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847B1 -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 - Google Patents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847B1
KR102585847B1 KR1020230077207A KR20230077207A KR102585847B1 KR 102585847 B1 KR102585847 B1 KR 102585847B1 KR 1020230077207 A KR1020230077207 A KR 1020230077207A KR 20230077207 A KR20230077207 A KR 20230077207A KR 102585847 B1 KR102585847 B1 KR 102585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panel module
module
panel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파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파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파사드
Priority to KR1020230077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4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agnetic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패널 모듈(120); 상기 패널 모듈(120)을 베이스 마운팅 패널(132)에 결합시키는 팝업 모듈(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LED light board structure with detacheable panel module function by pop-up module}
본 발명은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팝업 모듈을 통해 패널 모듈을 설치하고, 패널 모듈을 팝업 모듈에 의해 분리 가능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 전광판은 도로변이나 상가 밀집 지역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다양한 정보와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수단의 일종이다.
이러한 LED 전광판은 다수의 엘이디(LED) 패널 모듈과, 상기 엘이디 패널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 드라이버 모듈과, 각 구동 드라이버 모듈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광판 제어 모듈과, 전원 모듈 및 전광판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기존에는 패널 모듈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인접 패널 모듈에 손상(인접 패널 모듈의 셀에 손상)을 주는 문제가 있다.
Small pitch LED 전광판 모듈의 경우 칩이 매우 작고(1mm 전후) 미세납땜이 되어 있는데, 패널 모듈을 떼고 붙이는 과정에서 인접한 패널 모듈과의 마찰로 LED 칩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기존에는 전용툴(진공 압착툴)을 이용하여 패널 모듈을 제거하는데, 숙련도가 부족한 경우 패널 모듈이 반듯하게 빠지지 않아서 패널 모듈이 서로 부딪히면서 LED 칩이 떨어지는 증상이 발생한다.
한편, 최근의 패널 모듈 부착 방법이 스크류가 아닌 자석을 이용하기 때문에 패널 모듈을 탈부착할 때 자석의 자력에 의해 모듈 간의 불필요한 충돌이 발생하여 LED 칩이 떨어지는 증상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85390호(2016년12월08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105798호(2020년04월2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27748호(2014년08월01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958860호(2010년05월12일 등록)
본 발명은 팝업 모듈을 통해 패널 모듈을 설치하고, 패널 모듈을 팝업 모듈에 의해 분리 가능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 모듈(120); 상기 패널 모듈(120)을 베이스 마운팅 패널(132)에 결합시키는 팝업 모듈(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패널 모듈(120) 저면에 상기 팝업 모듈(140)을 설치하여, 상기 패널 모듈(120)의 상면을 가압 후 돌출시켜서 인접 패널 모듈(120)에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LED 전광판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팝업 모듈(140)은,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 상면이 연결된 팝업 지지판(141); 상기 팝업 지지판(141)의 상면과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 결합된 팝업 작동 유닛(142);을 포함하며, 상기 팝업 작동 유닛(142)은 상기 패널 모듈(120)의 상면을 가압하면 상기 LED 전광판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널 모듈(120)을 상기 LED 전광판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패널 모듈(120)이 상기 LED 전광판의 상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모듈(120)의 상면을 다시 가압하면 상기 패널 모듈(120)의 상면이 상기 LED 전광판의 상면과 동일면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팝업 지지판(141)의 상면에는 조절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는 상기 조절 볼트에 자력으로 붙는 자석(154)이 구비되어, 상기 자석(154)의 자력에 의해 상기 팝업 지지판(141)의 상면에 상기 패널 모듈(12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널 모듈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인접 패널 모듈에 손상(인접 패널 모듈의 셀에 손상)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Small pitch LED 전광판 모듈의 경우 칩이 매우 작고(1mm 전후) 미세납땜이 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LED 전광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패널 모듈 중에서 특정한 패널 모듈을 떼거나 붙이고자 할 때에 인접한 패널 모듈과의 마찰로 LED 칩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다.
한편, 기존에는 전용툴(진공 압착툴)을 이용하여 패널 모듈을 제거함으로 인하여 숙련도가 부족한 경우 패널 모듈이 반듯하게 빠지지 않아서 패널 모듈이 서로 부딪히면서 LED 칩이 떨어지는 증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은 특정 패널 모듈을 가압하면 팝업 모듈에 의해 특정 패널 모듈이 반듯하게 빠지면서 패널 모듈이 서로 부딪히면서 LED 칩이 떨어지는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패널 모듈 부착 방법이 스크류가 아닌 자석을 이용하기 때문에 패널 모듈을 탈부착할 때 자석의 자력에 의해 패널 모듈 간의 불필요한 충돌이 발생하여 LED칩이 떨어지는 증상이 발생하지만, 자석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여 특정 패널 모듈을 가압하는 동작만 하면, 패널 모듈을 떼어내거나 붙일 수 있으므로, 패널 모듈 간의 불필요한 충돌 발생을 방지하여 LED 칩이 떨어지는 증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주요부인 팝업 지지판의 상면과 패널 모듈 및 팝업 모듈의 측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모듈 및 팝업 모듈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LED 전광판의 일부와 특정 패널 모듈이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패널 모듈이 팝업 모듈의 주요부인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패널 모듈이 팝업 모듈의 주요부인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주요부인 패널 모듈이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주요부인 푸시핀과 전자석 및 온오프 스위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푸시핀과 전자석이 온오프 스위치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주요부인 패널 모듈이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주요부인 조절볼트와 픽싱 지지 보스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주요부인 조절볼트와 픽싱 지지 보스 및 탄성 픽싱 링체에 의해 패널 모듈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자석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6은 도 14의 A-A선 평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8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주요부인 조절볼트와 픽싱 지지 보스 및 탄성 픽싱 링체에 의해 패널 모듈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자석을 고정한 상태를 해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20은 도 18의 B-B선 평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주요부인 팝업 지지판의 상면과 패널 모듈 및 팝업 모듈의 측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모듈 및 팝업 모듈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LED 전광판의 일부와 특정 패널 모듈이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패널 모듈이 팝업 모듈의 주요부인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패널 모듈이 팝업 모듈의 주요부인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패널 모듈(120); 상기 패널 모듈(120)을 베이스 마운팅 패널(132)에 결합시키는 팝업 모듈(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이다.
상기 패널 모듈(120)은 사각판 형상의 기판에 다수개의 LED 칩이 탑재되며, 다수개의 패널 모듈(120)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LED 전광판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패널 모듈(120)은 사각판 형상의 기판에 다수개의 LED 칩이 탑재된 LED 패널 모듈(120)인데, 이하에서는 LED 패널 모듈(120)을 설명의 편의상 패널 모듈(120)로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 팝업 모듈(140)을 설치하여, 상기 패널 모듈(120)의 상면을 가압 후 돌출시켜서 인접 패널 모듈(120)에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LED 전광판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이다.
이때, 상기 팝업 모듈(140)은,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 상면이 연결된 팝업 지지판(141); 상기 팝업 지지판(141)의 상면과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 결합된 팝업 작동 유닛(14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팝업 작동 유닛(142)은 상기 패널 모듈(120)의 상면을 가압하면 상기 LED 전광판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널 모듈(120)을 상기 LED 전광판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패널 모듈(120)이 상기 LED 전광판의 상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모듈(120)의 상면을 다시 가압하면 상기 패널 모듈(120)의 상면이 상기 LED 전광판의 상면과 동일면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팝업 지지판(141)의 상면에는 조절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는 상기 조절 볼트에 자력으로 붙는 자석(154)이 구비되어, 상기 자석(154)의 자력에 의해 상기 팝업 지지판(141)의 상면에 상기 패널 모듈(120)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 팝업 모듈(140)의 주요부인 팝업 작동 유닛(142)은 마개를 한번 누르면 마개가 눌린 상태로 유지되고 마개를 다시 한번 누르면 마개가 돌출되는 세면대의 자동 팝업 마개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팝업 지지판(141)에 조절볼트(15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는 자석(154)이 구비되어, 상기 팝업 지지판(141)의 내부에 구비된 조절볼트(150)와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 구비된 자석(154)에 의해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이 상기 팝업 지지판(141)의 상면에 결합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팝업 모듈(140)이 패널 모듈(120)의 저면 네 군데 또는 두 군데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자석(154)은 패널 모듈(120) 저면 네 군데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조절볼트(150)는 자석(154)의 위치에 대응하여 팝업 지지판(141)의 상면 네 군데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자석(154)과 조절볼트(150)가 서로 붙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과 팝업 지지판(141)에 각각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볼트 구조로 결합된 자석부를 회전시켜서 미세하게 높이 조절을 하여 패널 모듈(120) 간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볼트 구조로 결합된 자석부라 함은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 구비된 자석(154)이 팝업 지지판(141)의 내부에 구비된 조절볼트(150)에 자력으로 붙어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조절볼트(150)를 팝업 지지판(141)에서 회전시키면 조절볼트(150)가 미세하게 팝업 지지판(141)에서 높이가 조절되면서 자석(154)의 높이가 미세하게 조절되므로, 상기 자석(154)이 저면에 붙어 있는 패널 모듈(120)의 높이가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LED 전광판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패널 모듈(120)들이 LED 전광판의 상면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을 한번 누르게 되면, 상기 팝업 모듈(140)의 주요부인 팝업 작동 유닛(142)에 의해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이 눌려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LED 전광판을 구성하는 모든 패널 모듈(120)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가 LED 전광판의 상면 높이가 균일하게 유지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LED 전광판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패널 모듈(120)들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을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상기 팝업 모듈(140)의 주요부인 팝업 작동 유닛(142)에 의해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이 눌려져 있던 상태에서 돌출된다. 모든 패널 모듈(120) 중에서 분리를 원하는 특정 패널 모듈(120)과 함께 팝업 지지판(141)을 한번 더 누르게 되면, 팝업 작동 유닛(142)에 의해 특정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이 눌려져 있던 상태에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패널 모듈(120)의 상면을 한번 가압하면 모든 패널 모듈(120)들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고, 패널 모듈(120)의 상면을 한번 더 가압하면, 특정 패널 모듈(120)을 인접한 다른 패널 모듈(120)보다 더 높을 위치로 돌출시킬 수 있어서, 본 발명은 패널 모듈(12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인접 패널 모듈(120)에 손상(인접 패널 모듈(120)의 셀에 손상)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Small pitch LED 전광판 모듈의 경우 칩이 매우 작고(1mm 전후) 미세납땜이 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LED 전광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패널 모듈(120) 중에서 특정한 패널 모듈(120)을 떼거나 붙이고자 할 때에 인접한 패널 모듈(120)과의 마찰로 LED 칩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다.
한편, 기존에는 전용툴(진공 압착툴)을 이용하여 패널 모듈(120)을 제거함으로 인하여 숙련도가 부족한 경우 패널 모듈(120)이 반듯하게 빠지지 않아서 패널 모듈(120)이 서로 부딪히면서 LED 칩이 떨어지는 증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은 특정 패널 모듈(120)을 가압하면 팝업 모듈(140)에 의해 특정 패널 모듈(120)이 반듯하게 빠지면서 패널 모듈(120)이 서로 부딪히면서 LED 칩이 떨어지는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패널 모듈(120) 부착 방법이 스크류가 아닌 자석(154)을 이용하기 때문에 패널 모듈(120)을 탈부착할 때 자석(154)의 자력에 의해 패널 모듈(120) 간의 불필요한 충돌이 발생하여 LED칩이 떨어지는 증상이 발생하지만, 자석(154)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여 특정 패널 모듈(120)을 가압하는 동작만 하면, 패널 모듈(120)을 떼어내거나 붙일 수 있으므로, 패널 모듈(120) 간의 불필요한 충돌 발생을 방지하여 LED 칩이 떨어지는 증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조절볼트(150)를 팝업 지지판(141)에서 회전시키면 조절볼트(150)가 미세하게 팝업 지지판(141)에서 높이가 조절되면서 자석(154)의 높이가 미세하게 조절되므로, 상기 자석(154)이 저면에 붙어 있는 패널 모듈(120)의 높이가 미세하게 조절되며, 이로 인하여 LED 전광판의 상면 높이를 정밀하게 맞춰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주요부인 패널 모듈이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주요부인 푸시핀과 전자석 및 온오프 스위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푸시핀과 전자석이 온오프 스위치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주요부인 패널 모듈이 팝업 작동 유닛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주요부인 조절볼트와 픽싱 지지 보스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주요부인 조절볼트와 픽싱 지지 보스 및 탄성 픽싱 링체에 의해 패널 모듈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자석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6은 도 14의 A-A선 평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8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의 주요부인 조절볼트와 픽싱 지지 보스 및 탄성 픽싱 링체에 의해 패널 모듈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자석을 고정한 상태를 해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20은 도 18의 B-B선 평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팝업 모듈(140)의 팝업 작동 유닛(142)은, 팝업 지지판(141)의 저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푸시핀(143); 상기 푸시핀(143)과 마주하도록 베이스 마운팅 패널(132)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오프 스위치(144); 상기 온오프 스위치(144)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푸시핀(143)의 외주면 일부가 진입하여 들어오는 링형상의 전자석(145);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 마운팅 패널(132)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 팝업 작동 스프링(1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144)의 스위칭 버튼(144SB)을 상기 푸시핀(143)이 한번 누르면 제어부(147)와 전원부(146)에 의해 전자석(145)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145)에서 자력이 발생하는데, 상기 푸시핀(143)은 자력에 붙을 수 있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온오프 스위치(144)의 내부에는 스위칭 버튼(144SB)의 저면에 상단부가 접촉된 스위치측 스프링(144SS)이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 버튼(144SB)이 푸시핀(143)에 의해 눌리면 스위치측 스프링(144SS)이 압축되어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동시에 온오프 스위치(144)가 스위칭 온오프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상기 팝업 작동 스프링(148)도 눌려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고, 상기 스위칭 버튼(144SB)이 푸시핀(143)에 의해 눌리는 힘이 해제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위치측 스프링(144SS)이 탄성적으로 펴지면서 스위칭 버튼(144SB)을 다시 원래 위치로 올려서 온오프 스위치(144)가 스위칭 오프 상태로 절환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팝업 작동 스프링(148)도 원래데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LED 전광판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패널 모듈(120)들이 LED 전광판의 상면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을 한번 누르게 되면, 상기 푸시핀(143)이 온오프 스위치(144)의 스위칭 버튼(144SB)을 누르게 되면서 온오프 스위치(144)가 스위칭 온 상태로 절환되어, 상기 전자석(145)에 전원부(146)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전자석(145)의 자력으로 푸시핀(143)을 잡아주게 되면서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이 눌려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LED 전광판을 구성하는 모든 패널 모듈(120)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팝업 지지판(141)의 저면과 베이스 마운팅 패널(132)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팝업 작동 스프링(148)은 압축되어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게 된다.
한편, 상기 LED 전광판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패널 모듈(120)들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을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상기 푸시핀(143)이 온오프 스위치(144)의 스위칭 버튼(144SB)을 한번 더 누르게 되면서 온오프 스위치(144)가 스위칭 오프 상태로 절환되어, 전자석(145)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전자석(145)에서 자력 발생이 없게 되므로, 전자석(145)이 푸시핀(143)을 잡아주지 않게 되고 동시에 상기 팝업 작동 스프링(148)이 압축되어 있던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펴지면서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이 눌려져 있던 상태에서 돌출되므로 특정 패널 모듈(120)을 다른 인접한 패널 모듈(120)과 별도로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석(154)이 조절볼트(150)에 자력으로 붙는 힘에 의해 패널 모듈(120)이 팝업 지지판(141)에 붙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다른 인접한 패널 모듈(120)보다 돌출되어 있는 패널 모듈(120)을 자석(154)의 자력을 이기는 힘으로 당겨주면 돌출되어 있는 특정 패널 모듈(120)을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LED 전광판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패널 모듈(120)들이 LED 전광판의 상면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을 한번 누르게 되면,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이 눌려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LED 전광판을 구성하는 모든 패널 모듈(120)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상기 LED 전광판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패널 모듈(120)들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을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상기 팝업 모듈(140)의 주요부인 팝업 작동 유닛(142)에 의해 상기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이 눌려져 있던 상태에서 돌출되는 작동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그대로 가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팝업 작동 유닛(142)은 온오프 스위치(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석(14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6); 상기 전원부(146)와 상기 온오프 스위치(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144)의 스위칭 버튼(144SB)을 상기 푸시핀(143)이 한번 누르면 제어부(147)와 전원부(146)에 의해 전자석(145)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145)에서 자력이 발생하는데, 상기 푸시핀(143)은 자력에 붙을 수 있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온오프 스위치(144)의 스위칭 버튼(144SB)을 상기 푸시핀(143)이 한번 누르면 제어부(147)와 전원부(146)에 의해 전자석(145)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145)에서 자력이 발생하면서 상기 푸시핀(143)이 전자석(145)에 자력으로 붙는 힘에 의해 푸시핀(143)이 눌려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144)의 스위칭 버튼(144SB)을 상기 푸시핀(143)이 한번 누르면 제어부(147)와 전원부(146)에 의해 전자석(145)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145)의 자력으로 푸시핀(143)을 잡아주게 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144)의 스위칭 버튼(144SB)을 상기 푸시핀(143)이 다시 한번 누르면 제어부(147)와 전원부(146)에 의해 전자석(145)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전자석(145)이 푸시핀(143)을 잡아주는 힘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146)와 제어부(147)는 상기 베이스 마운팅 패널(132)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47)는 베이스 마운팅 패널(132)에 장착된 컨트롤 박스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의 집적회로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온오프 스위치(144)의 스위칭 버튼(144SB)을 상기 푸시핀(143)이 한번 누르면 제어부(147)와 전원부(146)에 의해 전자석(145)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145)의 자력으로 푸시핀(143)을 잡아주게 되면서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이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144)의 스위칭 버튼(144SB)을 상기 푸시핀(143)이 다시 한번 누르면 제어부(147)와 전원부(146)에 의해 전자석(145)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전자석(145)이 푸시핀(143)을 잡아주는 힘을 해제하게 되면서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이 인접한 다른 패널 모듈(120)과 팝업 지지판(141)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팝업 작동 유닛(142)이 온오프 스위치(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석(14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6)와, 상기 전원부(146)와 상기 온오프 스위치(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147)를 더 포함한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효과를 그대로 가지게 되므로, 제어부(147)를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한 중복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자석(154)의 외주면을 감싸는 자석 하우징(156); 상기 조절볼트(150)의 헤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 하우징(156)이 진입하여 들어오는 픽싱 지지 보스(162);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절결홀(164CH)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 하우징(156)의 내주면에서 외주면 쪽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된 오목홈(162GR)에 수용된 탄성 픽싱 링체(164); 상기 픽싱 지지 보스(162)에 나사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의 상기 절결홀(164CH)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릴리스 볼트(166); 장변부(167LL)와 단변부(167SL)를 구비하여 상기 릴리스 볼트(166)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탄성 픽싱 링체(164)의 상기 절결홀(164CH)에 들어가 있는 릴리스 작동편(16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릴리스 작동편(167)의 단변부(167SL)의 양면이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의 상기 절결홀(164CH)의 내측 양면과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가 상기 자석 하우징(156)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그립하여 상기 자석(154)이 상기 조절볼트(150)의 헤드부의 상면쪽에 고정되도록 유지시키고, 상기 릴리스 작동편(167)의 장변부(167LL)의 양면이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의 상기 절결홀(164CH)의 내측 양면과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의 내경이 커져서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가 상기 자석 하우징(156)의 외주면을 그립한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자석(154)이 상기 조절볼트(150)의 헤드부의 상면쪽에서 위쪽으로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가 상기 자석 하우징(156)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그립하여 상기 자석(154)이 상기 조절볼트(150)의 헤드부의 상면쪽에 고정되도록 유지시키므로, 상기 패널 모듈(120)이 팝업 지지판(141)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릴리스 볼트(166)를 상기 픽싱 지지 보스(162)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릴리스 작동편(167)도 한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릴리스 작동편(167)의 장변부(167LL)의 양면이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의 상기 절결홀(164CH)의 내측 양면과 접촉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의 내경이 커지도록 벌어진 상태가 되어서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가 상기 자석 하우징(156)의 외주면을 그립한 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상기 패널 모듈(120)을 팝업 지지판(141)에서 손쉽게 떼어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의 내경이 커지도록 벌어진 상태에서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 구비된 자석(154)과 자석 하우징(156)을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의 내주면 안쪽으로 투입한 다음, 상기 릴리스 볼트(166)를 상기 픽싱 지지 보스(162)를 기준으로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릴리스 작동편(167)도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릴리스 작동편(167)의 단변부(167SL)의 양면이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의 상기 절결홀(164CH)의 내측 양면과 접촉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가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직경이 좁아지게 되면서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 구비된 자석 하우징(156)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그립하면서 상기 패널 모듈(120)이 팝업 지지판(141)의 상면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의 내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록킹 지지홈(164LG)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 하우징(156)의 외주면에는 상기 록킹 지지홈(164LG)에 삽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록킹편(156LP)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에 구비된 자석 하우징(156)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그립한 상태에서는 상기 자석 하우징(156) 외주면의 록킹편(156LP)이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 내주면의 상기 록킹 지지홈(164LG)에 들어가서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자석 하우징(156)과 자석(154)이 상기 픽싱 지지 보스(162)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완전히 방지하므로, 상기 패널 모듈(120)이 팝업 지지판(141)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완전히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의 내경이 커지도록 벌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픽싱 링체(164) 내주면의 상기 록킹 지지홈(164LG)이 상기 자석 하우징(156) 외주면의 록킹편(156LP)에서 바깥쪽으로 빠져 있게 되므로, 필요한 경우 상기 패널 모듈(120)을 팝업 지지판(141)에서 손쉽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0. 패널 모듈 132. 베이스 마운팅 패널
140. 팝업 모듈 141. 팝업 지지판
142. 팝업 작동 유닛 143. 푸시핀
144. 온오프 스위치 144SB. 스위칭 버튼
144SS. 스위치측 스프링 145. 전자석
146. 전원부 147. 제어부
148. 팝업 작동 스프링 150. 조절볼트
154. 자석 156. 자석 하우징
156LP. 록킹편 162. 픽싱 지지 보스
162GR. 오목홈 164. 탄성 픽싱 링체
164CH. 절결홀 164LG. 록킹 지지홈
166. 릴리스 볼트 167. 릴리스 작동편
167SL. 단변부 167LL. 장변부

Claims (3)

  1. 패널 모듈(120);
    상기 패널 모듈(120)을 베이스 마운팅 패널(132)에 결합시키는 팝업 모듈(140);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모듈(120) 저면에 상기 팝업 모듈(140)을 설치하여, 상기 패널 모듈(120)의 상면을 가압 후 돌출시켜서 인접 패널 모듈(120)에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LED 전광판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팝업 모듈(140)의 팝업 작동 유닛(142)은, 팝업 지지판(141)의 저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푸시핀(143); 상기 푸시핀(143)과 마주하도록 베이스 마운팅 패널(132)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오프 스위치(144); 상기 온오프 스위치(144)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푸시핀(143)의 외주면 일부가 진입하여 들어오는 링형상의 전자석(145); 상기 패널 모듈(120)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 마운팅 패널(132)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 팝업 작동 스프링(1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230077207A 2023-06-16 2023-06-16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 KR102585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207A KR102585847B1 (ko) 2023-06-16 2023-06-16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207A KR102585847B1 (ko) 2023-06-16 2023-06-16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847B1 true KR102585847B1 (ko) 2023-10-10

Family

ID=8829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7207A KR102585847B1 (ko) 2023-06-16 2023-06-16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84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860B1 (ko) 2009-11-13 2010-05-20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Led 전광판의 구동장치
KR101427748B1 (ko) 2012-09-05 2014-08-08 (주)유비쿼터스통신 Led 전광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전광판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85390B1 (ko) 2014-12-01 2016-12-19 주식회사 전자넷 슬림형 led모듈 및 그 슬림형 led모듈을 이용한 led 전광판
KR20170000575A (ko) * 2015-06-24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또는 해체 방법
KR20190072197A (ko) * 2017-12-15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KR102105798B1 (ko) 2019-11-07 2020-04-28 주식회사 애즈원 전류 제어를 통해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led 전광판 시스템
KR20200076384A (ko) * 2018-12-19 2020-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설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CN217503138U (zh) * 2022-03-30 2022-09-27 武汉利楚电力科技有限公司 Mg彩色动画显示屏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860B1 (ko) 2009-11-13 2010-05-20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Led 전광판의 구동장치
KR101427748B1 (ko) 2012-09-05 2014-08-08 (주)유비쿼터스통신 Led 전광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전광판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85390B1 (ko) 2014-12-01 2016-12-19 주식회사 전자넷 슬림형 led모듈 및 그 슬림형 led모듈을 이용한 led 전광판
KR20170000575A (ko) * 2015-06-24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또는 해체 방법
KR20190072197A (ko) * 2017-12-15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KR20200076384A (ko) * 2018-12-19 2020-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설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KR102105798B1 (ko) 2019-11-07 2020-04-28 주식회사 애즈원 전류 제어를 통해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led 전광판 시스템
CN217503138U (zh) * 2022-03-30 2022-09-27 武汉利楚电力科技有限公司 Mg彩色动画显示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2327B1 (en) Switch
KR102585847B1 (ko) 팝업을 통해 패널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구조체
JP2006013018A (ja) 電子素子の固定構造
JP4212511B2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組立方法
EP1124407B1 (en) Socket for BGA packages
JP2010098780A (ja) リニアモータの組立治具
JP4023685B2 (ja) 固定具
TWI647727B (zh) 磁吸式按鍵及其磁吸式鍵盤
KR100461745B1 (ko) 스티어링휠용 스위치장치
CN107768167B (zh) 磁吸式按键及其磁吸式键盘
JP2008066150A (ja) キードーム取り付け用治具セット及びキードーム付き基板の製造方法
US884156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ower switch
JP2010192188A (ja) 電気機器
JP2008305694A (ja) 携帯電子機器のスイッチ作動用ゴムキーの保持構造
JPH0639460Y2 (ja) 電子装置の発光体の装着構造
US10849230B2 (en) Surface mounted switch assembly
US4215610A (en) Apparatus for perforating a foil
JP3583958B2 (ja) 表示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JP2005223046A (ja) 半導体薄膜ウェーハ用治具
JPH0531042U (ja) 押釦スイツチのキートツプ
JPS6348071Y2 (ko)
JP4311147B2 (ja) スイッチの操作機構
KR20000059287A (ko) 히트싱크와 반도체 칩 고정장치
JPH08293220A (ja) スイッチ用ソケット及びスイッチ用ソケット取付構造
JP2004071697A (ja) 樹脂製のケースとカバーからなるユニット装置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