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701B1 -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701B1
KR102585701B1 KR1020177026647A KR20177026647A KR102585701B1 KR 102585701 B1 KR102585701 B1 KR 102585701B1 KR 1020177026647 A KR1020177026647 A KR 1020177026647A KR 20177026647 A KR20177026647 A KR 20177026647A KR 102585701 B1 KR102585701 B1 KR 102585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arrier
signal strength
outsid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768A (ko
Inventor
프레드릭 아인버그
Original Assignee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filed Critical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7012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1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01S3/16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mplitude comparison of signals derived sequentially from receiving antennas or antenna systems having differently-oriented directivity characteristics or from an antenna system having periodically-varied orientation of directivity characteristic
    • G01S3/1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mplitude comparison of signals derived sequentially from receiving antennas or antenna systems having differently-oriented directivity characteristics or from an antenna system having periodically-varied orientation of directivity characteristic derived directly from separate directional antenn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1Determining conditions which influence positioning, e.g. radio environment, state of motion or energy consumption
    • G01S5/014Identifying transitions between environ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 간주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장치가 제시된다.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는: 제 1 안테나 로브로 장벽의 외부를 향해 지향되도록 구성된 제 1 안테나; 제 2 안테나 로브로 장벽의 내부를 향해 지향되도록 구성된 제 2 안테나; 및 제 1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신호강도보다 큰 경우에만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도록 설비된 판단기를 포함하고, 제 2 안테나 로브는 제 1 안테나 로브보다 넓으며, 제 2 안테나에 의해 외부로 지향된 이득이 제 1 안테나에 의해 내부로 지향된 이득보다 더 크고, 제 2 안테나를 이용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의 신호강도는 내부의 휴대용 열쇠장치의 모든 지점들에서 제 1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강도보다 더 크다.

Description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 액세스 제어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잠금장치와 열쇠장치는 종래의 순수한 기계적 자물쇠에서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 예를 들어, 휴대용 열쇠장치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전자 잠금장치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예컨대, 휴대용 열쇠장치가 주머니나 핸드백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 상호작용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내부의 누군가가 단순히 잠금장치 곁에 걸어가는 것만으로 잠금장치를 해제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잠금장치를 열기 위해 사용자 상호작용을 도입하지 않고도, 휴대용 열쇠장치가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렇게 하면, 내부 장치에 대한 자동 액세스 제어가 비활성화되어 실수로 잠금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US 2012/0234058은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잠금장치는 내부 지향성 안테나 및 외부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한다. 각각은 원격 액세스 장치에 신호를 보내고 원격 액세스 장치로부터의 신호들을 나열하도록 무선통신회로에 유효하게 결합된다. 원격 액세스 장치가 잠금장치 내부에 있으면, 내부 지향성 안테나가 원격 액세스 장치와 통신하고 지향성 안테나에 의해 감지된 신호강도는(감지된 신호가 전혀 없을 수 있는) 지향성 안테나에 의해 감지된 신호강도보다 더 커지게 된다. 잠그고, 차례로 시스템은, 원격 액세스 장치가 집, 거주지 또는 구조체 내에 있는지 확인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 안테나 신호에 기반한 위치 결정은 신뢰할 수 없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는 무선 신호가 반사 및 외부 물체와의 간섭에 따른 페이딩에 의해 왜곡되었기 때문인데, 안정적으로 제어 할 수 없게 된다.
제 1 태양에 따르면, 휴대용 열쇠장치가 벽의 내부에 또는 외부에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방법은 액세스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제 1 안테나 로브로 장벽의 외부를 향해 지향된 제 1 안테나를 이용해 상기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신호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제 2 안테나 로브로 장벽의 내부를 향해 지향된 제 2 안테나를 이용해 상기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신호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안테나 로브는 제 1 안테나 로브보다 넓다. 제 2 안테나에 의해 외부로 지향된 이득이 제 1 안테나에 의해 내부로 지향된 이득보다 더 크다. 제 2 안테나를 이용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신호강도는 내부의 휴대용 열쇠장치의 모든 지점들에서 제 1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강도보다 더 크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신호강도보다 큰 경우에만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경우에만 액세스가 허용 또는 거부되는 액세서 판단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태양에 따르면,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 간주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장치가 제시된다.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는: 제 1 안테나 로브로 장벽의 외부를 향해 지향되도록 구성된 제 1 안테나; 제 2 안테나 로브로 장벽의 내부를 향해 지향되도록 구성된 제 2 안테나; 및 제 1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신호강도보다 큰 경우에만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도록 설비된 판단기를 포함하고, 제 2 안테나 로브는 제 1 안테나 로브보다 넓으며, 제 2 안테나에 의해 외부로 지향된 이득이 제 1 안테나에 의해 내부로 지향된 이득보다 더 크고, 제 2 안테나를 이용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의 신호강도는 내부의 휴대용 열쇠장치의 모든 지점들에서 제 1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강도보다 더 크다.
판단기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가 제 1 안테나를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제 2 안테나를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신호강도를 측정하며,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신호강도보다 큰 경우에만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제어장치는, 프로세서의 실행시,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에만, 액세스를 허용 또는 거부하는 액세스 판단 절차를 액세스 제어장치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태양에 따르면,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 간주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액세스 제어장치상에 실행시,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가: 제 1 안테나 로브로 장벽의 외부를 향해 지향된 제 1 안테나를 이용해 상기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제 2 안테나 로브로 장벽의 내부를 향해 지향된 제 2 안테나를 이용해 상기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신호강도를 측정하며;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신호강도보다 큰 경우에만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제 2 안테나 로브는 제 1 안테나 로브보다 넓으며, 제 2 안테나에 의해 외부로 지향된 이득이 제 1 안테나에 의해 내부로 지향된 이득보다 더 크고, 제 2 안테나를 이용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신호강도는 내부의 휴대용 열쇠장치의 모든 지점들에서 제 1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강도보다 더 크다.
제 4 태양에 따르면, 제 3 태양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시된다.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서 본원에 사용될 때마다 '간주하는'이라는 용어는 항상 현실을 완전히 나타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판단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면, 장벽의 내부에 위치해 있는 장치에 기초한 임의의 후속 프로세싱의 결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휴대용 열쇠장치는 실제로 장벽의 외부에 위치 할 수 있다.
청구범위 또는 명세서에서 본원에 사용될 때마다 "내부로 향하는"이라는 용어는 내부를 향해 장벽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된다. 유사하게, 청구범위 또는 상세한 설명에서 본원에 사용될 때마다 "외부로 향하는"이라는 용어는 외부를 향해 장벽에 수직인 방향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반적으로 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a/an/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언급들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 장치, 구성 요소, 수단, 단계 등 적어도 하나의 경우를 언급하는 것으로 공공연히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개시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예로써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경에서 휴대용 열쇠장치가 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간주하기 위해 2개의 안테나의 상이한 메인 로브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휴대용 열쇠장치가 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간주하기 위해 도 1의 액세스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액세스 제어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컴퓨터 판독가능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물리적 공간에 대한 액세스는 선택적으로 잠금해제 가능한 물리적 장벽(15)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장벽(15)은 도어, 게이트, 해치, 창 등일 수 있다. 장벽(15)을 잠금해제하기 위해, 액세스 제어장치(13)가 제공된다. 액세스 제어장치(13)는 잠금해제 또는 잠금상태로 설정되는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1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물리적 잠금장치(1)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제어장치(13)는 물리적 잠금장치(1)에 가깝게 장착된다. 장벽(15)은 벽 또는 펜스와 같은 주위 고정 구조체(16)에 제공된다.
액세스 제어장치(13)는 적어도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열쇠장치(2)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그 중 제 1 안테나(5a)가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안테나가 (도 2에 도시되고 이하에서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장벽(15)의 타면에 제공된다. 휴대용 열쇠장치(2)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고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인증을 위해 사용될 수있는 임의의 적절한 장치이다. 휴대용 열쇠장치(2)는 전형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착용하며, 이동 전화, 스마트 폰, 열쇠 고리, 웨어러블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는 무선 주파수 무선 인터페이스이고, 예를 들어, 블루투스,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지그비(ZigBee), IEEE 802.11 표준들 중 어느 하나, IEEE 802.15 표준들 중 어느 하나, 무선 USB 등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무선통신을 이용하면, 예를 들어, 도전 및 응답방식을 사용하여 휴대용 열쇠장치의 진위 및 권한이 검사될 수 있으며, 그 후 액세스 제어장치는 액세스를 허용 또는 거부한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한 가지 기능은 휴대용 열쇠장치(2)가 장벽(15)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액세스가 허용되면, 액세스 제어장치(13)는 잠금장치(1)에 잠금해제 신호를 보내고, 이로써 잠금장치(1)를 잠금해제 상태로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는 가령 (예컨대, 잠금장치(1)에) 범용직렬버스(USB), 이더넷, 또는 간단한 전기 연결을 사용하여 유선기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신호를 의미하거나, 대안적으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잠금장치(1)가 잠금해제 상태에 있을 때, 장벽(15)은 개방될 수 있고 잠금장치(1)가 잠금상태에 있을 때 장벽(15)은 개방될 수 없다. 이런 식으로, 폐쇄공간에 대한 액세스는 액세스 제어장치(3)에 의해 제어된다. 액세스 제어장치(13) 및/또는 잠금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장벽(15)에 의해 고정 구조물(16)에 또는 물리적 장벽(15) 그 자체(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경에서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간주하기 위해 2개의 안테나의 상이한 메인 로브를 도시한 개략적 인 평면도이다.
제 1 안테나(5a)는 장벽(15)의 외부(8)에 배치된다. 제 1 안테나(5a)는 상기 제 1 안테나(5a)의 메인 안테나 로브인 제 1 안테나 로브(6a)에서 볼 수 있는 외부(8)를 향해 지향된다.
제 2 안테나(5b)는 장벽(15)의 내부(7)에 있다. 제 2 안테나(5b)는 상기 제 2 안테나(5b)의 메인 안테나 로브인 제 2 안테나 로브(6b)에서 볼 수 있는 내부(7)를 향해 지향된다.
제 1 안테나가 외부(8)를 향하고 제 2 안테나가 내부(7)를 향하는 한, 양 안테나는 장벽의 내부(7) 또는 외부(8) 상에 배치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지향성은 본 명세서에서 해당 안테나의 수신 능력이 가장 큰 방향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제 2 안테나 로브(6b)는 제 1 안테나 로브(6a)보다 넓다. 또한, 제 2 안테나(5b)에 의한 외부(8)로의 이득은 제 1 안테나(5a)에 의한 내부(7)로의 이득보다 크다. 다시 말하면, 제 2 안테나(5b)는 제 1 안테나(5a)가 내부(7)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보다 외부(8)로부터 신호를 더 잘 수신할 수 있다. 내부로 향한다는 것은 내부를 향한 장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를 향한다는 것은 외부를 향한 장벽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안테나의 다른 방향성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안테나(5a)를 사용하여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 1 신호강도 및 상기 제 2 안테나(5b)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 2 신호강도의 변화를 평가함으로써 휴대용 열쇠장치가 외부(8)에 또는 내부(7)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신호강도는, 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해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열쇠장치는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신호강도보다 큰 경우에만 장벽(15)의 외부(8)에 위치한 것으로 간주된다. 제 1 신호강도와 제 2 신호강도가 정확히 같을 때의 상황은 중요하지 않음에 유의하라; 이는 극히 드문 경우이며 이는 휴대형 열쇠장치가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용 열쇠장치가 제 1 위치(20a)에 있을 때, 상기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의 신호강도는 제 1 안테나(5a)를 이용하는 것보다 제 2 안테나(5b)를 이용하는 것이 더 클 것이다. 따라서, 휴대용 열쇠장치는 내부(7)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장벽(15) 우측의 제 2 위치(20b)에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의 신호강도는 제 1 안테나(5a)를 이용하는 것보다 제 2 안테나(5b)를 이용하는 것이 더 클 것이다. 따라서, 안테나 로브(6a-b)의 이러한 배열로, 제 2 안테나(5B)를 이용한 신호강도는 내부(7)의 모든 지점에서 제 1 안테나(5a)를 이용한 신호강도보다 더 크다. 반대로, 로브가 동일한 2개의 안테나가 종래 기술에서처럼 사용되는 경우, 로브의 크로싱이 장벽 축에서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내부와 외부의 차이는 장벽에 가깝게 최소가 될 것이며, 이는 어떤 경우에는 외부에 있는 것으로 오판하게 된다. 외부에 있다는 오판은, 예컨대, 누군가가 내부 장벽 곁에 걷을 때, 액세스 제어가 개시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위험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의 배열에 따라, 로브의 크로싱(교차점)이 대신 외부 영역(8)에 있음으로써, 외부에 있다는 오판을 하지 않는다.
휴대용 열쇠장치가 제 3 위치(20c)에 있을 때,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의 신호강도는 제 2 안테나(5b)가 이용될 때보다 제 1 안테나(5a)가 이용될 때 더 클 것이다. 결과적으로, 휴대형 열쇠장치는 외부(8)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휴대용 열쇠장치가 제 4 위치(20d)에 있을 경우, 안테나 로브(6a-b)에 의해 도시 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방향성으로 인해,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의 신호강도는 제 1 안테나(5a)로부터보다 제 2 안테나(5b)로부터 더 클 것이다. 결과적으로, 휴대용 열쇠는 실제로 장벽(15)의 외부(8)에 제 4 위치(20d)가 있더라도 내부(7)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액세스 컨트롤은 휴대용 열쇠장치가 외부(8)에 있는 경우에만 개시되고, 사용자가 제 4 위치(20d)로 휴대용 열쇠장치를 위치시키는 경우에, 액세스 제어장치는 액세스 판단 절차를 개시하지 않을 것이다. 그 반대가 발생할 경우, 즉, 내부에 있는 열쇠장치가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보안 위험이 있기 때문에, 휴대형 열쇠장치가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할 경우에 대하여 제한하는 것이 유리한다. 그러한 경우에, 액세스 판단 절차로 휴대용 열쇠장치가 내부에 있더라도 잠금장치가 우연히 잠금해제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휴대용 열쇠장치가 제 4 위치(20d)에 있는 상태에서, 외부(8)에 있는 사용자에 대해 내부에 있다는 오판의 결과는 심각하지 않다. 이는 사용자가 가운데로 더 이동해야만 한다는 것인데, 이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제시될 경우에 아무런 행위가 발생하고 유용성의 측면에서 실제 문제가 전혀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 무선 액세스 제어시스템을 사용하는 직관적인 방법이다.
도 3은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도 1의 액세스 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휴대용 열쇠장치의 근접이 감지될 때 시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액세스 제어장치가 동작하는 한 무한히 반복해 수행된다.
제 1 신호강도 측정단계(40)에서,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신호강도가 측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는 제 1 안테나 로브와 함께 장벽의 외부를 향해 지향된다. 제 1 신호강도는 예를 들어 수신 신호강도지표(RSSI)로서 측정될 수 있다. 제 1 신호강도는 신호강도의 변동을 완화시키기 위해 여러 신호 측정들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강도는 여러 샘플의 평균치일 수 있다.
제 2 신호강도 측정단계(42)에서,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휴대형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신호강도가 측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안테나는 제 2 안테나 로브를 갖는 장벽의 내부를 향해 지향된다. 제 2 안테나 로브는 제 1 안테나 로브보다 넓다. 제 2 신호강도는 예를 들어 RSSI 측정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제 2 신호강도는 신호강도의 변동을 완화하기 위해 여러 신호 측정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신호강도는 여러 샘플의 평균치일 수 있다.
제 1 신호강도 측정단계(40) 및 제 2 신호강도 측정단계(42)는 나란히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이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일실시예에서, 제 1 신호강도 측정단계(40) 및 제 2 신호강도 측정단계(42)는 이동식 휴대용 열쇠장치의 임의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나란히 수행된다.
면 간주 단계(44)에서, 휴대용 열쇠장치는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신호강도보다 큰 경우에만 장벽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조건부 내부/외부 단계(46)에서, 상기 방법은 휴대용 열쇠장치가 내부 또는 외부에 있다고 간주되었는지에 따라 다르게 진행한다. 휴대용 열쇠장치가 외부에 있다고 여겨지면, 상기 방법은 액세스 제어단계(48)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방법은 종료된다.
액세스 제어단계(48)에서, 액세스 판단절차가 진행되어 액세스가 허용되거나 거부된다.
한편, 휴대용 열쇠장치가 내부에 있다고 여겨지면, 더 이상의 액세스 판단이 수행되지 않는다. 접근 제어가 사용자 상호작용없이 수행될 경우, 이는 내부에 있는 누군가가 단순히 액세스 제어장치 곁에 걸어감으로써 잠금장치를 우연히 잠금해제하는 것을 막는다.
도 4는 도 1의 액세스 제어장치(13)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판단기(18)는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간주하도록 설비된다. 일실시예에서, 판단기는 프로세서(60) 및 메모리(64)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솔루션이다.
프로세서(60)는 액세제 제어장치(13)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60)는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소정의 로직에 따라 행동하도록 구성 될 수 있는 적절한 중앙처리장치(CPU), 멀티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애플리케이션(ASIC) 등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60)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일 수 있는 메모리(6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65)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60)는 상기 도 3을 참조하로 기술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64)는 램(RAM) 및 롬(ROM)의 임의의 조합 일 수 있다. 메모리(64)는 또한, 예를 들어, 자기 메모리, 광 메모리, 고체 상태 메모리 또는 심지어 원격 탑재 메모리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 일 수 있는 영구 스토리지를 포함한다.
데이터 메모리(66)는 또한 프로세서(60)에서 소프트웨어 명령의 실행 중에 데이터, 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의 신호강도를 판독 및/또는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데이터 메모리(66)는 램(RAM) 및 롬(ROM)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액세스 제어장치(13)는 예를 들어 디지털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휴대용 열쇠장치(2)와 통신하기 위한 제 1의 I/O 인터페이스(63)를 더 포함한다. 제 1의 I/O 인터페이스(63)는 적어도 2개의 안테나(5)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열쇠장치(2)와 통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5)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내부에 있는지 또는 장벽 외부에 있는지 간주하기 위해 프로세스에 사용될 수 있다. 제 1의 I/O 인터페이스(63)는 임의의 적절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BLE), 지그비 (ZigBee), IEEE 802.11 표준 중 어느 하나, IEEE 802.15 표준 중 어느 하나, 무선 USB 등을 사용해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제 2의 I/O 인터페이스(68)는 잠금장치와 같이 다른 외부 엔티티와의 통신에 사용된다. 제 2의 I/O 인터페이스(68)는 (상기 제 1의 I/O 인터페이스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 및/또는, 가령,  USB(Universal Serial Bus), 이더넷, 직렬 인터페이스(예컨대, RS-485 또는 RS-232) 또는 심지어 예컨대 잠금장치(1)에 간단한 전기 연결을 이용한 유선기반의 통신을 이용한다. 선택적으로, 제 1의 I/O 인터페이스(63) 및 제 2의 I/O 인터페이스(68)는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제어장치(13)는 또한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다른 조명, 디스플레이, 키 또는 키패드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9)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제어장치(13)는 단일장치 내에서 잠금장치(1)와 조합된다. 이러한 경우에, 액세스 제어장치(13)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잠금장치(1)와 공유될 수 있다.
판단기(18)는 하드웨어(미도시)만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안테나로부터의 신호강도는 아날로그 영역에서 측정 될 수 있다. 신호강도는 비교기로 보내지며, 이 비교기는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신호강도보다 클 때 양의 신호를 제공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도 가능하다.
도 5는 컴퓨터 판독가능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컴퓨터 판독가능 수단에 프로세서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91)이 저장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CD(컴팩트 디스크) 또는 DVD(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또는 블루 레이 디스크와 같은 광학 디스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또한도 4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64)과 같은 장치의 메모리에 수록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91)이 도시된 광 디스크상의 트랙으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컴퓨터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탈착식 고체 상태 메모리, 가령, USB(Universal Serial Bus) 드라이브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적합한 임의의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몇몇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듯이, 상기 개시된 것들 이외의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가능하다.

Claims (7)

  1. 휴대용 열쇠장치(2)가 장벽(15)의 내부(7) 또는 외부(8)에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액세스 제어장치(13)에서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제 1 안테나 로브(6a)로 장벽(15)의 외부(8)를 향해 지향된 제 1 안테나(5a)를 이용해 상기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신호강도를 측정하는 단계(40);
    제 2 안테나 로브(6b)로 장벽(15)의 내부(7)를 향해 지향된 제 2 안테나(5b)를 이용해 상기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신호강도를 측정하는 단계(42); 및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신호강도보다 큰 경우에만 휴대용 열쇠장치(2)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단계(44)를 포함하고,
    제 2 안테나 로브(6b)는 제 1 안테나 로브(6a)보다 넓으며, 제 2 안테나(5b)에 의해 외부(8)로 지향된 이득이 제 1 안테나(5a)에 의해 내부(7)로 지향된 이득보다 더 크고, 제 2 안테나를 이용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신호강도는 내부의 휴대용 열쇠장치의 모든 지점들에서 제 1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강도보다 더 큰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경우에만 액세스가 허용 또는 거부되는 액세서 판단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48)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
  3. 휴대용 열쇠장치(2)가 장벽(15)의 내부(7) 또는 외부(8)에 있는지 간주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장치(13)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13)는:
    제 1 안테나 로브(6a)로 장벽(15)의 외부(8)를 향해 지향되도록 구성된 제 1 안테나(5a);
    제 2 안테나 로브(6b)로 장벽(15)의 내부(7)를 향해 지향되도록 구성된 제 2 안테나(5b); 및
    제 1 안테나(5a)에 의해 수신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안테나(5b)에 의해 수신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신호강도보다 큰 경우에만 휴대용 열쇠장치(2)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도록 설비된 판단기(18)를 포함하고,
    제 2 안테나 로브(6b)는 제 1 안테나 로브(6a)보다 넓으며, 제 2 안테나(5b)에 의해 외부(8)로 지향된 이득이 제 1 안테나(5a)에 의해 내부(7)로 지향된 이득보다 더 크고, 제 2 안테나를 이용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의 신호강도는 내부의 휴대용 열쇠장치의 모든 지점들에서 제 1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강도보다 더 큰,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액세스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판단기(18)는:
    프로세서(60);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시, 액세스 제어장치(13)가 제 1 안테나(5a)를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제 2 안테나(5b)를 이용해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신호강도를 측정하며,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신호강도보다 큰 경우에만 휴대용 열쇠장치(2)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게 하는 명령어(65)를 저장한 메모리(64)를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액세스 제어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의 실행시,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에만, 액세스를 허용 또는 거부하는 액세스 판단 절차를 액세스 제어장치(13)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65)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액세스 제어장치.
  6. 휴대용 열쇠장치(2)가 장벽(15)의 내부(7) 또는 외부(8)에 있는지 간주하는 컴퓨터 프로그램(91)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액세스 제어장치(13)상에 실행시, 상기 액세스 제어장치(13)가:
    제 1 안테나 로브(6a)로 장벽(15)의 외부(8)를 향해 지향된 제 1 안테나(5a)를 이용해 상기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1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제 2 안테나 로브(6b)로 장벽(15)의 내부(7)를 향해 지향된 제 2 안테나(5b)를 이용해 상기 휴대용 열쇠장치(2)로부터 무선신호의 제 2 신호강도를 측정하며;
    제 1 신호강도가 제 2 신호강도보다 큰 경우에만 휴대용 열쇠장치(2)가 장벽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제 2 안테나 로브(6b)는 제 1 안테나 로브(6a)보다 넓으며, 제 2 안테나(5b)에 의해 외부(8)로 지향된 이득이 제 1 안테나(5a)에 의해 내부(7)로 지향된 이득보다 더 크고, 제 2 안테나를 이용한 휴대용 열쇠장치로부터 신호강도는 내부의 휴대용 열쇠장치의 모든 지점들에서 제 1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강도보다 더 큰,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7. 삭제
KR1020177026647A 2015-03-23 2016-03-21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 KR102585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0225.7 2015-03-23
EP15160225.7A EP3073283B1 (en) 2015-03-23 2015-03-23 Method and device for considering whether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a barrier
PCT/EP2016/056145 WO2016150911A1 (en) 2015-03-23 2016-03-21 Considering whether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a b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768A KR20170129768A (ko) 2017-11-27
KR102585701B1 true KR102585701B1 (ko) 2023-10-06

Family

ID=5277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647A KR102585701B1 (ko) 2015-03-23 2016-03-21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92372B2 (ko)
EP (1) EP3073283B1 (ko)
KR (1) KR102585701B1 (ko)
CN (1) CN107407717B (ko)
WO (1) WO20161509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89791B1 (en) 2015-05-01 2020-12-09 Assa Abloy AB Wearable misplacement
EP3654296A1 (en) * 2018-11-13 2020-05-20 Assa Abloy AB Managing access control to a physical space controlled by a lock device
US11686126B2 (en) 2019-07-18 2023-06-27 Endura Products, Llc Methods of operating a lock
SE2050676A1 (en) * 2020-06-09 2021-12-10 Assa Abloy Ab Determining when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on a front side or on a back side
SE545859C2 (en) * 2020-06-09 2024-02-27 Assa Abloy Ab Location determiner
US20220092900A1 (en) * 2020-09-18 2022-03-24 Carrier Corporation Access control with reader to reader communication
CN113313864B (zh) * 2021-05-26 2023-05-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门禁控制方法、装置、无线耳机、门禁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4058A1 (en) 2011-03-17 2012-09-20 Unl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30241694A1 (en) * 2012-03-16 2013-09-19 Secureall Corporation Non-contact electronic door locks having specialized radio frequency beam formation
US20140225713A1 (en) * 2011-06-17 2014-08-14 Yik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ructure using directional antennas and a wireless token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4178B2 (en) 2001-05-22 2006-09-26 Ericsson Inc. Security system
JP2004108035A (ja) * 2002-09-19 2004-04-08 Tokai Rika Co Ltd ドア開閉装置
GB2402840A (en) 2003-06-10 2004-12-15 Guy Frank Howard Walker Mobile with wireless key entry system
GB0415219D0 (en) 2004-07-07 2004-08-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ime-of-flight ranging systems
US7446644B2 (en) * 2005-01-14 2008-11-04 Secureall Corporation Universal hands free key and lock system
US7548151B2 (en) * 2005-01-27 2009-06-16 Inncom International Inc. Power management lock system and method
US7706778B2 (en) 2005-04-05 2010-04-27 Assa Abloy Ab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assigning and revoking access credentials us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equipped mobile phone
KR20070014995A (ko) 2005-07-28 2007-02-01 인벤티오 아게 사람이 액세스할 수 있는 영역, 특히 도어에 의해 폐쇄되는공간에 대한 액세스 제어 방법
US8886125B2 (en) 2006-04-14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Distance-based association
US8074271B2 (en) 2006-08-09 2011-12-06 Assa Abloy Ab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decision on a card
JP4499168B2 (ja) * 2008-04-24 2010-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無線機
WO2009143415A1 (en) 2008-05-22 2009-11-2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Positioning method for a remote keyless entry system
JP5027083B2 (ja) * 2008-09-04 2012-09-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位置判定装置
US8791790B2 (en) * 2009-02-10 2014-07-29 Yik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ructure using a mobile device
CN102102470B (zh) * 2009-12-18 2013-11-06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通信终端位置判断装置
WO2011082818A1 (en) 2010-01-08 2011-07-14 Telekom Deutschland Gmbh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authorization
EP2434461A1 (en) 2010-09-23 2012-03-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ecurity system providing temporary personnel access based upon near-field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KR20120058008A (ko) * 2010-11-29 2012-06-07 (주)바소콤 디지털 도어락의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EP2493232B1 (en) 2011-02-24 2016-04-20 BlackBerry Limited Personnel access system with verification features utiliz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related methods
US9196104B2 (en) * 2011-03-17 2015-11-24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8744482B2 (en) * 2011-03-25 2014-06-03 Lea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device detection
US8988350B2 (en) 2011-08-20 2015-03-24 Buckyball Mobile, Inc Method and system of user authentication with bioresponse data
US8818824B2 (en) 2011-09-01 2014-08-26 Deroyal Industries, Inc. Automated system for medical item dispensing, billing, and inventory management
TWI535922B (zh) 2011-10-14 2016-06-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鎖系統及其控制裝置和方法
US8924712B2 (en) 2011-11-14 2014-12-30 Ca, Inc. Using QR codes for authenticating users to ATMs and other secure machines for cardless transactions
EP2620919B1 (en) 2012-01-26 2022-01-05 SimonsVoss Technologies GmbH Locking system
WO2013118454A1 (ja) 2012-02-09 2013-08-15 北陸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US8725113B2 (en) 2012-03-12 2014-05-13 Google Inc. User proximity control of devices
JP5917986B2 (ja) * 2012-04-05 2016-05-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携帯機
JP5846024B2 (ja) * 2012-04-11 2016-01-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US8933778B2 (en) 2012-09-28 2015-01-13 Intel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key fob pairing for multi-factor security
US8787902B2 (en) 2012-10-31 2014-07-22 Irevo, Inc. Method for mobile-key service
WO2014098755A1 (en) 2012-12-18 2014-06-26 Phoniro Ab Access control method, and associated proxy device and access control system
US9432361B2 (en) 2013-03-13 2016-08-30 Looko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security behavior of a device based on proximity to another device
US20140282927A1 (en) 2013-03-15 2014-09-18 Bottomline Technologies (De)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validation via mobile device
GB2515006B (en) 2013-05-31 2015-11-25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1480619B1 (ko) * 2013-06-13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키 위치 안내 시스템
US9467859B2 (en) 2013-06-17 2016-10-11 Yale Security Inc. Virtual key ring
EP3025270A1 (en) 2013-07-25 2016-06-01 Nymi inc. Preauthorized wearable biometri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9202029B2 (en) 2013-08-27 2015-12-01 Maan ALDUAIJI Computer device, a method for controlling a login status of a computer device and a server
FI125687B (fi) * 2013-10-01 2016-01-15 Rollock Oy Lukkojärjestely ja menetelmä radiosignaalia lähettävän laitteen läsnäolon ja sijainnin tunnistamiseen
US9516503B2 (en) 2013-10-31 2016-12-06 Aruba Networks, Inc. Location based access
SE538146C2 (sv) * 2013-12-06 2016-03-15 Sweden Connectivity Ab Passivt låssystem innefattande medel för inne och ute detektion
US20150309767A1 (en) 2014-04-23 2015-10-2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daptive control of an audio unit using motion sensing
EP3289791B1 (en) 2015-05-01 2020-12-09 Assa Abloy AB Wearable misplac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4058A1 (en) 2011-03-17 2012-09-20 Unl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40225713A1 (en) * 2011-06-17 2014-08-14 Yik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ructure using directional antennas and a wireless token
US20130241694A1 (en) * 2012-03-16 2013-09-19 Secureall Corporation Non-contact electronic door locks having specialized radio frequency beam 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7717B (zh) 2023-10-03
US20180061156A1 (en) 2018-03-01
EP3073283A1 (en) 2016-09-28
CN107407717A (zh) 2017-11-28
WO2016150911A1 (en) 2016-09-29
EP3073283B1 (en) 2019-04-24
US10192372B2 (en) 2019-01-29
KR20170129768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701B1 (ko) 휴대용 열쇠장치가 장벽의 내부 또는 외부 있는지 간주하는 방법
KR102580113B1 (ko) 장벽과 관련하여 휴대용 열쇠장치가 활성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541198B1 (ko) 휴대용 열쇠장치의 활성신호 및 위치에 기초한 잠금장치 제어
US11237243B2 (en)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whether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in an active area in relation to a barrier
US20180240292A1 (en) Locking system
KR20230020484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3147869A1 (en) Determining access in a scenario of a plurality of locks
CN113966427A (zh) 栓中的磁体
US11710359B2 (en) Managing access control to a physical space controlled by a lock device
EP3987133B1 (en) Bolt identity
JP6836878B2 (ja) 電気錠
US20230222855A1 (en) Determining when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on a front side or on a back side
CN114008282A (zh) 栓身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