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458A -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458A
KR20170027458A KR1020150124091A KR20150124091A KR20170027458A KR 20170027458 A KR20170027458 A KR 20170027458A KR 1020150124091 A KR1020150124091 A KR 1020150124091A KR 20150124091 A KR20150124091 A KR 20150124091A KR 20170027458 A KR20170027458 A KR 2017002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safe
application
control terminal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001B1 (ko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김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영 filed Critical 김은영
Priority to KR1020150124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0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alarm, signal or indi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태블릿 PC 등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및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금고의 개폐를 원격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전력 구현 및 보안성 극대화를 가능케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은, 금고의 개방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무선 출력하는 제어 단말기와, 상기 제어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처리부, 상기 인증처리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금고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수신부의 외부 노출을 위한 수신홀이 형성되는 금고 본체, 상기 금고 본체에 상기 수신홀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수신부 커버, 상기 수신부 커버의 작동을 외부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하여 상기 수신홀을 개폐하는 커버 제어부가 포함된 스마트 금고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Safe opening or closing system based on the sound signal and safe opening or clos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태블릿 PC 등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및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금고의 개폐를 원격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전력 구현 및 보안성 극대화를 가능케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고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 설치되어 각종 귀중품과 주요 문서 등을 보관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금고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 및 보관하여 외부인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금고는 소유자만이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제한하는 잠금장치가 기계/전자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다.
전자 방식의 잠금장치를 예로 설명하면, 초기에는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 형태의 전자식 잠금장치가 금고에 설치되어 이러한 전자식 잠금장치의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금고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방식이었고, 이로부터 발전된 한 형태로써 원격 제어를 통해 전자식 잠금장치를 제어하여 금고를 개폐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IT 기술 및 전자기기의 제조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이를 적용하여 보안성 및 사용 편리성 등을 향상시킨 금고 내지 관련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추세에는 신호 및 그에 포함된 데이터의 해킹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동시에 저전력을 기반으로 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해야 하는 등의 과제도 수반되는 것이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135039(2011.12.16.공개), “아이티 융합 스마트 내화금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11365(2012.02.08.공개), “손등혈관을 이용한 금고 개폐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금고의 개폐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의 신호가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함에 따라 기존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전력에서의 구현이 가능한 동시에 보다 신속한 응답 속도를 가질 수 있게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금고의 개폐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방식의 사운드 신호가 초 근거리에서만 송신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사운드 신호의 해킹을 실질적으로 방지시켜 해당 금고의 보안성 및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마트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태블릿 PC 등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금고의 개폐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은, 금고의 개방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무선 출력하는 제어 단말기와, 상기 제어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처리부, 상기 인증처리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금고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수신부의 외부 노출을 위한 수신홀이 형성되는 금고 본체, 상기 금고 본체에 상기 수신홀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수신부 커버, 상기 수신부 커버의 작동을 외부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하여 상기 수신홀을 개폐하는 커버 제어부가 포함된 스마트 금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금고에 사운드 신호 출력 시 상기 수신부 커버의 개방을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우선 출력하며, 상기 커버 제어부는 상기 제어단말기의 원격제어신호에 대한 수신 기능을 가져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수신 시 상기 수신부 커버를 상기 수신홀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금고는 최대 30㎝의 감지 거리를 갖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30㎝ 이내의 거리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할 시에만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상기 수신부의 수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비밀번호를 형성하는 개별 단위별로 서로 다른 비가청 대역의 주파수가 부여되는 형태로 상기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금고의 인증 처리부에 등록하며,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변화를 분석하여 해당 사운드 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판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금고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판독되기 위한 전자식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탑재하여 해당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금고의 전자식 태그 리딩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 상기 사운드 신호를 상기 스마트 금고의 수신부에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방법은, 제어 단말기에서 스마트 금고의 개방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단말기의 입력 기능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따른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사운드 신호가 상기 제어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통해 스마트 금고에 전송되는 단계와, 수신되는 상기 사운드 신호를 상기 스마트 금고의 인증처리부에서 저장하는 단계와, 실행된 상태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제어 단말기의 입력 기능을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가 상기 제어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금고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금고의 인증처리부에서 사전 저장된 사운드 신호와 전송된 사운드 신호를 비교하여 전송된 사운드 신호의 유효성 여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처리부에서 유효한 사운드 신호로 판별 시 상기 스마트 금고의 메인 제어부에서 잠금장치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가 상기 제어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금고에 전송되는 단계에는, 상기 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스마트 금고에 설치된 수신부 커버의 개방을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우선 출력하는 과정이 포함되며, 상기 스마트 금고의 커버 제어부에서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 커버를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가 상기 제어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금고에 전송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스마트 금고의 거리측정센서에서 30㎝ 이내의 거리로 접근하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30㎝ 이내의 거리로 접근하는 물체 감지 시 그 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금고의 메인 제어부에서 상기 사운드 신호의 수신을 위한 수신부를 활성화시키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금고의 개폐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의 신호가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함에 따라 기존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전력에서의 구현이 가능한 동시에 보다 신속한 응답 속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금고의 개폐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방식의 사운드 신호가 초 근거리에서만 송신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사운드 신호의 해킹을 실질적으로 방지시켜 해당 금고의 보안성 및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태블릿 PC 등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금고의 개폐를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방법에서 추가적인 진행 과정들을 예시한 순서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은 제어 단말기(110) 및 스마트 금고(120)로 구성된다.
제어 단말기(110)는 스마트 금고(120)의 개방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미도시, 도 3 참조)을 탑재하고 있어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스마트 금고(120)에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무선 출력한다. 즉, 제어 단말기(1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입력부(112)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 시,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단말기(110)의 무선통신모듈(미도시, 도 3 참조)을 통해 스마트 금고(120)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 단말기(110)는 스마트 금고(120)에 대한 사운드 신호 출력 시 해당 스마트 금고(120)에 구비되는 수신부 커버(125)의 개방을 위해 원격제어신호를 우선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금고(120)는 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이렇게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가 사전 등록된 사운드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잠금장치(미도시)의 개방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스마트 금고(120)는 거리측정센서(127)를 통해 30㎝ 이내로 접근하는 물체의 존재 여부, 다시 말해 30㎝ 이내로 접근하는 사용자 내지 그 제어 단말기(110)의 존재 여부를 감지 후 30㎝ 이내로 접근하는 사용자 내지 그 제어 단말기(110)의 존재 확인 시에만 제어 단말기(110)의 사운드 신호 수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금고(120)는 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사운드 신호에 우선하여 전송되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수신부(121)를 폐쇄하고 있던 수신부 커버(125)를 개방 상태로 전환시켜 수신부(121)를 통해 사운드 신호가 보다 원활하게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수신부 커버(125)는 수신부(121)의 외부 노출을 위해 스마트 금고(120)의 금고 본체(124)에 형성된 수신홀(124a)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수신부(121)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수신부(121)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수신부에 유입되는 습기를 최소화 하는 등 여러 기능을 한다. 또한 수신부(121)는 통상의 마이크의 구성이면 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수신부 커버(125)가 스마트 금고(120)의 금고 본체(124)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방식을 통해 수신홀(124a)을 개폐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부 커버(125)는 수신홀(124a)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위치로 전환 동작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 단말기(110)로 스마트폰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 단말기(110)로는 스마트 워치 등의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나 태블릿 PC 등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단말기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스마트폰 등의 제어 단말기(110)에 스마트 금고(120)의 개방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면 해당 제어 단말기(110)를 스마트 금고(120)의 원격 제어용 기기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스마트 금고(120)의 개폐 제어를 위한 신호로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가 이용됨에 따라 저전력에서의 구현이 가능한 동시에 보다 신속한 응답 속도를 가능케 한다.
또한 제어 단말기(110)와 스마트 금고(120) 간의 사운드 신호 송수신이 사전 설정된 초근거에서만 실행될 수 있게 함에 따라, 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스마트 금고(120)에 전송되는 개방용 신호에 대한 해킹이 사실상 불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스마트 금고(120)의 보안성 및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면서 사용자의 제품 신뢰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 개폐 시스템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100: 이하 “금고 개폐 시스템”이라 약칭함)은 제어 단말기(110)와 스마트 금고(120)로 크게 구분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바 있다.
먼저, 제어 단말기(110)는 스마트 금고(120)의 개방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111)이 저장되는 저장부(115), 제어부(117), 입력부(112), 메모리(116), 무선통신모듈(113), 근거리 통신모듈(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115)는 상술한 것처럼 스마트 금고(120)의 개방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111) 및 그 밖의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117)는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 단말기(110)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일례로, 제어부(117)는 입력부(112)를 통한 어플리케이션(111)의 실행 신호에 따라 저장부(115)의 어플리케이션(111)을 메모리(116)에서 실행시킨다.
입력부(112)는 제어부(117) 및 제어 단말기(110)의 전기적 구성들에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게 하는 기능을 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 단말기(112)가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 하였으므로, 입력부(112)는 터치패널로 형성되어 제어 단말기(110)에 대한 신호 입력 및 영상 정보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함께 가지는 형태를 예로 하였다. 또한 입력부(112)에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누름 방식의 여러 키(key)들도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16)는 어플리케이션(111) 및 제어 단말기(110)를 통해 실행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111) 및 데이터들의 구동 영역을 형성한다.
무선통신모듈(113)은 어플리케이션(111)을 통해 생성되는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스마트 금고(120)에 무선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근거리 통신모듈(114)은 스마트 금고(120)에 부착되는 전자식 태그(128)의 정보를 리딩하여 제어부(117)에 입력하는 기능을 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117)는 저장부(115)의 어플리케이션(111)을 메모리(116)에서 자동 실행시킨다.
그리고 스마트 금고(120)는 수신부(121), 인증처리부(122), 메인 제어부(123), 금고본체(124), 수신부 커버(125), 커버 제어부(126), 거리측정센서(127), 전자식 태그(1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121)는 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수신부(121)는 통상의 마이크의 구성에 해당된다.
인증처리부(122)는 수신부(121)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메인 제어부(123)는 인증처리부(122)의 인증 결과에 따라 스마트 금고(120)의 개방 여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메인 제어부(123)는 인증처리부(122)의 인증 결과에 따라 스마트 금고(120)의 잠금장치(129)를 개방 상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금고 본체(미도시, 도 1 참조)는 스마트 금고(12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며, 이러한 금고 본체는 수신부(121)의 노출을 위한 수신홀(미도시, 도 1 참조)이 형성된다.
수신부 커버(125)는 금고 본체에 수신홀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커버 제어부(126)는 수신부 커버(125)의 작동을 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하여 수신홀을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거리측정센서(127)는 스마트 금고(120)로부터 30㎝ 이내의 거리로 접근하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전자식 태그(128)는 제어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114)을 통해 읽히는 정보를 기록한 상태로 스마트 금고(120)에 부착된다.
그리고 제어 단말기(110)의 어플리케이션(111)은 비밀번호를 형성하는 개별 단위별로 서로 다른 비가청 대역의 주파수가 부여되는 형태로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 금고(120)의 인증 처리부(122)에 등록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금고(120)의 인증 처리부(122)는 수신부(121)를 통해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변화를 분석하여 해당 사운드 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즉, 제어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이를 기억하는 것이지만, 스마트 금고(120)의 인증 처리부(122)에서는 비밀번호의 개별 단위별 비가청 대역 주파수를 저장한 상태에서 이를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제어 단말기(110)의 분실 및 이렇게 분실된 제어 단말기(110)의 설정된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두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지 않는 한 해당 스마트 금고(120)의 보안성은 안전하게 확보될 수 있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서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을 따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에 대한 부호는 도 1 및 도 2에 준한 것임을 밝혀 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제어 단말기(110)를 통해 스마트 금고(120)의 개방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111)이 실행된다.
단계(S120)에서, 제어 단말기(110)의 입력 기능을 통해 어플리케이션(111)에 비밀번호가 입력된다.
단계(S130)에서, 단계(S120)을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따른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가 어플리케이션(111)을 통해 생성된다.
단계(S140)에서, 단계(S130)을 통해 생성된 사운드 신호가 제어 단말기(110)의 통신 기능을 통해 스마트 금고(120)에 전송된다.
단계(S150)에서, 단계(S140)을 통해 전송되어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를 스마트 금고(120)의 인증처리부(122)에서 저장한다.
단계(S160)에서, 제어 단말기(110)의 실행된 상태의 어플리케이션(111)에 제어 단말기(110)의 입력 기능을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된다.
단계(S170)에서, 단계(S160)을 통한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11)에서 생성된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가 제어 단말기(110)의 통신 기능을 통해 스마트 금고(120)에 전송된다.
단계(S180)에서, 스마트 금고(120)의 인증처리부(122)에서 사전 저장된 사운드 신호와 전송된 사운드 신호를 비교하여 전송된 사운드 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S190)에서, 단계(S180)을 통해 유효한 사운드 신호로 판별 시 스마트 금고(120)의 메인 제어부(123)에서 잠금장치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방법에서 추가적인 진행 과정들을 예시한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해당되는 추가 과정들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단계(S170) 단계에는 제어 단말기(110)에서 스마트 금고(120)에 설치된 수신부 커버(125)의 개방을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우선 출력하는 단계(S171) 및 스마트 금고(120)의 커버 제어부(126)에서 제어 단말기(110)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부 커버(125)를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는 단계(S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단계(S170) 이전에, 스마트 금고(120)의 거리측정센서(127)에서 30㎝ 이내의 거리로 접근하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61) 및 거리측정센서(127)에서 30㎝ 이내의 거리로 접근하는 물체 감지 시 그 신호에 따라 스마트 금고(120)의 메인 제어부(123)에서 사운드 신호의 수신을 위한 수신부(121)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은, 금고의 개폐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의 신호로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사용함에 따라 기존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전력에서의 운용이 가능케 하는 동시에 보다 신속한 응답 속도를 가능케 한다.
또한 금고의 개폐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방식의 사운드 신호가 초 근거리에서만 송신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 사운드 신호의 해킹을 실질적으로 방지시켜 해당 금고의 보안성 및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스마트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태블릿 PC 등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금고의 개폐를 원격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금고 개폐 시스템 110 : 제어 단말기
111 : 어플리케이션 112 : 입력부
113 : 무선통신모듈 114 : 근거리 통신모듈
115 : 저장부 116 : 메모리
120 : 스마트 금고 121 : 수신부
122 : 인증처리부 123 : 메인 제어부
124 : 금고 본체 124a : 수신홀
125 : 수신부 커버 126 : 커버 제어부
127 : 거리측정센서 128 : 전자식 태그
129 : 잠금장치

Claims (8)

  1. 금고의 개방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무선 출력하는 제어 단말기;
    상기 제어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처리부, 상기 인증처리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금고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수신부의 외부 노출을 위한 수신홀이 형성되는 금고 본체, 상기 금고 본체에 상기 수신홀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수신부 커버, 상기 수신부 커버의 작동을 외부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하여 상기 수신홀을 개폐하는 커버 제어부가 포함된 스마트 금고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금고에 사운드 신호 출력 시 상기 수신부 커버의 개방을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우선 출력하며,
    상기 커버 제어부는 상기 제어단말기의 원격제어신호에 대한 수신 기능을 가져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수신 시 상기 수신부 커버를 상기 수신홀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금고는 최대 30㎝의 감지 거리를 갖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30㎝ 이내의 거리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할 시에만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상기 수신부의 수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비밀번호를 형성하는 개별 단위별로 서로 다른 비가청 대역의 주파수가 부여되는 형태로 상기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금고의 인증 처리부에 등록하며,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 변화를 분석하여 해당 사운드 신호의 유효성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금고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판독되기 위한 전자식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탑재하여 해당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금고의 전자식 태그 리딩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 상기 사운드 신호를 상기 스마트 금고의 수신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6. 제어 단말기에서 스마트 금고의 개방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제어 단말기의 입력 기능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따른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사운드 신호가 상기 제어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통해 스마트 금고에 전송되는 단계;
    수신되는 상기 사운드 신호를 상기 스마트 금고의 인증처리부에서 저장하는 단계;
    실행된 상태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제어 단말기의 입력 기능을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가 상기 제어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금고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금고의 인증처리부에서 사전 저장된 사운드 신호와 전송된 사운드 신호를 비교하여 전송된 사운드 신호의 유효성 여부 판별하는 단계;
    상기 인증처리부에서 유효한 사운드 신호로 판별 시 상기 스마트 금고의 메인 제어부에서 잠금장치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가 상기 제어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금고에 전송되는 단계에는, 상기 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스마트 금고에 설치된 수신부 커버의 개방을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우선 출력하는 과정이 포함되며,
    상기 스마트 금고의 커버 제어부에서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 커버를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비가청 대역의 사운드 신호가 상기 제어 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금고에 전송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스마트 금고의 거리측정센서에서 30㎝ 이내의 거리로 접근하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30㎝ 이내의 거리로 접근하는 물체 감지 시 그 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금고의 메인 제어부에서 상기 사운드 신호의 수신을 위한 수신부를 활성화시키는 단계가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방법.
KR1020150124091A 2015-09-02 2015-09-02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1742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91A KR101742001B1 (ko) 2015-09-02 2015-09-02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91A KR101742001B1 (ko) 2015-09-02 2015-09-02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458A true KR20170027458A (ko) 2017-03-10
KR101742001B1 KR101742001B1 (ko) 2017-05-31

Family

ID=5841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091A KR101742001B1 (ko) 2015-09-02 2015-09-02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0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2587A (zh) * 2017-07-31 2019-02-12 深圳市永达电子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保险柜智能防窃失方法及其系统
CN109377596A (zh) * 2018-09-20 2019-02-22 佘丽娟 一种安全系统
CN109798044A (zh) * 2019-01-29 2019-05-24 天津现代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财物管理的对象距离检测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039A (ko) 2010-06-10 2011-12-16 주식회사 큐브시큐리티 아이티 융합 스마트 내화금고
KR20120011365A (ko) 2010-07-26 2012-02-08 주식회사 테크스피어 손등혈관을 이용한 금고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4292A (ja) * 2009-10-27 2011-05-12 Aiphone Co Ltd 電気錠システム
KR101231319B1 (ko) * 2011-08-24 2013-02-15 한국과학기술원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 시스템, 출입 통제 시스템, 그리고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039A (ko) 2010-06-10 2011-12-16 주식회사 큐브시큐리티 아이티 융합 스마트 내화금고
KR20120011365A (ko) 2010-07-26 2012-02-08 주식회사 테크스피어 손등혈관을 이용한 금고 개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2587A (zh) * 2017-07-31 2019-02-12 深圳市永达电子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保险柜智能防窃失方法及其系统
CN109322587B (zh) * 2017-07-31 2020-09-08 深圳市永达电子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保险柜智能防窃失方法及其系统
CN109377596A (zh) * 2018-09-20 2019-02-22 佘丽娟 一种安全系统
CN109798044A (zh) * 2019-01-29 2019-05-24 天津现代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财物管理的对象距离检测系统
CN109798044B (zh) * 2019-01-29 2024-04-16 天津现代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财物管理的对象距离检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001B1 (ko)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84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in an active area in relation to a barrier
US11237243B2 (en)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whether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in an active area in relation to a barrier
US9317987B2 (en) Safe with controllable data transfer capability
US9763086B2 (en) Owner access point to control the unlocking of an entry
KR101742001B1 (ko) 사운드 신호 기반의 금고 개폐 시스템 및 방법
US10192372B2 (en) Considering whether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a barrier
KR20170071869A (ko)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US20170099135A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KR101230369B1 (ko) 해킹 방지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키 인증 방법
KR101762625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 여부 확인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JP2015041276A (ja) 端末装置の認証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05711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90129618A (ko) 비가청 음파신호에 기반한 모바일 id출입통제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0265416B1 (ko) 지문인식용 전자식 도어록
KR101582545B1 (ko)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310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KR20200045905A (ko) 멀티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 방법
KR20190059703A (ko) Iot를 이용한 스마트 주얼리 금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531678B1 (ko) 문 밖에서만 통신되는 무선통신장치
KR200425914Y1 (ko) 휴대폰을 이용한 근거리 디지털 잠금장치
KR102326692B1 (ko)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51551A1 (en) Signalling duress
KR101472979B1 (ko) 방범 시스템
KR20180109323A (ko)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KR20160138777A (ko) 양방향 디지털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