미널의 주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격리하며, 또한 제3자가 자신의 터미널의 주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주 시스템을 구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한, 사용자는 보안, 완전성 및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2-11. 기존의 데이터 처리 기기의 개량 및 향상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터미널의 다양한 유닛, 하드웨어 요소, 소프트웨어 요소 등은 다양한 기존 문헌이 개시하는 상이한 모드에서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기존 문헌의 예로는 미국 애플사가 보유한 미국 등록특허 제8,782,775호로서, 특히 [도3], [도5], 컬럼 7의 27~39행, 컬럼 8의 15행부터 컬럼 9의 17행 등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기존 문헌의 다른 예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가 보유한 미국 출원특허 제2012/0009896호로서, 특히 [도3A], [도3B], [도4A] 및 [도4B], 문단 70~72 및 문단 75~76 등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기존 문헌에 대한 또 다른 예는 애플사가 보유한 미국 등록특허 제8,943,580호로서, 특히 [도1b]의 패널(B) 및 [도5c], 컬럼 7의 27~39행, 컬럼 8의 15행부터 컬럼 9의 17행 등을 참고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상기 기존 문헌이 개시한 접근 권한과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상기 기존 문헌이 개시하는 다양한 작업 모드에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상기 기존 문헌이 개시하는 모드를 상기 문헌이 개시한 바와는 상이한 계층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모드와 상기 문헌이 개시하는 모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부가적 목적
본 명세서는 다수의 모드 각각에서 구동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구동하여 다양한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하여 얻었고,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구동하는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의 전부나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으로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하며 신뢰성 낮은 웹사이트를 접속하거나, 의심스러운 링크에 접속하거나 또는 악성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이나 컨텐츠를 다운로드해도,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전체(또는 특정) 부분을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해제 모드로 이동해도, 악성 바이러스는 이미 삭제된 후이므로, 악성 바이러스가 터미널의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없다.
상술의 삭제 또는 부분삭제 이외에도,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주(또는 잠금) 시스템을 잠금(또는 주) 시스템으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악성 바이러스가 잠금 시스템에 성공적으로 침투하였더라도, 상기 물리적 격리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격리로 인하여 상기 바이러스는 주 시스템에는 침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의심스러운 웹사이트나, 잠재적으로 해로울 수 있는 다운로드한 컨텐츠나, 상기 컨텐츠, 링크 등에 포함된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 등과 같은 제한적 모드에서의 자신의 활동으로 인한 터미널의 오염이나 피해를 걱정하지 않은 채, 한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이음새 없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해제 모드와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고, 영상 유닛을 포함하며, 해제 모드에서 작동하는 동시에 상기 영상 유닛을 구동하는 주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잠금 뷰어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잠금 모드에서 구동 중인 터미널은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상기 이동과 동시,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결과물의 최소 일부를 삭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터미널은 “결과물”의 상기 일부가 주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잠금 뷰어를 포함하며, 잠금 모드에서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잠금 뷰어를 주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전적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결과물” 및 잠금 뷰어가 주 시스템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해제 모드와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며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은 영상유닛, 주 시스템, 잠금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시스템은 해제 모드에서 영상 유닛을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요소를 구동하여 다양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반면 잠금 시스템은 잠금 뷰어를 포함하고, 영상 유닛과 잠금 뷰어를 구동함으로써, 잠금 뷰어가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모드에서 구동 중인 터미널은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상기 이동과 동시에,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잠금 시스템에 잔류하는 “결과물”의 최소한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결과물”의 일부가 주 시스템을 오염시키거나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전적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고, 잠금 시스템을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주 시스템으로부터 전적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하며,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을 접근하지 못하도록 전적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 또는 “결과물”이 주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영상 유닛 및 주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고, 해제 및 잠금 모드에서 작동하며,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주 메모리 유닛에 1번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주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1번 데이터를 회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2번 데이터를 수신하고 2번 데이터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잠금 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뷰어가 주 메모리 유닛에서 1번 데이터를 회수하거나 주 메모리 유닛에 2번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도록 전적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모드에서 구동 중인 터미널은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직)후, 동시,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2번 데이터의 최소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상기 삭제된 데이터로부터 주 메모리 유닛을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세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잠금 뷰어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 뷰어를 주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주 메모리 유닛을 잠금 뷰어 또는 2번 데이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고, 1번 모드와 2번 모드에서 작동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1번 모드 및 2번 모드에서 각각 1번 수효 및 2번 수효의 요소들을 구동하도록 한다. 터미널은 2번 모드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파일 뷰어 앱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2번 모드에서 1번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상기 이동과 동시, 상기 이동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데이터의 최소한 일부분을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가 2번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도록 허용하지만, 1번 또는 2번 모드에서 상기 삭제된 데이터에 의한 상기 요소의 오염이나 악영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파일 뷰어 앱을 포함하고, 상기 앱을 상기 요소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상기 요소를 파일 뷰어 앱 또는 1번이나 2번 모드의 데이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들 포함하고, 해제 모드와 잠금 모드에서 작동한다. 터미널은 영상 유닛과 주 시스템을 포함하며, 후자는 상기 요소를 구동하고, 해제 모드에서 다수의 작업을 실행하며, 해제 모드에서 상기 작업에 의한 “결과물”을 영상 유닛에 표시한다.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도 포함하고,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잠금 뷰어 및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한다.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뷰어와 잠금 메모리 유닛을 구동하며, 영상 유닛에 “결과물”을 표시함은 물론 잠금 뷰어가 잠금 모드에서 “결과물”의 최소 일부를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작동하는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며,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상기 이동과 동시에, 상기 이동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잠금 시스템에 잔류하는 “결과물”을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이나 상기 삭제된 “결과물”이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일실시예의 터미널은 그 내부에 상기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잠금 시스템을 주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상기 요소에 대한 잠금 시스템의 접근을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잠금 시스템과 “결과물”에 의한 악영향으로부터 상기 요소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고, 1번 및 2번 모드에서 구동하며, 사용자는 2번 모드보다 1번 모드에서 더 많은 수의 상기 요소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터미널은 2번 모드에서 “결과물”을 표시하는 파일 뷰어 앱과 2번 모드에서 “결과물”을 저장하는 2번 메모리 유닛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2번 모드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은 1번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상기 이동과 동시, 상기 이동 (직)후나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2번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결과물”의 최소한 일부를 삭제함으로써, 사용자가 2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표시된 “결과물”을 보거나 회수하도록 하지만, 1번 또는 2번 모드에서 ‘결과물” 중 삭제된 일부로부터 상기 요소를 부분적 또는 전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을 그 내부에 포함하되, 잠금 시스템의 파일 뷰어 앱 또는 2번 메모리 유닛을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상기 요소로부터 전적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2번 모드에서 파일 뷰어 앱이나 2번 메모리 유닛이 상기 요소를 접근하지 못하도록 전적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은 파일 뷰어 앱, 2번 메모리 유닛 또는 “결과물”이 미칠 수 있는 악영향으로부터 상기 요소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해제 모드나 잠금 모드 각각에서 구동하고, 영상 유닛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터미널의 오염, 손상 또는 성능 저하에 대한 걱정 없이 잠금 모드에서 자신이 원하는 작업을 모두 실행하면서도 외부 소스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결과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결과를 잠금 모드에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는 주 시스템과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며, 주 시스템은 해제 모드에서 사용자가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 중 최소한 과반 이상을 접근하도록 허락하는 반면,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사용자가 상기 요소들 중 최소한 과반 이상을 접근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상기 이동과 동시, 상기 이동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결과물”의 전부 또는 최소한 일부분을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에서 삭제된 “결과물”이 주 시스템에 미치는 악영향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잠금 시스템,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는 주 시스템 및 영상 유닛을 포함하며, 주 시스템 및 잠금 시스템은 각각 해제 모드와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을 구동한다.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해제 모드에 있는 터미널은 상기 모드 이동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모드 이동 작업(즉 상기 모드 이동 세부입력에 상응하는 모드를 확인하는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1] 잠금 모드로 진행하기 위해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2] 잠금 모드로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별도의 추가 (사용자) 세부입력을 제공하도록 요구할 필요 없이, 또는 [3]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고 잠금 모드로 이동하기 전 별도의 작업을 실행할 필요 없이,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영상 유닛과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고, 1번 모드와 2번 모드에서 구동하며, 사용자는 2번 모드보다 1번 모드에서 더 많은 수효의 상기 요소를 구동하도록 한다. 터미널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하며, 1번 모드에서 구동되는 터미널은 상기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2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1] 2번 모드로 진행하기 위해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가 없거나, [2] 2번 모드로 이동하기 위하여 별도의 추가 (사용자) 세부입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3]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한 후, 하지만 2번 모드로 이동하기 전 별도의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고, 1번 모드와 2번 모드에서 구동하며, 사용자가 1번 모드에서는 1번 수효의 요소를 구동하지만, 2번 모드에서는 2번 수효의 요소를 구동하도록 한다. 터미널은 사용자로부터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1번 또는 2번 모드 중 하나인 현재 모드로부터 1번 또는 2번 모드 중 나머지인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가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1번 모드 또는 2번 모드로 번갈아 가며 이동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고, 모드 A, B 및 C 에서 구동하며, 각각의 모드에서 1번 수효, 2번 수효 및 3번 수효의 상기 요소를 구동하도록 한다. 터미널은 사용자로부터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터미널은 상기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며, 모드 A, B 및 C 중 하나인 현재 모드로부터 나머지 중 하나인 신규 모드로 이동한다. 따라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이 다수의 모드 이동 세부입력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수신하면, 터미널은 첫 번째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모드 A, B 및 C 중 첫 번째 모드로부터 모드 A, B 및 C 중 두 번째 모드로 이동하고, 그 후 두 번째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두 번째 모드로부터 모드 A, B 및 C 중 세 번째 모드로 이동하고, 그 후 세 번째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세 번째 모드로부터 상기 첫 번째 모드로 이동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해제 모드와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며, 영상 유닛을 포함하고, 해제 모드에서 상기 영상 유닛을 구동할 수 있는 주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 상기 터미널을 위하여 탈착 기기와 잠금 뷰어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를 제공하며, 탈착 기기는 터미널의 하나 이상의 부위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잠금 뷰어는 “결과물”을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되, 상기 “결과물”은 [1] 탈착 기기 내부에 위치하거나, [2]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접근하는 외부 소스가 제공하거나, 또는 [3] 터미널이 잠금 모드에서 기타 방법으로 취득할 수 있다. 탈착 기기나 주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결과물”을 표시하기 위하여 잠금 뷰어를 구동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상기 이동과 동시에, 상기 이동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결과물”의 전부나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상기 탈착 기기가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1번 모드와 2번 모드에서 구동하고,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1번 모드에서 1번 수효의 상기 요소를 구동하는 반면 2번 모드에서는 1번 수효보다 적은 2번 수효의 상기 요소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터미널을 위하여 탈착 기기와 파일 뷰어 앱을 포함하는 외부 기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탈착 기기는 터미널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파일 뷰어 앱은 “결과물”을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되, 상기 “결과물”은 [1] 탈착 기기 내부에 위치하거나, [2] 1번이나 2번 모드에서 터미널(일예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이 제공하거나, [3] 2번 모드에서 사용자가 접근하는 외부 소스가 제공하거나, 또는 [4] 터미널이 1번 또는 2번 모드에서 취득할 수 있거나 탈착 기기가 2번 모드에서 취득할 수 있다.
탈착 기기 또는 터미널은 2번 모드에서 1번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상기 이동과 동시에, 상기 이동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결과물”의 전부나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가 2번 모드에서 탈착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결과물”을 접근하거나 회수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과물”의 삭제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요소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는 탈착 기기 또는 터미널은 옵션으로 터미널이 1번 모드로부터 2번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상기 이동과 동시에, 상기 이동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술의 “결과물”과는 상이한 결과의 전부나 일부를 삭제할 수 있으며, 상기 결과는 [1] 상기 하드웨어 요소에 위치하거나, [2] 1번 모드에서 사용자가 접근하는 또 다른 외부 소스가 제공하거나, [3] 1번이나 2번 모드에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가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1번 모드에서 수행한 활동의 내역을 전부 또는 일부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소스로부터 얻은 신뢰할 수 없는 “결과물”로부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터미널은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며, 해제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터미널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하고 구동하도록 하지만, 잠금 모드에서는 상기 요소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잠금 모드에서 사용자가 외부 소스로부터 “결과물”을 얻도록 허락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의 첫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결과물”의 전체나 일부를 삭제한 후 해제 모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삭제한 부분에 의한 터미널의 오염 또는 악영향을 방지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터미널이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동시,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결과물”의 전체나 일부를 삭제함으로써, 상기 삭제한 부분에 의한 터미널의 오염이나 악영향을 방지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소스로부터 얻은 신뢰할 수 없거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결과물”로부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터미널은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고, 해제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터미널의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소들의 모두(또는 상당한 부분)를 접근하고 구동할 수 있지만, 잠금 모드에서는 상기 요소들의 최소 하나 이상을 접근하지 못하도록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터미널에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며, 주 시스템은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고,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며,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여 “결과물”을 얻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의 첫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터미널이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동시,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결과물”의 전부나 일부를 삭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에 의한 또는 상기 “결과물”의 삭제한 부분에 의한 주 시스템의 오염이나 악영향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상기 잠금 시스템을 주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시킴으로써, 상기 “결과물” 및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을 오염시키거나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저장된 개인 데이터의 보호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터미널은 1번 모드와 2번 모드에서 구동하고,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1번 모드에서는 1번 수효의 상기 요소를 구동하는 반면 상기 2번 모드에서는 2번 수효의 상기 요소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1번 수효와 2번 수효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1번(또는 2번) 모드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의 첫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상기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한 후 1번(또는 2번) 모드로 이동함으로써, 삭제된 데이터에 대한 타인의 접근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터미널이 2번(또는 1번) 모드로부터 1번(또는 2번)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동시에,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상기 삭제한 데이터를 타인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상이한 부위들에 저장된 데이터 사이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터미널은 다수의 모드 각각에서 작동하며, 각각의 모드에서 특정(또는 모든)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할 수 있는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다양한 모드 중 한 모드에서 터미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데이터의 전부나 일부를 삭제한 후 제2 모드로 이동함으로써 제2 모드에서는 삭제된 데이터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터미널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이동하기 (직)전, 동시,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제2 모드에서 상기 삭제한 데이터를 접근하지 못하도록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해제 모드와 잠금 모드 사이를 이동하며 구동하되, 사용자에게 잠금 모드보다 해제 모드에서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조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의 첫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도록 허락하는 스텝;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모드 이동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모드 이동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모드 이동 (직)전, 동시,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잠금 작업과 관련된 결과를 삭제하는 스텝 등을 포함한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해제 모드에서 해제 작업을 실행하도록 허락하는 스텝;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모드 이동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첫 번째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스텝들을 수행하되, [1] 상기 모드 이동 전, 도중 또는 후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2] 영상 유닛을 끈 후 상기 모드 이동 전 또는 도중 영상 유닛을 켜거나, 또는 [3] 상기 잠금(또는 해제) 작업 및 모드 이동 작업 사이에 추가 작업을 실행할 필요 없이, 상기 방법의 상술의 스텝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1번 모드와 2번 모드, 각각에서 구동하며, 상기 모드에 각각 동일, 유사,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모드를 이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2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도록 허락하는 스텝; 사용자가 제공하는 1번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하는 스텝; 상기 1번 모드 이동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2번 모드로부터 1번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사용자가 제공하는 2번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하는 스텝; 및 2번 모드 이동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1번 모드로부터 다시 2번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모드 이동 세부입력을 한 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1번 및 2번 모드를 번갈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텝들을 수행하되, [1] 옵션으로 삭제 작업을 실행하거나, [2] 상기 모드 이동 전, 도중, 또는 후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3] 옵션으로 상기 모드 이동 전 또는 도중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4] 옵션으로 상기 취득과 모드 이동 사이 추가 작업을 실행하지 않은 채, 또는 [5] 옵션으로 1번 및 2번 모드 이동 세부입력을 상이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으로 수신하며, 상기 방법의 상술의 스텝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세 개 이상의 모드에서 각각 구동하며, 각 모드에 동일, 유사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모드를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의 첫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모드를 정의하는 순차적, 병렬적 또는 혼합적 계층을 구축하는 스텝; 사용자가 1번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도록 허락하는 스텝; 사용자가 제공하는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하는 스텝; 및 상기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계층을 따라 순차적으로 1번 모드에서 다음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세부입력을 한 번에 하나씩 제공함에 따라, 터미널은 상기 계층에 근거하여 한 번에 한 모드씩 이동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다수의 모드 이동 세부입력들 각각을 다수의 모드들 각각에 상응시키는 스텝; 사용자가 1번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는 스텝; 사용자로부터 특정 모드 이동 세부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상기 특정 세부입력에 상응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스텝; 및 상기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1번 모드로부터 상기 상응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제공한 세부입력에 해당하는 모드로 직접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텝들을 수행하되, [1] 옵션으로 삭제 작업을 실행하거나, [2] 상기 모드 이동 전, 도중 또는 이동 후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3] 옵션으로 상기 모드 이동 전 또는 도중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4] 상기 취득과 모드 이동 사이 추가 작업을 실행하지 않은 채, 또는 [5] 옵션으로 다수의 모드 이동 세부입력을 상이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으로 수신하며, 상기 방법의 상술의 스텝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모드 이동용 입력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와 하나 이상의 잠금 모드 각각에서 구동되며, 잠금 모드보다 해제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조작하여 모드를 이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의 첫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도록 허락하는 스텝;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이용하여 모드 이동 세부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및 상기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한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되, 상기 모드 이동 (직)전, 동시, (직)후 또는 상기 이동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스텝 등을 포함한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도록 허락하는 스텝;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이용하여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및 상기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이동하기 위한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상술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1] 상기 모드 이동 전, 도중 또는 이동 후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2] 옵션으로 상기 모드 이동 전 또는 도중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또는 [3] 상기 작업 실행과 모드 이동 사이 추가 작업을 실행하지 않은 채, 상기 방법의 상술의 스텝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1번 및 2번 모드 각각에서 구동하며, 각 모드에 상이한, 유사한 또는 동일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모드를 이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2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도록 허락하는 스텝;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1번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상기 1번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2번 모드로부터 1번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상기 입력 유닛을 이용하여 2번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및 상기 2번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1번 모드로부터 2번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수의 세부입력들을 한 번에 하나씩 제공함에 따라 터미널은 1번 모드 및 2번 모드로 한 모드씩 번갈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스텝들을 수행하되, [1] 옵션으로 삭제 작업을 실행하거나, [2] 상기 모드 이동 전, 도중 또는 이동 후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3] 옵션으로 상기 모드 이동 전, 도중 또는 이동 후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4] 상기 취득과 모드 이동 사이 추가 작업을 실행하지 않은 채, 또는 [5] 1번 및 2번 모드 이동 세부입력을 상이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으로 수신하며, 상기 방법의 상술의 스텝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세 개 이상의 모드 각각에서 구동하며, 각 모드에 상이한, 유사한 또는 동일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이용하여 모드를 이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의 첫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모드를 정의하는 순차적, 병렬적 또는 혼합적 계층을 구축하는 스텝; 사용자가 상기 모드들 중 하나인 1번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도록 허락하는 스텝; 사용자가 제공하는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및 상기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1번 모드로부터 상기 계층을 따라 다른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수의 세부입력을 한 번에 하나씩 제공함에 따라, 터미널은 상기 계층을 따라 한 번에 한 모드씩 이동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의 방법은 다수의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 각각을 다수의 모드 각각에 상응(즉 matching)시키는 스텝; 사용자가 상기 모드 중 한 모드인 1번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도록 허락하는 스텝; 상기 입력 유닛으로 특정 모드 이동 세부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상기 특정 세부입력에 상응하는 특정 모드를 선택하는 스텝; 및 상기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1번 모드로부터 직접 상기 선택된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가 자신이 제공한 세부입력에 상응하는 특정 모드로 직접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스텝들을 수행하되, [1] 삭제 작업을 실행하거나, [2] 상기 모드 이동 전, 도중 또는 후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3] 상기 모드 이동 전, 도중 또는 후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켜거나, [4] 상기 취득과 모드 이동 사이 추가 작업을 실행하지 않은 채, 또는 [5] 다수의 모드 이동 세부입력들을 상이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으로 수신하며, 상기 방법의 상술의 스텝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다수의 하드웨어 요소 및 다수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며, 해제 모드 및 잠금 모드 각각에서 구동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에게 1번 세트의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는 1번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스텝; 및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에게 2번 세트의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는 2번 접근 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1번 세트보다 상기 2번 세트가 더 많은 수효의 요소를 포함하는 스텝; 및 잠금 모드에서 1번 세트의 요소를 구동함으로써 1번 결과물을 얻는 스텝; 1번 결과물의 최소한 일부를 삭제하며 잠금 모드에서 해제모드로 이동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할 때 1번 결과물이 2번 세트의 요소들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요소를 “구동”하는 스텝은 1번 세트의 요소에 대한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스텝;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및 상기 수신에 대응하여 상술의 “구동”을 수행하는 스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신”은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은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누르는 스텝;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자 신체 부위로 누르고, 상기 누름을 유지하며 상기 신체 부위를 인터페이스의 부위 위에서 움직이는 스텝;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촉하는 스텝; 및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촉하고, 상기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신체 부위를 인터페이스의 부위 위에서 움직이는 스텝 중 하나 이상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요소를 “구동”하는 스텝은 파일 뷰어 앱을 구동하는 스텝; 이미지 뷰어 앱을 구동하는 스텝; 및 웹 브라우저 앱을 구동하는 스텝 중 하나 이상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 요소를 “구동”하는 스텝은 작업의 실행을 수반할 수 있으며, 상기 “실행”은 파일 표시 스텝; 이미지 표시 스텝; 소리 재생 스텝; 및 웹사이트 접속 스텝 중 하나 이상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1번 결과물을 얻는” 스텝은 웹페이지 주소(즉 url 또는 uniform resource locator)에 접속한 후 1번 결과물을 얻는 스텝; 웹사이트에서 1번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1번 결과물을 얻는 스텝; 메시지에 첨부된 2번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1번 결과물을 얻는 스텝; 이메일에 첨부된 3번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1번 결과물을 얻는 스텝; 및 상기 1번~3번 파일을 열어서 1번 결과물을 얻는 스텝 중 하나 이상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여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1번 결과물을 얻는” 스텝 이후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유닛을 제공한 후 잠금 메모리 유닛에 1번 결과물을 저장하는 스텝; 및 1번 결과물을 터미널의 임시 메모리 섹터에 저장하는 스텝 중 하나 이상의 스텝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일곱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삭제”는 1번 결과물의 전체가 아닌 일부만 삭제하는 스텝; 및 1번 결과물 전체를 삭제하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여덟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삭제”는 잠금 모드에서 1번 결과물의 일부만 삭제하는 스텝; 및 해제 모드에서 1번 결과물의 일부만 삭제하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아홉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삭제”는 상기 모드 이동 직전, 동시 또는 직후, 상기 1번 결과물의 일부를 삭제하는 스텝;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전 1번 결과물의 일부를 삭제하는 스텝; 및 사용자로부터 추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과 동시에 1번 결과물의 일부를 삭제하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열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법은 해제 모드에서 2번 세트의 요소들을 구동함으로써 2번 결과물을 얻는 스텝; 및 2번 결과물을 삭제하지 않은 채 해제 모드에서 잠금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열한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법은 터미널이 구동하는 중급 모드를 정의하는 스텝; 및 중급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에게 3번 세트의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는 3번 접근 권한을 부여하되, 3번 세트는 1번 세트보다는 더 많은 요소를 포함하지만 2번 세트보다는 더 적은 요소들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열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법은 중급 모드에서 3번 세트의 요소들을 구동함으로써 3번 결과물을 얻는 스텝; 및 3번 결과물을 얻은 후 이의 일부분을 삭제하며 중급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가 터미널을 해제 모드에서 구동할 때 3번 결과물이 2번 세트의 요소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영상 유닛, 다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며,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 각각에서 구동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에게 1번 세트의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는 1번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스텝; 해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에게 2번 세트의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는 2번 접근 권한을 부여하되, 1번 세트보다 2번 세트가 더 많은 수효의 요소를 포함하는 스텝; 해제 모드에서 2번 세트의 요소를 구동함으로써 2번 결과물을 얻는 스텝; 및 사용자가 영상 유닛을 껐다가 다시 켤 필요 없이 사용자로부터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부여”는 잠금 모드에서 1번 세트의 요소들에 상응하는 1번 세트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 세트를 영상 유닛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1번 인터페이스 세트의 각 인터페이스에 1번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이에 상응하는 1번 세트의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는 스텝; 및 해제 모드에서 2번 세트의 요소들에 상응하는 2번 세트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영상 유닛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2번 인터페이스 세트의 각 인터페이스에 2번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이에 상응하는 2번 세트의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 때 영상 유닛은 잠금 모드보다 해제 모드에서 더 많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이에 따라 터미널은 잠금 모드의 1번 접근 권한보다 더 넓은 2번 접근 권한을 해제 모드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신”은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은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누르는 스텝;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자 신체 부위로 누르고, 상기 누름을 유지하며 상기 신체 부위를 인터페이스의 부위 위에서 움직이는 스텝;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촉하는 스텝; 및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촉하고, 상기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신체 부위를 인터페이스의 부위 위에서 움직이는 스텝 중 하나 이상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터미널은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각각에서 구동하고, 영상 유닛과 하나 이상의 잠금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주 요소를 포함하며, 잠금 모드에서는 영상 유닛에 잠금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만 해제 모드에서는 영상 유닛에 하나 이상의 주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해제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주 인터페이스의 수효는 잠금 모드에서 표시하는 잠금 인터페이스의 수효보다 크다. 또한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는 잠금 인터페이스에 사용자가 공급하는 1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 요소를 구동하는 반면, 해제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해제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2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주 요소를 구동한다.
상기 방법은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잠금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스텝; 잠금 모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1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 요소를 구동하는 스텝; 상기 구동에 대응하여 잠금 모드에서 잠금 요소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결과물을 얻는 스텝; 및 상기 결과물의 최소한 일부를 삭제하며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결과물이 주 요소 또는 터미널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표시” 및 “구동”은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잠금 인터페이스로 표시하는 스텝;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조작으로부터 1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잠금 하드웨어 요소 또는 잠금 소프트웨어 요소를 선택하는 스텝; 및 상기 선택된 요소를 구동하는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조작”은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누르는 스텝;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누르고, 상기 누름을 유지하며 사용자 신체 부위를 상기 인터페이스의 부위 위에서 움직이는 스텝;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촉하는 스텝; 및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촉하고, 상기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신체 부위를 인터페이스의 부위 위에서 움직이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동”은 파일 뷰어 구동 스텝; 이미지 뷰어 구동 스텝; 웹 브라우저 구동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실행”은 파일 표시 스텝; 이미지 표시 스텝; 소리 재생 스텝; 및 웹사이트 접속 스텝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과물을 얻는” 스텝은 웹페이지 주소(url 등)에 접속한 후 결과물을 얻는 스텝; 웹사이트에서 1번 파일을 다운로드함으로써 결과물을 얻는 스텝; 메시지에 첨부된 2번 파일을 다운로드함으로써 결과물을 얻는 스텝; 이메일에 첨부된 3번 파일을 다운로드함으로써 결과물을 얻는 스텝; 및 앞의 1번 내지 3번 파일 중 한 파일을 열어서 결과물을 얻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여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과물을 얻는” 스텝 이후 터미널은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는 스텝; 및 결과물을 터미널의 비영구적 메모리 섹터에 저장하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일곱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삭제”는 결과물의 전체가 아닌 일부만 삭제하는 스텝; 및 결과물 전체를 삭제하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여덟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삭제”는 잠금 모드에서 결과물의 일부만 삭제하는 스텝; 및 해제 모드에서 결과물의 일부만 삭제하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아홉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삭제”는 상기 모드 이동 이전, 동시 또는 직후 결과물의 일부를 삭제하는 스텝;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전 결과물의 일부를 삭제하는 스텝; 및 사용자의 추가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에 결과물의 일부를 삭제하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열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법은 해제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주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스텝; 사용자가 제공하는 2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해제 모드에서 주 요소를 구동하는 스텝; 상기 구동에 대응하여 해제 모드에서 주 요소로 해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실행 후 추가 결과물을 얻는 스텝; 및 상기 추가 결과물을 삭제하지 않은 채 해제 모드에서 잠금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열한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추가로 중급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중급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중급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중급 모드에서 특정 수효의 중급 인터페이스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되, 상기 특정 수효는 해제 모드에서 표시되는 주 인터페이스의 1번 수효보다는 적지만 잠금 모드에서 표시되는 잠금 인터페이스의 2번 수효보다는 크다.
상기 목적의 열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법은 중급 모드에서 중급 인터페이스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스텝; 사용자가 중급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4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중급 모드에서 중급 요소를 구동하는 스텝; 상기 구동에 대응하여 중급 모드에서 중급 요소로 중급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실행 후 추가 결과물을 얻는 스텝; 및 상기 추가 결과물을 얻고 이의 최소한 일부분을 삭제하며 중급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추가 결과물이 주 요소 및 터미널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스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터미널은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각각에서 구동하며, 영상 유닛과 하나 이상의 잠금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주 요소를 포함하며, 영상 유닛에 잠금 모드에서는 하나 이상의 잠금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반면 해제 모드에서는 하나 이상의 주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해제 모드에서 표시하는 주 인터페이스의 수효가 잠금 모드에서 표시하는 잠금 인터페이스의 수효보다 크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는 잠금 인터페이스에 사용자가 공급하는 1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 요소를 구동하고, 해제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주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2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주 요소를 구동한다.
상기 방법은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잠금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스텝; 사용자로부터 1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잠금 모드에서 1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잠금 요소를 구동하도록 하는 스텝; 상기 구동에 대응하여 잠금 모드에서 사용자가 잠금 요소로 잠금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여 결과물을 얻는 스텝; 및 사용자가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며 상기 결과물의 최소한 일부를 삭제하여, 상기 결과물이 주 요소나 터미널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스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에서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터미널은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각각에서 구동하며, 영상 유닛과 하나 이상의 잠금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주 요소는 물론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하며, 영상 유닛에 잠금 모드에서는 하나 이상의 잠금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해제 모드에서는 하나 이상의 주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해제 모드에서 표시하는 주 인터페이스의 수효가 잠금 모드에서 표시하는 잠금 인터페이스의 수효보다 크다.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인터페이스에 사용자가 제공한 1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 요소를 구동하나, 해제 모드에서 사용자가 주 인터페이스에 제공한 2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주 요소를 구동한다.
상기 방법은 해제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주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스텝; 사용자가 제공하는 2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해제 모드에서 주 요소를 구동하는 스텝; 상기 구동에 대응하여 해제 모드에서 주 요소로 해제 작업을 실행하는 스텝;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에 제공하는 3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및 사용자에게 추가 사용자 입력을 요구하지 않은 채 3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해제 모드에서 잠금 모드로 이동하는 스텝 등을 포함한다.
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표시” 및 상기 “구동”은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주 인터페이스로 표시하는 스텝; 상기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조작으로부터 2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스텝; 상기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주 하드웨어 요소나 주 소프트웨어 요소를 선택하는 스텝; 및 상기 선택된 요소를 구동하는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조작”은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누르는 스텝; 상기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자가 신체 부위로 누르고, 상기 누름을 유지하며 상기 신체 부위를 상기 인터페이스의 부위 위에서 움직이는 스텝;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촉하는 스텝; 및 상기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자 신체 부위로 접촉하고, 상기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신체 부위를 인터페이스의 부위 위에서 움직이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누르는 스텝; 상기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자가 신체 부위로 누르고, 상기 누름을 유지하며 상기 신체 부위를 상기 입력 유닛의 부위 위에서 움직이는 스텝; 상기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접촉하는 스텝; 상기 입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자 신체 부위로 접촉하고, 상기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신체 부위를 입력 유닛의 부위 위에서 움직이는 스텝; 및 상기 입력 유닛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 각각에서 구동할 수 있고, 영상유닛, 하나 이상의 잠금 요소, 다수의 주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는 영상 유닛에 잠금 요소에 상응하는 잠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반면, 해제 모드에서는 영상 유닛에 다수의 주 요소들에 상응하는 다수의 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1번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요소를 구동함으로써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2번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주 요소들을 해제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이 해제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수효는 잠금 모드에서 표시하는 잠금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수효보다 많다. 또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하며 상기 결과물의 최소한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잠금 요소는 파일 뷰어, 이미지 뷰어, 또는 웹 브라우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잠금 요소는 [1] 뷰어 앱, [2] 뷰어 앱과 이를 구동할 수 있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1번 세트, [3] 뷰어 앱과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2번 세트, [4] 잠금 메모리 유닛 및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하는 3번 세트, [5] 잠금 메모리 유닛과 잠금 운영체계를 포함하는 4번 세트, 또는 [6] 잠금 메모리 유닛, 잠금 CPU 유닛과 잠금 운영체계를 포함하는 5번 세트 중 하나 이상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기반 인터페이스,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 오브젝트 지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지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방향 조작 기반 인터페이스(a direction manipulation user interface) 등일 수 있다.
이의 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잠금 요소는 [1] 주 요소에 해당하는 하드웨어 요소, [2] 주 요소와는 상이한 하드웨어 요소, [3] 주 요소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4] 주 요소와는 상이한 소프트웨어 요소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요소를 구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이의 여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은 사용자가 주 요소를 구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의 일곱 번째 실시예에서, 상기 결과물은 [1] 주 요소에 저장되었으며 이로부터 회수 가능한 데이터, [2] 잠금 요소에 저장되었으며 이로부터 검색 가능한 데이터, [3]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한 데이터, [4] 메시지로부터 다운로드한 데이터, [5] 이메일로부터 다운로드한 데이터, 또는 [6] 앞의 [1]~[3]의 데이터를 열어 봄에 따라 얻는 결과물 등이다.
이의 여덟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과물은 [1] 잠금 모드에서 방문한 웹사이트 리스트, [2] 잠금 모드에서 처리한 데이터 리스트, [3] 잠금 모드에서 다운로드한 데이터 리스트, [4] 잠금 모드에서 선택한 웹사이트 주소(즉 url) 리스트, [5] 잠금 모드에서 실행한 작업 리스트, [6] 잠금 모드에서 잠금 요소에 저장한 데이터 리스트, [7] 잠금 모드에서 주 요소로부터 회수한 데이터 리스트, 또는 [8] 잠금 모드에서 삭제한 데이터 리스트 등이다.
이의 아홉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일부분을 삭제하는 삭제 작업을 다양한 삭제 시점에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삭제 시점의 예로는 [1] 모드 이동 전의 시점, [2] 모드 이동과 동시의 시점, [3] 모드 이동 직후의 시점, [4]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전의 시점, 또는 [5]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과 동시의 시점 등이 있다.
이의 열 번째 실시예에서, 터미널은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는 동안 결과물의 일부분을 삭제할 수 있다.
이의 열한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결과물의 일부를 삭제하되, 상기 일부는 [1] 비영구적 메모리 섹터, [2] 잠금 요소의 메모리 공간, 또는 [3] 주 요소의 메모리 공간 등에 잔류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 각각에서 구동할 수 있고, 영상 유닛과 하나 이상의 잠금 요소와 다수의 주 요소들은 물론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하며,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잠금 요소에 상응하는 잠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반면, 해제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다수의 주 요소들에 상응하는 주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한 1번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요소를 구동함으로써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한 2번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주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이 해제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수효는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잠금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수효보다 많다. 또 터미널은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에 제공하는 단일의 3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기술 용어나 모든 과학 용어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터미널의 제조 및 사용 방법, 상기 터미널 및 방법의 작업 실행 순서 등과 관련된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터미널 및 방법에 대한 적합한 구조, 방법, 작업 실행 순서 등을 설명한다. 단 상기 터미널, 방법 또는 작업 실행 순서를 구현하거나 실험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구조, 방법, 작업 실행 순서 등과 유사하거나 상기 구조, 방법, 작업 실행 순서의 균등 구조, 방법, 작업 실행 순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학술 문헌, 출원특허, 등록특허 및 다른 참고 문헌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만일 상기 문헌이나 특허와 본 명세서의 설명이 상충될 경우, 본 명세서의 설명이 우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터미널의 구조, 방법 및 작업 실행 순서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자기 터미널을 이용하여 아무 웹사이트에나 접속하고 상기 웹사이트로부터 아무 컨텐츠나 다운로드하며, 그 컨텐츠를 열더라도, 상기 컨텐츠에 침투하여 있는 악성 바이러스가 사용자의 터미널에 이주할지 모른다는 걱정을 할 필요가 없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높아진 보안, 향상된 완전성, 강화된 정보 보호를 제공하는 동시에, 터미널의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에 근거하거나 또는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의 특성에 근거하여 서로 독립적 또는 상호 의존하는 최소 “네 가지 특성”을 이용하여 “이음새 없는 특성”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네 가지 특성 중 첫 번째 특성은 터미널이 사용자에게 두 개 이상의 “상이한 모드”를 제공한다는 점이며, 터미널은 각 모드에 사용자가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에는 해제 모드와 같은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반면, 신뢰도가 낮은 데이터를 처리할 때에는 잠금 모드와 같은 다른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네 가지 특성 중 두 번째 특성은 터미널의 주(또는 잠금) 시스템 및 잠금(또는 주) 시스템 사이의 “물리적 격리”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격리”이다.
상기 네 가지 특성 중 세 번째 특성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으로서,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여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이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영향을 미치기 전, 상기 “결과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네 가지 특성 중 마지막 “네 번째 특성”은 터미널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사용자는 기존의 터미널과 같이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특정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특성의 경우,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수의 (작업)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구동한다. 또한 터미널은 다수의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고, 상기 모드의 예로는 (1) 터미널이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 모드, (2) 터미널이 주(또는 해제) 시스템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 및 (3) 옵션으로 터미널이 중급 시스템을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중급 모드 등이 있다.
잠금 모드는 (1) 잠금 시스템이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는 모드로서, (2)터미널은 잠금 모드에 주 시스템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중 최소 수효의 요소만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모드는 최소의 접근 권한이 “실제로” 부여된 모드에 해당한다. 반면 해제 모드는 (1)해제(또는 주) 시스템이 다양한 해제 작업을 실행하는 모드로서, (2)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 주 시스템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중 최대 수효의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해제 모드는 최대의 접근 권한이 “실제로” 부여된 모드에 해당한다.
터미널은 다양한 모드들이 병렬적 또는 순차적 형태로 배열된 계층을 구축할 수 있으며, 터미널은 최소 두 개의 모드에 완전히 중첩되지 않는(즉 비중첩)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각각의 모드에서 완전히 상이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최소 두 개의 모드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는(즉 일부 중첩)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1) 두 모드 모두에서 제1 예시적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반면, (2) 제2 예시적 요소는 두 모드 모두가 아닌 하나의 모드에서만 구동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다수의 잠금(또는 해제)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구동할 수도 있다. 이 때 터미널은 다수의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 동일, 유사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1] 단일의 사용자가 각 모드를 상이한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2] 다수의 사용자가 단일의 터미널을 한 번에 한 명씩 사용하며 공유하되, 일예로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모드에서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지만 타사용자의 모드에서는 작업을 실행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터미널에 저장된 각 사용자의 데이터의 비밀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중급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구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중급 모드에서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중급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은 해제 모드의 접근 권한보다는 적지만 잠금 모드의 접근 권한보다는 넓은 접근 권한을 중급 모드에 부여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잠금 모드, 하나 이상의 중급 모드 및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가 병렬적 또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계층을 구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계층이 정의한 모드의 순서에 따라 한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사용자는 전방 방향(즉 접근 권한이 적은 모드로부터 넓은 모드로의 방향) 으로 상기 계층을 따라 모드를 이동하거나, 후방 방향 (즉 접근 권한이 넓은 모드로부터 좁은 모드로의 방향)으로 상기 계층을 따라 모드를 이동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와 하나 이상의 잠금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구동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다양한 예시적 측면 및 각 측면의 예시적 실시예를 제공한다. 단 상기 측면 및 실시예는 상기 잠금 모드와 해제 모드 및 하나 이상의 중급 모드를 정의하는 다른 계층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특성의 경우,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이음새 없는” 작업의 편리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화된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높아진 데이터 보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최소 일부를 상기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최소 일부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어떤 웹사이트를 방문하건 또는 어떤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열어보더라도, 터미널은 상기 격리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미 침투한 바이러스가 주 시스템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는 도중 악성 바이러스가 성공적으로 잠금 시스템에 침투하더라도, 상기 바이러스는 상기 “격리”로 말미암아 주 시스템에 침투할 수 없고, 그 결과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악영향을 미칠 수 없다. 따라서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주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특성의 경우, 이음새 없는 작업의 편리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높아진 보안, 향상된 완전성, 강화된 데이터 보호를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에 이주한 악성 바이러스나 악성 코드를 주 시스템이 접촉하기 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여, 악성 바이러스나 코드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악성 바이러스나 코드는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에 포함되어 있는 악성 바이러스나 코드를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주 시스템은 해제 모드에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여 “결과물”에 포함된 악성 바이러스나 코드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모드에서 사용자가 잠금 시스템으로 어떤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어떤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열더라도,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침투한 악성 바이러스가 주 시스템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수의 모드 각각에서 구동하므로, 사용자는 빈번하게 한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네 번째 특성의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이음새 없는 작업의 편리성을 유지하며 높아진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강화된 데이터 보호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작된 입력 유닛이다.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유닛은 모드 이동용 센서를 이용하여 모드 이동 세부입력을 취득하고,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신호를 주 CPU 유닛이나 주 운영체계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하여 터미널은 현재 모드로부터 상기 세부입력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한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기존의 하드 버튼(일예로 버튼이나 스위치), 기존의 소프트 키, 기존의 소프트 버튼(일예로 영상 유닛에 표시하는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 GUI) 등일 수 있다. 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주 입력 유닛에 포함시켜서 단일의 또는 일체의 물체로 제작할 수 있다.
하술에서는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다양한 예시적 측면들, 예시적 실시예들 및 상세예들을 설명하며,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높은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저장된 개인 데이터의 비밀 보호를 위하여 다수의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는 상기 터미널의 구조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 및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는 다양한 계층에서 구동하는 상기 터미널의 다양한 제작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다양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는 다양한 방법도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고로 하되, 본 명세서의 예시적 측면들, 실시예들, 상세예들은 상이한 형태에 해당할 뿐이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방법은 상이한 구성, 구조, 방법, 절차 또는 작업 실행 순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 또는 방법은 상술 및 하술의 예시적 측면이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예시적 측면,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완전하고 철저히 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터미널, 방법, 작업 실행 순서 등과 관련된 분야의 당업자에서 상기 터미널, 방법 또는 작업 실행 순서에 대한 범위를 완전히 알리기 위함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다양한 시스템, 유닛, 요소, 부위 등을 실제 크기나 비율로 표시하지 않는다. 또 하술의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로 표기한 시스템, 유닛, 요소, 부위 및 이들의 작업, 스텝 및 작업 실행 순서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균등함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도면은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제작, 상기 터미널의 사용 등에 대한 다양한 예시적 측면 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면에서 “(“와 “)” 사이의 숫자, 일예로 (10) 또는 (60)은 도면에 예시한 시스템, 유닛, 요소, 부위 등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대한 다양한 예시적 측면 및 실시예는 서로 상이할 수 있지만, 서로 배타적이지는 않다. 즉 특정 예시적 측면이나 실시예에서 예시한 터미널의 특성, 구조, 작업, 기능, 방법, 작업 실행 순서 또는 특징은 [1]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또는 [2]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의 정신,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상이한 예시적 측면이나 실시예의 터미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 이 때 본 명세서의 설명의 자세한 문맥에 따라 상기 터미널의 특성, 구조, 작업, 기능, 방법, 작업 실행 순서나 특징 등의 일부를 수정하거나, 일부를 부가하거나,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 측면이나 실시예의 각 시스템, 유닛, 요소, 부위 등의 배치나 위치도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술의 상세한 설명은 보안 강화, 완전성 향상 및 데이터 보호 강화는 물론 이음새 없는 작업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또는 상이한 작업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터미널에 관한 것이며, 하술의 설명은 상기 터미널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터미널과 이와 관련된 방법의 범위는 하술의 청구항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이때에도 상기 청구항의 균등 터미널은 물론 균등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는 다양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나 기능을 나타낸다.
하술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관점에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예시적 측면 및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이를 통하여 관련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터미널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제작하며, 사용할 수 있고, 이의 제작은 물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 및 스텝을 다양한 작업 순서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4. 제1 구성 - 잠금 뷰어를 포함하는 잠금 시스템
본 명세서의 제1 구성에 해당하는 제1 예시적 측면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과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한다. 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주 CPU 유닛, 하나 이상의 주 입력 유닛, 하나 이상의 주 출력 유닛 및 하나 이상의 주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옵션으로 기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주 출력 유닛은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주 영상 유닛 또는 소리를 재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잠금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잠금 뷰어를 포함하며, 옵션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잠금 시스템은 가장 간단한 구성을 가진 잠금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각 유닛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주(또는 잠금) 요소를 포함하거나 이와 관련된다. 따라서 주(또는 잠금) 시스템은 상기 요소를 구동하여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요소에 할당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4-1. 제1 구성 - 주 시스템
본 명세서의 제1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을 포함하며, 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주 유닛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요소는 하드웨어 요소에 내장(embed)되거나 또는 별도의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의 코드로 제공될 수 있다.
[도5a]는 본 명세서의 제1 예시적 측면의 예시적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블록선도로서, 특히 [도5a]는 주 시스템을 다수의 추상적 층으로 묘사한 경우이다. 주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주 CPU(31), 하나 이상의 주 메모리 유닛(40), 하나 이상의 주 입력 유닛(20), 하나 이상의 주 출력 유닛(50), 하나 이상의 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또는 앱)(35), 하나 이상의 주 운영체계(즉 O/S)(34) 등을 포함하며, 주 운영체계(34)는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주 커넬(kernel) 또는 다른 유닛(51)을 포함할 수 있다. 주 시스템(10)은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주 펌웨어(firmware)(32)나 주 어셈블러(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5a]에서 각 유닛을 연결하는 “경로”는 다양한 유닛들 사이의 물리적 결합 또는 작업 실행 상의 연결을 나타내며, 따라서 상기 “경로”는 명령 신호, 데이터 전달, 조작 등을 의미한다. 단 [도5a]의 경로는 예시에 불과하며, 따라서 다른 유닛들도 추가 경로로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주 CPU(31)와 주 운영체계(34)는 [도5a]의 다른 유닛들을 구동할 수 있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5a]에는 모든 “경로”를 포함하지 않았고, 하술에서는 다양한 유닛들을 서로 연결하는 추가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주 CPU(31)는 일반적으로 기본 연산 작업, 논리 작업, 제어 작업, 입출력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수행하는 전기 회로를 지칭한다. 주 CPU(31)는 마이크로프로세서 형태로 제작되거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포함되거나, 또는 시스템-온-칩(즉 system on chip 또는 SoC)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시스템-온-칩은 내부에 메모리 유닛, 주변 기기용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 펌웨어(32)는 터미널의 주 시스템(10)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의 가공된(engineered) 부위에 데이터 감시나 조작, 제어 등을 제공하는 기존의 소프트웨어나 (소프트웨어) 앱을 지칭한다. 주 펌웨어(32)는 입력 또는 영상 유닛, 터치 스크린, 카메라 등 터미널의 기존 부품에 포함될 수 있다. 주 어셈블러(33)는 다양한 작업 또는 번지 지정 방식(addressing mode)에 대한 구문(syntax)과 연상 기호(mnemonics) 등의 조합을 이에 해당하는 숫자로 번역하여 목적 코드(object code)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나 앱을 지칭한다. 주 어셈블러(33)는 메모리 위치에 대한 정수식(constant expression)을 계산하고 상기 위치에 대한 기호 이름(symbolic name) 문제를 해결하며, 프로그램 수정 후 따분한 계산, 주소 업데이트 등을 저장한다.
주 운영체계(34)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라 불리고, 주 시스템(10)의 다양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 기타 요소들을 관리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공통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주 펌웨어(32)를 제외한 모든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정 작업의 실행 및 특정 기능 수행에 운영체계(34)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주 운영체계(34)는 시분할(time-sharing) 기능으로 작업 일정을 관리하여 주 시스템(10)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한다. 또한 주 운영체계(34)는 프로세서 시간, 대용량 저장, 출력, 다른 요소에 대한 비용 할당에 대한 어카운팅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주 운영체계(34)는 메모리 할당, 입출력 하드웨어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요소나 하드웨어 요소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
주 운영체계(34)와 대비하면, 주 커넬은 주 시스템(10)이 처리 또는 수행하는 (거의) 모든 작업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주 커넬은 주 운영체계(34)의 중심 핵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주 커넬은 터미널 시동을 시작하면 첫 번째로 착수되는 프로그램이며, 그 후 다수의 소프트웨어 요소에 의한 입출력 요청, 주 CPU(31)를 위하여 상기 요청을 데이터 처리 명령어로 번역하는 등 터미널 시동의 나머지 부분을 관리한다.
주 커넬은 주 메모리 유닛(40)을 관리하며, 프린터, 외부 스피커, 외부 모니터 등의 컴퓨터 주변 기기와 통신하며 이들을 관리한다. 주 커넬은 작업 실행 상 터미널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기 기기와 통신하고, 이들을 관리하며, 상기 외부 전기 기기의 예는 타터미널, 타컴퓨터, 사물인터넷망에 포함된 전기 기기, 차량 또는 자동차, 오토바이, 로봇, 드론, 최소한의 전기 회로를 포함한 무기 등이 있다.
주 커넬은 주 시스템(10)의 다양한 소프트웨어 요소(앱 등)와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주 커넬의 중요한 코드는 일반적으로 메모리의 보안 섹터에 장착되며, 이에 따라 빈번히 사용되지 않는 주 운영체계(34)의 코드나 주 운영체계(34) 내부의 다양한 앱에 의하여 중복 기재(overwritten)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주 커넬은 “커넬 스페이스”에서 프로그램 수행 및 인터럽트(interrupt) 관리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반면 사용자는 “사용자 스페이스”에서 작업(일예로 텍스트 에디터로 텍스트 작성,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프로그램 실행 등)을 실행한다. 그 결과 터미널은 사용자 데이터와 커넬 데이터 사이의 간섭 및 이로 인한 불안정성,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프로세스가 주 커넬에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요청은 “시스템 콜”이라 지칭한다. 다양한 커넬들은 시스템 콜 및 유닛들을 상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5b]는 [도5a]의 주 시스템의 간략화된 블록선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 CPU 유닛”(30)은 주 CPU(31), 주 펌웨어(32) 및 주 어셈블러(33)를 통칭하는 것으로 하며, [도5a]에서는 주 CPU 유닛(30)을 점선으로 표시한 바 있다. 주 CPU 유닛(30)의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기존 데이터 처리 기기에서 흔히 사용하는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결과, [도5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주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주 CPU 유닛(30), 하나 이상의 주 운영체계(34), 하나 이상의 주 앱(즉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35), 하나 이상의 주 입력 유닛(20), 하나 이상의 주 출력 유닛(50), 하나 이상의 주 메모리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5b]에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주 시스템(10)은 옵션으로 기타 유닛을 포함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한다.
[도5b]의 주 메모리 유닛(40)은 하나 이상의 기존의 비휘발성 메모리 요소나 하나 이상의 기존 휘발성 메모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터미널은 외부 메모리 유닛(또는 카드) 등의 탈착 기기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 CPU(31) 또는 주 운영체계(34) 등은 주 메모리 유닛(40) 및 외부 탈착 메모리 유닛을 구동할 수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를 상기 유닛 중 하나 이상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과 유사하게 다른 유닛도 다양한 외부 유닛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DNA 인증 작업을 실행할 경우, 터미널은 DNA 분석이 가능한 추가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 입력 유닛(20)과 주 출력 유닛(50) 등의 주 시스템(10)의 다른 유닛은 기존 모바일폰, 스마트폰의 입력 유닛, 출력 유닛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는 (1) 잠금 시스템(60)을 구동할 수 있고, (2) 해제 모드에서는 주 시스템(10)을 구동할 수 있고, (3) 옵션으로 중급 모드에서는 중급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잠금 시스템(60)은 모든 작동 가능 잠금 유닛을 구동할 수 있고, 모든 잠금 하드웨어 요소 및 잠금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주 시스템(10)은 모든 작동 가능 주 유닛을 구동할 수 있고, 주 시스템(10)의 모든 주 하드웨어 요소 및 주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주 시스템(10)과 잠금 시스템(60) 사이의 “격리”는 완전한 격리를 의미하며, 따라서 주 시스템(10)은 해제 모드에서 어떤 잠금 유닛이나 잠금 요소도 구동하지 못하는 것으로 하고, 잠금 시스템(60) 역시 잠금 모드에서 어떤 주 유닛이나 주 요소도 구동하지 못하는 것으로 한다.
하지만 주 시스템(10)과 잠금 시스템(60)이 단지 “부분 격리”될 경우, 주 시스템(10)은 잠금 시스템(60)의 하나 이상 또는 모든 잠금 유닛을 구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하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잠금 시스템(60)은 주 시스템의 주 시스템(10)의 어떤 유닛이나 요소도 구동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4-2. 제1 구성 - 잠금 시스템
상술과 같이, [도5a] 및 [도5b]의 예시적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양한 유닛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10)을 포함한다. 하지만 제1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60)도 포함한다.
[도5c]는 [도5a] 및 [도5b]에서 예시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이 포함하는 예시적 잠금 시스템에 대한 블록선도이다. 특히 [도5c]의 우측의 점선 박스 안의 유닛들은 터미널의 주 시스템(10)에 해당하는 반면, [도5c]의 좌측의 점선 박스 안의 잠금 뷰어(71)와 옵션인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잠금 시스템(60)에 해당한다.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도 포함하며, 상기 유닛(25)은 주 시스템(10) 또는 잠금 시스템(60)의 하드웨어 요소로 간주할 수 있다.
[도5c]의 잠금 시스템(60)은 하나 이상의 잠금 뷰어(71)와 하나 이상의 잠금 메모리 유닛(80)(옵션)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60)은 가장 간단한 구성의 잠금 시스템들 중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도5c]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잠금 시스템(60)은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잠금 입력 유닛, 잠금 출력 유닛 등의 잠금 유닛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5c]에는 많은 유닛들을 연결할 수 있는 단일 또는 두 개의 화살표를 가진 “경로”를 생략하였다. 일예로 주 CPU 유닛(30)은 주 메모리 유닛(40) 또는 잠금 뷰어(71)를 직접 구동할 수 있으며, 주 운영체계(34)는 잠금 뷰어(71), 잠금 메모리 유닛(80), 주 입력 유닛(20), 주 출력 유닛(50) 등을 직접 구동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주 메모리 유닛(40)과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작업 실행 상 직접 또는 간접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작업 실행 상의 연결을 나타내는 추가 경로는 [도5c]에서 생략하였다.
일반적으로 잠금 뷰어(71)는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잠금 뷰어(71)는 데이터나 파일을 사용자에게 친숙한 형태로 표시하는 소프트웨어 앱에 해당한다. 잠금 뷰어(71)는 제한된 기능의 (소프트웨어) 앱일 수 있고, 사용자는 잠금 뷰어(71)로 데이터나 파일의 편집, 생성, 수정을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잠금 뷰어(71)는 상이한 바이트 순서(byte order), 코드 페이지 및 새로운 줄 양식(line style)을 처리하여 데이터나 파일의 다양한 형태를 제공하는 포맷 해석기(format trans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잠금 뷰어(71)는 HTML 마크업(markup)을 사용자에게 친숙한 형태로 제공하거나 또는 그래픽 파일을 썸네일(thumbnail) 생성, 썸네일 프리뷰(preview), 확대 이미지(image zooming)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뷰어(71)는 파일 뷰어, 이미지 뷰어, 웹 브라우저, 또는 기타 뷰어 등의 기존의 뷰어 또는 브라우저에 해당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잠금 뷰어(71)를 구동할 수 있으며, 일예로 [1] 잠금 뷰어(71)를 구동할 수 있는 드라이버를 이용하거나, [2] 주 CPU 유닛(30)을 이용하거나, 또는 [3] 주 운영체계(34)를 이용하여, 잠금 뷰어(71)를 구동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은 옵션으로 잠금 뷰어(71)를 구동할 수 있는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술의 섹션 5 및 6에서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 시스템(10)이 잠금 뷰어(71)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주 (소프트웨어) 앱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잠금 뷰어(71)와 관련하여 주 시스템(10)과 잠금 시스템(60) 사이의 갈등이나 간섭은 고려할 필요가 없거나 무시할 수 있다. 하지만 주 시스템(10)이 잠금 뷰어(71)와 동일 또는 유사한 하나 이상의 앱을 포함하면, 주 시스템(10)의 앱은 잠금 시스템(60)의 잠금 뷰어(71)와 대비하여 “주 뷰어”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 뷰어(71)는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에 의해서만 구동될 수 있는 제한된 기능의 뷰어로 간주할 수 있는 반면, 주 뷰어는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완전한 기능을 가진 뷰어로 간주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뷰어(71)는 잠금 시스템(60)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반면 잠금 시스템(60) 외부의 데이터는 표시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잠금 뷰어(71)는 주 메모리 유닛(40)에 접근할 수 없으며, 상기 유닛(40)의 데이터를 회수(retrieve)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잠금 뷰어(71)가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잠금 뷰어(71)는 주 메모리 유닛(40)을 접근하고, 상기 유닛(40)의 데이터 전부나 일부를 회수하고, 이를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자신이 구동 중인 계층에 근거하여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뷰어(71)의 접근, 회수, 표시 등의 한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이 주 메모리 유닛(40) 및 주 시스템(10) 자체를 변경하거나 나쁜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전적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의 보안과 완전성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 시스템(10)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의 비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여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하여 얻었으며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60)에 잔류하는 “결과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잠금 뷰어(71)가 주 시스템(10)에 장착된 (소프트웨어) 앱이 아닌 경우에도 터미널은 [1] 주 시스템(10)의 완전성이나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 주 시스템(1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비밀 유지를 위하여, 또는 [3]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잠금 뷰어(71)을 주 시스템(10)으로부터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터미널은 특정 조건 하에 또는 적응적(adaptive)으로 잠금 뷰어(71)가 주 시스템(10)을 접근할 수 있고,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부나 일부를 회수하며,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60)을 이용하여 잠금(또는 중급)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일부나 전부를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단 터미널은 자신이 구동 중인 계층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근거하여 잠금 뷰어(71)의 접근, 회수 또는 저장의 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주 시스템(10)이 주 뷰어를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잠금 뷰어(71)보다 주 뷰어에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그 결과 잠금 뷰어(71)는 주 시스템(10)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는 없지만,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데이터 또는 외부 소스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주 뷰어보다) 잠금 뷰어(71)에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접근 권한은 주 시스템(10)의 주 메모리 유닛(40)을 접근하는 권한, 주 시스템(10)의 다른 유닛을 접근하는 권한,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이한 데이터에 대한 외부 소스에 접근하는 권한, 인터넷 또는 기타 네트워크로 외부 링크에 접속하는 권한, 주 시스템(10)의 특정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는 권한 등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잠금 뷰어(71)는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동안 주 시스템(10)의 주 메모리 유닛(40) 또는 다른 유닛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접근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경우에 국한될 수 있다.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함에 대응하여 터미널이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 터미널은 모드 이동 후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실행한 어떤 작업이건,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어떤 “결과물”이건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물”은 주 시스템(10)에 어떤 영향도 미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모드에 적정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과업은 터미널 제조사나 사용자의 선택에 관한 과업이다. 바꾸어 말하면 터미널이나 사용자는 자신의 목적, 상황 등에 따라 다수의 모드 각각에 부여할 적정한 접근 권한을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주 시스템(10)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받은 잠금 시스템(60)은 터미널의 보안, 완전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악성 바이러스로 감염된 결과물을 실수로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거나, 특정 데이터가 악성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모른 채 이를 주 시스템(10)에 전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경우, 잠금 시스템(60)으로 주 시스템(10)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제한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가 주 시스템(10)의 모든(또는 일부) 유닛을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더라도, 터미널은 사용자가 악성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채 잠금 시스템(60)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물을 주 시스템(10)의 주 메모리 유닛(40)이나 다른 유닛에 저장하지 못하도록 전적이나 부분적으로 방지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이 하나 이상의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할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사용자가 “저장 예정 결과물”을 수동으로 선택(mark)함으로써,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으로부터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제외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현재 모드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진 신규 모드로 이동한 후에도,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은 잠금 시스템에 잔류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적응적으로 저장 예정 결과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의 예로는 “결과물”의 종류나 컨텐츠, 사용자가 상기 “결과물”을 처리하는 데 소요된 기간,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한 시간,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에 대한 통계 등이 있다.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영구적 또는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으로 실행한 잠금 작업, 잠금 모드에서 얻었거나 다운로드한 결과물,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 등이 주 시스템(10)의 주 메모리 유닛(40)이나 다른 주 유닛을 오염시키거나 이들에게 나쁜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잠금 시스템(60)을 구동하고, 저장 예정 결과물을 상기 유닛(80)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유닛(80)에서 회수하도록 하더라도, 터미널은 여전히 사용자가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터미널이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할 경우,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이용하여 주 메모리 유닛(40)을 보완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한 메모리 유닛에서 데이터를 회수한 후 이를 다른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거나, [2]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유닛(40)(80) 모두에 저장하거나, 또는 [3] 특정 데이터를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한 후 각 부분을 각 메모리 유닛(40)(80)에 따로따로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에 포함되었을 수 있는 악성 코드가 주 메모리 유닛(40)의 데이터를 중복 기재하여 오염시키는 위험은 상존하는 바, 터미널은 주 메모리 유닛(40)을 잠금 메모리 유닛(80)으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터미널은 주 메모리 유닛(40)을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서로 격리된 다수의 메모리 섹터(일예로 주 메모리 섹터, 잠금 메모리 섹터 등)로 구분한 후, 주 메모리 섹터에서 주 시스템(10)을 구동하며 해제 작업을 실행하는 반면, 잠금 메모리 섹터에서 잠금 시스템(60)을 구동하며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주 메모리 섹터를 잠금 메모리 섹터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함으로써, 터미널은 상기 섹터들 사이의 잠재적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다양한 기존 메모리 기기를 활용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기존의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 메모리 기기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터미널이 잠금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면,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에 대한 전원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의 실행 없이 휘발성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된 결과물이 삭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터미널은 휘발성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잠금 뷰어(71)는 임시 메모리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잠금 시스템(60)은 상기 임시 메모리 섹터를 잠금 메모리 유닛(80)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주 메모리 유닛(40)은 임시 메모리 섹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잠금 시스템(60)은 상기 메모리 섹터를 잠금 메모리 유닛(80)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시스템(60)은 기존의 메모리 기기를 잠금 메모리 유닛(80)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기기는 터미널 내부에 장착되거나, 휴대용 기기 또는 탈착 기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다양한 구성으로 터미널에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터미널 내부에 장착되거나, 상기 유닛(80)의 일부가 터미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터미널과 용이하게 결합, 분리가 가능한, 별개의 탈착 기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 유형에 관계없이,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이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영구적 또는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최소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뷰어(71)가 이미지 표시나 소리 재생 등 다양한 데이터의 표시 기능만 담당하며 상기 데이터를 따로 저장할 필요가 없는 경우,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으로부터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UISWI)을 취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5c]와 같이, 상기 입력 유닛(25)은 주 입력 유닛(20)과 별개의 유닛으로 터미널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입력 유닛(25)은 주 입력 유닛(20) 옆에 장착되거나, 주 입력 유닛(20)과는 상이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과 주 입력 유닛(20)은 일체형의 단일 물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상기 물체에 UISWI를 취득할 수 있는 제1 센서와 기타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는 제2 센서를 장착할 수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SWI를 취득하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주 CPU 유닛(30)이나 주 운영체계(34)에 전달할 수 있는 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자세한 구성, 장착 위치는 당업자의 선택 범위에 속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기존의 버튼, 스위치, 레버 등의 기존 입력 기기가 생성하는 신호를 UISWI로 인식하는 한, 터미널은 상기 기존 입력 기기들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소프트웨어 요소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GUI)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터미널이 GUI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모드 이동 전 온 상태의 터미널이 표시하는 GUI를 용이하게 조작하며 UISWI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이 오프 상태이면, 사용자는 꺼져 있는 영상 유닛에서 GUI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사용자가 별개의 하드웨어 요소를 이용하여 UISWI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터미널은 GUI 및 하드웨어 형태의 입력 유닛을 모두 포함하되, [1] 터미널이 오프 상태이건 온 상태이건 사용자가 UISWI를 GUI나 입력 유닛에 제공하도록 하거나, 또는 [2] 사용자는 온 상태에서는 UISWI를 GUI에만 제공하도록 하는 반면 오프 상태에서는 입력 유닛에만 UISWI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주 입력 유닛(20)이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및 다른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다른 사용자 입력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 시스템(60) 및 주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대로 모드를 이동할 수도 있다. 하술의 예들은 주 시스템(10)의 주 출력 유닛(50)의 하드웨어 요소인 하나 이상의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터미널의 예시적 작업 실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을 착수(launch)하고 구동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이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의 다양한 유닛, 요소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60)을 착수, 구동하며, 그 후 상기 시스템이 자신의 다양한 유닛, 요소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각각의 단일 모드에서 구동하므로, 일반적으로 주 시스템(10)은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서는 구동되지 않고,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은 해제 모드에서는 구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제1 구성의 하술의 실시예와 상세예는 주 시스템(10)이 해제 모드에서 다양한 주 하드웨어 요소 또는 주 소프트웨어 요소를 우선적으로 구동하며,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하드웨어 요소 또는 잠금 소프트웨어 요소를 우선적으로 구동하는 경우의 다양한 구성을 설명한다.
비록 하술의 구성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터미널은 중급 모드에서 구동하는 중급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급 시스템은 중급 모드에서 다양한 중급 유닛이나 중급 하드웨어 요소 또는 중급 소프트웨어 요소를 우선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하지만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과 주 시스템(10) 모두를 착수하거나, 상기 시스템들(10)(60)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자신 또는 다른 시스템의 다양한 유닛이나 요소를 구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을 구동하되, 주 시스템(10)이 잠금 시스템(60)의 간섭 없이 잠금 시스템(60)의 모든 또는 일부 유닛이나 요소를 구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예는 주 시스템(10)이 자체적으로 또는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60)과 함께 잠금 뷰어(71)나 잠금 메모리 유닛(80)(옵션)을 구동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경은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이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4-3. 제1 구성 - 작업 실행 순서 (1)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이자 첫 번째 작업의 경우, 터미널(또는 적정한 입력 유닛)은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오프 상태(즉 영상 유닛은 꺼져 있지만, 터미널은 완전히 정전 상태가 아닌, 통신이 가능한 시동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다양한 방법으로 신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프 상태”의 터미널이 특정 계층이 정의한 모드 중 하나인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모드 이동을 상술에서 “제1 유형 모드 이동”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상세예에서, 제1 사용자 입력에 UISWI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잠금 모드로 이동하고, 잠금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다. 그 후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는 중 사용자가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제3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였을 경우, 상기 계층이 비순환 계층이면 사용자는 해제 모드로부터 상기 모드보다 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없으며, 따라서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 머물게 된다. 하지만 상기 계층이 순환 계층이면, 사용자가 제3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에 따라 터미널은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SWI-1을 취득하며, 선택적 스위칭의 경우와 같이 UISWI-1에 근거하여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1] 선택적 스위칭의 경우 터미널은 제2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UISWI-2에 근거하여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 머물거나, 해제(또는 잠금) 모드로 이동하거나, 또는 [2] 터미널이 순환 계층에서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모드 이동할 경우, 터미널은 항상 해제(또는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4-3-1. 잠금 뷰어
터미널이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 구동을 시작하면,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뷰어(71)를 구동하기 시작한다. 일예로 잠금 시스템(60)은 기존의 뷰어 또는 브라우저인 잠금 뷰어(71)를 구동하며 파일을 표시하거나(즉 파일 뷰어), 이미지를 표시하거나(즉 이미지 뷰어), 웹사이트에 접속하는(즉 웹 브라우저) 등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잠금 뷰어(71)는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주 메모리 유닛(40)으로부터, 터미널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탈착 기기로부터, 또는 외부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파일, 이미지 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잠금 뷰어(71)는 제한된 기능의 (소프트웨어) 앱이므로, 사용자는 파일이나 이미지의 편집, 생성, 또는 수정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잠금 뷰어(71)가 “결과물”을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하는 기능을 보유하더라도, 터미널은 잠금 뷰어(71)가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의 소프트웨어 요소인 잠금 뷰어(71)는 터미널의 여러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뷰어(71)는 (주 시스템과는 물리적으로 격리된) 잠금 시스템(60)의 사용자 스페이스에 저장되고, 잠금 시스템(60)은 (해제 모드와 작업 실행 상 격리된) 잠금 모드에서 잠금 뷰어(71)를 구동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1]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의 주 CPU 유닛(30), 주 운영체계(34) 등이 잠금 뷰어(71)를 구동하도록 하거나, [2]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이 데이터를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하도록 하거나, 또는 [3]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이 잠금 메모리 유닛(80)으로부터 데이터나 결과물을 회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잠금 뷰어(71)는 주 시스템(10)에 장착(즉 물리적으로 격리되지 않음)되며, 주 또는 잠금 시스템(10)(60)이 각각 해제 및 잠금 모드에서 잠금 뷰어(71)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주 시스템(10)이 주 뷰어를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은 잠금 뷰어(71)를 주 뷰어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할 수 있다. 단 터미널이 단일의 뷰어만 포함하면, 상기 뷰어는 잠금 시스템(60)에 의하여 잠금 뷰어로 이용되거나, 주 시스템(10)(즉 주 시스템과는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으로 격리되지 않은)에 의하여 주 뷰어로 이용될 수 있다. 터미널은 주 뷰어가 주 메모리 유닛(40)으로부터만 데이터를 회수하도록 할 수 있거나, 잠금 및 주 메모리 유닛(80)(40) 모두로부터 데이터를 회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섹션 4-3-1의 상기 구성은 다른 (소프트웨어) 요소 및 다른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시스템(60)이 잠금 메신저 앱을 포함하고 주 시스템이 주 메신저 앱을 포함하면, 잠금 메신저 앱과 주 메신저 앱은 [1]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되거나, 또는 [2] 잠금 메모리 유닛(80)이나 주 메모리 유닛(40) 등과 같은 데이터 베이스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동할 수 있다. 또 잠금 메신저 앱과 주 메신저 앱은 동일한 데이터를 접근하고 처리하지만, 사용자는 잠금 메신저 앱으로는 상기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수정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1]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잠금 뷰어를 구동하는 기간, [2] 사용자가 잠금 뷰어를 구동하는 기간, 또는 [3]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는 기간 등을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기간의 예로는 무한정의 기간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간(일예로 사용자가 다른 모드로 이동하기 전까지, 또는 영상 유닛을 끄기 전까지 등) 등이 있다.
터미널은 잠금 뷰어의 구동 기간을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의 예로는 [1] 잠금 뷰어 구동 기간의 길이, [2]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단일의 세션에 처리한 데이터의 크기, [3]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크기, [4]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본 기간, 또는 [5] 사용자가 방문한 웹사이트의 수효 등이 있다. 또 터미널은 시스템 세팅이나 사용자 선호도에 근거하여, [1] 사용자가 계속 잠금 뷰어 또는 잠금 시스템(60) 전체를 구동하거나, [2] 잠금 뷰어 구동을 종료하거나, 또는 [3] 잠금 시스템(60) 구동을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다양한 요인에 근거하여 잠금 뷰어(71)나 잠금 시스템 구동을 종료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확립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이동할 경우, [2] 사용자가 영상 유닛을 끌 경우, [3] 사용자가 일정 기간 이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사용자의 비활동, 즉 non-action), [4]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에 일정 횟수 이상 실패할 경우, 또는 [5]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는 등의 경우, 잠금 뷰어 구동이나 잠금 시스템(60) 전체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특히 앞의 [1]~[5]의 경우, 터미널이 잠금 뷰어(71)의 구동을 종료하면, 터미널은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앞의 [2]~[4]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을 구동하며 잠금 모드에 머무를 수 있다.
또한 [1]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는 접근이 허락되지 않는 주 시스템(10)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접근 또는 구동을 시도하는 경우, [2] 사용자가 금지된 웹사이트에 접속하려 시도하는 경우, [3] 사용자가 신뢰성 없는 웹사이트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려 시도하는 경우, 또는 [4] 터미널이 사용자가 방문한 웹사이트나 다운로드한 데이터에서 악성 바이러스 또는 잠재적 위협을 감지하는 경우, 터미널은 잠금 뷰어(71)나 잠금 시스템(60)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터미널이 잠금 뷰어(71) 구동을 종료하면, 터미널은 [1] 잠금 시스템(60)을 계속 구동하며 잠금 모드에 머무르거나, [2] 영상 유닛을 끄거나, [3] 시각적 또는 청각적 경고 신호를 발생하거나, 또는 [4] 터미널의 전원을 끌 수 있다.
4-3-2. 모드 이동과 사용자 인증의 동기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전달할 때마다, 터미널은 [1] 사용자 입력이 UISWI를 포함하건 포함하지 않건, 또는 [2] 인증 작업을 실행하건 실행하지 않건 관계없이, 오프 상태에서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영상 유닛을 켜며 오프 상태에서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 작업의 결과를 조건으로 하여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이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1] UISWI에 대응하여 다양한 “활성화 시점”에 영상 유닛을 켜거나 또는 켜지 않거나, 또는 [2] 모드 이동과 관련된 다양한 “착수 시점”(즉 특정 시스템을 launch하는 시점)에 잠금 시스템(60)이나 주 시스템(10)을 착수하거나 착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착수 시점”의 예로는 [1] 모드 이동과 동시 (일예로 “착수 작업”의 하나 이상의 스텝과 모드 이동 작업의 하나 이상의 스텝이 중첩되는 경우), [2] 모드 이동 직후, [3] 모드 이동 이후이지만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전, [4] 모드 이동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 [5] 인증 작업 실행과 동시, [6] 인증 작업 실행 직후, 또는 [7] 영상 유닛을 켜기 직전, 동시 또는 직후 등이 있다.
상기 터미널은 잠금 작업을 실행하고 잠재적으로 해로운 “결과물” 및 이에 포함된 악성 바이러스를 주 시스템(10)으로부터 격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한다. 따라서 잠금 시스템(60)은 주 시스템(10)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에서 이와 같이 잠재적으로 해로운 결과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터미널은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전, 후 또는 상기 이동과 동시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신규 모드에서 상기 “결과물”이 신규 시스템에 미칠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할 때,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 작업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유닛(80)이나 잠금 메모리 섹터에 대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뷰어(71)가 장착된 잠금 메모리 유닛(80)이나 잠금 메모리 섹터에 대한 서식 설정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삭제된 잠금 뷰어가 악성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거나, 잠금 메모리 유닛(80)이 감염되어 정상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단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잠금 시스템(60) 전체가 서식 설정되는 경우, 터미널은 신규 잠금 뷰어(71) 및 이의 드라이버를 잠금 시스템에 재장착할 수 있다.
터미널은 인증 작업을 실행하며 사용자가 온 상태로 이동하고, 계층이 정의하는 다양한 모드들 중 한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오프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인증 작업을 실행한 결과 사용자가 상기 인증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1] 영상 유닛을 꺼진 상태(즉 오프 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2]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는 동안 영상 유닛을 끈 채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터미널은 이미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였으므로, 사용자가 새로운 인증 작업을 시작할 경우 이를 더욱 신속히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는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는 중 또는 착수 시작 후, 다양한 활성화 시점에 영상 유닛을 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사용자가 터미널이 깨어나는지(즉 온 상태로 이동하고 있는 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영상 유닛을 켜는 작업보다 사용자 인증 작업이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우선 영상 유닛을 켜고, 사용자 인증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잠금(또는 기본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1] 영상 유닛을 끄거나, 또는 [2] 이미 켜진 영상 유닛에 계속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을 착수하며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이동 중 또는 그 이후,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해제(또는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1] 이전에 표시하던 잠금 화면 표시를 중지하고 해제 화면을 표시하기 시작하되 상기 중지와 표시 사이에 시간적 공백을 두지 않거나 또는 두거나, [2] 해제 화면을 잠금 화면 위에 덮어 씌우거나, 또는 [3] 서서히 잠금 화면을 제거하며 제거된 부분의 화면을 홈 화면으로 채울 수 있다.
일단 터미널이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60)(10)을 착수하면, 사용자는 다양한 잠금(또는 해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려면,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조작함으로써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하여 터미널은 신규 모드로 이동하거나 또는 현재 모드에 머물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하려는 신규 모드(일예로 해제 모드)가 현재 모드(일예로 잠금 모드)에 비해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경우, 터미널은 옵션으로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인증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옵션으로 상술의 삭제 시점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단 터미널이 잠금 시스템(60)의 착수를 시작하면,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뷰어(71)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단 상술의 설명 같이 [1]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여 터미널이 영상 유닛을 켤 때마다(즉 인증 작업을 실행할 필요 없이), [2] 오프 상태에서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한 인증 작업에 사용자가 실패한 경우, [3] 앞의 [2]의 인증 작업에 사용자가 성공한 경우, 또는 [4] 터미널이 해제 모드에서 잠금 모드로 이동한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뷰어(71)는 데이터나 파일을 사용자에게 친숙한 포맷으로 표시하는 등의 잠금 작업의 실행을 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잠금 뷰어(71)는 잠금 메모리 유닛(80), 주 메모리 유닛(40), 또는 터미널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나 파일을 회수할 수 있다. 잠금 뷰어(71)는 인터넷 또는 기타 통신 수단을 통하여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나 파일을 회수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잠금 시스템(60)은 상기 통신을 위하여 주 시스템(10)의 하드웨어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을 포함하되, 상기 시스템(60)의 전체를 터미널 외부 커버 내부에 장착하거나, 상기 시스템(60)의 최소한 일부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볼 수 있도록 장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잠금 시스템(60)의 전체 또는 일부를 탈착 기기, 휴대용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 등의 형태를 가진 외부 기기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잠금 뷰어, 잠금 CPU 유닛, 잠금 메모리 유닛, 잠금 입력 유닛 등을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잠금 하드웨어 요소 또는 잠금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옵션으로 상기 잠금 소프트웨어에 대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터미널과 결합 후 분리될 수 있는 탈착 기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예로 탈착 기기는 [1] 터미널 보호기(protector), [2] 터미널 홀더(holder), [3] 터미널 케이스(case) 또는 [4] 터미널의 최소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cover)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 기기는 [5] USB 형태의 메모리(드라이버 포함 가능), [6] 터미널과 결합할 수 있는 외부 메모리 칩이나 카드(드라이버 포함 가능), [7] 터미널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휴대용 USIM 카드나 SIM 카드 등의 휴대용 메모리 칩이나 카드(드라이버 포함 가능), 또는 [8] 데이터 저장 공간을 포함한 기타 기존의 메모리 칩이나 메모리 기기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사용자가 신체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예로는 시계, 팔목 밴드, 팔 밴드, 장갑, 반지, 고글, 안경, 헬멧, 모자, 벨트, 목거리, 팔찌, 귀걸이, 인조 손톱, 의치(artificial tooth), 신발, 팬던트, 브로치, 기타 장신구, 또는 착용 가능한 휴대용 기타 기기 등이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한 휴대용 기기의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기기의 예로는 가방, 백팩, 핸드백, 서류 가방, 짐 가방 등이 있다.
또한 [1] 상기 외부 기기 자체가 잠금 시스템(60)에 해당하거나, 또는 [2] 상기 외부 기기의 일부가 잠금 시스템(60)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앞의 [2]의 외부 기기는 잠금 시스템(60)의 최소한 일부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최소한 일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터미널과는 관련 없는 전기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외부 기기는 잠금 시스템(60) 전체와 기타 전기 부품을 포함함으로써 (1) 터미널의 잠금 시스템(60)으로 작동하는 동시에 (2) 차량, 로봇, 전기 기기, 다른 데이터 처리 터미널, 다른 컴퓨터 등의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유무선으로 터미널과 통신하거나 결합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본 섹션 4-3-2에서 예시한 잠금 시스템(60)의 다양한 특성 및 구조는 제1 구성의 다양한 터미널은 물론 본 명세서의 상술 및 하술의 다른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4-3-3. 삭제 또는 부분삭제
터미널의 보안 강화, 완전성 향상 및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의 비밀 유지를 위하여,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터미널의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주 시스템(10)에 저장된 개인 데이터의 비밀을 보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신규 모드(일예로 잠금 모드)가 현재 모드(일예로 해제 모드)보다 적은 접근 권한만 부여된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인증 작업을 실행하도록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터미널은 상기 삭제 시점에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예에서 터미널은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이동하기 때문에,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으로 해제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가 잠금 시스템(60)에 악영향을 미칠 잠재적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자는 추후 타인이 동일한 터미널을 동일한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며 [1]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실행한 작업 리스트를 보거나, [2]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방문한 웹사이트 리스트를 보게 되거나, [3]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이나 지인과 주고받은 메시지나 SNS 대화 리스트를 볼 수도 있다는 걱정을 경감시키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모드나 신규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과는 관계없이, 모드를 이동할 때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기를 선호할 수 있다.
터미널이 하나 이상의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하면,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최소 일부분인 “저장 예정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을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은 일반적으로 “저장 결과물”과 동일하지만, 터미널이 저장 예정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하는 데 실패하고 이에 따라 저장 결과물이 저장 예정 결과물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저장 결과물”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저장 예정 결과물과 저장 결과물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결과물을 지칭하지만, “저장 예정 결과물”은 터미널이 저장 작업을 실제로 실행하거나 또는 저장 작업을 완료하기 전의 결과물을 의미하는 반면, “저장 결과물”은 터미널이 실제로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저장한 후의 결과물을 지칭한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60)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기 전, 즉 삭제 예정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가 실제로 삭제되기 전, “저장 예정 결과물”을 능동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예정 결과물이 실제로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되었으므로, 잠금 시스템(60)은 자신에게 잔류하는 결과물 전체를 삭제하는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두 번째 상세예에서, 잠금 시스템(60)은 저장 예정 결과물을 능동적으로 저장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잠금 시스템(60)은 삭제 예정 결과물을 선택적으로 삭제하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되, 저장 예정 결과물은 삭제 없이 그대로 남겨 둔다. 따라서 잠금 시스템(60)은 저장 예정 결과물을 수동적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이나 주 시스템(10)은 삭제될 또는 저장될 결과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저장 예정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 잠금 메모리 유닛(80) 중 어디에 저장할 지도 선택할 수 있다.
터미널 또는 사용자는 삭제 예정 결과물, 저장 예정 결과물을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사후적 삭제(또는 부분삭제)의 경우, 사용자는 잠금 뷰어(71)나 잠금 시스템(60)의 구동을 종료하며 삭제 예정 결과물 또는 저장 예정 결과물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특정 파일, 폴더 등을 마크(mark, 즉 선택)하며, 그 후 터미널은 마크된 파일, 폴더만 삭제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마크된 결과물만 삭제(또는 부분삭제)하는 동시에 마크되지 않은 결과물은 저장할 수 있다. 반대로 터미널은 마크된 결과물만 저장하는 동시에 마크되지 않은 결과물을 삭제할 수도 있다.
잠금 시스템(60)이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할 경우, 상기 시스템(60)은 저장 예정 결과물을 상기 유닛(80)에 저장할 수 있다. 터미널이 허용할 경우, 잠금 시스템(60)은 저장 예정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거나, 잠금 시스템(60)이나 주 시스템(10)의 임시 메모리 섹터(일예로 데이터 버퍼, 캐쉬, 클립보드, 리사이클 빈 등)에 저장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삭제하거나 저장할 파일이나 폴더를 마크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크를 끝내면, 터미널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마크한 결과물을 삭제(또는 부분삭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사용자의 확인이 있어야만 마크된 결과물을 삭제(또는 부분삭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바람직한(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물을 실수로 또는 의도하지 않은 채 삭제(또는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1] 상기 결과물을 어떤 메모리 유닛에 저장할지, [2] 얼마나 오랫동안 상기 결과물을 저장할지, 또는 [3] 어떤 모드에서 상기 결과물을 회수할지 등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외부 서버를 접속한 후,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저장(또는 삭제) 예정 결과물을 저장(또는 삭제나 부분삭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저장(또는 삭제) 예정 데이터가 실제로 서버에서 저장(또는 삭제)되었는지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잠금 뷰어(71)가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나 파일을 제공받고 이를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표시할 경우 유리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방문하였던 웹사이트 리스트나 웹페이지 주소(url) 리스트의 삭제 여부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삭제 전 사용자의 확인을 요청하거나 요청하지 않을 수도 있다.
4-3-4. 상이한 시스템의 착수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을 착수하고,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을 구동한다. 또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고,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을 구동한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우선 주 시스템(10)이나 잠금 시스템(60) 중 한 시스템을 먼저 착수하고, 그 후 나머지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은 한 시스템을 계속 구동하며 다른 시스템을 종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터미널이 두 시스템(10)(60) 모두 일정 기간 구동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의 예는 터미널이 독립적인 제1 화면과 제2 화면을 표시하며, 제1 화면에서 주 시스템(10)을, 제2 화면에서는 잠금 시스템(60)을 구동하는 경우이다. 또 다른 예는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의 구동과는 무관하게 주 시스템(10)을 잠금 모드에서 착수하는 경우이다. 이 구성의 경우, 주 시스템(10)은 잠금 시스템(60)을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터미널이 주 시스템(10)과 잠금 시스템(60)을 동시에 구동할 경우, 실수로 [1] 잠금 시스템(60)이 주 시스템(10)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거나, [2] 잠금 시스템(60)이 주 메모리 유닛(40)에서 데이터를 회수하거나, 또는 [3] 잠금 시스템(60)이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는 경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두 시스템(10)(60)이 동시에 구동되기 때문에,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을 잠금 시스템(60)의 전체나 일부로부터 효율적으로 격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 주 시스템(10)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착수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두 개의 시스템을 동시에 착수하지 않고, 한 번에 한 시스템씩 착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이 모드를 이동할 경우, 터미널은 현재 잠금 모드에서 구동 중인 잠금 시스템을 종료하고, 그 후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두 개 이상의 상이한 터미널들을 동시에 또는 시간적으로 중첩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이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하면, 터미널은 [1] 잠금 시스템(60) 구동을 계속하며 주 시스템(10)을 착수하거나, 또는 [2] 주 시스템(10)으로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며, 모드 이동 중 또는 이동 후 잠금 시스템(60)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터미널이 해제 모드에서 잠금 모드로 이동할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4-3-5. 기타
잠금 뷰어(71)나 잠금 시스템(60)의 구동을 종료하면, 터미널은 단일의 작업 또는 일련의 다수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잠금 모드로부터 오프 상태 또는 정전 상태를 포함하는 다른 모드로 이동하면, 터미널은 [1] 상기 모드 이동 작업 실행 후 사용자의 추가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거나, 또는 [2] 상기 모드 이동 작업 및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정되는 추가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다양한 방법에 대한 예는 하술과 같다.
일예로 터미널은 상기 모드 이동 전 [1] 사용자에게 UITHEN을 요청하고, UITHEN을 취득한 후 인증 작업을 실행하거나, [2] 영상 유닛에 다수의 잠금(또는 홈) 화면 중 하나를 표시하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3] 통신망 또는 사물 인터넷 망에 접속하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4] 주 시스템(10)의 영상 유닛,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GPS, 무선 송신기, 무선 수신기, 인증용 센서 등과 같은 하드웨어 요소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5] 주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의 속성은 터미널이 이동하는 신규 모드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어떤 모드로 이동할 지 결정하는 동안,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추가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UITHEN이나 UIACT 중 하나 이상과 UISWI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이 UITHEN을 포함한 경우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작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UITHEN의 포함 여부와 관계없이, 터미널이 UIACT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활성화 시점에 영상 유닛을 켤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주 시스템(10) 또는 잠금 시스템(60)을 이용하여 주 영상 유닛을 켜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영상 유닛을 켤 수 있다.
일단 영상 유닛이 켜지면, 터미널은 자동적으로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수의 작업 중 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인증 작업을 종료할 때까지 영상 유닛을 꺼진 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2] 인증 작업을 종료하고 이의 결과를 얻기 전까지 영상 유닛을 켜고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위 문단의 [1]의 경우, 터미널은 [1-1]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영상 유닛을 꺼진 상태로 두거나, [1-2]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영상 유닛을 켜고 잠금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1-3]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영상 유닛을 켜고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위 문단의 [2]의 경우, 터미널은 [2-1]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영상 유닛을 끄거나, [2-2]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계속 잠금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2-3]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잠금 화면을 홈 화면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섹션 4-3의 다양한 작업들은 중급 모드에서 구동하는 중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미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의 이동과 관련된 상기 작업은 [1] 잠금 모드로부터 중급 모드로의 이동 작업, [2] 중급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의 이동 작업, 또는 [3] 접근 권한이 상대적으로 적은 제1 중급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2 중급 모드로의 이동 작업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의 이동과 관련된 상기 작업 역시 [1] 해제 모드로부터 중급 모드로의 이동 작업, [2] 중급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의 이동 작업, 또는 [3] 상기 제2 중급 모드로부터 제1 중급 모드로의 이동 작업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주 시스템(10)과 잠금 시스템(60)을 포함하는 터미널은 세 개 이상의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도 구동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상기 계층은 [1] 단일의 잠금 모드, 단일의 중급 모드, 단일의 해제 모드를 정의하거나, [2] 다수의 잠금 모드, 단일의 해제 모드, 옵션으로 중급 모드를 정의하거나, [3] 단일의 잠금 모드, 다수의 해제 모드, 옵션으로 중급 모드를 정의하거나, [4] 다수의 잠금 모드, 다수의 해제 모드, 옵션으로 중급 모드를 정의하거나, 또는 [5] 다수의 해제(또는 잠금) 모드만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 때 터미널은 각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계층은 상기 모드들을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다수의 계층을 구축하고, 사용자가 자기 요구를 충족하도록 모드들이 배치된 적합한 계층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예시의 터미널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구성에 따라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은 순차적 스위칭 또는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때마다 특정 계층이 정의된 모드를 한 번에 한 모드씩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2] 사용자가 선택하는 모드로 선택적으로 점프하며 이동할 수 있다. 특정 계층이 순환 계층일 경우, 사용자는 해제 모드로부터 다시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계층이 비순환 계층일 경우, 사용자가 일단 해제 모드로 이동하면 다시 잠금 모드로 이동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성의 터미널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 및 상기 터미널로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모드를 이동하는 방법은 [도2]의 패널(A) 내지 패널(H)의 방법과 유사하다.
4-4. 제1 구성 - 작업 실행 순서 (2)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이자 두 번째 작업의 경우, 터미널(또는 적정한 입력 유닛)은 (1) 온 상태(즉 영상 유닛이 켜져 있는 시동 상태로서,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또 (2)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도중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여러 방법으로 신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미널이 “온 상태”로부터 특정 계층이 정의한 다른 모드로 이동하는 모드 이동을 상술에서 “제2 유형 모드 이동”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의 UISWI 포함 여부와 관계없이,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순환 계층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은 잠금 모드로 돌아올 수 있지만, 비순환 계층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은 계속 해제 모드에 머무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UISWI-1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적 스위칭의 경우와 같이 UISWI-1에 따라 잠금 모드에 머물거나 또는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1] 잠금 모드에 머무르거나 또는 [2]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경우 UISWI-1에 따라 다시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두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는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하고 싶을 때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최소 일부분을 조작함으로써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상세예에서 터미널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터미널의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저장된 개인 데이터의 비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전 섹션의 “첫 번째 작업”과 마찬가지로, “두 번째 작업”의 터미널도 사용자 인증의 결과를 조건으로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섹션의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고 있다. 그 결과 [1] 터미널은 인증 작업을 실행할 필요 없이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고 구동한 후,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 구동을 시작하거나, 또는 [2] 터미널은 이미 인증 작업을 실행하였지만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였으면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을 시작할 수 있다.
어떤 경우이건,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하려면, 터미널은 인증 작업을 실행하고 현재 사용자가 상기 모드 이동이 인증된 사용자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은 터미널이 선택적 스위칭으로 구동하는지 또는 순차적 스위칭으로 구동하는지에 따라 UITHEN은 물론 UISWI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순차적 스위칭으로 구동하면, 터미널은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잠금 모드로부터 인접(일예로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입력의 UITHEN은 UISWI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1] 잠금 모드에 머무르며 옵션으로 사용자에게 실패를 알리거나, [2] 잠금 모드에 머무르며 사용자에게 인증 작업을 재시도하도록 요청하거나, [3] 영상 유닛을 끄거나, 또는 [4] 터미널의 전원을 끌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상기 다양한 착수 시점에 주 시스템(10)을 착수하며 해제 모드로 이동하고 영상 유닛에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1] 계층이 순환 계층일 경우 터미널은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거나, 또는 [2] UISWI가 잠금 모드에 상응하고 터미널이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등의 경우, 터미널은 다시 잠금 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특히 신규 모드가 해제 모드와 같이 (잠금 모드와 같은) 현재 모드보다 넓은 접근 권한을 보유한 경우, 터미널은 상술의 삭제 시점에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이 더 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신규 모드로 이동할 경우, 터미널은 상기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이 삭제 작업 대신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경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선택된 부분만 삭제하는 한편 상기 결과물의 나머지 부분은 그대로 남겨둘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저장 예정 결과물을 상술의 저장 시점에 능동적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다른 부분에 저장할 수 있다.
해제 모드로 이동할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주 시스템(10)을 착수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한 번에 한 시스템만 구동할 수 있고 두 시스템을 동시에 구동하지 못하는 경우, 터미널은 현재의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잠금 시스템(60)을 우선 종료한 후,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을 착수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다수의 시스템을 동시에 착수하거나 구동할 수 있는 경우, 터미널은 (신규) 주 시스템을 착수하며 현재의 (잠금) 시스템을 계속 구동할 수 있다. 일단 터미널이 주 시스템의 착수를 완료하면, 터미널은 이전의 잠금 시스템을 종료할 수 있다.
제1 예시적 측면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터미널은 세 개 이상의 모드를 정의하며 상기 모드들을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배치한 계층에서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다수의 계층을 구축한 후, 사용자가 자신의 요구를 충족하는 계층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구성의 터미널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터미널로 실행하는 모드 이동은 상술의 [도2]의 패널(A) 내지 패널(H)의 방법 및 모드 이동과 유사하다.
상기 섹션 4-4에서 예시한 상기 “두 번째 작업”의 다른 특성은 상기 “첫 번째 작업”의 상응하는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지만, 상세한 문맥에 따라 “두 번째 작업”의 일부를 변경, 추가 또는 생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두 번째 작업”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5. 제1 구성 - 작업 실행 순서 (3)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이자 세 번째 작업의 경우, 터미널(또는 적정한 입력 유닛)은 (1) 온 상태(즉 영상 유닛이 켜져 있는 시동 상태로서,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2) 해제 모드에서 구동 중,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여러 방법으로 신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미널이 “온 상태”로부터 특정 계층이 정의한 다른 모드로 이동하는 모드 이동 역시 상술의 “제2 유형 모드 이동”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UISWI의 포함 여부와 관계없이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계속 잠금 모드에 머무르거나 또는 다시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으로부터 UISWI-1를 취득하고, [1] 해제 모드에 머물거나 또는 [2] 선택적 스위칭의 경우 상기 UISWI-1에 근거하여 잠금 모드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추가로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1] 해제 모드에 머물거나 또는 [2] 선택적 스위칭의 경우 UISWI-2에 근거하여 다시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하고자 할 때마다,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조작함으로써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상세예에서 터미널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개인적 데이터의 비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작업”과 마찬가지로, 본 “세 번째 작업”의 터미널도 사용자 인증 작업 결과를 조건으로 하여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단 본 섹션의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고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이미 인증 작업(일예로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한)을 실행하였으며, 사용자가 상기 인증에 성공하였기에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하였다. 따라서 터미널은 동일한 사용자를 다시 인증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금융 거래 등과 같이 중요하거나 또는 개인적 데이터를 요구하는 작업을 실행하려 하면, 터미널은 추가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접근 권한이 더 적은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부분 삭제)를 실행하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선택된 부분만 삭제하는 한편 나머지 부분은 다양한 저장 시점에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터미널의 기타 부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주 시스템(10) 또는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성에서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터미널은 세 개 이상의 모드를 정의하고 이들을 순차적, 병렬적 또는 혼합적으로 배치한 계층에서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다수의 계층을 구축한 후, 사용자가 자기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적합한 계층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성의 터미널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터미널을 이용한 모드 이동 방법은 [도2]의 패널(A) 내지 패널(H)의 방법과 유사하다.
상기 터미널은 본 섹션의 “세 번째 작업”을 시동 상태 및 온 상태에서 실행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영상 유닛이 켜진 또는 켜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업들을 실행한다. 그 결과 터미널은 본 섹션에서 설명한 다양한 작업을 활성화 작업을 조건으로 하여 실행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상기 활성화 작업은 본 섹션의 다양한 작업들을 조건으로 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끌 수 있다.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였지만 터미널이 비순환 계층에서 구동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이 잘못되었거나 적합하지 않은 경우, 터미널은 더 이상 모드 이동을 실행하지 못하며 영상 유닛을 끌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공한 UISWI가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어떤 세부입력에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끌 수 있다.
본 섹션의 “세 번째 작업”의 기타 특성은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작업”의 상응하는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지만, 상세한 문맥에 따라 “세 번째 작업”의 일부를 변경, 추가, 생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 번째 작업”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6. 제1 구성 - 작업 실행 순서 (4)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이자 네 번째 작업의 경우, 터미널(또는 적정한 입력 유닛)은 정전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즉 터미널이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 터미널의 영상 유닛은 꺼져 있고, 터미널을 이용한 통신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모드, 중급 모드나 해제 모드 중 어떤 모드에서도 구동하지 않으며, 잠금 시스템(60), 중급 시스템 또는 주 시스템(10)의 어떤 요소도 구동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에서, 사용자는 특정 모드로 이동하려는 의도 없이 터미널 파워만을 켜려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미널의 파워를 켜기만 하면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1] 파워는 켜지만(즉 시동 상태) 영상 유닛은 꺼진 상태로 유지하거나(즉 오프 상태로의 이동), 또는 [2] 파워를 켜며(즉 시동 상태) 영상 유닛도 켤(즉 온 상태로의 이동) 수 있다. 위의 [2]의 경우의 터미널은 [2-1]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하며 다양한 착수 시점 중 한 시점에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거나, 또는 [2-2] 영상 유닛에 홈 화면을 표시하며 주 시스템(10)을 착수할 수 있다.
상기 상세예의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인증 작업의 결과를 조건으로 하여 영상 유닛을 켜거나,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하거나, 영상 유닛에 잠금(또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등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작업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는 (1) 터미널의 파워를 켬은 물론 (2) 잠금 모드로 이동하여 잠금 시스템(60)으로 잠금 작업을 실행하려 할 수도 있다. 단 사용자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만을 제공하더라도 이음새 없이(즉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지 않고도)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으면 만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파워를 켜고(즉 시동 상태) 잠금 모드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잠금 모드의 자신만의 잠금 화면을 타인이 보더라도 개의치 않는 경우, 터미널은 파워를 켜고, 영상 유닛을 켜며, 자동적으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기본 설정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술의 모든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타인이 자신의 잠금 화면을 보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은 인증 작업을 실행하며 현재 사용자가 잠금 모드로 이동할 권한을 보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파워를 켜고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입력은 영상 유닛을 켜기 위한 UIACT은 물론 인증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UITHEN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정전 상태의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영상 유닛을 켜고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사용자 입력은 UITHEN을 포함하지만 UIACT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터미널은 UIACT를 취득하지 않고도 영상 유닛을 켤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다양한 상기 착수 시점에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며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착수 시점의 예는 영상 유닛을 켜기 전, 켬과 동시, 또는 켠 후 등이다. 그 후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을 구동하며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술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다양한 작업 중 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계속 정전 상태에 머무르거나, [2] 영상 유닛을 계속 꺼진 상태로 유지하거나, [3] 영상 유닛을 켜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잠금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4] 영상 유닛을 켜고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을 표시하되,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더라도 인터페이스가 잠금 시스템(60)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는 (1) 터미널의 파워를 켬은 물론 (2) 해제 모드로 이동하여 주 시스템(10)으로 해제 작업을 실행하려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만 제공하더라도 이음새 없이(즉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지 않고)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으면 만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제 모드의 자기의 홈 화면을 타인이 보는 것을 개의치 않을 경우, 터미널은 파워를 켠 후, 영상 유닛을 켜며, 자동적으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술의 모든 작업을 실행하므로, 사용자는 이음새 없는 작업 실행을 즐길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타인이 자기 홈 화면을 타인이 보기를 원하지 않으면, 터미널은 인증 작업을 실행하며 현재 사용자가 해제 모드로 이동할 권한을 보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파워를 켜고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다양한 상기 착수 시점에 주 시스템(10)을 착수하며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착수 시점의 예는 영상 유닛을 켜기 전, 켬과 동시, 또는 켠 후 등이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1] 정전 상태에 머물거나, [2] 영상 유닛을 꺼진 상태로 유지하거나, [3] 영상 유닛을 켜고 잠금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화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시키지 않거나, 또는 [4] 영상 유닛을 켜고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되,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더라도 상기 인터페이스가 주 시스템(10)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켜는 작업 실행보다 인증 작업 실행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더라도, 이 시점은 영상 유닛이 켜진 후의 시점일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영상 유닛을 켜고, 잠금 화면을 표시하며, 그 후 [1] 터미널이 사용자의 인증 실패를 확인하면 계속 잠금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2] 사용자의 인증 성공을 확인하면 잠금 화면을 홈 화면으로 대체할 수 있다.
4-7. 제1 사용자 입력 및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일곱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되, 이 중 한 사용자 입력은 UISWI를 포함한다. 단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은 UISWI 이외의 다른 세부입력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UITHEN, UIACT 등의 세부입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UISWI 이의의 세부입력의 포함 여부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모드 이동을 원할 때의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이 정전 상태에 있고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여 터미널의 파워를 켜기를 원하는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ACT, UITHEN, UISWI 중 어떤 것도 포함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터미널이 파워가 켜지며 정전 상태에서 시동 상태로 이동하면, 터미널은 무조건 영상 유닛을 켜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사용자가 터미널의 파워를 켜고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착수하기만을 원하는 경우, 터미널은 어떤 모드로 이동해야 하는 지를 이미 인지하므로, 제1 사용자 입력은 UISWI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또 잠금 모드는 가장 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이므로, 터미널은 인증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고, 따라서 제1 사용자 입력은 UITHEN을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특정 잠금 모드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기를 원하는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THEN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THEN을 취득한 후 인증 작업을 실행하여 현재 사용자가 잠금 모드로 이동하도록 인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전 상태로부터 특정 계층이 정의한 모드로 직접 이동하기를 원하며, 상기 계층이 다수의 모드를 정의할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SWI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은 시동 상태로 이동하고 영상 유닛을 켠 후,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한 후 상기 UISWI에 상응하는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시동 상태에 있지만 영상 유닛은 꺼져 있는(즉 오프 상태) 경우, 사용자는 특정 모드에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터미널에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터미널의 파워를 켜기 위하여 이미 (제0)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 경우이므로, 제1 사용자 입력은, 터미널이 제0 사용자 입력을 이미 수신한 후 파워가 켜지고 통신이 가능해졌지만, 영상 유닛은 꺼져 있는 상태에서 터미널에 제공된 입력이다.
일예로 사용자는 일상적 데이터 확인을 목적으로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THEN이나 UISWI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을 켜고 영상 화면에 비개인적, 일상적 데이터만 표시하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터미널이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잠금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ACT도 포함할 필요가 없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잠금 모드로 이동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사용자 입력은 UIACT와 UISWI를 포함할 수 있고, 터미널은 UIACT에 대응하여 영상 유닛을 켜고, UISWI에 대응하여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자신의 잠금 모드에 대한 타인의 접근을 제한하려 할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THEN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이 영상 유닛을 켜고 자동적으로 잠금 모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면, 제1 사용자 입력은 UIACT도, UISWI도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현재 파워가 켜져 있고(즉 시동 상태), 영상 유닛도 커져 있으며(즉 온 상태), 현재 모드(즉 특정 계층이 정의한 다수의 모드 중 하나)에서 구동 중인 경우이며, 사용자는 현재 모드에서 작업을 실행하거나,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제공할 수 있다. 하술의 예시는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하여 구동 중인 터미널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경우이다.
사용자가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하여 터미널에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경우, 영상 유닛은 이미 켜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UIACT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또한 터미널이 현재 모드보다 신규 모드에 더 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THEN을 포함할 필요도 없을 수 있다. 또 터미널이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면, 제1 사용자 입력은 UISWI도 포함할 필요가 없으며, 그 이유는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의 속성과 관계없이 특정 계층이 정의한 다수의 모드들을 한 번에 한 모드씩 연속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터미널이 신규 모드에서 주 영상 유닛 외에도 제2 영상 유닛을 켜야만 하는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ACT를 포함해야 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모드보다 신규 모드가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모드를 이동할 때마다 인증을 원할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THEN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이 수많은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작동할 경우, 사용자는 정확한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 입력에 UISWI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상세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정전 상태의 터미널(즉 첫 번째 상세예)에 제공된 제1 사용자 입력, 오프 상태의 터미널(즉 두 번째 상세예)에 제공된 제1 사용자 입력, 또는 온 상태의 터미널(즉 세 번째 상세예)에 제공된 제1 사용자 입력 등은 모드 이동만을 위하여 UIACT, UITHEN, UISWI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입력의 속성 및 상기 입력에 포함된 (사용자) 세부입력의 속성 등은 사용자 의도나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사용자의 의도 및 상황에 따라 [1] 터미널의 주 시스템(10)은 단일의 주 입력 유닛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2] 주(또는 잠금) 시스템(10)(60)은 다수의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터미널은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주 시스템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사용자는 터미널이 제공하는 이음새 없는 특성을 활용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입력 유닛이 수신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UISWI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주 입력 유닛(20)이 아닌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는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주 입력 유닛(25) 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 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는 UIACT나 UITHEN 중 하나 이상 및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UISWI를 취득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된 어떤 입력 유닛에라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는 UISWI를 포함하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지 않지만, 터미널은 UISWI를 포함한 사용자 입력을 대신할 수 있는 상이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는 터미널은 제어 세팅, 상황 등에 따라 자동적으로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상술, 하술의 다양한 상황에 근거하여 UIACT나 UITHEN를 UISWI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입력에 포함된 (사용자) 세부입력의 수효와는 관계없이 단일 또는 다수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향상된 이음새 없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터미널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UISWI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상기 유닛(25)에 제공하면,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제공한 적정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만 모드를 이동하거나, [2]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제공한(일예로 터미널이 주도적으로 취득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3] 터미널 제조사, 배급사, 사용자가 일단 확립하면 변경할 수 없는(또는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세팅에 의해서만 모드를 이동할 수도 있다.
모드 이동이 접근 권한이 넓은 현재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좁은 신규 모드로의 이동이면,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에서 반드시 UISWI를 취득할 필요 없이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1] 터미널이 현재 모드에서 일정 기간 이상 구동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 [2] 주 시스템(10)이 현재 모드에서 최종 작업을 실행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 [3] 터미널이 주 시스템(10)에 대한 인증되지 않은 시도 등과 같은 특정 사건(일예로 해킹, 인증되지 않은 접근, 주 시스템이나 주 메모리 유닛의 오염, 주 시스템의 요소의 변조 등)을 감지한 경우, 또는 [4] 터미널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사건의 발생(또는 시도) 등을 감지한 경우, 터미널은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영상 유닛이 꺼진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등 상기 유닛(25)을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영상 유닛을 켜기 전, 켬과 동시 또는 켠 후, 터미널이 주 시스템이나 잠금 시스템 중 어떤 시스템을 착수할 지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고,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특정 모드에서 특정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다. 특히 계층이 다수의 상이한 모드를 정의할 경우 상기 구성은 더 유용하며, 그 이유는 사용자는 다양한 모드가 정의된 계층을 따라 이동할 필요 없이 자신이 원하는 시스템을 원하는 모드에서 착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구성의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직접 취득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음새 없이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의 구성은 인증 작업의 결과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거나, 이와 반대로 인증 작업이 상술의 구성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해제 모드로 이동하고 주 시스템(10)을 착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더라도 잠금 모드로의 이동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미널에 특정 명령을 전달할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의 결과와 관계없이 해제 모드로 이동하고 주 시스템(10)을 착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터미널이 버튼 형태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포함할 경우 유용할 수 있다.
4-8 . 제1 구성 - 잠금 메모리 유닛 및 삭제(또는 부분삭제)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여덟 번째 실시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의 목적 중 하나는 잠금 시스템(60)을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주 시스템(10)으로부터 격리하여, 주 시스템(10)의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터미널의 또 다른 목적은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에 대한 흔적의 전체(또는 일부)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에 대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특히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메모리 유닛(80)이나 잠금 시스템(60)의 기타 부위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60)은 어떤 잠금 메모리 유닛(80)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잠금 뷰어(71)는 [1] 잠금 시스템(60)이 접근 가능한 다양한 텍스트, 파일, 이미지, 웹페이지 등을 영상 유닛에 표시하거나, 또는 [2]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잠금 시스템(60)은 어떤 신규 데이터도 저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에 대하여 별도의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이나 주 시스템(10)의 임시 메모리 섹터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기 위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이나 주 운영체계(34)를 이용해 잠금 모드에서 잠금 뷰어(71)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 중 일부는 주 시스템(10)에 저장되거나 잔류될 수 있으며, 특히 주 시스템(10)의 임시 메모리 섹터에 저장되거나 잔류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상기 섹터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60)은 하나 이상의 지정된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하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잔여 포맷(remnant format) 등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을 기존의 중복 기재, 암호화, 소프트웨어적 방식, 또는 하드웨어적 방식 등을 이용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잠금 시스템(60)은 결과물의 일부나 전부를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삭제 시점에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터미널이 잠금 메모리 유닛(80)에서 또는 잠금 시스템(60)의 다른 유닛에서 잠재적으로 위험한 파일, 경고 표시의 컨텐츠(일예로 불법 또는 외설적 텍스트나 이미지) 등을 감지하거나 주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유닛에 접근하려는 인증되지 않은 시도 등을 감지하면, 터미널은 "적응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삭제할 파일, 컨텐츠, 소스 등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확인 후 이에 대한 적응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부분삭제 작업 도중, 터미널이나 사용자는 삭제 예정 결과물을 선택할 수 있으며, 나머지 결과물은 잠금 메모리 유닛(80)이나 잠금(또는 주) 시스템(60)(10)의 임시 메모리 섹터 등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저장(또는 삭제) 예정 결과물을 선택하거나, 또는 터미널이 적응적으로 저장(또는 삭제) 예정 결과물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이나 주 시스템(10)의 임시 메모리 섹터에 잔류하는 결과물을 삭제할 수 있다.
터미널이나 사용자는 삭제(또는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적응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터미널이 사용자가 특정 기간 이상을 소비한 컨텐츠나 웹사이트, 또는 사용자 선호 사항과 부합되는 컨텐츠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이와 관련된 결과물을 적응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다양한 저장 시점에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저장하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저장 시점은 상술의 삭제 시점과 동일하지만, 터미널은 상기 저장 시점에 저장 작업을 실행한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선택된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80)이나 잠금(또는 주) 시스템(60)(10)의 임시 메모리 섹터에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상기 메모리 유닛이나 섹터 등이 주 시스템(10)의 다른 유닛을 구동하거나, 상기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을 구동하는 사용자가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한 시스템의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시스템의 메모리 유닛에 전달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4-9 . 제1 구성 - 다양한 시스템의 착수 시점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아홉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해제(또는 중급)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고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시점에 상기 잠금 시스템(60)을 구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터미널의 전원을 끈 후 다시 켜거나,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해제(또는 중급)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다시 돌아가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할 수 있다. 즉 자신이 실행하려는 작업이 터미널의 주 시스템(10)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의심스러울 때마다, 사용자는 용이하게 다양한 착수 시점에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고, 잠금 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삭제 시점과 유사한 "착수 시점"은 모드 이동과 관련하여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하는 시점과 관련된다. 따라서 착수 시점은 잠금 시스템을 착수하는 시점이나 주 시스템을 착수하는 시점을 포함하며, 상기 착수 시점의 예로는 [1] 모드 이동과 동시, [2] 모드 이동 직후, [3] 모드 이동 후이지만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전, [4]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하는 데 필요한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 또는 직후, [5] 인증 작업 실행과 동시 또는 직후, 또는 [6] 영상 유닛의 활성화 직전, 동시 또는 직후 등이 있다.
또한 위 문장의 [6]의 착수 시점은 영상 유닛의 활성화와 관련된 다양한 활성화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수 시점은 잠금 시스템 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하는 시점을 포함하며, 이러한 시점의 예로는 [6-1] UIACT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 [6-2] UIACT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 직후로서 이 때 "직후"는 상술의 정의와 같으며, [6-3] UIACT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 후이지만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전, 또는 [6-4] 사용자의 인증 실패를 확인하기 전, 동시, 직후, 또는 확인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등이 있다.
4-10 . 제1 구성 - 사용자 혜택
하나 이상의 주 CPU 유닛(30), 주 메모리 유닛(40), 주 입력 유닛(20) 및 주 출력 유닛(50)을 포함하는 주 시스템(10)과는 달리, 제1 구성에 따르는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도 포함하며, 잠금 시스템(60)은 하나 이상의 잠금 뷰어(71)와 옵션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80), 잠금 입력 유닛, 또는 잠금 출력 유닛도 포함할 수 있다.
단 잠금 뷰어(71)의 주 기능은 기존의 뷰어, 브라우저와 같이 데이터의 표시에 불과하며, 그 결과 잠금 뷰어(71)는 그 성격 상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구성의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잠금 시스템(60)은 터미널에 이미 저장되어 있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 소스,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받는 문서, 광고를 표시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잠금 시스템(60)은 인터넷을 통하여 교육용, 광고성 자료를 제공하는 다양한 웹사이트를 검색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특히 잠금 시스템(60)은 상술의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잠금 모드에서 실행한 작업 리스트나 결과물을 다른 사용자에게 남겨 둔다는 걱정이나, 상기 결과물이 주 시스템(10)을 오염시키거나 망칠 수 있다는 걱정 등을 경감시킬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은 옵션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유닛(80)에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유닛(80)에 저장된 데이터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사용자가 USB 메모리 기기, 외부 메모리 디스크(또는 칩), 다른 컴퓨터 또는 다른 데이터 처리 기기 등을 터미널에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필요한 모든 유닛을 포함할 필요 없이 사용자로 하여금 외부 유닛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터미널은 더 적은 무게나 부피를 갖도록 제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작 단가도 낮출 수 있다.
4-11 . 제1 구성 - 변형 및 개량
상술의 제1 구성에 따르며 상기 [도5A] 내지 [도5C]에서 예시한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상술과는 상이한 구성, 배치 또는 작업 실행 순서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구성의 터미널, 상기 터미널의 다양한 요소 및 상기 터미널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는 아래와 같이 변형되거나 개량될 수 있다.
4-11-1 . 중복 기재에 의한 삭제
제1 구성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1) 특정 계층에 상이한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고, (2) 주 시스템을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잠금 시스템으로부터 격리하며, (3)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터미널에 저장된 데이터의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열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고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특정 결과물 전부를 삭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삭제 시점에 상기 결과물의 특정 부분만 삭제(즉 부분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에 의한 주 시스템(10)의 오염이나 오작동을 완전히 또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과물의 삭제 외에도, 사용자는 자신이 잠금 모드에서 실행한 다양한 작업의 리스트, 자신이 잠금 모드에서 방문한 웹사이트 리스트, 자신이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며 다운로드한 컨텐츠의 리스트 등을 삭제함으로써, 자신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우선 터미널은 "소프트웨어 기반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작업의 예로는 [1] 삭제 예정 결과물의 최소 일부분에 관련 없는 또는 의미 없는 데이터를 중복 기재하는 작업, 또는 [2] 삭제 예정 결과물을 잠금(또는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기 전 암호화하는 작업 등이 있다.
또는 터미널은 다양한 "하드웨어 기반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의 예로는 [1] 휘발성 메모리 유닛에 대한 삭제 작업, 또는 [2] 메모리 유닛에 대한 자성 처리(degaussing)를 통한 삭제 작업 등이 있다. 상기 [1]의 휘발성 메모리 유닛을 사용할 경우, 터미널은 모드 이동 도중 또는 이후 상기 유닛에 전원을 차단하며, 따라서 상기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은 자동적으로 소실된다. 또는 상기 [2]의 자성 처리를 이용할 경우, 터미널(또는 사용자)은 강한 자기장을 생성하고 상기 자기장의 자성 유동을 이용하여 상기 유닛을 자성 처리할 수 있다. 단 자성 처리는 메모리 유닛의 특정 부위나 섹터는 물론 터미널의 다른 유닛들에게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확하게 실행할 필요가 있다.
상기 부분삭제 작업은 잠금 시스템에 잔류하는 결과물의 특정 부분에 대한 삭제 작업이다. 따라서 상기 부분삭제 작업에 대한 소프트웨어 기반 또는 하드웨어 기반 작업은 상술의 삭제 작업과 동일하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삭제 예정 결과물을 무의미하거나 관련 없는 널 데이터(null data)로 중복 기재하여 삭제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삭제 예정 결과물이 존재하는 메모리 유닛의 특정(또는 모든) 섹터에 널 데이터를 중복 기재할 수 있고, 상기 널 데이터의 예로는 [1] 다수의 "0"이나 "1" 또는 이들의 조합, [2] 다수의 상이한 숫자, [3] 기타 무의미한 또는 반 무작위로 선정한 데이터, 또는 [4] 터미널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기타 숫자나 기호 등이 있다.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열한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상이한 정도 또는 상이한 범위로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1회 중복 기재, [2] 2회 중복 기재 또는 [3] 그 이상의 중복 기재 등을 통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상이한 정도로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중복 기재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공지된 내용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상이한 범위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디스크 전체에 대한 중복 기재, [2] 섹터 별 중복 기재, [3] 파일 별 중복 기재, 또는 [4] 데이터 별 중복 기재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크 전체에 대한 중복 기재의 경우, 터미널은 메모리 유닛의 모든(또는 특정) 섹터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모든 결과물을 삭제하되, 운영체계나 BIOS 등의 특정 섹터는 상기 삭제 작업으로부터 제외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이 잠금 운영체계를 포함하지 않는 한, 디스크 전체에 대한 중복 기재는 잠금 메모리 유닛(80)이나 잠금 시스템(60)의 모든 임시 메모리 섹터에 대한 삭제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
섹터 별 중복 기재의 경우, 터미널은 섹터 별로 삭제 작업을 실행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메모리 유닛의 특정 섹터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을 삭제하는 한편, 나머지 섹터들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데이터는 그대로 남겨둘 수 있다.
파일 별 중복 기재의 경우, 터미널은 파일 별로 결과물에 대한 삭제 작업을 진행한다. 즉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특정 파일을 삭제한 후 다음 파일을 삭제한다. 즉 터미널은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상기 결과물의 특정 파일을 삭제하는 반면, 나머지 파일들은 그대로 남겨둘 수 있다. 데이터 별 중복 기재의 경우에도 터미널은 특정 데이터를 삭제하며 나머지 데이터는 남겨둘 수 있다.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열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상이한 시점에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중복 기재 작업을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은 섹션 2-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주문형(on-demand)으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삭제 작업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요소를 이용하여) 적정한 입력 유닛에 제공하는 경우이다. 상술과 같이 결과물의 일부에 삭제 마크를 기입하는 것도 주문형 삭제의 예로 간주할 수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가 특정 기간 이상 아무런 액션을 취하지 않는 경우(즉 비활동)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이 현재 사용자 또는 제3자의 허용되지 않은 [1] 주 시스템(10)에 대한 접근 시도, [2] 주 시스템(10)의 데이터를 회수하려는 시도, [3] 주 시스템(10)에 데이터를 저장하려는 시도, 또는 [4] 주 시스템(10)의 유닛을 변형하거나 상기 유닛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 등을 인지할 경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삭제 예정 결과물이 다수의 메모리 유닛이나 단일의 메모리 유닛의 다수의 메모리 섹터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경우, 터미널은 상기 다수의 메모리 유닛 또는 섹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한 메모리 유닛(또는 섹터)에 대한 삭제 작업을 실행한 후, 다음 메모리 유닛(또는 섹터)에 대한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다수의 메모리 유닛(또는 섹터)에 대하여 동시에, 즉 시간적으로 중첩되도록, 삭제나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상세예들의 경우, 터미널은 파일 매니저를 이용하거나 기존의 기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암호화를 이용하여 삭제 예정 결과물을 삭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을 얻은 후 또는 상기 결과물을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기 전, 상기 결과물을 암호화할 수 있다. 터미널은 1회 중복 기재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회 중복 기재는 잔류 데이터 없이 결과물을 삭제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2회 중복 기재 또는 그 이상의 중복 기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잔류 데이터와 관련된 문제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결과물 중 어떤 부분을 삭제하고 어떤 부분을 저장할 지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삭제 예정 결과물을 수동으로 또는 비활동을 통하여 파일 별 또는 폴더 별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자동적 또는 적응적으로 삭제 예정 결과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의 예로는 [1] 결과물을 생성한 작업의 종류나 유형, [2] 결과물의 종류, [3] 결과물에 포함된 컨텐츠(일예로 외설적, 폭력적 또는 반사회적), [4] 터미널 또는 사용자가 확립한 사용자 세팅(또는 선호 사항), [5]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에서의 사용자의 과거 또는 현재 활동에 대한 통계, 또는 [6] 터미널 제조사, 배급사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타 기준 등이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다양한 기존의 빅데이터 알고리즘,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또는 사용자)은 잠금 모드에서 신뢰성이 결여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어떤 결과물도 모드를 이동할 때마다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이 이동하는 신규 모드는 현재 모드보다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일 수 있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술의 "삭제 작업"의 다양한 특성은 상기 "부분삭제 작업"의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부분삭제 작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11-2 . 모든 “결과물"의 삭제 또는 일부 “결과물"의 부분삭제
상술의 제1 구성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을 잠금 시스템(60)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격리하므로,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보안 및 완전성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기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이 주 시스템(10)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피해를 주거나, 주 시스템(10)을 오염시키지 못하도록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열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이러한 특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 또는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을 구동하여 실행한 잠금 작업으로부터 얻은 "결과물"의 전체 또는 특정 부분을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잠금 시스템(60)의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잠금 메모리 섹터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이 터미널의 주 시스템(10)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성능을 저하시키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80)을 이용하여 실행한 작업의 흔적을 용이하게 삭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결과물"도 용이하게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상황에 따라 잠금 시스템(60)이나 주 시스템(10)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이한 계층, 상이한 모드를 상이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잠금 모드, 중급 모드 및 해제 모드를 정의하는 제1 계층, 또는 잠금 모드, 제1 해제 모드 및 제2 해제 모드를 정의하는 제2 계층을 상이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터미널은 특정 계층의 특정 모드에서 구동하는 잠금(또는 주) 시스템(60)이 동일 또는 상이한 계층의 다른 모드에서 구동하는 주(또는 잠금) 시스템(10)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현재 모드에서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신규 모드로 이동할 때마다 (거의 항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터미널이 접근 권한이 더 넓은 현재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적은 신규 모드로 이동할 때에는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터미널(또는 사용자)은 상기 "결과물"을 다양한 기존 방법으로 삭제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으로는 잠금 시스템(60)이나 주 시스템(10)의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여 삭제 예정 결과물에 의미 없는 또는 관련 없는 널 데이터를 중복 기재하거나, 삭제 예정 결과물을 확보한 후 또는 저장 전 암호화한 후 중복 기재를 실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문장의 삭제 방법을 "능동적 삭제 또는 능동적 부분삭제"라 지칭한다.
또는 터미널은 전원이 끊어지면 저장한 결과물이 소실되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사용자가 일정 기간 이상 어떤 액션도 취하지 않는 경우 잠금 시스템(60)의 결과물을 삭제할 수 있다. 본 문장의 삭제 작업은 사용자의 능동적 액션에 의한 결과가 아니며, 따라서 상기 삭제 작업을 "수동적 삭제(또는 부분삭제)"로 지칭한다.
터미널은 상술의 삭제 작업과 부분삭제 작업의 특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특정 결과물에 대해서는 상술의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적응적(adaptive)으로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지만,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삭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된 각 결과물에 대하여,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각 결과물에 대하여, 데이터 각각의 유형(일예로 텍스트, 이미지, 파일, 테이블, 음성 녹음 파일, 동영상 등)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방문한 웹사이트별로, 사용자가 삭제 작업 또는 부분삭제 작업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4-11-3 . 모든 또는 일부 “결과물" 저장
터미널은 모드 이동에 대응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동안 터미널은 삭제로부터 제외할 특정 결과물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열네 번째 실시예에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 중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리라 간주되는 저장 예정 결과물의 최소한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60)은 주 시스템(10)의 주 메모리 유닛(40)이나 기타 주 유닛들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된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 예정 결과물을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유닛(80) 및 상기 유닛(8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이 주 메모리 유닛(40)이나 주 시스템(10)의 다른 요소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특정 시스템의 메모리 유닛이나 상기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이 다른 시스템의 메모리 유닛 또는 다른 유닛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술의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격리로 인하여, 사용자는 제1 모드에서 구동하는 제1 시스템 및 제1 모드에서 제1 시스템으로 실행한 작업의 결과물이 [1] 제2 모드에서 구동하는 제2 시스템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미칠 오염이나 악영향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하거나 [2] 제2 시스템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의 구성을 변조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거나, 또는 [3] 제2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요소의 작업 및 스텝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및 제2 시스템 각각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특정 부분을 삭제하는 한편, 상기 결과물의 나머지 부분(즉 저장 예정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터미널의 다른 메모리 유닛(또는 섹터)에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은 상기 저장 작업을 다양한 저장 시점에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상이한 결과물들을 상이한 기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특정 결과물은 임시로(즉 일정 기간 동안만) 저장하며, 이에 따라 상기 결과물은 추후 자동적으로(또는 수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특정 결과물을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지속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에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접근 권한이 적은 현재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넓은 신규 모드로 이동할 때까지 특정 결과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특정 결과물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라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특정 결과물을 저장할 수도 있다. 그 후 터미널은 다른 모드로 이동함과 동시에 또는 상기 이동 후, 특정 결과물을 삭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반영구적으로, 즉 상술의 임시 저장 및 영구 저장의 조합으로 특정 결과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상술과 같이 일부 결과물을 삭제할 수 있다. 터미널은 특정 기준을 조건으로 하여 특정 결과물을 삭제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준의 예로는 터미널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팅, UISWI, 일정 기간 이상 사용자가 어떤 액션도 취하지 않는(즉 비활동) 경우 등이 있다. 터미널은 모드 이동이 완료된 후 또는 특정 사건이 발생한 후 특정 결과물을 저장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저장 예정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80), 탈착 기기 형태의 외부 메모리 유닛, 외부 기기의 메모리 유닛, 다른 터미널 등과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저장 예정 결과물을 주 시스템(10)의 주 메모리 유닛(40)의 지정된 부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의 메모리 유닛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저장 예정 결과물을 상술의 다양한 시스템 또는 유닛의 임시 메모리 섹터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탈착 기기를 외부 메모리 유닛으로 사용하면, 터미널이 탈착 기기를 잠금 메모리 유닛으로 또는 (보조) 주 메모리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데이터 버퍼는 상기 임시 메모리 섹터의 한 예로서, 데이터 버퍼는 결과물을 메모리 유닛의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며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잠금(또는 주) 메모리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 또는 섹터이다. 상기 데이터 버퍼는 메모리 유닛(또는 기타 메모리 장치)의 고정된 메모리 장소이거나, 가상의 메모리 장소를 지칭한다. 데이터 버퍼로 작동할 수 있는 기존의 캐쉬 역시 임시 메모리 섹터의 또 다른 예이다.
기존의 클립보드 역시 임시 메모리 섹터의 또 다른 예이며, 클립보드는 붙임 버퍼(paste buffer)로서 데이터 버퍼의 한 종류이며, 메모리 유닛이나 기타 메모리 장치의 특정 섹터를 지칭한다. 데이터 버퍼는 복사 작업이나 붙임 작업에서 문서와 (소프트웨어) 앱 사이의 단기 데이터 저장소이다. 기존의 리사이클 빈(recycle bin)도 임시 메모리 섹터의 또 다른 예이며, 리사이클 빈은 메모리 유닛, 기타 메모리 장치의 하나 이상의 섹터를 차지하며, 파일 매니저가 제거하였지만 아직 파일 시스템으로부터는 영구적으로 삭제되지 않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상술의 임시 메모리 섹터(또는 유닛)는 주 메모리 유닛(40),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터미널의 기타 유닛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임시 메모리 섹터(또는 유닛)는 일반적으로 터미널의 내부 유닛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다른 터미널이나 컴퓨터의 외부 메모리 유닛으로, USB 메모리 기기 등의 외부 메모리 기기로, 또는 외부 메모리 기기와 같은 탈착 기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터미널은 결과물의 일부를 임시로 저장하되, 이를 생성된 장소에 저장하거나, 이를 메모리 유닛이나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기타 유닛의 임시 메모리 섹터에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은 중복 기재, 암호화 또는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임시 저장된 결과물을 삭제할 수 있다. 터미널은 결과물의 일부를 조건부로 저장하되, 이를 생성된 장소에 저장하거나, 이를 임시 메모리 섹터(또는 부위)에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은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특정 결과물에 대한 특정 기간 동안의 저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되, 상기 기준의 예로는 사용자 입력, 사용자 세부입력, 결과물의 종류나 속성, 사용자 선호 사항이나 세팅, 사용자의 활동 또는 비활동,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비인증 사용자의 접근 시도 등이 있다.
상기 실시예의 네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을 다양한 시점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결과물을 저장하는 시점은 일반적으로 삭제하는 시점과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시점"이란 모드 이동과 관련된 상기 "결과물"의 최소 일부의 저장과 관련되며, 상기 저장 시점의 예로는 [1] 모드 이동과 동시(일예로 하나 이상의 저장 작업의 스텝이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 작업의 스텝과 중첩), [2] 모드 이동 직후, [3] 모드 이동 직후이지만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전, 또는 [4] 저장 작업에 필요한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한 대응 등의 시점이 있으며, 상기 모드 이동은 섹션 1-4에서 정의하였고, 삭제 시점은 섹션 2-2에 설명하였다.
상기 "결과물"의 최소 일부의 저장 시점은 저장이나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다른 시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 시점의 예로는 [1] 인증 작업의 실행과 동시(일예로 현재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결정에 대응), [2] 인증 작업 실행 직후, [3] 터미널의 영상 유닛의 활성화 직전, 동시 또는 직후, [4] 터미널의 전원을 켜기(또는 끄기) 직전, 동시 또는 직후, 또는 [5]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의 실행에 필요한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 또는 직후 등이 있다.
터미널은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을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실시간 저장 작업을 실행하되, 터미널은 사용자가 각각의 잠금 작업을 실행할 때마다 이를 저장하거나, 각각의 데이터, 파일, 또는 폴더를 처리할 때마다 상기 데이터, 파일 또는 폴더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특정 시점마다 잠정적 저장 작업을 실행하되, 상기 시점의 예는 미리 정한 기간마다,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기간마다,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이 특정 용량을 초과할 때 등이다. 또는 터미널은 사후적 저장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1] 사용자가 계속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지와는 관계없이 또는 [2] 사용자가 계속 현재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지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함을 종료하면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시점 이전, 동시 또는 이후,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 중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모든 부분 또는 특정 부분을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권한이 없는 사용자에 의한 주 시스템(10)의 수정, 변형, 해킹을 방지함으로써 주 시스템(10)의 보안을 강화하고, 주 시스템(10)의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개인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물"이 다수의 세트인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삭제(또는 부분삭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동시에(즉 병렬로, 두 세트의 삭제 작업에 하나 이상의 시간적 중첩이 있도록) 또는 순차적으로(하나가 끝나면 그 다음) 상기 다수의 "결과물" 세트를 삭제(또는 부분삭제)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1] 단일의 잠금 모드와 단일의 해제 모드를 정의하는 제1 계층에서, [2] 다수의 잠금 모드들과 단일의 해제 모드를 정의하는 제2 계층에서, [3] 단일의 잠금 모드와 다수의 해제 모드들을 정의하는 제3 계층에서, 또는 [4] 상술의 잠금 및 해제 모드와 하나 이상의 중급 모드를 정의하는 다른 계층에서, 각각 저장(또는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4-11-4 . 계층 및 모드
상술의 제1 구성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단일의 잠금 모드 및 단일의 해제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구동하지만, 상술의 터미널은 상이한 모드를 정의하는 상이한 계층, 즉 상기 모드들이 상이하게 배치된 계층에서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열다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특정 수효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모드를 정의하는 다양한 계층에서 구동할 수 있으며, 이 때 터미널은 상기 각 모드에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계층을 선택하면, 터미널은 특정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 중 한 번에 하나씩의 모드에서 구동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이 다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터미널은 각 화면에서 상이한 시스템을 상이한 모드에서 구동함으로써, 상기 터미널은 다수의 모드에서 동시에 구동할 수도 있다. 본 섹션의 하술의 설명은 매번 단일의 모드에서 단일의 시스템을 구동하는 터미널에 적용되지만, 상기 설명은 단일의 터미널이 다수의 화면을 제공할 때 터미널이 구동하는 다수의 시스템들 각각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섹션의 터미널은 각각의 모드에서 특정 수준의 보안 및 완전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한 각 모드에서 특정 수준으로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터미널은 특정 계층이 정의하는 특정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접근 권한에 따라 현재 모드, 제1 신규 모드, 제2 신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단 각 모드에 부여되는 접근 권한은 상대적 관점에서 정의되며, 일예로 특정 계층에서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권한의 범위나 정도에 근거하여 상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두 개 이상의 모드를 정의하는 다양한 계층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각 모드에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사용자가 터미널을 구동하는 모드(즉 잠금 모드인지, 중급 모드인지, 아니면 해제 모드인지)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유닛,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 구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모드에서 상이한 수효나 상이한 종류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각 모드를 상이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동시에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다양한 계층을 구축할 수 있으며, 특정 계층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터미널을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특정 계층을 구축하고, 상기 계층이 정의하는 각 모드에 동일, 유사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특정 사용자에게 특정 계층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도록 배정함은 상기 계층이 정의하는 각각의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접근 권한으로 터미널을 구동하도록 배정함과 동일하다. 따라서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계층에서 또는 자신만의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보안은 강화될 수 있고, 완전성도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의 비밀도 상이한 계층 또는 상이한 모드에서 동일한 터미널을 구동하는 타인으로부터 비밀로 유지될 수 있다.
섹션 1-4의 정의처럼, "모드"란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작업 상태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상기 모드에서 주 시스템의 특정 수효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계층"이란 터미널이 접근 권한 직선(또는 영역)에서 "실제로" 정의한 두 개 이상의 모드의 세트를 뜻한다.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접근 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또한 전방 방향, 후방 방향, 순차적, 병렬적 또는 혼합적 계층, 비순환 또는 순환 계층, 순차적 또는 선택적 스위칭 등의 정의는 상술에서 제공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다양한 계층의 정의는 위에서 설명하였지만, 하술에서는 상기 계층의 추가 예시로서 "경로 특정 계층"을 설명한다. 특히 경로 특정 계층에서는 (1) 사용자가 특정 경로(path)를 따르지 않는 한 특정 모드로 이동할 수 없으며, (2) 사용자가 "트랩 모드"로 이동하면 사용자는 상기 계층의 다른 모드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도6A]는 예시적 경로 특정 계층의 도식적 도표로서, 상기 계층은 잠금 모드 세 개(MDLK1, MDLK2, MDLK3), 중급 모드 세 개(MDIN1, MDIN2, MDIN3), 해제 모드 두 개(MDUL1, MDUL2) 등을 정의한다. 상기 터미널은 [1] 각 잠금 모드에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2] 각 중급 모드에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또는 [3] 각 해제 모드에 동일한, 유사한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터미널이 구동하는 스위칭이 순차적인지 아니면 선택적인지에 따라, 터미널은 상기 계층의 화살표의 다양한 경로, 방향 등에 따라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사용자는 터미널에 UISWI를 제공하고, 오프 상태에서 다수의 잠금 모드 중 하나인 MDLK3로 이동한다. 터미널이 전방이나 후방 방향으로 모드 이동을 허락하는 경우, 사용자는 순차적 스위칭 또는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상기 계층의 각각의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는 MDLK3로부터 MDIN2나 MDIN3 중 하나로, 그 후 MDUL2로, 그 후 MDIN1로, 그 후 MDLK2나 MDUL1 중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는 MDUL1에서 MDLK1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층은 MDIN2나 MDIN3로부터 MDLK3 등 후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므로(일예로 MDLK3와 MDIN2 사이의 화살표 및 MDLK3와 MDIN3 사이의 화살표는 일방향성 화살표), 오프 상태로부터 MDLK1로 이동하려는 제2 사용자는 상기 계층이 정의한 모드들 중 MDLK3를 제외한 모든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오프 상태로부터 MDLK2로 이동한 제3 사용자 역시 MDLK3로 이동할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상이한 모드들을 연결하는 다양한 경로, 상기 경로의 위치 및 모드 이동에 대한 경로의 방향을 조작함으로써, 터미널은 사용자가 계층의 어떤 모드에서 모드 이동을 시작하느냐에 따라, 특정 모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또는 없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계층을 "경로 특정 계층"이라 지칭한다. 그 결과 특정 모드가 계층에 의하여 "실제로" 정의되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계층에서의 모드 이동을 적정한 모드에서 시작하지 않는 한, 상기 특정 모드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특정 계층은 여러 상황에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자신만이 MDLK3에서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고, 타인은 동일한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지 못하기를 원할 경우, (1) 사용자는 자신은 MDLK3로 이동할 수 있지만, (2) UISWI-3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는 타인은 오프 상태에서 MDLK3로 이동하지 못하는 동시에 상기 계층의 다른 모드로부터 MDLK3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UISWI-3를 정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침입자가 해킹에 성공하여 터미널에 침입하고 특정 모드로 이동하더라도, 터미널은 침입자가 운이 매우 좋지 않은 한 MDLK3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계층의 안전한 위치에 "히든 모드"를 정의하는 등과 같은 방법으로 경로 특정 계층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은 침입자를 다른 모드에 묶어 둔 채, 히든 모드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히든 모드를 해제 모드나 잠금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도6B]는 또 다른 예시적 경로 특정 계층의 도식적 도표이다. [도6A]와 같이 [도6B]의 계층은 잠금 모드 세 개, 중급 모드 세 개, 및 해제 모드 두 개를 정의한다. 상기 터미널은 다수의 잠금(또는 중급이나 해제) 모드 각각에 동일, 유사,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이 순차적 스위칭 또는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느냐에 따라, 터미널은 상기 계층을 따라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비록 [도6A] 및 [도6B]의 계층이 동일한 모드들을 정의하지만, [도6B]의 계층은 MDIN1와 MDUL2 사이의 경로와 MDIN2와 MDUL2 사이의 경로를 정의하지 않는다. 따라서 MDLK1나 MDLK2에서 터미널을 구동하기 시작하는 제1 사용자, 또는 현재 MDIN1나 MDUL1에서 터미널을 구동 중인 제2 사용자는 MDLK3, MDIN2, MDIN3 및 MDUL2 등과 같이 도면의 하부에 위치한 모드로는 이동할 수 없다. 또한 MDLK3에서 터미널을 구동하기 시작하는 제3 사용자 또는 현재 MDIN2, MDIN3 또는 MDUL2에 터미널을 구동 중인 제4 사용자 역시 MDLK1, MDLK2, MDIN1 및 MDUL1 등과 같이 도면의 상부에 위치한 모드로는 이동할 수 없다. 이 같이 특정 계층이 정의한 다수의 모드들 중 일부(일예로 도면의 상부나 하부) 모드에 있는 사용자는 "트랩"에 빠진 사용자라 지칭하며, 이와 같은 계층을 "트랩 계층"이라 지칭하기로 하며, 상기 트랩 계층은 상술의 "경로 특정 계층"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터미널은 상기 트랩 계층을 터미널의 보안을 강화하거나 주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하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을 지닌 터미널은 운 좋게 잠금(또는 중급) 모드에 침입한 침입자가 해제 모드와 같은 더 비제한적 모드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주 시스템과 같은 더 비제한적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은 특정 계층의 상세한 배치나 다양한 모드 사이의 연결 경로를 통제함으로써, 해커가 상기 히든 모드로 진행할 수 없도록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상이한, 유사한 또는 동일한 모드들을 정의하는 다양한 계층에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계층이 동일한 수효의 모드를 정의하고 이들을 동일하게 배치하더라도, 터미널은 외관 상 유사한 상기 계층의 [1] 각 모드에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또는 [2] 각 모드를 상이한 방향의 화살표를 가진 상이한 경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특정 계층을 구축하고, 상기 계층에 특정 수효의 모드를 정의하며, 상기 모드를 순차적, 병렬적 또는 혼합적으로 배치하는 업무는 터미널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작업 실행을 설계하는 당업자의 선택 권한에 속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상술에서는 순차적, 병렬적 또는 혼합적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적절한 계층을 선정하는 업무는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성에 따라 이에 적합한 계층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터미널을 사용하는 유일한 사용자라면 순차적 계층이 일반적으로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순차적 계층에 접근 권한이 상이한 다수의 모드를 정의한 후 상기 계층이 상기 모드를 배치하는 순서에 따라 접근 권한이 적은(또는 넓은)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넓은(또는 좁은)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단일의 터미널을 공유하면, 병렬적 또는 혼합적 계층이 더 적합할 수도 있다. 일예로 각 사용자는 [1] 다른 사용자들과 자신만의 모드를 공유하지 않거나, [2] 다른 사용자들이 자신만의 모드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3] 터미널이 각 사용자에게 부여한 접근 권한과는 관련 없이, 자신만의 하나 이상의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모드를 가짐으로써, 자신의 개인 정보를 더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터미널은 보안과 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렇다고 상술의 설명이 특정 터미널을 혼자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병렬적 또는 혼합적 계층이 적합치 않다는 말은 아니다. 왜냐하면 상기 사용자 역시 병렬적 계층에 세 개의 유사한 모드를 정의하고, 제1 모드는 업무를 위한 용도로, 제2 모드는 취미용으로, 또한 제3 모드는 개인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단순한 계층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사용자에게 유리하지만, 사용자가 원할 경우 터미널을 상이한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이보다 훨씬 복잡한 계층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본 명세서의 다양한 모드들은 기존의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형태의 데이터 처리 기기는 물론 통신용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예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며 각 사용자가 자신의 터미널을 사용할 때, 각 사용자가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는 다수의 병렬적 또는 혼합적 계층을 사용하면, 터미널의 보안이나 완전성 강화 및 네트워크에 저장된 각 사용자 데이터의 비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병렬적 또는 혼합적 계층은 다른 사용자들의 자신만의 모드에 대한 해킹 방지에도 유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동시에 모든 요구 사항들을 만족할 수 있는 표준 계층 또는 최적 계층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접근 권한이 가장 적은 모드에서부터 시작하여 이보다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진 모드, 가장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진 모드 등의 순서로 특정 계층을 구축하는 방법이 일반적 상식이지만, 이와는 상이한 순서로 계층을 구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과 같이 사용자는 특정 수효의 모드를 정의하며, 상기 모드를 자신의 필요에 따라 배치한 계층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기 자신만의 계층을 용이하게 구축하고 이를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샘플 계층 키트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상기 키트를 개별화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총 25개의 모드를 정의하며, 각각의 모드가 인접 모드와 서로 연결된 5x5 행렬 형태의 계층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키트에 기초하여 [1] 자신이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드를 상기 키트에서 제거하거나, [2] 상기 모드 사이의 경로 중 필요 없는 경로를 제거하거나, [3] 새로운 모드를 추가하거나, [4] 새로운 경로를 추가하거나, 또는 [5] 자신이 원하는 모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존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모드를 나타내는 다수의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블록, 화살표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모드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경로 등의 기본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세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상기 세트를 이용하여, 레고 조작으로 블록을 만들 듯, 개인화된 특정 계층을 구축할 수 있다.
또 특정 계층이 5개 이상의 모드 및 이들을 연결하는 복잡한 연결 경로들을 포함할 경우, 상기 계층의 구체적 내용 및 모드 모두를 기억하는 것은 사용자의 기억력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당연히 어떤 모드에서 터미널 구동을 시작해야 하는 지, 또는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충분한 접근 권한을 가지려면 어떤 모드로 이동해야 하는 지를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하여, 터미널은 특정 계층의 상세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계층의 구조나 배치를 표시하거나, [2] 계층의 다수의 모드를 연결하는 자세한 경로를 표시하거나, [3] 계층의 모드 이동 순서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거나, [4] 사용자가 현재 터미널을 구동하고 있는 현재 모드를 알려주거나, [5]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모든 신규 모드를 알려주거나, 또는 [6] 현재 모드 또는 (사용자가 이동하려는) 신규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주 시스템의 모든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영상 유닛이나 통지 유닛을 이용하여 앞의 [1]~[6]의 정보를 시각적 이미지로 표시하거나, 통지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청각적 신호로 제공할 수 있되, 상기 통지 유닛은 섹션 2-7에서 상세히 상술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4-11-5 . 용이한 모드 이동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열여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과 이와 관련된 방법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모드 이동용 (사용자) 세부입력(UISWI)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켜는 기존의 데이터 처리 기기와는 달리, 사용자는 터미널에 단일의 사용자 입력만 제공함으로써,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열여섯 번째 실시에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가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즉 UISWI를 한 번 제공)하면, 터미널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모드 이동용 센서를 이용하여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일단 UISWI를 취득하면, 상기 센서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터미널(일예로 주 CPU 유닛 또는 주 운영체계)에 전송할 수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는 [1] 취득한 UISWI가 인증되었는지 여부, 또는 [2] 취득한 UISWI가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모드 중 어떤 모드에 상응하는지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주 CPU 유닛(30)이나 주 운영체계(34)는 현재 모드로부터 계층의 전방이나 후방 방향으로 다음 모드인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술의 예는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터미널에 해당할 수 있다.
터미널이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할 경우, 터미널은 상기 제어 신호 또는 UISWI의 수신에 대응하여 매칭 리스트를 참고한다. 상기 매칭 리스트에서는 상기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와 다수의 UISWI 각각이 상응되어 있으므로, 터미널은 제어 신호나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를 선택한 후,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 한 번만 UISWI를 제공함으로써 (오프 상태나 정전 상태를 포함하는) 현재 모드로부터 (오프 상태나 정전 상태를 포함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입력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상기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활성화용 입력 유닛이나 인증용 입력 유닛과는 별개의 유닛인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포함한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1] UISWI만 포함하며 다른 세부입력은 포함하지 않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2] UISWI 및 다른 세부입력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3]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및 UIACT, UITHEN 또는 UIACT를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등의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4]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되, 이 중 두 개 이상의 사용자 입력이 다수의 UISWI를 포함하며, 옵션으로 다른 세부입력도 포함할 수 있다.
또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는 주 시스템(10)이나 잠금 시스템(6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기 유닛(25)은 [1] 주 시스템(10)의 하드웨어 요소로 간주하거나, [2] 잠금 시스템(60)의 하드웨어 요소로 간주하거나, 또는 [3] 주 시스템(10)이나 잠금 시스템(60)의 하드웨어 요소가 아닌, 이와는 다른 시스템의 요소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되는 두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단일의 입력 유닛으로 단일의 사용자 입력, 다수의 동시의 사용자 입력 또는 다수의 순차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사용자 입력 중 최소한 하나는 UISWI를 포함하며 옵션으로 다른 세부입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일의 입력 유닛은 [1]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 및 활성화용 입력 유닛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 및 UIACT를 취득하거나, [2]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 및 인증용 입력 유닛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와 UITHEN을 취득하거나, 또는 [3] 모드 이동, 활성화 및 사용자 인증 등 만능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 UIACT 및 UITHEN을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위 문단의 [1]의 입력 유닛은 UISWI, UIACT를 취득할 수 있는 두 개의 센서를 포함하거나, 위의 [2]의 입력 유닛은 UISWI와 UITHEN을 취득할 수 있는 두 개의 센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위의 [3]의 입력 유닛은 UISWI, UIACT 및 UITHEN을 취득하는 세 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상세예의 단일의 입력 유닛은 다양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입력 유닛은 다양한 입력 유닛들을 조립한 조합 물체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 때 다수의 입력 유닛의 다수의 센서는 각각의 센서가 취득해야 할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조합 입력 유닛은 내부에 다수의 센서가 장착되거나 또는 그 표면에 다수의 센서가 노출되어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문단의 입력 유닛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단일의 입력 유닛에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가하며 다수의 세부입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일예로 상기 입력 유닛에 대한 단일의 조작을 통하여),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이음새 없는 작업 실행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수의 UISWI에 대응하여 모드를 이동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하나 이상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를 포함할 때, 터미널은 [1] 사용자가 제공한 UISWI가 특정 계층의 하나의 모드와 상응할 때 또는 상기 UISWI가 매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2] UISWI가 다수의 작업에 상응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작업이 모드 이동 작업일 경우, [3] 사용자가 실행한 노력이 UISWI에 해당하는 경우, 또는 [4] 다수의 반복 노력이 UISWI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지 않아도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활성화 시점, 삭제 시점, 착수 시점 또는 저장 시점 등과 관련된 사건의 발생을 조건으로 하여 모드 이동 작업이 실행되는 경우이다. 터미널은 사용자의 액션을 관찰하며 사용자의 비활동을 상기 사건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상기 비활동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액션(일예로 UISWI 제공)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2] 사용자가 특정 작업의 특정 스텝에 일정 기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3] 사용자가 터미널의 요청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4] 사용자가 터미널의 요청에 반응하였지만 상기 반응이 틀리거나 부정확한 경우, 또는 [5] 앞의 [4] 이후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자신의 실수를 정정하지 않는 경우 등이 있다.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였으며 그 중 최소 하나의 사용자 입력이 UISWI를 포함하는 경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고, 이에 포함된 다른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도 있으며, UISWI 또는 다른 세부입력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UISWI나 UISWI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때 터미널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정전 상태, 오프 상태 또는 온 상태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모드 이동 작업의 실행과 함께 인증 작업을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해제(또는 잠금) 모드로부터 잠금(또는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등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며 인증 작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해제(또는 잠금) 모드로부터 잠금(또는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등의 모드 이동 작업 실행 시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터미널은 현재 모드 및 신규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과 관계없이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때마다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가 단일의 터미널을 사용할 경우, 터미널은 특정 시점에 하나 이상의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사용자가 접근 권한이 적은 제1 모드에서 접근 권한이 넓은 제2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2] 접근 권한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모드를 이동할 때마다, [3]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받은 현재 사용자가 구동하던 터미널을 적은 접근 권한을 부여받은 신규 사용자가 인수하여 구동하려 하는 경우, [4] 각 사용자에게 허용된 접근 권한과 관계없이 상이한 사용자가 상기 터미널을 인수하여 구동하려 하는 경우, 또는 [5] 특정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마다,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위 문장의 각 시점마다 동일한 인증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이한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제1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때는 지문 인증 작업을 실행하지만 제2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경우에는 홍채나 망막 인증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2] 제1 사용자가 터미널을 구동하려 할 때에는 지문 인증 작업을 실행하지만 제2 사용자가 동일한 터미널을 구동하려 할 때에는 안면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위의 두 문단의 예시는 단일의 (보안) 네트워크에서 특정 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각각 자기 터미널을 구동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 같이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인증 작업 실행에 따라, 네트워크 및 터미널의 보안과 완전성이 강화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개인 정보도 보호될 수 있다. 터미널은 모드 이동 작업은 물론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일예로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THEN을 취득하는 한편 별개의 제2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할 수 있고, 이 때 제2 사용자 입력은 제1 사용자 입력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UITHEN과 UISWI를 포함함은 물론 옵션으로 UIACT 또는 UIAUX를 포함하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수의 입력 유닛들이 다수의 사용자 입력들(단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이 UISWI를 포함)을 수신하도록 지정하거나, 하나 이상의 입력 유닛이 UISWI를 취득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단일의 입력 유닛이 [1] 단일의 UISWI를 취득하도록, 또는 [2] 다수의 상이한 UISWI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취득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다수의 입력 유닛들 각각이 단일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UISWI를 포함하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지정하거나,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UISWI를 포함하는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열여섯 번째 실시에의 세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과 이의 관련 방법은 방향에 따라 성질이 상이해지는 "방향성(direction-sensitive)" UISWI를 사용자가 제공함으로써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방향성 또는 비방향성 UISWI에 대응하여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성 UISWI는 모드 이동이 전방 방향인지 아니면 후방 방향인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 또는 기타 입력 유닛을 조작할 때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방향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입력 유닛 센서는 상기 조작의 종류나 방향에 근거하여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은 상기 방향에 근거하여 다수의 UISWI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단일의 노력으로 UISWI를 이음새 없이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성은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유리하다.
위 문장의 구성은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에게도 유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의 방향을 조작함으로써,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모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UISWI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모드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 방향의 인접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열여섯 번째 실시에의 네 번째 상세예의 경우,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에, 동시에 제공되는 다수의 사용자 입력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다수의 사용자 입력에, 다수의 동일 또는 상이한 UISWI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되는 터미널에 다수의 UISWI를 전달할 수도 있다. 특정 수효의 UISWI의 취득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사용자가 제공한 UISWI의 수효와 동일한 수효의 모드만큼 떨어져 위치한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일예로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터미널의 사용자가 세 개의 순차적 UISWI를 제공하면, 터미널은 상기 계층의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세 모드 떨어진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열여섯 번째 실시에의 다섯 번째 상세예의 경우,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 및 이와 관련된 방법은 터미널이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 각각에 대하여 다수의 UISWI 각각을 상응시키는 매칭 리스트를 참고하여 신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선택적 스위칭에서 구동되는 터미널이 UISWI를 수신하게 되면, 터미널은 다수의 UISWI들 중 사용자가 제공한 UISWI에 상응하는 모드(즉 다수의 모드들 중 사용자가 의도하는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는 특정 계층에 대한 매칭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만일 터미널이 다수의 계층을 구축하면, 상기 터미널은 각각의 계층에 대한 다수의 매칭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단일의 매칭 리스트만 구축하되, 상기 리스트에는 다수의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 전부를 포함시킨 후, 각 모드를 각 UISWI와 상응시킬 수 있다. 단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터미널은 상기 매칭 리스트를 반드시 구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상기 매칭 리스트는 [1] 단일의 UISWI를 단일의 모드와 상응시키거나(즉 1대1 매칭), [2] 다수의 UISWI를 단일의 모드에 상응시키거나(즉 m대1 매칭), [3] 단일의 UISWI를 다수의 모드에 상응시키거나(즉 1대n 매칭), 또는 [4] 다수의 UISWI를 다수의 모드에 상응시킬 수(즉 m대n 매칭)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명확한 동시에 혼동이 적은 배치인 위 문단의 [1]의 배치를 사용한다. 단 사용자가 특정 모드를 편파적으로 빈번히 사용할 경우, 위 문장의 [2]의 배치도 유용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특정 모드로 빈번히 이동할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네 개의 방향 중 세 개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특정 모드로 이동하며, 네 개의 방향 중 나머지 방향으로 상기 유닛을 조작할 경우에만 다른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의 1 대 n 매칭은 특성 상 서로 관련된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는 터미널에게 유용할 수 있다. 일예로 업무 상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사용자는 각 모드에서 특정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만 구동할 수 있도록 또는 특정 데이터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수의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고 터미널이 상기 입력으로부터 단일의 UISWI를 취득할 경우, 터미널은 다수의 모드가 포함된 리스트(즉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상이한 모드의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로부터 특정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추가 UISWI를 제공하여, 자신이 선택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사용자가 계층 및 상기 계층에 포함된 모드를 모두 암기할 필요성을 경감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이 상이한 모드의 리스트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추가 UISWI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제1 사용자 입력 및 추가 UISWI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은 동시에 제공되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열여섯 번째 실시에의 여섯 번째 상세예의 경우,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자신이 실행하는 상이한 작업을 조건으로 하여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상이한 작업의 예로는 [1] 인증 작업, [2] 활성화 작업, [3] 잠금 시스템, 중급 시스템 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하는 작업, 또는 [4] 삭제 작업이나 부분삭제 작업 등이 있다.
4-11-6. 용이한 모드 이동 구현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열일곱 번째 실시예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모드 이동 시 이음새 없는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모드를 이동하도록 제작한다. 하술의 모드 이동 작업과 이를 위한 구성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에 다양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장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명세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지정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다수의 기존 입력 유닛을 조작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단일의 기존 입력 유닛을 여러 번 조작할 필요가 없다. 또는 상기 터미널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과 다른 입력 유닛을 조합함으로써, UISWI를 UIACT 또는 UITHEN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이음새 없는 조작의 장점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에 따라 터미널에 단일의 사용자 입력만 제공하더라도 다수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일곱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UISWI를 취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하드 버튼 형태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포함한다. [도7A] 내지 [도7D]는 하드 버튼이나 하드웨어 요소 형태로 제작되어 터미널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된 예시적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상면도(top view)이다.
[도7A]는 영상 유닛(52), 주 입력 유닛(20) 및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전면(front surface)에 장착된 터미널의 예시도이다. 상기 주 입력 유닛(20)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활성화용 (사용자) 세부입력(UIACT), 인증용 (사용자) 세부입력(UITHEN) 등의 수신이 가능한 모양, 크기를 가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UISWI)을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주 입력 유닛(20)의 근처에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프 상태에 있는 터미널의 주 입력 유닛(20)의 최소 한 부분을 누르거나, 만지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움직이거나 접촉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전달한다. 상기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터미널(11)은 이로부터 UIACT를 취득하고, 영상 유닛(52)를 켜며,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UITHEN의 취득에 대응하여 터미널(11)은 영상 유닛(52)을 켜기 전, 켬과 동시 또는 켠 후,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신규 모드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터미널(11)을 구동 중인 현재 모드 등 다양한 모드를 정의하는 특정 계층을 참고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자신이 이동하려는 신규 모드를 선택할 때 상기 모드가 상기 계층이 정의한 다수의 모드 중 하나인지 확인한다. 확인이 끝난 사용자는 신규 모드에 해당하는 UISWI를 선택하고 상기 UISWI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최소 일부를 누르거나, 밀거나, 돌리거나, 회전시키거나, 접촉하거나, 만지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조작한다.
제2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센서는 상기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되, 이를 위한 하드웨어 구성은 제2 사용자 입력의 특성이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특성, 유형의 예로는 [1]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최소 일부분을 누르거나, 밀거나, 회전시키거나, 돌리거나, 기울이거나, 기타 방법으로 상기 유닛(25)의 일부분에 힘을 가하거나, 또는 [2] 힘을 가하거나 또는 힘을 가하지 않은 채 상기 일부분을 만지거나 접촉하는 등이 있다.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11)은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며,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이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면, 사용자는 특정 수효의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수효는 상기 계층 상 현재 모드와 신규 모드 사이의 위치한 모드 수효와 동일할 수 있다. 터미널이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의도하는 신규 모드에 상응하는 UISWI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기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결과물"이 주 시스템에 미칠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모드 이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입력 유닛(25)를 통지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52)을 통지 유닛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터미널(11)은 제1 사용자 입력 및 제2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주 입력 유닛(20) 및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사용자는 두 개의 손가락 또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주 입력 유닛(20) 및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두 개의 상이한 (사용자) 세부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반드시 잠금 모드를 거칠 필요 없이, 오프 상태로부터 직접 현재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는 같은 손가락으로 주 입력 유닛(20) 및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동시에 조작하며 제1, 제2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터미널이 꺼져 있는 오프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SWI를 취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단일의 사용자 입력만 제공하더라도 원하는 모드로 이동할 수 있는 이음새 없는 작업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 센서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센서를 오프 상태, 온 상태에서 모두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기존의 근접각 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또는 비생체 물체)가 상기 유닛(25)에 가까워질 때에만 상기 센서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전기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반응 시간을 특정 기준 시간 이내로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터미널(11)을 구동하는 중 신규 모드로 이동하려 할 경우, 상기 터미널은 이미 온 상태에 있기 때문에 신규 모드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SWI를 취득한 후,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7B]는 영상 유닛(52)과 주 입력 유닛(20)을 전면에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 터미널(11)을 도시한다. 단 [도7A]의 예시와는 달리, [도7B]의 터미널(11)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전면이 아닌 우측면에 배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7B]의 터미널을 [도7A]의 터미널과 유사하게 구동하되, 사용자는 UISWI를 터미널(11)의 우측면에 장착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제공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7A]의 예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과 제2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7A]의 주 입력 유닛(20)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엄지손가락이나 집게손가락 등의 단일 신체 부위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UISWI를 UIACT(또는 UITHEN)과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터미널(11)에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도7B]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주 입력 유닛(20)과 일정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터미널(11)에 장착된다. 하지만 사용자는 여전히 UISWI와 UIACT(또는 UITHEN)를 단일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터미널에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오른손 손가락으로 주 입력 유닛(20)을 조작하는 한편 왼손 손가락으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조작할 수 있다. [도7B]의 터미널의 기타 구성과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도7C]는 영상 유닛(52)과 주 입력 유닛(20)을 전면에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 터미널(11)을 도시한다. [도7A]와는 달리, [도7C]의 터미널(11)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를 터미널 전면이 아닌 후면(rear surface)에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터미널(11)을 [도7A]의 터미널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동하되, 그 차이점은 사용자가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UISWI)을 터미널(11)의 후면에 장착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제공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 입력 유닛(20)은 전면에 장착된 반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는 후면에 장착되므로, 사용자는 두 개의 손가락으로 상이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되, 한 사용자 입력은 UISWI를 포함하지만 다른 사용자 입력은 UISWI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7A] 및 [도7B]의 터미널의 작업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상이한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7C]의 터미널의 기타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및 [도7B]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7D]는 영상 유닛(52), 주 입력 유닛(20)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이 모두 전면에 장착된 또 다른 예시적 터미널(11)을 도시한다. 단 [도7A]의 터미널과는 달리, [도7D]의 터미널(11)은 주 입력 유닛(20)의 근처에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이 장착 된다. 일예로 [도7D]에서와 같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주 입력 유닛(20)의 중앙에 장착되며, [1] 주 입력 유닛(20)은 중앙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는 상기 빈 공간에 장착되거나, [2]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주 입력 유닛(20)의 위에 장착되거나, 또는 [3] 주 입력 유닛(20)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일체형의 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1)의 주 입력 유닛(20)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서로 가깝게 장착되므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 및 제2 사용자 입력을 용이하게 동시에 전달할 수 있고, 따라서 UIACT 또는 UITHEN과 동시에 UISWI를 제공할 수 있다. [도7D]의 터미널의 기타 구성 및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7C]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상술의 예시와 상이한 모양, 크기로 제작될 수 있고, 주 입력 유닛과도 상이한 구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이한 구성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사용자가 주 입력 유닛의 최소 일부분을 조작하면, 주 입력 유닛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조작을 통하여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만 수신하고, 따라서 UIACT 또는 UITHEN만 취득하는 한편 UISWI를 취득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일부분을 조작하면, 터미널은 UIACT와 UITHEN를 포함하지 않지만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상이한 구성의 두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주 입력 유닛의 일부분의 움직임으로부터 UIACT 또는 UITHEN을 취득할 수 있다.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움직임의 방향 또는 제2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힘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사용자 신체 부위와 주 입력 유닛의 일부분 사이의 접촉으로부터 UIACT나 UITHEN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접촉의 방향이나 제2 사용자 입력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주 입력 유닛 및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이 별개의 물체로 제작되고 상술과 같이 결합되거나, 특정 거리로 이내에서 근처에 배치되거나, 또는 특정 거리로 격리되어 배치되는 한, 상기 유닛들의 정확한 모양, 구성은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상기 유닛들은 UISWI를 취득할 수 있는 센서 및 UIACT와 UITHEN 중 하나 이상을 취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일체형 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상이한 구성의 세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상황에 따라 주 입력 유닛으로 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으로 구동할 수 있는 단일의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7A] 내지 [도7D]의 주 입력 유닛(25)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이 단일의 물체로 제작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단일의 입력 유닛이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1]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터미널이 영상 유닛을 켜는 경우, 단일의 입력 유닛은 UIACT를 취득하거나, [2]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터미널이 영상 유닛을 켜거나 켜지 않는 경우, 단일의 입력 유닛은 UITHEN을 취득하거나, 또는 [3] 터미널이 UISWI에 따라 영상 유닛을 켜며 잠금 시스템, 중급 시스템이나 주 시스템을 시작하는 경우, 단일의 입력 유닛은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단일의 입력 유닛이 온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1] 터미널이 UISWI에 근거하여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 단일의 입력 유닛은 UISWI를 취득하거나, 또는 [2]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더 넓은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단일의 입력 유닛은 UITHEN을 취득할 수 있다. [도7D]의 터미널의 기타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7C]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열일곱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UISWI를 취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 버튼 형태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포함한다. [도7E]와 [도7F]는 소프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로 제작되어 터미널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된 예시적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7E]는 전면에 영상 유닛(52)과 주 입력 유닛(20) 및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이 장착된 터미널의 예시이다. 주 입력 유닛(20)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UIACT 또는 UITHEN을 취득할 수 있는 모양, 크기 또는 구성을 가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소프트 버튼으로 제공되며, 터미널(11)의 전면에 장착되고, 적정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다.
터미널(11)이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주 입력 유닛(20)의 최소 일부분을 조작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다.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터미널(11)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1] UIACT을 취득하고 영상 유닛을 켜거나, 또는 [2] UITHEN을 취득하고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11)이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착수하면,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들을 실행할 수 있다. 단 잠금 모드이건 해제 모드이건 일단 터미널(11)이 구동하기 시작하면, 터미널(11)은 온 상태에서 구동하며, 영상 유닛(52)을 켤 수 있다. 그 후 터미널(11)은 영상 유닛(25)에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를 소프트 버튼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를 원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터미널(11)이 구동하는 계층을 참고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현재 모드로부터 이동하고 싶은 신규 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 도중 사용자는 상기 계층이 신규 모드를 실제로 정의하는 지 확인한다. 확인이 끝나면 사용자는 신규 모드에 상응하는 UISWI를 선택하고, 소프트 버튼 형태의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최소 일부분을 조작함으로써, UISWI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유닛(25)이 소프트 버튼 형태이므로,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일예로 영상 유닛에 표시된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의 최소 일부분을 만지거나 접촉한다.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센서는 제2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한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이 터치 스크린의 영상 유닛에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센서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11)은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고,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한다. 또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단일의 손가락, 다수의 손가락, 단일의 신체 부위 또는 다수의 신체 부위를 이용하여 UIACT와 UITHEN 중 하나 이상과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터미널(11)은 오프 상태에서는 소프트 버튼 형태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터미널(11)이 영상 유닛을 켤 때까지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단 터미널(11)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이동한 후에야 모드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11)은 오프 상태에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11)이 다수의 영상 유닛을 포함할 경우, 터미널(11)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특정 영상 유닛(일예로 부 영상 유닛)에 표시하되, 나머지 영상 유닛은 모두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단 상기 터미널(11)의 주 영상 유닛은 꺼진 상태이며, 상기 터미널(11)은 오프 상태에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11)이 영상 유닛에 다수의 세그먼트를 정의할 경우, 터미널(11)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를 (부) 세그먼트에만 표시하는 반면 나머지 세그먼트는 모두 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영상 유닛의 주 세그먼트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터미널(11) 역시 오프 상태에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영상 유닛(11)을 꺼진 상태로 유지하지만,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일상적 데이터로 표시할 수 있다. 단 상기 터미널(11)은 일상적 데이터 이외에는 어떤 텍스트나 어떤 이미지도 표시하지 않으므로, 상기 터미널(11) 역시 오프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11)은 오프 상태에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센서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오프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문단의 다양한 예에서, 사용자는 오프 상태에서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입력 유닛(25)에 용이하게 UISWI를 제공할 수 있다.
터미널(11)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영상 유닛(52)의 어떤 위치에라도 장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영상 유닛(52)의 어떤 부위에라도 제공할 수 있다. 단 [1] 터치 스크린을 이용할 때 상기 스크린은 그 위에서의 사용자 신체 부위의 움직임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UISWI로 인지하거나, [2] 상기 스크린에 가하는 힘의 동적 또는 정적 특성을 UISWI로 인지하거나, 또는 [3] 사용자 신체 부위의 이미지를 UISWI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터치 스크린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최첨단 기술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11)은 상기 입력 유닛(25)를 영상 유닛(52)의 특정 위치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입력 유닛(25)의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바로 위 문장들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특성과 동일하다. 또한 [도7A] 내지 [도7D]에서 예시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들 역시 소프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7E]의 터미널의 기타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7D]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7F]는 영상 유닛(52), 주 입력 유닛(20)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모두 전면에 장착한 터미널의 다른 예시이다. 주 입력 유닛(52)은 [도7E]의 주 입력 유닛과 동일한 반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소프트 버튼이 아니라, 영상 유닛(52)에 장착된 센서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센서는 기존의 터치 스크린과 마찬가지로, 영상 유닛(52)과 정전 용량을 지닌 물체나 전도성 물체와의 접촉 또는 상기 영상 유닛(52) 위에서의 상기 물체의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터미널의 작업 실행 상, 사용자는 오프 상태에서 주 입력 유닛(20)의 일부분을 조작하여 터미널에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터미널(11)은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ACT를 취득하여 영상 유닛을 켜거나, 또는 UITHEN을 취득하여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11)이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착수할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잠금 작업을 잠금 모드에서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 작업을 실행하는 동안, 터미널(11)은 온 상태에서 영상 유닛에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소프트 버튼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를 원할 경우, 사용자는 계층을 참고하고 현재 모드로부터 이동하게 될 신규 모드를 선택한다. 또 사용자는 신규 모드에 상응하는 UISWI를 선택하고, 소프트 버튼 형태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해당하는 영상 유닛(52)의 부분을 조작함으로써 UISWI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자기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를 영상 유닛(52) 위에서 움직이며 특정 패턴이나 움직임을 제2 사용자 입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센서는 사용자의 손가락(또는 스타일러스)과의 접촉 또는 손가락(또는 스타일러스)의 이동에 의한 정전 용량 또는 전기 전도도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제2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도출하고, 터미널(11)은 이에 대응하여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도7F]의 터미널의 기타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7E]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열일곱 번째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정전 용량 결합 (capacitive coupling)에 근거하여 공기 유전율(dielectric constant)과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물질 또는 전도성 물질을 탐지하고 측정하는 기존 정전 용량 감지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데이터 처리 기기 또는 데이터 처리 패드의 터치 스크린에 장착된 정전 용량 센서는 근접 정도, 위치, 변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도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기 위하여 상술의 기존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기존 정전 용량 감지 기술로는 표면 정전 용량 기술(surface capacitance technology 또는 SCT) 및 투영 정전 용량 기술(projected capacitance technology 또는 PCT) 등이 있다. SCT의 경우, 센서는 한 면만 전도성 물질로 코팅된 절연체를 포함한다. 상기 물질에 전압을 제공하면, 균일한 세기의 정적 전기장이 생성되며, 상기 표면의 저항 때문에 각 코너는 상이한 유효 정전 용량을 가지게 된다. 그 후 코팅되지 않은 면과 상기 전도성 물질(일예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물체의 전도성 말단)이 접촉하게 되면, 상기 표면에 동적 축전기가 형성된다. 상기 센서의 제어기는 센서의 네 개의 코너에서 측정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근거하여 간접적으로 상기 접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촉이 코너에 가까울수록, 정전 용량의 변화도 증가한다.
상기 PCT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층을 에칭함으로써 더 정확하고 융통성 있는 작업이 가능해지는 정전 용량 기술이다. 일예로 단일의 면을 에칭하여 그리드 패턴의 전극을 형성하거나, 두 개의 평행한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진 면을 수직의 선들 또는 트랙을 형성하도록 에칭함으로써 X-Y 그리드를 형성하며, 이는 기존의 LCD 디스플레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픽셀 그리드와 유사하다. PCT의 높은 해상도로 말미암아 사용자는 직접적인 접촉 없이 PCT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도성 물질로 만든 면은 코팅을 입혀 보호하거나 스크린 보호기 또는 보호 유리로 코팅을 해도 사용이 가능하다. PCT의 제일 윗면은 유리이기 때문에, PCT는 기존의 저항식 터치 기술(resistive touch technology)과 비교하였을 때 우월한 기술이다. 또한 구현 방식에 따라 손가락 대신 능동적 또는 수동적 스타일러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PCT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capacitance)" 기술과 "자기 정전 용량(self-capacitance)"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상호 정전 용량 기술의 센서는 각 행과 각 열의 교차점에 축전기를 포함한다. 일예로 12x16 배열은 총 192개의 축전기를 포함하며, 각 축전기는 나머지 축전기로부터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행과 열에 전압을 공급하고, 손가락, 스타일러스의 끝을 상기 센서의 표면에 가까이 위치하면 지엽적 전기장이 형성되고, 그 결과 상호 정전 용량이 감소한다. 터미널은 상기 그리드 각각의 정전 용량의 변화 및 다른 축(axis)의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접촉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정전 용량 기술을 이용하면 다수의 손가락, 손바닥 또는 스타일러스를 이용한 다수의 터치 작업도 동시에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자기 정전 용량 기술의 센서 역시 상호 정전 용량 기술의 센서와 마찬가지로 X-Y 그리드를 포함하지만, 자기 정전 용량 기술의 행과 열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자기 정전 용량 기술에서는, 전류가 흐르며 각 행과 열에서 손가락의 정전 용량에 영향을 받으며, 이에 따라 상호 정전 용량 기술에 비하여 더 강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지만, 자기 정전 용량 기술은 단일의 손가락만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앞서 정의한 바 있지만, "반복 노력"이란 사용자가 수행하는 다수의 빠른 액션들을 지칭하며, 상기 반복 노력은 상술의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건은 섹션 1-12에서 설명한 바 있다. 사용자는 반복 노력을 이용하여 UISWI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술은 이에 대한 예시이다.
일예로 사용자는 집게손가락과 중지(또는 엄지 손가락)를 특정 패턴에 따라 함께 움직임으로써 UISWI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는 두 손가락을 동시에 움직이되, 제1 손가락의 제1 움직임은 제1 모드로 이동하기 위한 UISWI-1에 해당하며, 제2 손가락의 제2 움직임은 제1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며 특정 접근 권한을 얻기 위한 UISWI-2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는 두 손가락을 움직이되, 터미널은 제1 손가락의 제1 움직임(벡터)과 제2 손가락의 제2 움직임(벡터)의 합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반복 노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터미널은 다양한 기존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요소의 예로는 기존의 스마트폰, 트랙패드 또는 기타 데이터 처리 기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 유닛이 있다. 또 관련 산업에서 사용되듯, 반복 노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접촉점을 감지하거나 다수의 접촉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기존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복 노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제스처 기반 단일 터치"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는 바, 상기 기술의 예로는 [1] 영상 유닛(52)과의 접촉을 유지하며 행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로부터 UISWI를 취득하는 기술, 또는 [2] 영상 유닛(52)과 접촉하지는 않지만 영상 유닛(52)으로부터 특정 거리(즉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이 전기 전도도나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상기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며 행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로부터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제스처 기반 단일 터치 기술"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터미널은 카메라가 수신한 사용자의 제스처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상이한 기술을 이용하여 상술의 접촉, 상기 접촉의 움직임 또는 상기 반복 노력으로부터 단일의 또는 다수의UISWI들을 취득할 수도 있다. 일예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에 따라 상이한 정도로 휠 수 있는 코팅의 형태로 제작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단일 또는 다수의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저항 기술을 이용하여 상술의 접촉, 상기 접촉의 움직임, 반복 노력 등으로부터 단일 또는 다수의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저항 기술은 아날로그나 디지털 저항 기술 또는 내장형 저항 기술(in-cell resistive technology)도 포함한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광학적 터치 기술(optical touch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술의 접촉, 움직임, 반복 노력 등으로부터 단일 또는 다수의 UISWI를 취득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학적 터치 기술은 사용자의 손가락, 비사용자 물체가 입력 유닛의 표면을 접촉함에 따라 야기하는 빛의 산란(scattering)을 이용하여 구동한다. 상기 산란은 카메라 또는 센서로 측정 가능하며, 카메라나 센서는 상기 산란에 대한 데이터를 소프트웨어 요소에 전달하며, 상기 요소는 측정된 반사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술의 접촉이나 반복 노력 등에 대한 반응을 결정한다. 광학적 기술의 예로는 광학적 이미지 기술, 적외선(IR) 기술, 후방 확산 조명(rear diffused illumination) 기술, 적외선 그리드 기술, 디지털 도파관 접촉(digital waveguide touch) 기술, 적외선 광학 도파관(optical waveguide) 기술, 확산 표면 조명(diffused surface illumination) 기술, 레이저 광면(laser light plane) 기술, 내장형 광학적 기술 또는 비완전 절대 내부 반사(FTIR, 즉 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기술 등이 있다.
지난 20여 년 동안 기존의 정전 용량 감지 기술은 다양한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 유닛, 터치 패드, 기타 터치(또는 접촉) 기반 입력 유닛에 사용되었고, 해상도 역시 계속 향상되고 있다. 상기 저항 기술 또는 광학적 기술도 관련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상술의 기존 기술이 어떻게 작동하는 지, 기존 입력 유닛에 상기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는 지, 기존 입력 유닛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어떻게 설계하는 지에 대한 관련 자료는 충분하기 때문에, 상기 정전 용량 기술, 저항 기술 또는 광학적 기술은 본 명세서의 상술과 하술의 다양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PCT Paragraph [0858]
상기 자료의 첫 번째 예는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시 소재 실리콘랩의 마이크 살라스, 안드레 마르코스가 저자인 "정전 용량 터치와 근접 센싱 기술의 디자인 응용"이라는 논문으로서, 정전 용량 기술의 구체적 내용, 기타 센싱 기술의 개요, 상이한 센싱 기술의 비교 및 각 기술의 장단점을 설명한다. 상기 자료는 http://www.low-powerdesign.com/PDF/How-to-Design-Capacitive-Touch-and-Proximity-Sensing-Technology-into-Your-Application.pdf에서 찾을 수 있다. 또 상기 자료의 두 번째 예는 독일 뮌헨시 소재 임프레션의 게나디 블린트만이 저술한 "멀티터치 기술"이라는 논문으로서, 상기 논문은 기존의 정전 용량 기술, 저항 기술, 광학적 기술, 파동 기술, 힘 기반 센싱 기술 등의 기술적 상세 내용을 설명한다. 상기 논문은 http://www.multi-touch-solution.com/en/knowledge-base-en/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측면의 기타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상의 자세한 내용은 관련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당업자의 능력에 속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술과 유사한 기술은 UIACT나 UITHEN을 취득할 수 있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의 기타 입력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상술의 [도7A] 내지 [도7F]에서 다양한 터미널(11)은 다양한 모드 이동 시점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1] 현재 모드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2] 현재 모드보다 더 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또는 [3] 모드를 이동할 때마다,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7A] 내지 [도7F]에서, 다양한 터미널(11)은 다양한 저장 시점에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최소한 일부를 저장하면서,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양한 상세예에서 설명하였듯,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다양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만 조작함으로써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는 혜택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 상태에 머무르는 동안,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켤 필요 없이, 한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서건 정전 상태에서건 단일의 사용자 입력만 수신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이동할 수 있는 이음새 없는 작업을 제공할 수 있다는 혜택도 제공한다.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열여덟 번째 실시예의 경우,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사용자가 더 편하게 또한 더 용이하게 다양한 UISWI들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미널은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제작할 수 있다. 하술의 [도8A] 내지 [도8E]는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로서 터미널의 다양한 부분에 장착된 예시적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상면도이다.
상기 열여덟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계층의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 [도8A]는 영상 유닛(52), 주 입력 유닛(20) 및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포함하는 예시적 터미널(11)로서, 상기 입력 유닛(25)는 터미널(11)의 우측단에 장착되며 하드 버튼 또는 소프트 버튼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하드 버튼 형태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움직임으로써,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UISWI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는 소프트 버튼 형태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대하여 자신의 손가락(또는 비사용자 물체)를 위나 아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UISWI를 제공할 수 있다.
[도8A]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터미널(11)은 상술과는 상이한 형태의 UISWI를 취득할 수 있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유닛의 예로는 레버를 이용하여 두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토글(toggle) 스위치, 시계 방향이나 시계 반대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회전식 스위치 등이 있다. 터미널(11)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스위치들의 세트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유닛(25)은 움직이지는 않지만 사용자 신체 부위와의 접촉, 상기 접촉의 위치 변화(즉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전 용량 센서, 저항 센서 또는 광학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실행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는 터미널이 온 상태일 때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1] 상기 입력 유닛(25)의 일부분을 누르거나, 밀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위쪽으로 움직이거나, [2] 상기 유닛(25) 전체를 위쪽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3] 상기 유닛(25)이 고정형일 경우 상기 유닛(25)을 접촉한 후 손가락을 위쪽으로 미끄러뜨리며 제1 사용자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는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한 후, 터미널(11)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11)은 현재 모드로부터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신규 모드는 통상적으로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이다.
사용자는 상술과 상이한 사용자 입력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제공할 수 있고, 일예로 사용자는 [1]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아래 부분을 누르거나, 밀거나 기타 방법으로 아래쪽으로 움직이거나, [2] 상기 유닛(25) 전체를 아래쪽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3] 상기 입력 유닛(25)이 고정형일 경우 상기 유닛(25)을 접촉한 후 손가락을 아래쪽으로 미끄러뜨림으로써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고, 터미널(11)은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신규 모드는 더 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계층의 자세한 성격에 따라 전방 방향(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후방 방향(더 좁은 접근 권한만 부여된 모드)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움직임의 방향, 또는 상기 입력 유닛(25)에 대한 자신의 신체 부위의 움직임의 방향만 조작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11)은 사용자에게 작업 실행 상의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오프 상태에 있는 터미널(11)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잠금 모드로 이동한 사용자가 (그 후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전)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려는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ACT를 포함할 수 있고, 반면 제2 사용자 입력은 UISWI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오프 상태로부터 직접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주 입력 유닛(20)에 제공하고, 제2 사용자 입력을 제1 사용자 입력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은 [1] 동일한 또는 [2] 상이한 형태일 수 있다.
위 문단의 [1]의 예로는 사용자가 [1-1] 두 입력 유닛(20)(25)을 단일 또는 두 개 이상의 손가락으로 함께 누르고 움직이거나, 또는 [1-2] 두 입력 유닛(20)(25)을 단일의 또는 두 개 이상의 손가락으로 접촉은 하지만 상기 유닛들(20)(25)을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위 문단의 [2]의 예로는 사용자가 [2-1] 주 입력 유닛(20)을 누르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접촉만 하거나, [2-2]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누르는 동안 주 입력 유닛(20)을 향하여 말을 하거나, 또는 [2-3]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 위에서 손가락을 미끄러뜨리는 동안 주 입력 유닛(20)을 향하여 제스처를 취하거나 또는 제스처에 대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능한 경우)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전달하거나, 순차적으로 전달(즉 제1 사용자 입력을 전달한 후 제2 사용자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상세예의 경우, 해제 모드(따라서 터미널은 온 상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잠금 모드로 이동하려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UISWI를 포함하는 신규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제공하며, 터미널은 이로부터 UISWI를 취득하고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도8A]의 터미널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7F]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8B]는 영상 유닛(52), 주 입력 유닛(20) 및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 터미널(11)로서, 상기 입력 유닛(25)은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GUI)와 같은 소프트 버튼 형태로 영상 유닛(52)에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 유닛(25)은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화살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우측(또는 좌측)으로 접촉함으로써 두 개의 상이한 UISWI 중 하나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터미널은 현재 모드보다 더 넓은(또는 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작업 실행 관점에서 보면, 터미널(11)이 오프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는 UIACT나 UITHEN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고, 터미널(11)은 이에 대응하여 활성화 작업 또는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단 영상 유닛(52)이 켜지면 터미널(11)은 영상 유닛(52) 화면에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우측이나(UISWI-R) 좌측으로(UISWI-L) 문지르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센서는 UISWI-R이나 UISWI-L을 취득하고, 이에 따라 현재 모드보다 접근 권한이 더 넓은(또는 좁은)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UISWI들은 터미널을 한 모드에서 전방 또는 후반 방향으로 인접한 모드로 이동하도록 하며, 따라서 [도8A] 및 [도8B]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일반적으로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작동하는 터미널에 적합하다. 단 상기 입력 유닛(25)은 선택적 스위칭으로 작동하는 터미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8B]의 터미널의 기타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7D] 및 [도8A]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열여덟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적정한 UISWI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시각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하드 버튼 또는 소프트 버튼 형태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 [도8C] 및 [도8D]는 소프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형태로 터미널의 다양한 부분에 장착된 예시적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상면도이다. 하술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상술의 통지 유닛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도8C]의 터미널(11)은 주 입력 유닛(20)과 영상 유닛(52)을 포함하며, 터미널 전면의 아래 부분에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이 장착되어 있다. 특히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특정 계층이 정의하는 각 모드에 해당하는 다수의 세부유닛(sub-uni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도8C]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이 정의하는 네 개의 세부유닛은 계층이 정의하는 네 개의 상이한 모드로서, 이러한 모드의 예로는 [1] 단일의 잠금 모드, 두 개의 중급 모드 및 단일의 해제 모드, [2] 두 개의 잠금 모드 및 두 개의 중급 모드, [3] 두 개의 잠금 모드 및 두 개의 해제 모드, [4] 단일의 잠금 모드 및 세 개의 해제 모드, 또는 [5] 세 개의 잠금 모드 및 단일의 해제 모드 등일 수 있다.
[도8C]와 같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네 개의 세부유닛은 일렬로 배치되며, 네 개의 세부유닛 중 두 개는 주 입력 유닛(20)의 우측에, 나머지는 주 입력 유닛(20)의 좌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떤 세부유닛을 조작하느냐에 따라 상기 입력 유닛(25)은 UISWI 네 개 중 사용자가 조작한 세부유닛에 해당하는 UISWI를 취득하며, 터미널(11)은 현재 모드로부터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한다.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과 이의 세부유닛이 하드 버튼 형태인 경우의 작업 실행 관점에서 보면, 터미널(11)이 오프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네 개의 세부유닛들 중 특정 세부유닛에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다.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1] 영상 유닛을 켜거나(제1 사용자 입력이 UIACT를 포함할 경우), [2] 인증 작업을 실행하거나(제1 사용자 입력이 UITHEN을 포함할 경우), 또는 [3] 오프 상태로부터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 중 특정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은 선택적 스위칭에 적합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사용자 입력이 UISWI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11)은 우선 온 상태의 기본 설정 모드(일예로 잠금 모드)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UISWI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기본 설정 모드로부터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다수의 세부유닛들은 상기 입력 유닛(25)과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터미널(11)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 유닛(25)과 세부유닛이 소프트 버튼이면, 사용자는 위 문단의 하드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25)을 조작하듯 소프트 버튼 형태의 입력 유닛(25)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단 터미널(11)이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구동하기 시작하면, 사용자는 다른 모드로 이동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세부유닛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UISWI-2를 포함하는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UISWI-2를 취득하고, 이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1)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해제)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상기 모드 이동 전, 동시 또는 이동 후,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잠금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하면, 상기 결과물은 터미널에 의하여 삭제되며, 이에 따라 주 시스템을 오염시킬 수 없게 된다. 반면 터미널이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이동할 경우, 사용자는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통하여 자신이 해제 모드에서 실행한 작업 리스트나 자신이 해제 모드에서 방문한 웹사이트 리스트를 삭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행한 활동을 타인이 알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8C]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터미널(11)은 사용자가 조작한 세부유닛에 따라 상이한 UISWI를 취득할 수 있는 상이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입력 유닛의 예로는 다수의 스위치가 배열된 입력 유닛, 키패드 형태의 스위치, 다수의 소프트 키가 배열된 입력 유닛 등이 있다. 터미널(11)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스위치들을 모아 놓은 스위치 클러스터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움직이지는 않지만 사용자(또는 비사용자 물체)와의 접촉 또는 상기 접촉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정전 용량 센서들의 배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세부유닛들은 다양한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세부유닛은 단일의 행(column) 또는 열(row)의 형태, 또는 행이나 열과는 상이한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세부유닛은 클러스터의 형태로 서로 가까이 배치되거나, 또는 최소 하나의 세부유닛은 나머지 세부유닛들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떨어져 다른 면이나 다른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하나 이상의 세부유닛은 터미널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는 반면 나머지 세부유닛들은 상이한 면이나 상이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11)은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각 세부유닛에 동일한 사용자 입력 또는 UISWI를 제공하도록 하거나, 상이한 UISWI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만일 사용자가 [1] 올바른 세부유닛에 잘못된 UISWI를 제공하거나, 또는 [2] 잘못된 세부유닛에 올바른 UISWI를 제공할 경우, 상기 입력 유닛(25)은 어떤 UISWI도 취득하지 않을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특정 세부유닛을 [1] 올바른 손가락으로 조작하지 않거나, [2] 올바른 기간 동안 누르지 않거나, [3] 올바른 크기의 힘으로 누르지 않거나, 또는 [4] 올바른 각도로 접촉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유닛(25)은 상기 조작을 모두 잘못된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하며 이에 상응하는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지만, 터미널(11)은 주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도8C]의 터미널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7D], [도8A] 및 [도8B]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8D]의 터미널(11)은 주 입력 유닛(20)과 영상 유닛(52)을 포함하며, 영상 유닛(52)이 표시하는 화면의 중앙 부분에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유닛(25)은 특정 계층이 정의한 모드에 해당하는 다수의 세부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도8D]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이 포함하는 세부유닛 여섯 개는 상기 계층이 정의한 여섯 개의 상이한 모드에 각각 해당하며, 상기 모드의 예로는 단일의 해제 모드(MDUL), 두 개의 중급 모드(일예로 제1 반해제 모드 MDULS1 및 제2 반해제 모드 MDULS2), 두 개의 추가 중급 모드(일예로 제1 반잠금 모드MDLKS1와 제2 반잠금 모드 MDLKS2) 및 단일의 잠금 모드(MDLK) 등일 수 있다.
[도8D]와 같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다양한 세부유닛은 원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MDUL 및 MDLK는 각각 원의 위와 아래에 배치하는 반면 나머지 중급 모드들은 원주를 따라 배치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배열은 특정 계층의 각각의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은 세로 방향에서의 각 모드의 위치에 비례함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2 반해제 모드(MDULS2)는 제1 반해제 모드(MDULS1)보다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지며, 제2 반잠금 모드(MDLKS2)는 제1 반잠금 모드(MDLKS1)보다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MDULS2와 MDLKS2는 유사한 접근 권한을 가지나, 각 모드에 부여된 정확한 접근 권한은 상기 계층의 접근 권한의 상세한 분포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도8D]의 구성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우선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특정 계층이 정의하는 모드를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모드를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자신이 터미널을 현재 구동하고 있는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11)은 현재 모드를 다른 모드들과는 상이한 모양, 크기, 배열, 지향, 색(일예로 색조나 색상) 등을 이용하여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신규 모드로 이동한 후 자신에게 부여될 접근 권한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11)은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세부유닛들을 조작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사용자가 [1] 상기 계층에 새로운 모드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거나, [2] 상기 계층이 정의하는 일부 모드를 상기 계층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3] 현재 상기 계층이 정의하는 일부 모드를 상이한 모드로 대체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상기 계층의 배열을 바꿀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1] 두 개 이상의 모드의 순서를 바꾸거나, 또는 [2]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을 수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두 모드를 연결하는 새로운 경로를 추가 또는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터미널은 자신이 구동하는 계층 및 상기 계층의 배열을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영상 유닛(52)에 표시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세부유닛들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계층 및 모드 역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터미널(11)은 사용자로 하여금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각 세부유닛에 동일한 사용자 입력 또는 동일한 UISWI를 제공하도록 하거나, 두 개 이상의 세부유닛에 상이한 UISWI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8C]의 경우처럼, [도8D]의 구성도 터미널(11)의 주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도8D]의 터미널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7D] 및 [도8A] 내지 [도8C]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열여덟 번째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계층의 상세한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UISWI 선택을 시각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하드 버튼 형태나 소프트 버튼 형태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8E]는 소프트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형태로 터미널의 다양한 부분에 장착된 또 다른 예시적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8E]의 터미널은 주 입력 유닛(20), 영상 유닛(52)을 포함하며, 두 개의 하드 버튼 형태의 세부유닛을 가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한다. 단 제1 세부유닛(25A)은 주 입력 유닛(20)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세부유닛(25B)은 주 입력 유닛(20)의 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소프트 버튼(23C) 형태의 다수의 세부유닛들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예로 [도8E]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영상 유닛(52) 중앙 부분에 원주를 따라 배치된 12개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 GUI(25C)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12개의 GUI(25C)는 상기 터미널이 12개의 모드가 정의된 계층에서 구동하고, 상기 모드는 [1] 하나 이상의 잠금 모드, 하나 이상의 중급 모드 및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이거나 또는 [2] 중급 모드 없이 하나 이상의 잠금 모드 및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일 수 있다.
[도8E]와 같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다양한 GUI는 원형으로 배치되며, 특히 MDH와 MDL는 원 위 부분과 아래 부분에 배치되는 반면 10개의 중급 모드들은 원주를 따라 배치된다. [도8D]와 마찬가지로 상기 구성은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은 각 모드의 수직 방향의 위치에 비례함을 표시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일단 사용자가 특정 GUI를 접촉하면, 터미널(11)은 선택적 스위칭에 따라 현재 모드로부터 사용자가 접촉한 GU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계층의 배열에서 현재 모드 옆에 배치되지 않은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하드 버튼 형태의 세부유닛(25A)(25B)을 조작함으로써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모드를 이동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제1 세부유닛(25A)을 조작하면 시계 방향으로 모드를 이동하는 반면, 제2 세부유닛(25B)을 조작하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세부유닛(25A)(25B)에 상기 모드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를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모드 이동 방향을 알도록 할 수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이 12개의 GUI와 같은 소프트 버튼 형태의 세부유닛을 포함한 경우의 작업 실행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는 오프 상태인 터미널(11)의 주 입력 유닛(20)에 제1 사용자 입력을 직접 제공한다. 터미널(11)은 이에 대응하여 [1] 영상 유닛을 켜거나(제1 사용자 입력이 UIACT를 포함하는 경우), [2] 인증 작업을 실행하거나(제1 사용자 입력이 UITHEN을 포함할 경우), 또는 [3] 오프 상태로부터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 중 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일단 영상 유닛(52)을 켜면(즉 온 상태로 이동), 터미널(11)은 현재 구동 중인 계층을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11)은 현재 구동 중인 모드가 잠금 모드인지 아니면 다른 기본 설정 모드인지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11)은 옵션으로 영상 유닛(52)의 화면의 특정 위치(53)에 현재 모드의 이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이 UISWI를 포함하지 않으면, 터미널(11)은 우선 온 상태의 기본 설정 모드(일예로 잠금 모드)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UISWI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기본 설정 모드로부터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11)이 다수의 계층을 구축한 경우, 터미널(11)은 기본 설정 계층을 선택하고 상기 계층에 정의된 다수의 모드들도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11)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수의 계층 중 한 계층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으로부터 특정 계층에 상응하는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이 다수의 소프트 버튼 형태의 세부유닛들(25C)들을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11)이 온 상태로 이동하지 않는 한 사용자는 소프트 버튼들을 볼 수 없다. 이 때 제1 사용자 입력은 UIACT나 UITHEN을 포함할 수 있지만 UISWI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입력에 UISWI를 포함시킬 수 있다.
하지만 [도8C] 내지 [도8E]의 예시와 같이,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오프 상태에서도 시각적으로 상기 소프트 버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11)은 [1]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세부유닛(25A)(25B)이 UISWI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2] 주 입력 유닛(20)과 하나 이상의 세부유닛(25A)(25B)을 단일의 물체로 구성하여 UISWI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상기 물체로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11)은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는 물론 UIACT 또는 UITHEN 중 하나 이상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일단 터미널(11)이 특정 모드에서 작동하기 시작하면,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세부유닛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UISWI-2를 포함하는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는 UISWI-2를 취득하고, 신규 모드에 상응하는 GUI를 강조하여 표시하거나, 신규 모드의 이름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현재 모드로부터 UISWI-2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11)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구동하여 얻은 결과물의 최소 일부분을 다양한 저장 시점에 저장할 수 있다.
터미널(11)은 사용자가 소프트 버튼 형태의 세부유닛(25C)이나 하드 버튼 형태의 세부유닛(25A)(25B) 중 조작하기 용이한 세부유닛을 조작하여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11)은 사용자가 하드 버튼 형태의 세부유닛(25A)(25B)을 조작해야만 모드를 이동하도록 하는 한편, 영상 유닛(52)에는 소프트 버튼 형태의 세부유닛(25C)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유닛(52)은 특정 계층만을 표시하되, 현재 모드를 강조하거나 또는 현재 모드의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11)은 사용자가 소프트 버튼 형태의 세부유닛(25C)을 조작해야만 모드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11)은 하드 버튼 형태의 세부유닛(25A)(25B)을 포함하지 않거나 이들을 다른 용도의 입력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8D]와 마찬가지로, [도8E]의 구성은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계층에 정의된 모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신규 모드 결정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터미널을 구동 중인 현재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8E]의 예시와 같이, 터미널(11)은 현재 모드에 상응하는 GUI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강조 표시의 예로는 현재 모드를 [1] 나머지 모드의 색과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거나, [2] 나머지 모드에 비하여 더 밝게 표시하거나, [3] 나머지 모드보다 크게 표시하거나, [4] 나머지 모드와 상이한 지향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5] 회전시키거나 크기를 변화시키지만, 나머지 모드는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11)은 영상 유닛(52)의 특정 위치(53)에 현재 모드의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11)은 사용자가 신규 모드로 이동하였을 때 어떤 접근 권한을 가질 수 있는 지 알릴 수 있으며, 일예로 [1] 접근 권한이 더 넓은 모드에 더 밝은 색을 할당하는 등의 컬러 코딩, [2] 접근 권한이 더 넓은 모드를 더 크게 표시하는 사이즈 코딩, 또는 [3] 접근 권한이 더 넓은 모드를 나머지 모드보다 더 빨리 깜박거리게 할 수 있다.
터미널(11)은 사용자에게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세부유닛을 수정할 수 있는 혜택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8D]와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또 터미널(11)은 사용자로 하여금 각 세부유닛(즉 하드 버튼이나 소프트 버튼)에 동일한 사용자 입력(또는 동일한 UISWI)을 제공하도록 하거나, 또는 각 세부유닛에 상이한 UISWI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8E]의 터미널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7D] 및 [도8A] 내지 [도8D]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열아홉 번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한 계층이 정의한 각 모드에 다양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다양한 기존의 접근 제어 알고리즘 또는 인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모드에서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특정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접근 제어 알고리즘을 다양한 사용자 인증 알고리즘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열아홉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UISWI를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할 수 있는 기존의 인증서처럼 사용할 수 있다. 즉 UISWI를 수신하면,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UISWI를 "접근 제어 리스트"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되, 상기 접근 권한 리스트는 상기 "매칭 리스트"와 정성적으로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만일 UISWI가 접근 제어 리스트와 일관성이 있으면,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모드로 이동하도록 허락한다. 터미널은 기존의 접근 제어 기기가 사용하는 이-요인(two-factor) 인증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만일 UISWI가 접근 제어 리스트와 일관성이 없는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의 모드 이동을 허락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모드에서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려 할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접근 권한을 보유하였으면 이를 허락하지만, 아닐 경우 사용자의 시도를 허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접근 제어 리스트의 전형적인 예가 다양한 접근 제어 데이터가 수록된 상술의 매칭 리스트이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예의 경우, 제1 매칭 리스트는 두 개 이상의(일예로 제1 및 제2)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되, 제1 데이터 세트는 다수의 UISWI를 포함하는 반면 제2 데이터 세트는 특정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매칭 리스트는 다수의 UISWI 중 하나 이상을 다수의 모드 중 하나 이상(또는 하나 이상의 모드를 하나 이상의 UISWI)과 1대1, m대1, 1대n, m대n 매칭 등으로 상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의 UISWI에 대응하여,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제2 매칭 리스트는 최소 두 개의(일예로 제1 및 제3)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되, 제1 데이터 세트는 다수의 UISWI를 포함하며, 제3 데이터 세트는 UISWI에 상응하는 모드에서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매칭 리스트는 다수의 UISWI 중 하나 이상의 UISWI를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와 상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단 UISWI에 상응하는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기 시작하면, 사용자는 특정 세트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자동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미널은 나머지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지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요소에 대한 접근을 금지할 수 있다. 또는 심지어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수 있더라도, 사용자가 특정 모드에서 접근 권한이 없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의 접근을 금지할 수 있다.
터미널은 제2 매칭 리스트를 상술의 제1 매칭 리스트와 함께 참고하거나, 또는 제2 매칭 리스트를 제1 매칭 리스트와 통합함으로써, 통합된 리스트가 제1 데이터 세트, 제2 데이터 세트 및 제3 데이터 세트 등 세 개의 데이터 리스트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제3 매칭 리스트는 최소 두 개의(일예로 제1 및 제4)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되, 제1 데이터 세트는 다수의 UISWI를 포함하며, 제4 데이터 세트는 각 하드웨어 요소를 구동하여 수행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이나 각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수행할 수 있는 다수의 옵션을 포함한다. 제3 매칭 리스트는 다수의 UISWI 중 하나 이상의 UISWI를 하나 이상의 상기 기능이나 옵션과 상응시킬 수 있다.
일예로 제4 데이터 세트는 사용자가 [1] 제1 모드에서 자동 해상도 향상 기능을 이용하며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지, [2] 제2 모드에서 다시 자신을 인증할 필요 없이 금융 거래 소프트웨어 앱을 구동할 수 있는지, [3] 제3 모드에서 사용자가 10억 원을 초과하는 금액을 계좌이체할 수 있는지, 또는 [4] 제4 모드에서 개인 데이터 또는 금융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는 지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의 제2 매칭 리스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터미널은 제3 매칭 리스트를 제1 또는 제2 매칭 리스트와 함께 참고하거나, 또는 제3 매칭 리스트를 제1 또는 제2 매칭 리스트와 통합할 수 있다.
상기 접근 제어 리스트예의 또 다른 예로는 터미널 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계층, 모드 스위칭 종류(일예로 순차적 스위칭 또는 선택적 스위칭) 등에 대한 다양한 접근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스트 또는 매트릭스이다. 따라서 상기 리스트나 매트릭스는 다양한 접근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의 예로는 [1] 상기 예에서 설명한 데이터 세트 중 두 개 이상의 세트에 대한 매칭 리스트, [2] 상술의 제1 데이터 세트 및 제5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는 매칭 리스트 등이 있으며, 상기 제5 데이터 세트는 [2-1] 특정 모드나 UISWI에 상응하는 모드에서 접근 가능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의 리스트 또는 [2-2] 현재 모드 또는 오프 상태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모드의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공하였고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모드 이동용 센서가 취득한 UISWI와 상기 매칭 리스트에 근거하여, 터미널은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할 권한을 보유하였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UISWI가 매칭 리스트에서 확인 가능하며 기타 요건도 만족하면, 터미널은 사용자가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UISWI가 [1] 매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2]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이동할 수 없는 모드에 해당하거나, 또는 [3] 원하는 모드 이동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사용자가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터미널은 신규 모드로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1] 현재 모드에 머무르거나, [2] 기본 설정 모드(일예로 잠금 모드)로 이동하거나, 또는 [3] 영상 유닛을 끄고 오프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이 현재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한, 상기 매칭 리스트는 접근 제어와 관련된 상이한 데이터 세트 또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추가 데이터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열아홉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접근 제어 수단 또는 인증 수단으로 다양한 GUI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와 같은 특정 재원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로 제1 모드(일예로 오프 상태)에 있는 터미널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SWI를 취득하면, 터미널은 제2 모드로 이동하고 신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가 제2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다수의 GUI를 행렬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GUI는 사용자가 [1] 제2 모드에서 구동하고 조작할 수 있는 특정 하드웨어 요소, [2] 제2 모드에서 구동 및 실행할 수 있는 특정 소프트웨어 요소나 앱, 또는 [3] 사용자가 제2 모드에서 상기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옵션이나 기능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모드에서 구동할 수 없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GUI는 영상 유닛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2 모드에서 이러한 요소를 구동할 수 없다.
사용자가 정확한 UISWI를 제공하지 않았거나,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이 정확한 UISWI를 취득하지 못한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교정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정확한 UISWI를 수신하지 못했다는 통지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공하지 않은 채 [1] 제1 모드에 머무르거나, [2] 잠금(또는 기본 설정) 모드로 이동하거나, [3] 오프 상태로 이동하거나, 또는 [4] 정전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은 시각적 경고나 청각적 경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정확한 UISWI를 제공함에 따라 접근 권한이 적은 현재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더 넓은 신규 모드로 이동할 경우, 터미널은 더 많은 GUI를 포함하는 신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1] 현재 모드의 기존 화면을 제거하며 신규 모드의 신규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2] 기존 화면을 유지한 채 여기에 신규 GUI를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정확한 UISWI를 제공한 후 또는 정확한 UISWI를 제공하지 못함에 따라 접근 권한이 넓은 현재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더 좁은 신규 모드로 이동하면, 터미널은 더 적은 수효의 GUI를 포함하는 신규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1] 현재 모드의 기존 화면을 제거하며 신규 모드의 신규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2] 기존 화면을 유지하며 여기로부터 사용자가 신규 모드에서 구동할 수 없는 GUI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스무 번째 실시예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특정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 각각에 부여된 접근 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기존의 컴퓨터 보안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용하여 [1] 각 모드에서 구동하는 터미널의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소정의 권한을 부여하거나, 또는 [2] 사용자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지위(일예로 관리자 여부)와 관계없이,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권한을 각각의 모드에 부여할 수 있다.
상술의 컴퓨터 보안 엔지니어링 기술 및 이에 대한 알고리즘은 충분히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상기 기술 및 알고리즘은 로스 앤더슨이 집필한 저서 "보안 공학 - 의존적 분산 시스템 구축 방법"(ISBN-10: 0471389226)을 참고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저서의 제4장(62~64쪽) 및 이와 관련된 문헌들을 참고할 수 있다.
4-11-7 . 모드 및 모드 이동 통지
인증 받은 사용자도 때로는 잘못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거나 사용자 입력은 올바르지만 사용자 입력에 의도하지 않은 UISWI를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부정확한 신규 모드로 이동하거나 또는 아예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부정확한 모드 이동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의 잘못된 모드로부터 정확한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하여 추가의 교정 노력을 수행하도록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통지 신호를 제공하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혜택도 제공하며, 상기 정보의 예로는 [1] 현재 사용자가 터미널을 구동 중인 모드, [2] 사용자가 제공한 UISWI, [3] 터미널이 이동할 예정인 신규 모드, [4] 신규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부여될 접근 권한, 또는 [5] 신규 모드에서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또는 없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등이 있다.
상기 터미널은 사용자 자신이 정확한 UISWI를 제공하였는지, 즉 사용자가 자신이 의도한 모드에 대한 UISWI를 제공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혜택도 제공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특정 UISWI에 의한 모드 이동이나, 사용자에게 신규 모드를 알려주거나, 사용자 자신이 잘못된 모드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은 실제로 유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이를 확인한 사용자는 어쨌건 정확한 UISWI를 포함하는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스물한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신규 모드로 실제 이동하기 전 상기 신규 모드나 접근 권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모드 이동에 대하여 자신이 의도치 않은 UISWI를 제공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한, 사용자는 터미널이 실제로 모드를 이동하기 전, 자신의 실수를 교정할 수 있다.
상기 스물한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하여 터미널에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고, 가급적 모드 이동 전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이동하려고 의도하는 신규 모드에 상응하는 정확한 UISWI를 제공하였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정확한 UISWI를 제공하였음을 확인하는 경우,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아무런 액션을 취하지 않으면, 터미널은 자동적으로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기 사용자의 비활동은 추가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비활동을 제1 사용자 입력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제공한 UISWI가 잘못되었음을 확인하면, 사용자는 터미널이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기 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조작함으로써, 정확한 UISWI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잘못된 신규 모드로 이동한 후에야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모드로 이동하였음을 발견하고, 다시 정확한 UISWI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불편함 없이, 자신이 의도한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제1 사용자 입력을 뒤따르게 되는 순차적 입력에 해당한다.
상기 스물한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 기간 이상 UISWI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나 비사용자 물체를 이용하여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최소 일부분을 조작하고, 상기 입력 유닛에 대한 상기 조작을 유지한다.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UISWI를 취득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 유닛을 누르거나, 접촉하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상기 조작을 계속하는 동안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정확한 UISWI를 제공하였음을 확인하면, 사용자는 신체 부위(또는 비사용자 물체)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으로부터 분리한다.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작의 종료를 감지하게 되면, 터미널은 자동적으로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기 신체 부위 또는 비사용자 물체의 분리는 제1 사용자 입력과 동시에 제공되는 추가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제공한 UISWI가 잘못되었음을 확인하면, 사용자는 신체 부위(또는 비사용자 물체)를 이용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에 대한 조작을 계속 유지하면서, 정확한 UISWI를 포함하는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상기 입력 유닛과의 접촉을 유지하며 손가락을 한 GUI로부터 다른 GUI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잘못된 모드로 이동한 후, 다시 정확한 모드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스물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현재 모드, 취득한 UISWI, 상기 세부입력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 현재 모드나 신규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1] 자신이 정확한 사용자 입력 또는 정확한 UISWI를 제공하였는지에 대한 여부, [2] 현재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 [3] 자신이 이미 제공하였거나 또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에 터미널이 부여한 접근 권한, [4] 자신이 제공하였거나 또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에서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즉 접근 권한의 범위 및 깊이), 또는 [5] 터미널이 현재 모드에서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한 후 사용자가 추가로 얻게(또는 잃게) 되는 접근 권한 등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상술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터미널은 접근 권한의 다양한 특성과 관련된 시각적 통지 신호, 청각적 통지 신호, 촉각적 통지 신호, 이의 조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알릴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는 한, 터미널은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주 영상 유닛 또는 주 출력 유닛의 스피커나 진동기 등과 같이 기존 데이터 처리 기기에서 흔히 사용되는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추가 영상 유닛, 추가 스피커 또는 추가 진동기 등이 포함된 추가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현재 모드, 사용자가 의도한 신규 모드, 사용자가 제공한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이나 상기 모드와 관련된 기타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정확한 UISWI를 제공하였는지(또는 제공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신규 모드에서 자신이 실행할 수 있는(또는 없는) 작업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재 모드에 머물러야 할지 아니면 신규 모드로 이동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더 정교하게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고, 더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자신의 실수를 교정할 수도 있는 등 더욱 편리하게 이음새 없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실제로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전, 신규 모드에 대한 통지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센서에 UISWI를 제공하는 중 통지 신호를 생성하되, 사용자가 [1] UISWI의 제공을 완료하기 전, [2]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센서로부터 자신의 손가락을 떼기 전, [3] 상기 센서로부터 스타일러스를 떼기 전, [4] 터미널에 자신의 이미지 제공을 완료하기 전, 또는 [5] 앞의 [1]~[4] 중 하나를 완료한 직후, 통지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술의 제1 예시적 측면의 실시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은 모드 이동 전 신규 모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스물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영상 유닛이나 이의 균등 유닛에 하나 이상의 시각적 통지 신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일예로 영상 유닛은 [1] 현재 모드, [2]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 [3] (터미널이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경우) 정확한 신규 모드 또는 (사용자 습관이나 인공지능으로) 추정된 정확한 신규 모드, [4]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 [5] 사용자가 신규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6] 사용자가 신규 모드에서 추가로 구동할 수 있는(또는 없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7] 상기 모드들과 관련된 기타 상세 정보 등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 유닛은 상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아이콘, 텍스트, 물체, 동영상, 이미지 등과 같은 다양한 시각적 통지 신호를 영상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기타 추가 시각적 통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시각적 신호의 예로는 아이콘, 텍스트, 물체, 동영상, 이미지 또는 배경의 [1] 색(밝기, 색조 또는 대비 등), [2] 크기나 모양, [3] 패턴, [4] 위치, [5] 배열 또는 [6] 앞의 [1]~[5]의 조합 등이 있다. 이러한 시각적 신호를 영상 유닛에 표시함에 따라,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어떤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고 있는지, 현재 모드에서의 구동이나 실행의 한계, 자신이 정확한 세부입력을 제공하였는지 등을 용이하게 알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미널은 시각적 통지 신호를 영상 유닛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기존 하드웨어 요소를 구동함으로써 시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추가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시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하술에서는 이러한 시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예시한다.
상기 스물세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시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하는 통지 유닛으로서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를 활용하며, 상기 시각적 신호의 색, 상기 색의 밝기나 색조, 크기나 모양, 배열 또는 지향을 조작할 수 있다. [도9A]는 통지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는 주 시스템의 영상 유닛을 예시하며, 상기 영상 유닛은 다양한 텍스트(일예로 현재 모드나 신규 모드의 명칭), 이미지, 아이콘 등을 표시하되, 상기 표시는 터미널이 구동 중인 현재 모드, 사용자가 전달한(또는 전달 중인)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를 나타낼 수도 있다. 터미널은 [1] 영상 유닛(52)의 특정 부위에 해당하는 통지 유닛(65A)에 시각적 신호를 표시하거나, 또는 [2] 영상 유닛(52)이 포함하는 다수의 부위 각각에 상기 시각적 신호를 상이한 시점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앞의 [2]의 경우, 영상 유닛(52) 전체가 통지 유닛(65A)으로 활용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9A]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지 신호는 [1] 사용자가 현재(또는 신규)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거나 구동할 수 없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리스트, [2] 사용자가 현재(또는 신규)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또는 없는) 옵션이나 기능의 리스트, 또는 [3] 모드 이동 후 사용자가 추가로 구동할 수 있는(또는 더 이상 구동할 수 없는)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의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UISWI의 명칭이나 종류, 특정 계층의 전체 또는 특정 부분, 사용자가 현재 모드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신규 모드의 리스트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터미널(또는 영상 유닛)은 [1]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위하여 통지 신호를 깜박거리거나(blink), 또는 [2] 통지 신호의 모양, 크기, 색 또는 위치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터미널은 통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유닛의 일부분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통지 신호를 영상 유닛(52)의 특정 부위에 표시하는 동안, 영상 유닛(52)의 다른 부위에 일상적 데이터(일예로 날자, 시간, 새로 들어온 이메일이나 텍스트, 다가오는 일정에 대한 얼람 등)를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주 영상 유닛(52) 대신 부 영상 유닛에 통지 신호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 때 상기 부 영상 유닛은 [1] 주 영상 유닛(52)의 영상 화면보다 작은 영상 화면을 가지거나, [2] 통지 신호를 흑백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3] 주 영상 유닛(52)보다 단가가 낮을 수 있다. 또 부 영상 유닛은 주 영상 유닛(52)이 위치한 면과 같은 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영상 유닛이 다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경우, 주(또는 부) 세그먼트는 주(또는 부) 영상 유닛(52)으로 이용되지만, 부(또는 주) 세그먼트는 시각적 통지 신호를 표시하는 통지 유닛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9A]의 통지 유닛(65A)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7F] 및 [도8A] 내지 [도8E]의 통지 유닛의 상기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스물세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시각적 통지 신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주 영상 유닛을 호출할 필요가 없는 통지 유닛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지 유닛은 하나 이상의 발광체(즉 기존의 램프, LED 등)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현재 모드나 신규 모드,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 각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또는 없는)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의 리스트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9B]는 다수의 발광체를 포함하는 통지 유닛의 예시이며, 상기 통지 유닛은 터미널의 좌측단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된 다수의 LED를 포함한다. 통지 유닛(65A)의 LED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1] 특정 LED를 켜거나 끄거나, [2] 특정 LED를 깜박거리거나, [3] LED의 색 또는 밝기를 조작하거나, [4] 특정 순서에 따라 LED를 켜거나 깜박거리거나, [5] LED가 켜져 있는 기간 또는 꺼져 있는 기간을 조작하거나, 또는 [6] 상기 켜짐 또는 깜박거림 사이의 시간적 공백을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LED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한, 터미널은 임의의 수효의 LED를 터미널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는 모두 동일하거나, 두 개 이상의 LED는 나머지 LED에 비해 상이한 모양, 크기, 색, 밝기, 지향 등을 가질 수 있다.
통지 유닛(65B)은 UISWI와 관련된 시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하므로, 터미널은 통지 유닛 또는 발광체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 근처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조작하는 동안 자신이 정확한 UISWI를 제공하였는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UISWI를 제공하는 동안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볼 필요가 없는 경우, 터미널은 통지 유닛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상술의 발광체를 활성화용 입력 유닛, 인증용 입력 유닛 또는 기타 입력 유닛의 상부, 주위 또는 근처에 장착할 수 있다.
터미널이 터치 스크린 형태의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은 상기 영상 유닛(또는 특정 부위)을 통지 유닛 또는 상기 통지 유닛의 발광체로 사용하여 시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기존의 데이터 처리 기기가 흔히 사용하는 하드웨어 요소가 사용자에게 현재 모드나 신규 모드, 상기 모드의 접근 권한, 사용자가 특정 모드에서 실행할 수 있는 작업 등을 알려주는 시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한, 터미널은 상기 기존 요소를 발광체로 이용할 수 있다. [도9B]에서 예시한 통지 유닛(54B)의 기타 구성 및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9A]의 통지 유닛의 상기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스물세 번째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다수의 세부유닛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통지 유닛을 포함하며, 이 때 각 세부유닛은 상기 [도9A] 및 [도9B]의 다양한 통지 유닛에 해당하거나, 또는 주 영상 유닛에 비해 작거나 간단하게 구성된 부 영상 유닛과 동일할 수도 있다. [도9C]는 시각적 통지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추가 영상 유닛으로 구동될 수 있는 통지 유닛(65C)의 예시이다. 따라서 상기 통지 유닛(65C)는 [도9A]의 통지 유닛(65A)이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이를 간단한 형태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통지 유닛(65C)은 의 [도9B]의 통지 유닛(65B)이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도9C]의 통지 유닛(65C)은 [1] [도9A]의 주 영상 유닛(52)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통지 유닛(65A)의 작은 버전으로 간주할 수 있거나, [2] [도9B]의 통지 유닛(65B)의 고급 버전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9C]에서와 같이, 통지 유닛(65C)은 주 입력 유닛(20)의 옆에 장착되어, 현재(또는 신규) 모드, 각각의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 각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각 모드에서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작업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통지 유닛(65C)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통지 신호를 볼 수 있는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터미널은 통지 유닛(65C)를 조작함으로써 상술의 정보를 다양한 시점에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통지 유닛(65C)은 [1] 모드 이동과 동시에, [2] 모드 이동 직후, [3] 모드 이동 이후 특정 기간 이내에, 상기 통지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통지 유닛(65C)은 터미널이 모드를 이동하기 전 시각적 통지 신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사용자가 어떤 신규 모드로 이동할 지 확인해야 모드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계속하여 조작하는 동안, 통지 유닛(65C)은 다양한 통지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통지 유닛에 표시된 UISWI가 올바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또는 비사용자 물체)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으로부터 분리하며,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모드를 이동한다. 하지만 통지 유닛에 표시된 UISWI가 틀릴 경우,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과의 접촉을 유지한 채 자신의 신체 부위(또는 비사용자 물체)를 상기 입력 유닛(25) 위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음새 없는 작업은 물론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모드로 이동한 후 추가 UISWI를 제공하여 의도한 신규 모드로 이동하게 되는 수고를 피할 수 있다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도9C]의 통지 유닛(54C)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9B]의 통지 유닛의 상기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스물세 번째 실시예의 네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상이한 시각 요소를 이용하여 [도8D] 및 [도8E]와 유사한 시각적 통지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9D]는 다수의 세부유닛(65D)를 포함하며 상기 세부유닛(65D)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또 다른 통지 유닛의 예시이다. [도9D]의 통지 유닛은 주 입력 유닛(20) 주위에 배치될 수 있는 모양과 크기를 가진 세부유닛(65D) 네 개를 포함한다. 각 세부유닛(65D)은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취득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입력은 UIACT 또는 UITHEN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세부유닛(65D)은 [도9B]와 같이 기존의 발광 요소(일예로 LED)를 포함하거나, [도9C]와 같이 기존의 영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지 유닛의 각 세부유닛(65D)는 켜지거나 꺼지거나, 깜박거리거나, 색이 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제공한 UISWI와 관련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또는 신규) 모드,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 상기 계층의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 상기 모드에서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는 작업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터미널은 임의의 수효의 세부유닛(65D)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세부유닛(65D)은 사용자가 통지 신호를 용이하게 볼 수 있는 한 터미널의 주위 또는 상부 등과 같은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단일의 세부유닛(65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도9C]의 통지 유닛(65C)과 유사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다수의 LED를 포함하고 이를 세부유닛(65D)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도9B]의 통지 유닛과 유사할 수 있다. [도9D]의 통지 유닛(65D)의 기타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도7A] 내지 [도9C]의 통지 유닛의 상기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스물세 번째 실시예의 다섯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하지만, 사용자는 주 입력 유닛을 기준으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움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위치, 지향 또는 배치가 변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포함하지만, 사용자는 주 입력 유닛을 기준으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지향이나 각도가 변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을 조작하는 사용자는, 특히 터미널이 2~3 개의 모드 사이에서 구동할 때, 자신이 터미널을 구동 중인 모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이 세 개 이상의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구동될 경우, 상기 입력 유닛은 옵션으로 그 위 또는 그 주변에 추가 시각적 또는 텍스트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는 각 모드를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터미널을 구동하는 모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9A] 내지 [도9D]의 다양한 통지 유닛 및 이들의 균등 유닛에 있어서, 터미널은 통지 유닛이 생성하는 다양한 시각적 통지 신호를 다양한 UISWI와 동기화(synchronize)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상술과 같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힘을 가하거나, 상기 유닛(25)의 최소 일부분과 접촉하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상기 유닛(25)의 최소 일부분을 조작함으로써, UISWI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기간 동안 상기 유닛(25)을 계속 조작하면,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SWI를 취득하며, 다수의 시각적 통지 신호 중 취득된 UISWI에 상응하는 시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통지 신호를 통지 유닛(65)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 통지 신호가 자신의 의도(즉 상기 입력 유닛이 취득한 UISWI가 의도한 UISWI)에 상응함을 확인한 사용자는, 상기 입력 유닛에 대한 조작을 멈출 수 있다. 터미널은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유닛이 취득한 UISWI를 확인하고, UISWI에 근거하여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각적 통지 신호가 자신이 의도한 신규 모드에 상응하지 않음을 확인하면, 사용자는 터미널이 자신이 의도한 UISWI를 취득한 후 이를 통지 유닛(65)에 표시할 때까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대한 수정된 조작을 계속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사용자가 자신의 실수를 교정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은 채, 잠금(또는 제한적) 모드로 이동하거나 영상 유닛을 끌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스물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스피커 또는 이의 균등 유닛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청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일예로 영상 유닛은 [1] 현재 모드, [2]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 [3] (터미널이 사용자의 의중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 올바른 모드 또는 (사용자 습관 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추정된 올바른 모드, [4]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 [5] 신규 모드에서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또는 없는)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6] 상기 모드에 대한 상세한 정보 등을 나타내는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통지 유닛은 특정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 각각에 상응하는 다수의 청각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터미널은 다수의 청각적 신호들 각각을 각각의 모드와 1대1, m대1, 1대n 또는 m대n 매칭 형태로 상응시킬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일단 통지 유닛이 청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하면, 사용자는 상기 신호를 듣고 자신이 터미널을 구동 중인 모드를 확인하거나, 터미널이 이동하는 신규 모드를 확인하거나, 상기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부여된 접근 권한을 확인하거나, 상기 모드에서 얼마나 많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통지 유닛은 다양한 정적 특성이나 동적 특성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각 신호를 구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청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청각적 통지 신호의 파동 특성을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특성의 예로는 상기 신호의 [1] 볼륨 또는 크기, [2] 음 높이 또는 주파수, [3] 기간, [4] 길이, 또는 [5] 상기 신호에 포함된 시간적 공백(일예로 연속 신호나 비프, 즉 beep) 유무 등이 있다. 청각적 신호가 다수의 청각적 펄스를 포함하는 열(train)일 경우, 상기 특성의 추가 예로는 상기 열에 포함된 펄스의 [1] 수효, [2] 크기, [3] 기간이나 길이, 또는 [4] (펄스 내부에 포함된) 시간적 공백 등이 있다.
터미널은 통지 유닛을 음성 명령 방식(voice command mode)로 구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거나, 또는 음성 통지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미널에 말함으로써 UISWI를 제공하거나, 터미널의 음성 설명으로부터 자신이 제공한 UISWI 또는 터미널이 취득한 UISWI를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청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를 통지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주 출력 유닛에 장착된 기존의 스피커를 상기 통지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청각적 신호를 생성하는 외장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은 스피커 또는 음성 생성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하는 탈착 기기와 결합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주 출력 유닛의 스피커 또는 추가 스피커를 구동하여 비프 또는 다수의 비프를 포함하는 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통지 유닛은 크기, 음 높이 또는 기간이 상이한 단일의 비프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UISWI, 현재(또는 신규) 모드,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 또는 상기 모드에서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알릴 수 있다. 또한 통지 유닛은 청각적 통지 신호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을 조작함으로써, 인간의 음성, 악기 소리, 금속성 소리, 부드러운 소리, 껄끄러운 소리 등을 생성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수의 비프를 포함하는 열을 생성하되, 상기 열의 다양한 특성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모드, 또는 터미널이 이동하려는 모드 등을 알릴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상기 열의 기간, 상기 열에 포함된 비프의 수효, 상기 열의 각 비프의 기간, 비프에 포함된 시간적 공백의 수효, 상기 공백의 길이, 상기 특성들의 비율, 또는 상기 특성들의 시간적 또는 공간적 평균 등을 조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제1 예시적 측면의 스물다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진동기 또는 이의 균등 기기로 하나 이상의 촉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일예로 영상 유닛은 [1] 현재 모드, [2]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 [3] (터미널이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경우) 정확한 모드 또는 (사용자 습관으로 추정한 또는 AI로 추정한) 정확하다고 추측되는 모드, [4]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 [5] 신규 모드에서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6] 사용자가 신규 모드에서 추가로 구동할 수 있게(또는 없게) 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7] 상기 모드들과 관련된 기타 정보 등을 나타내는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기존의 전기식 진동기, 기계식 진동기, 전기-기계식 진동기, 진동이나 기타 촉각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촉각적 요소 등의 통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기 촉각적 신호 각각을 특정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와 1대1, m대1, 1대n, 또는 m대n 매칭에 따라 상응시킬 수 있다. 통지 유닛을 이용하여 촉각적 통지 신호를 단일의 진동, 다수의 진동의 열(train), 터치의 형태로 생성함으로써,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현재 모드, 사용자가 이동하려는 신규 모드(일예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UISWI),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이 취득한 UISWI에 따라) 터미널이 이동할 신규 모드, 각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 또는 상기 모드에서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는 작업 등을 알릴 수 있다.
사용자는 촉각적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신호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에 따라 어떤 신규 모드로 이동하게 될 지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호의 정적, 동적 특성의 예로는 [1] 상기 신호의 세기, [2] 상기 신호의 길이(즉 기간), [3] 다수의 촉각적 신호의 열, [4] 상기 열에 포함된 신호의 개수, [5] 상기 열에 포함된 시간적 공백 등이 있다. 사용자는 상기 촉각적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현재 모드 또는 이동할 예정인 모드 등을 알 수도 있다. 터미널은 주 출력 유닛에 장착된 기존의 진동기를 촉각적 통지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술의 진동을 생성할 수 있는 별도의 진동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의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를 생성하는 다양한 통지 유닛은 반드시 터미널 내부에 장착될 필요는 없다. 일예로 터미널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웨어러블 기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기기는 이에 상응하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를 생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예로는 시계, 손목 밴드, 팔목 밴드, 장갑, 반지, 고글, 안경, 헬멧, 모자, 벨트, 목걸이, 팔지, 귀걸이, 인조 손톱, 신발은 물론 기타 사용자가 이동식으로 착용할 수 있는 기기 등이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가 착용하지 않는 탈착 기기와 결합한 후 상기 기기가 상술의 통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 각각에서 구동할 수 있다. 터미널이 다수의 계층을 구축하는 경우, 터미널은 각 계층을 나타내는 다양한 통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어떤 계층에서 터미널을 구동하고 있는지 또한 상기 계층에는 어떤 모드들이 정의되어 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또는 주 입력 유닛)은 다수의 각 모드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터미널은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통지 신호를 생성하는 상술의 통지 유닛을 포함하거나, 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 및 통지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통지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통지 유닛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과 통합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통지 유닛을 다양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과 동기화함으로써, [1] 사용자가 UISWI를 터미널에 제공함과 동시 또는 직후, [2] 터미널이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하기 전, 또는 [3]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조작을 계속하는 한, 통지 유닛이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통지 신호 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1] 자신이 어떤 UISWI를 제공하였는지, [2] 터미널이 취득한 UISWI가 자신이 의도한 신규 모드에 상응하는지, 또는 [3] UISWI가 자신이 의도한 신규 모드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이를 교정하기 위한 액션을 취할 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4-12 . 제1 구성 - 호환성
상술의 제1 구성에서는 단일의 잠금 모드와 단일의 해제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구동되는 터미널을 위주로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와 상세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의 실시예 및 상세예는 임의의 수효의 해제 모드, 중급 모드 또는 잠금 모드 등을 정의하며 각 모드에 동일, 유사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계층에서 구동되는 터미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술의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잠금 모드, 하나 이상의 해제 모드와 하나 이상의 중급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구동될 수 있고, 상기 터미널은 오프 상태 또는 정전 상태로부터, 잠금 모드를 거치지 않은 채, 직접 중급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급 모드에서 구동 중인 터미널 역시, 잠금 모드를 거칠 필요 없이, 직접 오프 상태나 정전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중급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 또는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구성의 작업 실행 상의 특성 중 오프 상태나 정전 상태로부터 잠금 모드로의 이동과 관련된 특성은 오프 상태나 정전 상태로부터 중급 모드로의 이동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성의 작업 실행 상의 특성 중 잠금 모드로부터 오프 상태나 정전 상태로의 이동과 관련된 특성 역시 중급 모드로부터 오프 상태나 정전 상태로의 이동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의 제1 구성의 특정 실시예의 특정 상세예의 다양한 특성은, 상기 특성이 상충되지 않는 범위에서, [1] 동일한 제1 구성의 동일한 실시예의 상이한 상세예에도 적용될 수 있거나, [2] 동일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의 상이한 상세예에도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3] 본 명세서의 상이한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의 상이한 상세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예시적 측면(즉 상술의 제1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에서 예시한 터미널의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변형이나 수정은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와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예시적 측면의 특정 실시예 또는 상세예의 특정 특성의 변형이나 수정은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다른 실시예나 상세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제1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상의 특성 및 이의 변형이나 수정은 (하술의 적용, 포함, 대체 또는 결합이 서로 상충하지 않는 한) [1] 본 명세서의 상이한 측면, 실시예나 상세예의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결합될 수 있다.
5 . 제2 구성 -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하는 잠금 시스템
본 명세서의 제2 구성에 해당하는 본 명세서의 제2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과 하나 이상의 잠금(또는 중급)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주(또는 잠금)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주(또는 잠금)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주(또는 잠금)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또는 잠금) 하드웨어 유닛 또는 하나 이상의 주(또는 잠금) 소프트웨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주(또는 잠금) 유닛은 특정 작업을 실행하며, 이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섹션 4와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의 제2 구성에 따르는 주 시스템은 해제 모드에서 구동되며, 하나 이상의 (1) 주 CPU 유닛, (2) 주 입력 유닛, (3) 주 출력 유닛, (4) 주 메모리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옵션으로 다른 주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구성에 따르는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구동되며, 하나 이상의 (1) 잠금 CPU 유닛 및 (2) 잠금 메모리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3) 옵션으로 잠금 뷰어 및 잠금 입력 유닛 등과 같은 기타 잠금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구성의 잠금 시스템은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과는 완전히(또는 부분적으로) 독립적으로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잠금 뷰어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잠금 CPU 유닛이 잠금 뷰어가 실행하는 모든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잠금 뷰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잠금 CPU 유닛의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할 때 주 시스템으로부터 어떤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도움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주 시스템의 주 CPU 유닛이나 주 운영체계 등을 구동할 필요 없이, 잠금 시스템은 잠금 CPU 유닛만을 구동함으로써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구성에 비하여, 제2 구성의 터미널에서는 잠금 시스템의 다양한 유닛을 주 시스템의 다양한 유닛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더욱 용이하게 격리할 수 있다.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하는 제2 구성의 잠금 시스템은 더 많은 수효의 유닛을 구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더 다양한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구성에 따르는 다양한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강화된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높아진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하술에서는 제2 구성에 따르는 다양한 터미널의 잠금 시스템 및 주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되, 제1 구성의 특성과 동일한 특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0A]는 본 명세서의 제2 구성에 따르는 예시적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블록선도이다. 특히 [도10A]는 단일의 주 시스템(10) 및 단일의 잠금 시스템(60)을 포함하는 터미널의 예시로서, 상기 시스템과 이들의 다양한 유닛들은 다수의 추상적 층으로 묘사하였으며, 상기 유닛들은 화살표를 포함하는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연결될 수 있다.
[도10A]에서 다양한 유닛들을 연결하는 다양한 선들은 다양한 유닛들이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연결되는 "경로"이며, 상기 유닛들은 상기 경로를 통하여 명령 신호를 전달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각종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단 [도10A]의 경로는 예시일 뿐이고, 다른 유닛도 추가 경로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주 CPU 유닛(30)과 주 운영체계(34)는 [도10A]의 다른 유닛들을 구동할 수 있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10A]는 모든 경로를 표시하지 않는다. 하술에서는 제2 구성의 터미널의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의 세부 내용과 함께 [도10A]의 다양한 유닛들을 연결하는 경로들도 설명한다.
5-1 . 제2 구성 - 주 시스템
본 명세서의 상기 제2 구성(즉 제2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의 주 시스템(10)은 제1 구성의 주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 있는 다양한 유닛 및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주 시스템(10)의 각 유닛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한다.
[도10A]의 예시와 같이, 일예로 주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주 입력 유닛(20), 주 CPU 유닛(30), 주 운영체계(34), 주 (소프트웨어) 앱(35), 주 메모리 유닛(40), 주 출력 유닛(5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구성의 상기 각 유닛은 제1 구성의 터미널의 상응하는 유닛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특히 주 CPU 유닛(30)은 제1 구성과 같이 CPU, 펌웨어 및 어셈블러를 포함한다. 또한 주 시스템(10)의 각 유닛은 제1 구성의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상응하는 유닛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상응하는 유닛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주 시스템(10)의 다양한 유닛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잠금 CPU 유닛(70)을 포함하는 제2 구성의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뷰어(71)나 옵션의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구동하기 위하여 주 CPU 유닛(30) 또는 주 운영체계(34)를 호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 구성의 터미널의 주 시스템(1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술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구성에 따르는 터미널의 주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내용과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2 구성의 주 시스템(10)의 기타 상세한 내용은 (자세한 문맥에 따라 자명해지는 수정, 부가, 생략 등을 감안하면) 제1 구성의 주 시스템의 상세한 내용,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에서 설명한 다른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상세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5-2 . 제2 구성 - 잠금 시스템
본 명세서의 상기 제2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주 시스템(10) 외에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60)을 포함한다.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CPU 유닛(70)을 포함하며, 옵션으로 잠금 뷰어(71) 및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물론 도에 표시하지 않은 잠금 운영체계, 잠금 출력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CT Paragraph [0979]
잠금 CPU 유닛(70)은 하나 이상의 잠금 CPU, 잠금 펌웨어, 잠금 어셈블러 등을 포함하며,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상기 기능은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는 주 CPU 유닛(30)의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잠금 CPU 유닛(70)에 포함되는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에 따라, 잠금 시스템(60)은 [1] 제1 구성에서 설명한 바 있는 잠금 뷰어로 구동하거나, [2] 제1 구성 또는 제2 구성의 주 시스템(10)의 단순한 버전(즉 더 낮은 기능 수행)에 해당하거나, 또는 [3] 제1 구성 또는 제2 구성의 주 시스템(10)보다 간단하지만 제1 구성의 잠금 시스템과 비교하면 더 많은 기능을 가진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잠금 시스템(60)은 [도10A]의 잠금 뷰어(71)와는 다른 잠금 CPU 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10A]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CPU 유닛(70)과 함께 구동하며 사용자가 잠금 시스템(60)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도록 돕는 잠금 운영체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과 같이, 잠금 CPU 유닛(70)은 일반적으로 기본 연산 작업, 논리 작업, 제어 작업, 입출력 작업 등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본 명령어를 수행하는 잠금 CPU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CPU 유닛(70)은 옵션으로 잠금 펌웨어와 잠금 어셈블러를 포함할 수 있고, 잠금 펌웨어는 잠금 시스템(60)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에 대한 제어, 데이터 감시나 조작 등을 제공하는 반면, 잠금 어셈블러는 기존의 CPU, 펌웨어 또는 어셈블러와 마찬가지로 목적 코드(object code)를 생성하고, 프로그램 수정 후 따분한 계산 또는 주소 업데이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잠금 CPU 유닛(70)은 기존의 CPU, 펌웨어 또는 어셈블러의 최소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잠금 CPU 유닛(70)은 기본 명령어 일부를 수행하거나, 잠금 시스템(60)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에 대한 부분 제어, 부분 데이터 감시, 또는 부분 데이터 조작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잠금 CPU 유닛(70)이 더 많은 기능을 보유할수록, 잠금 CPU 유닛(70)은 더 많은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잠금 뷰어만 포함하는 상기 제1 구성의 터미널의 잠금 시스템(60)은 가장 적은 기능을 가진 잠금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은 옵션으로 잠금 운영체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잠금 운영체계는 주 운영체계(34)의 최소 기능 또는 다른 기존 운영체계의 최소 기능만을 보유함으로써 잠금 시스템(60)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CPU 유닛(70)과 잠금 운영체계를 포함하는 잠금 시스템(60)은 자신의 소프트웨어 요소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의 예로는 소프트웨어 요소의 구동, 프로세서 시간 및 메모리의 할당, 또는 잠금 시스템의 입출력 하드웨어 요소의 구동 등이 있다.
따라서 잠금 CPU 유닛(70)을 포함하는 제2 구성의 잠금 시스템(60)은 제1 구성의 잠금 시스템과는 구별될 수 있다. 즉 제2 구성의 잠금 시스템(60)은 주 CPU 유닛(30)이나 주 운영체계(34)를 호출하지 않고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성의 잠금 시스템(60)은 주 CPU 유닛(30), 주 운영체계(34)의 사전 허가 없이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에 잠금 CPU 유닛(70) 또는 잠금 운영체계를 포함시킴으로써, 터미널 제조사 또는 앱 개발자는 운영체계 공급자의 사전 허가 또는 사전 동의 없이, 잠금 CPU 유닛(70)과 함께 상기 잠금 시스템(60)을 터미널에 장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구성에 따르는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을 착수하기 전, 사용자가 잠금 시스템(60)을 선택하고 이를 착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을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잠금 시스템(60)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은 제1 구성의 잠금 뷰어와 유사한 잠금 뷰어(7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잠금 뷰어(71)는 제한된 기능의 (소프트웨어) 앱이므로, 사용자는 어떤 데이터나 파일도 편집, 생성 또는 수정하지 못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뷰어(71)는 파일 뷰어, 이미지 뷰어, 웹 브라우저 또는 기타 뷰어들과 같은 기존 뷰어나 브라우저에 해당할 수 있다. 잠금 CPU 유닛(70)은 잠금 뷰어(71)를 구동할 수 있는 드라이버나 잠금 운영체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뷰어(71)를 구동할 수 있다. 제2 구성의 잠금 뷰어(71)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제1 구성의 잠금 뷰어의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잠금 시스템에 잠금 뷰어(71)를 포함할지의 여부는 일반적으로 잠금 CPU 유닛(70)의 기능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뷰어(71)가 실행할 수 있는 작업을 잠금 CPU 유닛(70)이 모두 실행하지는 못하는 경우, 잠금 뷰어(71)가 없는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뷰어(71)가 실행할 수 있는 작업들을 모두 실행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터미널은 잠금 뷰어(71)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잠금 뷰어(70)가 잠금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작업을 잠금 CPU 유닛(70)이 실행할 수 있는 경우, 터미널은 잠금 뷰어(71)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중복 구성을 피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복 구성에도 불구하고 잠금 뷰어(71)를 포함하는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혜택으로는 잠금 CPU 유닛(70) 외에도 잠금 뷰어(71)를 포함함으로써, 잠금 CPU 유닛(70)이 오염되거나 오작동해도, 사용자는 여전히 잠금 뷰어(71)를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의 반대도 성립하는 바, 사용자는 잠금 CPU 유닛(70)을 파일 뷰어, 이미지 뷰어나 웹 브라우저로 사용할 수 있다.
잠금 뷰어(71)의 포함에 따른 두 번째 혜택은 터미널이 잠금 CPU 유닛(70)으로부터의 주 시스템(10)의 격리를 최대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예로 터미널이 잠금 뷰어(71)를 포함하지 않으면, 터미널은 작업 실행 상 잠금 CPU 유닛(70)을 주 시스템(10)에 연결해야 할 수도 있으며, 일예로 주 시스템(10)이 잠금 시스템(60)의 유닛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이러한 경우의 예이다. 하지만 잠금 작업 실행 중 잠금 시스템(60)에 실수로 악성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주 시스템(10)이 더 많은 잠금 유닛을 구동할수록 바이러스가 주 시스템(10)에 침투할 가능성 또한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터미널이 잠금 뷰어(71)에 더 많은 뷰잉(viewing) 업무를 할당하는 한편 잠금 CPU 유닛(70)에 더 적은 뷰잉 업무를 할당할수록, 터미널은 주 시스템(10)과 잠금 CPU 유닛(70) 사이의 작업 실행 상의 결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 시스템(10)이 오염되는 사고도 줄일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은 옵션으로 제1 구성의 잠금 메모리 유닛과 유사한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수동으로 저장 예정 결과물을 마크하여,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으로부터 제외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이 신규 모드로 이동한 후에도 저장 예정 결과물은 잠금 시스템(60)에 잔류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특정 기준에 근거하여 적응적으로 저장 예정 결과물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기준의 예로는 결과물의 종류나 컨텐츠, 사용자가 결과물을 처리한 기간,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머무른 기간, 사용자에 대한 통계나 사용자 선호도 등이 있다.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으로 실행한 잠금 작업, 잠금 모드에서 다운로드한 또는 얻은 상기 "결과물" 또는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이 주 메모리 유닛(40) 또는 주 시스템(10)의 다른 주 유닛에 나쁜 영향을 미치거나 이를 오염시키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잠금 뷰어(71)를 구동할 수 있거나, 상기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잠금 메모리 유닛(80)에서 데이터를 회수할 수 있는 경우, 터미널은 [1] 주 시스템(10)을 잠금 시스템(60)의 하나 이상의 유닛으로부터 격리하거나, [2]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을 사용자가 주 시스템(10)의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3] 상술의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은 옵션으로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지정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 등과 같은 잠금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1] 주 입력 유닛(20)과는 상이한 별개의 하드웨어 요소의 형태로 제작되거나, 또는 [2] (UIACT 취득을 위한) 활성화용 입력 유닛, (UITHEN 취득을 위한) 인증용 입력 유닛 또는 [3]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할 수 있는 주 입력 유닛(20) 등과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1] 주 입력 유닛(20)과는 거리를 두어 배치(일예로 한 입력 유닛은 터미널의 우측면에, 다른 입력 유닛은 전면에 배치)되거나, [2] 주 입력 유닛(20) 옆에 배치되거나, 또는 [3] 주 입력 유닛(20)과 일체형 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는 주 시스템(10)의 하드웨어 요소, 잠금 시스템(60)의 요소, 또는 터미널 자체의 하드웨어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은 옵션으로 잠금 출력 유닛(90)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출력 유닛(90)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1]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2] 소리를 재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추가 스피커나 영상 유닛을 장착하는 대신, 잠금 시스템(60)은 주 시스템의 주 영상 유닛 또는 주 스피커를 구동함으로써 잠금 모드에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으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제2 구성에 따르는 잠금 시스템(60)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은 터미널 내부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터미널에 탈착식으로 결합, 분리하며 잠금 시스템(60)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별개의 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일예로 상술의 잠금 시스템(60)은 [1] 잠금 CPU 유닛, 잠금 메모리 유닛, 기타 잠금 유닛을 포함하는 외부 USB 형태의 기기, [2] 하나 이상의 잠금 유닛을 포함하는 외부 메모리 칩(또는 카드), [3] 하나 이상의 잠금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메모리 칩(또는 카드), 또는 [4] 하나 이상의 잠금 유닛을 포함하는 기존의 메모리 칩, 메모리 카드 또는 메모리 기기 등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잠금 시스템(60)은 저장 공간이 허락하는 한, 잠금 운영체계나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 형태로 제작된 제2 구성의 잠금 시스템(60)을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예는 상술한 바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 탈착 기기 등에 장착된 잠금 시스템(60)은 무선으로 터미널 또는 주 시스템(10)과 작업 실행 상 결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터미널이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 주 시스템(10)은 잠금 시스템(60)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해제 모드에서 구동할 수도 있다. 이와는 반대로 터미널이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모드에서 주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터미널이 더 용이하게, 더 빨리 또는 더욱 이음새 없이 모드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이 제한된 기능의 잠금 CPU 유닛(70)을 포함하면, 잠금 시스템(60)은 주 CPU 유닛(30) 또는 주 운영체계(34)를 호출하여 잠금(또는 주) 시스템(60)(10)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성의 상호 의존성에 따라 잠금 시스템(60)은 주 시스템(10)은 말할 나위 없이 자신(60)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접근하고 구동하기도 까다로울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기 잠금 CPU 유닛(70)은 주 CPU 유닛(30), 주 운영체계(34) 및 기타 주 유닛 등과는 독립적으로 주 시스템(10)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는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잠금 시스템(60)이 얼마나 용이하게 주 시스템(10)의 다양한 요소 및 유닛을 구동할 수 있는 지는 잠금 CPU 유닛(70)의 기능의 범위나 깊이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하지만 잠금 CPU 유닛(70)의 기능의 범위 또는 깊이와는 상관없이 상기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CPU 유닛(70)을 포함하지 않는 잠금 시스템과는 상이하게 작업을 실행하며, 상이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이 최소한의 기능을 갖춘 잠금 운영체계를 포함할 경우, 터미널 제조사 또는 배급사는 주 운영체계(34)와 잠금 운영체계를 터미널에 함께 장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주 운영체계(34)와 잠금 운영체계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착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 주 운영체계(34) 또는 주 시스템(10) 전체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잠금 시스템을 착수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구성의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이 상술의 "결과물"의 일부를 주 메모리 유닛(40) 대신 상기 시스템(60) 자체에 용이하게 저장할 수도 있다는 혜택도 제공한다. 일예로 잠금 시스템(60)은 결과물의 최소 일부분을 다양한 임시 메모리 섹터(일예로 데이터 버퍼, 캐쉬, 클립보드, 리사이클 빈 등)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중요한 "결과물"을 사용자 스페이스는 물론 잠금 CPU 유닛(70)의 커넬 스페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과 같이, 제2 구성에 따르는 잠금 CPU 유닛(70)은 잠금 시스템(60)은 물론 터미널 자체의 활용에 상당한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CPU 유닛(70)의 기타 세부적 내용은 하술에서 설명하되, 제2 구성에 따르는 잠금 시스템(60)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상술의 제1 구성의 잠금 시스템의 상기 특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다.
5-3 . 제2 구성 - 작업 및 실행 순서
본 명세서의 상기 제2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상술의 주 시스템(10) 및 잠금 시스템(60)을 포함하고,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세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작업의 경우,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오프 상태에서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포함된 UISWI에 근거하여 어떤 모드로 이동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잠금 CPU 유닛(70)을 포함하는 상기 터미널은 [1] 잠금 CPU 유닛(70)에만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할당하거나, 또는 [2] 상기 기능을 잠금 CPU 유닛(70) 및 주 CPU 유닛(30)에 분산시킬 수 있다. 터미널은 상기 기능을 잠금 운영체계에만 할당하거나 또는 주 운영체계(34)에만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의 다양한 데이터 저장 과업을 [1] 잠금 메모리 유닛(80)에만 할당하거나, 또는 [2] 잠금 메모리 유닛(80)과 주 메모리 유닛(40)에 분산시킬 수 있다.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의 수행 과업을 [1] 잠금 CPU 유닛(70)에만 할당하거나, [2] 잠금 CPU 유닛(70) 및 주 CPU 유닛에 분산시키거나, [3] 잠금 운영체계에만 할당하거나, 또는 [4] 잠금 운영체계와 주 운영체계(34)에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할 수 있다.
잠금 CPU 유닛(70)과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하는 잠금 시스템(60)은 다양한 모양, 크기,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상기 잠금 유닛을 내부에 포함하는 한편,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주 시스템(10)을 상기 잠금 유닛들로부터 격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하나 이상의 잠금 유닛은 터미널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부착 또는 연결 가능한 외부 유닛 또는 휴대용 유닛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상술의 다양한 방법으로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터미널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특정 터미널의 잠금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다른 터미널에서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한 후 또는 실행하지 않은 채) 잠금 시스템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작업의 경우, 영상 유닛이 켜진 온 상태에서 터미널이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는 중,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잠금 CPU 유닛(70) 또는 주 CPU 유닛(30)은 상기 입력에 포함된 UISWI에 근거하여 어떤 모드로 이동할지를 결정한다. 또한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주 메모리 유닛(40)은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전부 또는 특정 부분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이미 잠금 모드에서 구동 중이었으므로, 터미널이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점 역시 이미 터미널이 잠금 시스템(60)의 구동을 시작한 후이다. 따라서 상기 잠금 시스템(60)은 다양한 잠금 유닛들을 구동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SWI를 취득하며, 모드를 이동하고, 또한 옵션으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잠금 CPU 유닛(80)이나 잠금 운영체계에 충분한 기능이 부여된 경우, 잠금 시스템(60)은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주 유닛을 호출하고 구동함으로써 상기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실시예의 세 번째 작업의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구동 중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즉 상기 터미널은 영상 유닛도 이미 켜진 온 상태에 있다. 잠금 시스템(60)은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고, 터미널은 이에 근거하여 해제 모드에 머무를지를 결정하거나 또는 해제 모드로부터 이동할 신규 모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신규 모드의 예로는 [1] 터미널이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더 비제한적 모드(일예로 다른 해제 모드), [2] 터미널이 더 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더 제한적 모드(일예로 잠금 모드), 또는 [3] 터미널이 한 가지 관점에서는 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지만 다른 관점에서는 더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비슷한 모드 등이 있다.
상기 터미널이 잠금 CPU 유닛(70) 및 주 CPU 유닛(30)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CPU 유닛 중 하나는 [1] 터미널이 현재 모드에 머물러야 할지 또는 신규 모드로 이동해야 할지를 결정하거나, 또는 [2]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 중 어떤 부분을 삭제하거나 또는 저장해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주 메모리 유닛(40) 중 하나 이상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의 제2 구성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작업 실행에 대한 기타 상세한 내용들은 (자세한 문맥에 따라 자명해지는 수정, 부가, 생략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제1 구성의 터미널의 작업 실행 관련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작업 실행 관련 내용과도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5-4 . 제2 구성 - 제1 사용자 입력 및 제2 사용자 입력
본 명세서의 상기 제2 예시적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제1 사용자 입력은 UISWI를 포함하며, 옵션으로 UITHEN 또는 UIACT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또는 상기 세부입력들 중 하나 이상의 취득)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1] 영상 유닛을 계속 꺼진 채로 유지하거나(즉 오프 상태), [2]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고(또는 착수 후) 잠금 모드로 이동하며 잠금 화면을 표시하거나, [3] 주 시스템을 착수하고(또는 착수 후) 해제 모드로 이동하며 홈 스크린을 표시하거나, 또는 [4] 기본 설정 시스템을 착수하고(또는 착수 후) 기본 설정 모드로 이동하며 기본 설정 화면을 표시하되, 이 때 기본 설정 모드는 다양한 중급 모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술과는 상이한 작업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네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서 UIACT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입력은 UITHEN 또는 UISWI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의 첫 번째 케이스의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을 하지 않으며, 따라서 제1 사용자 입력은 UITHEN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터미널은 UIACT에 대응하여 영상 유닛을 켜고,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한다. 그 후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거나,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UIACT 및 UITHEN을 포함하는 두 번째 케이스의 경우,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끈 상태로 유지하며,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끈 채로 유지하며 계속 오프 상태에 머무른다. 하지만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켜고,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UIACT 및 UITHEN을 포함하는 세 번째 케이스의 터미널은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영상 유닛을 켜고,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계속 잠금 모드에 머무르지만,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의 첫 번째 케이스의 터미널은 영상 유닛의 활성화를 조건으로 모드 이동을 하는 경우이지만, 상기 두 번째 및 세 번째 케이스의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을 조건으로 모드 이동을 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UISWI를 취득하지 않더라도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우는 UIACT 또는 UITHEN이 UISWI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로 간주할 수도 있다.
상기 네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서 UIACT와 UITHEN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입력은 UISWI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의 첫 번째 케이스의 경우, 터미널은 인증 작업을 실행하며, 그 후 [1]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영상 유닛을 끈 채로 유지하거나, 또는 [2]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영상 유닛을 켤 수 있다.
이의 두 번째 케이스의 경우, 터미널은 UIACT의 취득에 대응하여 영상 유닛을 켜고,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며,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한다. 터미널은 영상 유닛의 활성화 전, 동시 또는 활성화 후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1] 영상 유닛을 끄거나, 또는 [2] 잠금 모드에 머무를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해제 모드로 이동하고 영상 유닛에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케이스에서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의 결과를 조건으로 하여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네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처럼, 터미널은 UISWI를 취득하지 않더라도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이 경우는 UIACT이나 UITHEN이 UISWI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네 번째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서 UISWI, UIACT 및 UITHEN을 모두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의 첫 번째 케이스의 경우,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켜고, 이와 동시에 인증 작업을 실행하며, 사용자 인증 작업의 결과에 따라 특정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 또는 성공함에 따라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술의 활성화 작업 또는 사용자 인증 작업과 동시에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순차적 스위칭에 해당하지만, 선택적 스위칭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세 번째 상세예의 두 번째 케이스의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켜고, 이와 동시에 인증 작업을 실행하며, 사용자 인증 작업의 결과 및 UISWI에 따라 특정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UISWI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모드 중 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선택적 스위칭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상세예의 세 번째 케이스의 경우,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켠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사용자 인증 작업 또는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한다. 따라서 터미널은 활성화 작업 실행 후, 순차적으로 사용자 인증 작업이나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이동하려는 모드가 제한적 모드 또는 더 제한적 모드인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이 이미 세 개의 세부입력을 모두 취득하였으므로, 상기 터미널은 활성화 작업, 인증 작업 및 모드 이동 작업을 다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네 번째 실시예의 네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이 정전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미널은 상술의 상세예들과 같이 구동할 수 있다. 단 상기 상세예들과 본 상세예의 차이점들은 [1]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입력 유닛이 파워를 켜기 위한 입력 유닛이거나, [2] 파워를 켜기 위한 상기 입력 유닛이 UISWI 또는 UITHEN을 취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3] 터미널의 파워를 켜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착수하도록 하므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UIACT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상기 다섯 번째 실시예의 다섯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시동 상태이며 또한 온 상태에서 UIACT, UITHEN 및 UISWI을 모두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에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이의 수신에 대응하여 UISWI를 취득하고, 다양한 모드 이동 시점에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이 접근 권한이 적은 현재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더 넓은 신규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 터미널은 상술의 인증 작업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성에 따르며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작업 실행에 대한 기타 상세한 내용들은 (자세한 문맥에 따라 자명해지는 수정, 부가, 생략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제1 구성의 터미널의 작업 실행 관련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작업 실행 관련 내용과도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5-5. 제2 구성 - 잠금 CPU 유닛
본 명세서의 상기 제2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60)은 상술의 하나 이상의 잠금 CPU 유닛(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잠금 시스템(60)의 상기 잠금 CPU 유닛(70)은 [1] 주 시스템(10)의 주 CPU 유닛(3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닛으로, [2] 주 CPU 유닛(30)과 유사한 유닛이나 기능이 제한된 유닛으로, 또는 [3] 주 CPU 유닛(30)이 실행할 수 없는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유닛으로 간주할 수 있다.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잠금 시스템(60)은 (커넬을 포함 또는 포함하지 않은) 잠금 운영체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운영체계는 [1] 주 운영체계(34)와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2] 주 운영체계와 유사하지만 주 운영체계(34)보다 제한적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3] 주 운영체계(34)가 실행할 수 없는 작업을 하나 이상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옵션으로 잠금 운영체계를 잠금 CPU 유닛(70)과 함께 구동할 수 있다.
단 상기 잠금 CPU 유닛(70)의 최소한의 기능은 바로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들을 실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잠금 CPU 유닛(70)은 주 CPU 유닛(30)의 단순화(또는 간략화) 버전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상기 잠금 작업을 실행하기에 충분한, 최소한의 기능만을 잠금 CPU 유닛(70)에 부여할 수 있다. 상술의 설명은 잠금 운영체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터미널은 [1] 다양한 잠금 작업들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 또는 [2] 상술의 잠금 작업 실행 시 잠금 CPU 유닛(70)을 보완하기에 충분한 기능 등을 옵션 유닛인 잠금 운영체계에 부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일부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으로 보다 세련된 작업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동시에, 세련된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는 결과물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기를 원할 수도 있으며, 상술의 세련된 작업의 예로는 [1] 바하마 또는 케이만 군도 소재 은행과 관련된 금융 거래, 또는 [2] 사용자의 극히 개인적 일상사 등이 있다. 즉 사용자가 앞의 [1]이나 [2]와 관련된 잠금 모드의 기록에 대한 자취를 남기지 않기를 원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에 상기 시스템(60)의 모든 하드웨어 요소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충분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며, 필요한 경우 주 시스템(10)의 요소의 일부(또는 전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상기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충분한 기능을 잠금 CPU 유닛(70)에 부여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터미널은 잠금 운영체계에 충분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잠금 운영체계가 [1] 상술의 잠금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2] 잠금 CPU 유닛이 상기 잠금 작업을 실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잠금 CPU 유닛(70)은 상술의 제1 구성의 잠금 뷰어가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제1 구성의 잠금 뷰어가 기능이 부족하거나 접근 권한이 부족하여 실행할 수 없는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잠금 CPU 유닛(70)은 주 시스템(10)의 주 CPU 유닛(30)에 종속되는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유닛(70)은 [1] 주 CPU 유닛(30)과 협동하거나, [2] 상기 협동을 위하여 주 CPU 유닛(30)이나 주 시스템(10)의 기타 유닛을 호출(call)하거나, 또는 [3] 잠금(또는 주) 시스템(60)(10)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제2 예시적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의 다양한 요소들을 다양한 구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 전체와 주 시스템(10) 전체를 터미널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주 시스템(10)은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잠금 시스템(60)과 격리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배치에 대한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60)의 하나 이상의 잠금 유닛이 터미널과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나 탈착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잠금 CPU 유닛(70), 옵션인 잠금 운영체계, 옵션인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잠금 뷰어(71)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휴대용 기기 또는 탈착 기기(이후 "탈착 기기"로 통칭)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상세예의 첫 번째 케이스의 경우, 잠금 CPU 유닛(70)은 터미널에 장착되는 반면, 탈착 기기는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하며, 옵션으로 잠금 시스템(60)의 다른 유닛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에 장착된 잠금 CPU 유닛(70)은 잠금 작업을 실행하며, 옵션으로 탈착 기기에 장착된 잠금 메모리 유닛(80)으로부터 데이터 또는 결과물을 회수하거나, 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할 수 있다.
잠금 운영체계는 잠금 CPU 유닛(70)과 함께 터미널에 장착되거나, 또는 잠금 메모리 유닛(80)과 함께 탈착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잠금 메모리 유닛(80)도 탈착 기기 또는 터미널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과 같은 잠금 입력 유닛을 터미널이나 탈착 기기에 장착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이 잠금 영상 유닛 또는 잠금 스피커 등과 같은 잠금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잠금 출력 유닛 역시 터미널이나 탈착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잠금 CPU 유닛(70) 또는 잠금 운영체계는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되. 상기 작업을 [1] 탈착 기기에 장착된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잔류하거나 저장된 결과물에 대하여, [2] 터미널에 위치한 잠금 CPU 유닛(70)의 임시 메모리 섹터에 잔류하는 결과물에 대하여, 또는 [3] 앞의 [1]과 [2] 모두에 대하여 실행할 수 있다. 즉 잠금 시스템(60)은 현재 사용하는 탈착 기기를 신규 탈착 기기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는 1회용 기기로 취급할 수 있다. 특히 이전 세션 또는 현재 세션에서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던 중 현재 탈착 기기에 침투한 악성 바이러스가 상기 기기를 오염시키거나 오작동하도록 하면, 사용자는 현재 탈착 기기를 1회용 기기로 취급하여 처분하며, 신규 탈착 기기로 이를 대체할 수 있다.
강화된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주 시스템(10)에 저장된 데이터의 보호 강화 이외에도, 상술의 구성은 사용자에게 집중된 거점(hub-and-spoke)을 제공한다는 추가 혜택을 제공한다. 일예로 터미널에 장착된 단일의 잠금 CPU 유닛(70)은 다수의 탈착 기기와 한 번에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당한 탈착 기기를 선택하고, 이를 터미널과 연결하며, 사용자의 목적 또는 요구에 근거하여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제1 탈착 기기를 터미널과 연결하여 업무를 처리하고, 제2 탈착 기기를 터미널과 연결하여 가족사를 처리하는 반면, 제3 탈착 기기를 터미널과 연결하여 사생활을 처리할 수 있다.
잠금 CPU 유닛(70)이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들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탈착 기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탈착 기기로부터 결과물을 회수할 때,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이 [1] 잠금 CPU 유닛(70)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2] 터미널에 위치한 주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또는 [3] 터미널에 위치한 잠금 CPU 유닛(70)과 연결되는 탈착 기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확인할 필요가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CPU 유닛(70)은 삭제 작업이나 부분삭제 작업을 [1] 탈착 기기에 대해서만, [2] 잠금 시스템(60) 중 터미널에 장착된 부분에 대해서만, [3] 잠금 시스템(60)이 잠금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요청(call)한 주 시스템(10)의 부분에 대해서만, [4] 앞의 [1] 및 [2] 모두에 대하여, 또는 [5] 앞의 [1] 내지 [3] 모두에 대하여, 실행할 수 있다. 앞 문장의 [2]의 터미널은 탈착 기기 내부에 잔류하는 결과물은 삭제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 따라 [2-1]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을 각각의 탈착 기기에 보관할 수 있거나, 또는 [2-2] 사용자는 다음 세션에서 잠금 시스템(60)에 잔류하는 상기 결과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잠금 작업을 계속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주 CPU 유닛(30) 역시 본 문단의 앞의 [1] 내지 [4]에서 예시한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의 다양한 배치에 대한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 전체를 탈착 기기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탈착 기기 자체를 별개의, 자급자족할 수 있는 잠금 시스템(60)으로 간주할 수도 있으며, 상기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거나, 적정한 결과물을 저장하거나,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자체적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다수의 탈착 기기들을 한 번에 하나씩 터미널과 연결하고, 각각의 탈착 기기로 특정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탈착 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탈착 기기와 무선으로 교신할 수 있다.
상기 세 번째 상세예의 첫 번째 케이스의 경우,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도록 구성된 제1 탈착 기기를 터미널에 연결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1] 탈착 기기에 포함된 잠금 시스템(60)의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거나, 또는 [2] 주 CPU 유닛(30)을 이용하여(일예로 주 CPU 유닛이 특정 요소를 구동하도록 요청하여) 주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구동함으로써,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중급 모드(일예로 반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도록 구성된 제2 탈착 기기를 터미널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며 중급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탈착 기기 각각은 특정 모드에서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을 잠금 시스템(60) 및 탈착 기기에 장착된 다양한 잠금 유닛들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용이하게 격리할 수 있다. 또한 한 탈착 기기가 악성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오염되더라도, 상술의 효율적 격리로 인하여 터미널 및 주 시스템(10)은 어떤 피해도 입지 않을 수 있다.
[1] 탈착 기기가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잠금 CPU 유닛(70) 또는 [2] 옵션으로 최소의 저장 용량을 가진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보유하는 한, 탈착 기기는 경제적인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다수의 탈착 기기를 휴대하며 상이한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이에 알맞은 탈착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탈착 기기는 [1]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형태로 제작되거나, 또는 [2] 웨어러블 기기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의 일부가 휴대용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 장착되면, 터미널은 상이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에 대한 첫 번째 케이스의 경우,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다양한 상황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상기 기기에 장착된 잠금 시스템(60)의 구동을 완료한 후, 터미널에 장착된 주 시스템(10)의 구동을 (다시) 시작하려 할 경우, [2]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의 처리를 완료하였을 경우, [3] 터미널이 상기 기기에서 악성 바이러스 또는 상기 기기의 오작동을 발견하였을 경우, [4] 사용자가 상기 기기의 (특정) 용량을 초과하는 결과물을 얻었을 경우, 또는 [5] 사용자가 상기 기기를 특정 기간을 초과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등이 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에 대한 두 번째 케이스의 경우,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아래의 상황에서도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상황의 예로는 사용자가 [6] 상기 기기를 휴면(sleep) 상태로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기기에 장착된 영상 유닛 또는 통지 유닛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기기의 전원을 끄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였을 경우, [7] 상기 기기의 파워를 켠 채 상기 기기를 터미널로부터 분리할 때, 또는 [8] 상기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기기를 터미널로부터 분리할 때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문단의 다양한 시점은 물론 위 문단의 다양한 시점도 본 명세서의 "삭제 시점"에 포함된다. 또한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실시간, 잠정적 또는 사후적으로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잠금 CPU 유닛(70)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 또는 주 시스템(10)의 소프트웨어 앱을 구동하여 잠금 작업을 실행하며 상기 앱에 지정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주 CPU 유닛(30)은 다양한 목적으로 잠금 CPU 유닛(70)을 호출(call)할 수 있으며, 상기 목적의 예로는 [1]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데이터 저장, [2] 잠금 메모리 유닛(80)으로부터 결과물의 회수, [3] 잠금 시스템(60)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앱 구동 및 이를 통한 작업 실행 및 상기 앱에 지정된 특정 기능의 수행, 또는 [4] 잠금 하드웨어 요소 또는 잠금 소프트웨어 요소의 구동 등이 있다.
또한 잠금 CPU 유닛(70)은 주 CPU 유닛(30) 또는 주 운영체계(34)를 다양한 목적으로 호출(call)할 수 있으며, 상기 목적으로는 주 메모리 유닛(40)의 구동, 주 출력 유닛(50)의 구동, 또는 주 입력 유닛(20)의 구동 등이 있다.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으로 하여금 특정 모드에서 구동 중인 잠금 CPU 유닛(70)이 적합한 접근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잠금 CPU 유닛(70)의 호출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양한 상세예에서, 잠금 CPU 유닛(70)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주 CPU 유닛(30)을 호출하고 상기 유닛(30)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동시 삭제의 경우, 잠금 CPU 유닛(70) 및 주 CPU 유닛(30)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동시에 실행하되, 각 CPU 유닛(30)(70)이 실행하는 각각의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이 터미널의 클럭 주기 중 하나 이상의 공통 주기에서 서로 겹치도록 한다. 순차적 삭제의 경우, 잠금 CPU 유닛(70)이 상기 결과물의 일부를 삭제하고, 그 후 나머지 결과물은 주 CPU 유닛(30)이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주 시스템(10)은 주 유닛에 대한 접근을 엄격히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주 시스템(10)은 [1] 잠금 시스템(60)의 잠금 유닛이 주 시스템(10)의 주 유닛을 구동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2] 잠금 시스템(60)의 잠금 유닛 중 하나 이상의(하지만 전부는 아닌) 유닛이 주 유닛을 구동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3]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이 주 유닛에 저장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주 시스템(10)이 주 요소에 대한 접근을 엄격히 제어하는 한, 주 CPU 유닛(30)은 주 시스템(10)의 오염이나 오작동 또는 주 시스템(10)에 대한 해킹 걱정 없이, [1] 잠금 CPU 유닛(70)을 호출하거나, [2] 잠금 CPU 유닛(70)이 주 시스템(10)의 특정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3] 잠금 시스템(60)이 주 CPU 유닛(30)을 호출함으로써 주 CPU 유닛(30)이 주 시스템(10)의 주 요소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잠금 모드보다 해제 모드에 더 많은 접근 권한을 부여하므로, 주 CPU 유닛(30)은 사용자 인증 작업을 반드시 실행할 필요 없이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주 메모리 유닛(40)의 저장 공간이 부족해지면, 주 CPU 유닛(30)은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1] 특정 데이터를 주 메모리 유닛(40)보다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2] 낯선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한 데이터가 보안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을 때, 또는 [3] 사용자가 제3자가 접근할 수 있거나 또는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주 메모리 유닛(40)에 상기 결과물을 저장하기를 원치 않을 때, 터미널이나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를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할 수 있다.
주 CPU 유닛(30)은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 또는 주 운영체계(34)의 허락 없이 잠금 시스템(60)의 일부를 수정 또는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유의 예로는 [1] 잠금 시스템(60)의 일부 또는 전체가 바이러스로 오염되었거나 해킹되어서 터미널이 상기 시스템(60)을 보수해야 하는 경우, [2] 터미널 또는 사용자가 잠금 시스템(60)에 신규 (소프트웨어) 앱을 장착해야 하는 경우, 또는 [3] 주 CPU 유닛(30)이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데이터 또는 결과물을 저장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 있다.
비록 터미널이 잠금 시스템(60)에 주 시스템(10)에 부여하는 만큼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지는 않더라도, 잠금 CPU 유닛(70)으로 하여금 주 CPU 유닛(30)을 호출하거나 또는 주 CPU 유닛(30)을 이용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주 시스템(10)의 특정 유닛을 구동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터미널은 잠금 CPU 유닛(70)으로 하여금 주 CPU 유닛(30) 또는 주 시스템(10)의 다른 유닛의 일부를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허락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CPU 유닛(70)은 주 CPU 유닛(30)을 호출하고, 상기 유닛(30)이 잠금 시스템(60)에 속한 앱을 구동하여 특정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잠금 CPU 유닛(70)은 주 CPU 유닛(30)이나 주 메모리 유닛(40)을 호출하여 [1] 잠금 모드에서 주 메모리 유닛(40)으로부터 결과물을 회수하거나 또는 [2] 상기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CPU 유닛(70)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주 메모리 유닛(40)을 호출하여 [1] 특정 메모리 섹터를 수정하거나 또는 [2] 특정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
접근 권한이 더 적은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가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에서 구동하는 시스템을 접근하도록 허락할 경우, 이는 터미널의 보안이나 완전성에 상당히 불리할 수 있다. 특히 잠금 시스템으로 신뢰성 없는 웹사이트를 방문하며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한 사용자가 해제 모드로 이동하면, 상기 터미널의 보안이나 완전성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또는 사용자는 특정 접근을 제한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접근을 특정 상황에서만 또는 특정 인증이나 허락 등이 있는 경우에만 허락할 수 있다.
본 섹션의 모든 상세예들에서, 특히 터미널에 장착된 CPU 유닛이 탈착 기기, 휴대용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 등의 외부 기기에 장착된 유닛에 대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경우,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 또는 잠금 CPU 유닛(70) 중 한 유닛만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충전용 전지 또는 하나 이상의 축전지를 포함하고, 이로부터 상기 작업 실행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문장에서 설명한 상기 구성은 잠금 시스템(60)의 하나 이상의 유닛이 상술의 외부 기기에 장착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섹션의 모든 상세예에서, 터미널은 "결과물"은 물론 잠금 시스템에 장착된 소프트웨어 앱에 대해서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앱은 [1] 터미널의 일부, 또는 [2] 탈착 기기, 휴대용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 등 외부 기기의 일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터미널이 잠금 시스템(60)의 최소 일부분을 서식 설정 또는 초기화 등의 방법으로 삭제하고, 그 결과 잠금 운영체계의 일부나 상기 앱도 삭제하는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 작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잠금 시스템(60)을 착수하기 전, 상기 앱이나 잠금 운영체계를 다시 장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이나 주 운영체계가 서식 설정 기능, 초기화 기능 등을 갖추도록 하며, 특히 [1] 잠금 메모리 유닛(80)의 최소한 일부 또는 [2] 잠금 시스템(60)이나 주 시스템(10)의 임시 메모리 섹터 중 하나 이상의 섹터에 대한 서식 설정이나 초기화를 실행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이나 주 운영체계(34)로 하여금 잠금 운영체계, 특정 앱, 상기 앱의 드라이버 등을 재장착할 수 있도록 허락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성에 따른 잠금 CPU 유닛과 주 CPU 유닛의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관련 기타 상세한 내용은 (자세한 문맥에 따라 자명해지는 수정, 부가, 생략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제1 구성의 터미널의 잠금 CPU 유닛과 주 CPU 유닛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관련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상기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5-6. 제2 구성 - 잠금 메모리 유닛
본 명세서의 상기 제2 예시적 측면의 일곱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었거나 또는 상기 잠금 작업의 실행과 관련된 "결과물"을 임시로, 조건부로 또는 영구적으로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일반적으로 잠금 CPU 유닛(70)에 의하여 호출되고, "결과물" 또는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나 결과물을 잠금 CPU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기존 메모리 기기와 유사하게 제작되고, 기존 메모리 기기와 유사하게 터미널에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과 같이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탈착 기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탈착 기기는 전적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8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탈착 기기는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하고, 옵션으로 잠금 CPU 유닛(70), 잠금 뷰어(71)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잠금 메모리 유닛(80)의 일부는 터미널에 장착되는 반면 나머지 부분은 탈착 기기에 장착될 수도 있다.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상술의 휴대용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술과 같이, 주 시스템(10) 또는 주 CPU 유닛(30)은 다양한 목적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호출할 수 있다. 일예로 주 시스템(10)은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호출하여 [1] 주 시스템(10)으로부터 기인하는 제1 결과물을 저장하거나 또는 [2] 잠금 시스템(60)으로부터 기인하는 제2 결과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과물은 해제 모드에서 다양한 해제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인 반면, 제2 결과물은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지칭한다.
상술과 같이, 주 시스템(10)이 잠금 메모리 유닛(80)과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연결되는 경우, 주 시스템(10)은 잠금 시스템(60)이 바이러스나 악성 코드로 감염된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 또는 주 시스템(10)의 기타 유닛으로 전송하지 못하도록 예방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 주 시스템(10)이 잠금 메모리 유닛(80)으로 하여금 특정 결과물을 저장하도록 요청할 경우,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결과물을 영구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또는 주 시스템(10)이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잠금 시스템(60)은 다양한 목적으로 주 메모리 유닛(40)을 호출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메모리 유닛(80)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일예로 주 CPU 유닛이나 주 운영체계를 통하여) 주 메모리 유닛(40)을 호출하고, [1] 잠금 시스템(60)으로부터 기인하는 결과물 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거나 또는 [2] 잠금 시스템(60)에 저장된 데이터나 잠금 시스템(60)이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 시스템(10)에 장착된 특정 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시스템(60)이 주 메모리 유닛(40) 또는 주 시스템(10)의 기타 유닛에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연결될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의 특정 작업을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작업의 예로는 잠금 시스템(60)이 [1] 바이러스에 오염된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 또는 주 시스템(10)의 다른 유닛에 전송하는 작업, [2] 주 시스템(10)의 구성, 작업 등을 변경하는 작업, [3] 주 시스템(10)의 데이터나 앱을 제거하는 작업, 또는 [4] 주 시스템(60)에 신규 데이터 또는 앱을 추가하는 작업 등이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주 시스템의 보안, 완전성, 개인 정보 보호 등에 대한 걱정 없이 사용자로 하여금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60)으로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상술의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악성 바이러스나 잠재적으로 위협이 되는 코드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바이러스 또는 코드가 주 유닛으로 이주하거나, 주 시스템(10)을 오염시키거나, 주 시스템(10)의 기능을 저하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는 다른 코드나 바이러스보다 더 끈질기며, 따라서 심지어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더라도 성공적으로 주 시스템(10)에 침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나 코드를 제거하기 위하여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유닛(80), 심지어 잠금 시스템(60) 전체를 다양한 시점에 서식 설정하거나 초기화할 수 있다. 따라서 주(또는 잠금) 시스템(10)(60)은 잠금 CPU 유닛(70)이나 잠금 앱 등을 다양한 초기화 시점에 초기화할 수 있으며, 상기 초기화 시점의 예로는 [1]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특정 횟수 실행한 후, [2] 특정 바이러스나 악성 코드를 발견했을 때, [3] 잠금 시스템(60)의 하나 이상의 잠금 유닛의 오작동을 발견하였을 때 또는 [4] 잠금 메모리 유닛 또는 주 시스템의 유닛에서 특정 오염을 발견했을 때 등이 있다.
상술의 제2 구성의 잠금 메모리 유닛 및 주 메모리 유닛의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관련 기타 상세한 내용은 (자세한 문맥에 따라 자명해지는 수정, 부가, 생략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제1 구성의 터미널의 잠금 메모리 유닛과 주 메모리 유닛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관련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상기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5-7. 제2 구성 - 잠금 출력 유닛
본 명세서의 상기 제2 예시적 측면의 여덟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옵션으로 잠금 시스템(60) 또는 주 시스템(10)에 잔류하는 결과물이나,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는 잠금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출력 유닛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의 예로는 [1] 주 영상 유닛 또는 잠금 영상 유닛에 이미지나 동영상 등의 다양한 시각적 신호를 표시하거나, [2] 주 스피커 또는 잠금 스피커로 소리를 재생하거나 또는 비프를 생성하는 등 다양한 청각적 신호를 재생하거나, [3] 주 진동기 또는 잠금 진동기로 다양한 촉각적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4] 터미널 또는 특정 부위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등이 있다.
[도10B]는 본 명세서의 제2 구성에 따르는 다른 예시적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블록선도이다. 특히 상기 터미널은 단일의 주 시스템(10)과 단일의 잠금 시스템(60)을 포함하며, 상기 주 시스템(10)은 [도10A]의 주 시스템과 동일한 반면, 잠금 시스템(60)은 하나 이상의 잠금 CPU 유닛(70), 하나 이상의 잠금 출력 유닛(90) 등을 포함하며, 옵션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80) 등의 기타 잠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상기 잠금 출력 유닛(90)은 전형적으로 옵션 유닛이며, 그 이유는 추가 영상 유닛, 추가 스피커, 추가 진동기 등을 터미널에 장착함으로써 터미널의 부피는 물론 무게도 증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터미널의 제조 단가도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터미널은 주 영상 유닛, 주 스피커, 주 진동기 또는 주 엑츄에이터 등을 잠금 출력 유닛(90)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 출력 유닛(50)과는 별개로 추가 잠금 출력 유닛(90)을 포함하는 중복 구성 여부는 관련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당업자의 선택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잠금 출력 유닛(90)을 탈착 기기에 장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탈착 기기로 [1] 이미지를 보거나, [2] 소리나 음악을 듣거나, 또는 [3] 진동을 느낄 수 있다. 기존의 웨어러블 기기의 경우, 터미널은 상기 기기의 적합한 유닛을 잠금 출력 유닛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추가 출력 유닛을 터미널 내부에 장착하고 이를 잠금 출력 유닛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추가 영상 유닛, 추가 스피커, 추가 진동기 또는 추가 엑츄에이터를 내부에 장착한 후, 이를 잠금 출력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잠금 출력 유닛이 주 시스템(일예로 주 메모리 유닛, 주 출력 유닛 등)을 접근하도록 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술의 다양한 통지 유닛도 잠금 출력 유닛으로 간주할 수 있거나 또는 잠금 출력 유닛으로 호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 CPU 유닛(30)이 주 출력 유닛을 구동하듯, 잠금 CPU 유닛(70)도 잠금 출력 유닛(90)을 구동할 수 있다. 터미널이 별개의 잠금 출력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 대신 주 출력 유닛의 특정 부위를 잠금 출력 부위로 사용하면, 잠금 출력 부위는 잠금 CPU 유닛(70), 주 CPU 유닛(30)이나 두 CPU 유닛 모두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표시할 데이터를 잠금 시스템(60)으로부터 주 시스템(10)의 잠금 출력 부위로도 전달할 수 있되, 상기 데이터가 주 시스템(10)의 어떤 유닛에도 악영향을 미치거나 주 시스템(10)의 어떤 유닛도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성의 잠금 출력 유닛 및 주 출력 유닛의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관련 기타 상세한 내용은 (자세한 문맥에 따라 자명해지는 수정, 부가, 생략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제1 구성의 터미널의 잠금 출력 유닛과 주 출력 유닛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관련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상기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5-8 . 제2 구성 - 삭제 또는 부분삭제
본 명세서의 상기 제2 예시적 측면의 아홉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여 삭제할 수 있다. 터미널은 [1] 주 CPU 유닛(30)이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의 실행을 전담하도록 하거나, [2] 잠금 CPU 유닛(70)이 삭제나 부분삭제 작업의 실행을 전담하도록 하거나, 또는 [3] 두 CPU 유닛(30)(70)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이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에 제한된 기능만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의 예로는 텍스트나 이미지의 표시, 동영상이나 가청 소리의 재생, 웹 검색 등이 있다. 상기 잠금 시스템(60)은 어떤 결과물도 자체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터미널은 별도의 삭제 작업 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필요는 없지만,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에 잔류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이 잠금 메모리 유닛(80)을 포함하는 경우, 주 시스템(10) 또는 잠금 시스템(60)은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왜냐하면 상술의 "결과물"의 일부는 궁극적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80), 잠금 시스템(60)의 다른 유닛, 잠금 시스템(60)의 다른 메모리 섹터에 잔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물이 제거된 후에도, 데이터 잔류현상에 의한 문제가 남는다. 따라서 상기 다양한 결과물이 터미널의 주 시스템(10)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는 한,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의 기타 상세한 내용은 제1 구성의 상기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삭제(또는 부분삭제)의 상기 내용과도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 주(또는 잠금) 시스템(10)(60)은 저장 예정 결과물을 [1] 잠금 메모리 유닛(80)에만 저장하거나, [2] 주 메모리 유닛(40)에만 저장하거나, 또는 [3] 두 개의 메모리 유닛(40)(80) 모두에 저장하는 동안, 삭제 예정 결과물을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 예정 결과물을 수동으로 선택한 후 영구적으로, 임시로 또는 조건부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적응적으로 어떤 결과물을 저장하고 삭제할지 결정할 수 있다.
터미널이 저장 예정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저장할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 또는 사용자가 상기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주 CPU유닛(30)이 잠금 메모리 유닛(80)의 데이터를 회수하거나, 회수한 데이터를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시스템(60)이 상기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에 저장할 경우, 잠금 시스템(60)은 터미널 또는 사용자의 허가를 받도록 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여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로부터 잠재적 악성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시스템(60)이 결과물로부터 위험을 인지하지 않았더라도, [1] 사용자가 어떤 웹사이트를 방문했는지, [2] 잠금 모드에서 어떤 잠금 작업을 실행하였는지, 또는 [3]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어떤 결과물을 얻었는지 등을 공개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안 강화 및 완전성 향상을 위하여, 또한 터미널 구동에 대한 개인 정보의 보안을 위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제2 예시적 측면의 열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의 현황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명령 또는 피드백을 받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과 관련된 다양한 스텝을 관찰하고 상기 스텝에 대하여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다.
상기 열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의 실행을 알리며, 일예로 사용자에게 [1] 언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시작할지, [2] 언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이 완료될지, 또는 [3]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한 성과 등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는 제한적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데이터 또는 결과물의 전부나 특정 부분이 삭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사용자가 저장 예정 결과물, 삭제 예정 결과물 등을 수동으로 마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곱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악성 바이러스의 침투를 감시하며, 상기 결과물로부터 이를 감지한다. 일예로 의심스러운 데이터나 파일을 발견할 경우, 터미널은 자동적으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며, 옵션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의 실시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과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실시간 삭제는 작업의 연속성에 방해가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는 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은 사용자에게 특정 잠금 작업 실행에 따라 의심스러운 데이터나 파일이 잠금 시스템(60)에 침투하였고, 상기 작업(또는 사용자가 방문 중인 웹사이트)을 중지하거나 아니면 문제점을 해결해야 함을 알릴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이 의심스러운 데이터나 파일을 감지한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의 반응을 기다릴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은 일단 사용자의 동의를 수신한 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삭제(또는 부분삭제)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의 작업을 다시 시작하고, 그 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은 상술의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은 작업의 연속성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계속하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의심스러운 데이터나 파일이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잠금 시스템(60)의 다른 유닛을 오염시키기 시작하고 악화시킴에 따라, 주 시스템(10) 또는 터미널 자체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 작업을 실시간 삭제 작업과 병행함으로써, 잠정적 또는 사후적 삭제 작업에 수반되는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일곱 번째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을 감시하며, 주 시스템(10)이나 여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비밀 유지에 심각한 위반을 감지하면,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잠금 시스템(60) 전체에 대한 서식 설정 작업 또는 초기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서식 설정 또는 초기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심각한 위반을 감지하면, 터미널은 자동적으로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잠금 시스템(60) 전체에 대한 서식 설정 또는 초기화 작업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보내거나 또는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실시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과 유사한, 실시간 초기화라고 간주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상기 심각한 위반을 감지하면,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 및 서식 설정이나 초기화를 권장하는 신호를 보낸 후 사용자의 반응을 기다릴 수 있다. 사용자가 이에 동의하면,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유닛(80) 또는 잠금 시스템(60)의 다른 유닛에 대하여 서식 설정이나 초기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서식 설정이나 초기화에 동의하지 않으면,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작업을 다시 시작하고, 그 후 서식 설정 작업이나 초기화 작업을 실행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기 구성은 잠정적 또는 사후적 초기화라고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성의 삭제(또는 부분삭제)의 기타 작업 실행과 관련된 특성은 (자세한 문맥에 따라 자명할 수도 있는 수정, 부가, 생략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제1 구성에 따른 삭제(또는 부분삭제)의 작업 실행 관련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삭제(또는 부분삭제)의 상응하는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5-9 . 제2 구성 - 변형 및 개량
상기 제2 구성의 다양한 터미널은 상술과는 상이한 배치 또는 순서에 따라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구성의 터미널의 변형 또는 수정은 상기 제1 구성의 터미널의 변형 또는 수정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의 제2 구성 및 제2 예시적 측면의 실시예와 상세예는 단일의 잠금 모드와 단일의 해제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과 주로 관련되지만, 상기 실시예 및 상세예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는 상이한 계층에서 작동하는 다른 터미널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의 다양한 실시예와 상세예는 두 개의 모드, 세 개의 모드 또는 그 이상의 모드 사이에서 이동하는 터미널에도 적용되며, 그 중 하나 이상의 모드는 상술의 해제 모드에 해당할 수 있는 반면, 하나 이상의 다른 모드는 상술의 잠금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 예시적 측면(즉 상술의 제2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에서 예시한 터미널의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변형 또는 수정은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나 상세예와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예시적 측면의 특정 실시예 또는 상세예의 특정 특성은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다른 실시예나 상세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상의 특성, 이의 변형이나 수정 역시, 하술의 적용, 포함, 대체 또는 결합이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1] 본 명세서의 상이한 측면, 실시예 또는 상세예의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결합될 수 있다.
6 . 제3 구성 - 내장형 잠금 시스템
본 명세서의 제3 구성에 해당하는 본 명세서의 제3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 (하나 이상의 주 유닛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의 섹션 45와 마찬가지로, 제3 구성에 따르는 주 시스템은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며, 하나 이상의 주 CPU 유닛, 주 입력 유닛, 주 출력 유닛 및 주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며, 옵션으로 기타 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 구성의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구동하며, 하나 이상의 잠금 CPU 유닛 및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며, 옵션으로 잠금 뷰어, 잠금 입력 유닛, 잠금 출력 유닛 등의 잠금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섹션 45의 잠금 시스템과는 달리, 제3 구성에 의한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으로부터 완전히 격리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잠금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주 시스템과 결합하거나 주 시스템과 통합됨으로써, 주 시스템의 특정 유닛이 이에 상응하는 잠금 시스템의 유닛과 통합된 유닛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구성의 터미널의 통합 유닛(또는 단일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 유닛과 잠금 유닛 전체나 특정 부분을 포함하는 유닛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상기 주 유닛과 잠금 유닛은 서로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이 상술의 물리적 구성을 가질 때 이를 "내장형 시스템"이라고 통칭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에 제한된 기능만 제공하므로, 상기 잠금 시스템은 주 시스템에 "내장"되었다고 표현하기로 한다.
상술과 같이 특정 주 유닛과 이에 대응하는 잠금 유닛 사이의 물리적 결합으로 인하여, 터미널은 더욱 간단한 크기나 모양(즉 소형)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비록 주 시스템의 일부 요소와 잠금 시스템이 통합된 유닛을 구성하지만,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작업 실행 상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을 격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안 강화, 완전성 향상 및 개인 정보 보호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터미널의 제조 방법도 최적화될 수 있으며, 일예로 [1] 단일의 마이크로 칩을 두 부위로 구분한 후, 한 부위는 주 CPU 유닛으로, 다른 부위는 잠금 CPU 유닛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 다른 칩을 두 부위로 구분한 후, 한 부위는 주 메모리 유닛으로, 다른 부위는 잠금 메모리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술에서는 제3 구성에 의한 다양한 터미널의 잠금 시스템 및 주 시스템을 설명하되, 상기 제1 구성과 동일한 특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6-1 . 제3 구성 - 주 시스템
본 명세서의 상기 제3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요소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주 유닛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주 소프트웨어 요소는 [1] 주 하드웨어 요소에 내장되거나 또는 [2] 주 운영체계 또는 주 (소프트웨어) 앱의 일부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의 별개의 코드로 제작될 수 있다.
[도11]은 내장형 구성을 가진 본 명세서의 제3 예시적 측면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블록선도이다. 특히 [도11]은 상기 터미널의 주 시스템을 다수의 추상적 층으로 묘사한 경우로서, 주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주 CPU 유닛(30), 주 입력 유닛(20), 주 메모리 유닛(40), 주 출력 유닛(50), 주 (소프트웨어) 앱 및 하나 이상의 커넬 등을 포함하는 주 운영체계(34)를 포함하며, 옵션으로 기타 주 유닛(51)을 포함할 수 있다.
주 입력 유닛(20)은 다양한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하며, 주 입력 유닛(20)은 상기 터미널의 유일한 입력 유닛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제3 구성의 터미널의 주 입력 유닛(20)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역할도 수행하도록 하며, 주 입력 유닛(20)에 제공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제3 구성에 의한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60)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시스템(60)은 하나 이상의 잠금 CPU 유닛(또는 부위)(30L), 잠금 메모리 유닛(또는 부위)(40L) 및 잠금 출력 유닛(50)을 포함하며, [도1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옵션으로 기타 유닛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의 제2 구성과 같이, 제3 구성에 따르는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CPU 유닛(30L)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는 데 주 CPU 유닛(30) 또는 주 운영체계(34)를 호출할 필요가 없다.
제3 구성의 터미널의 주 시스템(10)의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기타 특성은 (자세한 문맥에 따라 자명해지는 수정, 부가, 생략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상술의 제2 구성의 주 시스템의 상응하는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상응하는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6-2 . 제3 구성 - 잠금 시스템
[도1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상기 제3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주 시스템(10)에 내장된 잠금 시스템(60)을 포함한다. 특히 잠금 시스템(60)의 상응하는 유닛은 각각 주 시스템(10)의 상응하는 유닛에 내장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1] 주 CPU 유닛(30)과 잠금 CPU 부위(30L)가 합쳐진 "통합 CPU 유닛," [2] 주 메모리 유닛(40)과 잠금 메모리 부위(40L)가 합쳐진 "통합 메모리 유닛," 또는 [3] 주 출력 유닛(50)과 잠금 출력 유닛(50L)이 합쳐진 "통합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11]의 예시와 같이, 주 입력 유닛(20)은 제3 구성에 따르는 터미널의 유일한 입력 유닛에 해당할 수 있으며, 따라서 주 입력 유닛(20)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주 입력 유닛(20)은 UISWI를 취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도11]의 주 입력 유닛(20)은 주 입력 유닛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이 합쳐진 통합 유닛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성의 잠금 시스템(60)의 다양한 잠금 유닛은 통합 유닛의 일부분으로 간주할 수 있고, 잠금 시스템(60)의 각각의 유닛은 각 통합 유닛의 관련된 부위로 간주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3 구성의 잠금 유닛은 "잠금 CPU 부위(30L)"나 "잠금 메모리 부위(40L)" 또는 "잠금 출력 부위(50L)"라 지칭할 수 있다.
6-2-1 . 완전 내장
본 명세서의 상기 제3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이자 첫 번째 예시적 구성에서는, 잠금 시스템(60) 전체가 주 시스템(10)에 내장(또는 통합)된다. 일예로 [도11]의 터미널은 통합 CPU 유닛이 하나 이상의 주 CPU 유닛(30)과 하나 이상의 잠금 CPU 부위(30L)를 포함하는 내장형 구성의 예시이다. 또한 통합 메모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 메모리 유닛(40)과 하나 이상의 잠금 메모리 부위(40L)를 포함하며, 통합 출력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 출력 유닛(50) 및 하나 이상의 잠금 출력 부위(50L)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유닛을 통합된, 합쳐진 또는 단일의 유닛으로 간주하더라도, 각 통합 유닛의 제1 부위는 해제 모드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반면, 각 통합 유닛의 제2 부위는 잠금 모드에서 작업을 실행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기 잠금 시스템(60)의 잠금 부위들은 주 시스템(10)에 분산되는 형태로 내장된 경우이다.
특히 통합 CPU 유닛은 두 개 이상의 상이한 부위, 섹터 또는 공간을 정의하며, 이 때 제1 부위는 주 CPU 유닛(30)의 기능을 담당하는 반면, 제2 부위는 잠금 CPU 부위(30L)의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통합 CPU 유닛은 다양한 기존의 공정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예로, 단일의 실리콘 웨이퍼를 (물리적으로는 아니지만) 작업 실행 상 두 개 이상의 부위로 분할하되, 단일의 웨이퍼라는 전체적인 구성은 유지한다. 제조사는 기존의 반도체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웨이퍼의 제1 부위에 전기 회로를 구성한 후, 상기 제1 부위에 회로를 추가하여 어셈블러, 펌웨어, 커넬 등을 구성한다. 그 후 제조사는 제1 부위에 주 운영체계와 다양한 주 (소프트웨어) 앱들을 장착함으로써 주 CPU 유닛(3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조사는 유사한 기존의 반도체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웨이퍼의 제2 부위에 상이한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여기에 회로를 추가할 수 있다. 제조사는 옵션으로 상기 제2 부위에 잠금 운영체계나 다른 잠금 (소프트웨어) 앱을 장착함으로써, 잠금 CPU 부위(30L)를 제작할 수 있다.
이 같이 단일의 반도체 칩 위에 두 개의 상이한 부위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통합 CPU 유닛은 단일의 물체의 물리적 형태를 유지하면서 주 CPU 유닛(30)은 물론 잠금 CPU 부위(30L)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비록 단일의 웨이퍼에 상이한 부위들을 형성하였지만, 상기 부위들은 일반적으로 직접 교신하지는 않을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제2 부위(일예로 잠금 시스템의 부위)가 제1 부위(일예로 주 시스템의 부위)를 구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강화된 보안, 향상된 완전성, 높아진 개인 정보 보호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제조사는 두 개의 별개의 가공된 웨이퍼를 물리적으로 통합하여 통합 CPU 유닛을 제조할 수 있다. 일예로 제조사는 두 개의 독립적, 결합되지 않은 웨이퍼에 기존의 반도체 제조 공정을 이용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한다. 제조사는 각 웨이퍼에 추가 회로를 구성하여 제1 웨이퍼는 주 CPU 유닛(30)으로 구성하지만, 제2 웨이퍼는 잠금 CPU 부위(30L)로 구성할 수 있다. 그 후 제조사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제1 웨이퍼 및 제2 웨이퍼를 결합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웨이퍼들을 [1] 나란히 수평 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 또는 한 웨이퍼 주변에 다른 웨이퍼를 배치하며 결합하거나, [2] 공통의 기저(substrate) 위에 배치한 후 상기 기저에 결합하여 통합 유닛을 제공하거나, 또는 [3] 접착제 등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조사는 제1 웨이퍼에 주 운영체계 또는 주 (소프트웨어) 앱을 장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요소를 주 CPU 유닛(30)에 장착한다. 또한 옵션으로 잠금 운영체계 또는 다른 앱들을 제2 웨이퍼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잠금 CPU 부위(30L)에 장착할 수 있다. 이 때 제조사는 상기 웨이퍼들을 물리적으로 결합하기 전 또는 상기 결합 후 상기 소프트웨어 요소를 장착할 수 있다. 그 결과 통합 칩은 주 CPU 유닛(30) 및 잠금 CPU 부위(30L)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비록 통합 CPU 유닛이 두 개의 별개의 마이크로 칩의 조립이지만, 상기 유닛은 여전히 단일의, 통합된 물체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잠금 CPU 부위(30L)는 주 CPU 유닛(30)에 대한 다양한 구성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CPU 부위(30L)는 주 CPU 유닛(30)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잠금 CPU 부위(30L)와 주 CPU 유닛(30)은 [1] 각각 별개의 하드웨어 요소의 형태로 제작되거나, [2] 서로 가깝게 배치되거나. [3]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서로 일정한 거리로 배치되거나, 또는 [4] 유무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록 주 CPU 유닛(30)과 잠금 CPU 부위(30L)는 두 개의 별개의 칩이나 부위로 구성된 통합 CPU 유닛의 형태로 제공되지만, 터미널은 한 유닛(또는 부위)을 다른 부위(또는 유닛)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함으로써, 향상된 보안과 완전성 및 강화된 데이터 보호 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과 잠금 CPU 부위(30L) 사이에 어떤 물리적, 광학적, 전기적 또는 자기적 연결도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이들 사이의 전기적, 광학적 또는 자기적 교신이나 간섭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의 주 운영체계 또는 주 (소프트웨어) 앱 등을 잠금 CPU 부위(30L)에 장착된 잠금 운영체계 또는 잠금 (소프트웨어) 앱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다.
상기 통합 CPU 유닛과 마찬가지로, 통합 메모리 유닛도 두 개 이상의 상이한 부위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중 한 부위는 주 메모리 유닛(40)으로, 다른 부위는 잠금 메모리 부위(40L)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메모리 유닛은 통합 CPU 유닛에서 설명한 바 있는 다양한 기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합 CPU 유닛과 마찬가지로, 터미널은 주 메모리 유닛(40)을 잠금 메모리 부위(40L)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술과 같이 향상된 완전성, 강화된 보안, 높아진 개인 정보 보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통합 메모리 유닛의 제조 또는 구동에 대한 기타 상세한 내용은 통합 CPU 유닛의 상응하는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6-2-2 . 부분 내장
본 명세서의 상기 제3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 두 번째 예시적 구성의 경우, 잠금 시스템(60)의 전체 부위는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부위는 주 시스템(10)에 통합(또는 내장)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시스템(60)은 두 개의 상이한 잠금 CPU 부위(일예로 잠금 CPU 유닛 및 잠금 CPU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 CPU 유닛은 주 CPU 유닛에 내장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주 CPU 유닛으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하지만 잠금 CPU 부위는 주 CPU 유닛에 내장됨으로써 주 CPU 유닛과 함께 통합 물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잠금 시스템(60)은 주 CPU 유닛으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리된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잠금 CPU 유닛은 주 CPU 유닛의 내부, 상부, 하부, 측면 또는 근처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잠금 CPU 유닛은 주 CPU 유닛으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리되며, 통합 물체를 구성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상술과 같이 잠금 CPU 부위는 주 CPU 유닛과 통합 물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잠금 CPU 유닛은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잠금 CPU 부위와 연결할 수 있으며,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모드에서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할 때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잠금 CPU 유닛 및 잠금 CPU 부위를 연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시스템(60)은 상기 시스템(60)의 다양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연동하여 구동할 수 있고, 잠금 시스템(60)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요소가 주 시스템의 특정 주 유닛과 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 CPU 유닛과 잠금 CPU 부위와 마찬가지로,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메모리 유닛 또는 잠금 메모리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 메모리 유닛은 주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리되며, 또한 주 메모리 유닛의 내부, 상부, 하부, 측부 또는 근처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잠금 메모리 유닛은 주 메모리 유닛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또한 주 메모리 유닛과 통합 물체를 구성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상술과 같이 잠금 메모리 부위는 주 메모리 유닛과 통합 물체를 구성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메모리 유닛을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잠금 메모리 부위와 연결함으로써,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메모리 유닛과 잠금 메모리 부위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고, 상기 연동의 예로는 상기 유닛 또는 부위로부터 데이터 회수나, 상기 유닛 또는 부위로의 데이터 저장 등이 있다. 따라서 잠금 시스템(60)은 [1] 잠금 메모리 유닛과 잠금 메모리 부위와의 협력, 또는 [2] 잠금 메모리 유닛(또는 부위)과 주 메모리 유닛(40) 사이의 협력을 동기화할 수 있다.
잠금 CPU(또는 메모리) 유닛은 [1] 잠금 CPU(또는 메모리) 부위 근처에 가까이 배치될 필요는 없거나 또는 [2] 터미널 내부에 장착될 필요는 없다. 일예로 잠금 CPU(또는 메모리) 유닛은 탈착 기기, 휴대용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기기의 상세한 예는 상술하였다.
터미널은 잠금 CPU(또는 메모리) 유닛을 주 CPU(또는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함으로써, 주 CPU(또는 메모리) 유닛에 대한 잠금 CPU(또는 메모리) 유닛의 접근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의 강화된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강화된 개인 정보 보호를 유지하는 한, 잠금 CPU(또는 메모리) 유닛은 터미널(또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주 시스템의 일부 메모리 섹터, 운영체계의 일부 부위, 또는 일부 앱을 공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잠금 CPU(또는 메모리) 유닛에 의한 주 CPU(또는 메모리) 유닛의 구동을 방지하거나, 또는 터미널이 사용자를 인증하는 경우에 한하여, 잠금 CPU(또는 메모리) 유닛에 의한 주 CPU(또는 메모리) 유닛의 구동을 허락할 수 있다.
터미널은 중복 구성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주 CPU 유닛에 내장된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하거나, 주 CPU 유닛의 외부에 배치된 추가 CPU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주(또는 잠금)CPU 유닛이 상당한 피해를 입게 되어 정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터미널은 상기 추가 CPU 유닛을 중복 주(또는 잠금) CPU 유닛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주 운영체계의 전체 또는 부분, 커넬의 전체 또는 부분 등과 같은 필수 컴퓨터 코드를 상기 추가 CPU 유닛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추가 CPU 유닛을 주 CPU 유닛 또는 잠금 CPU 유닛의 복제 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주 CPU 유닛이나 잠금 CPU 유닛의 일부만을 추가 CPU 유닛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주(또는 잠금) CPU 유닛이 악성 바이러스에 의하여 오염되는 경우, 터미널은 추가 CPU 유닛으로 상기 감염된 CPU 유닛을 대체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은 감염된 유닛에 대하여 초기화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터미널은 주(또는 잠금) 메모리 유닛의 중복 메모리 유닛인 동시에 주(또는 잠금) 메모리 유닛의 백업 유닛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백업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상기 백업 메모리 유닛을 주(또는 잠금) 메모리 유닛의 복제(즉 동일한 구성)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주(또는 잠금) 메모리 유닛의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필수 데이터만 상기 백업 메모리 유닛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업 메모리 유닛은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즉 데이터를 주 메모리 유닛이나 잠금 메모리 유닛과 동시에) 저장하거나, 특정 세션이 종료된 후 저장하거나, 특정 기간마다 저장할 수 있다.
터미널이 주 CPU 유닛과 잠금 CPU 유닛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잠금 CPU 유닛은 필연적으로 주 CPU 유닛에 부차적인 유닛 또는 종속된 유닛이 될 수 있다. 일예로 이러한 경우 주 CPU 유닛이 구동 중이면 잠금 CPU 유닛은 구동을 멈출 수 있다. 따라서 주 CPU 유닛은 잠금 CPU 유닛으로 하여금 잠금 작업을 실행하거나,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도록 허락할 수 있다. 일예로 주 CPU 유닛은 특정 잠금 작업을 실행하는 잠금 CPU 유닛이 시작되면, 구동을 쉴 수 있다. 그 후 잠금 CPU 유닛이 잠금 작업 실행을 완료하면, 잠금 CPU 유닛은 주 CPU 유닛을 호출하여 주 CPU 유닛이 다시 작업 실행을 시작하도록 요청한 후, 잠금 CPU 유닛은 작업 실행을 멈출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잠금 시스템의 구동을 완료함을 감지할 경우, 터미널은 주 CPU 유닛의 작업 실행을 다시 시작하며, 잠금 CPU 유닛의 구동을 쉴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이 영상 유닛에 두 개의 별개의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각 화면에서 특정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경우, 주 CPU 유닛은 잠금 CPU 유닛과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주 화면에서 주 시스템을 구동하는 반면 부 화면에서는 잠금 시스템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의 두 화면에서 두 개의 윈도우를 구동하는 경우와 유사하다. 그 후 사용자는 상기 시스템을 각 화면에서 하나씩 구동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구동하며 두 화면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6-3 . 제3 구성 - 잠금 유닛 vs. 주 유닛
본 명세서의 상기 제3 예시적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CPU 유닛 및 메모리 유닛은 통합 구성과 같은 "완전 내장 구성"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잠금 CPU 부위(30L)는 주 CPU 유닛과 통합 CPU 유닛을 구성하거나, 잠금 메모리 부위(40L)은 주 메모리 유닛(40)과 통합 메모리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반면 "부분 내장 구성"의 경우, 잠금 CPU(또는 메모리) 부위는 통합 CPU(또는 메모리) 부위에 내장되지만, 통합 CPU(또는 메모리) 유닛과는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된 물체로 제작할 수 있다.
하술의 구성은 다양한 완전 내장 구성에 따른 통합 CPU 유닛 및 완전 내장 구성에 따른 통합 메모리 유닛의 예시이다. 또한 상술의 다양한 구성은 부분 내장 구성에 따른 CPU 유닛 및 메모리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 및 잠금 CPU 부위(30L)를 포함하는 단일의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칩은 통합 CPU 칩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잠금 CPU 부위(30L)는 제1 및 제2 구성의 주 CPU 유닛보다 적은 수효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잠금 CPU 부위(30L)는 제1 및 제2 구성의 주 CPU 유닛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효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잠금 CPU 부위(30L)는 [1] 주 시스템의 다양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하여 제1 또는 제2 구성의 주 CPU 유닛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접근 권한을 가지거나, 또는 [2] 주 CPU 유닛보다 적은 접근 권한을 가짐으로써 주 CPU 유닛보다 더 적은 수효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은 실행할 수 없는 특정 잠금 작업을 잠금 CPU 부위(30L)가 실행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특정 작업은 잠금 모드에서만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CPU 부위(30L)가 웹사이트로부터 결과물을 다운로드할 수 있고, 외부 소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잠금 CPU 부위(30L)가 [1] 잠금 시스템(60)에 잔류하거나 또는 저장되었던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40)이나 주 시스템(10)의 다른 유닛에 저장할 수 없도록 하거나, [2] 상기 저장물 중 의심스러운 결과물만 주 시스템(10)에 저장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3] 특정 결과물만 주 시스템(10)에 저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 CPU 부위(30L)와 주 CPU 유닛(30)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CPU 부위(30L)는 주 CPU 유닛(30)의 특정 부분을 공유하며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공유 부분의 예로는 주 시스템(10)의 [1] 주 운영체계 전체 및 모든 주 (소프트웨어) 앱, [2] 주 운영체계 전체 및 주 (소프트웨어) 앱의 일부, [3] 주 운영체계의 일부 및 모든 주 (소프트웨어) 앱, 또는 [4] 주 운영체계 일부 및 주 (소프트웨어) 앱의 일부 등일 수 있다. 또는 주 운영체계나 주 (소프트웨어) 앱은 상기 공유 부분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는 주 CPU 유닛(30)은 잠금 CPU 부위(30L)의 특정 부분을 공유할 수 있고, 상기 공유 부분의 예로는 [1] 주 운영체계의 전체와 잠금 시스템(60)의 모든 잠금 (소프트웨어) 앱, [2] 주 운영체계의 전체와 잠금 시스템(60)의 (소프트웨어) 앱의 일부, [3] 주 운영체계의 일부와 잠금 시스템(60)의 (소프트웨어) 앱의 전체, 또는 [4] 주 운영체계의 일부 및 잠금 시스템(60)의 (소프트웨어) 앱의 일부 등일 수 있다. 또는 주 운영체계나 잠금 (소프트웨어) 앱은 상기 공유 부분에서 제외될 수 있다. 상기 공유 부분의 범위, 깊이 등에 따라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 절차나 기타 인증 절차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터미널 또는 주 시스템은 보안이나 완전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저장된 개인 데이터의 보호를 유지할 수 있다.
잠금 CPU 부위(30L) 및 주 CPU 유닛(30)이 주 시스템(10)의 주 운영체계의 최소한 일부를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주 앱을 실행하는 경우, 주 CPU 유닛(30)은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인증하지 않은 채, 또는 사용자나 터미널의 허락을 얻은 후 또는 상기 허락 없이) 잠금 CPU 부위(30L)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조작 또는 변경할 수 있지만, 잠금 CPU 부위(30L)는 주 CPU 유닛(30)의 어떤 부위도 조작 또는 변경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터미널은 잠금 CPU 부위(30L)가 주 시스템(10)의 모든 앱 또는 일부 앱을 구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주 CPU 유닛(30)이 잠금 시스템(60)의 모든 앱 또는 일부 앱을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사용자가 주 CPU 유닛(30)으로 잠금 CPU 부위(30L)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거나 변형 또는 조작할 수 있는 지, 또는 상기 오버라이드, 변형 또는 조작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세팅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 제조사 또는 배포사는 사용자가 터미널 구입 후 상기 제어를 변경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세팅을 조작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수효의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을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사용자가 특정 계층의 각각의 모드에 수동으로 적절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모드를 이동할 수 있는 상기 계층의 경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하여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이 잠금 CPU 부위(30L)를 오버라이드, 수정 또는 기타 조작하도록 할지의 여부 또는 상기 조작에 대한 범위와 정도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주 CPU 유닛(30)과 잠금 CPU 부위(30L)는 단일의 칩에 장착될 수 있지만,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 및 잠금 CPU 부위(30L)를 상기 칩의 상이한 부위에 배치함으로써, 이들을 물리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 반면 주 CPU 유닛(30)과 잠금 CPU 유닛(30L)은 상기 칩의 하나 이상의 공통 면적을 (물리적 격리 없이) 공유하거나, 또는 주 운영체계나 주 (소프트웨어) 앱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코드를 (작업 실행 상 격리 없이) 공유할 수 있다. 터미널(또는 사용자)은 주 CPU 유닛(30)과 잠금 CPU 부위(30L)에 변경이 가능한 면적을 할당함으로써, 주 운영체계나 터미널의 명령에 따라, 반도체 칩의 특정 섹터는 주 CPU 유닛(30) 또는 잠금 CPU 부위(30L)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세 번째 실시예의 다양한 잠금 시스템은 잠금 CPU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위(즉 잠금 CPU 부위)를 주 시스템의 주 CPU 유닛에 내장한다는 점에서 본 명세서의 다른 잠금 시스템과는 구분될 수 있다. 잠금 CPU 부위 및 주 CPU 유닛이 단일의 통합 칩에 장착되므로, 터미널은 주 CPU 유닛을 잠금 CPU 부위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리시키지는 않는다. 하지만 터미널은 주 CPU 유닛을 잠금 CPU 부위로부터 작업 실행 상 용이하게 격리할 수 있다. 일예로 주 CPU 유닛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잠금 CPU 부위가 구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터미널은 보안을 강화하고, 완전성을 향상시키며, 주 시스템에 저장된 개인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잠금 CPU 부위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주 하드웨어 요소 또는 주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도록 하는 경우, 잠금 CPU 부위가 실수로 주 시스템을 오염시키거나 해를 끼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잠금 CPU 부위나 주 CPU 유닛과 같이,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부위를 주 메모리 유닛에 내장시킬 수 있다. 터미널은 주 메모리 유닛과 잠금 메모리 부위에 전용 메모리 섹터를 할당함으로써, 주 메모리 유닛과 잠금 메모리 부위 사이의 공용 메모리 섹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주 메모리 유닛과 잠금 메모리 부위 중 하나에 주 메모리 유닛이 구동할 수 있는 메모리 섹터를 할당하되, 상기 주 메모리 유닛과 잠금 메모리 부위 중 나머지에 메모리 섹터의 나머지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할당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부위가 실수로 바이러스를 저장하거나 잔류시키거나, 또는 악성 파일을 주 메모리 유닛에 잔류시키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위 문장의 마지막 구성의 경우 중요해진다. 따라서 일예로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이 사용한 중첩되는(또는 공용의) 메모리 섹터에 대하여 주 시스템이 구동하기 시작할 때,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특정 기간 마다 또는 각 세션이 끝날 때마다 상기 공용 메모리 섹터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이 상기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상이한 크기의 다양한 데이터를 회수하거나 저장하면, 터미널은 주 메모리 유닛이나 잠금 메모리 부위에 다양한 메모리 섹터를 할당하여, 터미널 또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대로 상기 메모리 섹터들이 주 메모리 유닛 또는 잠금 메모리 부위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메모리 유닛 및 주 메모리 유닛은 [1] 모든 메모리 섹터(또는 공간)를 공유하거나, [2] 일부 메모리 섹터(또는 공간)만을 공유하거나, 또는 [3] 어떤 메모리 섹터도 공유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주 메모리 유닛과 잠금 메모리 유닛이 특정 메모리 섹터를 공유할 경우, 주 메모리 유닛은 잠금 메모리 부위의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부터 데이터를 회수하거나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실행하지 않은 채) 상기 부분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잠금 메모리 부위는 주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데이터 회수를 못하거나 또는 어떤 데이터도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지 못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부위가 결과물의 전부나 일부를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 메모리 부위는 탈착 기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 메모리 부위는 터미널의 특정 부분과 탈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부분은 주 메모리 유닛의 옆, 근처 또는 주 메모리 유닛과는 떨어진 부분일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이 탈착 기기로 제공된 잠금 메모리 부위로부터 상기 결과물을 용이하게 회수하거나 또는 이를 잠금 메모리 부위에 저장할 수 있는 한, 상기 부위의 정확한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이와는 달리 잠금 메모리 유닛과 주 메모리 유닛은 단일의 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물체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섹터를 주 메모리 유닛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메모리 섹터를 잠금 메모리 부위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체는 다수의 메모리 섹터를 포함하며, 상기 섹터들은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주 메모리 유닛과 잠금 메모리 부위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모리 유닛들은 개별적으로 제작되며, 그 후 상술과 같이 단일의 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주 영상 유닛이나 주 스피커를 이용하여 해제 모드 및 잠금 모드에서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잠금 CPU 유닛과 같이, 주 출력(또는 입력) 유닛과 단일의 물체로 제작될 수 있는 별개의 잠금 출력(또는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그 상부나 그 주위의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는 별개의 잠금 출력(또는 입력) 유닛을 포함될 수 있다. 잠금 출력(또는 입력) 유닛 또는 주 출력(또는 입력) 유닛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종류일 수 있다. 상기 잠금 CPU 부위 또는 잠금 출력(또는 입력) 부위의 기타 구성 상의 상세한 내용은 제1 및 제2 구성의 잠금 출력(또는 입력) 유닛의 상기 내용과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6-4 . 제3 구성 - 작업 및 실행 순서
본 명세서의 상기 제3 예시적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되면서 향상된 보안과 완전성은 물론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오프 상태에서 터미널이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미널은 UIACT 또는 UITHEN 중 하나 이상과 UISWI에 근거하여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이동할 지 결정한다. 터미널은 [1]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을 켜거나, [2]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오프 상태에 머물거나, 또는 [3] 제1 사용자 입력 또는 이에 포함된 (사용자) 세부입력이 미리 저장된 값과 상이할 경우 오프 상태에 머무른다.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터미널이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을 켜면, 터미널은 상기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현재의 잠금 모드에 머무를지 또는 해제 모드로 이동할지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은 [1] 잠금 모드에 머무르거나, [2] 상이한 잠금 모드로 이동하거나, 또는 [3] 해제 모드로 이동하면서 주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다. 만일 UISWI, UIACT 또는 UITHEN이 미리 저장된 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터미널은 [1] 현재 모드에 머물거나, [2] 사용자에게 (신규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신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도록 요청하거나, 또는 [3] 영상 유닛을 끌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영상 유닛이 켜지고 터미널이 해제 모드에서 구동하면, 터미널은 [1] UISWI가 현재 모드에 상응하는 경우 현재의 해제 모드에 머물거나, [2] UISWI가 현재 모드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현재 모드에 머물거나 또는 신규 해제 모드로 이동하거나, [3] UISWI가 잠금 모드에 상응하는 경우 잠금 모드로 이동하거나, [4] UISWI가 미리 설정한 UISWI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잠금 모드로 이동하거나, 또는 [5] 제1 사용자 입력이나 (사용자) 세부입력이 미리 저장한 값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영상 유닛을 끄고 비활성 상태(활성 상태의 반대로서, 일예로 영상 유닛이 꺼져 있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다양한 이동 시점에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제1 또는 제2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 또는 수신 후, [2]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UISWI의 취득과 동시 또는 취득 후, [3] 터미널이 현재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하였음을 확인함과 동시 또는 그 후, 또는 [4] 사용자가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보유함을 확인함과 동시 또는 그 후,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이동 시점은 상술의 섹션 1-21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 있다.
상기 제3 구성에 따르는 터미널의 다양한 작업의 기타 특성은 제1 구성 또는 제2 구성의 터미널의 상응하는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상응하는 특징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6-5 . 제3 구성 - 삭제, 부분삭제 및 저장
본 명세서의 상기 제3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상술의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다양한 삭제 시점에 실행함으로써 주 시스템의 향상된 보안과 완전성 및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보호를 유지할 수 있다. 터미널이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때, 터미널(또는 사용자)은 삭제 예정 결과물 또는 저장 예정 결과물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의 저장 예정 결과물은 잠금(또는 주) 메모리 유닛이나 기타 다른 메모리 섹터에 다양한 상술의 기준에 따라 영구적, 임시로, 또는 조건부로 저장될 수 있다.
터미널은 주 CPU 유닛이나 잠금 CPU 부위 중 하나 이상의 유닛으로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되, 실행 주체가 상기 유닛이건 상기 부위이건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 구성의 예외는 잠금 CPU 부위(또는 주 CPU 유닛)이 손상을 입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이 주 CPU 유닛(또는 잠금 CPU 부위)을 이용하여 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이다.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또는 잔류하는 결과물에 대해서도 주 CPU 유닛이나 잠금 CPU 부위를 구동하여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주 CPU 유닛이나 잠금 CPU 부위 중 하나 이상의 유닛으로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되, 이 때 실행 주체가 상기 유닛이건 상기 부위이건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에 대해서도 주 CPU 유닛 또는 잠금 CPU 부위 등을 이용하여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적응적으로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다양한 기준으로 저장 예정 결과물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기준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해온 기간, [2]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접속한 웹사이트의 수효, [3]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 실행을 통하여 얻은 결과물의 용량 또는 크기, [4]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도와 일치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의 수효 또는 용량, 또는 [5]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처리한 개인 또는 금융 데이터의 수효 또는 용량 등이 있다. 그 후 터미널은 저장 예정 결과물을 특정 메모리 유닛이나 섹터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상관없는 또는 무의미한 널 데이터를 삭제 예정 결과물의 최소 일부분에 중복 기재하거나, 상기 결과물을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기 전 암호화하여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은 특정 수효만큼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수효의 예로는 [1] 단일의 중복 기재나 단일의 암호화, [2] 두 번의 중복 기재나 두 번의 암호화, [3] 세 번의 중복 기재나 세 번의 암호화 등이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상황에 따라 중복 기재 또는 암호화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 메모리 유닛 또는 잠금 시스템 전체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에 대한 흔적을 제거하기를 원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수상한 웹사이트로부터 악성 코드를 다운로드하였거나 또는 불명예스러운 웹사이트를 접속하였을 경우 등이 그 예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두 번 또는 그 이상의 중복 기재나 암호화를 통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도록 터미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가장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도 상기 예에 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잠금 모드에서 [1] 어떤 작업을 실행하였건, [2] 어떤 웹사이트를 접속하였건, 또는 [3] 어떤 정보를 검색하였건, 잠금 메모리 유닛이나 어떤 메모리 섹터에도 잔류 데이터를 남기지 않은 채 잠금 시스템에 잔류하는 모든 결과물을 삭제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상황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사용자가 상기 중복 기재 또는 암호화의 정도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삭제 예정 결과물에 대한 중복 기재 또는 암호화 작업의 실행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은 상술의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또는 사용자)은 특정 계층이 정의한 다수의 모드 각각에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점수를 할당하도록 하며, 일예로 최소의 접근 권한을 부여한 모드는 1점, 그 다음 적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모드는 1.5점 등으로 하며, 두 번째로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모드는 11점, 가장 넓은 접근 권한을 부여한 모드는 12점의 점수를 할당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은 현재 모드에 부여된 점수와 신규 모드에 부여된 점수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중복 기재 또는 암호화의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1점이 부여된 모드로부터 12점이 부여된 모드로 이동할 때, 점수 차이는 11점이므로, 터미널은 상기 중복 기재 또는 암호화를 최소 두 번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7점이 부여된 모드로부터 8점이 부여된 모드로 이동할 경우, 점수 차이는 1점에 불과하므로. 터미널은 가장 간단한 단일의 중복 기재나 단일의 암호화 작업만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10점이 부여된 모드로부터 2점이 부여된 모드로 이동하면, 터미널은 중복 기재나 암호화를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모드가 잠금 모드일 경우, 터미널은 중복 기재 또는 암호화를 위한 한계점을, 일예로 7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 후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더 넓은 접근 권한이 주어진 신규 모드로 이동하지만 현재 모드와 신규 모드의 점수 차이가 7점보다 적을 경우, 터미널은 중복 기재 또는 암호화 작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또는 사용자)은 상이한 기준에 따라 각 모드에 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의 예로는 [1] 사용자가 특정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한 기간, [2]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접근한 웹사이트 수효, [3]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의 크기 또는 용량, [4] 사용자가 접근한 컨텐츠 중 불쾌한, 불법적 또는 외설적 컨텐츠의 수효 또는 용량, 또는 [5] 잠금 모드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개인적 또는 금융 데이터의 수효 또는 용량 등이 있다. 그 후 터미널은 상기 수효에 근거하여 특정 횟수의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세예들의 터미널은 사용자의 다양한 수요를 고려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말미암아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성에 알맞은 중복 기재 또는 암호화 작업의 정도나 종류에 대하여 직접 결정해야 하는 과업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상술의 상세예들은 주 시스템의 주 메모리 유닛 또는 다른 주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데이터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시스템이 주 CPU 유닛이나 주 메모리 유닛을 구동하며 잠금 작업을 실행할 경우,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또는 잔류하는 결과물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더 많은 횟수로 반복하며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해제 모드에서 상기 결과물에 대한 처리를 완료하였을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에서 상기 결과물을 삭제하는 때에 비하여, 주 시스템에서 잠금 시스템과 관련된 결과물을 더 엄격히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상세예들은 터미널이 특정 결과물을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였으나, 상기 결과물이 잠금 시스템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경우에도 적용되며, 특히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결과물을 얻었을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 악성 컴퓨터 코드가 주 시스템에 합법적으로 침입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해제 모드에서 결과물에 대한 처리를 완료한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의 결과물을 삭제할 때보다 주 시스템의 잠금 시스템 관련 데이터를 더 철저하게 삭제할 수도 있다.
제3 구성의 터미널은 주 메모리 유닛에 내장된 잠금 메모리 부위를 포함하며, 잠금 메모리 부위는 주 메모리 유닛과의 물리적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은 잠금 메모리 부위와 주 메모리 유닛 사이의 작업 실행 상의 격리를 여전히 유지함으로써, 향상된 완전성, 강화된 보안, 터미널의 주 시스템에 저장된 개인 데이터의 보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성에 따르는 다양한 터미널의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삭제 작업, 부분삭제 작업 또는 저장 작업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제1 또는 제2 구성의 다양한 터미널의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상기 작업의 특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상기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6-6 . 제3 구성 - 변형 및 개량
본 제3 구성의 터미널은 상술과는 상이한 배치 또는 순서에 따라 구성되고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성의 터미널의 변형 또는 개량은 제1 또는 제2 구성의 터미널의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의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비록 상기 제3 예시적 측면의 상기 실시예나 상세예는 단일의 잠금 모드와 단일의 해제 모드 사이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과 주로 관련되지만, 상기 실시예 및 상세예는 동일, 유사 또는 상이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다수의 모드 사이에서 작동하는 다른 터미널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양한 실시예와 상세예는 두 개의 모드 또는 세 개 이상의 모드에서 이동하는 터미널에도 적용되며, 그 중 하나 이상의 모드는 상기 잠금 모드에 해당할 수 있는 반면, 하나 이상의 다른 모드는 상기 해제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3 예시적 측면(즉 상술의 제3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에서 예시한 터미널의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변형 또는 수정은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나 상세예와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예시적 측면의 특정 실시예 또는 상세예의 특정 특성은 동일한 예시적 측면 또는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다른 실시예나 상세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제3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상의 특성 및 이의 변형 또는 수정 역시, 하술의 적용, 포함, 대체 또는 결합이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1] 본 명세서의 상이한 측면, 실시예나 상세예의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결합될 수 있다.
7 . 제4 구성 - 하이브리드 잠금 시스템
본 명세서의 제4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과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주 시스템은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의 다양한 터미널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일예로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착수하며, 잠금 모드와 같은 제한적 모드에서는 (잠금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시스템을 착수한다.
제4 구성의 잠금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잠금 CPU 유닛, 잠금 메모리 유닛 등을 포함하며,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1] 잠금 출력 유닛 또는 [2] 잠금 입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잠금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잠금 유닛이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주 시스템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는 반면, 하나 이상의 나머지 잠금 유닛은 주 시스템의 상응하는 유닛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격리된 유닛을 제외하면, 잠금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은 주 시스템에 연결되었거나 또는 통합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고, 따라서 주 시스템과 단일의 또는 통합된 유닛을 구성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 잠금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격리된 잠금 부위를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내장된 부위를 모두 포함하는 혼합적 유닛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하술의 예는 이처럼 혼합적 구성을 가진 터미널의 예시적 구성 및 작업 실행 순서를 설명한다.
7-1 . 제4 구성 - 주 시스템 및 잠금 시스템
상기 제4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주 시스템과 하나 이상의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며, 각 시스템은 다수의 유닛을 포함하고, 각 유닛은 상술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잠금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잠금 요소의 하나 이상의 부위는 주 시스템에 내장되는 반면 상기 잠금 요소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위는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주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제4 구성의 다양한 터미널은 섹션 6-2-2에서 설명한 부분 내장 구성을 가진 터미널과 유사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12]는 본 명세서의 제4 예시적 측면(즉 제4 구성)의 혼합적 구성의 예시적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블록선도이다. 터미널의 주 시스템(10)은 전형적으로 제3 구성(일예로 [도11]의 터미널의 주 시스템과 유사하며, 하나 이상의 주 CPU 유닛(30), 주 메모리 유닛(40), 주 입력 유닛(20), 주 출력 유닛 [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구성의 주 시스템(10)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 특성은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의 주 시스템의 상기 특성과 유사 또는 동일하거나, 또는 본 명세서의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주 시스템의 상기 특성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CPU 부위(30L)와 잠금 메모리 부위(40L)를 포함하며, 잠금 CPU 부위(30L)는 주 CPU 유닛(30)에 내장됨으로써 통합 CPU 유닛을 구성할 수 있는 반면, 잠금 메모리 부위(40L)는 주 메모리 유닛(40)에 통합되어 통합 메모리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제3 구성의 터미널과는 달리, 잠금 시스템(60)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 및 격리 잠금 CPU 부위(30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주 입력 유닛(20)으로부터 완전히, 물리적으로 격리될 수 있고, 격리 잠금 CPU 부위(30U)는 주 CPU 유닛(30)으로부터 완전히, 물리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다양한 유닛을 포함한다고 간주할 수 있으며, 상기 포함된 유닛의 예로는 [1] 주 CPU 유닛(30), [2] 주 CPU 유닛(30)에 내장되어 통합 CPU 유닛을 구성하는 내장 잠금 CPU 부위(30L), [3] 주 CPU 유닛(30)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되었으며 내장 잠금 CPU 부위(30L)로부터 물리적 또는 작업 실행 상 격리된(또는 격리되지 않은) 격리 잠금 유닛, [4] 주 메모리 유닛(40), [5] 주 메모리 유닛(40)에 내장되어 통합 메모리 유닛을 구성하는 내장 메모리 부위(40L), 또는 [6] 옵션으로 기타 주 유닛 등이 있다.
하나 이상의 잠금 유닛은 주 유닛에 내장된 제1 부위 및 주 시스템으로부터 물리적으로(또한 옵션으로 작업 실행 상) 격리된 제2 부위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터미널은 혼합적 구성을 가진다고 지칭한다. 따라서 상기 혼합적 구성은 "완전 내장"과 "완전 격리 구성"의 혼합으로 간주할 수 있고, 상기 혼합적 구성은 "부분 내장"과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4 구성의 잠금 CPU 유닛은 내장 부위(30L)와 격리(즉 비내장) 부위(30U)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제4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중복 구성에 따라 제작한 터미널은 내장 잠금 CPU 부위(30L)와 격리 잠금 CPU부위(30U)를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되, 이와 함께 내장 잠금 CPU 부위(30L)와 격리 잠금 CPU부위(30U)가 각각 [1] 잠금 시스템(60)(바람직할 경우 주 시스템)의 동일 또는 상이한 유닛을 구동하거나, [2] 잠금 시스템(60)(바람직할 경우 주 시스템)의 동일 또는 상이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거나, [3] 상기 요소나 유닛으로 동일 또는 상이한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4] 상기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동일 또는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터미널은 상술의 내장 및 격리 잠금 CPU 부위(30L)(30U)로 하여금 [1] 동일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도록 하거나, [2] 하나 이상의 공통 요소를 구동하되, 이 외에는 각각 상이한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3] 어떤 공통 요소도 없이 각각 상이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내장 및 격리 잠금 CPU 부위(30L)(30U)가 각각 동일한 또는 상이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내장 CPU 부위(30L)는 주 CPU 유닛(30)에 내장될 수 있다. 또는 내장 CPU 부위(30L)와 주 CPU 유닛(30)의 물리적 연결로 인하여, 내장 CPU 부위(30L)는 일반적으로 주 CPU 유닛(30) 근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격리 잠금 CPU 부위(30U)는 터미널의 내부나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주 CPU 유닛(30)과의 작업 실행 상의 격리는 필요로 하지만 상기 유닛(30)과의 엄격한 물리적 격리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격리 잠금 CPU 부위(30U)는 주 CPU 유닛(30)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잠금 CPU 부위(30L)(30U)들은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잠금 CPU 부위(30L)(30U)들을 상이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이들 부위들을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상기 잠금 CPU 부위(30L)(30U)들은 물리적으로 서로 가까이 배치되거나, 또는 주 CPU 유닛(30)과 함께 또는 주 CPU 유닛(30) 없이 단일의 물체를 구성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CPU 부위(30L)(30U)들이 주 CPU 유닛(30)이나 주(또는 잠금) 시스템(10)의 다른 유닛들을 통하여 서로 교신하도록 할 수 있지만, 작업 실행 상 상기 잠금CPU 부위(30L)(30U)들을 서로 격리시킬 수 있다.
상기 중복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터미널은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혜택 중 첫 번째는 터미널이 잠금 CPU 부위(30L)(30U) 중 하나만 이용하더라도 동일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터미널 제조사는 융통성 있게 하드웨어 구성 또는 운영체계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잠금 CPU 부위(30L)(30U) 각각에 특정 과업을 할당함으로써, 제조사는 터미널의 설계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역시 잠금 CPU 부위(30L)(30U)들 각각을 이용하여 융통성 있게 다양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혜택 중 두 번째는 격리 잠금 CPU 부위(30U)가 악성 바이러스에 오염되었거나 악성 바이러스로 인하여 오작동할 경우, 터미널은 중복 구성에 따르지 않는 터미널이 취할 수 있는 시정 액션(remedial action)에 비하여 더 안전하며 더 다양한 시정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내장 잠금 CPU 부위(30L)를 잠금 CPU 유닛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주 CPU 유닛(30)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는 중 악성 바이러스가 주 시스템(10)에 유입될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내장 잠금 CPU 부위가 오염되었거나 또는 상기 부위가 오작동하는 경우, 터미널은 격리 잠금 CPU 부위(30U)를 내장 잠금 CPU 부위(30U)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혜택 중 세 번째는 터미널이 잠금 CPU 유닛의 내장 및 격리 잠금 CPU 부위(30L)(30U)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터미널이 상기 잠금 CPU 부위(30L)(30U)들을 구동할 때, 잠금 시스템(60)은 잠금 모드에서 이음새 없이 다수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게 된다. 일예로 터미널이 다수의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더라도, 터미널은 주 CPU 유닛(30)을 이용하지 않은 채, 잠금 CPU 부위(30L)(30U)들을 동시에 구동하며, 이음새 없이 다수의 작업들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이 실행 스레드(execution thread)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생성함으로써 잠금 CPU 부위(30L)(30U)를 개별적 프로세서로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개별적 코어로 구동하는 등과 같이 터미널이 잠금 CPU 부위(30L)(30U)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할 경우, 터미널은 추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격리 잠금 CPU 부위(30U)를 탈착 기기, 휴대용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 등과 같은 외부 기기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기기는 독립적인 외부 잠금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외부 잠금 시스템은 [1] 터미널 내부 또는 외부 기기에 장착된 잠금 뷰어를 구동할 수 있거나, [2] 외부 기기나 터미널 내부에 장착된 잠금 메모리 유닛에 결과물을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유닛으로부터 결과물을 회수할 수 있거나, 또는 [3] 외부 기기 또는 터미널 내부에 장착된 기타 잠금 유닛을 구동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내장 또는 격리 잠금 CPU 부위(30L)(30U)는 상술의 다양한 삭제 시점에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대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주 시스템의 향상된 보안 및 주 시스템에 저장된 개인 데이터의 비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내장 및 격리 잠금 CPU 부위(30L)(30U)는 상술의 저장 시점에 저장 예정 데이터를 저장하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주 시스템(10)은 잠금 메모리 유닛(80)에 대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거나, 이와 반대로 하나 이상의 잠금 CPU 부위(30L)(30U)가 주 메모리 유닛(40)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의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4 구성의 터미널의 주 유닛 및 잠금 유닛의 다양한 특성은 제1, 제2, 및 제3 구성의 터미널의 상기 유닛의 특성과 유사하거나 동일하거나,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상기 특성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주 유닛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7-2 . 제4 구성 - 변형 및 개량
상기 제4 구성의 다양한 터미널은 상이한 배열이나 순서로 구성되고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제4 구성의 터미널의 상기 변형, 개량은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의 터미널의 변형, 개량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본 명세서의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변형, 개량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제4 예시적 측면(즉 상술의 제4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에서 예시한 터미널의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변형 또는 수정은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상이한 실시예나 상세예와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예시적 측면의 특정 실시예 또는 상세예의 특정 특성은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다른 실시예나 상세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제4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상의 특성 및 이의 변형 또는 수정 역시, 하술의 적용, 포함, 대체 또는 결합이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1] 본 명세서의 상이한 측면, 실시예나 상세예의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결합될 수 있다.
8 . 추가 작업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에 따른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상술의 작업과는 상이한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거나, 상술의 기능과는 상이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술의 구성, 배치와는 상이한 다양한 구성, 배치에 따라 제작되거나, 또는 상술의 작업 실행 순서와는 상이한 다양한 작업 실행 순서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터미널은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특정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거나(또는 없거나), 신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터미널에 장착할 수 있거나(또는 없거나), 또는 신규 스텝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또는 없다).
터미널은 특정 작업을 상이한 순서로 실행하거나, 상이한 옵션을 이용하여 특정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다. 하술의 실시예 및 상세예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상기 터미널은 상술과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구성에 따라 제작되거나, 동일 또는 상이한 작업을 동일 또는 상이한 순서로 실행하거나, 또는 동일 또는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술의 구성 및 작업들은 상술의 다양한 터미널, 주 시스템, 잠금 시스템 또는 다양한 유닛에 장착될 수 있다.
8-1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및 구현
상술에서는 상이한 종류의 잠금 시스템, 잠금 유닛 및 이들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제1 내지 제4 구성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잠금 시스템의 다양한 유닛은 상술의 설명에 따라 항상 터미널의 내부에 장착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는 터미널(또는 주 시스템)과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결합할 수 있는 외부 기기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외부 기기에 내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잠금 시스템의 다양한 소프트웨어 요소나 잠금 운영체계는 옵션으로 탈착 기기, 휴대용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 등과 같은 외부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성의 잠금 뷰어, 제1 또는 제2 구성의 잠금 메모리 유닛, 또는 제3 또는 제4 구성의 잠금 CPU 부위 역시 용이하게 외부 기기의 형태로 제작하거나 외부 기기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기기는 [1] 터미널의 포트나 콘센트에 물리적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2] 물리적 연결 없이 무선으로 터미널과 작업 실행 상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외부 기기는 [1] 잠금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익숙한 포맷으로 데이터나 파일을 표시할 수 있는 잠금 뷰어로 기능하거나, [2] 잠금 시스템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잠금 CPU 유닛으로 기능하거나, [3] 터미널이 허용하는 경우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할 수 있는 잠금 CPU 유닛으로 기능하거나, 또는 [4] 제한적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 또는 주 시스템에 외부 메모리 섹터를 제공하는 잠금 메모리 유닛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외부 기기는 외부 메모리 섹터를 제공하거나, 주 CPU 유닛의 운영체계(또는 특정 소프트웨어 앱)의 일부(또는 전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잠금 CPU 유닛 또는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잠금 시스템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터미널 및 외부 기기는 작업 실행 상의 연결이 있건 없건, 다양한 방법으로 탈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외부 기기와 탈착식 또는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는 포트 또는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미널은 외부 기기를 붙잡거나 둘러싸거나 기타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는 기계식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 및 외부 기기는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일예로 터미널이나 기존의 자석이나 자성 물체를 상기 외부 기기에 포함시키되, 자석 또는 자성 물체의 자극(magnetic pole)을 상기 결합에 알맞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단 상기 자석 또는 자성 물체는 터미널의 하드웨어 요소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일예로 주 CPU 유닛, 주 메모리 유닛, 내장 잠금 CPU 부위, 내장 잠금 메모리 부위 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가 터미널과 탈착이 가능하며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한, 상기 결합(또는 연결)의 자세한 메커니즘은 관련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의 선택에 해당하며, 이에 따라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외부 기기는 터미널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잠금 메모리 유닛(또는 부위), 잠금 CPU 유닛(또는 부위), 또는 잠금 입력(또는 출력) 유닛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기기나 탈착 기기를 잠금 시스템으로 사용하며 터미널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잠금 유닛은 섹션 4-3-2에서 예시한 외부 기기의 형태로 제작되거나 상기 기기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를 잠금 유닛(또는 부위)로 사용하는 대신, 상기 외부 기기는 인증용 (사용자) 세부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인증 기기, 또는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드 이동용 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기기는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터미널에 인증용 (사용자) 세부입력 또는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제공할 수 있되, 상기 기준의 예로는 상기 외부 기기가 [1] 터미널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2] 특정 속도, 특정 각속도, 특정 방향 또는 특정 가속도로 이동할 경우, [3] 특정 (사용자) 세부입력을 포함하는 특정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4] 터미널과 접촉한 경우, 또는 [5] 사용자(또는 비사용자 물체)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하였을 경우 등이 있다.
따라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가 해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인증할 수 있고, 상기 인증 방법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이용하거나, 외부 기기(일예로 시계)가 터미널 주위에 위치하는지 여부, 터미널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반인증 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외부 기기(일예로 목걸이)가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의 인증 정보, 지문, 홍채나 음성 등 (사용자) 세부입력의 정확성과 관계없이, 터미널은 사용자가 [1] 현재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2] 현재 모드로부터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또는 [3] 현재 모드로부터 어떤 신규 모드로도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정 모드로 이동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외부 기기에 해당하는 반지를 낀 손으로 터미널을 잡음으로써 또는 터미널이 반지를 낀 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지 않는 한, 사용자의 터미널이 특정 모드,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 또는 어떤 모드로도 이동할 수 없도록 방지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유무선으로 터미널 내부에 위치한 주 시스템과 교신할 수 있다. 즉 상기 터미널은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기술의 예로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맥스(Wi-MAX), 와이랜(WLAN), 근접통신(NFC), 지그비(ZigBee) 등이 있고, 상기 기술은 관련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공지 기술이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외에도 터미널은 적외선(IR) 통신이나 기타 기존의 무선 통신 기기에 사용되는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일예로 사용자는 터미널과 연결 가능한 다수의 USB 또는 외부 메모리 칩(또는 기기)을 준비한 후 각 USB이나 칩(또는 기기)을 [1] 잠금 뷰어, 잠금 CPU 유닛, 또는 잠금 메모리 유닛 등으로 작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2] 특정 모드에서만 구동 가능한 반면 다른 모드에서는 작동하지 않은 잠금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다수의 USB를 준비하되, 각 USB를 특정 모드에서만 구동할 수 있는 잠금(또는 해제) 시스템으로 활용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USB를 다른 USB와는 상이한, 개별적 잠금(또는 해제) 시스템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들도 각각 자신이 원하는 잠금 유닛들이 장착된 USB를 준비하고, 각 사용자는 터미널에 상기 USB를 연결한 후, 다른 사용자들에게 자신의 개인 정보가 노출될 걱정 없이 자신만의 제한적 모드에서 자신만의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예들의 외부 기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인증용 (사용자) 세부입력 또는 다른 인증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인증용 입력 유닛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외부 기기와 주 시스템을 동기화함으로써, 외부 기기를 터미널에 연결하는 사용자가 이러한 접근 권한을 보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인증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부 기기는 특정 사건이 발생할 때,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모든(또는 특정) 결과물에 대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외부 기기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작업을 감시하며, 현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한 번(또는 특정 횟수) 실패하면, 자신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에 대한 인증 작업을 감시하며, 현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한 번(또는 특정 횟수) 실패하면, 외부 기기에 대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된 사용자는 인증 받지 못한 사용자가 외부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결과물을 용이하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컴퓨터 코드를 플러그인 형태로 상기 외부 기기에 장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 운영체계가 상기 코드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터미널은 상기 코드를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앱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플러그인이 장착된 외부 기기를 터미널의 잠금(또는 주) 시스템과 연결하면, 사용자는 터미널에 장착된 주(또는 잠금) 소프트웨어 앱만으로는 실행할 수 없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상기 앱만으로는 수행할 수 없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터미널은 상기 플러그인 또는 외부 기기의 기타 코드와 함께, 또는 상기 플러그인이나 상기 코드 대신 기존의 다양한 씸(theme), 스킨 또는 위젯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터미널의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다양한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개인화(customize)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플러그인은 주(또는 잠금) 시스템의 주(또는 잠금) 운영체계나 (소프트웨어) 앱과의 호환성을 지님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상술과는 상이한 삭제 시점에 다양한 방법으로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이나 잠금 시스템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결과물의 일부 이상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잠금 시스템은 터미널 내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외부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삭제 시점에 잠금 시스템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실수로 또는 의도적으로 외부 기기를 터미널로부터 분리할 때 (잠금 모드에서의 사용자의 잠금 시스템의 구동 또는 잠금 작업의 실행 완료와 관계없이) 외부 기기의 잠금 시스템에 대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미널은 외부 기기에 대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지 못할 수 있고, 따라서 외부 기기는 최소의 기능성을 보유한 잠금 CPU 유닛만 포함하거나 또는 최소의 전원(power supply)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외부 기기와 연결된 터미널은 다양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시점의 예로는 사용자가 [1] 터미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때마다, [2] 특정 (소프트웨어) 앱의 구동을 끝내고 특정 세션을 종료할 때, 또는 [3] 특정 (소프트웨어) 앱의 구동을 끝냈을 때 등이 있다. 또한 터미널은 외부 기기에 장착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는 사용자가 [1] 동일한 외부 기기에 장착된 신규 시스템의 구동을 시작할 때 또는 [2] 주 시스템에 장착된 신규 시스템의 구동을 시작할 때,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사용자가 외부 기기를 터미널에 연결할 때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외부 기기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불필요한 또는 신뢰성 없는 결과물을 삭제하고, 이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악성 컴퓨터 코드나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작업을 실행한 후 상기 외부 기기에 잔류하거나 저장된 결과물의 전체 또는 특정 부분만을 삭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외부 기기의 구동을 완료할 때마다,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에 잔류하거나 저장된 결과물의 특정 부분만을 삭제할 수도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특정 부분을 외부 기기를 구동하기 전 또는 구동 중 삭제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외부 기기는 잠금 시스템의 다양한 유닛들, 즉 잠금 뷰어, 잠금 CPU 유닛, 잠금 메모리 유닛 또는 잠금 입력(또는 출력)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상이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섹션 3-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기기는 다양한 탈착 기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형태의 추가 예로는 [1] 터미널 보호기, [2] 터미널 홀더, [3] 터미널 케이스, [4] 터미널의 최소한 일부분이 노출되는 커버, [5] USB 형태의 메모리(관련 드라이버 포함 가능), [6] 외부 메모리 칩(관련 드라이버 포함 가능), [7] 휴대용 메모리 칩 또는 카드(관련 드라이버 포함 가능), 또는 [8] 기타 기존의 메모리 칩이나 메모리 기기 등이 있다.
위 문단의 [1] 내지 [4]의 경우, 영상 유닛이 터미널 전면에 배치되면 외부 기기는 후면의 최소한 일부나 다른 면의 최소한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외부 기기는 포트나 커넥터를 이용하여 터미널과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결합하거나, 터미널과 작업 실행 상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외부 기기가 전기적 접촉을 통하여 터미널과 결합될 경우, 터미널은 외부 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외부 기기는 자체 에너지원(power supply)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에너지원의 예는 배터리, 충전 배터리, 태양 전지 등이 있다.
또한 외부 기기는 터미널의 전면에 부착할 수 있는 필름 또는 터미널의 일면에 탈착이 가능한 코팅 형태의 필름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을 얇은 두께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필름은 잠금 CPU 유닛, 잠금 메모리 유닛, 잠금 입력 유닛 등과 같은 최소한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터미널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거나, 햇빛 또는 영상 유닛의 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는 필름은 상기 빛으로부터 열에너지를 공급받은 후 이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자체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의 경우, 외부 기기는 터미널의 장식물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장식물의 예로는 펜던트, 손잡이, 띠(strap), 태그(tag), 홀더, 보호기 또는 터미널에 연결할 수 있는 다른 물건 등이 있다. 상기 장식물 형태의 외부 기기의 구조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기타 특성은 섹션 4-3-2에서 예시한 다양한 탈착 기기나 휴대용 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의 특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8-2 . 비활성화, 비장착 터미널의 모드 이동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UISWI)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구성의 각각의 작업 실행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는 시동 상태이지만 오프 상태(즉 비활성 상태)의 터미널의 주 입력 유닛에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며, 이 때 제1 사용자 입력은 일반적으로 활성화용 사용자 세부입력(UIACT)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켜고, 상기 다양한 활성화 시점에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착수(launch)한다.
상술의 활성화 시점은 [1] 영상 유닛이 실제로 켜지는 시점, [2] 영상 유닛이 켜지기 시작하는 시점, 또는 [3] 터미널이 활성화를 준비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은 옵션으로 잠금 모드에서 추가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추가 작업의 예로는 사용자 인증 작업, 특정 모드로의 이동 작업 등이 있다.
상술의 활성화 작업 이외에도, 터미널은 특정 계층이 정의하는 다수의 모드 중 각 모드에서 구동하는 특정 시스템을 시작함으로써 다양한 작업의 실행을 준비할 수 있다. 섹션 4-3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터미널은 다양한 착수 시점에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다. 특히 터미널이 오프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잠금 모드로 이동할 예정인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시점에 잠금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착수 시점의 예로는 [1] 상기 모드 이동과 동시, [2] 상기 모드 이동 직후, [3] 상기 모드 이동 후, 하지만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전, [4]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과 동시, [5] 영상 유닛을 켠(즉 활성화) 직후, [6] 상기 활성화와 동시, 또는 [7] 상기 활성화 직후 등이 있다. 하지만 상술과 같이 제1 사용자 입력은 오프 상태에서 특정 모드로 이용하기 위하여 반드시 UISWI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특히 모드 이동 작업이 인증 작업 등 다른 작업 실행을 조건으로 하는 경우가 이의 예이다.
일단 잠금 시스템이 착수되고 잠금 모드에서 구동되기 시작하면, 사용자는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 작업 실행을 완료하고 현재 잠금 모드에서 신규 해제 모드로 이동하려 할 경우, 사용자는 UISWI를 포함하는 모드 이동 (사용자) 세부입력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 작업 실행을 완료하고 현재 모드에서 신규 해제 모드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UISWI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에 제공할 수 있다. 단 상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주 입력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주 입력 유닛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은 주 입력 유닛과 유사한 또는 상이한 모양, 크기, 지향, 배치 또는 작동 메커니즘을 가진 별도의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수신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현재 모드에 머무를지 아니면 신규 모드로 이동할 지 결정할 수 있다. 터미널이 UISWI를 확인하면,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은 모호한 사용자 입력, 부정확한 사용자 입력, 정의되지 않은 UISWI(일예로 사용자가 제공한 UISWI가 상기 매칭 리스트의 어떤 모드와도 상응하지 않는 경우), 또는 부정확한 시점에 제공된 사용자 입력이나UISWI 등으로 인하여 UISWI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 경우 터미널은 [1] 영상 유닛을 켠 채로 잠금 모드에서 더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지 않거나, [2] 영상 유닛 또는 통지 유닛에 경고 메시지나 경고 신호를 표시하거나, [3] 영상 유닛을 켠 후 경고 메시지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4] 영상 유닛을 끈 채로 청각적 또는 촉각적 경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단 터미널이 UISWI를 확인하면, 터미널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며 현재 모드로부터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터미널이 현재 모드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신규 모드로 이동할 경우,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이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면, 터미널은 [1] 저장 예정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또는 섹터)에 저장하지 않는 채 잠금 시스템에 잔류시키거나, 또는 [2] 능동적으로 저장 예정 결과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또는 섹터)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터미널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거의) 자동적으로 영상 유닛을 켜며, 따라서 터미널이 활성화 작업을 인증 작업의 실행 결과를 조건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상기 실시예는 오프 상태에서 인증 작업을 실행한 후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하면 영상 유닛을 켜는 반면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영상 유닛을 즉시 켜지 않는 터미널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하지만 후자의 구성 역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 실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예로 사용자가 인증을 시도할 때마다 터미널은 상기 인증의 결과와 관계없이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상기 두 번째 실시예와 유사한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인증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현재 사용자를 인증한 후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서 입력 유닛으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UITHEN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인증 작업을 실행한다.
제1 사용자 입력이 UIACT도 포함하는 경우, 터미널은 인증 작업의 실행 전, 실행과 동시, 또는 실행 직후, 또는 실행의 시작 직후, 영상 유닛을 켤 수 있다. 인증 작업을 완료하기 전 터미널이 활성화 작업을 완료할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을 착수하고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 또는 상이한 기본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활성화 작업(즉 영상 유닛을 켜는 작업)을 완료하기 전 터미널이 인증 작업을 마칠 경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하며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착수하며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영상 유닛의 잠금 화면을 홈 화면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잠금 화면 위에 홈 화면을 덧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이 UISWI를 포함할 경우,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UISWI를 취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잠금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1] 영상 유닛을 끈 채로 유지하거나, [2] 영상 유닛을 켜고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3] 영상 유닛을 끄고 특정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본 문장의 [2]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건의 예로는 [3-1] 사용자가 단일의 사용자 입력(일예로 입력 유닛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을 떼지 않은 채)을 특정 기간 이상 제공할 경우, [3-2] 사용자가 동시에 신규 UITHEN을 제공하거나 또는 동시에 UITHEN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신규 (사용자) 세부입력(일예로 입력 유닛과의 접촉을 유지한 채 신체 부위를 움직이는 등)을 제공하는 경우, 또는 [3-3]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 입력(일예로 동일한 또는 상이한 사용자 입력을 반복하여 제공하는 등)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경우 등이 있다. 터미널이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도록 요구하는 경우, 터미널은 UITHEN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UITHEN에 근거하여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이 UIACT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 인증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영상 유닛을 켤 필요가 없다. 하지만 사용자 인증 작업의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터미널은 [1] 영상 유닛을 끈 채로 유지하거나, [2]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을 켜고 상기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잠금 화면 위에 홈 화면을 덧씌우거나 또는 잠금 화면을 홈 화면으로 대체하며,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1] 영상 유닛을 끈 채로 유지하거나, 또는 [2]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을 켜고 상기 유닛에 잠금(또는 기본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더라도, 터미널은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영상 유닛을 켤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한 영상 유닛을 켤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입력 유닛을 두 번 이상 조작(일예로 누르거나 만지거나 접촉하는 등)할 경우, [2] 사용자가 입력 유닛을 일정 기간 이상 조작할 경우, 또는 [3] 사용자가 특정 기간 이내에 특정 사용자 입력이나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등이다. 또는 사용자 입력이 UIACT를 포함하면, 터미널은 인증 작업을 실행해야만 하는 경우에도 어쨌건 영상 유닛을 켤 수 있다.
8-3 . 잠금 모드에서 얻은 결과물의 저장 및 처리
하지만 터미널은 상기 모드 이동 전, 모드 이동과 동시 또는 모드 이동 직후, 잠금 시스템에 잔류하거나 저장된 삭제 예정 결과물에 대한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특히 [1]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저장하는 동안 또는 [2] 저장 예정 결과물을 능동적으로 저장하지 않는 동안,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을 다양한 이유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이유의 예로는 [1] 사용자가 (다음 세션에서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는 등과 같이) 나중에 저장 예정 결과물을 검토하기를 원할 경우, [2] 사용자가 현재의 잠금 세션에서 얻은 저장 예정 결과물을 이용하여 다음 세션에서 추가 잠금 작업을 실행하기를 원할 경우, 또는 [3] 사용자가 신규 모드로 이동한 후 저장 예정 결과물을 처리하기를 원할 경우 등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의 일부를 잠금(또는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는 잠금 시스템의 잠금 메모리 유닛이나 임시 메모리 섹터에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저장할 수 있다. 터미널이 일단 해제 모드로 이동하면, 사용자는 해제 모드에서 주 유닛을 구동하며, (1) 잠금 시스템의 저장 예정 결과물에 접근하고, (2) 주 유닛을 이용하여 저장 예정 결과물을 회수하며, 그리고 (3)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장 예정 결과물을 처리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사용자는 상기 모드 이동 전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장 예정 결과물을 잠금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드 이동 후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두 번째 상세예에서,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장 예정 결과물을 잠금 시스템이 아닌 주 시스템(일예로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제 모드로 이동한 후, 사용자는 (1) 주 시스템의 저장 예정 결과물에 접근하고. (2) 주 시스템으로부터 저장 예정 결과물을 회수하며, (3)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장 예정 결과물을 처리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 시스템에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저장할 수 있고 그 후 상기 모드 이동 후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 번째 상세예에서,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저장 예정 결과물을 주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지만, 주 메모리 유닛 대신 주 시스템의 임시 메모리 섹터에 저장할 수 있다. 해제 모드로 이동한 후, 사용자는 (1) 임시 메모리 섹터의 저장 예정 결과물에 접근하고, (2) 임시 메모리 섹터로부터 저장 예정 결과물을 회수하며, (3)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을 처리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 시스템의 임시 메모리 섹터에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저장할 수 있고, 모드 이동 후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상세예들의 경우, 터미널이 사용자 통계 또는 외부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저장을 원하는 결과물을 예측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가 아닌 터미널이 어떤 결과물을 저장할 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섹션의 다양한 상세예들에서 예시한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는 동안, 터미널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 예정 결과물에 대하여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8-4 . 비활성화, 장착 터미널의 모드 이동
사용자가 [1] 터미널 구동 후 영상 유닛을 끄거나, 또는 [2]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아무런 액션도 취하지 않음으로써 터미널이 영상 유닛을 끄면,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서 비활성화된다. 또한 터미널은 잠금(또는 해제) 모드로부터 오프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활성화된 터미널은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이 일단 비활성화되면, 터미널은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구동을 종료한다. 따라서 그 후 터미널을 다시 구동하려면,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새로 착수하거나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다시 착수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시동 상태에서 영상 유닛이 꺼진 상태에서도 해제(또는 잠금) 모드에서 계속 구동할 수 있다. 일예로 영상 유닛이 꺼지기 전, 꺼지는 중 또는 꺼진 직후, 터미널은 잠금(또는 주) 시스템이 구동 중이던 작업의 특정 스텝을 다양한 방법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일예로 [1] 영상 유닛을 끄기 직전 실행하던 작업의 최종 스텝의 포인터 또는 포인터의 위치를 저장하거나, [2] 잠금(또는 주) 시스템과 관련되며 상기 최종 스텝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3] 상기 시스템의 착수에 따라 얻어지거나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터미널은 영상 유닛이 꺼진 상태에서도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완전히 종료하지 않을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이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으로부터 UISWI를 취득하면, 터미널은 용이하게 (1)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고, (2) 영상 유닛이 꺼지기 전 잠금(또는 주) 시스템이 실행하던 작업의 최종 스텝을 확인한 후, (3) 상기 작업을 계속하여 실행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1) 상기 시스템을 다시 처음부터 착수할 필요 없이 영상 유닛을 끄기 전 사용자가 구동하던 시스템을 용이하게 다시 시작하고, (2) 영상 유닛을 끄기 전 사용자가 실행하였던 작업을 다시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은 UISWI를 취득해야 할 필요 없이 UIACT 또는 UITHEN을 취득함으로써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또한 UIACT 또는 UITHEN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미널은 사용자가 구동하였던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거나, UISWI에 상응하는 시스템(즉 잠금 시스템 또는 주 시스템)을 다시 (구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가 사용자가 터미널을 구동했던 모드와 상이할 경우, 터미널은 영상 유닛이 꺼지기 전 구동하던 시스템의 구동을 종료한 후, 대신 신규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상기 시스템들을 다시 시작하기 전,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잠금 시스템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할 수 있는 결과물이 주 시스템의 완전성 또는 보안에 해로운 오염된 데이터나 악성 바이러스를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유용하다.
터미널은 영상 유닛이 꺼진 동안 해제 모드에 머무를 수 있다. 영상 유닛이 꺼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은 주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고,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주 시스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만큼, 주 시스템의 보안이나 완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터미널이 주 시스템 대신 잠금 시스템을 우선 다시 시작하거나 또는 착수하는 방법이 안전할 수 있다.
8-5 . 해제 모드에서 얻은 결과물의 저장 및 처리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1] 신뢰성이 낮은 폴더를 열어야 하거나, [2] 의심스러운 웹사이트에 접속해야 하거나, 또는 [3] 인터넷으로부터 문제가 있을 수 있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해야만 하는 등의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위의 [1] 내지 [3]을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실행하기를 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상기 폴더를 열거나,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기를 원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4] 주 시스템에 저장되었거나 잔류하는 데이터를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처리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이동하여 상기 [1] 내지 [4]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신뢰성 낮은 폴더, 상기 웹사이트의 인터넷 주소,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데이터 등을 주 시스템으로부터 잠금 시스템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폴더, 주소, 컨텐츠, 데이터 등을 "주 데이터"로 지칭한다.
상기 여섯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는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 데이터"를 마크하고, 잠금 모드에 상응하는 UISWI-1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제공한다. 터미널은 다양한 시점에 "주 데이터"를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해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시점의 예로는 [1] UISWI-1의 취득과 동시, [2] UISWI-1의 취득 직후, [3] 잠금 모드로의 이동 직전, 또는 [4] 잠금 모드로의 이동과 동시 등이 있다. 터미널이 잠금 모드로 이동한 후, 사용자는 "주 데이터"를 잠금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회수하고,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며 "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주 데이터"의 처리를 완료하면, 사용자는 해제 모드에 상응하는 UISWI-2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제공함으로써, 잠금 모드로부터 해제 모드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여섯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는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 데이터를 마크하고,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주 데이터를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한다.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 상응하는 UISWI-1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터미널에 제공한다. 터미널이 잠금 모드로 이동하면,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상기 주 데이터를 회수하고,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며 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주 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해제 모드에 상응하는 UISWI-2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주 데이터를 마크함과 동시에 저장하는 대신, 터미널은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점에 주 데이터를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시점의 예로는 [1] 사용자가 주 데이터를 마크한 후 일정 기간 이내에, [2] UISWI-1의 취득과 동시에, [3] UISWI-1의 취득 직후, [4] 잠금 모드로 이동하기 전(또는 직전), 또는 [5] 잠금 모드로의 이동과 동시 등이 있다.
상기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상세예의 경우 (특히 계층이 단일의 잠금 모드와 단일의 해제 모드를 정의하며 터미널이 순차적 스위칭에 따라 구동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은 반드시 상이한 UISWI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또는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으로 저장 예정 결과물을 마크할 수 있고, 상술의 섹션 8-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 예정 결과물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잠금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결과물로서, 상기 저장 예정 결과물은 주 데이터와 관련될 수도, 관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이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상기 주 데이터를 접근하고 이를 잠금 모드에서 회수하며 잠금 모드에서 이를 처리할 수 있는 한, 터미널은 상기 첫 번째와 두 번째 상세예의 변형, 개량에 해당하는 상세예에 따라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 데이터를 처리할 수도 있다.
상술의 모든 상세예에서 사용자가 아닌 터미널이 잠금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주 데이터를 선정할 수도 있다. 특히 터미널이 사용자 통계나 외부 상황을 분석하고 사용자가 잠금 모드에서 어떤 주 데이터를 처리하기를 원하는지 예측할 수 있는 경우, 터미널이 잠금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주 데이터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문단의 상기 작업들을 실행하는 동안, 터미널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 예정 결과물에 대한 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8-6 . 활성화, 장착 터미널의 모드 이동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일곱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사용자가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구동할 때, 제2 사용자 입력의 수신 및 이로부터의 UISWI의 취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섹션 8-2 및 8-3의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잠금(또는 해제) 모드로 이동하되, UISWI-1 또는 인증 작업의 결과에 근거하여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하였다. 또한 사용자는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잠금(또는 해제) 작업을 실행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또는 주 입력유닛)을 통하여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SWI-2를 취득한다.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은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 머무르거나, 또는 다양한 방법으로 해제(또는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섹션의 터미널은 모드 이동 작업 및 인증 작업을 작업 실행 상 연결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터미널은 [1] 신규 모드로 이동하지 않고 현재 모드에 머무르거나, [2] 사용자에게 신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도록 요청하거나, 또는 [3] 영상 유닛을 끌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어떤 시스템도 구동하지 않도록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그 후 영상 유닛을 켤 때, 터미널이 자동적으로 잠금 시스템을 착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인증 작업의 결과와 관계없이, 특정 조건이 만족될 경우(일예로 일정 기간이 지나도록 사용자가 입력 유닛을 두 번 이상 밀거나, 누르거나, 접촉하거나, 만지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조작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끌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터미널은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 터미널은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을 끈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실시예는 배터리 전력을 아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여덟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오프 상태에서 UISWI-2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해제 모드에서 영상 유닛을 켜기 시작할 수 있다. 터미널은 UISWI-2를 확인한 후,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며, 현재 모드에서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은 인증 작업 결과를 조건으로 하여 모드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증에 실패한 사용자는 현재의 해제 모드로부터 어떤 모드로도 이동하지 못하거나 또는 터미널이 영상 유닛을 끌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할 경우,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을 착수하며 잠금 모드로 이동하거나, 또는 주 시스템을 끝냄으로써 어떤 시스템도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작업의 결과와 관계없이, 특정 조건이 만족될 경우(일예로 일정 기간이 지나도록 사용자가 입력 유닛을 두 번 이상 누르거나, 접촉하거나, 밀거나 만지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조작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끌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작업에 성공할 경우, 터미널은 UISWI에 상응하는 신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기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이 가장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해제 모드로부터 이보다 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신규 모드로 이동하므로,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영상 유닛을 끈 채 유지함으로써 배터리 전력을 아낄 수 있다.
8-7 . 활성화 도중의 모드 이동
사용자가 터미널 구동을 종료하면 터미널은 영상 유닛을 끄고(오프 상태) 휴지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미널을 사용하려면 온 상태로 이동한 후 잠금(또는 해제) 상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휴지 상태의 터미널을 깨우는 작업과 그 이후의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작업을 이음새 없이 연결할 수 있게 되면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아홉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강화된 보안, 향상된 완전성 및 상기 터미널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한편, 터미널을 깨우는 작업과 후속 작업을 다양한 방법으로 이음새 없이 연결한다. [도13]의 패널 (A) 내지 (D)는 제5 예시적 측면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이음새 없이 깨어나는 작업 실행 순서에 따라 구동하는 예시적 터미널의 상면도(top view)이다.
이음새 없이 깨어나는 작업의 첫 번째 상세예에 해당하는 [도13]의 패널 (A)의 예시적 데이터 처리 터미널(11)은 주 입력 유닛(20),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 (주) 영상 유닛(52) 및 [도13]의 패널 (A)에는 표시하지 않은 다른 유닛들을 포함한다. 터미널(11)은 좌측 및 우측 측면에 주 입력 유닛(20)과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각각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측 또는 우측 손으로 터미널을 잡고 상기 입력 유닛(20)(25)들을 상이한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13]의 패널 (A)의 터미널(11)은 오프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영상 유닛(52)은 꺼져 있다.
터미널(11)은 주 입력 유닛(20) 및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에 각각 상이한 과제를 할당할 수 있다. 일예로 주 입력 유닛(20)은 UIACT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ACT를 취득하는 한편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UISWI를 취득할 수 있다. 이 때 터미널(11)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이 사용자가 제공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ACT는 취득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주 입력 유닛(20)도 사용자가 제공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SWI는 취득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주 입력 유닛(20)은 터미널의 전원을 켜거나(즉 시동 상태로 이동) 또는 끄기 위한(즉 정전 상태로 이동)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반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는 UIACT, UISWI 또는 UITHEN을 취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UIACT, UISWI 또는 UITHEN을 취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어떤 입력 유닛이 어떤 (사용자) 세부입력을 취득하는 지의 결정은 선택의 문제이며, 이러한 입력 유닛의 고안은 상기 유닛의 제작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의 능력에 속하는 일이므로 위 문장의 첫 번째 예의 경우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하술에서는 바로 위 문단의 두 번째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터미널(11)을 구동하려면,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의 일부를 접촉하거나, 누르거나, 기타 방법으로 조작하는 등과 같이 상기 유닛(25)을 조작함으로써, 터미널에 UISWI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다. 제1 사용자 입력의 수신 및 UISWI의 취득에 대응하여, 터미널(11)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해제(또는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터미널(11)이 해제(또는 잠금) 모드로 이동할 때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THEN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이 영상 유닛(52)을 켜기 위하여 UIACT를 필요로 하는 경우, 제1 사용자 입력은 UIAC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음새 없이 깨어나는 작업의 두 번째 상세예에 해당하는 [도13]의 패널 (D)의 경우, 터미널(11)은 오프 상태로부터 잠금 모드로 이동한다. 일예로 터미널(11)은 인증 작업을 실행하건 하지 않건 또는 사용자가 인증작업에 성공하건 실패하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항상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 사용자는 터미널(11)을 깨울 때마다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구동함으로써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반면 터미널(11)은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해도, 잠금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잠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음새 없이 깨어나는 작업의 세 번째 상세예의 경우, [도13]의 패널 (C)의 터미널(11)은 깨어난 후 사용자에게 어떤 모드로 이동할 지에 대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11)이 인증 작업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11)은 영상 유닛(52)를 켜고, 그 위에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GUI) 두 개를 표시하되, 첫 번째 GUI는 "잠금 모드", 두 번째 GUI는 "해제 모드"라는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GUI 중 하나에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11)은 제2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모드(즉 잠금 모드 또는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 사용자는 영상 유닛(52)을 켜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 및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 등 두 개의 사용자 입력을 순차적으로 제공해야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11)은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은 단일의 사용자 입력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로 하여금 활성화 작업과 모드 이동 작업을 동시에, 이음새 없이 실행할 수 있다는 혜택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의 첫 번째 예의 경우, 사용자는 터미널(11)이 오프 상태일 때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접촉하거나 누름으로써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미널(11)이 영상 유닛(52)에 상기 GUI를 표시할 때까지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를 계속 접촉하거나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 모드로 이동하려면, 사용자는 상기 입력 유닛(25) 위에서 손가락을 옆으로 미끄러뜨리거나 이동하여 터미널(11)에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해제 모드로 이동하려면,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 위에서 손가락을 미끄러뜨리거나 상기 유닛(25)을 아래로 누름으로써 제2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만 제공하여도 잠금 모드로 또는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지 않은 채 제1 및 지2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제공하기 때문이다.
상기 구성의 두 번째 예의 경우, 사용자는 위의 첫 번째 예의 순서를 반복하되, 사용자는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을 위의 첫 번째 예와는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왼손으로 터미널(11)을 잡는 사용자는 집게손가락으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를 조작(일예로 접촉하거나 누르거나 등)하며, 첫 번째 예와 유사하게 제1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집게손가락으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을 계속 조작하는 동안, 사용자는 [1] 엄지손가락으로 주 입력 유닛(20)을 동시에 조작하거나, 또는 [2]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GUI 중 하나를 동시에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제1 사용자 입력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음새 없이 깨어나는 작업의 네 번째 상세예의 경우, [도13]의 패널 (D)의 터미널(11)은 깨어나며 사용자에게 어떤 모드로 이동할 지에 대한 상이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11)이 인증 작업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11)은 영상 유닛(52)을 켜고 세 개의 GUI를 표기할 수 있으며, 이 때 첫 번째 GUI는 "잠금 모드," 두 번째 GUI는 "중급 모드," 세 번째 GUI는 "해제 모드"라고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수의 GUI 중 하나에 제2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터미널(11)은 제2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잠금 모드, 중급 모드 또는 해제 중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 사용자는 영상 유닛(52)을 켜면서 잠금 모드나 해제 모드 중 하나로 이동하기 위한 두 개의 순차적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위의 세 번째 상세예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예의 경우와 같이 터미널(11)은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터미널(11)은 특정 계층이 정의하는 모드의 수효와 관계없이 상기 실시예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11)은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또는 이의 혼합 등의 상이한 배열로 다수의 GUI들을 배치할 수 있다. 터미널은 [1] 사용자가 접촉하는 GUI를 강조하거나, [2] 특정 모드에 해당하는 GUI를 강조하며 상기 모드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거나, 또는 [3] GUI 외에도 각 모드에 대한 추가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상기 GUI는 상기 다양한 통지 유닛(또는 상기 통지 유닛은 GUI)과 유사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음새 없이 깨어나는 작업의 다섯 번째 상세예의 경우, 사용자가 오프 상태로부터 직접 해제 모드로 이동하려 할 경우, 터미널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UITHEN에 근거하여 인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UISWI를 포함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텝은 상술의 예들의 스텝에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활성화 작업, 인증 작업 및 모드 이동 작업을 모두 동시에, 이음새 없이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은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THEN을 취득할 수 있다. UITHEN의 취득이 완료되면, 터미널(11)은 UITHEN을 이용하여 인증 작업을 적합한 시점에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가 터미널(11)의 파워를 켤 때 주 입력 유닛(20)은 UITHEN을 취득할 수도 있다. 그 후 동일한 사용자가 일정 기간 이내에 해제 모드로 이동할 경우, 터미널(11)은 상기 사용자를 이미 인증된 사용자로 간주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모드 이동용 입력 유닛(25)는 제1 사용자 입력과 동시에 제공되는 제2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UITHEN을 취득할 수 있다.
본 섹션의 다양한 터미널의 다양한 구성 상의 또는 작업 실행 성의 특성은 본 명세서의 다른 섹션에서 예시한 터미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섹션의 터미널은 다양한 활성화 시점에 영상 유닛을 켤 수 있거나, 다양한 착수 시점에 잠금 시스템 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하거나,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 작업 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다양한 모드 이동 시점에 모드를 이동할 수 있다.
8-8 . 삭제(또는 부분삭제) vs. 접근 권한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상술과 같이 강화된 보안, 향상된 완전성은 물론 주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하여 삭제나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제1 모드(일예로 잠금 모드 또는 기타 제한적 모드)로부터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제2 모드(일예로 해제 모드 또는 기타 비제한적 모드 등)로 이동할 때,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 이동할 때에는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열 번째 실시예의 터미널은 넓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로부터 적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드로 이동할 때(일예로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해제 모드로부터 다른 제한적 모드로, 또는 제1 제한적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로 등)에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제3 모드로부터 제4 모드로 이동할 때에도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제3 및 제4 모드는 범위, 종류 또는 깊이 관점에서 서로 비교될 수 있는 정도(일예로 비중첩 또는 일부 중첩 모드의 경우)이어서 어떤 모드가 더 접근 권한이 넓은 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일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터미널을 공유하는 경우, 각 사용자가 자신만의 접근 권한을 보유하며 각각의 개인 정보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므로, 터미널은 각 사용자가 상기 터미널을 사용할 때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각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잠금(또는 주) 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전적(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터미널(또는 잠금 CPU 유닛이나 주 CPU 유닛)은 각각의 잠금 시스템의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었거나 또는 잔류하는 결과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마다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각각의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에 따라 다양한 모드를 분리하는 것은 성질 상 상대적이며, 이에 따라 제2 모드는 제1 모드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질 수 있지만 제3 모드보다는 더 적은 접근 권한만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서로 상이한 접근 권한을 가진 모드들을 접근 권한이 큰 순서로 배열하더라도, 터미널은 [1] 신규 모드가 현재 모드보다 더 넓은 접근 권한을 가진 경우에만, [2] 신규 모드가 현재 모드보다 더 적은 접근 권한을 가진 경우에만, 또는 [3] 현재 모드와 신규 모드의 접근 권한과 관계없이, 상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삭제나 부분삭제 작업과 관련하여 예시한 상술의 다양한 구성이나 배치에도 불구하고, 터미널 제조사 또는 사용자는 각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각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삭제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잠금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는 한,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때때로 실행함에 따라 사용자는 그렇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강화된 보안, 완전성 또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유지할 수 있다.
8-9 . 모드 이동 및 광고/컨텐츠 표시
상술과 같이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은 다양한 잠금 화면, 기본 설정 화면 또는 홈 화면을 다양한 잠금 모드, 중급 모드, 해제 모드에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열한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영상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상기 목적의 예로는 [1] 영상 유닛에 하나 이상의 광고나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2] 상기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웹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거나, [3] 사용자가 상기 광고나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거나, [4] 사용자가 상기 광고, 컨텐츠 또는 웹사이트가 제공하는 선택지(choice)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또는 [5] 사용자가 상기 표시, 접속, 편집 또는 선택에 의하여 얻은 대응물(일예로 일종의 결과물)을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광고"란 공지, 공고 또는 기타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광고는 특정 제품, 서비스 또는 사건을 홍보하기 위하여 제공하고, 상기 광고를 보거나 기타 방법으로 상기 광고와 소통(interact)하는 사용자는 광고 제공자 또는 상기 광고와 관련된 다른 자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도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상기 광고를 잠금 화면, 기본 설정 화면 또는 심지어 홈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각각의 모드에 부여된 접근 권한과는 관계없이 터미널이 특정 모드로 이동할 때 또는 모드를 이동할 때마다 상기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접근 권한이 더 넓은 현재 모드로부터 접근 권한이 적은 신규 모드로 이동할 때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상기 광고를 잠금 화면, 중급 화면 또는 홈 화면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상기 광고를 상기 화면의 전체가 아닌 일부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은 [1] 상기 광고를 화면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거나, [2] 상기 광고의 위치를 바꾸며 화면에 표시하거나, [3] 상기 광고의 크기나 모양을 바꾸며 표시하거나, 또는 [4] 다양한 모양이나 크기의 팝업 스크린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1] 특정한 잠금 화면, 중급 화면 또는 홈 화면이 영상 유닛에 표시될 때마다 광고를 표시하거나, [2] 일정 기간 동안만 광고를 표시하거나, [3] 특정 수효의 화면에만 광고를 표시하거나, 또는 [4] 특정 수효의 모드에서만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양한 표시 시점 중 특정 시점에 광고를 표시하도록 영상 유닛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시점의 예로는 [1] 터미널이 정전 상태에서 시동 상태(일예로 터미널의 파워를 켠 상태)로 이동함과 동시 또는 상기 이동 후(또는 직후), [2]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일예로 영상 유닛을 켜거나 터미널은 깨우는 등)로 이동함과 동시 또는 상기 이동 후(또는 직후), [3] 해제 모드로부터 잠금(또는 중급) 모드로 이동함과 동시 또는 그 후(또는 직후), [4] 중급 모드로부터 잠금 모드(또는 이의 반대)로 이동함과 동시 또는 그 후(또는 직후), 또는 [5] 잠금 모드에서 잠금 시스템을 시작함과 동시 또는 그 후(또는 직후) 등이 있다.
상술과 같이 터미널은 광고를 일정 기간 동안 표시한 후, 상기 광고를 상기 화면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는 터미널은 영상 유닛에 광고를 표시하며, [1] 사용자가 광고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때까지, 또는 [2] 사용자가 상기 광고에 능동적, 수동적 노력을 실행할 때까지, 상기 광고를 표시하며, 그 이후 광고를 영상 유닛에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앞의 [1] 또는 [2]의 후, 터미널은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광고에는 이를 다양한 배치에 따라 또는 다양한 시점에 제공하는 제공자나 스폰서가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1] 과거 또는 상기 표시 시점 이전 잠금 메모리 유닛 등과 같이 터미널 자체에 저장해 놓은 광고를 표시하거나, [2] 과거 또는 상기 표시 시점 이전 광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후 저장한 광고를 표시하거나, 또는 [3] 터미널이 외부 광고 제공자에게 직접 또는 간접으로 요청하고 이에 외부 광고 제공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표시 시점에 또는 실시간으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광고를 그 자체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이 표시하는 광고는 터미널에 저장된 광고와 동일하거나 광고 제공자가 제공한 광고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터미널은 위 문단의 [1] 내지 [3]의 광고를 수정하거나 편집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은 상기 화면에 단일의 광고를 표시하거나, 다수의 정적 광고를 표시하거나, 또는 단일 또는 다수의 광고를 표시하며 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광고를 변경할 수 있다.
외부 광고 제공자는 상기 광고를 일방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광고를 볼 수는 있지만 광고 자체 또는 외부 제공자와 소통하지 못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광고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면, 상기 광고는 대응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대응물의 예로는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신규 화면, [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선택지 또는 옵션, [3] 사용자가 접속하도록 하는 신규 웹사이트, [4] 다운로드하는 이미지, 파일 또는 문서, 또는 [5]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보상 등이 있다.
외부 광고 제공자는 사용자가 광고에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의 횟수를 인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광고를 보는 기간 등을 인지할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상기 대응물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광고를 오래 볼수록 또는 사용자가 상기 광고에 더 많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수록, 광고 제공자는 [1] 더 많은 보상을 사용자에게 지급하거나 또는 [2] 사용자를 더 보상이 많은 웹사이트에 접속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광고 보기를 종료하거나, 또는 광고나 제공자와의 소통을 종료하게 되면, 터미널은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잠금 시스템에 저장되었거나 또는 잔류하는 상기 대응물의 전체나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대응물은 [1] 광고를 봄으로써, [2] 광고를 조작함으로써, [3] 광고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또는 [4] 광고가 제공하는 외부 링크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얻은 대응물 등일 수 있다. 터미널은 상술의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광고를 조작하거나 광고와 소통함으로써 얻은 특정 대응물을 저장하기를 원할 경우, 사용자는 수동으로 저장 예정 대응물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터미널은 저장 예정 대응물을 잠금 메모리 유닛 또는 터미널이 허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주 메모리 유닛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술의 부분삭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터미널은 저장 예정 대응물을 임시 메모리 섹터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는 터미널은 광고나 상기 광고에 포함된 아이템에 사용자가 제공한 사용자 입력의 수효, 사용자가 상기 광고를 본 기간, 기타 사용자 통계 등에 근거하여 저장 예정 대응물을 적응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제 모드에서 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대응물을 처리하기를 원할 때, 터미널은 섹션 8-3에서 설명한 다양한 방법에 따라 다양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의 광고 제공 및 조작과 마찬가지로,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영상 유닛에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상기 컨텐츠를 편집 또는 선택하거나, 상기 조작이나 소통 등에 의하여 얻은 대응물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란 그림, 사진, 문자, 텍스트, 동영상, 비디오 게임, 다른 사람이나 물체의 이미지(또는 동영상) 등을 지칭한다. 상기 "컨텐츠"는 사실 설명, 의견 설명, 예술적 표현, 미적 표현, 또는 상술의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기 광고를 표시하고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8-10 . 잠금 화면의 광고/컨텐츠 표시
광고 제공자는 자신이 찾을 수 있는 모든 유용한 공간에 광고를 제공하기를 원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광고 제공자들이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다양한 공간에 광고를 제공함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또한 광고 제공자가 터미널의 화면의 잠재적 가치를 인지하게 됨에 따라, 이들은 터미널의 화면에 다양한 광고를 제공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사용자가 인터넷 검색을 할 때마다 광고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내용으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읽고 있을 때 화면을 둥둥 떠다니며 사라지지도 않는 팝업 광고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즐거운 경험이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열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화면에 하나 이상의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은 하나 이상의 "광고 뷰어"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뷰어는 제한된 기능을 가지며 광고 관련 데이터 또는 파일을 사용자가 보기 쉬운 포맷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뷰어는 [1] 기존의 파일 뷰어, [2] 기존의 이미지 뷰어, 또는 [3] 기존의 웹 브라우저 등일 수 있으며, 상술의 제1 구성의 잠금 뷰어도 광고 뷰어의 한 가지 예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광고 뷰어는 상이한 종류나 포맷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뷰어는 상이한 바이트 순서, 코드 페이지, 새로운 줄 양식 등을 처리함으로써 데이터나 파일에 대한 다양한 형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포맷 해석기(format trans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뷰어는 HTML 마크업을 사용자에게 친숙한 형태로 제공하거나 또는 그래픽 파일을 썸네일 프리뷰, 썸네일 생성 또는 확대 이미지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광고 뷰어는 영상 유닛에 이미지는 물론 텍스트도 표시할 수 있다. 광고 뷰어는 상기 광고와 관련된 청각적 신호나 촉각적 신호도 생성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기 광고 뷰어를 잠금 뷰어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잠금 CPU 유닛 또는 잠금 운영체계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뷰어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잠금 시스템이 잠금 CPU 유닛, 잠금 운영체계 또는 광고 뷰어를 구동할 수 있는 앱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주 시스템이 광고 뷰어를 구동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 또는 주 시스템은 상기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잠금 뷰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잠금 모드에서 특정 광고를 저장한 후, 추후 상기 광고를 다시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특정 광고를 마크하거나, 특정 광고를 잠금(또는 주) 메모리 유닛이나 기타 잠금(또는 주) 시스템의 메모리 섹터에 저장할 수 있다. 또 잠금 모드에서 터미널을 구동하는 사용자는 상기 광고를 조작 또는 편집하여 얻은 대응물, 상기 광고가 제공하는 웹사이트로부터 얻은 대응물, 상기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얻은 파일이나 데이터 등의 대응물 중 특정 대응물을 선택할 수 있다. 터미널은 상기 선택된 대응물을 상술의 저장 시점에 저장할 수 있다.
광고 뷰어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뷰어 앱은 잠금 시스템에 장착되고 잠금 (또는 주) 시스템에 구동되거나, 또는 상기 광고 뷰어 앱은 주 시스템에 장착되며, 주(또는 잠금) 시스템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는 광고 뷰어는 잠금(또는 주) 시스템에 장착된 잠금 뷰어나 기타 (소프트웨어) 앱의 플러그인 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광고 뷰어는 터미널과 탈착식으로 또는 작업 실행 상 연결되는 외부 기기에 장착될 수 있으며, 광고 뷰어는 상술의 다양한 삭제 시점에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 뷰어는 사용자가 잠금 뷰어를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 기기를 터미널에 연결할 때, 사용자가 잠금 뷰어를 사용하는 중, 또는 잠금 뷰어 사용 후 사용자가 외부 기기를 터미널로부터 분리할 때, 섹션 1의 잠금 뷰어 사용과 관련한 설명과 같이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광고 뷰어는 USB형태의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 기기는 [1] 광고 뷰어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만 포함하거나, [2] 광고 뷰어 및 최소한의 기능성만 갖추되 광고 뷰어를 구동할 수 있는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하거나, 또는 [3] 광고 뷰어, 잠금 CPU 유닛 및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외부 기기는 주 CPU 유닛 또는 주 메모리 유닛의 일부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외부 기기에 포함된 잠금 시스템에는 포함되지 않는 기능성을 보완할 수 있다.
터미널은 광고 뷰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회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잠금 뷰어는 특정 기준에 근거하여 특정 멤버에게만 할인 쿠폰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의 예로는 [1] 멤버십 사회에서의 멤버의 지위, [2] 성별, [3] 나이, [4] 직업, [5] 수입, [6] 멤버의 개인 선호도 또는 취미, [7] 현재 위치, [8] 여행 목적지, [9] 쇼핑 경력 또는 쇼핑 리스트, [10] 집 주소 또는 회사 주소, [11] 집 주소 또는 회사 주소로부터 특정 상점까지의 거리 또는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12] 현재 위치에서 특정 상점까지의 거리 또는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13] 시간, [14] 요일, [15] 혼인 여부, [16] 가족 수효 또는 친인척 수효, 또는 [17] 특정 휴일까지 남은 날짜 등이 있다.
광고 뷰어는 [1] 쿠폰을 표시하기 시작하는 시점, [2] 쿠폰을 표시하는 기간, 또는 [3] 발행할 쿠폰 수효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광고 뷰어는 위 문단의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거나 또는 멤버가 아닌 특정 상품이나 상인과 관련된 기타 기준에 근거하여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에 할인을 제공할 지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광고 뷰어는 특정 시점에만 쿠폰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시점의 예로는 [1] 하루 중 특정 시간에, [2] 일주일(또는 달) 중 특정 날에, 또는 [3] 특정 휴일에, 상기 휴일 전 또는 후 등이 있다.
다양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하여, 터미널은 중앙 저장소에 광고들을 보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소의 예로는 [1] 잠금 시스템의 잠금 메모리 유닛(또는 부위), [2] 잠금 시스템의 임시 메모리 섹터(또는 부위), [3] 주 메모리 유닛, 또는 [4] 외부 기기 등이 있다. 터미널은 상기 저장소의 광고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일예로 터미널 제조사 또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받거나, 웹사이트로부터 확보하거나 또는 광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8-11 . 공통 영상 유닛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터미널의 각각의 영상 유닛은 주 영상 유닛으로 지칭하였다. 하지만 터미널이 주 시스템과 잠금 시스템을 포함할 때, 주 시스템은 주 영상 유닛을 포함하는 반면, 잠금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잠금 영상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주 영상 유닛과 잠금 영상 유닛은 터미널의 별개의 하드웨어 요소를 지칭한다. 영상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 잠금 시스템은 주 영상 유닛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영상 잠금 유닛을 포함하는 잠금 시스템은 화면을 [1] 잠금 영상 유닛에 표시하거나, [2] 주 영상 유닛에만 표시하거나, 또는 [3] 잠금 영상 유닛 및 주 영상 유닛 모두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열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주 영상 유닛은 주 시스템 및 잠금 시스템의 공통 하드웨어 요소로 간주할 수 있다. 특히 잠금 시스템이 어떤 잠금 영상 유닛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잠금 시스템은 직접 또는 주 CPU 유닛이나 주 운영체계를 이용하여 주 영상 유닛을 구동할 수 있다.
상술의 구성은 필연적일 수 있으며, 특히 터미널이 잠금 시스템으로 하여금 주 시스템의 어떤 유닛도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터미널은 [1] 잠금 시스템이 잠금 영상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의 주 영상 유닛을 직접 접근하거나 또는 구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2] 잠금 시스템이 주 시스템을 호출하면 주 시스템이 잠금 시스템을 위하여 주 영상 유닛을 접근하고 또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본 명세서에서 터미널이 "주 영상 유닛"을 포함하지 않고 "영상 유닛"을 포함한다고 설명하면, 상기 영상 유닛은 잠금 시스템도 구동할 수 있는 주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소로 간주할 수 있다.
8-12 . 영상 유닛 및 모드 이동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열네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단일의 영상 유닛만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유닛은 다수의 세그먼트를 정의하며, 각각의 세그먼트는 주 시스템 또는 잠금 시스템 중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서만 구동되거나 또는 주 시스템 및 잠금 시스템 모두에 의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거나 또는 상이한 모양이나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터미널은 상기 영상 유닛의 각 세그먼트를 동일하거나 상이한 데이터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각 세그먼트를 동일한 또는 상이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상기 각 세그먼트를 다양한 통지 유닛의 세부유닛과 같이 이용할 수 있으며, 터미널은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으며, 상기 세그먼트에 다양한 결과물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터미널은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구동하여 얻은 결과물은 영상 유닛의 제1 세그먼트에 표시하도록 상기 세그먼트를 구동하고, 해제(또는 잠금) 모드에서 주(또는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여 얻은 결과물을 동일한 영상 유닛의 제2 세그먼트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잠금 작업을 실행하여 얻었으며 제1 세그먼트에 표시된 제1 결과물을 감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주 시스템의 다양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구동하여 얻은 제2 결과물을 감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영상 유닛의 다수의 세그먼트들에서 동일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구동할 경우, 사용자는 다수의 세그먼트들을 단일의 화면으로 통합한 후 영상 유닛의 다수의 세그먼트들에 단일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터미널은 다수의 세그먼트 중 하나의 세그먼트에 일상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일상적 데이터로는 날자, 시간, 신규 이메일이나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메시지, 하드웨어 요소나 소프트웨어 요소의 상태 등이 있으며, 상기 일상적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작업을 실행하지 않아도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열다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터미널은 다수의 영상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영상 유닛은 주 시스템만이 구동하거나 또는 주 시스템 및 잠금 시스템이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유닛들은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영상 유닛이 상이한 모양, 크기 또는 지향을 가질 수 있다. 터미널은 동일한 면에 다수의 영상 유닛을 배치하거나, 상이한 면에 다수의 영상 유닛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면에 관계없이, 터미널은 각 영상 유닛에 동일한 또는 상이한 데이터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각 영상 유닛을 구동하거나, 또는 각 영상 유닛을 동일하거나 상이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은 각 영상 유닛을 상술의 통지 유닛의 각 세부유닛과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은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하며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여 얻은 결과물을 다수의 영상 유닛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의 영상 유닛에서 동일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영상 유닛들을 단일의 영상 유닛으로 합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제1 영상 유닛에 특정 이미지의 반을 표시하는 반면 제2 영상 유닛에 상기 이미지의 나머지 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단일의 영상 유닛이 다수의 세그먼트를 정의하는 상술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8-13 . 다수의 운영체계 또는 CPU
상술과 같이 잠금 시스템은 잠금 뷰어, 잠금 메모리 유닛 또는 잠금 시스템의 기타 잠금 유닛을 구동할 수 있는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이 잠금 CPU 유닛 외에 주 CPU 유닛을 포함하므로, 주 시스템의 주 운영체계가 잠금 CPU 유닛의 존재를 고려하며 작동하지 않는 한, 잠금 CPU 유닛은 적절히 구동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5 예시적 측면의 열여섯 번째 실시예의 경우, 잠금 시스템이 잠금 CPU 유닛을 포함할 경우, 터미널(또는 주 CPU 유닛)은 잠금 CPU 유닛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예로 터미널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깨어나면서(일예로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이동),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어떤 CPU 유닛을 구동할 지 문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 CPU 유닛을 선택하면, 터미널은 잠금(또는 해제) 모드에서 잠금(또는 주) 시스템을 착수하며, 잠금(또는 주) CPU 유닛, 잠금(또는 주) 운영체계 및 상기 시스템의 기타 유닛들을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이 UISWI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온 상태에서 수신하면, 터미널은 사용자에게 모드 이동 후 잠금(또는 주) CPU 유닛 또는 잠금(또는 주) 시스템 중 어떤 유닛 또는 시스템을 구동할 지 문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또는 해제) 모드로부터 해제(또는 잠금) 모드로 이동 후 주(또는 잠금) 시스템을 구동하기로 선택하는 경우, 터미널은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고, 주(또는 잠금) CPU 유닛을 구동하며 주(또는 잠금) 시스템을 착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제(또는 잠금) 모드로부터 잠금(또는 해제) 모드로 이동한 후에도 주(또는 잠금) 시스템을 구동할 경우, 터미널은 다른 CPU 유닛의 구동을 종료 또는 억압하며 동일한 CPU 유닛을 구동하며 동일한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의 경우, 터미널은 잠금 CPU 유닛과 주 CPU 유닛이 협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예로 잠금 CPU 유닛과 주 CPU 유닛이 [1] 단일의 동일한 작업을 실행(단일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2] 동일 또는 상이한 다수의 작업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동기화할 수 있다. 터미널은 잠금 CPU 유닛과 주 CPU 유닛을 동기화하며 삭제(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으며, 일예로 [1] 잠금 CPU 유닛과 주 CPU 유닛이 각각 삭제 작업 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일예로 두 번의 중복 기재 또는 두 번의 암호화)하거나, [2] 상이한 메모리 유닛이나 상이한 데이터 세트에 대하여 삭제 작업 또는 부분삭제 작업을 실행하거나, 또는 [3] 잠금 CPU 유닛과 주 CPU 유닛 각각이 삭제 작업과 부분삭제) 작업 중 하나만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8-14 . 변형 및 개량
상술의 제5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은 상이한 구성, 배치 또는 순서에 따라 구성되고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5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의 변형 또는 개량 또한 상술의 제1 내지 제4 구성의 터미널의 변형이나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터미널의 변형이나 개량과도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의 제5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및 상세예의 터미널의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상의 변형 또는 수정은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 측면의 다른 실시예나 상세예와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예시적 측면의 특정 실시예 또는 상세예의 특정 특성은 상이한 예시적 측면의 다른 실시예나 상세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제5 예시적 측면의 다양한 터미널의 기타 구성 상 또는 작업 실행상의 특성 및 이의 변형 또는 수정 역시, 하술의 적용, 포함, 대체 또는 결합이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1] 본 명세서의 상이한 측면, 실시예나 상세예의 상응하는 특성에 적용되거나. [2]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포함되거나, [3] 상기 상응하는 특성을 대체하거나, [4] 상기 상응하는 특성에 의해 대체되거나, 또는 [5] 상기 상응하는 특성과 결합될 수 있다.
9. 호환성
상술에서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터미널을 구성하는 방법 및 상기 터미널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설명하였으며, 특히 다양한 예시적 측면, 상기 측면의 실시예, 상세예 및 목적 등을 언급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단 상기 설명은 상기 터미널 및 상기 방법의 특성, 구성 상의 특성이나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을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과 관련된 방법, 관련된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터미널의 변형 또는 개량이 자명하다.
상술에서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예시적 측면, 실시예, 상세예 및 목적 등을 설명하였으나, 이의 변형이나 개량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변형 및 개량은 본 명세서의 예시적 측면, 실시예, 상세예 및 목적의 정신이나 범위로부터의 이탈로 간주하지 않으며, 관련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상기 변형 또는 개량은 본 명세서의 범위는 물론 하술의 청구항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 명세서의 특정 측면, 실시예, 상세예나 목적의 다양한 특성은 본 명세서의 상이한 측면, 실시예, 상세예나 목적의 상응하는 특성에 호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단 상기 호환성은 상기 적용, 포함, 대체 또는 혼합이 서로 상충되지 않는 경우에 한한다.
일예로 본 명세서는 단일의 잠금 모드 및 단일의 해제 모드를 정의하는 계층에서 구동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터미널의 잠금(또는 주) 시스템, 상기 시스템의 CPU 유닛이나 운영체계 등을 중점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의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은 단일의 잠금 모드 및 단일의 해제 모드 이외의 모드를 하나 이상 정의하는 계층에서 구동하는 상이한 터미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이한 터미널은 잠금 모드에서 중급 모드로, 그 후 중급 모드에서 해제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이한 터미널은 계층이 순차적일 경우 다시 잠금 모드나 중급 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터미널의 기타 특성은 세 개 이상의 상이한 모드들 사이에서 모드를 이동하는 다른 터미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터미널이 두 개만의 시스템, 즉 잠금 시스템과 주 시스템만을 포함한다고 설명하면, 상기 터미널은 중급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잠금 시스템이건 주 시스템이건 중급 모드에서 구동한다고 간주한다.
다른 예의 경우, 본 명세서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터미널의 잠금(또는 주) 시스템, CPU 유닛 또는 운영체계 및 제1 유형 사용자 입력에 대응한 다양한 작업 실행 방법의 구성 또는 작업 실행 상의 특성을 예시하였다. 단 상기 특성은 다른 형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다양한 작업을 실행하는 터미널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기계적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적용되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의 정의는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입력의 상이한 성질에 알맞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일예로 제5 유형의 음향적 사용자 입력의 경우, 단일의 사용자 입력은 음파에 의한 마이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직접 또는 간접 조작에 기인하는 사용자 입력으로 정의되며, 이 때 상기 음파는 사용자의 성대 또는 기타 신체 부위에 의하여 생성되며, 그 사이에 시간적 공백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 상기 터미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상기 터미널을 사용하는 방법 등은 상이한 전기 부품 또는 디지털 부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부품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작업과 유사한 작업을 실행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의 설명과 같이, 터미널이 오프 상태에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나 세부입력에 대응하여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상기 터미널은 특정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 바이너리 코드 또는 기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측면, 실시예 및 상세예를 상술과 같이 설명하였지만, 상술의 설명은 다양한 데이터 처리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함이지 상기 터미널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특히 상기 범위는 아래의 청구항에 의하여 정의된다. 기타 측면, 실시예, 상세예, 이점, 변형 등은 모두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5)

  1. 잠금 모드에서 구동되며 앱이 장착되어 있는 잠금 시스템, 해제 모드에서 구동되는 주 시스템 및 오프 상태에서는 꺼지고 온 상태에서는 켜지는 영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 모드에서는 사용자에게 제1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해제 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권한보다는 넓은 제2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온 상태 및 상기 오프 상태에서 상기 앱은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앱 유지 단계;
    상기 터미널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앱 구동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오프 상태에서 제공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온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잠금 화면에 상기 앱을 표시하는 앱 표시 단계;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앱을 이용하여 외부 소스에 접근하는 접근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단계;
    상기 접근 작업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부 소스와 관련된 결과물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결과물이 상기 주 시스템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상기 잠금 시스템을 상기 주 시스템으로부터 격리하는 격리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제공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는 이동 단계; 및
    상기 모드 이동 작업 실행 이전의 시점, 상기 모드 이동 작업과 동시의 시점 및 상기 모드 이동 작업 이후의 시점 중 하나인 삭제 시점에 상기 터미널이 상기 결과물의 제1 부분을 삭제하는 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삭제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중 하나에서 상기 잠금 시스템에 상기 앱을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중 하나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앱을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하도록 하는 단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유지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의 전원이 꺼진 정전 상태에서도 상기 앱이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유지 단계에서, 상기 잠금 시스템의 최소 일부분이 악성 프로그램, 악성 코드 및 악성 바이러스 중 하나에 의하여 오염된 경우, 상기 터미널 및 상기 사용자 중 하나는 상기 앱을 상기 잠금 시스템으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잠금 시스템에 상기 앱을 다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표시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영상 유닛에 상기 앱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단계에서, 상기 외부 소스는 탈착 기기, 휴대용 기기, 타터미널, 웹사이트 및 클라우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결과물은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파일, 폴더, 앱 및 인터넷 주소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결과물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에서 방문한 웹사이트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처리한 데이터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다운로드한 데이터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선택한 웹사이트 주소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실행한 작업 리스트, 및 상기 잠금 모드에서 저장한 데이터 리스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접근 작업은, 상기 앱이 파일 뷰어 앱, 이미지 뷰어 앱, 통신망 앱, 사물 인터넷 망 앱, 웹 브라우저 앱, 광고 뷰어 앱, 메신저 앱 및 이메일 앱 중 하나이고, 상기 앱이 접근한 데이터, 파일 및 컨텐츠 중 하나를 열기 및 다운로드 하기 중 하나의 작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구동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주 시스템을 상기 결과물로부터 물리적 격리 및 작업 실행 상의 격리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격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계에서, 상기 인증 작업은 지문 인증 작업, 안면 인증 작업, 손 인증 작업, 손바닥 인증 작업, 홍채 인증 작업, 망막 인증 작업, 음성 인증 작업, 및 혈관 패턴 인증 작업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모드에 머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시스템, 상기 주 시스템 및 상기 잠금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앱 중 하나가 상기 삭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 중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삭제 시점은 상기 인증 작업 실행과 동시의 시점, 상기 인증 작업 실행 이후의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켜는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미널의 전원을 끄는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미널의 전원을 끈 후 다시 켜는 시점 증 하나의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제2 부분을 데이터 버퍼, 캐쉬, 클립보드 및 리사이클 빈 중 하나에 임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제2 부분을 상기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18. 영상 유닛, 잠금 시스템 및 주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 유닛은 오프 상태에서는 꺼지고 온 상태에서는 켜지고,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잠금 모드에서 구동되고, 상기 잠금 시스템에는 잠금 앱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잠금 시스템은 상기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잠금 화면에는 상기 잠금 앱이 표시되고, 상기 주 시스템은 해제 모드에서 구동되고, 상기 주 시스템에는 주 앱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주 시스템은 상기 영상 유닛에 홈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홈 화면에는 상기 주 앱이 표시되고, 상기 잠금 모드에서는 사용자에게 제1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해제 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권한보다는 넓은 제2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터미널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모드에서는 상기 잠금 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해제 모드에서는 상기 주 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 부여 단계;
    상기 터미널이 상기 영상 유닛에 상기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잠금 화면 표시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오프 상태에서 제공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영상 유닛에 상기 잠금 화면 및 상기 홈 화면을 함께 표시하는 다수 화면 표시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사용자가 상기 잠금 앱을 이용하여 상기 잠금 모드에서 외부 소스에 접근하는 접근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앱 구동 단계;
    상기 접근 작업의 실행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부 소스와 관련된 결과물을 생성하는 결과물 생성 단계;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결과물이 상기 주 시스템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상기 잠금 시스템을 상기 주 시스템으로부터 격리하는 격리 단계;
    상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해제 모드로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해제 모드에서 상기 주 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이동 단계; 및
    상기 모드 이동 단계 이전의 시점, 상기 모드 이동 단계와 동시의 시점 및 상기 모드 이동 단계 이후의 시점 중 하나인 삭제 시점에 상기 터미널이 상기 결과물의 제1 부분을 삭제하는 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삭제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중 하나에서 상기 잠금 시스템에 상기 잠금 앱을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 및 해제 모드 중 하나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앱을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하도록 하는 단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온 상태 및 상기 오프 상태에서도 상기 잠금 앱이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전원이 꺼진 정전 상태에서도 상기 잠금 앱이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시스템의 최소 일부분이 악성 프로그램, 악성 코드 및 악성 바이러스 중 하나에 의하여 오염된 경우, 상기 터미널 및 상기 사용자 중 하나는 상기 잠금 앱을 상기 잠금 시스템으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잠금 시스템에 상기 잠금 앱을 다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화면에 상기 잠금 앱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홈 화면에 상기 주 앱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앱 구동 단계에서, 상기 외부 소스는 탈착 기기, 휴대용 기기, 타터미널, 웹사이트 및 클라우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물 생성 단계에서, 상기 결과물은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파일, 폴더, 앱 및 인터넷 주소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물 생성 단계에서, 상기 결과물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잠금 모드에서 방문한 웹사이트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처리한 데이터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다운로드한 데이터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선택한 웹사이트 주소 리스트, 상기 잠금 모드에서 실행한 작업 리스트, 및 상기 잠금 모드에서 저장한 데이터 리스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물 생성 단계에서, 상기 외부 소스 접근 작업은, 상기 앱이 파일 뷰어 앱, 이미지 뷰어 앱, 통신망 앱, 사물 인터넷 망 앱, 웹 브라우저 앱, 광고 뷰어 앱, 메신저 앱 및 이메일 앱 중 하나이고, 상기 결과물은 상기 앱이 접근한 데이터, 파일 및 컨텐츠 중 하나를 열기 및 다운로드 하기 중 하나의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 구동 방법.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계에서, 상기 인증 작업은 지문 인증 작업, 안면 인증 작업, 손 인증 작업, 손바닥 인증 작업, 홍채 인증 작업, 망막 인증 작업, 음성 인증 작업, 및 혈관 패턴 인증 작업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 작업에 실패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영상 유닛에 상기 홈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3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시스템, 상기 주 시스템 및 상기 잠금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앱 중 하나가 상기 삭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3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 중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3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단계에서, 상기 삭제 시점은 상기 인증 작업 실행과 동시의 시점, 상기 인증 작업 실행 이후의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유닛을 끈 후 다시 켜는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미널의 전원을 끄는 시점,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미널의 전원을 끈 후 다시 켜는 시점 증 하나의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3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제2 부분을 데이터 버퍼, 캐쉬, 클립보드 및 리사이클 빈 중 하나에 임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3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잠금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결과물의 상기 제1 부분과 상이한 제2 부분을 상기 잠금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35. 잠금 모드에서 구동되며 앱이 장착되어 있는 잠금 시스템, 해제 모드에서 구동되는 주 시스템 및 오프 상태에서는 꺼지고 온 상태에서는 켜지는 영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 모드에서는 사용자에게 제1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해제 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권한보다는 넓은 제2 권한을 부여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온 상태 및 상기 오프 상태에서 상기 앱은 상기 잠금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앱 유지 단계;
    상기 터미널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앱 구동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오프 상태에서 제공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온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영상 유닛에 잠금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잠금 화면에 상기 앱을 표시하는 앱 표시 단계;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앱을 이용하여 외부 소스에 접근하는 접근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단계;
    상기 접근 작업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외부 소스와 관련된 결과물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상기 터미널은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결과물이 상기 주 시스템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상기 잠금 시스템을 상기 주 시스템으로부터 격리하는 격리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온 상태에서 제공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증 작업을 실행하는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 인증 작업에 성공하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해제 모드로 이동하는 모드 이동 작업을 실행하는 이동 단계; 및
    상기 모드 이동 작업 실행 이전의 시점, 상기 모드 이동 작업과 동시의 시점 및 상기 모드 이동 작업 이후의 시점 중 하나인 삭제 시점에 상기 터미널이 상기 결과물의 제1 부분을 삭제하는 삭제 작업을 실행하는 삭제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터미널의 구동 방법.
KR1020227024479A 2016-08-25 2017-08-23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 KR102586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79599P 2016-08-25 2016-08-25
US62/379,599 2016-08-25
KR1020217030102A KR102425307B1 (ko) 2016-08-25 2017-08-23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
PCT/KR2017/009220 WO2018038536A1 (en) 2016-08-25 2017-08-23 Data processing terminals and related methods in lock, intermediate, and unlock mod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102A Division KR102425307B1 (ko) 2016-08-25 2017-08-23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806A KR20220115806A (ko) 2022-08-18
KR102586159B1 true KR102586159B1 (ko) 2023-10-10

Family

ID=6124512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102A KR102425307B1 (ko) 2016-08-25 2017-08-23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
KR1020227024479A KR102586159B1 (ko) 2016-08-25 2017-08-23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
KR1020197008275A KR20190070320A (ko) 2016-08-25 2017-08-23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들과 관련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102A KR102425307B1 (ko) 2016-08-25 2017-08-23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275A KR20190070320A (ko) 2016-08-25 2017-08-23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터미널들과 관련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62493B2 (ko)
JP (3) JP6964658B2 (ko)
KR (3) KR102425307B1 (ko)
CN (4) CN109906427B (ko)
WO (1) WO2018038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6910B1 (en) * 2015-05-06 2022-12-13 Play2Pay, Inc. Continuous rewarded feedback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ad targeting on a mobile device
CN108551550A (zh) * 2018-04-09 2018-09-18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图像控制、相机应用的拍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FR3100635B1 (fr) * 2019-09-10 2021-08-06 Schneider Electric Ind Sas Système de sécurisation d’un dispositif
US20220318420A1 (en) * 2021-03-30 2022-10-06 Adobe Inc. Platform for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training on unseeable user generated assets
CN113946810B (zh) * 2021-12-07 2022-09-20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运行方法及电子设备
CN116186682B (zh) * 2023-04-25 2023-07-14 邢台纳科诺尔精轧科技股份有限公司 设备的解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407927B (zh) * 2023-12-15 2024-03-22 山东万里红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硬盘数据销毁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132A (ko) * 2000-03-23 2001-10-18 임영식 화상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잠금기능 설정 및 해제방법
US7159120B2 (en) * 2001-11-19 2007-01-02 Good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data with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112601B2 (en) * 2004-08-09 2012-02-07 Jasim Saleh Al-Azzawi Data storage device with security feature
JP2006189999A (ja) * 2005-01-04 2006-07-20 Fujitsu Ltd 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機器
EP1983732A4 (en) * 2006-02-08 2010-07-21 Nec Corp MOBILE DEVICE, CONTROL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CONTROL PROGRAM FOR A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JP2007323313A (ja) 2006-05-31 2007-12-13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0532588A (ja) * 2007-01-22 2010-10-07 シモン ヨフェ セキュリティ・スイッチ
WO2008105231A1 (ja) * 2007-02-28 2008-09-04 Nec Corporation ロック機能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ロック(ロック解除)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TW200951756A (en) 2008-06-12 2009-12-16 Unication Co Ltd Security and protection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076020B2 (en) * 2011-05-13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tected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other devices
CN103959203B (zh) * 2011-11-04 2016-09-07 国际商业机器公司 具有多个安全域的移动设备
KR101889836B1 (ko) * 2012-02-24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을 통한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및 조작 방법 및 장치
JP5814823B2 (ja) * 2012-02-28 2015-11-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特定モード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特定モード設定方法
JP6102093B2 (ja) * 2012-06-25 2017-03-2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セキュリティ方法およびそのセキュリティプログラム。
KR102001913B1 (ko) * 2012-09-27 2019-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3940B1 (ko) * 2012-12-24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보안성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09611B1 (ko) * 2013-08-09 2020-05-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잠금 설정을 위한 장치
US9898642B2 (en) 2013-09-09 2018-02-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JP2015095696A (ja) * 2013-11-11 2015-05-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示装置
JP6275584B2 (ja) * 2014-08-05 2018-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US9990505B2 (en) * 2014-08-12 2018-06-05 Redwall Technologies, Llc Temporally isolating data accessed by a computing device
JP6314767B2 (ja) * 2014-09-24 2018-04-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装置
US9628279B2 (en) 2014-09-30 2017-04-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tecting application secrets from operating system attacks
CN105760723B (zh) 2014-12-15 2019-10-25 联芯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解锁方法
CN104598841B (zh) * 2014-12-29 2017-11-28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面向终端安全的双系统引导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6863A1 (en) 2021-09-16
WO2018038536A1 (en) 2018-03-01
CN115688129A (zh) 2023-02-03
CN109906427B (zh) 2022-10-28
CN115712907A (zh) 2023-02-24
JP6964658B2 (ja) 2021-11-10
US11762493B2 (en) 2023-09-19
KR20220115806A (ko) 2022-08-18
CN115659362A (zh) 2023-01-31
KR20190070320A (ko) 2019-06-20
KR20210119555A (ko) 2021-10-05
JP2022009252A (ja) 2022-01-14
JP7206015B2 (ja) 2023-01-17
CN109906427A (zh) 2019-06-18
JP2019534497A (ja) 2019-11-28
JP2023036912A (ja) 2023-03-14
KR102425307B1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6159B1 (ko)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
US11393258B2 (en)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ES2705581T3 (es) Dispositivo, procedimiento e interfaz gráfica de usuario para manipular interfaces de usuario en base a entradas de sensor de huella digital
US20180357440A1 (en) Personalized Meetings
US11175929B2 (en) User interfaces for enabling an activity
US8640252B2 (en) Obfuscating entry of sensitive information
US20230394899A1 (en)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n electronic key
CN109472122A (zh) 一种多媒体信息提示方法及系统
KR102248507B1 (ko) 보안을 유지하며 끊김 없는 사용자 인증 및 광고화면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터미널 및 상기 터미널의 제조 방법
Riedl et al. Only play in your comfort zone: interaction methods for improving security awareness on mobile devices
US20230289440A1 (en) Data processing terminals and related methods in lock, intermediate, and unlock modes
CN109101292A (zh) 一种终端快捷操作方法及系统
KR102493991B1 (ko) 액티비티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CN108449511A (zh) 一种信息显示更新方法及系统
CN107563162A (zh) 一种隐秘解锁方法及系统
TW202348001A (zh) 人工實境中的互動控制
CN108646974A (zh) 一种基于多指的终端操作方法及系统
CN108765060A (zh) 一种基于终端交互的物品共享方法及系统
CN108401072A (zh) 一种即时信息处理方法及系统
CN110210186A (zh) 一种隐性功能启动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